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50869A - 전동 밸브 - Google Patents

전동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50869A
KR20060050869A KR1020050080670A KR20050080670A KR20060050869A KR 20060050869 A KR20060050869 A KR 20060050869A KR 1020050080670 A KR1020050080670 A KR 1020050080670A KR 20050080670 A KR20050080670 A KR 20050080670A KR 20060050869 A KR20060050869 A KR 20060050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shaft
valve body
rotor
shaf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0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1719B1 (ko
Inventor
히토시 우메자와
야스시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지고오키
Publication of KR20060050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0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1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1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4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 F16K31/047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otor characterised by mechanical means between the motor and the valve, e.g. lost motion means reducing backlash, clutches, brakes or retur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30Expansion means; Dispositions thereof
    • F25B41/31Expansion valves
    • F25B41/34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 F25B41/35Expansion valves with the valve member being actuated by electric means, e.g. by piezoelectric actuators by rotary motors, e.g. by stepp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09/00Gas cycle refrigeration machines
    • F25B2309/06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 F25B2309/061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refrigerant being carbon dioxide with cycle highest pressure above the supercritical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고압의 냉매가 이용되는 경우라도, 회전규제 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냉매의 통과 유량을 미소의 냉매유량에 이를 때까지 정밀하게 확실히 조정할 수 있는 전동밸브를 제공한다. 밸브체(24A)를 갖는 밸브 축(24)과, 밸브체(24A)가 접리하는 밸브 시트(22)를 갖는 밸브 본체(20)와, 이 밸브 본체(20)에 접합된 캔(40)과, 이 캔(40)의 내주에 배치된 로터(30)와, 이 로터(3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캔(40)에 바깥으로 끼워진 스테이터(50)와, 상기 밸브 본체(20)에 고정되어, 상기 밸브 축(24)이 안쪽으로 끼워진 가이드 부시(26)와, 상기 밸브 축(24) 및 가이드 부시(26)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30)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밸브 축 홀더(32)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축(24)은, 상기 밸브 축 홀더(32)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밸브 축 홀더(3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밸브체(24A)를 상기 밸브 시트(22)에 접리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시(26)의 내주에 형성된 고정 나사부(28)와, 상기 밸브 축(24)의 외주에 형성된 가동 나사부(29)로 이루어지는 유량조정용 나사 이송기구(11)가 배치되고, 또한, 상기 가이드 부시(26)의 외주에 형성된 고정 나사부(25)와, 상기 밸브 축 홀더(32)의 내주에 형성된 가동 나사부(31)로 이루어지는 회전 규제용 나사 이송기구(12)가 배치되며, 상기 유량조정용 나사 이송기구(11)의 피치가, 상기 회전 규제용 나사 이송기구(12)의 피치보다 작게 되고 있다.
밸브 축, 밸브 본체, 캔, 로터, 스테이터, 부시, 밸브 축 홀더

Description

전동 밸브{MOTOR-OPERATED VALV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밸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시시 확대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전동밸브의 일 예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동밸브 11: 유량조정용 나사 이송기구
12: 회전 규제용 나사 이송기구 20: 밸브 본체
21: 밸브실 22: 밸브시트
22a: 밸브구 24: 밸브 축
24A: 밸브체 25: 제2고정 나사부
26: 가이드 부시 27: 고정 스토퍼
28: 제1고정 나사부 30: 로터
29: 제2가동 나사부 31: 제1가동 나사부
32: 밸브 축 홀더 34: 완충용 코일 스프링
37: 가동스토퍼 40: 캔
42: 밸브 축 회전용 슬리브 50: 스테이터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냉장고 등에 삽입되어 사용되는 전동밸브에 관한 것으로, 고압의 냉매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냉매의 통과 유량을 미소량까지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는 전동밸브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전동밸브의 종래예를 도 3에 도시한다. 도시하는 전동밸브(10')는, 밸브실(21), 밸브 시트(22)(밸브구(22a)), 플랜지형 부재(23)등을 갖는 밸브 본체(20)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본체(20)는, 밸브 시트(22)에 접리하는 밸브체(24a)(밸브 축(24))에 의해 냉매 등의 유체의 통과 유량을 조정하도록 되어 있고, 밸브 본체(20)의 플랜지형 부재(23)(로 형성된 단차부(23a))에, 하방개구의 바닥을 갖는 원통 모양의 캔(40)의 하단부(40b)가 접합 용접에 의해 밀봉 접합되고 있다.
상기 밸브 본체(20)의 밸브실(21)의 일측에는 냉매 유입관(61)이 연결됨과 동시에, 밸브실(21)의 하방에는, 냉매 도출관(6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캔(40)의 내주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로터(30)가 배치되고, 이 로터(3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캔(40)의 외주에는, 요크(51), 보빈(52), 스테이터 코일(53)(53) 및 수지 몰드 커버(56)등으로 이루어지는 스테이터(50)가 배치되고, 상기 로터(30)와 상기 스테이터(50)로 스텝핑 모터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로터(30)와 밸브 축(24) 사이에는, 로터(30)의 회전을 이용하여 상 기 밸브체(24a)를 상기 밸브 시트(22)에 접리시키는 구동기구가 마련된다. 이 구동기구는, 밸브 본체(20)에 그 하단부(26a)가 고정됨과 동시에, 밸브 축(24)이 미끄럼 이동 가능하도록 안쪽으로 끼워진 통형상의 가이드 부시(26)(의 외주에 형성된 고정 나사부(25))와, 상기 밸브 축(24) 및 가이드 부시(26)의 외주에 배치된 하방개구의 통형상의 밸브 축 홀더(32)(의 내주에 형성되어서 상기 고정 나사부(25)에 나사 결합된 가동 나사부(31))로 이루어지는 나사 이송기구(15)로 되어있다.
더 상세하게는, 밸브 축(24)의 상부는, 밸브 축 홀더(32)의 위 천정부분에 헐겁게 끼워지고, 그 상단부에는 너트 부재(33)가 고정되고 있으며, 상기 나사 이송기구(15)에 의해, 밸브 축 홀더(32)가 회전하면서 승강되면, 밸브 축(24)은 그에 따라 승강할 수 있게 된다(공회전은 하지 않는다).
상기 구성의 전동밸브(10')에 있어서는, 밸브체(24a)가 밸브 시트(22)로부터 떨어져(리프트하여) 있는 상태(밸브구(22a)가 열린 상태)에서, 스테이터 코일(53)(53)에 일 방향의 통전을 행하여 여자하면, 밸브 본체(20)에 고정된 가이드 부시(26)에 대하여, 로터(30) 및 밸브 축 홀더(3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나사 이송기구(15)에 의해, 밸브 축 홀더(32)가 하강하여, 밸브체(24a)가 밸브 시트(22)에 압착 접촉하여 밸브구(22a)가 닫히게 된다.
밸브체(24a)가 밸브 시트(22)에 착좌한 시점에서는, 밸브 축 홀더(32)의 하단에 마련된 가동 스토퍼(37)는 아직 밸브 본체(20)측에 고정된 고정 스토퍼(27)에 접촉하지 않으며, 밸브체(24a)가 밸브구(22a)를 닫은 상태로 로터(30) 및 밸브 축 홀더(32)는 다시 회전하면서 하강한다. 이때는, 밸브 축(24)에 대하여 밸브 축 홀 더(32)가 하강하므로, 밸브 축 홀더(32)와 밸브 축(24) 사이에 배치된 완충용 코일스프링(34)이 압축되고, 이에 따라 밸브 축(24)의 밸브체(24a)는, 밸브 시트(22)에 강하게 눌려 밸브가 열리게 된다. 그 후에 로터(30)가 다시 회전하여 밸브 축 홀더(32)가 하강하면, 가동 스토퍼(37)가 고정 스토퍼(27)에 충돌하여 닿고, 스테이터 코일(53)(53)에 대한 통전이 속행되어도 밸브 축 홀더(32)의 회전 및 하강이 강제적으로 정지되게 된다.
이러한 정지 상태로부터, 스테이터 코일(53)(53)에 다른 향의 통전을 행하여 여자하면, 가이드 부시(26)에 대하여, 로터(30) 및 밸브 축 홀더(32)가 상기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나사 이송기구(15)에 의해, 이번은 밸브 축 홀더(32)가 상승하여 밸브체(24a)가 밸브 시트(22)로부터 떨어져서 밸브구(22a)가 열리며, 유입관(61)으로부터 밸브실(21)로 유입된 냉매가 밸브구(22a)를 통과하여 도출관(62)으로 유출하고, 밸브체(24a)의 리프트량에 따라 냉매의 통과 유량이 조정된다(상세한 것은, 하기 특허문헌 1 등을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1-50415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동밸브(10')에 있어서는, 냉매의 통과 유량은, 밸브구(22a)의 실효개구면적, 요컨대, 밸브체(24a)의 밸브 시트(22)로부터의 리프트량에 의해 정해지고, 밸브체(24a)의 리프트량은, 상기 나사 이송기구(15)의 피치와 로터(30)의 회전수(스텝핑 모터의 스텝수)에 의해 정해진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전동밸브에 있어서는, 원하는 최대 통과유량을 얻을 수 있도록, 미리 밸브체의 최대 리프트량(전 개방상태), 바꿔 말하면, 스텝핑 모터의 최대 스텝수가 정해진다. 즉, 로터를 최대로 예를 들면 5회전시키도록 스텝에 대한 통전 제어가 행해진다. 이 경우, 상기 나사 이송기구(15)의 피치가, 예를 들면 0.6[mm]가 된 경우, 상기 로터(30) 및 밸브 축 홀더(32)가 1회전, 2회전, 3회전, 4회전, 5회전하면, 상기 밸브체(24a)의 리프트량은, 0.6, 1.2, 1.8, 2.4, 3.0[mm]와, 0.6 [mm]간격으로 변화된다.
그러나, 특히, 냉장고 등에 사용되는 전동밸브(팽창밸브로서 사용)에 있어서는, 제어 냉매유량이 매우 미량이므로, 제어가 어려우며, 또한, 이산화탄소(가스)를 이용할 경우에는, 냉매압을 고압(종래비로 10배 정도)으로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고압의 냉매를 이용하면, 상기와 같이 0.6[mm]간격으로 밸브 본체를 리프트 시키면, 냉매의 통과 유량의 변화가 지나치게 커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하나의 방책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밸브구의 구경이나 밸브각도(실효개구면적)를 작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실효개구면적을 작게 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어, 그것 만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완전히 해소할 수 없다.
또한 다른 방책으로서, 상기 나사 이송기구(15)의 피치를 작게 하는 것(예를 들면0.6[mm]에서 0.2[mm〕로)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나사 이송기구(15)의 피치를 작게 하면, 로터 회전당 리프트량이 작고, 상기 회전 규제용의 고정 스토퍼(27)와 가동 스토퍼(37)와의 완충 접촉·이격이 적절하게 행해지지 않는 등의 문제 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행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기존의 전동밸브에 이용되고 있는 스텝 등의 부품을 공용하면서, 고압의 냉매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회전 규제 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냉매의 통과 유량을 세세하게 적절히 조정할 수 있는 전동밸브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전동밸브는, 밸브체를 갖는 밸브 축과, 상기 밸브체가 접리하는 밸브시트를 갖는 밸브 본체와, 이 밸브 본체에 접합된 캔과, 이 캔의 내주에 배치된 로터와, 이 로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캔에 바깥으로 끼워진 스테이터와, 상기 밸브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밸브 축이 안쪽으로 끼워진 가이드 부시와, 상기 밸브 축 및 가이드 부시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밸브 축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밸브 축은, 상기 밸브 축 홀더와 일체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됨과 동시에, 상기 밸브 축 홀더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이동이 가능하도록 되며, 또한, 상기 밸브체를 상기 밸브시트에 접리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시의 내주에 형성된 제1고정 나사부와, 상기 밸브 축의 외주에 형성되고, 상기 제1고정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가동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유량조정용 나사 이송기구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부시의 외주에 형성된 제2고정 나사부와, 상기 밸브 축 홀더의 내주에 형성되고, 상기 제2고정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가동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회전 규제 용 나사 이송기구가 마련되어 있다.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상기 유량조정용 나사 이송기구의 피치는, 상기 회전 규제용 나사 이송기구의 피치보다 작다.
더욱 바람직한 형태로는,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 축의 하단부에 마련된 통모양부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통모양부에 마련된 걸어 고정하는 부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걸리게 되며, 또한, 상기 통모양부에는, 상기 밸브체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완충용 스프링이 배치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형태로는, 상기 가이드 부시 또는 밸브 본체에 배치된 고정 스토퍼와, 상기 밸브 축 홀더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스토퍼에 압축접촉된 가동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회전 규제용 스토퍼 기구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관한 전동밸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또, 도 1에 있어서는, 전술한 도 3에 도시되는 전동밸브(10')의 각 부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가 붙여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전동밸브(10)는, 밸브실(21), 밸브 시트(22)(밸브구(22a)), 플랜지형 부재(23) 등을 갖고, 상기 밸브 시트(22)에 접리하는 니들 모양의 밸브체(24A)에 의해 냉매의 통과 유량을 조정하는 밸브 본체(20)와, 이 밸브 본체(20)에 그 하단부(40b)가 용접에 의해 밀봉 접합되는 캔(40)과, 이 캔(40)의 내주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로터(30)와, 이 로터(30)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캔(40)에 바깥으로 끼워진 스테이터(5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 본체(20)의 밸브실(21)의 일측에는, 냉매로서의 고압의 이산화탄소(가스)를 밸브실(21)에 유입하기 위한 냉매 유입관(61)이 연결됨과 동시에, 밸브실(21)의 하방으로는, 냉매 도출관(62)이 연결되어 있다.
스테이터(50)는, 자성재로 이루어지는 요크(51)와, 이 요크(51)에 보빈(52)을 통해 감기는 상하의 스테이터 코일(53)(53)과, 수지 몰드 커버(56)로 이루어지고, 로터(30)와 스테이터(50)와 스테이터 코일(53)(53)에 의해 모터(이 실시예에서는 스텝핑 모터)가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예의 스테이터(50)는, 도 3에 도시되는 종래의 것과 같으며(공용), 로터(30)를 최대로 예를 들면 5회전시키도록 스테이터(50)로의 통전 제어가 행해진다.
상기 로터(30)의 재료로서, 예를 들면 Nd-Fe-B계 등의 희토류 플라스틱 마그네트가 이용되고 있다.
상기 캔(40)은, 스테인레스 등의 비자성의 금속을 소재로 하여, 깊이 드로잉 가공 등에 의해 반구형의 천정(40a)을 갖는 바닥을 갖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캔(40)의 하단부(개구단부 모서리부)(40b)는, 밸브 본체(20)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스테인레스제의 플랜지형 부재(23)에 형성된 단차부(23a)에 접합 용접에 의해 밀봉 접합되고(용접 부분K), 내부는 기밀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상기 캔(40)내에는, 밸브체(24A)를 갖는 황동제의 밸브 축(24)과, 밸브 본체(20)에 배치된 감합구멍(42)에 그 하단부(26a)가 압입(또는 나사 결합)고정되어, 상기 밸브 축(24)이 안쪽으로 끼워진 가이드 부시(26)와, 상기 밸브 축(24) 및 가 이드 부시(26)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30)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밸브 축 홀더(32)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밸브체(24A)는, 밸브 축(24)의 하부에 형성된 통모양부(24B)에 축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지고, 상기 통모양부(24B)내에 압입 고정되어 있는 컬러(38)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걸려 고정되어 있다. 상기 통모양부(24B)내에는, 밸브체(24a)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완충용의 코일스프링(34)이 장착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밸브체(24A)의 선단부(하단부)는, 도 3에 도시되는 종래의 밸브체(24a)보다 가늘며, 그에 따라 밸브구(22a)의 지름도 작게되어 있다(종래는 1.5[mm]정도였던 것을 예를 들면 0.5[mm]정도로).
상기 밸브체(24A)를 상기 밸브 시트(22)에 접리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시(26)의 상단부 가까이의 내주에는 제1고정 나사부(28)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밸브 축(24)의 대경부(24b)의 상단부 외주에는, 상기 제1고정 나사부(28)에 나사 결합되는 제1가동 나사부(29)가 형성되며, 그들 고정 나사부(28)와 가동 나사부(29)로 유량조정용 나사 이송기구(11)가 구성되고 있다.
상기 밸브 축 홀더(32)의 천정(32c)의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32e)에는, 도 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D커트(모떼기부(42a))이 실시된 밸브 축회전용 슬리브(42)의 하단부가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여유롭게 끼워지고, 상기 밸브 축 회전용 슬리브(42)에 밸브 축(24)의 상부 소경부(24c)가 압입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밸브 축(24)은, 상기 밸브 축 홀더(32)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됨과 동 시에, 상기 밸브 축 홀더(3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시(26)의 중간부 외주에는 제2고정 나사부(25)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 축 홀더(32)의 하단부 내주에는, 상기 제2고정 나사부(25)에 나사 결합되는 제2가동 나사부(31)가 형성되며, 그들 고정 나사부(25)와 가동 나사부(31)로 회전 규제용 나사 이송기구(12)가 구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 부시(26)의 측면에는 밸브실(21)과 캔(40)내의 균압을 도모하는 균압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밸브 축 홀더(32)의 천정(32c) 위에는,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 스프링(35)이 배치된다. 복귀 스프링(35)은, 회전 규제용 나사 이송기구(12)에 있어서의 스프링부의 나사 결합이 풀렸을 때, 그 나사 결합을 복귀시키도록 작용한다.
밸브 축 홀더(32)와 로터(30)는 지지링(36)을 통해 결합되고 있고, 지지링(36)은,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30)의 성형시에 인서트 된 황동제의 금속 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링(36)에 밸브 축 홀더(32)의 상부 돌출부가 코킹 고정되고, 이에 따라 로터(30), 지지링(36) 및 밸브 축 홀더(32)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가이드 부시(26)에는, 회전 규제용 스토퍼 기구의 한쪽을 구성하는 고정 스토퍼(27)가 고착되고, 밸브 축 홀더(32)에는 스토퍼 기구의 다른 쪽을 구성하는 가동 스토퍼(37)가 고착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규제용 나사 이송기구(12)의 피치는, 예를 들면 0.6[mm]가 되고(종래의 나사 이송기구(15)와 동일), 상기 유량조정용 나사 이송기구(11)의 피치는, 예를 들면 0.2[mm]가 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전동밸브(10)에 있어서는, 밸브체(24a)가 밸브 시트(22)로부터 떨어져(리프트 하여)있는 상태(밸브구(22a)가 열린 상태)에서, 스테이터 코일(53)(53)에 일 방향의 통전을 행하여 여자하면, 밸브 본체(20)에 고정된 가이드 부시(26)에 대하여, 로터(30) 및 밸브 축 홀더(32)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고, 회전 규제용의 나사 이송기구(12)에 의하여 밸브 축 홀더(32)가 1회전에 대해 예를 들면 0.6[mm] 씩 하강하는 동시에, 유량조정용 나사 이송기구(11)에 의하여 밸브 축(24)이 1회전에 대해 예를 들면 0.2[mm] 씩 하강하고, 밸브체(24A)가 밸브 시트(22)에 압착 접촉하여 밸브구(22a)가 닫히게 된다.
밸브구(22a)가 닫힌 시점에서는, 밸브 축 홀더(32)의 하단에 배치된 가동 스토퍼(37)는 아직 밸브 본체(20) 측에 고정된 고정 스토퍼(27)에 닿지 않고, 밸브체(24a)가 밸브구(22a)를 닫은 상태로 로터(30) 및 밸브 축 홀더(32)는 다시 회전하면서 하강하는 동시에, 상기 밸브 축(24)도 하강한다. 이때는, 밸브체(24A)에 대하여 밸브 축(24)이 하강하므로, 밸브 축(24)과 밸브체(24A) 사이에 배치된 완충용의 코일스프링(34)이 압축되고, 이에 따라 밸브 축(24)의 하강력은 흡수된다. 그 후에 로터(30)가 다시 회전하여 밸브 축 홀더(32)가 하강하면, 가동 스토퍼(37)가 고정 스토퍼(27)에 닿아 스테이터 코일(53)(53)에 대한 통전이 속행되어도 밸브 축 홀더(32) 및 밸브 축(24)의 회전 및 하강이 강제적으로 정지된다.
이러한 정지 상태로부터, 스테이터 코일(53)(53)에 다른 방향의 통전을 행하여 여자하면, 가이드 부시(26)에 대하여, 로터(30), 밸브 축 홀더(32) 및 밸브 축 (24)이 상기와 역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나사 이송기구(12)에 의해, 이번은 밸브 축 홀더(32)이 1회전에 대해 예를 들면 0.6 [mm] 씩 상승하여(최대 리프트량은 5회전시의 3.0 [mm])가동 스토퍼(37)가 고정 스토퍼(27)로부터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나사 이송기구(11)에 의해, 밸브 축(24)이 1회전에 대해 예를 들면 0.2[mm] 씩 상승하여(최대 리프트량은 5회전시의 1.0[mm]), 밸브체(24A)가 밸브 시트(22)로부터 떨어져서 밸브구(22a)가 벌어지고, 유입관(61)으로부터 밸브실(21)로 유입된 냉매가 밸브구(22a)를 통과하여 도출관(62)에 유출하고, 밸브체(24a)의 리프트량 에 따라 냉매의 통과 유량이 조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유량 조정용의 나사 이송기구(11)와 회전 규제용의 나사 이송기구(12)를 배치하여, 유량조정용의 나사 이송기구(11)의 피치를 회전 규제용의 나사 이송기구(12)의 피치의 1/3정도로 했으므로, 고압의 냉매가 이용되는 경우라도, 회전 규제 등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냉매의 통과 유량을 미소유량까지 정밀하게 확실히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밸브는, 기존의 전동밸브에 이용되고 있는 전동 모터 등의 부품을 공용하면서, 고압의 냉매가 이용되는 경우에도, 회전 규제 등에 지장을 주지 않고, 냉매의 통과 유량을 미소유량까지 정밀하게 확실히 조정할 수 있다.

Claims (4)

  1. 밸브체를 갖는 밸브 축과, 상기 밸브체가 접리하는 밸브시트를 갖는 밸브 본체와, 이 밸브 본체에 접합된 캔과, 이 캔의 내주에 배치된 로터와, 이 로터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 상기 캔의 외주에 배치된 스테이터와, 상기 밸브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밸브 축이 안쪽으로 끼워진 가이드 부시와, 상기 밸브 축 및 가이드 부시의 외주에 배치되어 상기 로터에 일체로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밸브 축 홀더를 구비한 전동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 축은, 상기 밸브 축 홀더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밸브 축 홀더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상대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밸브 본체를 상기 밸브시트에 접리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 부시의 내주에 형성된 제1고정 나사부와, 상기 밸브 축의 외주에 형성되어, 상기 제1고정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1가동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유량조정용 나사 이송기구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부시의 외주에 형성된 제2고정 나사부와, 상기 밸브 축 홀더의 내주에 형성되어, 상기 제2고정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제2가동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회전 규제용 나사 이송기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조정용 나사 이송기구의 피치가, 상기 회전 규제용 나사 이송기구 의 피치보다도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밸브 축의 하단부에 배치된 통모양부에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통모양부에 배치된 걸어 고정하는 부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걸리며, 상기 통모양부에는, 상기 밸브체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완충용의 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시 혹은 밸브 본체에 배치된 고정 스토퍼와, 상기 밸브 축 홀더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 스토퍼에 압착 접촉이 가능한 가동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회전 규제용 스토퍼 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밸브.
KR1020050080670A 2004-09-01 2005-08-31 전동 밸브 KR1011617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54844 2004-09-01
JP2004254844A JP4550528B2 (ja) 2004-09-01 2004-09-01 電動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0869A true KR20060050869A (ko) 2006-05-19
KR101161719B1 KR101161719B1 (ko) 2012-07-03

Family

ID=35385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0670A KR101161719B1 (ko) 2004-09-01 2005-08-31 전동 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165755B2 (ko)
EP (1) EP1632703B1 (ko)
JP (1) JP4550528B2 (ko)
KR (1) KR101161719B1 (ko)
CN (1) CN100447460C (ko)
DE (1) DE60200500290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81010B2 (ja) * 2005-05-19 2011-09-28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JP2008014345A (ja) * 2006-07-03 2008-01-24 Fuji Koki Corp 電動弁
CN100547272C (zh) * 2006-08-31 2009-10-07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一种电动阀
JP5106135B2 (ja) * 2008-01-10 2012-12-26 株式会社不二工機 可逆式流量制御弁
JP5249634B2 (ja) * 2008-05-29 2013-07-31 株式会社不二工機 流量制御弁
IT1391672B1 (it) * 2008-08-18 2012-01-17 Carel S P A Struttura di valvola di regolazione, particolarmente per la regolazione del flusso di fluidi frigoriferi
EP3062004B1 (en) * 2009-01-22 2017-08-16 Fujikoki Corporation Motor-driven valve
CN101956830B (zh) * 2009-07-17 2013-06-12 浙江三花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102052468A (zh) * 2009-11-01 2011-05-11 浙江三花制冷集团有限公司 一种流路开关控制装置
EP2557379A1 (en) * 2009-11-18 2013-02-13 Parker Hannifin Corporation Electric Expansion Valve
JP5756606B2 (ja) * 2010-06-25 2015-07-29 株式会社不二工機 雌ねじ部材、それを用いた電動弁及び電動弁用雌ねじ部材の製造方法
JP5778902B2 (ja) * 2010-09-15 2015-09-16 株式会社不二工機 雌ねじ部材、それを用いた電動弁及び電動弁用雌ねじ部材の製造方法
JP5663335B2 (ja) * 2011-02-09 2015-02-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遮断弁装置
JP5445548B2 (ja) * 2011-09-24 2014-03-19 株式会社デンソー 膨張弁装置
CN104930241B (zh) * 2014-03-19 2018-09-28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106164552B (zh) * 2014-04-17 2018-10-26 株式会社鹭宫制作所 节流装置以及具备该节流装置的冷冻循环系统
CN105333203B (zh) * 2014-08-08 2019-03-01 浙江三花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电子膨胀阀
JP6481155B2 (ja) * 2014-11-25 2019-03-13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電動弁
JP6501609B2 (ja) * 2015-05-20 2019-04-17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及びその組立方法
JP6676432B2 (ja) * 2016-03-28 2020-04-08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及びその組立方法
WO2017221370A1 (ja) * 2016-06-23 2017-12-28 太平洋工業株式会社 電動弁
DE112016003702T5 (de) * 2016-08-04 2018-05-03 Pacific Industrial Co., Ltd. Motorbetätigtes Ventil
JP6478958B2 (ja) * 2016-09-02 2019-03-06 株式会社不二工機 制御弁
US9958083B1 (en) * 2016-10-27 2018-05-01 National Enviornmental Products, Ltd. Force limited valve actuator and method therefor
JP6476158B2 (ja) * 2016-10-28 2019-02-27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の組立方法
JP6651437B2 (ja) * 2016-12-27 2020-02-19 株式会社鷺宮製作所 電動弁
KR102356392B1 (ko) * 2017-11-13 2022-02-08 에머슨 클라이미트 테크놀로지스 (쑤저우) 코., 엘티디. 전자 팽창 밸브
CN109931408A (zh) * 2017-12-18 2019-06-25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110345291A (zh) * 2018-04-02 2019-10-18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电子膨胀阀
CN209196130U (zh) * 2018-08-02 2019-08-02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空调及其电子膨胀阀
CN111059294B (zh) * 2018-10-16 2023-11-03 浙江盾安禾田金属有限公司 电子膨胀阀
EP3696454A1 (en) * 2019-02-14 2020-08-19 TGK CO., Ltd. Motor operated valve
US20220170676A1 (en) * 2019-03-24 2022-06-02 Robert Bosch Gmbh Expansion valve
CN112303245B (zh) * 2019-07-29 2023-04-18 浙江三花商用制冷有限公司 流量控制阀
JP7176752B2 (ja) * 2019-10-29 2022-11-22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2517A (en) * 1980-10-06 1983-11-01 Toyota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Idling speed control devic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199782A (ja) 1984-10-23 1986-05-17 Taiheiyo Kogyo Kk 電動弁の構造
JPS61103077A (ja) 1984-10-23 1986-05-21 Taiheiyo Kogyo Kk 電動弁の構造
JPS6243276U (ko) * 1985-08-31 1987-03-16
JPS6267161U (ko) * 1985-10-15 1987-04-25
DE3601817A1 (de) 1986-01-22 1987-07-23 Egelhof Fa Otto Regelvorrichtung fuer den kaeltemittelzustrom zum verdampfer von kaelteanlagen oder waermepumpen sowie im kaeltemittelstrom angeordnete expansionsventile
JPH02292583A (ja) * 1989-02-17 1990-12-04 Yaskawa Electric Mfg Co Ltd 電動制御弁
JP3753253B2 (ja) * 1998-02-23 2006-03-08 三菱電機株式会社 制御弁装置
EP0985818A4 (en) * 1998-03-25 2006-12-06 Mitsubishi Electric Corp FLOW CONTROL VALVE
JP3739956B2 (ja) * 1998-04-13 2006-01-25 株式会社テージーケー 電動弁
JP4224187B2 (ja) * 1999-06-02 2009-02-12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弁
JP2001280535A (ja) * 2000-03-31 2001-10-10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式コントロールバルブ
JP2003097755A (ja) * 2001-09-27 2003-04-03 Saginomiya Seisakusho Inc 電動弁とその組立方法
JP4205901B2 (ja) * 2002-06-25 2009-01-07 株式会社不二工機 電動切換え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50528B2 (ja) 2010-09-22
CN1743708A (zh) 2006-03-08
CN100447460C (zh) 2008-12-31
US20060043325A1 (en) 2006-03-02
DE602005002903T2 (de) 2008-07-24
KR101161719B1 (ko) 2012-07-03
DE602005002903D1 (de) 2007-11-29
US7165755B2 (en) 2007-01-23
JP2006070988A (ja) 2006-03-16
EP1632703B1 (en) 2007-10-17
EP1632703A1 (en) 2006-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1719B1 (ko) 전동 밸브
KR101303536B1 (ko) 전동 밸브
JP5572516B2 (ja) 電動弁
CN107289144B (zh) 一种电子膨胀阀
JP6709926B1 (ja) 電動弁
JPH0821554A (ja) 電動流量制御弁
JP5657424B2 (ja) 電動弁
JP2008128449A (ja) 流量制御弁及び冷凍サイクル
JP2010025184A (ja) 電動弁
JP2006242502A (ja) 複合弁およびヒートポンプ式空気調和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424919B2 (ja) 電動弁
JP2016156429A (ja) 電気的駆動弁
JP2007010015A (ja) 電動流量制御弁
JP4676179B2 (ja) 電動弁
JP2006292148A (ja) 電動弁
JP2000193101A (ja) 流量制御弁
JP2005221115A5 (ko)
JP2005221115A (ja) 膨張弁
JPH11325299A (ja) 流量制御弁
JP2014142073A (ja) 電動弁
JP2006029304A (ja) 可変容量圧縮機用制御弁
JP7175035B2 (ja) 流量制御弁
JP7493257B2 (ja) 電動弁
JP2007032675A (ja) 電動弁
KR101237731B1 (ko) 전동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