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3614A - 공기조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3614A
KR20050083614A KR1020057001995A KR20057001995A KR20050083614A KR 20050083614 A KR20050083614 A KR 20050083614A KR 1020057001995 A KR1020057001995 A KR 1020057001995A KR 20057001995 A KR20057001995 A KR 20057001995A KR 20050083614 A KR20050083614 A KR 200500836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pace
adsorption
filter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1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모히로 야부
요시노리 나리카와
사토시 이시다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8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3614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purification, e.g. by filtering; by sterilisation; by ozon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Abstract

조습장치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구비한다. 제 1 흡착소자(81)의 아래쪽에는 제 1 필터(301)가 배치되며, 제 2 흡착소자(82)의 아래쪽에는 제 2 필터(302)가 배치된다. 조습장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번갈아 실행한다. 각 필터(301, 302)의 공기 유통방향은, 제 1 동작 시와 제 2 동작 시에서 역방향이 된다. 각 필터(301, 302)의 공기 유통방향을 반전시키면, 각 필터(301, 302)에서 먼지 등이 제거된다.

Description

공기조화장치{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처리가 실시된 공기를 실내 등에 공급하는 공기조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조화장치의 일종으로서, 이른바 전(全)열 교환기(503)를 구비하는 환기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환기장치는, 실외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통로(501)와, 실내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통로(502)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면 중의 "OA"는 실외공기를 나타내며, "SA"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급기)를 나타내고, "RA"는 실내공기를 나타내며, "EA"는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배기)를 나타낸다.
전열교환기(503)는 제 1 유로(504)와 제 2 유로(505)를 구비하며, 제 1 유로(504)는 급기통로(501) 내에 배치되고, 제 2 유로(505)는 배기통로(502) 내에 배치된다. 제 1 유로(504) 및 제 2 유로(505)의 상류 쪽에는, 전열교환기(503)의 내부에 먼지 등이 혼입되지 않도록, 각각 필터(506, 507)가 설치된다.
상기 환기장치에서 급기통로(501)로 흡입된 실외공기는, 전열교환기(503)의 제 1 유로(504)를 통과하여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배기통로(502)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전열교환기(503)의 제 2 유로(505)를 통과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전열교환기(503)에서는, 제 1 유로(504)를 흐르는 실외공기와 제 2 유로(505)를 흐르는 실내공기 사이에서 열과 수분이 교환된다.
또 공기조화장치로는, 예를 들어 일특개평 9-329371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조습(調濕)장치도 알려져 있다. 이 조습장치는, 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소자를 구비하며, 환기용 급기를 흡착소자로 감습(減濕)시켜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환기용 배기로 흡착소자를 재생한다.
본 발명자는, 전열교환기(503)를 구비하는 상기 환기장치의 구성을 응용하여, 상기 환기장치의 전열교환기(503) 대신에, 하기의 조습측 통로와 냉각측 통로를 갖는 흡착소자를 설치하는 것을 고안했다. 즉, 흡착소자에 유통공기의 수분을 흡착시키기 위한 조습측 통로와, 흡착열에 의해 따뜻해진 흡착소자를 유통공기에 의해 냉각시키는 냉각측 통로를 형성하여, 급기통로(501)에 상기 조습측 통로를 배치하는 한편, 배기통로(502)에 상기 냉각측 통로를 배치한다. 이로써, 실외공기를 제습하여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를 이용하여 흡착소자를 냉각하기가 가능해진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흡착소자의 개략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5B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6A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6B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7A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7B는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 주요부의 개념도.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11A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1B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2A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2B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3A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3B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4는 제 2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 주요부의 개념도.
도 15A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습 시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5B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습 시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5C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가습 시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5D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가습 시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6A는 제 3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6B는 제 3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7A는 제 3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7B는 제 3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에서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개념도.
도 18A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8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9A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19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0A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0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1A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1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2A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2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3A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3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4A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4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5A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5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6A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6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7A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7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8A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8B는 제 1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9A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습 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29B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습 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0A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가습 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0B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가습 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1A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습 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1B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습 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2A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가습 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2B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가습 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3A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습 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3B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제습 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4A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가습 시 제 1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4B는 제 2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에 있어서 가습 시 제 2 동작 중의 공기 유통상태를 나타내는 도.
도 35A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의 구성 및 통상운전 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5B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의 구성 및 정화운전 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5C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의 구성 및 정화운전 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6은 전열교환기의 개략사시도.
도 37A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의 구성 및 통상운전 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7B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환기장치의 구성 및 정화운전 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8A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열교환장치의 구성 및 통상운전 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8B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열교환장치의 구성 및 정화운전 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8C는 제 3 변형예에 관한 열교환장치의 구성 및 정화운전 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구성도.
도 39는 종래의 환기장치 개략 구성도.
그러나 종래의 구성을 그대로 응용한 것만으로는, 다음과 같은 과제가 있다.
즉, 종래는, 공기통로에서의 공기 유통방향이 일방통행이므로, 장시간의 운전 후에 필터에 상당한 양의 먼지 등이 퇴적되어, 전열교환기나 흡착소자의 성능이 열화되거나 그 수명이 단축화될 우려가 있다. 예를 들어, 도로에 면하는 건물에 설치된 환기장치에서는, 실외공기에 다량의 먼지가 포함되므로, 실외 쪽 필터에 많은 먼지가 퇴적되어, 상기 과제는 현저한 것이 된다.
이에 대해, 전열교환기나 흡착소자의 성능열화나 단수명화를 방지하기 위해, 필터를 정기적으로 청소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정기적이 청소가 필요 불가결한 장치로는 보수의 부담이 크며, 또 보수비용의 상승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전열교환기나 흡착소자 등의 공기조화용 소자를 구비하는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공기조화용 소자의 성능열화 방지 및 장수명화를 도모하는 한편, 보수부담의 경감 및 보수비용의 저감을 도모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의 공기조화용 소자에 필터를 구성시켜, 통상운전 시와 정화운전 시에 공기의 유통방향을 역방향으로 함으로써, 통상운전 시에는 필터에 의한 집진을 실행하며, 정화운전 시에는 필터에 부착된 먼지 등을 공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제거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제 1 발명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연통되는 공기통로(53, 54, ...)와, 상기 공기통로(53, 54, ...)를 제 2 공간(312)을 향해 흐르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의 적어도 한쪽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화용 소자(81, 82,...)와, 상기 공기통로(53, 54, ...)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81, 82, ...)를 향해 흐르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필터(301, 302, ...)와, 상기 공기통로(53, 54, ...)의 공기 반송을 실행하는 공기반송수단(95, 96)을 구비하며, 온도 및 습도의 적어도 한쪽이 조절된 공기를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공기조화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통로(53, 54, ...)에서 공기가 상기 필터(301, 302, ...)를 통과한 후에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81, 82)를 통과하여 제 2 공간(312)으로 공급되는 통상운전과, 상기 공기통로(53, 54, ...)에서 공기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81, 82, ...)를 통과한 후에 상기 필터(301, 302, ...)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되는 정화운전이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발명 공기조화장치의 통상운전에서는, 공기통로(53, 54, ...)에서, 제 1 공간(311)으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필터(301, 302, ...)를 통과한 후에 공기조화용 소자(81, 82, ...)로 유입된다. 공기가 필터(301, 302, ...)를 통과할 때에,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이 필터(301, 302, ...)에 포집된다. 통상운전 중에 있어서 필터(301, 302, ...)에는, 상기 공기에서 제거된 먼지 등이 점차 퇴적되어간다. 필터(301, 302, ...)에 의해 정화된 공기는 공기조화용 소자(81, 82, ...)에서 처리가 실시되어, 그 온도와 습도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조절된다. 제 2 공간(312)에는, 공기조화용 소자(81, 82, ...)에서 처리가 실시된 공기가 공급된다.
한편,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정화운전에서는, 공기통로(53, 54, ...)에서 제 2 공간(312)으로부터 도입된 공기가 공기조화용 소자(81, 82, ...)를 통과한 후에 필터(301, 302, ...)를 통과한다. 즉, 정화운전과 통상운전에서는, 필터(301, 302, ...)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이 역방향이 된다. 이로써 통상운전에서 필터(301, 302, ...)에 퇴적된 먼지 등은, 정화운전의 공기 흐름에 의해 필터(301, 302, ...)에서 떨어지며, 그 후에 제 1 공간(311)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통상운전에서는 필터(301, 302, ...)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만, 정화운전에서는 필터(301, 302, ...)의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필터(301, 302, ...)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흡착재를 구비하는 흡착소자(81, 82)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배치되며, 공기통로(53∼56)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공기반송수단(95, 96)이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312)으로의 공기 반송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311)으로의 공기 반송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필터(301, 302), 상기 흡착소자(81, 8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흡착운전과,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흡착소자(81, 82), 필터(301, 30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재생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2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흡착운전 시에는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가 필터(301, 302)에서 흡착소자(81, 82)의 순으로 통과한다. 상기 공기는 필터(301, 302)에 의해 정화되며, 흡착소자(81, 82)에 의해 제습된 후에 제 2 공간에 공급된다. 그 동안 필터(301, 302)에는, 상기 공기로부터 제거된 먼지 등이 퇴적되어간다. 한편, 재생운전 시에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가 흡착소자(81, 82)에서 필터(301, 302)의 순으로 통과한다. 상기 공기는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키고, 필터(301, 302)에서 먼지 등을 제거한 후에 제 1 공간(311)으로 배출된다. 즉, 흡착운전 시에는 필터(301, 302)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만, 재생운전 시에는 필터(301, 302, ...)의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필터(301, 302, ...)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3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흡착재를 구비하는 흡착소자(81, 82)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배치되며, 공기통로(53∼56)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공기반송수단(95, 96)이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312)으로의 공기 반송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311)으로의 공기 반송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공기통로(53∼56)에 있어서 상기 흡착소자(81, 82)의 제 1 공간(311) 쪽에 상기 필터로서의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가 배치되고, 상기 공기통로(53∼56)에 있어서 상기 흡착소자(81, 82)의 제 2 공간(312) 쪽에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흡착운전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재생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3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필터가 흡착소자(81, 82)의 양쪽에 배치되므로, 흡착소자(81, 82)의 성능열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흡착운전 시에는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만,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의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한편, 재생운전 시에는,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만,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의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4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제 1 공간은 실외공간(311)으로 구성되는 한편, 제 2 공간은 실내공간(312)으로 구성되며, 상기 흡착운전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312)의 제습을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4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실내공간(312)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5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흡착재를 구비하는 흡착소자(81, 82)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배치되며, 공기통로(53∼56)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공기반송수단(95, 96)이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312)으로의 공기 반송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311)으로의 공기 반송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필터(301, 302), 상기 흡착소자(81, 8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재생운전과,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흡착소자(81, 82), 필터(301, 30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흡착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5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재생운전 시에는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가 필터(301, 302)에서 흡착소자의 순으로 통과한다. 상기 공기는 필터(301, 302)에 의해 정화되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후에 제 2 공간(312)에 공급된다. 그 동안 필터(301, 302)에는, 포착된 상기 공기 중의 먼지 등이 퇴적되어간다. 한편, 흡착운전 시에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가 흡착소자(81, 82)에서 필터(301, 302)의 순으로 통과한다. 상기 공기는 흡착소자(81, 82)에 의해 제습되며, 필터(301, 302)에서 먼지 등을 제거한 후에 제 1 공간(311)으로 배출된다. 즉, 재생운전 시에는 필터(301, 302)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만, 흡착운전 시에는 필터(301, 302, ...)의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필터(301, 302, ...)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6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흡착재를 구비하는 흡착소자(81, 82)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배치되며, 공기통로(53∼56)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공기반송수단(95, 96)이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312)으로의 공기 반송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311)으로의 공기 반송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공기통로(53∼56)에 있어서 상기 흡착소자(81, 82)의 제 1 공간(311) 쪽에 상기 필터로서의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가 배치되고, 상기 공기통로(53∼56)에 있어서 상기 흡착소자(81, 82)의 제 2 공간(312) 쪽에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b, 302b),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a, 302a)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재생운전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a, 302a),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b, 302b)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흡착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6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필터가 흡착소자(81, 82)의 양쪽에 배치되므로, 흡착소자(81, 82)의 품질열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재생운전 시에는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만,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의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한편, 흡착운전 시에는,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만,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의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7 발명은, 상기 제 5 또는 제 6 발명에 있어서, 제 1 공간은 실외공간(311)으로 구성되는 한편, 제 2 공간은 실내공간(3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재생운전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312)의 가습을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7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실내공간(312)의 가습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8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흡착재를 구비하는 흡착소자(81, 82)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배치되며, 공기통로(53∼56)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공기반송수단(95, 96)이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312)으로의 공기 반송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311)으로의 공기 반송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필터(301, 302), 상기 흡착소자(81, 8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제 1 흡착운전과,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흡착소자(81, 82), 필터(301, 30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제 1 재생운전과,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흡착소자(81, 82), 필터(301, 30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제 2 흡착운전과,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필터(301, 302), 상기 흡착소자(81, 8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제 2 재생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8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제 1 흡착운전 시에는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가 필터(301, 302)에서 흡착소자(81, 82)의 순으로 통과한다. 상기 공기는 필터(301, 302)에 의해 정화되며, 흡착소자(81, 82)에 의해 제습된 후에 제 2 공간(312)으로 공급된다. 제 1 재생운전 시에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가 흡착소자(81, 82)에서 필터(301, 302)의 순으로 통과한다. 상기 공기는,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키고, 필터(301, 302)로부터 먼지 등을 제거한 후에 제 1 공간(311)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 1 흡착운전 시에는 필터(301, 302)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만, 제 1 재생운전 시에는 필터(301, 302)의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필터(301, 302)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제 2 재생운전 시에는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가 필터(301, 302)에서 흡착소자(81, 82)의 순으로 통과한다. 상기 공기는 필터(301, 302)에 의해 정화되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후에 제 2 공간(312)에 공급된다. 제 2 흡착운전 시에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가 흡착소자(81, 82)에서 필터(301, 302) 순으로 통과한다. 상기 공기는, 흡착소자(81, 82)에 의해 제습되며, 필터(301, 302)로부터 먼지 등을 제거한 후에 제 1 공간(311)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 2 재생운전 시에는 필터(301, 302)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만, 제 2 흡착운전 시에는 필터(301, 302, ...)의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필터(301, 302, ...)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9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흡착재를 구비하는 흡착소자(81, 82)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배치되며, 공기통로(53∼56)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공기반송수단(95, 96)이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312)으로의 공기 반송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311)으로의 공기 반송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로서의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가, 공기통로(53∼56)에 있어서 상기 흡착소자(81, 82)의 제 1 공간(311) 쪽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통로(53∼56)에 있어서 상기 흡착소자(81, 82)의 제 2 공간(312) 쪽에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제 1 흡착운전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에 공급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제 1 재생운전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에 공급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제 2 흡착운전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제 2 재생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9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필터가 흡착소자(81, 82)의 양쪽에 배치되므로, 흡착소자(81, 82)의 성능열화가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제 1 흡착운전 시 및 제 2 재생운전 시에는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만,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의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한편, 제 1 재생운전 시 및 제 2 흡착운전 시에는,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에 먼지 등이 퇴적되지만,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의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10 발명은, 상기 제 8 또는 제 9 발명에 있어서, 제 1 공간은 실외공간(311)으로 구성되는 한편, 제 2 공간은 실내공간(3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흡착운전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312)의 제습을 실행하는 한편, 상기 제 2 재생운전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312)의 가습을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10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실내공간(312)의 제습 및 가습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1 발명은, 상기 제 2, 제 3, 제 5, 제 6, 제 8 또는 제 9 발명에 있어서, 제 1 공기통로(53, 54)에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1 필터(301)가, 제 2 공기통로(55, 56)에 제 2 흡착소자(82) 및 제 2 필터(302)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운전과 상기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운전을 동시에 실행하는 제 1 동작과, 상기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운전과 상기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운전을 동시에 실행하는 제 2 동작을 번갈아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11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행해지는, 이른바 일괄동작이 실행된다. 이로써, 제습 또는 가습을 계속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1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제 1 공기통로(251)에서는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제 2 공간(312)을 향해 공기가 유통되는 한편, 제 2 공기통로(252)에서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제 1 공간(311)을 향해 공기가 유통되며, 흡착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공기통로(251) 및 상기 제 2 공기통로(252)에 걸쳐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식 흡착소자(253)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구성되고,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보다 상기 제 1 공간(311) 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공기통로(251) 및 상기 제 2 공기통로(252)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와 일체 회전하는 회전식 필터(254)가 상기 필터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 1 공기통로(251)에서 공기를 상기 회전식 필터(254),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운전이 통상운전으로서 실행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공기통로(252)에서 공기를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 상기 회전식 필터(254)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운전이 정화운전으로서 실행되는 것이다.
상기 제 12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제 1 공기통로(251)에서는,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가 회전식필터(254)에서 회전식 흡착소자(253)의 순으로 흘러, 회전식필터에 공기 중의 먼지 등이 포집되는 동시에, 회전식 흡착소자(253)에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한편 제 2 공기통로(312)에서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가 회전식 흡착소자(253)에서 회전식 필터(254)의 순으로 흘러, 회전식 흡착소자(253)의 재생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회전식필터(254)에서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회전식필터(254)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13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제 1 공기통로(251)에서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제 1 공간(311)을 향해 공기가 유통되는 한편, 제 2 공기통로(252)에서는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제 2 공간(312)을 향해 공기가 유통되며, 흡착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공기통로(251) 및 상기 제 2 공기통로(252)에 걸쳐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식 흡착소자(253)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구성되고,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보다 상기 제 1 공간(311) 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공기통로(251) 및 상기 제 2 공기통로(252)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와 일체 회전하는 회전식 필터(254)가 상기 필터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 1 공기통로(251)에서 공기를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 상기 회전식 필터(254)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운전이 통상운전으로서 실행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공기통로(252)에서 공기를 상기 회전식 필터(254),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운전이 정화운전으로서 실행되는 것이다.
상기 제 13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제 2 공기통로(252)에서는,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가 회전식필터(254)에서 회전식 흡착소자(253)의 순으로 흘러, 회전식필터(254)에 공기 중의 먼지 등이 포집되는 동시에, 회전식 흡착소자(253)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한편 제 1 공기통로(251)에서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가 회전식 흡착소자(253)에서 회전식 필터(254)의 순으로 흘러, 회전식 흡착소자(253)의 흡착이 이루어지는 동시에, 회전식필터(254)로부터 먼지가 자동적으로 제거되어 회전식필터(254)의 청소가 이루어진다.
상기 제 14 발명은, 상기 제 12 또는 제 13 발명에 있어서, 제 1 공간은 실외공간(311)으로 구성되는 한편, 제 2 공간은 실내공간(31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4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실내공간(312)의 제습 또는 가습이 계속적으로 실행된다.
상기 제 15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제 1 공기통로(361)에서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제 1 공간(311)을 향해 공기가 유통되는 한편, 제 2 공기통로(362)에서는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제 2 공간(312)을 향해 공기가 유통되며, 제 1 공기통로(251)를 흐르는 공기와 제 2 공기통로(252)를 흐르는 공기 사이에서 열 및 수분을 교환시키는 전열교환기(363)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15 발명의 공기조화장치에서는, 전열교환기(363)가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설치된다. 전열교환기(363)에는, 제 1 공기통로(251)를 흐르는 공기와 제 2 공기통로(252)를 흐르는 공기가 도입된다. 제 1 공기통로(251)를 흐르는 공기는, 필터(366)를 통과할 때에 정화된 후에 전열교환기(363)로 유입된다. 전열교환기(363)에서는, 도입된 2 종류의 공기 사이에서 열과 수분의 교환이 이루어진다. 즉, 전열교환기(363)에서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제 1 공간(311)으로 향하는 공기와,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제 2 공간(312)으로 향하는 공기와의 사이에서, 현열과 잠열의 양쪽이 교환된다. 제 2 공간(312)으로부터 도입되어 제 1 공기통로(251)를 흐르는 공기는, 그 온도 및 습도가 전열교환기(363)에서 조절된 후에 제 1 공간(311)으로 공급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의 조습장치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장치로 구성되며, 실내의 제습과 환기를 실행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1)는, 약간 편평한 직방체형상의 케이싱(10)과, 실외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3)와, 실내로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14)와,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5)와, 실외로 공기를 분출하는 분출구(16)를 구비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0) 내에는,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가 수납된다.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는 각각이 공기조화용 소자를 구성한다. 또 케이싱(10) 내에는, 재생 열교환기(102), 제 1 열교환기(103) 및 제 2 열교환기(104)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열교환기(102, 103, 104)는 도시하지 않는 냉매회로에 배치되어, 내부에 냉매가 유통하도록 구성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흡착소자(81, 82)는, 평판형의 평판부재(83)와 물결형상의 골판부재(84)를 번갈아 적층시켜 구성된다. 평판부재(83)는, 그 긴 변의 길이(L1)가 그 짧은 변 길이(L2)의 2.5 배인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즉, 이 평판부재(83)에서, L1/L2=2.5가 된다. 또 여기에 나타낸 수치는 예시이며, 각 변의 길이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골판부재(84)는, 인접하는 골판부재(84)의 능선 방향이 서로 90도 어긋난 자세로 적층된다. 그리고 흡착소자(81, 82)는 전체적으로 직방체 형상 내지 사각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흡착소자(81, 82)에는, 평판부재(83) 및 골판부재(84)의 적층방향에서, 조습측 통로(85)와 냉각측 통로(86)가 평판부재(83)를 사이에 두고 교대로 구획 형성된다. 이 흡착소자(81, 82)에서, 평판부재(83)의 긴 변 쪽 측면에 조습측 통로(85)가 개구되며, 평판부재(83)의 짧은 변 쪽 측면에 냉각측 통로(86)가 개구된다. 또 이 흡착소자(81, 82)에서, 도 3의 앞쪽 및 안쪽의 끝단면은, 조습측 통로(85)와 냉각측 통로(86)의 어느 쪽에도 개구되지 않는 폐색면을 구성한다.
흡착소자(81, 82)에서, 조습측 통로(85)에 임하는 평판부재(83)의 표면이나, 조습측 통로(85)에 설치된 골판부재(84)의 표면에는, 공기 중의 수분 즉 수증기를 흡착하는 흡착제가 도포된다. 이러한 종류의 흡착제로는, 예를 들어 실리카겔, 제올라이트, 이온교환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10)에서, 가장 앞쪽에는 실외 쪽 패널(11)이 배치되며, 가장 안쪽에는 실내측패널(12)이 배치된다. 흡입구(13)는 실외 쪽 패널(11)의 왼쪽 끝 쪽으로 형성되며, 분출구(16)는 실외측패널(11)의 오른쪽 끝 쪽으로 형성된다. 분출구(14)는 실내측패널(12)의 왼쪽 끝 쪽으로 형성되며, 흡입구(15)는 실내측패널(12)의 오른쪽 끝 쪽으로 형성된다.
케이싱(10)의 내부에는, 앞쪽에서 안쪽을 향해 차례로, 제 1 구획판(20)과, 제 2 구획판(201)과, 제 3 구획판(221)과, 제 4 구획판(30)이 설치된다.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은, 이들 구획판(20, 201, 221, 30)에 의해 앞뒤로 구획된다.
실외측패널(11)과 제 1 구획판(20) 사이의 공간은 상측공간(41)과 하측공간(42)으로 구획된다. 상측공간(41)은 분출구(16)를 통해 실외공간(311)과 연통된다. 하측공간(42)은 분출구(13)를 통해 실외공간(311)과 연통된다.
상측공간(41)의 오른쪽 끝 쪽에는 배기팬(96)이 설치된다. 또 상측공간(41)에는 제 2 열교환기(104)가 설치된다. 제 2 열교환기(104)는, 이른바 크로스 핀형식의 핀 튜브 열교환기로서, 배기팬(96)을 향해 상측공간(41)을 흐르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제 2 열교환기(104)는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
제 1 구획판(20)과 제 2 구획판(201) 사이의 공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로, 좌단공간(202)과, 좌측 중앙공간(203)과, 우측 중앙공간(204)과, 우단공간(205)으로 구획된다.
제 1 구획판(20)에는, 우측개구(21), 좌측개구(22), 우상개구(23), 우하개구(24), 좌상개구(25), 및 좌하개구(26)가 형성된다. 이들 개구(21∼26)는 각각이 개폐 셔터를 구비하여 개폐 자유롭게 구성된다.
좌상개구(25)는, 상측공간(41)과 좌측 중앙공간(203)을 연통시킨다. 우상개구(23)는, 상측공간(41)과 우측 중앙공간(204)을 연통시킨다. 좌측개구(22)는, 하측공간(42)과 좌단공간(202)을 연통시킨다. 좌하개구(26)는, 하측공간(42)과 좌측 중앙공간(203)을 연통시킨다. 우하개구(24)는, 하측공간(42)과 우측 중앙공간(204)을 연통시킨다. 우측개구(21)는, 하측공간(42)과 우단공간(205)을 연통시킨다.
제 2 구획판(201)에도, 우측개구(207), 좌측개구(206), 우상개구(210), 우하개구(211), 좌상개구(208), 및 좌하개구(209)가 형성된다. 좌상개구(208), 좌하개구(209), 우상개구(210) 및 우하개구(211)는, 각각이 개폐 셔터를 구비하여 개폐 자유롭게 구성된다.
제 2 구획판(201)과 제 3 구획판(221) 사이에는,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가 설치된다. 이들 흡착소자(81, 82)는 소정 간격을 두고 좌우로 나열된 상태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오른쪽에 제 1 흡착소자(81)가 설치되며, 왼쪽에 제 2 흡착소자(82)가 설치된다.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는, 각각에 있어서 평판부재(83) 및 골판부재(84)의 적층방향이 케이싱(10)의 긴 쪽 방향(도 2의 앞쪽에서 안쪽으로 향하는 방향)과 일치함과 동시에, 각각에 있어서 평판부재(83) 등의 적층방향이 서로 평행이 되는 자세로 설치된다. 또 각 흡착소자(81, 82)는, 좌우의 측면이 케이싱(10)의 측판과, 상하면이 케이싱(10)의 천정판이나 바닥판과, 앞뒤의 끝단면이 실외측 패널(11)이나 실내측 패널(12)과 각각 거의 평행이 되는 자세로 배치된다.
제 1 흡착소자(81)의 하면에는 제 1 필터(301)가 설치된다. 제 2 흡착소자(82)의 하면에는 제 2 필터(302)가 설치된다.
또 케이싱(10) 내에 설치된 각 흡착소자(81, 82)에서는, 그 좌우 측면에 냉각측 통로(86)가 개구된다. 즉, 제 1 흡착소자(81)에서 냉각측 통로(86)에 개구되는 1 개의 측면과, 제 2 흡착소자(82)에서 냉각측 통로(86)에 개구되는 1 개의 측면은 서로 마주한다.
제 2 구획판(201)과 제 3 구획판(221) 사이의 공간은, 우측유로(51), 좌측유로(52), 우상유로(53), 우하유로(54), 좌상유로(55), 좌하유로(56), 및 중앙유로(57)로 구획된다.
우측유로(51)는, 제 1 흡착소자(81)의 오른쪽에 형성되며,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 통로(86)로 연통된다. 좌측유로(52)는, 제 2 흡착소자(82)의 왼쪽에 형성되며,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 통로(86)로 연통된다.
우상유로(53)는, 제 1 흡착소자(81)의 위쪽에 형성되며,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로 연통된다. 우하유로(54)는, 제 1 흡착소자(81)의 아래쪽(엄밀하게는 제 1 필터(301)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에 연통된다. 좌상유로(55)는, 제 2 흡착소자(82)의 위쪽에 형성되며,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에 연통된다. 좌하유로(56)는, 제 2 흡착소자(82)의 아래쪽(엄밀하게는 제 2 필터(302)의 아래쪽)에 형성되며,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에 연통된다.
중앙유로(57)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 형성되며, 양 흡착소자(81, 82)의 냉각측 통로(86)에 연통된다. 이 중앙유로(57)는, 도 2에 나타나는 유로단면의 형상이 팔각형이다.
제 2 구획판(201)의 좌측개구(206)는, 좌단공간(202)과 좌측유로(52)를 연통시킨다. 우측개구(207)는, 우단공간(205)과 우측유로(51)를 연통시킨다. 좌상개구(208)는, 좌측 중앙공간(203)과 좌상유로(55)를 연통시킨다. 좌하개구(209)는, 좌측 중앙공간(203)과 좌하유로(56)를 연통시킨다. 우상개구(210)는, 우측 중앙공간(204)과 우상유로(53)를 연통시킨다. 우하개구(211)는, 우측 중앙공간(204)과 우하유로(54)를 연통시킨다.
재생 열교환기(102)는, 이른바 크로스 핀식의 핀 튜브 열교환기로서, 중앙유로(57)를 흐르는 공기를 가열하도록 구성된다. 이 재생 열교환기(102)는 중앙유로(57)에 배치된다. 즉, 재생 열교환기(102)는, 좌우로 나열된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 설치된다. 또 재생 열교환기(102)는, 거의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중앙유로(57)를 좌우로 구획하도록 설치된다.
제 1 흡착소자(81)와 재생 열교환기(102) 사이에는, 중앙유로(57)에서 재생 열교환기(102)의 오른쪽 부분과 우상유로(53)를 구획하는 개폐 자유로운 셔터가 설치된다. 한편, 제 2 흡착소자(82)와 재생 열교환기(102) 사이에는, 중앙유로(57)에서 재생 열교환기(102)의 왼쪽 부분과 좌상유로(55)를 구획하는 개폐 자유로운 셔터가 설치된다.
제 3 구획판(221)은 제 2 구획판(201)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제 3 구획판(221)에도, 우측개구(222), 좌측개구(223), 우상개구(224), 우하개구(225), 좌상개구(226), 및 좌하개구(227)가 형성된다. 좌상개구(226), 좌하개구(227), 우상개구(224) 및 우하개구(225)는, 각각이 개폐 셔터를 구비하여 개폐 자유롭게 구성된다.
제 3 구획판(221)과 제 4 구획판(30) 사이의 공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로, 좌단공간(228)과, 좌측 중앙공간(229)과, 우측 중앙공간(230)과, 우단공간(231)으로 구획된다.
좌측개구(223)는, 좌측유로(52)와 좌단공간(228)을 연통시킨다. 좌측개구(223)는, 우측유로(51)와 우단공간(231)을 연통시킨다. 좌상개구(226)는, 좌상유로(55)와 좌측 중앙공간(229)을 연통시킨다. 좌하개구(227)는, 좌하유로(56)와 좌측 중앙공간(229)을 연통시킨다. 우상개구(224)는, 우상유로(53)와 우측 중앙공간(230)을 연통시킨다. 우하개구(225)는, 우하유로(54)와 우측 중앙공간(230)을 연통시킨다.
제 4 구획판(30)과 실내측 패널(12) 사이의 공간은, 상측공간(46)과 하측공간(47)으로 구획된다. 상측공간(46)은, 분출구(14)를 통해 실내공간(312)과 연통된다. 하측공간(47)은, 흡입구(15)를 통해 실내공간(312)과 연통된다.
제 4 구획판(30)은 제 1 구획판(20)과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제 4 구획판(30)에도, 우측개구(31), 좌측개구(32), 우상개구(33), 우하개구(34), 좌상개구(35), 및 좌하개구(36)가 형성된다. 이들 개구(31∼36)는, 각각이 개폐셔터를 구비하여 개폐 자유롭게 구성된다.
좌측개구(32)는, 좌단공간(228)과 하측공간(47)을 연통시킨다. 좌하개구(36)는, 좌측 중앙공간(229)과 하측공간(47)을 연통시킨다. 우하개구(34)는, 우측 중앙공간(230)과 하측공간(47)을 연통시킨다. 우측개구(31)는, 우단공간(231)과 하측공간(47)을 연통시킨다. 좌상개구(35)는, 좌측 중앙공간(229)과 상측공간(46)을 연통시킨다. 우상개구(33)는, 우측 중앙공간(230)과 상측공간(46)을 연통시킨다.
상측공간(46)의 왼쪽 끝에는 급기 팬(95)이 설치된다. 또 상측공간(46)에는 제 1 열교환기(103)가 설치된다. 제 1 열교환기(103)는, 이른바 크로스핀식 핀 튜브 열교환기로서, 급기 팬(95)을 향해 상측공간(46)을 흐르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도록 구성된다. 즉, 제 1 열교환기(103)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것이다.
-조습장치의 운전동작-
다음으로, 조습장치(1)의 운전동작을 설명한다. 이 조습장치(1)는, 제 1 흡착소자(81)의 흡착과 제 2 흡착소자(82)의 재생을 실행하는 제 1 동작(도 2 참조)과, 제 2 흡착소자(82)의 흡착과 제 1 흡착소자(81)의 재생을 실행하는 제 2 동작(도 4 참조)을 교대로 반복한다. 즉, 조습장치(1)는, 이른바 일괄운전을 한다. 이와 같이, 조습장치(1)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실내의 제습을 계속하여 실행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면서 제 1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운전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운전이 동시에 실행된다. 이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운전은 통상운전이며, 이 흡착운전 중에는 제 1 필터(301)에 의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운전은 정화운전이며, 이 재생운전 중에는 제 2 필터(302)로부터의 먼지 제거가 이루어진다.
제 1 구획판(20)에서는, 우하개구(24)와 좌상개구(25)가 개방되며, 우측개구(21)와 우상개구(23)와 좌하개구(26)와 좌측개구(22)가 폐쇄된다. 제 2 구획판(201)에서는, 우하개구(211)와 좌하개구(209)가 개방되며, 우상개구(210)와 좌상개구(208)가 폐쇄된다. 그리고 우측개구(207) 및 좌측개구(206)는 개방된다. 제 3 구획판(221)에서는, 우상개구(224)가 개방되며, 우하개구(225)와 좌상개구(226)와 좌하개구(227)가 폐쇄된다. 그리고 우측개구(222) 및 좌측개구(223)는 개방된다. 제 4 구획판(30)에서는, 우상개구(33)와 우측개구(31)가 개방되며, 우하개구(34)와 좌상개구(35)와 좌하개구(36)와 좌측개구(32)가 폐쇄된다.
흡입구(13)로부터 흡입된 실외공기(이하, 제 1 공기라 함)는, 하측공간(42), 제 1 구획판(20)의 우하개구(24), 우측 중앙공간(204), 제 2 구획판(201)의 우하개구(211)를 차례로 통과하여, 우하유로(54)로 도입된다.
우하유로(54)에 도입된 제 1 공기는, 제 1 필터(301) 및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상향으로 통과하여, 우상유로(53)로 흘러든다. 이 때, 제 1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은, 제 1 필터(301)에 포집되어 제 1 공기로부터 제거된다. 또 제 1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제 1 흡착소자(81)에 의해 흡착되어, 제 1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우상유로(53)로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3 구획판(221)의 우상개구(224), 우측 중앙공간(230), 제 4 구획판(30)의 우상개구(33), 상측공간(46)을 차례로 통과하며, 상측공간(46)을 통과할 때에 제 1 열교환기에 의해 냉각된다. 그리고 이 제 1 공기는 분출구(1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흡입구(15)로부터 흡입된 실내공기(이하, 제 2 공기라 함)는, 하측공간(47), 제 4 구획판(30)의 우측개구(31), 우단공간(231), 제 3 구획판(221)의 우측개구(222)를 차례로 통과하여, 우측유로(51)로 도입된다.
우측유로(51)에 도입된 제 2 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 통로(86)로 유입된다. 이 제 2 공기는, 냉각측 통로(86)를 흐를 때에, 조습측 통로(85)에서 수증기가 흡착제에 흡착될 때에 발생한 흡착열을 흡열한다. 즉, 제 2 공기는 냉각용 유체로서 냉각측 통로(86)를 흘러, 제 1 흡착소자(81)를 냉각한다. 냉각측 통로(86)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다음에 재생 열교환기(102)를 통과한다. 이 때 재생 열교환기(102)에서는, 제 2 공기가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중앙유로(57)로부터 좌상유로(55)로 유입된다.
제 1 흡착소자(81) 및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에 도입된다. 이 조습측 통로(85)에서는 제 2 공기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증기가 이탈된다. 즉, 제 2 흡착소자(82)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수증기를 포함한 제 2 공기는 제 2 필터(302)를 통과한다. 이 때, 제 2 필터(302)에 부착된 먼지 등은, 제 2 공기의 흐름을 타고 제 2 필터(302)로부터 이탈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공기는 제 2 필터(302)에 부착된 먼지 등을 제거하여, 제 2 필터(302)의 청소를 행한다. 그리고 먼지 등을 포함한 제 2 공기는 좌하유로(56)로 유입된다.
좌하유로(56)로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2 구획판(201)의 좌하개구(209), 좌측 중앙공간(203), 제 1 구획판(20)의 좌상개구(25), 상측공간(41)을 차례로 흘러, 분출구(16)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이 때, 제 2 필터(302)에서 제거된 먼지 등도 제 2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또 제 2 열교환기(104)는 일시정지 상태이므로, 상측공간(41)을 흐를 때에 제 2 공기는 가열도 냉각도 되지 않는다.
상술한 제 1 동작을 소정시간 계속한 후, 이하의 제 2 동작이 실행된다. 다음에, 도 4를 참조하면서 제 2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동작과는 역으로,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운전과,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운전이 동시에 실행된다. 이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운전은 정화운전이며, 이 흡착운전 중에는 제 1 필터(301)로부터의 먼지가 제거된다.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운전은 통상운전이며, 이 재생운전 중에는 제 2 필터(302)에 의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판(20)에서는, 우상개구(23)와 좌하개구(26)가 개방되며, 우측개구(21)와 우하개구(24)와 좌상개구(25)와 좌측개구(22)가 폐쇄된다. 제 2 구획판(201)에서는, 우하개구(211)와 좌하개구(209)가 개방되며, 우상개구(210)와 좌상개구(208)가 폐쇄된다. 그리고 우측개구(207) 및 좌측개구(206)는 개방된다. 제 3 구획판(221)에서는, 좌상개구(226)가 개방되며, 좌하개구(227)와 우상개구(224)와 우하개구(225)가 폐쇄된다. 그리고 우측개구(222) 및 좌측개구(223)는 개방된다. 제 4 구획판(30)에서는, 좌상개구(35)와 좌측개구(32)가 개방되며, 좌하개구(36)와 우상개구(33)와 우하개구(34)와 우측개구(31)가 폐쇄된다.
흡입구(13)로부터 흡입된 실외공기(이하, 제 1 공기라 함)는, 하측공간(42), 제 1 구획판(20)의 좌하개구(26), 좌측 중앙공간(203), 제 2 구획판(201)의 좌하개구(209)를 차례로 통과하여, 좌하유로(56)로 도입된다.
좌하유로(56)에 도입된 제 1 공기는, 제 2 필터(302) 및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상향으로 통과하여, 좌상유로(55)로 흘러든다. 이 때, 제 1 공기에 포함돼있는 먼지 등은 제 2 필터(302)에 포집되어 제 1 공기에서 제거된다. 또 제 1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제 2 흡착소자(82)에 의해 흡착되어, 제 1 공기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좌상유로(55)에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3 구획판(221)의 좌상개구(226), 좌측 중앙공간(229), 제 4 구획판(30)의 좌상개구(35), 상측공간(46)을 차례로 통과하여, 상측공간(46)을 통과할 때에 제 1 열교환기(103)에 의해 냉각된다. 그리고 이 제 1 공기는 분출구(1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흡입구(15)에서 흡입된 실내공기(이하, 제 2 공기라 함)는, 하측공간(47), 제 4 구획판(30)의 좌측개구(32), 좌단공간(228), 제 3 구획판(221)의 좌측개구(223)를 차례로 통과하여, 좌측유로(52)로 도입된다.
좌측유로(52)에 도입된 제 2 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 통로(86)로 유입된다. 이 제 2 공기는, 냉각측 통로(86)를 흐를 때에, 조습측 통로(85)에서 발생한 흡착열을 흡열한다. 즉, 제 2 공기는, 냉각용 유체로서 냉각측 통로(86)를 흘러, 제 2 흡착소자(82)를 냉각한다. 냉각측 통로(86)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다음에, 재생 열교환기(102)를 통과한다. 이 때, 재생 열교환기(102)에서는, 제 2 공기가 냉매와의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중앙유로(57)에서 우상유로(53)로 유입된다.
제 2 흡착소자(82) 및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 제 2 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에 도입된다. 이 조습측 통로(85)에서는 제 2 공기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증기가 이탈된다. 즉, 제 1 흡착소자(81)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수증기를 포함한 제 2 공기는 제 1 필터(301)를 통과한다. 이 때, 제 1 필터(301)에 부착된 먼지 등은 제 1 필터(301)에서 이탈되어, 제 2 공기의 흐름을 타고 배출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 2 공기는 제 1 필터(301)에 부착된 먼지 등을 제거하여, 제 1 필터(301)의 청소를 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기는 먼지 등을 포함한 공기로 되어 좌측유로(52)로 유입한다.
좌측유로(52)에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2 구획판(201)의 우하개구(211), 우측 중앙공간(204), 제 1 구획판(20)의 우상개구(23), 상측공간(41)을 차례로 흘러, 분출구(16)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이 때, 제 1 필터(301)로부터 제거된 먼지 등도, 제 2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 2 열교환기(104)는 일시정지 상태이므로, 상측공간(41)을 흐를 때에 제 2 공기는 가열도 냉각도 되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조습장치(1)에 의하면, 흡착소자(81, 82)에 대한 공기의 유통방향은 흡착운전 시와 재생운전 시에서 역방향이 된다. 바꾸어 말하면, 흡착운전 시와 재생운전 시에서, 공기유통방향은 대향방향이 된다.
구체적으로, 흡착소자(81, 82)의 조습측 통로(85)를 통과하는 공기는, 흡착운전 시에는 위쪽으로 흐르는 한편, 재생운전 시에는 아래쪽으로 흐른다. 때문에 흡착운전 시에는, 제 1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을 필터(301, 302)로 제거하는 한편, 재생운전 시에는, 필터(301, 302)에 부착된 먼지 등을 제 2 공기로 제거할 수 있어, 이들 먼지 등을 제 2 공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조습장치(1)는 일괄운전을 하므로, 각 흡착소자(81, 82)에서 흡착운전과 재생운전은 번갈아 실행된다. 이로써 각 필터(301, 302)에서 먼지 등의 포착 및 이탈이 번갈아 실행되게 되어, 각 필터(301, 302)의 청소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각 필터(301, 302)에 장기간에 걸쳐 많은 먼지 등이 퇴적되는 일은 없다.
이로써, 조습장치(1)에 의하면, 필터(301, 302)의 막힘에 기인하는 환기량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흡착소자(81, 82)의 성능열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흡착소자(81, 82)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필터(301, 302)의 정기적인 청소작업을 불필요 또는 삭감할 수 있어, 보수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보수비용을 삭감하기가 가능해진다.
-변형예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열교환기(102)가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 수직상태로 설치되지만, 재생 열교환기(102)의 설치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교환 시에 공기유통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되도록, 재생 열교환기(102)를 횡방향으로 설치해도 된다.
-변형예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열교환기(10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즉시 흡착소자(81, 82)의 조습측 통로(85)로 도입하지만,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열교환기(10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일단 흡착소자(81, 82)의 냉각측 통로(86)에 도입하고, 그 후에 조습측 통로(85)에 도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재생대상인 흡착소자(81, 82)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재생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3-
상기 실시형태는, 각 흡착소자(81, 82)가 조습측 통로(85) 및 냉각측 통로(86)의 2 가지 통로를 갖지만,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습측 통로(85)만을 갖는 흡착소자(81, 82)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4-
상기 실시형태는, 독립된 2 개의 흡착소자, 즉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를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흡착소자는 1 개의 흡착소자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조화용 소자를 구성하는 1 개의 회전식 흡착소자(253)가 흡착통로(251)와 재생통로(252)에 걸쳐 배치되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회전식 흡착소자(253)의 실외 쪽에, 회전식 흡착소자(253)와 일체 회전하는 필터(254)가 설치된다. 재생 열교환기(102)는 재생통로(252)의 회전식 흡착소자(253)보다 실내 쪽에 설치된다.
본 변형예에서, 흡착통로(251)에 흡입된 실외공기는 필터(254)에 의해 정화된 후, 회전식 흡착소자(253)에 의해 제습된다. 그리고 정화 및 제습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재생통로(252)에 흡입된 실내공기는 재생 열교환기(102)에 의해 가열된 후, 회전식 흡착소자(253)를 통과한다. 이 때, 실내공기는 회전식 흡착소자(253)를 가열하여, 회전식 흡착소자(253)에 포함되는 수분을 흡수한다. 이로써, 회전식 흡착소자(253)의 재생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회전식 흡착소자(253)를 재생시킨 공기는 필터(254)를 통과한다. 이 때, 필터(254)에 부착된 먼지 등이 상기 공기에 의해 필터(254)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하면, 일괄운전을 수반하는 일없이, 흡착소자의 흡착과 재생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일괄운전을 수반하는 일없이, 필터(254)의 집진과 청소를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의 조습장치는, 본 발명에 관한 공기조화장치로 구성되며, 실내의 가습과 환기를 실행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2)는, 제 1 필터(301) 및 제 2 필터(302)가 각각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의 상면 쪽에 설치된 것이다. 조습장치(2)의 구성은 필터(301, 302)의 설치위치 이외는 제 1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조습장치(2)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조습장치(2)는, 제 1 흡착소자(81)의 재생과 제 2 흡착소자(82)의 흡착을 실행하는 제 1 동작(도 9 참조)과, 제 1 흡착소자(81)의 흡착과 제 2 흡착소자(82)의 재생을 실행하는 제 2 동작(도 10 참조)을 교대로 반복한다. 즉, 본 조습장치(2)도 일괄운전을 행하여,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실내의 가습을 계속 실행한다.
도 9를 참조하면서 제 1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운전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운전이 동시에 이루어진다. 이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운전은 통상운전이며, 이 재생운전 중에는 제 1 필터(301)에 의한 공기의 정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운전은 정화운전이며, 이 흡착운전 중에는 제 2 필터(302)로부터의 먼지 제거가 행해진다.
제 1 구획판(20)에서는, 좌상개구(25)와 좌측개구(22)가 개방되며, 우측개구(21)와 우상개구(23)와 우하개구(24)와 좌하개구(26)가 폐쇄된다. 제 2 구획판(201)에서는, 좌상개구(208)가 개방되며, 좌하개구(209)와 우상개구(210)와 우하개구(211)가 폐쇄된다. 그리고 좌측개구(206) 및 우측개구(207)는 개방된다. 제 3 구획판(221)에서는, 우하개구(225)와 좌하개구(227)가 개방되며, 우상개구(224)와 좌상개구(226)가 폐쇄된다. 그리고 우측개구(222) 및 좌측개구(223)는 개방된다. 제 4 구획판(30)에서는, 우상개구(33)와 좌하개구(36)가 개방되며, 우측개구(31)와 좌측개구(32)와 우하개구(34)와 좌상개구(35)가 폐쇄된다.
흡입구(13)로부터 흡입된 실외공기(이하, 제 2 공기라 함)는, 하측공간(42), 제 1 구획판(20)의 좌측개구(22), 좌단공간(202), 제 2 구획판(201)의 좌측개구(206)를 차례로 통과하여, 좌측유로(52)로 도입된다. 좌측유로(52)에 도입된 제 2 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의 냉각측 통로(86) 및 중앙유로(57)의 재생 열교환기(102)를 통과하여, 제 2 흡착소자(82) 및 재생 열교환기(102)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제 2 공기는 우상유로(53)로 유입되어, 제 1 필터(301)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차례로 통과한다. 이 때, 제 2 공기는 제 1 필터(301)에 의해 정화되어, 제 1 흡착소자(81)에 의해 가습된다.
가습된 제 2 공기는 우하유로(54)로 유입되며, 제 3 구획판(221)의 우하개구(225), 우측 중앙공간(230), 제 4 구획판(30)의 우상개구(33)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측공간(46)으로 흘러든다. 상측공간(46)으로 흘러든 제 2 공기는 제 1 열교환기(103)를 통과하여, 분출구(1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103)는 일시정지 상태이므로, 제 2 공기는 제 1 열교환기(103)를 통과할 때에 가열도 냉각도 되지 않는다.
한편, 흡입구(15)로부터 흡입된 실내공기(이하, 제 1 공기라 함)는, 하측공간(47), 제 4 구획판(30)의 좌하개구(36), 좌측 중앙공간(229), 제 3 구획판(221)의 좌하개구(227)를 차례로 통과하여, 좌하유로(56)로 유입된다.
좌하유로(56)로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통과하여, 제 2 흡착소자(82)에 의해 제습된다.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2 필터(302)를 통과한다. 이 때, 제 2 필터(302)에 부착된 먼지 등은 제 1 공기에 의해 제거된다. 먼지 등을 포함한 제 1 공기는, 좌상유로(55), 제 2 구획판(201)의 좌상개구(208), 좌측 중앙공간(203), 제 1 구획판(20)의 좌상개구(25), 상측공간(41)을 차례로 흘러, 분출구(16)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제 1 공기는 상측공간(41) 내의 제 2 열교환기(104)를 통과할 때에 냉각된다.
상술한 제 1 동작을 소정시간 계속한 후, 이하의 제 2 동작이 실행된다. 다음에, 도 10을 참조하면서 제 2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동작에서는 제 1 동작과는 역으로,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운전과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운전이 행해진다. 이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운전은 정화운전이며, 이 흡착운전 중에는 제 1 필터(301)로부터의 먼지가 제거된다.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운전은 통상운전이며, 이 재생운전 중에는 제 2 필터(302)에 의한 공기의 정화가 행해진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구획판(20)에서는, 우상개구(23)와 우측개구(21)가 개방되며, 좌측개구(22)와 우하개구(24)와 좌상개구(25)와 좌하개구(26)가 폐쇄된다. 제 2 구획판(201)에서는, 우상개구(210)가 개방되며. 좌상개구(208)와 좌하개구(209)와 우하개구(211)가 폐쇄된다. 그리고 좌측개구(206) 및 우측개구(207)는 개방된다. 제 3 구획판(221)에서는, 우하개구(225)와 좌하개구(227)가 개방되며, 우상개구(224)와 좌상개구(226)가 폐쇄된다. 그리고 우측개구(222) 및 좌측개구(223)는 개방된다. 제 4 구획판(30)에서는, 우하개구(34)와 좌상개구(35)가 개방되며, 우측개구(31)와 좌측개구(32)와 우상개구(33)와 좌하개구(36)가 폐쇄된다.
흡입구(13)로부터 흡입된 실외공기(이하, 제 2 공기라 함)는, 하측공간(42), 제 1 구획판(20)의 우측개구(21), 우단공간(205), 제 2 구획판(201)의 우측개구(207)를 차례로 통과하여, 우측유로(51)로 도입된다.
우측유로(51)에 도입된 제 2 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의 냉각측 통로(86)와 중앙유로(57)의 재생 열교환기(102)를 차례로 통과하여, 제 1 흡착소자(81) 및 재생 열교환기(102)에 의해 가열된다.
가열된 제 2 공기는, 좌상유로(55)로 유입되며, 제 2 필터(302)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차례로 통과한다. 이 때, 제 2 공기는 제 2 필터(302)에 의해 정화되며, 제 2 흡착소자(82)에 의해 가습된다.
가습된 제 2 공기는, 좌하유로(56)로 유입되며, 제 3 구획판(221)의 좌하개구(227), 좌측 중앙공간(229), 제 4 구획판(30)의 좌상개구(35)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측공간(46)으로 흘러든다. 상측공간(46)으로 흘러든 제 1 공기는, 제 1 열교환기(103)를 통과하여, 분출구(1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그리고 제 1 동작 시와 마찬가지로 제 1 열교환기(103)는 일시정지 중이므로, 제 2 공기는 제 1 열교환기(103)에 의해 가열도 냉각도 되지 않는다.
한편, 흡입구(15)로부터 흡입된 실내공기(이하, 제 1 공기라 함)는, 하측공간(47), 제 4 구획판(30)의 우하개구(34), 우측 중앙공간(230), 제 3 구획판(221)의 우하개구(225)를 차례로 통과하여, 우하유로(54)로 유입된다.
우하유로(54)에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통과하여, 제 1 흡착소자(81)에 의해 제습된다.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1 필터(301)를 통과한다. 이 때, 제 1 필터(301)에 부착된 먼지 등은 제 1 공기에 의해 제거된다. 그리고 먼지 등을 포함한 제 1 공기는, 우상유로(53), 제 2 구획판(201)의 우상개구(210), 우측 중앙공간(204), 제 1 구획판(20)의 우상개구(23), 상측공간(41)을 차례로 흘러, 분출구(16)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또 제 2 공기는 상측공간(41) 내의 제 2 열교환기(104)를 통과할 때에 냉각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조습장치(2)에서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번갈아 실행함으로써, 각 필터(301, 302)에서 먼지 등의 포집과 이탈을 번갈아 실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필터(301, 302)에 장시간에 걸쳐 많은 먼지 등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막힘에 기인하는 장치의 능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 흡착소자(81, 82)의 품질열화를 방지할 수 있어, 흡착소자(81, 82)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보수부담의 경감이나 보수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1-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열교환기(102)가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 직립상태로 설치되지만, 재생 열교환기(102)의 설치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1A 및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교환 시의 공기 유통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되도록, 재생 열교환기(102)를 횡방향으로 설치해도 된다.
-변형예 2-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재생 열교환기(10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즉시 흡착소자(81, 82)의 조습측 통로(85)로 도입하지만, 도 12A 및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열교환기(102)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일단 흡착소자(81, 82)의 냉각측 통로(86)로 도입하고, 그 후에 조습측 통로(85)로 도입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재생대상인 흡착소자(81, 82)를 보다 효율적으로 가열할 수 있어, 재생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3-
상기 실시형태는, 각 흡착소자(81, 82)가 조습측 통로(85) 및 냉각측 통로(86)의 2 개의 통로를 갖지만, 도 13A 및 도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습측 통로(85)만을 갖는 흡착소자(81, 82)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4-
상기 실시형태는, 독립된 2 개의 흡착소자, 즉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2 흡착소자(82)를 구비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흡착소자는 1 개의 흡착소자로 구성되어도 된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조화용 소자를 구성하는 1 개의 회전식 흡착소자(253)가 흡착통로(251)와 재생통로(252)에 걸쳐 배치되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회전식 흡착소자(253)의 실외 쪽에, 회전식 흡착소자(253)와 일체 회전하는 필터(254)가 설치된다. 재생 열교환기(102)는 재생통로(252)의 회전식 흡착소자(253)보다 실외 쪽에 설치된다.
본 변형예에서, 재생통로(252)로 흡입된 실외공기는, 재생 열교환기(102)에 의해 가열되어, 필터(254)에 의해 정화된 후, 회전식 흡착소자(253)에 의해 가습된다. 그리고 정화 및 가습된 공기는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흡착통로(251)로 흡입된 실내공기는, 회전식 흡착소자(253)를 통과하여, 당해 회전식 흡착소자(253)에 의해 제습된다. 다음에, 회전식 흡착소자(253)에 의해 제습된 공기는 필터(254)를 통과한다. 이 때, 필터(254)에 부착된 먼지 등이 상기 공기에 의해 필터(254)로부터 제거된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하면, 일괄운전을 수반하는 일없이, 흡착소자의 흡착과 재생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필터(254)의 집진과 청소를 연속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는, 실내환기와 동시에, 실내의 제습 및 가습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것이다. 도 15A∼도 15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서는, 제 1 흡착소자(81)의 하면 쪽 및 상면 쪽에 제 1 필터(301a, 301b)가 설치되며, 제 2 흡착소자(82)의 하면 쪽 및 상면 쪽에 제 2 필터(302a, 302b)가 설치된다. 그리고 필터(301a, 301b, 302a, 302b)의 설치장소 이외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와 마찬가지이므로, 기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조습장치는, 제습운전 시에는 제 1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와 마찬가지 운전을 한다. 즉 제습운전 시에는, 도 15A에 나타내는 제 1 동작과, 도 15B에 나타내는 제 2 동작을 번갈아 실행한다.
한편, 본 조습장치는, 가습운전 시에는 제 2 실시형태의 조습장치(2)와 마찬가지 운전을 한다. 즉 가습운전 시에는, 도 15C에 나타내는 제 1 동작과, 도 15D에 나타내는 제 2 동작을 번갈아 실행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의 양쪽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착소자(81, 82)의 상면 쪽 및 하면 쪽 쌍방에 필터(301a, 301b, 302a, 302b)가 설치되므로, 실외로부터의 먼지 등은 물론, 실내로부터의 먼지 등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흡착소자(81, 82)의 성능열화를 더 한층 방지할 수 있어, 흡착소자(81, 82)의 장수명화를 가일층 도모할 수 있다.
-변형예 1-
상기 실시형태는 각 흡착소자(81, 82)가 조습측 통로(85) 및 냉각측 통로(86)를 갖지만, 도 16A 및 도 1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습측 통로(85)만을 갖는 흡착소자(81, 82)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변형예 2-
도 17A 및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쪽 흡착소자(81)의 하면 쪽에 제 1 필터(301)를 설치하며, 다른 쪽 흡착소자(82)의 상면 쪽에 제 2 필터(302)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형태도 물론 가능하다.
-변형예 1-
상기 실시형태의 공기 유통형태는 도 18A 및 도 1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태이지만, 본 발명에 관한 조습장치의 공기 유통형태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그 밖의 유통형태에 대하여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18∼도 28에서 필터의 도시는 생략하지만,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필터의 설치장소는 흡착소자의 상면 쪽이라도 되며, 하면 쪽이라도 된다. 또 흡착소자의 상면 쪽 및 하면 쪽 양쪽에 필터를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A 및 도 19B에 나타내는 예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가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들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 재생 열교환기(102)가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예이다.
본 예에서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본 예의 제 1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실행됨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진다(도 19A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를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진다(도 19B 참조).
도 20A 및 도 20B에 나타내는 예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가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들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 재생 열교환기(102)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예이다. 그리고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열교환기(102)를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해도 됨은 물론이다.
본 예에서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본 예의 제 1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하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진다(도 20A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상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진다(도 20B 참조).
도 21A 및 도 21B에 나타내는 예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시켜, 팔(八)자형으로 설치한 것이다. 재생 열교환기(102)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예에서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본 예의 제 1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하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상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진다(도 21A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상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하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진다(도 21B 참조).
도 22A 및 도 22B에 나타내는 예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동일방향으로 경사시켜, 이들 사이에 재생 열교환기(102)를 종방향으로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열교환기(102)를 경사지게 설치해도 됨은 물론이다.
본 예에서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본 예의 제 1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진다(도 22A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상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하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진다(도 22B 참조).
도 23A 및 도 23B에 나타내는 예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가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들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 재생 열교환기(102)가 종방향으로 설치된 예이다.
본 예에서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본 예의 제 1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진다(도 23A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진다(도 23B 참조).
도 24A 및 도 24B에 나타내는 예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가 횡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들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 재생 열교환기(102)를 종방향으로 설치한 예이다. 그리고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열교환기(102)를 경사지게 설치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본 예에서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본 예의 제 1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하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진다(도 24A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상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진다(도 24B 참조).
도 25A 및 도 25B에 나타내는 예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동일방향으로 경사시켜, 이들 사이에 재생 열교환기(102)를 횡방향으로 설치한 예이다. 그리고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열교환기(102)를 경사지게 설치해도 됨은 물론이다.
본 예에서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본 예의 제 1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하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진다(도 25A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상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진다(도 25B 참조).
도 26A 및 도 26B에 나타내는 예도,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동일방향으로 경사시켜, 이들 사이에 재생 열교환기(102)를 횡방향으로 설치한 예이다. 그리고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열교환기(102)를 경사지게 설치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본 예에서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본 예의 제 1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상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진다(도 26A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하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진다(도 26B 참조).
도 27A 및 도 27B에 나타내는 예도,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동일방향으로 경사시켜, 이들 사이에 재생 열교환기(102)를 횡방향으로 설치한 예이다. 그리고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재생 열교환기(102)를 경사지게 설치해도 좋음은 물론이다.
본 예에서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본 예의 제 1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진다(도 27A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진다(도 27B 참조).
도 28A 및 도 28B에 나타내는 예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를 서로 역방향으로 경사시켜, 팔(八)자형으로 설치한 것이다. 재생 열교환기(102)는 제 1 흡착소자(81)와 제 2 흡착소자(82) 사이에 종방향으로 설치된다.
본 예에서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본 예의 제 1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진다(도 28A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한쪽 공기가 제 1 흡착소자(81)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하향으로 흘러 재생이 행해짐과 동시에, 다른 쪽 공기가 제 2 흡착소자(82)의 조습측 통로(85)를 경사지게 상향으로 흘러 흡착이 행해진다(도 28B 참조).
그리고 상기 각 실시형태 및 각 변형예에서, 재생 열교환기(102)는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이면 되며, 냉매와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열수단은, 온수코일이나 전기히터 등이라도 된다.
-제 2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는, 실내공간의 환기와 실내로 급기의 조습을 실행하는 조습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적용대상이 이러한 종류의 조습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은, 실내공기의 조습만을 실행하는 조습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 조습장치에서는,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의 각각에서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도 2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 시의 제 1 동작에서는, 실내공기가 제 1 필터(301)에서 정화된 후에 제 1 흡착소자(81)로 유입된다. 이 실내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에서 제습된 후에 실내로 다시 보내진다. 한편, 실외공기는,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 후에 제 2 흡착소자(82)로 유입되며, 고온의 실외공기에 의해 제 2 흡착소자(82)가 재생된다. 실외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에서 유출되어 제 2 필터(302)를 통과하며, 이 때에 제 2 필터(302)에서 먼지 등이 박리된다. 그 후, 실외공기는, 제 2 필터(302)에서 제거된 먼지 등과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도 2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 시의 제 2 동작에서는, 실내공기가 제 2 필터(302)에서 정화된 후에 제 2 흡착소자(82)로 유입된다. 이 실내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에서 제습된 후에 실내로 다시 보내진다. 한편, 실외공기는,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 후에 제 1 흡착소자(81)로 유입되며, 고온의 실외공기에 의해 제 1 흡착소자(81)가 재생된다. 실외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로부터 유출되어 제 1 필터(301)를 통과하며, 이 때에 제 1 필터(301)에서 먼지 등이 떨어진다. 그 후, 실외공기는, 제 1 필터(301)에서 제거된 먼지 등과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도 3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 시의 제 1 동작에서는, 실내공기가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다. 가열된 실내공기는, 제 2 필터(302)에서 정화된 후에 제 2 흡착소자(82)로 유입되며, 고온의 실내공기에 의해 제 2 흡착소자(82)가 재생된다. 그리고 제 2 흡착소자(82)에서 이탈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되어, 가습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다시 보내진다. 한편, 실외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를 통과하는 사이에 제습된다. 수분을 빼앗긴 실외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로부터 유출되어 제 1 필터(301)를 통과하며, 이 때에 제 1 필터(301)에서 먼지 등이 떨어진다. 그 후, 실외공기는, 제 1 필터(301)에서 제거된 먼지 등과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 시의 제 2 동작에서는, 실내공기가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다. 가열된 실내공기는, 제 1 필터(301)에서 정화된 후에 제 1 흡착소자(81)로 유입되며, 고온의 실내공기에 의해 제 1 흡착소자(81)가 재생된다. 그리고 제 1 흡착소자(81)에서 이탈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되어, 가습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다시 보내진다. 한편, 실외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를 통과하는 사이에 제습된다. 수분을 빼앗긴 실외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로부터 유출되어 제 2 필터(302)를 통과하며, 이 때에 제 2 필터(302)에서 먼지 등이 떨어진다. 그 후, 실외공기는, 제 2 필터(302)에서 제거된 먼지 등과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실내로의 실외공기 도입과 실내로 도입되는 실외공기 조습을 실행하는 조습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 조습장치에서는, 제습운전과 가습운전 각각에서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 시의 제 1 동작에서는, 실외공기가 제 1 필터(301)에서 정화된 후에 제 1 흡착소자(81)로 유입된다. 이 실외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에서 제습된 후에 실내로 공급된다. 이와는 별도의 실외공기는,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 후에 제 2 흡착소자(82)로 유입되며, 고온의 실외공기에 의해 제 2 흡착소자(82)가 재생된다. 이 실외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로부터 유출되어 제 2 필터(302)를 통과하며, 이 때에 제 2 필터(302)에서 먼지 등이 떨어진다. 그 후, 실외공기는, 제 2 필터(302)에서 제거된 먼지 등과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 시의 제 2 동작에서는, 실외공기가 제 2 필터(302)에서 정화된 후에 제 2 흡착소자(82)로 유입된다. 이 실외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에서 제습된 후에 실내로 공급된다. 이와는 별도의 실외공기는,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 후에 제 1 흡착소자(81)로 유입되며, 고온의 실외공기에 의해 제 1 흡착소자(81)가 재생된다. 이 실외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로부터 유출되어 제 1 필터(301)를 통과하며, 이 때에 제 1 필터(301)에서 먼지 등이 떨어진다. 그 후, 실외공기는, 제 1 필터(301)에서 제거된 먼지 등과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도 3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 시의 제 1 동작에서는, 실외공기가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다. 가열된 실외공기는, 제 2 필터(302)에서 정화된 후에 제 2 흡착소자(82)로 유입되며, 고온의 실외공기에 의해 제 2 흡착소자(82)가 재생된다. 그리고 제 2 흡착소자(82)에서 이탈된 수분이 실외공기에 부여되어, 가습된 실외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이와는 별도의 실외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를 통과하는 사이에 제습된다. 수분을 빼앗긴 실외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로부터 유출되어 제 1 필터(301)를 통과하며, 이 때에 제 1 필터(301)에서 먼지 등이 떨어진다. 그 후, 실외공기는, 제 1 필터(301)에서 제거된 먼지 등과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도 3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 시의 제 2 동작에서는, 실외공기가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다. 가열된 실외공기는, 제 1 필터(301)에서 정화된 후에 제 1 흡착소자(81)로 유입되며, 고온의 실외공기에 의해 제 1 흡착소자(81)가 재생된다. 그리고 제 1 흡착소자(81)에서 이탈된 수분이 실외공기에 부여되어, 가습된 실외공기가 실내로 공급된다. 이와는 별도의 실외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를 통과하는 사이에 제습된다. 수분을 빼앗긴 실외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로부터 유출되어 제 2 필터(302)를 통과하며, 이 때에 제 2 필터(302)에서 먼지 등이 떨어진다. 그 후, 실외공기는, 제 2 필터(302)에서 제거된 먼지 등과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실외로의 실내공기 배출과 실내공기의 조습을 실행하는 조습장치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 조습장치에서는, 제습운전과 가습운전 각각에서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번갈아 실행된다.
도 3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 시의 제 1 동작에서는, 실내공기가 제 1 필터(301)에서 정화된 후에 제 1 흡착소자(81)로 유입된다. 이 실내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에서 제습된 후에 실내로 다시 보내진다. 이와는 다른 실내공기는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 후에 제 2 흡착소자(82)로 유입되며, 고온의 실내공기에 의해 제 2 흡착소자(82)가 재생된다. 이 실내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로부터 유출되어 제 2 필터(302)를 통과하며, 이 때에 제 2 필터(302)에서 먼지 등이 박리된다. 그 후, 실내공기는, 제 2 필터(302)에서 제거된 먼지 등과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도 3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 시의 제 2 동작에서는, 실내공기가 제 2 필터(302)에서 정화된 후에 제 2 흡착소자(82)로 유입된다. 이 실내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에서 제습된 후에 실내로 다시 보내진다. 이와 별도의 실내공기는,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 후에 제 1 흡착소자(81)로 유입되며, 고온의 실내공기에 의해 제 1 흡착소자(81)가 재생된다. 이 실내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로부터 유출되어 제 1 필터(301)를 통과하며, 이 때에 제 1 필터(301)에서 먼지 등이 떨어진다. 그 후, 실내공기는, 제 1 필터(301)에서 제거된 먼지 등과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도 3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 시의 제 1 동작에서는, 실내공기가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다. 가열된 실내공기는, 제 2 필터(302)에서 정화된 후에 제 2 흡착소자(82)로 유입되며, 고온의 실내공기에 의해 제 2 흡착소자(82)가 재생된다. 그리고 제 2 흡착소자(82)에서 이탈된 수분이 실외공기에 부여되어, 가습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다시 보내진다. 이와는 별도의 실내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를 통과하는 사이에 제습된다.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는, 제 1 흡착소자(81)로부터 유출되어 제 1 필터(301)를 통과하며, 이 때에 제 1 필터(301)에서 먼지 등이 떨어진다. 그 후, 실내공기는, 제 1 필터(301)에서 제거된 먼지 등과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도 3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 시의 제 2 동작에서는, 실내공기가 재생 열교환기(102)에서 가열된다. 가열된 실내공기는, 제 1 필터(301)에서 정화된 후에 제 1 흡착소자(81)로 유입되며, 고온의 실내공기에 의해 제 1 흡착소자(81)가 재생된다. 그리고 제 1 흡착소자(81)에서 이탈된 수분이 실내공기에 부여되어, 가습된 실내공기가 실내로 다시 보내진다. 이와는 별도의 실내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를 통과하는 사이에 제습된다. 수분을 빼앗긴 실외공기는, 제 2 흡착소자(82)로부터 유출되어 제 2 필터(302)를 통과하며, 이 때에 제 2 필터(302)에서 먼지 등이 떨어진다. 그 후, 실내공기는, 제 2 필터(302)에서 제거된 먼지 등과 함께 실외로 배출된다.
-제 3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는, 공기조화용 소자로서의 흡착소자(81, 82)를 구비하여 환기와 조습을 실행하는 조습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적용대상이 이러한 종류의 조습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용 소자로서의 전열교환기(363)를 구비하는 환기장치(3)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는 본 발명은 적용한 환기장치(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5A∼도 35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환기장치(3)에서는, 중공이며 편평한 직방체인 케이싱(350)의 내부에 전열교환기(363)가 수납된다.
상기 케이싱(350)에서는, 도 35A의 오른쪽 끝단면에 외기흡입구(351)와 배기구(354)가 형성된다. 케이싱(350)의 내부는, 외기흡입구(351)와 배기구(354)를 개재하고 제 1 공간으로서의 실외공간과 연통된다. 한편, 케이싱(350)에서는, 도 35A의 왼쪽 끝단면에 급기구(352)와 내기흡입구(353)가 형성된다. 케이싱(350)의 내부는, 급기구(352) 및 내기흡입구(353)를 개재하고 제 2 공간으로서의 실내공간과 연통된다.
상기 전열교환기(363)는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끝단면이 정방형인 사각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열교환기(363)에서는 그 길이방향에서 제 1 유로(364)와 제 2 유로(365)가 번갈아 다수 형성된다. 이 전열교환기(363)에서는 한 쌍의 대향면에 제 1 유로(364)가 개구되며, 이와는 별도의 한 쌍의 대향면에 제 2 유로(365)가 개구된다. 또 제 1 유로(364)와 제 2 유로(365)의 구획은, 종이 등의 투습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된다.
케이싱(350) 내에서 전열교환기(363)는, 그 길이방향이 케이싱(350)의 안 길이 방향(즉, 도 35A에서 지면에 수직방향)을 따른 자세로, 도 35A에서 좌우 폭방향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또 전열교환기(363)는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전열교환기(363)에는 제 1 필터(366) 및 제 2 필터(367)가 설치된다. 제 1 필터(366)는, 전열교환기(363)에서 제 1 유로(364)가 개구되는 1 개의 측면을 피복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 2 필터(367)는, 전열교환기(363)에서 제 2 유로(365)가 개구되는 1 개의 측면을 피복하도록 설치된다.
케이싱(350) 내에서 전열교환기(363)의 좌우 공간은 각각 상하로 구획된다. 전열교환기(363)의 오른쪽 공간은, 위쪽 공간이 외기흡입구(351)로 연통되며, 아래쪽 공간이 배기구(354)로 연통된다. 또 이 아래쪽 공간에는, 공기반송수단으로서의 배기 팬(369)이 설치된다. 한편, 전열교환기(363)의 왼쪽 공간은, 위쪽 공간이 내기흡입구(353)로 연통되며, 아래쪽 공간이 급기구(352)로 연통된다. 또 이 아래쪽 공간에는, 공기반송수단으로서의 배기 팬(368)이 설치된다. 케이싱(350) 내에서는, 전열교환기(363)의 좌상과 우하 공간이 제 1 공기통로인 배기통로(361)를 구성하며, 전열교환기(363)의 우상과 좌하 공간이 제 2 공기통로인 급기통로(362)를 구성한다.
도 3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운전 시에 있어서 전열교환기(363)의 자세는, 제 1 필터(366)가 외기흡입구(351) 쪽에 위치하며 제 2 필터(367)가 내기흡입구(353) 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급기 팬(368)을 운전하면, 외기흡입구(351)로부터 케이싱(350)으로 도입된 실외공기가 급기통로(362)를 흐른다. 이 실외공기는, 제 1 필터(366)에서 정화된 후에 전열교환기(363)의 제 1 유로(364)로 유입된다. 한편, 배기 팬(369)을 운전하면, 내기흡입구(353)로부터 케이싱(350)으로 도입된 실내공기가 배기통로(361)를 흐른다. 이 실내공기는, 제 2 필터(367)에서 정화된 후에 전열교환기(363)의 제 2 유로(365)로 유입된다.
전열교환기(363)에서는, 도입된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서 열 및 수분이 교환된다. 예를 들어, 겨울철 실내의 난방 중이면, 실내공기로부터 실외공기로 열과 수분이 이동한다. 그리고 열과 수분을 빼앗긴 실내공기가 배기구(354)에서 실외로 배출되며, 열과 수분이 부여된 실외공기가 급기구(352)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반대로, 여름철 실내의 냉방 중이면, 실외공기로부터 실내공기로 열과 수분이 이동한다. 그리고 열과 수분을 빼앗긴 실외공기가 급기구(352)로부터 실내로 공급되며, 열과 수분이 부여된 실내공기가 배기구(354)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정화운전 시에 전열교환기(363)는, 그 자세가, 먼저 도 35B에 나타내는 상태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전열교환기(363)의 자세는, 도 35A에 나타낸 상태에서 오른 쪽으로 90도 회전하여, 제 1 필터(366)가 배기구(354) 쪽에 위치하며 제 2 필터(367)가 외기흡입구(351) 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배기통로(361)를 흐르는 실내공기는, 전열교환기(363)를 통과한 후에 제 1 필터(366)를 통과한다. 제 1 필터(366)에 포집된 먼지 등은, 이 실내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 1 필터(366)에서 떨어져, 실내공기와 함께 배기구(354)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이 동작 중은 제 2 필터(367)가 실외공기 중의 먼지 등을 포집한다.
이어서, 전열교환기(363)는 그 자세가, 도 35C에 나타내는 상태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전열교환기(363)의 자세는, 도 35B에 나타낸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하여, 제 1 필터(366)가 급기구(352) 쪽에 위치하며 제 2 필터(367)가 배기구(354) 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배기통로(361)를 흐르는 실내공기는, 전열교환기(363)를 통과한 후에 제 2 필터(367)를 통과한다. 제 2 필터(367)에 포집된 먼지 등은, 이 실내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 2 필터(367)에서 떨어져, 실내공기와 함께 배기구(354)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정화운전에서는, 전열교환기(363)의 자세를 도 35B에 나타낸 상태와 도 35C에 나타낸 상태로 설정함으로써, 제 1 필터(366) 및 제 2 필터(367)의 청소가 행해진다. 그 후, 전열교환기(363)는 그 자세가 도 35A에 나타낸 상태로 복귀된다.
여기서, 본 변형예에서는 전열교환기(363)에 2 개의 필터(366, 367)를 설치하지만, 도 37A 및 도 3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열교환기(363)에 필터(366)를 1 개만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통상운전 중에 있어서 전열교환기(363)의 자세는, 필터(366)가 외기흡입구(351) 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정된다(도 37A 참조). 한편, 정화운전 중에 있어서 전열교환기(363)의 자세는, 필터(366)가 배기구(354) 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절환된다(도 37B 참조). 즉, 전열교환기(363)는 도 37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한다.
이 상태에서 배기통로(361)를 흐르는 실내공기는, 전열교환기(363)를 통과한 후에 필터(366)를 통과한다. 필터(366)에 포집된 먼지 등은, 이 실내공기의 흐름에 의해 필터(366)에서 박리되어, 실내공기와 함께 배기구(354)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또 이 정화운전 중에는, 실외공기가 정화되지 않고 전열교환기(36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기 팬(368)을 정지시켜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환기장치(3)에서는, 전열교환기(363)를 회전시킴으로써 통상운전과 정화운전을 상호 절환하지만, 댐퍼 등을 이용하여 공기의 유통경로를 변경함으로써 통상운전과 정화운전을 절환해도 된다. 즉, 전열교환기(363)는 고정시킨 채로 공기의 유통경로를 변화시켜, 통상운전 중에는 필터(366, 367)로부터 전열교환기(363)로 공기를 보내며, 정화운전 중에는 전열교환기(363)에서 필터(366, 367)로 공기를 보내도록 해도 된다.
-제 4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는, 공기조화용 소자로서의 흡착소자(81, 82)를 구비하여 환기와 조습을 실행하는 조습장치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지만, 본 발명의 적용대상이 이러한 종류의 조습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공기조화용 소자로서의 현열교환기(383)를 구비하는 열교환장치(4)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이 열교환장치(4)는, 예를 들어 발열량이 많은 대형 전자기기 등이 수납된 실내를 외기로 냉각하기 위해 이용된다.
도 38A∼도 3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적용한 열교환장치(4)는, 상기 제 3 변형예의 환기장치(3)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조를 구비한다. 여기서는 본 변형예의 열교환장치(4)에 대하여, 주로 제 3 변형예의 환기장치(3)와 다른 점을 설명하기로 한다.
열교환장치(4)의 케이싱(370)은, 제 3 변형예와 마찬가지의 직방체로 형성된다. 이 케이싱(370)에서는, 도 38A의 오른쪽 끝단면에 내기흡입구(371) 및 배기구(374)가, 도 38A의 왼쪽 끝단면에 외기흡입구(373) 및 급기구(372)가 각각 형성된다.
케이싱(370) 내에는 현열교환기(383)가 배치된다. 이 현열교환기(383)는, 제 3 변형예의 전열교환기(363)와 마찬가지 구조를 갖는다. 즉, 현열교환기(383)는 전체적으로 사각주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제 1 유로(384)와 제 2 유로(385)를 구비한다. 단, 현열교환기(383)에서 제 1 유로(384)와 제 2 유로(385)의 구획은, 수지판 등 투습성이 없는 재질로 구성된다. 이 현열교환기(383)는, 제 1 유로(384)를 흐르는 공기와 제 2 유로(385)를 흐르는 공기를 열교환시킨다.
상기 현열교환기(383)는, 제 3 변형예의 전열교환기(363)와 마찬가지의 자세로 케이싱(370) 내에 설치된다. 또 현열교환기(383)는 제 3 변형예의 전열교환기(363)와 마찬가지로, 그 중심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현열교환기(383)에는, 제 1 유로(384)의 개구되는 1 개의 측면을 피복하도록 제 1 필터(386)가 설치되며, 제 2 유로(385)의 개구되는 1 개의 측면을 피복하도록 제 2 필터(387)가 설치된다.
케이싱(370)의 내부는, 제 3 변형예의 환기장치(3)와 마찬가지로, 4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내기흡입구(371)로 연통되는 우상 공간과 급기구(372)로 연통되는 좌하 공간이 공기통로로서의 내기통로(382)를 구성하며, 외기흡입구(373)로 연통되는 좌상 공간과 배기구(374)로 연통되는 우하 공간이 공기통로로서의 외기통로(381)를 구성한다. 또 케이싱(370) 내에서는, 좌하 공간에 내기 팬(388)이 배치되며, 우하 공간에 외기 팬(389)이 배치된다. 내기 팬(388) 및 외기 팬(389)은 공기반송수단을 구성한다.
도 38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운전 시에 있어서 현열교환기(383)의 자세는, 제 1 필터(386)가 내기흡입구(371) 쪽에 위치하며 제 2 필터(387)가 외기흡입구(373) 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현열교환기(383)에는, 제 1 필터(386)에서 정화된 실내공기와, 제 2 필터(387)에서 정화된 실외공기가 도입된다. 그리고 현열교환기(383)를 통과한 실내공기가 실내로 다시 보내지며, 현열교환기(383)를 통과한 실외공기가 실외로 배출된다.
정화운전 시에 현열교환기(383)는, 그 자세가, 먼저 도 38B에 나타내는 상태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현열교환기(383)의 자세는, 도 38A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하여, 제 1 필터(386)가 배기구(374) 쪽에 위치하며 제 2 필터(387)가 내기흡입구(371) 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실외공기는, 현열교환기(383)를 통과한 후에 제 1 필터(386)를 통과한다. 제 1 필터(386)에 포집된 먼지 등은, 이 실외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 1 필터(386)에서 떨어져, 실외공기와 함께 배기구(374)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이어서, 현열교환기(383)는, 그 자세가 도 38C에 나타내는 상태로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현열교환기(383)의 자세는, 도 38B에 나타낸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90도 회전하여, 제 1 필터(386)가 급기구(372) 쪽에 위치하며 제 2 필터(387)가 배기구(374) 쪽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에서 실외공기는, 현열교환기(383)를 통과한 후에 제 2 필터(387)를 통과한다. 제 2 필터(387)에 포집된 먼지 등은, 이 실외공기의 흐름에 의해 제 2 필터(387)에서 떨어져, 실외공기와 함께 배기구(374)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상운전에서는 필터(301, 302, ...)에 의해 공기 중의 먼지 등을 포집할 수 있으며, 정화운전에서는 필터(301, 302, ...)에 부착된 먼지 등을 유통공기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즉, 필터(301, 302, ...)를 공기조화장치에서 꺼내지 않아도, 정화운전을 함으로써 필터(301, 302, ...)를 청소할 수 있다. 따라서 청소작업에 수반하는 필터(301, 302, ...)의 탈착이 불필요해져, 공기조화장치의 보수작업에 필요한 공정 수를 삭감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조화장치의 보수에 필요한 노동력을 경감할 수 있어, 보수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정화운전을 행함으로써 용이하게 필터(301, 302, ...)를 청정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필터(301, 302, ...)의 막힘에 기인하는 공기 유량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필터(301, 302, ...)에 의한 공기 중 먼지 등의 포집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먼지 등에 의한 공기조화용 소자(81, 82, ...)의 성능열화를 억제할 수 있어, 공기조화용 소자(81, 82, ...)의 장수명화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및 제 3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용 소자로서의 흡착소자(81, 82)를 구비하여, 제 2 공간(312)에 공급되는 공기의 제습이 가능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필터(301, 302)의 막힘에 기인하는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보수부담의 경감이나 보수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5 및 제 6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용 소자로서의 흡착소자(81, 82)를 구비하여, 제 2 공간(312)에 공급되는 공기의 가습이 가능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필터(301, 302)의 막힘에 기인하는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보수부담의 경감이나 보수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8 및 제 9 발명에 의하면, 공기조화용 소자로서의 흡착소자(81, 82)를 구비하여, 제 2 공간(312)에 공급되는 공기의 제습과 가습이 가능한 공기조화장치에 있어서, 필터(301, 302)의 막힘에 기인하는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보수부담의 경감이나 보수비용의 삭감을 도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3, 제 6, 및 제 9 발명에 의하면, 흡착소자(81, 82)의 양쪽에 필터(301a, 301b, ...)를 배치하므로, 흡착소자(81, 82)의 성능열화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흡착소자(81, 82)의 장수명화를 가일층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11 발명에 의하면, 제 1 흡착소자(81)의 흡착운전과 제 2 흡착소자(82)의 재생운전을 행하는 제 1 동작과, 제 1 흡착소자(81)의 재생운전과 제 2 흡착소자(82)의 흡착운전을 행하는 제 2 동작을 번갈아 실행하므로, 이른바 일괄운전에 의해 제습 또는 가습을 계속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 12 및 제 13 발명에 의하면, 회전식 흡착소자(253) 및 회전식필터(254)가 제 1 공기통로(251)와 제 2 공기통로(252)에 걸쳐 배치되며 또 회전하므로, 회전식 흡착소자(253)의 일부에서 흡착운전을 시키는 한편, 다른 부분에서 재생운전을 시키기가 가능해져, 흡착 및 재생을 계속 실행할 수 있다. 또 제 1 공기통로(251)에서 회전식필터(254)에 의한 집진이 행해지는 한편, 제 2 공기통로(252)에서 회전식필터(254)의 청소가 행해지므로, 회전식필터(254)의 집진 및 청소를 계속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15)

  1.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으로 연통되는 공기통로(53, 54, ...)와,
    상기 공기통로(53, 54, ...)를 제 2 공간(312)을 향해 흐르는 공기의 온도 및 습도의 적어도 한쪽을 조절하기 위한 공기조화용 소자(81, 82,...)와,
    상기 공기통로(53, 54, ...)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81, 82, ...)를 향해 흐르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포집하기 위한 필터(301, 302, ...)와,
    상기 공기통로(53, 54, ...)의 공기 반송을 실행하는 공기반송수단(95, 96)을 구비하며,
    온도 및 습도의 적어도 한쪽이 조절된 공기를 제 2 공간(312)으로 공급하는 공기조화장치이며,
    상기 공기통로(53, 54, ...)에서 공기가 상기 필터(301, 302, ...)를 통과한 후에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81, 82)를 통과하여 제 2 공간(312)으로 공급되는 통상운전과, 상기 공기통로(53, 54, ...)에서 공기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81, 82, ...)를 통과한 후에 상기 필터(301, 302, ...)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되는 정화운전이 실행 가능하게 구성되는 공기조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흡착재를 구비하는 흡착소자(81, 82)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배치되며,
    공기통로(53∼56)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공기반송수단(95, 96)이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312)으로의 공기 반송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311)으로의 공기 반송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필터(301, 302), 상기 흡착소자(81, 8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흡착운전과,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흡착소자(81, 82), 필터(301, 30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재생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흡착재를 구비하는 흡착소자(81, 82)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배치되며,
    공기통로(53∼56)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공기반송수단(95, 96)이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312)으로의 공기 반송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311)으로의 공기 반송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며,
    공기통로(53∼56)에 있어서 상기 흡착소자(81, 82)의 제 1 공간(311) 쪽에 상기 필터로서의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가 배치되고,
    상기 공기통로(53∼56)에 있어서 상기 흡착소자(81, 82)의 제 2 공간(312) 쪽에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흡착운전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재생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공간은 실외공간(311)으로 구성되는 한편, 제 2 공간은 실내공간(312)으로 구성되며,
    상기 흡착운전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312)의 제습을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흡착재를 구비하는 흡착소자(81, 82)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배치되며,
    공기통로(53∼56)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공기반송수단(95, 96)이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312)으로의 공기 반송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311)으로의 공기 반송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필터(301, 302), 상기 흡착소자(81, 8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재생운전과,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흡착소자(81, 82), 필터(301, 30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흡착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흡착재를 구비하는 흡착소자(81, 82)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배치되며,
    공기통로(53∼56)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공기반송수단(95, 96)이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312)으로의 공기 반송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311)으로의 공기 반송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공기통로(53∼56)에 있어서 상기 흡착소자(81, 82)의 제 1 공간(311) 쪽에 상기 필터로서의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가 배치되고,
    상기 공기통로(53∼56)에 있어서 상기 흡착소자(81, 82)의 제 2 공간(312) 쪽에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b, 302b),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a, 302a)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재생운전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a, 302a),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b, 302b)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흡착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제 1 공간은 실외공간(311)으로 구성되는 한편, 제 2 공간은 실내공간(3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재생운전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312)의 가습을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흡착재를 구비하는 흡착소자(81, 82)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배치되며,
    공기통로(53∼56)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공기반송수단(95, 96)이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312)으로의 공기 반송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311)으로의 공기 반송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필터(301, 302), 상기 흡착소자(81, 8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제 1 흡착운전과,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흡착소자(81, 82), 필터(301, 30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제 1 재생운전과,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흡착소자(81, 82), 필터(301, 30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제 2 흡착운전과,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필터(301, 302), 상기 흡착소자(81, 82)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제 2 재생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흡착재를 구비하는 흡착소자(81, 82)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배치되며,
    공기통로(53∼56)가 제 1 공간(311)과 제 2 공간(312)의 양쪽으로 연통되고,
    공기반송수단(95, 96)이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상기 제 2 공간(312)으로의 공기 반송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상기 제 1 공간(311)으로의 공기 반송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필터로서의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가, 공기통로(53∼56)에 있어서 상기 흡착소자(81, 82)의 제 1 공간(311) 쪽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통로(53∼56)에 있어서 상기 흡착소자(81, 82)의 제 2 공간(312) 쪽에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가 배치되는 한편,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제 1 흡착운전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에 공급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제 1 재생운전과,
    상기 제 2 공간(312)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흡착소자(81, 82)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에 공급하는 정화운전으로서의 제 2 흡착운전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부터의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 쪽 필터(301a, 302a), 상기 흡착소자(81, 82), 상기 제 2 공간 쪽 필터(301b, 302b)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흡착소자(81, 82)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통상운전으로서의 제 2 재생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공간은 실외공간(311)으로 구성되는 한편, 제 2 공간은 실내공간(312)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흡착운전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312)의 제습을 실행하는 한편, 상기 제 2 재생운전에 의해 상기 실내공간(312)의 가습을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11.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제 6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공기통로(53, 54)에 제 1 흡착소자(81) 및 제 1 필터(301)가, 제 2 공기통로(55, 56)에 제 2 흡착소자(82) 및 제 2 필터(302)가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흡착운전과 상기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재생운전을 동시에 실행하는 제 1 동작과, 상기 제 1 흡착소자(81)에 대한 재생운전과 상기 제 2 흡착소자(82)에 대한 흡착운전을 동시에 실행하는 제 2 동작을 번갈아 실행하는 공기조화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공기통로(251)에서는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제 2 공간(312)을 향해 공기가 유통되는 한편, 제 2 공기통로(252)에서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제 1 공간(311)을 향해 공기가 유통되며,
    흡착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공기통로(251) 및 상기 제 2 공기통로(252)에 걸쳐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식 흡착소자(253)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구성되고,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보다 상기 제 1 공간(311) 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공기통로(251) 및 상기 제 2 공기통로(252)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와 일체 회전하는 회전식 필터(254)가 상기 필터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 1 공기통로(251)에서 공기를 상기 회전식 필터(254),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운전이 통상운전으로서 실행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공기통로(252)에서 공기를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 상기 회전식 필터(254)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운전이 정화운전으로서 실행되는 공기조화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공기통로(251)에서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제 1 공간(311)을 향해 공기가 유통되는 한편, 제 2 공기통로(252)에서는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제 2 공간(312)을 향해 공기가 유통되며,
    흡착재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공기통로(251) 및 상기 제 2 공기통로(252)에 걸쳐 배치되어 회전하는 회전식 흡착소자(253)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구성되고,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보다 상기 제 1 공간(311) 쪽에 배치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공기통로(251) 및 상기 제 2 공기통로(252)에 걸쳐 배치되어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와 일체 회전하는 회전식 필터(254)가 상기 필터로서 구성되며,
    상기 제 1 공기통로(251)에서 공기를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 상기 회전식 필터(254)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 중의 수분을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에 흡착시키고 나서 이 공기를 상기 제 1 공간(311)으로 배출하는 운전이 통상운전으로서 실행되는 동시에,
    상기 제 2 공기통로(252)에서 공기를 상기 회전식 필터(254),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 순으로 유통시켜, 이 공기에 의해 상기 회전식 흡착소자(253)를 재생시킨 뒤 이 공기를 상기 제 2 공간(312)에 공급하는 운전이 정화운전으로서 실행되는 공기조화장치.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공간은 실외공간(311)으로 구성되는 한편, 제 2 공간은 실내공간(312)으로 구성되는 공기조화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공기통로(361)에서는 제 2 공간(312)으로부터 제 1 공간(311)을 향해 공기가 유통되는 한편, 제 2 공기통로(362)에서는 제 1 공간(311)으로부터 제 2 공간(312)을 향해 공기가 유통되며,
    제 1 공기통로(251)를 흐르는 공기와 제 2 공기통로(252)를 흐르는 공기 사이에서 열 및 수분을 교환시키는 전(全)열교환기(363)가 상기 공기조화용 소자로서 구성되는 공기조화장치.
KR1020057001995A 2002-08-05 2003-08-04 공기조화장치 KR200500836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7806 2002-08-05
JP2002227806 2002-08-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3614A true KR20050083614A (ko) 2005-08-26

Family

ID=31492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1995A KR20050083614A (ko) 2002-08-05 2003-08-04 공기조화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96684B2 (ko)
EP (1) EP1548374A4 (ko)
JP (1) JPWO2004013541A1 (ko)
KR (1) KR20050083614A (ko)
CN (1) CN100559090C (ko)
AU (1) AU2003252364B2 (ko)
WO (1) WO200401354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748A (ko) * 2015-02-16 2016-08-24 (주) 조은바람 에어필터 자동 청소형 배기열 회수 환기장치
CN110017551A (zh) * 2017-12-19 2019-07-16 德国福维克控股公司 空气净化设备
KR20220006427A (ko) * 2020-07-08 2022-01-17 주식회사 세진에너지 공기순환기의 필터수명 연장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46722B2 (ja) * 2003-08-18 2005-05-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US8047014B2 (en) * 2004-03-31 2011-11-01 Daikin Industries, Ltd. Humidity control system
BRPI0715828A2 (pt) * 2006-08-25 2013-07-23 Fischer & Paykel Healthcare Ltd umidificador com elemento de aquecimento interno e placa de aquecedor
JP2008196715A (ja) * 2007-02-08 2008-08-28 Mitsubishi Heavy Ind Ltd 空気調和装置
US20080236180A1 (en) * 2007-03-29 2008-10-02 The Coca-Cola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flexible reversal of condenser fans in vending machines, appliances, and other store or dispense equipment
JP5089254B2 (ja) * 2007-06-11 2012-12-05 新日本空調株式会社 自動車用調湿空調システム
JP4311490B2 (ja) * 2007-06-12 2009-08-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AU2008308347B2 (en) * 2007-10-05 2011-12-08 Daikin Industries, Ltd. Humidity control apparatus and ventilation apparatus
JP4321650B2 (ja) * 2007-12-07 2009-08-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5120045B2 (ja) * 2008-04-21 2013-01-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システム
JP2012052692A (ja) * 2010-08-31 2012-03-15 Daikin Industries Ltd 換気装置
DE102011103759A1 (de) * 2011-05-31 2012-12-06 Robert Bosch Gmbh Luftleitvorrichtung, Klimatisierungsvorrichtung mit einer Luftleit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Klimatisierungsvorrichttung
WO2014024332A1 (ja) * 2012-08-05 2014-02-13 株式会社横浜熱利用技術研究所 乗物用除湿装置
US9140396B2 (en) 2013-03-15 2015-09-22 Water-Gen Ltd. Dehumidification apparatus
CN103990356B (zh) * 2014-04-30 2016-02-24 叶立英 使气体装置内气流交替反向的方法及装置
CN105783237B (zh) * 2016-04-28 2019-09-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换新风装置及滤尘件除尘方法
CN106016514A (zh) * 2016-05-12 2016-10-12 上海交通大学 温湿度弱关联控制单元式空调系统及使用方法
KR101973646B1 (ko) * 2017-08-07 201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921015B2 (en) * 2018-08-28 2021-02-16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ment of heat exchanger 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41083B2 (en) * 1991-03-05 1993-09-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Humidity control apparatus
JPH0564716A (ja) 1991-09-05 1993-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乾式除湿装置
US5426953A (en) * 1993-02-05 1995-06-27 Meckler; Milton Co-sorption air dehumidifying and pollutant removal system
JPH07755A (ja) 1993-06-17 1995-01-06 Sanden Corp 除湿空調機
US5651819A (en) * 1993-06-24 1997-07-29 The Idod Trust Continuous tube forming and coating
JPH09329371A (ja) 1996-06-07 1997-12-22 Ebara Corp 空調システム
JPH10309429A (ja) 1997-05-09 1998-11-24 Matsushita Seiko Co Ltd 除湿換気装置
US6289974B1 (en) * 1997-07-11 2001-09-18 Elastek, Inc. Integrated heat recovery ventilator HEPA filter using a HEPA filter material regenerative heat exchanger
JP2003139348A (ja) * 2001-10-30 2003-05-1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2003139349A (ja) * 2001-10-31 2003-05-14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JP3800092B2 (ja) * 2002-01-07 2006-07-1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2003202128A (ja) * 2002-01-07 2003-07-18 Daikin Ind Ltd 調湿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0748A (ko) * 2015-02-16 2016-08-24 (주) 조은바람 에어필터 자동 청소형 배기열 회수 환기장치
CN110017551A (zh) * 2017-12-19 2019-07-16 德国福维克控股公司 空气净化设备
KR20220006427A (ko) * 2020-07-08 2022-01-17 주식회사 세진에너지 공기순환기의 필터수명 연장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48374A1 (en) 2005-06-29
CN1671999A (zh) 2005-09-21
US20060162367A1 (en) 2006-07-27
CN100559090C (zh) 2009-11-11
JPWO2004013541A1 (ja) 2006-09-21
WO2004013541A1 (ja) 2004-02-12
AU2003252364A1 (en) 2004-02-23
AU2003252364B2 (en) 2007-04-05
EP1548374A4 (en) 2008-02-13
US7096684B2 (en) 2006-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83614A (ko) 공기조화장치
KR100838870B1 (ko) 환기장치
JP3709815B2 (ja) 空気調和装置
KR100740770B1 (ko) 조습장치
KR20050109541A (ko) 조습 장치
JP2011089665A (ja) 調湿装置
JP3624912B2 (ja) 調湿装置
KR20190024396A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WO2009130885A1 (ja) 調湿システム
AU2004264477B2 (en) Humidity control device
JPH07163830A (ja) 乾式除湿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調設備
JP2005164148A (ja) 調湿装置
KR102046214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4165102B2 (ja) 調湿システム
JP2006023079A (ja) 調湿装置
KR102421244B1 (ko) 공기조화기와 그 제어방법
JP4165328B2 (ja) 調湿装置
JP3649203B2 (ja) 調湿装置
JP3742895B2 (ja) 調湿装置
JP2001054717A (ja) 調湿空調機、これを備える出窓及び建物
JP3800092B2 (ja) 調湿装置
KR20100060500A (ko) 제습 냉방 장치
JP2003139349A (ja) 空気調和装置
JP2003130392A (ja) 空気調和装置
JP2004353989A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