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742A -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742A
KR20050087742A KR1020050065888A KR20050065888A KR20050087742A KR 20050087742 A KR20050087742 A KR 20050087742A KR 1020050065888 A KR1020050065888 A KR 1020050065888A KR 20050065888 A KR20050065888 A KR 20050065888A KR 20050087742 A KR20050087742 A KR 20050087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tobacillus
leuconostoc
weissella
lactic acid
acid bacter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2462B1 (ko
Inventor
장동일
이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콧데
이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콧데, 이정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콧데
Publication of KR20050087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blic Health (AREA)
  • Zoology (AREA)
  • On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치의 숙성 과정에서 출현하는 김치 유산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없는 안전성이 높은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사료, 식품, 의약품, 화장품과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Natural anti-virus and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김치의 숙성 과정에서 출현하는 김치 유산균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없는 안전성이 높은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사료, 식품, 의약품, 화장품과 같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매년 독감을 유행시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직경 1/10,000mm 정도의 엔벨롭(envelope)이 있는 RNA 바이러스이다. 그 항원성의 차이로부터 A, B, C의 3개형으로 분류되지만 유행적인 확산을 보이는 것은 A, B형이다. 이들 바이러스의 입자 표면에는 적혈구 응집소(HA)와 뉴라미데이지(neuramidase; NA)라는 2종류의 당단백이 스파이크 상으로 돌출되어 있고, 내부에는 8개로 분절된 유전자 RNA가 존재한다.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HA와 NA는 동일한 아형 내에서 변이를 번번이 일으키고, 매년 새로운 항원변이주가 출현한다.
기침에 의한 비말에 의해 방출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사람의 코나 입에 침입해 바이러스 표층의 스파이크상 당단백질 HA에 의해 상기도의 점막 상피세포에 흡착되고 세포에 침입 후 증식을 개시한다. 그 동안의 연구에 의해 바이러스 감염 메카니즘이 명확하게 되었는데, 바이러스는 사람의 표적세포의 표층에 존재하는 당쇄로 된 리셉터에 결합하고, 엔도좀으로 둘러싸여져 바이러스막과 엔도좀막의 융합에 의해 세포내로 침입하고 바이러스 유전자의 전사와 복제, 그리고 숙주세포막에서의 출아에 의해 자손 바이러스 입자를 형성해서 증식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에 의해 수일동안 돌연한 발열, 두통, 관절의 통증, 전신권태감 등의 증상이 나타나고, 이와 전후하여 기침이나 목의 통증, 콧물, 코막힘 등의 호흡기 증상이 나타난다. 소위 감기와는 다르며, 감염력이 강해서 단기간에 폭발적인 유행을 일으키는 것이 특징이다. 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HA 단백질 구조는 매년마다 변이를 되풀이하며 과거의 감염에 의해 생겨난 항체가 그다지 유행하지 않은 것도 감염을 확신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피세포에의 흡착 저해, 세포에의 침입 저해, 유전자의 전사, 복제 억제, 단백질 합성 저해, 세포에서의 방출 억제 등이 고려될 수 있고, 각각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의 타겟이 되고 있다. 현재까지는 아만타딘, 리만타딘, 자나미빌 등이 항바이러스제로 개발되었지만 과민증, 정신신경 증상, 소화기계 증상, 자율신경계 증상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어 그 응용에 관해서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기도 점막상피에 감염, 증식하는 것이며, 백신의 접종에 의해 감염을 억제하는 것은 유행하는 바이러스의 형과 백신의 바이러스의 형이 맞지 않으면 효과가 적은 문제점이 있어 백신에 의한 예방에는 한계가 있으며, 현재 가장 유효한 예방책은 잦은 양치질과 목의 건조를 피하는 것, 영양과 휴식을 충분히 취하는 것 등이라고 알려져 있을 뿐 효과적인 치료법이나 예방책은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이유에서 감염 억제 효과가 높고 또한 안정성에 문제가 없으며 일상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의 개발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양계산업에 가장 큰 피해와 위협을 주는 것은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가금 인플루엔자는 양계산업뿐만이 아니고 전인류의 재앙으로까지 거론되고 있다. 중국과 동남아시아 국가에서 H5N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HPAI)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고, 현재 추세로 간다면 이들 국가에서 인플루엔자가 근절되기는커녕 새로운 변이형에 의하여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인도네시아에서는 이미 방역통제가 불가능하고 중국에서는 오리나 야생조류에서 다양한 종류의 고병원성 H5N1 바이러스가 다수 분리되고 있기 때문에 질병을 제압하는 속도보다 확산되는 속도가 더 빨라서 예방접종 외에는 대안이 없어 지역적으로 백신접종을 하고 있다.
베트남과 태국에서도 계속적인 인체감염과 사망 사례가 보도되고 있고 좀처럼 진정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태국은 세계적인 가금육 수출산업의 위상을 고려하여 도살처분 정책과 함께 백신금지 정책을 고수하고 있고, 조기 근절을 위하여 백신을 몰래 접종하는 농가는 벌금까지 물리는 강경책으로 맞서고 있다. 백신을 접종하면 국가적인 박멸이 매우 어려워 태국산 가금육의 수출은 포기해야 하기 때문이다.
닭전염성 기관지염(IB)은 양계 산업을 갖고 있는 모든 국가에서 예외없이 생산성에 막대한 피해를 주는 대표적인 질병이다. ND(뉴캐슬병)나 AI(조류인플루엔자)를 종식시킨 나라는 있어도 IB를 종식시킨 나라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수의과학검역원 조류질병과 병성감정 결과 IB로 판정된 것이 2001년에는 총 검색 건 중 6%, 2002년에는 5.2%로 조류바이러스성 질병 중 제일 많은 검색 실적을 나타내고 있다. IB바이러스는 코로나 바이러스속에 속하며 믿을 수 없을 정도로 간단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지금도 세계각지에서 바이러스가 변이되고 있어 움직이는 바이러스라 불린다 . 변이의 주된 원인은 혈청형이 다른 IB바이러스의 혼합감염에 의한 유전자 재조합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2종류 이상의 IB바이러스가 동시에 감염되면, 같은 세포 속에서 자라면서 유전자재조합이 이루어지고, 원래의 바이러스 성질과는 다른 특징을 갖는 새로운 바이러스가 생성된다. 즉 약독 백신 바이러스와 강독 야외 바이러스가 유전자 재조합이 되면, 두 바이러스의 장점인 증식성과 병원성이 합쳐 질 확률이 높아지며, 이 바이러스는 전파력이 높은 무서운 질병의 원인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외국에서 사용되는 약독 백신이라고 해도 함부로 국내에 도입해서는 안 된다.
다양한 혈청형과 변종의 지속적인 출현, 다른 어떠한 질병보다도 빠른 전파력(잠복기 18∼36시간), 계군 내 지속적인 생존능력(농장 상재화) 등이 IB 바이러스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또한 혈중항체에 의한 방어능력이나 혈청형 간의 교차면역이 제한적이며 2종류 이상의 혈청형이 동시에 계군을 공격함으로써 백신만으로 방어한다는 자체가 어렵다.
뉴캐슬병 (ND)도 바이러스의 일종인 뉴캐슬병 바이러스에 의하여 발생하는 1종 법종 전염병으로 매년 국내 농가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현재 뉴캐슬병 바이러스를 불활화시킨 백신이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발생빈도가 줄어들지 않고 있어 바이러스 질환의 가장 큰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현재 양계 농가에서 조류질병을 억제하는 데는 3가지 방어선이 있다. 1차 저지선은 차단방역(Biosecurity)이며 2차 저지선은 백신(vaccination), 3차 저지선은 계군 자체의 면역 시스템(immune system)이다. 그러나 실제 농장 내 발생했다면 역으로 IB 바이러스는 농장의 차단 방역선을 유유히 넘어 백신을 무력화시킨 후 닭의 면역시스템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닭 몸속 여러 곳곳을 돌아다니며 질병을 유발하고 몸을 망가뜨리고 있는 실정이나 바이러스를 죽이는 치료제나 면역시스템을 획기적으로 올려주는 복합적 기능의 치료개선제가 꼭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닭전염성 기관지염 바이러스 등의 감염에 대한 높은 억제 효과를 나타내고 부작용이 없어 안전성이 높은 천연 항바이러스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천연 항바이러스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여 여러 제품으로 응용될 수 있는 조성물을 제고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김치의 숙성 과정에서 출현하는 김치 유산균의 배양약, 배양약의 농축액,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천연 항바이러스제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항바이러스제에 있어서, 상기 김치 유산균이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속 김치 유산균, 웨이셀라(Weissella)속 김치 유산균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항바이러스제에 있어서, 상기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김치 유산균은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덱스트라니쿰(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메젠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아르젠티눔(Leuconostoc argentinum), 류코노스톡 카르노숨(Leuconostoc carnosum), 류코노스톡 젤리둠(Leuconostoc gellid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인해(Leuconostoc inhae), 류코노스톡 가시코 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항바이러스제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속 김치 유산균은 락토바실루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루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루스 김치아이(Lactobacillus kimchii), 락토바실루스 파라플란타룸(Lactobacillus paraplantarum), 락토바실루스 쿠르바투스 서브시피.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subsp. curvatus), 락토바실루스 사케이 서브시피.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subsp. sakei)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항바이러스제에 있어서, 상기 웨이셀라(Weissella)속 김치 유산균이 웨이셀라 코레엔시스(Weissella koreensi), 웨이셀라 하니아이(Weissella hanii), 웨이셀라 김치아이(Weissella kimchii), 웨이셀라솔리(Weissella soli), 웨이셀라 콘푸사(Weissella confusa)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김치의 숙성 과정에서 출현하는 김치 유산균의 배양약, 배양약의 농축액,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천연 항바이러스제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음료, 사료,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무·배추 및 오이 등을 소금에 절인 것 또는 이 절인 것을 고추·마늘·파·생강·젓갈 등의 양념을 버무린 후 젖산 생성에 의해 숙성되어 저온에서 발효된 제품인 김치의 발효 과정에서 출현하는 김치 유산균의 배양액이 항바이러스제의 역할을 할 수 있고, 항바이러스 스펙트럼이 광범위한 다기능성 천연 항바이러스제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완성된 것으로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변경되거나 축소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김치 유산균의 배양액의 제조
배양액 제조를 위하여 김치 유산균 중에서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KCTC2386),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메젠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KCTC3530),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KCTC3524),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KCTC3528),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euconostoc plantarum)(KCCM11322), 웨이셀라 코레엔시스(Weissella Koreensis)(KJCTC3746)를 이용하였다.
100 ml의 MRS(Difco) broth를 121℃에서 15분간 고압멸균 후, 상기 김치 유산균을 접종하고 30℃에서 16시간 동안 진탕 배양하였다.
상기 배양액을 5000 X g로 3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하고, 이 상등액을 pore size 0.22 ㎛인 여과막 (membrane filter) 을 이용하여 여과하여 bacteria-free 상태의 배양액을 수득하였다.
이어서, 상기 배양액을 10,000 Da membrane을 통과시켜 여과액을 취한 후, 1,000 Da membrane으로 농축하였으며, 농축한 배양액을 bacteria-free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pore size 0.22㎛인 여과막 (membrane filter) 을 이용해 여과하여 최종 실험용 배양액을 얻었다. 이 배양액의 최종 pH는 항상 7이 되도록 조정하여 pH에 의한 효과를 배제시켰다.
-조류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 시험-
조류 독감 바이러스인 HK/220를 단일층(mono-layer)으로 자란 동물세포주(MDCK cell line Madin-Darby canine의 Kidney, CEFcell line: Chicken embryo fibroblast )에 바이러스를 감염시켰으며, 이를 3일간 배양한 후 생성된 플라크(plaque)의 형성을 통해서 바이러스에 감염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플레이트에 단층으로 80%이상 자란 MDCK 혹은 CEF 동물세포주에 PBS(pH 7.4)로 10-3비율로 희석된 조류 독감 엔자바이러스와 동일한 완충용액으로 희석된 김치 유산균 배양액을 혼합하여 감염시킨 후 3일간 배양하고 고정화 과정과 뉴트랄 레드(neutral red)를 통한 염색으로 플라크의 형성 정도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냈다.
[표 1]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김치 유산균 배양액을 넣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1.3~1.6 X 102개의 플라크가 형성된 반면에 김치 유산균 배양액을 첨가하여 감염시킨 경우 플라크의 개수가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유산균 배양액이 조류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매우 강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 시험-
독감 바이러스로 A1H3N2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조류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효과 시험에서와 동일한 방법을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유산균 배양액을 이용한 효과시험을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표 2]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김치 유산균 배양액을 넣지 않은 대조군의 경우 1.3~1.6 X 102개의 플라크가 형성된 반면에 김치 유산균 배양액을 첨가하여 감염시킨 경우 플라크의 개수가 현저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유산균 배양액이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매우 강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김치 유산균 배양액의 동물 시험-
조류 독감과 뉴캐슬병의 복합 증세로 산란율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는 산란계 1100마리를 선정하여 무작위로 각 110마리 씩 구분하여 10개의 계군에 김치 유산균류를 배양하여 얻은 김치 유산균 배양액을 계군에 음수에 1/10씩 희석하여 제공하고 17일간 각 계군의 산란율의 변화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표 3의 샘플 1은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KCTC2386)의 배양액, 샘플 2는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메젠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KCTC3530)의 배양액, 샘플 3은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KCTC3524)의 배양액, 샘플 4는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KCTC3528)의 배양액, 샘플 5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KCCM11322)의 배양액, 샘플 6은 웨이셀라 코레엔시스(Weissella koreensis) (KCTC3746)의 배양액, 샘플 7은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메젠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KCTC3530)의 배양액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KCCM11322)의 배양액의 혼합물, 샘플 8은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KCTC2386)의 배양액과 웨이셀라 코레엔시스(Weissella koreensis) (KCTC3746)의 배양액의 혼합물, 샘플 9는 웨이셀라 코레엔시스(Weissella koreensis) (KCTC3746)의 배양액과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KCCMll322)의 배양액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표 3]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현 바이러스 질병에 감염되어 산란율이 떨어지고 설사를 하며 호흡기 이상을 보인 계군에 음수 투여하여 10일 이후에는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산란율도 정상계의 수준으로 회복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유산균의 배양액은 in vivo상에서도 매우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김치 유산균 배양액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실험을 생략하였으나, 김치는 오랜 기간 동안 인간에 섭취되면서 그 안전성이 입증된 것이므로 별도의 실험이 없어도 본 발명에 김치 유산균 배양액의 안정성은 확보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김치 유산균의 배양액을 산란계의 음용수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시험이외에 다른 식품, 사료, 음료, 화장품, 의약품 등에 혼합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에 대하여 구체적인 시험을 하지는 않았으나, 항바이러스 활성이 그대로 유지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한 사항이라고 사료된다.
그리고 적용 대상의 특성, 적용 대상의 제조, 유통, 보관 및 사용 양태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양액의 함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조성물의 안정성 시험 등을 통해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치 유산균 배양액은 매우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가지고 있으며, 이를 활용하는 경우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음료, 사료,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에 항바이러스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Claims (11)

  1. 김치의 숙성 과정에서 출현하는 김치 유산균의 배양약, 배양약의 농축액,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천연 항바이러스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 유산균이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속 김치 유산균, 웨이셀라(Weissella)속 김치 유산균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바이러스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김치 유산균이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덱스트라니쿰(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메젠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아르젠티눔(Leuconostoc argentinum), 류코노스톡 카르노숨(Leuconostoc carnosum), 류코노스톡 젤리둠(Leuconostoc gellid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인해(Leuconostoc inhae),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바이러스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속 김치 유산균이 락토바실루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루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루스 김치아이(Lactobacillus kimchii), 락토바실루스 파라플란타룸(Lactobacillus paraplantarum), 락토바실루스 쿠르바투스 서브시피.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subsp. curvatus), 락토바실루스 사케이 서브시피.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subsp. sakei)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바이러스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셀라(Weissella)속 김치 유산균이 웨이셀라 코레엔시스(Weissella koreensi), 웨이셀라 하니아이(Weissella hanii), 웨이셀라 김치아이(Weissella kimchii), 웨이셀라 솔리(Weissella soli), 웨이셀라 콘푸사(Weissella confusa)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바이러스제.
  6. 김치의 숙성 과정에서 출현하는 김치 유산균의 배양약, 배양약의 농축액, 배양액의 건조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천연 항바이러스제를 활성 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김치 유산균이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김치 유산균,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속 김치 유산균, 웨이셀라(Weissella)속 김치 유산균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바이러스제. 항바이러스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류코노스톡(Leuconostoc)속 김치 유산균이 류코노스톡 시트레움(Leuconostoc citreum), 류코노스톡 락티스(Leuconostoc lactis),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덱스트라니쿰(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dextranicum), 류코노스톡 메젠테로이드 서브스피. 메젠테로이드(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류코노스톡 아르젠티눔(Leuconostoc argentinum), 류코노스톡 카르노숨(Leuconostoc carnosum), 류코노스톡 젤리둠(Leuconostoc gellidum), 류코노스톡 김치아이(Leuconostoc kimchii), 류코노스톡 인해(Leuconostoc inhae), 류코노스톡 가시코미타툼(Leuconostoc gasicomitatum)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바이러스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락토바실루스(Lactobacillus)속 김치 유산균이 락토바실루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락토바실루스 애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루스 불가리커스(Lactobacillus bulgaricus),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루스 김치아이(Lactobacillus kimchii), 락토바실루스 파라플란타룸(Lactobacillus paraplantarum), 락토바실루스 쿠르바투스 서브시피. 쿠르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subsp. curvatus), 락토바실루스 사케이 서브시피. 사케이(Lactobacillus sakei subsp. sakei)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바이러스제.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셀라(Weissella)속 김치 유산균이 웨이셀라 코레엔시스(Weissella koreensi), 웨이셀라 하니아이(Weissella hanii), 웨이셀라 김치아이(Weissella kimchii), 웨이셀라 솔리(Weissella soli), 웨이셀라 콘푸사(Weissella confusa) 및 이들의 혼합 유산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항바이러스제.
  11. 제 6항, 제 7항, 제 8항, 제 9항 및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음료, 사료,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KR1020050065888A 2004-07-20 2005-07-20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5524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56532 2004-07-20
KR1020040056532 2004-07-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742A true KR20050087742A (ko) 2005-08-31
KR100552462B1 KR100552462B1 (ko) 2006-02-21

Family

ID=3578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888A KR100552462B1 (ko) 2004-07-20 2005-07-20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781308A4 (ko)
KR (1) KR100552462B1 (ko)
CN (2) CN1997378B (ko)
BR (1) BRPI0513466A (ko)
WO (1) WO2006009395A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8476A3 (en) * 2005-11-15 2007-10-18 Lg Electronics Inc Antimicrobial coating based on kimchi lactic acid bacteria
KR100833355B1 (ko) * 2006-04-06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공기 조화기
KR100860784B1 (ko) * 2006-06-02 2008-09-29 주식회사 리스나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KR100869287B1 (ko) * 2006-03-22 2008-11-18 신현길 콜레스테롤이 저감된 계란 및 그 생산방법
KR100872910B1 (ko) * 2007-10-25 2008-12-10 두두원발효(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요구르트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조류독감, 독감 및 사스의 호흡기성 급성전염질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0887317B1 (ko) * 2007-06-21 2009-03-26 주식회사 원바이오 새우 양식용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13077500A1 (ko) * 2011-11-24 2013-05-30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269595B1 (ko) * 2010-12-09 2013-06-0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이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9022373A3 (ko) * 2017-07-25 2019-04-11 주식회사 콧데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조성물
KR20210144288A (ko) 2020-05-22 2021-11-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매스틱 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8475A2 (en) 2005-11-15 2007-05-24 Lg Electronics, Inc. Molded articles with antimicrobial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20070051584A (ko) * 2005-11-15 2007-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유산균 발효물을 이용하여 물체의 표면에 항균성을부여하는 방법
WO2007108583A1 (en) * 2006-03-22 2007-09-27 Heuyn Kil Shin Lactic acid bacterium for reducing cholesterol in blood and a method for producing cholesterol reduced egg using the bacterium
KR100808910B1 (ko) 2006-10-19 2008-03-03 주식회사 씨티씨바이오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진 신규한 유산균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CN101371718B (zh) * 2008-10-10 2012-04-25 李绩 一种泡菜发酵液饮料及其生产方法
KR100954882B1 (ko) * 2009-06-17 2010-04-28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1062555B1 (ko) * 2011-01-11 2011-09-06 광주시농업기술센터 축산용 생균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ITRM20120635A1 (it) * 2012-12-12 2014-06-13 Stefano Trovo' "composizione utile per il controllo biologico delle malattie delle api"
WO2015021530A1 (en) * 2013-08-12 2015-02-19 Mansel Griffiths Antiviral methods and compositions comprising probiotic bacterial molecules
KR101575792B1 (ko) 2014-03-21 2015-12-08 충청북도 청주시(농업기술센터장) 유기산을 함유한 발효현미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발효현미
CN107982523A (zh) * 2018-01-17 2018-05-04 郑州赛科药业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畜禽流感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61607B1 (en) * 1998-08-24 2002-10-08 Ganeden Biotech, Inc. Probiotic, lactic acid-producing bacteria and uses thereof
JP2003535903A (ja) * 2000-06-19 2003-12-02 ミューコプロテック・プロプライエタリー・リミテッド プロバイオティックを用いた、粘膜表面での細菌またはウイルス感染の免疫療法または治療、およびそのための組成物
US20040057934A1 (en) * 2002-09-20 2004-03-25 Hisashi Fujimura Therapeutic agent for treating retroviral infection
WO2005034971A2 (en) * 2003-10-08 2005-04-21 Masami Moriyama Antiviral agent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58476A3 (en) * 2005-11-15 2007-10-18 Lg Electronics Inc Antimicrobial coating based on kimchi lactic acid bacteria
US8124016B2 (en) 2005-11-15 2012-02-28 Lg Electronics, Inc. Articles with antimicrobial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0869287B1 (ko) * 2006-03-22 2008-11-18 신현길 콜레스테롤이 저감된 계란 및 그 생산방법
KR100833355B1 (ko) * 2006-04-06 2008-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공기 조화기
KR100860784B1 (ko) * 2006-06-02 2008-09-29 주식회사 리스나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KR100887317B1 (ko) * 2007-06-21 2009-03-26 주식회사 원바이오 새우 양식용 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872910B1 (ko) * 2007-10-25 2008-12-10 두두원발효(주) 김치유산균으로 발효한 콩 요구르트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조류독감, 독감 및 사스의 호흡기성 급성전염질환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1269595B1 (ko) * 2010-12-09 2013-06-07 주식회사 바이오리더스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이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3077500A1 (ko) * 2011-11-24 2013-05-30 주식회사 프로바이오닉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진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9022373A3 (ko) * 2017-07-25 2019-04-11 주식회사 콧데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지는 신규 유산균 및 이의 조성물
KR20210144288A (ko) 2020-05-22 2021-11-30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매스틱 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97378A (zh) 2007-07-11
WO2006009395A1 (en) 2006-01-26
KR100552462B1 (ko) 2006-02-21
EP1781308A1 (en) 2007-05-09
CN101843640A (zh) 2010-09-29
CN1997378B (zh) 2012-08-08
CN101843640B (zh) 2013-05-08
EP1781308A4 (en) 2009-07-01
BRPI0513466A (pt) 2008-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2462B1 (ko)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WO2019154032A1 (zh) 一种宽谱沙门氏菌噬菌体及其应用
CN105008525B (zh) 噬菌体、包括其的组合物及其用途、抗生素、饲料添加剂、饮用水添加剂、消毒剂及清洁剂
CN106574251B (zh) 噬菌体、包括其的组合物及其用途、抗生素、添加剂、禽饲料、禽饮用水、消毒剂及清洗剂
CN105209610B (zh) 噬菌体、包括其的组成物及其应用
CN104814985B (zh) 一种海藻多糖的应用
CN105308179B (zh) 噬菌体、包括其的组成物及其应用
CN105324481B (zh) 噬菌体、包括其的组成物及其应用
CN102665740A (zh) 组合物和方法以及与其相关的用途
KR20200063275A (ko) 코로나바이러스 예방 및 치료제
CN113151194B (zh) 一株耐受抗病毒药物的沙门氏菌噬菌体及其应用
KR100769050B1 (ko) 오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KR100860784B1 (ko) 바이셀라속 균주를 이용한 천연 항바이러스제 및 이를포함하는 조성물
KR20200054594A (ko) 호흡기 면역개선용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프란타럼 Probio-091 균주 및 이를 포함하는 조류독감 및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ostmohammadian et al. In ovo evaluation of antiviral effects of aqueous garlic (Allium sativum) extract against a velogenic strain of Newcastle disease virus
CN104026150B (zh) 一种预防和杀灭禽流感病毒的复合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237170A (zh) 一种治疗禽流感的植物细胞酶解提取物的制备方法
KR101160743B1 (ko) 녹차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류 인플루엔자에 대한 항바이러스제
US20100159039A1 (en) Antiviral agents containing a fermentation product of garlic by lactic acid bacteria
CN104472550A (zh) 一种广谱型沙门氏菌噬菌体生物杀菌剂及其应用
WO2009089534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viral infections caused by influenza virus
KR101637476B1 (ko) 청고추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라마좀 매개 염증성 질환 및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예방, 개선용 조성물
CN108471749A (zh) 氨基聚糖酯及其应用
CN102166276B (zh) 一种防治甲型流感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Fathy et al. Assessment of Antiviral Activity for Ethanolic Chlorella vulgaris Extract Against Newcastle Disease Virus (NDV) Infection in Sasso Chick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G171 Publication of modified document after post-grant opposition [patent]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