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162A - 천정주행차 - Google Patents

천정주행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162A
KR20060048162A KR1020050047673A KR20050047673A KR20060048162A KR 20060048162 A KR20060048162 A KR 20060048162A KR 1020050047673 A KR1020050047673 A KR 1020050047673A KR 20050047673 A KR20050047673 A KR 20050047673A KR 20060048162 A KR20060048162 A KR 200600481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article
centering member
elastic body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4718B1 (ko
Inventor
타카시 나카오
요이찌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무라타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8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4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47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66C17/04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with lifting beams, e.g. slewable beams, carrying load-engaging elements, e.g. magnets,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28Duplicate, e.g. pivoted, members engaging the loads from two s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4/00Material or article handling
    • Y10S414/135Associated with semiconductor wafer handling
    • Y10S414/14Wafer cassette transpor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승강대(14)의 저부에 설치된 센터링부재(20)를, 탄성체(28)에 의해 하향으로 압압한다. 탄성체(28)의 상단을 수용하는 플레이트(26)의 위치를, 승강대(14)의 승강 중에는 높게 하고, 상승완료시는 낮게 하여, 승강 중에는 센터링부재(20)에의 압압력을 약하게 하고, 상승완료후에는 압압력을 강하게 한다.
상승을 종료한 승강대의 진동을 억제함과 아울러, 짐 파지나 짐 내리기시에, 압압체를 통해서, 승강대에 물품으로부터 강한 상향의 힘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천정주행차{OVERHEAD TRAVELING VEHICLE}
도 1은 실시예의 천정주행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의 승강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서 물품을 파지하여 승강중인 승강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서, 승강대가 완전히 상승한 후의, 물품을 파지하는 승강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변형예의 승강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종래예의 승강대의 측면도이다.
2 … 천정주행차 4 … 주행 레일
5 … 주행구동부 6 … 카세트
8 … 플랜지 9 … 오목부
10 … 가로 이송부 12 … 승강구동부
14 … 승강대 16 … 매달림 지지재
18 … 척 20 … 센터링부재
22 … 낙하방지커버 24,30 … 축
26,34 … 플레이트 28,32 … 탄성체
29 … 헤드부 40 … 실린더
본 발명은 클린룸이나 도서관, 병원, 일반공장이나 창고 등에서 물품을 반송하는 천정주행차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승강대에서 척(파지)되어 반송되는 물품의 진동방지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1은, 천정주행차의 승강대의 저부에 센터링부재를 설치하여, 반송대상의 물품의 상부에 센터링부재를 접촉시키고, 이 압압력으로 반송중의 물품의 진동을 방지하는 것을 기재하고 있다. 물품의 진동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센터링부재로부터 물품에 가하는 압압력을 강하게 하면 된다. 그러나 발명자는 여기서, 센터링부재에의 압압력을 강하게 하면, 승강대의 하부의 척으로 물품을 파지하거나 해방하거나 할 때의 동작이 어렵게 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도 6에 나타내면, 8은 반송대상의 카세트의 플랜지이다. 14는 승강대, 16은 매달림 지지재, 18은 척이다. 20은 센터링부재이고, 24는 그 축이다. 26은 플레이트이고, 센터링부재(20)와 플레이트(26) 사이에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28)를 배치하여, 센터링부재(20)를 하향으로 압압한다. 승강대(14)를 하강시키면, 최초에 센터링부재(20)가 플랜지(8)의 오목부(9)에 접촉한다. 여기서 승강대(14)가 더욱 하강하여, 척(18)으로 플랜지(8)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기 위해서는, 탄성체(28)로부터 승강대(14)에 가하는 반발력을 승강대(14)의 자중으로 제거하여, 승강대(14)가 더욱 하강해야만 한다. 그러나 승강대(14)를 경량화할 필요 가 있으므로, 센터링부재(20)에 가하는 것이 가능한 압압력에는 제한이 있다. 마찬가지의 문제가 물품을 로드 포트(load port) 등에 짐내리기할 때에도 생긴다. 물품이 로드 포트 등에 착지하면, 탄성체(28)로부터의 스프링력으로 승강대(14)가 상향으로 밀린다. 이 때문에 승강대(14)가 그 이상 침입하지 않게 되고, 척(18)을 플랜지(8)의 저면으로부터 떼어내는 것이 어렵게 된다. 이들 때문에, 센터링부재(20)에의 압압력을 늘리면, 물품의 파지나 해방동작에 지장이 생기기 쉽게 된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 2907077호
본 발명의 기본적 과제는, 물품의 파지동작이나 해방동작이 어렵게 되지 않도록 하면서, 천정주행차의 주행중 등에서의 물품의 진동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2의 발명에서의 추가 과제는, 물품에의 압압력을 변경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3의 발명에서의 추가 과제는, 승강대의 승강동작 자체를 이용하여, 센터링부재에의 압압력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천정주행차는, 승강대에 설치한 척수단에 의해 물품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반송하도록 한 천정주행차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에 물품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압압하는 압압수단과, 승강대의 높이위치에 따라 상기 압압수단의 압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압수단이, 물품에 상부로부터 접촉하는 부재와, 그 접 촉부재를 하향으로 미는 탄성체와, 그 탄성체의 타단을 수용하며 또한 상기 승강대에 대해서 상하로 변위할 수 있는 수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수단을, 승강대의 높이위치에 따라 상기 수용부재를 상하로 변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절수단을, 승강대가 그 상승단까지 상승하는 것에 의해, 천정주행차 본체에 접촉하여 상기 수용부재를 아래측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의 실시예를 나타낸다.
[실시예]
도 1~도 5에, 실시예와 그 변형을 나타낸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2는 천정주행차이다. 4는 주행레일이고, 예컨대 클린룸의 천정 부근 등에 설치된다. 6은 반송물품의 예로서의 카세트이다. 그 상부에 플랜지(8)가 있고, 그 저면을 천정주행차의 척(18)으로 예컨대 양측으로부터 파지하여 반송한다. 또한 플랜지(8)의 상부에는 오목부(9)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반송물품의 종류나 척(18)의 구조 등은 임의이다.
천정주행차(2)에는 주행구동부(5)를 설치하여 천정레일(4)을 따라 주행시킨다. 가로 이송부(19)로 승강구동부(12)를 주행레일(4)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가로 이동시킨다. 승강구동부(12)는 가로 이송부(10)에 의해 지지되고, 벨트나 와이어 등의 매달림 지지재(16)의 감기나 풀기에 의해 승강대(14)를 승강시킨다. 그리고 승강대(14)의 저면측에 상기 척(18)을 예컨대 좌우 1쌍으로 설치하고, 승강대(14)의 저면 중앙 부근에 센터링부재(20)를 설치한다. 이 이외에 천정주행차(2)에는 예 컨대 전후 1쌍의 낙하방지커버(22,22)를 설치한다. 그리고, 카세트(6)를 반송할 때에, 낙하방지커버(22)로부터 낙하방지용 클로 등을 돌출시켜서, 낙하를 방지한다.
센터링부재(20)와 그 주위의 구조를 도 2에 나타내면, 센터링부재(20)의 저면은 플랜지(8)에 형성한 오목부(9)에 결합하는 형상을 하고 있다. 24는 센터링부재(20)의 축, 26은 플레이트이다. 플레이트(26)와 센터링부재(20)의 상면 사이에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28)를 설치하여, 센터링부재(20)를 하향으로 민다. 29는 축(24)의 헤드부이고, 축(24)이 플레이트(26)로부터 떨어지지 않게 한다. 플레이트(26)에는 예컨대 좌우 1쌍의 상향의 축(30,30)을 설치하고, 그 상단을 플레이트(34)에 고정한다. 그리고 축(30)의 주위에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체(32)를 설치하여, 승강대(14)의 상면과 플레이트(34)에서, 탄성체(32)로부터의 스프링력을 수용한다. 축(30,30)은 승강대(14)에 대해서 상하로 변위가능하므로, 그 하단에 있는 플레이트(26)도 승강대(14)에 대해서 상하로 변위가능하다.
도 2의 상태에서는, 탄성체(32)의 스프링력에 의해 플레이트(34)는 높은 위치에 있고, 이것에 따라 플레이트(26)도 승강대(14)의 저면 부근까지 상승하고 있다. 여기서 플레이트(34)를 하향으로 변위시키면, 탄성체(32)가 압축되고, 플레이트(26)는 아래측에 침입한다. 탄성체(28)도 마찬가지로 압축되고, 이 결과 센터링부재(20)로부터의 압압력이 증가한다.
도 3은 승강대(14)가 하강하고 있을 때의, 센터링부재(20)나 그 주위의 형태를 나타낸다. 플레이트(26)는 상승위치에 있고, 이 결과 센터링부재(20)와 플레이트(26)의 간격이 비교적 크고, 탄성체(28)에 의한 압압력은 작게 되어 있다. 그 때 문에 승강대(14)를 하강시키면, 센터링부재(20)로부터 카세트(6)에 가하는 압압력이나, 센터링부재(20)로부터 승강대(14)가 받는 반발력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4는 승강대(14)가 상승단까지 상승하였을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승강대(14)가 상승단까지 상승하면, 예컨대 플레이트(34)가 가로 이송부(10) 등의 천정주행차 본체에 접촉하여 탄성체(32)가 압축되고, 플레이트(26)도 승강대(14)에 대해서 하향으로 변위한다. 이 결과 탄성체(28)가 압축되고, 센터링부재(20)로부터 오목부(9)에 가하는 하향의 압력을 늘려서, 물품(6)을 단단히 척(18)에 의해 파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천정주행차의 주행이나 가로 이송부에 의한 가로 이동 등에 의해 생기는 진동은, 플랜지(8)를 척(18)과 센터링부재(20) 사이에 끼워넣고, 센터링부재(20)를 탄성체(28)로 강하게 압압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에어실린더 등의 실린더(40)를 이용한 변형예를 나타낸다. 에어실린더(40)는 저압 또는 중압의 실린더가 바람직하다. 승강대(14)의 높이위치에 따라 에어실린더(40)로부터 플레이트(34)에의 압력을 바꿈으로써, 플레이트(26)의 높이위치를 조절하여, 센터링부재(20)에의 압압력을 조절한다. 또한 도 5의 변형예에서는, 탄성체(32)는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도 5의 변형예에서는, 승강대(14)가 상승단까지 상승하였을 때 이외에도, 물품(6)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예컨대 승강대(14)의 상승중이나 하강중에도, 에어실린더(40)에 의해 센터링부재(20)를 강하게 밀어서, 물품(60)의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물품을 짐내리기할 때에는, 예컨대 물품의 저면이 착지하기 직전까지 에어실린더(40)로 플레이트(34)를 밀고, 착지 직전에 에어실린더(40)의 에어를 빼면 된다. 물품을 짐쌓기할 때에는, 물품의 척동작이 완료한 후에, 에어실린더(40)에 의해 플레이트(34)를 밀면 된다. 또한 극단적인 경우, 탄성체(28)를 생략하여, 센터링부재(20)를 직접 에어실린더(40)로 구동하여도 좋다. 에어실린더(40)의 압압력을 승강대(14)의 높이위치에 따라 조절함과 아울러, 에어실린더(40)를 일종의 공기스프링으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실시예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 물품의 파지나 해방시에는, 센터링부재(20)에 가하는 압압력을 작게 함으로써, 탄성체(28)로부터의 승강대(14)에 가해지는 반발력에 의해, 파지나 해방동작이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센터링부재(20)에 가하는 압압력을 크게 하여 물품의 진동을 방지하는 것과, 이 압압력을 작게 하여 물품의 파지나 해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의, 2가지의 모순되는 요구를 모두 만족할 수 있다. (2) 승강대(14)가 상승을 완료하면, 플레이트(34)를 하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센터링부재(20)로부터 플랜지(8)에 가해지는 압압력을 늘릴 수 있다. 이 때문에 천정주행차의 주행중이나 가로 이송 중에는, 물품(6)을 척(18)과 센터링부재(20)로 확실하게 유지하여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3) 도 1~도 4의 실시예에서는, 승강대(14)의 승강동작 자체를 이용하여, 센터링부재(20)에의 압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4) 센터링부재(20)에 의해, 플랜지(8)의 오목부(9)와 승강대(14)를 위치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조절수단을 설치하여, 압압수단으로부터 물품에 가하는 압압력을 승강대의 높이위치에 따라 조절한다. 이 때문에, 승강대를 하강시켜 물품을 파지 또는 해방할 때에는, 압압력을 약하게 하고, 승강대를 상승시키면 압압력을 강하게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천정주행차의 주행시 등에는, 물품을 상방으로부터 척수단을 향해 압압하는 압압력을 늘려, 진동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품을 파지하거나 해방하거나 할 때에는, 압압력을 약하게 하여 승강대가 충분히 침입할 수 있게 하여, 물품의 파지나 해방을 용이하게 한다.
청구항2의 발명에서는, 물품에 상방으로부터 접촉하는 부재를 탄성체에 의해 하향으로 압압하고, 수용부재로 탄성체의 타단을 수용한다. 그리고 조절수단에 의해 수용부재를 승강대의 높이위치에 따라 상하로 변위시킨다. 이 때문에, 승강대가 상승하면 수용부재를 아래측으로 변위시켜서, 탄성체로부터의 압압력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승강대가 하강하면 수용부재를 상측으로 변위시켜서, 압압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청구항3의 발명에서는, 승강대가 상승단까지 상승하면 천정주행차 본체에 접촉하여, 수용부재를 아래측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승강대가 상승단까지 상승한 것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수용부재를 아래측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승강대에 설치한 척수단에 의해 물품을 하방으로부터 지지하여 반송하도록 한 천정주행차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에 물품을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압압하는 압압수단과, 승강대의 높이위치에 따라 상기 압압수단의 압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주행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압수단은, 물품에 상부로부터 접촉하는 부재와, 그 접촉부재를 하향으로 미는 탄성체와, 그 탄성체의 타단을 수용하며 또한 상기 승강대에 대해서 상하로 변위할 수 있는 수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조절수단을, 승강대의 높이위치에 따라 상기 수용부재를 상하로 변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주행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을, 승강대가 그 상승단까지 상승함으로써, 천정주행차 본체에 접촉하여 상기 수용부재를 아래측으로 변위시키는 수단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주행차.
KR1020050047673A 2004-06-28 2005-06-03 천정주행차 KR100934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89917A JP4075002B2 (ja) 2004-06-28 2004-06-28 天井走行車
JPJP-P-2004-00189917 2004-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162A true KR20060048162A (ko) 2006-05-18
KR100934718B1 KR100934718B1 (ko) 2009-12-30

Family

ID=35044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673A KR100934718B1 (ko) 2004-06-28 2005-06-03 천정주행차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328812B2 (ko)
EP (1) EP1612181B1 (ko)
JP (1) JP4075002B2 (ko)
KR (1) KR100934718B1 (ko)
DE (1) DE602005018859D1 (ko)
TW (1) TW2006004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002B1 (ko) * 2019-12-30 2021-04-12 세메스 주식회사 연결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4834B2 (ja) * 2005-07-04 2009-05-20 村田機械株式会社 有軌道台車システム
JP2011035022A (ja) * 2009-07-30 2011-02-17 Murata Machinery Ltd 天井搬送車
KR20120003368A (ko) 2010-07-02 2012-01-10 무라텍 오토메이션 가부시키가이샤 천정 반송차의 그리퍼 장치 및 천정 반송차
JP5765549B2 (ja) * 2010-10-04 2015-08-19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装置
FI123784B (fi) * 2011-03-25 2013-10-31 Konecranes Oyj Järjestely kuormauselimen heilahduksen vaimentamiseksi nosturissa
JP6344410B2 (ja) * 2016-02-19 2018-06-20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搬送車
JP6695225B2 (ja) * 2016-07-12 2020-05-20 株式会社ディスコ 搬送ユニット
EP3533728B1 (en) * 2016-10-25 2022-02-09 Murata Machinery, Ltd. Overhead transport vehicle
CN107777541A (zh) * 2017-11-25 2018-03-09 苏州听毅华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工件的搬送机构
JP7234754B2 (ja) * 2019-04-04 2023-03-08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搬送車
CN116368054A (zh) * 2020-11-10 2023-06-30 村田机械株式会社 空中搬送车
IL302602A (en) * 2020-11-17 2023-07-01 Murata Machinery Ltd Surface transport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830A (en) * 1899-04-11 temperley
US1166035A (en) * 1914-04-08 1915-12-28 Galion Iron Works And Mfg Company Dumping-bucket and hoisting mechanism therefor.
US1446724A (en) * 1921-08-24 1923-02-27 James F Reilly Trolley for trench machines and the like
US2620075A (en) * 1949-01-13 1952-12-02 Lake Shore Engineering Company Crane
US3523882A (en) * 1969-02-25 1970-08-11 Pechiney Prod Chimiques Sa Apparatus for control of consumable anodes in electrolytic systems
US3690715A (en) * 1969-11-26 1972-09-12 Stearns Roger Corp Traveling crane head subassembly for atomic reactor fuel cells
GB1267178A (ko) * 1970-07-22 1972-03-15
DE2116544A1 (de) * 1971-04-05 1972-11-23 F.B. Kroell A/S, Roedovre (Dänemark) Umschervorrichtung für Windwerke mit einer mehrsträngig aufgehängten Unterflasche
US4555216A (en) * 1983-11-21 1985-11-26 Five X Corporation Workpiece holding and positioning mechanism and system
FR2558006B1 (fr) * 1984-01-11 1986-04-2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ispositif pour la manutention d'assemblages de combustible nucleaire et assemblage adapte a un tel dispositif
US5145227A (en) * 1990-12-31 1992-09-0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Electromagnetic attachment mechanism
JPH08318882A (ja) 1995-05-29 1996-12-03 Tsubakimoto Chain Co 搬送装置のハンガーに吊り下げられたワークの振れ止め・浮き上がり防止装置
JP2907077B2 (ja) * 1995-09-08 1999-06-21 村田機械株式会社 天井走行車
JPH10167667A (ja) * 1996-12-09 1998-06-23 Murata Mach Ltd 天井走行台車
JP3981885B2 (ja) * 2003-05-20 2007-09-26 株式会社ダイフク 搬送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002B1 (ko) * 2019-12-30 2021-04-12 세메스 주식회사 연결 유닛 및 이를 갖는 비히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75002B2 (ja) 2008-04-16
US7328812B2 (en) 2008-02-12
KR100934718B1 (ko) 2009-12-30
JP2006008354A (ja) 2006-01-12
TW200600445A (en) 2006-01-01
EP1612181A1 (en) 2006-01-04
TWI310363B (ko) 2009-06-01
EP1612181B1 (en) 2010-01-13
US20060169663A1 (en) 2006-08-03
DE602005018859D1 (de) 2010-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718B1 (ko) 천정주행차
KR102319927B1 (ko) 물품 반송 대차
JP6435795B2 (ja) 物品搬送設備
CN107804640B (zh) 物品搬运装置
KR102259283B1 (ko) 대상물 이송 장치
KR20090097760A (ko) 단분리 장치
CN210943865U (zh) 用于载具的分离传送机构
JP4039915B2 (ja) ロードスタビライザー
JPH05246689A (ja) 薄板用搬器及び薄板の搬送方法
JP2546440Y2 (ja) チェーンと昇降フレームのテンション付与連結機構
JP3508219B2 (ja) 部品供給装置
CN218808882U (zh) 一种自动上料模组
JPH06135685A (ja) 天井走行車
JP2669221B2 (ja) 搬送用容器使用の搬送設備
JPH08304063A (ja) 板材の選別搬送方法及び装置
CN220663943U (zh) 显示面板上料装置
JPH0595042A (ja) 天井走行車システムの収納容器
JP2830589B2 (ja) 搬送装置の昇降荷支持手段位置決め装置
JP2000191141A (ja) 物品移載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物品段積み装置
JP2687318B2 (ja) 密着板の分離装置
JPH10273233A (ja) 荷役装置のハンド着座検知機構
JPS63143135A (ja) 磁力吸着搬送装置
JPH05169384A (ja) ローダ装置
JP2001278446A (ja) 物品搬送装置
JPH05228558A (ja) 板材搬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