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47305A - 다방향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다방향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47305A
KR20060047305A KR1020050032997A KR20050032997A KR20060047305A KR 20060047305 A KR20060047305 A KR 20060047305A KR 1020050032997 A KR1020050032997 A KR 1020050032997A KR 20050032997 A KR20050032997 A KR 20050032997A KR 20060047305 A KR20060047305 A KR 20060047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rge diameter
input device
elastic member
case body
annu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2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6584B1 (ko
Inventor
준 야시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7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7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33/00Religious or ritual equipment in dwelling or for general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Abstract

슬라이드 조작한 조작체를 자동 복귀시킬 수 있음과 함께, 조작 영역을 넓게 잡아 조작 방향에 의한 조작력의 편차가 적고 또한 조립성이 양호한 다방향 입력장치와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
케이스체 (10) 의 내부에는, 조작체 (13) 의 대경부 (13a) 와, 이 대경부 (13a) 를 포위하는 환형 코일 스프링 (14) 과, 조작체 (13) 의 슬라이드 방향 및 슬라이드량을 검출하는 슬라이딩자 (17,18) 등의 검출수단이 배치되어 있고, 조립시에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임시 유지하는 조립지그 (30) 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지그 삽입통과 구멍 (10c) 이 미리 케이스체 (10) 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체 (10) 의 개구 (10b) 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부 (13b) 를 개재하여 조작체 (13) 를 슬라이드 조작하면, 대경부 (13a) 가 그 슬라이드 방향에 위치하는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밀어 넣어 신장시키기 때문에, 조작력을 제거하면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의 복원력으로 조작체 (13) 는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된다.

Description

다방향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MULTI-DIRECTIONALINPUT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다방향 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는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 는 그 다방향 입력장치를 도 4 와는 다른 각도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6 은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7 은 바닥부 커버와 기판을 제거하고 그 다방향 입력장치를 저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 은 그 다방향 입력장치를 천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 는 상부 케이스와 바닥부 커버를 제거하고 그 다방향 입력장치를 천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0 은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한 쌍의 슬라이더와 기판을 천면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 은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환형 코일 스프링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그 환형 코일 스프링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 은 비조작시의 조작체와 환형 코일 스프링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과 동일한 상태에서의 각 슬라이더의 위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5 는 케이스체의 한 변을 따라 슬라이드 조작하였을 때의 조작체와 환형 코일 스프링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와 동일한 상태에서의 각 슬라이더의 위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7 은 케이스체의 대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였을 때의 조작체와 환형 코일 스프링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 은 도 17 과 동일한 상태에서의 각 슬라이더의 위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9 는 조립 지그에 의해 환형 코일 스프링을 임시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0 은 도 19 에 나타내는 조립과정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1 은 종래예에 관한 다방향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케이스체 10a : 천판부
10b : 외부 개구 (개구) 10c : 지그 삽입통과 구멍
10d : 격벽 10e : 연통 개구
10f, 10g : 돌제(突堤)부 (위치 결정 수단)
11 : 상부 케이스 12 : 하부 케이스
12b : 가이드벽 13: 조작체
13a : 대직경부 13b : 돌기부 (조작력 부여부)
13c : 구동부 14 : 환형 코일 스프링
15 : 제 1 슬라이더 16 : 제 2 슬라이더
17 : 제 1 슬라이딩자 (검출수단) 18 : 제 2 슬라이딩자 (검출수단)
19 : 기판 20 : 바닥부 커버
21 : 제 1 공동부 22 : 제 2 공동부
23 : 코일 스프링 23a, 23b : 단부
24 : 단자 25 : 제 1 도전패턴 (검출수단)
26 : 제 2 도전패턴 (검출수단) 30 : 조립 지그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24184호 (3-4페이지, 도 2)
「특허문헌 2」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84916호 (4-8페이지, 도 3)
본 발명은 게임기나 휴대전화기 등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방향 입력장치와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소정 입력이 가능한 다방 향 입력장치와 그 조립방법과 관한 것이다.
도 21 은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이 다방향 입력장치는 조작부를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소정 입력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도 21 에 나타내는 다방향 입력장치는, 절연성 상부 케이스 (2) 및 하부 케이스 (3) 를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케이스체 (1) 와, 이 케이스체 (1) 에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 (4) 와, 이 조작체 (4) 의 돌기부 (4a) 에 구동되어 케이스체 (1) 의 내부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제 1 슬라이더 (5) 및 제 2 슬라이더 (6) 와, 제 1 슬라이더 (5) 에 유지된 제 1 슬라이딩자 (7) 와, 제 2 슬라이더 (6) 에 유지된 제 2 슬라이딩자 (8) 와, 상부 케이스 (2) 의 이면에 배치된 기판 (9) 에 의해 주로 구성되고 있고, 기판 (9) 의 저면측에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딩자 (7, 8) 가 각각 슬라이딩 접촉하는 도시하지 않은 한 쌍의 도전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 (1) 의 상부 케이스 (2) 에는 개구 (2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 (2a) 를 관통하는 조작체 (4) 의 돌기부 (4a) 상단부에 도시하지 않은 조작 손잡이가 고착되어, 돌기부 (4a) 에 조작력이 부여되게 되어 있다. 조작체 (4) 에는 하부 케이스 (3) 의 내저면 (3a) 을 수용면으로 하는 정사각형 평판부 (4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평판부 (4b) 의 중앙에 돌기부 (4a) 가 세워 형성되어 있다. 제 1 슬라이더 (5) 에는 조작체 (4) 의 돌기부 (4a) 를 삽입통과시켜 걸어맞춘 직선형의 걸어맞춤구멍 (5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구멍 (5a) 의 폭방향을 따라 제 1 슬라이더 (5) 는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슬라이더 (6) 에는 돌기부 (4a) 를 삽입통과시 켜 걸어맞춤시킨 직선형의 걸어맞춤구멍 (6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구멍 (6a) 의 폭방향을 따라 제 2 슬라이더 (6) 는 이동할 수 있다. 즉,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구멍 (5a) 과 걸어맞춤구멍 (6a) 이 교차하는 위치에 돌기부 (4a) 를 삽입통과시켜 걸어맞춤으로써 돌기부 (4a) 의 수평방향 (개구 (2a) 의 직경방향) 의 이동에 따라 각 슬라이더 (5, 6) 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 하부 케이스 (3) 에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더 (5, 6) 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벽 (3b) 이 프레임형으로 세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략 구성된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손잡이를 이용하여 조작체 (4) 를 예를 들어 걸어맞춤구멍 (5a) 의 길이방향 (도 21 의 좌우방향) 을 따라 슬라이드 조작하면 제 1 슬라이더 (5) 에는 조작력이 작용하지 않지만 제 2 슬라이더 (6) 는 돌기부 (4a) 로 구동되기 때문에 조작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따라서 제 2 슬라이딩자 (8) 가 대응하는 도전패턴과의 접촉위치를 변화시켜 그 접촉위치에 따른 검출신호가 도시하지 않은 단자에서 출력된다. 마찬가지로, 조작체 (4) 를 걸어맞춤구멍 (6a) 의 길이방향 (도 21 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 을 따라 슬라이드 조작하면 제 2 슬라이더 (6) 에는 조작력이 작용하지 않지만 제 1 슬라이더 (5) 는 돌기부 (4a) 로 구동되기 때문에 조작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며, 따라서 제 1 슬라이딩자 (7) 가 대응하는 도전패턴과의 접촉위치를 변화시켜 그 접촉위치에 따른 검출신호가 도시하지 않은 단자에서 출력된다. 또한 조작체 (4) 를 걸어맞춤구멍 (5a, 6a) 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한 경우에는, 그 조작방향과 슬라이드량에 따라 제 1 및 제 2 슬라이더 (5, 6) 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소정 양만큼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 1 및 제 2 슬라이딩자 (7, 8) 의 위치에 따른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따라서, 이들 검출신호를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서 연산처리함으로써, 조작체 (4) 의 슬라이드 방향 및 슬라이드 양을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에는, 슬라이드 조작한 조작체 (4) 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조작체 (4) 를 슬라이드 조작이 가능한 영역의 단부 근방에서 정지시키면 다음에 슬라이드 조작을 할 때 그 단부방향으로는 거의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없게 되어, 게임기 등에서 조작성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종래 조작체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으로서 O 링이나 선스프링을 장착한 다방향 입력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참조). 이러한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예를 들어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되는 조작체의 대직경부와 그 케이스체의 내벽 사이에 있는 환형 공간에 단면형상이 대략 타원형인 O 링을 끼워 넣고 조작체를 슬라이드 조작하면, 대직경부가 슬라이드 방향에서 O 링을 누르고, 그 조작력을 제거하면 O 링의 눌린 부분의 복원력으로 조작체가 초기 위치까지 다시 돌아오게 되어 있다. 또는 일단부가 케이스체의 내벽에 지지된 복수 개의 선 스프링의 타단부를 조작체의 외주면에 탄성 접촉시킴으로써 조작체를 슬라이드 조작하면 선 스프링이 휘고, 조작력을 제거하면 선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조작체가 초기 위치까지 돌아가게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 21 에 나타내는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슬라이드 조작한 조작체 (4) 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이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양호한 조작성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조작체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으로서 O 링을 장착한 종래예에서는, 굵고 탄성변형량이 큰 O 링을 사용하였다고 해도 조작체를 크게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은 곤란하기 때문에,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영역 (조작영역) 을 넓게 잡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조작체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으로서 선 스프링을 장착한 종래예에서는, 조작체를 어떤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지에 따라 선 스프링의 반력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에, 조작력이 슬라이드 방향에 따라 편차가 많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 1 목적은, 슬라이드 조작한 조작체를 자동 복귀시킬 수 있음과 함께, 조작영역을 넓게 잡아 조작방향에 의한 조작력의 편차가 적고, 게다가 조립성이 양호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조작성이 우수하고 조립성도 양호한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서술한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에서는, 개구를 갖는 케이스체와, 상기 개구에 노출되는 조작력 부여부와 그 개구보다도 직경이 크고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된 대직경부를 가지며 다방향으로 슬 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서 상기 대직경부를 포위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그 대직경부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환형 탄성부재와, 상기 초기 위치에서의 상기 대직경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환형 탄성부재의 내주부에 맞닿아 위치 규제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에 상기 위치 결정 수단보다도 외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그 삽입통과 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지그 삽입통과 구멍에 삽입통과된 조립 지그에 상기 환형 탄성부재를 감아 장착함으로써 그 환형 탄성부재를 임시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상기 대직경부가 그 슬라이드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환형 탄성부재를 밀어 넣어 신장 (탄성 변형) 시키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다방향 입력장치는, 조작체를 슬라이드 조작하면, 그 대직경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는 환형 탄성부재가 그 대직경부에 밀려 들어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신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체를 크게 슬라이드 이동시켜도 환형 탄성부재를 무리없이 신장시킬 수 있으며,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영역 (조작영역) 을 넓게 잡을 수 있음과 함께 슬라이드 방향이 다르더라도 조작력에 크게 편차가 생길 우려가 없다. 또한 조작력을 제거하면 신장되어 있는 환형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대직경부가 되돌아오기 때문에, 조작체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조립시에는 지그 삽입통과 구멍에 삽입통과된 조립 지그에 환형 탄성부재를 감아 장착해 둠으로써, 그 후에 장착되는 조작체의 대직경부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그 환형 탄성부재를 임시 유지해 둘 수 있기 때문에, 환형 탄성부재에 의해 조립성이 손상될 우려는 없다.
이러한 구성의 다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에 4개 이상의 상기 지그 삽입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의 근방에 각 지그 삽입통과 구멍을 위치시키더라도 그 지그 삽입통과 구멍에 삽입통과된 조립 지그에 의해 조작체의 대직경부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환형 탄성부재를 임시 유지해 둘 수 있기 때문에, 다방향 입력장치의 소형화를 꾀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구성의 다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의 외형이 평면에서 보아 원형이라면, 그 대직경부의 외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환형 탄성부재를 탄성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조작력에 슬라이드 방향에 따라 편차가 생길 가능성이 더욱 저감되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다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형 탄성부재는 환형 고무 등이어도 되지만, 환형 탄성부재가 환형 코일 스프링이라면 장기에 걸쳐 열화되기 어려워 슬라이드 조작이 반복되어도 소성 변형을 일으키기 어렵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다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상기 케이스체 내에 다른 부재를 장착한 구성으로 해도 되지만, 케이스체의 내벽에 돌출설치된 돌제부를 위치 결정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면, 부품수를 삭감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그 돌제부를 원환형으로 형성해 두면, 환형 탄성부재를 전체 둘레에 걸쳐 동등한 조건으로 위치 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력에 슬라이 드 방향에 따라 편차가 생길 가능성이 더욱 저감되어 바람직하고, 돌제부에 대한 환형 탄성부재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방법에서는, 개구를 갖는 케이스체와, 상기 개구에 노출되는 조작력 부여부와 그 개구보다도 직경이 크고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된 대직경부를 가지며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서 상기 대직경부를 포위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그 대직경부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환형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에는, 상기 환형 탄성부재의 내주부에 맞닿아 위치규제하기 위한 돌제부와, 그 돌제부의 직경방향 외측에 조립 지그를 배치시키기 위한 복수의 지그 삽입통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조립시에, 상기 지그 삽입통과 구멍에 삽입통과된 상기 조립 지그에 상기 환형 탄성부재를 감아 장착함으로써 그 환형 탄성부재를 임시 유지하고, 그 상태로 상기 조작체를 상기 케이스체에 장착한 후, 상기 조립 지그를 상기 지그 삽입통과 구멍에서 빼냄으로써 상기 환형 탄성부재를 스스로의 탄성으로 상기 대직경부의 외측에 감아 장착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시에, 케이스체의 지그 삽입통과 구멍에 삽입통과시킨 조립 지그에 환형 탄성부재를 감아 장착하여 임시 유지해 두면, 이 상태로 조작체를 케이스체에 부착해도 환형 탄성부재가 그 조작체의 대직경부와 간섭할 우려는 없고, 그 후 조립 지그를 지그 삽입통과 구멍에서 빼내면 환형 탄성부 재가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그 대직경부의 외측에 감겨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환형 탄성부재나 조작체의 부착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이렇게 하여 조립된 다방향 입력장치는, 조작체를 슬라이드 조작하면, 그 대직경부를 전체 둘레에 걸쳐 포위하는 환형 탄성부재가 그 대직경부에 밀려 들어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신장 (탄성변형) 되기 때문에, 조작체를 크게 슬라이드 이동시키더라도 환형 탄성부재를 무리없이 신장시킬 수 있으며,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영역을 넓게 잡을 수 있음과 함께 슬라이드 방향이 다르더라도 조작력에 크게 편차가 생길 우려가 없다. 또한 조작력을 제거하면 신장되어 있는 환형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대직경부가 되돌아오기 때문에, 조작체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에 4개 이상의 상기 지그 삽입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면,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의 근방에 각 지그 삽입통과 구멍을 위치시키더라도 그 지그 삽입통과 구멍에 삽입통과된 조립 지그에 의해 조작체의 대직경부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환형 탄성부재를 임시 유지해 둘 수 있기 때문에, 다방향 입력장치의 소형화를 꾀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 이러한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환형 탄성부재는 환형 고무 등이어도 되지만, 환형 탄성부재가 환형 코일 스프링이라면 장기에 걸쳐 열화되기 어려워 슬라이드 조작이 반복되어도 소성 변형을 일으키기 어렵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방법에 있어서, 상기 돌제부가 원환형으 로 형성되어 있으면, 환형 탄성부재를 전체 둘레에 걸쳐 동등한 조건으로 위치규제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력에 슬라이드 방향에 따라 편차가 생길 가능성이 더욱 저감되어 바람직하고, 돌제부에 대한 환형 탄성부재의 움직임을 부드럽게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예에 관한 다방향 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 는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단면도, 도 3 은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평면도, 도 4 는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측면도, 도 5 는 그 다방향 입력장치를 도 4 와는 다른 각도에서 본 측면도, 도 6 은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저면도, 도 7 은 바닥부 커버 및 기판을 제거하고 그 다방향 입력장치를 저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8 은 그 다방향 입력장치를 천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9 는 상부 케이스와 바닥부 커버를 제거하고 그 다방향 입력장치를 천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10 은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한 쌍의 슬라이더와 기판을 천면 측에서 본 사시도, 도 11 은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환형 코일 스프링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a)∼(c) 는 그 환형 코일 스프링의 형성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13∼도 18 은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설명도이며, 도 13 은 비조작시의 조작체와 환형 코일 스프링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 는 도 13 과 동일한 상태에서의 각 슬라이더의 위치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5 는 케이스체의 한 변을 따라 슬라이드 조작하였을 때의 조작체와 환형 코일 스프링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 은 도 15 와 동일한 상태에서의 각 슬라이더의 위치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17 은 케이스체의 대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였을 때의 조작체와 환형 코일 스프링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8 은 도 17 과 동일한 상태에서의 각 슬라이더의 위치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또한 도 19 와 도 20 은 그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19 는 조립 지그에 의해 환형 코일 스프링을 임시 유지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 은 도 19 에 나타내는 조립과정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내는 다방향 입력장치는, 케이스체 (10) 의 구성요소인 절연성 상부 케이스 (11) 및 하부 케이스 (12) 와, 원판형 대직경부 (13a) 의 양면 중심부에 돌기부 (13b) 와 구동부 (13c) 를 돌출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조작체 (13) 와, 상부 케이스 (11) 내에서 대직경부 (13a) 를 포위하는 위치에 장착된 환형 코일 스프링 (14) 과, 하부 케이스 (12) 내에서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제 1 슬라이더 (15) 및 제 2 슬라이더 (16) 와, 제 1 슬라이더 (15) 에 유지된 제 1 슬라이딩자 (17) 와, 제 2 슬라이더 (16) 에 유지된 제 2 슬라이딩자 (18) 와, 이들 제 1 및 제 2 슬라이딩자 (17, 18) 가 각각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도전패턴 (25, 26) 이 형성된 기판 (19) 과, 판금제 바닥부 커버 (20) 에 의해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다방향 입력장치의 케이스체 (10) 는 상부 케이스 (11) 와 하부 케이스 (12) 및 바닥부 커버 (20) 를 조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 (11) 의 천판부는 케이스체 (10) 의 천판부 (10a) 에 상당하고, 이 천판부 (10a) 에는 조작체 (13) 의 돌기부 (13b) 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통과되는 커다란 원형의 외부 개구 (10b) 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개구 (10b) 주위의 동일 원주상에 대략 등간격인 배치로 4개의 작은 지그 삽입통과구멍 (10c) 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지그 삽입통과구멍 (10c) 은 조립시에 후술하는 핀 형상의 조립 지그 (30) 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하부 케이스 (12) 의 천판부는 케이스체 (10) 의 격벽 (10d) 에 상당하며, 이 격벽 (10d) 에는 조작체 (13) 의 구동부 (13c) 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삽입통과되는 커다란 원형의 연통개구 (10e) 가 개설되어 있다.
이 케이스체 (10) 의 내부공간은, 격벽 (10d) 를 개재하여 상방의 제 1 공동부 (21) 와 하방의 제 2 공동부 (22) 로 나뉘어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 (11) 와 격벽 (10d) 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제 1 공동부 (21) 에 조작체 (13) 의 대직경부 (13a) 와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이 배치되어 있으며, 하부 케이스 (12) 와 바닥부 커버 (20) 상에 탑재된 기판 (19) 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제 2 공동부 (22) 에 조작체 (13) 의 구동부 (13c) 나 제 1 및 제 2 슬라이더 (15, 16) 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공동부 (21) 의 천장측 내벽 (천판부 (10a)) 과 바닥면측 내벽 (격벽 (10d)) 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비조작시 (초기 위치) 의 대직경부 (13a) 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원환형 돌제부 (10f, 10g)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평면에서 보아 이들 돌제부 (10f, 10g) 를 포위하도록 상기 서술한 4개의 지그 삽입통과구멍 (10c) 이 배치되어 있다.
또 상부 케이스 (11) 의 저면 네 구석에는 연결핀 (11a) 이 하향으로 돌출설치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 (12) 와 기판 (19) 및 바닥부 커버 (20) 에는 각각의 네 구석에 연결구멍 (12a, 19a, 20a) 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결핀 (11a) 을 대응하는 연결구멍 (12a, 19a, 20a) 에 삽입통과시켜 열용착 등에 의해 바닥부 커버 (20) 의 저면에 고착시키는 동시에, 바닥부 커버 (20) 의 네 구석에 세워 설치되어 있는 코킹편 (20b) 을 상부 케이스 (11) 의 천면 네 구석에 코킹함으로써, 상부 케이스 (11) 와 하부 케이스 (12) 와 기판 (19) 과 바닥부 커버 (20) 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 컴팩트화를 위해서 상부 케이스 (11) 와 하부 케이스 (12) 와 기판 (19) 과 바닥부 커버 (20) 는 전부 평면에서 보아 대략 정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들을 일체화할 때 잘못된 방향으로 부착하는 일이 없도록 연결핀 (11a) 과 이것에 대응하는 연결구멍 (12a, 19a, 20a) 의 형상이나 크기를 장소에 따라 다르게 하여, 부착하는 방향이 일의적으로 규정되도록 하고 있다.
조작체 (13) 는 케이스체 (10) 에 의해 평면 내를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으며, 그 돌기부 (13b) 가 외부 개구 (10b) 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연장되고 있다. 이 돌기부 (13b) 의 상단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손잡이가 고착되어, 그 조작 손잡이를 통해 돌기부 (13a) 에 조작력이 부여되게 되어 있다. 조작체 (13) 의 대직경부 (13a) 는 제 1 공동부 (21) 에 배치되어 있다. 이 대직경부 (13a) 는 외부 개구 (10b) 나 연통 개구 (10e) 보다도 대직경인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조작체 (13) 의 초기 위치에서 외부 개구 (10b) 나 연통 개구 (10e) 는 대직경부 (13a) 에 의해 열리게 되어 있다. 또, 외부 개구 (10b) 가 상기 조작 손잡이에 의해서도 항상 열리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체 (13) 의 구동부 (13c) 는 연통개구 (10e) 를 관통하여 제 2 공동부 (22) 로 연장되어 있고, 이 구동부 (13c) 에 의해 제 1 및 제 2 슬라이더 (15, 16) 가 구동되게 되어 있다.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은, 도 1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소정 길이의 직선형 코일 스프링 (23) 의 양단부 (23a, 23b) 를 연결하여 원환형으로 형성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23) 의 일단부 (23a) 와 그 일단부 (23a) 보다도 코일직경이 작은 타단부 (23b) 를 대향시켜, 그 타단부 (23b) 를 그 일단부 (23a) 내로 밀어 넣도록 삽입해감으로써, 도 12(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부 (23a, 23b) 를 간단하고 확실하게 걸리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이 얻어진다. 또, 직선형 코일 스프링 (23) 의 타단부 (23b) 의 코일직경 (외경) 은 일단부 (23a) 의 내경보다도 크고 그 일단부 (23a) 의 코일직경 (외경) 보다도 작은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 직선형 코일 스프링 (23) 은 타단부 (23b) 를 제외하고 코일직경이 거의 일정하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양단부 (23a, 23b) 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은 전체 둘레에 걸쳐 코일직경이 거의 일정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립시에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둘레방향으로 위치결정할 필요는 없다. 또,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은 도 12 에 나타낸 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직선형 코일 스프링 (23) 의 양단에 고정용 후크부를 각각 형성하여 이들 한 쌍의 후크부끼리 고정함으로써 환형 코일 스프링으로 해도 된다.
이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은 케이스체 (10) 내의 제 1 공동부 (21) 에 배치되어, 조작체 (13) 의 대직경부 (13a) 에 탄성 접촉 상태로 감겨 장착되어 있고, 조작체 (13)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대직경부 (13a) 가 그 슬라이드 방향에 위치하는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밀어 넣어 신장 (탄성변형) 시키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조작 후는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의 복원력에 의해 대직경부 (13a) 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다. 단, 제 1 공동부 (21) 의 상하 내벽에 형성된 돌제부 (10f, 10g) 가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의 내주부에 맞닿아 위치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이 돌제부 (10f, 10g) 보다도 직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제 1 슬라이더 (15) 와 제 2 슬라이더 (16) 는 케이스체 (10) 내의 제 2 공동부 (22) 에 배치되어 있고, 각 슬라이더 (15, 16) 저면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각각 제 1 슬라이딩자 (17) 와 제 2 슬라이딩자 (18) 가 고착되어 있다. 제 1 슬라이더 (15) 에는 조작체 (13) 의 구동부 (13c) 를 삽입통과시켜 걸어맞춘 직선형 걸어맞춤구멍 (15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구멍 (15a) 의 폭방향을 따라 제 1 슬라이더 (15) 는 이동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슬라이더 (16) 에는 구동부 (13c) 를 삽입통과시켜 걸어맞춘 직선형 걸어맞춤구멍 (16a)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어맞춤구멍 (16a) 의 폭방향을 따라 제 2 슬라이더 (16) 는 이동할 수 있다. 즉,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걸어맞춤구멍 (15a) 과 걸어맞춤구멍 (16a) 이 교차하는 위치에 구동부 (13c) 를 삽입통과시켜 걸어맞춤으로써, 구동부 (13c) 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각 슬라이더 (15, 16) 가 각각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 (12) 의 저면에는 제 1 및 제 2 슬라이더 (15, 16) 의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벽 (12b) 이 프레임형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기판 (19) 의 천면측에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맞춤구멍 (15a) 의 폭방향 (걸어맞춤구멍 (16a) 의 길이방향) 을 따라 연장되어 제 1 슬라이딩자 (17) 가 슬라이딩 가능한 저항체 및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1 도전 패턴 (25) 과, 걸어맞춤구멍 (16a) 의 폭방향 (걸어맞춤구멍 (15a) 의 길이방향) 을 따라 연장되어 제 2 슬라이딩자 (18) 가 슬라이딩 가능한 저항체 및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제 2 도전 패턴 (26)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기판 (19) 의 한 변 끝에는 제 1 및 제 2 도전패턴 (25, 26) 을 도시하지 않은 외부회로와 접속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 (24) 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다방향 입력장치를 조립할 때,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조작체 (13) 의 대직경부 (13a) 에 직접 감아 장착하고자 하면 조립작업이 번잡해지고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의 변형이나 분실사고도 일어나기 쉽다. 그 때문에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립시에 케이스체 (10) 의 지그 삽입통과구멍 (10c) 에 핀 형상의 조립 지그 (30) 를 삽입통과시켜, 이 조립 지그 (30) 에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감아 장착하여 임시 유지한 상태로 상부 케이스 (11) 에 조작체 (13) 나 하부 케이스 (12) 등을 차례로 장착해 가는 조립방법을 채용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의 방해를 받지 않고 조작체 (13) 의 대직경부 (13a) 를 제 1 공동부 (21) 내에 수납 시킬 수 있고, 그 후 조립 지그 (30) 를 지그 삽입통과구멍 (10c) 에서 빼내면,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이 스스로의 탄성에 의해 대직경부 (13a) 에 감겨 장착되게 된다. 따라서,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이나 조작체 (13) 의 조립 작업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어 조립성이 양호한 다방향 입력장치가 얻어진다.
또,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케이스체 (10) 에 대략 등간격인 배치로 돌제부 (10f, 10g) 를 포위하도록 4개의 지그 삽입통과구멍 (10c) 을 형성해 두기 때문에, 각 지그 삽입통과구멍 (10c) 이 돌제부 (10f, 10g) 의 비교적 근방에 있더라도 이들 지그 삽입통과구멍 (10c) 에 삽입통과된 조립 지그 (30) 에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감아 장착해 둠으로써,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 (13) 의 대직경부 (13a) 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임시 유지해 둘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립성을 향상시켜 다방향 입력장치의 소형화가 저해될 걱정은 없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을 주로 도 13∼도 18 에 따라 설명한다. 이 다방향 입력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조작 손잡이를 통해 조작체 (13) 가 임의의 방향으로 평면적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는 것인데, 조작력이 부여되지 않은 비조작시에는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이 원환형으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 2 와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 (13) 의 돌기부 (13b) 와 구동부 (13c) 가 각각 외부 개구 (10b) 의 중심부와 연통개구 (10e) 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 구동부 (13c) 는 걸어맞춤구멍 (15a, 16a) 의 각 중앙부와 걸어맞춰져 있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슬라이더 (15, 16) 는 모두 중 립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도 13 과 도 14 에 나타내는 상태로, 상기 조작 손잡이를 통해 조작체 (13) 를 걸어맞춤구멍 (15a) 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조작하면, 제 1 슬라이더 (15) 에는 조작력이 작용하지 않지만 제 2 슬라이더 (16) 는 구동부 (13c) 가 구동되기 때문에 조작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예를 들어 도 15 와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로 이행한다. 이 경우, 상기 제 1 도전 패턴 (25) 에 대한 제 1 슬라이딩자 (17) 의 접촉위치는 변화하지 않지만, 상기 제 2 도전 패턴 (26) 에 대한 제 2 슬라이딩자 (18) 의 접촉위치는 변화한다. 또 돌기부 (13b) 및 구동부 (13c) 와 일체인 대직경부 (13a) 가 슬라이드 이동하기 때문에,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직경부 (13a) 가 이동하는 측에서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이 신장된다.
마찬가지로, 도 13 과 도 14 에 나타내는 상태로, 조작체 (13) 를 걸어맞춤구멍 (16a) 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조작한 경우에는 제 2 슬라이더 (16) 에는 조작력이 작용하지 않고, 따라서 제 2 도전 패턴 (26) 에 대한 제 2 슬라이딩자 (18) 의 접촉위치는 변화하지 않지만, 제 1 슬라이더 (15) 는 구동부 (13c) 가 구동되기 때문에 조작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제 1 도전 패턴 (25) 에 대한 제 1 슬라이딩자 (17) 의 접촉위치가 변화한다. 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 경우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은 도 13 의 좌우방향으로 신장된다.
또한 도 13 과 도 14 에 나타내는 상태로 상기 조작 손잡이를 통해 조작체 (13) 를 케이스체 (10) 의 대각선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한 경우는, 그 조작방향 과 슬라이드량에 따라 제 1 및 제 2 슬라이더 (15, 16) 가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각각 소정량만큼 슬라이드 이동하여, 예를 들어 도 17 과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상태로 이행하여 대직경부 (13a) 가 이동하는 측에서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이 신장된다. 따라서, 제 1 도전 패턴 (25) 에 대한 제 1 슬라이딩자 (17) 의 접촉위치에 따른 검출신호와, 제 2 도전 패턴 (26) 에 대한 제 2 슬라이딩자 (18) 의 접촉위치에 따른 검출신호를 단자 (24) 를 통해 외부회로로 출력하여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서 연산처리함으로써, 조작체 (13) 의 슬라이드 방향 및 슬라이드량을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조작체 (13) 를 슬라이드 조작한 후 그 조작력을 제거하면, 대직경부 (13a) 에 밀려 들어가 신장되어 있는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이 스스로의 탄성으로 원래 형상에 되돌아가려고 하기 때문에, 이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의 복원력에 의해 대직경부 (13a) 가 되돌아가 조작체 (13) 가 도 13 과 도 14 에 나타내는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예에 관한 다방향 입력장치는, 조작체 (13) 를 슬라이드 조작하면 원판상의 대직경부 (13a) 의 외주면에 전체 둘레에 걸쳐 탄성 접촉하고 있는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이 그 대직경부 (13a) 에 밀려 들어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신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체 (13) 를 크게 슬라이드 이동시키더라도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무리없이 신장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공동부 (21) 의 내벽에 돌출 형성한 원환형 돌제부 (10f, 10g) 에 의해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의 내주부를 위치규제하고 있기 때문에,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전체 둘레에 걸쳐 동등한 조건으로 위치 규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조작체 (13) 의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영역 (조작영역) 을 넓게 잡음과 함께, 슬라이드 방향이 다르더라도 조작력의 편차는 거의 없다. 또한 조작력을 제거하면 신장되어 있는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의 복원력에 의해 대직경부 (13a) 가 되돌아오기 때문에, 조작체 (13) 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작성은 매우 양호하다.
또 이 다방향 입력장치에서 사용하고 있는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은, 소정 길이의 코일 스프링 (23) 의 양단부 (23a, 23b) 를 걸어 고정시키는 것만으로 간단히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은 그 내경을 일시적으로 증감시키는 탄성변형을 할 뿐, 슬라이드 조작이 반복되어도 소성 변형을 잘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장기에 걸쳐 양호한 조작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 이 다방향 입력장치에서는, 원판형 대직경부 (13a) 에 의해 케이스체 (10) 의 외부 개구 (10b) 나 연통 개구 (10e) 가 적어도 조작체 (13) 의 초기 위치에서 닫히기 때문에, 다방향 입력장치의 반송시 등에 이들 개구 (10b, 10e) 를 통해 제 1 공동부 (21) 나 제 2 공동부 (22) 에 이물이 침입할 위험성이 적다. 그러므로, 이물의 침입에 기인하는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이나 슬라이더 (15, 16) 의 동작불량이 발생하기 어렵고, 또한 슬라이딩자 (17, 18) 나 도전패턴 (25, 26) 에 이물이 부착하여 검출불량을 초래할 위험성도 줄어 신뢰성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이 다방향 입력장치는,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수납하고 있는 제 1 공동부 (21) 와, 슬라이딩자 (17, 18) 나 도전패턴 (25, 26) 등의 검출수단을 수납하고 있는 제 2 공동부 (22) 가 격벽 (10d) 에 의해 나뉘어져 있기 때문에, 환형 탄성부재 (환형 코일 스프링 ; 14) 가 그 검출수단의 검출동작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는 없다.
또한 이 다방향 입력장치를 조립할 때에는, 케이스체 (10) 의 지그 삽입통과 구멍 (10c) 에 삽입통과시킨 조립 지그 (30) 에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감아 장착해 둠으로써, 그 후에 장착되는 조작체 (13) 의 대직경부 (13a) 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을 임시 유지해 둘 수 있기 때문에, 환형 코일 스프링 (14) 에 의해 조립성이 손상될 우려는 없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예에서는 케이스체 (10) 의 천판부 (10a) 에 지그 삽입통과 구멍 (10c) 를 형성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천판부 (10a) 에 지그 삽입통과구멍을 형성하는 대신에 환형 코일 스프링 (14) 이나 대직경부 (13a) 가 배치되는 공간에 있는 다른 벽부 (예를 들어 격벽 (10d)) 에 동일한 지그 삽입통과 구멍을 형성해도 된다. 또, 환형 코일 스프링 (14) 내주부의 위치규제를 돌제부 (10f, 10g) 중 어느 하나만, 또는 돌제부 (10f, 10g) 이외의 부재를 사용하여 실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딩자 (17, 18) 를 도전패턴 (25, 26) 상에서 슬라이딩시키는 검출방식 이외에 수발광소자를 사용한 광 검출 방식이나 자기 검출 방식, 정전용량 검출 방식 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조작수단은 조작체 (13) 의 슬라이드 이동의 방향만 검출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복귀 수단으로서 환형 코일 스프링 대신에 환형 고무부재나 엘라스토머 등을 사용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입력장치는, 조작체를 슬라이드 조작하면 환형 탄성부재가 대직경부에 밀려 들어가 슬라이드 방향으로 신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가능한 영역을 넓게 잡을 수 있음과 함께 슬라이드 방향이 다르더라도 조작력에 크게 편차가 생길 우려가 없다. 또 조작력을 제거하면 환형 탄성부재의 복원력에 의해 조작체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킬 수 있다. 또한 이 다방향 입력장치의 케이스체에는 지그 삽입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조립시에 그 지그 삽입통과 구멍에 삽입통과된 조립 지그에 환형 탄성부재를 감아 장착함으로써 그 후에 장착되는 조작체의 대직경부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환형 탄성부재를 임시 유지해 둘 수 있기 때문에, 환형 탄성부재에 의해 조립성이 손상될 걱정은 없다. 그러므로, 조작성이 우수하고 조립성도 양호한 다방향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개구를 갖는 케이스체와, 상기 개구에 노출되는 조작력 부여부와 그 개구보다도 직경이 크고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된 대직경부를 가지며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서 상기 대직경부를 포위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그 대직경부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환형 탄성부재와, 상기 초기 위치에서의 상기 대직경부의 외주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환형 탄성부재의 내주부에 맞닿아 위치 규제하는 위치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에 상기 위치 결정 수단보다도 외주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그 삽입통과 구멍을 형성하고, 이들 지그 삽입통과 구멍에 삽입통과된 조립 지그에 상기 환형 탄성부재를 감아 장착함으로써 그 환형 탄성부재를 임시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상기 대직경부가 그 슬라이드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환형 탄성부재를 밀어 넣어 신장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에 4개 이상의 상기 지그 삽입통과 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직경부의 외형이 평면에서 보아 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탄성부재가 환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수단이 상기 케이스체의 내벽에 돌출설치된 돌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제부가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7. 개구를 갖는 케이스체와, 상기 개구에 노출되는 조작력 부여부와 그 개구보다도 직경이 크고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된 대직경부를 가지며 다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 가능하게 유지된 조작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조작체의 슬라이드 이동을 검출하는 검출수단과, 상기 케이스체의 내부에서 상기 대직경부를 포위하는 위치에 장착되어 그 대직경부를 초기 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는 환형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케이스체에는, 상기 환형 탄성부재의 내주부에 맞닿아 위치규제하기 위한 돌제부와, 그 돌제부의 직경방향 외측에 조립 지그를 배치시키기 위한 복수의 지그 삽입통과 구멍이 설치되어 있고,
    조립시에, 상기 지그 삽입통과 구멍에 삽입통과된 상기 조립 지그에 상기 환형 탄성부재를 감아 장착함으로써 그 환형 탄성부재를 임시 유지하고, 그 상태로 상기 조작체를 상기 케이스체에 장착한 후, 상기 조립 지그를 상기 지그 삽입통과 구멍에서 빼냄으로써 상기 환형 탄성부재를 스스로의 탄성으로 상기 대직경부의 외측에 감아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에는 4개 이상의 상기 지그 삽입통과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탄성부재가 환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제부가 원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방법.
KR1020050032997A 2004-04-23 2005-04-21 다방향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 KR100626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28703 2004-04-23
JP2004128703A JP3814279B2 (ja) 2004-04-23 2004-04-23 多方向入力装置およびその組立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7305A true KR20060047305A (ko) 2006-05-18
KR100626584B1 KR100626584B1 (ko) 2006-09-25

Family

ID=35346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2997A KR100626584B1 (ko) 2004-04-23 2005-04-21 다방향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814279B2 (ko)
KR (1) KR100626584B1 (ko)
CN (1) CN100411078C (ko)
TW (1) TWI264026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812A2 (ko) * 2008-03-19 2009-09-24 주식회사 자코드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EP2407860A1 (en) * 2009-03-11 2012-01-18 Innochips Technology Co., Ltd.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06766B1 (ko) * 2010-07-20 2012-01-18 주식회사 자코드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1793B2 (ja) * 2007-06-11 2010-08-25 ホシデン株式会社 複合操作型入力装置
JP5635777B2 (ja) * 2009-04-28 2014-12-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センサ装置並びに入力装置、遊技球発射装置
JP5635764B2 (ja) * 2009-11-27 2014-12-0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センサ装置
JP2011159173A (ja) * 2010-02-02 2011-08-18 Mitsumi Electric Co Ltd 操作入力装置
JP5394315B2 (ja) * 2010-05-11 2014-01-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CN102386015B (zh) * 2010-09-01 2013-09-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多方向开关装置
KR101156937B1 (ko) * 2010-10-11 2012-06-14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다방향 입력 장치
KR20120049630A (ko) * 2010-11-09 2012-05-17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다방향 입력 장치
JP5910082B2 (ja) * 2011-12-28 2016-04-27 ミツミ電機株式会社 多方向スイッチおよび操作入力装置
CN103632877B (zh) 2012-08-23 2016-06-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多方向开关装置
CN103971977B (zh) 2013-02-05 2016-06-08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多方向开关装置
JP6274003B2 (ja) * 2014-05-09 2018-02-07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操作システム
CN105374609B (zh) * 2014-07-14 2018-12-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多方向开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3013B2 (ja) * 1993-05-17 1995-12-25 株式会社畠山製作所 全方位型スライドスイッチ
JPH1021795A (ja) 1996-07-05 1998-01-23 Mitsumi Electric Co Ltd マルチスライドスイッチ
JP3406800B2 (ja) 1997-04-25 2003-05-12 ホシデン株式会社 コントロールスイッチ
JP2001307599A (ja) * 2000-02-15 2001-11-02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スライドスイッチ
JP3923253B2 (ja) 2000-12-28 2007-05-30 ホシデン株式会社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2002352670A (ja) * 2001-05-23 2002-12-06 Alps Electric Co Ltd 多方向入力装置
JP2003059374A (ja) * 2001-06-04 2003-02-28 Mic Electron Co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3084916A (ja) * 2001-09-11 2003-03-20 Alps Electric Co Ltd 座標入力装置
US6657141B1 (en) * 2002-11-12 2003-12-02 Mitsuku Denshi Kogyo K.K. Four-way slide switch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6812A2 (ko) * 2008-03-19 2009-09-24 주식회사 자코드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WO2009116812A3 (ko) * 2008-03-19 2009-12-10 주식회사 자코드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CN101978609A (zh) * 2008-03-19 2011-02-16 株式会社佳克得 用于便携式终端的多向滑动输入装置
KR101099030B1 (ko) * 2008-03-19 2012-01-16 주식회사 자코드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EP2407860A1 (en) * 2009-03-11 2012-01-18 Innochips Technology Co., Ltd.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EP2407860A4 (en) * 2009-03-11 2013-01-09 Innochips Technology Co Ltd POIN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KR101106766B1 (ko) * 2010-07-20 2012-01-18 주식회사 자코드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310669A (ja) 2005-11-04
KR100626584B1 (ko) 2006-09-25
TW200605120A (en) 2006-02-01
JP3814279B2 (ja) 2006-08-23
CN1691237A (zh) 2005-11-02
CN100411078C (zh) 2008-08-13
TWI264026B (en)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584B1 (ko) 다방향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3923253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4624269B2 (ja) 多方向入力装置
US20010030113A1 (en) Pointing device
JP3814280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4363155B2 (ja) 回転・押圧操作型電子部品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117339B2 (ja) 複合操作型入力装置
KR101099067B1 (ko) 누름 조작형 스위치장치
JP4693892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4332537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7207563A (ja) 電気装置の操作機構
JP2003345509A (ja) 信号入力装置
JP2005310668A (ja) 多方向入力装置
JPH049708Y2 (ko)
JP4087603B2 (ja) スライド型電気部品
JP2005056766A (ja) 操作つまみのロック機構
JP2003031076A (ja) スライド操作式スイッチ
JP2003346602A (ja) スライド型電気部品
JP2007053018A (ja) スライド式電子部品及びその組立方法
JP7194083B2 (ja) 電子機器及び電流検出器
JPH0515406U (ja) スライド操作型電気部品
JP3910361B2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
JP4201682B2 (ja) 二段押圧スイッチ
JPH05281569A (ja) Lcdの取付具
JPH07336071A (ja) 基板の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