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4896B1 -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4896B1
KR101454896B1 KR1020140077623A KR20140077623A KR101454896B1 KR 101454896 B1 KR101454896 B1 KR 101454896B1 KR 1020140077623 A KR1020140077623 A KR 1020140077623A KR 20140077623 A KR20140077623 A KR 20140077623A KR 101454896 B1 KR101454896 B1 KR 101454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wel
input
hangul
korean
keypa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길
Original Assignee
김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길 filed Critical 김영길
Priority to KR1020140077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48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4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4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06F3/0236Character input methods using selection techniques to select from displayed i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글 입력 장치는 터치 패널에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표시하는 한글 입력 프로그램을 구비한다. 한글 입력 프로그램은 터치 패널에 한손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한손 한글 입력 자판과, 두손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을 제공한다. 한손 한글 입력 자판은 키패드의 중앙열에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자판 배열 구조를 갖는다.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은 키패드의 가장자리 열에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자판 배열 구조를 갖는다. 한손 한글 입력 자판 및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은 적어도 1 회의 터치와 복수 개의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한글 자모음 키패드를 연속적인 터치 및 드래그로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빠른 한글 입력이 가능하고, 한손 또는 두손으로 한글을 입력 가능하므로, 사용자 자신의 환경에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한글 입력이 가능하다.

Description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KOREAN CHARACTERS INPUT APPARATUS USING TOUCH PANNEL AND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한글 입력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에 터치 및 드래그 동작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 사전, 개인 정보 단말기, 이동 통신 단말기 및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는 대부분 터치 패널을 구비한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는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한글, 영문, 숫자 및 기호 등의 문자를 입력한다. 이를 위해 휴대용 전자 장치는 가상의 키보드 즉,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터치 패널에 표시하고, 이를 이용하여 손가락이나 터치 펜 등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들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문자를 입력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상 키보드 입력 방식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터치 패널이 그 크기가 작은 경우에 가상 키보드의 크기가 작게 표시되므로, 가상 키보드의 키 터치 시, 입력 오류가 빈번히 발생된다.
또한, 휴대용 전자 장치에서 가상 키보드 입력 방식이 적용되는 경우, 터치 패널의 한정된 크기에 대응하여 한글의 자음 및 모음을 배치하여야 하므로, 하나의 키패드에 여러 개의 문자가 중복해서 배당된다. 그러므로 문자 입력시, 여러 번의 터치를 해야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휴대용 전자 장치들 중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스마트 폰이나 타블릿 컴퓨터 등의 발달로 인하여 터치(touch) 방식, 드래그(drag) 방식을 혼용하는 기술이 대중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문자 입력 방식은 여전히 입력 버튼을 클릭하거나 키패드를 터치하는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용 전자 장치에 적용이 가능한 한글 입력 장치 및 한글 입력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가상 키보드 입력 방식은 사용자가 한손으로 사용하거나 두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동일한 키 배열 구조를 제공하므로 한손 또는 두손으로 문자를 입력하는 데에 따른 차별성이 없기 때문에, 각각의 사용자 자신에게 보다 편한 입력 방식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80502호(공고일 2014년 04월 04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372898호(공고일 2014년 03월 03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269633호(공고일 2013년 06월 04일)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9432호(공개일 2014년 04월 02일)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터치 및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한손 및 두손으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글 입력 장치는 한손 또는 두손으로 터치, 드래그 동작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하는데 그 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한글 입력 장치는 사용자에게 한글 입력에 따른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 특징에 따른 본 발명의 한글 입력 장치는,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 한손으로 한글 입력이 가능한 한손 한글 입력 자판과, 두손으로 한글 입력이 가능한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한글 입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한글 입력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한손 한글 입력 자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순차적인 터치와 드래그를 인식하여 한글을 입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손 한글 입력 자판은; 14 개의 한글 자음 키패드와 4 개의 한글 모음 키패드들을 5 개의 열과 4 개의 행으로 배열하고,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를 제3열에 배치하고, 상기 한글 자음 키패드들을 제1열과 제2열 그리고 제4열과 제5열에 배치하는 구조를 갖되;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는 상기 제3열의 제1행에 모음 'ㅣ'가 배치되고, 상기 제3열의 제2 및 제3행 각각에 모음 기호 '·'가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3열의 제4행에 모음 'ㅡ'가 배치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각각은 일측에 토글되는 제1 전환키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1 전환키는 상기 한손 한글 입력 자판과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간에 상호 전환되어 상기 터치 패널에 표시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은; 14 개의 한글 자음 키패드와 4 개의 한글 모음 키패드들을 5 개의 열과 4 개의 행으로 배열하고,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를 제1열 또는 제5열에 배치하고, 상기 한글 자음 키패드들을 제1열 내지 제4열 또는 제2열 내지 제5열에 배치하는 구조를 갖되;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은 상기 제1열 또는 상기 제5열의 제1행에 모음 'ㅣ'가 배치되고, 상기 제1열 또는 상기 제5열의 제2 및 제3행 각각에 모음 기호 '·'가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열 또는 상기 제5열의 제4행에 모음 'ㅡ'가 배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각각은; 한글의 쌍자음 및 겹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 및 겹자음 한글 입력 자판으로 전환시키는 제2 전환키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2 전환키는 1 회 터치 시, 상기 터치 패널에 상기 쌍자음 및 겹자음 한글 입력 자판이 표시되고, 상기 쌍자음 및 겹자음 한글 입력 자판에서 어느 하나의 쌍자음 또는 겹자음을 선택하여 입력하게 되면, 상기 한손 또는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이 자동 표시되도록 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각각은; 상기 한글 자음 키패드들과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각각의 일측에 숫자 및 기호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한글 자음 키패드들 중 일부와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일부의 타측에 쌍자음 또는 적어도 하나의 겹모음을 더 구비하되; 상기 한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각각은 상기 한글 자음 및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각각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미는 제1 동작에 의해 해당 키패드에 구비된 숫자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미는 제2 동작에 의해 해당 키패드에 구비된 쌍자음 또는 겹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각각은; 상단에 현재 입력된 문자들을 표시하는 입력 표시창과; 상기 입력 표시창으로 한글, 숫자와 기호 및 영문을 입력하도록 한글 입력 자판, 숫자 입력 자판 및 영문 입력 자판들 각각으로 전환시키는 제3 전환키와; 상기 입력 표시창에 한글, 숫자 및 기호를 포함하는 문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입력된 문자들을 입력하도록 명령하는 실행키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터치 패널을 구비하는 한글 입력 장치에서의 한글 입력 방법이 제공된다.
이 특징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한글 입력 장치를 이용한다.
이 특징의 한글 입력 방법은, 상기 한손 또는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하여 입력할 한글에 대응하여 처음 터치, 드래그 및 마지막 터치와, 드래그 중에 꺽임을 인식하여 한글을 입력하되; 한글 모음 'ㅏ, ㅓ' 각각은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ㅣ'와 모음 기호 '·'를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ㅗ, ㅜ' 각각은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기호 '·'와 모음 'ㅡ'를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ㅑ, ㅕ' 각각은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ㅣ'와 2 개의 모음 기호 '·'를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그리고 한글 모음 'ㅛ, ㅠ' 각각은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2 개의 모음 기호 '·'와 모음 'ㅡ'를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된다.
이 특징의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한글 모음 'ㅐ'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ㅣ'와 모음 기호 '·' 및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ㅔ'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기호 '·'와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모음 'ㅣ'를 터치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ㅒ'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ㅣ'와 2 개의 모음 기호 '·'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모음 'ㅣ'를 터치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ㅖ'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2 개의 모음 기호 '·'와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모음 'ㅣ'를 터치하여 입력되고; 그리고 한글 모음 'ㅢ'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ㅡ'와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터치하여 입력된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한글 모음 'ㅘ'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기호 '·'와 모음 'ㅡ'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고, 이어서 모음 'ㅣ'와 모음 기호 '·' 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ㅚ'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기호 '·'와 모음 'ㅡ'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모음 'ㅣ'를 터치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ㅟ'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ㅡ'와 모음 기호 '·'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모음 'ㅣ'를 터치하여 입력되고; 그리고 한글 모음 'ㅝ'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ㅡ'와 2 개의 모음 기호 '·' 및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한글 모음 'ㅙ'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기호 '·'와 모음 'ㅡ'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고, 이어서 모음 'ㅣ'와 모음 기호 '·' 및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ㅞ'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ㅡ'와 2 개의 모음 기호 '·' 및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모음 'ㅣ'를 터치하여 입력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손 또는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으로부터 한글의 쌍자음 및 겹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 및 겹자음 한글 입력 자판이 표시되도록 전환하고, 상기 쌍자음 및 겹자음 한글 입력 자판에서 어느 하나의 쌍자음 또는 겹자음을 선택하여 입력되면, 상기 한손 또는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이 자동 표시되도록 전환하여 쌍자음 또는 겹자음을 입력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손 또는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의 상기 한글 자음 키패드들 중 일부에 쌍자음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한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각각에서 쌍자음이 구비된 상기 한글 자음 키패드들 각각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미는 동작에 의해 해당 키패드에 구비된 쌍자음을 입력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한글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 들 각각은 한글 자음 'ㄱ, ㄷ, ㅂ, ㅅ, ㅈ' 각각을 2 회 터치하여 입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한글 입력 장치는 터치 패드를 이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한손 한글 입력 자판과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한손 또는 두손으로 한글을 입력 가능하고, 이로 인해 사용자 자신의 환경에 보다 편리한 방식으로 한글 입력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 자모음 키패드를 연속적인 터치 및 드래그로 한글을 입력함으로써, 한글 입력 시, 사용이 쉽고, 빠른 한글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 입력 장치는 한손 한글 입력 자판과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각각에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4 개의 모음 키패드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한글 모음들에 대응하여 터치, 드래그를 이용하여 입력 가능하다.
뿐 만 아니라, 본 발명의 한글 입력 장치는 한글의 쌍자음 및 겹자음과 함께 숫자 및 기호 등의 입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손 한글 입력 자판과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의 자판 배열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들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손 입력 모드에 대한 한글 자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한글 자판 구조에서 두손 입력 모드로 전환된 한글 자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한글 자판 구조에서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된 한글 자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한글 자판 구조에서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모드로 전환된 한글 자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손 입력 모드에 대한 한글 자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한글 자판 구조에서 두손 입력 모드로 전환된 한글 자판 구조를 타나내는 도면;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한글 자판 구조에서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된 한글 자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2 내지 도 8의 한글 자판 구조에서 입력된 문자열을 편집하기 위한 복사, 삭제, 붙이기 및 취소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 입력 자판을 이용한 숫자 및 기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서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구성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한글 입력 장치(100)는 터치 패널(104)을 드래그(drag) 및/또는 터치(touch) 방식으로 한글을 입력하기 위하여, 터치 패널(104) 상에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제공하고, 터치 패널(104) 상에서의 사용자 동작에 대응하여 한글을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미도시됨) 상에 입력하도록 제어하는 한글 입력 프로그램(112)을 구비한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키보드는 한글 입력을 위해 터치 패널(104)에 표시되고, 한글 자음, 한글 모음, 숫자, 기호 및 기능키들이 배열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화면을 의미한다.
이를 위해 한글 입력 장치(100)는 터치 패널(104)과, 한글 입력 프로그램(112)이 저장되는 저장부(110) 및, 한글 입력 장치(100)의 제반 동작을 제어 및 처리하고, 한글 입력 프로그램(112)을 제어하여 터치 패널(104) 상에 소프트웨어 키보드를 표시하고, 소프트웨어 키보드의 입력을 감지하여 응용 프로그램 상에 한글을 입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102)를 포함한다. 한글 입력 장치(100)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104)을 갖는 스마트 폰, 타블릿 컴퓨터 등으로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한글 입력 프로그램(112)은 예를 들어, 메모리 장치와 같은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한글 입력 프로그램(112)은 터치 및 드래그 방식을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도록 터치 패널(104)로 다양한 형태의 한글 자판, 숫자 자판 및 기호 자판들을 표시한다.
이 실시예의 한글 입력 프로그램(112)은 예를 들어, 한손 한글 입력 자판(도 2의 120), 두손 한글 입력 자판(도 3의 140)을 제공한다. 또 한글 입력 프로그램(112)은 숫자 입력 자판(도 4의 150),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자판(도 5의 160)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한글 입력 프로그램(112)은 사용자가 터치 패널(104)을 터치 및/또는 드래그하면, 그 동작을 인식하여 다른 응용 프로그램으로 한글, 숫자 및 기호 등을 입력하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제어부(102)는 한글 입력 프로그램(112)이 활성화되면 한글 입력 프로그램(112)을 제어하여, 터치 패널(104) 상에서 사용자의 동작 예를 들어, 처음 터치, 끝 터치, 드래그, 꺾임 및, 멀티 터치 등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하여 한글, 숫자 및 기호 등을 입력하도록 처리한다.
본 발명의 한글 입력 장치(100)는 이러한 한글 입력 프로그램(112)에 의해 터치 패널(104)에 다양한 형태의 한글 입력 자판 구조들을 제공하며, 이에 대해서는 도 2 내지 도 9를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손 한글 입력 모드에 대한 한글 자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한글 자판 구조에서 두손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된 한글 자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그리고 도 4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한글 자판 구조에서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된 한글 자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리고 도 5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한글 자판 구조에서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모드로 전환된 한글 자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한글 자판 구조는 한손으로 입력 가능한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으로, 한글 입력 프로그램(112)이 활성화되면, 터치 패널(104) 상에 표시된다.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는 한글 자음과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22 ~ 124)들을 4 개의 행과 5 개의 열로 배열한다. 즉,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은 한손으로 한글 입력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중앙열 즉, 제3열에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 개의 모음 키패드(124)들을 배치하고, 모음 키패드(124)들의 양측 즉, 제1 및 제2열, 그리고 제4 및 제5열에 한글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 개의 자음 키패드(122, 123)들을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모음 키패드(124)들은 제3열의 제1행에 모음 'ㅣ'가 배치되고, 제2 및 제3행 각각에 모음 기호 '·'(126)이 배치되며, 그리고 제4행에 모음 'ㅡ'가 배치된다.
자음 키패드(122, 123)들은 14 개의 한글 자음들이 모음 키패드(124)들의 양측으로 분리되어 배치된다. 즉, 모음 키패드(124)들의 좌측 제1 및 제2열에는 한글 자음 'ㄱ, ㄴ, ㅁ, ㅂ, ㅈ, ㅊ, ㅍ' 들이 배치되고, 모음 키패드(124)들의 우측 제4 및 제5열에는 한글 자음 'ㄷ, ㄹ, ㅅ, ㅇ, ㅋ, ㅌ, ㅎ' 들이 배치된다.
또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은 하단 일측 즉, 제1열의 제5행에 배치되어, 현재 표시된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 또는 도 3에 도시된 두손 한글 입력 자판(140)을 표시하도록 토글되는 제1 전환키(130)가 구비된다. 이 제1 전환키(130)는 현재 '두손'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이 표시된다. 따라서 제1 전환키(130)를 한번 터치하면, 두손 한글 입력 자판(140)으로 전환되고, 다시 한번 터치하면, 다시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으로 전환된다.
또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은 현재 표시된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에서 도 5에 도시된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자판(160)으로 전환시키는 제2 전환키(128)가 구비된다. 이 제2 전환키(128)는 제1열의 제4행에 배치된다. 제2 전환키(128)는 1 회 터치하여 한글의 쌍자음 또는 겹자음을 입력하도록 제공된다. 즉, 제2 전환키(128)를 1 회 터치하면, 터치 패널(104)에는 도 5에 도시된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자판(160)이 1 회 표시되고,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자판(160)에서 어느 하나의 쌍자음 또는 겹자음을 선택하여 입력하게 되면, 다시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으로 자동 전환된다.
또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은 제5열의 제4행에 삭제 키패드(132)가 배치되고, 제1 전환키(130) 일측에 특정 기호 '.'(마침표) 또는 ','(쉼표)가 토글 입력되는 특정 기호 키패드(134)와, 문자 입력이 완료되면,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입력된 문자들을 입력하도록 명령하는 실행키(138) 및, 한글, 숫자 및 영문을 입력하도록 한글 자판, 숫자 자판 및 영문 자판들 각각으로 전환시키는 제3 전환키(136)를 더 구비한다. 이 실시예에서, 특정 기호 키패드(134)는 1 회 터치 시, '.'(마침표)가 입력되고, 터치한 후 위쪽으로 밀어 올리는 동작으로 ','(쉼표)가 입력된다. 또 제3 전환키(136)는 우측으로 미는 동작 시, 영문 자판(예컨대, 퀴티 자판)으로 전환하고, 좌측으로 미는 동작 시, 숫자 자판으로 전환된다.
또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에는 상단에 현재 입력된 문자들을 표시하는 입력 표시창(121)을 더 구비한다. 입력 표시창(121)에 표시된 문자들은 실행키(138)에 의해 응용 프로그램에 입력된다. 또 입력 표시창(121)에 표시된 문자들은 사용자가 표시된 문자들을 터치함으로써,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정, 편집, 복사 및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표시창(121)에는 입력된 한글, 숫자 및 기호 등의 문자들이 표시되고, 각각의 문자에 대응하여 하단에 밑줄로 구분하여 나타낸다. 이 때, 편집하고자 하는 문자를 손으로 터치하면, 해당 문자들이 선택되고, 선택된 문자들의 하단 밑줄이 선택된 문자들을 선택되지 않은 문자들과 구별하여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입력 표시창(121)에 입력된 문자들이 '국민키보드입니다.'라는 문구이면, 마침표를 포함한 9 개의 문자들 각각의 하단에 파란색 밑줄(또는 실선)(121a)로 표시된다. 이 때, '키보드'를 편집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해당 문자들을 터치하면, 선택된 문자들 즉, '키보드'만 빨간색 밑줄(또는 점선)(121b)로 변경 표시되고, 동시에 입력 표시창(121)의 상단에 선택된 문자(즉, '키보드')들을 편집하기 위한 '복사하기' 아이콘(182), '삭제하기' 아이콘(184), '붙이기' 아이콘(186) 및 '취소' 아이콘(188)들이 표시된다. 따라서 입력 표시창(121)에 표시된 문자들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한글 자판 구조는 두손으로 입력 가능한 두손 한글 입력 자판(140)으로,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에서 제1 전환키(130)를 터치하면, 터치 패널(104) 상에 표시된다. 이 때, 제1 전환키(130a)는 두손 한글 입력 자판(140)에서 '한손'으로 표시된다.
이 두손 한글 입력 자판(140)은 우측 즉, 제5열에 한글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 개의 모음 키패드(144)들을 배치하고, 모음 키패드(144)들의 좌측 즉, 제1 내지 제4열에 한글 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 개의 자음 키패드(142)들을 배치한다. 이 때, 모음 키패드(144)들은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의 것(124)과 동일하게 배열된다. 그리고 자음 키패드(142)들에는 14 개의 한글 자음들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의 두손 한글 입력 자판(140)은 예컨대, 오른손 사용자를 위하여 모음 키패드(144)들을 우측에 배치하였으나, 왼손 사용자를 위해서 모음 키패드(144)들을 좌측에 배치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도 4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한글 자판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한손 또는 두손 한글 자판(120, 140)에서 제3 전환키(136)를 좌측으로 밀면, 터치 패널(104)에 나타내는 숫자 자판(150)이다. 이 때, 제3 전환키(136a)는 중앙에 '숫자'로 표시된다.
이 숫자 자판(150)에는 복수 개의 숫자키 '0 ~ 9'(152)와 복수 개의 기호키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숫자키(152)들은 상측에 배치되고, 기호키(154)들은 하측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숫자키(152)와 기호키(154)들의 배열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한글 자판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한손 또는 두손 한글 입력 자판(120, 140)에서 제2 전환키(128)이 터치되면, 터치 패널에 표시되는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자판(160)이다.
이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자판(160)은 한글 초성에 입력되는 5 개의 쌍자음들과, 한글 종성에 입력되는 11 개의 겹자음들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162)들을 구비한다. 또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자판(160)에는 설정된 문자들을 자동 입력하기 위한 복수 개의 단축 키패드(164a, 164b)들을 더 구비한다. 이 단축 키패드(164a, 164b)들 각각은 터치 시, 자동으로 입력 표시창(121)에 해당 내용의 문구가 입력 표시된다. 예를 들어, 제1 단축 키패드(164a)는 '회의 중입니다.'라는 문구가 설정되고, 제2 단축 키패드는 '운전 중입니다.'라는 문구가 설정된다. 이 때, 단축 키패드(164a, 164b)들의 문구들은 단축 키패드(164a, 164b)들 각각을 길게 터치하면 표시되는 설정창(미도시됨)이나 또는 입력 표시창(121)에서 설정하거나 수정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한글 입력 장치(100)는 터치 패널(104)을 이용한 한글 입력 시,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과 두손 한글 입력 자판(140)을 제공하고, 이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입력하고자 하는 문자들을 터치 및 드래그 방식을 이용하여 입력할 수 있도록 처리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한손 입력 모드에 대한 한글 자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한글 자판 구조에서 두손 입력 모드로 전환된 한글 자판 구조를 타나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한글 자판 구조에서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된 한글 자판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의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a)은 자음 키패드(122a, 123a)들과 모음 키패드(124a)들의 배열 구조가 도 2의 것(120)과 동일하다. 즉, 모음 키패드(124a)들이 중앙에 배치되고, 자음 키패드(122a, 123a)들이 모음 키패드(124a)들의 양측에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이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a)은 자음 키패드(122a, 123a)들과 모음 키패드(124a)들 각각의 우측 상단에 숫자 및 기호들을 더 구비하고, 일부 자음 키패드(122a, 123a)들과 일부 모음 키패드(124a)들의 좌측 하단에 겹자음 또는 겹모음을 더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자음 키패드(122a, 123a)들은 제1 및 제2 열에 한글 자음 'ㄱ, ㄴ, ㅁ, ㅂ, ㅈ, ㅊ, ㅍ' 들이 배치되고, 제4 및 제5열에는 한글 자음 'ㄷ, ㄹ, ㅅ, ㅇ, ㅋ, ㅌ, ㅎ' 들이 배치된다. 그리고 한글 자음 'ㄱ, ㄷ, ㅂ, ㅅ, ㅈ'의 키패드 각각의 좌측 하단에는 겹자음 'ㄲ, ㄸ, ㅃ, ㅆ, ㅉ'이 각각 구비된다.
모음 키패드(124a)들은 제3열에 모음 'ㅣ', 2 개의 모음 기호 '·' 및 모음 'ㅡ'가 배치된다. 그리고 한글 모음 'ㅡ' 키패드의 좌측 하단에는 겹모음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겹모음 예를 들어, 'ㅢ'가 구비된다.
또 자음 키패드(122a, 123a)들과 모음 키패드(124a)들 각각의 우측 상단에 구비되는 숫자나 기호들은 중앙부에 숫자들을 배치하고, 그 주변에 기호들을 배치하고 있으나, 숫자와 기호들의 배치나 기호들의 종류는 용도나 사용 횟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a)은 각각의 키패드를 좌측에서 우측으로 미는 동작(M1)에 의해 해당 키패드의 우측 상단에 구비된 숫자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각각의 키패드를 우측에서 좌측으로 미는 동작(M2)에 의해 해당 키패드의 좌측 하단에 구비된 쌍자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의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a)은 도 5에 도시된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자판(160)이 불필요하므로,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a)의 제2 전환키(128a)는 터치 시, 입력된 한글에 대응되는 한문을 선택, 입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한문 입력 메뉴(미도시됨)로 전환된다. 또 이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a)에는 제1 전환키(130)를 이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두손 한글 입력 자판(140a)으로 전환 가능하다.
이 실시예의 두손 한글 입력 자판(140a) 또한 자음 키패드(142a)들과 모음 키패드(144a)들의 배열 구조가 도 3의 것과 동일하다. 즉, 제5열에 복수 개의 모음 키패드(144a)들이 배치되고, 제1 내지 제4열에 복수 개의 자음 키패드(142a)들이 배치된다. 이 때, 모음 키패드(144a)들은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a)의 것(124a)과 동일하게 배열된다.
또 두손 한글 입력 자판(140a)은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a)과 동일하게 자음 키패드(142a)들과 모음 키패드(144a)들 각각의 우측 상단에 숫자 및 기호들을 더 구비하고, 일부 자음 키패드(142a)들과 일부 모음 키패드(144a)들의 좌측 하단에 겹자음 또는 겹모음을 더 구비한다.
이 실시예의 숫자 자판(150a)은 한손 또는 두손 한글 입력 자판(120a, 140a)에서 제3 전환키(136)를 좌측으로 밀면, 터치 패널(104)에 표시된다. 이 때, 제3 전환키(136b)는 중앙에 '숫자'가 표시된다.
이 숫자 자판(150a)에는 복수 개의 숫자키 '0 ~ 9'(152a)와 복수 개의 기호키(154a)들을 구비한다. 여기서 숫자키(152a)들은 중앙에 배치되고, 기호키(154a)들은 숫자키(152a)들의 양측 주변에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숫자키(152a)와 기호키(154a)들의 배열이나 기호키(154a)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는 도 2 내지 도 8의 한글 자판 구조에서 입력된 문자열을 편집하기 위한 복사, 삭제, 붙이기 및 취소 메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서는 입력 표시창(121)에 입력된 문자열들을 수정, 편집 및 삭제하기 위하여, 입력 표시창(121)에 입력 표시된 문자들을 터치하면, 입력 표시창(121)의 상단에 터치(또는 선택)된 문자들을 복사하거나, 삭제하거나, 다른 복사된 문자들로 교체하거나 또는 선택을 취소할 수 있는 아이콘(182 ~ 188)들이 표시된 화면(180)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입력 표시창(121)에는 입력된 한글, 숫자 및 기호 등의 문자들이 표시되고, 각각의 문자에 대응하여 하단에 밑줄로 구분하여 나타낸다. 이 때, 편집하고자 하는 문자를 손으로 터치하면, 해당 문자들이 선택되고, 선택된 문자들의 하단 밑줄이 선택된 문자들을 선택되지 않은 문자들과 구별하여 표시된다. 이 실시예에서 입력 표시창(121)에 입력된 문자들이 '국민키보드입니다.'라는 문구이면, 마침표를 포함한 9 개의 문자들 각각의 하단에 파란색 밑줄(또는 실선)(121a)로 표시된다. 이 때, '키보드'를 편집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해당 문자들을 터치하면, 선택된 문자들 즉, '키보드'만 빨간색 밑줄(또는 점선)(121b)로 변경 표시되고, 동시에 입력 표시창(121)의 상단에 선택된 문자(즉, '키보드')들을 편집하기 위한 '복사하기' 아이콘(182), '삭제하기' 아이콘(184), '붙이기' 아이콘(186) 및 '취소' 아이콘(188)들이 표시된다. 따라서 입력 표시창(121)에 표시된 문자들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편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사하기' 아이콘(182)은 선택된 '키보드' 문자들을 복사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삭제하기' 아이콘(184)은 선택된 '키보드' 문자들을 삭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붙이기' 아이콘(186)은 선택된 '키보드' 문자들의 위치에 다른 복사된 문자들로 교체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그리고 '취소' 아이콘(188)은 선택된 '키보드' 문자들의 선택을 취소하는 기능으로, 선택된 '키보드' 문자들 각각의 하단에 표시된 빨간색 밑줄이 파란색 밑줄로 변경된다.
계속해서 도 10 내지 도 2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손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여기서는 한글 자모음의 구성에 따른 다양한 한글들을 이용하여 한글 입력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방법은 입력하고자 하는 한글, 숫자 및 기호들을 터치와 드래그 방식을 혼용하여 한번에 또는 여러 번으로 나눠서 하나의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한글 입력 방법은 터치 방식만으로도 입력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 또는 120a)을 이용하여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구성된 한글 '각'을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즉,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 또는 120a)에서 자음 'ㄱ'을 터치하고, 터치 한 상태에서 모음 'ㅣ'와 제2행의 모음 기호 '·' 및 자음 'ㄱ'을 순차적으로 드래그하면, 한글 '각'이 입력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겹모음을 사용하는 한글 '뭐'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먼저 자음 'ㅁ'을 터치하고, 모음 'ㅡ'와, 제3행의 모음 기호 '·'와, 제2행의 모음 기호 '·' 및 모음 'ㅣ'을 순차적으로 드래그한다.
도 12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겹모음을 사용하는 한글 '매'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자음 'ㅁ'을 터치하고, 모음 'ㅣ'와, 제2행의 모음 기호 '·' 및 다시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겹모음과 받침을 사용하는 한글 '약'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자음 'ㅇ'을 터치하고, 모음 'ㅣ'와, 제2행의 모음 기호 '·'와, 제3행의 모음 기호 '·' 및 자음 'ㄱ'을 순차적으로 드래그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겹모음을 사용하는 한글 '예'를 입력하는 방법으로, 자음 'ㅇ'을 터치하고, 제3행의 모음 기호 '·'와, 제2행의 모음 기호 '·' 및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다시 모음 'ㅣ'를 터치하여 한글 '예'를 입력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겹자음을 받침으로 사용하는 한글 '닮'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먼저 자음 'ㄷ'을 터치하고, 모음 'ㅣ'와, 제2행의 모음 기호 '·'와, 자음 'ㄹ' 및 자음 'ㅁ'을 순차적으로 드래그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쌍자음과 겹자음을 사용하는 한글 '짧'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먼저 자음 'ㅈ'을 연속해서 2 회 터치하고, 모음 'ㅣ'와, 제2행의 모음 기호 '·'와, 자음 'ㄹ' 및 자음 'ㅂ'을 순차적으로 드래그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쌍자음을 초성과 종성으로 사용하는 한글 '꺾'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먼저 자음 'ㄱ'을 연속해서 2 회 터치하고, 이어서 제2행의 모음 기호 '·'와, 모음 'ㅣ' 및 자음 'ㄱ'을 순차적으로 드래한 다음, 자음 'ㄱ'을 다시 2 회 터치하여 한글 '꺾'을 입력한다.
이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한손 한자 입력 자판(120, 120a)으로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따른 구성 여부, 받침 유무, 쌍자음 사용 및 겹자음 사용 등에 따라 적어도 1 회의 터치와 복수 회의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도 5 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자판(160)이나 쌍자음이 포함된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a) 또는 두손 한글 입력 자판(140a)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쌍자음 및 겹자음을 입력 가능하다. 물론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자판(160)이나 쌍자음이 포함된 한손 한글 입력 자판(120a) 또는 두손 한글 입력 자판(140a)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2 전환키(128)를 이용하거나, 우측에서 좌측으로 미는 동작(M2)을 이용하여 겹자음 쌍자음 또는 겹자음을 입력할 수도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으로 구성된 한글 '강'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왼손을 이용하여 자음 'ㄱ'을 터치하고, 이어서 오른손을 이용하여 모음 'ㅣ'을 터치하고, 제2행의 모음 기호 '·' 및 자음 'ㅇ'을 순차적으로 드래그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쌍자음과 겹자음을 사용하는 한글 '짧'을 입력하는 방법으로, 왼손으로 자음 'ㅈ'을 연속해서 2 회 터치하고, 이어서 오른손으로 모음 'ㅣ'을 터치하고, 제2행의 모음 기호 '·'와, 자음 'ㄹ' 및 자음 'ㅂ'을 순차적으로 드래그한다.
이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로, 본 발명은 두손 한자 입력 자판(140, 140a)으로 한글의 초성, 중성 및 종성에 따른 구성 여부, 받침 유무, 쌍자음 사용 및 겹자음 사용 등에 따라 두손으로 복수 회의 터치와 복수 회의 드래그를 이용하여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실시예들에서도 제2 전환키(128)를 이용하거나, 우측에서 좌측으로 미는 동작(M2)을 이용하여 겹자음 쌍자음 또는 겹자음을 입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 입력 자판을 이용한 숫자 및 기호 입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는 도 8에 도시된 숫자 자판(150a)을 이용하여 전화 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특정 전화 번호 '010-9204-66\/'(여기서 기호 \, / 각각을 숫자로 가정함)을 입력하기 위하여, 먼저 숫자 '0'을 터치하고, 숫자 '1'과, 숫자'0'과 기호 '-'과, 숫자 '9'와, 숫자 '2'와, 숫자 '0'과 숫자 '4'와, 기호 '-' 및 숫자 '6'을 순차적으로 드래그 한 다음, 연속해서 숫자 '6'을 1 회 터치하고, 이어서 숫자 '\'와, 숫자 '/'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여 특정 전화 번호를 입력한다. 물론 이 경우에도 도 4, 도 6 또는 도 7의 숫자 키패드들을 이용하여 특정 숫자 및 기호 열들을 입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한글 입력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한 설명과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실시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한글 입력 장치
102 : 제어부
104 : 터치 패널
110 : 저장부
112 : 한글 입력 프로그램
120, 120a : 한손 한글 입력 자판
140, 140a : 두손 한글 입력 자판
150, 150a : 숫자 자판
160 : 쌍자음 및 겹자음 입력 자판

Claims (14)

  1. 한글 입력 장치에 있어서:
    터치 패널과;
    상기 터치 패널에 한손으로 한글 입력이 가능한 한손 한글 입력 자판과, 두손으로 한글 입력이 가능한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제공하는 한글 입력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한글 입력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상기 한손 한글 입력 자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들 중 어느 하나로부터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기 위한 순차적인 터치와 드래그를 인식하여 한글을 입력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한손 한글 입력 자판은 14 개의 한글 자음 키패드와 4 개의 한글 모음 키패드들을 5 개의 열과 4 개의 행으로 배열하고,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를 제3열에 배치하고, 상기 한글 자음 키패드들을 제1열과 제2열 그리고 제4열과 제5열에 배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는 상기 제3열의 제1행에 모음 'ㅣ'가 배치되고, 상기 제3열의 제2 및 제3행 각각에 모음 기호 '·'가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3열의 제4행에 모음 'ㅡ'가 배치되고;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은 14 개의 한글 자음 키패드와 4 개의 한글 모음 키패드들을 5 개의 열과 4 개의 행으로 배열하고,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를 제1열 또는 제5열에 배치하고, 상기 한글 자음 키패드들을 제1열 내지 제4열 또는 제2열 내지 제5열에 배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은 상기 제1열 또는 상기 제5열의 제1행에 모음 'ㅣ'가 배치되고, 상기 제1열 또는 상기 제5열의 제2 및 제3행 각각에 모음 기호 '·'가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열 또는 상기 제5열의 제4행에 모음 'ㅡ'가 배치되며;
    상기 한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각각은 일측에 토글되어, 상기 한손 한글 입력 자판과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간에 상호 전환되어 상기 터치 패널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1 전환키와, 한글의 쌍자음 및 겹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 및 겹자음 한글 입력 자판으로 전환시키는 제2 전환키를 더 구비하되;
    상기 제2 전환키는 1 회 터치 시, 상기 터치 패널에 상기 쌍자음 및 겹자음 한글 입력 자판이 표시되고, 상기 쌍자음 및 겹자음 한글 입력 자판에서 어느 하나의 쌍자음 또는 겹자음을 선택하여 입력하게 되면, 상기 한손 또는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이 자동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각각은;
    상기 한글 자음 키패드들과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각각의 일측에 숫자 및 기호들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한글 자음 키패드들 중 일부와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일부의 타측에 쌍자음 또는 적어도 하나의 겹모음을 더 구비하되;
    상기 한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각각은 상기 한글 자음 및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각각을 좌측에서 우측으로 미는 제1 동작에 의해 해당 키패드에 구비된 숫자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우측에서 좌측으로 미는 제2 동작에 의해 해당 키패드에 구비된 쌍자음 또는 겹모음을 입력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한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각각은;
    상단에 현재 입력된 문자들을 표시하는 입력 표시창과;
    상기 입력 표시창으로 한글, 숫자와 기호 및 영문을 입력하도록 한글 입력 자판, 숫자 입력 자판 및 영문 입력 자판들 각각으로 전환시키는 제3 전환키와;
    상기 입력 표시창에 한글, 숫자 및 기호를 포함하는 문자의 입력이 완료되면,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으로 입력된 문자들을 입력하도록 명령하는 실행키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
  8. 제 1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상기 한글 입력 장치의 한글 입력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한손 또는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을 이용하여 입력할 한글에 대응하여 처음 터치, 드래그 및 마지막 터치와, 드래그 중에 꺽임을 인식하여 한글을 입력하되;
    한글 모음 'ㅏ, ㅓ' 각각은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ㅣ'와 모음 기호 '·'를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ㅗ, ㅜ' 각각은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기호 '·'와 모음 'ㅡ'를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ㅑ, ㅕ' 각각은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ㅣ'와 2 개의 모음 기호 '·'를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ㅛ, ㅠ' 각각은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2 개의 모음 기호 '·'와 모음 'ㅡ'를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ㅐ'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ㅣ'와 모음 기호 '·' 및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ㅔ'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기호 '·'와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모음 'ㅣ'를 터치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ㅒ'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ㅣ'와 2 개의 모음 기호 '·'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모음 'ㅣ'를 터치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ㅖ'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2 개의 모음 기호 '·'와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모음 'ㅣ'를 터치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ㅢ'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ㅡ'와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터치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ㅘ'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기호 '·'와 모음 'ㅡ'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고, 이어서 모음 'ㅣ'와 모음 기호 '·' 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ㅚ'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기호 '·'와 모음 'ㅡ'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모음 'ㅣ'를 터치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ㅟ'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ㅡ'와 모음 기호 '·'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모음 'ㅣ'를 터치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ㅝ'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ㅡ'와 2 개의 모음 기호 '·' 및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ㅙ'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기호 '·'와 모음 'ㅡ'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고, 이어서 모음 'ㅣ'와 모음 기호 '·' 및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하여 입력되고;
    한글 모음 'ㅞ'는 상기 한글 모음 키패드들 중 모음 'ㅡ'와 2 개의 모음 기호 '·' 및 모음 'ㅣ'를 순차적으로 드래그한 다음, 모음 'ㅣ'를 터치하여 입력되며;
    상기 방법은;
    상기 한손 또는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으로부터 한글의 쌍자음 및 겹자음을 입력하기 위한 쌍자음 및 겹자음 한글 입력 자판이 표시되도록 전환하고, 상기 쌍자음 및 겹자음 한글 입력 자판에서 어느 하나의 쌍자음 또는 겹자음을 선택하여 입력되면, 상기 한손 또는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이 자동 표시되도록 전환하여 쌍자음 또는 겹자음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의 한글 입력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한손 또는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의 상기 한글 자음 키패드들 중 일부에 쌍자음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한손 및 상기 두손 한글 입력 자판 각각에서 쌍자음이 구비된 상기 한글 자음 키패드들 각각을 우측에서 좌측으로 미는 동작에 의해 해당 키패드에 구비된 쌍자음을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의 한글 입력 방법.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한글 쌍자음 'ㄲ, ㄸ, ㅃ, ㅆ, ㅉ' 들 각각은 한글 자음 'ㄱ, ㄷ, ㅂ, ㅅ, ㅈ' 각각을 2 회 터치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글 입력 장치의 한글 입력 방법.
KR1020140077623A 2014-06-24 2014-06-24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KR101454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23A KR101454896B1 (ko) 2014-06-24 2014-06-24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7623A KR101454896B1 (ko) 2014-06-24 2014-06-24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4896B1 true KR101454896B1 (ko) 2014-11-04

Family

ID=5228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7623A KR101454896B1 (ko) 2014-06-24 2014-06-24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4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706A (ko) * 2020-12-18 2022-06-2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된 인터랙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682A (ko) * 2010-01-06 2011-07-13 은익수 터치스크린 화면용 한글 문자 입력 방법
KR20110084610A (ko) * 2010-01-18 2011-07-26 정운진 터치스크린 기반 휴대폰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
KR101118609B1 (ko) * 2010-08-17 2012-02-27 (주)이월리서치 휴대용기기에 기울기를 적용한 키패드의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0682A (ko) * 2010-01-06 2011-07-13 은익수 터치스크린 화면용 한글 문자 입력 방법
KR20110084610A (ko) * 2010-01-18 2011-07-26 정운진 터치스크린 기반 휴대폰 단말기에서의 문자 입력 방식
KR101118609B1 (ko) * 2010-08-17 2012-02-27 (주)이월리서치 휴대용기기에 기울기를 적용한 키패드의 운영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7706A (ko) * 2020-12-18 2022-06-27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된 인터랙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KR102587933B1 (ko) 2020-12-18 2023-10-11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외부 디바이스에 연결된 인터랙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9626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US10126941B2 (en) Multi-touch text input
CN202649992U (zh) 信息处理设备
JP2000035857A (ja) 画面表示式キー入力装置
JP2010079441A (ja) 携帯端末、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キーボード表示プログラム
CN101251781A (zh) 通过手机横屏状态显示的虚拟键盘进行输入和功能操作
Goguey et al. Leveraging finger identification to integrate multi-touch command selection and parameter manipulation
KR20220044443A (ko) 버튼에 배정된 특정 그룹 문자 배정 변환 방법
KR101189112B1 (ko)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CN102713797A (zh) 用于触摸屏输入韩文字符的方法及介质
KR20100121218A (ko) 터치 스크린 문자 입력 방법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KR101568716B1 (ko)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JP2012108810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装置の動作方法
EP2799954B1 (en) Portable terminal
KR20100086975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20100045617A (ko)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KR101921586B1 (ko) 한글의 모음과 자음 사용빈도에 따른 전자통신기기의 문자입력장치
JP2014140236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101612625B1 (ko)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영어/숫자 입력 방법
KR20190066161A (ko) 16키 한글 골라 쓰기 자판
KR20180131509A (ko)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자판에서 빠른 속도로 키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방법
JP2013033553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US20200264768A1 (en) Method for providing a code input interface to a user in a screen interactive device
KR101328554B1 (ko) 문자 입력장치 및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