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382B1 - 미용조성물 및 이용한 퍼머액 - Google Patents

미용조성물 및 이용한 퍼머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382B1
KR100848382B1 KR1020060041241A KR20060041241A KR100848382B1 KR 100848382 B1 KR100848382 B1 KR 100848382B1 KR 1020060041241 A KR1020060041241 A KR 1020060041241A KR 20060041241 A KR20060041241 A KR 20060041241A KR 100848382 B1 KR100848382 B1 KR 10084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water
cosmetic composition
perm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8788A (ko
Inventor
서명숙
Original Assignee
서명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명숙 filed Critical 서명숙
Priority to KR1020060041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382B1/ko
Publication of KR2007010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8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3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61K36/03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9Fagaceae (Beech family), e.g. oak or chestn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4Preparations for permanent waving or straighte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미용조성물은 콩을 물에 담그어 물이 콩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콩과, 이 콩을 담근물을 5 내지 12시간 달인 후 콩과 혼합된 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취출액을 분리하고, 이 취출액에 향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퍼머액, 염색제에 혼합되어 사용되거나 얼굴팩으로 이용 될 수 있다.
시스테인, 티오글리콜산, 퍼머액, 미용조성물.

Description

미용조성물 및 이용한 퍼머액{Cosmetic compositions and liquid for permanent wave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미용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모발의 퍼머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하고 퍼머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미용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퍼머액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모발은 황 함량이 높은 질긴 섬유질 단백질인 케라틴("모발 케라틴") 으로 이루어진다. 모발 케라틴은 일상에서 이들 구조를 손상시키는 다양한 활성물질에 노출된다. 예를 들면, 간단한 모발손질 및 스타일링은 각피 비늘(cuticle scale)의 손실을 초래하고 모발의 내 피질에 추가의 손상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모발이 파손되게 한다. 샴푸(shampooing)는 각피 비늘의 마찰 손상을 유발하여 모발 단백질이 추출되게 한다. 태양의 자외선은 모발의 기계적 강도를 감소시키고 천연 모발의 색상 및 도포 된 모발의 색상을 바래게 한다. 수영장의 염소처리 된 물에 노출되면 모발 케라틴이 산화되며, 빗질이나 부러싱(brushing) 중 단백질 손실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모발 손상의 원인들은 웨이브 퍼머약, 모발 염색제(color), 탈색제(bleaches), 스트레이트제, 과산화물, 티오(thio) 용액, 및 수산화나트륨 등과 같이 모발 스타일리스트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반응성 화학물질에 직접 노출되는 경우 모발의 손상은 치명적이다.
특히, 최근에는 머리를 자기 개성 표현의 한 방편으로 이용하고 있어서 머리를 자주 염색하거나 퍼머 또는 드라이 등을 이용하여 머리를 손질하게 된다.
모발의 형상은 주로 시스테인이 디술피드 결합하여 시스틴이 되어 고정화됨으로써 형성된다. 머리의 퍼머넌트 가공 (특히, 웨이브 퍼머 헤어 가공)은 환원제를 함유하는 퍼머액 (또는 처리액)으로 모발을 처리하여 케라틴 중의 디술피드 결합을 절단 또는 가열하고, 컬러 (curler) 등으로 장력을 작용시켜 원하는 형상의 로드(rod)를 형성한 후, 산화제 (과산화수소, 알칼리브롬산, 퍼클로레이트, 폴리티오네이트 등의 수용액)를 적용하여 다시 시스테인 사이의 디술피드 결합을 구축하 여 정착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머리를 스트레이트로 가공하거나, 컬 가공할 수 있다.
퍼머액의 환원제로서는, 예를 들면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인, 시스테아민, 글리세릴 티오글리콜레이트, 티오락트산 등이 사용된다. 대표적으로는, 티오글리콜산을 포함하는 퍼머액과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퍼머액이 사용되고 있다.
티오글리콜산을 포함하는 퍼머액은 모발을 퍼머 가공하는 작용은 우수하지만, 시스테인과 비교하여 모발에 대한 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모발이 현저히 손상된다. 따라서, 탈색 및 염색한 모발 등, 손상이 심한 모발에서는 특히 사용이 제한된다. 또한, 티오글리콜산을 사용하면 머리끝과 모근의 퍼머 형성도가 달라, 머리가 푸석해지거나 끝이 갈라지고, 끊어짐 등이 많아진다.
한편,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퍼머액은 모발에 대한 손상도는 낮지만, 머리를 퍼머 가공하는 작용이 약하기 때문에 통상의 로드로 모발을 감는 것이 곤란하고, 주로 가는 로드로 와인딩 할 필요가 있어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또한, 손상이 심한 모발의 경우에는 건강한 모발보다 퍼머 가공이 한층 더 곤란하다. 또한, 시스테인을 사용하면 머리끝이 갈라지거나 끊어짐이 많아지고, 윤기가 없어진다. 또한, 일반적으로 모발에 있어서 손상이 적다고 여겨지고 있는 시스테인이라도 2 내지 3회 퍼머를 하면, 그 후 퍼머가 잘 되지 않는 현상이 일어나며, 그 원인은 시스테인이 건조에 의해 모발 내에서 플레이킹(flaking)을 일으키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퍼머액이 일본 특개평 11-500147호 및 한 국 공개 특허 제2003-0061066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염색 또는 퍼머액을 이용하여 머리를 염색하거나 퍼머하는 경우 그 냄새가 좋지 않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 특허 2000-002954호에는 퍼머액 냄새 제거용 황토분말 조성물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피부에 영양분을 공급하거나 보습을 위한 미용수는 천연물로부터 추출한 원료를 함유한 것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인삼추출물, 효모추출물, 송이버섯 추출물 등의 추출물, 콜라겐 등의 천연 고분자, 아미노산, 비타민 등의 피부부활제 혹은 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등의 보습제 등이 그 예로서 피부손상의 방지 및 개선을 목적으로 피부화장료에 이용되어 오고 있고, 이러한 천연물질의 유효성분을 화장품에 첨가하는 기술에 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다. 콩은 단백질 및 지방의 함량이 높아 식용으로서의 가치가 높고 특히 검은콩은 단백질 및 지방의 공급원으로서 국민 영양상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해 온 것이 사실이다 뿐만 아니라, 한방 가정요법 대전에 의하면 검은콩은 고운 목소리, 고운 피부를 만드는데 대단히 효과가 높은 식품으로 일년 내내 생식하면 좋다는 기록이 있으며 또한, 검은콩은 신진대사를 돕는 아스파라긴, 혈액을 정화하는 레시틴과 우레아제를 비롯하여 각종효소를 많이 함유하여 간장과 신장의 기능을 강화시키고 이렇게 간장과 신장의 기능이 강화되면 혈액이 정화되고 혈관도 생성하게 되므로 얼룩과 여드름도 치료되어 고운 피부가 된다.
이러한 다양한 효능을 갖고 특히 피부의 상태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 검은콩에 있어서 이를 화장품으로서 피부에 직접 적용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이 등 록 특허 공고 제 0281011호에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제조용 용매 단독 또는 그 수용액에 건조된 검은콩을 5-80중량% 넣고, 30일 이상 침지시켜 추출시킨 후 이를 여과망으로 여과하고 다시 그 여과액을 여과지로 제균 여과하여 얻은 검은콩 액상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써 0.05 내지 30중량 %를 함유한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액으로 에탄올, 브틸렌글리콜 등이 이용도므로 콩의 고유기능을 감소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피부에 바르거나 퍼머액과 염색액, 샴푸등에 포함되어 피부, 모발 등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퍼머상태의 지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얼굴팩으로 이용 가능한 미용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상된 모발에 단백질과 영향을 주어 치유 할 수 있어 모발의 손상도가 크고 퍼머가 곤란한 모발 및 큐티클이 딱딱한 모발의 퍼머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퍼머액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두피의 혈액순환을 도와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시킬 수 있는 미용조성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미용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콩을 물에 담그어 물이 콩에 함침되도록 하는 제1단계와,
콩과 콩을 담근물을 5 내지 12시간 달이는 제2단계와,
상기 콩과 혼합된 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취출액을 분리하는 제 3단계와,
분리된 액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향료를 혼합하여 점성을 갖도록 다리는 제 4단계를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에 있어서, 석장포, 박하잎, 인삼잎, 홍삼, 신선초, 다시마, 뇌향국화, 무즙, 솔잎, 귤껍질, 뽕나무, 밤나무, 복숭아, 감잎, 무, 알로에, 쑥, 녹차, 수세미오이, 하수오 메밀 중 선택된 하나를 혼합한 후 달이는 기능액 첨가단계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 4단계에 있어서, 상기 천연 향료 또는 박하잎 또는 허브 향을 더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퍼머액은
콩을 물에 담가 물이 콩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콩과, 이 콩을 담근물을 5 내지 12시간 달인 후 콩과 혼합된 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취출액을 분리하고, 이 취출액에 향료를 혼합하여 된 미용조성물과, 시스테인 또는 티오글리콜산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액에는, 석장포, 박하잎, 인삼잎, 홍삼, 신선초, 다시마, 뇌향국화, 무즙, 솔잎, 귤껍질, 뽕나무, 밤나무, 복숭아, 감잎, 무, 알로에, 쑥, 녹차, 수세미오이, 하수오 메밀 중 하나를 선택하여 다린 기능액이 첨가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퍼머액을 이용한 퍼머 방법은,
샴푸로 머리를 감는 공정, 콩을 물에 담가 물이 콩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콩과, 이 콩을 담근물을 5 내지 12시간 달인 후 콩과 혼합된 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취출액을 분리하고, 이 취출액에 향료를 혼합하여 된 미용조성물을 모발에 바르고 10 시간 자연방치하는 공정과,
시스테인 또는 티오글리콜산 포함하며, 상기 미용조성물이 혼합된 퍼머액을 모발에 적용하여 정형하는 공정과, 산화제로 처리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미용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퍼머액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미용조성물은 퍼머액, 염색액, 피부에 영양을 주기 위한 마사지,두피에 영향을 주기 위한 샴푸 등에 널리 이용되는 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콩 즉, 서리태, 백태, 흑태 등을 선별한 후 이들 중의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물에 담가 물이 상기 콩에 충분히 함침되도록 한다. 이때에 상기 콩은 물의 함침시간을 고려하여 24시간 이상 담그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물에 대한 콩의 함침이 완료된 물과 콩을 약한 불(가스렌지 기준 중불)로 서서히 삶아 콩의 진액을 취출한다. 이때에 콩의 삶은 시간은 5 시간 내지 12간을 삶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콩의 추출이 충분히 이루어지면 이를 필터(100 내지 200 메쉬)를 이용하여 콩과 추출액을 분리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이 추출액의 분리가 완성되면 이 추출액과 향료 또는 기능성 첨가제를 혼합하고 이를 2차 달여 기능액첨가단계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기능액의 첨가단계는 석장포, 박하잎, 인삼잎, 홍삼, 신선초, 다시마, 뇌향국화, 무즙, 솔잎, 귤껍질, 뽕나무, 밤나무, 복숭아, 감잎, 무, 알로에, 쑥, 녹차, 수세미오이, 하수오 메밀 등의 기능성물질 중 선택된 하나를 상기 추출액에 혼합한 후 이를 다림으로써 첨가할 수 있다. 이때에 다림 시간은 추출액과 선택된 기능물질을 혼합한 후 3시간 이내로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기능액 첨가단계가 완료되면, 이를 필터를 이용하여 기능액이 첨가된 추출물 즉, 미용조성물을 기능성물질과 분리한다. 이와 같이 미용조성물의 분리가 완료되면 이를 설정된 점도를 갖도록 다림 공정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미용조성물은 마사지 액으로 이용하는 경우 피부에 충분한 보습과 단백질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할 수 있고 혈액순환을 활성화시키고, 윤기와 탄력이 및 보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실시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1
본 실험에서는 미용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 콩 8 kg에 물 20 리터를 넣고 12시간 다렸다. 그리고 필터를 이용하여 다린 물을 분리한 후 기능성 첨가제로서 석창포와 들국화, 하오수를 다린 물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이를 3시간 다린 후 필터를 이용하여 미용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 미용조성물을 무작위로 선별한 고객 30명을 대상으로 얼굴마사지팩으로 사용하였다. 그결과 고객의 반응이 획기적이었다. 즉 피부의 탄력이 증가되 고, 보습효과가 10시간 이상 지속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 2
본 실험에서는 상술한 실험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미용조성물을 제조하고, 이 미용조성물에 석창포, 박하잎, 인삼잎, 홍삼, 신선초, 다시마, 뇌향국화, 무즙, 솔잎, 귤껍질, 뽕나무, 밤나무, 복숭아, 감잎, 무, 알로에, 쑥, 녹차, 수세 미오이, 하수오 메밀의 기능성물질을 다린 후 이 기능액을 미용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를 5시간 다려 기다려 기능액 첨가단계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이 미용조성물을 무작위로 추출한 고객 30명을 대상으로 얼굴마사지팩을 시술하였다. 그 결과 시술자 대부분은 콩에 들어 있는 비타민 E, 단백질에 의해 피부에 영양이 공급되어 탄력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퍼머액은 시스테인, 티오글리콜산, 시스테아민, 글리세린 티오글콜레이트, 티오락트산 등의 환원제를 포함하고 있어 모발의 끝이 갈라지거나 끊어짐, 머리의 푸석해짐, 머리의 탄력 등의 손상을 유발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인은 머리 미용수 추출액을 포함시켜 퍼머액의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모발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퍼머액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퍼머액은 시스테인 또는 티오글리콜산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에 상기 미용조성물을 포함시켰다. 상기 퍼머액에 혼합된 미용조성물은 석창포와 들국화, 하오수의 추출물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퍼머액이 크림타입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미용조성물의 함량을 함량을 늘릴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퍼머액은 시스테인 또는 티오 글리콜산을 포함하는 퍼머액과 미용 추출물을 포함하여 25 내지 50 ℃에서 가온하여 숙성을 행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실시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3
본 실험에서는 미용조성물을 점차적으로 증가시킨 시스테인을 포함하는 퍼머액들을 이용하여 일반퍼머를 하였다. 여기에서 상기 미용조성물은 석창포와 들국화를 포함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미용조성물의 함량을 퍼머액 100 중량부에 대해 소정의 중량부(하기 표참조)씩 증가시키면서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특이한 효과가 유추되는 영역에서는 포함되는 미용조성물의 함량을 조절하였다.
상기 일반퍼머를 하는 과정에서 머리의 열처리하거나 자연방치하였는데, 열처리 시간은 10 내지 20분 시행했다. 그리고 무작위로 추출한 30명의 고객에게 일반퍼머 한 머리를 검토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정리하여 표 1을 얻었다.
Figure 112006032230785-pat00001
상술한 표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테인을 포함하는 퍼머액에 미용조성물을 15 중량 % 이하를 포함시킨 퍼머액의 이용시 탈력과 윤기있는 모발을 얻을 수 있었으며, 볼륨있는 모발을 얻을 수 있었다.
실험 4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험 1의 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미용조성물에 메밀, 다시마, 당근잎, 하오수, 수세미오이, 귤껍질를 콩으로부터 추출한 미용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10중량부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미용조성물의 함량을 증가시키면서 티오글리콜산을 포함하는 퍼머액을 이용하여 머리를 일반퍼머하고 무작위로 추출한 30명의 고객에게 검토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정리하여 표 2를 얻었다.
Figure 112006032230785-pat00002
상기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험 1과 거의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메밀, 다시마, 당근잎, 하오수, 수세미오이, 귤껍질을 추가된 것을 사용한 경우 두피의 혈액순환과과 모발의 볼륨이 극대화 됨을 알 수 있어다.
실험 5
본 실험에서는 상기 실험 1의 조건으로 미용조성물에 석창포, 박하잎, 인삼잎, 홍삼, 신선초, 다시마, 뇌향국화, 무즙, 솔잎, 귤껍질, 뽕나무, 밤나무, 복숭아, 감잎, 무, 알로에, 쑥, 녹차, 수세 미오이, 하수오 메밀의 기능성물질을 달인 추출물을 미용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였다. 그리고 이 미용조성물의 함량을 증가시키면서 티오글리콜산을 포함하는 퍼머액을 이용하여 머리를 일반퍼머하고 무작위로 추출한 30명의 고객에게 검토하도록 한 후 그 결과를 정리하여 표 3를 얻었다.
Figure 112006032230785-pat00003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효과는 상기 실험예와 유사하였으나 무즙과 박하잎에 의해 퍼머액으로 인한 좋지 않은 냄새를 줄일 수 있으며, 특히 손상된 머리에 탁월한 효과가 있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미용조성물을 포함된 퍼머액 을 이용한 퍼머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퍼머액을 이용한 퍼머 방법은 통상 머리 감는 공정, 트리트먼트 공정, 환원 및 정형 공정, 산화 처리 공정, 린스 공정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생머리 등의 퍼머 처리에서는 트리트먼트 공정을 반드시 필요로 하지는 않는다.
상기 머리 감는 공정에 있어서, 샴푸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머리의 손상이 심한 경우, 샴푸로 머리를 감기 전에 케라틴, 특히 케라틴 및 큐티클 조정제를 머리에 도포 등에 의해 적용할 수도 있으며, 머리 감은 후에 손상이 심한 머리끝을 커트 할 수도 있다.
상기 큐티클 조정제는 케라틴 외에 관용적인 성분 (알콜류, 방부제, 완충제, 계면활성제, 4급 암모늄염 또는 보존제, 양이온 중합체,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염, 단백질의 가수분해물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트리트먼트 공정에 있어서, 머리를 감은 후, 미용조성물을 머리에 도포한다. 특히 머리의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콩으로부터 추출한 미용조성물을 머리에 바른 후 3 내지 10분정도 자연방치한다. 이와 같은 모발은 미용조성물에 단백질 성분과 비타인 E에 의해 모발에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어 손상이 치유됨을 알 수 있었다.
종래의 퍼머방법에서는, 퍼머하기 전에 트리트먼트 하는 것은 컬 및 웨이브 형성을 저해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본 발명의 퍼머 방법에서는 특별이 구애받지 않는다. 상기 트리트먼트 공정 후, 필요에 따라 큐티클 조정제를 도포할 수도 있으며, 물을 스프레이 할 수도 있다.
환원 및 정형 공정에서, 미용조성물이 포함된 퍼머액을 이용하여 모발을 정형시킴과 아울러 환원제로 처리한다. 여기에서 머리의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미용조성물의 함량이 증가된 퍼머액을 사용포함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머리의 정형은 원하는 형상, 예를 들면 컬러 등에 의해 장력을 작용시켜 머리를 원하는 형상의 로드에 감거나 스트레이트로 펴서 행할 수 있다.
상기 퍼머용 조성물의 도포는 머리의 정형 전 및(또는) 후 중 아무 때나 행할 수 있다.
정형한 후, 원적외선을 조사할 수도 있으며, 머리의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자연방치 또는 저온의 원적외선을 조사하거나 가온 할 수도 있다. 그 후, 산화 처리 공정에서는 산화제를 도포 등으로 적용하여 시스테인 사이의 디술피드 결합을 재 구축한다. 산화제로서는 관용적인 산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과산화수소, 알칼리브롬산, 퍼클로레이트, 폴리티오네이트 등의 수용액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정형을 푼 후, 통상 린스 공정에 있어서 린스를 도포하여 세정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미용조성물을 포함하는 퍼머액 조성물을 이용하여 퍼머하는 경우 손상된 모발을 보호하고 탄력과 모발의 볼륨 및 윤기를 증가시킬 수 있었으며, 특히 콩의 추출물이 포함된 경우에는 머리의 탄력을 배가시킬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퍼머액을 사용한 퍼머 방법에서는 퍼머를 할 때마다 모발이 손 상되었지만,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콩으로부터 추출한 미용조성물의 단백질 성분과 비타민 성분을 포함하기 때문에 반복 퍼머에도 모발이 손상되지 않았으며, 퍼머를 할 때마다 모발이 굵고 건강해져 퍼머 형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시스테인계 퍼머액은 티오글리콜산과 비교하여 손상은 적지만, 시스테인계 퍼머액을 사용하여 2 내지 3회 퍼머하면 그 후 퍼머가 잘 되지 않는 현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머퍼액에 콩으로부터 추출한 미용조성물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시스테인의 플레이킹을 방지하고, 몇 회라도 퍼머가 가능하다.
한편, 상술한 미용추출액은 염색제에 적용할 수 있다. 염색제는 크림, 에멀젼, 겔 등의 등의 화장품 제지체(kosmetischen tr ger)속에 직접 모발염료(direktziehenden haar farbstoffen)을 포함시킨 것이나 산화염료와 알칼리를 주성분으로 한 1제와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를 주성분으로 한 2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진 것으로, 암모니아수 등과 같은 알카리제가 모발을 팽윤 및 연화시킴과 동시에 과산화수소수의 분해 촉진에 의해 발생된 산소가 멜라닌색소를 분해시키게 되므로 모발의 손상이 심하게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인은 모발을 염색하기 위한 염색제에 미용조성물을 포함시켜 염색제의 성분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머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염색제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염색제는 산화염료와 알칼리를 주성분으로 한 1제와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를 주성분으로 한 2제가 혼합된 것에 미용액 추출물을 포함시켰다. 상기 염색제에 혼합된 미용조성물은 10 중량 % 이하를 함유함이 바람직했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실험 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 6
본 실험에 있어서, 산화염료와 알칼리를 주성분으로 한 1제와 과산화수소 등의 산화제를 주성분으로 한 2제를 포함하는 합성염색제에 콩으로부터 추출한 미용 추출액 즉, 상기 퍼머액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석창포와 들국화를 포함하는 미용조성물을 이용하여 머리를 염색하였다. 여기에서 모발 염색을 위한 염료는 별도로 한정하지 않았다. 상기 합성염색제는 대한민국에서 시판되어 각 미용실에서 적용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하여 머리를 염색한 후 무작위로 미용사와 일반인 20명을 선정하여 머리의 탈력, 모발의 손상상태, 부드러움, 윤기, 감각적인 모발의 굵기 등을 실험하여 표 4을 얻었다.
Figure 112006032230785-pat00004
상기 표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합성 염색제에 모발 미용조성물을 혼합한 경우 모발의 염색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으며, 염색의 지속력과 모발의 염색에 따른 윤기가 상대적으로 좋아짐을 알 수 있었다. 상기 미용조성물을 포함시킨 경우 콩성분의 단백질이 머리에 작용하여 부드러움과 윤기를 향상시키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었다. 특히 염색 후 머리의 가려움증이 없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미용 조성물을 샴푸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샴푸를 이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볼륨을 줄 수 있었으며, 부드러움을 극대화 시킬 수 있어 린스를 별도로 할 필요가 없었다. 샴푸에 콩으로부터 추출한 추출액을 혼합하여도 상술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샴푸에 미용조성물을 혼합 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지만 하기 실시예에 본 발명의 범주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6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능성액을 혼합하지 않은 미용조성물을 합성샴푸에 혼합하여 사용한 후 미용사와 일반인 20명을 선정하여 머리의 탈력, 모발의 손상상태, 부드러움, 윤기, 감각적인 모발의 굵기, 볼륨, 부드러움, 탈모 등을 실험하여 표 5를 얻었다. 여기에서 샴푸는 일반적인 합성샴푸를 사용하였다
표 5
Figure 112006032230785-pat00005
상기 표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머리의 감각적인 두께와 부드럼움이 매우 좋았으며, 특히 샴푸의 머리의 볼륨상태가 양호하였으며, 두피의 가려움증이나 없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용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퍼머액은 모발을 손상시키지 않고 반복적인 퍼머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모발의 손상도가 커서 퍼머가 곤란한 모발에 대해서도 우수한 퍼머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반복 퍼머에도 손상되지 않고, 오히려 퍼머형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민감 피부 예를 들면, 아토피성 피부염을 일으키기 쉬운 피부 등에 대해서도 안전하게 퍼 머할 수 있다. 또한 퍼머후 머리의 가려움과 따가움이 현저히 줄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들에는 언급되지 않았으나 퍼머액에 색소를 첨가하는 경우에도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염색으로 손상된 모발에 좋은 효과가 있었다.
특히 미용조성물을 얼굴팩제로 이용하는 경우 피부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습효과를 지속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데 염색제에도 상기와 같은 녹차분말을 혼합하는 경우 염색에 따른 선명도를 높일 수 있었다.

Claims (6)

  1. 콩을 물에 담그어 물이 콩에 함침되도록 하는 제1단계와,
    콩과 이 콩을 담근물을 5 내지 12시간 달이는 제2단계와,
    상기 콩과혼합된 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분리한 취출액에 박하잎, 인삼잎, 홍삼, 신선초, 다시마, 뇌향국화, 무즙, 귤껍질, 뽕나무, 밤나무, 복숭아, 감잎, 무, 알로에, 쑥, 녹차, 수세 미오이, 하수오 메밀 중 선택된 하나를 혼합한 후 달이는 기능액첨가단계를 포함하는 제 3단계와,
    상기 기능액 첨가단계를 수행하여 얻은 액을 여과지를 이용하여 여과하고, 향료를 혼합하는 제 4단계를 구비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단계에 있어서, 상기 향료는 박하잎 또는 허브 향을 첨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조성물.
  4. 콩을 물에 담그어 물이 콩에 함침되도록 하고, 상기 콩과, 이 콩을 담근물을 5 내지 12시간 달인 후 콩과 혼합된 물을 필터를 이용하여 취출액을 분리하고, 이 취출액에 향료를 혼합하여된 미용조성물 및 시스테인 또는 티오글리콜산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액.
  5. 제4항에 있어서,
    미용조성물에는 석창포, 박하잎, 인삼잎, 홍삼, 신선초, 다시마, 뇌향국화, 무즙, 솔잎, 귤껍질, 뽕나무, 밤나무, 복숭아, 감잎, 무, 알로에, 쑥, 녹차, 수세 미오이, 하수오 메밀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능성물질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머액
  6. 삭제
KR1020060041241A 2006-05-08 2006-05-08 미용조성물 및 이용한 퍼머액 KR10084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41A KR100848382B1 (ko) 2006-05-08 2006-05-08 미용조성물 및 이용한 퍼머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1241A KR100848382B1 (ko) 2006-05-08 2006-05-08 미용조성물 및 이용한 퍼머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788A KR20070108788A (ko) 2007-11-13
KR100848382B1 true KR100848382B1 (ko) 2008-07-24

Family

ID=39063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241A KR100848382B1 (ko) 2006-05-08 2006-05-08 미용조성물 및 이용한 퍼머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034B1 (ko) * 2015-08-03 2016-12-20 농업회사법인 마동이주식회사 수세미오이 천연 발효액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피부연화 기능이 있는 샴푸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905B1 (ko) * 1986-03-03 1995-07-21 가오 가부시끼가이샤 헤어 웨이브제
KR20010012619A (ko) 1997-05-16 2001-02-26 조지안느 플로 모발 손질용 조성물
KR20020030828A (ko) * 2000-07-19 2002-04-25 다구찌 게이따 스핑고당지질을 함유하는 생리학적 기능성 식품 또는화장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40021685A (ko) * 2001-08-02 2004-03-10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 및/또는 약학적 제제
KR20050084971A (ko) 2002-11-07 2005-08-29 코세 코퍼레이션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7905B1 (ko) * 1986-03-03 1995-07-21 가오 가부시끼가이샤 헤어 웨이브제
KR20010012619A (ko) 1997-05-16 2001-02-26 조지안느 플로 모발 손질용 조성물
KR20020030828A (ko) * 2000-07-19 2002-04-25 다구찌 게이따 스핑고당지질을 함유하는 생리학적 기능성 식품 또는화장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040021685A (ko) * 2001-08-02 2004-03-10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용 및/또는 약학적 제제
KR20050084971A (ko) 2002-11-07 2005-08-29 코세 코퍼레이션 피부외용제용 조성물 및 그의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8788A (ko) 2007-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adnani et al. Hair cosmetics
SG176281A1 (en) Compostion and method for hair straightening and curling
CORBETT The chemistry of hair‐care products
Draelos Cosmetics: an overview
JP2014177438A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KR102124583B1 (ko) L-아르기닌을 이용한 펌 시술용 모발 처리제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방법
JP3330581B2 (ja) 加温二浴式パーマ用剤並びにそれを用いた毛髪のパーマ処理方法
WO2014065274A1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JP3574523B2 (ja) ストレートパーマ第2剤
KR100848382B1 (ko) 미용조성물 및 이용한 퍼머액
KR101207490B1 (ko) 케라티네이즈를 포함하는 모발 보호 및 수복용 모발 화장품 조성물
JP2003231619A (ja) 染着またはトーンアップ用染毛方法、および毛髪強化コールドウエーブ法
KR102106852B1 (ko) 모발 손상을 최소화하는 펌 시술방법
KR102043243B1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67668B1 (ko) 버블제를 이용한 퍼머시술방법
KR102157319B1 (ko) 염색과 퍼머넌트 웨이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퍼머넌트 웨이브 용제, 및 그 퍼머넌트 웨이브 용제를 이용하여 염색과 퍼머넌트 웨이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퍼머넌트 방법
JP5788372B2 (ja) パーマ液および頭髪用調整剤
JP3205862B2 (ja) 毛髪用トリートメント剤及びトリートメント法
CN111163754B (zh) 增强毛发的蓬松感的毛发或头皮用化妆品组合物
TR202017808A2 (tr) Saç bakiminda kullanima uygun bi̇r bi̇leşi̇m
EP4035737A1 (en) Composition for delaying and dyeing grey hair
WO2020079857A1 (ja) ヘアカラー剤組成物
KR100691867B1 (ko) 퍼머액 및 이를 이용한 퍼머방법
JP6304917B2 (ja) ハリコシ付与剤組成物
KR100560771B1 (ko) 염색제와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