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8030A - 지엽류 취출 장치 - Google Patents

지엽류 취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8030A
KR20060048030A KR1020050042238A KR20050042238A KR20060048030A KR 20060048030 A KR20060048030 A KR 20060048030A KR 1020050042238 A KR1020050042238 A KR 1020050042238A KR 20050042238 A KR20050042238 A KR 20050042238A KR 20060048030 A KR20060048030 A KR 20060048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rocessing
paper sheet
paper sheets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3813B1 (ko
Inventor
유스께 미쯔야
신이찌 이또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20060048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8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2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 B65H1/025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adapted to support articles on edge with controlled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for advancing the pile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65H1/14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comprising positively-acting mechan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2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friction forces between articles and separator
    • B65H3/06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 B65H3/0653Rollers or like rotary separators for separating substantially vertically stack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34Article-retaining devices controlling the release of the articles to the sepa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52Friction retainers acting on under or rear side of article being separated
    • B65H3/5246Driven retainers, i.e. the motion thereof being provided by a dedicated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40Identification
    • B65H2511/414Identification of mode of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30Forces; St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20Calculating means; Controlling methods
    • B65H2557/23Recording or storing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복수의 처리 모드를 갖고, 각 처리 모드마다의 공급부의 공급 속도, 조출 롤러의 압박력, 분리 롤러의 분리력의 각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메모리와, 복수의 처리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설정부와, 이 설정부에 의해 선택되는 처리 모드에 따라서 메모리로부터 각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이들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공급부의 공급 속도, 조출 롤러의 압박력, 분리 롤러의 분리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한다.
조출 롤러, 분리 롤러, 제어기, 지엽류 취출 장치

Description

지엽류 취출 장치 {PAPER SHEET TAKEOUT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지엽류 취출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는 상기 지엽류 취출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3은 상기 실시 형태의 지엽류 취출 조건을 설정하는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4는 상기 실시 형태의 지엽류 취출 조건의 설정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지엽류 취출 조건 설정용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6은 상기 실시 형태의 지엽류 취출 조건의 설정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지엽류 취출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8은 상기 실시 형태의 지엽류 취출 조건을 설정하는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럭도.
도9는 상기 실시 형태의 지엽류 취출 조건의 설정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10a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센서 출력을 도시하는 도면.
도10b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센서 출력을 도시하는 도면.
도11a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엽류 사이의 갭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11b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엽류 사이의 갭 변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12a는 종래에 있어서의 두꺼운 것 취출 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2b는 종래에 있어서의 두꺼운 것 취출 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3a는 종래에 있어서의 얇은 것 취출 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13b는 종래에 있어서의 얇은 것 취출 시의 동작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급부
2 : 조출부
3 : 분리부
25 : 설정부
26, 27, 28 : 설정 선택 스위치
29 : 제어기
30 : 메모리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3-341860호 공보
본 출원은 2004년 5월 20일자로 출원된 종래의 일본 특허 출원 제2004- 150632호를 기초로 한 것이며, 이로부터 우선권의 이점을 주장하고, 본 명세서에서 전반에 걸쳐 이를 참조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우편물 등의 지엽류를 구분 처리하는 구분기에 적용되는 지엽류 취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지엽류 취출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2003-341860호 공보에 개시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지엽류 취출 장치에 있어서는 다양한 종류의 매체, 예를 들어 두께가 0.15 내지 6 ㎜, 중량이 2 내지 50 g인 매체가 혼합 상태에서 공급된 경우라도 그 처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매체의 공급 속도, 조출(繰出) 롤러의 압박력, 분리 롤러의 분리력 등의 파라미터를 평균적인 두께, 중량을 갖는 매체에 맞추어 일정한 값으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파라미터를 일정한 값으로 설정한 장치에, 예를 들어 도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꺼운(일반적으로 무거움) 매체(101a)를 공급하면 도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속의 매체(101b)가 조출 롤러(102)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길어져 처리 능력이 저하된다. 또한, 두꺼운 매체(101a)는 중량이 있으므로, 조출 롤러(102)의 반송력이 전해지기 어려워져 처리 능력이 저하된다. 또한, 분리 롤러(104)(도13a에 도시함)의 분리력이 저항이 되어 처리 능력이 저하된다.
한편, 도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얇은(일반적으로 힘이 없음) 매체(103)를 공급하면 매체(103)가 필요 이상으로 공급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조출 롤러(102)에 소정 이상의 압력으로 압박되게 된다. 또한, 조출 롤러(102)의 압박력도 작용하므 로, 이 상태에서 취출 동작을 행하면 매체(103)의 다발 조출이 발생하여 다중 이송이 많아진다. 또한, 도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 롤러(104)의 분리력이 지나치게 작용하여 잼에 의한 장치의 정지 시간이 커져 버린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 있어서는 지엽류 취출 장치의 제어 파라미터를 일정치로 고정하기 위해, 각종 매체를 평균적으로 처리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동일 종류의 특수 매체(두꺼운 것, 얇은 것 등)만이 공급된 경우에는 안정된 취출 동작이 불가능해져 처리 능력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는 상기 사정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각종 매체가 혼합 상태에서 공급된 경우에는 물론, 동일 종류의 특수 매체(두꺼운 것, 얇은 것 등)만이 공급된 경우라도 안정된 취출 동작이 가능한 지엽류 취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관한 지엽류 취출 장치는 집적 상태의 지엽류를 그 집적 방향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이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조출하는 조출 롤러와, 상기 조출 롤러를 상기 지엽류에 대해 압박하는 압박 장치와, 상기 조출 롤러에 의해 조출되는 지엽류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송출하는 이송 롤러와, 이 이송 롤러에 압접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의 회전 토크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분리하는 분리 롤러와, 복수의 처리 모드를 갖고, 각 처리 모드마다의 상기 공급 장치의 공급 속도, 상기 압박 장치의 압박력, 상기 분리 롤러의 분리력의 각 파라미터를 기 억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복수의 처리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장치와, 이 모드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되는 처리 모드에 따라서 기억 장치로부터 각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이들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공급 장치의 공급 속도, 상기 압박 장치의 압박력 및 상기 분리 롤러의 분리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르면, 작업자가 사전에 처리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공급부의 공급 속도, 조출 롤러의 압박력, 분리 롤러의 분리력이 대상 매체에 적절한 값으로 설정되어 처리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안정된 조출 동작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목적 및 이점은 이하에 설명하며, 일부는 설명으로부터 명백해 지거나 또는 본 발명의 실행으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이점은 이하에 특별하게 지적한 수단들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고 얻어질 수 있다.
명세서의 일부와 관련되고 이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데 조력하는 이하에 주어진 양호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및 상기 주어진 일반적인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지엽류 취출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2는 그 정면도이다.
이 지엽류 취출 장치는 지엽류(P)를 공급하는 공급 장치로서의 공급부(1), 이 공급부(1)에 의해 공급되는 지엽류(P)를 조출하는 조출부(2) 및 이 조출부(2)로부터 조출되는 지엽류(P)를 1매씩 분리하여 반송하는 분리부(3)로 구성된다.
공급부(1)에는 플로어 벨트(4)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로어 벨트(4) 상에는 집적 지엽류(P)가 입위(立位) 상태로 적재되어 있다. 플로어 벨트(4)는 지엽류(P)의 집적 방향에 따라서 돌출 설치되어 풀리(도시하지 않음)에 걸쳐져 있다. 풀리의 회전축(5)에는 플로어 벨트(4)를 지엽류(P)의 집적 방향을 따라서 구동하기 위한 플로어 모터(6)가 접속되어 있다.
플로어 벨트(4)의 상면부에는 백업 플레이트(7)가 간이하게 접합되어 있다. 백업 플레이트(7)는 플로어 벨트(4)가 주행됨으로써 지엽류(P)를 배면측으로부터 압박하면서 지엽류(P)의 집적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백업 플레이트(7)는 지엽류(P)의 집적 방향에 따라서 설치된 가이드 레일(8)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조출부(2)는 공급부(1)에 세트된 지엽류(P)의 집적 방향의 일단부측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조출부(2)는 조출 롤러(9)를 구비하고, 이 조출 롤러(9)는 제1 타이밍 벨트(10), 제2 타이밍 벨트(11) 및 제3 타이밍 벨트(12)를 거쳐서 조출 모터(13)에 접속되어 있다. 조출 모터(13)의 구동에 의해 조출 롤러(9)가 회전되어 지엽류(P)가 분리부(3)를 향해 조출되도록 되어 있다.
조출 롤러(9)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엽류(P)의 상부측에 접촉하는 상부 롤러(9U) 및 지엽류(P)의 하부측에 접촉하는 하부 롤러(9L)를 갖고 구성되어 있 다. 상부 롤러(9U) 및 하부 롤러(9L)는 제1 조출 아암(14), 제2 조출 아암(15), 제3 조출 아암(16)에 의해 지엽류(P)에 대해 소정의 압박력으로 압박되어 있다. 여기서의 소정의 압박력이라 함은, 상부 롤러(9U) 및 하부 롤러(9)가 지엽류에 대해 부여하는 값이다.
제1 조출 아암(14), 제2 조출 아암(15), 제3 조출 아암(16)은 평행 링크 기구로 되어 있고, 조출 롤러(9)의 요동 방향을 지엽류(P)의 집적 방향으로 규제한다. 제1 조출 아암(14)에는 이를 구동하는 압박 장치로서의 조출 아암 모터(17)가 접속되어 있다. 조출 아암 모터(17)에는 토크 제어의 서보 모터가 사용되어 있고, 일정 토크를 출력함으로써 조출 롤러(9)의 지엽류(P)에 대한 압박력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분리부(3)는 조출부(2)의 지엽류 조출 방향의 하류측에 위치되어 있다. 분리부(3)는 이송 롤러(18)를 갖고, 이 이송 롤러(18)에는 타이밍 벨트(19)를 거쳐서 이송 모터(20)가 접속되어 있다. 이송 롤러(18)는 이송 모터(20)에 의해 회전됨으로써 지엽류(P)를 반송한다.
이송 롤러(18)에는 분리 롤러(21)가 소정의 압박력으로 압박되어 있다. 분리 롤러(21)에는 타이밍 벨트(22)를 거쳐서 분리 모터(23)가 접속되어 있다. 분리 모터(23)로서는 토크 제어의 서보 모터가 사용되어 있다. 이 분리 모터(23)는 분리 롤러(21)가 지엽류(P)의 반송 방향(제1 방향)에 대해 역방향(제2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역전 토크를 부여한다.
분리 모터(23)는 일정 토크를 출력함으로써 분리 롤러(21)의 지엽류(P)에 대 한 접선력(분리력)을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통상 시, 분리 롤러(21)는 이송 롤러(18)와 함께 돌아 반송 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분리력은 항상 역전 방향에 부여되어 있고, 지엽류(P)를 복수매 동시에 송출하지 않도록 2매째 이후의 지엽류(P)에 대해 분리력을 발생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엽류 취출 장치에 있어서, 플로어 벨트(4) 상에 입위 상태로 세트된 지엽류(P)는 플로어 벨트(4)와 백업 플레이트(7)에 의해 조출부(2)의 방향(도1 중 백색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 공급된다. 이 공급된 지엽류(P)는 조출 롤러(9)에 접촉하여 조출 롤러(9)의 회전에 의해 분리부(3)로 반송된다. 분리부(3)에 있어서는 복수매 동시에 송출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분리력이 부여되어 있는 분리 롤러(21)에 의해 2매째 이후의 지엽류(P)의 반송이 저지된다. 분리부(3)에서 1매씩 분리된 지엽류(P)는 또한 하류측(도1 중 백색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된다.
도3은 지엽류의 취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3 중 부호 25는 모드 선택 장치로서의 설정부이고, 이 설정부(25)에는 제1 설정 선택 스위치(26), 제2 설정 선택 스위치(27), 제3 설정 선택 스위치(28)가 배치되어 있다. 제1 설정 선택 스위치(26)는 통상 모드, 제2 설정 선택 스위치(27)는 얇은 것 모드, 제3 설정 선택 스위치(28)는 두꺼운 것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다.
통상 모드는 혼합 상태에서 공급되는 다종류의 지엽류(예를 들어, 두께 0.15 내지 6 ㎜, 무게 2 내지 50 g)(P)를 처리할 때에 선택된다.
얇은 것 모드는 벌크 상태(동일 종류만)에서 공급되는 소위, 얇은 것(두께 0.5 ㎜ 이하 혹은 무게 10 g 이하)이라 불리우는 지엽류(P)를 처리할 때에 선택된다.
또한, 두꺼운 것 모드는 벌크 상태에서 공급되는 소위, 두꺼운 것(두께 3 ㎜ 이상 혹은 중량 30 g 이상)이라 불리우는 지엽류(P)를 처리할 때에 선택된다.
통상 시에는 혼합 상태의 지엽류(P)를 공급 및 처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디폴트에서는 통상 모드로 한다.
설정부(25)에는 신호 회로를 거쳐서 제어 장치로서의 제어기(29)가 접속되어 있다. 상기한 제1 설정 선택 스위치(26), 제2 설정 선택 스위치(27), 제3 설정 선택 스위치(28)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어 처리 모드가 선택되면, 그 선택 정보는 설정부(25)로부터 제어기(29)로 출력된다.
제어기(29)에는 기억 장치로서의 메모리(30)가 접속되어 있다. 메모리(30)에는 미리 지엽류(P)의 종류에 대응한 플로어 모터(6)로의 공급 속도 지령 파라미터, 조출 아암 모터(17)로의 압박력 지령 파라미터, 분리 모터(23)로의 분리력 지령 파라미터가 기억되어 있다.
선택된 처리 모드가 제어기(29)에 출력되면 그 처리 모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가 선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통상 모드에서는 공급 속도 20 ㎜/초, 압박력 300 gf, 분리력 300 gf로 설정된다. 얇은 것 모드에서는 공급 속도 5 ㎜/초, 압박력 150 gf, 분리력 200 gf로 설정된다. 두꺼운 것 모드에서는 공급 속도 40 ㎜/초, 압박력 400 gf, 분리력 200 gf로 설정된다.
통상 모드에서의 제어 파라미터 설정치는 다양한 종류의 지엽류(P)를 평균적으로 처리 가능하도록 맞춘 값이다. 이에 대해 얇은 것 모드에서는 매체가 얇기 때문에 공급 속도를 작게 하고, 또한 다발 조출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압박력을 작게 하고, 또한 분리력이 지나치게 작용해 버리므로 분리력을 작게 한다. 이에 의해, 얇은 것을 처리할 때에 적합한 값이 된다. 또한, 두꺼운 것 모드에서는 매체가 두껍기 때문에 공급 속도를 크게 하고, 또한 무게가 무겁기 때문에 압박력을 크게 하고, 또한 분리력이 저항이 되므로 분리력을 작게 한다. 이에 의해, 두꺼운 것을 처리하는 데 적합한 값이 된다.
제어기(29)는 선택 설정한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플로어 모터(6), 조출 아암 모터(17), 분리 모터(23)의 구동을 제어한다.
도4는 상기한 지엽류의 취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작업자는 도시하지 않은 표시부에 표시되는「모드를 선택 설정해 주십시오」를 눈으로 확인하고(스텝 S1), 공급 및 처리하는 지엽류(P)의 종류에 따른 처리 모드를 설정부(25)에서 선택 설정한다. 이 선택에 의해 제어기(29)는 설정된 처리 모드가 통상 모드인지 여부를 판별한다(스텝 S2). 처리 모드가 통상 모드인 경우에는, 통상 모드용 제어 파라미터가 설정되어(스텝 S3), 공급되는 지엽류(P)를 연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통상 모드는 다양한 종류의 지엽류(P)를 혼합 상태에서 공급 및 처리할 때에 선택되는 것이다(디폴트로 통상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전의 모드로부터 변화가 없으면 이 조작은 필요 없음).
또한, 스텝 S2에 있어서 처리 모드가 통상 모드가 아니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선택된 처리 모드가 얇은 것 모드 혹은 두꺼운 것 모드인지 판별된다(스텝 S4). 얇은 것 모드라 판별된 경우에는 얇은 것의 지엽류(P)에 대응한 제어 파라미터가 설정되어(스텝 S5), 공급되는 얇은 것의 지엽류(P)를 연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얇은 것 모드는 얇은 것의 지엽류(P)를 벌크 상태에서 공급 및 처리하고 싶은 경우에, 작업자가 장치를 가동시키기 전에 선택되는 것이다.
또한, 스텝 S4에 있어서, 두꺼운 것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별된 경우에는 두꺼운 것의 지엽류(P)에 대응한 제어 파라미터가 설정되어(스텝 S6), 공급된 두꺼운 것의 지엽류(P)를 연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두꺼운 것 모드는 두꺼운 것의 지엽류(P)를 벌크 상태에서 공급 및 처리하고 싶은 경우에, 작업자가 장치를 가동시키기 전에 선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각 처리 모드의 파라미터가 설정된 후, 시작 버튼을 온(ON) 상태로 한다(스텝 S7). 이에 의해, 공급부(1), 조출부(2) 및 분리부(3)가 동작되고 지엽류(P)가 취출되어 공급된다. 이 취출에 의해 공급부(1)가 빈 상태가 되면(스텝 S8), 지엽류의 취출이 종료된다.
종래 장치예와 같은 제어 파라미터가 고정치인 것(본 제안에 있어서의 통상 모드만)에 얇은 매체를 공급하면 매체가 필요 이상으로 공급되게 되고, 결과적으로 조출 롤러에 소정 이상의 압력으로 압박되게 된다. 또한, 조출 롤러의 압박력도 작용하므로, 이 상태에서 취출 동작을 행하면 매체의 다발 조출이 발생하여 다중 이송이 많아져 버린다. 또한, 분리 롤러의 분리력이 지나치게 작용해 잼에 의한 장치의 정지 시간이 커져 버린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미리 작업자가 얇은 것 모드로 설정됨으로써 얇은 것의 지엽류(P)에 대응한 처리가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 장치예와 같은 제어 파라미터가 개정치의 것(본 제안에 있어서의 통상 모드만)에 두꺼운 매체를 공급하면, 후속의 매체가 조출 롤러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이 길게 걸려 처리 능력이 저하된다. 또한, 중량이 있으므로, 조출 롤러의 반송력이 전해지기 어려워져 처리 능력이 저하된다. 또한, 분리 롤러의 분리력이 저항이 되어 처리 능력이 저하된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미리 작업자가 두꺼운 것 모드로 설정됨으로써 두꺼운 것의 지엽류(P)에 대응한 처리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지엽류 취출 장치에 따르면, 작업자가 미리 설정부(25)의 설정 선택 스위치(26, 27, 28)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조작함으로써 매체 종류에 의해 처리 능력이 저하되지 않고, 안정된 취출 동작이 가능해진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지엽류의 취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또한, 도3에서 도시한 부분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인다.
본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미리 기억 장치로서의 메모리(31)에 각 처리 모드에 대응하는 플로어 모터(6)로의 공급 속도 지령 파라미터, 조출 아암 모터 (17)로의 압박력 지령 파라미터, 분리 모터(23)로의 분리력 지령 파라미터의 허용 범위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각 파라미터치를 그 허용 범위 내에서 조정 설정하는 설정 장치로서의 입력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기(29)는 입력부(32)로 입력된 파라미터치를 기초로 하여 플로어 모터(6), 조출 아암 모터(17), 분리 모터(23)의 구동을 제어한다.
구체적인 허용 범위는, 통상 모드에서는 공급 속도 15 내지 25 ㎜/초, 압박력 250 내지 350 gf, 분리력 250 내지 350 gf이다. 얇은 것 모드에서는 공급 속도 2.5 내지 7.5 ㎜/초, 압박력 100 내지 200 gf, 분리력 150 내지 250 gf이다. 두꺼운 것 모드에서는 공급 속도 35 내지 45 ㎜/초, 압박력 350 내지 450 gf, 분리력 150 내지 250 gf이다.
도6은 지엽류의 취출 조건의 설정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또한, 도6에 있어서는, 스텝 S1 내지 S6은 상기한 도4에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작업자에 의해 설정부(25)에서, 예를 들어 통상 모드가 선택되고, 이 때 공급부(1)에 투입된 지엽류가 다양한 종류의 혼합 상태이지만, 두꺼운 지엽류의 혼합 비율이 많다고 판별된 경우에는(스텝 S7), 입력부(32)에 의해 각 파라미터의 값을 그것에 맞추어 입력(예를 들어 공급 속도 : 25 ㎜/초, 압박력 : 350 gf, 분리력 : 300 gf)한다. 이 결과, 통상 모드용 제어 파라미터가 약간 두꺼운 것 모드 근방으로 설정되어(스텝 S8), 공급되는 지엽류(P)를 연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반대로 얇은 지엽류의 혼합 비율이 많다고 판별된 경우에는(스텝 S7), 각 파라미터의 값을 그것에 맞추어 입력(예를 들어, 공급 속도 : 15 ㎜/초, 압박력 : 250 gf, 분리력 : 300 gf)한다. 이 결과, 통상 모드용 제어 파라미터가 약간 얇은 것 모드 근방으로 설정되어(스텝 S8), 공급되는 지엽류(P)를 연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얇은 것의 지엽류(P)를 벌크 상태에서 공급 및 처리하고 싶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장치를 가동시키기 전에 설정부(25)에서 얇은 것 모드를 선택 조작한다. 여기서, 공급한 지엽류(P)가 전체적으로는 얇은 것이지만, 그다지 얇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스텝 S7), 그것에 맞추어 각 파라미터를 입력부(32)로 입력(예를 들어, 공급 속도 : 7.5 ㎜/초, 압박력 200 gf, 분리력 : 250 gf)한다. 이에 의해, 얇은 것 모드용 제어 파라미터가 약간 통상 모드 근방으로 설정되어(스텝 S8), 공급되는 얇은 것의 지엽류(P)를 연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두꺼운 것의 지엽류(P)를 벌크 상태에서 공급 및 처리하고 싶을 때에는 작업자가 장치를 가동시키기 전에 설정부(25)의 두꺼운 것 모드를 선택 조작한다. 여기서, 공급한 지엽류(P)가 전체적으로는 두꺼운 것이지만, 그다지 두껍지 않다고 판단하였을 때에는(스텝 S7), 그것에 맞추어 각 파라미터를 입력부(32)에 의해 입력(예를 들어, 공급 속도 : 35 ㎜/초, 압박력 : 350 gf, 분리력 : 250 gf)한다. 이에 의해, 두꺼운 것 모드용 제어 파라미터가 약간 통상 모드 근방으로 설정되어(스텝 S8), 공급되는 두꺼운 것의 지엽류(P)를 연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의 지엽류 취출 장치에 따르면, 미리 작업자가 설정부(25)의 설정 선택 스위치(26, 27, 28)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조작하여 허용 범위 내에 있어서 입력부(32)에서 각 제어 파라미터를 입력함으로써, 지엽류의 종류에 의해 처리 능력이 저하되지 않고, 안정된 취출 동작이 가능해진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지엽류 취출 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1에서 도시한 부분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부(3)의 지엽류 송출측에 지엽류의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 장치로서의 센서(33)가 설치되어 있다.
도8은 지엽류의 취출 조건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계를 도시하는 블럭도로, 도3에서 도시한 부분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번호를 붙인다.
상기한 센서(33)는 신호 회로를 거쳐서 제어기(29)에 접속되어 있다.
설정부(34)에는 제1 설정 선택 스위치(35), 제2 설정 선택 스위치(3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설정 선택 스위치(35)는 혼합 모드, 제2 설정 선택 스위치(36)는 벌크 모드를 선택하는 것이다.
혼합 모드는 다양한 종류의 지엽류(P)가 혼합으로 공급 및 처리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벌크 모드는 지엽류(P)를 벌크 상태(동일 종류만)로 공급 및 처리하는 경우를 상정하고 있다. 통상 시에는 혼합 상태의 지엽류(P)를 공급 및 처리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디폴트로서는 혼합 모드로 한다.
이들 제1 설정 선택 스위치(35), 제2 설정 선택 스위치(36) 중 어느 하나를 선택 조작하면 그 설정 정보는 설정부(34)로부터 제어기(29)로 출력된다.
또한, 센서(33)에서 검출한 지엽류(P)의 상태도 제어기(29)로 출력된다. 여기서 지엽류(P)의 상태라 함은 지엽류(P)의 반송 간격(캡)이다.
설정부(34)에 의한 처리 모드의 선택을 기초로 하여 미리 메모리(37)에 기억되어 있는 각 처리 모드에 대응하는 플로어 모터(6)로의 공급 속도 지령 파라미터, 조출 아암 모터(17)로의 압박력 지령 파라미터, 분리 모터(23)로의 분리력 지령 파라미터가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혼합 모드에서는 공급 속도 20 ㎜/초, 압박력 300 gf, 분리력 300 gf로 설정된다. 벌크 모드에서는 공급 속도 5 ㎜/초, 압박력 150 gf, 분리력 200 gf로 설정된다.
혼합 모드에서의 제어 파라미터 설정치는 다양한 종류의 지엽류(P)를 평균적으로 처리 가능하도록 맞춘 값이고, 고정치로 한다.
벌크 모드에서의 제어 파라미터의 초기치는 얇은 것을 처리할 때에 적합한 값으로 하고, 허용 범위(공급 속도 5 내지 40 ㎜/초, 압박력 150 내지 400 gf, 분리력 200 gf)를 갖고 있다. 이 설정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제어기(29)는 플로어 모터(6), 조출 아암 모터(17), 분리 모터(23)를 가변 제어한다.
도9는 지엽류의 취출 조건의 설정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우선, 작업자는 공급 및 처리하는 지엽류(P)의 종류에 따른 처리 모드를 설정부(34)에서 선택한다(스텝 S11). 다양한 종류의 지엽류(P)를 혼합 상태에서 공급 및 처리할 때에는 혼합 모드를 선택한다(디폴트로 혼합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전의 모드로부터 변화가 없으면 이 조작은 필요없음). 이 결과, 혼합 모드 용 제어 파라미터가 설정되어(스텝 S12), 취출 동작이 개시된다(스텝 S13). 이에 의해, 공급되는 지엽류(P)를 연속적으로, 또한 안정적으로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지엽류가 취출된 후, 공급부(1)에 있어서의 지엽류(P)의 유무가 판별되고(스텝 S14), 지엽류(P)가 없는 경우에는 취출이 종료된다.
한편, 지엽류(P)를 벌크 상태에서 공급 및 처리할 때에는 작업자가 장치를 가동시키기 전에 벌크 모드를 선택한다(스텝 S11). 그러면, 초기치로서 설정되어 있는 얇은 것용 제어 파라미터로 취출 동작을 개시한다. 얇은 매체일 때는 제어 파라미터가 얇은 것용으로 되어 있으므로, 갭이 도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하고 양호한 취출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꺼운 매체일 때에는 갭이 넓고, 또한 갭의 흐트러짐이 커진다. 즉, 도11a, 도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갭을 통계적으로 처리하면 갭의 평균치는 G1 < G2가 되고, 표준 편차는 σ1 < σ2가 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분리부(3)로부터 송출되는 지엽류(P)의 갭을 센서(33)로 검출하여 측정하고(스텝 S15), 소정 매수(예를 들어 100통)의 갭을 측정한 경우에는(스텝 S16), 그 평균치, 표준치를 계산한다(스텝 S17). 그리고, 평균치, 표준치가 규정치 이상이 되었을 때에는(스텝 S18), 공급 속도, 압박력을 크게 하도록 파라미터를 크게 하고(스텝 S19), 플로어 모터(6), 조출 아암 모터(17)를 가변 제어한다. 이에 의해, 갭의 평균치, 표준 편차가 규정치가 될 때까지 제어 파라미터가 자동 조정되어 두꺼운 것에 대해 적정치가 된다.
또한, 두꺼운 것용 적정치가 된 후에 얇은 것이 벌크 상태에서 공급된 경우 에는 갭의 평균치, 표준 편차가 규정치를 하회해 버린다. 그 경우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공급 속도, 압박력을 작게 하도록 파라미터를 작게 하고(스텝 S20), 플로어 모터(6), 조출 아암 모터(17)를 가변 제어한다. 이에 의해, 얇은 것에 대해 적절한 값이 된다.
또한, 갭이 규정 범위 내인 경우에는 파라미터를 그대로 하고(스텝 S21), 플로어 모터(6), 조출 아암 모터(17)를 가변 제어한다(스텝 S22).
본 제3 실시 형태의 지엽류 취출 장치에 따르면, 미리 작업자가 처리 대상 매체의 상태(혼합·벌크)를 판단하여 설정부(34)의 설정 선택 스위치(35, 36)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매체 종류에 따라서 처리 능력이 저하되지 않고, 안정된 취출 동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이송 롤러(18)와 분리 롤러(21)로 이루어지는 분리부(3)를 1개만 설치하였지만, 이 분리부(3)는 복수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기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부(25)에서의 모드 선택에 의해 제어기(29)는 플로어 모터(6), 조출 아암 모터(17), 분리 모터(23)를 제어하고 있는 것이지만, 이 플로어 모터(6), 조출 아암 모터(17), 분리 모터(23) 중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만으로도 효과는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통상 모드 이외에 두꺼운 것, 얇은 것 모드를 준비하였지만, 모드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엽류의 무게에 따라서 모드를 절환해도 좋다.
특수 매체용에 모드를 더 추가해도 좋다. 또한, 두꺼운 것 모드만, 얇은 것 모드만 등 모드를 줄여도 좋다. 요컨대, 통상 모드 이외에 동작 모드가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센서(33)에 의해 지엽류의 갭을 검출하였지만, 단위 시간당의 통과 매수를 검출하고, 그것을 기초로 하여 제어해도 같은 효과가 있다.
이 기술 분야의 숙련자는 부가적인 이점 및 변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넓은 상태에서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특정한 설명 및 대표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다양한 변경은 첨부한 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물과 같이 일반적인 발명의 개념의 기술 사상 및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따르면, 작업자가 사전에 처리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공급부의 공급 속도, 조출 롤러의 압박력, 분리 롤러의 분리력이 대상 매체에 적절한 값으로 설정되어 처리 능력을 저하시키지 않고, 안정된 조출 동작이 가능해진다.

Claims (8)

  1. 집적 상태의 지엽류를 그 집적 방향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이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조출하는 조출 롤러와,
    상기 조출 롤러를 상기 지엽류에 대해 압박하는 압박 장치와,
    상기 조출 롤러에 의해 조출되는 지엽류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송출하는 이송 롤러와,
    이 이송 롤러에 압접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의 회전 토크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분리하는 분리 롤러와,
    복수의 처리 모드를 갖고, 각 처리 모드마다의 상기 공급 장치의 공급 속도, 상기 압박 장치의 압박력, 상기 분리 롤러의 분리력의 각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복수의 처리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장치와,
    이 모드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되는 처리 모드에 따라서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각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이들 파라미터를 기초로 하여 상기 공급 장치의 공급 속도, 상기 압박 장치의 압박력 및 상기 분리 롤러의 분리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 모드는 각종 혼합 상태의 지엽류를 처리 하는 통상 처리 모드와, 얇은 지엽류만을 처리하는 얇은 것 처리 모드와, 두꺼운 지엽류만을 처리하는 두꺼운 것 처리 모드인 지엽류 취출 장치.
  3. 집적 상태의 지엽류를 그 집적 방향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이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조출하는 조출 롤러와,
    이 조출 롤러를 상기 지엽류에 대해 압박하는 압박 장치와,
    상기 조출 롤러에 의해 조출되는 지엽류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송출하는 이송 롤러와,
    이 이송 롤러에 압접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의 회전 토크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분리하는 분리 롤러와,
    복수의 처리 모드를 갖고, 각 처리 모드마다의 처리 가능한 상기 공급 장치의 공급 속도 파라미터의 허용 범위, 상기 압박 장치의 압박력 파라미터의 허용 범위, 상기 분리 롤러의 분리력 파라미터의 허용 범위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복수의 처리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장치와,
    이 모드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처리 모드에 따라서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각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이들 각 파라미터의 값을 그 허용 범위 내에서 조정 설정하는 설정 장치와,
    이 설정 장치에 의해 설정된 파라미터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공급 장치의 공급 속도, 상기 압박 장치의 압박력 및 상기 분리 롤러의 분리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 모드는 각종 혼합 상태의 지엽류를 처리하는 통상 처리 모드와, 얇은 지엽류만을 처리하는 얇은 것 처리 모드와, 두꺼운 지엽류만을 처리하는 두꺼운 것 처리 모드인 지엽류 취출 장치.
  5. 집적 상태의 지엽류를 그 집적 방향에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이 공급 장치에 의해 공급되는 지엽류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조출하는 조출 롤러와,
    이 조출 롤러를 상기 지엽류에 대해 압박하는 압박 장치와,
    상기 조출 롤러에 의해 조출되는 지엽류를 제1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송출하는 이송 롤러와,
    상기 이송 롤러에 압접되어 상기 제1 방향과 반대의 제2 방향의 회전 토크가 인가됨으로써 상기 지엽류를 분리하는 분리 롤러와,
    이 분리 롤러에 의해 분리되어 반송되는 지엽류의 상태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와,
    복수의 처리 모드를 갖고, 각 처리 모드마다의 상기 공급 장치의 공급 속도, 상기 압박 장치의 압박력, 상기 분리 롤러의 분리력의 각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복수의 처리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는 모드 선택 장치와,
    이 모드 선택 장치에 의해 선택된 처리 모드에 따라서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각 파라미터를 판독하고, 이들 파라미터를 상기 검출 장치에 의해 검출되는 지엽류의 상태를 기초로 하여 조정하고, 이 조정한 파라미터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공급 장치의 공급 속도, 상기 압박 장치의 압박력 및 상기 분리 롤러의 분리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처리 모드는 각종 혼합 상태의 지엽류를 처리하는 통상 처리 모드와, 한 종류의 지엽류를 처리하는 벌크 처리 모드인 지엽류 취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반송되는 지엽류 사이의 갭을 검출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장치는 상기 반송되는 지엽류의 소정 매수에 대한 지엽류 사이의 평균 갭을 검출하는 지엽류 취출 장치.
KR1020050042238A 2004-05-20 2005-05-20 지엽류 취출 장치 KR1006538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50632A JP2005330065A (ja) 2004-05-20 2004-05-20 紙葉類取出装置
JPJP-P-2004-00150632 2004-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8030A true KR20060048030A (ko) 2006-05-18
KR100653813B1 KR100653813B1 (ko) 2006-12-06

Family

ID=3493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2238A KR100653813B1 (ko) 2004-05-20 2005-05-20 지엽류 취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13185B2 (ko)
EP (1) EP1602606B1 (ko)
JP (1) JP2005330065A (ko)
KR (1) KR100653813B1 (ko)
DE (1) DE602005017221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840B1 (ko) * 2007-08-29 2011-06-1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시트 취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9736B1 (ko) * 2005-09-22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급지방법
SE531523C2 (sv) * 2005-12-01 2009-05-05 De La Rue Cash Systems Ab Separeringsanordning
JP2007217092A (ja) * 2006-02-15 2007-08-30 Fuji Xerox Co Ltd シート供給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7254114A (ja) * 2006-03-24 2007-10-04 Toshiba Corp 紙葉類分離取り出し装置
EP1837296B1 (en) 2006-03-24 2013-08-28 Kabushiki Kaisha Toshiba Device and method for taking out sheets
US7604230B2 (en) * 2006-04-28 2009-10-20 Pitney Bowes Inc. Method of providing multiple separation modes in a feeder
JP4482899B2 (ja) * 2007-11-29 2010-06-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測定装置、シート材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FR2925474B1 (fr) 2007-12-20 2009-11-27 Solystic Dispositif de depilage d'envois postaux multi-modes
EP2165776B1 (en) * 2008-09-18 2012-02-01 Selex Elsag S.P.A. System for sorting and sequencing postal objects
US8342512B2 (en) * 2009-09-28 2013-01-01 Kabushiki Kaisha Toshiba Paper sheet pick up device
JP2011068471A (ja) * 2009-09-28 2011-04-07 Toshiba Corp 紙葉類の取出し装置
FR2950873B1 (fr) * 2009-10-02 2011-12-16 Neopost Technologies Dispositif d'alimentation a separation d'enveloppes controlee
JP5911736B2 (ja) 2012-02-28 2016-04-27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出装置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US10640312B2 (en) * 2017-12-21 2020-05-05 Superior Product Handling Solutions, Inc. Friction feeding separat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66447A (ja) * 1985-01-18 1986-07-28 Sanyo Electric Co Ltd 給紙装置
US5224695A (en) * 1992-04-21 1993-07-06 Bell & Howell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documents
JPH10139191A (ja) * 1996-09-12 1998-05-26 Tohoku Ricoh Co Ltd 給紙装置
JP2000289865A (ja) 1999-04-08 2000-10-17 Canon Electronics Inc 給紙装置、シート材処理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4077245B2 (ja) 2002-05-28 2008-04-16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0840B1 (ko) * 2007-08-29 2011-06-14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시트 취출 장치
US8235378B2 (en) 2007-08-29 2012-08-07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take-ou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02606A2 (en) 2005-12-07
EP1602606A3 (en) 2007-10-10
KR100653813B1 (ko) 2006-12-06
US7413185B2 (en) 2008-08-19
DE602005017221D1 (de) 2009-12-03
JP2005330065A (ja) 2005-12-02
US20050258592A1 (en) 2005-11-24
EP1602606B1 (en)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53813B1 (ko) 지엽류 취출 장치
US7717416B2 (en) Paper sheet separation and transfer apparatus
EP12301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uto compensator pick mechanism to reduce the occurrence of multi-feeds
JP2007153560A (ja) 給紙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132990B2 (en)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veying printing medium
US11639278B2 (en) Media feed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8113504B2 (en) Media sheet feeding method for overcoming at least one media handling failure mode
JP2784296B2 (ja) 用紙搬送制御装置
JP2007230687A (ja) シート搬送装置
JP3023269B2 (ja) 紙葉類収納繰出装置
US20100230891A1 (en) Sheet feeding apparatus
JP2503871B2 (ja) 紙葉類繰り出し装置
US6783125B2 (en) Stapler processing apparatus for paper collating machine
JP2020050474A (ja) 用紙排出装置
JP7412967B2 (ja) シート給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JPH0252965B2 (ko)
JPH0558482A (ja)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H107266A (ja) 媒体繰り出し機構
JP2981514B2 (ja) 紙葉類の繰出し圧ファジィ制御装置
JP2893619B2 (ja) 紙葉類の繰出し装置
JPH05745A (ja) 紙葉類の繰出し操作量調整装置
KR100524005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장치 및 그 용지이송방법
JP2657024B2 (ja) 紙葉類の分離繰り出し機構
JPH04323134A (ja) 紙葉類繰出し装置
JP2009007107A (ja) シート搬送装置、原稿読取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