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2997A -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2997A
KR20050102997A KR1020040028355A KR20040028355A KR20050102997A KR 20050102997 A KR20050102997 A KR 20050102997A KR 1020040028355 A KR1020040028355 A KR 1020040028355A KR 20040028355 A KR20040028355 A KR 20040028355A KR 20050102997 A KR20050102997 A KR 200501029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ic
molecular weight
acryl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68943B1 (ko
Inventor
김세라
장석기
조현주
이재관
한인천
성혜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40028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943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JP2006550965A priority patent/JP4690344B2/ja
Priority to AT05764861T priority patent/ATE503815T1/de
Priority to DE602005027190T priority patent/DE602005027190D1/de
Priority to EP05764861A priority patent/EP1737921B1/en
Priority to PCT/KR2005/001070 priority patent/WO2005113699A1/en
Priority to CNB2005800043449A priority patent/CN100551985C/zh
Priority to TW094112358A priority patent/TWI316531B/zh
Priority to US11/109,951 priority patent/US7462390B2/en
Publication of KR2005010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2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9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addles, blades or ar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1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halogen, nitrogen, sulfur or oxygen atoms in addition to the carboxy oxyg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2Heating or cooling systems for heat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e.g. heated jackets or bur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805Mixing plastics, polymer material ingredients, monomers or oligo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2/00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0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 C08L2666/04Macromolecular compounds according to groups C08L7/00 - C08L49/00, or C08L55/00 - C08L57/00;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26/00Synthetic resins or natural rubbers -- part of the class 520 series
    • Y10S526/931Pressure sensitiv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a)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다관능성 가교제에 대하여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및/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로 공중합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상기 a)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b) a)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주쇄성분과 동일한 단량체를 포함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 내지 30,000이며, 하기 가교제와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공중합체 한 분자당 평균 0.01 내지 1개를 함유한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5 내지 20중량부; 및 c) 다관능성 가교제 0.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는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점착 내구 신뢰성 등의 주요 특성을 만족시키는 동시에 응력 완화 특성을 효과적으로 부여하여 빛샘 현상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the Polarizing Film}
본 발명은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빛샘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편광판, 및 이를 적용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액정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 셀과 편광판이 필요하며, 이를 접합하기 위한 적절한 접착층 또는 점착층이 사용되어야 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판 또는 휘도향상 필름 등을 부가적으로 편광판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를 형성하는 주요 구조는 일정하게 배열되어 있는 액정층; 투명전극층을 포함하는 투명한 유리판 또는 플라스틱계 판상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액정 셀을 기준으로 하여 점착층 또는 접착층으로 합체되어 있는 다층구조의 편광판; 위상차판; 그리고 추가의 기능성 필름층 등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편광판은 일정한 방향으로 배열된 요오드계 화합물 또는 이색성 편광물질을 포함하는 구조로서, 이들 편광소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양면에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계 등의 보호 필름을 사용하여 다층을 구성하게 된다. 또한, 편광판은 일방성 분자배열을 갖는 형상의 위상차 필름이나, 액정형 필름 등의 광시야각 보상필름을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각 필름들은 서로 다른 분자구조 및 조성을 가지는 재료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서로 상이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열 또는 습열 조건 하에서는 일방성 분자 배열을 가진 재료들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른 치수안정성이 부족하다. 따라서 편광판이 점착제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열 또는 습열 환경에 의한 변형응력이 잔류한 상태로 남아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응력이 집중된 부분에서 빛샘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에서의 빛샘 현상을 개선시키기 위한 한가지 방법은 열 또는 습열 조건 하에서 편광판의 수축현상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지만, 서로 다른 물리적 특성을 가진 물질들로 구성된 편광판이 부착된 액정 판넬에서 발생되는 응력을 제거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일반적으로 점착제는 고무계, 아크릴계, 그리고 실리콘계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그 특성에 있어서 고기능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내구신뢰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점착제의 구성 성분, 분자량 분포, 가교 밀도 등과 같은 적절한 분자구조 특성이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제조된 점착제는 통상 높은 응집력을 필요로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점착층을 부착하여 편광판을 제조하고, 이를 액정표시장치에 부착 후 열 또는 습열 조건 하에서 장시간 사용하면, 편광판 수축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는 현상이 나타나게 되어,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점착제층의 응력완화 기능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1-66283호는 편광판의 표면에 알킬기의 탄소수가 1~12의 (메타)아크릴산 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로 되는 점착제층이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편광판에 있어서, 이에 점착제층이 중량 평균 분자량 10만 이하의 폴리머 성분을 15중량%이하 함유하고 또한 중량 평균 분자량 100만 이상의 폴리머 성분을 10중량%이상 함유하는 아크릴계 폴리머로부터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 편광판의 발명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고분자량 폴리머의 함유량이 높은 점착제를 사용한 편광판은 점착 내구 신뢰성을 변화시키지는 않는 것은 가능하지만, 점착제의 응집력(탄성률)이 크기 때문에 편광판의 치수 변화에 의한 응력 집중을 완화시키기는 어렵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998-079266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 100중량부와 중량 평균 분자량이 3만 이하인 저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 20~200중량부와 다관능성 가교제 화합물 0.005~5중량부로 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통해 응력 완화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기의 3만 이하의 저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첨가량이 너무 많고 상용성이 부족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에 따른 저분자량체의 표면 이행성 때문에 고온 고습 조건에서 발생하는 기포 또는 박리 현상과 같은 내구 신뢰성을 만족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특히 장기간 사용 시 저분자량체의 표면 이행 특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내구 신뢰성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저분자량체의 조성물에 관한 기술적 사고에 관해서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2-47468호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80만~200만인 관능기를 가지는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와 중량 평균 분자량이 5만 이하, 또는 분산도가 1.0~2.5인 관능기를 갖지 않는 저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5~50중량부와 가교제와 실란 화합물로 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통해 응력 완화 특성을 부여 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장기간 사용 시 저분자량체의 표면 이행 특성으로 인해 사용 시 시간에 따른 접착력의 불균일성과 내구 신뢰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분자량체와의 상용성면을 고려한 저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조성물에 관한 언급이 되어 있지 않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3-49141호는 중량 평균 분자량 100만~200만인 관능기를 포함한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중량 평균 분자량 3만~30만인 관능기가 2개 미만 함유된 중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20,000(분산도 1.0~2.5)인, 관능기를 갖지 않는 저분자량의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가교제로 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을 통해 응력 완화 특성을 부여함으로써 빛샘 현상을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관능기가 함유된 중분자량의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포함되어 있으나, 관능기를 갖지 않는 저분자량의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장기간 사용시 표면 이행 특성으로 인한 내구 신뢰성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고분자량체와의 상용성을 고려한 저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조성물에 관한 언급이 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점착제의 응력 완화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화학 결합에 의한 가교밀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으나, 이들만으로는 편광판의 응력 집중을 해소하기에 불충분하며, 가교밀도를 지나치게 낮출 경우에는 내구성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고온 고습 조건에서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발생할 수 있는 내구 신뢰성 등의 편광판 제품의 주요 특성을 거의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빛샘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새로운 편광판용 점착제의 개발 및 이를 적용한 편광판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점착 내구 신뢰성 등의 주요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으면서 동시에 빛샘 현상을 개선시킬 수 있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특성을 가지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한 특성을 가지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다관능성 가교제에 대하여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및/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로 공중합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상기 a)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b) a)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주쇄성분과 동일한 단량체를 포함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 내지 30,000이며, 하기 가교제와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공중합체 한 분자당 평균 0.01 내지 1개를 함유한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5 내지 20중량부; 및 c) 다관능성 가교제 0.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a)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91.0 내지 99.9중량부 및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에 대하여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및/또는 아크릴계 단량체 0.1 내지 9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탄소수가 2 내지 8 인 알킬 에스테르로서,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a)의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인산 및 말레인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c)의 다관능성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용액중합법, 광중합법, 벌크중합법, 서스펜션 중합법, 및 에멀전 중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밀도는 5 내지 95%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상기한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편광판을 제공한다.
상기 점착편광판은 보호층, 반사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필름 및 휘도 향상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편광판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는 빛샘 현상을 개선시키기 위해 고분자량 공중합체에 가소제, 또는 임의의 저분자량 공중합체를 첨가함으로써 점착제에 응력 완화 기능을 부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는 고분자량체의 네트워크 구조 중에 저분자량체가 존재함으로써 유동성을 높여 편광판의 수축 또는 팽창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 집중을 완화시켜 빛샘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준다. 그러나, 저분자량체의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시 표면 이행으로 인한 내구 신뢰성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저분자량 공중합체의 표면 이행으로 인한 내구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고분자량 공중합체와 상용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즉, 저분자량 공중합체의 주쇄는 고분자량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주쇄와 동일한 단량체로 이루어져야 하며, 저분자량 공중합체 한 분자당 다관능성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평균 0.01~1개 함유함으로써 저분자량체의 표면 이행으로 인한 내구성 문제가 없으며 저분자량체에 의한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지 않아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어, 내구 신뢰성과 빛샘 현상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다관능성 가교제를 통해 이루어진 점착제 조성물로서,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단량체와 동일한 (메타)아크릴 단량체로서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저분자량체 한 분자당 관능기를 평균 0.01~1개 가짐으로써 저분자량체의 표면이행성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점착 내구 신뢰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응력 완화 특성을 효과적으로 부여하여 빛샘 현상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은 여러 가지 형태의 아크릴계, 실리콘계, 고무계, 우레탄계, 폴리에스터계, 에폭시계 등의 광학적으로 사용되는 제반 점착, 접착소재에 제한 없이 적용될 수 있지만, 그 중에서 아크릴계 점착제가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의 각 성분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a)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고, 다관능성 가교제에 대하여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또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공중합체이다.
상기 a)의 (메타)아크릴계 점착제의 베이스 단량체인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알킬기가 장쇄 형태로 되면 점착제의 응집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고온 하에서 응집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가 91.0 내지 99.9중량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가 2 내지 8인 알킬에스테르에서 선택하는 것이 좋다. 이때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가 91.0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편광판과의 밀착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99.9중량부 초과일 경우에는 응집력 저하로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의 구체적인 예는,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 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 가능하다.
상기 a)의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 및 아크릴계 단량체는 가교제와 반응하여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 점착제의 응집력의 파괴가 일어나지 않도록 화학결합에 의한 응집력 또는 접착 강도를 부여한다. 상기 a)의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단량체 및 아크릴계 단량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함량은 0.1∼9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사용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고온 또는 고습 조건에서 응집 파괴가 일어나기 쉽고, 접착력 향상 효과가 저하된다. 또한, 상기 단량체의 함량이 9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되면 상용성이 감소하게 되어 표면 이행이 심하게 일어나게 되는 원인이 되며, 유동 특성을 감소시키고 응집력 상승으로 응력 완화능력이 저하된다.
상기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예로서는,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를 포함하는 단량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인산, 말레인산 무수물 등의 카르복실산을 포함하는 단량체가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량체들은 단독 또는 혼합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것이 필요하며, 바람직하게는 100만~200만인 것이 선택되어도 좋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미만인 경우는 응집력이 부족하여 고온 고습 조건 하에서 기포 또는 박리로 인한 내구 신뢰성에서 문제가 될 수 있으며, 200만 초과인 경우는 응력 집중을 완화시키는 능력이 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는 상기 b)의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다. 상기의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동일한 단량체로 제조되며, 폴리머 1분자당 다관능성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평균 0.01~1개 함유하여야 한다.
즉,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표면 이행성으로 인한 내구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가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와 동일한 단량체로 이루어져야 하며, 저분자량체 한 분자당 다관능성 가교제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평균 0.01~1개 함유하여야 저분자량체가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하지 않고 응력 집중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어 내구성 문제와 빛샘 현상을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다.
상기 b)의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2,000 ~ 30,000인 것이 적당하다.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미만인 경우는 점착 내구 신뢰성 면에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중량 평균 분자량이 30,000초과인 경우는 유연성이 저하되어 빛샘 현상을 개선시키기가 어렵다. 또한, b)의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a)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에 100중량부에 대하여 5~20중량부가 적당하다. 사용량에 있어서 5중량부 미만인 경우는 응력 집중을 충분히 완화시키지 못하며, 20중량부 초과인 경우는 응집력이 저하되어 내구신뢰성에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용액중합법, 광중합법, 벌크중합법, 서스펜션중합법 또는 에멀전 중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용액중합법을 사용하여 제조하며, 중합온도는 50℃∼140℃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량체들이 균일하게 혼합된 상태에서 개시제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중합 개시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 등의 아조계 중합개시제와 과산화벤조일, 과산화아세틸 등의 과산화물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저분자량체를 얻기 위해서는 중합개시제와 동시에 라우릴메르캅탄, n-도데실메르캅탄, n-옥틸메르캅탄 등의 메르캅탄계와 알파 메틸 스틸렌 다이머 등의 연쇄이동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에서, 상기 c)의 다관능성 가교제는 카르복실기 및 수산기 등과 반응함으로써 점착제의 응집력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교제의 함량은 a)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아지리딘계,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 이소시아네이트계가 사용상 용이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름 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이들의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폴리올과의 반응물 등이 있다. 또한, 에폭시계 가교제로는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티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N,N,N’,N’-테트라글리시딜에틸렌디아민, 글리세린 디글리시딜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지리딘계 가교제로는 N,N’-톨루엔-2,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N,N’-디페닐메탄-4,4`-비스(1-아지리딘카르복사이드), 트리에틸렌멜라민, 비스이소프로탈로일-1-(2-메틸아지리딘), 트리-1-아지리디닐포스핀옥사이드 등이 있다. 상기 금속 킬레이트계 가교제로는 알루미늄, 철, 아연, 주석, 티탄, 안티몬, 마그네슘, 바나듐 등의 다가 금속이 아세틸아세톤 또는 아세토초산에틸에 배위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한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가교제를 통상의 방법으로 혼합하여 얻을 수 있다.
이때, 다관능성 가교제는 점착층의 형성을 위하여 실시하는 배합과정에서 가교제의 관능기 가교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야만 균일한 코팅작업을 할 수 있다. 상기 코팅작업이 끝나고 건조 및 숙성과정을 거치면, 가교구조가 형성되어 탄성이 있으며 응집력이 강한 점착층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점착제의 강한 응집력에 의하여 점착제품의 내구신뢰성 등의 점착물성 및 절단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은 최적의 물적 균형을 고려할 때, 점착제의 가교밀도는 5 내지 95%, 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가교밀도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아크릴계 점착제의 겔함량 측정법을 통하여 용매에 용해되지 않은 가교구조를 형성한 부분의 양을 중량%로 얻은 수치를 말한다. 이때 점착제의 가교밀도가 5%미만일 경우에는 점착제의 응집력이 낮아지며, 기포 또는 박리와 같은 점착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95%초과일 경우에는 편광판의 수축에 의한 응력 집중을 충분히 완화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실란계 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유리판과 접착하는 경우에 접착 안정성을 향상시켜 내열내습 특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는 특히 고온 고습하에서 장시간 방치되었을 경우 접착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하며, 그 함량은 아크릴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 내지 5중량부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계 커플링제 화합물로는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르캅토 프로필 트리메톡기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또는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세토아세테이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이며, 이들은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점착 성능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부여수지를 더욱 첨가할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0중량부의 범위에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성 부여수지가 과량 사용되면 점착제의 상용성 또는 응집력을 감소시키는 경우가 있어 주의하여 적절하게 첨가하여야 한다. 상기 점착성 부여 수지의 예로는, (수첨)하이드로카본계수지, (수첨)로진수지, (수첨)로진에스터수지, (수첨)터펜수지, (수첨)터펜페놀수지, 중합로진수지, 중합로진에스터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본 발명은 특정한 목적을 위하여 가소제, 에폭시 레진 및 경화제 등을 추가로 혼합 사용할 수 있고,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조색제, 보강제, 충진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등을 일반적인 목적에 따라 적절히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편광필름의 점착층으로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 필름의 한쪽 또는 양쪽면에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는 점착제층을 포함하며, 편광판을 구성하는 편광필름 또는 편광소자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상기 편광 필름의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로 된 필름에 요오드 또는 이색성 염료 등의 편광 성분을 함유시켜 연신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필름 등이 있으며, 이들 편광 필름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통상적인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폴리비닐알콜계 수지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포르말, 폴리비닐아세탈 및 에틸렌, 초산 비닐 공중합체의 검화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편광 필름의 양면에는 트리아세틸 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폴리에테르설폰계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나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에틸렌 프로필렌 공중합체와 같은 폴리올레핀계 등의 보호필름이 적층된 다층 필름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이들 보호필름의 두께도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통상적인 두께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편광필름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방법은 특별한 제한이 없고, 이 편광 필름 표면에 직접 바코터 등을 사용하여 상기 점착제를 도포하여 건조시키는 방법, 또는 상기 점착제를 일단 박리성 기재 표면에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이 박리성 기재표면에 형성된 점착제층을 편광 필름 표면에 전사하고 이어서 숙성시키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에는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필름, 및 휘도향상필름 등의 추가기능을 제공하는 층이 1 종 이상 적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가 적용된 편광판은 통상적인 액정표시장치에 모두 적용가능하며, 그 액정패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점착편광판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여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점착내구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동시에 열 또는 습열 하에서 장기간 사용시에도 편광판의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완화시켜 빛샘 개선에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는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준비단계 1: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H-1제조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acrylate: BA) 88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acrylate: EA) 10중량부, 아크릴산(acrylic acid: AA) 2중량부로 구성되는 단량체들의 혼합물을 투입하였다. 그리고, 용제로서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EAc) 12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간 퍼징(purging)한 후, 온도는 60℃로 유지하고, 반응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azobisisobutyronitrile: AIBN) 0.03중량부를 45% 농도로 에틸아세테이트에 희석시켜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후 에틸아세테이트(EAc)로 희석하여 고형분 17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160만인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H-1을 제조하였다.
준비단계 2: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H-2, H-3 제조
상기 준비단계 1에서 하기 표 1과 같이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H-1의 조성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일부를 첨가하지 않거나 부분 첨가하고, 용제로서 에틸아세테이트 150중량부를 투입한 것을 제외하고는 준비단계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H-2와 H-3를 제조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값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준비단계 3: 저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L-1제조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 반응기에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같이, n-부틸아크릴레이트 95.3중량부, 에틸아크릴레이트 4.0중량부, 아크릴산 0.7중량부로 구성되는 단량체들의 혼합물과 연쇄 이동제인 도데실 메르캅탄(dodecylmercaptan: DDM) 2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리고, 용제로서 에틸아세테이트 12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60분간 퍼징한 후, 온도는 60℃로 유지하고, 반응 개시제인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03중량부를 45% 농도로 에틸아세테이트에 희석시켜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고형분 45중량%, 중량 평균 분자량이 1만인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L-1을 제조하였다.
준비단계 4: 아크릴계 공중합체 L-2 ~ L-5 제조
상기 준비단계 3에서 하기 표 1과 같이 아크릴계 공중합체 L-1의 조성을 기준으로 각 성분의 일부를 첨가하지 않거나 부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준비단계 3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저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L-2 ~ L-5를 제조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값은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배합>
상기의 준비단계에서 얻어진 고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H-1 고형분 100중량부에 대하여 저분자량 아크릴계 공중합체 L-1를 고형분 15중량부가 되도록 혼합하였으며, 여기에 다관능성 가교제로 이소시아네이트계 트리메틸올프로판의 톨리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가물(TDI-1) 0.5중량부를 투입하고 코팅성을 고려하여 적정의 농도로 희석하여 균일하게 혼합한 후 이형지에 코팅하여 건조한 후 30미크론의 균일한 점착층을 얻었다.
<합판 과정>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층을 두께 185미크론의 요오드계 편광판에 점착 가공하였다. 얻어진 편광판을 적절한 크기로 절단하여 평가에 사용하였으며, 상기 점착제가 적용된 편광판에 관하여 이하의 평가를 한 결과를 하기의 표 2 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내구신뢰성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점착제가 코팅된 편광판(90㎜×170㎜)을 유리기판(110㎜×190㎜×0.7㎜)에 양면으로 광학 흡수축이 크로스된 상태로 부착시켰다. 이때 가해진 압력은 약 5㎏/㎠으로 기포나 이물이 생기지 않도록 크린룸 작업을 하였다. 이 시편들을 내습열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60℃의 온도 및 90%의 상대습도 조건하에서 1000시간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내열특성은 80℃의 온도에서 10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시편의 상태를 평가하기 직전에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실시하였다. 또한,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 편광판을 5개월이상 방치 후 상기의 방법으로 신뢰성을 평가하였다. 신뢰성에 대한 평가기준은 다음과 같다.
○: 기포나 박리현상 없음
△: 기포나 박리현상 약간 발생
×: 기포나 박리현상 다량 발생
광투과 균일성(빛샘)
상기와 동일한 시편을 사용하여 광투과도의 균일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백라이트를 이용하여 암실에서 빛이 새어 나오는 부분이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광투과 균일성을 시험하는 방법으로는 코팅된 편광판(200㎜×200㎜)을 유리기판 (210㎜×210㎜×0.7㎜)에 90도로 교차하여 양면에 부착하여 관찰하는 방법을 채택하였다. 광투과성의 균일성은 다음과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 육안으로 판단하기 어려움
△: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 약간 있음
×: 광투과성의 불균일현상 다량 있음
[실시예 2 내지 3]
하기 표 2의 배합비와 같이 실시예 1의 배합을 기준으로 일부를 배합하지 않거나 부분배합 함으로써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배합 및 합판 과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내구신뢰성 및 광투과 균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내지 6]
하기 표 2의 배합비와 같이 실시예 1의 배합을 기준으로 일부를 배합하지 않거나 부분배합 함으로써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배합 및 합판 과정을 실시하였다. 이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내구신뢰성 및 광투과 균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 조성
H-1 H-2 H-3 L-1 L-2 L-3 L-4 L-5
공중합체조성(중량부) 단량체 n-BA 88.0 91.0 98.0 95.3 99.3 92.0 96.9 89.3
EA 10.0 5.0 4.0 6.0 3.0
BzA 10.0
2-HEMA 2.0 0.7 0.7
AA 2.0 4.0 0.7 2.0 0.1
연쇄이동제 DDM 2.0 10.0 0.7 0.4 10.0
중합개시제 AIBN 0.03 0.03 0.03 0.03 0.03 0.03 0.03 0.03
용제 EAc 120 150 150 120 120 120 120 120
중량평균분자량(만) 160 80 120 1.0 0.3 2.5 9.0 0.3
평균관능기개수 0.537 0.291 3.828 0.690 0.290
상기 표 1에서, 약어는 다음과 같다.
n-BA: n-부틸아크릴레이트, EA: 에틸아크릴레이트, BzA: 벤질아크릴레이트, 2-HEMA: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AA: 아크릴산, AIBN: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DDM: 도데실메르캅탄, EAc: 에틸아세테이트
아크릴계 공중합체 배합 조성 및 물성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배합조성(중량부) H-1 100 100 100 100 100 100
H-2 100
H-3 100 100
L-1 17 12 15 30 2
L-2 5
L-3 15
L-4 13
L-5 10
가교제 0.5 0.5 0.5 0.5 0.5 0.5 0.5 0.5 0.5
내구신뢰성 × × ×
광투과균일성 × × ×
상기 표 2의 결과에서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내구신뢰성 및 광투과 균일성이 모두 양호하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80만인 비교예 1,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30중량부를 포함하는 비교예 2 그리고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공중합하는 단량체와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를 공중합하는 단량체가 동일하지 않는 비교예 6의 경우는 내구신뢰성이 매우 불량하였다. 또한,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2중량부를 포함하는 비교예 3,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반응성 관능기가 0.01~1개가 아닌 비교예 4 그리고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30,000이 아닌 비교예 5의 경우는 광투과 균일성이 다소 또는 심하게 불량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점착내구성 등의 주요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열 또는 습열 조건하에서 장기간 사용시 편광판의 수축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을 완화시켜 빛샘 개선에 효과가 있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을 액정표시장치의 편광판에 적용하여 장시간 사용하여도 응력 집중에 의한 빛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를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Claims (10)

  1. a)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다관능성 가교제에 대하여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및/또는 아크릴계 단량체로 공중합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만 이상인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상기 a)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b) a)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주쇄성분과 동일한 단량체를 포함하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 내지 30,000이며, 하기 가교제와 반응성을 가지는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를 공중합체 한 분자당 평균 0.01 내지 1개를 함유한 저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 5 내지 20중량부; 및
    c) 다관능성 가교제 0.01 내지 10중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고분자량 (메타)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91.0 내지 99.9중량부 및 상기 다관능성 가교제에 대하여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비닐계 및/또는 아크릴계 단량체 0.1 내지 9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는 탄소수가 2 내지 8 인 알킬 에스테르로서,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에틸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의 가교가능한 관능기를 포함하는 단량체는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이중체, 이타콘산, 말레인산 및 말레인산 무수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의 다관능성 가교제는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지리딘계 화합물, 및 금속 킬레이트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가 용액중합법, 광중합법, 벌크중합법, 서스펜션 중합법, 및 에멀전 중합법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의 가교밀도는 5 내지 95%임을 특징으로 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8. 편광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편광판.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편광판은 보호층, 반사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필름 및 휘도 향상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층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착편광판.
  10. 제 8항 또는 제 9항의 점착편광판을 액정 셀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합하는 액정패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40028355A 2004-04-23 2004-04-23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668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355A KR100668943B1 (ko) 2004-04-23 2004-04-23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AT05764861T ATE503815T1 (de) 2004-04-23 2005-04-13 Acrylhaftklebstoffzusammensetzung für polarisationsfolie
DE602005027190T DE602005027190D1 (de) 2004-04-23 2005-04-13 Acrylhaftklebstoffzusammensetzung für polarisationsfolie
EP05764861A EP1737921B1 (en) 2004-04-23 2005-04-13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JP2006550965A JP4690344B2 (ja) 2004-04-23 2005-04-13 偏光板用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
PCT/KR2005/001070 WO2005113699A1 (en) 2004-04-23 2005-04-13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CNB2005800043449A CN100551985C (zh) 2004-04-23 2005-04-13 用于偏振膜的丙烯酸压敏粘合剂组合物
TW094112358A TWI316531B (en) 2004-04-23 2005-04-19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US11/109,951 US7462390B2 (en) 2004-04-23 2005-04-20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355A KR100668943B1 (ko) 2004-04-23 2004-04-23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2997A true KR20050102997A (ko) 2005-10-27
KR100668943B1 KR100668943B1 (ko) 2007-01-12

Family

ID=3513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355A KR100668943B1 (ko) 2004-04-23 2004-04-23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62390B2 (ko)
EP (1) EP1737921B1 (ko)
JP (1) JP4690344B2 (ko)
KR (1) KR100668943B1 (ko)
CN (1) CN100551985C (ko)
AT (1) ATE503815T1 (ko)
DE (1) DE602005027190D1 (ko)
TW (1) TWI316531B (ko)
WO (1) WO2005113699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653B1 (ko) * 2003-04-30 2007-07-09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점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부재
KR100768745B1 (ko) * 2005-09-13 2007-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KR100784995B1 (ko) * 2005-09-05 2007-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WO2008091050A1 (en) * 2007-01-23 2008-07-31 Lg Chem, Ltd. Optically compensat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aining the same
US8372492B2 (en) 2006-12-15 2013-02-12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KR101234931B1 (ko) * 2006-05-19 2013-02-19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기능성 필름 접합용 점착제, 광학 기능성 필름 및 그제조 방법
KR20150016561A (ko) * 2012-06-05 2015-02-12 닛뽕 카바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US9469663B2 (en) 2006-12-20 2016-10-18 Lg Chem, Ltd. Optically compensat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20170095783A (ko) * 2014-03-20 2017-08-23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1271A (ja) * 2005-07-21 2007-03-01 Nitto Denko Corp 粘着剤組成物、両面粘着テープ、接着方法及び携帯用電子機器
WO2007029936A1 (en) * 2005-09-05 2007-03-15 Lg Chem, Lt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or polarizing film
KR101177685B1 (ko) * 2005-09-20 2012-08-27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제층을 구비한 편광판
JP5000940B2 (ja) * 2006-01-13 2012-08-15 リンテック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粘着シート、粘着剤付き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学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TW200738838A (en) * 2006-04-13 2007-10-16 Daxon Technology In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ith improved weatherability and method for improving weatherability thereof
EP2035519B1 (en) 2006-06-20 2016-12-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dhesive compositions, adhesive articl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100932888B1 (ko) * 2006-07-21 2009-1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보상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편광판 및 액정표시소자
KR100990673B1 (ko) * 2006-11-01 2010-10-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 개시제기를 함유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955334B1 (ko) * 2007-01-31 201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빛샘 현상이 개선된 점착층을 가지는 편광판
JP5114811B2 (ja) * 2007-03-07 2013-01-09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および粘着加工光学フィルム
JP2008262104A (ja) * 2007-04-13 2008-10-30 Mgc Filsheet Co Ltd 多層構造の偏光板、および該偏光板を含む防眩製品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用の偏光板
JP5276314B2 (ja) * 2007-12-21 2013-08-28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接着剤組成物および接着フィルム
TWI488933B (zh) * 2008-02-01 2015-06-21 Lg Chemical Ltd 含有光學各向異性化合物之丙烯酸系壓感性黏著劑組合物、偏光板、及含彼之液晶顯示裝置
CN102131880B (zh) 2008-09-01 2014-08-06 日本电石工业株式会社 粘合剂组合物、粘合剂以及光学膜
JP5923231B2 (ja) * 2008-09-01 2016-05-24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光学フィルム、及び粘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KR20100059470A (ko) * 2008-11-26 2010-06-04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빛샘 제어용 점착제 조성물과 그 조성물이 도포된 디스플레이장치용 광학필름
KR100983026B1 (ko) * 2008-12-18 2010-09-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JP5595034B2 (ja) * 2009-12-28 2014-09-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PL2528830T3 (pl) 2010-01-28 2014-08-29 Avery Dennison Corp Pasowy układ aplikatora etykiet
US10029816B2 (en) 2010-05-26 2018-07-24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Pressure sensitive labels for use in a cold transfer method and process for making
JP5800469B2 (ja) * 2010-05-27 2015-10-28 綜研化学株式会社 光学部材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5562173B2 (ja) * 2010-08-19 2014-07-3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TWI522438B (zh) 2010-11-02 2016-02-21 Lg化學股份有限公司 黏著層及利用其封裝有機電子裝置之方法
JP5639448B2 (ja) * 2010-11-12 2014-12-10 リンテック株式会社 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アクリル系粘着剤及び粘着剤層付き光学部材
JP2012188513A (ja) * 2011-03-09 2012-10-04 Nitto Denko Corp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JP2012188512A (ja) * 2011-03-09 2012-10-04 Nitto Denko Corp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WO2012128294A1 (ja) * 2011-03-24 2012-09-27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KR101226218B1 (ko) * 2011-03-25 2013-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602670B2 (ja) * 2011-03-31 2014-10-08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5611880B2 (ja) * 2011-03-31 2014-10-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5595321B2 (ja) * 2011-03-31 2014-09-24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TWI564362B (zh) * 2011-05-10 2017-01-01 Dexerials Corp Double - sided adhesive tap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611129B2 (ja) * 2011-06-28 2014-10-22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性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JP5959867B2 (ja) * 2011-07-07 2016-08-02 日東電工株式会社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粘着剤及び粘着シート
JP5676381B2 (ja) * 2011-07-11 2015-02-25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シート、及び光学用積層シート
KR101435252B1 (ko) * 2012-03-30 2014-08-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테이프
US10563102B2 (en) 2012-10-31 2020-02-18 Avery Dennison Retail Information Services Llc Wash durable cold apply adhesive for apparel labeling and embellishment
JP6232723B2 (ja) * 2013-03-29 2017-11-22 東洋インキSc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粘着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粘着シート
CN106414642B (zh) * 2014-05-29 2019-04-05 3M创新有限公司 具有受控分子量的丙烯酸类粘合剂组合物
TWI526505B (zh) 2014-09-11 2016-03-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硬塗層組成物及應用其之偏光膜和顯示器
JP2017132871A (ja) * 2016-01-27 2017-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部材、光学部材、および電子部材
CN106398601A (zh) * 2016-09-06 2017-02-15 哈尔滨工业大学无锡新材料研究院 低剥离力自排泡型丙烯酸酯压敏胶及其制备方法
CN113025213A (zh) * 2021-03-18 2021-06-25 东莞市清鸿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高耐久智能穿戴密封胶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77622A (en) * 1980-02-08 1984-10-16 Rohm And Haas Company Contact adhesives
CA1194630A (en) * 1980-02-08 1985-10-01 Frank T. Sanderson Contact adhesives
JPS60207101A (ja) * 1984-03-31 1985-10-18 Sekisui Chem Co Ltd 偏光板
JP2549388B2 (ja) * 1987-09-08 1996-10-30 日東電工株式会社 感圧接着型偏光板
JPH1079266A (ja) 1996-09-03 1998-03-24 Yazaki Corp 圧接端子
JP3533589B2 (ja) * 1997-04-09 2004-05-31 綜研化学株式会社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偏光板
JP4672118B2 (ja) * 2000-08-02 2011-04-20 サイデン化学株式会社 粘着塗布型偏光板及びそれに用いる粘着剤組成物
JP4072309B2 (ja) * 2000-10-13 2008-04-09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及び偏光フィルム
CN1267519C (zh) * 2000-12-21 2006-08-02 Lg化学株式会社 用于偏振膜的丙烯酸力敏粘合剂组合物和用它制备的偏振膜
JP2003049143A (ja) * 2001-05-31 2003-02-21 Soken Chem & Eng Co Ltd 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及び該粘着剤を用いた光学フィルム
JP2003193014A (ja) * 2001-06-27 2003-07-09 Nippon Carbide Ind Co Inc 偏光フィルム用感圧接着剤組成物
JP4236148B2 (ja) * 2001-06-27 2009-03-11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用感圧接着剤組成物
JP2003049141A (ja) * 2001-08-03 2003-02-21 Saiden Chemical Industry Co Ltd 偏光板用粘着剤組成物
KR100446664B1 (ko) * 2002-02-20 2004-09-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JP4447234B2 (ja) * 2002-04-05 2010-04-07 日本カーバイド工業株式会社 偏光フィルム用感圧接着剤組成物及び偏光フィルム
JP2003329837A (ja) * 2002-05-15 2003-11-19 Nitto Denko Corp 粘着型光学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用粘着剤組成物および画像表示装置
US7138170B2 (en) * 2003-04-28 2006-11-21 Eastman Kodak Company Terminated conductive patterned sheet utilizing conductive conduits
US7252733B2 (en) * 2004-05-04 2007-08-07 Eastman Kodak Company Polarizer guarded cover sheet with adhesion promoter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653B1 (ko) * 2003-04-30 2007-07-09 도요 잉키 세이조 가부시끼가이샤 점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광학부재
KR100784995B1 (ko) * 2005-09-05 2007-12-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768745B1 (ko) * 2005-09-13 2007-10-1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 필름 및 이를 구비한 편광판
KR101234931B1 (ko) * 2006-05-19 2013-02-19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광학 기능성 필름 접합용 점착제, 광학 기능성 필름 및 그제조 방법
US8372492B2 (en) 2006-12-15 2013-02-12 Nitto Denko Corpora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optical film and image display
US9469663B2 (en) 2006-12-20 2016-10-18 Lg Chem, Ltd. Optically compensat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aining the same
WO2008091050A1 (en) * 2007-01-23 2008-07-31 Lg Chem, Ltd. Optically compensated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0948778B1 (ko) * 2007-01-23 2010-03-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보상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편광판 및 액정표시소자
KR20150016561A (ko) * 2012-06-05 2015-02-12 닛뽕 카바이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가 부착된 편광판 및 표시 장치
KR20170095783A (ko) * 2014-03-20 2017-08-23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101866285B1 (ko) * 2014-03-20 2018-06-11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KR20180066887A (ko) * 2014-03-20 2018-06-19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및 점착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62390B2 (en) 2008-12-09
EP1737921B1 (en) 2011-03-30
TWI316531B (en) 2009-11-01
TW200535204A (en) 2005-11-01
CN1918254A (zh) 2007-02-21
ATE503815T1 (de) 2011-04-15
CN100551985C (zh) 2009-10-21
JP2007518862A (ja) 2007-07-12
JP4690344B2 (ja) 2011-06-01
EP1737921A1 (en) 2007-01-03
US20050239965A1 (en) 2005-10-27
KR100668943B1 (ko) 2007-01-12
DE602005027190D1 (de) 2011-05-12
WO2005113699A1 (en) 2005-12-01
EP1737921A4 (en) 2007-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8943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932888B1 (ko) 광학 보상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편광판 및 액정표시소자
KR100831558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932887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594514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171977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KR100784995B1 (ko)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948778B1 (ko) 광학 보상된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편광판 및 액정표시소자
KR101019064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023839B1 (ko)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0990673B1 (ko) 광 개시제기를 함유하는 편광판용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0694446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수지 조성물
KR101133064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액정표시장치
KR100955334B1 (ko) 빛샘 현상이 개선된 점착층을 가지는 편광판
KR101233901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202532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202571B1 (ko)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0995508B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040076984A (ko) 편광판용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