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542B1 -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542B1
KR100514542B1 KR10-2004-0054012A KR20040054012A KR100514542B1 KR 100514542 B1 KR100514542 B1 KR 100514542B1 KR 20040054012 A KR20040054012 A KR 20040054012A KR 100514542 B1 KR100514542 B1 KR 100514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terminal
data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4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4643A (ko
Inventor
박노수
Original Assignee
박노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수 filed Critical 박노수
Priority to KR10-2004-0054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14542B1/ko
Publication of KR20040074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4643A/ko
Priority to US11/570,795 priority patent/US20090009472A1/en
Priority to PCT/KR2005/001366 priority patent/WO200512452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5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단말기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다수의 입력키유닛 및, 상기 입력키유닛 각각에 복수의 입력키가 구비된 상태로써 화면출력을 이루고, 상기 다수의 입력키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입력키유닛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로 이루어져 해당키값이 휴대단말기에 입/출력 되도록 이루어진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DA thereby}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기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4× 4의 입력키와, 이들 입력키 중 4개가 하나의 입력키유닛으로써 화면출력을 이루고, 상기 4개의 입력키유닛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와 선택된 입력키유닛에 구비된 4개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이에 상응하는 해당키값이 입력되도록 제어하는 입력제어수단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팜탑 컴퓨터(Palm-top computer)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에는 터치스크린 등의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계속적인 기술개발에 따라 점차 소형화 및 박막화 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는, 전술한 소형화 추세에 따라 화면크기가 작게 구현되는 바, 화면 출력되는 입력키를 손가락을 이용하여 입력작업을 수행할 경우, 터치스크린의 오염 및 손톱 등에 의한 손상을 초래하여 그 내구성을 현저히 저하시키게 되므로, 반드시 별도의 첨예한 핀(이하, “터치 펜”이라 함.)으로써 해당 입력키와 접촉시켜 데이터의 입력작업 또는 기능선택 등을 실시하여야만 하였다.
그러나, 별도로 구비되는 상기 터치 펜은 분실의 우려가 있었으며,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작업은 통상 하나의 터치 펜만을 이용하게 되므로 신속하고도 용이한 입력작업을 이룰 수 없었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손으로써 휴대단말기를 파지하게 되는 바, 휴대단말기를 파지한 손에 의해 터치스크린이 일부 가려져 데이터 입력작업 등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게 됨은 물론, 자칫 터치스크린을 오염시킬 수 있어 이로 인한 빈번한 입력오류 등의 오작동이 발생되었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한편, 통상의 게임용 입력장치는, 8방향 입력접점을 갖는 조이스틱 또는 8방향 입력버튼을 이용하게 되는 바, 8개의 입력접점 즉, 상하좌우방향의 4개의 입력접점과 좌상 및 좌하 및 우상 및 우하방향의 4개의 입력접점이 구비되어 조이스틱 등을 조작하여 이들 중 어느 하나와 접점이 이루어지면 발생된 해당시그널과 상응하는 해당키값이 입력되는 작동원리를 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전술한 게임용 입력장치는, 8가지의 입력방법을 하나의 장치로써 구현 가능하다는 일정한 효과가 인정되나, 변위오차에 따른 입력오류가 빈번히 발생됨에 따라 데이터 입력을 수행하는 용도로써 적용될 수 없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전술한 8방향 입력접점방식을 갖는 조이스틱 등의 구성물을 이용하여 휴대단말기 또는 퍼스널컴퓨터 등의 단말기에 문자정보 등의 데이터입력을 효율적이면서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기술사상이 개시된 바 없었으며, 단지 통상의 입력장치(일 예로써, 키보드)의 자판 구성을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출력을 이룬 상태에서 앞서 언급된 8방향 조이스틱 등을 조작하여 자판의 해당키로 변위시켜 해당키값을 입력하는 정도에 지나지 않았으므로, 조이스틱 또는 입력버튼 등을 이용하여 문자정보를 용이하고도 신속ㆍ정확하게 입력할 수 없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2004년 06월 18일자 국내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45643호”의 “휴대단말기용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을 개시한 바 있다.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터치스크린 상에 16개의 입력점(a1 내지 a16)이 화면출력을 이루며, 상기한 16개의 입력점 중 9개의 입력점과 상응하는 면적을 갖는 슬라이딩패널(30)이 구비된다.
그 작동원리를 살펴보면, 상기 슬라이딩패널(30)의 저면에는 총 4개의 입력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바, 도시된 바와 같이 총 4번의 변위동작에 의해 16개의 입력점(a1 내지 a16)과 상기 입력부재가 모두 일치되므로, 입력하고자 하는 입력키값과 상응하는 특정 입력점을 일치시켜 이에 해당하는 입력부재의 상면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해당 입력점을 통해 해당 데이터의 입력 등을 이루는 작동원리를 갖는다.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에서 화면 출력을 이루는 상기한 16개의 입력점(a1 내지 a16)은 통상의 문자, 도형, 기호, 숫자 등의 입력키 및/또는 기능선택키 등으로 화면출력을 이루며, 상기 슬라이딩패널(30)을 이용하여 기능선택키를 가압하거나 특정의 입력키를 소정시간동안 가압할 시에 영문대문자/영문소문자/일어 히라가나/일어 가다가나/국문자음문자/국문모음문자/숫자/도형/기호 등의 주지 관용된 “문자전환모드”로 전환되어 해당 입력문자 등을 선택하여 물리적인 가압입력방식으로, 16개의 입력점으로써 다양한 문자 등의 입력을 실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기술사상을 갖는 것이었다.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은, 앞서 기재된 바 없으나, 입력하고자하는 해당 입력키로 슬라이딩패널(30)을 위치시키는 위치접점단계와, 해당 입력키를 입력하는 입력접점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상기한 위치접점단계에서 슬라이딩패널(30)의 위치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시에는 입력접점단계가 진행되지 않아 데이터의 미입력사태가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상기 슬라이딩패널(30)의 물리적인 변위동작에 따른 터치스크린과의 마찰력발생 등으로 인하여 터치스크린의 내구성을 현저히 저하시킨다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앞서 기재된 바대로 슬라이딩패널(30) 등을 이용한 물리적인 변위동작으로만 데이터의 입력을 구현할 수 있었던 바, 상기한 위치접점단계 및 입력접점단계가 공히, 전자적 신호체계로써 구현할 수 없어 제조자의 제조형태가 제한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음은 물론, 마우스 등의 컴퓨터주변기구와 같이 소모품의 형태에 지나지 아니하므로 반영구적인 사용이 어렵다는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자적 입력시스템이 구현 가능하며,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손상방지ㆍ반영구적 사용가능성ㆍ입력정확도 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친숙한 4방향 접점방식의 조이스틱 등의 입력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입력오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다양한 문자정보를 효율적이고도 신속ㆍ정확하게 해당 단말기에 입력을 실시할 수 있으며, 양손을 모두 이용하여 신속하고도 용이한 데이터 입력작업이 가능하고, 휴대단말기를 파지함과 동시에 입력동작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입력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에는 개시되지 않은 전자적 데이터입력방법으로써 이를 기존의 단말기에도 적용 가능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의 출현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으로써, 제기된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적 입력시스템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의 손상방지ㆍ반영구적 사용가능성ㆍ입력정확도 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친숙한 4방향 접점방식의 조이스틱 등의 입력부재를 적용함으로써 입력오류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다양한 문자정보를 효율적이고도 신속ㆍ정확하게 해당 단말기에 입력을 실시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마이콤 또는 소프트웨어 등으로 구현되는 입력제어수단이 PDA, PC 등의 외부입력장치에 설치됨에 따라 입력부재의 조작에 의해 입력키유닛선택단계, 선택된 입력키유닛에 구비된 입력키를 선택하는 단계를 거침으로써, 입력하고자하는 문자데이터의 입력작업은 물론 입력키유닛을 선택하기 위한 초기모드로 복원되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양손을 모두 이용하여 신속하고도 용이한 데이터 입력작업이 가능하고, 휴대단말기를 파지함과 동시에 입력동작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입력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에는 개시되지 않은 전자적 데이터입력방법을 개시함으로써 이를 휴대단말기 등에 일체화 구성 또는 기존의 휴대단말기 등의 외부입출력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의 입력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입력부재가 다수의 입력접점 중 어느 하나와 동시접점을 이룰 시에 문자/숫자/기호/이미지/기능선택모드로 전환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자정보 등을 입력 가능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 이상의 입력부재와, 기존의 휴대단말기 등과 슬라이딩체결 또는 억지끼움체결방식 등이 가능한 구성의 체결부재와, 상기 휴대단말기 등에 구성된 통상의 통신포트와 접속되어 상호 통신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접속단자를 구성된 입력수단이 구비되어 이를 통해 외부입출력장치에 문자데이터의 입력을 가능한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4× 4로 이루어진 복수의 입력키와 상기 입력키를 각각 4개씩 구비하는 다수의 입력키유닛이 휴대단말기 등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화면출력을 이루도록 하고, 입력레버, 입력버튼, 터치 펜 등으로 구현되는 입력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키유닛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선택된 입력키유닛에 구비된 입력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해당키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키유닛 선택단계로 다시 피드백 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입력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사용자 또는 해당 A/S센터 등이 휴대단말기에 설치하거나, 제품 출하 시에 휴대단말기 내에 상기 입력제어수단이 탑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부재를 구비하는 입력수단을 기존의 휴대단말기와 접속하여 사용하거나, 상기한 입력부재가 휴대단말기 등에 일체화 구성됨에 따라 입력키유닛의 선택, 입력키선택단계 등을 거쳐 해당키값이 휴대단말기에 입력되도록 하는 휴대단말기용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으로서는,
ⅰ) 입력수단(50)의 입력부재(51)를 조작하여 복수의 입력키(a1, a2, a3, a4)를 각각 구비하는 다수의 입력키유닛(41, 42, 43, 4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ⅱ) 상기 입력부재(51)를 다시 재조작하여 상기와 같이 선택된 입력키유닛(41 또는, 42 또는, 43 또는, 44)에 구비된 입력키(a1, a2, a3, a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이와 상응하는 해당키값이 입력수단(50)을 통해 단말기(30)에 입력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상기 입력키는, 4×4의 개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입력키유닛(41, 42, 43, 44)은, 상기 입력키가 각각 4개씩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입력부재(51)는, 복수개이며; 각각의 상기 입력부재(51)의 조작여부에 따라 4개의 입력키유닛(41, 42, 43, 44) 및 입력키(a1, a2, a3, a4)선택단계가 각각 진행되어 해당키값이 입력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복수의 상기 입력부재(51)는, 다수의 입력접점 중 어느 하나와 각각 동시접점을 이룰 시에 문자전환모드, 기능모드, 선택모드로부터 하나 이상 순차적으로 전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재(51)는, 입력레버(51a), 입력버튼(51b, 51c, 51d), 터치 펜으로부터 선택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입력수단(50)은, 통신포트(32)를 더 구비함으로써, 외부입출력장치와 상호 통신 접속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데이터입력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입력장치의 구성으로서는,
복수의 입력접점, 상기 입력접점과 접점을 이루는 입력레버(51a) 또는 입력버튼(51b, 51c, 51d)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부재(51)를 구비하는 입력수단(50)과, 디스플레이부(40)와 통신포트(32)와 문자/기호/이미지/숫자정보 등의 문자데이터(31)를 구비하는 단말기(30)로 이루어진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30) 또는 상기 입력수단(50) 내에 탑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각각 복수의 입력키(a1, a2, a3, a4)를 구비하는 다수의 입력키유닛(41, 42, 43, 44)을 화면 출력하는 화면출력모듈(11); 상기 입력부재(51)가 상기 입력접점 중 어느 하나와 접점을 이룰 시에 이와 상응하는 입력키유닛(41 또는 42 또는 43 또는 44)이 선택되도록 하는 입력키유닛선택모듈(12); 상기 입력부재(51)가 다시 상기 입력접점 중 어느 하나와 재접점을 이루면 이와 상응하는 입력키(a1 또는 , a2 또는 , a3 또는, a4)의 해당키값을 상기 문자데이터(31)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화면 출력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입력유닛(41, 42, 43, 44)을 선택하기 위한 초기모드로 전환시키는 입력모듈(13); 을 구비하는 입력제어수단(10)을 더 포함하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이 때, 상기 입력수단(50)은, 상기 단말기(3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30)로부터 개별체로 이루어져 상기 휴대단말기(30)의 상기 통신포트(32)와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이루는 접속단자(52)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입력수단(50) 또는 상기 단말기(30)에 구비된 상기 입력제어수단(10)은, 상기 접속단자(52) 및 통신포트(32)를 통해 상기 입력수단(50)과 상기 단말기(30)가 상호 통신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14)을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더불어, 상기 입력제어수단(10)은, 복수의 상기 입력부재(51)가 동시접점을 이룰 시에 문자전환모드/엔터키/기능모드/선택모드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전환시킴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앞서 언급된 외부입출력장치란, 통상의 PDA, 휴대전화 등의 휴대단말기와; 퍼스널컴퓨터(PC), 수상TV, 수상모니터, 송수상TV, 송수상모니터 등으로 구현되는 통상의 출력장치 및/또는 입출력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며, 앞서 기재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는, 전술한 입력제어수단(10)과 입력레버(51a), 입력버튼(51b, 51c, 51d) 또는, 통상의 키보드 등으로 구현되는 입력부재(51)를 구비하는 것으로 앞서 정의된 외부입출력장치와 접속되어 문자데이터가 입력되도록 하는 입력수단(50)을 의미하는 것이나,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30) 등에 일체화 구성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도록 한다. 단,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이므로, 이들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할 구획값이란, 다수의 입력키유닛 각각에 부여된 고유한 코드를 일컫는 바, 이하에서는, 구획값에 대한 별도의 설명을 기재하지 않도록 한다.
<제1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원리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방법에 있어 다수의 입력키와 상응하는 해당키값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4개의 입력키유닛(41, 42, 43, 44)과 상기 입력키유닛(41, 42, 43, 44)에 각각 4개의 입력키(a1, a2, a3, a4)가 구비되어 도합 16개의 입력키로 이루어진 키입력부(미도시)가 휴대단말기(30)의 디스플레이부(40)를 2개 화면출력을 이룬다.
이에 도시된 (Ⅰ)에서와 같이 후술할 2개의 입력부재(51)를 이용하여 각각 구획값을 갖는 입력키유닛(41, 44)을 각각 선택함으로써 해당 구획값이 입력되는 입력키유닛선택단계가 진행되며, 이후 2개의 입력부재(51)를 다시 재조작함에 따라 (Ⅱ)에서와 같이 선택된 입력키유닛(41, 44)에 구비된 입력키(a1, a4)를 각각 선택함으로써, 이와 상응하는 해당키값이 휴대단말기(30)로 입력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화면출력을 이루는 데이터 입력방법을 갖는다.
여기에서는, 별도의 기능키를 도시하고 있지 않으나, 소정단위시간(일예로써, 0.5초) 내에 2개의 입력부재가 미리 설정된 입력접점(일예로써, 2개의 입력부재가 모두 좌우측방향에 위치하는 입력접점과 동시접점을 이룬 상태)과 각각 동시접점을 이룰 시에는, 영문대문자/영문소문자/일어 히라가나/일어 가다가나/국문자음문자/국문모음문자/숫자/도형/기호 등의 주지 관용된 “문자전환모드”로 전환되기도 하며, 일정한 기능 즉, 인터넷검색, 시스템모드, 스케쥴모드 및, 상기한 입력모드 등을 선택하는 “기능선택모드”로 전환 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다양한 문자정보의 입력작업은 물론, 기능선택 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한 입력모드는 상기한 기능선택모드에 의해 선택된 특정모드에서도 동시에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인터넷검색 등의 특정모드를 진행함에 있어 문자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2개의 키입력부(미도시) 및 이와 연계된 동일 개수의 입력부재(51)를 이용하여 상하좌우 등의 4방향 접점방식으로써 통상의 키보드와 같이 신속ㆍ정확하게 데이터의 입력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데이터입력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도 4에서와 같이, 32개의 입력키와 상응하는 해당키값을 배치함에 있어 사용자에게 친숙한 통상의 키보드 문자배열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도록 배치 구성함이 좋다.
<제2실시예>
도 3은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한 입력원리도로서, 앞서 언급된 제1실시예와 구별되는 입력방법을 예시하고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도 3을 살펴보면, 전술한 제1실시예는 4방향 입력레버 또는 4방향 입력버튼으로 구현된 입력부재(51)를 이용하여야만 하였으나, 여기에서는 통상의 터치 펜(미도시)으로 구현된 입력부재(51)를 이용하여 32개의 입력키를 터치하는 방법으로 구현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4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어야 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키(Fucntion)(a4)가 32개의 입력키 중 어느 하나로써 화면출력을 이루어 이를 한번씩 터치할 때마다 상기 기능키(a4)를 제외한 31개의 입력키가 앞서 언급한 문자전환모드, 기능선택모드 등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101키로 이루어진 통상의 키보드와 대비하여 볼 때, 단지 32개의 입력키만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정보 등을 입력할 수 있어 식별력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입력키간의 공간이 축소됨에 따라 입력효율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제3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휴대단말기와 일체로 구성된 상태의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예시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시스템블록도로서, 앞서 언급된 입력원리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도 12를 참조하여 도 5 및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30)는, 디스플레이부(40), 다양한 문자정보가 저장된 문자데이터(31), 2개의 입력레버(51a)로 구현된 입력부재(51) 및, 제어부(20)를 포함하는 입력제어수단(10)을 구비하는 구성적 특징을 갖는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입력레버(51a)는, 통상의 조이스틱과 같은 형태로 제작되되, 레버의 길이가 보다 짧도록 형성하여 사용자가 휴대단말기(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입력레버(51a)를 조작함에 따른 손의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휴대단말기(30)에는, 상기 입력레버(51a)와 전기적 접점을 이루며 상기 입력레버(51a)가 이에 접점을 이룰 시에 해당 시그널을 제어부(20)에 송출하는 4개의 입력접점(미도시)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입력레버(21a)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4방향으로 변위될 경우에만 이와 사응하는 부위에 위치하는 입력접점과 접점을 이루게 되므로, 통상의 조이스틱과 같이 8방향 입력접점방식과는 구별되는 입력방식을 가짐으로써, 변위오차에 따른 입력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입력제어수단(10)은, 도 12에서와 같이, 화면출력모듈(11), 입력키유닛선택모듈(12), 입력모듈(13) 및, 이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총괄제어를 실시하는 제어부(20)의 개략적 구성을 갖는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제1실시예에 따른 입력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화면출력모듈(11)은 상기 제어부(20)의 명령에 따라 문자데이터(31)에 저장된 해당키값을 4×4의 입력키로써 디스플레이부(40)의 하방(45)에 화면출력을 실시한다.
이후, 상기 입력키유닛선택모듈(12)은, 상기 입력레버(51a)의 조작여부에 따라 발생되는 해당시그널이 상기 제어부(20)에 수신되면, 상기 제어부(20)의 명령에 의해 수신된 해당시그널과 상응하는 입력키유닛이 선택되도록 제어함은 물론,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선택된 입력키유닛을 사용자 등이 인지 가능하도록 적절한 화면출력방식에 의해 이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에, 상기 입력모듈(13)은, 사용자가 입력레버(51a)를 다시 재조작함으로써 발생되는 해당시그널이 상기 제어부(20)에 재수신되면, 상기 제어부(20)의 명령에 의해 상기와 같이 선택된 입력키유닛에 구비된 해당 입력키 중 상기 해당시그널과 상응하는 입력키의 해당키값을 상기 문자데이터(31)로부터 검출하여 디스플레이부(40)의 상방(46)으로 화면출력을 이룸과 동시에 전술한 입력키유닛 선택단계로 피드백 실시한다.
따라서, 입력레버(51a)가 각기 소정방향으로 1차 변위되면 이와 상응하는 방향의 입력키유닛이 선택되고, 2차 변위될 시에 선택된 입력키유닛에 구비된 입력키가 입력됨과 동시에 입력키유닛을 선택하는 단계로 피드백 시키는 작동원리를 가지므로, 용이하면서도 신속ㆍ정확하게 소망하는 데이터의 입력작업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다.
한편, 제2실시예에 따른 입력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제어방법으로서는, 상기한 바와 유사한 제어방법으로 이루어지되, 입력키유닛을 선택하는 단계가 반드시 요구되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즉, 제2실시예에 의한 입력방법에 의할 것 같으면, 입력부재가 터치 펜으로 구현되어 상기와 같이 화면출력을 이룬 상태에서 해당 입력키를 터치하는 방식으로써 그 즉시 해당키값을 문자데이터(31)로부터 검출, 입력 및,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앞서 기재된 바와 같이, 입력하고자 하는 입력키가 구비된 해당 입력키유닛을 1차 터치한 후, 이에 구비된 입력키를 2차 터치함으로써, 입력하고자하는 문자정보의 입력을 실시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방법은, 주로 어린이와 노약자 등이 입력하고자하는 문자정보를 1차적으로 확인한 후, 해당키값을 입력토록 함에 따른 정확한 문자정보의 입력, 학습효과 및, 식별력을 개선할 수 있다는 등의 일정한 효과가 있다.
<제4실시예>
도 7은, 도 5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입력부재(51)를 통상의 4방향 입력버튼(51b)으로 구현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따라서, 보다 콤팩트한 디자인의 휴대단말기(30)를 구현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친숙한 입력형태이므로 용이한 사용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5실시예>
도 8은, 도 5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입력부재(51)를 구성함에 있어 앞서 기재된 입력레버(51a) 중 레버의 구성을 생략하고 그 부위면 상에 엄지손가락 등이 안치 가능한 형상의 손가락거치요홈(53)이 구비된 4방향 입력버튼(51c)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단말기(30)를 파지함과 동시에 상기 손가락거치요홈(53)에 엄지손가락을 거치하게 되는 바, 휴대단말기(30)를 보다 편안한 자세에서 파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입력버튼(51c)을 변위시킴에 따른 손의 피로감을 크게 경감시킬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거치요홈(53)을 형성함에 있어 휴대단말기(30)의 사이즈와 대비하여 이를 가장 편안한 자세로써 파지하기 위한 각도로써 구성함이 좋다.
<제6실시예>
도 9는, 도 5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마름모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의 입력버튼(51d)으로 구현된 입력부재(51)를 도시하고 있는 바, 입력버튼(51d)의 중앙부위면이 상방 돌출되어 이에 엄지손가락 등이 안치되어 용이한 입력작업, 촉감을 통한 입력버튼(51d)의 인지 가능성 등의 효과가 있는 구성을 예시하고 있다.
<제7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50)이 개별체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입력수단(50)이 통상의 휴대단말기(30)와 체결 및 접속을 이루는 상태의 사시도로서, 기존의 휴대단말기(30)에 적용 시킬 수 있는 형태의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10을 살펴보면, 입력수단(50)은, 하우징(70)과 상기 하우징(70) 상에 제3실시예의 입력레버(51a)로 구현된 입력부재(51)와 상기 하우징(70)의 양단이 하방 연장되어 휴대단말기(30)의 소정부위와 슬라이딩체결을 이루기 위한 격자부(72) 및 상기 격자부(72)와 상기 하우징(70) 저면간에 형성되는 슬라이딩통공(71)과 상기 하우징(70)의 소정부위면으로부터 인출되어 그 말단에 통상의 USB단자 등의 접속단자(52)가 구비된 케이블(54)로 구성된다.
도 12를 참조하여 도 11을 살펴보면, 상기 입력수단(50)의 상기 케이블(54)은, 하우징(70)의 내부에 마이콤 등의 제어부(20)를 구비하는 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있으며, 전술한 제3실시예의 모듈(11, 12, 13)을 구비하되 이와 더불어 상기 접속단자(52) 및 휴대단말기(30)의 통신포트(52)를 통해 입력수단(50)으로부터 발생된 해당시그널을 상기 휴대단말기(30)로 전송하여 상기 해당시그널과 상응하는 문자정보를 문자데이터(31)로부터 검출 및 출력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물론, 휴대단말기(30)는, 상기 입력수단(10)과 통신접속됨에 따라 4×4형태의 입력키를 출력하기 위한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이며, 상기 소프트웨어는 사용자 또는 해당 A/S센터를 통해 설치할 수 있는 바, 전술한 데이터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간이화된 구성으로서, 전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어 종래의 휴대단말기 등을 활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력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즉, 다양한 형태의 외부입출력장치에 구비된 통상의 키보드 중 4개의 방향키만을 이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전술한 제1 내지 제7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즉, 제1 내지 제7실시예의 특정구성물 또는 입력방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호 선택적으로 조합 및/또는 구성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기술범주 내에 있다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할 것 같으면, 다양한 입력수단 즉 본 발명에 따른 입력수단(50)은 물론, 통상의 키보드에 구성된 4개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다양한 문자정보를 효율적이고도 신속ㆍ정확하면도서 용이하게 해당 단말기에 입력을 실시할 수 있으며, 양손을 모두 이용하여 입력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는 등의 장점이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를 파지함과 동시에 입력동작을 간편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전자적 입출력시스템을 구현 가능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다양한 입력부재를 사용하여 소망하는 데이터의 입력을 용이하게 실시 가능하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입력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특히, 종래에는 개시되지 않은 데이터입력방법을 개시함과 동시에 기존의 단말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데이터입력원리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입력원리도.
도 3은, 도 2의 변형예를 도시한 입력원리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입력방법에 있어 다수의 입력키에 해당하는 해당키값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휴대단말기와 일체로 구성된 상태의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사용상태예시평면도.
도 7은, 도 5의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5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5의 또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개별체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입력장치가 통상의 휴대단말기와 체결 및 접속을 이루는 상태의 체결상태예시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시스템블록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도면부호의 설명>
10 : 입력제어수단 11 : 화면출력모듈
12 : 입력키유닛선택모듈 13 : 입력모듈
14 : 통신모듈
20 : 제어부
30 : 휴대단말기(PDA) 31 : 문자데이터
32 : 통신포트
40 : 디스플레이부
50 : 입력수단 51 : 입력부재
51a : 입력레버 51b, 51c, 51d : 입력버튼
52 : 접속단자 53 : 손가락 거치요홈
54 : 케이블
70 : 하우징 71 : 슬라이딩통공
72 : 격자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ⅰ) 입력수단(10)의 2개의 입력부재(51)를 조작하여 하나의 구획값과 4개의 입력키(a1, a2, a3, a4)를 각각 구비하는 4개의 입력키유닛(41, 42, 43, 44)으로부터 상기 입력부재(51)와 전기적 접점을 이루어 상기 입력부재의 선택방향에 위치하는 입력키값(a1 또는 a2 또는 a3 또는 a4)이 구비된 입력키유닛이 선택됨과 동시에 선택된 입력키유닛이 화면에 반전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구획값 선택 단계;
    ⅱ) 선택된 입력키유닛(41,42,43,44)으로부터 상기 입력부재(51)를 다시 재조작하여 선택된 입력키유닛에 구비된 4개의 입력키(a1, a2, a3, a4)로부터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입력부재(51)와 전기적 접점을 이루어 상기 입력부재의 선택방향에 해당되는 입력키값이 선택됨과 동시에 선택된 입력키값이 입력되도록 하며 선택된 입력키값이 화면에 반전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입력키값 입력 단계;
    로 이루어지며, 입력자가 각각의 입력부재(51)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양손을 모두 활용하여 구획값과 입력키값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동시 또는 특정시간 내에 상기 2개의 입력부재(51)를 통해 구획값을 입력할 때에 기능모드의 키값이 입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재(51)는, 입력레버(51a), 입력버튼(51b, 51c, 51d) 및, 터치 펜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방법.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입력된 상기 구획값과 입력키값이 외부입출력장치 또는 휴대단말기와 상호 통신 접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입력방법.
  8. 삭제
  9. 삭제
  10. 복수의 입력접점, 상기 입력접점과 접점을 이루는 입력레버(51a) 또는 입력버튼(51b, 51c, 51d)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입력부재(51)를 구비하는 입력수단(50)과, 디스플레이부(40)와 통신포트(32)와 문자/기호/이미지/숫자정보 등의 문자데이터(31)를 구비하는 단말기(30)로 이루어진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50)은, 상기 단말기(3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단말기(30)로부터 개별체로 이루어져 상기 휴대단말기(30)의 상기 통신포트(32)와 접속 또는 접속해제를 이루는 접속단자(52)를 더 구비하며,
    상기 입력수단(50) 또는 상기 단말기(30)에 구비된 상기 입력제어수단(10)은, 상기 접속단자(52) 및 통신포트(32)를 통해 상기 입력수단(50)과 상기 단말기(30)가 상호 통신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모듈(14)을 더 구비하며,
    상기 단말기(30) 또는 상기 입력수단(50) 내에 탑재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각각 복수의 입력키(a1, a2, a3, a4)를 구비하는 다수의 입력키유닛(41, 42, 43, 44)이 각각 구획된 상태로써 화면 출력되도록 하는 화면출력모듈(11);
    상기 입력부재(51)가 상기 입력접점 중 어느 하나와 재접점을 이룰 시에 이와 상응하는 입력키유닛(41 또는 42 또는 43 또는 44)이 선택되도록 하는 입력키유닛선택모듈(12);
    상기 입력부재(51)가 다시 상기 입력접점 중 어느 하나와 재접점을 이루면 이와 상응하는 입력키(a1 또는 , a2 또는 , a3 또는, a4)의 해당키값을 상기 문자데이터(31)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화면 출력을 이룸과 동시에, 상기 입력유닛(41, 42, 43, 44)을 선택하기 위한 초기모드로 전환시키는 입력모듈(13); 을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입력부재(51)가 동시접점을 이룰 시에 문자전환모드/엔터키/기능모드/선택모드로부터 하나 또는 그 이상으로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제어수단(1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수단을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KR10-2004-0054012A 2004-06-18 2004-07-12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입력장치 KR10051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012A KR100514542B1 (ko) 2004-07-12 2004-07-12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입력장치
US11/570,795 US20090009472A1 (en) 2004-06-18 2005-05-10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da Thereby
PCT/KR2005/001366 WO2005124523A1 (en) 2004-06-18 2005-05-10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da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4012A KR100514542B1 (ko) 2004-07-12 2004-07-12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입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643A KR20040074643A (ko) 2004-08-25
KR100514542B1 true KR100514542B1 (ko) 2005-09-13

Family

ID=37361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4012A KR100514542B1 (ko) 2004-06-18 2004-07-12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145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019B1 (ko) * 2004-08-04 2007-01-16 김성수 데이터입력장치 및 그 데이터입력방법
KR100772431B1 (ko) * 2006-01-27 2007-11-01 박노수 데이터 입력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입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4643A (ko) 2004-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489134C (en) Character key incorporating navigation control
AU2002326972B2 (en) Universal keyboard
EP1677986B1 (en) Keyboard and keys
KR20020097024A (ko) 손파지형의 조합 키보드 및 게임 컨트롤러 시스템
US20060082540A1 (en) Data input system
US20070247337A1 (en) Condensed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s
AU2002326972A1 (en) Universal keyboard
US20060093114A1 (en) Multi-status key panel
KR100466874B1 (ko) 휴대단말기용 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US20090009472A1 (en) Data 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Pda Thereby
US20050057508A1 (en) Multiple keypad mouse system
KR100514542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입력장치
JP3289689B2 (ja) キーボード装置
KR100777653B1 (ko) 문자입력장치
EP1538515B1 (en) Character key incorporating navigation control
KR102495023B1 (ko) 키보드 입력 장치
EP1764675B1 (en) Input apparatus for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enabling input employing the same
GB2381854A (en) Alphabetic and numeric input using four joysticks
KR200252968Y1 (ko) 키보드 일체형 모바일 기기
KR20020001129A (ko) 제한된 수의 키수단을 이용한 한글입력방법과 컴퓨터의입력장치
AU2004320904B8 (en) Keyboard and keys
JP2008097062A (ja) 情報入力装置とコンピュータのメニュー選択方法
KR20060112905A (ko)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구비하는 휴대용 전자장치 및 그의 키 입력 방법
CA2610874A1 (en) Universal keyboard
JP2010072678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