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4971A -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4971A
KR20050084971A KR1020057008088A KR20057008088A KR20050084971A KR 20050084971 A KR20050084971 A KR 20050084971A KR 1020057008088 A KR1020057008088 A KR 1020057008088A KR 20057008088 A KR20057008088 A KR 20057008088A KR 20050084971 A KR20050084971 A KR 20050084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acid
skin
derivative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8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0544B1 (ko
Inventor
시즈카 우에하라
다쿠 호시노
마사카즈 무토우
구미 가메야마
Original Assignee
코세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23503A external-priority patent/JP409182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2323502A external-priority patent/JP4091824B2/ja
Application filed by 코세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세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84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4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5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2Poly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6Emollients or protectives, e.g. agains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특정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다. 화학식 1 중, R1은 -CH2OH 또는 COOR6를 나타내고, R6는 수소, 탄소수가 1~3인 저급 알킬기 또는 COO-와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양이온을 나타내며, R2~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C(CH3)-, -C(CH3)=, -C(=CH2)-, -CH(CH3)- 또는 -C(OH)(CH3)-를 나타낸다.
[화학식 1]

Description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Composition for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on skin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특정 화합물을 포함하는 생리 활성성분과, 특정 약효제를 함유하는 미백효과 및 노화방지효과가 우수한 피부외용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액(乳液), 크림, 화장수, 팩, 세정료, 분산액, 연고, 액제, 에어졸, 첩부제(貼付劑), 파프제, 리니먼트제 등의 피부외용제에는, 이들에 소정의 약효를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여러 약효성분이 첨가되고 있다.
예를 들면, 햇볕 그을림 등에 의해 생기는 피부의 흑화, 색소침착에 의해 생기는 기미, 주근깨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아스코르브산, 태반 추출물, 글루타치온, 하이드로퀴논 등의 미백제가 첨가되고 있다. 또한 한편으로, 가령(加齡), 자외선 폭로(曝露) 등에 의해 생기는 피부의 주름이나 처짐, 땅김이나 탄력성의 저하를 예방, 또는 개선하기 위해, 비타민 A나 대두 추출물, 해조 추출물 등의 세포부활제가 첨가되고 있다.
또한, 시스터스과(Cistaceae)에 속하는 Cistus ladaniferus L., Cistus creticus L., Cistus monoperiensis L., Cistus salvifolius 등의 줄기, 가지, 잎 등의 열수 추출물 또는 에탄올, 헥산 등의 추출물은, 강한 멜라닌 생산억제작용, 세포부활작용, 항균작용을 가져, 그것이 라브덴산(labdenic acid)류에 기인하는 활성인 것이 발견되고, 더욱이 그 추출물 또는 조(粗)라브덴산류를 분자 증류하여 얻어지는 라브드-7-엔-15-오익 애시드(labd-7-en-15-oic acid), 라브드-8(17)-엔-15-오익 애시드(labd-8(17)-en-15-oic acid), 라브드-8-엔-15-오익 애시드(labd-8-en-15-oic acid)에 강한 멜라닌 생산억제작용, 세포부활작용, 항균작용을 갖는 것이 발견되고 있다. 더욱이 그들의 염 또는 메틸 및 에틸에스테르체, 더 나아가서는 그들의 환원체에도 동일한 활성이 있는 것이 발견되고 있다(일본국 특허공개 제(평)11-302219호 공보 등).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피부미용효과가 우수한, 특히 미백효과 및/또는 노화방지효과가 우수한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태양은 (A)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중, R1은 -CH2OH 또는 COOR6를 나타내고, R6는 수소, 탄소수가 1~3인 저급 알킬기 또는 COO-와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양이온을 나타내며, R2~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C(CH3)-, -C(CH3)=, -C(=CH2)-, -CH(CH3)- 또는 -C(OH)(CH3)-를 나타낸다.)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과,
(B) 아스파라거스(asparagus) 추출물, 당귀(Angelica acutiloba) 추출물, 상백피(Morus bombycis) 추출물, 천궁(Cnidium officinale) 추출물, 영실(Rosa multiflora) 추출물, 나무딸기(Rubus idaeus) 추출물, 고삼(Sophora flavescens) 추출물, 오가피(Acanthopanax senticosus) 추출물, 커피 추출물, 쌀겨 추출물, 밀배아(wheat germ) 추출물, 세신(Asarum sieboldii) 추출물, 산사자(Crataegus cuneata) 추출물, 흰백합 추출물, 작약(Paeonia lactiflora) 추출물, 차(tea) 추출물, 당밀(molasses) 추출물, 포도 추출물, 호프(Humulus lupulus)(hop) 추출물, 해당화(Rosa rugosa) 추출물, 모과(Chaenomeles sinensis) 추출물,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추출물, 해조 추출물,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 히드록시 아니솔, 만니톨, β-카로틴, 케르세틴(quercetin), 케르시트린(quercitrin), 루틴(rutin),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이질풀(Geranium thunbergii) 추출물, 범의귀(Saxifraga) 추출물, 산편두(Cassia mimosoides) 추출물 및 레몬밤(melissa) 추출물, 글리시리진산(glycyrrhizic acid) 및 그의 유도체, 글리시레틴산(glycyrrhetinic acid)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B 및 그의 유도체, 겐티아나(Gentiana lutea) 추출물, 삼백초(Houttuynia cordata) 추출물, 모란(Paeonia suffruticosa)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아르니카(Arnica montana) 추출물, 고추나물(Hypercum) 추출물, 황백(Phellodendron amurense)(amur cork tree) 추출물, 금은화(Lonicera japonica) 추출물, 샐비아 추출물, 자작나무(betula alba) 추출물, 자소(Perilla) 추출물, 쑥(Mugowort) 추출물, 캐모마일(Matrioaria chamomilla) 추출물, 컴프리(comfrey) 추출물, 오이풀(Sanguisorba officinalis) 추출물, 크레송(watercress) 추출물,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pot marigold) 추출물, 덧나무(Sambucus) 추출물, 애기부들(Typha angustifolia) 추출물, 무환자나무(Sapindus Mukurossi) 추출물, 유칼리(Eucalyptus) 추출물, 자운영(Astragalus sinisus) 추출물,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타르타르산, 말산(malic acid), 글리콜산, 숙신산(succinic acid), 세린(serine), 글루타민산, 히드록시프롤린, 테아닌(teanin),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 추출물, 대두(soybean) 추출물, 인삼(Panax ginseng) 추출물, 대맥(barley) 추출물, 너도밤나무의 싹(Japanese beech sprout) 추출물, 은행나무(Ginko biloba) 추출물, 병풀(Centella asiatica) 추출물, 효모 추출물, 유산균 추출물, 비피더스균 추출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접시꽃(Althaea officinalis) 추출물, 붓꽃(Acorus calamus) 추출물, 지황(Rehmannia glutinosa) 추출물, 마로니에(Aesculus hippocastanum)(horse chestnut) 추출물, 당아욱(Malva sylvestris)(우스베니타치아오이) 추출물, 살구(Prunus armeniaca) 추출물, 라임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인지질 및 그의 유도체, 감차(Hydrangea serrata) 추출물, 관동화(Tussilago farfara)(coltsfoot) 추출물, 모과씨(quince seed) 추출물, 감초(Glycyrrhiza glabra) 추출물, 의이인(Coix lachryma-jobi) 추출물, 까막까치밥나무(blackcurrant)(크로후사스구리) 과실 추출물, 선복화(Inula britannica)(금불초) 추출물, 크랜베리(cranberry) 과실 추출물, 계혈등(Mucuna birdwoodiana)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betula alba sap), 사방오리나무(Alnus firma) 추출물, 선인장 추출물, 나한과(Momordica grosvenorii) 추출물, 아스타잔틴(astaxanthin) 및 그의 유도체 및 루틴유도체로 이루어진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물.
본 발명의 한 태양으로서 상기 (B)가 (B1) 아스파라거스 추출물, 당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천궁 추출물, 영실 추출물, 나무딸기 추출물, 고삼 추출물, 오가피 추출물, 커피 추출물, 쌀겨 추출물, 밀배아 추출물, 세신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흰백합 추출물, 작약 추출물, 차 추출물, 당밀 추출물, 포도 추출물, 호프 추출물, 해당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황금 추출물, 해조 추출물,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 히드록시 아니솔, 만니톨, β-카로틴, 케르세틴, 케르시트린, 루틴,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이질풀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산편두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B 및 그의 유도체, 겐티아나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모란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황백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샐비아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자소 추출물, 쑥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크레송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덧나무 추출물, 애기부들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유칼리 추출물, 자운영 추출물,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타르타르산, 말산, 글리콜산, 숙신산, 세린, 글루타민산, 히드록시프롤린, 테아닌,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동충하초 추출물, 대두 추출물, 인삼 추출물, 대맥 추출물, 너도밤나무의 싹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효모 추출물, 유산균 추출물, 비피더스균 추출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접시꽃 추출물, 붓꽃 추출물, 지황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당아욱(우스베니타치아오이) 추출물, 살구 추출물, 라임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인지질 및 그의 유도체, 감차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및 모과씨 추출물로 이루어진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인 상기 조성물; 상기 (B)가 (B2) 감초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까막까치밥나무(크로후사스구리) 과실 추출물, 선복화(금불초) 추출물, 크랜베리 과실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선인장 추출물, 나한과 추출물, 아스타잔틴 및 그의 유도체 및 루틴유도체로 이루어진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인 상기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외용제, 특히 미백용 피부외용제 또는 노화방지용 피부외용제로서 우수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미용」의 용어는, 예를 들면, 색소침착의 억제, 피부의 거무칙칙함, 햇볕 그을림 등에 의한 피부의 흑화(黑化), 기미, 주근깨의 방지 및 개선, 주름의 방지 및 개선 등을 포함하여 가장 넓은 뜻으로 해석할 필요가 있어, 「미백」및「노화방지」가 그 범위에 포함되는 것을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한 태양으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시스터스과의 Cistus ladaniferus L., Cistus creticus L., Cistus monoperiensis L. 및 Cistus salvifolius로 이루어진 식물체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식물체로부터 추출된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로부터 조제된 화합물인 상기 조성물; 및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시스터스과의 Cistus ladaniferus L., Cistus creticus L., Cistus monoperiensis L. 및 Cistus salvifoli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추출물을 배합해서 되는 상기 조성물;이 제공된다.
또한,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방법;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미백방법; 상기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노화방지방법; 상기 조성물의 피부외용제로서의 사용방법; 피부외용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조성물의 사용방법;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약효를 높이기 위한 상기 (B)의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사용방법;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멜라닌 생성억제능을 높이기 위한 상기 (B)의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사용방법;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세포부활능을 높이기 위한 상기 (B)의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사용방법; 상기 (B)의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으로 되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약효의 증강제;가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을 피부외용제에 적용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생리활성성분(이하 「(A)성분」이라고 한다)을 함유한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 중, R1은 -CH2OH 또는 COOR6를 나타내고, R6는 수소, 탄소수가 1~3인 저급 알킬기 또는 COO_와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양이온을 나타낸다. 탄소수가 1~3인 저급 알킬기는, 직쇄형상이어도 분지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를 들 수 있다. 또한, -COO_와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양이온으로서는, Na+, K+ 및 NH4 + 등의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중, R2~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C(CH3)-, -C(CH3)=, -C(=CH2)-, -CH(CH3)- 또는 -C(OH)(CH3)-를 나타낸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식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식물로부터의 추출물은 시판되고 있어(랩더늄 앱솔루트(Labdanum absolute), 지보단사제 등), 본 발명에서는 시판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추출물로서 R1이 -COOH인 산을 얻은 후, 메틸, 에틸 등의 에스테르체, 환원체 또는 염으로 한 후에, (A)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추출하는 식물의 종류에 대해서는,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식물이라면 조금도 한정되지는 않지만, 특히 Cistus ladaniferus L., Cistus creticus L., Cistus monoperiensis L., Cistus salvifolius(시스터스과)의 식물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식물체의 추출부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잎, 가지, 수피(樹皮) 등으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각 부위를 채취 직후에 추출조작을 행해도 되고, 또는 각 부위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에 추출조작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출법은 물, 저급 알코올, 석유에테르 및 탄화수소 중에서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해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저급 알코올이란, 탄소수가 1~4인 알코올을 말하고, 특히,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등이 바람직하다. 석유에테르로서는 주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시판된 것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탄화수소 용매로서는, 상온에서 액상인 지방족 탄화수소, 지환식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를 들 수 있지만, 특히 상온에서 액상인 지방족 탄화수소, 방향족 탄화수소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헥산, 톨루엔 등의 탄화수소가 바람직하다.
추출조작은 상기 식물의 종류 및 사용하는 용매에 따라 상이하지만, 통상, 재단한 식물을 실온 내지 50℃의 온도에서 상기 용매에 침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침지 중에, 용매를 완만하게 교반해도 된다. 더욱이, 주지의 속슬렛추출기(Soxhlet's extractor) 등의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추출에 소요되는 시간은, 통상 3시간~48시간 정도이다. 또한, 상기 식물의 잎, 가지 또는 나무줄기를 파쇄한 후, 수증기 증류법 또는 열수 중에서 자비(煮沸)하는 방법에 의해 추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수증기 증류 또는 열수추출로 물 위에 떠오르는 고무상 유분(Gum state fraction)을 건져 올려, 이것을 상기 추출에 사용되는 용매로 불용물과 분리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추출물에는 25~35 질량%(이하 간단히 「%」로 나타낸다)의 라브덴산류가 포함된다.
상기 식물체로부터의 조추출물 또는 시판의 추출물은, 그대로 (A)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지만, 더욱이 조추출물 또는 시판의 추출물로부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정제하여, (A)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라브드-7-엔-15-오익 애시드, 라브드-8(17)-엔-15-오익 애시드, 라브드-8-엔-15-오익 애시드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추출물 또는 시판품으로부터, 각 성분을 정제하는 방법의 대표예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방법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조추출물 또는 시판의 추출물에 대해서, 0.1~0.5 mmHg의 감압하에서 분자 증류를 행하여 160℃~230℃까지의 유분(fraction)을 모으면, 이 유분에는 라브드-7-엔-15-오익 애시드, 라브드-8(17)-엔-15-오익 애시드, 라브드-8-엔-15-오익 애시드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A)성분으로서, 이들 산혼합물을 그대로 사용해도 되고, 또한 필요에 따라 메틸, 에틸 등의 에스테르체, 염, 또는 환원체를 조제한 후, 그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이 산혼합물로부터 3종류의 산을 분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 산의 혼합물을 에탄올로 용해하고, 촉매량의 황산 공존하에서 반응시켜서 에틸에스테르체로 한 후, 질산은처리한 실리카겔을 사용한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처리한다. 칼럼을 헥산으로 세정하고, 이어서 1% 초산에틸-헥산으로 용출(溶出)한다. 맨처음 라브드-8-엔-15-오익 애시드 에틸에스테르가 용출되고, 이어서 라브드-7-엔-15-오익 애시드 에틸에스테르, 라브드-8(17)-엔-15-오익 애시드 에틸에스테르의 순으로 용출된다.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각각의 에틸에스테르체의 순품(純品)이 얻어진다. 얻어진 에틸에스테르체로부터 가수분해에 의해 유리(遊離)된 산을 얻을 수 있다. 더욱이, 유리된 산을 디아조메탄과 반응시킴으로써 메틸에스테르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스터스과에 속하는 Cistus ladaniferus L., Cistus creticus L., Cistus monoperiensis L., Cistus salvifolius 등의 줄기, 가지, 잎 등의 추출물 및 상기 추출물로부터 얻어진 산, 메틸에스테르, 에틸에스테르, 또는 그들의 2종류 이상의 혼합물 등은, 본 발명의 (A)성분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형태로서 (A)성분이 (i) 시스터스과에 속하는 Cistus ladaniferus L., Cistus creticus L., Cistus monoperiensis L., Cistus salvifolius 등의 줄기, 가지, 잎 등의 열수 추출물 또는 유기 용매(에탄올, 헥산 등) 추출물; (ii) 상기 (i)의 추출물 또는 조라브덴산류를 분자 증류하여 얻어지는 라브드-7-엔-15-오익 애시드(labd-7-en-15-oic acid), 라브드-8(17)-엔-15-오익 애시드(labd-8(17)-en-15-oic acid) 및 라브드-8-엔-15-오익 애시드(labd-8-en-15-oic acid)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 (iii) 상기 (ii)의 산의 염 또는 메틸 또는 에틸에스테르체; 또는 (iv) 상기 (iii)의 환원체;인 피부외용제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함유량은, 건조 고형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0.0000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2%이다. 이 범위내라면, 상기 식물 추출물을 안정하게 배합할 수 있고, 또한 우수한 피부미용효과(특히, 미백 및 노화방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추출액을 사용하는 경우는, 용질(溶質)인 건조 고형분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내라면, 그 추출액 농도는 조금도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A)성분과 조합시키는 (B)성분은, 이하에 나타내는 제(劑)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이다. 또한, 이하의 구체예 중, 「유도체」에는 에스테르나 염이 포함된다.
아스파라거스 추출물, 당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천궁 추출물, 영실 추출물, 나무딸기 추출물, 고삼 추출물, 오가피 추출물, 커피 추출물, 쌀겨 추출물, 밀배아 추출물, 세신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흰백합 추출물, 작약 추출물, 차 추출물, 당밀 추출물, 포도 추출물, 호프 추출물, 해당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황금 추출물, 해조 추출물,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 히드록시 아니솔, 만니톨, β-카로틴, 케르세틴, 케르시트린, 루틴,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이질풀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산편두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유도체, 글리시레틴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B 및 그의 유도체, 겐티아나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모란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황백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샐비아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자소 추출물, 쑥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크레송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덧나무 추출물, 애기부들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유칼리 추출물, 자운영 추출물,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타르타르산, 말산, 글리콜산, 숙신산, 세린, 글루타민산, 히드록시프롤린, 테아닌,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동충하초 추출물, 대두 추출물, 인삼 추출물, 대맥 추출물, 너도밤나무의 싹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효모 추출물, 유산균 추출물, 비피더스균 추출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접시꽃 추출물, 붓꽃 추출물, 지황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당아욱(우스베니타치아오이) 추출물, 살구 추출물, 라임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인지질 및 그의 유도체, 감차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모과씨 추출물, 감초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까막까치밥나무(크로후사스구리) 과실 추출물, 선복화(금불초) 추출물, 크랜베리 과실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선인장 추출물, 나한과 추출물, 아스타잔틴 및 그의 유도체, 및 루틴유도체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태양은, 상기 (B)성분으로서 (B1) 아스파라거스 추출물, 당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천궁 추출물, 영실 추출물, 나무딸기 추출물, 고삼 추출물, 오가피 추출물, 커피 추출물, 쌀겨 추출물, 밀배아 추출물, 세신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흰백합 추출물, 작약 추출물, 차 추출물, 당밀 추출물, 포도 추출물, 호프 추출물, 해당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황금 추출물, 해조 추출물,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 히드록시 아니솔, 만니톨, β-카로틴, 케르세틴, 케르시트린, 루틴,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이질풀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산편두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B 및 그의 유도체, 겐티아나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모란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황백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샐비아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자소 추출물, 쑥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크레송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덧나무 추출물, 애기부들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유칼리 추출물, 자운영 추출물,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타르타르산, 말산, 글리콜산, 숙신산, 세린, 글루타민산, 히드록시프롤린, 테아닌,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동충하초 추출물, 대두 추출물, 인삼 추출물, 대맥 추출물, 너도밤나무의 싹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효모 추출물, 유산균 추출물, 비피더스균 추출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접시꽃 추출물, 붓꽃 추출물, 지황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당아욱(우스베니타치아오이) 추출물, 살구 추출물, 라임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인지질 및 그의 유도체, 감차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및 모과씨 추출물로 이루어진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태양이다.
상기 (B1)성분 중, 아스파라거스 추출물, 당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영실 추출물, 나무딸기 추출물, 고삼 추출물, 오가피 추출물, 커피 추출물, 쌀겨 추출물, 밀배아 추출물, 세신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흰백합 추출물, 작약 추출물, 차 추출물(녹차, 홍차, 우롱차 등의 추출물), 당밀 추출물, 포도 추출물, 호프 추출물, 해당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해조 추출물(이들 (C1)성분이라고 한다)은 단독으로도 주로 미백제로서 약효를 나타내지만, 상기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얻어지지 않는,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밀배아 추출물, 흰백합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차 추출물(녹차, 홍차, 우롱차 등의 추출물), 포도 추출물, 황금 추출물 및 해조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B1)성분 중,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 히드록시 아니솔, 만니톨, β-카로틴, 케르세틴, 케르시트린, 루틴,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dl-α(β,γ)-토코페롤, 초산 dl-α-토코페롤, 니코틴산 dl-α-토코페롤, 리놀산 dl-α-토코페롤 등), 이질풀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산편두 추출물 및 레몬밤 추출물(이들을 (D1)성분이라고 한다)은, 단독으로도 주로 항산화제로서의 약효를 나타내지만, 상기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얻어지지 않는,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β-카로틴, 루틴 및 범의귀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B1)성분 중,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B 및 그의 유도체, 겐티아나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모란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황백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샐비아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자소 추출물, 쑥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크레송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덧나무 추출물, 애기부들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유칼리 추출물 및 자운영 추출물(이들을 (E1)성분이라고 한다)은, 단독으로도 주로 항염증제로서의 약효를 나타내지만,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얻어지지 않는,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및 그의 유도체, 알로에 추출물, 황백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자소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및 오이풀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B1)성분 중,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팔미트산 레티놀, 초산 레티놀 등), 타르타르산, 말산, 글리콜산, 숙신산, 세린, 글루타민산, 히드록시프롤린, 테아닌,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동충하초 추출물, 대두 추출물, 인삼 추출물, 대맥 추출물, 너도밤나무의 싹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효모 추출물, 유산균 추출물 및 비피더스균 추출물(이들을 (F1)성분이라고 한다)은, 단독으로도 주로 세포부활제로서의 약효를 나타내지만,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얻어지지 않는,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히드록시프롤린, 인삼 추출물, 대맥 추출물, 너도밤나무의 싹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및 효모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B1)성분 중,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및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이들을 (G1)성분이라고 한다)은, 단독으로도 주로 자외선방지제로서의 약효를 나타내지만, 상기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얻어지지 않는,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을 들 수 있다.
상기 (B1)성분 중, 접시꽃 추출물, 붓꽃 추출물, 지황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당아욱(우스베니타치아오이) 추출물, 살구 추출물, 라임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인지질 및 그의 유도체(예를 들면 대두 인지질,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수소첨가 대두 리소인지질(lysophospholipid), 수소첨가 난황 레시틴, 난황 레시틴, 난황 리소포스파티딜콜린(lysophosphatidylcholine) 등), 감차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및 모과씨 추출물(이들을 (H1)성분이라고 한다)은, 단독으로도 주로 보습제로서의 약효를 나타내지만, 상기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얻어지지 않는,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낸다.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서는, 인지질 및 그의 유도체, 감차 추출물, 당아욱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및 모과씨 추출물을 들 수 있다.
상기 (B1)성분을 함유하는 태양 중에서도, 흰백합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천연 비타민 E,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효모 추출물,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및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외용제는, 미백용 피부외용제로서 우수하다. 또한, 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인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팔미트산 레티놀 및 관동화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피부외용제는, 노화방지용 피부외용제로서 우수하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상기 (B1)성분의 배합량은, 종류((C1)성분~(H1)성분)에 따라 상위하지만, 이하에 나타내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라면, (A)성분과 조합시킨 경우, 제제 및 제제 중의 성분(A)의 경시(經時)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보다 높은 피부미용효과(특히,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상기 (C1)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01~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5%이다.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건조 고형분으로서 이 범위이면 된다. 이 범위라면 보다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한 피부외용제가 얻어진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D1)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3%이다.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건조 고형분으로서 이 범위이면 된다. 이 범위라면 보다 우수한 항산화효과의 발현이 보여,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한 피부외용제가 얻어진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E1)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0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3%이다. 식물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건조 고형분으로서 이 범위이면 된다. 이 범위라면 우수한 항염증효과가 보여,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한 피부외용제가 얻어진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F1)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0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3%이다.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건조 고형분으로서 이 범위이면 된다. 이 범위라면 보다 우수한 피부거칠어짐 개선효과가 발현되어,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한 피부외용제가 얻어진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G1)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3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5%이다. 이 범위라면 보다 우수한 자외선방지효과가 발현되어,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한 피부외용제가 얻어진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H1)약효제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2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0%이다.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건조 고형분으로서 이 범위이면 된다. 이 범위라면 보다 우수한 보습효과가 발현되어,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한 피부외용제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B)성분으로서는 (B2) 감초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까막까치밥나무(크로후사스구리) 과실 추출물, 선복화(금불초) 추출물, 크랜베리 과실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선인장 추출물, 나한과 추출물, 아스타잔틴 및 그의 유도체, 및 루틴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태양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감초 추출물은 콩과 감초속 유럽감초(Glycyrrhiza glabra L.) 또는 그의 동속(同屬)식물의 뿌리나 근경(根莖)(생약명·감초, 甘草)으로부터 적당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중국산, 러시아산 등의 감초로부터 소수성(疏水性) 유기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유용성(油溶性) 추출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의이인 추출물은, 벼과 염주(念珠)속의 율무(Coix lacryma-jobi L. var. ma-yuen Stapf)의 종피(種皮)를 제거한 종자(種子)(생약명·의이인)로부터 적당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까막까치밥나무 과실 추출물은 서양까치밥나무과 서양까치밥나무속의 까막까치밥나무(일본명·크로후사스구리, 프랑스명·카시스, Reibes nigrum L.)의 과실을 적당한 용매를 사용해서 추출하여 얻어지는 과실 추출물, 또는 압착(壓搾)하여 얻어지는 과실 착즙액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선복화(금불초) 추출물은, 국화과 금불초속의 금불초(Inula britannica L.)의 두화(頭花)(생약명·선복화)로부터 적당한 용매를 사용해서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크랜베리 과실 추출물은, 석남화(石南花)과 크랜베리속 크랜베리(일본명·츠루코케모모, Vaccinium macrocorpon Aiton 또는 Vaccinium oxycoccus) 과실을 적당한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과실 추출물, 또는 압착하여 얻어지는 과실 착즙액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계혈등 추출물은, 콩과 식물인 밀화두(密花豆)(Spatholobus suberectus), 백화유마등(Mucuna birdwoodiana), 백화유마등(Mucuna birdwoodiana Tutcher), 밀레시아·디엘시아나(중국명·향화암두등(香花岩豆藤), Milletia dielsiana Harms) 또는, 양엽암두등(亮葉岩豆藤)(Milletia nitida benth)의 경부(莖部)(생약명·계혈등)로부터 적당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자작나무 수액은, 자작나무과 자작나무속의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Sukatchuv var. japonica Hara, B. platyphylla Sukatchuv), 사스래나무(B. Ermani Cham.), 지장자작나무(地藏樺)(B. globispica Shirai), 가마우지자작나무(B. Maximowiczian a Regel), 실버버찌(B. pendula Roth) 및 스위트버찌(B. lental L.) 등의 수목의 개화, 개엽기 전에 수목에 천공(穿孔)함으로써 일출(溢出)되는 액체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은, 자작나무과 오리나무속 큰잎 낙엽소고목(Alnussieboldiana Matsum.), 낙엽소고목(Alnus firma Sieb. et Zucc.), 물오리나무(Alnus hirsuta Turcz.) 및 동족 식물의 과실인 사방오리나무(夜叉實, 矢車實)로부터 적당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선인장 추출물은, 선인장과 식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어지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면 부채선인장(Opuntia ficus-indica (L.)Mill, 또는 Opuntia dillenii Haw), 열자단선(Opuntia Streptacantha) 등의 근경, 뿌리, 과실 등으로부터 적당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나한과 추출물은, 참외과 여주(balsam pear)속 모모르디카 그로스베노리이(Momordica grosvenorii Swingle)의 과실(중국명·나한과)을 건조한 것으로부터 적당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해서 얻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아스타잔틴 및 그의 유도체는, 크릴새우, 연어, 송어, 복수초, 적색효모 등의 천연물을 적당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거나, 또는 화학합성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예를 들면, 크릴새우(Euphausia similis G. O. 등)에 추출 용매를 가하여 추출하고, 이 액을 여과 분별하여 얻어지는 아스타잔틴류 추출 엑기스나, 이 추출 엑기스로부터 추가로 추출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수소첨가나 가수분해 등의 화학반응을 행한 후, 분자 증류 또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나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 등의 수단을 사용하여 탈취, 정제를 행한 정제 아스타잔틴류를 사용할 수 있다. 아스타잔틴은 이하의 식으로 표시되는 카로티노이드(carotenoid)이지만, 그 유도체로서는 아스타잔틴의 지방산 에스테르류로부터 선택되는 모노에스테르체 및 동종 또는 이종(異種)의 디에스테르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루틴유도체는, 콩과 회화나무(Sophora japonica L.)의 꽃봉오리, 여뀌과 메밀(Fagopyrum esculentum Moench) 등의 천연물에 함유되는 루틴의 수용성을 높인 것이면 된다. 예를 들면, 루틴에 덱스트린(dextrin) 등의 전분질을 혼합하고, 효소반응에 따라 루틴에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말토테트라오스 등이 전이된,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α-글루코실루틴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그 중에서도, 루틴 함량이 10~80%인 루틴유도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은 1종류를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중, R은 글루코오스, 말토오스, 말토트리오스 또는 말토테트라오스를 나타낸다.
상기 (B2)군에 속하는 성분의 조제에 사용되는 추출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물, 저급 1가 알코올(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1-부탄올, 2-부탄올 등), 액상 다가 알코올(글리세린 등), 탄화수소(벤젠, 헥산, 펜탄 등), 케톤류(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 에테르류(디에틸에테르, 테트라히드로푸란, 디프로필에테르 등), 아세토니트릴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추출방법의 예로서는, 함수(含水)농도 0~100 vol%의 에틸알코올 또는 1,3-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고, 실온에서 또는 가온하여 1~5일간 추출을 행한 후 여과하고, 얻어진 여액을 추가로 1주일 정도 방치해서 숙성시켜, 다시 여과를 행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상기 (B2)성분 중, 감초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까막까치밥나무(크로후사스구리) 과실 추출물, 선복화(금불초) 추출물, 크랜베리 과실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 선인장 추출물, 나한과 추출물 및 아스타잔틴 및 그의 유도체(이들 (C2)성분이라고 한다)는, 단독으로도 미백제로서의 약효를 나타내지만, 상기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얻어지지 않는,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B2)성분 중, 감초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나한과 추출물, 아스타잔틴 및 그의 유도체, 및 루틴유도체(이들 (D2)성분이라고 한다)는, 단독으로도 항산화제로서의 약효를 나타내지만, 상기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얻어지지 않는,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B2)성분 중, 감초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이들 (E2)성분이라고 한다)는, 단독으로도 항염증제로서의 약효를 나타내지만, 상기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얻어지지 않는,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B2)성분 중, 선인장 추출물, 나한과 추출물, 아스타잔틴 및 그의 유도체, 및 루틴유도체(이들 (F2)성분이라고 한다)는, 단독으로도 세포부활제로서의 약효를 나타내지만, 상기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얻어지지 않는,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B2)성분 중, 감초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까막까치밥나무(크로후사스구리) 과실 추출물, 선복화(금불초) 추출물, 크랜베리 과실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선인장 추출물 및 나한과 추출물(이들 (G2)성분이라고 한다)은, 단독으로도 보습제로서의 약효를 나타내지만, 상기 (A)성분과 병용함으로써 각각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에는 얻어지지 않는,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낸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상기 (B)성분의 배합량은, 종류((C)성분~(G)성분)에 따라 상위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이하에 나타내는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라면, (A)성분과 조합시킨 경우, 제제 및 제제 중의 성분(A)의 경시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보다 높은 피부미용효과(특히,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발휘시킬 수 있다.
또한, (B2)성분 중, 복수의 약효를 나타내는 성분에 대해서는 (C2)~(G2)의 성분으로서 중복해서 예시했지만, 중복해서 예시되어 있는 성분에 대해서는 각각의 바람직한 배합량의 범위 중, 가장 넓은 범위가 배합량의 바람직한 범위가 된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상기 (C2)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01~1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5%이다.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건조 고형분으로서 이 범위이면 된다. 이 범위라면 보다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한 피부외용제가 얻어진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D2)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0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3%이다.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건조 고형분으로서 이 범위이면 된다. 이 범위라면 보다 우수한 항산화효과의 발현이 보여,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한 피부외용제가 얻어진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E2)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0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3%이다. 식물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건조 고형분으로서 이 범위이면 된다. 이 범위라면 우수한 항염증효과가 보여,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한 피부외용제가 얻어진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F2)성분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0001~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3%이다.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건조 고형분으로서 이 범위이면 된다. 이 범위라면 보다 우수한 피부거칠어짐 개선효과가 발현되어,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한 피부외용제가 얻어진다.
본 태양의 피부외용제에 있어서의 (G2)약효제의 배합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2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20%이다. 추출물을 추출액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는, 건조 고형분으로서 이 범위이면 된다. 이 범위라면 보다 우수한 보습효과가 발현되어, 우수한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를 나타내고, 또한 사용감이 양호한 피부외용제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필수성분인 상기 성분(A)와 상기 (B)성분을 통상의 피부외용제로서 알려지는 여러가지 형태의 기제(基劑)에 배합하여 조제할 수 있다.
피부외용제의 배합형태의 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유액, 크림, 화장수, 팩, 세정료, 메이크업 화장료, 분산액, 연고, 액제, 에어졸, 첩부제, 파프제, 리니먼트제 등 중 어느 형태의 화장료여도, 또한 외용의약품 등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외용제에는, 상기 필수성분 이외에 화장료나 의약부외품, 외용의약품 등에 통상 사용되는 각종 성분, 즉, 물, 알코올, 유제(油劑), 계면활성제, 증점제(增粘劑), 분체(粉體), 킬레이트제, pH 조정제, 각종 약효제, 동식물·미생물 유래의 추출물, 향료 등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가할 수 있다. 이들 중으로부터, 구체적인 것을 이하에 예시한다.
알코올로서는, 필수성분과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용해, 청량감, 방부, 보습 등의 목적으로 에틸 알코올 등의 1가나,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유제는 사용성, 사용감을 좋게하는 것으로서, 그의 유래, 성상(性狀)을 불문하고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동 파라핀, 스쿠알란(squalane), 트리글리세라이드유, 에스테르유, 납류, 지방산류, 고급 알코올, 실리콘 오일, 플루오르계 오일, 각종 왁스 등이다.
계면활성제는, 유제 등의 유화(乳化)나 가용화 등을 위해 사용되고, 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및 양성(兩性)의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증점제로서는,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카라기난(carrageenan), 한천, 크산탄검(xanthangum), 덱스트린 지방산 에스테르, 유기 변성 점토광물 등, 화학합성품 또는 천연물 유래에 상관없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들의 성분을 계(系)의 점도조정 뿐 아니라, 겔화, 보습, 피막형성 등의 목적 등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분체로서는, 형상이나 입자의 크기, 다공성의 유무, 결정구조 등을 불문하고, 사용성이나 사용감을 좋게하기 위해 복합화나 표면처리를 행한 것이어도 된다. 탈크, 운모(mica), 견운모(sericite), 무수 규산 등의 무기 분체, 나일론 파우더 등의 유기 분체, 어린박(魚鱗箔), 옥시염화 비스무트(bismuth) 등의 펄 안료, 산화철, 카본 블랙(carbon black), 군청 등의 무기 안료, 타르색소 및 그의 레이크(lake), 천연 색소, 산화티탄, 미립자 산화티탄, 산화아연, 미립자 산화아연 등이 용도에 따라 사용된다. 특히 미립자 산화티탄이나 미립자 산화아연을 함유시키면, 본 발명의 효과를 보다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계 중의 성분의 품질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EDTA 등의 킬레이트제, 락트산-락트산나트륨 등의 완충제에 의한 pH 조정제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약효제로서는 비타민, 호르몬, 동식물이나 미생물 유래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러가지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예를 들면,
항균제는, 여드름 등을 예방, 개선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파라옥시 안식향산에스테르, 파라클로로 메타크레졸, 염화벤잘코늄, 페녹시에탄올, 이소프로필메틸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배합함으로써 여드름 등 세균성 피부 염증에 의한 색소침착을 억제하여, 더욱 높은 미백 및/또는 피부미용효과, 및 노화방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활성산소 제거제는, 자외선에 의한 과산화지질의 생성 등을 억제할 목적으로 사용되고, 슈퍼옥시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카테킨(catechin) 및 그의 유도체, 티아민류(티아민 염산염, 티아민 황산염), 리보플라빈(riboflavine)류(리보플라빈, 초산 리보플라빈 등), 피리독신류(염산 피리독신, 피리독신 디옥타노에이트 등), 니코틴산류(니코틴산 아미드, 니코틴산 벤질 등) 등의 비타민 B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활성효소 제거제를 배합함으로써 거무칙칙함을 억제하여, 보다 높은 미백효과 및/또는 피부미용효과, 및 노화방지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그 밖에, 병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더욱 높이는 것으로서, 단백질 또는 그들의 유도체 또는 가수분해물 및 그들의 염(콜라겐, 엘라스틴, 케라틴 등), 뮤코다당 및 그의 유도체(히알루론산, 콘드로이틴 황산 등), 아미노산 및 그들의 유도체(히스티딘, 세린, 글리신, 테아닌, 아스파라긴산, 아르기닌,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등), 당류(소르비톨(sorbitol), 에리스리톨(erythritol), 트레할로스(trehalose), 이노시톨(inositol), 글루코오스, 크실리톨, 수크로오스 및 그의 유도체, 덱스트린 및 그의 유도체, 벌꿀 등), D-판테놀 및 그의 유도체, 당지질, 세라미드(ceramide), 신선초 추출물, 아보카도 추출물, 온천수, 말로우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오노니스 추출물, 메귀리 추출물, 치자나무 추출물, 얼룩조릿대 추출물, 우엉 추출물, 소맥 추출물, 사포나리아 추출물, 일본조팝나무 추출물, 생강 추출물, 서양박하(페퍼민트) 추출물, 백리향(thyme) 추출물, 동백 추출물, 토르멘틸(Potentilla erecta root extract) 추출물, 파슬리 추출물, 박하 추출물, 하마멜리스(hamamelis) 추출물, 장미 추출물, 노송나무 추출물, 해바라기 추출물, 루스쿠스 아쿨레아투스(Ruscus aculeatus)추출물, 서양자두(prune) 추출물, 수세미 추출물, 보리수 추출물, 소나무 추출물, 마멜로(marmelo) 추출물, 뮤신,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 추출물, 라벤더 추출물, 사과 추출물, 용담(gentian) 추출물 등을 들 수 있다.
더욱이 피부 표면의 실링효과가 있는 제로서, 호호바 오일, 마카데미야 넛 오일(macadamia nuts oil), 올리브 오일, 살구씨 오일, 퍼식 오일(persic oil), 잇꽃 오일(safflower oil), 해바라기 오일, 아보카도 오일, 메도우폼(meadow foam) 오일, 동백 오일, 아몬드 오일, 들깨유, 참깨유, 보라지(서양지치)유, 카카오 버터, 쉬버터(shea butter) 등을 배합하는 것으로도 보다 높은 미백 및/또는 피부미용효과를 발휘하여, 투명감이 있는 피부를 실현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또한, 괄호 안은 식물의 별명, 생약명 등을 기재하였다).
혈행촉진제는, 피부의 혈류를 촉진함으로써 멜라닌의 배출을 촉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고추팅크, γ-오리자놀(oryzanol) 등을 들 수 있고, 효소로서는 리파아제, 파파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배합함으로써, 더욱 높은 미백 및/또는 피부미용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어서 참고예, 시험예 및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에 조금도 제약되지는 않는다.
[예 1]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의 제조
시스터스과 식물; Cistus ladaniferus L.의 잎 및 작은 가지의 파쇄물 20 Kg으로부터 수증기 증류에 의해 유분(油分)을 제거하였다. 그 후, n-헥산 200 Kg으로 추출을 행함으로써 얻어진 추출물을 감압 증류하여 저비점물(低沸点物)을 제거함으로써 고형~페이스트형상의 추출물 150 g을 얻었다.
[예 2] 라브덴산류 및 그의 메틸에스테르, 및 에틸에스테르의 조제
시판의 랩더늄 앱솔루트(지보단사제) 10 g을 감압하(0.1 ㎜Hg)에서 분자 증류하고, 180℃~220℃까지의 유분(4.3 g)을 모았다. 이 증류분에는 이하에 나타내는 화합물 1(라브드-8-엔-15-오익 애시드), 화합물 4(라브드-7-엔-15-오익 애시드), 화합물 7(라브드-8(17)-엔-15-오익 애시드)이 포함되어 있었다(이 혼합물을 이하, 산혼합물이라고 한다). 이 산혼합물 1 g을 에테르 2 mL에 용해하고, 디아조메탄에테르 용액을 적하하여 메틸에스테르체 0.96 g을 얻었다(이 메틸에스테르체를 이하 메틸에스테르 혼합물이라고 한다). 마찬가지로, 이 산혼합물 10 g을 에탄올 100 mL에 용해하고, 황산촉매 존재하에서 에스테르화를 행하여 에틸에스테르체 9.5 g을 얻었다(이 에틸에스테르체를 이하 에틸에스테르 혼합물이라고 한다).
이어서, 상기 에틸에스테르 혼합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걸어, 3종류의 산을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에틸에스테르 혼합물 10 g을 헥산 100 mL에 용해하고, 질산은처리한 실리카겔의 칼럼에 주입하고, 이어서 용매를 주입하여 용출시켰다. 주입한 용매는, 처음은 헥산으로 하고, 이어서 헥산에 초산에틸을 1 vol% 가한 혼합 용매로 하였다. 맨처음에 화합물 3(라브드-8-엔-15-오익 애시드 에틸에스테르)이 용출되고, 이어서 화합물 6(라브드-7-엔-15-오익 애시드 에틸에스테르), 화합물 9(라브드-8(17)-엔-15-오익 애시드 에틸에스테르)의 순으로 용출되었다. 각 용출액으로부터 용매를 증류 제거하고, 각각의 에틸에스테르의 순품(용출 순으로 0.83 g, 0.16 g 및 0.63 g)을 얻었다. 얻어진 에틸에스테르체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가수분해하여 유리된 산을 얻었다. 더욱이 유리된 산에 디아조메탄에테르 용액을 적하하고, 용매를 증류 제거하여 메틸에스테르체로 하였다.
예 2에서 얻어진 에틸에스테르 혼합물 4.3 g을 에탄올 10 mL에 용해하고, 5% 팔라듐카본 촉매 0.2 g을 가해서 수소첨가 반응을 행하여 4.1 g의 화합물 11을 얻었다. 추가로, 가수분해하여 화합물 10을 얻었다.
[예 3] 세포배양에 의한 멜라닌 생성억제 및 세포생존율 시험
마우스 유래의 B16 멜라노머 배양세포를 사용하였다. 2장의 6웰 플레이트에 10% FBS 함유 MEM 배지를 적량 덜어, B16 멜라노머 세포를 파종하고, 37℃, 이산화탄소농도 5 vol% 중에서 정치(靜置)하였다. 다음 날, 예 1에서 얻은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및 예 2에서 얻은 라브덴산류 및 그의 메틸에스테르, 및 에틸에스테르를, 최종농도가 0(대조), 5, 10 ㎍/mL, 또한, 미백제인 흰백합 추출물(마루젠세이야쿠사제)을 0, 100 ㎍/mL가 되도록 검체조제액을 첨가하여 혼화(混和)하였다. 배양 5일째에 배지를 교환하고, 다시 검체조제액을 첨가하였다. 다음 날, 배지를 제거하고, 1장의 플레이트에 대해서 세포를 인산완충액(pH 7)으로 세정한 후 회수하여, B16 멜라노머 배양세포의 백색화도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이미 멜라닌 생성억제 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 의이인 추출물(100 ㎍/mL)에 대해서도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의이인 추출물은 의이인(일본약국방) 10 g에 70 vol% 함수 에틸알코올 100 mL를 가하고 실온에서 3일간 추출을 행한 후, 여과하여 얻었다. 이 때, 의이인 추출물의 건조고형분은 0.8%였다.
(판정기준)
++ : 대조에 대해 매우 백색이다.
+ : 대조에 대해 명확히 백색이다.
±: 대조에 대해 약간 백색이다.
- : 대조와 동일한 흑색이다.
나머지 1장의 플레이트에 대해서, 세포를 포르말린 고정 후, 1%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을 첨가해서 염색하였다. 각 검체농도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모노셀레이터(올림푸스사제)로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표 1-1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및 라브덴산류 및 그의 메틸에스테르 및 에틸에스테르는 단독으로도 멜라닌 생성억제능을 가지고, 또한 B16 멜라노머 배양세포에 대해 독성이 낮은 것이 인정되었다. 더욱이 미백제인 흰백합 추출물과 병용함으로써 단독처리시와 비교하여 상승적인 미백효과가 얻어졌다. 따라서,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및 라브덴산류 및 그의 메틸에스테르 및 에틸에스테르와 흰백합 추출물을 조합한 것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멜라닌 생성억제 작용을 발휘하여, 햇볕 그을림에 의한 피부의 흑색화, 기미, 주근깨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미백 및 피부미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 4: 크림]
표 2-1에 나타내는 조성의 각 크림을 조제하였다.
먼저, 성분(1)~(6) 및 (12)를 혼합하고, 가열하여 70℃로 유지한 혼합물에, 가열하여 70℃로 유지한 성분(16)을 첨가하였다. 추가로, 성분(7)~(11) 및 (13)~(15)를 혼합한 후, 냉각하여 크림을 얻었다.
얻어진 각 크림에 대해서 미백 및 피부미용효과를 이하의 시험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시험방법)
시험대상 크림 1품(品)에 대해 27~54세의 여성 15명을 패널로 하여, 매일, 12주일, 아침과 저녁 2회, 세안 후에 시험대상 크림의 적량을 안면에 도포하고, 도포에 의한 미백 및 피부미용효과를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평가결과는 각 평가에 해당하는 패널의 인원수로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평가> <내 용>
유 효 피부의 거무칙칙함이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약간 유효 피부의 거무칙칙함이 그다지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무 효 사용 전과 변화 없음.
표 2-1의 결과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비교품에 비해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과, 상기 (B2)성분인 여러 성분(성분(8)~(13))을 병용한 본 발명품의 크림은, 이들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피부의 「거무칙칙함」등의 발생의 방지, 개선을 할 수 있어, 아름다운 피부로 하는 것이 명확해졌다.
[예 5 세포배양에 의한 세포부활시험]
인간 신생아 유래의 섬유아세포 NB1RGB를 사용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배지를 적량 덜어, 섬유아세포 NB1RGB를 파종하고, 37℃, 이산화탄소농도 5 vol% 중에서 정치하였다. 다음 날, 예 1에서 얻은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예 2에서 얻은 라브덴산류 및 그의 메틸에스테르, 및 에틸에스테르를, 최종농도가 0(대조), 5, 10 ㎍/mL, 또한, 세포부활제인 인삼 추출물(마루젠세이야쿠사제)이 0, 100 ㎍/mL가 되도록 검체조제액을 첨가하여 혼화하였다. 배양 4일째에 배지를 교환하고, 다시 검체조제액을 첨가하였다. 다음 날,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인산완충액으로 세정한 후 회수하여, 각 검체조제액으로 생육시킨 섬유아세포 NB1RGB의 세포수를 대조와 비교한 세포증식률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이미 세포부활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 대두 추출물(100 ㎍/mL)에 대해서도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대두 추출물은 대두의 종자 10 g에, 70 vol%의 함수 에틸알코올 100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3일간 추출을 행한 후, 여과하여 얻었다. 이 때 대두 추출물의 건조고형분은 0.5%였다.
(평가기준)
각 검체조제액을 첨가하여 생육시킨 세포수를 대조의 세포수와 비교하고, 그 세포증식률을 지표로 하여 세포부활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세포수는 혈구계산반(血球計算盤)을 사용하여 세었다.
표 3-1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 식물 추출물은 인간 신생아 유래의 섬유아세포 NB1RGB에 대해 세포부활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인정되었지만, 세포부활제인 인삼 추출물을 병용한 경우, 보다 우수한 세포부활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포부활제는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및 라브덴산류 및 그의 메틸에스테르 및 에틸에스테르와 인삼 추출물을 조합한 것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항노화작용을 발휘하여, 가령, 자외선 폭로 등에 의해 생기는 피부의 주름, 처짐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기대된다.
[예 6: 크림]
표 4-1에 나타내는 조성의 크림을 각각 조제하였다.
먼저, 성분(1)~(6) 및 (10)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70℃로 유지한 혼합물에, 가열하여 70℃로 유지한 성분(15)의 일부를 가하였다. 여기에, 성분(7)~(9) 및 (11)~(14)를 혼합한 후 냉각하여 크림을 얻었다.
얻어진 각 크림에 대해서, 주름 개선효과를 이하의 시험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시험방법)
시험대상 크림 1품에 대해 35~59세의 여성 20명을 패널로 하여, 매일, 아침과 저녁 2회, 12주일에 거쳐 세안 후에 시험대상 크림의 적량을 안면에 도포하였다. 도포에 의한 주름 개선효과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평 가> <내 용>
유 효 피부의 주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약간 유효 피부의 주름이 그다지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무 효 사용 전과 변화 없음.
표 4-1의 결과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비교품에 비하여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과, (B)성분인 각 성분을 병용한 본 발명품의 크림은, 이들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의 「주름」등을 개선할 수 있어, 탄력 있는 아름다운 피부로 하는 것이 명확해졌다.
[예 7: 세안료]
하기 성분(1)~(10)을 가열 혼합하여 70℃로 유지하였다. 이것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11)~(16)을 첨가 혼합함으로써 세안료를 얻었다.
(성분) (%)
(1) N-야자유 지방산 아실-L-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아민 20.0
(2)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베타인 10.0
(3)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3.0
(4) 야자유 지방산 칼륨 5.0
(5) 스테아르산(stearic acid) 2.0
(6) 글리세린 20.0
(7)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5.0
(8) 에리스리톨 2.0
(9) 프로필렌글리콜 10.0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 1.0
(13) 알로에 추출물 *2 0.02
(14) 캐모마일 추출물 *3 0.02
(15) 천궁 추출물 *4 0.02
(16) 정제수 잔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마루젠세이야쿠사제
*3 마루젠세이야쿠사제
*4 마루젠세이야쿠사제
얻어진 세안료는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투명감이 있는 아름다운 피부로 하는 세안료였다.
[예 8: 유액]
하기 성분(1)~(8)을 70℃까지 가열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70℃에서 가온 혼합한 (9)~(13) 및 (22)를 첨가 혼합하여 냉각하고, 추가로 (14) 및 (15)~(21)을 첨가 혼합하여 유액을 얻었다.
(성분) (%)
(1)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3.0
(2) 콜레스테롤 0.2
(3) 폴리옥시에틸렌 (5) 세틸에테르 0.2
(4) 폴리옥시에틸렌 (10) 경화 피마자유 1.0
(5) 세토스테아릴 알코올(cetostearyl alcohol) 2.0
(6) 올리브스쿠알란 5.0
(7) 디프로필렌글리콜 7.0
(8) 1,3-부틸렌글리콜 5.0
(9) L-세린 *1 0.2
(10) 피롤리돈 카르복실산나트륨 *2 0.1
(11) 트리메틸글리신 2.0
(12)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0.1
(1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4) 수산화칼륨 0.1
(15) 방부제 적량
(16) 향료 적량
(17)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3 0.1
(18) 모과씨 추출물 *4 5.0
(19) 아몬드 추출물 *5 0.2
(20) 효모 추출물 *6 0.2
(21) 접시꽃 추출물 *7 0.2
(22) 정제수 잔량
*1 아지노모토사제
*2 아지노모토사제
*3 예 1에서 제조한 것
*4 고에이고교사제
*5 LABORATOIRES SEROBIOLOGIQUES사제
*6 마루젠세이야쿠사제
*7 마루젠세이야쿠사제
[예 9: 유액]
하기 성분(13)~(17)을 가열 혼합하여 70℃로 유지한 것에, 성분(1)~(12)를 동일하게 가열 혼합한 것을 가하여 유화한다. 이것을 냉각 후 성분(18)~(25)를 가하고, 균일하게 혼합하여 유액을 얻었다.
(성분) (%)
(1)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0.3
(2)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0.1
(3) 친유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 0.2
(4) 스테아르산 0.5
(5) 세탄올 0.5
(6) 스쿠알란 3.0
(7) 유동 파라핀 4.0
(8)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2.0
(9) 디메틸폴리실록산 1.0
(10)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0.1
(11) 초산-dl-α-토코페롤 *1 0.05
(12) 방부제 적량
(1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14) 수산화나트륨 0.05
(15) 글리세린 5.0
(16) 1,3-부틸렌글리콜 7.0
(17) 정제수 잔량
(18) 에틸알코올 5.0
(19)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2 0.05
(20) 범의귀 추출물 *3 0.1
(21) 영실 추출물 * 4 0.1
(22) 고삼 추출물 *5 0.1
(23) 커피 추출물 *6 0.1
(24) 동충하초 추출물 *7 0.1
(25) 향료 적량
*1 에이자이사제
*2 예 1에서 제조한 것
*3 이치마루파르코스사제
*4 마루젠세이야쿠사제
*5 마루젠세이야쿠사제
*6 이치마루파르코스사제
*7 마루젠세이야쿠사제
[예 10: 젤 화장료]
하기 성분(1)~(5) 및 (19)를 가열 혼합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이 혼합물에, 70℃에서 가온 혼합한 (6)~(10)을 첨가 혼합하고, 추가로 (11)~(18)을 첨가 혼합하여 젤 화장료를 얻었다.
(성분) (%)
(1) 메틸셀룰로오스 2.0
(2) 크산탄검 1.0
(3) 알긴산나트륨 0.2
(4)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5)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2.0
(6) 글리세린 10.0
(7)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1.0
(8) 메틸글루코오스 2.0
(9) 수소첨가 난황 인지질 0.2
(10) 피토스테롤(phytosterol) 0.1
(11) 수산화나트륨 0.1
(12) 방부제 적량
(13) 향료 적량
(14)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 1 0.001
(15) 우롱차 추출물 *2 0.3
(16) 산편두 추출물 *3 0.3
(17) 샐비아 추출물 *4 0.3
(18) 당아욱 추출물 *5 0.3
(19) 정제수 잔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마루젠세이야쿠사제
*3 마루젠세이야쿠사제
*4 마루젠세이야쿠사제
*5 마루젠세이야쿠사제
[예 11: 오일젤 화장료]
하기 성분(1)~(9)를 70℃에서 가열 혼합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및 (21)을 첨가 혼합하고, 추가로 (11)~(20)을 첨가 혼합하여 오일젤 화장료를 얻었다.
(성분) (%)
(1) 폴리옥시에틸렌 (20) 폴리옥시프로필렌 (4) 세틸에테르 1.0
(2) 폴리옥시에틸렌 (20) 트리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0.2
(3)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4) 글리세린 10.0
(5) 디프로필렌글리콜 2.0
(6) 1,3-부틸렌글리콜 5.0
(7) 폴리옥시에틸렌 (10) 메틸글루코오스 0.2
(8)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75.0
(9) 스쿠알란 2.0
(10) 트리에탄올아민 0.1
(11) 방부제 적량
(12) 향료 적량
(13) 글리시리진산 스테아릴 *1 0.1
(14)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2 0.005
(15) β-카로틴 *3 0.002
(16) 잇꽃 오일 *4 1.0
(17) 도인유(桃仁油) *5 1.0
(18) 니코틴산-dl-α-토코페롤 *6 0.1
(19) 팔미트산 레티놀 *7 0.3
(20)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8 0.002
(21) 정제수 잔량
*1 마루젠세이야쿠사제
*2 예 1에서 제조한 것
*3 시그마사제
*4 아지노모토사제
*5 ENNAGRAM사제
*6 에이자이사제
*7 닛폰로쉐사제
*8 시그마사제
[예 12: 화장수]
하기 성분(1)~(9) 및 (12), (17)을 혼합 용해한 혼합물을, 성분(10), (11), (13)~(16) 및 (18)~(24)를 혼합 용해한 혼합물에 가하고, 혼합함으로써 화장수를 얻었다.
(성분) (%)
(1) 마카데미야 넛 오일 0.01
(2) 보라지오일 0.01
(3) 옥탄산 세틸 0.01
(4)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0.01
(5) 초산-dl-α-토코페롤 *1 0.02
(6)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0.1
(7)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0.1
(8) 폴리옥시에틸렌 (8) 알킬에테르인산 0.2
(9) 에탄올 10.0
(10) 소르비톨(70% 수용액) 5.0
(11) 글리세린 1.0
(12)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 0.2
(13)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3 0.2
(14) 락트산(50% 수용액) 0.1
(15) 락트산나트륨(50% 수용액) 0.3
(16) 방부제 적량
(17) 향료 적량
(18)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4 0.01
(19)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5 0.1
(20) 흰백합 추출물 *6 0.05
(21) 자소 추출물 *7 0.05
(22) 라즈베리 추출물 *8 0.05
(23) 마로니에 추출물 *9 0.05
(24) 정제수 잔량
*1 에이자이사제
*2 교도야쿠힝사제
*3 쇼난가가쿠고교사제
*4 예 1에서 제조한 것
*5 마루젠세이야쿠사제
*6 마루젠세이야쿠사제
*7 마루젠세이야쿠사제
*8 에스페리스사제
*9 마루젠세이야쿠사제
[예 13: 화장수]
성분(1)~(9)를 혼합 용해한 혼합물을, (10)~(20)을 혼합 용해한 혼합물에 가하고, 혼합함으로써 화장수를 얻었다.
(성분) (%)
(1) γ-리놀산 수크로오스 에스테르 0.05
(2) 모노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 (50) 경화 피마자유 1.0
(3) 이소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0.1
(4) 폴리옥시에틸렌 (10) 알킬에테르 인산 0.1
(5) 메톡시계피산 옥틸 *1 0.05
(6) 글리세린 3.0
(7) N-아세틸-L-글루타민산 *2 0.1
(8) 1,3-부틸렌글리콜 5.0
(9) 에탄올 8.0
(10) 구연산나트륨 0.02
(11) 구연산 0.05
(12) 방부제 적량
(13) 향료 적량
(14)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3 0.05
(15) 병풀 추출물 *4 0.2
(16) 은행나무 추출물 *5 0.2
(17) 너도밤나무의 싹 추출물 *6 0.05
(18) 감차 추출물 *7 0.05
(19) 이질풀 추출물 *8 0.05
(20) 정제수 잔량
*1 BASF사제
*2 교와핫꼬사제
*3 예 1에서 제조한 것
*4 마루젠세이야쿠사제
*5 도키와쇼쿠부츠가가쿠겐큐쇼사제
*6 가테호세사제
*7 마루젠세이야쿠사제
*8 마루젠세이야쿠사제
[예 14: 백탁 화장수]
하기 성분(1)~(10)을 혼합 용해한 혼합물을, 혼합 용해한 성분(11)~(21)에 첨가 혼합하여 백탁의 화장수를 얻었다.
(성분) (%)
(1) 폴리옥시에틸렌 (60) 경화 피마자유 0.7
(2)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인산나트륨 0.2
(3) 콜레스테롤 0.01
(4) 수소첨가 난황 인지질 0.02
(5) 디메틸폴리실록산 0.05
(6) 초산 dl-α-토코페롤 *1 0.5
(7) 파라메톡시계피산 2-에틸헥실 *2 0.2
(8) 글리시리진산 스테아릴 *3 0.1
(9) 에탄올 15.5
(10)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0.2
(11) 구연산 0.01
(12) 인산 일수소이나트륨 0.2
(13) 루틴 *4 0.01
(14) 방부제 적량
(15) 향료 적량
(16)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5 0.002
(17) 히드록시프롤린 *6 0.01
(18) 크레송 추출물 *7 0.1
(19) 관동화 추출물 *8 0.1
(20) 비피더스균 추출물 *9 0.1
(21) 정제수 잔량
*1 에이자이사제
*2 BASF사제
*3 마루젠세이야쿠사제
*4 시그마사제
*5 예 1에서 제조한 것
*6 교와핫꼬사제
*7 A. M. I사제
*8 마루젠세이야쿠사제
*9 고토부키케미컬사제
[예 15: 미용액]
성분(1)~(4), (6) 및 (7)을 50℃에서 혼합 용해한 혼합물과, 성분(8)~(13), (25)를 50℃에서 가온 혼합하여 실온까지 냉각한 혼합물과, 성분(5), (14)~(24)를 첨가 혼합하여 점성 있는 미용액을 얻었다.
(성분) (%)
(1)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 (50) 경화 피마자유 0.2
(2)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0.5
(3) 글리세린 7.0
(4) dl-α-토코페롤 *1 0.3
(5) 당귀 추출물 *2 0.2
(6) 콜레스테롤 0.1
(7) 에탄올 6.0
(8)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3 0.2
(9) L-아스코르브산 인산 마그네슘 0.5
(10) 구연산 0.01
(11) 구연산나트륨 0.1
(12) 크산탄검 0.1
(13) 메틸셀룰로오스 0.1
(14) 해조 추출물 *4 0.1
(15) 오가피 추출물 *5 0.1
(16) 밀배아 추출물 *6 0.1
(17) 작약 추출물 *7 0.1
(18) 니코틴산 아미드 *8 0.05
(19) 황백 추출물 *9 0.1
(20) 토마토 추출물 *10 0.1
(21) 상백피 추출물 *11 0.1
(22) 방부제 적량
(23) 향료 적량
(24)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2 1.0
(25) 정제수 잔량
*1 에이자이사제
*2 닛폰훈마츠야쿠힝사제
*3 고난가가쿠고교사제
*4 마루젠세이야쿠사제
*5 마루젠세이야쿠사제
*6 세이와가세이사제
*7 이나바타고료사제
*8 와코쥰야쿠사제
*9 마루젠세이야쿠사제
*10 에스페리스사제
*11 마루젠세이야쿠사제
*12 예 1에서 제조한 것
[예 16: 햇볕 그을림 방지 유액]
성분(1)~(10)을 70℃에서 가열 혼합하고, 슬러리상으로 분산시켰다. 이것에, 성분(11)~(13) 및 (15)~(22)를 50℃에서 용해 혼합한 것을 혼합하고, 성분(14)를 첨가하여 햇볕 그을림 방지 유액을 얻었다.
(성분) (%)
(1)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10.0
(2)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1 5.0
(3)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0.0
(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0
(5) 디메틸폴리실록산 5.0
(6) 미립자 산화티탄 10.0
(7) 미립자 산화아연 5.0
(8) 폴리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5.0
(9) 나일론 파우더 2.0
(10) 폴리에틸렌 분말 1.0
(11) 글리세린 5.0
(12) 에탄올 5.0
(13) 방부제 적량
(14) 향료 적량
(15)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2 0.2
(16)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3 0.1
(17) 상백피 추출물 *4 0.1
(18) 해당화 추출물 *5 0.01
(19) 녹차 추출물 *6 0.01
(20) 레몬밤 추출물 *7 0.01
(21) 겐티아나 추출물 *8 0.01
(22) 정제수 잔량
*1 BASF사제
*2 예 1에서 제조한 것
*3 마루젠세이야쿠사제
*4 마루젠세이야쿠사제
*5 마루젠세이야쿠사제
*6 마루젠세이야쿠사제
*7 마루젠세이야쿠사제
*8 마루젠세이야쿠사제
[예 17: 유중수형(water-in-oil) 햇볕 그을림 방지 크림]
성분(1)~(9)를 70℃에서 가열 혼합하였다. 여기에, 50℃에서 가온 혼합한 성분(10)~(13) 및 (15)~(20)을 첨가 혼합하고, 성분(14)를 첨가하여 유중수형 햇볕 그을림 방지 크림을 얻었다.
(성분) (%)
(1)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2.0
(2) 팔미트산 옥틸 15.0
(3)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0
(4) 트리베헨산 글리세릴 1.0
(5) 미립자 산화아연 12.0
(6) 미립자 산화티탄 3.0
(7)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1 7.0
(8) 4-tert 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2 1.0
(9) 들깨유 *3 0.05
(10) 디프로필렌글리콜 5.0
(11) 에탄올 5.0
(12) 폴리에틸렌 분말 3.0
(13) 방부제 적량
(14) 향료 적량
(15)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4 0.2
(16) 자작나무 추출물 *5 0.2
(17) 쑥 추출물 *6 0.2
(18) 만니톨 *7 0.05
(19) 라임 추출물 *8 0.2
(20) 정제수 잔량
*1 BASF사제
*2 지보단사제
*3 예 1에서 제조한 것
*4 마루젠세이야쿠사제
*5 마루젠세이야쿠사제
*6 와코쥰야쿠사제
*7 와코쥰야쿠사제
*8 마루젠세이야쿠사제
[예 18: 유중수형 크림]
성분(1)~(8)을 70℃로 가열 혼합하고, 여기에 50℃에서 가온 혼합한 성분(9)~(16) 및 (18)~(25)를 첨가 혼합하고, 성분(17)을 첨가하여 유중수형 크림을 얻었다.
(성분) (%)
(1)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0.05
(2)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2.0
(3)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롤 2.0
(4) 콜레스테롤 0.2
(5) 스쿠알란 2.0
(6)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7.0
(7) 디이소옥탄산에틸렌글리콜 15.0
(8)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1 1.0
(9) L-아스코르브산 인산마그네슘 3.0
(10) 구연산나트륨 0.5
(11) 에데트산 2나트륨 0.05
(12) 에탄올 2.0
(13) 1,3-부틸렌글리콜 5.0
(14) 결정 셀룰로오스 2.0
(15) 구형상 나일론 분말 1.0
(16) 방부제 적량
(17) 향료 적량
(18)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2 0.3
(19) 당밀 추출물 *3 0.1
(20) 호프 추출물 *4 0.1
(21) 아르니카 추출물 *5 0.1
(22) 대맥 추출물 *6 0.1
(23) 살구 추출물 *7 0.1
(24) 붓꽃 추출물 *8 0.1
(25) 정제수 잔량
*1 바딧슈사제
*2 예 1에서 제조한 것
*3 다이요가가쿠사제
*4 마루젠세이야쿠사제
*5 마루젠세이야쿠사제
*6 산쇼세이야쿠사제
*7 에스페리스사제
*8 마루젠세이야쿠사제
[예 19: 크림]
하기 성분(1)~(10)을 70℃로 가열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70℃에서 가열 혼합한 성분(11)~(13), (24) 및 (27)을 가온 혼합하고, 추가로 성분(14)~(23), (25) 및 (26)을 첨가 혼합하여,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크림을 얻었다.
(성분)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3.0
(2)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2.0
(3)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1.0
(4)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1.0
(5)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나트륨 0.5
(6) 바세린 5.0
(7) 디메틸폴리실록산 3.0
(8)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20.0
(9) dl-α-토코페롤 *1 1.0
(10) 산화티탄 1.0
(11)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12) L-아스코르브산 인산마그네슘 3.0
(13) 구연산나트륨 0.5
(14)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2 0.1
(15) 락트산(50% 수용액) 0.1
(16) 인삼 추출물 *3 0.1
(17) 세신 추출물 *4 0.3
(18) 산사자 추출물 *5 0.02
(19) 금은화 추출물 *6 0.02
(20) 애기부들 추출물 *7 0.02
(21) 대두 추출물 *8 0.02
(22) 당귀 추출물 *9 0.02
(23) 에데트산 2나트륨 0.03
(24) 방부제 적량
(25) 향료 적량
(26)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0 0.5
(27) 정제수 잔량
*1 에이자이사제
*2 마루젠세이야쿠사제
*3 이치마루파르코스사제
*4 마루젠세이야쿠사제
*5 마루젠세이야쿠사제
*6 나가오카고료사제
*7 마루젠세이야쿠사제
*8 고에이고교사제
*9 닛폰훈마츠야쿠힝사제
*10 예 1에서 제조한 것
[예 20: 팩 화장료]
하기 성분(1)~(5) 및 (23)을 70℃로 가열 혼합하고, 실온까지 냉각한 혼합물에, 성분(6)~(22)를 첨가 혼합하여 팩 화장료를 얻었다.
(성분) (%)
(1) 폴리비닐알코올 15.0
(2) 글리세린 10.0
(3) 폴리옥시에틸렌 (10) 메틸글루코오스 3.0
(4) 트리옥탄산글리세릴 5.0
(5)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인산나트륨 1.0
(6) 에탄올 20.0
(7) 카올린 2.0
(8) 산화티탄 2.0
(9) 해조 추출물 *1 0.1
(10)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2 0.1
(11) 밀배아 추출물 *3 0.1
(12) 모과 추출물 *4 0.1
(13) 쌀겨 추출물 *5 0.1
(14) 고추나물 추출물 *6 0.01
(15) 나무딸기 추출물 *7 0.01
(16) 붓꽃 추출물 *8 0.01
(17) 지황 추출물 *9 0.01
(18) 락트산(50% 수용액) 0.5
(19) 락트산나트륨(50% 수용액) 0.5
(20) 방부제 적량
(21) 향료 적량
(22)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0 0.02
(23) 정제수 잔량
*1 마루젠세이야쿠사제
*2 마루젠세이야쿠사제
*3 세이와가세이사제
*4 마루젠세이야쿠사제
*5 고에이고교사제
*6 마루젠세이야쿠사제
*7 에스페리스사제
*8 마루젠세이야쿠사제
*9 고에이고교사제
*10 예 1에서 제조한 것
[예 21: 리퀴드 파운데이션]
하기 성분(1)~(7)을 가열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성분(13)~(18)을 가하여 혼합해서 70℃로 유지한다. 성분(8)~(12)를 혼합하여 70℃로 유지한 것에, 상기 혼합물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유화한다. 냉각 후, 성분(19)~(25)를 첨가하여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성분) (%)
(1) 디펜타에리스리트 지방산에스테르 2.0
(2) 유동 파라핀 5.0
(3) 스테아르산 2.0
(4) 세탄올 1.0
(5)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 1.0
(6)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8.0
(7) 방부제 적량
(8) 글리세린 5.0
(9) 트리에탄올아민 1.0
(1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11) 벤토나이트 0.5
(12) 정제수 잔량
(13) 산화티탄 6.0
(14) 미립자 산화티탄 2.0
(15) 미립자 산화아연 4.0
(16) 마이카 2.0
(17) 탈크 4.0
(18) 착색안료 적량
(19)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 0.01
(20) 황금 추출물 *2 0.1
(21) 모란 추출물 *3 0.1
(22) 컴프리 추출물 *4 0.1
(23) 덧나무 추출물 *5 0.1
(24) 무환자 추출물 *6 0.1
(25) 향료 적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이치마루파르코스사제
*3 이치마루파르코스사제
*4 이치마루파르코스사제
*5 세펙스사제
*6 고에이고교사제
예 8~21에서 얻어진 각종 화장료는 모두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햇볕 그을림 등에 의한 피부의 거무칙칙함, 기미 및 주근깨, 및 가령에 의한 주름 및 처짐의 방지 및 개선효과가 우수하여, 투명감이 있는 아름다운 피부로 하는 각종 화장료였다.
[예 22] 세포배양에 의한 멜라닌 생성억제 및 세포생존율 시험
마우스 유래의 B16 멜라노머 배양세포를 사용하였다. 2장의 6웰 플레이트에 10% FBS 함유 MEM 배지를 적량 덜어, B16 멜라노머 세포를 파종하고, 37℃, 이산화탄소농도 5 vol% 중에서 정치하였다. 다음 날, 예 1에서 얻은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및 예 2에서 얻은 라브덴산류 및 그의 메틸에스테르, 및 에틸에스테르를, 최종농도가 0(대조), 5, 10 ㎍/mL, 또한, 미백제인 감초 추출물(마루젠세이야쿠사제)을 0, 100 ㎍/mL가 되도록 검체조제액을 첨가하여 혼화하였다. 배양 5일째에 배지를 교환하고, 다시 검체조제액을 첨가하였다. 다음 날, 배지를 제거하고, 1장의 플레이트에 대해서 세포를 인산완충액(pH7)으로 세정한 후 회수하여, B16 멜라노머 배양세포의 백색화도를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이미 멜라닌 생성억제 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 의이인 추출물(100 ㎍/mL)에 대해서도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의이인 추출물은 의이인(일본약국방) 10 g에 70 vol% 함수 에틸 알코올 100 mL를 가하고, 실온에서 3일간 추출을 행한 후, 여과하여 얻었다. 이 때, 의이인 추출물의 건조고형분은 0.8%였다.
(판정기준)
++ : 대조에 대해 매우 백색이다.
+ : 대조에 대해 명확히 백색이다.
±: 대조에 대해 약간 백색이다.
- : 대조와 동일한 흑색이다.
나머지 1장의 플레이트에 대해서, 세포를 포르말린 고정 후, 1% 크리스탈 바이올렛 용액을 첨가해서 염색하였다. 각 검체농도에 대한 세포생존율을 모노셀레이터(올림푸스사제)로 측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표 1-2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및 라브덴산류 및 그의 메틸에스테르 및 에틸에스테르는 단독으로도 멜라닌 생성억제능을 가지고, 또한 B16 멜라노머 배양세포에 대해 독성이 낮은 것이 인정되었다. 더욱이 미백제인 감초 추출물과 병용함으로써 단독처리시와 비교하여 상승적인 미백효과가 얻어졌다. 따라서,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및 라브덴산류 및 그의 메틸에스테르 및 에틸에스테르와 감초 추출물을 조합한 것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멜라닌 생성억제 작용을 발휘하여, 햇볕 그을림에 의한 피부의 흑색화, 기미, 주근깨 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미백 및 피부미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예 23] 까막까치밥나무(크로후사스구리) 과실 추출물의 제조방법
까막까치밥나무(Ribes nigrum L.)의 과실 10 g을 파쇄하고, 50 vol% 함수 에틸알코올 100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3일간 추출을 행한 후, 여과하여 까막까치밥나무(크로후사스구리) 과실 추출물을 얻었다(건조고형분 2.4%).
[예 24] 선복화(금불초) 추출물의 제조방법
금불초(Inula britannica L.)의 두화 10 g에, 50 vol% 함수 에틸알코올 100 mL를 가하고, 실온에서 3일간 추출을 행한 후, 여과하여 선복화(금불초) 추출물을 얻었다(건조고형분 0.5%).
[예 25] 크랜베리 과실 추출물의 제조방법
크랜베리(Vaccinium macrocorpon Aiton 또는 Vaccinium oxycoccus)의 과실 10 g을 파쇄하고, 50 vol% 함수 1,3-부틸렌글리콜 100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3일간 추출을 행한 후, 여과하여 크랜베리 과실 추출물을 얻었다(건조고형분 1.5%).
[예 26] 계혈등 추출물의 제조방법
백화유마등(Mucuna birdwoodiana Tutcher)의 줄기 10 g을 파쇄하고, 50 vol% 함수 에틸알코올 100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3일간 추출을 행한 후, 여과하여 계혈등 추출물을 얻었다(건조고형분 1.5%).
[예 27] 자작나무 수액의 제조방법
자작나무(Betula platyphylla Sukatchuvvar. japonica Hara)의 개화 전 수목에 천공함으로써 일출되는 액체를 채취하여 자작나무 수액을 얻었다(건조고형분 0.8%).
[예 28] 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
사방오리나무(Alnus firma Sieb. et Zucc.)의 과실 10 g에 50 vol% 함수 에틸알코올 100 mL를 가하고, 실온에서 3일간 추출을 행한 후, 여과하여 사방오리나무 추출물을 얻었다(건조고형분 1.0%).
[예 29] 선인장 추출물의 제조방법
열자단선(Opuntia Streptacantha)의 경절(莖節)을 건조, 분말로 한 것 10 g에 정제수 100 mL를 가하고, 70℃에서 8시간 추출한다. 냉각 후 여과를 행하고, 여액을 농축 건고한 후, 30 vol% 함수 1,3-부틸렌글리콜 100 g을 가해서 용해하여 선인장 추출물을 얻었다(건조고형분 1.0%).
[예 30] 나한과 추출물의 제조방법
모모르디카 그로스베노리이(Momordica grosvenorii Swingle)의 건조된 과실 10 g에, 50 vol% 함유 에틸알코올 100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3일간 추출을 행한 후, 여과하여 나한과 추출물을 얻었다(건조고형분 1.3%).
[예 31: 크림]
표 2-2에 나타내는 조성의 각 크림을 조제하였다.
먼저, 성분(1)~(6)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70℃로 유지한 혼합물에, 가열하여 70℃로 유지한 성분(16)을 첨가하였다. 추가로, 성분(7)~(15)를 혼합한 후, 냉각하여 크림을 얻었다.
얻어진 각 크림에 대해서 미백 및 피부미용효과를 이하의 시험방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시험방법)
시험대상 크림 1품에 대해 27~54세의 여성 15명을 패널로 하여, 매일, 12주일, 아침과 저녁 2회, 세안 후에 시험대상 크림의 적량을 안면에 도포하고, 도포에 의한 미백 및 피부미용효과를 이하의 기준에 의해 평가하였다. 또한, 평가결과는 각 평가에 해당하는 패널의 인원수로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평가> <내 용>
유 효 피부의 거무칙칙함이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약간 유효 피부의 거무칙칙함이 그다지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무 효 사용 전과 변화 없음.
(조성 및 결과)
표 2-2의 결과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비교품에 비해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과, 상기 (B2)성분인 여러 성분(성분(8)~(13))을 병용한 본 발명품의 크림은, 이들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피부의 「거무칙칙함」등의 발생의 방지, 개선을 할 수 있어, 아름다운 피부로 하는 것이 명확해졌다.
[예 32 세포배양에 의한 세포부활시험]
인간 신생아 유래의 섬유아세포 NB1RGB를 사용하였다. 24웰 플레이트에 배지를 적량 덜어, 섬유아세포 NB1RGB를 파종하고, 37℃, 이산화탄소농도 5 vol% 중에서 정치하였다. 다음 날, 예 1에서 얻은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예 2에서 얻은 라브덴산류 및 그의 메틸에스테르, 및 에틸에스테르를, 최종농도가 0(대조), 5, 10 ㎍/mL, 또한 세포부활제인 선인장 추출물이 0, 100 ㎍/mL가 되도록 검체조제액을 첨가하여 혼화하였다. 배양 4일째에 배지를 교환하고, 다시 검체조제액을 첨가하였다. 다음 날, 배지를 제거하고, 세포를 인산완충액으로 세정한 후 회수하여, 각 검체조제액으로 생육시킨 섬유아세포 NB1RGB의 세포수를 대조와 비교한 세포증식률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비교예로서 이미 세포부활작용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는, 대두 추출물(100 ㎍/mL)에 대해서도 동일한 시험을 행하였다. 대두 추출물은 대두의 종자 10 g에, 70 vol%의 함수 에틸알코올 100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3일간 추출을 행한 후, 여과하여 얻었다. 이 때 대두 추출물의 건조고형분은 0.5%였다.
(평가기준)
각 검체조제액을 첨가하여 생육시킨 세포수를 대조의 세포수와 비교하고, 그 세포증식률을 지표로 하여 세포부활효과를 평가하였다. 또한, 세포수는 혈구계산반을 사용하여 세었다.
표 3-2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상기 식물 추출물은 인간 신생아 유래의 섬유아세포 NB1RGB에 대해 세포부활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인정되었지만, 세포부활제인 선인장 추출물을 병용한 경우, 보다 우수한 세포부활능을 가지고 있는 것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세포부활제는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및 라브덴산류 및 그의 메틸에스테르 및 에틸에스테르와 선인장 추출물을 조합한 것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매우 우수한 항노화작용을 발휘하여, 가령, 자외선 폭로 등에 의해 생기는 피부의 주름, 처짐 등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기대된다.
[예 33: 크림]
표 4-2에 나타내는 조성의 크림을 각각 조제하였다.
먼저, 성분(1)~(6)을 혼합하고, 가열하여 70℃로 유지한 혼합물에, 가열하여 70℃로 유지한 성분(16)의 일부를 가하였다. 여기에, 성분(7)~(15)를 혼합한 후 냉각하여 크림을 얻었다.
얻어진 각 크림에 대해서, 주름 개선효과를 이하의 조제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시험방법)
시험대상 크림 1품에 대해 35~59세의 여성 20명을 패널로 하여, 매일, 아침과 저녁 2회, 12주일에 거쳐 세안 후에 시험대상 크림의 적량을 안면에 도포하였다. 도포에 의한 주름 개선효과를 이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평 가> <내 용>
유 효 피부의 주름이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약간 유효 피부의 주름이 그다지 눈에 띄지 않게 되었다.
무 효 사용 전과 변화 없음.
표 4의 결과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비교품에 비하여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과, (B)성분인 각 성분을 병용한 본 발명품의 크림은, 이들을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피부의 「주름」등을 개선할 수 있어, 탄력 있는 아름다운 피부로 하는 것이 명확해졌다.
[예 34: 크림]
하기 성분(1)~(10)을 70℃로 가열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70℃로 가온 혼합한 성분(11)~(13), (22) 및 (25)를 첨가 혼합하고, 추가로 성분(14)~(21), (23) 및 (24)를 첨가 혼합하여 실온까지 냉각함으로써 크림을 얻었다.
(성분) (%)
(1)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3.0
(2)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2.0
(3)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1.0
(4) 모노스테아르산 소르비탄 1.0
(5) N-스테아로일-N-메틸타우린나트륨 0.5
(6) 바세린 5.0
(7) 디메틸폴리실록산 3.0
(8)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20.0
(9) dl-α-토코페롤 1.0
(10) 산화티탄 1.0
(11) 디프로필렌글리콜 10.0
(12) L-아스코르브산 인산 마그네슘 3.0
(13) 구연산 나트륨 0.5
(14)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0.1
(15) 락트산(50% 수용액) 0.1
(16) 계혈등 추출물 *1 0.1
(17) 글리코실루틴 *2 0.3
(18) 선인장 추출물 *3 0.02
(19) 나한과 추출물 *4 0.02
(20) 자작나무 수액 *5 5.0
(21) 에데트산 2나트륨 0.03
(22) 방부제 적량
(23) 향료 적량
(24)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6 0.5
(25) 정제수 잔량
*1 예 26에서 제조한 것
*2 도요슈가사제
*3 예 29에서 제조한 것
*4 예 30에서 제조한 것
*5 예 27에서 제조한 것
*6 예 1에서 제조한 것
[예 35: 유중수형 크림]
하기 성분(1)~(8)을 70℃로 가열 혼합하고, 여기에 50℃에서 가온 혼합한 성분(9)~(16) 및 (18)~(21)을 첨가 혼합하고, 성분(17)을 첨가하여 유중수형 크림을 얻었다.
(성분) (%)
(1)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0.05
(2)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2.0
(3) 히드록시스테아르산 콜레스테롤 2.0
(4) 콜레스테롤 0.2
(5) 스쿠알란 2.0
(6)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7.0
(7) 디이소옥탄산 에틸렌글리콜 15.0
(8) 4-tert 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1.0
(9) L-아스코르브산 인산 마그네슘 3.0
(10) 구연산나트륨 0.5
(11) 에데트산 2나트륨 0.05
(12) 에탄올 2.0
(13) 1,3-부틸렌글리콜 5.0
(14) 결정 셀룰로오스 2.0
(15) 구형상 나일론 분말 1.0
(16) 방부제 적량
(17) 향료 적량
(18)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 0.3
(19)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2 0.1
(20) 나한과 추출물 *3 0.1
(21) 정제수 잔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예 28에서 제조한 것
*3 예 30에서 제조한 것
예 34 및 35에서 얻어진 각종 크림은, 모두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햇볕 그을림 등에 의한 피부의 거무칙칙함, 기미 및 주근깨, 및 가령에 의한 주름 및 처짐의 방지 및 개선효과가 우수하여, 투명감이 있는 아름다운 피부로 하는 각종 크림이었다.
[예 36: 세안료]
하기 성분(1)~(10)을 가열 혼합하고, 70℃로 유지하였다. 이것을 실온까지 냉각하고, (11)~(14)를 첨가 혼합함으로써 세안료를 얻었다.
(성분) (%)
(1) N-야자유 지방산 아실-L-글루타민산 트리에탄올아민 20.0
(2) 라우릴디메틸아미노초산 베타인 10.0
(3)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3.0
(4) 야자유 지방산 칼륨 5.0
(5) 스테아르산 2.0
(6) 글리세린 20.0
(7)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5.0
(8) 에리스리톨 2.0
(9) 프로필렌글리콜 10.0
(10) 방부제 적량
(11) 향료 적량
(12)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 1.0
(13) 의이인 추출물 *2 1.0
(14) 정제수 잔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예 22에서 제조한 것
얻어진 세안료는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여,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투명감이 있는 아름다움 피부로 하는 세안료였다.
[예 37: 젤 화장료]
하기 성분(1)~(5) 및 (16)을 가열 혼합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이 혼합물에 70℃에서 가온 혼합한 (6)~(10)을 첨가 혼합하고, 추가로 (11)~(15)를 첨가 혼합하여 젤 화장료를 얻었다.
(성분) (%)
(1) 메틸셀룰로오스 2.0
(2) 크산탄검 1.0
(3) 알긴산 나트륨 0.2
(4)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5) 히알루론산나트륨 1% 수용액 2.0
(6) 글리세린 10.0
(7) 폴리에틸렌글리콜 20000 1.0
(8) 메틸글루코오스 2.0
(9) 수소첨가 난황 인지질 0.2
(10) 피토스테롤 0.1
(11) 수산화나트륨 0.1
(12) 방부제 적량
(13) 향료 적량
(14)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 1 0.001
(15) 까막까치밥나무 과실 추출물 *2 0.3
(16) 정제수 잔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예 23에서 제조한 것
[예 38: 오일젤 화장료]
하기 성분(1)~(9)를 70℃에서 가열 혼합하고, 실온까지 냉각하였다. 이 혼합물에 (10) 및 (16)을 첨가 혼합하고, 추가로 (11)~(15)를 첨가 혼합하여 오일젤 화장료를 얻었다.
(성분) (%)
(1) 폴리옥시에틸렌 (20) 폴리옥시프로필렌 (4) 세틸에테르 1.0
(2) 폴리옥시에틸렌 (20) 트리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릴 0.2
(3) 알킬 변성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4) 글리세린 10.0
(5) 디프로필렌글리콜 2.0
(6) 1,3-부틸렌글리콜 5.0
(7) 폴리옥시에틸렌 (10) 메틸글루코오스 0.2
(8)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75.0
(9) 스쿠알란 2.0
(10) 트리에탄올아민 0.1
(11) 방부제 적량
(12) 향료 적량
(13)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 0.005
(14) 아스타잔틴 *2 0.05
(15) 루틴 글리코시드 *3 0.05
(16) 정제수 잔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시그마사제
*3 도요슈가사제
[예 39: 화장수]
하기 성분(1)~(9) 및 (12), (16)을 혼합 용해한 혼합물을, 성분(10), (11), (13)~(15) 및 (17)~(21)에 가해서 혼합하여 화장수를 얻었다.
(성분) (%)
(1) 마카데미야 넛유 0.01
(2) 보라지오일 0.01
(3) 옥탄산 세틸 0.01
(4) 트리-2-에틸헥산산 글리세릴 0.01
(5) 초산-dl-α-토코페롤 0.02
(6) 세스퀴올레산 소르비탄 0.1
(7) 모노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 (20) 소르비탄 0.1
(8) 폴리옥시에틸렌 (8) 알킬에테르인산 0.2
(9) 에탄올 10.0
(10) 소르비톨(70% 수용액) 5.0
(11) 글리세린 1.0
(12)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나트륨 0.2
(13) 락트산(50% 수용액) 0.1
(14) 락트산나트륨(50% 수용액) 0.3
(15) 방부제 적량
(16) 향료 적량
(17)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 0.01
(18)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0.1
(19)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2 0.05
(20) 감초 추출물 *3 0.05
(21) 정제수 잔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예 28에서 제조한 것
*3 마루젠세이야쿠사제
[예 40: 화장수]
하기 성분(1)~(9)를 혼합 용해한 혼합물을, (10)~(16)에 가해서 혼합함으로써 화장수를 얻었다.
(성분) (%)
(1) γ-리놀산 수크로오스 에스테르 0.05
(2) 모노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 (50) 경화 피마자유 1.0
(3) 이소팔미트산 L-아스코르빌 0.1
(4) 폴리옥시에틸렌 (10) 알킬에테르 인산 0.1
(5) 메톡시계피산 옥틸 0.05
(6) 글리세린 3.0
(7) L-세린 0.1
(8) 1,3-부틸렌글리콜 5.0
(9) 에탄올 8.0
(10) 구연산나트륨 0.02
(11) 구연산 0.05
(12) 방부제 적량
(13) 향료 적량
(14)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 0.05
(15) 선복화 추출물 *2 0.2
(16) 정제수 잔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예 24에서 제조한 것
[예 41: 백탁 화장수]
하기 성분(1)~(10)을 혼합 용해한 혼합물을, 혼합 용해한 성분(11)~(19)에 첨가 혼합하여 백탁의 화장수를 얻었다.
(성분) (%)
(1) 폴리옥시에틸렌 (60) 경화 피마자유 0.7
(2)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인산나트륨 0.2
(3) 콜레스테롤 0.01
(4) 수소첨가 난황 인지질 0.02
(5) 디메틸폴리실록산 0.05
(6) 초산 dl-α-토코페롤 0.5
(7) 파라메톡시계피산 2-에틸헥실 0.2
(8) 글리시리진산 스테아릴 0.1
(9) 에탄올 15.5
(10) 폴리에틸렌글리콜 6000 0.2
(11) 구연산 0.01
(12) 인산 일수소이나트륨 0.2
(13) 아스타잔틴 *1 0.0001
(14) 방부제 적량
(15) 향료 적량
(16)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2 0.002
(17) 루틴 글리코시드 *3 0.001
(18) 까막까치밥나무 과실 추출물 *4 0.1
(19) 정제수 잔량
*1 시그마사제
*2 예 1에서 제조한 것
*3 도요슈가사제
*4 예 23에서 제조한 것
[예 42: 유액]
하기 성분(1)~(8)을 70℃까지 가열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에 70℃에서 가온 혼합한 (9)~(11) 및 (17)을 첨가 혼합하고, 냉각하였다. 여기에 (12) 및 (13)~(16)을 첨가 혼합하여 유액을 얻었다.
(1)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3.0
(2) 콜레스테롤 0.2
(3) 폴리옥시에틸렌 (5) 세틸에테르 0.2
(4) 폴리옥시에틸렌 (10) 경화 피마자유 1.0
(5)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2.0
(6) 올리브스쿠알란 5.0
(7) 디프로필렌글리콜 7.0
(8) 1,3-부틸렌글리콜 5.0
(9) 트리메틸글리신 2.0
(10)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0.1
(11)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12) 수산화칼륨 0.1
(13) 방부제 적량
(14) 향료 적량
(15)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 0.1
(16) 선인장 추출물 *2 0.5
(17) 정제수 잔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예 29에서 제조한 것
[예 43: 햇볕 그을림 방지 유액]
하기 성분(1)~(11)을 70℃에서 가열 혼합하고, 슬러리상으로 분산시켰다. 여기에 성분(12)~(14) 및 (16)~(20)을 50℃에서 용해 혼합한 것을 혼합하고, 성분(15)를 첨가하여 햇볕 그을림 방지 유액을 얻었다.
(성분) (%)
(1)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10.0
(2)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5.0
(3)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10.0
(4)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10.0
(5) 디메틸폴리실록산 5.0
(6) 미립자 산화티탄 10.0
(7) 미립자 산화아연 5.0
(8) 폴리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5.0
(9) 글리시리진산 스테아릴 0.3
(10) 나일론 파우더 2.0
(11) 폴리에틸렌말 분말 1.0
(12) 글리세린 5.0
(13) 에탄올 5.0
(14) 방부제 적량
(15) 향료 적량
(16)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 0.2
(17)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0.1
(18) 계혈등 추출물 *2 0.1
(19) 크랜베리 과실 추출물 *3 0.1
(20) 정제수 잔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예 26에서 제조한 것
*3 예 25에서 제조한 것
[예 44: 유중수형 햇볕 그을림 방지 크림]
하기 성분(1)~(8)을 70℃에서 가열 혼합하였다. 여기에, 50℃에서 가온 혼합한 성분(9)~(13) 및 (15)~(18)을 첨가 혼합하고, 성분(14)를 첨가하여 유중수형 햇볕 그을림 방지 크림을 얻었다.
(성분) (%)
(1)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오르가노폴리실록산 2.0
(2) 팔미트산 옥틸 15.0
(3) 데카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20.0
(4) 트리베헨산 글리세릴 1.0
(5) 미립자 산화아연 12.0
(6) 미립자 산화티탄 3.0
(7)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7.0
(8) 4-tert 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1.0
(9) 아스타잔틴 *1 0.05
(10) 디프로필렌글리콜 5.0
(11) 에탄올 5.0
(12) 폴리에틸렌 분말 3.0
(13) 방부제 적량
(14) 향료 적량
(15)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2 0.2
(16) 자작나무 추출물 *3 0.2
(17)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4 0.2
(18) 정제수 잔량
*1 시그마사제
*2 예 1에서 제조한 것
*3 예 27에서 제조한 것
*4 예 28에서 제조한 것
[예 45: 미용액]
성분(7)~(12) 및 (19)를 50℃에서 가열 혼합하고, 실온까지 냉각한 혼합물을 조제하였다. 이 혼합물에 하기 성분(1)~(6)을 50℃에서 혼합 용해한 용액 및 성분(13)~(18)을 첨가 혼합하여, 점성 있는 미용액을 얻었다.
(성분) (%)
(1) 이소스테아르산 폴리옥시에틸렌 (50) 경화 피마자유 0.2
(2)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0.5
(3) 글리세린 7.0
(4) dl-α-토코페롤 0.3
(5) 콜레스테롤 0.1
(6) 에탄올 6.0
(7)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0.2
(8) L-아스코르브산 인산 마그네슘 0.5
(9) 구연산 0.01
(10) 구연산나트륨 0.1
(11) 크산탄검 0.1
(12) 메틸셀룰로오스 0.1
(13)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 0.1
(14) 감초 추출물 *2 0.1
(15) 의이인 추출물 *3 0.1
(16) 크랜베리 과실 추출물 *4 0.1
(17) 방부제 적량
(18) 향료 적량
(19) 정제수 잔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마루젠세이야쿠사제
*3 예 22에서 제조한 것
*4 예 25에서 제조한 것
[예 46: 팩 화장료]
하기 성분(1)~(5) 및 (19)를 70℃에서 가열 혼합하고, 실온까지 냉각한 혼합물에, 성분(6)~(18)을 첨가 혼합하여 팩 화장료를 얻었다.
(성분) (%)
(1) 폴리비닐알코올 15.0
(2) 글리세린 10.0
(3) 폴리옥시에틸렌 (10) 메틸글루코오스 3.0
(4) 트리옥탄산글리세릴 5.0
(5)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인산나트륨 1.0
(6) 에탄올 20.0
(7) 카올린 2.0
(8) 산화티탄 2.0
(9) 해조 추출물 0.1
(10)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0.1
(11) 선인장 추출물 *1 0.1
(12) 자작나무 수액 *2 0.1
(13) 선복화 추출물 *3 0.1
(14) 락트산(50% 수용액) 0.5
(15) 락트산 나트륨(50% 수용액) 0.5
(16) 방부제 적량
(17) 향료 적량
(18)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4 0.02
(19) 정제수 잔량
*1 예 29에서 제조한 것
*2 예 27에서 제조한 것
*3 예 24에서 제조한 것
*4 예 1에서 제조한 것
[예 47: 리퀴드 파운데이션]
하기 성분(1)~(7)을 가열 혼합하고, 이 혼합물에 성분(13)~(18)을 가해서 혼합하여 70℃로 유지하였다. 성분(8)~(12)를 혼합하여 70℃로 유지한 것에, 상기 혼합물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유화하였다. 냉각 후, 성분(19)~(22)를 첨가하여 리퀴드 파운데이션을 얻었다.
(성분) (%)
(1) 디펜타에리스리트 지방산에스테르 2.0
(2) 유동 파라핀 5.0
(3) 스테아르산 2.0
(4) 세탄올 1.0
(5) 자기유화형 모노스테아르산 글리세릴 1.0
(6)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8.0
(7) 방부제 적량
(8) 글리세린 5.0
(9) 트리에탄올아민 1.0
(1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11) 벤토나이트 0.5
(12) 정제수 잔량
(13) 산화티탄 6.0
(14) 미립자 산화티탄 2.0
(15) 미립자 산화아연 4.0
(16) 마이카 2.0
(17) 탈크 4.0
(18) 착색안료 적량
(19) Cistus ladaniferus L. 추출물 *1 0.01
(20) 의이인 추출물 *2 0.5
(21)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3 1.0
(22) 향료 적량
*1 예 1에서 제조한 것
*2 예 22에서 제조한 것
*3 예 28에서 제조한 것
예 37~47에서 얻어진 각종 화장료는, 모두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적용함으로써 햇볕 그을림 등에 의한 피부의 거무칙칙함, 기미 및 주근깨, 및 가령에 의한 주름 및 처짐의 방지 및 개선효과가 우수하여, 투명감이 있는 아름다운 피부로 하는 각종 화장료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미용효과, 특히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가 우수한 피부외용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우수한 효과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과, 특정 성분을 병용함으로써 나타내어지는 상승효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및 특정 성분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는 얻어지지 않는, 현저히 우수한 피부미용, 미백 및/또는 노화방지효과이다.

Claims (15)

  1. (A)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1]
    (화학식 1 중, R1은 -CH2OH 또는 COOR6를 나타내고, R6는 수소, 탄소수가 1~3인 저급 알킬기 또는 COO-와 염을 형성할 수 있는 양이온을 나타내며, R2~R5는 각각 독립하여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고, …A…는 =C(CH3)-, -C(CH3)=, -C(=CH2)-, -CH(CH3)- 또는 -C(OH)(CH3)-를 나타낸다.)로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의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과,
    (B) 아스파라거스 추출물, 당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천궁 추출물, 영실 추출물, 나무딸기 추출물, 고삼 추출물, 오가피 추출물, 커피 추출물, 쌀겨 추출물, 밀배아 추출물, 세신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흰백합 추출물, 작약 추출물, 차 추출물, 당밀 추출물, 포도 추출물, 호프 추출물, 해당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황금 추출물, 해조 추출물,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 히드록시 아니솔, 만니톨, β-카로틴, 케르세틴, 케르시트린, 루틴,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이질풀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산편두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B 및 그의 유도체, 겐티아나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모란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황백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샐비아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자소 추출물, 쑥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크레송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덧나무 추출물, 애기부들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유칼리 추출물, 자운영 추출물,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타르타르산, 말산, 글리콜산, 숙신산, 세린, 글루타민산, 히드록시프롤린, 테아닌,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동충하초 추출물, 대두 추출물, 인삼 추출물, 대맥 추출물, 너도밤나무의 싹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효모 추출물, 유산균 추출물, 비피더스균 추출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접시꽃 추출물, 붓꽃 추출물, 지황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당아욱(우스베니타치아오이) 추출물, 살구 추출물, 라임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인지질 및 그의 유도체, 감차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모과씨 추출물, 감초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까막까치밥나무(크로후사스구리) 과실 추출물, 선복화(금불초) 추출물, 크랜베리 과실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선인장 추출물, 나한과 추출물, 아스타잔틴 및 그의 유도체 및 루틴유도체로 이루어진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을 함유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가 (B1) 아스파라거스 추출물, 당귀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천궁 추출물, 영실 추출물, 나무딸기 추출물, 고삼 추출물, 오가피 추출물, 커피 추출물, 쌀겨 추출물, 밀배아 추출물, 세신 추출물, 산사자 추출물, 흰백합 추출물, 작약 추출물, 차 추출물, 당밀 추출물, 포도 추출물, 호프 추출물, 해당화 추출물, 모과 추출물, 황금 추출물, 해조 추출물, 디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부틸 히드록시 아니솔, 만니톨, β-카로틴, 케르세틴, 케르시트린, 루틴, 비타민 E 및 그의 유도체, 이질풀 추출물, 범의귀 추출물, 산편두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글리시리진산 및 그의 유도체, 글리시레틴산 및 그의 유도체, 비타민 B 및 그의 유도체, 겐티아나 추출물, 삼백초 추출물, 모란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아르니카 추출물, 고추나물 추출물, 황백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샐비아 추출물, 자작나무 추출물, 자소 추출물, 쑥 추출물, 캐모마일 추출물, 컴프리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크레송 추출물, 금잔화 추출물, 덧나무 추출물, 애기부들 추출물, 무환자나무 추출물, 유칼리 추출물, 자운영 추출물, 비타민 A 및 그의 유도체, 타르타르산, 말산, 글리콜산, 숙신산, 세린, 글루타민산, 히드록시프롤린, 테아닌, 피롤리돈 카르복실산, 동충하초 추출물, 대두 추출물, 인삼 추출물, 대맥 추출물, 너도밤나무의 싹 추출물, 은행나무 추출물, 병풀 추출물, 효모 추출물, 유산균 추출물, 비피더스균 추출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 2-히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5-설폰산나트륨,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4-tert-부틸-4'-메톡시디벤조일메탄, 접시꽃 추출물, 붓꽃 추출물, 지황 추출물, 마로니에 추출물, 당아욱(우스베니타치아오이) 추출물, 살구 추출물, 라임 추출물, 라즈베리 추출물, 아몬드 추출물, 토마토 추출물, 인지질 및 그의 유도체, 감차 추출물, 관동화 추출물 및 모과씨 추출물로 이루어진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가 (B2) 감초 추출물, 의이인 추출물, 까막까치밥나무(크로후사스구리) 과실 추출물, 선복화(금불초) 추출물, 크랜베리 과실 추출물, 계혈등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사방오리나무 추출물, 선인장 추출물, 나한과 추출물, 아스타잔틴 및 그의 유도체, 및 루틴유도체로 이루어진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인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가 흰백합 추출물, 상백피 추출물, 천연 비타민 E, 글리시리진산 디칼륨, 효모 추출물, 수소첨가 대두 인지질 및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로 이루어진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인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가 부틸 히드록시 톨루엔, 인삼 추출물, 녹차 추출물, 오이풀 추출물, 파라메톡시계피산-2-에틸헥실, 팔미트산 레티놀 및 관동화 추출물로 이루어진 약효제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부외용제인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미백용 피부외용제인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노화방지용 피부외용제인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시스터스과의 Cistus ladaniferus L., Cistus creticus L., Cistus monoperiensis L. 및 Cistus salvifolius로 이루어진 식물체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식물체로부터 추출된 화합물, 또는 상기 화합물로부터 조제된 화합물인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시스터스과의 Cistus ladaniferus L., Cistus creticus L., Cistus monoperiensis L. 및 Cistus salvifolius로 이루어진 식물체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류 또는 2종류 이상의 추출물을 배합해서 되는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멜라닌 생성을 저해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미백방법.
  13.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을 피부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의 노화방지방법.
  14.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피부외용제로서의 사용방법.
  15. 피부외용제를 제조하기 위한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의 사용방법.
KR1020057008088A 2002-11-07 2003-07-30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KR1009705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323503A JP4091825B2 (ja) 2002-02-05 2002-11-07 皮膚外用剤
JPJP-P-2002-00323503 2002-11-07
JP2002323502A JP4091824B2 (ja) 2002-02-05 2002-11-07 皮膚外用剤
JPJP-P-2002-00323502 2002-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4971A true KR20050084971A (ko) 2005-08-29
KR100970544B1 KR100970544B1 (ko) 2010-07-16

Family

ID=32314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8088A KR100970544B1 (ko) 2002-11-07 2003-07-30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60147397A1 (ko)
EP (1) EP1570839B1 (ko)
KR (1) KR100970544B1 (ko)
AU (1) AU2003252305A1 (ko)
DE (1) DE60322101D1 (ko)
HK (1) HK1082916A1 (ko)
TW (1) TWI280138B (ko)
WO (1) WO2004041236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35B1 (ko) 2005-07-13 2007-03-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관동화 추출물 또는 투실라곤을 포함하는 비만 및 제2형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773856B1 (ko) * 2006-06-02 2007-11-06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42169B1 (ko) * 2007-05-10 2008-06-27 대구보건대학산학협력단 차조기와 황금, 포황 추출물을 첨가한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0848382B1 (ko) 2006-05-08 2008-07-24 서명숙 미용조성물 및 이용한 퍼머액
KR101308871B1 (ko) * 2006-03-14 2013-09-16 코세 코퍼레이션 미백용 피부외용제 및 피부의 미백방법
KR20180043568A (ko) * 2016-10-20 2018-04-3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20200035700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09208B1 (ko) * 2019-09-25 2021-01-2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오스톨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벌사상자 발아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8574A (ja) * 2003-06-19 2005-01-13 Takasago Internatl Corp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EP1870094A1 (en) * 2005-04-13 2007-12-26 Shiseido Company, Limited Antiwrinkle agent
FR2902334B1 (fr) * 2006-06-16 2011-09-30 Nuxe Lab Utilisation d'un extrait de souci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US8261907B2 (en) * 2006-06-30 2012-09-11 Tyco Healthcare Group Lp Wound closure adhesive remover
US20090035398A1 (en) * 2007-03-29 2009-02-05 Raymond Williams Topical formulations
CN101687106B (zh) * 2007-06-01 2015-04-29 盖尔德马研究及发展公司 新型保湿剂及其用途
US7722904B2 (en) * 2007-11-01 2010-05-25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synthesis of pro-collagen or collagen and hyaluronic acid
DE102008012068A1 (de) * 2008-02-29 2009-09-10 Henkel Ag & Co. Kgaa Haarbehandlungsmittel mit Cranberry-Extrakt
RU2537243C2 (ru) * 2008-03-31 2014-12-27 Сисейдо Компани, Лтд. Пероральный препарат, препарат для инъекции, кожный препарат для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и косметический способ предупреждения появления или разглаживания морщин
DE102008022392A1 (de) * 2008-05-06 2009-11-12 Evonik Goldschmidt Gmbh Kosmetika enthaltend Zistrosenkraut-Extrakte
US20090291156A1 (en) * 2008-05-20 2009-11-26 Sagittarius Life Science Corp. Herbal composition for skin care
US20100034763A1 (en) * 2008-08-05 2010-02-11 Conopco, Inc., D/B/A Unilever Skin Ligh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CO2 Extracts
WO2012000963A1 (en) * 2010-06-30 2012-01-05 Nestec S.A. Use of caftaric acid and lactic bacterium in food supplement for regulating skin pigmentation
EP2588071B1 (en) * 2010-06-30 2019-05-22 Nestec S.A. Use of chicoric acid and derivatives for lightening and/or whitening skin tone
JP2013530996A (ja) * 2010-06-30 2013-08-01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皮膚の色素沈着を調節するための、栄養補助食品におけるカフタル酸及び誘導体の使用
ES2744576T3 (es) 2010-06-30 2020-02-25 Nestle Sa Uso de ácido cicórico y bacteria láctica en suplemento alimenticio para aclarar y/o blanquear el tono de la piel
KR101821942B1 (ko) 2010-12-30 2018-01-24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다목적 화장품 조성물
US8883224B2 (en) 2011-03-28 2014-11-11 Mary Kay Inc. Topical skin care formulations comprising plant extracts
KR20180114246A (ko) * 2011-04-06 2018-10-17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국소 스킨 케어 제형
EP2861239A4 (en) * 2012-06-17 2016-05-04 Kamedis Ltd TOPICAL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SKIN INFLAMMATORY DISEASES
CN103054039A (zh) * 2013-01-11 2013-04-24 太原市澳意医药生物科技有限公司 芦荟阿胶方便粒
CN103054027A (zh) * 2013-01-11 2013-04-24 太原市澳意医药生物科技有限公司 芦荟蜂花方便粒
CN103054028A (zh) * 2013-01-11 2013-04-24 太原市澳意医药生物科技有限公司 芦荟膳食纤维方便粒
JPWO2015145602A1 (ja) * 2014-03-26 2017-04-13 株式会社コーセー 皮膚外用剤または化粧料として有用な組成物
FR3025424B1 (fr) * 2014-09-05 2016-12-23 Soc Ind Limousine D'application Biologique Principe actif obtenu a partir de calendula officinalis et utilisation dans la prevention et le traitement de manifestations cutanees dues a un dereglement de l'epigenome dans les cellules de la peau
JP6622325B2 (ja) 2015-12-07 2019-12-18 株式会社大塚製薬工場 皮膚消毒用組成物
US10543243B2 (en) 2016-06-06 2020-01-28 Charsire Biotechnology Corp. Soybeam seed extract,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KR20180065514A (ko) 2016-12-08 2018-06-18 사조동아원 주식회사 밀 배아로 부터 2,6-dmbq의 추출방법
KR101944633B1 (ko) 2017-11-09 2019-01-31 사조동아원 주식회사 효소첨가된 밀 배아로 부터 2,6-디메톡시-ρ-벤조퀴논 증가 추출방법
US11166999B1 (en) * 2020-08-18 2021-11-09 Morehouse School Of Medicine Method of treating coronavirus infection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568771D1 (en) * 1984-10-10 1989-04-20 Givaudan & Cie Sa Hexanoates,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perfumes and/or flavouring agents having a content of such compounds
RU2026683C1 (ru) * 1993-05-19 1995-01-20 Игорь Электринович Острейковский Состав для лечения ожирения
JPH07206654A (ja) * 1994-01-14 1995-08-08 Pola Chem Ind Inc メラニン産生抑制剤及び皮膚外用剤
JPH07238059A (ja) * 1994-02-25 1995-09-12 Kao Corp 新規なラブデノイック酸エチルエステル及びこれを含有する香料組成物
IL109012A (en) * 1994-03-17 1998-09-24 Fischer Pharma Ltd Skin whitening composition comprising glycyrrhyza glabra and hydroxy acids
JPH09291011A (ja) * 1996-04-24 1997-11-11 Kose Corp 外用に適する組成物
ES2107976B1 (es) * 1996-05-27 1998-07-01 Angui Emilio Rodriguez Locion capilar y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on.
JP3445110B2 (ja) * 1997-08-15 2003-09-08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メラニン産生抑制剤
JP3557095B2 (ja) * 1998-04-20 2004-08-25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メラニン産生抑制剤
DE19821971C2 (de) * 1998-05-18 2003-02-06 Ulti Med Products Deutschland Arzneimittel zur Behandlung von Psoriasis oder Neurodermitis
AU768306B2 (en) * 1999-10-14 2003-12-04 Nisshin Oil Mills, Ltd., The Skin-care agents, skin antiaging agents, whitening agents and external skin preparations
US6352685B2 (en) * 1999-12-24 2002-03-05 KOSé CORPORATION External preparation for ski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7235B1 (ko) 2005-07-13 2007-03-2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관동화 추출물 또는 투실라곤을 포함하는 비만 및 제2형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08871B1 (ko) * 2006-03-14 2013-09-16 코세 코퍼레이션 미백용 피부외용제 및 피부의 미백방법
KR100848382B1 (ko) 2006-05-08 2008-07-24 서명숙 미용조성물 및 이용한 퍼머액
KR100773856B1 (ko) * 2006-06-02 2007-11-06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나한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트라이터펜계화합물을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KR100842169B1 (ko) * 2007-05-10 2008-06-27 대구보건대학산학협력단 차조기와 황금, 포황 추출물을 첨가한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43568A (ko) * 2016-10-20 2018-04-30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니파바이오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마스크 팩
KR20200035700A (ko) * 2018-09-27 2020-04-06 주식회사 인투바이오 모란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09208B1 (ko) * 2019-09-25 2021-01-29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오스톨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벌사상자 발아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322101D1 (de) 2008-08-21
TWI280138B (en) 2007-05-01
WO2004041236A1 (ja) 2004-05-21
EP1570839A4 (en) 2006-06-28
EP1570839A1 (en) 2005-09-07
HK1082916A1 (en) 2006-06-23
EP1570839B1 (en) 2008-07-09
KR100970544B1 (ko) 2010-07-16
US20060147397A1 (en) 2006-07-06
AU2003252305A1 (en) 2004-06-07
TW200413021A (en) 2004-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544B1 (ko)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JP4091825B2 (ja) 皮膚外用剤
JP3958968B2 (ja) 皮膚外用剤及び美白剤
JP4091824B2 (ja) 皮膚外用剤
JP2005220084A (ja) アセロラ種子抽出物含有組成物
WO2001026670A1 (fr) Agents de soin de la peau, agents anti-ages pour la peau, agents de blanchiment de la peau et preparations pour la peau, a usage externe
JP2007210915A (ja) 皮膚外用剤
JP3987793B2 (ja) 皮膚外用剤
JP2003063925A (ja) 皮膚外用剤
JP2002212087A (ja) 皮膚外用剤
JP3754646B2 (ja) 皮膚外用剤
JP3704498B2 (ja) 皮膚外用剤
JP2002138027A (ja) 皮膚外用剤
JP2004051492A (ja) 老化防止剤又は細胞賦活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4035481B2 (ja) 皮膚外用剤
JP4203325B2 (ja) 皮膚外用剤及び皮膚外用剤組成物
JP2005247826A (ja) デコリン産生促進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7238597A (ja) 皮膚外用剤
JP2003252742A (ja) メラノサイト樹状突起形成抑制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JP2002275081A (ja) 皮膚外用剤
JP3895636B2 (ja) 老化防止剤及びそれを用いた皮膚外用剤
JP2006241034A (ja) 線維芽細胞増殖促進剤及び皮膚外用剤
JP3746260B2 (ja) 皮膚外用剤
JP2009256326A (ja) 美白剤、及び皮膚外用剤
JP2009249366A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及び老化防止用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