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0019B1 - 데이터입력장치 및 그 데이터입력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입력장치 및 그 데이터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0019B1
KR100670019B1 KR1020040102238A KR20040102238A KR100670019B1 KR 100670019 B1 KR100670019 B1 KR 100670019B1 KR 1020040102238 A KR1020040102238 A KR 1020040102238A KR 20040102238 A KR20040102238 A KR 20040102238A KR 100670019 B1 KR100670019 B1 KR 100670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operation button
button
input
inpu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2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329A (ko
Inventor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김성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수 filed Critical 김성수
Publication of KR20060013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methods for entering alphabetical characters, e.g. multi-tap or dictionary disambiguation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입력장치 및 데이터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 2개의 조작상태를 갖는 복수의 조작버튼과, 상기 각 조작버튼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의 각 조작상태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생성부와, 상기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입력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데이터생성부를 갖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부는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각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 조작할 수 있는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포함된 조작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생성순서에 따라 2개씩 그룹핑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데이터내역 중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지정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데이터입력형 전기전자장치의 유효공간 이용율이 향상되거나 조작버튼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입력데이터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으며, 조작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데이터, 버튼, 입력신호, 지정관계

Description

데이터입력장치 및 그 데이터입력방법{Data Input Device and Method of thereof}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가 설치된 휴대폰의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기능별 블록도,
도4a 및 4b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나타낸 표,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데이터입력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7a 및 7b는 각각 도6의 조작버튼에 대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나타낸 표,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9a, 9b, 9c 및 도9d는 각각 도8의 조작버튼에 대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나타낸 표,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11a 및 11b는 각각 도10의 조작버튼에 대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나타낸 표,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13a 및 13b는 각각 도12의 조작버튼에 대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나타낸 표,
도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15a 및 15b는 각각 도14의 조작버튼에 대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나타낸 표,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17a 및 17b는 각각 도16의 조작버튼에 대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나타낸 표,
도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19a 및 19b는 각각 도18의 조작버튼에 대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나타낸 표,
도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22a 및 22b는 각각 도21의 조작버튼에 대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나타낸 표,
도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24a 및 24b는 각각 도23의 조작버튼에 대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나타낸 표,
도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26은 도25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기능별 블록도,
도27a 및 27b는 각각 도25의 조작버튼에 대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나타낸 표,
도28은 도25의 조작버튼에 대한 짝데이터내역을 나타낸 표,
도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30은 도29의 변형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 도,
도32a 및 도32b는 각각 도31의 조작버튼에 대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나타낸 표,
도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도35는 종래의 데이터입력장치가 설치된 휴대폰의 사시도,
도36은 도35에 도시된 조작버튼의 평면도,
도37은 종래의 데이터입력장치의 기능별 블록도,
도38은 종래의 메모리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을 나타낸 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휴대폰본체 3, 180, 230 : 입력데이터생성부
4, 181, 231 : 메모리 5, 183 : 입력신호그룹핑부
6, 184, 232 : 입력데이터결정부 9, 171', 172', 220 : 입력신호생성부
1, 5, 11, 15, 21, 25, 31, 35, 41, 45, 51, 55, 61, 65, 71, 81, 91, 101, 111, 131, 141, 161, 171, 201, 205 : 조작버튼
본 발명은 데이터입력장치 및 그 데이터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숫자, 문자, 부호, 특수문자, 아이콘, 기능데이터(저장 등의 기능입력)등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전자장치에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데이터입력장치 및 그 데이터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과학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전기전자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전기전자장치중 핸드폰, PDA, 컴퓨터, 마우스, 키패드, 리모콘, 게임기, 전자수첩, 암호입력기, 각종 단말기 등과 같은 전기전자장치(이하 " 데이터입력형 전기전자장치"라고 함)는 사용자가 외부로부터 입력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들이 많이 있다.
이러한 데이터입력형 전기전자장치에는 복수의 조작버튼(Button)을 갖는 데이터입력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조작버튼이라는 용어는 기구적으로 구현된 경우는 물론 터치스크린(Touch Screen)과 같이 전자적으로 구현된 경우를 포함하고, 키(Key), 스위치(Switch) 등 형태에 관계없이 2개의 상태를 갖도록 조작할 수 있는 것을 총칭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도35는 종래의 데이터입력장치가 설치된 휴대폰의 사시도이고, 도36은 도35에 도시된 조작버튼의 평면도이고, 도37은 종래의 데이터입력장치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종래의 데이터입력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폰본체(1)에 설치되어 있으며, 12개의 조작버튼201(201), 조작버튼202(202), 조작버튼203(203), 조작버튼204(204), 조작버튼205(205), 조작버튼206(206), 조작버튼207(207), 조작버튼208(208), 조작버튼209(209), 조작버튼210(210), 조작버튼211(211), 조작버튼212(212)와, 이들 각 조작버튼(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에 일 대 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입력신호생성부(220)와, 입력신호생성부(220)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입력데이터생성부(230)를 갖고 있다.
각 조작버튼(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의 외표면에는 도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버튼201(201), 버튼202(202), 버튼203(203), 조작버튼204(204), 조작버튼205(205), 조작버튼206(206), 조작버튼207(207), 조작버튼208(208), 조작버튼209(209) 및 버튼211(211)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버튼이고, 조작버튼212(212)는 숫자, 국문과 영문입력을 택일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조작버튼이다.
각 조작버튼(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은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개별버튼 형태 또는 다접점버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즉, 개별버튼은 상하로 배치되어 한 조를 이루는 버튼부와 누름돌부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키패드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키패드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다.
키패드형태로 형성된 개별버튼은 휴대폰의 본체에 형성된 버튼홀을 통해 버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휴대폰본체(1)에 설치된다.
그리고 다접점버튼체는 가압체와 가압체의 저면에 다수의 누름돌부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가압체는 상면에 각 누름돌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 보통 강성의 합성수지재로 제작된다. 누름돌부와 가압면은 상호 연결되는 각 조작버튼에 일 대 일로 대응하는 수만큼 형성되어 있다.
입력데이터생성부(230)는 메모리(231)와, 데이터입력형 조작버튼((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과 입력모드전환용 조작버튼(212)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입력데이터결정부(232)를 갖고 있다.
메모리(231)는 각 조작버튼(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과 입력신호생성부(220)사이의 대응정보, 각 조작버튼(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및 입력모드전환내역을 저장하고 있다.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는 각 조작버튼(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210, 211, 212)과 위치적으로 하부에 형성된 입력신호생성부(220)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자신에 표시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도38 참조).
입력모드전환내역은 입력모드전환용 조작버튼인 조작버튼212(212)로부터 입력신호가 없거나 3회 있는 경우 숫자입력모드가 되고, 입력신호가 1회 있는 경우 국문입력모드가 되고, 입력신호가 2회 있는 경우 영문입력모드가 되도록 생성되어 있다.
입력데이터결정부(232)는 데이터입력형 조작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회수와 데이터표시의 순서가 일치하는 문자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국문입력모드에서 조작버튼212(212)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1회 있으면 "ㄱ"으로, 입력신호가 2회 있으면 "ㅋ"으로 각각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데이터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특허청"과 "patent"라고 가정한다.
먼저 "특허청"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조작버튼 212(212), 조작버튼 206(206), 조작버튼 206(206), 조작버튼 203(203), 조작버튼 204(204), 조작버튼 208(208), 조작버튼 208(208), 조작버튼 202(202), 조작버튼 201(201), 조작버튼 209(209), 조작버튼 209(209), 조작버튼 202(202), 조작버튼 201(201), 조작버튼 211(211)을 순차적으로 누른다.
사용자의 조작동작에 따라 입력신호생성부(220)는 대응하는 조작버튼에 대한 입력신호를 조작순서에 따라 생성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232)는 입력신호생성부(220)에서 생성된 입력신호에 메모리(231)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및 입력모드전환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즉, 입력데이터결정부(232)는 조작버튼 212(212)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 로부터 입력신호가 1회 입력되는 것으로부터 입력모드가 숫자입력모드에서 국문입력모드로 변경되었음을 판단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232)는 조작버튼206(20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2회의 입력신호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조작버튼206(206)으로부터 "ㅌ"이 입력되었음을 판단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데이터결정부(232)는 조작버튼 203(203)으로부터 "ㅡ"가, 조작버튼204(204)로부터 "ㄱ"이, 조작버튼208(208)로부터 "ㅎ"이, 조작버튼202(202)와 조작버튼201(201)로부터 "ㅓ"가, 조작버튼209(209)로부터 "ㅊ"이, 조작버튼202(202)와 조작버튼201(201)로부터 "ㅓ"가, 조작버튼211(211)로부터 "ㅇ"이 각각 입력되었음을 판단한다.
다음에 "patent"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조작버튼 212(212), 212(212), 조작버튼 207(207), 조작버튼 202(202), 조작버튼 208(208), 조작버튼 203(203), 조작버튼 203(203), 조작버튼 206(206), 조작버튼 206(206), 조작버튼 208(208)을 순차적으로 누른다.
입력신호생성부(220)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입력데이터결정부(232)는 조작버튼 212(212)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2회 입력되는 것으로부터 입력모드가 국문입력모드에서 영문입력모드로 변경되었음을 판단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232)는 조작버튼207(20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1회의 입력신호가 있는 것에 기초하여 조작버튼207(207)로부터 "p"이 입력되었음을 판단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데이터결정부(232)는 조작버튼 202(202)으로부터 "a"가, 조작버튼208(208)로부터 "t"이, 조작버튼203(203)으로부터 "e"가, 조작버튼206(206)으로부터 "n"가, 조작버튼208(208)로부터 "t"가 각각 입력되었음을 판단한다.
그런데, 종래의 데이터입력장치에 따르면, 입력데이터의 지정이 조작버튼의 조작회수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버튼의 수가 입력모드에 속하는 최대문자 수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조작회수를 줄이기 위해서 문자들을 각 조작버튼에 분산시켜야 함). 이에 따라 하나의 입력모드에 속하는 문자의 수량증가에 대한 조작버튼의 수량 증가율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데이터입력형 전기전자장치의 유효공간 이용율이 저하되거나 조작버튼의 크기가 감소된다. 조작버튼의 크기가 감소하면 조작버튼의 잘못 조작 가능성이 증가한다는 2차적인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조작회수를 줄이기 위해서 조작버튼에 입력데이터를 골고루 분산시켜야 하기 때문에 원하는 입력데이터를 찾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나의 조작버튼에 표시된 복수개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하는 동작은 당해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조작버튼의 조작회수를 달리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작회수의 계수착오에 따른 조작오류가 발생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문제점들은 크기가 소형화되거나 그 기능이 다양해져 입력데이터의 수가 증가거나 사용자가 어린이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사용자 층이 넓거나 손의 움직임이 불편한 자들이 사용하는 데이터입력형 전기전자장치의 경우 더욱 가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입력형 전기전자장치의 유효공간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동일 종류의 데이터를 조작버튼에 집중적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입력데이터의 지정을 다른 조작버튼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한 데이터입력장치 및 데이터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각각 2개의 조작상태를 갖는 복수의 조작버튼과, 상기 각 조작버튼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의 각 조작상태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생성부와, 상기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입력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데이터생성부를 갖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부는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각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 조작할 수 있는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포함된 조작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생성순서에 따라 2개씩 그룹핑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입 력신호그룹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데이터내역 중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지정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하나의 조작버튼에 표시된 복수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버튼은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핑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각 조작버튼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의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중 최대데이터수의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데이터보다 적지 않은 수의 데이터표시영역을 가지고 상기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가 동일한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데이터 각각이 자신에 속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형태의 데이터표시영역에 하나씩 표시되고;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각 조작버튼에 대한 조작버튼그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대하여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형태의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가 동일하게 생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가능한 데이터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복수 그룹의 하위데이터내역을 갖도록 각 데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 내역으로 선택 조작할 수 있는 선택조작버튼의 조작상태와 상기 하위데이터내역사이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이 저장되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작버튼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복수 그룹의 하위데이터내역을 갖도록 각 데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에 표시되는 데이터내역은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조작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선택조작기호와 상기 각 하위데이터사이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이 저장되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정조작버튼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각 조작버튼을,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의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의 데이터표시형태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가능한 데이터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에 짝을 이루는 짝데이터내역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짝데이터내역에 포함된 짝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선택조작할 수 있는 짝데이터선택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부는 상기 짝데이터선택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지정조작버튼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짝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조작버튼에 표시된 복수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용이하게 지정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버튼은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핑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각 조작버튼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의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중 최대데이터수의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데이터보다 적지 않은 수의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데이터가 각기 다른 색상을 갖도록 표시되고,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각 조작버튼별로 하나의 지정마킹표식이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되며;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상기 각 조작버튼에 대한 조작버튼그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대하여 상기 지정마킹표식의 색상종류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색상종류가 일치하도록 생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입력가능한 데이터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복수 그룹의 하위데이터내역을 갖도록 각 데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 조작할 수 있는 선택조작버튼의 조작상태와 상기 하위데이터내역사이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이 저장되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버튼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복수 그룹의 하위데이터내역을 갖도록 각 데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에 표시되는 데이터내역은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조작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선택조작기호와 상기 각 하위데이터사이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이 저장되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조작버튼에 표시된 복수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데이터표시순서에 따라 지정할 수 있도록, 상기 각 조작버튼은 순서를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에는 데이터가 순서를 갖도록 표시되며;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상기 각 조작버튼의 순서와 상기 각 조작버튼에 표시된 데이터의 순서가 일치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버튼의 크기선택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그룹상호간에는 각각 다른 형태로 배치되고 각 그룹내에서는 동일한 형태로 배치되는 데이터표시영역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표시부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표시부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각 데이터표시부그룹에 속하는 데이터표시부의 데이터표시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배치되는 조작버튼이 동일한 그룹에 속하도록 그룹핑되고;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각 조작버튼에 대한 조작버튼그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대하여 자신에 속하는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자신에 속하는 데이터표시부의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가 동일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입력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조작안내표시버튼과,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조작안내표시버튼으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조작안내표시부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조작버튼의 형상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조작버튼 중 적어도 일부는 상호 연결된 다접점버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조작버튼은 중앙영역에 평행사변형의 버튼개구부가 형성된 장방형 다접점버튼체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장방형 다접점버튼체의 네모서리영역에 하나씩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표시형태가 장방형상을 이루도록 데이터가 표시된 4개의 조작버튼과, 상기 버튼개구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평행사변형 다접점버튼체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평행사변형 다접점버튼체의 네모서리영역에 하나씩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표시형태가 평행사변형을 이루도록 데이터가 표시된 4개의 조작버튼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조작버튼은 십자형 다접점버튼체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십자형 다접점버튼체의 4개의 분기영역에 하나씩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표시형태가 장방형상을 이루도록 데이터가 표시된 4개의 조작버튼과, 각각 중앙영역에 상기 데이터표시형태가 장방형을 이루도록 데이터가 표시되고 각각 상기 십자형상의 다접점버튼체의 분기영역사이에 하나씩 배치되는 4개의 조작버튼을 포함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조작버튼은 마름모형상의 외측 다접점버튼체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마름모형상의 외측 다접점버튼체의 네모서리영역에 하나씩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표시형태가 마름모형상을 이루도록 데이터가 표시되는 4개의 조작버튼과, 상기 외측버튼개구부에 삽입 설치되고 중앙영역에 마름모형상의 내측버튼개구부가 형성된 마름모형상의 내측 다접점버튼체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마름모형상의 내측 다접점버튼체의 네모서리영역에 하나씩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표시형태가 마름모형상을 이루도록 데이터가 표시되는 4개의 조작버튼과, 마름모형상의 배치형태를 갖도록 상기 내측버튼개구부에 삽입 설치되는 4개의 조작버튼을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지정조작버튼을 촉감으로 찾을 수 있도록,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포함된 조작버튼은 각각 돌기가 수를 달리하여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라, 각각 2개의 조작상태를 갖는 복수의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의 조작상태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생성된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입력데이터를 생성하는 입력데이터생성단계를 갖는 데이터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단계는,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사이의 대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 조작할 수 있는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포함된 조작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순서에 따라 2개씩 그룹핑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데이터내역 중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지정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가 설치된 휴대폰의 사시 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조작버튼의 평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와 같이 휴대폰본체(1, 도29 참조, 이하 동일)에 설치되어 있으며, 8개의 조작버튼1(11), 조작버튼2(12), 조작버튼3(13), 조작버튼4(14), 조작버튼5(21), 조작버튼6(22), 조작버튼7(23)과 조작버튼8(24)과, 이들 각 조작버튼(11, 12, 13, 14, 21, 22, 23, 24)에 일 대 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입력신호생성부(9)와, 입력신호생성부(9)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입력데이터생성부(3)를 갖고 있다.
조작버튼(11, 12, 13, 14, 21, 22, 23, 24)은 각각 복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1(11), 조작버튼2(12), 조작버튼3(13)과 조작버튼4(14)는 중앙영역에 평행사변형의 버튼개구부(10a)가 형성된 장방형 다접점버튼체(10)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장방형 다접점버튼체(10)의 네모서리영역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고, 조작버튼5(21), 조작버튼6(22), 조작버튼7(23)과 조작버튼8(24)은 평행사변형 다접점버튼체(20)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평행사변형 다접점버튼체(20)의 네모서리영역에 하나씩 배치되어 있다.
평행사변형 다접점버튼체(20)는 장방형 다접점버튼체(10)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평행사변형의 버튼개구부(10a)를 통해 휴대폰본체(1)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버튼(11, 12, 13, 14)은 네 개의 데이터표시영역이 장방형으로 배치된 장방형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고, 조작버튼(21, 22, 23, 24) 은 네 개의 데이터표시영역이 평행사변형으로 배치된 평행사변형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버튼(11, 12, 13, 14, 21, 22, 23, 24)은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조작버튼1(11), 조작버튼2(12), 조작버튼3(13)과 조작버튼4(14)로 이루어진 장방형 조작버튼그룹과, 조작버튼5(21), 조작버튼6(22), 조작버튼7(23)과 조작버튼8(24)로 이루어진 평행사변형 조작버튼그룹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1(11), 조작버튼2(12), 조작버튼3(13)과 조작버튼4(14)는 장방형 조작버튼그룹의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되고, 조작버튼5(21), 조작버튼6(22), 조작버튼7(23)과 조작버튼8(24)은 평행사변형 조작버튼그룹의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조작버튼(11, 12, 13, 14, 21, 22, 23, 24)은 모두 입력조작버튼(즉,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조작버튼1(11)과 조작버튼5(21)에는 각각 하나의 지정돌기(11a, 21a)가, 조작버튼2(12)와 조작버튼6(22)에는 각각 2개의 지정돌기(12a, 22a)가, 조작버튼3(13)과 조작버튼7(23)에는 각각 3개의 지정돌기(13a, 23a)가, 조작버튼4(14)와 조작버튼8(24)에는 각각 4개의 지정돌기(14a, 24a)가 형성되어 있다.
입력데이타생성부(3)는 메모리(4)와, 입력신호생성부(9)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생성순서에 따라 2개씩 그룹핑하는 입력신호그룹핑부(5)와, 입력신호그룹핑부(5)에서 그룹핑된 각 입력신호그룹에 대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입력데이터결정부(6)를 갖고 있다.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각 입력신호그룹의 앞부분 입력신호를 입력할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조작버튼으로 인식하고, 뒷부분의 입력신호를 지정조작버튼으로 인식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입력신호그룹핑부(5)와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별도의 마이컴(MICOM)이나 휴대폰의 제어부를 구현하는 마이컴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4)는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각 조작버튼(11, 12, 13, 14, 21, 22, 23, 24)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 조작할 수 있는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4)에 저장되는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는 각 조작버튼(11, 12, 13, 14, 21, 22, 23, 24)과 위치적으로 하부에 형성된 입력신호생성부(9)가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메모리(4)에 저장되는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자신에 표시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도4a 참조).
메모리(4)에 저장된 지정버튼관계내역은 각 조작버튼(11, 12, 13, 14, 21, 22, 23, 24)에 대한 조작버튼그룹정보를 포함하고, 각 조작버튼그룹에 대하여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형태의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가 동일하도록 생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장방형 조작버튼그룹의 경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조작버튼1(11)에 표시된 "ㄱ", 조작버튼2(12)에 표시된 "ㅁ", 조작버튼3(13)에 표시된 "ㅈ", 조 작버튼4(14)에 표시된 "ㅍ"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1(11)이 되도록, 조작버튼1(11)에 표시된 "ㄴ, 조작버튼2(12)에 표시된 "ㅂ", 조작버튼3(13)에 표시된 "ㅊ", 조작버튼4(14)에 표시된 "ㅎ"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2(12)가 되도록, 조작버튼1(11)에 표시된 "ㄷ", 조작버튼2(12)에 표시된 "ㅅ", 조작버튼3(13)에 표시된 "ㅋ"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3(13)이 되도록, 조작버튼1(11)에 표시된 "ㄹ", 조작버튼2(12)에 표시된 "ㅇ", 조작버튼3(13)에 표시된 "ㅌ"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4(14)가 되도록 생성되어 있다.
이들 지정버튼관계내역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블형태로 생성되어 메모리(4)에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특허청"이라고 가정한다.
사용자는 조작버튼3(13), 조작버튼4(14), 조작버튼7(23), 조작버튼5(21), 조작버튼1(11), 조작버튼1(11), 조작버튼4(14), 조작버튼2(12), 조작버튼5(21), 조작버튼7(23), 조작버튼3(13), 조작버튼2(12), 조작버튼5(21), 조작버튼7(23), 조작버튼2(12), 조작버튼4(14)를 순서적으로 누른다(S10). 여기서 사용자는 조작버튼을 누를 때 조작버튼(11, 12, 13, 14, 21, 22, 23, 24)에 표시된 지정돌기(11a, 12a, 13a, 14a, 21a, 22a, 23a, 24a)의 수를 촉각으로 계수함으로써 자신이 원하는 지정조작버튼인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조작동작에 따라 입력신호생성부(9)는 대응하는 조작버튼에 대한 입력신호를 조작순서에 따라 생성한다(S20).
다음에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각 입력신호생성부(9)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입력순서에 따라 한 쌍씩 그룹핑한다(S30). 즉, SG1(S3, S4), SG2(S7, S5), SG3(S1, S1), SG4(S4, S2), SG5(S5, S7), SG6(S3, S2), SG7(S5, S7), SG8(S2, S4)로 그룹핑한다. 여기서 SG는 입력신호그룹을, S는 입력신호생성부(9)를 각각 나타낸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입력신호그룹핑부(5)에서 그룹핑된 각 입력신호그룹에 메모리(4)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및 각 조작버튼그룹에 대한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이하 입력데이터결정부(6)에서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SG1과 SG2에 대하여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3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3(13)이 입력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S40), 메모리(4)에 저장된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조작버튼3(13)이 장방형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것을 판단한다. 그리고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4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4(14)가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1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ㅌ"임을 결정한다(S50).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2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7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7(23)이 입력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조작버튼7(23)이 평행사변형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것을 판단한다. 그리고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2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5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5(21)가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2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ㅡ"임을 결정한다.
전술한 방법으로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SG3에 대해서는 "ㄱ"으로, SG4에 대해서는 "ㅎ"으로, SG5에 대해서는 "ㅓ"로, SG6에 대해서는 "ㅊ"으로, SG7에 대해서는 "ㅓ"로, SG8에 대해서는 "ㅇ"으로 각각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전술한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입력신호생성부(9)와 입력데이터생성부(3)는 구조와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차후에 설명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신호생성부(9)와 입력데이터생성부(3)에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그대로 사용하고 조작버튼에 대해서만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조작버튼 전부가 지정조작버튼으로 기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조작버튼 중 일부만을 지정조작버튼으로 기능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조작버튼21(51), 조작버튼22(52), 조작버튼23(53), 조작버튼24(54), 조작버튼25(61), 조작버튼26(62), 조작버튼27(63) 및 조작버튼28(64)을 갖고 있다.
조작버튼(51, 52, 53, 54, 61, 62, 63, 64)은 복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데이터표시형태 즉, 네 개의 데이터표시영역이 장방형으로 배치된 장방형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버튼21(51)에는 (ㄱ, ㄴ, ㄷ, ㄹ), 조작버튼22(52)에는 (ㅁ, ㅂ, ㅅ, ㅇ), 조작버튼23(53)에는 (ㅈ,ㅊ, ㅋ, ㅌ), 조작버튼24(54)에는 (ㅍ, ㅎ, 공백, 공백)의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고, 조작버튼25(61)에는 (ㅏ, ㅑ, ㅓ, ㅕ), 조작버튼26(62)에는 (ㅗ, ㅛ, ㅜ, ㅠ), 조작버튼27(63)에는 (ㅡ, l, ㅐ, ㅔ), 조작버튼28(64)에는 (ㅒ, ㅖ, 공백, 공백)의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21(51), 조작버튼22(52), 조작버튼23(53) 및 조작버튼24(54)는 각각 개별버튼체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버튼25(61), 조작버튼26(62), 조작버튼27(63) 및 조작버튼28(64)은 십자형의 다접점버튼체(60)로 형성되어 있다.
조작버튼(51, 52, 53, 54, 61, 62, 63, 64) 중 조작버튼21(51), 조작버튼22(52), 조작버튼23(53)과 조작버튼24(54)는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조작버튼(51, 52, 53, 54, 61, 62, 63, 64)은 모두 입력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메모리(4)에는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및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저장되어 있다.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는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자신에 표시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도7a 참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데이터표시형태를 이루는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가 동일하도록 생성되어 있다.
즉, 지정버튼관계내역은 조작버튼21(51)에 표시된 "ㄱ", 조작버튼22(52)에 표시된 "ㅁ", 조작버튼23(53)에 표시된 "ㅈ", 조작버튼24(54)에 표시된 "ㅍ", 조작버튼25(61)에 표시된 "ㅏ", 조작버튼26(62)에 표시된 "ㅗ", 조작버튼27(63)에 표시된 "ㅡ", 조작버튼28(64)에 표시된 "ㅒ"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21(51)이 되도록, 조작버튼21(51)에 표시된 "ㄴ, 조작버튼22(52)에 표시된 "ㅂ", 조작버튼23(53)에 표시된 "ㅊ", 조작버튼24(54)에 표시된 "ㅎ", 조작버튼25(61)에 표시된 "ㅑ", 조작버튼26(62)에 표시된 "ㅛ", 조작버튼27(63)에 표시된 "l", 조작버튼28(64)에 표시된 "ㅖ"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22(52)가 되도록, 조작버튼21(51)에 표시된 "ㄷ", 조작버튼22(52)에 표시된 "ㅅ", 조작버튼23(53)에 표시된 "ㅋ", 조작버튼25(61)에 표시된 "ㅓ", 조작버튼26(62)에 표시된 "ㅜ", 조작버튼27(63)에 표시된 "ㅐ"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23(53)이 되도록, 조작버튼21(51)에 표시된 "ㄹ", 조작버튼22(52)에 표시된 "ㅇ", 조작버튼23(53)에 표시된 " ㅌ", 조작버튼25(61)에 표시된 "ㅕ", 조작버튼26(62)에 표시된 "ㅠ", 조작버튼27(63)에 표시된 "ㅔ"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24(54)가 되도록 생성되어 있다.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면 도7b와 같은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특허청"이라고 가정 한다.
사용자는 조작버튼23(53), 조작버튼24(54), 조작버튼27(63), 조작버튼21(51), 조작버튼21(51), 조작버튼21(51), 조작버튼24(54), 조작버튼22(52), 조작버튼25(61), 조작버튼23(53), 조작버튼23(53), 조작버튼22(52), 조작버튼25(61), 조작버튼23(53), 조작버튼22(52), 조작버튼24(54)를 순서적으로 누른다.
사용자의 조작동작에 따라 입력신호생성부(9)는 대응하는 조작버튼에 대한 입력신호를 조작순서에 따라 생성한다.
다음에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각 입력신호생성부(9)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입력순서에 따라 한 쌍씩 그룹핑한다. 즉, SG1(S23, S24), SG2(S27, S21), SG3(S21, S21), SG4(S24, S22), SG5(S25, S23), SG6(S23, S22), SG7(S25, S23), SG8(S22, S24)로 그룹핑한다. 여기서 SG는 입력신호그룹을, S는 입력신호생성부(9)를 각각 나타낸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입력신호그룹핑부(5)에서 그룹핑된 각 입력신 호그룹에 메모리(4)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및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이하 입력데이터결정부(6)에서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SG1과 SG2에 대하여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23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23(53)이 입력조작버튼이고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24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24(54)가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1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ㅌ"임을 결정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2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27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27(63)이 입력조작버튼이고 SG2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21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21(51)이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2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ㅡ"임을 결정한다.
전술한 방법으로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SG3에 대해서는 "ㄱ"으로, SG4에 대해서는 "ㅎ"으로, SG5에 대해서는 "ㅓ"로, SG6에 대해서는 "ㅊ"으로, SG7에 대해서 는 "ㅓ"로, SG8에 대해서는 "ㅇ"으로 각각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조작버튼은 각각 하나의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복수의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8개의 조작버튼81(131), 조작버튼82(132), 조작버튼83(133), 조작버튼84(134), 조작버튼85(135), 조작버튼86(136), 조작버튼87(137) 및 조작버튼88(138)을 갖고 있다.
조작버튼(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은 복귀형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81(131), 조작버튼82(132), 조작버튼83(133) 및 조작버튼84(134)에는 2(열) × 2(행)의 데이터표시영역을 갖는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고, 조작버튼85(135)와 조작버튼86(136)에는 3(열) × 2(행)의 데이터표시영역을 갖는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고, 조작버튼87(137) 및 조작버튼88(138)에는 2(열) × 3(행)의 데이터표시영역을 갖는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버튼(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은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조작버튼81(131), 조작버튼82(132), 조작버튼83(133)과 조작버튼84(134)로 이루 어진 정방형 조작버튼그룹과, 조작버튼81(131), 조작버튼82(132), 조작버튼83(133), 조작버튼84(134), 조작버튼85(135)와 조작버튼86(136)으로 이루어진 가로장방형 조작버튼그룹과, 조작버튼81(131), 조작버튼82(132), 조작버튼83(133), 조작버튼84(134), 조작버튼87(137)과 조작버튼88(138)로 이루어진 세로장방형 조작버튼그룹으로 구분되어 있다.
이에 따라 조작버튼81(131), 조작버튼82(132), 조작버튼83(133)과 조작버튼84(134)는 정방형 조작버튼그룹, 가로장방형 조작버튼그룹과 세로장방형 조작버튼그룹의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되고, 조작버튼85(135)와 조작버튼86(136)은 가로장방형 조작버튼그룹의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되며, 조작버튼87(137)과 조작버튼88(138)은 세로장방형 조작버튼그룹의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조작버튼(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은 모두 입력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메모리(4)에는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및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저장되어 있다.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는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자신에 표시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도9a 참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데이터표시형태를 이루는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가 동일하도록 각 조작버튼그룹별로 생성되어 있다.
즉, 정방형 조작버튼그룹의 지정버튼관계내역의 경우 조작버튼81(131)에 표시된 "ㄱ", 조작버튼82(132)에 표시된 "ㅁ", 조작버튼83(133)에 표시된 "ㅈ", 조작버튼84(134)에 표시된 "ㅍ"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81(131)이 되도록 생성되어 있고(도9b 참조), 가로장방형 조작버튼그룹의 지정버튼관계내역의 경우 조작버튼85(135)에 표시된 "3", 조작버튼86(136)에 표시된 "9"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85(135)가 되도록 생성되어 있고(도9c 참조), 세로장방형 조작버튼그룹의 지정버튼관계내역의 경우 조작버튼87(137)에 표시된 "ㅜ", 조작버튼88(138)에 표시된 "ㅒ"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87(137)이 되도록 생성되어 있다(도9d 참조).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면 도9b, 도9c 및 도9d와 같은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하고, 입력데이터는 "ㄴ", "4" 및 "ㅠ"라고 한다. 그리고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조작버튼81(131), 조작버튼82(132), 조작버튼83(133)과 조작버튼84(134)가 입력조작버튼인 경우 정방형 조작버튼그룹에 대한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가로장방형 조작버튼그룹에 대한 지정버튼관계내역과 세로장방형 조작버튼그룹에 대한 지정버튼관계내역중 어느 하나를 참조하도록 설정할 수 있음).
사용자는 조작버튼81(131), 조작버튼82(132), 조작버튼85(135), 조작버튼83(133), 조작버튼87(137), 조작버튼88(138)을 순서적으로 누른다.
사용자의 조작동작에 따라 입력신호생성부(9)는 대응하는 조작버튼에 대한 입력신호를 조작순서에 따라 생성한다.
다음에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각 입력신호생성부(9)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입력순서에 따라 한 쌍씩 그룹핑한다. 즉, SG1(S81, S82), SG2(S85, S83), SG3(S87, S88)으로 그룹핑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입력신호그룹핑부(5)에서 그룹핑된 각 입력신호그룹에 메모리(4)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및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즉,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81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81(131)이 입력조작버튼이고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82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82(132)가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정방형 조작버튼그룹에 대한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1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ㄴ"임을 결정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2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85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85(135)가 입력조작버튼이고 SG2의 입력 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83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83(133)이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가로장방형 조작버튼그룹에 대한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2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4"임을 결정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3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87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87(137)이 입력조작버튼이고 SG3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88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88(138)이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세로장방형 조작버튼그룹에 대한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3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ㅠ"임을 결정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조작버튼의 형상을 조작버튼에 표시된 데이터의 표시형태와 무관하게 형성하고 있으나, 조작버튼의 형상과 데이터의 표시형태가 상호 동일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5개의 조작버튼91(141), 조작버튼92(142), 조작버튼93(143), 조작버튼94(144), 및 조작버튼95(145)를 갖고 있다.
조작버튼(141, 142, 143, 144, 145)은 복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데 이터표시형태 즉, 5개의 데이터표시영역이 십자형으로 배치된 십자형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141, 142, 143, 144, 145)은 십자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및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할 수 있고(도11a 및 도11b 참조), 동일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도10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와 비교할 때 조작버튼(141, 142, 143, 144, 145)의 형상을 참조하여 지정조작버튼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메모리(4)에 저장된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형태의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를 고려하여 생성되도록 하고 있으나,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색상종류를 고려하여 생성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8개의 조작버튼11(31), 조작버튼12(32), 조작버튼13(33), 조작버튼14(34), 조작버튼15(41), 조작버튼16(42), 조작버튼17(43) 및 조작버튼18(44)을 갖고 있다.
조작버튼(31, 32, 33, 34, 41, 42, 43, 44)은 복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장방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조작버튼(31, 32, 33, 34)에는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으로 데이터와 삼각형상의 지정표식마킹이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되어 있고, 마름모형상으로 배치된 4개의 조작버튼(41, 42, 43, 44)에는 파란색, 남색, 보라색, 핑크색으로 데이터와 지정표식마킹이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되어 있다. 도12에 표시된 데이터와 지정표식마킹 뒤의 괄호에 기재된 문자 "R"은 빨간색, "O"는 주황색, "Y"는 노란색, "G"는 초록색, "B"는 파란색, "I"는 남색, "V"는 보라색, "P"는 핑크색을 각각 나타낸다.
예를 들면 조작버튼11(31)에는 "ㄱ"데이터가 빨간색(R), "ㄴ"데이터가 주황색(O), "ㄷ"데이터가 노란색(Y), "ㄹ"데이터가 초록색(G)으로 표시되어 있고, 지정표식마킹이 빨간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31, 32, 33, 34, 41, 42, 43, 44)은 지정표식마킹과 데이터표시색상이 일치하도록 2개의 그룹으로 그룹핑되어 있다.
즉, 데이터가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과 초록색으로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고 지정표식마킹이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과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조작버튼11(31), 조작버튼12(32), 조작버튼13(33) 및 조작버튼14(34)가 하나의 그룹(이하 "빨간색 조작버튼그룹"이라고 함)을 이루도록 그룹핑되어 있고, 데이터가 파랑색, 남색, 보라색과 분홍색으로 표시되어 있고, 지정표식마킹이 파랑색, 남색, 보라색 과 분홍색으로 표시되어 있는 조작버튼15(41), 조작버튼16(42), 조작버튼17(43) 및 조작버튼18(44)이 하나의 그룹(이하 "파란색 조작버튼그룹"이라고 함)을 이루도록 그룹핑되어 있다.
빨간색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31, 32, 33, 34)은 장방형의 다접점버튼체(30)로, 파란색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41, 42, 43, 44)은 평행사변형의 다접점버튼체(40)로 형성되어 있다.
평행사변형 다접점버튼체(40)는 장방형 다접점버튼체(30)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평행사변형의 버튼개구부(30a)를 통해 휴대폰본체(1)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버튼(31, 32, 33, 34, 41, 42, 43, 44) 중 조작버튼11(31), 조작버튼12(32), 조작버튼13(33)과 조작버튼14(34)는 빨간색 조작버튼그룹의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되고, 조작버튼15(41), 조작버튼16(42), 조작버튼17(43)과 조작버튼18(44)은 파란색 조작버튼그룹의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조작버튼(31, 32, 33, 34, 41, 42, 43, 44)은 모두 입력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메모리(4)에는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저장되어 있다.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는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신에 표시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도13a 참조).
그리고 지정버튼관계내역은 각 조작버튼(31, 32, 33, 34, 41, 42, 43, 44)에 대한 조작버튼그룹정보를 포함하고, 각 조작버튼그룹에 대하여 지정표식마킹의 색상종류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색상종류가 일치하도록 생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빨간색조작버튼그룹의 경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조작버튼11(31)에 표시된 "ㄱ", 조작버튼12(32)에 표시된 "ㅁ", 조작버튼13(33)에 표시된 "ㅈ", 조작버튼14(34)에 표시된 "ㅍ"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11(31)이 되도록, 조작버튼11(31)에 표시된 "ㄴ, 조작버튼12(32)에 표시된 "ㅂ", 조작버튼13(33)에 표시된 "ㅊ", 조작버튼14(34)에 표시된 "ㅎ"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12(32)가 되도록, 조작버튼11(31)에 표시된 "ㄷ", 조작버튼12(32)에 표시된 "ㅅ", 조작버튼13(33)에 표시된 "ㅋ"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13(33)이 되도록, 조작버튼11(31)에 표시된 "ㄹ", 조작버튼12(32)에 표시된 "ㅇ", 조작버튼13(33)에 표시된 "ㅌ"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14(34)가 되도록 생성되어 있다.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면 도13b와 같은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데이터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12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 데이터는 일자형의 데이터표시형태를 가지고 지정표식마킹은 삼각형상을 갖도록 조작버튼에 표시되어 있으나, 데이터와 지정표식마킹은 각각 사각형, 버튼표면전체 등 임의 형태를 갖도록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는 각 조작버튼에 데이터가 하나의 데이터표시형태를 이루도록 되어 있으나, 데이터를 복수의 데이터표시형태를 이루도록 표시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7개의 조작버튼31(71), 조작버튼32(72), 조작버튼33(73), 조작버튼34(74), 조작버튼35(75), 조작버튼36(76) 및 조작버튼37(77)을 갖고 있다.
조작버튼(71, 72, 73, 74, 75, 76, 77)은 복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조작버튼37(77)을 제외한 조작버튼(71, 72, 73, 74, 75, 76, 77)에는 6개의 데이터표시영역이 두 줄로 나란히 배치된 데이터표시형태가 좌측과 우측에 하나씩 총 2개가 이루어지도록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버튼(71, 72, 73, 74, 75, 76, 77) 중 조작버튼31(71), 조작버튼32(72), 조작버튼33(73), 조작버튼34(74), 조작버튼35(75)와 조작버튼36(76)은 입력조작버튼과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되고, 조작버튼37(77)은 선택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메모리(4)에는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지정버튼관계내역 및 선택관계내역이 저장되어 있다.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는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 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자신에 표시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고,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갖도록 생성되어 있다(도15a).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데이터표시형태를 구성하는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가 동일하도록 생성되는 바, 조작버튼32(72)에 대해서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조작버튼32(72)에 표시된 "ㅅ" 와 "g"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31(71)이 되도록, 조작버튼32(72)에 표시된 "ㅇ"와 "h"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32(72)가 되도록, 조작버튼32(72)에 표시된 "ㅈ"와 "i"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33(73)이 되도록, 조작버튼32(72)에 표시된 "ㅊ"와 "j"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34(74)가 되도록, 조작버튼32(72)에 표시된 "ㅋ"와 "k"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35(75)가 되도록, 조작버튼32(72)에 표시된 "ㅌ"와 "l"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36(76)이 되도록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생성된다.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면 도1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선택관계내역은 조작버튼37(77)을 선택조작버튼의 조작상태에 따라 다른 조작버튼(71, 72, 73, 74, 75, 76)에 표시된 좌측하위데이터내역과 우측하위데이터내역 중 하나를 입력데이터내역이 선택되도록 생성된다.
즉, 조작버튼37(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9)로부터 입력신호가 없는 경우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을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하고, 조작버튼37(77)에 대응 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 우측하위데이터내역을 입력데이터내역이 선택되도록 생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데이터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특허청"과 "patent"라고 가정한다.
먼저 "특허청"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조작버튼32(72), 조작버튼36(76), 조작버튼34(74), 조작버튼35(75), 조작버튼31(71), 조작버튼31(71), 조작버튼33(73), 조작버튼32(72), 조작버튼33(73), 조작버튼35(75), 조작버튼32(72), 조작버튼34(74), 조작버튼33(73), 조작버튼35(75), 조작버튼32(72), 조작버튼32(72)를 순서적으로 누른다.
다음에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같이 입력신호생성부(9)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조작버튼(71, 72, 73, 74, 75, 7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9)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SG1(S32, S36), SG2(S34, S35), SG3(S31, S31), SG4(S33, S32), SG5(S33, S35), SG6(S32, S34), SG7(S33, S35), SG8(S32, S32)로 그룹핑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입력신호그룹핑부(5)에서 그룹핑된 각 입력신호그룹에 메모리(4)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지정버튼관계내역 및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이하 입력데이터결정부(6)에서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SG1와 SG2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조작버튼37(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없으므로 메모리(4)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에 따라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중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을 입력데이터내역으로 판단한다.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32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32(72)가 입력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다. 그리고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36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36(76)이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1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ㅌ"임을 결정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2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34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34(73)가 입력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다. 그리고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2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35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35(75)가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2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ㅡ"임을 결정한다.
전술한 방법으로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SG3에 대해서는 "ㄱ"으로, SG4에 대해서는 "ㅎ"으로, SG5에 대해서는 "ㅓ"로, SG6에 대해서는 "ㅊ"으로, SG7에 대해서는 "ㅓ"로, SG8에 대해서는 "ㅇ"으로 각각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다음에 "patent"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조작버튼37(77), 조작버튼33(73), 조작버튼34(74), 조작버튼31(71), 조작버튼31(71), 조작버튼34(74), 조작버튼32(72), 조작버튼31(71), 조작버튼35(75), 조작버튼33(73), 조작버튼32(72), 조작버튼34(74), 조작버튼32(72)를 순서적으로 누른다.
다음에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같이 입력신호생성부(9)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조작버튼(71, 72, 73, 74, 75, 7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9)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SG1(S33, S34), S2(S31, S31), SG3(S34, S32), SG4(S31, S35), SG5(S33, S32), SG6(S34, S32)으로 그룹핑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조작버튼37(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와 입력신호그룹핑부(5)에서 그룹핑된 각 입력신호그룹에 메모리(4)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지정버튼관계내역 및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이하 입력데이터결정부(6)에서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SG1와 SG2에 대하여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조작버튼37(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있으므로 메모리(4)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에 따라 조작버튼별 데이터내 역 중 우측하위데이터내역을 입력데이터내역으로 판단한다.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33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33(73)이 입력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다. 그리고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34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34(74)가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1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p"임을 결정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2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31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31(71)이 입력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다. 그리고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2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31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31(71)이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2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a"임을 결정한다.
전술한 방법으로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SG3에 대해서는 "t"로, SG4에 대해서는 "e"로, , SG5에 대해서는 "n"으로, SG6에 대해서는 "t"로 각각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한편 도14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 선택조작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없이 바로 입력조작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들어오는 경우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이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 조작된 것으로 하고 있으나, 조작버튼37(77)이 1회 조작될 때마다 좌측하위데이터내역에서 우측하위데이터내역으로 또는 우측하위데이터내역에서 좌측하위데이터내역으로 변경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조작버튼을 비복귀형 구조를 갖도록 구성하는 경우 조작버튼37(77)의 푸시상태에서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이 선택 조작된 것으로 하고, 푸시해제상태에서 우측하위데이터내역이 선택 조작된 것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14에 도시된 실시예서는 하나의 선택조작버튼을 사용하고 있으나, 하위데이터내역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선택조작버튼을 복수 개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위데이터 내역이 3개 또는 4개이면 두개의 선택조작버튼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도14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에서는 선택조작버튼의 조작상태에 따라 복수의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있으나, 조작버튼으로부터 입력되는 특정의 입력데이터(선택조작기호)에 기초하여 복수의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 이, 7개의 조작버튼41(81), 조작버튼42(82), 조작버튼43(83), 조작버튼44(84), 조작버튼45(85), 조작버튼46(86) 및 조작버튼47(87)을 갖고 있다.
조작버튼(81, 82, 83, 84, 85, 86, 87)은 복귀형으로 형성되고, 조작버튼47(87)을 제외한 나머지 조작버튼(81, 82, 83, 84, 85, 86)에는 6개의 데이터표시영역이 두 줄로 나란히 배치된 데이터표시형태가 좌측, 중앙, 우측에 하나 씩 총 3개가 이루어지도록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47(87)에는 6개의 데이터표시영역이 두 줄로 나란히 배치된 데이터표시형태가 하나만 이루어지도록 (ⓛ, ⓜ, ⓡ, 공백, 공백, 공백)의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 ⓜ, ⓡ은 선택조작기호를 나타낸다.
조작버튼(81, 82, 83, 84, 85, 86, 87) 중 조작버튼41(81), 조작버튼42(82), 조작버튼43(83), 조작버튼44(84), 조작버튼45(85)와 조작버튼46(86)은 입력조작버튼과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되고, 조작버튼47(87)은 선택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메모리(4)에는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지정버튼관계내역 및 선택관계내역이 저장되어 있다.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는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자신에 표시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고,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갖도록 생성되어 있다(도17a 참조).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데이터표시형태를 구성하는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가 동일하도록 생성되는 바, 조작버튼42(82)와 조작버튼 47(87)에 대해서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조작버튼42(82)에 표시된 "ㅅ" , "g" "와 "Ⅲ"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41(81)이 되도록, 조작버튼42(82)에 표시된 "ㅇ", "h"와 "Ⅳ"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42(82)가 되도록, 조작버튼42(82)에 표시된 "ㅈ"와 "i"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43(83)이 되도록, 조작버튼42(82)에 표시된 "ㅊ"와 "j"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44(84)가 되도록, 조작버튼42(82)에 표시된 "ㅋ"와 "k"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45(85)가 되도록, 조작버튼42(82)에 표시된 "ㅌ"와 "l"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46(86)이 되도록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생성된다.
그리고 조작버튼47(87)에 표시된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41(81)이 되도록, 조작버튼47(87)에 표시된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42(82)가 되도록, 조작버튼47(87)에 표시된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43(83)이 되도록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생성된다.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면 도17b와 같은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선택관계내역은 조작버튼47(87)을 통해 입력되는 선택조작기호에 따라 다른 조작버튼(81, 82, 83, 84, 85, 86)에 표시된 좌측하위데이터내역, 중앙하위데이터내역과 우측하위데이터내역 중 하나가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되도록 생성된다.
즉, 조작버튼47(8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와 조작버튼41(81)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이 입력데이터 내역으로 선택되고, 조작버튼47(8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와 조작버튼42(82)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 중앙하위데이터내역이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되고, 조작버튼47(8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와 조작버튼43(83)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있는 경우 우측하위데이터내역이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되도록 생성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도16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특허청", "patent"과 "Ⅲ,Ⅴ"라고 가정한다.
먼저 "특허청"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조작버튼47(87), 조작버튼41(81), 조작버튼42(82), 조작버튼46(86), 조작버튼44(84), 조작버튼45(85), 조작버튼41(81), 조작버튼41(81), 조작버튼43(83), 조작버튼42(82), 조작버튼43(83), 조작버튼45(85), 조작버튼42(82), 조작버튼44(84), 조작버튼43(83), 조작버튼45(85), 조작버튼42(82), 조작버튼42(82)를 순서적으로 누른다.
다음에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같이 입력신호생성부(9)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조작버튼(81, 82, 83, 84, 85, 8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9)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SG1(S47, S41), SG2(S42, S46), SG3(S44, S45), SG4(S41, S41), SG5(S43, S42), SG6(S43, S45), SG7(S42, S44), SG8(S43, S45), SG9(S42, S42)로 그룹핑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입력신호그룹핑부(5)에서 그룹핑된 각 입력신호그룹에 메모리(4)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 버튼별 데이터내역, 지정버튼관계내역 및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이하 입력데이터결정부(6)에서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SG2와 SG3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SG1(47, 41)의 입력신호그룹에 기초하여 메모리(4)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에 따라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중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을 입력데이터내역으로 판단한다.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도14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신호그룹 SG2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ㅌ"이고, 입력신호그룹 SG3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ㅡ"임을 결정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SG4에 대해서는 "ㄱ"으로, SG5에 대해서는 "ㅎ"으로, SG6에 대해서는 "ㅓ"로, SG7에 대해서는 "ㅊ"으로, SG8에 대해서는 "ㅓ"로, SG9에 대해서는 "ㅇ"으로 각각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다음에 "patent"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조작버튼47(87), 조작버튼42(82), 조작버튼43(83), 조작버튼44(84), 조작버튼41(81), 조작버튼41(81), 조작버튼44(84), 조작버튼42(82), 조작버튼41(81), 조작버튼45(85), 조작버튼43(83), 조작버튼42(82), 조작버튼44(84), 조작버튼42(82)를 순서적으로 누른다.
다음에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같이 입력신호생성부(9)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조작버튼(81, 82, 83, 84, 85, 8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9)에서 생성한 입력신호를 입력순서에 따라 SG1(S47, S42), SG2(S43, S44), S3(S41, S41), SG4(S44, S42), SG5(S41, S45), SG6(S43, S42), SG7(S44, S42)로 그룹핑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SG1(47, 42)의 입력신호그룹에 기초하여 메모리(4)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에 따라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중 중앙하위데이터내역을 입력데이터내역으로 판단한 후, 도14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신호그룹 SG2에 대해서는 "p", 입력력신호그룹 SG3에 대해서는 "a", SG4에 대해서는 "t", SG5에 대해서는 "e", SG6에 대해서는 "n", SG7에 대해서는 "t"를 각각 입력데이터로 결정한다.
다음에 "Ⅲ,Ⅴ"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조작버튼47(87), 조작버튼43(83), 조작버튼42(82), 조작버튼41(81), 조작버튼43(83), 조작버튼41(81)를 순서적으로 누른다.
다음에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같이 입력신호생성부(9)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조작버튼(81, 82, 83, 84, 85, 86, 8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9)에서 생성한 입력신호를 입력순서에 따라 SG1(S47, S43), SG2(S42, S41), S3(S43, S41)로 그룹핑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SG1(47, 43)의 입력신호그룹에 기초하여 메모리(4)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에 따라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중 우측하위데이터내역을 입력데이터내역으로 판단한 후, 도14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신호그룹 SG2에 대해서는 "Ⅲ", 입력력신호그룹 SG3에 대해서는 "Ⅴ"를 각각 입력데이터로 결정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하위데이터내역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버튼을 입력조작버튼과 분리하고 있으나, 입력조작버튼을 하위데이터내역의 선택조작버튼으로 병행 사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조작버튼51(91), 조작버튼52(92), 조작버튼53(93), 조작버튼54(94), 조작버튼55(95) 및 조작버튼56(96)을 갖고 있다.
조작버튼(91, 92, 93, 94, 95, 96)은 의 각각 2개의 조작상태를 갖도록 복귀형으로 형성되고, 조작버튼(91, 92, 93, 94, 95, 96)에는 6개의 데이터표시영역이 두 줄로 나란히 배치된 데이터표시형태가 좌측, 중앙, 우측에 하나 씩 총 3개가 이루어지도록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버튼55(95)의 경우 선택조작기호 ⓜ과 ⓡ이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의 일부로 표시되어 있고, ⓛ과 ⓡ이 중앙하위데이터내역의 일부로 표시되어 있고, ⓛ과 ⓜ이 우측하위데이터내역의 일부로 표시되어 있다. 여기서 ⓛ은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을, ⓜ은 중앙하위데이터내역을, ⓡ은 우측하위데이터내역을 선택하는 기호로 사용된다.
조작버튼(91, 92, 93, 94, 95, 96)은 모두 입력조작버튼과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특히, 조작버튼55(95)는 선택조작기호 ⓛ, ⓜ, ⓡ을 지정하는 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메모리(4)에는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지정버튼관계내역 및 초기선택데이터내역값을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이 저장되어 있다.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는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자신에 표시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고,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갖도록 생성되어 있다(도19a 참조).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데이터표시형태를 구성하는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가 동일하도록 생성할 수 있는 바, 조작버튼55(95)에 대해서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조작버튼55(95)에 표시된 "ㅐ" , "y" "와 "Ⅸ"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51(91)이 되도록, 조작버튼55(95)에 표시된 "ㅔ", "z"와 "Ⅹ"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52(92)가 되도록, 조작버튼55(95)에 표시된 "ㅒ", "중앙하위데이터내역의 ⓛ"과 "우측하위데이터내역의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53(93)이 되도록, 조작버튼55(95)에 표시된 "ㅖ", "중앙하위데이터내역의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54(94)가 되도록, 조작버튼55(95)에 표시된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의 ⓜ"과 "우측하위데이터내역의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55(95)가 되도록, 조작버튼55(95)에 표시된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의 ⓡ"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56(96)이 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면 도19b의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 성할 수 있다.
선택관계내역은 조작버튼55(95)를 통해 입력되는 선택조작기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내역이 입력데이터내역이 되도록 생성되어 있다.
즉,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의 경우 조작버튼55(95)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앞부분 입력신호로 하고 조작버튼53(93)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뒷부분 입력신호로 하는 입력신호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이 선택되도록 생성되어 있다.
중앙하위데이터내역의 경우 조작버튼55(95)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앞부분 입력신호로 하고 조작버튼55(95)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뒷부분 입력신호로 하는 입력신호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중앙하위데이터내역이 선택되도록 생성되어 있다.
우측하위데이터내역의 경우 조작버튼55(95)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앞부분 입력신호로 하고 조작버튼56(9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뒷부분 입력신호로 하는 입력신호그룹이 존재하거나 조작버튼55(95)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앞부분 입력신호로 하고 조작버튼54(94)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뒷부분 입력신호로 하는 입력신호그룹이 존재하는 경우 우측하위데이터내역이 선택되도록 생성되어 있다.
그리고 초기선택데이터내역값은 좌측하위데이터내역, 중앙하위데이터내역과 우측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설정할 수 있지만,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이 초기선택데이터내역값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도18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특허청", "patent"과 "Ⅲ,Ⅴ"라고 가정한다.
먼저 "특허청"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조작버튼52(92), 조작버튼56(96), 조작버튼54(94), 조작버튼55(95), 조작버튼51(91), 조작버튼51(91), 조작버튼53(93), 조작버튼52(92), 조작버튼53(93), 조작버튼55(95), 조작버튼52(92), 조작버튼54(94), 조작버튼53(93), 조작버튼55(95), 조작버튼52(92), 조작버튼52(92)를 순서적으로 누른다.
다음에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같이 입력신호생성부(9)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조작버튼(91, 92, 93, 94, 95, 9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9)에서 생성한 입력신호를 SG1(S52, S56), SG2(S54, S55), SG3(S51, S51), SG4(S53, S52), SG5(S53, S55), SG6(S52, S54), SG7(S53, S55), SG8(S52, S52)로 그룹핑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입력신호그룹핑부(5)에서 그룹핑된 각 입력신호그룹에 메모리(4)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지정버튼관계내역 및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즉,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선택관계내역에 포함된 신호그룹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부터 초기선택데이터내역값으로 설정된 좌측하위데이터내역이 입력데이터 내역으로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한 후, 도14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입력신호그룹 SG1에 대해서는 "ㅌ", SG2에 대해서는 "ㅡ", SG3에 대해서는 "ㄱ"으로, SG4에 대해서는 "ㅎ"으로, SG5에 대해서는 "ㅓ"로, SG6에 대해서는 "ㅊ"으로, SG7에 대해서는 "ㅓ"로, SG8에 대해서는 "ㅇ"으로 각각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patent"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조작버튼55(95), 조작버튼55(95), 조작버튼53(93), 조작버튼54(94), 조작버튼51(91), 조작버튼51(91), 조작버튼54(94), 조작버튼52(92), 조작버튼51(91), 조작버튼55(95), 조작버튼53(93), 조작버튼52(92), 조작버튼54(94), 조작버튼52(92)를 순서적으로 누른다.
다음에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같이 입력신호생성부(9)는 SG1(S55, S55), SG2(S53, S54), S3(S51, S51), SG4(S54, S52), SG5(S51, S55), SG6(S53, S52), SG7(S54, S52)로 그룹핑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SG1(S55, S55)의 입력신호그룹에 기초하여 입력데이터내역이 초기선택데이터내역값(좌측하위데이터내역)으로부터 중앙하위데이터내역으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 후, 도14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신호그룹 SG2에 대해서는 "p", 입력력신호그룹 SG3에 대해서는 "a", SG4에 대해서는 "t", SG5에 대해서는 "e", SG6에 대해서는 "n", SG7에 대해서는 "t"를 각각 입력데이터로 결정한다.
"Ⅲ,Ⅴ"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조작버튼55(95), 조작버튼56(96), 조작버튼52(92), 조작버튼51(91), 조작버튼53(93), 조작버튼51(91)을 순서 적으로 누른다.
다음에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같이 입력신호생성부(9)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조작버튼(91, 92, 93, 94, 95, 9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9)에서 생성한 입력신호를 SG1(S55, S56), SG2(S52, S51), SG3(S53, S51)로 그룹핑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SG1(S55, S56)의 입력신호그룹에 기초하여 입력데이터내역이 초기선택데이터내역값(좌측하위데이터내역)으로부터 우측하위데이터내역으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 후, 도14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신호그룹 SG2에 대해서는 "Ⅲ", 입력력신호그룹 SG3에 대해서는 "Ⅴ"를 각각 입력데이터로 결정한다.
"patent"를 입력하고 난 다음, "Ⅲ,Ⅴ"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사용자는 조작버튼55(95), 조작버튼54(94), 조작버튼52(92), 조작버튼51(91), 조작버튼53(93), 조작버튼51(91)을 순서적으로 누른다.
다음에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같이 입력신호생성부(9)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조작버튼(91, 92, 93, 94, 95, 9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9)에서 생성한 입력신호를 SG1(S55, S54), SG2(S52, S51), SG3(S53, S51)으로 그룹핑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SG1(S55, S54)의 입력신호그룹에 기초하여 입력데이터내역이 중앙하위데이터내역으로부터 우측하위데이터내역으로 변경된 것으로 판단한 후, 도14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입력신호 그룹 SG2에 대해서는 "Ⅲ", 입력신호그룹 SG3에 대해서는 "Ⅴ"를 각각 입력데이터로 결정한다.
한편 도18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 ⓛ, ⓜ, ⓡ의 선택조작기호를 하나의 조작버튼에 표시하여 하나의 조작버튼에 데이터내역을 선택하는 기능을 집중시키고 있으나,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조작기호를 2개 이상의 조작버튼에 분산 표시하여 데이터내역을 선택하는 기능을 복수의 조작버튼에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 선택조작기호를 조작버튼상에서의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지정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도12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와 유사한 방법으로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선택조작기호를 지정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데이터표시형태를 이루는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와 데이터표시색상종류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데이터표시형태를 이루는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와 데이터표시색상종류 양쪽 모두에 기초하여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개의 조작버튼61(101), 조작버튼62(102), 조작버튼63(103), 조작버튼 64(104), 조작버튼65(111), 조작버튼66(112), 조작버튼67(113), 조작버튼68(114), 조작버튼69(121), 조작버튼70(122), 조작버튼71(123) 및 조작버튼72(124)를 갖고 있다.
각 조작버튼(101, 102, 103, 104, 111, 112, 113, 114, 121, 122, 123, 124)은 복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4개씩 3개의 층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층에 배치된 조작버튼은 각각 마름모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층에 배치된 조작버튼61(101), 62(102), 63(103) 및 64(104)와 중간층에 배치된 조작버튼65(111), 66(112), 67(113) 및 68(114)은 각각 다접점버튼체(100, 110)로 구성되어 있고, 내층에 배치된 조작버튼69(121), 70(122), 71(123) 및 72(124)는 개별버튼체로 구성되어 있다.
외층과 중간층에 배치된 조작버튼61(101), 62(102), 63(103), 64(104), 65(111), 66(112), 67(113) 및 68(114)에는 4개의 데이터표시영역이 마름모형상으로 배치된 데이터표시형태를 이루도록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으로 순차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작버튼61(101)에는 "ㅏ"데이터가 빨간색(R), "ㅑ"데이터가 주황색(O), "ㅓ"데이터가 노란색(Y), "ㅕ"데이터가 초록색(G)으로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내층에 배치된 조작버튼69(121), 70(122), 71(123) 및 72(124)는 각각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으로 버튼표면 전체가 지정표식마킹이 되도록 표시되어 있다.
중간층의 다접점버튼체(110)는 외층의 다접점버튼체(100)의 중앙영역에 형성 된 마름모형의 버튼개구부(100a)를 통해 휴대폰본체(1)에 설치되어 있고, 내층에 배치된 조작버튼69(121), 70(122), 71(123) 및 72(124)는 중간층의 다접점버튼체(110)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마름모형의 버튼개구부(110a)를 통해 휴대폰본체(1)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버튼(101, 102, 103, 104, 111, 112, 113, 114, 121, 122, 123, 124) 중 조작버튼61(101), 조작버튼62(102), 조작버튼63(103), 조작버튼64(104), 조작버튼65(111), 조작버튼66(112), 조작버튼67(113)과 조작버튼68(114)은 입력조작버튼으로 사용되고, 조작버튼69(121), 조작버튼70(122), 조작버튼71(123)과 조작버튼72(124)는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메모리(4)에는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및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저장되어 있다.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는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자신에 표시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도록 생성되어 있다(도22a 참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지정표식마킹의 색상과 데이터의 색상이 일치하고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데이터표시형태의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가 동일하도록 생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작버튼61(101)에 대한 지정버튼관계내역은 조작버튼61(101)에 표시된 "ㅏ"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69(121)가 되도록, "ㅑ"에 대한 지정 조작버튼은 조작버튼70(122)이 되도록, "ㅓ"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71(123)이 되도록, "ㅕ"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72(124)가 되도록 생성되어 있다.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면 도22b의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데이터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입력되는 데이터는 "특허청"이라고 가정 한다.
사용자는 조작버튼67(113), 조작버튼72(124), 조작버튼63(103), 조작버튼69(121), 조작버튼65(111), 조작버튼69(121), 조작버튼68(114), 조작버튼70(122), 조작버튼61(101), 조작버튼71(123), 조작버튼67(113), 조작버튼70(122), 조작버튼61(101), 조작버튼71(123), 조작버튼66(112), 조작버튼72(124)를 순서적으로 누른다.
다음에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같이 입력신호생성부(9)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조작버튼(101, 102, 103, 104, 111, 112, 113, 114, 121, 122, 123, 124)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9)에서 생성한 입력신호를 SG1(S67, S72), SG2(S63, S69), SG3(S65, S69), SG4(S68, S70), SG5(S61, S71), SG6(S67, S70), SG7(S61, S71), SG8(S66, S72)로 그룹핑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입력신호그룹핑부(5)에서 그룹핑된 각 입력신호그룹에 메모리(4)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 버튼별 데이터내역,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이하 입력데이터결정부(6)에서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과정을 SG1에 대하여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67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67(113)이 입력조작버튼이고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72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72(124)가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1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ㅌ"임을 결정한다.
전술한 방법으로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SG2에 대해서는 "ㅡ"로, SG3에 대해서는 "ㄱ"으로, SG4에 대해서는 "ㅎ"으로, SG5에 대해서는 "ㅓ"로, SG6에 대해서는 "ㅊ"으로, SG7에 대해서는 "ㅓ"로, SG8에 대해서는 "ㅇ"으로 각각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메모리(4)에 저장된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형태의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나 데이터표시색상종류를 고려하여 구성하고 있으나, 각 조작버튼의 배치순서와 각 조작버튼에서의 데이터 표시순서가 일치하게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생성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 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6개의 조작버튼101(161), 조작버튼102(162), 조작버튼103(163), 조작버튼104(164), 조작버튼105(165) 및 조작버튼106(166)을 갖고 있다.
조작버튼(161, 162, 163, 164, 165, 166)은 복귀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좌측에서 우측으로 일렬로 배치되어 있다.
조작버튼(161, 162, 163, 164, 165, 166)은 각각 외표면에 3(열) × 2(행)의 데이터표시영역을 갖는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161, 162, 163, 164, 165, 166)은 모두 입력조작버튼과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메모리(4)에는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저장되어 있다.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는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신에 표시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도24a 참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각 조작버튼(161, 162, 163, 164, 165, 166)의 배치순서와 각 조작버튼(161, 162, 163, 164, 165, 166)에서의 데이터 표시순서가 일치하도록 생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치순서와 표시순서는 사람의 일반적인 고정관념에 부 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조작버튼(161, 162, 163, 164, 165, 166)의 배치순서는 좌측에 있는 조작버튼이 순서가 앞서도록 설정되어 있고, 데이터의 표시순서는 각 행의 경우 상부에 있는 행이 순서가 앞서도록 각 열의 경우 좌측에 있는 열이 순서가 앞서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설정된 각 조작버튼(161, 162, 163, 164, 165, 166)의 배치순서와 데이터의 표시순서에 따라 지정버튼관계내역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작버튼101(161)에 표시된 "ㄱ", 조작버튼102(162)에 표시된 "ㄹ", 조작버튼103(163)에 표시된 "ㅅ", 조작버튼104(164)에 표시된 "ㅊ" , 조작버튼105(165)에 표시된 "ㅍ", 조작버튼106(166)에 표시된 "ㅑ"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101(161)이 되도록, 조작버튼101(161)에 표시된 "ㅗ", 조작버튼102(162)에 표시된 "ㅠ", 조작버튼103(163)에 표시된 "ㅐ", 조작버튼104(164)에 표시된 "ㅖ"에 대한 지정조작버튼은 조작버튼104(164)가 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
다른 데이터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하면 도24b와 같은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도2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력하고자 하는 데이터는 "청"이고 가정한다.
먼저 조작버튼104(164), 조작버튼101(161), 조작버튼106(166), 조작버튼102(162), 조작버튼103(163), 조작버튼102(162)를 순서적으로 누른다.
다음에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같이 입력신호생성부(9)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입력신호그룹핑부(5)는 조작버튼(161, 162, 163, 164, 165, 16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SG1(S104, S101), SG2(S106, S102), SG3(S103, S102)으로 그룹핑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입력신호그룹핑부(5)에서 그룹핑된 각 입력신호그룹에 메모리(4)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및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즉,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104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104(164)가 입력조작버튼이고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101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101(161)이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4)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1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ㅊ"임을 결정한다.
같은 방법으로 입력데이터결정부(6)는 입력신호그룹 SG2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ㅓ"이고, 입력신호그룹 SG3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ㅇ"임을 결정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조작버튼에 표시된 데이터만을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조작버튼에 표시되지 않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도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 도이고, 도26은 도25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와 같이 휴대폰본체(1, 도29 참조, 이하 동일)에 설치되어 있으며, 7개의 조작버튼111(171), 조작버튼112(172), 조작버튼113(173), 조작버튼114(174), 조작버튼115(175), 조작버튼116(176) 및 조작버튼117(177)과, 이들 각 조작버튼(171, 172, 173, 174, 175, 176, 177)에 일 대 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된 입력신호생성부(171', 172'등)와, 입력신호생성부(171', 172'등)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입력데이터생성부(180)를 갖고 있다.
조작버튼(171, 172, 173, 174, 175, 176, 177)은 복귀형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171, 172, 173, 174, 175, 176)에는 3(열) × 2(행)의 데이터표시영역을 갖는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조작버튼111(171), 조작버튼112(172), 조작버튼113(173), 조작버튼114(174), 조작버튼115(175)와 조작버튼116(176)은 지정조작버튼과 입력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조작버튼117(177)은 후술하는 메모리(181)에 저장된 짝데이터내역에 포함된 짝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선택조작하기 위한 짝데이터선택버튼으로 사용된다.
입력데이타생성부(180)는 메모리(181)와, 짝데이터선택버튼으로 사용되는 조작버튼117(1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정보를 생성하는 짝데이터 선택버튼입력정보생성부(182)와, 입력조작버튼과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되는 조작버튼111(171), 조작버튼112(172), 조작버튼113(173), 조작버튼114(174), 조작버튼115(175)와 조작버튼116(17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171', 172'등)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입력순서에 따라 한 쌍씩 그룹핑하는 입력신호그룹핑부(183)와, 입력신호그룹핑부(183)에서 그룹핑된 각 입력신호그룹에 대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입력데이터결정부(184)를 갖고 있다.
짝데이터선택버튼입력정보생성부(182)는 모든 조작버튼(171, 172, 173, 174, 175, 176, 1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를 수령하여 조작버튼117(1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는 순서정보 N(x)를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여기서 "x"는 조작버튼(171, 172, 173, 174, 175, 17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기 시작한 후 처음으로 조작버튼117(1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조작버튼(171, 172, 173, 174, 175, 17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된 회수 또는 조작버튼117(1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된 후 조작버튼117(1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조작버튼(171, 172, 173, 174, 175, 17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된 회수를 나타낸다.
입력데이터결정부(184)는 각 입력신호그룹의 앞부분 입력신호를 입력할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는 입력조작버튼으로 인식하고, 뒷부분의 입력신호를 지정조작버튼으로 인식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181)는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171, 172, 173, 174, 175, 176)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 조작할 수 있는 지정버튼관계내역과, 조작버튼(171, 172, 173, 174, 175, 176)에 표시된 데이터에 대한 짝데이터내역을 저장하고 있다.
각 조작버튼(171, 172, 173, 174, 175, 176, 177)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는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자신에 표시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도27a 참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데이터표시형태를 이루는 데이터표시영역의 배치형태가 동일하도록 생성되어 있다(도27b 참조).
짝데이터내역은 한글자음에 대해서는 된소리가 짝데이터가 되고, 한글모음에 대해서는 복모음이 짝데이터가 되며, 영문자에 대해서는 대문자가 짝데이터가 되도록 생성되어 있다(도28 참조).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실시예와 공통되는 부분은 생략하기로 하고, 입력데이터는 "ㄸ", "ㅖ" 및 "I"라고 한다.
사용자는 조작버튼111(171), 조작버튼117(177), 조작버튼113(173), 조작버튼 114(174), 조작버튼117(177), 조작버튼114(174), 조작버튼116(176), 조작버튼117(177), 조작버튼114(174)를 순서적으로 누른다.
사용자의 조작동작에 따라 입력신호생성부는 대응하는 조작버튼에 대한 입력신호를 조작순서에 따라 생성한다.
다음에 입력신호그룹핑부(183)는 짝데이터선택버튼으로 사용되는 조작버튼117(1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신호를 무시하고 입력조작버튼과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되는 조작버튼111(171), 조작버튼112(172), 조작버튼113(173), 조작버튼114(174), 조작버튼115(175)와 조작버튼116(17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171', 172'등)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입력순서에 따라 한 쌍씩 즉, SG1(S111, S113), SG2(S114, S114), SG3(S116, S114)으로 그룹핑한다.
한편 입력신호그룹핑부(183)의 그룹핑동작과 병행하여 짝데이터선택버튼입력정보생성부(182)는 짝데이터선택버튼으로 사용되는 조작버튼117(177)의 순서정보 N(1), N(2), N(2)을 실시간으로 생성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184)는 입력신호그룹핑부(183)에서 그룹핑된 각 입력신호그룹 및 짝데이터선택버튼입력정보생성부(182)에서 생성한 순서정보 N(1), N(2), N(2)에 메모리(181)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지정버튼관계내역 및 짝데이터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한다.
즉, 입력데이터결정부(184)는 메모리(181)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111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111(171)이 입력조작버튼이고 SG1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113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113(173)이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181)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 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1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ㄷ"임을 잠정결정한다.
다음에 입력데이터결정부(184)는 순서정보 N(1)을 해석하여 조작버튼111(171)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입력된 후 바로 조작버튼117(1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었음을 확인한 다음, 메모리(181)에 저장된 짝데이터내역을 참조하여 조작버튼111(171)과 조작버튼113(173)을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ㄷ"에 대응하는 짝데이터 "ㄸ"가 최종적인 입력데이터임을 결정한다.
그리고 입력데이터결정부(184)는 메모리(181)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2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114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114(174)가 입력조작버튼이고 SG2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114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114(174)가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181)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2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ㅔ"임을 잠정결정한다.
다음에 두 번째 순서정보 N(2)을 해석하여 조작버튼111(171)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가 처음으로 입력된 후 조작버튼113(173)과 조작버 튼114(174)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이어 조작버튼117(1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었음을 확인한 다음, 메모리(181)에 저장된 짝데이터내역을 참조하여 조작버튼114(174)와 조작버튼114(174)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ㅔ"에 대응하는 짝데이터 "ㅖ"가 최종적인 입력데이터임을 결정한다.
또한 입력데이터결정부(184)는 메모리(181)에 저장된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를 참조하여 SG3의 입력신호그룹에서 앞부분 입력신호 S116을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116(176)이 입력조작버튼이고 SG3의 입력신호그룹에서 뒷부분 입력신호 S114를 생성한 입력신호생성부에 대응하는 조작버튼114(174)가 지정조작버튼인 것을 판단한 다음, 메모리(181)에 저장된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신호그룹 SG3에 대응하는 입력데이터가 "i"임을 잠정결정한다.
다음에 세 번째 순서정보 N(2)을 해석하여 조작버튼111(171)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가 두 번째로 입력된 후 조작버튼114(174)와 조작버튼116(176)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이어 조작버튼117(177)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되었음을 확인한 다음, 메모리(181)에 저장된 짝데이터내역을 참조하여 입력조작버튼으로서의 조작버튼116(176)과 데이터지정버튼으로서의 조작버튼114(174)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i"에 대응하는 짝데이터 "I"가 최종적인 입력데이터임을 결정한다.
도25와 도26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 짝데이터선택버튼의 조작을 입 력조작버튼의 조작과 지정조작버튼의 조작사이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입력조작버튼의 조작 이전이나 지정조작버튼의 조작 이후에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조작버튼에 데이터를 표시하고 있으나, 조작버튼 둘레영역이나 조작버튼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데이터를 표시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와 같이 휴대폰본체(1, 도29 참조, 이하 동일)에 설치되어 있으며, 8개의 조작버튼301(301), 조작버튼302(302), 조작버튼303(303), 조작버튼304(304), 조작버튼305(305), 조작버튼306(306), 조작버튼307(307)과 조작버튼308(308)을 갖고 있다.
이들 조작버튼(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의 둘레영역에는 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조작버튼301(301)의 둘레영역에는 "ㄱ", "ㄴ", "ㄷ", "ㄹ"이 정방형 형태로 배치된 데이터표시영역에 각각 표시되어 있고, 조작버튼305(305)의 둘레영역에는 "ㅏ", "ㅑ", "ㅓ", "ㅕ"가 마름모 형태로 배치된 데이터표시영역에 각각 표시되어 있고. 여기서 데이터표시영역(309)은 각 데이터가 표시되는 본체상에 마련되어 있다.
조작버튼(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은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조작버튼301(301), 조작버튼302(302), 조작버튼303(303)과 조작버튼304(304)로 이루어진 장방형 조작버튼그룹과, 조작버튼305(305), 조작버튼306(306), 조작버튼307(307)과 조작버튼308(308)로 이루어진 평행사변형 조작버튼그룹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301(301), 조작버튼302(302), 조작버튼303(303)과 조작버튼304(304)는 장방형 조작버튼그룹의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되고, 조작버튼305(305), 조작버튼306(306), 조작버튼307(307)과 조작버튼308(308)은 평행사변형 조작버튼그룹의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자신의 둘레영역에 표시된 데이터가 모두 포함되도록 생성하면 됨)과 지정버튼관계내역 및 데이터입력방법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29와는 달리 조작버튼(301', 302', 303', 304', 305', 306', 307', 308')으로 이격된 영역 또는 디스플레이부에 배치형태, 색상 등을 이용하여 조작버튼과 데이터사이의 관계를 식별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표시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도30 참조).
이와 같이 조작버튼 둘레영역이나 조작버튼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조작버튼의 크기선택성이 증대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문자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구성 하고 있으나, 소정의 기능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3개의 조작버튼311(311), 조작버튼312(312) 및 조작버튼313(313)을 갖고 있다.
조작버튼(311, 312, 313)은 각각 외표면에 삼각형 형태를 이루도록 배치된 데이터표시영역에 기능데이터가 표시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버튼(311, 312, 313)은 모두 입력조작버튼과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메모리(4)에는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이 저장되어 있다.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는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생성할 수 있다.
각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도1 내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자신에 표시된 기능데이터가 모두 포함되도록 생성할 수 있다(도32a 참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각 조작버튼(311, 312, 313)의 배치형태와 각 조작버튼(311, 312, 313)에서의 기능데이터 표시형태가 일치하도록 생성할 수 있다(도32b 참조).
도31에 도시된 데이터표시장치를 통해 기능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은 도1 내 지 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즉, "저장"이라는 기능데이터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조작버튼312(312)와 조작버튼313(313)을 순차적으로 누른다.
조작버튼312(312)와 조작버튼313(313)이 순차적으로 눌러지면, 입력데이터결정부(6, 도3 참조)는 메모리(4, 도3 참조)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 및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참조하여 입력기능이 저장임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저장"이라는 기능데이터가 입력되면 종래 일반적인 기능키(키보드의 "F1키" 등)의 입력 시 이루어지는 처리과정을 거쳐(예를 들면 메모리에 저장된 기능할당표를 참조하여 입력되는 기능데이터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방법 등) "저장"을 위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조작버튼을 기구적으로 구현하고 있으나, 전자적 또는 전자적 조작버튼과 기구적 조작버튼을 조합하는 형태로 구현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3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조작버튼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4개의 조작버튼321 내지 324(321, 322, 323, 324)를 갖고 있다.
이들 4개의 조작버튼321 내지 324(321, 322, 323, 324)중 두 개(조작버튼321, 322)는 기구적으로 구현되어 있고, 나머지 두 개(조작버튼323, 324)는 터치스 크린(326)상에 전자적으로 구현되어 있다.
조작버튼321 내지 324(321, 322, 323, 324)는 모두 입력조작버튼과 지정조작버튼으로 사용된다.
도3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경우 각 조작버튼과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 및 데이터입력방법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데이터입력장치의 장방형 조작버튼그룹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기구적 조작버튼과 전자적 조작버튼으로 입력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2001년 특허출원 제10609호(발명의 명칭 : 특정 기능키를 구비한 디지털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현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사용자가 조작버튼과 데이터표시형태, 색상, 순서를 보고 데이터를 입력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입력조작안내를 위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도3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기능별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는, 도1 내지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의 입력데이터생성부(3)에 더하여 조작안내표시버튼(333)과, 디스플레이부(332)와, 조작안내표시버튼(333)과 디스플레이부(332)사이에 개재하는 조작안내표시부(331)를 갖고 있다.
조작안내표시부(331)는 조작안내표시버튼(333)으로부터의 조작신호가 입력될 때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메모리(4)로부터 인출하여 디스플레이부(332)에 표시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입력조작안내를 위해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지정버튼관계내역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함으로써 데이터입력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입력데이터의 지정이 지정조작버튼의 1회 조작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작회수를 줄이기 위해서 입력데이터를 각 조작버튼에 분산시킬 필요가 없게 되고 조작버튼의 수가 지정조작버튼의 수에 따라 결정된다. 이에 따라 입력데이터의 수량 증가에 대한 조작버튼의 수량 증가율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데이터입력형 전기전자장치의 유효공간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거나 조작버튼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조작버튼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조작버튼의 잘못 조작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작회수는 입력데이터의 표시방법과는 관계가 없으므로 같은 종류의 입력데이터를 조작버튼에 집중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하는 입력데이터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조작버튼에 표시된 복수개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하는 동작을 데이터표시형태와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 데이터의 색상과 지정조작버튼의 색상 또는 데이터의 표시순서와 지정조작버튼의 배치순서에 따라 실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데이터입력장치들에 있어서, 선택조 작버튼에 의해 선택된 데이터내역의 종류(우측하위데이터내역 등)와 입력데이터생성부(3)에서 결정된 입력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종래와 동일한 방법으로 소정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입력데이터가 표시된 조작버튼을 먼저 조작한 다음 입력데이터를 지정하는 조작버튼을 조작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먼저 입력데이터를 지정하는 조작버튼을 먼저 조작한 다음 입력데이터가 표시된 조작버튼을 조작하도록 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하나의 조작버튼에 표시된 복수개의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하는 동작을 데이터표시형태와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 데이터의 색상과 지정조작버튼의 색상, 데이터의 표시순서와 지정조작버튼의 배치순서에 따라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데이터표시형태와 지정조작버튼사이의 관계를 임의로 설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한글 자음 및 모음, 영문자, 숫자, 기능데이터를 입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부호, 특수문자, 아이콘 등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휴대폰에 본 발명의 데이터입력장치를 적용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컴퓨터용 키보드, 마우스, 키패드, 리모콘, 게임용 컨트롤러, 전자수첩, 피디에이(PDA), 암호입력기, 각종 단말기 등 다른 장치나 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의 증가에 대한 조작버튼의 수량 증가율이 감소되어 데이터입력형 전기전자장치의 유효공간 이용율이 향상되거나 조작버튼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같은 종류의 입력데이터를 조작버튼에 집중하여 표시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입력데이터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다.
또한 입력데이터의 지정동작이 다른 조작버튼(지정조작버튼)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작오류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7)

  1. 삭제
  2. 각각 2개의 조작상태를 갖는 조작버튼과, 상기 각 조작버튼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의 각 조작상태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생성부와,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각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 조작할 수 있는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포함된 조작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생성순서에 따라 2개씩 그룹핑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데이터내역 중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지정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는 입력데이터생성부를 갖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핑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각 조작버튼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의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데이터 각각이 자신에 속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형태와 동일하도록 표시되고;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각 조작버튼에 대한 조작버튼그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대하여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형태가 동일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복수 그룹의 하위데이터내역을 갖도록 각 데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 조작할 수 있는 선택조작버튼의 조작상태와 상기 하위데이터내역사이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이 저장되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포 함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복수 그룹의 하위데이터내역을 갖도록 각 데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에 표시되는 데이터내역은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조작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선택조작기호와 상기 각 하위데이터사이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이 저장되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각 조작버튼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의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의 데이터표시형태와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에 짝을 이루는 짝데이터내역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조작버튼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짝데이터내역에 포함된 짝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선택조작할 수 있는 짝데이터선택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부는 상기 짝데이터선택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 입력신호가 입력될 때 상기 지정조작버튼에 의해 지정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짝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7. 각각 2개의 조작상태를 갖는 조작버튼과, 상기 각 조작버튼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의 각 조작상태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생성부와,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각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 조작할 수 있는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포함된 조작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생성순서에 따라 2개씩 그룹핑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데이터내역 중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지정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는 입력데이터생성부를 갖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핑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각 조작버튼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의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데이터가 각기 다른 색상을 갖도록 표시되고,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각 조작버튼별로 하나의 지정마킹표식이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되며;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상기 각 조작버튼에 대한 조작버튼그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대하여 상기 지정마킹표식의 색상종류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색상종류가 일치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복수 그룹의 하위데이터내역을 갖도록 각 데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 조작할 수 있는 선택조작버튼의 조작상태와 상기 하위데이터내역사이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이 저장되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 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복수 그룹의 하위데이터내역을 갖도록 각 데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에 표시되는 데이터내역은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조작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상기 선택조작기호와 상기 각 하위데이터사이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이 저장되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은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0. 각각 2개의 조작상태를 갖는 조작버튼과, 상기 각 조작버튼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의 각 조작상태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생성부와,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각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 조작할 수 있는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포함된 조작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생성순서에 따라 2개씩 그룹핑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데이터내역 중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지정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는 입력데이터생성부를 갖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버튼은 순서를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에는 데이터가 순서를 갖도록 표시되며;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상기 각 조작버튼의 순서와 상기 각 조작버튼에 표시된 데이터의 순서가 일치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1. 각각 2개의 조작상태를 갖는 조작버튼과, 상기 각 조작버튼에 일대일로 대응하도록 형성되고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의 각 조작상태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생성부와,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각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 조작할 수 있는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지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포함된 조작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생성부로부터의 입력신호를 생성순서에 따라 2개씩 그룹핑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데이터내역 중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지정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는 입력데이터생성부를 갖는 데이터입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핑되고;
    상기 그룹핑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표시형태는 상기 조작버튼의 외부영역에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은 각 조작버튼에 대한 조작버튼그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대하여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형태가 동일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2.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안내표시버튼과,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조작안내표시버튼으로부터의 조작신호에 따라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인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조작안내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3. 제2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 중 적어도 일부는 상호 연결된 다접점버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중앙영역에 평행사변형의 버튼개구부가 형성된 장방형 다접점버튼체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장방형 다접점버튼체의 네모서리영역에 하나씩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표시형태가 장방형상을 이루도록 데이터가 표시된 4개의 조작버튼과, 상기 버튼개구부에 삽입되도록 설치된 평행사변형 다접점버튼체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평행사변형 다접점버튼체의 네모서리영역에 하나씩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표시형태가 평행사변형을 이루도록 데이터가 표시된 4개의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십자형 다접점버튼체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십자형 다접점버튼체의 4개의 분기영역에 하나씩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표시형태가 장방형 상을 이루도록 데이터가 표시된 4개의 조작버튼과, 각각 중앙영역에 상기 데이터표시형태가 장방형을 이루도록 데이터가 표시되고 각각 상기 십자형상의 다접점버튼체의 분기영역사이에 하나씩 배치되는 4개의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마름모형상의 외측 다접점버튼체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마름모형상의 외측 다접점버튼체의 네모서리영역에 하나씩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표시형태가 마름모형상을 이루도록 데이터가 표시되는 4개의 조작버튼과, 상기 외측버튼개구부에 삽입 설치되고 중앙영역에 마름모형상의 내측버튼개구부가 형성된 마름모형상의 내측 다접점버튼체를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상기 마름모형상의 내측 다접점버튼체의 네모서리영역에 하나씩 배치되고 상기 데이터표시형태가 마름모형상을 이루도록 데이터가 표시되는 4개의 조작버튼과, 마름모형상의 배치형태를 갖도록 상기 내측버튼개구부에 삽입 설치되는 4개의 조작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7. 제2항, 제7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포함된 조작버튼은 각각 돌기가 수를 달리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장치.
  18. 삭제
  19. 각각 2개의 조작상태를 갖는 복수의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의 조작상태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사이의 대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 조작할 수 있는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포함된 조작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순서에 따라 2개씩 그룹핑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데이터내역 중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지정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데이터생성단계를 갖는 데이터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핑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각 조작버튼은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데이터 각각이 자신에 속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형태와 동일하도록 표시되고;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조작버튼에 대한 조작버튼그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대하여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형태가 동일하도록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복수 그룹의 하위데이터내역을 갖도록 데이터가 표시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단계는,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 조작할 수 있는 선택조작버튼의 조작상태와 상기 하위데이터내역사이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하고;
    상기 입력데이터결정단계는 상기 생성된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생성부 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상기 생성된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복수 그룹의 하위데이터내역을 갖도록 표시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에 표시되는 데이터내역은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조작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단계는 상기 선택조작기호와 상기 각 하위데이터사이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하고;
    상기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된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상기 생성된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핑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각 조작버튼은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데이터가 각기 다른 색상을 갖도록 표시되고,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각 조작버튼별로 하나의 지정마킹표식이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되며;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조작버튼에 대한 조작버튼그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대하여 상기 지정마킹표식의 색상종류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색상종류가 일치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복수 그룹의 하위데이터내역을 갖도록 표시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단계는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 조작할 수 있는 선택조작버튼의 조작상태와 상기 하위데이터내역사이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하고;
    상기 입력데이터결정단계는, 상기 생성된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상기 생성된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속하는 조작버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자신에 대응하는 조작버튼그룹별 데이터표시색상에 따라 복수 그룹의 하위데이터내역을 갖도록 표시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에 표시되는 데이터내역은 상기 조작버튼에 표시된 하위데이터내역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내역으로 선택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선택조작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데이터생성단계는 상기 선택조작기호와 상기 각 하위데이터사이의 대응정보를 포함하는 선택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각 데이터가 속하는 하위데이터내역정보를 포함하도록 생성하고;
    상기 입력데이터결정단계는 상기 생성된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상기 생성된 선택관계내역을 반영하여 입력데이터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방 법.
  25. 각각 2개의 조작상태를 갖는 복수의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의 조작상태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사이의 대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 조작할 수 있는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포함된 조작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순서에 따라 2개씩 그룹핑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데이터내역 중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지정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데이터생성단계를 갖는 데이터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은 데이터표시형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그룹으로 그룹핑되고, 상기 그룹핑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표시형태는 상기 조작버튼의 외부영역에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조작버튼에 대한 조작버튼그룹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각 조작버튼그룹에 대하여 지정조작버튼의 배치형태와 자신이 속하는 조작버튼그룹에 대응하는 데이터표시형태가 동일하도록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방법.
  26. 각각 2개의 조작상태를 갖는 복수의 조작버튼을 조작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의 조작상태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사이의 대응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에 속하는 각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입력데이터로 지정 조작할 수 있는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포함된 조작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순서에 따라 2개씩 그룹핑하는 단계와 상기 각 조작버튼과 상기 입력신호사이의 대응정보,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에 기초하여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입력 조작할 수 있는 데이터내역 중 상기 각 입력신호그룹 중 나머지 하나에 대응하는 조작버튼을 통해 지정되는 데이터를 입력데이터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입력데이터생성단계를 갖는 데이터입력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 조작버튼은 순서를 갖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조작버튼에는 데이터가 순서를 갖도록 표시되며;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각 조작버튼의 순서와 상기 각 조작버튼에 표시된 데이터의 순서가 일치하도록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방법.
  27. 제19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버튼별 데이터내역과 상기 지정버튼관계내역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인출하여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입력방법.
KR1020040102238A 2004-08-04 2004-12-07 데이터입력장치 및 그 데이터입력방법 KR100670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1305 2004-08-04
KR20040061305 2004-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329A KR20060013329A (ko) 2006-02-09
KR100670019B1 true KR100670019B1 (ko) 2007-01-16

Family

ID=3578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2238A KR100670019B1 (ko) 2004-08-04 2004-12-07 데이터입력장치 및 그 데이터입력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115730A1 (ko)
KR (1) KR100670019B1 (ko)
CN (1) CN1993970A (ko)
WO (1) WO2006014058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95B1 (ko) * 2001-06-07 2007-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자모 배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59335B2 (en) * 2006-03-09 2012-04-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trolling a user's interaction with a keyboard of a multi-application electronic device
KR100900087B1 (ko) * 2008-03-31 2009-06-01 박병진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버튼 확장형 문자 입력 방법
US8490026B2 (en) * 2008-10-27 2013-07-16 Microsoft Corporation Painting user controls
JP5771350B2 (ja) * 2009-04-28 2015-08-26 レノボ・イノベーションズ・リミテッド(香港) 携帯型電子機器のケース構造、携帯型電子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10289217B2 (en) * 2016-07-13 2019-05-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Multi-function control knobs for multimedia systems of vehicle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086A (ja) 1999-07-07 2001-03-30 Fujitsu Ltd 携帯文字入力装置
JP2001264888A (ja) 2000-03-17 2001-09-26 Stanley Electric Co Ltd 露光装置
JP2002342011A (ja) 2001-03-12 2002-11-29 Toshihiko Okabe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デバイス、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かな漢字変換プログラム
JP2003216312A (ja) 2002-01-28 2003-07-31 Fujitsu Ltd 文字入力装置
KR20040074643A (ko) * 2004-07-12 2004-08-25 박노수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입력장치
KR20040098769A (ko) * 2003-05-15 200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1375B1 (ko) * 1998-03-03 2000-11-01 윤종용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GB2364208B (en) * 2000-06-30 2004-11-17 Nokia Mobile Phones Ltd Improved data input
KR100365859B1 (ko) * 2000-09-14 2002-12-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향키를 이용한 키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US20020094838A1 (en) * 2001-01-12 2002-07-18 Hsiang-Hua Wang Structure of film type keyboard of cellular phones
US20020158915A1 (en) * 2001-02-28 2002-10-31 Joseph Rowell Device interface with function keys and color coded soft key labels
KR100377432B1 (ko) * 2002-03-29 2003-05-09 주식회사 네오패드 문자/단어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보통신 서비스 방법
US7095403B2 (en) * 2002-12-09 2006-08-22 Motorola, Inc. User interface of a keypad entry system for character inpu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4086A (ja) 1999-07-07 2001-03-30 Fujitsu Ltd 携帯文字入力装置
JP2001264888A (ja) 2000-03-17 2001-09-26 Stanley Electric Co Ltd 露光装置
JP2002342011A (ja) 2001-03-12 2002-11-29 Toshihiko Okabe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デバイス、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かな漢字変換プログラム
JP2003216312A (ja) 2002-01-28 2003-07-31 Fujitsu Ltd 文字入力装置
KR20040098769A (ko) * 2003-05-15 2004-11-26 삼성전자주식회사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040074643A (ko) * 2004-07-12 2004-08-25 박노수 휴대단말기의 데이터입력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입력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7464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595B1 (ko) * 2001-06-07 2007-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자모 배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15730A1 (en) 2009-05-07
WO2006014058A2 (en) 2006-02-09
CN1993970A (zh) 2007-07-04
WO2006014058A3 (en) 2006-03-16
KR20060013329A (ko)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28282B (zh) 输入装置、移动电话和移动信息装置
JP4747374B2 (ja) 方向入力手段を利用した文字入力方法および装置
US20060082540A1 (en) Data input system
US9146621B2 (en) Reduced qwerty keyboard system that provides better accuracy and associated method
US20090195510A1 (en) Ergonomic user interface for hand held devices
CN101097496A (zh) 触摸面板的操纵方法和输入方法
KR20080073868A (ko) 단말기 및 메뉴표시방법
KR20080073869A (ko) 단말기 및 메뉴표시방법
CN104506951B (zh) 一种文字输入方法、装置及智能终端
CN102314318A (zh) 应用于触摸屏终端的字符输入方法、装置及触摸屏终端
JP2010160564A (ja) 携帯端末
JPS59140547A (ja) デ−タ処理用キ−ボ−ド
KR100670019B1 (ko) 데이터입력장치 및 그 데이터입력방법
CN106990852B (zh) 输入装置以及电子设备
JP2007156778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方法
CN101261537A (zh) 基于八方向键的输入方法
WO2002077786A1 (fr) Dispositif d'entree de donnees
KR100271375B1 (ko)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CN104965600B (zh) 一键多触点字母键盘
KR102332178B1 (ko) 장애인을 위한 단축 키보드 시스템 및 이의 사용 방법
CN105892928A (zh) 一种3d沉浸式环境下的虚拟键盘及其设计方法
KR100762944B1 (ko) 화면자판 편집기와 편집방법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JP2018060766A (ja) 入力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10135700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