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112B1 -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 Google Patents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112B1
KR101189112B1 KR1020100116732A KR20100116732A KR101189112B1 KR 101189112 B1 KR101189112 B1 KR 101189112B1 KR 1020100116732 A KR1020100116732 A KR 1020100116732A KR 20100116732 A KR20100116732 A KR 20100116732A KR 101189112 B1 KR101189112 B1 KR 101189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vowel
displayed
input key
bas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6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5171A (ko
Inventor
권지원
Original Assignee
권지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지원 filed Critical 권지원
Priority to KR1020100116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9112B1/ko
Publication of KR20120055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51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여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를 인식함으로써 입력을 받아들이는 장치에서 한글입력을 위하여 사용되는 가상키보드에서 한 번의 입력키 터치 또는 터치에 이은 드래그에 의하여 현재 사용되는 모든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고 또한 화면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Method for Inputting Hangul in Touch Screen}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를 인식함으로써 입력을 받아들이는 장치에서 한글입력을 위하여 사용되는 가상키보드에서 한 번의 입력키 터치 또는 터치에 이은 드래그에 의하여 현재 사용되는 모든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고 또한 화면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점차 다양한 정보통신기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최근의 정보통신기기들,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서는 전통적인 실제 키보드 대신에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가상적으로 구현되는 가상키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키보드는 실제 키보드를 구비할 필요를 없애서 정보통신기기의 크기 및 두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정보통신기기의 터치스크린의 크기의 한계 때문에 가상키보드에 구현되는 각 입력키의 크기가 작아서 터치 입력시 오류가 많고 빠른 입력을 불가능하게 하며 또한 작은 화면에 나타낼 수 있는 입력키의 숫자가 제한되므로 입력모드의 잦은 변경이 불가피하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입력키 하나에 하나의 입력만을 할당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입력키를 터치만할 때는 기본 입력값을 대응시키고, 입력키를 터치한 후에 드래그할 때에는 드래그 입력값을 대응시킴으로써 화면에 표시하는 입력키의 갯수를 줄이고 아울러 입력을 위한 동작 횟수를 줄이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방법으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028081(2010년 03월 11일 공개)는 터치스크린에서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한글입력방법을 개시한다. 이 특허출원의 한글입력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음 6개의 키(21)와 모음 3개의 키(22)와 기능키 3개의 키(23)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글 자음 키 6개와 모음 키 3개 및 기호키 1개는 각각의 키마다 대표 자모기호(200)와 오른쪽 자모기호(201), 아래쪽 자모기호(202) 및 오른쪽 아래 자모기호(203)로 구분되어 있으며, 키에 따라 오른쪽 아래 자모기호(203)가 할당되지 않은 키도 있다. 이러한 가상키보드 구성에서 사용자가 「ㄱ」입력키를 터치하면 「ㄱ」이 입력되고, 「ㄱ」입력키를 터치한 후 오른쪽으로 드래그하면 쌍자음 「ㄲ」이 입력되며, 「ㄱ」입력키를 터치한 후 아래쪽으로 드래그하면 「ㅋ」이 입력되는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 특허출원의 한글입력방법은 한글 자음 및 모음의 입력을 터치에 의한 기본자음 또는 기본모음 입력 그리고 드래그에 의한 기본자음 또는 기본모음에 유사한 드래그자음 또는 드래그모음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적은 수의 입력키를 화면에 나타나게 함으로써 입력키 하나의 크기를 크게 하여 입력오류를 줄일 수 있고, 또한 하나의 자음 또는 모음의 입력에 소요되는 동작 횟수를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여전히 개선할 여지가 남아 있다. 본 발명자의 검토에 의하면, 예를 들어 「ㄺ」과 같은 겹자음은 종래와 같이 「ㄹ」입력과 「ㄱ」입력을 연속적으로 하여야만 입력할 수 있다. 이것은 모음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0-0044772호(2010년 04월 30일 공개)는 터치스크린에서의 멀티 터치와 드래그를 이용한 문자입력장치 및 방법을 개시한다. 이 특허출원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열의 가상키보드를 제안한다. 이러한 가상키보드는 사용자가 자신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하여 한 번 또는 두 번의 터치 및 한 번 또는 두번의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한글 한글자를 입력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예를 들어, 「예」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입력키에서 「ㅇ」를 터치한 후(화면에는「ㅇ」가 표시됨) 왼쪽으로 길게 드래그 한 다음(화면에는 「여」가 표시됨) 아래로 다시 드래그하면 비로소 「예」가 입력되고 화면에도 표시된다.
이러한 가상키보드는 적은 횟수의 동작으로 한글을 입력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좁은 입력키 상에 매우 조밀하게 많은 입력값들을 배치함으로써 터치인식 및 드래그인식에 대한 장치의 오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도 정확하게 원하는 글자를 터치 및 드래그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실용화되기는 어려워 보인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를 인식함으로써 입력을 받아들이는 장치에서 한글입력을 위하여 사용되는 가상키보드에서 한 번의 입력키 터치 또는 터치에 이은 드래그에 의하여 현재 사용되는 모든 한글 자음 및 모음을 입력하고 또한 화면에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은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를 인식함으로써 입력을 받아들이는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의 한 부분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는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 또는 손으로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의 키를 터치하는 것 또는 터치에 이은 드래그를 하는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는 상기 인식된 터치위치 또는 터치위치와 그 위치로부터 드래그된 방향에 따라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고, 그 입력된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가상키보드의 구체적 실시형태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글 기본자음 입력키 배열 및 한글 기본모음 입력키 배열을 가진다.
이러한 입력키 배열을 가지는 가상키보드에 의하여,
기본자음 「ㄱ」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ㄱ」이 입력 및 표시되고, 「ㄱ」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쌍자음 「ㄲ」이 입력 및 표시되며, 「ㄱ」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격자음 「ㅋ」이 입력 및 표시되고, 「ㄱ」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자음 「ㄱ」이 「ㄱ」입력키의 좌 또는 우 방향에 있는 기본자음 「ㅅ」입력키의 기본자음 「ㅅ」과 합성된 겹자음 「ㄳ」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자음 「ㅅ」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ㅅ」이 입력 및 표시되고, 「ㅅ」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쌍자음 「ㅆ」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자음 「ㅂ」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ㅂ」이 입력 및 표시되고, 「ㅂ」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쌍자음 「ㅃ」이 입력 및 표시되며, 「ㅂ」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격자음 「ㅍ」이 입력 및 표시되고, 「ㅂ」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자음 「ㅂ」이 「ㅂ」입력키의 좌 또는 우 방향에 있는 기본자음 「ㅅ」입력키의 기본자음 「ㅅ」과 합성된 겹자음 「ㅄ」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자음 「ㄷ」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ㄷ」이 입력 및 표시되고, 「ㄷ」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쌍자음 「ㄸ」이 입력 및 표시되며, 「ㄷ」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격자음 「ㅌ」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자음 「ㄹ」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ㄹ」이 입력 및 표시되고, 「ㄹ」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및 우하의 8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ㄹ」 입력키의 좌 또는 우 방향에 있는 「ㅈ」 입력키과 「ㄹ」 입력키의 대각선 방향에 있는 「ㄴ」 입력키를 제외한 나머지 이웃한 입력키들 「ㄱ」, 「ㅅ」, 「ㅂ」, 「ㄷ」(실제로는 「ㅌ」), 「ㅁ」 및 「ㅎ」과 합성된 겹자음들 「ㄺ」, 「ㄽ」, 「ㄼ」, 「ㄾ」, 「ㄻ」, 및 「ㅀ」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자음 「ㅈ」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ㅈ」이 입력 및 표시되고, 「ㅈ」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쌍자음 「ㅉ」이 입력 및 표시되며, 「ㅈ」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격자음 「ㅊ」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자음 「ㅁ」입력키를 터치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ㅁ」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자음 「ㅎ」입력키를 터치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ㅎ」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자음 「ㄴ」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ㄴ」이 입력 및 표시되고, 「ㄴ」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 방향에 있는 기본자음 「ㅈ」입력키의 기본자음 「ㅈ」과 합성된 겹자음 「ㄵ」이 입력 및 표시되고, 「ㄴ」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 방향에 있는 기본자음 「ㅎ」입력키의 기본자음 「ㅎ」과 합성된 겹자음 「ㄶ」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기본자음 「ㄹ」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기본자음 「ㅂ」이 있는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한 후 연속하여 아래방향으로 드래그할 경우에는 「ㄹ」과 「ㅍ」이 합성된 겹자음 「ㄿ」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기본모음 「ㅗ」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ㅗ」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ㅗ」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ㅗ」에 「ㆍ」가 합쳐져서 모음「ㅛ」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ㅗ」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ㅗ」와 우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ㅏ」가 합성된 모음 「ㅘ」가 입력 및 표시되며, 「ㅗ」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위쪽 또는 아래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ㅗ」와 그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ㅚ」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모음 「ㅡ」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ㅡ」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ㅡ」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ㅡ」와 그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ㅣ」가 합쳐져서 모음「ㅢ」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모음 「ㅜ」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ㅜ」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ㅜ」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ㅜ」에 「ㆍ」가 합쳐져서 모음「ㅠ」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ㅜ」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ㅜ」와 우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ㅓ」가 합성된 모음 「ㅝ」가 입력 및 표시되며, 「ㅜ」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위쪽 또는 아래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ㅜ」와 그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ㅟ」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모음 「ㅏ」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ㅏ」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ㅏ」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ㅏ」에 「ㆍ」가 합쳐져서 모음「ㅑ」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ㅏ」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ㅏ」와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ㅐ」가 입력 및 표시되며, 「ㅏ」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위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ㅏ」의 위쪽 방향에 해당하는 모음 「ㅑ」와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ㅒ」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모음 「ㅣ」입력키를 터치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ㅣ」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모음 「ㅓ」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ㅓ」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ㅓ」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ㅓ」에 「ㆍ」가 합쳐져서 모음「ㅕ」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ㅓ」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ㅓ」와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ㅔ」가 입력 및 표시되며, 「ㅓ」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위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ㅓ」의 위쪽 방향에 해당하는 모음 「ㅕ」와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ㅖ」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기본모음 「ㅗ」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길게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것보다 짧게 드래그할 때 입력되는 모음 「ㅘ」에 모음 「ㅣ」가 더욱 합성되어 모음 「ㅙ」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모음 「ㅜ」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길게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것보다 짧게 드래그할 때 입력되는 모음 「ㅝ」에 모음 「ㅣ」가 더욱 합성되어 모음 「ㅞ」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기본숫자 「1」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숫자 「1」이 입력 및 표시되고, 「1」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의 4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숫자 「1」입력키의 그 방향에 기재된 숫자들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숫자 「0」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숫자 「0」이 입력 및 표시되고, 「0」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의 4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숫자 「0」입력키의 그 방향에 기재된 숫자들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또한, 기본 영문알파벳 소문자 「a」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소문자 「a」가 입력 및 표시되고, 「a」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의 4 방향 및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4개의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하방향을 제외하고는 기본 영문알파벳 소문자 「a」입력키의 그 방향에 기재된 영문알파벳 소문자들이 입력 및 표시되고,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영문 대문자 입력키 배열의 모드로 변경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 영문알파벳 소문자 「i」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소문자 「i」가 입력 및 표시되고, 「i」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의 4 방향 및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4개의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 영문알파벳 소문자 「i」입력키의 그 방향에 기재된 영문알파벳 소문자들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본 영문알파벳 소문자 「r」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소문자 「r」가 입력 및 표시되고, 「r」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의 4 방향 및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4개의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 영문알파벳 소문자 「r」입력키의 그 방향에 기재된 영문알파벳 소문자들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영문 대문자 입력키 배열 상태에서는 기본 영문알파벳 대문자「A」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영문 소문자 입력키 배열의 모드로 변경되는 것 그리고 대문자가 입력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영문 소문자 입력키 배열 상태에서와 동일하게 입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특수문자 「-」 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문자 「-」가 입력 및 표시되고, 「-」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의 4 방향 및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4개의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하방향을 제외하고는 특수문자 「-」입력키의 그 방향에 기재된 특수문자들이 입력 및 표시되고,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다른 특수문자 입력키로 변경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법은 한 번의 터치 또는 터치에 이은 드래그 동작에 의하여 현재 사용하는 모든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입력 및 오류가 없는 정확한 입력 그리고 적은 동작 회수에 의한 입력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고, 또한 그러한 입력을 인식하기 위하여 매우 정교한 터치 및 드래그 인식 알고리듬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사용자의 입력에 대한 장치의 빠른 속도의 응답도 가능하여 터치스크린에 적용되는 가상키보드를 구현하는 장치에 실제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법을 위하여 사용되는 가상키보드의 입력키들의 배열은 한글창제원리 및 현재 적용되는 한글맞춤법에 따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적은 입력의 경험만으로도 충분히 그 입력방식에 익숙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하다.
도 1은 한 종래기술에 따른 가상키보드의 입력키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가상키보드의 입력키 배열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가상키보드의 입력키 배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실시예와 균등한, 한글자음의 배치가 변경된 입력키 배열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도 3의 실시예와 균등한, 한글자음의 배치가 변경된 입력키 배열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6은 도 3의 실시예와 균등한, 한글모음의 배치가 변경된 입력키 배열의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7은 도 3의 실시예에서 가상키보드의 배열을 왼손잡이용 배열로 변경하는 키입력이 표시된 또 다른 실시예이다.
도 8은 도 7의 오른손잡이용 가상키보드 배열로 변경하는 키입력이 표시된 왼손잡이용 가상키보드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도 3의 가상키보드에서 영문 알파벳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된 가상키보드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가상키보드」는 전통적인 실제 키보드를 대신하여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하여 터치스크린 상에 가상적으로 구현되는 키보드를 말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의 호출에 의하여 또는 자동적으로 터치스크린의 화면 전부 또는 일부 상에 나타난다.
「한글 기본자음」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키보드에서 터치만에 의하여 입력되는 한글 자음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ㄱ」, 「ㅅ」, 「ㅂ」, 「ㅇ」, 「ㄷ」, 「ㄹ」, 「ㅈ」, 「ㅁ」, 「ㅎ」, 「ㄴ」의 10개 자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입력됨을 시각에 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각 입력키의 가운데에 굵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글 드래그자음」은 상기 한글 기본자음을 제외한 나머지 자음을 일컫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터치에 이은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한글 자음을 의미한다. 한글 기본자음을 중심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방향에 표시된다.
「한글 쌍자음」은 「ㄲ」, 「ㅆ」, 「ㅃ」, 「ㄸ」, 및 「ㅉ」을 일컫는다. 쌍자음은 본 발명에서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드래그자음에 해당한다.
「한글 격자음」은 「ㅋ」, 「ㅍ」, 「ㅌ」, 및 「ㅊ」을 일컫는다. 격자음은 본 발명에서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드래그자음에 해당한다.
「한글 겹자음」은 「ㄳ」, 「ㅄ」, 「ㄺ」, 「ㄽ」, 「ㄼ」, 「ㄿ」, 「ㅀ」, 「ㄻ」, 「ㄾ」, 「ㄵ」, 및 「ㄶ」을 일컫는다. 겹자음은 본 발명에서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드래그자음에 해당한다.
「한글 기본모음」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키보드에서 터치만에 의하여 입력되는 한글 모음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ㅗ」, 「ㅡ」, 「ㅜ」, 「ㅏ」, 「ㅣ」, 「ㅓ」의 6개 모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입력됨을 시각에 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각 입력키의 가운데에 굵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글 드래그모음」은 상기 한글 기본모음을 제외한 나머지 모음을 일컫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터치에 이은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한글 모음을 의미한다. 한글 기본모음을 중심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방향에 표시된다. 한글 드래그모음은 「ㅛ」, 「ㅘ」, 「ㅙ」, 「ㅚ」, 「ㅢ」, 「ㅠ」, 「ㅟ」, 「ㅝ」, 「ㅞ」, 「ㅑ」, 「ㅒ」, 「ㅐ」, 「ㅕ」, 「ㅖ」, 「ㅔ」를 포함한다.
「드래그」는 입력키의 중앙부를 터치한 상태에서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떼지 않은 상태에서 상, 하, 좌, 및 우의 4 방향 그리고 좌상, 우상, 좌하, 및 우하의 4 대각선 방향으로 손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끄는 행위를 말하며, 이때, 끄는 정도 또는 거리가 해당 입력키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거나, 그 영역을 조금 벗어나더라도 이웃 입력키의 중심부까지는 이르지 않는 드래그 행위를 말한다. 이것은 비교를 위하여 「짧은 드래그」로 부를 수도 있다.
「긴 드래그」는 「짧은 드래그」와 동일한 행위이지만, 해당 입력키의 영역을 벗어나서 이웃하는 입력키의 중심부까지 이르는 또는 이웃하는 입력키의 중심부를 지나치는 정도의 긴 드래그를 일컫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짧은 드래그」와 「긴 드래그」는 위와 같이 정의하였지만, 이것은 본 발명을 분명하게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 의한 정의이며, 본 발명에 따른 가상키보드가 더욱 크게 구현될 수 있는 장치에서는 해당 입력키 내에서의 드래그로도 충분히 드래그를 인식할 수 있고 또한 사용자도 그렇게 입력하는데 불편함이 없는 상황이라면 「짧은 드래그」는 해당 입력키 내에서의 드래그로 정의될 수 있고, 또한 이웃하는 입력키의 중심부까지 드래그하지 않고 그것의 경계부를 어느 정도 넘어서는 수준의 드래그만으로도 「짧은 드래그」와 충분히 구별될 수 있다면 반드시 「긴 드래그」를 이웃하는 입력키의 중심부까지 이르는 정도의 드래그로 정의할 필요는 없다.
「기본숫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키보드에서 터치만에 의하여 입력되는 숫자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1」과 「0」이다. 이와 같이 입력됨을 시각에 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각 입력키의 가운데에 굵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래그숫자」는 상기 기본숫자를 제외한 나머지 숫자를 일컫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터치에 이은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숫자를 의미한다. 기본숫자를 중심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방향에 표시된다. 드래그숫자는 「2」, 「3」, 「4」, 「5」, 「6」, 「7」, 「8」, 「9」이다. 본 발명에서는 숫자 중에서 0과 1의 입력의 빈도가 가장 높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이기 때문에 0과 1을 기본숫자로 정하였다. 그러나 불편함이 따르더라도 다른 숫자를 기본숫자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영문 기본알파벳」은 본 발명에 따른 가상키보드에서 터치만에 의하여 입력되는 명문 알파벳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a」, 「i」, 「r」의 3개 알파벳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입력됨을 시각에 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각 입력키의 가운데에 굵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문 드래그알파벳」은 상기 영문 기본알파벳을 제외한 나머지 알파벳을 일컫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터치에 이은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영문 알파벳을 의미한다. 영문 기본알파벳을 중심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방향에 표시된다.
「기본특수문자」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키보드에서 터치만에 의하여 입력되는 특수문자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예시로서 「-」를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입력됨을 시각에 의하여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각 입력키의 가운데에 굵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드래그특수문자」는 어떤 기본특수문자 입력키의 터치에 이은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특수문자를 의미한다. 기본특수문자를 중심으로 입력되는 드래그 방향에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하나의 입력키에 표시되는 기본특수문자와 드래그특수문자의 한 세트가 예시되어 있다.
「기본문자」는 한글 기본자음, 한글 기본모음, 영문 기본알파벳 등을 의미하고, 「드래그문자」한글 드래그자음, 한글 드래그모음, 영문 드래그알파벳 등을 의미한다.
「기본기능」은 커서의 뒤에 있는 한 글자 또는 한 자음 또는 모음을 지우는 백스페이스 기능을 의미하고, 「드래그기능」은 엔터키값을 입력하는 기능, 가상키보드의 배열을 오른손잡이용에서 왼손잡이용으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기능, 영문 알파벳 소문자 입력모드에서 영문 알파벳 대문자 입력모드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기능과 같은 기능에 대한 입력을 드래그에 의하여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드래그 입력값」은 본 발명에서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입력값을 말하는 것으로서, 한글 드래그자음, 한글 드래그모음 등의 문자 입력값과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엔터키값 등과 같은 기능 입력값이 여기에 포함된다.
터치스크린에서 가상키보드에 의한 한글입력방법은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를 인식함으로써 입력을 받아들이는 장치가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의 한 부분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는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 또는 손으로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의 키를 터치하는 것 또는 터치에 이은 드래그를 하는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는 상기 인식된 터치위치 또는 터치위치와 그 위치로부터 드래그된 방향에 따라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고, 그 입력된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단계들은 종래기술에서와 같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정에서 가상키보드의 입력키 배열과 그 배열에 따른 드래그방향에 의하여 현재 사용되는 모든 한글 자음 및 모음을 한번의 터치 또는 한번의 터치에 이은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입력키 배열 및 입력방식은 한글창제원리 및 현재 한글사용상황에 바탕을 두고 있기 때문에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라는 특징을 가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한글입력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가상키보드의 입력키 배열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상키보드는 10개의 입력키로 이루어진 한글 자음 입력영역(10), 6개의 입력키로 이루어진 한글 모음 입력영역(20), 2개의 입력키로 이루어진 숫자 입력영역(30), 3개의 입력키로 이루어진 영문 알파벳 입력영역(40), 1개의 입력키로 이루어진 특수문자 입력영역(50), 1개의 입력키로 이루어진 기능 입력영역(60) 그리고 1개의 입력키로 이루어진 공백문자(스페이스) 입력영역(7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적은 수의 입력키로 가상키보드를 구성하기 때문에 한 입력키의 크기를 크게 표시할 수 있어 키입력시 잘못 누르는 오류율을 줄일 수 있다.
모든 입력키에는 그 입력키를 터치함에 의하여 입력되는 기본문자(11, 21, 31, 41, 및 51) 또는 기본기능(61)이 표시되어 있다. 즉, 예를 들어, 한글 자음 입력영역(10)에 있는 10개의 입력키에는 10개의 한글 기본자음(11)이 표시되어 있다. 한글 모음 입력영역(20)에 있는 6개의 입력키에는 6개의 한글 기본모음(21)이 표시되어 있으며, 다른 입력영역들(30, 40, 50, 60 및 70)에도 유사하게 그 기본문자 또는 기본기능이 표시되어 있다.
또한 모든 입력키에는 그 입력키를 터치하고 연이어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및 우하의 8 방향으로 드래그함에 의하여 입력되는 드래그 입력값이 할당되어 있으며, 그러한 드래그 입력값 할당을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식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각 입력키의 해당 방향에 그 입력값이 표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가상키보드는 그러한 드래그 입력값이 각 입력키에 표시되지 않더라도 사용자는 가상키보드의 키배열에 의하여 직관적으로 드래그 입력값을 유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상키보드에서 기본적 규칙은 한글 기본자음의 입력키를 터치하기만 하면 그 기본자음(11)이 입력된다는 것이다.
다음의 규칙은 한글 기본자음의 입력키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그 기본자음의 쌍자음(13)이 입력되고,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그 기본자음의 격자음(15)이 입력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설정하는 것도 실질적으로는 동일한 효과를 가진다. 그러므로 그러한 반대 배치도 본 발명의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규칙적 배치는 그것 자체로 사용자에게 일관성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한글 자음의 입력에 쉽게 익숙해지도록 하는 요인이 된다. 이때 기본자음에 대한 쌍자음 또는 격자음이 없는 경우에는 그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더라도 기본자음이 입력된다. 한글 기본자음의 입력키를 드래그하기 위해서는 먼저 그 입력키를 터치하여야 하므로,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법은 한글 기본자음 입력키를 터치하면 우선 화면에 그 기본자음이 표시되고, 그 후 어떤 방향으로 드래그를 하면 그 기본자음이 해당 드래그자음으로 변경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고, 입력키의 터치만으로는 화면에 표시를 하지 않고 드래그를 한 후 손을 떼면 그것을 인식하여 드래그자음을 화면에 표시하고 해당하는 드래그자음이 없으면 그 기본자음을 화면에 표시하며, 또한 드래그없이 손을 떼면 그것을 인식하여 그 기본자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물론 화면에의 표시 전에 장치의 제어부에의 입력이 먼저 일어나며, 제어부는 입력된 값을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와 같은 장치의 내부구성 및 장치 내에서의 동작은 통상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다음 규칙은 어떤 기본자음의 입력키를 터치한 후 어떤 방향으로 드래그하였을 때, 그 기본자음과 그 방향에 있는 이웃 입력키의 기본자음이 합성된 격자음(17)이 입력 및 표시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입력에 의하여 어떠한 임의적 합성이 모두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현재 한글맞춤법에서 유효한 것으로 인정하는 겹자음만이 입력되며, 현재 존재하지 않는 겹자음은 입력되지 않고, 다만 해당 기본자음이 입력된다. 현재 한글맞춤법에서 인정되는 한글 겹자음은 「ㄳ」, 「ㅄ」, 「ㄺ」, 「ㄽ」, 「ㄼ」, 「ㄿ」, 「ㅀ」, 「ㄻ」, 「ㄾ」, 「ㄵ」, 및 「ㄶ」이다. 따라서, 예를 들어, 「ㄷ」에 대해서는 겹자음이 없기 때문에 「ㄷ」입력키를 좌, 우,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더라도 겹자음은 입력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합성은 방향성을 가지는 것이다. 예를 들어, 「ㅂ」과 「ㅅ」의 합성은 「ㅄ」으로 되고 이것은 사용하는 겹자음이므로 입력되고 표시되지만, 「ㅅ」과 「ㅂ」의 합성은 「ㅅㅂ」이지만 이것은 사용되지 않는 겹자음이므로 입력되지 않는다.
기본자음 중에서 겹자음을 가장 많이 가지는 기본자음은 「ㄹ」이다. 또한 「ㄹ」에 대해서는 그것의 쌍자음 및 격자음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본 발명의 가상키보드에서는 「ㄹ」입력키를 9개의 기본자음 중에서 가운데에 배치한 것이다. 즉, 「ㅇ」기본자음을 제외한 9개의 기본자음 입력키를 3 x 3 행렬 형태로 배치하고 「ㄹ」기본자음 입력키를 그것의 중앙에 배치한 것이다. 한편, 「ㅇ」기본자음은 그것의 쌍자음, 격자음 및 겹자음 모두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3 x 3 행렬 바깥에 임의적 위치에 배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상키보드는 「ㅇ」기본자음을 제외한 「ㄱ」, 「ㅅ」, 「ㅂ」, 「ㄷ」, 「ㄹ」, 「ㅈ」, 「ㅁ」, 「ㅎ」, 「ㄴ」의 9개의 기본자음 입력키를 3 x 3 행렬 형태로 배치하고 그 중에 「ㄹ」기본자음 입력키를 중앙에 배치함으로써 한글맞춤법이 인정하는 겹자음이 인접한 기본자음들 간의 합성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그러한 배치에 의하여 사용자는 겹자음에 대한 직관적 이해력을 가지게 되어 사용상의 편리성을 얻게 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적용되는 또 다른 규칙은 겹자음 「ㄿ」및 「ㄾ」에 관한 것이다. 이것들을 제외한 모든 겹자음은 상기한 규칙, 즉 이웃한 기본자음의 합성에 의하여 형성된다는 것이지만, 「ㄾ」은 이웃한 기본자음간의 합성으로는 생성될 수 없다. 그러나, 격자음 「ㅌ」의 기본자음은 「ㄷ」인데 기본자음「ㄹ」과 기본자음 「ㄷ」이 합성된 「ㄹㄷ」은 한글맞춤법에는 없는 겹자음이다. 따라서, 겹자음 「ㄾ」을 이웃 기본자음 「ㄷ」방향에 대한 기본자음 「ㄹ」의 겹자음으로 사용하더라도 혼동을 일으키거나 사용자의 직관력에 방해를 일으키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ㄿ」도 또한 이웃한 기본자음간의 합성으로는 생성될 수 없다. 그러나 기본자음「ㄹ」과 기본자음 「ㅂ」이 합성된 겹자음 「ㄼ」이 있기 때문에 기본자음 「ㄹ」에서 기본자음 「ㅂ」방향의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것에 「ㄿ」을 할당할 수는 없다. 따라서, 이 두 겹자음들을 구분하여 입력하기 위하여, 「ㄿ」은 기본자음 「ㄹ」과 격자음 「ㅍ」의 합성이고, 격자음 「ㅍ」은 기본자음 「ㅂ」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면 입력할 수 있는 것이므로, 「ㄿ」은 그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한 후 다시 하방향으로 한번 더 드래그하는 것에 의하여 입력되게 한다. 이러한 방법도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규칙들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가상키보드에서 이러한 한글 기본자음 및 드래그자음의 배열을 나타내었지만, 그 배열을 약간 변형하여 위에서 설명한 기능들을 그대로 또는 균등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균등한 배열을 도 4 및 5에 도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균등한 배열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한글 모음의 입력 규칙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한글 모음의 첫번째 입력 규칙은 기본모음 입력키를 터치만하면 그 기본모음이 입력된다는 것이다.
다음 규칙은 양성 기본모음 「ㅗ」(21) 및 「ㅏ」 그리고 음성 기본모음 「ㅜ」 및 「ㅓ」의 입력키들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면 「ㆍ」이 그것에 합성되어 드래그모음 「ㅛ」(23) 및 「ㅑ」 그리고 「ㅠ」 및 「ㅕ」가 입력된다는 것이다. 상방향 드래그 대신에 하방향 드래그에 이러한 입력을 할당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두 입력방식은 서로 균등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음의 규칙은 왼쪽의 열(칼럼)에 있는 기본모음 「ㅗ」, 「ㅡ」 및 「ㅜ」의 입력키를 터치한 후 연이어 우방향 또는 우상방향 또는 우하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그 기본모음과 그 방향으로 인접하여 있는 기본모음 「ㅏ」, 「ㅣ」 또는 「ㅓ」이 합성되어 드래그모음「ㅘ」(25),「ㅚ」(29),「ㅢ」,「ㅟ」, 및「ㅝ」이 입력된다는 것이다.
다음 규칙은 오른쪽의 열(칼럼)에 있는 기본모음 「ㅏ」 및 「ㅓ」의 입력키를 터치한 후 연이어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면 그 기본모음과 기본모음「ㅣ」가 합성되어 드래그모음 「ㅐ」 및 「ㅔ」가 입력된다는 것이다. 여기에서 기본모음 「ㅣ」의 입력키는 오른쪽의 열 중에서 가운데에 배치되는 것이고, 기본모음 「ㅏ」 및 「ㅓ」의 입력키의 우방향에 인접하는 것이 아니어서 합성의 규칙이 일관되지 않은 것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인접 기본모음 간의 합성 규칙을 여기에 적용하게 되면, 기본모음 「ㅓ」에 대한 드래그모음 「ㅕ」의 배치와 충돌된다. 이러한 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기본모음 「ㅓ」에 대한 드래그모음 「ㅕ」의 입력을 위한 드래그방향을 아래로 변경하게 되면, 그것은 드래그모음 「ㅛ」, 「ㅠ」 및 「ㅑ」와의 일관성을 깨뜨리는 것이 된다. 일관성없는 배치는 사용자의 직관적 이해를 방해하는 요인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오른쪽 열의 기본모음 「ㅏ」 및 「ㅓ」의 오른쪽에는 어떠한 기본모음도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우방향 드래그에 의하여 그것들에 기본모음 「ㅣ」가 합성되더라도 다른 규칙과 상충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입력방식은 전체적인 입력방식의 일관성을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서, 사용자의 직관적 이해에 도움이 된다.
다음 규칙은 오른쪽의 열(칼럼)에 있는 기본모음 「ㅏ」 및 「ㅓ」의 입력키를 터치한 후 연이어 우상방향으로 드래그하면 드래그모음 「ㅒ」 및 「ㅖ」가 입력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기본모음 「ㅏ」 및 「ㅓ」의 상방향 드래그에 의하여 ㅑ」 및 「ㅕ」로 된 후 그것에 우방향 드래그에 의하여 「ㅣ」가 합쳐져서 드래그모음 「ㅒ」 및 「ㅖ」으로 되는 것으로 직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글 모음에 대한 마지막 규칙은 드래그모음 「ㅙ」 및 「ㅞ」에 대한 것이다. 모음 「ㅙ」(27) 및 「ㅞ」은 형태상 모음 「ㅘ」 및 「ㅝ」에 기본모음 「ㅣ」이 합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위에서 오른쪽 열의 기본모음들에서 우방향 드래그는 그 기본모음에 기본모음 「ㅣ」이 합성되는 규칙이 적용되었다는 것을 감안하면,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즉, 왼쪽 열의 기본모음 「ㅗ」 및 「ㅜ」는 짧은 드래그에 의하여 「ㅘ」 및 「ㅝ」로 되고, 길게 드래그하면 그것에 기본모음 「ㅣ」이 합성되어 최종적으로 드래그모음 「ㅘ」 및 「ㅝ」로 된다.
한편, 도면에서는 짧게 드래그할 때 입력되는 드래그모음 「ㅘ」 및 「ㅝ」각각을 길게 드래그할 때 입력되는 드래그모음 「ㅙ」 및 「ㅞ」 각각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표현하였으나, 이러한 드래그를 더욱 기능적으로 표현한다는 측면에서는 동일한 수직선 상에 표현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다. 다만, 그렇게 표현하기 위해서는 입력키의 크기가 어느 정도 이상으로 커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입력키의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도면에서와 같이 수직선상에 표현하는 것이 더 좋을 수도 있다.
한편, 도 3은 가상키보드에서 이러한 한글 기본모음 및 드래그모음의 배열을 나타내었지만, 그 배열을 약간 변형하여 위에서 설명한 기능들을 그대로 또는 균등하게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한 균등한 배열을 도 6에 도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균등한 배열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법은 또한 두 개의 입력키(30)에 의하여 10개의 숫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0과 1을 기본숫자(31)로 정하고 입력키의 중앙에 표시한다. 그리하여 그 입력키를 터치만하면 각각 0과 1이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0과 1의 기본숫자 입력키 각각에서 기본숫자에 대하여 상, 하, 좌, 우의 4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 나머지 숫자들이 입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드래그숫자들(33)을 배치하는 것은 임의적이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하는 것이 가장 이해하기 쉬워 편리할 것이다.
한편, 도 9는 도 3의 가상키보드에서 영문 알파벳 대문자 입력모드로 변경된 가상키보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법은 또한 세 개의 입력키(40)에 의하여 26개의 영문 알파벳 대문자 또는 소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소문자 「a」, 「i」 및 「r」 또는 대문자 「A」, 「I」 및 「R」을 영문 기본알파벳 소문자 또는 대문자로 정하고 입력키의 중앙에 표시한다. 그리하여 그 입력키를 터치만하면 그 소문자 또는 대문자가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영문 기본알파벳 입력키 각각에 기본알파벳(41)에 대하여 상, 하, 좌, 우의 4 방향 및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4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 나머지 영문 알파벳들이 입력되도록 한다. 이러한 영문 드래그알파벳들(43)을 배치하는 것은 임의적이지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치하는 것이 가장 이해하기 쉬워 편리할 것이다.
한편, 영문 기본알파벳 소문자 「a」또는 대문자 「A」의 입력키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할 경우에는 드래그알파벳이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소문자 입력모드에서 대문자 입력모드로 또는 대문자 입력모드에서 소문자 입력모드로 전환되게 한다. 이것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영문 기본알파벳 소문자 「a」입력키의 하방향에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색깔로 영문 기본알파벳 대문자 「A」(45)를 표시하고, 영문 기본알파벳 대문자 「A」입력키의 하방향에는 바람직하게는 다른 색깔로 영문 기본알파벳 소문자 「a」를 표시한다.
본 발명의 한글입력방법은 또한 하나의 입력키(50)에 의하여 여러개의 특수문자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특수문자 「-」를 기본특수문자(51)로 정하고 입력키의 중앙에 표시한다. 그리하여 그 입력키를 터치만하면 그 특수문자가 입력되도록 한다. 그리고 그 기본특수문자 입력키에 기본특수문자에 대하여 하방향을 제외한 하, 좌, 우의 3 방향 및 좌상, 우상, 좌하, 우하의 4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 임의의 드래그특수문자들(53)이 입력되도록 한다.
한편, 기본특수문자 「-」의 입력키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할 경우에는 드래그특수문자가 입력되는 것이 아니라 1개의 기본특수문자와 7개의 드래그특수문자의 다른 세트로 전환되게 한다. 이러한 전환을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하방향에 ↔ 표시(55)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가상키보드는 하나의 기능 입력키(60)를 둘 수 있다. 이러한 기능 입력키(60)에 대하여 기본기능(61)으로 커서의 뒤에 있는 문자를 지우는 기능을 가지는 백스페이스기능이 할당되고, 그것의 하방향으로 드래그하였을 때 구현되는 드래그기능(63)으로 엔터값 입력기능을 할당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상키보드는 사용의 편의성을 위하여 오른손잡이용 키보드 배열과 왼손잡이용 키보드 배열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의 실시예에서 가상키보드의 배열을 왼손잡이용 배열로 변경하는 키입력이 표시된 또 다른 실시예이고, 도 8은 도 7의 오른손잡이용 가상키보드 배열로 변경하는 키입력이 표시된 왼손잡이용 가상키보드 배열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래그를 하여 오른손잡이용 가상키보드 배열에서 왼손잡이용 가상키보드 배열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하는 기능을 가지는 드래그기능을 임의의 입력키에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가상키보드 배열 드래그기능(73)은 백스페이스 기본기능의 입력키에 할당될 수도 있지만,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백문자 기본문자(71)의 입력키(70)에 할당될 수도 있다.
1: 가상키보드 10: 한글 자음 입력키
11: 기본자음 13: 쌍자음을 나타내는 드래그자음
15: 격자음을 나타내는 드래그자음 17: 겹자음을 나타내는 드래그자음
20: 한글 모음 입력키 21: 기본모음
23, 25, 27, 29: 드래그모음 30: 숫자 입력키
31: 기본숫자 33: 드래그숫자
40: 영문 알파벳 입력키 41: 기본 영문알파벳
43: 영문 드래그알파벳 45: 영문 대문자 입력모드로 전환표시
50: 특수문자 입력키 51: 기본특수문자
53: 드래그특수문자 55: 다른세트의 특수문자로 전환표시
60: 기능키 61: 기본기능키(백스페이스키)
63: 엔터입력표시 70: 스페이스키
73: 오른손잡이용 배열과 왼손잡이용 배열의 전환표시

Claims (13)

  1.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를 인식함으로써 입력을 받아들이는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의 한 부분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는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 또는 손으로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의 키를 터치하는 것 또는 터치에 이은 드래그를 하는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는 상기 인식된 터치위치 또는 터치위치와 그 위치로부터 드래그된 방향에 따라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고, 그 입력된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이고,
    상기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가상키보드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01
    ,
    Figure 112010076381943-pat00002
    , 또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03
    의 한글 기본자음 입력키 배열을 가지고,
    기본자음 「ㄱ」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ㄱ」이 입력 및 표시되고, 「ㄱ」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쌍자음 「ㄲ」이 입력 및 표시되며, 「ㄱ」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격자음 「ㅋ」이 입력 및 표시되고, 「ㄱ」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자음 「ㄱ」이 「ㄱ」입력키의 좌 또는 우 방향에 있는 기본자음 「ㅅ」입력키의 기본자음 「ㅅ」과 합성된 겹자음 「ㄳ」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자음 「ㅅ」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ㅅ」이 입력 및 표시되고, 「ㅅ」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쌍자음 「ㅆ」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며,
    기본자음 「ㅂ」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ㅂ」이 입력 및 표시되고, 「ㅂ」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쌍자음 「ㅃ」이 입력 및 표시되며, 「ㅂ」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격자음 「ㅍ」이 입력 및 표시되고, 「ㅂ」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좌 또는 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자음 「ㅂ」이 「ㅂ」입력키의 좌 또는 우 방향에 있는 기본자음 「ㅅ」입력키의 기본자음 「ㅅ」과 합성된 겹자음 「ㅄ」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자음 「ㄷ」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ㄷ」이 입력 및 표시되고, 「ㄷ」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쌍자음 「ㄸ」이 입력 및 표시되며, 「ㄷ」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격자음 「ㅌ」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자음 「ㄹ」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ㄹ」이 입력 및 표시되고, 「ㄹ」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 하, 좌, 우, 좌상, 우상, 좌하, 및 우하의 8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ㄹ」 입력키의 좌 또는 우 방향에 있는 「ㅈ」 입력키과 「ㄹ」 입력키의 대각선 방향에 있는 「ㄴ」 입력키를 제외한 나머지 이웃한 입력키들 「ㄱ」, 「ㅅ」, 「ㅂ」, 「ㄷ」(실제로는 「ㅌ」), 「ㅁ」 및 「ㅎ」과 합성된 겹자음들 「ㄺ」, 「ㄽ」, 「ㄼ」, 「ㄾ」, 「ㄻ」, 및 「ㅀ」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며,
    기본자음 「ㅈ」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ㅈ」이 입력 및 표시되고, 「ㅈ」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쌍자음 「ㅉ」이 입력 및 표시되며, 「ㅈ」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격자음 「ㅊ」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자음 「ㅁ」입력키를 터치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ㅁ」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며,
    기본자음 「ㅎ」입력키를 터치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ㅎ」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자음 「ㄴ」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자음 「ㄴ」이 입력 및 표시되고, 「ㄴ」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 방향에 있는 기본자음 「ㅈ」입력키의 기본자음 「ㅈ」과 합성된 겹자음 「ㄵ」이 입력 및 표시되고, 「ㄴ」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좌방향 또는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 방향에 있는 기본자음 「ㅎ」입력키의 기본자음 「ㅎ」과 합성된 겹자음 「ㄶ」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기본자음 「ㄹ」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기본자음 「ㅂ」이 있는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한 후 연속하여 아래방향으로 드래그할 경우에는 「ㄹ」과 「ㅍ」이 합성된 겹자음 「ㄿ」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는 상기한 터치에 이은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자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상기한 한글 기본자음 배열 상에 해당하는 드래그 방향에 해당하는 쌍자음, 격자음 또는 겹자음을
    Figure 112012023488743-pat00004
    ,
    Figure 112012023488743-pat00005
    , 또는
    Figure 112012023488743-pat00006
    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가상키보드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07
    또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08
    의 한글 기본모음 입력키 배열을 가지고,
    기본모음 「ㅗ」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ㅗ」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ㅗ」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ㅗ」에 「ㆍ」가 합쳐져서 모음「ㅛ」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ㅗ」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ㅗ」와 우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ㅏ」가 합성된 모음 「ㅘ」가 입력 및 표시되며, 「ㅗ」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위쪽 또는 아래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ㅗ」와 그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ㅚ」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모음 「ㅡ」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ㅡ」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ㅡ」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ㅡ」와 그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ㅣ」가 합쳐져서 모음「ㅢ」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며,
    기본모음 「ㅜ」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ㅜ」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ㅜ」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ㅜ」에 「ㆍ」가 합쳐져서 모음「ㅠ」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ㅜ」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ㅜ」와 우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ㅓ」가 합성된 모음 「ㅝ」가 입력 및 표시되며, 「ㅜ」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위쪽 또는 아래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ㅜ」와 그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ㅟ」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모음 「ㅏ」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ㅏ」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ㅏ」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ㅏ」에 「ㆍ」가 합쳐져서 모음「ㅑ」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ㅏ」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ㅏ」와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ㅐ」가 입력 및 표시되며, 「ㅏ」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위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ㅏ」의 위쪽 방향에 해당하는 모음 「ㅑ」와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ㅒ」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며,
    기본모음 「ㅣ」입력키를 터치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ㅣ」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모음 「ㅓ」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ㅓ」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ㅓ」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ㅓ」에 「ㆍ」가 합쳐져서 모음「ㅕ」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ㅓ」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ㅓ」와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ㅔ」가 입력 및 표시되며, 「ㅓ」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위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ㅓ」의 위쪽 방향에 해당하는 모음 「ㅕ」와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ㅖ」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기본모음 「ㅗ」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길게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것보다 짧게 드래그할 때 입력되는 모음 「ㅘ」에 모음 「ㅣ」가 더욱 합성되어 모음 「ㅙ」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모음 「ㅜ」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길게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것보다 짧게 드래그할 때 입력되는 모음 「ㅝ」에 모음 「ㅣ」가 더욱 합성되어 모음 「ㅞ」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는 상기한 터치에 이은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상기한 한글 기본모음 배열 상에 해당하는 드래그 방향에 해당하는 모음들을
    Figure 112010076381943-pat00009
    또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10
    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7. 제1항에서 제6항까지의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11
    Figure 112010076381943-pat00012
    의 숫자 입력키 배열을 가지고,
    기본숫자 「1」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숫자 「1」이 입력 및 표시되고, 「1」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숫자 「1」입력키의 그 방향에 기재된 숫자들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숫자 「0」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숫자 「0」이 입력 및 표시되고, 「0」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숫자 「0」입력키의 그 방향에 기재된 숫자들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13
    의 영문 소문자 입력키 배열을 가지고,
    기본 영문알파벳 소문자 「a」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소문자 「a」가 입력 및 표시되고, 「a」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및 4개의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하방향을 제외하고는 기본 영문알파벳 소문자 「a」입력키의 그 방향에 기재된 영문알파벳 소문자들이 입력 및 표시되고,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14
    의 영문 대문자 입력키 배열로 변경되는 것이고,
    기본 영문알파벳 소문자 「i」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소문자 「i」가 입력 및 표시되고, 「i」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및 4개의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 영문알파벳 소문자 「i」입력키의 그 방향에 기재된 영문알파벳 소문자들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며,
    기본 영문알파벳 소문자 「r」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소문자 「r」가 입력 및 표시되고, 「r」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및 4개의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 영문알파벳 소문자 「r」입력키의 그 방향에 기재된 영문알파벳 소문자들이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또한, 상기 영문 대문자 입력키 배열 상태에서는 기본 영문알파벳 대문자「A」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15
    의 영문 소문자 입력키 배열로 변경되는 것 그리고 대문자가 입력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영문 소문자 입력키 배열 상태에서와 동일하게 입력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16
    의 특수문자 입력키를 가지고,
    상기 특수문자 「-」 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문자 「-」가 입력 및 표시되고, 「-」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 및 4개의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 중에서 하방향을 제외하고는 특수문자 「-」입력키의 그 방향에 기재된 특수문자들이 입력 및 표시되고, 하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다른 특수문자 입력키로 변경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는 오른손잡이 영문소문자 표시모드로서,
    Figure 112010076381943-pat00017
    의 입력키 배열로 이루어지거나,
    왼손잡이 영문소문자 표시모드로서,
    Figure 112010076381943-pat00018
    의 입력키 배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11. 터치스크린에서의 터치를 인식함으로써 입력을 받아들이는 장치는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의 한 부분에 한글 자음과 모음을 포함하는 가상키보드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장치는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 또는 손으로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의 키를 터치하는 것 또는 터치에 이은 드래그를 하는 방향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장치는 상기 인식된 터치위치 또는 터치위치와 그 위치로부터 드래그된 방향에 따라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입력하고, 그 입력된 한글 자음 또는 모음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이고,
    상기에서, 상기 터치스크린 화면에 표시되는 상기 가상키보드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19
    또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20
    의 한글 기본모음 입력키 배열을 가지고,
    기본모음 「ㅗ」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ㅗ」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ㅗ」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ㅗ」에 「ㆍ」가 합쳐져서 모음「ㅛ」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ㅗ」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ㅗ」와 우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ㅏ」가 합성된 모음 「ㅘ」가 입력 및 표시되며, 「ㅗ」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위쪽 또는 아래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ㅗ」와 그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ㅚ」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모음 「ㅡ」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ㅡ」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ㅡ」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ㅡ」와 그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ㅣ」가 합쳐져서 모음「ㅢ」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며,
    기본모음 「ㅜ」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ㅜ」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ㅜ」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ㅜ」에 「ㆍ」가 합쳐져서 모음「ㅠ」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ㅜ」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ㅜ」와 우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ㅓ」가 합성된 모음 「ㅝ」가 입력 및 표시되며, 「ㅜ」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위쪽 또는 아래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ㅜ」와 그 방향으로 인접하는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ㅟ」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모음 「ㅏ」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ㅏ」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ㅏ」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ㅏ」에 「ㆍ」가 합쳐져서 모음「ㅑ」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ㅏ」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ㅏ」와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ㅐ」가 입력 및 표시되며, 「ㅏ」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위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ㅏ」의 위쪽 방향에 해당하는 모음 「ㅑ」와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ㅒ」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며,
    기본모음 「ㅣ」입력키를 터치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ㅣ」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모음 「ㅓ」입력키를 터치만하는 경우에는 한글 모음 「ㅓ」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ㅓ」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ㅓ」에 「ㆍ」가 합쳐져서 모음「ㅕ」가 입력 및 표시되고, 「ㅓ」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ㅓ」와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ㅔ」가 입력 및 표시되며, 「ㅓ」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오른쪽 위쪽 대각선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기본모음 「ㅓ」의 위쪽 방향에 해당하는 모음 「ㅕ」와 기본모음 「ㅣ」가 합성된 모음 「ㅖ」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기본모음 「ㅗ」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길게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것보다 짧게 드래그할 때 입력되는 모음 「ㅘ」에 모음 「ㅣ」가 더욱 합성되어 모음 「ㅙ」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이고,
    기본모음 「ㅜ」 입력키를 터치한 상태에서 우방향으로 길게 드래그하는 경우에는 그것보다 짧게 드래그할 때 입력되는 모음 「ㅝ」에 모음 「ㅣ」가 더욱 합성되어 모음 「ㅞ」가 입력 및 표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키보드는 상기한 터치에 이은 드래그에 의하여 입력되는 모음을 시각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상기한 한글 기본모음 배열 상에 해당하는 드래그 방향에 해당하는 모음들을
    Figure 112010076381943-pat00021
    또는
    Figure 112010076381943-pat00022
    의 형태로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KR1020100116732A 2010-11-23 2010-11-23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KR101189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732A KR101189112B1 (ko) 2010-11-23 2010-11-23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6732A KR101189112B1 (ko) 2010-11-23 2010-11-23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171A KR20120055171A (ko) 2012-05-31
KR101189112B1 true KR101189112B1 (ko) 2012-10-08

Family

ID=46270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6732A KR101189112B1 (ko) 2010-11-23 2010-11-23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91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468B1 (ko) 2019-12-06 2021-06-0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 입력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061B1 (ko) * 2012-12-26 2014-10-01 송혁진 스마트폰의 한글입력버튼 배치구조
KR102091509B1 (ko) 2013-06-26 2020-03-20 삼성전자주식회사 문자 입력 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이 적용되는 장치
KR101646688B1 (ko) * 2015-02-27 2016-08-0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소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위한 키보드 입력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637163B1 (ko) * 2015-12-23 2016-07-07 주식회사 온매칭 문자입력장치
KR102017943B1 (ko) * 2017-09-13 2019-09-04 권혁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468B1 (ko) 2019-12-06 2021-06-0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소프트웨어 키패드를 이용한 한글 모음 입력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5171A (ko) 201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63211B2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US10379626B2 (en) Portable computing device
KR101323281B1 (ko)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1167352B1 (ko) 단말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89112B1 (ko) 터치스크린에서의 한글입력방법
KR20120107110A (ko) 데이터입력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80097114A (ko)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20100027329A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110049617A (ko) 터치스크린의 한글 입력 방법, 기록매체
WO2014045414A1 (ja) 文字入力装置、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20110080682A (ko) 터치스크린 화면용 한글 문자 입력 방법
KR100656779B1 (ko) 터치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 장치 및 그 입력 방법
KR20120083293A (ko)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KR20100069089A (ko)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는 디바이스에서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568716B1 (ko) 드래그 방식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JP2022094941A (ja) 文字入力方法、文字入力プログラム、及び文字入力装置
KR101157084B1 (ko) 드래그 방식의 문자입력방법
JP2012108810A (ja) 文字入力装置、および文字入力装置の動作方法
KR20120097921A (ko) 확장키를 이용한 정보입력시스템 및 정보입력방법
KR101195625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JP2014140236A (ja) 文字データ入力装置
KR100762944B1 (ko) 화면자판 편집기와 편집방법
KR101454896B1 (ko) 터치 패널을 이용한 한글 입력 장치 및 그의 한글 입력 방법
CN102193647B (zh) 形状码及触摸屏的区位汉字输入法
KR20100045617A (ko) 멀티 터치 인식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