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09116812A2 -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09116812A2
WO2009116812A2 PCT/KR2009/001396 KR2009001396W WO2009116812A2 WO 2009116812 A2 WO2009116812 A2 WO 2009116812A2 KR 2009001396 W KR2009001396 W KR 2009001396W WO 2009116812 A2 WO2009116812 A2 WO 2009116812A2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nput device
wall
portable terminal
movable
slid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09/001396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09116812A3 (ko
Inventor
조원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코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코드
Priority to CN200980109607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1978609A/zh
Priority to EP09721226A priority patent/EP2256939A2/en
Priority to US12/933,246 priority patent/US20110006995A1/en
Priority to JP2011500707A priority patent/JP2011517833A/ja
Publication of WO200911681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16812A2/ko
Publication of WO200911681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09116812A3/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8Sliders, in which the moving part moves in a pla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a pointing device, e.g. roller key, track ball, rocker switch or joystick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applied to a game machine or a mobile pho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a predetermined signal by a slide operation.
  • the system is configured to recognize a specific direction by combining at least two or more folding for each direction, rather than a method of folding each eight directions independently. There was a hassle that had to be configured, which resulted in a high probability of typos and errors in the input signal.
  • Korean Patent No. 058442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first patent') proposes a slide switch capable of sliding operation in the X-Y-axis direction.
  • the above slide switch has a structure for one switch, the number of buttons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operate letters / numbers and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 the number of buttons is one or more, the left and right tilting directions
  • the above-mentioned problems must be solved.
  • the sliding structure for sliding in the X and Y-axis directions is necessarily a three-layer structure (slider + sliding tip + base guide groove), and a switch for vertical operation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liding structure. Since the laminated structure to be bonded is an obstacle in slimming the thickness, it is not suitable for application to a portable terminal with a lot of restrictions in thickness.
  • the portable terminal is to operate the keypad of the terminal with the user's finger in performing a letter / number and various functions in addition to the call function, four or more multi-directional (for example, 6, 8, 12,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e first patent) (16 directions, etc.) is no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ing a portable terminal. Because the general user uses a portable terminal, sliding operation of 4 to 8 directions is sufficient, and it is very difficult and inefficient to distinguish the correct 12 and 16 directions using a finger.
  • the input device in the 12 to 16 directions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error rate is increased when entering letters and numbers.
  • the fixed contact on the base is formed parallel to the slide direction, and the width thereof is appropriate considering the movement of the movable contact and the accuracy of the signal input.
  • the sliding stroke for the signal input has to be long, so the width and length of the portable terminal increase.
  • at least two to three fixed contacts must be folded at the same time to output a signal of one side, and therefore, even when developing a program for performing a specific purpose, the combination process requires a very complicated and cumbersome process. Since the complex signals of the combined fixed contact must be processed, the processing speed of the input signal is also relatively slow.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is problem, the base for the eight-way slide and the guide in the X-axis and Y-axis direction is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so that there is no vertical phase shift difference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as well as four or more directions Each of these can be folded independently and the slide distance can be minimized.
  • the base is mounted to the terminal, has a rectangular operation surface, the base of the operation surface is provided with at least four or more fixed contacts on the inner wall;
  • An X-axis sliding stage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walls so as to be mounted on the operation surface and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Y-axis moving guide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wall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ll;
  • At least one key input means is provided with a seating surface, the wall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seating surface is coupled to the Y-axis movement guid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Y-axis sliding on the wall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space hole
  • An additionally formed, the outer side of the wall Y-axis moving stage, the movable operation unit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vable contacts connected to the key input means spaced apart;
  • a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mounted on a seating surface of the Y-axis moving stage and includes a circuit board having
  • the coupling for sliding the base and the X-axis moving stage and the Y-axis moving stage is formed on the same plane so that there is no vertical phase shift difference.
  • the ring allows independent operation of the fixed contact point of the base and the movable contact point of the movable control unit, minimizing the sliding stroke and making the slide input device even slimmer to meet the consumer's purchasing tendency.
  • the conventional slide input device greatly improves a problem that is not suitable for sliding two or more keys, so that no matter how many keys there are, there is no abnormality in rotation direction, tilting, or twisting when sliding in the targe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lide lightly and smoothly, and the mechanical reliability is increased, so that the durability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 At least a keypad with at least one button in the base centered on the center to perform various electrical actions to simplify the operation of letters / numbers and various functions while reducing overall thickness and size. Sliding in four or more directions becomes possib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mponents of the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is coupl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plan view of the operation of Figure 3, the center of the base and the center point of the Y-axis moving stage matched.
  • FIG. 5 is a plan view of the operation of Figure 3, the Y-axis moving stage in the upper left direction from the state of Figure 4;
  • FIG. 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operation of FIG. 3, in which the Y-axis moving stage is moved in a left direction from the state of FIG. 4;
  • FIG. 7 and 8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rear view of the base according to FIG. 2, respectively.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wiring structure according to FIG.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X-axis moving stage according to FIG.
  •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Y-axis moving stage according to FIG.
  •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ing according to FIG. 2;
  • FIG. 13 and 14 show patterns of the keypa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according to FIG. 2, respectively.
  • 15 and 1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spectively.
  • 17 to 20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various terminals to which the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K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 FIG. 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mobile phone most common among portable terminals.
  • the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K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fixedly coupled to the main body of the portable terminal P, and includes an X-axis and a key for inputting keys for the operation of letters / numbers and various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P. It is comprised so that a slide movement to a Y-axis direction is possible.
  • At least four or more fixed contacts 132 and four or more movable point points 420 may be independently operated by the inside of the octagonal base 100 and the structure of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and the ring 500. It is composed.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 the most common mobile phone (P) of the portable terminal has been described and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the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K)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various for articles other than a mobile phone such as an electronic dictionary, a notebook, a PMP, a remote controller, and the like. Of course, it can be applied.
  • the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K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shown in detail in FIGS. 2 and 3.
  • the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K is connected to the base 100 and the base 100 fixed to the terminal body P (where the terminal body is used in the same sense as the base cover 700 shown in FIG. 2).
  • An X-axis moving stage 200 coupled to move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the drawing, a Y-axis moving stage 300 coupled to an X-axis moving stage and mov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ircuit board accommodated in the Y-axis moving stage 300 ( 400), the keypad 600 is fixed to the upper side of the circuit board.
  • the base 100 has a rectangular operation surface 110, and a quadrangular space hole 120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peration surface 110.
  • an approximately quadrilateral wall 130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edge of the operation surface 110 to surround the periphery.
  • the contact fixing piece 131 is formed to protrude inward so that the fixed contact 132 is disposed on the inner edge of the wall 130, and thus the inner surface of the wall 130 takes an octagonal shape.
  •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fixing piece 131 of each wall 130 is provided with a fixed contact 132, the back of the base 10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132 is fixed to transmit the input signal to the outside
  • the contact terminal 133 is provided.
  • a wiring accommodating groove 134 is recessed in an approximately center of each wall 130 to accommodate wiring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point 132.
  • the operation surface 110 formed between the space hole 120 and the wall 130 is free of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of the ring 500 and the Y-axis moving stage 300 to be described later. It is provided with a sufficient width to allow sliding, wherein two operating surfaces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operating surface 110 is the X-axis movemen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X-axis moving stage 200 in the X-axis direction. It serves as a guide unit 140.
  •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on surface 110 is provided with a ring slidable surface and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and the X-axis movement guide unit 140, the right and left sides are movable with the ring 500 Only the surface on which the operation unit 330 is slidable is provided.
  • the X-axis moving stage 200 is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shape and slides in the X-axis direction on the base 100, and a quadrangular space hole 210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 the wall 220 is extended upward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pace hole 210.
  • the upper and lower walls are mounted on the X-axis movement guide unit 140 so that the X-axis moving stage 200 is moved in the X-axis direction so that the X-axis sliding unit is opposed to each other at the outer upper end of the wall 220 ( 240 is extended.
  • the Y-axis movement guide part 230 extends in the Y-axis direction to guide the Y-axis movement stage 300 to the low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walls 220 of the space hole 210, respectively.
  • the X-axis sliding portion 240 and the Y-axis moving guide portion 230 is "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stepped in the form.
  • the X-axis moving stage 200 is attached to the X-axis moving guide unit 140 in the space hole 120 of the base 100. "It is combined as if it is mounted in the form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the slid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 each wall 220 is provided with a driving hole 221 through which the driving portion of the four or more Y-axis moving stage 300 in a substantially quadrangular shape.
  • the Y-axis moving stage 300 has a quadrangular bottom surface to which the circuit board 400 and the keypad 600 are seat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nd extends perpendicularly to the edge of the bottom surface.
  • a quadrilateral wall 310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 at least one key input means may be accommodated in a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and a wire exit 350 of the key input means of appropriate size is formed.
  • the wall 310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all 310 is seated on the Y-axis moving guide part 230 of the X-axis moving stage 200 and moved outward so as to move vertically in the space hole 210.
  • a pair of Y-axis sliding parts 320 extend in parallel.
  • a movable operation portion 330 in the form of a quadrangular ring is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nd the wall 310 and the movable operation portion 33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a driving portion 340 formed at the center of each side. Connected. Accordingly, four “a” shaped space holes partitioned by the drive unit 340 are formed between the wall 310 and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 each driving unit 340 of the Y-axis moving stage 300 is inserted into the driving hole 221 of the X-axis moving stage 200, the driving hole 221 is the operation of the Y-axis moving stage 300 It is forme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driving unit 340.
  • Chamfering portion 331 is formed on the outer and inner edges of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ntact fixing piece 131 of the base 100 so that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is octagonal as a whole.
  • the bottom surface of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i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110 of the base 100, but it is preferable for a smooth sliding operation to be spaced a predetermined height without contacting the bottom surface 110, such as the ring 500.
  • at least four or more movable contacts 420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400 and the flexible circuit board 430 of the central key input unit are formed outside the movable manipulator 330.
  • the Y-axis sliding portion 320 and the bottom surface is viewed from each other " It is formed in the form. That is, the Y-axis moving stage 300 is moved to the Y-axis moving guide portion 230 in the space hole 210 of the X-axis moving stage 200 " "It is combined as if it is mounted in a shape, and slides in the Y-axis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 thin thickness.
  • the fixed contact 132 and the movable contact 420 are formed of a dome-shaped metal material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after sliding of the Y-axis moving stage 300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keypad for signal input. It is desirable to be.
  • the fixed contact and the movable contact may be made of a pressure sensing sensor (piezoelectric element) in addition to the metal of the dome shape, in which case a separate elastic restoring means is required to restore the Y-axis moving stage to its original position.
  • FIGS. 4 to 6 respectively show an operating state of the Y-axis moving stag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 FIGS. 5 and 6 are plan views of moving the Y-axis moving stage to the upper right and left directions from the state of FIG. 4, respectively. .
  • FIG. 5 is a view in which the Y-axis moving stage 300 is moved in the upper right direction from the state of FIG. 2, and the fixed contact point 132 of the base 100 is pressed, and the lower left side is moved in the upper right direction.
  • the movement L is shown.
  • FIG. 6 is a view in which the Y-axis moving stage 300 is moved leftward from the state of FIG. 2, and the movable contact 420 of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of the Y-axis moving stage 300 is pressed, and the right side is pressed.
  • the state L moved to the right as much as the direction is shown is shown.
  • the base 100, the X-axis moving stage 200, and the Y-axis moving stage 300 are each other. Because of the coupling structure by the shape, three slide structures (base, X, Y-axis moving stage) can be located on the same plane without vertical phase shift, thereby minimizing the thickness of the terminal.
  • the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stacking problem of the conventional three-layer slide device, thereby preventing the fine tilting during the sliding operation in the stacked structure of the terminal (P) It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durability.
  • the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ring 500. 2 and 13, the ring 500 is seated on the operation surface 110 of the base 100, and the fixed contact 132 of the base 100 when sliding by the keypad 600.
  • the movable contact 420 of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of the Y-axis moving stage 300 is formed in an octagon so as not to be operated at the same time.
  • the ring 500 is formed in the chamfer 510 is formed in the corn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contact fixing piece 131 of the base 100 as a whole is made of an octagon, and press the movable contact inside the ring 500
  • the number of inner protrusions 530 corresponding to the movable contact is formed, and the number of outer protrusions 520 corresponding to the fixed contact is formed on the outside of each chamfer 510 to press the fixed contact. .
  • the octagonal movable operation unit 330 and the ring 500 supported by the driving unit 340 of the Y-axis moving stage 300, the bas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when the slide movement in a specific direction by the manipulation of the keypad 600 of the user (
  • the fixed contact 132 of 100 and the movable contact 420 of the Y-axis moving stage 300 are independently formed to be folded.
  •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when sliding diagonally, when the outside of the corner in the diagonal direction and the inside of the corner of the ring 500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of the eight sides of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is pressed (see L2 in FIG. 13),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This is because the outer surface on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octagonal surface of the N-type face has a double operation prevention structure formed so as not to be pressurized by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ing 500 (L1) (see FIG. 14). That is, the force transmitted to the projection of the keypad 600 by pressing the user's key 610 is pressed to transmit the signal to the outside by pressing the keypad contact 410 (FIG. 15). In addition, when sliding after pressing using the key 610 or sliding without pressing, the protrusion 520 of the ring 500 is pressed against one wall of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to press the movable contact 420. 16)
  • the movable contact 420 is not pressed by the double operation prevention part (L1 in FIG. 14), and only the fixed contact 132 is pressed (L2), and fixed when the up, down, left, and right operations are performed.
  • the contact 132 is not pressed (L1 in FIG. 15) and only the movable contact 420 is pressed (L2).
  • the dual anti-tamper structure and the metal dome make it possible to form an extremely short sliding stroke for operation and contribute to the miniaturization of a portable terminal.
  • a typical metal dome has an operating stroke of about 0.06. In mm, the stroke can be greatly reduced and it is a useful part to convey the feeling of pressing to the user.
  • the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of the portable terminal P of the present embodiment has an outer edge of the keypad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 the diagonal signal contact 132 on the base 100 and the up, down, left, and right signal contacts on the movable operation unit 330 the double folding is greatly improved, which is stable even in a plurality of slide keypads. It can be operated accurately.
  • FIG 17 to 20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the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 the terminal P1 shows a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K using four keys
  • the terminal P2 shows an example in which ten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s K are applied to both sides.
  • Terminals P3 and P4 show examples of mobile phones and PMPs with one key each.
  • the coupling for sliding the base and the X-axis moving stage and the Y-axis moving stage is formed on the same plane so that there is no vertical phase shift difference.
  • the ring allows independent operation of the fixed contact point of the base and the movable contact point of the movable control unit, minimizing the sliding stroke and making the slide input device even slimmer to meet the consumer's purchasing tendency.
  • the conventional slide input device greatly improves a problem that is not suitable for sliding two or more keys, so that no matter how many keys there are, there is no abnormality in rotation direction, tilting, or twisting when sliding in the target direction. It is possible to slide lightly and smoothly, and the mechanical reliability is increased, so that the durability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 At least a keypad with at least one button in the base centered on the center to perform various electrical actions to simplify the operation of letters / numbers and various functions while making the overall thickness and size slim. Sliding in four or more directions becomes possible.
  • Portable terminal 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fixed contact, movable cont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에 장착되며, 장방형의 조작면을 구비하고, 조작면의 테두리에는 벽체가 형성되되 그 내측에 적어도 4 이상의 고정접점이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조작면에 안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측 및 하측 벽체에 X축 슬라이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좌·우측에는 벽체 내측에 Y축 이동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는 X축 이동스테이지; 적어도 1개 이상의 키 입력수단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면의 테두리에는 벽체가 형성되되 상기 Y축 이동가이드부에 대응 결합되어 공간홀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벽체에는 Y축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외측에는 키 입력수단과 연결된 복수의 가동접점이 구비된 가동조작부가 이격 배치되는 Y축 이동스테이지; 상기 Y축 이동스테이지의 안착면에 안착되며, 키패드 접점이 구비된 회로기판을 포함하며, Y축 이동스테이지의 중심점에서 목적 방향으로의 슬라이드 이동 및 중심점으로의 복원이동에 의한 상기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의 조작 및 상기 키 입력수단의 조작에 의한 여러 가지 전기적 작용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본 발명은 게임기나 휴대폰 등에 적용되는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소정의 신호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단말기에 장착되는 베이스 및 케이스 등에 구비한 고정접점에 대해 가동 접점을 구비한 슬라이더를 슬라이딩 이동하여 접점의 접리(接離)를 실행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 작용, 모드 전환작용, 기타 전기적 작용을 실행하도록 한 슬라이드 입력장치는 여러 가지가 제공되고 있었다.
그런데, 기존의 슬라이드 입력장치 중 슬라이더를 상하좌우의 4방향 이상으로 슬라이드 작동하도록 된 스위치의 경우 부품 수가 많이 요구되며, 특히 근래에 이 종류의 입력장치가 매우 소형화(예를 들면 입력장치의 길이가 가로 및 세로로 15mm, 두께 3∼5mm 정도)되고 있는 추세에 따르면 스위치의 조립 작업에 수고를 요하게 되고 그만큼 조립 비용이 비싸지며, 또한 균등한 고정밀도의 성능을 얻을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스위치가 매우 소형화되었기 때문에, 기존에는 스페이스 등에 제약을 받아 슬라이더를 X축 또는 Y축 방향, 즉 상하좌우 방향의 4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수단밖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또한, 상하좌우 및 대각선의 8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수단을 제공하는 입력장치의 경우 각 8방향이 독립적으로 접리되는 방식이 아니라 각 방향에 대해 적어도 2개 이상의 접리를 조합하여 특정방향으로 인식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입력 신호의 오타 및 오류에 소지가 높은 것이 실상이었다.
예컨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84428호(이하, '종래 제1특허'라 함)에는 XㆍY축 방향의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슬라이드 스위치가 제안되어 있다.
위 슬라이드 스위치의 경우 한 개의 스위치에 대한 구조이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숫자 및 각종 기능을 조작하기 위해서는 버튼의 수를 더 늘려야 하지만, 종래 제1특허의 경우 버튼 수가 한 개 이상일 경우에는 좌우로 틸팅(Tilting) 현상이 발생하거나 늘어난 키버튼 지지구조를 추가해야 하는 등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위에 언급된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또한, 종래 제1특허의 경우 Xㆍ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을 하기 위한 슬라이딩 구조는 반드시 3층 구조(슬라이더 + 슬라이딩 팁 + 베이스 가이드 홈)로 되어 있으며, 수직 조작을 위한 스위치가 슬라이딩 구조 상면에 결합하는 적층구조이기 때문에 두께를 슬림화하는데 걸림돌이 되며 이에 따라 두께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게 된다.
또한, 키패드 포함시 총 4층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그 높이로 인해 슬라이드 진행방향에 대한 틸팅 현상이 발생하는 구조로서 수만 번 조작을 해야 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했을 때 기구적 내구성에 문제 발생의 요인으로도 작용한다. 따라서, 틸팅 현상을 막기 위한 더욱 얇은 두께와 개선된 슬라이드 장치가 요구된다.
한편, 휴대용 단말기가 통화 기능 이외에도 문자/숫자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단말기의 키패드를 조작하게 되어 있는데, 종래 제1특허의 주된 목적인 4 이상의 다방향(예, 6, 8, 12, 16방향 등)으로 고정밀도로 슬라이드 가능한 수단의 제공은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 목적에는 적합하지 않다. 왜냐하면 일반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데 있어서 4∼8방향의 슬라이딩 조작으로도 충분하며, 손가락을 이용해 정확한 12방향 및 16방향을 구분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오히려 비효율적이다.
오히려 12∼16방향의 입력 장치는 문자 및 숫자를 입력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오타율이 높아지는 단점으로 작용한다.
또 다른 종래의 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749117호, 이하 '종래 제2특허'라 함)의 경우 별도의 정교한 슬라이딩을 위한 가이드가 없고 위치 복원을 위한 탄성 수단만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 개의 키를 이용한 조이스틱 기능에 한정하고 있다.
그리고, 접점의 접리 방식에 있어서는 종래 제1특허 및 종래 제2특허의 경우, 베이스 상의 고정접점은 슬라이드 방향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그 폭은 가동접점의 움직임과 신호 입력의 정확도를 고려했을 때 적당해야 하며 이로 인해 신호 입력을 위한 슬라이딩의 스트로크가 반드시 길어질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의 가로ㆍ세로의 크기가 커지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또한 어느 일방의 신호를 출력하기 위해 적어도 2∼3개 이상의 고정접점이 동시에 접리되어야 하기 때문에 특정 목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에도 그 조합과정으로 인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하며, 조합된 고정접점의 복잡한 신호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입력신호의 처리 속도도 비교적 느려지는 문제도 발생한다.
세 번째의 종래의 기술(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477775, 이하 '종래 제3특허'라 함)의 경우 각 8방향이 독립적으로 조작되는 방식이지만, 경도(傾倒)조작 시 반경이 매우 넓고,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하기에는 높이와 크기가 적합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부품 수가 너무 많이 요구되어 조립과 제품 원가에 큰 부담이 따르게 된다. 또한, 복수개의 키패드를 구비할 수 있는 구조는 더더욱 아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8방향 슬라이드를 위한 베이스와 X축 및 Y축 방향의 가이드가 수직 위상 변위차가 없도록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단말기의 두께를 최소화함은 물론 4 이상의 방향이 각각 독립적으로 접리될 수 있고 슬라이드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단말기에 장착되며, 장방형의 조작면을 구비하고, 조작면의 테두리에는 벽체가 형성되되 그 내측에 적어도 4 이상의 고정접점이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조작면에 안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측 및 하측 벽체에 X축 슬라이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좌·우측에는 벽체 내측에 Y축 이동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는 X축 이동스테이지; 적어도 1개 이상의 키 입력수단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면의 테두리에는 벽체가 형성되되 상기 Y축 이동가이드부에 대응 결합되어 공간홀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벽체에는 Y축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외측에는 키 입력수단과 연결된 복수의 가동접점이 구비된 가동조작부가 이격 배치되는 Y축 이동스테이지; 상기 Y축 이동스테이지의 안착면에 안착되며, 키패드 접점이 구비된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베이스와 X축 이동스테이지 및 Y축 이동스테이지의 슬라이딩을 위한 결합이 수직 위상 변위차가 없도록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특정 조건의 각도와 길이로 구성된 8각형의 베이스 내측과 가동조작부 및 링에 의해 베이스의 고정접점 및 가동조작부의 가동접점의 독립적인 조작이 가능해 슬라이딩 스트로크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입력장치를 더욱더 슬림화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 성향에 부합하게 된다.
둘째, 4 이상의 방향의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이 각각 독립적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입력신호의 정확도가 높아지게 된다.
셋째, 기존의 슬라이드 입력장치가 2개 이상의 키를 슬라이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을 크게 개선하여 키의 개수가 아무리 많아도 목적방향으로의 슬라이딩시 회전방향의 이상, 흔들림(Tilting), 비틀림 등이 없이 매우 경쾌하고 원활하게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되어 기구적인 신뢰성이 높아져서 내구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전체적인 두께와 크기를 슬림화하면서 문자/숫자 및 각종 기능의 조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전기적 작용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적어도 1 이상의 버튼이 구비된 키패드를 중앙을 중심으로 베이스 내에서 적어도 4 이상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의 각 구성 부품들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작동도로서, 베이스 중심과 Y축 이동스테이지의 중심점이 일치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작동도로서, 도 4의 상태로부터 Y축 이동스테이지를 좌상 방향으로 이동한 평면도.
도 6은 도 3의 작용설명도로서, 도 4의 상태로부터 Y축 이동스테이지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평면도.
도 7 및 도 8는 각각 도 2에 따른 베이스의 사시도 및 배면도.
도 9은 도 2에 따른 전체 배선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10는 도 2에 따른 X축 이동스테이지의 사시도.
도 11은 도 2에 따른 Y축 이동 스테이지의 사시도.
도 12은 도 2에 따른 링의 사시도.
도 13 및 도 14은 각각 도 2에 따른 키패드 접점 및 가동접점의 패턴을 나타낸 도면.
도 15 및 도 16는 각각 본 실시예에 의한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의 단면도
*도 17 내지 도 20는 본 실시예에 의한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K)가 적용된 다양한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베이스 110 ; 바닥면
120 ; 공간홀 130 ; 벽체
131 ; 접점 고정편 132 ; 고정접점
133 ; 고정접점 단자 134 ; 배선 수납홈
140 ; X축 이동가이드부
200 ; X축 이동스테이지 210 ; 공간홀
220 ; 벽체 230 ; Y축 이동가이드부
240 ; X축 슬라이딩부
300 ; Y축 이동스테이지 310 ; 벽체
320 ; Y축 슬라이딩부 330 ; 가동조작부
340 ; 구동부 350 ; 배선 출구
400 ; 회로기판 410 ; 키패드 접점
420 ; 가동접점 430 ; 연성회로기판
500 ; 링 510 ; 면취부
520 ; 외측 돌기 530 ; 내측 돌기
600 ; 키패드 610 ; 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의한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가 휴대용 단말기 중 가장 일반적인 휴대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K)는 휴대용 단말기(P)의 본체에 고정 결합되며, 휴대용 단말기(P)의 문자/숫자 및 각종 기능의 조작을 위한 키 입력을 위해 X축 및 Y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적어도 4개 이상의 고정접점(132)과 4개 이상의 가동점점(420)이 8각형의 베이스(100) 내측과 가동조작부(330) 및 링(500)의 구조에 의해 독립적인 조작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용 단말기 중 가장 일반적인 휴대폰(P)을 일예로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K)는 전자사전, 노트북, PMP, 리모컨 등 휴대폰 이외의 물품에도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K)는 도 2 및 도 3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K)는 단말기 본체(P, 여기서 단말기 본체는 도 2에 도시된 베이스 커버(7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됨)에 고정되는 베이스(100), 베이스(100)에 결합되어 도면상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는 X축 이동스테이지(200), X축 이동스테이지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는 Y축 이동스테이지(300), Y축 이동스테이지(300)에 수납되는 회로기판(400), 회로기판의 상측에 접점 고정되는 키패드(600)를 포함한다.
베이스(100)는 도 2,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조작면(110)을 구비하며, 조작면(110)의 중앙에는 4각형의 공간홀(1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조작면(110)의 테두리에는 주위를 둘러싸도록 대략 4각형의 벽체(130)가 상측으로 수직 설치된다. 이때, 벽체(130)의 내측 모서리에는 고정접점(132)이 배치되도록 접점고정편(131)이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에 따라서 벽체(130)의 내측면은 8각형을 취하게 된다.
각 벽체(130)의 접점고정편(131)의 내측면에는 고정접점(132)이 구비되며, 베이스(100)의 배면에는 고정접점(13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도록 고정접점 단자(133)가 마련된다. 그리고 각 벽체(130)의 대략 중앙에는 고정접점(132)과 연결되는 배선을 수납할 수 있도록 배선 수납홈(134)이 함몰 형성된다.
공간홀(120)의 사방 즉, 공간홀(120)과 벽체(130) 사이에 형성된 조작면(110)은 후술하는 링(500)과 Y축 이동스테이지(300)의 가동조작부(330)의 자유로운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충분한 넓이로 마련되는데, 이때 조작면(110) 중 수평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조작면은 X축 이동스테이지(200)의 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X축 이동가이드부(140)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조작면(110)의 상측과 하측에는 링(500)과 가동조작부(330)가 슬라이딩 가능한 면과 X축 이동가이드부(140)가 함께 구비되며, 우측과 좌측에는 링(500)과 가동조작부(330)가 슬라이딩 가능한 면만 구비된다.
X축 이동스테이지(200)는 도 2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베이스(100) 상에서 X축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그 중앙에는 4각형의 공간홀(210)이 형성되고, 공간홀(210)을 중심으로 상ㆍ하ㆍ좌ㆍ우측 테두리에는 주위를 둘러싸도록 상방으로 벽체(220)가 연장 설치된다.
이때, 상측과 하측에 위치한 벽체에는 X축 이동가이드부(140)에 안착되어 X축 이동스테이지(200)가 X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벽체(220)의 외측 상단부에 서로 대향되게 X축 슬라이딩부(240)가 연장 설치된다.
그리고 공간홀(210)의 좌ㆍ우 벽체(220)의 내측 하단부에는 각각 Y축 이동스테이지(300)를 안내하기 위해 Y축 방향으로 Y축 이동가이드부(230)가 연장 형성된다. 이때, X축 슬라이딩부(240)와 Y축 이동가이드부(230)는 측면에서 볼 때 서로 "
Figure PCTKR2009001396-appb-I000001
" 형태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즉, X축 이동스테이지(200)는 베이스(100)의 공간홀(120) 내에서 X축 이동가이드부(140)에 "
Figure PCTKR2009001396-appb-I000002
" 형태로 얹어지듯이 결합되어 그 두께를 최소화하여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한편, 각 벽체(220)에는 대략 4각형으로 4개 이상의 Y축 이동스테이지(300)의 구동부가 유동할 수 있는 구동부 홀(221)이 구비된다.
Y축 이동스테이지(300)는 도 2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회로기판(400) 및 키패드(600)가 안착되도록 4각형의 바닥면을 가지며, 바닥면의 테두리에는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어 주위를 둘러싸도록 4각형의 벽체(310)가 구비된다. 이때, 바닥면의 일부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키 입력수단(도 9 참조)을 수납할 수 있고 적당한 크기의 키 입력수단의 배선 출구(350)가 형성된다.
그리고, 벽체(310) 중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한 벽체(310)에는 X축 이동스테이지(200)의 Y축 이동가이드부(230)에 안착되어 공간홀(210)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외측으로 평행하게 한 쌍의 Y축 슬라이딩부(320)가 연장 형성된다.
벽체(310)의 외측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4각 링 형태의 가동조작부(330)가 배치되며, 벽체(310)와 가동조작부(330)는 각 변의 중앙에 형성된 구동부(340)에 의해 서로 일체로 연결된다. 따라서, 벽체(310)와 가동조작부(330) 사이에는 구동부(340)에 의해 구획된 4개소의 "ㄱ"자 형태의 공간홀이 형성된다.
이때, Y축 이동스테이지(300)의 각 구동부(340)는 X축 이동스테이지(200)의 구동부 홀(221)에 삽입되며, 구동부 홀(221)은 Y축 이동스테이지(300)의 작동에 따른 구동부(340)와 간섭이 방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가동조작부(330)의 외측 및 내측 모서리에는 베이스(100)의 접점고정편(131)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면취부(331)가 형성되어 가동조작부(330)는 전체적으로 8각형을 이루게 된다.
이때, 가동조작부(330)의 저면은 베이스(100)의 바닥면(110)에 위치하지만 링(500)처럼 바닥면(110)과 접촉하지 않고 소정 높이 이격되도록 하는 것이 부드러운 슬라이딩 조작을 위해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앙의 키 입력수단의 회로기판(400)과 연성회로기판(430)으로 연결된 적어도 4 이상의 복수의 가동접점(420)이 가동조작부(330)의 외측에 형성된다.
여기서, Y축 슬라이딩부(320)와 바닥면은 측면에서 볼 때 서로 "
Figure PCTKR2009001396-appb-I000003
" 형태로 형성된다. 즉, Y축 이동스테이지(300)는 X축 이동스테이지(200)의 공간홀(210) 내에서 Y축 이동가이드부(230)에 "
Figure PCTKR2009001396-appb-I000004
" 형태로 얹어지듯이 결합되어 얇은 두께를 유지하며 Y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 입력을 위해 키패드의 조작에 따른 Y축 이동스테이지(300)의 슬라이딩 후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도록 고정접점(132) 및 가동접점(420)은 돔 형태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은 돔 형태의 금속재질 이외에 압력감지센서(압전소자)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Y축 이동스테이지를 원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탄성복원수단이 요구된다.
도 4 내지 도 6은 각각 본 실시예에 따른 Y축 이동스테이지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도 5와 도 6은 각각 도 4의 상태로부터 Y축 이동스테이지를 우상과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평면도이다.
이에 따르면, 도 5는 도 2의 상태로부터 Y축 이동스테이지(300)를 우상 방향으로 이동한 도면으로, 베이스(100)의 고정접점(132)이 눌린 상태이며, 우상 방향으로 이동한 만큼 좌측 하단에 이동한 모습(L)이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은 도 2의 상태로부터 Y축 이동스테이지(300)를 좌측 방향으로 이동한 도면으로, Y축 이동스테이지(300)의 가동조작부(330)의 가동접점(420)이 눌린 상태이며,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 만큼 우측에 이동한 모습(L)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K)는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와 X축 이동스테이지(200) 및 Y축 이동스테이지(300)가 서로 "
Figure PCTKR2009001396-appb-I000005
" 형상에 의한 결합 구조이기 때문에 3가지의 슬라이드 구조(베이스, XㆍY축 이동스테이지)가 수직 위상 변위차가 없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게 가능하여 단말기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는 종래의 3층 구조의 슬라이드 장치의 적층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적층구조에서의 슬라이딩 조작시 미세하게 틸팅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단말기(P)의 내구성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에는 링(500)이 포함될 수 있다. 링(500)은 도 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00)의 조작면(110)에 안착되고, 키패드(600)에 의한 슬라이딩 조작시 베이스(100)의 고정접점(132)과 Y축 이동스테이지(300)의 가동조작부(330)의 가동접점(420)이 동시에 조작되지 않도록 8각형으로 형성된다.
이때, 링(500)은 베이스(100)의 접점고정편(131)에 대응되도록 그 모서리에 면취부(510)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8각형으로 이루어지며, 링(500)의 내측에는 가동접점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동접점에 대응되는 개수의 내측돌기(530)가 형성되고, 각 면취부(510)의 외측에는 고정접점을 가압할 수 있도록 고정접점에 대응되는 개수의 외측돌기(520)가 형성된다.
한편, Y축 이동스테이지(300)의 구동부(340)에 지지되는 8각형의 가동조작부(330)와 링(500)은 사용자의 키패드(600) 조작에 의한 특정 방향의 슬라이드 이동시 해당 방향의 베이스(100)의 고정접점(132)과 Y축 이동스테이지(300)의 가동접점(420)이 독립적으로 접리(接離)될 수 있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예를 들어, 대각선으로 슬라이딩할 경우 가동조작부(330)의 8각 면 중에서 대각선 방향의 모서리 외측과 해당 방향의 링(500)의 모서리 내측이 가압될 때(도 13의 L2 참조) 가동조작부(330)의 8각 면 중에서 상하좌우 측의 외측면은 링(500)의 상하좌우 측의 내측면에 가압되지 않도록(L1) 형성된 이중 조작 방지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도 14 참조). 즉, 사용자의 키(610) 누름 조작을 통해 키패드(600)의 돌기에 전달된 힘이 키패드 접점(410)을 눌러 신호를 외부로 전달하게 된다(도 15). 그리고 키(610)를 이용한 누름 후 슬라이딩, 또는 누르지 않고 슬라이딩을 했을 경우에 링(500)의 돌기(520)가 가동조작부(330) 일측 벽에 가압되어 가동접점(420)을 누르게 된다.(도 16)
즉, 상하좌우 방향의 슬라이딩 시에는 가동조작부(330)의 8각 면 중에서 상하좌우 방향의 외측과 해당 방향의 링(500)의 상하좌우 내측이 가압될 때(도 14의 L2 참조) 링(500)의 8각 면 중에서 대각선의 외측면은 베이스(100)의 대각선의 벽체(130) 내측면에 가압되지 않도록 하여(도 13의 L1 참조) 해당 대각선 방향의 고정접점(132)이 눌리지 않고(L1) 조작 방향의 가동접점(420)만 눌리도록(L2) 이중 조작 방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도 13는 키패드를 좌상으로 조작했을 때의 도면이며, 도 14은 키패드를 상방으로 조작했을 때의 도면이다)
따라서, 키패드(600)의 대각선 조작시에는 이중 조작 방지부에 의해 가동접점(420)은 눌리지 않고(도 14의 L1) 오직 고정접점(132)만 눌리며(L2), 상하좌우 조작시에는 고정접점(132)은 눌리지 않고(도 15의 L1) 오직 가동접점(420)만 눌리게 되는(L2) 효과가 있다.
특히, 각각의 접점(132)(420)들을 동일한 힘(Operating force)을 갖는 메탈 돔(Metal Dom)으로 형성할 경우에는 탄성 복원기능까지 기대할 수 있으며, 해당 조작방향의 메탈 돔만 눌리면서 작동 스트로크도 최소로 구현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도 14 참조).
왜냐하면, 어느 방향으로 조작을 해도 가압되는 방향의 돔은 조작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한 개가 눌리게 되는 반면에 그 양측면의 두 개의 돔은 비스듬한 각도로 인해 힘이 분산되어 실제 힘보다 더 큰 힘으로 눌러야 하기 때문이다(예를 들어 도 14의 θ1 값이 작아질수록 양측면의 돔이 눌리기 위해서는 더 큰 힘이 필요해진다. 물론 도 14의 θ1의 값은 135도이며, 8각형의 가동조작부와 링의 내측각 모두 동일하게 135도이다).
또한, 양측면의 메탈 돔은 2개이기 때문에 두 배보다 많은 힘으로 눌러야 눌리는 상황이 되며, 약한 쪽 방향의 돔(진행방향의 돔)이 항상 먼저 눌리게 되는 것이다.(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메탈 돔 접점을 예로 설명하였으며, 이는 도 13와 도 14에 도시됨).
이러한 이중 조작 방지 구조와 메탈 돔에 의해 작동에 필요한 슬라이딩 스트로크(stroke)를 극히 짧게 형성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소형화에도 기여를 할 수 있게 된다.(참고로 일반적인 메탈 돔은 그 작동 스트로크가 약 0.06mm 정도로서, 스트로크를 크게 줄일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눌림의 감촉을 전달하기에도 유용한 부품이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는, 종래의 슬라이드 장치의 경우 슬라이딩 작동 접점의 위치를 모두 조작 키 외곽의 동일 반경 내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특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조작시 반드시 목적방향 이외의 접점이 눌리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휴대용 단말기(P)는 통화 기능 이외에도 문자/숫자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환경에서는 입력의 정확도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는 상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키패드 외곽의 베이스(100)에 대각선 신호 접점(132)을 배치하고 가동조작부(330)에 상ㆍ하ㆍ좌ㆍ우 신호 접점을 배치하여 이중 접리가 되는 것을 크게 개선하였으며, 이로 인해 복수개의 슬라이드 키패드에서도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조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7 내지 도 20는 각각 본 실시예에 따른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가 적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P1에는 4개의 키를 이용한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K)를 보여주고 있으며, 단말기 P2에는 양측에 10개씩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K)가 적용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단말기 P3와 P4는 각각 한 개의 키가 적용된 휴대폰 및 PMP의 예를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베이스와 X축 이동스테이지 및 Y축 이동스테이지의 슬라이딩을 위한 결합이 수직 위상 변위차가 없도록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형성되며, 특정 조건의 각도와 길이로 구성된 8각형의 베이스 내측과 가동조작부 및 링에 의해 베이스의 고정접점 및 가동조작부의 가동접점의 독립적인 조작이 가능해 슬라이딩 스트로크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슬라이드 입력장치를 더욱더 슬림화시킬 수 있어 소비자의 구매 성향에 부합하게 된다.
둘째, 4 이상의 방향의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이 각각 독립적으로 조작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요구하는 입력신호의 정확도가 높아지게 된다.
셋째, 기존의 슬라이드 입력장치가 2개 이상의 키를 슬라이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을 크게 개선하여 키의 개수가 아무리 많아도 목적방향으로의 슬라이딩시 회전방향의 이상, 흔들림(Tilting), 비틀림 등이 없이 매우 경쾌하고 원활하게 슬라이드 할 수 있게 되어 기구적인 신뢰성이 높아져서 내구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넷째, 전체적인 두께와 크기를 슬림화하면서 문자/숫자 및 각종 기능의 조작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전기적 작용을 실행할 수 있도록 적어도 1 이상의 버튼이 구비된 키패드를 중앙을 중심으로 베이스 내에서 적어도 4 이상의 방향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된다.
휴대용 단말기, 다방향, 입력장치, 고정접점, 가동접점

Claims (19)

  1. 문자/숫자 및 각종 기능의 조작을 위한 키 입력수단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에 장착되며, 장방형의 조작면을 구비하고, 조작면의 테두리에는 벽체가 형성되되 그 내측에 적어도 4 이상의 고정접점이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조작면에 안착되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측 및 하측 벽체에 X축 슬라이딩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벽체의 좌·우측에는 벽체 내측에 Y축 이동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는 X축 이동스테이지;
    적어도 1개 이상의 키 입력수단이 안착되는 안착면을 구비하고, 상기 안착면의 테두리에는 벽체가 형성되되 상기 Y축 이동가이드부에 대응 결합되어 공간홀 내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벽체에는 Y축 슬라이딩부가 형성되며, 상기 벽체의 외측에는 키 입력수단과 연결된 복수의 가동접점이 구비된 가동조작부가 이격 배치되는 Y축 이동스테이지;
    상기 Y축 이동스테이지의 안착면에 안착되며, 키패드 접점이 구비된 회로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벽체의 내측에 고정접점이 위치되도록 적어도 4개 이상의 접점고정편이 형성되며, 전체적으로 8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Y축 이동스테이지의 벽체에는 가동조작부와 연결되도록 구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X축 이동스테이지의 벽체에는 상기 구동부가 삽입되어 마찰 없이 조작되도록 구동부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Y축 이동스테이지에는 키 입력수단의 배선 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작부는 베이스의 조작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되어 마찰 없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작부의 외측면에는 가동접점이 수납될 수 있도록 가동접점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작부는 모서리에 면취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8각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접점은 상기 키패드에 의한 슬라이딩 조작시 가동조작부에 의해 가압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X축 슬라이딩부는 벽체의 외측 상단에 형성되고, Y축 이동가이드부는 벽체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X축 슬라이딩부와 Y축 이동가이드부는 서로 "
    Figure PCTKR2009001396-appb-I000006
    "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Y축 슬라이딩부는 벽체의 외측 상단에 형성되고, 안착면은 벽체의 내측 하단에 형성되어 Y축 슬라이딩부와 안착면은 서로 "
    Figure PCTKR2009001396-appb-I000007
    "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은 돔 형태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은 금속 재질의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접점 및 가동접점은 압력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바닥면에 안착되고, 키패드에 의한 슬라이딩 조작시 슬라이딩되어 상기 베이스의 고정접점과 상기 Y축 이동스테이지의 가동접점이 동시에 조작되지 않도록 형성된 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접점은 상기 키패드에 의한 슬라이딩 조작시 가동조작부가 링에 접촉하게 되고, 상기 링은 베이스의 고정접점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가동조작부는 모서리에 면취부가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8각형을 이루며, 링의 내측에서 슬라이딩 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18.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링은 그 모서리에 면취부가 형성되어 8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19.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링의 내측에는 가동접점을 가압할 수 있도록 가동접점에 대응되는 개수의 내측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각 면취부의 외측에는 고정접점을 가압할 수 있도록 고정접점에 대응되는 개수의 외측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PCT/KR2009/001396 2008-03-19 2009-03-19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WO2009116812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9801096070A CN101978609A (zh) 2008-03-19 2009-03-19 用于便携式终端的多向滑动输入装置
EP09721226A EP2256939A2 (en) 2008-03-19 2009-03-19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12/933,246 US20110006995A1 (en) 2008-03-19 2009-03-19 Multi-directional slide input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JP2011500707A JP2011517833A (ja) 2008-03-19 2009-03-19 携帯用端末機の多方向スライド入力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5371A KR101099030B1 (ko) 2008-03-19 2008-03-19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KR10-2008-0025371 2008-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16812A2 true WO2009116812A2 (ko) 2009-09-24
WO2009116812A3 WO2009116812A3 (ko) 2009-12-10

Family

ID=410914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09/001396 WO2009116812A2 (ko) 2008-03-19 2009-03-19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10006995A1 (ko)
EP (1) EP2256939A2 (ko)
JP (1) JP2011517833A (ko)
KR (1) KR101099030B1 (ko)
CN (1) CN101978609A (ko)
WO (1) WO200911681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285B1 (ko) * 2008-07-08 2010-05-19 정세운 키 입력 유닛을 구비한 디지털 처리 장치 및 키 입력 방법
US20110183759A1 (en) * 2010-01-27 2011-07-28 Chu-Keng Lin Joystick Controller
WO2013052005A2 (en) * 2011-10-07 2013-04-11 Quek Joo Hai A self-centering input device
KR102059833B1 (ko) * 2019-03-22 2019-12-27 주식회사 삼승엔지니어링 검사용 다축 스테이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284A (ko) * 2000-12-28 2003-05-16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포인팅장치
KR20060047305A (ko) * 2004-04-23 2006-05-1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다방향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2007042545A (ja) * 2005-08-05 2007-02-15 Hosiden Corp 多方向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795A (ja) * 1996-07-05 1998-01-23 Mitsumi Electric Co Ltd マルチスライドスイッチ
DE60128308T2 (de) * 2000-10-31 2008-01-10 Hosiden Corp., Yao Schiebeschalter
US7151525B2 (en) * 2000-11-14 2006-12-19 Keybow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ata signals
US20100253633A1 (en) * 2007-07-26 2010-10-07 I'm Co., Ltd. Fingertip tactile-sense inpu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8284A (ko) * 2000-12-28 2003-05-16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포인팅장치
KR20060047305A (ko) * 2004-04-23 2006-05-18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다방향 입력장치 및 그 조립방법
JP2007042545A (ja) * 2005-08-05 2007-02-15 Hosiden Corp 多方向入力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978609A (zh) 2011-02-16
JP2011517833A (ja) 2011-06-16
US20110006995A1 (en) 2011-01-13
EP2256939A2 (en) 2010-12-01
KR101099030B1 (ko) 2012-01-16
WO2009116812A3 (ko) 2009-12-10
KR20090100019A (ko)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77630A1 (ko) 터치패드 입력장치
WO2018212615A1 (ko) 스마트 컨트롤러
CN101473287B (zh) 柔性键板
WO2009116812A2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KR19990077513A (ko) 가변키보드를갖는전자장치
US8124894B2 (en) Operat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including the operating device, and assembly method for the operating device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WO2013055002A1 (ko) 터치 패드 및 그 제조방법
WO2022131491A1 (ko)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20110051347A1 (en) Mobile terminal
WO2022173237A2 (ko) 힌지 모듈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10104221A1 (ko) 포인팅 장치 및 이를 갖는 전자 장치
KR20110102812A (ko) 스위치 유닛, 조작 스위치 및 휴대 단말
WO2020213966A1 (ko) 4차원 터치패드 모듈
JP2008131454A (ja) 携帯電子機器
JPH07249343A (ja) 表示部カバー及び該カバーを備えた操作パネル装置
KR10110676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다방향 슬라이드 입력장치
KR20050041274A (ko) 터치패널과 이중 입력식 슬라이딩 커버가 구비된 통신단말기
WO2010030134A2 (ko) 촉감에 의한 입력방향의 구별이 가능한 데이터입력장치
WO2021167232A1 (ko) 입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WO2023003131A1 (ko) 힌지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43500A1 (ko) 터치 패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4048903A1 (ko) 전자 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구조를 포함하는 케이스
WO2023200093A1 (ko) 배선용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95023B1 (ko) 키보드 입력 장치
WO2024117874A1 (ko) 플렉서블 케이블 커버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0980109607.0

Country of ref document: C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097212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DPE2 Request for preliminary examination filed before expiration of 19th month from priority date (pct application filed from 2004010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1500707

Country of ref document: J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2933246

Country of ref document: US

Ref document number: 20097212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