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5514A - 밀 배아로 부터 2,6-dmbq의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밀 배아로 부터 2,6-dmbq의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5514A
KR20180065514A KR1020160166490A KR20160166490A KR20180065514A KR 20180065514 A KR20180065514 A KR 20180065514A KR 1020160166490 A KR1020160166490 A KR 1020160166490A KR 20160166490 A KR20160166490 A KR 20160166490A KR 20180065514 A KR20180065514 A KR 20180065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wheat
added
dmbq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6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석
최용현
이재강
이정훈
하동욱
Original Assignee
사조동아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조동아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사조동아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6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65514A/ko
Publication of KR2018006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3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가루 제분 부산물인 밀 배아를 유기산 처리를 통해 면역력 및 항암 기능성 물질인 2,6-디메톡시(Dimethoxy)-1, 4-벤조퀴논(benzoquine)[이하 '2,6-DMBQ'라 명명함]의 추출 함량을 증대하여 추출된 물질을 건조하여 건강기능식품 및 항암 관련 식품등의 소재로 첨가 적용이 가능토록 하며 또한, 저평가 되어 있는 밀 배아의 고부가가치 식품화를 통하여 밀 농가 수입확대 등 국민 건강 증진 및 농가 수입확대를 위한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밀 배아에 물을 가수한 다음 구연산을 첨가하여 2,6-DMBQ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과,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2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30℃에서 추출시간 3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과,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4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60℃에서 추출시간 6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과,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6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90℃에서 추출시간 9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과,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구연산 5.9192중량부를 첨가하여 추출온도 30℃에서 추출시간 3시간동안 2,6-DMBQ 0.0208 mg/m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밀가루 제분 부산물인 밀 배아를 유기산 처리를 통해 면역력 및 항암 기능성 물질인 2,6-디메톡시(Dimethoxy)-1, 4-벤조퀴논(benzoquine)[2,6-DMBQ]의 추출 함량을 증대하여 추출된 물질을 건조하여 건강기능식품 및 항암 관련 식품등의 소재로 첨가 적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밀배아 추출물의 국산화로 가격경쟁력 강화 및 수입 대체 효과가 있으며, 밀 배아 추출물의 항암 기능성 관련하여 국외에서 항암효과 관련 150편 이상의 기능성이 인정된 바 암 환자의 치료비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예방에 활용하는 등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국산밀 원맥의 높은 가격으로 국산밀 밀가루의 원가부담을 밀배아 부가가치로 상쇄하여 국산밀 밀가루 가격 경쟁력 제고를 통하여 농가 소득증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 {Extraction method of anti-cancer immunity enhancer from wheat germ}
본 발명은 밀가루 제분 부산물인 밀 배아를 유기산 처리를 통해 면역력 및 항암 기능성 물질인 2,6-디메톡시(Dimethoxy)-1, 4-벤조퀴논(benzoquine)[이하 '2,6-DMBQ'라 명명함]의 추출 함량을 증대하여 추출된 물질을 건조하여 건강기능식품 및 항암 관련 식품등의 소재로 첨가 적용이 가능토록 하며 또한, 저평가 되어 있는 밀 배아의 고부가가치 식품화를 통하여 밀 농가 수입확대 등 국민 건강 증진 및 농가 수입확대를 위한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밀배아는 통밀을 밀가루로 처리하는 공정에서 제거되어 나오는 밀알(wheat kernel)의 영양분이 풍부한 배아로서, 전체 밀알의 약 2~3%를 차지한다.
밀의 씨눈인 밀배아는 현재까지 항산화 비타민으로 알려진 비타민 E(토코페롤)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 연구에 따르면 밀배아에서 추출한 천연물질이 인체의 손상된 면역기능을 복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밀배아를 30℃에서 18시간 동안 효모와 함께 발효시킨 수용성 추출물인 아베마르(Avemar)는 항암제품의 사용으로 생길 수 있는 발열이나 기타 합병증을 반감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소아암환자의 경우 항암제 부작용이 50% 이상 줄어든 것이 보고된 바가 있다.
아베마르(Avemar)는 밀 배아와 효모를 적정 비율로 혼합 및 발효시켜 여과한 후 상등액을 건조한 제품으로, 미국 특허 제 6,355,474호 및 연구 논문[Mate Hidvegi et al., Cancer Biotherapy & Radiopharmaceuticals, 14(4), 278(1999)]에 보고된 바 있다.
밀배아에는 배당체 형태의 2-메톡시-ρ-벤조퀴논(2-MBQ)과 2,6-디메톡시- ρ-벤조퀴논(2,6-DMBQ)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들 물질은 항암 및 항균 활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Pething R. et al., Proc Natl Acad Sci USA, 82, 1439(1985)].
상기와 같이 식물의 배아(germ)는 양질의 영양소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으나, 도정 또는 가공 중에 부산물로 폐기되거나, 또는 식품 소재보다는 사료용 원료로 판매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식물 배아에 함유된 생리활성물질에 대해 많은 연구자들이 관심을 나타내고 있어 자원 재활용 및 고부가 가치 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크게 기대된다.
한편, 밀배아를 이용한 특허출원들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6538호에서는 밀 배아 단백질을 일부 첨가물로서 함유하는 모발 내부 섬유질을 강화하는 모발샴푸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샴푸 조성물의 일부로서 전술한 바와 같은 밀배아의 알려진 성분인 토코페놀의 효능을 이용하는 수준에 머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0544호는 미백효과 및 노화방지효과가 우수한 피부외용제로서, 주성분인 시스터스과 식물 추출물과 이에 첨가되는 여러 다양한 식물들의 추출물들을 개시하고 있는데 부수적인 첨가 추출물의 하나로서 밀배아 추출물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0544호의 피부외용제의 효능은 주로 시스터스과 식물 추출물에 관한 것이고 밀배아 추출물은 단순히 부수적인 첨가 추출물로서 언급되고 있고 밀배아 추출물의 정확한 효능에 대해서는 전혀 개시하고 있는 바가 없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8621호는 밀배아유와 나노리포좀 형태의 세라마이드를 함유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데, 밀배아유 사용에 의한 수분손실량의 감소에 의한 피부 보습력 강화로 아토피성 피부염을 개선하는 효능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구체적인 면역 개선 효능에 대해서는 개시나 암시하고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항균 작용에 대해서는 전혀 시사하고 있는 바가 없다.
이와 같이 밀배아유나 밀배아 추출물에 함유된 토코페놀을 이용한 연구 및 항암 치료시 부작용 억제에 대해 현재까지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 그 효능이나 약리기전이 완전히 입증되어 있지 못한 실정이고 밀배아 추출물의 다른 효능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다만, 전술한 종래 특허출원들에서 알 수 있듯이 밀배아에 함유된 토코페놀 효능을 이용한 상품 개발이나 밀배아유의 보습기능 그리고 밀배아 추출물의 한 종류인 아베마르가 항암 치료시 부작용을 감소시킨다는 것이 알려져 있는 정도이다.
이와 같이 천연소재인 밀배아 추출물에 대한 학술적 연구 및 상업적 이용은 아직 초보 단계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고 밀배아 추출물이 식품을 매개로 하는 병원체들에 대해 항균 효능이 있다는 것에 대해서는 어떠한 연구나 보고가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7653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054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8621호
본 발명은 밀가루 제분 부산물인 밀 배아를 유기산 처리를 통해 면역력 및 항암 기능성 물질인 2,6-디메톡시(Dimethoxy)-1 4-벤조퀴논(benzoquine)[2,6-DMBQ]의 추출 함량을 증대하여 추출된 물질을 건조하여 건강기능식품 및 항암 관련 식품등의 소재로 첨가 적용이 가능토록 한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밀 배아에 물을 가수한 다음 구연산을 첨가하여 2,6-DMBQ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과,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2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30℃에서 추출시간 3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과,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4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60℃에서 추출시간 6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과,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6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90℃에서 추출시간 9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과,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구연산 5.9192중량부를 첨가하여 추출온도 30℃에서 추출시간 3시간동안 2,6-DMBQ 0.0208 mg/m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밀가루 제분 부산물인 밀 배아를 유기산 처리를 통해 면역력 및 항암 기능성 물질인 2,6-디메톡시(Dimethoxy)-1, 4-벤조퀴논(benzoquine)[2,6-DMBQ]의 추출 함량을 증대하여 추출된 물질을 건조하여 건강기능식품 및 항암 관련 식품등의 소재로 첨가 적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밀배아 추출물의 국산화로 가격경쟁력 강화 및 수입 대체 효과가 있으며, 밀 배아 추출물의 항암 기능성 관련하여 국외에서 항암효과 관련 150편 이상의 기능성이 인정된 바 암 환자의 치료비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예방에 활용하는 등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국산밀 원맥의 높은 가격으로 국산밀 밀가루의 원가부담을 밀배아 부가가치로 상쇄하여 국산밀 밀가루 가격 경쟁력 제고를 통하여 농가 소득증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의 추출공정 조건표,
도 2는 본 발명인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의 실험 결과표,
도 3a, 도 3b, 도 3c는 본 발명인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에서 구연산, 추출온도, 추출시간의 변화에 따른 2,6-DMBQ의 추출함량 비교 도면,
도 4는 본 발명인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에서 2,6-DMBQ의 최적 추출함량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인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에서 구연산 추가시 2,6-DMBQ의 추출 함량과 구연산을 추가치 아니하였을 경우의 2,6-DMBQ의 추출 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표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며,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음은 물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점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닌바,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가능하거나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형태를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의 추출공정 조건표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의 실험 결과표이고, 도 3a, 도 3b, 도 3c는 본 발명인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에서 구연산, 추출온도, 추출시간의 변화에 따른 2,6-DMBQ의 추출함량 비교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에서 2,6-DMBQ의 최적 추출함량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에서 구연산 추가시 2,6-DMBQ의 추출 함량과 구연산을 추가치 아니하였을 경우의 2,6-DMBQ의 추출 함량을 비교 분석한 결과표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Xi는 독립변수 즉,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X1은 구연산의 첨가량을 의미하고 X2는 추출시간, X3는 추출온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밀 배아에 물을 가수한 다음 구연산을 첨가하여 2,6-DMBQ을 추출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2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30℃에서 추출시간 3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4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60℃에서 추출시간 6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것이며,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6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90℃에서 추출시간 9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것이다.
한편 가장 바람직하게는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구연산 5.9192중량부를 첨가하여 추출온도 30℃에서 추출시간 3시간동안 2,6-DMBQ 0.0208 mg/m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대하여 실험 분석 내용을 살펴보면,
2,6-DMBQ(2,6-dimethoxy-1,4-benzoquinone) 분석방법
1. 분석시료준비
시료 2 g(고체시료) 또는 1mL(액체시료) 을 HPLC grade의 물 50 mL에 녹인 후 클로로폼 25 mL을 넣어 3회 진탕추출한다. 층분리된 클로로폼층을 모아 Na2SO4를 사용하여 탈수 후 40℃이하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한 다음 HPLC 이동상 5 mL로 농축된 건고물을 녹여낸 다음 0.45 ㎛의 PTFE 시린지 필터로 여과한 다음 HPLC(고체시료) 또는 LC/MS/MS(액체시료)로 분석한다.
2. HPLC 및 LC/MS/MS 분석
HPLC 분석의 고정상은 Discovery Rp-amide C16 5㎛ 250mm(Supelco, US)을 사용하였으며 이동상은 0.025M KH2PO4 수용액에 20%의 아세토니트릴을 혼합하여 0.7 mL/min으로 설정하였다(pH 4.8). 분석 검출기는 자외선 검출기(UV-detector)를 사용하였으며 검출 파장은 290 nm 였다. LC/MS/MS는 Triple quadruple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SRM 조건은 parent 169, daughter는 69.119, 111.108, 126.060, 141.162로 설정하였다. 이동상은 1 mM의 formic acid를 함유하는 24%(v/v) 메탄올로 0.2 mL/min의 유속으로 설정하였으며, 고정상은 Accucore RP-MS 100mm (Thermo scientific, US)을 사용하였다.
3. 2,6-DMBQ 증가 기술 실험방법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2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30℃에서 추출시간 3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공정과,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4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60℃에서 추출시간 6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공정과,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6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90℃에서 추출시간 9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공정으로 각각 추출된 시료는 원심분리 후 상등액을 분석 전처리 하여 HPLC와 LC/MS/MS로 분석하였다.
각각 3가지 조건의 3가지 공정은 full factorial로 실험설계 하였으며, 각 공정의 추출물을 LC/MS/MS 분석하여 반응표면분석을 실시고 공정최적화를 예측하였으며, 최적공정 추출 상등액을 동결건조하여 HPLC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고, 도 3a, 3b,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구성요소의 차이에 따른 2,6-DMBQ의 추출 함량에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구연산 5.9192중량부를 첨가하여 추출온도 30℃에서 추출시간 3시간동안 2,6-DMBQ 0.0208 mg/m 추출하는 공정이 가장 최적의 조건을 발휘한 것으로서 이에 대하여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더불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연산의 첨가 여부에 따라 구연산 첨가시 미 첨가시 보다 2,6-DMBQ의 추출 함량이 약 65배 이상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밀가루 제분 부산물인 밀 배아를 유기산 처리를 통해 면역력 및 항암 기능성 물질인 2,6-디메톡시(Dimethoxy)-1, 4-벤조퀴논(benzoquine)[2,6-DMBQ]의 추출 함량을 증대하여 추출된 물질을 건조하여 건강기능식품 및 항암 관련 식품등의 소재로 첨가 적용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현재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밀배아 추출물의 국산화로 가격경쟁력 강화 및 수입 대체 효과가 있으며, 밀 배아 추출물의 항암 기능성 관련하여 국외에서 항암효과 관련 150편 이상의 기능성이 인정된 바 암 환자의 치료비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고, 예방에 활용하는 등 국민 건강 증진에 이바지 할 수 있으며, 국산밀 원맥의 높은 가격으로 국산밀 밀가루의 원가부담을 밀배아 부가가치로 상쇄하여 국산밀 밀가루 가격 경쟁력 제고를 통하여 농가 소득증대의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상기 기재된 내용으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기술적 사상은 아래에 기재되는 청구범위에 의해 파악되어야 하되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에 속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Claims (5)

  1. 밀 배아에 물을 가수한 다음 구연산을 첨가하여 2,6-DMBQ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2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30℃에서 추출시간 3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4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60℃에서 추출시간 6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6중량부의 구연산을 첨가하여 추출온도는 90℃에서 추출시간 9시간 동안 2,6-DMBQ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밀 배아 중량 대비 500중량부의 물을 가수한 다음 밀 배아 중량 대비 구연산 5.9192중량부를 첨가하여 추출온도 30℃에서 추출시간 3시간동안 2,6-DMBQ 0.0208 mg/m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 배아로 부터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의 추출방법.










KR1020160166490A 2016-12-08 2016-12-08 밀 배아로 부터 2,6-dmbq의 추출방법 KR20180065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490A KR20180065514A (ko) 2016-12-08 2016-12-08 밀 배아로 부터 2,6-dmbq의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6490A KR20180065514A (ko) 2016-12-08 2016-12-08 밀 배아로 부터 2,6-dmbq의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514A true KR20180065514A (ko) 2018-06-18

Family

ID=62768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6490A KR20180065514A (ko) 2016-12-08 2016-12-08 밀 배아로 부터 2,6-dmbq의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65514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538B1 (ko) 2000-07-05 2003-03-17 씨제이 주식회사 모발 내부 섬유질을 강화하는 모발샴푸 조성물
KR20100038621A (ko) 2008-10-06 2010-04-15 (주)더페이스샵코리아 피부장벽 기능 강화를 통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0970544B1 (ko) 2002-11-07 2010-07-16 코세 코퍼레이션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6538B1 (ko) 2000-07-05 2003-03-17 씨제이 주식회사 모발 내부 섬유질을 강화하는 모발샴푸 조성물
KR100970544B1 (ko) 2002-11-07 2010-07-16 코세 코퍼레이션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KR20100038621A (ko) 2008-10-06 2010-04-15 (주)더페이스샵코리아 피부장벽 기능 강화를 통한 아토피성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14176A (zh) 美拉德反应抑制剂
Huang et al. Valorization of lotus byproduct (Receptaculum Nelumbinis) under green extraction condition
KR20190060511A (ko) 갈색거저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CN111601582A (zh) 绿茶提取物制备方法以及由此制备的绿茶提取物
KR101393438B1 (ko) 사과껍질로부터 우르솔릭산을 추출하는 방법
JP5686328B2 (ja) 抗糖化用組成物
KR20100054386A (ko) 트리신 포접체,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KR20100026835A (ko) 염증 억제능을 갖는 녹차 산성 다당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염 조성물
KR101273946B1 (ko) 구아바 발효물을 이용한 사과의 폴리페놀과 유산균 함량 증대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사과 혼합 농축액
JP6778026B2 (ja) 4’−デメチルノビレチン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美白剤および美白用飲食物
JP6678928B2 (ja) 経口美容剤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KR20180065514A (ko) 밀 배아로 부터 2,6-dmbq의 추출방법
KR101904501B1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 또는 피부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JP5399466B2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
KR101431882B1 (ko) 효소-처리 홍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개선용 조성물
JP2015025008A (ja) 抗糖化用組成物
KR101944633B1 (ko) 효소첨가된 밀 배아로 부터 2,6-디메톡시-ρ-벤조퀴논 증가 추출방법
CN105168042B (zh) 一种从茶花粉中快速分离酪氨酸酶抑制剂的方法
KR20170052556A (ko) 퓨코스테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노화 개선용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75862A (ko) 항암 면역력 증강 물질 추출을 위한 밀배아 효소처리 추출방법
KR20130113474A (ko) 폴리페놀계 포도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품
JP6260804B2 (ja) 抗糖化用組成物
CN110585075A (zh) 一种含皮肤美白因子的蘑菇提取物的制备方法
JP6546048B2 (ja) 解糖系活性化作用を呈するフェニルプロパノイド誘導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