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98769A -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98769A
KR20040098769A KR1020030031017A KR20030031017A KR20040098769A KR 20040098769 A KR20040098769 A KR 20040098769A KR 1020030031017 A KR1020030031017 A KR 1020030031017A KR 20030031017 A KR20030031017 A KR 20030031017A KR 20040098769 A KR20040098769 A KR 200400987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vowel
input
consonant
code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1589B1 (ko
Inventor
서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589B1/ko
Publication of KR200400987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7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5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음과 모음이 소정의 키 또는 키들의 조합에 따라 할당된 키입력부와, 상기 소정의 키 또는 키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코드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키입력부의 키 선택에 대응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한글음절을 완성하는 음절조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키패드의 키를 이용해 한 번의 입력으로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하여 빠르게 단어를 입력할 수 있고, 키패드의 각각의 숫자키에 하나의 자음만을 배치하므로, 사용자의 단어 입력시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기 위해 여러번 같은 숫자키를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PUTTING THE KOREAN ALPHABETS BY MEANS OF A KEYPAD}
본 발명은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키패드의 키를 이용해 한 번의 입력으로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하여 빠르게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화기 키 패드를 나타내 도면으로서,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화기의 키 패드는 0부터 9까지의 숫자버튼들과 *, # 등의 특수 기능을 갖는 기능버튼들로 구성되며, 상기 각 버튼들에는 ㄱ에서 ㅎ까지의 한글 자음과 제조사 별로 지정된 모음, 자음 및 특수문자들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1(a)의 경우 숫자버튼 각각에 '·(천)', 'ㅡ(지)', 'ㅣ(인)'이 할당되는 천지인 방식으로서, 천지인을 이용하여 원하는 모음을 쉽게 조합할 수 있다.
상기 도 1(a)와 같은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즉 "한국"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ㅅ, ㅎ의 문자들을 갖는 숫자버튼 8을 2회 연속으로 눌러 "ㅎ"자를 호출하고, 일정시간 후 다시, ㅣ(인)자를 갖는 숫자버튼 1을 1회, ·(천)자를 갖는 숫자버튼 2을 1회 눌러 "ㅏ" 을 호출하고, ㄴ, ㄹ의 문자들을 갖는 숫자버튼 5를 1회 눌러 "ㄴ"자를 호출하는 일련의 방법으로 입력해야 한다.
도 1 (b)의 경우 단어를 쓰는 획순에 따라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는 방식으로서, 자음 및 모음의 획순에 따라서 숫자버튼을 누르면 단어가 완성된다.
상기 도 1(b)와 같은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즉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버튼 1, 2, 3을 연속으로 눌러 "ㄱ"자를 완성하고, 숫자버튼 4, 6을 눌러 "ㅡ"를 완성하고, 숫자버튼 1, 3, 6, 4, 7, 9를 연속으로 눌러 "ㄹ"를 완성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도 1(c)의 경우 자음 또는 모음의 형태(도형)에 따라 해당 숫자버튼을 누르면 해당 자음 또는 모음을 완성하는 방식이다.
상기 도 1(c)와 같은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즉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버튼 1, 3을 연속으로 눌러 "ㄱ"자를 완성하고, 숫자버튼 9를 눌러 "ㅡ"를 완성하고, 숫자버튼 3, 1, 3, 1, 3을 연속으로 눌러 "ㄹ"를 완성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도 1(d)의 경우 숫자버튼에 기본 자음을 배치하고, '~' 을 이용하여 자음의 획을 추가하는 방식이다.
상기 도 1(d)와 같은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즉 '글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숫자버튼 1을 눌러 'ㄱ'을 호출하고, 숫자버튼 9를 눌러 'ㅡ'를 호출하고, 숫자버튼 2를 연속 3번 눌러 'ㄹ'을 호출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따라서, 하나의 키 패드에 여러개의 자음이 매핑되어 있어 하나의 자음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키 패드를 여러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모음 역시 하나의 키 패드에 여러개의 모음이 매핑되어 있어 원하는 모음을 입력하기 위해 해당 키패드를 여러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 및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천지인 입력 방식인 경우에도 원하는 모음을 만들기 위해 특정 버튼을 여러번 눌려야 하는 번거로움 및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키패드에 임의로 배열된 자음 및 모음의 위치를 일일이 확인하며 단어를 입력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키패드의 키를 이용해 한 번의 입력으로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하여 빠르게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키패드의 각각의 숫자키에 하나의 자음만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의 단어 입력시 같은 숫자키를 여러번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화기 키 패드를 나타내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의 키패드 배열과 자음 및 모음 입력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중 가상 매트릭스 모음 입력키를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키 입력부 200 : 메모리부
300 : 음절조합 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음과 모음이 소정의 키 또는 키들의 조합에 따라 할당된 키입력부와, 상기 소정의 키 또는 키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코드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키입력부의 키 선택에 대응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한글음절을 완성하는 음절조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키패드의 키를 이용하여 단어 입력 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하나의 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키에 할당된 자음의 코드값이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다수의 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다수의 키에 할당된 자음 또는 모음의 코드값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자음의 코드값 또는 모음의 코드값에 따라 한글 음절이 완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키 입력부(100), 메모리부(200) 및 음절조합 제어부(300)로 구성된다.
키 입력부(100)는 자음과 모음이 소정의 키 또는 키들의 조합에 따라 할당되며, 기본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기본 자음 입력키, 격음을 입력할 수 있는 격음화 입력키 및 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의 조합에 따라 할당된 가상 매트릭스 모음 입력키로 구성된다.
또한, 키패드의 각각의 키에 자음이 하나씩 할당되며, 자음의 배열 순서에 따라 자음을 할당함으로써 사용자의 한글 입력을 편리하게 하였다.
메모리부(200)는 상기 소정의 키 또는 키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코드값을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00)에는 가상 매트릭스에 대한 정보가 별도로 저장되어 있어, 키들의 조합에 따른 가상 매트릭스 모음 입력키가 선택될 경우, 상기 매트릭스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가상 매트릭스에 따른 모음의 코드값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200)는 상기 키입력부(100)의 키 선택 지속시간별 자음의 코드값 또는 모음의 코드값을 저장하며, 상기 자음이 할당된 키와 상기 격음화 입력키의 조합에 따른 격음의 코드값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격음화란 '거센소리'로써 즉, 혀끝을 거세게 터뜨릴 때 나는 안울림소리를 말한다. 여기서, 상기 거센소리는 ㅊ, ㅋ, ㅌ, ㅍ, ㅎ 등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ㅊ'은 'ㅈ'의 거센소리이고, 'ㅋ'은 'ㄱ'의 거센소리이며, 'ㅌ'은 'ㄷ'의 거센소리이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200)는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가상 매트릭스 모음 입력키의 키 선택 지속시간별로 다른 모음의 코드값(예를 들어, 제1 모음 그룹의 모음 코드값 및 제2 모음 그룹의 모음 코드값)을 저장한다.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상기 키입력부(100)의 키 선택에 대응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200)로부터 독출하여 한글음절을 완성한다. 또한,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상기 자음이 할당된 키와 상기 격음화 입력키의 조합에 따른 격음의 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200)로부터 독출하여 한글 음절을 완성하며, 상기 키 입력부의 키 선택 및 상기 키 선택 지속시간에 대응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로(200)부터 독출하여 한글음절을 완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의 키패드 배열과 자음 및 모음 입력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의 각각의 키에 자음 및 숫자가 하나씩 배치되고, 격음화 기능이 수행하는 키를 구비하였다(도 3에는 기능키 '*'에 구비됨). 여기서, 상기 격음화 기능은 기능키 *, 기능키 #, 및 숫자키 0 등 어디에나 구비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키패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각각의 숫자키에 하나의 자음만을 배치함으로, 사용자가 단어 입력시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기 위해 여러번 같은 숫자키를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였으며, 자음의 배열 순서에 따라 숫자키에 자음을 배치함으로써 키패드에 배치된 자음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자음이 할당된 숫자키를 선택하면 각 숫자키에는 하나의 자음만이 할당되어 있어 바로 원하는 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키선택 지속 시간에 따라 입력되는 자음은 다르게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에 해당하는 숫자키를 짧게 누르면 단자음(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등)의 코드값이 입력된다.
도 3(b)는 쌍자음 입력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입력하고자 하는 자음에 해당 숫자키를 길게 누르면 쌍자음(ㄲ, ㄸ, ㅃ, ㅆ, ㅉ 등)의 코드값이 입력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한번의 키 입력으로 원하는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숫자키 1을 짧게 누르면, 'ㄱ'이 입력되고, 숫자키 1을 길게 누르면 'ㄲ'이 입력된다.
도 3(c)는 격음화 입력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키패드의 하단에 격음화 입력키를 구비하여 쉽게 자음에 따른 격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격음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격음화 입력키와 해당 자음이 할당된 숫자키를 조합하여 누르면 된다. 즉, 'ㅊ'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숫자키 9('ㅈ' 할당됨)와 격음화 입력키를 조합하여 누르면 되고, 'ㅋ'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숫자키 1('ㄱ' 할당됨)과 격음화 입력키를 조합하여 누르면 되며, 'ㅌ'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숫자키 3('ㄷ' 할당됨)과 격음화 입력키를 조합하여 누르면 되고, 'ㅍ'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숫자키 6('ㅂ' 할당됨)과 격음화 입력키를 조합하여 누르면 되며, 'ㅎ'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에는 숫자키 8('ㅇ' 할당됨)과 격음화 입력키를 조합하여 누르면 된다.
도 3(d)는 모음 입력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키패드의 숫자키에는 모음이 할당 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선, 가상 매트릭스 방법을 통하여 모음을 입력하는데, 상기가상 매트릭스 방법이란 키패드의 각각의 키 위에, 즉 1부터 9까지의 숫자 위에 3×3으로 가상의 매트릭스(즉, 가상 매트릭스 모음 입력키)를 구성하고, 모음을 그 매트릭스 위에 그린다고 가정할 때 기본 모음 ( 'ㅡ' 또는 'ㅣ')에서 추가로 뻗어 나온 부분의 요소를 추출하여 2개의 키를 조합하여 누르는 것이다.
예를 들어, 'ㅑ'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기본 모음'ㅣ'에서 추가로 뻗어 나온 부분 즉 'ㅑ'의 형상과 비슷한 위치에 숫자키 3과 숫자키 9를 조합하여 누르면 된다. 상기 모음 입력 방법은 하기 도 4에서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중 가상 매트릭스 모음 입력키를 이용하여 모음을 입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모음의 형상을 기초로 키패드의 숫자키를 누르면 된다. 또한, 모음 입력 시 숫자키를 짧게 누를 때와 길게 누를 때 입력되는 모음의 코드값이 달라진다. 즉, 모음 입력시 숫자키를 짧게 누를 경우 제1 모음 그룹(예를 들어,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ㅘ, ㅝ 등)의 해당 모음의 코드값이 입력되고, 모음 입력시 숫자키를 길게 누를 경우 제2 모음 그룹(예를 들어, ㅐ, ㅒ, ㅔ, ㅖ, ㅚ, ㅟ, ㅢ, ㅙ, ㅞ 등)의 해당 모음의 코드값이 입력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모음 'ㅏ'를 입력할 경우에는 'ㅣ'를 나타내는 숫자키 5와 '-'를 나타내는 숫자키 6을 조합하여 짧게 누르면 'ㅏ'가 입력되고, 'ㅐ'인 경우에는 숫자키 5와 숫자키 6을 조합하여 길게 누르면 'ㅐ'가 입력된다. 즉, 길게 눌렸을 경우에는 제1 모음 그룹에 'ㅣ'가 추가되어 입력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먼저 사용자가 키패드의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어를 입력하면,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개수를 판단한다(S100,S102).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하나의 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을 체크한다(S104,S106).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을 체크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에 따라 입력되는 자음의 코드값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이 짧으면 단자음의 코드값이,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이 길면 쌍자음의 코드값이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을 체크한 결과 키 선택 시간이 짧은 경우, 상기 선택된 숫자키에 할당된 자음의 코드값이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되고(S110), 만일 상기 체크 결과 키 선택 지속 시간이 긴 경우, 상기 선택된 키에 할당된 자음의 코드값에 해당하는 쌍자음의 코드값이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된다(S118).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숫자키 1번을 짧게 누를 경우,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단자음의 코드값을 독출하여 'ㄱ'을 디스플레이 하고, 만일 상기 사용자가 숫자키 1번을 길게 누를 경우,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쌍자음의 코드값을 독출하여 'ㄲ'을 디스플레이 한다.
그 다음,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모음의 코드값을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S112),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가 모음의 코드값일 경우,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이미 입력된 자음의 코드값에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모음의 코드값이 추가 될 수 있도록 하여 하나의 한글 음절로 완성되게 한다(S114). 만일, 상기 사용자가 자음의 코드값 입력 후 다시 자음의 코드값을 입력할 경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새로운 단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116).
이 후,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키 선택 여부에 따라 상기 단계 S100 내지 단계 S116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한다. 이하, 모음의 코드값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키패드의 키를 이용하여 원하는 단어 입력하면,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개수를 판단한다(S100,S102).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다수의 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메모리부(200)에서 모음의 코드값을 독출한다.
그 다음,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을 체크한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을 체크하는 이유는,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에 따라 입력되는 모음의 코드값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즉,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이 짧으면 제1 모음 그룹의 모음 코드값이,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이 길면 제2 모음 그룹의 모음 코드값이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상기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을 체크한 결과 키 선택 시간이 짧은 경우, 가상 매트릭스에 설정된 제1 모음의 코드값이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되고(S124,S126), 상기 체크 결과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이 긴 경우, 상기 가상 매트릭스에 설정된 제2 모음의 코드값이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된다(S130).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ㅑ'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숫자키 3번과 숫자키 9번을 조합하여 짧게 누르면,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제1 모음 그룹에서 해당 모음의 코드값을 독출하여 'ㅑ'를 디스플레이 하고, 만일 상기 사용자가 'ㅒ'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숫자키 3번과 숫자키 9번을 조합하여 길게 누르면,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제2 모음 그룹에서 해당 모음의 코드값을 독출하여 'ㅒ' 를 디스플레이 한다.
그 다음,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자음의 코드값을 입력하는지를 판단한다(S128), 여기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키가 자음의 코드값일 경우,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이미 입력된 모음의 코드값에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자음의 코드값이 추가 될 수 있도록 하며(S114), 만일, 상기 사용자가 모음의 코드값 입력 후 다시 모음의 코드값을 입력할 경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사용자가 새로운 단어를 입력하고자 하는 것으로 판단한다(S116).
한편,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다수의 키를 선택한 경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키 중 하나의 키가 격음화 입력키인지를 판단한다(S120).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격음화 입력키를 선택한 경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상기 자음이 할당된 키와 상기 격음화 입력키의 조합에 따른 격음의 코드값을 메모리부에서 독출하여 해당 격음의 코드값을 디스플레이 한다(S122).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ㅋ'을 입력하고자 할 경우 숫자키 1과 격음화 입력키 *를 조합하여 누르면,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300)는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ㄱ'에 해당하는 격음화를 독출하여 'ㅋ'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 후, 단계 S112 내지 단계 S116 과정이 동일하게 수행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키패드의 키를 이용하여 한번의 키 입력으로 원하는 단어를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입력정보가 요구되는 SMS, PDA 및 이동전화 등에 적용하여 한글 입력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순한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키패드의 키를 이용해 한 번의 입력으로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할 수 있게 하여 빠르게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키패드의 각각의 숫자키에 하나의 자음만을 배치함으로써, 사용자가 단어 입력시 원하는 단어를 선택하기 위해 여러번 같은 숫자키를 눌러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였고, 자음의 배열 순서에 따라 숫자키에 자음을 하나씩 배치함으로써 키패드에 배치된 자음의 위치를 쉽게 알 수 있어 별도의 위치 확인 및 위치 암기 없이 원하는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8)

  1. 자음과 모음이 소정의 키 또는 키들의 조합에 따라 할당된 키입력부;
    상기 소정의 키 또는 키들의 조합에 대응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코드값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키입력부의 키 선택에 대응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한글음절을 완성하는 음절조합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입력부는,
    기본 자음을 입력할 수 있는 기본 자음 입력키;
    격음을 입력할 수 있는 격음화 입력키; 및
    상기 기본 자음 입력키의 조합에 따라 할당된 가상 매트릭스 모음 입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자음이 할당된 키와 상기 격음화 입력키의 조합에 따른 격음의 코드값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는 상기 자음이 할당된 키와 상기 격음화 입력키의 조합에 따른 격음의 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독출하여 한글음절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키입력부의 키 선택 지속시간별 자음의 코드값 또는 모음의 코드값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절조합 제어부는 상기 키 입력부의 키 선택 및 상기 키 선택 지속시간에 대응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코드값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독출하여 한글 음절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장치.
  5. 사용자가 키패드의 키를 이용하여 단어 입력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키의 개수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하나의 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키에 할당된 자음의 코드값이 입력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다수의 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선택된 다수의 키에 할당된 자음 또는 모음의 코드값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입력된 자음의 코드값 또는 모음의 코드값에 따라 한글 음절이 완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하나의 키를 선택한 경우는,
    상기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키 선택 지속 시간이 짧은 경우, 상기 선택된 키에 할당된 자음의 코드값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키 선택 지속 시간이 긴 경우, 상기 선택된 키에 할당된 자음의 코드값에 해당하는 쌍자음의 코드값이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다수의 키를 선택한 경우는,
    상기 사용자의 키 선택 지속 시간을 체크하는 단계;
    상기 체크 결과 키 선택 지속 시간이 짧은 경우, 제1 모음 그룹의 모음 코드값이 입력되는 단계; 및
    상기 체크 결과 키 선택 지속 시간이 긴 경우, 제2 모음 그룹의 모음 코드값이 입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다수의 키를 선택한 경우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키 중 하나의 키가 격음화 입력키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사용자가 격음화 입력키를 선택한 경우, 상기 자음이 할당된 키와 상기 격음화 입력키의 조합에 따른 격음의 코드값이 입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20030031017A 2003-05-15 2003-05-15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621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017A KR100621589B1 (ko) 2003-05-15 2003-05-15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1017A KR100621589B1 (ko) 2003-05-15 2003-05-15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769A true KR20040098769A (ko) 2004-11-26
KR100621589B1 KR100621589B1 (ko) 2006-09-07

Family

ID=37376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1017A KR100621589B1 (ko) 2003-05-15 2003-05-15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5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019B1 (ko) * 2004-08-04 2007-01-16 김성수 데이터입력장치 및 그 데이터입력방법
KR101053934B1 (ko) * 2010-04-21 2011-08-04 김대용 휴대용 기기에 구현되는 키 입력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0019B1 (ko) * 2004-08-04 2007-01-16 김성수 데이터입력장치 및 그 데이터입력방법
KR101053934B1 (ko) * 2010-04-21 2011-08-04 김대용 휴대용 기기에 구현되는 키 입력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1589B1 (ko) 2006-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28115A (ko) 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US20090313571A1 (en) Method for customizing data entry for individual text fields
JP3995093B2 (ja) ハングル文字入力方法,ハングル文字入力装置,ハングル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0324634B1 (ko) 전화기 키패드 및 이를 이용한 문자입력시스템
KR100621589B1 (ko) 키를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731617B1 (ko) 단말기의 텍스트 입력방법
KR20000020929A (ko) 전화기 글자입력방법 및 그 자판부
KR940006006B1 (ko) 한글입력을 통한 전화걸기방법 및 그 전화기
KR19990076249A (ko) 전화기의 키 입력에 의한 메시지 인식 및 탐색방법
KR101988606B1 (ko) 여섯 키를 이용한 알파벳 및 한글 매핑 방법
JP3967211B2 (ja) かな/カナ文字入力装置
KR10037333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436426B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100320092B1 (ko) 한글입/출력장치및방법
KR10037333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한글문자 입력 방법
KR100613628B1 (ko) 숫자 및 문자입력장치
KR100635438B1 (ko) 모음의 입력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한글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450459B1 (ko) 키 입력 방법
KR100422379B1 (ko) 정보통신기기의 한글 입력 장치
KR200318329Y1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KR100598020B1 (ko) 전화기를이용한문자입력시스템
KR200289449Y1 (ko) 다중문자를 구현하는 자판장치
KR2005001504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입력 장치
KR20040053998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검색 방법
KR20040069231A (ko) 숫자 키패드를 통한 한글입력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