KR20060049756A - 날실 장력 감시 방법 - Google Patents

날실 장력 감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9756A
KR20060049756A KR1020050059180A KR20050059180A KR20060049756A KR 20060049756 A KR20060049756 A KR 20060049756A KR 1020050059180 A KR1020050059180 A KR 1020050059180A KR 20050059180 A KR20050059180 A KR 20050059180A KR 20060049756 A KR20060049756 A KR 20060049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p tension
warp
value
perio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이이치 묘기
에미코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12Controlling warp tension by means other than let-off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04Control of the tension in warp or cloth
    • D03D49/06Warp let-off mechanisms
    • D03D49/10Driving the warp beam to let the warp off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51/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 D03D51/06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 D03D51/08Driving, starting, or stopping arrangements; Automatic stop motions using particular methods of stopping stopping at definite point in weaving cycle, or moving to such point after stopp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 D03J1/02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for treating warp, e.g. cleaning, moistening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5/00Shuttles
    • D03J5/24Tens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소정의 기간에 생기는 직단(織段)을 억제하기 위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날실 장력의 감시 방법은, 날실의 장력을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날실의 장력을 감시한다. 상기 날실 장력 감시 방법은, 상기 날실의 장력을 날실 장력치로서 검출하는 장력 검출 스텝과, 주축이 1회전하는 기간인 사이클 기간을 포함하는 검출 단위 기간에 검출된 상기 날실 장력치의 대표치를 연산하는 대표치 연산 스텝과, 상기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하나 이상의 상기 검출 단위 기간을 포함하는 기간의 종료 시점까지의 감시 기간 중에 있어서의 상기 대표치를 기억하는 대표치 기억 스텝과, 상기 대표치 기억 스텝에 있어서 기억된 상기 대표치를 표시하는 대표치 표시 스텝을 포함한다.
직기, 날실, 장력, 보정량, 직단

Description

날실 장력 감시 방법 {WARP TENSION MONITOR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감시 방법이 적용되는 직기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직기의 블록선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감시 방법에 있어서 날실 장력의 대표치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다른 감시 방법에 있어서 날실 장력의 대표치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감시 방법에 있어서 날실 장력의 대표치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감시 방법에 있어서 날실 장력의 대표치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감시 방법에 있어서 날실 장력의 대표치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또 다른 감시 방법에 있어서 날실 장력의 대표치인 평균 날실 장력치의 이력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날실의 송출 제어 패턴을 통상 제어로 한 경우에,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 송출 모터의 회전 속도 변화, 및 직포의 씨실 밀 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은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날실의 송출 제어 패턴을 억제 제어로 한 경우에,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 송출 모터의 회전 속도 변화, 및 직포의 씨실 밀도의 변화를 표시기에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날실의 송출 제어 패턴을 임의 속도 제어로 한 경우에, 권취 모터의 회전 속도 변화, 송출 모터의 회전 속도 변화, 및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를 표시기에 나타낸 그래프이다.
[부호의 설명]
θ: 회전 각도 T: 날실 장력치
Tu: 검출 단위 기간 Tm: 감시 기간
10: 직기 12: 날실
14: 송출 빔 16: 백 롤러
18: 종광틀 20: 바디
22: 클로스 펠(cloth fell) 24: 씨실
26: 직포 28: 전향 롤
30: 직물 권취 빔 32: 송출 모터
36: 기어 기구 38: 날실 장력 센서
40: 직기 제어 장치 42: 주축 모터
44: 주축 46: 권취 모터
48: 인코더 50: 연산기
52: 설정기 54: 기억기
55: 표시 제어기 56: 표시기
58: 날실 장력 제어부 60: 운전 버튼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2003-201650호 공보
본 발명은, 날실의 장력을 검출하여, 검출된 날실의 장력을 감시하는 날실 장력 감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기는, 제직 중, 구동용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 또는 주축의 회전을, 감속 기어를 통하여, 날실이 권취되어 있는 날실 빔과 직포가 권취되어 있는 직물 권취 빔에 전달하여 회전시킨다. 날실은 회전되는 날실 빔으로부터 송출된다. 송출된 날실은, 클로스 펠에서 직포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직포는 직물 권취 빔에 감긴다.
상기와 같은 직기에 있어서 정지 중에는, 날실 빔 및 직물 권취 빔의 회전을 정지시킨다(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직단(織段), 특히 직기의 운전 정지 및 기동에 따른 정지단의 발생 원인은, 정지 중의 날실 장력의 변화에 의한 것과, 정지 중의 날실 장력의 저하에 의한 클로스 펠의 이동에 의한 것이 있다. 여기서, 직단의 종류는, 씨실 밀도에 따라, 이른바 박단(薄段)과 후단(厚段)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직단의 발생을 발견한 작업자는, 직포에 나타난 직단을 확인하는 것 만으로는, 직단의 발생 원인을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직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직기의 조정에 시간이 걸린다.
직기가, 기동 직후부터 작업자가 미리 지정된 날실의 송출 속도 및 송출 피치수가 될 때까지의 소정 기간에, 통상 운전과 상이한, 직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임의 속도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 작업자는 미리 임의 속도 제어가 실행되는 소정 기간을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직기는, 날실의 장력이 소정의 범위 내가 될 때까지, 날실의 장력치에 따라 날실 송출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 직기의 기동에서부터 날실의 장력이 소정 범위 내가 될 때까지의 제어 기간은, 실의 종류 및 상태, 날실 장력에 따라서 상이하므로, 작업자가 상기 제어 기간을 파악할 수 없다.
이로써, 작업자가 기동 직후에 직단이 발생한 직포를 확인 하는 것만으로는 상기 제어 기간에 제직된 부분을 특정할 수 없기 때문에, 직단 발생의 억제를 위해서 신속하게 조정을 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소정의 기간에 걸쳐서 생기는 직단을 억제하기 위한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제1, 제 2 및 제3 날실 장력 감시 방법은, 모두, 날실의 장 력을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날실 장력의 변화를 감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1 날실 장력 감시 방법은, 상기 날실의 장력을 날실 장력치로서 검출하는 장력 검출 스텝과, 주축이 1회전하는 기간인 사이클 기간을 포함하는 검출 단위 기간에 검출된 상기 날실 장력치의 대표치를 연산하는 대표치 연산 스텝과, 상기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적어도 1개의 상기 검출 단위 기간을 포함하는 기간의 종료 시점까지의 감시 기간 중에 있어서의 상기 대표치를 기억하는 대표치 기억 스텝과, 상기 대표치 기억 스텝에 있어서 기억된 상기 대표치를 표시하는 대표치 표시 스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2 날실 장력 감시 방법은, 상기 날실의 제어 패턴 또는 직기의 정상 운전에 있어서의 상기 날실 속도의 설정치를 변경하는 날실 상태 변경 스텝과, 상기 날실의 장력을 날실 장력치로서 검출하는 장력 검출 스텝과, 주축이 1회전하는 기간인 사이클 기간을 포함하는 검출 단위 기간에 검출된 상기 날실 장력치의 대표치를 연산하는 대표치 연산 스텝과, 상기 날실 상태 변경 스텝의 실행 전후의 상기 검출 단위 기간을 포함하는 감시 기간 중에 있어서의 상기 대표치를 기억하는 대표치 기억 스텝과, 상기 대표치 기억 스텝에 있어서 기억된 상기 대표치를 표시하는 대표치 표시 스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제3 날실 장력 감시 방법은, 상기 날실의 장력을 날실 장력치로서 검출하는 장력 검출 스텝과, 검출된 상기 날실 장력치와 직기의 정상 운전에 있어서의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따라, 상기 날실 장력치를 상기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근접하도록 날실 송출 장치를 제어하는 날실 장력 제 어 스텝과, 상기 날실 장력치가 안정 상태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안정 상태 검출 스텝과, 상기 직기의 기동에서부터 상기 안정 상태의 검출까지의 기동 변동 기간 또는 상기 기동 변동 기간에 있어서의 직포의 길이 치수에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기동 변동 기간 표시 스텝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직기(10)에 있어서, 날실(12)은, 상기 날실이 권취되어 있는 송출 빔(14)으로부터, 백 롤러(16), 복수개의 종광틀(18) 및 바디(20)를 거쳐 클로스 펠(22)로 이어지고 있다.
피킹된 씨실(24)은, 바디(20)에 의해 클로스 펠(22)에 바디침되어 직포(26)가 된다.
직포(26)는, 클로스 펠(22)로부터, 2개의 전향 롤(28)을 통하여 직물 권취 빔(30)으로 유도되고 있다. 유도된 직포(26)는, 직물 권취 빔(30)에 권취된다.
송출 빔(l4)은, 송출 모터(32)에 의해 기어와 같은 감속 기구(34)로 구성되는 기어 기구(36)를 통하여 회전되어 복수개의 날실(12)을 시트 형태로 송출한다.
직기 제어 장치(40)는, 날실(12)의 송출 속도가 소정의 속도가 되도록, 롤 직경 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검출된 롤 직경의 변화에 따라,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을 제어한다.
날실(12)에 작용하고 있는 장력치는, 백 롤러(16)에 작용하는 하중을 검출하는 날실 장력 센서(38)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날실의 장력치는, 날실(12)에 실제로 작용하고 있는 날실 장력치 T로서 직기 제어 장치(40)에 전달된다.
각 종광틀(18)은, 주축 모터(42)에 의해 회전되는 주축(44)의 회전 운동을 받는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상하로 왕복 이동되어, 날실(12)을 상하로 개구시킨다.
바디(20)는, 주축(44)의 회전 운동을 받는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요동되어, 날실(12)의 개구에 피킹된 씨실(24)을 클로스 펠(22)에 바디침한다.
주축(44)의 회전 각도는, 인코더(48)에 의해 검출된다. 검출된 주축의 회전 각도는, 주축 회전 각도 θ로서, 직기 제어 장치(40)에 공급된다.
직기 제어 장치(40)는, 직물 권취 빔(30)에 권취된 직포(26)의 회전속도가 직포(26)의 전송 속도와 동일하게 되도록, 권취 모터(46)의 출력축의 회전을 제어한다.
도 2에 직기(10)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직기(10)는, 기동에서부터 소정 기간 중의 날실(12)의 장력치에 관한 복수개의 값을 연산하는 연산기(50)를 가지는 직기 제어 장치(40)와, 정상 운전 목표 장력치와 복귀 운전 목표 장력치를 설정하는 설정기(52)와, 복수개의 값을 기억하는 기억기(54)와, 복수개의 값을 표시하는 표시기(56)를 포함한다. 표시기(56)는, 기억기(54)로부터 출력되는 표시 신호에 따라 표시 제어기(55)에 의해 표시된다.
직기 제어 장치(40)는, 직기(10)의 정지 기간 중에 날실 장력치가 저하된 경우에만, 검출된 날실 장력치를 복귀 운전 목표 장력치에 복귀시키도록, 날실(12)의 송출 모터(32)를 제어한다.
날실(12)의 장력은, 날실 장력 센서(38)에 의해 검출되어, 검출된 날실의 장력은, 날실 장력 검출치 T로서 날실 장력 제어부(58)에 출력된다.
운전 버튼(60)은, 작업자가 제직 운전의 개시 시와 종료 시에 누르는 스위치이다. 작업자가 운전 버튼(60)을 누를 때마다, 펄스 형상의 온(ON) 운전 신호 S1이 직기 제어 장치(40)에 출력된다.
직기 제어 장치(40)의 날실 장력 제어부(58)는, 연산기(50)를 가진다. 연산기(50)는, 기동에서부터 소정 기간 중의 날실(12)의 장력치에 관한 복수개의 값을 연산한다.
직기 제어 장치(40)는, 운전 신호 S1의 입력이, 운전 지령 신호인지 혹은 정지 지령 신호인지 주축 모터(44) 상태에 따라 판단한다.
설정기(52)는, 정상 운전 목표 장력치와 직기의 운전의 개시까지 복귀시켜야 할 날실의 장력치인 복귀 운전 목표 장력치를 가진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기동 전에 날실 장력을 복귀시키는 동작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정상 운전 목표 장력치와 복귀 운전 목표 장력치는, 직기의 운전 개시까지 미리 설정된다. 또, 복귀 운전 목표 장력치는, 직기의 운전 개시 후에도, 수정할 수 있는 값이다.
연산기(50)는 후술하는 기동에서부터 소정 기간 중의 날실(12)의 장력치에 관한 복수개의 값을 연산한다.
연산기(50)는, 연산된 평균 날실 장력치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의 편차를 산출한다. 날실 장력 제어부(58)는, 연산된 편차가 줄어들도록, 즉 산출되는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근접하도록, 송출 모터(32)의 피드백 제어를 행한다.
기억기(54)는 기동에서부터 소정 기간 중의 날실(12)의 장력치에 관한 복수개의 값을 기억한다.
표시기(56)는 날실(12)의 장력에 관한 복수개의 값을 표시한다.
송출 모터(32)는, 날실 장력 제어부(58)로부터의 구동 신호 S2에 따라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을 회전시킨다.
작업자는, 설정기(52)에 의해 미리 정상 운전 시(정상 상태 시)의 목표 날실 장력치인 정상 운전 목표 장력치를 설정한다.
작업자가 운전 버튼(60)을 눌러서 발생되는 운전 신호 S1이 직기 제어 장치(40)에 입력되면, 직기(10)는, 기동을 개시하는 동시에, 날실의 장력을 검출한다.
직기(10)의 기동 후부터의 운전 기간은, 기동 개시부터 검출되는 날실 장력치가 정상(定常) 운전 목표 장력치와 동일한 값으로 안정될 때까지의 기간으로서, 산출된 편차가 줄어들 때까지의 기간인 기동 변동 기간과, 기동 변동 기간 이후의 정상 운전 기간으로서, 검출되는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장력치로 안정되어 편차가 줄어든 정상 운전 기간으로 나눌 수 있다.
[실시예 1]
날실 장력 제어부(58)는, 주축(44)의 회전 각도 θ가 예를 들면 10˚회전할 때마다, 검출된 날실 장력치 T를 기억기(54)에 기억시킨다(장력 검출 스텝).
연산기(50)는, 입력된 날실 장력치 T에 따라, 검출 단위 기간 Tu가 경과할 때마다, 날실 장력치 T의 대표치를 산출한다(대표치 연산 스텝). 본 실시예에서는, 대표치를 평균 날실 장력 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검출 단위 기간 Tu는, 사이클 기간 Ts를 포함하는 기간이 된다. 환언하면, 검출 단위 기간 Tu는, 사이클 기간 Ts를 단위로 하는 하나이상의 사이클 기간으로 이루어지는 기간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검출 단위 기간 Tu는, 사이클 기간 Ts와 동일하게 된다.
사이클 기간 Ts는, 예를 들면, 주축(44)의 회전 각도 θ가 50˚로부터 1회전 후의 회전 각도 50˚까지의 360˚가 된다. 그러나, 사이클 기간 Ts의 초기(初期)와 종기(終期)가 같은 회전 각도 θ이며, 사이클 기간이 주축의 1회전에 대응하는 기간이면 되고, 예를 들면, O˚로부터 1회전 후의 0˚까지의 360˚로 할 수도 있다.
기억기(54)는, 직기(10)의 기동 직후부터 검출 단위 기간 Tu를 포함하는 기간의 종료 시점까지의 감시 기간 Tm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기억한다(대표치 기억 스텝). 감시 기간 Tm은, 예를 들면, 직기(10)가 기동한 직후부터 10피크 째 즉 10 사이클 기간 Ts까지가 된다.
이와 같이, 감시 기간 Tm은, 연속한 복수개의 사이클 기간에 의해 구성되어도 되고, 감시 기간 Tm의 하나의 사이클 기간 Ts와 다른 하나의 사이클 기간 Ts의 사이에 사이클 기간 Ts를 단위로 하는 하나 이상의 간헐 기간을 설치해도 된다.
직기(10)의 기동 직후에 직단이 발생한 경우, 작업자는, 표시기(56)의 화면 위의 소정의 버턴을 누른다. 이로써, 기억기(54)에 기억된 감시 기간 Tm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는 표시 제어기(55)를 통하여 표시기(56)에 표시(대표치 표시 스텝)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검사 기간 Tm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 기간 Tm은, 직기(10)의 기동 직후부터 계산하여 열번째까지의 검출 단위 기간 Tu에 해당하기 때문에, 표시기(56)는, 첫번째로부터 열번째까지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표시한다.
작업자는, 첫번째 평균 날실 장력치로부터 열번째 평균 날실 장력치 및 이들의 시계열적인 변화에 따라, 직단의 발생 원인을 추정하고, 직기를 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첫번째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보다 크게 다른 경우, 직기(10)의 기동 직전에 장력 복귀 동작을 행하도록 설정하고, 또는 기동 직후의 날실 장력 저하에 의한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가 급격하게 변동하는 것을 억제하도록 송출 모터(3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게인(gain)을 작게 조정한다.
이와 같이, 직단은 기동 직후에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작업자는, 기동 직후의 평균 날실 장력치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확인함으로써, 용이하게 직단의 발생 원인을 추정할 수 있다.
또, 하나의 검출 단위 기간의 평균 날실 장력치, 즉 대표치는 표시기(56)에 표시되므로, 작업자가 그 시점의 날실 장력치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직기의 조정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예 1의 변형예 1]
검출 단위 기간 Tu는 사이클 기간 Ts와 동일하다고 설명했지만, 검출 단위 기간 Tu를 사이클 기간 Ts의 정수배로 할수도 있다. 예를 들면, 검출 단위 기간 Tu는 복수개의 사이클로 구성되는 제직 패턴의 기간으로 할 수도 있다.
기억기(54)는, 주축(44)의 회전 각도 θ가 소정의 각도(예를 들면, 0˚)를 통과하는 시점에 있어서의 송출 속도 및 권취 속도와 대응하는 대표치를 기억하고, 송출 속도 및 권취 속도와 대응하는 대표치를 표시기(56)에 표시할 수도 있다. 또, 이 경우, 기억기(54)는, 대표치를 표시하지 않고 송출 속도 또는 권취 장치 중 어느 하나만을 표시기(56)에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 1의 변형예 2]
감시 기간 Tm에서 산출된 평균 날실 장력치를 세로축으로, 감시 기간을 가로축으로 하는 그래프를 표시기(56)에 표시시킬 수도 있다. 또는, 각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와의 차이의 변화를 그래프로 표시기(56)에 표시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작업자는 시각적으로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실시예 1의 변형예 3]
실시예 1은, 검출 단위 기간 Tu에 있어서의 날실 장력치의 평균치를 표시기(56)에 표시하고 있지만, 검출 단위 기간 Tu에 있어서의 날실 장력치 T의 적어도 최소치 또는 최대치를 표시기(56)에 표시시켜도 된다.
도 3은, 날실 장력치 T의 시계열적인 변화를 곡선 L1으로 표시기(56)에 나타낸 그래프이다.
점 C1 및 C2는, 각 검출 단위 기간 Tu에 있어서의 최대치 및 최소치를 날실 (12)의 장력에 관한 대표치로서 표시한 것이다. 그러나, 표시기(56)에, 최대치 또는 최소치의 점만을 표시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검출 단위 기간 Tu를 연속한 2개의 사이클 기간 Ts로 설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날실 장력치 T의 그래프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날실(12)의 장력에 관한 대표치를 각 검출 단위 기간 Tu의 최대치 및 최소치로 하고, 점 C1 및 C2로 표시하고 있다. 점 C1 및 C2 이외의 각 사이클 기간 Ts의 최대치 및 최소치는, 표시되어 있지 않다.
도 5는, 검출 단위 기간 Tu를 연속한 2개의 사이클 기간 Ts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각 사이클 기간 Ts의 최대치의 평균치 및 각 사이클 기간 Ts의 최소치의 평균치를 날실의 장력에 관한 대표치로서 표시기(56)에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6은, 감시 기간 Tm에 있어서, 검출 단위 기간 Tu의 다음에, 날실 장력을 검출하지 않는 하나의 사이클 기간 Ts를 두었을 경우에 있어서의, 최대치 및 최소치를 날실의 장력에 관한 대표치로서 표시기(56)에 표시한 그래프이다.
도 7은, 각 검출 단위 기간 Tu에 있어서의 최대치와 최소치의 평균치를 날실의 장력에 관한 대표치로서 표시기(56)에 표시한 그래프이다. 또 변형예 3에 있어서, 표시 제어기(55)는 그래프가 아닌 각 점에 대응하는 대표치를 표시기(56)에 표시시킬 수도 있다.
[실시예 1의 변형예 4]
상기 실시예는 검출 단위 기간 Tu에 있어서의 날실 장력치 T의 평균치를 표시하고 있지만, 주축(44)의 회전 각도 θ에 있어서의 날실 장력치 T를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검출 단위 기간 Tu를 1사이클 기간 Ts로 하고, 검출 단위 기간 Tu에 있어서의 소정의 회전 각도 θ의 날실 장력치 T를 표시할 수도 있다. 또, 검출 단위 기간 Tu를 복수개의 사이클 기간 Ts로 하고, 검출 단위 기간 Tu에 있어서의 소정의 회전 각도 θ일 때의 날실 장력치 T를 표시할 수도 있다.
감시 기간 Tm은 복수개의 검출 단위 기간 Tu로 하고, 대표치는 소정의 회전 각도 θ일 때의 날실 장력치 T의 평균치로서 표시기(54)에 표시하여도 된다. 이 경우, 상기 소정의 회전 각도 θ는, 개구 운동 또는 바디침의 영향이 날실 장력치 T에 나타나기 쉬운 주축의 회전 각도의 사용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의 날실의 송출 제어 패턴은, 직기의 운전 중에 있어서 항상 동일하다고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직기의 운전 중에 송출 제어 패턴을 변경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낸다. 즉, 기동 직후부터 예를 들면 임의 속도 제어, 억제 제어, 통상 제어의 순으로 송출 제어 패턴을 변경하는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송출 제어 패턴으로부터 다른 송출 제어 패턴으로 변경한 시점의 전후의 날실에 관한 대표치의 이력을 기억하는 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임의 속도 제어, 억제 제어 및 통상 제어의 3개의 송출 제어 패턴이 있다.
임의 속도 제어란, 검출되는 날실 장력치의 변화와는 관계없는 것으로서, 송출 모터의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제어이다. 날실의 송출 속도의 속도 패턴이 설정기(52)에 설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설정기(52)에 의해 속도 패턴(소정의 날실 송출 속도 및 소정 기간, 예를 들면 피크수)을 설정하고, 설정된 속도 패턴에 따라, 직기 제어 장치가 송출 모터를 제어한다.
억제 제어란, 통상적인 제어에 있어서의 제어 게인을 작게 하여 송출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의 변동을 억제하는 제어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산기(50)는, 미리 억제 제어 시의 제어 게인을 설정기(52)에 설정하고, 직기 기동 후, 연산기(50)는 각 검출 단위 기간 Tu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연산한다. 억제 제어 시의 제어 게인은, 통상 제어 시의 제어 게인보다도 작다.
또한, 연산기(50)는, 연산된 평균 날실 장력치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와의 편차를 산출한다. 연산기(50)는, 산출된 편차가 줄어들도록 억제 제어 시의 제어 게인에 따라 보정량을 산출한다. 날실 장력 제어기(58)는, 산출된 보정량에 따라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로써, 억제 제어 시의 제어 게인은 통상 제어 시의 제어 게인보다도 작기 때문에, 산출되는 보정량은, 같은 날실 장력치를 얻을 수 있었던 통상 제어 때보다 억제 제어 때가 작고,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의 변동이 통상 제어 때 보다도 억제된다 (억제 연산 스텝).
보다 구체적으로는, 설정기(52)에, 미리, 송출 제어 패턴을 변경하는 시점을 전후하여 기억하는 평균 날실 장력치의 수를 설정한다. 환언하면, 미리, 감시 기간 Tm에 있어서의 검출 단위 기간 Tu의 수를 설정기(52)에 설정한다.
예를 들면, 감시 기간 Tm은, 송출 제어 패턴을 변경하는 시점을 전후하여 검출 단위 기간 Tu의 수를 2개로 한다. 즉, 감시 기간 Tm은 4개의 검출 단위 기간 Tu로 한다. 검출 단위 기간 Tu는 1 사이클 기간 Ts로 한다.
운전 신호 S1가 직기 제어 장치에 입력되면, 직기(10)가 기동 개시한 직후부터, 직기(10)는 임의 속도 제어를 개시하고, 또한 날실 장력 제어부(58)가 피크마다 날실 장력치 T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산출한다(대표치 연산 스텝). 산출된 날실 장력 평균치는, 수시로 기억기(54)에 기억된다(대표치 기억 스텝).
직기는, 먼저, 임의 속도 제어로 제직을 행한다. 임의 속도 제어는, 미리 설정된 속도 패턴에 따라 제직을 한다.
직기는, 임의 속도 제어를 종료하여, 다음에, 억제 제어로 제직을 행한다(날실 상태 변경 스텝). 억제 제어는, 날실 장력이 안정 상태에 이른 시점, 즉 미리 설정되어 있는 종료 조건을 만족한 시점에서 종료한다. 종료 조건은, 예를 들면, 수시, 기억되는 평균 날실 장력치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의 차가 소정의 범위 내에 도달했을 때, 또는, 소정의 연속한 검출 단위 기간 Tu에 있어서, 평균 날실 장력치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의 차가 소정의 범위 내에 이른 상태가 되었을 때로 한다. 또는 소정의 기간에 있어서, 상기 종료 조건을 소정 회수 만족시켰을 경우도 마찬가지로 한다.
다음에, 직기 제어 장치는, 송출 제어 패턴을 억제 제어로부터 통상 제어로 변경하여 제직을 행한다(날실 상태 변경 스텝).
상기와 같은 송출 제어 패턴을 변경한 시점에서 직단이 발생한 경우, 작업자 는 임의 속도 제어로부터 억제 제어로 변경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감시 기간 Tm 또는 억제 제어로부터 통상 제어로 변경하는 시점을 포함하는 감시 기간 Tm의 대표치 즉 날실 평균 장력치를 표시기(56)에 표시시킨다. 이로써, 작업자는 표시된 감시 기간 Tm의 날실 평균 장력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제어기(55)는, 임의 속도 제어로부터 억제 제어로 변경하는 시점을 나타낸 임의 억제 변경 시점 버튼과, 억제 제어로부터 통상 제어로 변경하는 시점을 나타낸 억제 통상 변경 시점 버튼을 표시기(56)에 표시시킨다. 작업자는, 임의 억제 변경 시점 버튼과 억제 통상 변경 시점 버튼을 선택적으로 누른다.
표시 제어기(55)는, 선택된 버튼에 대응하는 감시 기간 Tm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기억기(54)로부터 판독하고, 판독된 평균 날실 장력치를 표시기(56)에 표시한다(대표치 표시 스텝).
직단은, 송출 제어 패턴을 변경한 시점의 전후에도 발생하기 쉽다. 따라서, 직단이 발생한 경우라도, 작업자가 전술한 변경 시점의 전후의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를 확인하면, 작업자는 각 송출 제어 패턴에 있어서의 설정값을 적절하게 수정할 수 있고, 또, 작업자는 직단 발생의 원인을 추정할 수 있다.
또, 표시 제어기(55)는, 송출 장치에 의한 송출 제어가 아니고, 권취 장치에 의한 권취 제어에 의해 제어 패턴을 변경한 시점을 전후하여 평균 날실 장력치를 표시기(56)에 표시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날실 장력 센서(38)와는 다른 날실 장력 센서를 사용하여 검출된 날실 장력치를 평균 날실 장력치의 산출에 사용할 수 도 있다.
[실시예 2의 변형예 1]
실시예 2에서는, 임의 속도 제어, 억제 제어 및 통상 제어의 순으로 송출 제어 패턴를 변경하였으나, 임의 속도 제어 또는 억제 제어의 송출 제어 패턴을 생략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동 후에 행해지는 제어 패턴은, 통상 제어 만의 경우, 억제 제어 및 통상 제어의 경우, 임의 속도 제어 및 통상 제어의 경우가 있다.
직단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억제 제어 및 통상 제어의 제어 패턴의 순서로 날실의 송출 제어를 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어를 해도, 직단이 발생할 경우는, 임의 속도 제어, 억제 제어 및 통상 제어의 제어 패턴의 순서로 날실의 송출 제어를 행한다.
[실시예 2의 변형예 2]
실시예 2에서는, 날실 장력치에 따른 송출 제어를 설명했다. 그러나, 실시예 2는, 다음과 같이 변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날실의 정상 속도는, 권취 장치만을 임의 속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 권취 모터와 송출 모터는, 미리 설정된 조직 패턴에 따라 씨실 밀도가 변경 되도록, 그들의 기본 속도를 변경하는 제어(씨실 밀도 제어)를 할 수도 있다.
직기 운전 중에, 제직 조건, 즉 제직하는 직포의 조직 패턴 등의 변화에 따라, 주축의 정상 회전수의 목표치를 변경하는 직기 회전수 제어가 행해진다. 이러한 제어를 했을 때, 표시기에, 상기와 같이 날실의 속도인 정상 속도가 변경되는 전후를 포함하는 감시 기간 Tm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 2의 변형예 3]
직물 조직이 적극적으로 변경되는 경우, 설정기에 특정의 조직 패턴, 예를 들면 날실의 개구 패턴을 설정하고, 설정된 조직 패턴으로 대응하는 복수개의 검출 단위 기간 Tu에 있어서의 날실 장력치 T의 각 평균 날실 장력치를 산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미리, 설정기(52)가, 각 검출 단위 기간 Tu에 대응하는 조직 패턴 「AAABB」를 기억기(54)에 미리 기억시켜 두고, 또한, B의 조직 패턴 만의 평균 날실 장력치 T를 기억기(54)에 기억하도록 했을 경우, 조직 패턴 「BB」만 즉 제4, 제5, 제9, 제10,…의 검출 단위 기간 Tu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표시기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실시예 3]
도 8은, 평균 날실 장력치의 이력을 표시기(56)의 화면에 표시한 예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기억기(54)에 기억되어 있는 억제 제어(둔감 제어)로부터 통상 제어로 변경하는 시점을 전후하여 각 검출 단위 기간 Tu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대표치의 이력으로서 표시기(56)에 표시한다.
상세하게는, 도 8의 좌측 절반에, 억제 제어에 있어서의 각 검출 단위 기간 Tu에서 검출된 평균 날실 장력치가 표시되어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송출 제어 패턴 변경 시점을 전후하여, 각각 연속한 10개의 검출 단위 기간 Tu에 대응하는 평균 날실 장력치를 표시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화면의 우측 절반에, 통상 제어에 있어서의 송출 제어 패턴 변경 시점으로부터 연속한 10개의 검출 단위 기간 Tu에 대응하는 평균 날실 장력치를 표시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둔감 제어」(억제 제어)로부터 「통상 제어」로 변경한 시점과 같이, 송출 제어 패턴을 변경한 시점의 전후의 검출 단위 기간 Tu에 대응하는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직단의 원인이 날실 장력의 변화에 의한 것인지, 또는 각 제어 패턴의 설정값이 최적이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작업자는,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대한 평균 날실 장력치의 저하량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송출 모터의 제어 게인을 작게 하는 감소량을 판단할 수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상부의 「통상」버튼이 선택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작업자가 「정속」버튼을 누르면, 임의 속도 제어를 개시하고 직후부터의 평균 날실 장력치의 이력이 표시되고, 「둔감」버튼을 누르면, 임의 속도 제어로부터 둔감 제어에로 변경한 시점의 전후의 평균 날실 장력의 이력이 표시된다.
[실시예 4]
본 실시예의 날실 제어 장치는, 직기(10)의 정상 운전에 있어서, 검출된 날실 장력치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따라, 날실 장력치를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근접하도록 날실 송출 장치를 제어한다(날실 장력 제어 스텝). 날실 제어 장치는, 날실 장력치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와의 차이가 소정의 범 위 내로 된 것을 나타낸 안정 상태를 검출한다(안정 상태 검출 스텝).
도 9는,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날실의 송출 제어 패턴을 통상 제어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 송출 모터의 회전 속도 변화, 및 직포의 씨실 밀도의 변화를 표시기(56)에 나타낸 것이다(기동 변동 기간 표시 스텝).
그리고, 아래에 나타낸 도면 9(a) 및 도 9(b)의 변화를 수치로 표시할 수도 있고, 각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그래프화해서 표시할 수도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직기의 기동 후, 권취 모터의 출력축은, 항상 권취 속도가 일정하도록, 회전 제어되어 있다. 송출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 제어는, 날실 장력에 따라 이른바 PID 제어로 행해지고 있다(날실 장력 제어 스텝). 이로써, 송출 모터의 출력축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와 검출한 평균 날실 장력치와의 편차를 줄이도록 제어된다.
도 9(a)는, 송출 모터의 제어 게인을 큰 값으로 했을 경우의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송출 모터의 제어 게인은 50이다.
도면를 참조하면,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는 200kg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평균 날실 장력치는, 직기의 기동 개시 직후에 있어서,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보다 낮은 경우이다. 직기의 기동 개시 직후부터 소정의 시점까지의 기동 변동 기간에 있어서, 직기의 기동 후, 즉시 평균 날실 장력치가 증가해서, 일단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를 넘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동 변동 기간은, 10피크 째 즉 10 사이클 기간 Ts으로 하고 있다.
그 후, 평균 날실 장력치는, 감소하고,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가까운 값으로 근접하고 있다. 그 후,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안정되면, 직기의 운전 상태가 정상 상태로 이행한다.
도 9(b)의 송출 모터의 회전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를 참조하면, 직기의 기동 직후에 있어서, 편차가 산출될 때까지 일단 정상 회전 속도까지 증가한다.
편차는, 예를 들면, 제1 검출 단위 기간 Tu로부터 산출된 대표치와 이것에 계속되는 제2 검출 단위 기간 Tu에서 산출된 대표치로부터 산출되지만, 직기의 기동 직후는, 제1 검출 단위 기간 Tu의 직전에 검출 기간 Tu가 없기 때문에, 직전의 검출 단위 기간 Tu로부터 산출된 대표치를 산출할 수 없다.
직기 제어 장치(40)는, 제2 검출 단위 기간 Tu로부터 산출된 대표치를 얻으면, 큰 게인에 의해 송출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가 대폭 감소하고, 그 후, 편차를 해소하도록 서서히 회전 속도가 상승하고, 편차의 과대 평가를 해소시킨다. 그리고, 날실 장력 제어부(58)는, 산출된 편차가 미리 설정된 허용치의 범위 내가 되었을 때, 정상 상태 즉 날실 장력이 안정된 상태로 판단한다(안정 상태 검출 스텝). 환언하면,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거의 근접한 값이 되면, 송출 모터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는 정상 회전 속도가 되어 안정된다.
상세하게는, 직기의 기동 후에 있어서, 권취 모터는 정상 회전 속도로 회전하고 있지만, 송출 모터의 회전 속도를 권취 모터의 회전 속도보다 늦어지게 함으로써, 날실이 끌려서 날실 장력치, 나아가서는 평균 날실 장력치가 증가한다. 그리고,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와 거의 같은 값에 근접하 면, 송출 모터의 회전 속도는 정상 속도에 근접한다.
한편,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보다도 높은 경우는, 송출 모터의 회전 속도를 권취 모터의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하면, 날실이 송출 모터와 권취 모터와의 사이에서 느슨해진다. 그 결과, 날실 장력치 나아가서는 평균 날실 장력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게인이 어느정도 크면, 기동 시의 송출 모터(32)의 회전 속도 변화의 정도가 크게 되어,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가 단시간에 빨라지거나 늦어진다. 이로써, 날실이 등속으로 송출되지 않으므로, 송출 모터(32)의 큰 제어 게인은 후단이나 박단 등 직단의 발생 원인이 된다.
도 9(c)를 참조하면, 씨실 밀도의 변화는, 정상 상태 시의 직포의 씨실 밀도가 50개/인치라 하면,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씨실 밀도가 상승하고, 씨실 밀도가 피크 시에 55개/인치에 달하여, 그 후, 씨실 밀도는 서서히 감소하고,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로 안정되는 위치까지, 정상 씨실 밀도로 되돌아와 있는 것을 그래프에서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씨실 밀도가 정상 씨실 밀도보다도 큰 경우, 후단이 직포에 나타난다. 한편, 씨실 밀도가 정상 씨실 밀도보다 작은 경우, 박단이 직포에 나타난다.
상기와 같은 통상 제어에 있어서,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로 안정될 때까지의 기간을, 예를 들면 피크수를 사용하여 표시기(56)에 표시시킬 수가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기동 변동 기간은, 열개의 검출 단위 기간 Tu(열개의 사이클 기간 Ts), 즉 10피크이다.
작업자는, 표시된 피크수로부터 직포의 길이 치수를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기동 변동 기간에 있어서의 제직된 직포 부분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작업자는, 직포에 형성된 직단의 길이 치수 및 씨실 밀도의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특정할 수 있다.
작업자는, 송출 모터(32)의 제어 게인을 조정하여 직단을 억제하도록 직기를 조정한다. 송출 모터(32)의 제어 게인을 작게하여 기동 시의 송출 모터(32)의 회전 속도 변화를 억제하고, 직단을 억제하려고 한 제어가 다음에 설명하는 도 10에 나타낸 억제 제어이다.
기동 변동 기간의 장단은 피크수로 표시했지만, 날실 장력 제어부(58)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씨실 밀도를 사용하여 기동 변동 기간에 있어서의 직포의 길이 치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길이 치수를 표시기(56)에 표시할 수도 있고, 기동 변동 기간에 있어서의 직포의 길이 치수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기동 변동 기간을 표시기(56)에 표시할 수도 있다.
[실시예 5]
도 10은,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날실의 송출 제어 패턴을 억제 제어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 송출 모터(32)의 회전 속도 변화, 직포의 씨실 밀도의 변화를 표시기(56)에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에 나타낸 도면 10(a) 및 도 10(b)의 변화에 관해서는 수치로 표시할 수도 있고, 각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그래프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직기의 기동 개시 직후부터 날실의 송출 제어 패턴을 억제 제어로 하고, 억제 제어로부터 통상 제어로 변경하는 시점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 송출 모터(32)의 회전 속도 변화, 씨실 밀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송출 모터(32)의 제어 게인은 작은 값, 예를 들면 10으로 한 경우이다. 그리고, 권취 모터는, 직기의 기동 후, 항상 정상 회전 속도로 회전하고 있다.
도 10(a)에 나타낸 억제 제어의 제어 게인은, 도 9(a)에 나타낸 통상 제어의 제어 게인에 비해 작게 하고 있으므로, 평균 날실 장력치 T는, 도 9(a)에 비해 천천히 상승을 계속해 목표 날실 장력치에 도달하고 있다. 즉, 도 10(a)의 억제 제어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 변화의 정도는, 도 9(a)의 통상 제어의 평균 날실 장력치 변화의 정도보다 적다. 또, 억제 제어의 제어 게인은, 통상 제어의 제어 게인보다 작게 하고 있으므로,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이 길어 진다.
도 10(b)는,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의 변화를 나타내고 있다. 억제 제어의 제어 게인은 통상 제어의 제어 게인보다 작기 때문에, 도 10(b)에 나타낸 억제 제어에 있어서의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 변화의 정도는, 도 9(b)에 나타낸 통상 제어에 있어서의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 변화의 정도에 비해 작다. 또, 억제 제어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도달하는 기간은, 통상 제어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도달하는 기간보다 길다.
이와 같이, 통상 제어보다 제어 게인을 작게한 억제 제어를 적용하면, 억제 제어가 적용되는 기간은 통상 제어가 적용되는 기간보다 길게 된다. 그러나, 억제 제어가 적용되는 경우의 송출 모터(32)의 회전 속도 변화의 정도는, 통상 제어가 적용되는 경우의 송출 모터(32)의 회전 속도 변화의 정도보다 작게 되기 때문에, 직포의 씨실 밀도 변화의 정도를 통상 제어가 적용되는 경우보다 작게할 수 있다.
억제 제어의 종료 타이밍은 종료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종료 조건으로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도달했을 경우나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수 피크 연속하여 같았을 경우 등이다.
도 10(c)에 나타낸 억제 제어의 씨실 밀도 변화의 정도는, 도 9(c)에 나타낸 통상 제어의 씨실 밀도 변화의 정도보다 작다. 또, 억제 제어가 적용되고 있는 기간의 씨실 밀도가 가장 높은 시점(피크(peak) 시)에 있어서의 씨실 밀도는, 51개/인치이며, 직기의 정상 운전 중에 있어서의 씨실 밀도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작업자는, 직단이 발생한 경우에, 억제 제어에 있어서의 직기의 기동 시점으로부터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안정될 때까지의 기간, 즉 억제 제어를 적용하는 기간을 표시부에 표시시켜, 그 기간에 대응하는 피크수를 확인한다. 작업자는, 확인한 피크수에 따라 실제 직포 부분의 직단의 발생 상황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송출 모터(32)의 제어 게인을 조정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제어 게인을 작게 하면 되는 것이 아니고, 억제 제어가 적용된 기간에 대응하는 직포의 길이 치수를 구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실제로 억제 제어를 적용한 기간에 제직된 직포 부분의 씨실 밀도의 정도 및 불균일을 확 인하고, 경험적으로 송출 모터(32)의 제어 게인을 조정하고, 직단 발생을 억제한다.
이와 같이, 억제 제어는 직단 발생의 요인이 날실 장력에 관계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억제 제어를 적용한 직단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 또는 날실 장력치의 이력으로부터 평균 날실 장력치의 저하량이 적고(또는 피크수 표시의 피크수가 적고), 날실 장력 저하에 의한 요인이 아니라고 판단되고 경우는, 도 11에 나타낸 임의 속도 제어를 행한다.
[실시예 5의 변형예]
억제 제어를 적용하는 기간에 따라, 다음의 직기의 기동 시에, 그 기동 시점으로부터 억제 제어를 적용할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억제 제어를 적용하는 기간이 짧을 때는, 그 기간에 있어서의 날실 장력치 T의 저하가 적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작업자가 미리 소정의 임계치를 설정기로 설정한다. 직기 제어 장치(40)가 직전의 억제 제어에 있어서의 날실 장력치 T 또는 평균 날실 장력치가 그 임계치보다 크다고 판단한 경우는, 다음 제직에서 억제 제어를 행한다. 직기 제어 장치가 직전의 억제 제어에 있어서의 날실 장력치 T 또는 평균 날실 장력치가 그 임계치보다 작다고 판단한 경우는, 다음 제직에서 억제 제어를 행하지 않는다.
또, 상기에서는 다음 제직에 있어서의 억제 제어를 행하기 위한 판단을 자동적으로 실시하는 경우를 설명했지만, 작업자가 날실 장력치 T 또는 평균 날실 장력치를 확인하고, 억제 제어를 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가 억제 제어에 있어서의 최적인 제어 게인의 설정을 행해도 되고, 직기 제어 장치(40)가 자동적으로 최적 제어 게인을 산출하여 설정할 수도 있다.
[실시예 6]
도 11은,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날실의 송출 제어 패턴을 임의 속도 제어로 한 경우에 있어서의, 권취 모터(46)의 회전 속도의 변화, 송출 모터(32)의 회전 속도 변화 및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를 표시기(56)에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리고, 아래에 나타낸 도 11(a), 도 11(b), 도 11(c)의 변화를 수치로 표시할 수도 있고, 각 도면에 나타낸 것처럼 그래프로 표시할 수도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직기의 기동 개시 직후부터, 날실의 송출 제어 패턴을 임의 속도 제어로 하고, 임의 속도 제어로부터 통상 제어로 변경하는 시점에 있어서의, 권취 모터의 회전 속도의 변화, 송출 모터(32)의 회전 속도 변화 및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임의 속도 제어는, 작업자가 속도 패턴을 지정함으로써, 검출되는 날실 장력치에는 관계없이 지정된 속도 패턴으로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을 회전시키는 제어이다. 속도 패턴을 지정하는 항목으로서는, 회전 속도와 피크수가 있다.
예를 들면, 직기의 기동 직후에 후단이 발생한 경우, 작업자는 기동 직후의 평균 날실 장력치의 이력을 확인한다. 작업자는, 직기의 기동 직후의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저하되었다고 판단한 경우, 다음 제직 시에,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억제 제어를 행하도록 한다. 그러나, 후단은, 날실의 송출 제어 패턴에 억제 제어를 적용하여도 해소되지 않았다. 작업자는, 날실의 송출 제어 패턴에 억제 제어 대신 임의 속도 제어를 적용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업자는, 발생한 직단의 종류가 후단이며, 아직, 평균 날실 장력치의 저하가 있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작업자는, 설정기(52)에 의해, 직기의 운전 시에 있어서의 송출 모터(32)및 권취 모터(46)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보다 빨리 회전시키도록 설정한다. 또, 작업자는,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보다 권취 모터(46)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빠르게 함으로써, 날실 장력치 T를 높인다.
도 11(a)은 권취 모터(46)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시한 예에서는, 임의 속도 제어에 있어서의 권취 모터(46)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는, 통상 제어 시에 있어서의 속도의 120%에 해당하는 속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 11(b)는 송출 모터(32) 출력축의 회전 속도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시한 예에서는, 임의 속도 제어에 있어서의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는, 통상 제어 시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의 110%에 해당하는 속도로 설정되어 있다.
도 11(c)는, 직기 운전 중의 권취 모터(46) 및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 패턴을 상기와 같이 지정했을 때의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를 나타낸다. 도시한 예에서는, 권취 모터(46)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가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임의 속도 제어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서서히 크게 된다. 그러므로, 직포의 씨실 밀도가 서서히 작게 된다.
따라서, 도 9(c)에 나타낸 바와 같은 직기의 기동 직후에 후단(정상 씨실 밀 도보다 큰 경우에 발생하는 단)이 직포에 발생하고, 또, 직기의 기동 시에 억제 제어를 적용하여도 직포의 후단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동 후에 상기 임의 속도 제어를 적용함으로써, 직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임의 속도 제어를 행해도, 직기가 기동하고나서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이 긴 경우나, 임의 속도 제어로부터 통상 제어로 변경하는 시점을 전후하여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보다 저하되어 있는 경우는, 또한, 권취 모터(46)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한다. 예를 들면, 권취 모터(46)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통상 제어 시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의 125%, 송출 모터(32)의 출력축의 회전 속도를 통상 제어 시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의 105%로 한다.
그리고, 임의 속도 제어를 적용하는 기간은, 속도 패턴의 피크수로 정해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임의 속도 제어를 적용하는 기간을 미리 알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이 임의 속도 제어로부터 통상 제어로 변경하는 것이 연속적으로 행해지는 경우는, 임의 속도 제어를 적용하는 기간(예를 들면, 10피크)과, 통상 제어가 개시되고나서 평균 날실 장력치가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도달할 때까지의 기간(예를 들면 5피크)가 합계되어, 그 합계 기간(15피크)이 표시부(56)에 표시된다. 그러나, 각각의 기간을 별개로 표시기(56)에 표시할 수도 있다. 임의 속도 제어 대신 또는 조합되어 억제 제어가 적용되는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도시한 예에서는, 임의 속도 제어가 적용되고 있는 기간에 있어서, 1개의 속도 패턴을 적용하였지만, 임의 속도 제어가 적용되는 기간에 있어서, 복수개의 속 도 패턴을 연속하여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각 수치는 어디까지나 그 실시예를 설명을 위해서 나타낸 일례이며, 실제의 제직 시와는 상이한 경우가 있다.
[실시예 7]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과는 별도로, 직기의 운전 중의 어떠한 기간에 있어서도 평균 날실 장력치를 기억기(54)에 기억시키고, 이력을 표시기(56)에 표시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직기의 운전 중에 있어서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수시로 기억기(54)에 기억시켜도 된다. 이 경우, 기억기(54)의 용량을 고려하여 최신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포함하고, 미리 설정된 검출 단위 기간 Tu의 수 분의 과거 평균 날실 장력치를 기억하고, 그보다 과거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수시로 파기할 수도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기의 운전 중에 있는 특정의 터치 버튼을 누르면, 눌러진 타이밍에서 그 시점을 포함하는 소정의 수 이전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기억기(54)에 기억시킬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직기의 운전 중에 있어서의 모든 평균 날실 장력치를 기억하기 위해서는 방대한 기억기의 용량이 필요하다. 그러나, 예를 들면, 직기의 운전 중에 직단이 발생했을 때, 작업자가 터치 버튼을 누르면, 직단이 발생한 시점으로부터 소정의 수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기억할 수 있다.
특정 터치 버튼을 눌렀을 때에 이용되는 기억기(54)와 통상 운전 중에 이용되는 기억기(54)는 서로 별도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특정 터치 버튼을 눌렀을 때에 기억해야 할 평균 날실 장력치를 통상 운전 중에 이용되는 기억기(54)에 기억 할 수도 있다. 이들 기억기(54)는 내용이 갱신되지 않는 한 기억기 내의 내용을 계속 기억한다.
운전 정지를 나타낸 운전 신호가 직기 제어 장치(40)에 입력된 시점에서, 운전 정지를 나타낸 운전 신호가 입력된 타이밍을 포함하는 소정의 수 이전의 평균 날실 장력치를 기억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직기의 운전 중에 직단, 상세하게는 기계단이 발생하는 경우는, 작업자는, 적어도 직포로 직단을 확인할 수 있는 기간에 걸쳐서 계산된 평균 날실 장력치를 기억기(54)에 기억시켜, 상기 평균 날실 장력치의 변화의 대소 또는 변화의 유무를 확인하여, 상기 직단의 발생 원인이 기계에 의한 것인지 실(이른바 사인(絲因), 장력인(張力因))에 의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여기서, 기계단은 정지단과 달리 직기의 운전 중에 발생하는 직단이다. 기계단의 발생 원인은, 송출 빔에 권취된 복수개의 날실의 감김 장력이 고르지 않음 등에 의해 직기의 운전 중의 날실 장력의 변화에 의한 것(실인)이나, 날실의 송출 장치나 권취 장치 등의 보전 불량에 의한 직단 또는 직기 자체의 진동에 의한 공진단(共振段) 등의 기계인에 의하는 것이 있다.
전술한 각 실시예는, 송출 제어(피드백 제어)에 있어서의 날실 장력 검출 기간 및 편차를 산출하기 위한 검출 날실 장력치를 이용하여, 날실 상태의 감시하기 위한 날실 장력 감시 기간 및 날실 장력의 대표치를 사용한 예이다. 그러나, 날실 장력 검출 기간과 날실 장력 감시 기간, 및 검출 날실 장력치와 날실 장력의 대표 치는, 각각 상이한 값, 상이한 연산 방법, 및 상이한 검출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한, 여러 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제1 날실 장력 감시 방법에 의하면,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검출 단위 기간을 포함하는 기간의 종료 시점까지의 감시 기간 중에, 대표치 연산 스텝에 있어서 연산된 대표치를 표시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날실 장력치의 대표치를 확인하는 것만으로, 기동 후, 직단이 발생했을 때의 날실 장력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 작업자는, 직단이 발생한 시점 및 그 전후한 시점에서의 날실 장력의 변화를, 표시된 복수개의 대표치로 파악할 수 있다.
작업자는, 이들 날실 장력에 관한 정보에 의해 직단의 발생 원인이 날실 장력에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즉, 이같이 직단의 발생 원인을 판단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작업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직단 발생 원인을 용이하게 추정할 수 있어서, 추정한 원인에 따라 직기를 조정함으로써, 간편하게 직단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2 날실 장력 감시 방법에 의하면, 날실의 제어 패턴 또는 직기의 정상 운전에 있어서의 날실의 속도 즉 송출 속도 또는 권취 속도의 설정값을 변경한 전후의 검출 단위 기간을 포함하는 감시 기간 중의 날실 장력치의 대표치를 표시할 수 있다. 직단은, 이와 같은 감시 기간 중에,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감시 기간에 있 어서의 대표치를 표시함으로써, 제어 패턴 또는 날실 속도의 설정치를 변경했을 때의 날실 장력치의 변화를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이들 날실 장력에 관한 정보에 의해 직단 발생 원인이 날실 장력에 있는지를 판단할 수가 있고, 또한 제어 패턴의 선택 또는 날실의 속도가 최적이었는지를 판단할 수가 있다.
상기 대표치는, 상기 검출 단위 기간 중에 검출된 복수개의 상기 날실 장력치의 평균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는, 상기 대표치는, 상기 감시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날실 장력치의 최소치, 최대치, 상기 최소치와 관계되는 값 또는 상기 최대치와 관계되는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대표치는, 상기 감시 기간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소정의 회전 각도에 대한 상기 날실 장력치 또는 상기 주축의 회전 각도에 대한 날실 장력치와 관계되는 값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감시 기간은, 복수개의 상기 사이클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대표치는, 상기 감시 기간에 있어서, 각 사이클 기간의 상기 날실 장력치의 최소치의 평균치 또는 최대치의 평균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감시 기간은 복수개의 상기 사이클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대표치는, 상기 감시 기간에 있어서 상기 주축의 소정의 회전 각도에 대한 상기 날실 장력치의 평균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감시 기간은 연속한 복수개의 상기 사이클 기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감시 기간은 복수개의 상기 사이클 기간을 포함하고, 상기 감시 기간의 한쪽의 상기 사이클 기간과 다른 쪽의 상기 사이클 기간의 사이에는, 상기 사이클 기간을 포함하는 간헐 기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 1또는 제2 날실 장력 감시 방법은, 또한, 상기 날실 장력치가 검출되었을 때에, 송출 속도 또는 권취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스텝은, 또한, 상기 검출된 송출 속도 또는 권취 속도와 상기 날실 장력치의 상기 대표치를 대응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날실의 송출 속도 또는 권취 속도의 변화가 있으면, 날실 장력치가 변화하여, 직단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직단의 발생 원인의 추정은, 이들 속도와 상기 대표치를 대응하여 표시함으로써, 더욱 용이하게 된다.
제3 날실 장력 감시 방법에 의하면, 상기 직기의 기동에서부터 상기 안정 상태의 검출까지의 기동 변동 기간 또는 상기 기동 변동 기간에 있어서의 직포의 길이 치수에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이로써, 작업자는,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날실 장력치가 목표 날실 장력치로 안정된 시점까지의 기동 변동 기간에 제직된 직포의 길이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기동 변동 기간에 제직된 직포를 확인하여, 박단이나 후단 등의 직단이 없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직포의 직단의 씨실 밀도의 변화, 불균일을 확인하여 직기를 조정할 수 있으므로, 직단 특히 정지단 발생 방지를 위한 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기동 변동 기간을 표시하는 대신에 기동 변동 기간에 있어서의 직포의 길이 치수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피크수 및 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Claims (8)

  1. 날실의 장력을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날실의 장력을 감시하는 날실 장력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날실의 장력을 날실 장력치로서 검출하는 장력 검출 스텝과,
    주축이 1회전하는 기간인 사이클 기간을 포함하는 검출 단위 기간에 검출된 상기 날실 장력치의 대표치를 연산하는 대표치 연산 스텝과,
    상기 직기의 기동 직후부터 적어도 1개의 상기 검출 단위 기간을 포함하는 기간의 종료시점까지의 감시 기간 중에 있어서의 상기 대표치를 기억하는 대표치 기억 스텝과,
    상기 대표치 기억 스텝에 있어서 기억된 상기 대표치를 표시하는 대표치 표시 스텝을 포함하는, 날실 장력 감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치는, 상기 검출 단위 기간 중에 검출된 복수개의 상기 날실 장력치의 평균치를 포함하는, 날실 장력 감시 방법.
  3. 날실의 장력을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날실의 장력을 감시하는 날실 장력 감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날실의 제어 패턴 또는 직기의 정상 운전(定常運轉)에 있어서의 상기 날실 속도의 설정치를 변경하는 날실 상태 변경 스텝과,
    상기 날실의 장력을 날실 장력치로서 검출하는 장력 검출 스텝과,
    주축이 1회전하는 기간인 사이클 기간을 포함하는 검출 단위 기간에 검출된 상기 날실 장력치의 대표치를 연산하는 대표치 연산 스텝과,
    상기 날실 상태 변경 스텝의 실행 전후의 상기 검출 단위 기간을 포함하는 감시 기간 중에 있어서의 상기 대표치를 기억하는 대표치 기억 스텝과,
    상기 대표치 기억 스텝에 있어서 기억된 상기 대표치를 표시하는 대표치 표시 스텝을 포함하는, 날실 장력 감시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표치는, 상기 검출 단위 기간 중에 검출된 복수개의 상기 날실 장력치의 평균치를 포함하는, 날실 장력 감시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실 장력치가 검출되었을 때에, 송출 속도 또는 권취 속도를 검출하는 속도 검출 스텝을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스텝은, 상기 검출된 송출 속도 또는 권취 속도와 상기 날실 장력치의 상기 대표치를 대응시켜 표시하는, 날실 장력 감시 방법.
  6. 날실의 장력을 검출하여, 검출된 상기 날실의 장력을 감시하는 날실 장력 감 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날실의 장력을 날실 장력치로서 검출하는 장력 검출 스텝과,
    검출된 상기 날실 장력치와 직기의 정상 운전에 있어서의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따라서, 상기 날실 장력치를 상기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근접하도록 날실 송출 장치를 제어하는 날실 장력 제어 스텝과,
    상기 날실 장력치가 안정 상태에 도달한 것을 검출하는 안정 상태 검출 스텝과,
    상기 직기의 기동에서부터 상기 안정 상태의 검출까지의 기동 변동 기간 또는 상기 기동 변동 기간에 있어서의 직포(織布)의 길이 치수에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기동 변동 기간 표시 스텝을 포함하는, 날실 장력 감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와 상기 안정 상태에 있어서의 상기 날실 장력치에 따라, 상기 날실 장력치를 상기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근접하도록 상기 날실의 송출량을 보정하는 보정량을 연산하는 보정량 연산 스텝과,
    상기 보정량에 따라 상기 날실의 송출량을 제어하는 날실 송출량 제어 스텝과,
    상기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와 상기 기동 변동 기간에 있어서의 상기 날실 장력치에 따라, 상기 날실 장력치를 상기 정상 운전 목표 날실 장력치에 근접하도록 상기 날실의 송출량의 보정량을 연산하는 억제 연산 스텝으로서, 상기 보정 량 연산 스텝에 의해 연산되는 보정량보다 억제한 보정량을 연산하는 억제 연산 스텝과,
    직기의 기동에서부터 상기 안정 상태가 검출될 때까지의 기동 변동 기간을 연산하는 기동 변동 기간 연산 스텝과,
    상기 기동 변동 기간 또는 상기 기동 변동 기간에 있어서의 직포의 길이 치수에 관련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기동 변동 기간 표시 스텝을 더 포함하는, 날실 장력 감시 방법
  8. 제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변동 기간은, 피크수, 시간 및 직포 길이 치수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날실 장력 감시 방법.
KR1020050059180A 2004-09-02 2005-07-01 날실 장력 감시 방법 KR200600497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5691 2004-09-02
JP2004255691A JP2006070389A (ja) 2004-09-02 2004-09-02 経糸張力監視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756A true KR20060049756A (ko) 2006-05-19

Family

ID=3613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180A KR20060049756A (ko) 2004-09-02 2005-07-01 날실 장력 감시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070389A (ko)
KR (1) KR20060049756A (ko)
CN (1) CN17435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3484A (ja) * 2007-06-06 2008-12-18 Toyota Industries Corp 織機における経糸張力調整方法
JP6283489B2 (ja) * 2013-02-27 2018-02-21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用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288B2 (ja) * 1986-08-25 1995-03-22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異常状態再生方法
JP2643429B2 (ja) * 1989-03-31 1997-08-2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織機における制御方法
DE19537215C2 (de) * 1995-10-06 1999-09-02 Memminger Iro Gmbh Fadenliefergerät für elastische Gar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43524B (zh) 2010-11-10
JP2006070389A (ja) 2006-03-16
CN1743524A (zh) 200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0816B1 (ko) 직기의 날실 장력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060049756A (ko) 날실 장력 감시 방법
JP5096509B2 (ja) 織機における経糸張力の監視方法
KR100535728B1 (ko) 경사 제어방법 및 장치
JP2003221759A (ja) 織機における織段防止方法及び装置
JP2010270431A (ja) 織機の緯糸密度むら防止方法
JP5154612B2 (ja) 織機の緯糸密度むら防止方法
JP4942011B2 (ja) 織機の緯糸密度むら防止方法
JP4189249B2 (ja) 織機における織段防止装置
JP4651082B2 (ja) パイル経糸張力の調整方法
JP2008214850A (ja) 織機の経糸制御方法
JP6513000B2 (ja) タイヤコード織布製織用織機における製織管理方法及び製織管理装置
JP4718213B2 (ja) 織機の経糸張力制御方法及び装置
EP3205758A2 (en) Method for preparing restart of loom
JP5122067B2 (ja) 織機の緯糸密度むら防止方法
JP4098150B2 (ja) 織機の織段防止装置
JP2013028870A (ja) 織機における製織方法及び製織装置
JP5137302B2 (ja) 織機の運転装置
JP2001131845A (ja) パイル経糸の張力制御方法
JPH06316840A (ja) 織布の織前の規制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織機
JP2007186838A (ja) 織機
JP2003003351A (ja) 織機における織段防止方法及び装置
JPH0327154A (ja) 多色織機における織段発生防止方法
CN111350011A (zh) 绒头高度异常检测方法及具备异常检测装置的绒头织机
JPH02234957A (ja) 織機の厚段防止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