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023B1 - 키보드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키보드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023B1
KR102495023B1 KR1020220035021A KR20220035021A KR102495023B1 KR 102495023 B1 KR102495023 B1 KR 102495023B1 KR 1020220035021 A KR1020220035021 A KR 1020220035021A KR 20220035021 A KR20220035021 A KR 20220035021A KR 102495023 B1 KR102495023 B1 KR 102495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keyboard unit
key
unit
trans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5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렬
Original Assignee
김승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렬 filed Critical 김승렬
Priority to KR1020220035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0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0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6Arrangements for ergonomically adjusting the disposition of keys of a keybo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06F3/021Arrangements integrating additional peripherals in a keyboard, e.g. card or barcode reader, optical scan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키보드 입력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는 qwerty 방식 및 한글2벌식을 지원하는 키보드 입력 장치로서, 복수의 숫자키와 문자키를 포함하는 제1 키보드 유닛, 상기 제1 키보드 유닛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키보드 유닛 및 상기 제1 키보드 유닛 또는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키 입력을 제공하는 트랜스키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키보드 입력 장치{KEYBOARD INPUT APPRATUS}
본 발명은 키보드 입력장치에 대한 것이다.
현대에는 다양한 형태의 컴퓨팅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PC, 태블릿, 노트북 및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가 업무용 또는 생활용으로 사용된다.
스마트폰 같은 생활용 기기의 경우, 터치로 입력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PC나 노트북에는 여전히 키보드 입력 장치가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표준화된 자판 형식과 이에 적응되어 있는 압도적 다수의 사용자들이 있기 때문이다.
다만, 기존의 키보드 입력 장치는 정형화된 형상으로 인해 일부 사용자에게는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들은 각자 어깨 너비, 팔 길이, 손목과 손이 이루는 각도 등 신체 구조가 상이한데 반해, 전형적인 형상의 키보드는 키 배열과 그 폭이 동일하여 사용자에 적합한 형태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기술적 시도가 행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시도의 한 예시는 선행문헌 한국공개특허 2019-0137673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이 편리한 키보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키보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타이핑 습관을 고려하여 사용이 최적화된 키보드 배열을 갖는 키보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qwerty 방식 및 한글2벌식 방식에 적합한 키 배열을 갖는 키보드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는 qwerty 방식 및 한글2벌식을 지원하는 키보드 입력 장치로서, 복수의 숫자키와 문자키를 포함하는 제1 키보드 유닛, 상기 제1 키보드 유닛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키보드 유닛 및 상기 제1 키보드 유닛 또는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키 입력을 제공하는 트랜스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트랜스키가 상기 제1 키보드 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트랜스키는 제1키 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트랜스키가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트랜스키는 상기 제1키와 상이한 제2키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키보드 유닛은,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z,x,c,v 및 b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은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n 및 m키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스키가 상기 제2 키보드 유닛과 연결되면, 상기 트랜스키는 상기 b키와 동일한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키보드 유닛의 일측에 제1 분할면이 정의되고,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에 상기 제1 분할면에 대응하는 제2 분할면이 정의되며, 상기 제1 분할면과 상기 제2 분할면이 완전하게 접촉하는 결합 상태 및 상기 제1 분할면과 상기 제2 분할면이 이격되는 분리 상태가 정의되되,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키는 상기 제1 키보드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분리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키는 상기 제2 키보드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트랜스키는 esc키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랜스키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 부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 상에 배치되는 키캡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키보드 유닛은 제1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은 제2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 커넥터부 또는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키보드 유닛 또는 상기 제2 키보드 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키보드 유닛은,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z,x,c,v 및 b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은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n 및 m키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n키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상기 접속부가 접촉하면, 상기 트랜스키는 상기 'b'키와 동일한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제1 키보드 유닛의 좌측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접속부가 접촉하면, 상기 트랜스키는 'esc키'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원리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이 편리한 키보드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키보드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타이핑 습관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키 배열을 갖는 키보드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키보드 입력 장칭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구성(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구성 또는 층의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구성을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구성이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성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on)", "상(on)",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 시 또는 동작 시 구성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을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의 "아래"로 기술된 구성은 다른 구성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다른 구성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된 구성은 시점에 따라 다른 구성의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은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1000)는 제1 키보드 유닛(100), 제2 키보드 유닛(200), 트랜스 키(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키보드 입력 장치(1000)는 물리적으로 분할된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은 서로 이격되거나, 접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1000)는 복수의 키보드 유닛이 탈착 가능하도록 분리된 분할 키보드일 수 있다.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은 입력에 필요한 기본 키(문자 키, 숫자 키)를 서로 나눠가질 수 있다.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은 연결부(15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연결'이라는 의미는 두 대상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연결부(150)는 유선 연결과 무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선 연결을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적외선 연결 등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은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키보드 입력 장치(1000)는 입력 라인(1500)을 통해 제어부(200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제어부(2000)는 각종 컴퓨팅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제어부(2000)는 서버, 컴퓨터 등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로 이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000)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즉, 키보드 입력 장치(1000)에서 생성된 입력 신호는 입력 라인(1500)을 통해 제어부(2000)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라인(1500)은 유선으로 구성되며, USB 방식, C-type 방식 등 다양한 접속 방식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여 제어부(2000)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입력 라인(1500)은 무선으로 구성되며,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적외선 연결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하여 제어부(20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예로 들은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방식은 하나의 예로서, 유선 및/또는 무선 연결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트랜스키(300)는 제1 키보드 유닛(100) 또는 제2 키보드 유닛(200)과 연결되어 하나 이상의 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트랜스키(300)는 기 설정된 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기 설정된 키는 제1 키보드 유닛(100) 또는 제2 키보드 유닛(200)에 포함된 키 중 선택된 하나 일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설정에 따라 다른 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키(300)는 제1 키보드 유닛(100)에 연결될 때와 제2 키보드 유닛(200)에 연결될 때 서로 다른 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트랜스키(300)는 연결되는 유닛에 따라 서로 다른 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위해 도 2를 참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은 입력을 위한 문자/숫자 및 기능 키를 서로 나눠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키보드에 적용되는 키 배열은 qwerty(영문) 방식 및 한글2벌식(한글) 방식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를 전제로 설명을 진행하기로 한다.
제1 키보드 유닛(100)은 키보드 입력 장치(1000)에서 좌측에 배치되는 유닛일 수 있다.
제1 키보드 유닛(100)의 제1열에는 1~6 까지의 숫자키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열에는 q(ㅂ), w(ㅈ), e(ㄷ), r(ㄱ), t(ㅅ)의 문자키가 배치될 수 있다.
제3열에는 a(ㅁ), s(ㄴ), d(ㅇ), f(ㄹ), g(ㅎ)의 문자키가 배치될 수 있다.
제4열에는 z(ㅋ), x(ㅌ), c(ㅊ), v(ㅍ), b(ㅠ)의 문자키가 배치될 수 있다.
제5열에는 ctrl, alt 등의 기능키와 스페이스키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키보드 유닛(100)에 배치되는 문자 및 숫자키는 qwerty 방식의 키보드에서 사용자의 왼손에 대응되는 키의 집합일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영타를 타이핑할 때, 왼손으로 타이핑 하는 문자 및 숫자 키들이 제1 키보드 유닛(100)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키보드 유닛(100)의 일측, 즉, 6, t(ㅅ), g(ㅎ),b(ㅠ) 및 스페이스 키와 인접하는 일측에는 제1 분할면(120)이 정의될 수 있다. 제1 분할면(120)은 키보드를 분할하는 면으로서, 후술하는 제2 키보드 유닛(200)의 제2 분할면(220)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키보드 유닛(100)의 상단 좌측에는 제1 커넥터부(1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부(100)는 후술하는 트랜스키(300)와의 접속을 제공하는 구성일수 있다. 제1 커넥터부(100)가 트랜스키(300)와 접속하면, 트랜스키(300)는 제1 키보드 유닛(100)의 구성이 되어 키 입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커넥터부(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2 키보드 유닛(200)은 키보드 입력 장치(1000)에서 우측에 배치되는 유닛일 수 있다.
제2 키보드 유닛(200)의 제1열에는 7,8,9,0의 숫자키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열에는 y(ㅛ), u(ㅕ), i(ㅑ), o(ㅐ), p(ㅔ)의 문자키가 배치될 수 있다.
제3열에는 h(ㅗ), j(ㅓ), k(ㅏ), l(ㅣ) 의 문자키가 배치될 수 있다.
제4열에는 n(ㅜ), m(ㅡ) 의 문자키가 배치될 수 있다.
제5열에는 ctrl, alt 등의 기능키와 스페이스키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키보드 유닛(200)에 배치되는 문자 및 숫자키는 qwerty 방식의 키보드에서 사용자의 오른손에 대응되는 키의 집합일 수 있다. 즉, 기본적으로 영타를 타이핑할 때, 오른손으로 타이핑하는 문자 및 숫자 키들이 제2 키보드 유닛(200)에 포함될 수 있다.
제2 키보드 유닛(200)의 일측, 즉, 7, y(ㅛ), h(ㅗ),n(ㅜ) 및 스페이스 키와 인접하는 일측에는 제2 분할면(220)이 정의될 수 있다. 제2 분할면(220)은 키보드를 분할하는 면으로서, 제1 분할면(120)과 대응될 수 있다.
제1 분할면(120)과 제2 분할면(220)은 서로 상보적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1 분할면(120)의 돌출 부분만큼 제2 분할면(220)은 함몰 부분을 가지며, 이에 따라 양자는 서로 빈틈없이 결합될 수 있다. (도 3 참조)
제2 키보드 유닛(200)의 제2 분할면(220) 상에는 제2 커넥터부(21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커넥터부(210)는 제2 키보드 유닛(200)의 'n(ㅜ) 키'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커넥터부(210)는 트랜스키(300)와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스키(300)와 제2 커넥터부(210)가 서로 접촉하여 연결되면, 트랜스키(300)는 제2 키보드 유닛(200)과 연결되어 제2 키보드 유닛(200)을 통해 키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키보드 입력 장치(1000)는 서로 분리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은 서로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상태에서 제1 키보드 유닛(100)의 제1 분할면(12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은 제2 분할면(220)은 서로 접촉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1 분할면(120)과 제2 분할면(220)이 완전하게 접촉한 상태를 결합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분할면(120)과 제2 분할면(220) 각각에는 서로 대응되는 자성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분할면(120)과 제2 분할면(220)에는 서로를 당기는 인력이 작용하고, 이에 따라 양자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은 독립적인 잠금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끼임결합, 클램프 결합, 버튼 결합 등이 잠금 수단에 적용되어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을 결합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은 제1 분할면(120)과 제2 분할면(220)이 서로 접촉하지만, 체결되지는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즉, 사용자 편의에 따라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을 붙여 사용하거나, 서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결합 상태에서 사용자는 키보드 입력 장치를 분리되지 않는 하나의 키보드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다.
결합상태에서 트랜스키(300)는 제1 커넥터부(110)와 접속할 수 있다. 트랜스키(300)가 제1 커넥터부(110)와 접촉하면, 트랜스키(300)는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연결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부(110)는 제1 키보드 유닛(100) 좌측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1 키보드 유닛(100)의 좌측 상단은 'ESC'키가 배치되는 위치이다. 트랜스키(300)가 제1 커넥터부(110)가 연결되면 트랜스키(300)는 'ESC'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제1 키보드 유닛(100)은 제어부(2000)와 연결되면 표준 입력을 제공하는데 트랜스키(300)가 제1 커넥터부(110)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ESC' 입력을 담당하는 키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트랜스키(300)는 하드웨어 차원에서 입력 키로 설정되거나, 소프트웨어 방식에서 특정 키를 입력하는 입력 키로 설정될 수 있다.
도 4는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이 분리된 분리 상태를 도시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을 서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기울기를 조절하면,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키보드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자신의 자세, 손목의 각도, 어깨 너비 등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위치에 키보드를 배치할 수 있다. 즉, 왼손의 위치에 맞춰 제1 키보드 유닛(100)을 배치하고, 오른손 위치에 맞춰 제2 키보드 유닛(200)을 배치함으로써 자신의 신체에 최적화된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다. 전형적인 키보드(직사각형 형태)를 오래 사용하면, 손목이나 목에 부담을 줘 손목 터널 증후군이나 거북목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좁은 키보드에 몸을 맞추거나 손목을 지나치게 꺾은 상태에서 키보드를 사용할 때 발생할 수 있다. 본원의 몇몇 실시예와 같이 키보드를 분리시켜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신체 형태에 맞춘 최적화된 위치에서 키보드 입력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된다.
분리 상태에서 트랜스키(300)는 제2 키보드 유닛(200)과 연결될 수 있다. 트랜스키(300)는 제2 키보드 유닛(200)의 제2 커넥터부(210)와 접속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커넉터부(210)는 제2 키보드 유닛(200)의 n(ㅜ) 키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스키(300)와 제2 키보드 유닛(200)와 연결되면, 트랜스키(300)는 n(ㅜ) 키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키보드 유닛(100)은 qwerty 방식의 영문 타이핑에서 왼손과 대응되고, 제2 키보드 유닛(200)은 qwerty 방식의 영문 타이핑에서 오른손과 대응된다. 이 때, 분할 상태에서도 영문 타이핑에서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 그러나 한글 2벌식으로 전환하게 문제가 발생한다. 한글2벌식 자판에서는 일반적으로 왼손이 자음을 담당하고, 오른손이 모음을 담당하도록 키들이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b(ㅠ)키의 경우, 영문 타이핑에서는 왼손에 대응되는 키이지만, 한글 타이핑에서는 오른손에 대응되는 키가 된다. (영어로 'base'를 쳐본 후에 한글로 '우유'를 치면 그 차이를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따라서, qwerty 기준으로 b(ㅠ)키를 제1 키보드 유닛(100)에 배치하는 경우, 한글2벌식으로 전환했을 때, 불편이 생길 수 있다. 이와 같은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트랜스키(300)가 제2 키보드 유닛(200)의 n(ㅜ) 키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n(ㅜ) 키 좌측은 원래 b(ㅠ)키가 배치되는 곳이다. 이 위치에서 트랜스키(300)가 제2 커넥터부(210)에 연결되면, 트랜스키(300)는 'b(ㅠ)'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서 제2 키보드 유닛(200)은 제어부(2000)와 연결되면 표준 입력을 제공하는데 트랜스키(300)가 제2 커넥터부(210)에 연결된 상태에서는 'b(ㅠ)' 입력을 담당하는 키로 설정될 수 있다.
즉, 트랜스키(300)는 하드웨어 차원에서 입력 키로 설정되거나, 소프트웨어 방식에서 특정 키를 입력하는 입력 키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분리 상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는 b(ㅠ)를 입력하는 두 개의 키(원래 b키 및 트랜스키)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트랜스키(300)가 b키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 영문 타이핑 및 한글 타이핑의 두 가지 모드에서 왼손과 오른손으로 편리하게 키를 입력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5는 트랜스키(300)의 측면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 트랜스키(300)는 베이스부(310), 스위치부(320) 및 키캡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는 트랜스키(300)의 각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부(310)의 내측에는 키 입력을 위한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회로부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베이스부(310)는 회로 기판을 수납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 상에는 스위치부(320)가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부(320)는 베이스부(310)의 회로 기판과 연결되며, 사용자가 키캡부(330)를 누르면, 이를 회로부에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스위치부(320) 상에는 키캡부(330)가 배치될 수 있다. 키캡부(330)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하는 부위로서, 사용자는 키캡부(330)를 눌러 제어부(2000)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부(310)의 일측에는 접속부(340)가 배치될 수 있다. 접속부(34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커넥터부(110) 또는 제2 커넥터부(210)과 연결되는 구성이다. 일 실시예에서 접속부(340)와 제1 커넥터부(110) 또는 제2 커넥터부(210)는 복수의 핀이 서로 대응되는 단자와 접촉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접속부(34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자석부재(341)가 배치될 수 있다. 자석 부재는 접속부(340)와 제1 커넥터부(110) 또는 제2 커넥터부(210)의 접촉을 보조하며, 접촉된 상태에서 접촉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키보드 입력 장칭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6은 제2 키보드 유닛(200)의 제2 분할면(220)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제1 키보드 유닛(100)과 제2 키보드 유닛(200)의 키 배열은 상이하지만, 그 구조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키보드 유닛(200)에 대한 설명은 제1 키보드 유닛(100)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키보드 유닛(200)은 베이스 하우징(225), 입력 스위치(230) 및 키블록(24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225)은 제2 키보드 유닛(200)의 구성들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베이스 하우징(225) 내측에는 입력을 제공받아 전달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하우징(225) 상에는 복수의 입력 스위치(230)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 스위치(230)는 사용자가 키블록(240)을 누르면, 그 입력을 인쇄회로기판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 스위치(230) 상에는 키블록(240)이 배치될 수 있다. 키블록(240)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직접 접촉하는 구성이다. 키블록(240)은 숫자, 문자 또는 기능 키와 매칭되어 있어 사용자는 복수의 키블록(240)을 눌러 영어 및/또는 한글 입력을 생성할 수 있게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구성의 일부는 앞서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구성과 동일할 수 있으며,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해 일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보드 입력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트랜스키(301)는 마우스 조립체(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 조립체(350)는 트랜스키(301)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트랜스키(301)에서 키캡부(331)는 도 5의 키캡부(330)보다 그 크기가 작을 수 있다.
마우스 조립체(350)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제어부(2000)에 마우스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마우스 조립체(350)를 만지거나 누름으로써, 마우스 커서를 이동시키거나 클릭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마우스 조립체(350)가 도 8과 같이 제2 커넥터부(210)에 접촉되는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마우스 없이 키보드 입력 장치(1000)를 이용하여 키보드 입력 및 마우스 입력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제1 키보드 유닛
200: 제2 키보드 유닛
300: 트랜스키
110: 제1 커넥터부
120: 제1 분할면
220: 제2 분할면

Claims (10)

  1. qwerty 방식 및 한글2벌식을 지원하는 키보드 입력 장치로서,
    복수의 숫자키와 문자키를 포함하는 제1 키보드 유닛;
    상기 제1 키보드 유닛과 물리적으로 분리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키보드 유닛; 및
    상기 제1 키보드 유닛 또는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에 연결되어 기 설정된 키 입력을 제공하는 트랜스키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스키가 상기 제1 키보드 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트랜스키는 제1키 입력을 제공하고, 상기 트랜스키가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에 연결되면, 상기 트랜스키는 상기 제1키와 상이한 제2키 입력을 제공하는 키보드 입력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보드 유닛은,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z,x,c,v 및 b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은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n 및 m키를 포함하되, 상기 트랜스키가 상기 제2 키보드 유닛과 연결되면, 상기 트랜스키는 상기 b키와 동일한 입력을 제공하는 키보드 입력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보드 유닛의 일측에 제1 분할면이 정의되고,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에 상기 제1 분할면에 대응하는 제2 분할면이 정의되며,
    상기 제1 분할면과 상기 제2 분할면이 완전하게 접촉하는 결합 상태 및 상기 제1 분할면과 상기 제2 분할면이 이격되는 분리 상태가 정의되되, 상기 결합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키는 상기 제1 키보드 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분리 상태에서 상기 트랜스키는 상기 제2 키보드 유닛과 연결되는 키보드 입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상태에서 상기 트랜스키는 esc키 입력을 제공하는 키보드 입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키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배치되는 스위치부, 상기 스위치부 상에 배치되는 키캡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키보드 입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보드 유닛은 제1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은 제2 커넥터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 커넥터부 또는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키보드 유닛 또는 상기 제2 키보드 유닛과 연결되는 키보드 입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키보드 유닛은,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z,x,c,v 및 b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키보드 유닛은 순차적으로 나열되는 n 및 m키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커넥터부는 상기 n키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키보드 입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부와 상기 접속부가 접촉하면, 상기 트랜스키는 상기 'b'키와 동일한 입력을 제공하는 키보드 입력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부는 상기 제1 키보드 유닛의 좌측 상단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커넥터부와 상기 접속부가 접촉하면, 상기 트랜스키는 'esc키' 입력을 제공하는 키보드 입력 장치.
KR1020220035021A 2022-03-21 2022-03-21 키보드 입력 장치 KR1024950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021A KR102495023B1 (ko) 2022-03-21 2022-03-21 키보드 입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5021A KR102495023B1 (ko) 2022-03-21 2022-03-21 키보드 입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5023B1 true KR102495023B1 (ko) 2023-02-06

Family

ID=8522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5021A KR102495023B1 (ko) 2022-03-21 2022-03-21 키보드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502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460Y1 (ko) * 2000-06-16 2000-11-15 이광희 분리사용이 가능한 키보드
KR20200076149A (ko) * 2018-12-19 2020-06-29 김용주 키보드 조립체
KR102324975B1 (ko) * 2021-04-02 2021-11-10 전승환 독립형 키보드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4460Y1 (ko) * 2000-06-16 2000-11-15 이광희 분리사용이 가능한 키보드
KR20200076149A (ko) * 2018-12-19 2020-06-29 김용주 키보드 조립체
KR102324975B1 (ko) * 2021-04-02 2021-11-10 전승환 독립형 키보드 모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Ultimate Hacking Keyboar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3087B2 (en) Pressure sensitive keys
US9443672B2 (en) Patterned conductive traces in molded elastomere substrate
US5408621A (en) Combinatorial data entry system having multi-position switches, each switch having tiltable control knob
US20020067343A1 (en) Two-sided input device for a computer-related apparatus
EP2884721A1 (en) Keyboard and mouse of cellular phone
US20020042853A1 (en) Electronic device provided with an input means
US9268364B2 (en) Ergonomic data entry device
US20070188474A1 (en) Touch-sensitive motion device
TW200529636A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TWI571691B (zh) 組裝式鍵盤及組裝式按鍵
US20150363007A1 (en) Data input systems for handheld devices
US20120075125A1 (en) Handgrip keyboard
US20090160810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495023B1 (ko) 키보드 입력 장치
KR20120064739A (ko) 지능형 휴대형 키보드 입력 장치
JP2001154782A (ja) データ入力装置
KR19980034004A (ko) 포인팅 디바이스를 갖는 개인 휴대용 기기
KR20070001447A (ko) 배면 입력부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514542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입력장치
CN104142731A (zh) 双面键盘
KR100758702B1 (ko) 착용형 및 휴대형 정보기기용 입력장치
KR200269601Y1 (ko) 소형 키패드용 3접점 키버튼
KR20230127919A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 기기 및 이에 대한 동작 방법
JP4499933B2 (ja) 多方向入力ラバースイッチおよびこのスイッチを用いた情報機器
KR20190091690A (ko) 휴대용 키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