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0770B1 - 조습장치 - Google Patents

조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0770B1
KR100740770B1 KR1020067022465A KR20067022465A KR100740770B1 KR 100740770 B1 KR100740770 B1 KR 100740770B1 KR 1020067022465 A KR1020067022465 A KR 1020067022465A KR 20067022465 A KR20067022465 A KR 20067022465A KR 100740770 B1 KR100740770 B1 KR 100740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exchanger
casing
space
f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33064A (ko
Inventor
도모히로 야부
슈지 이케가미
요시노리 나리카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02403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548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01703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289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02384A external-priority patent/JP3815485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3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3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조습장치(10)에는 냉매회로(60)가 형성된다. 냉매회로(60)는, 흡착제를 담지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를 구비하며,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행한다. 또 냉매회로(60)에서는, 냉매의 순환방향이 반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는, 케이싱(11) 내에 설치된다. 이 조습장치(10)에서는, 상기 열교환기(61, 62) 중, 증발기로 된 쪽을 제 1 공기가 통과하며 응축기로 된 쪽을 제 2 공기가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통경로가 전환된다.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와 팽창기구(65)와 십자전환밸브(64)는, 열교환기(61, 62)와 함께 상기 케이싱(11) 내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조습장치{HUMIDITY CONTROLLER}
본 발명은 공기의 습도조절을 행하는 조습장치로서, 특히 냉동주기를 행하여 흡착제의 재생이나 냉각을 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흡착제와 냉동주기를 이용하여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조습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조습장치는 2개의 흡착유닛을 구비한다. 각 흡착유닛은, 흡착제가 충전된 망사용기와, 이 망사용기를 관통하는 냉매관으로 구성된다. 각 흡착유닛의 냉매관은,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매회로에 접속된다. 또 상기 조습장치에는, 각 흡착유닛으로 보내지는 공기를 전환하기 위한 댐퍼가 설치된다.
상기 조습장치의 운전 중에는, 냉매회로의 압축기가 운전되어, 2개의 흡착유닛 중, 한쪽이 증발기로 되며 다른 쪽이 응축기로 되는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또 냉매회로에서는, 십자전환밸브를 조작함으로써 냉매의 순환방향이 전환되며, 각 흡착유닛은 교대로 증발기로서 기능하거나 응축기로서 기능하거나 한다.
상기 조습장치의 가습운전에서는, 실외로부터 실내를 향해 흐르는 급기를 응축기로 되는 흡착유닛으로 도입하여,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으로 급기를 가습한다. 이때, 실내로부터 실외를 향해 흐르는 배기를 증발기로 되는 흡착유닛으로 도 입하여, 배기 중의 수분을 흡착제로 회수한다. 한편, 조습장치의 제습운전에서는, 실외로부터 실내를 향해 흐르는 급기를 증발기로 되는 흡착유닛으로 도입하여, 흡입 중의 수분을 흡착제에 흡착시킨다. 이 때, 실내로부터 실외를 향해 흐르는 배기를 응축기로 되는 흡착유닛으로 도입하여,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을 배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한다.
상기 흡착유닛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열교환부재도 알려져 있다. 이 열교환부재에서는, 동관 주위에 판상의 핀이 설치되어, 이 동관이나 핀의 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된다. 그리고 이 열교환부재는, 동관 내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흡착제의 가열이나 냉각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조습장치로서는,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것도 있다. 이 조습장치는, 케이싱 내에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이 공기통로에 흡착소자를 구비한다. 그리고 실외공기(OA)를 상기 흡착소자에 유통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실외공기(OA)의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공기(조습공기(SA))로서 실내공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 예를 들어 흡착소자에 흡착된 수분을 탈착시키고, 이 수분을 실외공기(OA)에 부여하여, 가습공기(조습공기(SA))로서 실내공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특허문헌 1 일본특개평 8-189667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개평 7-265649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특개평 9-329371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 종래의 조습장치는, 열교환기에서의 냉매 응축온도를 가능한 한 높여, 흡착제의 재생온도를 높이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흡착제의 재생온도가 높아지면, 흡착제로부터 탈리하는 수분량이 증대하여, 조습장치의 효율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또 냉매회로의 일부가 케이싱의 바깥에 배치되면, 조습장치의 설치 시에 냉매회로를 배관접속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설치작업이 번거롭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냉매회로를 케이싱 내에 배치함으로써, 흡착제의 재생량을 늘리고 그 효율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와 팽창기구(65)와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기구(64)를 열교환기(61, 62)와 함께 케이싱(11) 내에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발명은, 제습된 제 1 공기와 가습된 제 2 공기 중, 한쪽을 실내로 공급하며 다른 쪽을 실외로 배출하는 조습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흡착제를 담지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가 접속되어 냉동주기를 행함과 더불어 냉매순환방향이 반전 가능한 냉매회로(60)와, 내부의 공기통로에 상기 열교환기(61, 62)가 설치되는 케이싱(11)과, 상기 열교환기(61, 62) 중, 증발기로 된 쪽을 제 1 공기가 통과하며 응축기로 된 쪽을 제 2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싱(11) 내에서의 공기 유통경로를 상기 냉매회로(60)에서의 냉매순환방향에 따라 전환하는 전환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와 팽창기구(65)와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기구(64)는, 상기 열교환기(61, 62)와 함께 상기 케이싱(11) 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냉매회로(60)에서 반전기구(64)의 전환에 의해, 2개의 냉동주기 동작이 교대로 반복 실행된다. 제 1 냉동주기 동작 중에는, 응축기로 되는 제 1 열교환기(61)에 제 2 공기가 보내지며, 증발기로 되는 제 2 열교환기(62)로 제 1 공기가 보내진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흡착제가 재생되고, 흡착제에서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또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어, 이 때에 발생하는 흡착열을 냉매가 흡열한다. 한편, 제 2 냉동주기 동작 중에는, 전환기구에 의해 제 1 냉동주기 동작 중과 다른 유통경로로 전환되어, 상기 증발기로 되는 제 1 열교환기(61)로 제 1 공기가 보내지며, 응축기로 되는 제 2 열교환기(62)로 제 2 공기가 보내진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 때에 발생하는 흡착열을 냉매가 흡열한다. 또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흡착제가 재생되고, 흡착제에서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본 발명에서 조습장치(10)는, 제습된 제 1 공기 또는 가습된 제 2 공기를 실내로 공급한다. 즉, 이 조습장치(10)는, 제습된 제 1 공기만을 실내에 공급하는 것이라도 되며, 가습된 제 2 공기만을 실내에 공급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 이 조습장치(10)는, 제습된 제 1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운전과, 가습된 제 2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는 운전이 전환 가능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와 팽창기구(65)와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기구(64)를 열교환기(61, 62)와 함께 케이싱(11) 내에 설치하므로, 조습장치의 설치 시에 냉매회로(60)의 각 요소를 배관접속할 필요가 없으며, 냉매를 충전한 채로 출하가 가능하다. 따라서 그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또 케이싱(11) 내에 냉매회로(60)를 수납하므로, 그 접속배관을 짧게 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배관 내에서의 압력손실을 경감하여 응축온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재생 시의 냉매온도가 높아지므로, 흡착제의 재생량을 늘리고 조습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63)는, 상기 케이싱(11) 내부의 공기통로로부터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압축기(63)가 공기통로 바깥에 있으므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압축기(63) 자체의 방사열에 의한 악영향을 받는 일이 없다.
제 3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63)는, 상기 케이싱(11) 내부의 공기통로 내에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압축기(63)를 공기통로 내에 설치하므로, 압축기(63) 자체의 방사열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통경로 내에 압축기(63)를 배치했을 경우에는, 공기온도가 상승하므로 난방효과가 향상된다. 따라서 난방효과를 우선하는 조습장치에 유리하다. 한편, 실외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통경로 내에 압축기(63)를 배치했을 경우에는, 압축기(63) 자체의 방사열을 흡수한 공기를 실외로 버림으로써, 여분의 압축기(63) 열량을 실외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냉방효과를 우선하는 조습장치에 유리하며, 또 압축기(63)의 열을 실외로 버릴 수 있으므로, 조습장치의 효율이 높아진다.
제 4 발명은, 상기 제 1∼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에, 실내로 연통되는 덕트(72, 74)를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24) 및 흡입구(22)와, 실외로 연통되는 덕트(71, 73)를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23) 및 흡입구(21)가 각각 개구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실내 및 실외와 케이싱(11)을 연통시키는 덕트(71, 72, 73, 74)를 이용함으로써 최적의 위치에 조습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제 5 발명은, 상기 제 1∼제 3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에, 이 케이싱(11) 내와 실내를 직접 연통시키는 토출구(24) 및 흡입구(22)와, 실외로 연통되는 덕트(71, 73)를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23) 및 흡입구(21)가 각각 개구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실내로 연통되는 덕트(72, 74)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천장 등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 6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 설치된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11)은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은, 이 케이싱(11) 측판의 하나인 팬측 측판(13)을 따른 제 1 공간(17)과 나머지 제 2 공간(18)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 공간(17)에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이, 상기 제 2 공간(18)에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와 전환기구가 각각 배치되는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케이싱(11) 내의 구획된 공간 중, 한쪽의 팬 쪽 측판(13)을 따른 제 1 공간(17)에 급기팬(25) 및 배기밴(26)을 배치하며, 다른 쪽의 제 2 공간(18)에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와 전환기구를 배치한다. 이로써, 각 팬(25, 26)을 케이싱(11)의 대각선 상에 배치하는 등의 경우에 비해, 비약적으로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천장 위와 같은 좁은 영역에도 설치하기 쉬운 조습장치가 얻어진다.
제 7 발명은, 상기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는, 케이싱(11)의 제 1 공간(17)의 급기팬(25)과 배기팬(26) 사이에 배치한 것이다.
여기서, 케이싱(11) 내에는 2개의 열교환기(61, 62)가 배치되지만, 이 열교환기(61, 62)는 조습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소정의 크기가 필요하며, 급기팬(25)과 배기팬(26) 사이에는, 어느 정도 공간이 발생한다. 이에 반해, 상기 제 7 발명에 의하면, 그 빈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압축기(63)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더욱 조습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8 발명에서는, 상기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는, 상기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천장에 매입할 때와 같이 조습장치를 수평 설치했을 때, 2개의 열교환기(61, 62)도 거의 수평으로 배치되는 등의 경우라도, 두께가 작은 조습장치가 얻어진다.
제 9 발명에서는, 상기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는, 상기 케이싱(11)의 두께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천장에 매입할 때와 같이 조습장치를 수평 설치했을 때, 2개의 열교환기(61, 62)가 거의 수직으로 배치되는 등의 경우라도, 폭이 작은 조습장치가 얻어진다.
제 10 발명은, 상기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25)과 배기팬(26)은, 팬 케이싱의 측방으로부터 흡입하고 전방(前方)으로 토출하는 다익 팬(multiblade fan)으로 구성되며, 그 임펠러의 축심이 상기 케이싱(11)의 두께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임펠러의 지름에 대해, 임펠러 축심방향에서 팬의 전체적인 치수가 작은 박형 팬일 경우 등에, 조습장치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제 11 발명은, 상기 제 1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측판(14, 15) 중, 한쪽에는, 실내로 연통되는 급기구(24)와 실내공기 흡입구(22)가, 다른 쪽에는, 실외로 연통되는 배기구(23)와 실외공기 흡입구(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열교환기(62)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42)이 상기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인접하여 형성됨과 더불어, 이 2개 열교환실(41, 42)의 연속된 측면의 한쪽을 따라 이어지고 또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공기의 제 1 유입로(43) 및 제 1 유출로(44)와, 상기 2개 열교환실 (41, 42)의 연속된 측면의 다른 쪽을 따라 이어지며 또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공기의 제 2 유입로(45) 및 제 2 유출로(46)가 형성되고, 상기 각 유출로(44, 46)는, 팬측 연통구(75, 76)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케이싱(11) 내에 도입된 공기는 제 1 또는 제 2 유입로(45)로 유입되고, 제 1 또는 제 2 열교환기(61, 62)를 지나 제습 또는 가습되며, 그 후 제 1 유출로(44)의 공기는 팬측 연통구(76)를 통해 급기팬(25) 또는 배기팬(26) 중, 한쪽에 의해 배출되고, 제 2 유출로(46)의 공기는 팬측 연통구(75)를 통해 다른 한쪽의 팬에 의해 배출된다.
그리고 케이싱(11)의 1개 측판에 형성된 급기구(24)와 실내공기 흡입구(22)에, 실내로 연통되는 덕트(72, 74)를 접속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측판에 형성된 배기구(23)와 실외공기 흡입구(21)에, 실외로 연통되는 덕트(71, 73)를 접속할 수 있다. 이로써, 각 덕트(71, 72, ...)를 실내 또는 실외를 향해 일직선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덕트(71, 72, ...)의 배관이 용이함과 더불어, 설치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12 발명은, 상기 제 1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팬측 측판(13)에는, 실내로 연통되는 급기구(24)와 실외로 연통되는 배기구(23)가, 상기 팬측 측판(13)과 대향하는 측판(12)에는, 실내공기 흡입구(22)와 실외공기 흡입구(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열교환기(62)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42)이 상기 팬측 측판(13)의 길이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인접하여 형성됨과 더불어, 이 2개 열교환실(41, 42)의 연속된 측면의 한쪽과 상기 팬측 측판(13)과 대향하는 측판(12) 사이에 이 측판(12)을 따라 이어지고 또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공기의 제 1 유입로(43) 및 제 2 유입로(45)와, 상기 2개 열교환실 (41, 42)의 연속된 측면의 다른 한쪽과 상기 팬측 측판(13) 사이에 이 팬측 측판(13)을 따라 이어지며 또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공기의 제 1 유출로(44) 및 제 2 유출로(46)가 형성되고, 상기 각 유출로(44, 46)는, 팬측 연통구(75, 76)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실내공기 흡입구(22) 및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케이싱(11) 내에 도입된 공기는, 제 1 또는 제 2 유입로(44, 46)로 유입되고, 제 1 또는 제 2 열교환기(61, 62)를 지나 제습 또는 가습되며, 그 후 제 1 유출로(44)의 공기는 팬측 연통구(76)를 통해 급기팬(25) 또는 배기팬(26) 중, 한쪽에 의해 배출되고, 제 2 유출로(46)의 공기는 팬측 연통구(75)를 통해 다른 한쪽의 팬에 의해 배출된다.
이 구성에서는, 팬측 측판(13)의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제 1 열교환실(41) 및 제 2 열교환실(42)의 연속된 측면 중, 한쪽을 따라 제 1 유입로(43) 및 제 2 유입로(45)가 형성되며, 다른 쪽을 따라 제 1 유출로(44) 및 제 2 유출로(46)가 형성되므로, 조습장치(케이싱(11))는,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형상이 된다. 이 조습장치의 길이방향(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방향)에 상기 덕트(71, 72, ...)를 배치할 수 있어, 팬측 측판(13) 길이방향의 조습장치 설치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13 발명은, 상기 제 11 또는 제 1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25)은, 그 팬 케이싱 측방의 팬 흡입구(27)가 상기 팬측 연통구(75, 76) 중, 어느 한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기팬(26)은, 그 팬 케이싱 측방의 팬 흡입구(28)가 상기 팬측 연통구(75, 76) 중, 다른 한쪽을 향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팬 케이싱 측방의 흡입구(27, 28)가 팬측 연통구(75, 76)를 향하므로, 제 1 또는 제 2 유출로(44, 46)의 열교환기(61, 62)에 의해 제습 또는 가습된 공기가 각 팬(25, 26)에 의해 각 팬측 연통구(75, 76)로부터 부드럽게 흡입된다. 따라서 공기의 저항이 작아지므로 조습장치의 효율이 향상된다.
제 14 발명은, 상기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60)의 팽창기구(65)와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기구(64)가 케이싱(11)의 제 1 공간(17) 내에 배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압축기(63)에 더불어, 냉매회로(60)의 팽창기구(65)와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기구(64)가 제 1 공간(17) 내에 집결되므로, 장치 전체의 면적의 절약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제 15 발명은, 상기 제 1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에 접속되는 냉매회로(60)의 배관이 케이싱(11)의 천장판을 따라 배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냉매회로(60)의 배관을 케이싱(11)의 천장판을 따라 배치하므로, 냉매회로(60)를 위쪽에서부터 설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냉매회로(60)의 보수점검이 위쪽에서부터 실시 가능하다.
제 16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의 실외공기 유입 면을 따라 배치 형성된 실외측 필터(124)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 16 발명에서 실외측 필터(124)를 통과한 실외공기(OA)는, 상기 열교환기(61, 62)의 유입 면부터 이 열교환기(61, 62)의 유통공간을 유통한다. 이 때 실외공기(OA) 중의 먼지는 실외측 필터(124)에 의해 포집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열교환기(61, 62)에 실외공기(OA) 중의 수분이 흡착됨으로써, 실외공기(OA)가 제습된다. 또 예를 들어 열교환기(61, 62)에 흡착된 수분이 탈착되고, 이 수분이 실외공기(OA)에 부여됨으로써, 실외공기(OA)가 가습된다.
일반적으로, 열교환기(61, 62)를 유통하는 피처리공기의 통기저항을 저감함과 동시에 피처리공기와 열교환기(61, 62)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교환기(61, 62)의 유입 면은 비교적 대면적으로 설계된다. 이에 반해, 제 16 발명에서는, 실외측 필터(124)를 열교환기(61, 62)의 유입 면을 따라 배치 형성한다. 이로써 실외측 필터(124)에 있어서 실외공기(OA)의 유입 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어, 실외측 필터(124)의 설치에 기인한 압력손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실외측 필터(124)의 포집 면이 넓어짐으로써, 실외공기(OA) 중의 먼지가, 실외측 필터(124)로 분산되어 포집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에서 먼지가 국부적으로 포집되고, 그 결과 실외측 필터(124)가 막혀 통기압력손실이 상승되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제 17 발명은, 상기 제 1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된 제 1 통로(41)와,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된 제 2 통로(42)가 형성되며, 상기 실외측 필터(124)는, 제 1 통로(41)에 배치된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통로(42)에 배치된 제 2 필터부(124b)를 구비한 것이다.
이 제 17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의 실외공기(OA) 유입 면을 따라 제 1 필터부(124a)를 배치 형성된다. 이로써, 제 1 필터부(124a)의 설치에 기인하는 통기압력손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열교환기(62)의 실외공기(OA) 유입 면을 따라 제 2 필터부(124b)를 배치 형성한다. 이로써, 제 2 필터부(124b)의 설치에 기인하는 통기압력손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8 발명은, 상기 제 1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필터(124)에서는,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필터부(124b)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실외측 필터(124)는, 제 1 열교환기(61)의 실외공기 유입 면과 제 2 열교환기(62)의 실외공기 유입 면에 걸쳐지도록 배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필터부(124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 면과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 면의 쌍방을 따라 배치 형성된다.
제 19 발명은, 상기 제 1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와 제 2 열교환기(62)가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며,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 면과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 면이 거의 동일평면 상에 위치한 것이다.
이 제 19 발명에서는,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필터부(124b)를 근접 배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의 유입 면을 따라 동일평면 상에 배치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를 1 장의 평판 내지 시트상태로 하여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19 발명은, 상기 제 1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에는, 실외측 필터(124)를 꺼낼 수 있는 취출(取出)구(161)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제 20 발명에서는, 케이싱(11)의 취출구(161)를 통해, 실외측 필터(124)를 케이싱(11)의 외부로 꺼내, 실외측 필터(124)의 보수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제 21 발명은, 상기 제 17 발명에 있어서, 실외공기를 제 1 필터부(124a), 제 1 열교환기(61)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제 2 열교환기(62), 제 2 필터부(124b)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1 동작과, 실외공기를 제 2 필터부(124b), 제 2 열교환기(62)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제 1 열교환기(61), 제 1 필터부(124a)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2 동작을 전환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21 발명에서는, 제 1 동작 시의 실외공기(OA)가 제 1 필터부(124a), 제 1 열교환기(61) 순으로 흐르므로, 제 1 필터부(124a)에는 제 1 동작 시에 유통하는 실외공기(OA) 중의 먼지가 포집된다. 한편, 제 2 동작 시의 실내공기(RA)는, 상기 제 1 동작 시의 실외공기(OA)와 역방향, 즉, 제 1 열교환기(61), 제 1 필터부(124a) 순으로 흐른다. 이로써 제 1 필터부(124a)에 포집된 먼지를 실내공기(RA)에 의해 날리고, 실외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어, 제 1 필터부(124a)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서, 제 2 동작 시의 실외공기(OA)는, 제 2 필터부(124b), 제 2 열교환기(62) 순으로 흐르므로, 제 2 필터부(124b)에는 제 2 동작 시에 유통하는 실외공기(OA) 중의 먼지가 포집된다. 한편, 제 1 동작 시의 실내공기(RA)는, 상기 제 2 동작 시의 실외공기(OA)와 역방향, 즉, 제 2 열교환기(62), 제 2 필터부(124b) 순으로 흐른다. 이로써 제 2 필터부(124b)에 포집된 먼지를 실내공기(RA)에 의해 날리고, 실외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어, 제 2 필터부(124b)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제 22 발명은, 상기 제 17 발명에 있어서, 실내공기를 제 1 통로(41) 또는 제 2 통로(42)로 유입시키는 통로에 배치된 실내측 필터(123b)를 구비하며, 실외공기를 제 1 필터부(124a), 제 1 열교환기(61)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실내측 필터(123b), 제 2 열교환기(62), 제 2 필터부(124b)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1 동작과, 실외공기를 제 2 필터부(124b), 제 2 열교환기(62)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실내측 필터(123b), 제 1 열교환기(61), 제 1 필터부(124a)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2 동작을 전환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22 발명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 및 제 2 열교환기(62)에서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실내측 필터(123b)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실외측 필터(124)에 부착된 실외공기(OA) 중의 먼지를 실내공기(RA)에 의해 날려 제거할 수 있다.
제 23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1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되는 제 1 통로(41)와,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되는 제 2 통로(42)와, 실내공기를 제 1 통로(41) 또는 제 2 통로(42)로 유입시키는 실내공기 공급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공기 공급통로에 배치된 실내측 필터(123b)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 23 발명에서는, 실내공간과 제 1, 제 2 통로(41, 42)를 연통시키는 실내공기 공급통로가 케이싱(11) 내에 형성되며, 이 실내공기 공급통로에 실내측 필터(123b)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 1 동작 시에 제 2 열교환기(62)로 유입되는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제 2 열교환기(62)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반대로 제 2 동작 시에 제 1 열교환기(6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제 1 열교환기(61)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4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1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된 제 1 통로(41)와,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되는 제 2 통로(42)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1) 내의 제 1 통로(41) 및 제 2 통로(42)보다 실내공간 쪽에 있는 공기통로와 접속되어 실내공간에 면하는 흡입구(163)와, 상기 흡입구(163)의 개구부 근방에 배치된 실내측 필터(123b)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 24 발명에서는, 실내공간과 제 1, 제 2 통로(41, 42)를 연통시키는 실내공기 공급통로가 케이싱(11) 내에 형성되며, 이 실내공기 공급통로에 실내측 필터(123b)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 1 동작 시에 제 2 열교환기(62)로 유입되는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제 2 열교환기(62)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반대로, 제 2 동작 시에 제 1 열교환기(6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제 1 열교환기(61)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서 상기 실내측 필터(123b)는, 실내공간에 면해 배치된 흡입구(163)의 개구부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실내공간 쪽에서 상기 실내측 필터(123b)의 교환이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와 팽창기구(65)와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기구(64)를 열교환기(61, 62)와 함께 케이싱(11) 내에 설치한다. 이로써, 냉매를 충전한 채 출하하고 설치할 수 있으므로, 그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또 압력손실을 경감하고 응축온도를 올려 조습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제 6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11) 내의 팬측 측판(13)을 따른 제 1 공간(17)에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을 배치하며, 다른 쪽인 제 2 공간(18)에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와 전환기구를 배치하므로, 장치의 전체적인 면적 절약을 도모할 수 있어, 천장 위와 같은 좁은 영역에도 설치하기 쉬운 조습장치가 얻어진다.
상기 제 16 발명에 의하면, 실외측 필터(124)를 열교환기(61, 62)의 실외공기(OA) 유입 면에 배치 형성한다. 이로써, 실외측 필터(124)의 실외공기(OA) 유입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실외측 필터(124)의 설치에 기인하는 압력손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실외공기(OA)의 먼지를 분산하여 포집할 수 있으므로, 실외측 필터(124)가 막혔을 때의 압력손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61, 62)에서의 먼지 부착을 방지하면서, 통기압력손실의 저감을 도모하여, 예를 들어, 흡입팬의 동력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7 발명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를 보호하는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열교환기(62)를 보호하는 제 2 필터부(124b)의 쌍방을, 각 열교환기(61, 62)의 실외공기(OA) 유입 면을 따라 배치 형성한다. 따라서 각 필터부(124a, 124b)의 설치에 기인하는 압력손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18 발명에 의하면,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필터부(124b)를 일체적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를 소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실외측 필터(124)를 케이싱(11)의 외부로 꺼내고 보수점검을 실시할 때, 취출작업이 한 번이면 되므로, 그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 19 발명에 의하면,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필터부(124b)를 근접 배치하여, 1장의 평판 내지 시트상으로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를 더욱 소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 실외측 필터(124)의 설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20 발명에 의하면, 취출구(161)를 통해 실외측 필터(124)를 케이싱(11)의 외부로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의 보수점검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21 발명에 의하면, 제 1 동작 시 및 제 2 동작 시에, 실외측 필터(124)에 포집된 먼지를 실내공기(RA)로 날려, 이들 먼지를 실내공기(RA)와 함께 실외공간으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번갈아 전환하여 운전함으로써, 실외측 필터(124)에 부착된 먼지를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실외측 필터(124)에서의 먼지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에서의 압력손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실외측 필터(124)의 교환이나 보수작업 빈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22 발명에 의하면,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번갈아 전환하여 운전함으로써, 실외측 필터(124)에 부착된 먼지를 실내공기(RA)에 의해 제거할 수 있어, 실외측 필터(124)에서의 먼지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공기(RA) 중의 먼지는 실내측 필터(123b)에 의해 포집된다. 따라서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3 발명에 의하면, 실외측 필터(124)에 더불어, 실내측 필터(123b)를 설치함으로써,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열교환기(61, 62)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4 발명에 의하면, 실내측 필터(123b)를 실내공간에 면한 흡입구(163)에 배치하도록 한다. 이로써, 실내측 필터(123b)를 실내공간으로부터 쉽게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실내측 필터(123b)의 교환이나 보수점검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냉매회로의 배관 계통도이며, (A)는 제 1 냉동주기 동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제 2 냉동주기 동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제습운전의 제 1 동작에 있어서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
도 5는 제습운전의 제 2 동작에 있어서 공기 흐름을 나타낸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
도 6은 가습운전의 제 1 동작에 있어서 공기 흐름을 나타낸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
도 7은 가습운전의 제 2 동작에 있어서 공기 흐름을 나타낸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
도 11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
도 12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
도 13은 제 6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조습장치의 단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내부를 왼쪽에서 본 도면이며, (C)는 조습장치의 내부를 오른쪽에서 본 도면이고, (D)는 (A)의 D-D 단면도.
도 14는 제 1 동작 시의 공기 호름을 나타낸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내부를 왼쪽에서 본 도면이며, (C)는 조습장치의 내부를 오른쪽에서 본 도면.
도 15는 제 1 동작 시의 공기 호름을 나타낸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조습장치를 왼쪽에서 본 도면이며, (B)는 (A)의 B-B 단면도이고, (C)는 (A)의 C-C 단면도.
도 16은 제 2 동작 시의 공기 호름을 나타낸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내부를 왼쪽에서 본 도면이며, (C)는 조습장치의 내부를 오른쪽에서 본 도면.
도 17은 제 2 동작 시의 공기 호름을 나타낸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조습장치를 왼쪽에서 본 도이며, (B)는 (A)의 B-B 단면도이고, (C)는 (A)의 C-C 단면도.
도 18은 제 6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 있어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조습장치의 평면도이고, (B)는 조습장치의 내부를 왼쪽에서 본 도면이며, (C)는 조습장치의 내부를 오른쪽에서 본 도면이며, (D)는 (A)의 D-D 단면도.
도 19는 제 6 실시형태 제 1 변형예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필터를 꺼내는 동작을 나타낸 조습장치의 평면도.
도 20은 제 6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 있어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
<부호의 설명>
10 : 조습장치 11 : 케이싱
12 : 제 1 측판 13 : 제 2 측판(팬측 측판)
17 : 제 1 공간 18 : 제 2 공간
21 : 실외공기 흡입구 22 : 실내공기 흡입구
23 : 배기 토출구(배기구) 24 : 급기 토출구(급기구)
25 : 급기팬 26 : 배기팬
27 : 흡입구 41 : 제 1 열교환실(제 1 통로)
42 : 제 2 열교환실(제 2 통로) 43 : 제 1 유입로
44 : 제 1 유출로 45 : 제 2 유입로
46 : 제 2 유출로 60 : 냉매회로
61 : 제 1 열교환기 62 : 제 2 열교환기
63 : 압축기 64 : 십자전환밸브(반전기구)
65 : 전동팽창밸브(팽창기구)
123b : 제 2 프리필터(실내측 필터)
124 : 실외측 필터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이나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실내공기의 제습과 가습을 행하는 것이며, 상자형의 케이싱(11)을 구비하고, 예를 들어 천장 위에 수평 배치된다. 그리고 도 2에서는 (B)가 평면도이며, (C)가 Y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A)가 X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좌", "우"는 모두 도 2의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도 2의 (B)의 조습장치(10)를 오른쪽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냉매회로(60) 등이 수납된다. 이 냉매회로(60)는, 제 1 열교환기, 제 2 열교환기(62), 압축기(63), 반전기구로서의 십자전환밸브(64), 및 팽창기구로서의 전동팽창밸브(65)가 설치된 폐쇄회로이며, 냉매가 충전된다. 냉매회로(60)에서는, 충전된 냉매를 반전 가능하게 순환시킴으로써 증기압축식의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냉매회로(6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은, 평면에서 볼 때, 정방형이며 편평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이 케이싱(11)의 왼쪽 측판이 제 1 측판(12)에 의해, 오른쪽 측판이 팬측 측판으로서의 제 2 측판(13)에 의해, 정면측 측판이 제 3 측판(14)에 의해, 배면측 측판이 제 4 측판(15)에 의해 구성된다. 도 1에서는 제 2 측판(13), 제 4 측판(15) 및 천장판을 생략한다.
상기 케이싱(11) 왼쪽의 제 1 측판(12)에는, 배면측 제 4 측판(15) 쪽의 위쪽에 실외공기 흡입구(21)가 형성되며, 그 정면측 제 3 측판(14) 쪽의 위쪽에 실내공기 흡입구(22)가 형성된다. 한편, 케이싱(11) 오른쪽의 제 2 측판(13)에는, 그 제 4 측판(15) 쪽에 배기토출구(23)가 형성되며, 그 제 3 측판(14) 쪽에 급기토출구(24)가 형성된다.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에서 제 1 측판(12)의 실외공기 흡입구(21)에 실외공기 흡입관(71)이 접속되며, 실내공기 흡입구(22)에 실내공기 흡입관(72)이 접속된다. 한편, 케이싱(11)에서 제 2 측판(13)의 배기토출구(23)에 배기토출관(73)이 접속되며, 급기토출구(24)에 급기토출관(74)이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내 및 실외와 케이싱(11) 내가 연통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의 내부에는, 좌우방향의 중심부보다 약간 제 2 측판(13) 쪽에 제 1 구획판(31)이 설치된다. 케이싱(11)의 내부공간(16)은, 이 제 1 구획판(31)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다. 그리고 제 1 구획판(31)의 오른쪽이 제 1 공간(17)으로 되며, 제 1 구획판(31)의 왼쪽이 제 2 공간(18)으 로 된다.
상기 케이싱(11)의 제 1 공간(17) 내부에는, 약간 제 3 측판(14) 쪽에 제 7 구획판(37)이 설치된다. 이 제 7 구획판(37)에 의해 제 1 공간(17)이 2개로 분할된다. 이 분할된 제 1 공간(17) 중, 제 3 측판(14) 쪽에는 급기팬(25)이 수납되며, 제 4 측판(15) 쪽에는 배기팬(26)이 수납된다. 이 급기팬(25)과 배기팬(26)은, 팬 케이싱의 측방으로부터 흡입하여 전방(前方)으로 토출하는 다익 팬(multiblade fan)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공간(17)의 제 4 측판(15) 쪽에는, 상기 급기팬(25)과 배기팬(26) 사이에 위치하도록,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가 배치된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냉매회로(60)의 전동팽창밸브(65)나 십자전환밸브(64)도 제 1 공간(17)의 제 4 측판(15) 쪽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기팬(26)은 배기토출구(23)에 접속된다. 상기 급기팬(25)은 급기토출구(24)에 접속된다.
상기 케이싱(11)의 제 2 공간(18)에는, 제 2 구획판(32)과 제 3 구획판(33)과 제 6 구획판(36)이 설치된다. 제 2 구획판(32)은 제 3 측판(14) 쪽에 설치되며, 제 3 구획판(33)은 제 4 측판 쪽에 설치된다. 그리고 제 2 공간(18)은 제 2 구획판(32) 및 제 3 구획판(33)에 의해, 정면 쪽에서 배면 쪽을 향해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제 6 구획판(36)은, 제 2 구획판(32)과 제 3 구획판(33) 사이에 개재하는 공간에 설치된다. 이 제 6 구획판(36)은, 제 2 공간(18)의 좌우 폭방향 중앙에 설치된다.
제 2 구획판(32)과 제 3 구획판(33) 사이에 개재하는 공간은, 제 6 구획판 (36)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다. 이 중, 오른쪽 공간은 제 1 열교환실(41)을 구성하며, 그 내부에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된다. 한편, 왼쪽 공간은 제 2 열교환실(42)을 구성하며, 그 내부에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구획판(31)의 길이방향 중앙부 위쪽에는, 제 1 열교환실(41)과 제 1 공간(17)을 연통시키는 배관용 개구(31a)가 형성된다. 또 제 6 구획판(36)의 길이방향 중앙부 위쪽에도, 배관용 개구(36a)가 형성된다
각 열교환기(61, 62)는 전체적으로 두꺼운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61)는, 제 1 열교환실(41)을 수평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설치된다. 또 제 2 열교환기(62)는, 제 2 열교환실(42)을 수평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공간(18) 중, 제 3 구획판(33)과 케이싱(11)의 제 4 측판(15) 사이에 개재하는 공간에는, 제 5 구획판(35)이 설치된다. 제 5 구획판(35)은, 이 공간의 높이방향 중앙부를 횡단하도록 설치되어, 이 공간을 상하로 구획한다(도 2의 (A) 참조). 그리고 제 5 구획판(35)의 상측 공간이 제 1 유입로(43)를 구성하며, 그 하측 공간이 제 1 유출로(44)를 구성한다. 또 제 1 유입로(43)는 실외공기 흡입구(21)로 연통되며, 제 1 유출로(44)는 제 1 구획판(31)의 제 2 팬측 연통구(76) 및 배기팬(26)을 개재하고 배기토출구(23)로 연통된다.
한편, 상기 제 2 공간(18) 중, 제 2 구획판(32)과 케이싱(11)의 제 3 측판(14) 사이에 개재하는 공간에는, 제 4 구획판(34)이 설치된다. 제 4 구획판(34)은, 이 공간의 높이방향 중앙부를 횡단하도록 설치되어, 이 공간을 상하로 구획한 다(도 2의 (C) 참조). 그리고 제 4 구획판(34)의 상측 공간이 제 2 유입로(45)를 구성하며, 그 하측 공간이 제 2 유출로(46)를 구성한다. 또 제 2 유입로(45)는 실내공기 흡입구(22)로 연통되며, 제 2 유출로(46)는 제 1 구획판(31)의 제 1 팬측 연통구(75) 및 급기팬(25)을 개재하고 급기토출구(24)로 연통된다.
상기 제 3 구획판(33)에는 4개의 개구(51, 52, 53, 54)가 형성된다(도 2의 (A) 참조). 제 3 구획판(33)의 우상부에 형성된 제 1 개구(51)는, 제 1 열교환실(41)의 제 1 열교환기(61) 상측을 제 1 유입로(43)와 연통시킨다. 제 3 구획판(33)의 좌상부에 형성된 제 2 개구(52)는, 제 2 열교환실(42)의 제 2 열교환기(62) 상측을 제 1 유입로(43)와 연통시킨다. 제 3 구획판(33)의 우하부에 형성된 제 3 개구(53)는, 제 1 열교환실(41)의 제 1 열교환기(61) 하측을 제 1 유출로(44)와 연통시킨다. 제 3 구획판(33)의 좌하부에 형성된 제 4 개구(54)는, 제 2 열교환실(42)의 제 2 열교환기(62) 하측을 제 1 유출로(44)와 연통시킨다.
제 2 구획판(32)에는 4개의 개구(55, 56, 57, 58)가 형성된다(도 2의 (C) 참조). 제 2 구획판(32)의 우상부에 형성된 제 5 개구(55)는, 제 1 열교환실(41)의 제 1 열교환기(61) 상측을 제 2 유입로(45)와 연통시킨다. 제 2 구획판(32)의 좌상부에 형성된 제 6 개구(56)는, 제 2 열교환실(42)의 제 2 열교환기(62) 상측을 제 2 유입로(45)와 연통시킨다. 제 2 구획판(32)의 우하부에 형성된 제 7 개구(57)는, 제 1 열교환실(41)의 제 1 열교환기(61) 하측을 제 2 유출로(46)와 연통시킨다. 제 2 구획판(32)의 좌하부에 형성된 제 8 개구(58)는, 제 2 열교환실(42)의 제 2 열교환기(62) 하측을 제 2 유출로(46)와 연통시킨다.
상기 제 3 구획판(33)의 각 개구(51, 52, 53, 54), 및 제 2 구획판(32)의 각 개구(55, 56, 57, 58)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각에 개폐 자유롭게 전환기구로서의 댐퍼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의 각 개구(51, ..., 55, ...)는, 댐퍼를 개폐함으로써 개구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된다. 이로써, 케이싱(11) 내에서의 공기 유통경로를 상기 냉매회로(60)에서의 냉매순환방향에 따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냉매회로(60)에 대해,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압축기(63)는, 그 토출측이 십자전환밸브(64)의 제 1 포트에 접속되며, 그 흡입측이 상기 제 1 구획판(31)의 배관용 개구(31a)를 통해 십자전환밸브(64)의 제 2 포트에 접속된다. 제 1 열교환기(61)의 한끝은, 배관용 개구(31a)를 통해 십자전환밸브(64)의 제 3 포트에 접속된다. 제 1 열교환기(61)의 다른 끝은, 배관용 개구(31a)를 통해 전동팽창밸브(65)에 접속되며, 다시 배관용 개구(31a)를 지나, 제 6 구획판(36)의 배관용 개구(36a)를 통해 제 2 열교환기(62)의 한끝에 접속된다. 제 2 열교환기(62)의 다른 끝은, 배관용 개구(31a, 36a)를 통해 십자전환밸브(64)의 제 4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압축기(63)는, 이른바 전(全)밀폐형으로 구성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 압축기(63)의 전동기에는 인버터를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는 모두 전열관과 다수의 핀을 구비하는, 이른바 크로스핀식의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또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의 외표면에는, 거의 전면에 걸쳐,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가 담지된다.
상기 십자전환밸브(64)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3의 (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되는 제 2 상태(도 3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구성된다. 그리고 냉매회로(60)는, 이 십자전환밸브(64)를 전환함으로써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켜,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1 열교환기(61)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조습장치의 조습동작-
상기 조습장치(10)의 조습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조습장치(10)에서는,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상기 조습장치(10)에서 제습운전 중이나 가습운전 중에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비교적 짧은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제습운전>
제습운전 시에, 조습장치(10)에서는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이 운전된다. 그리고 조습장치(10)는, 실외공기(OA)를 제 1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내에 공급하는 한편, 실내공기(RA)를 제 2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외로 배출한다.
우선, 제습운전 시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 흡착제의 재생이 행해지며, 제 2 열교환기(62)에서 제 1 공기인 실외공기(OA)의 제습이 행해진다.
제 1 동작 시에 냉매회로(60)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도 3의 (A)에 나타낸 제 1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63)를 운전하면, 냉매회로(60)에서 냉매가 순환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 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 방열하여 응축되며, 그 후에 전동팽창밸브(65)로 보내져 감압된다. 감압된 냉매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 흡열하여 증발하며, 그 후에 압축기(63)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다.
또 제 1 동작 시에는, 제 2 개구(53)와 제 3 개구(53)와 제 5 개구(55) 및 제 8 개구(58)가 개구상태로 되며, 제 1 개구(51)와 제 4 개구(54)와 제 6 개구(56) 및 제 7 개구(57)가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기(61)에 제 2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 제 1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 흡입구(22)로부터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2 유입로(45)로부터 제 5 개구(55)를 통해 제 1 열교환실(41)로 보내진다. 제 1 열교환실(41)에서는, 제 2 공기가 제 1 열교환기(61)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제 1 열교환기(61)를 통과하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 2 공기는, 제 1 열교환실(41)로부터 제 3 개구(53)를 통해 제 1 유출로(44)로 유출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배기팬(26)으로 흡입되어, 배기토출구(23)로부터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1 유입로(43)로부터 제 2 개구(52)를 통해 제 2 열교환실(42)로 보내진다. 제 2 열교환실(42)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2 열교환기(62)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그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매가 흡열한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2 열교환실(42)로부터 제 8 개구(58)를 통해 제 2 유출로(46)로 유출된다. 그 후, 제 1 공기는 급기팬(25)으로 흡입되어, 급기토출구(24)로부터 공급공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제습운전 시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 흡착제의 재생이 행해지며, 제 1 열교환기(61)에서 제 1 공기인 실외공기(OA)의 제습이 행해진다.
제 2 동작 시에 냉매회로(60)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도 3의 (B)에 나타낸 제 2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63)를 운전하면, 냉매회로(60)에서 냉매가 순환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증발기로 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응축기로 되는 제 2 냉동주기 동작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 방열하여 응축되며, 그 후에 전동팽창밸브(65)로 보내져 감압된다. 감압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 흡열하여 증발하며, 그 후에 압축기(63)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다.
또 제 2 동작 시에는, 제 1 개구(51), 제 4 개구(54), 제 6 개구(56) 및 제 7 개구(57)가 개구상태로 되며, 제 2 개구(52), 제 3 개구(53), 제 5 개구(55) 및 제 8 개구(58)가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기(61)에 제 1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 제 2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 흡입구(22)로부터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2 유입로(45)로부터 제 6 개구(56)를 통해 제 2 열교환실(42)로 보내진다. 제 2 열교환실(42)에서는, 제 2 공기가 제 2 열교환기(62)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제 2 열교환기(62)를 통과하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 2 공기는, 제 2 열교환실(42)로부터 제 4 개구(54)를 통해 제 1 유출로(44)로 유출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배기팬(26)으로 흡입되어, 배기토출구(23)로부터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1 유입로(43)로부터 제 1 개구(51)를 통해 제 1 열교환실(41)로 보내진다. 제 1 열교환실(41)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1 열교환기(61)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그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매가 흡열한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 제습된 제 1 공 기는, 제 1 열교환실(41)로부터 제 7 개구(57)를 통해 제 2 유출로(46)로 유출된다. 그 후, 제 1 공기는 급기팬(25)으로 흡입되어, 급기토출구(24)로부터 공급공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가습운전>
가습운전 시에, 조습장치에서는,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이 운전된다. 그리고 조습장치는, 실내공기(RA)를 제 1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외공기(OA)를 제 2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내에 공급한다.
우선, 가습운전 시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 제 2 공기인 실외공기(OA)의 가습이 행해지며, 제 2 열교환기(62)에서 제 1 공기인 실내공기(RA)로부터 수분의 회수가 행해진다.
제 1 동작 시에 냉매회로(60)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도 3의 (A)에 나타낸 제 1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63)를 운전하면, 냉매회로(60)에서 냉매가 순환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 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이 행해진다.
또 제 1 동작 시에는, 제 1 개구(51), 제 4 개구(54), 제 6 개구(56) 및 제 7 개구(57)가 개구상태로 되며, 제 2 개구(52), 제 3 개구(53), 제 5 개구(55) 및 제 8 개구(58)가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기(61)에는 제 2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는 제 1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 흡입구(22)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2 유입로(45)로부터 제 6 개구(56)를 통해 제 2 열교환실(42)로 보내진다. 제 2 열교환실(42)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2 열교환기(62)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그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때에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매가 흡열한다. 그 후, 수분이 탈취된 제 1 공기는, 제 4 개구(54), 제 1 유출로(44), 배기팬(26)을 차례로 통과하여, 배출공기(EA)로서 배기토출구(2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1 유입로(43)로부터 제 1 개구(51)를 통해 제 1 열교환실(41)로 보내진다. 제 1 열교환실(41)에서는, 제 2 공기가 제 1 열교환기(61)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제 1 열교환기(61)를 통과하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그 후, 가습된 제 2 공기는, 제 7 개구(57), 제 2 유출로(46), 급기팬(25)을 차례로 통과하여, 공급공기(SA)로서 급기토출구(24)로부터 실내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가습운전 시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 제 2 공기인 실외공기(OA)의 가습이 행해지며, 제 1 열교환기(61)에서 제 1 공기인 실내공기(RA)로부터 수분의 회수가 행해진다.
제 2 동작 시에 냉매회로(60)에서는, 십자전환밸브(53)가 도 3의 (B)에 나타 낸 제 2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63)를 운전하면, 냉매회로(60)에서 냉매가 순환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증발기로 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응축기로 되는 제 2 냉동주기 동작이 행해진다.
또 제 2 동작 시에는, 제 2 개구(52), 제 3 개구(53), 제 5 개구(55) 및 제 8 개구(58)가 개구상태로 되며, 제 1 개구(51), 제 4 개구(54), 제 6 개구(56) 및 제 7 개구(57)가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기(61)에는 제 1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는 제 2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 흡입구(22)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2 유입로(45)로부터 제 5 개구(55)를 통해 제 1 열교환실(41)로 보내진다. 제 1 열교환실(41)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1 열교환기(61)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그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때에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매가 흡열한다. 그 후, 수분이 탈취된 제 1 공기는, 제 3 개구(53), 제 1 유출로(44), 배기팬(26)을 차례로 통과하여, 배출공기(EA)로서 배기토출구(2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1 유입로(43)로부터 제 2 개구(52)를 통해 제 2 열교환실(42)로 보내진다. 제 2 열교환실(42)에서는, 제 2 공기가 제 2 열교환기(62)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제 2 열교환기(62)를 통과하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그 후, 가습된 제 2 공기는, 제 8 개구(58), 제 2 유출로(46), 급기팬(25)을 차례로 통과하여, 공급공기(SA)로서 급기토출구(24)로부터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와 전동팽창밸브(65)와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십자전환밸브(64)를 열교환기(61, 62)와 함께 케이싱(11) 내에 설치한다. 이로써, 냉매를 충전한 채 출하하여 설치할 수 있으므로, 그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또 압력손실을 경감하여 응축온도를 올려 조습장치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11) 내에 제 1 공간(17)과 제 2 공간(18)을 형성하여, 팬측 측판인 제 2 측판(13)을 따른 제 2 공간(18)에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을 배치하는 한편, 제 1 공간(17)에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와 전환기구를 배치한다. 이로써, 케이싱(11) 내의 기기 배치를 적정화하여 케이싱(11)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천장 위와 같은 좁은 영역에도 설치하기 쉬운 조습장치(10)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를 케이싱(11) 제 1 공간(17)의 급기팬(25)과 배기팬(26) 사이에 배치한다. 이로써, 급기팬(25)과 배기팬(26) 사이의 빈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어, 조습장치의 가일층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2개의 열교환기(61, 62)를 거의 수평 배치하므 로, 두께가 작은 조습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기(63) 외에, 냉매회로(60)의 전동팽창밸브(65)나 십자전환밸브(64)도 제 1 공간(17) 내에 집중적으로 배치하므로, 장치 전체의 공간 절약을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에 접속되는 냉매회로(60)의 배관을 케이싱(11)의 청장판을 따라 배치한다. 이로써, 조습장치(10)를 조립할 때에는 케이싱(11)의 위쪽부터 냉매회로(60)를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냉매회로(60)의 보수점검작업도 케이싱(11)의 위쪽에서부터 쉽게 행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 케이싱(11)의 제 1 공간(17) 내부를 제 7 구획판(37)으로 2 분할하지만,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8 구획판(38)을 설치하여 케이싱(11)을 공기통로로부터 격리된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압축기(63)가 공기통로와 차단되어,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압축기(63) 자체의 방사열에 의한 악영향을 받는 일은 없다. 또 제 1 열교환실(41)과 제 1 공간(17) 사이에 차압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제 1 열교환실(41)부터 배관용 개구(31a)를 지나 제 1 공간(17) 쪽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일은 없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케이싱(11)의 제 1 공간(17) 내부를, 제 7 구획판(37)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제 8 구획판(38)만으로 분할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실내공기가 압축기(63) 자체의 방사열을 흡수하므로, 난방을 중요시하는 경우에 유리 하 구성이 된다.
[제 2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실외공기 흡입구(21), 실내공기 흡입구(22), 배기 토출구(23), 급기 토출구(24)의 배치위치가 다른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또 이하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7과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한 조습장치(10)의 조습동작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케이싱(11) 배면측의 제 4 측판(15)에는, 제 1 측판(12) 쪽 위쪽에 실외공기 흡입구(21)가 형성되며, 제 2 측판(13) 쪽에 배기 토출구(23)가 형성된다. 한편, 케이싱(11) 정면측의 제 3 측판(14)에는, 그 제 2 측판(13) 쪽에 급기 토출구(24)가 형성되며, 제 1 측판(12) 쪽에 실내공기 흡입구(22)가 형성된다.
도 9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케이싱(11)에서 제 4 측판(15)의 실외공기 흡입구(21)에 실외공기 흡입관(71)이 접속되며, 배기 토출구(23)에 배기토출관(73)이 접속되는 한편, 케이싱(11)에서 제 3 측판(14)의 실내공기 흡입구(22)에 실내공기 흡입관(72)이 접속되며, 급기 토출구(24)에 급기토출관(73)이 접속된다.
이로써, 실외측 덕트(71, 73)가 케이싱(11)의 제 4 측판(15)에 나열되며, 실내측 덕트(72, 74)가 케이싱(11)의 제 3 측판(14)에 나열되므로, 각 덕트(71, 72, ...)를 실내 또는 실외로 향해 똑바로 배치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의 설치방법이 다른 점 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상기 급기팬(25)과 배기팬(26)의 임펠러 축심이 상기 케이싱(11)의 두께방향(도 10의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 상기 케이싱(11)의 제 1 유입로(43)와 제 1 유출로(44)의 위치관계가 상하 역전되며, 또 제 2 유입로(45)와 제 2 유출로(46)의 위치관계가 상하 역전된다. 이에 수반하여 상기 제 3 구획판(33)의 4개 개구(51, 52, 53, 54) 및 제 2 구획판(32)의 4개 개구(55, 56, 57, 58)도 상하 역전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도, 조습동작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이 배치함으로써, 케이싱(11)의 두께가 억제되어, 조습장치(10)의 전체적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배기팬(26)의 흡입구(28)가 제 1 유출로(44)로 연통되는 제 1 구획판(31)의 제 2 팬측 연통구(76)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또한 급기팬(25)의 흡입구(27)가 제 2 유출로(46)로 연통되는 제 1 구획판(31)의 제 1 팬측 연통구(75)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제 1 유출로(44)의 공기를 배기팬(26)의 흡입구(28)로부터 순조롭게 흡입할 수 있는 동시에, 제 2 유출로(46)의 공기를 급기팬(25)의 흡입구(27)로부터 순조롭게 흡입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제 2 공간(18) 쪽의 기기 배치가 다른 점 등이 상기 제 3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열교환기(62)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42)이 상기 팬측 측판(13)의 길이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인접하여 형성된다. 즉, 제 2 공간(18)의 왼쪽에 제 1 열교환실(41)이 배치되며, 오른쪽에 제 2 열교환실(42)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간(18)에서, 상기 2개 열교환실(41, 42)의 연속된 측면의 한쪽과 상기 제 1 측판(12) 사이에는, 제 1 측판(12)을 따라 이어지며 또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된 공기의 제 1 유입로(43) 및 제 2 유입로(45)가 형성된다. 이에 더불어 제 2 구획판(32)에는 4개의 개구(51, 52, 55, 56)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제 2 공간(18)에서, 상기 2개 열교환실(41, 42)의 연속된 측면의 다른 쪽과 상기 팬측 측판(13) 사이에는, 팬측 측판(13)을 따라 이어지며 또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된 공기의 제 1 유출로(44) 및 제 2 유출로(46)가 형성된다. 이에 더불어 제 3 구획판(33)에는 4개의 개구(53, 54, 57, 58)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유출로(44)는 제 2 팬측 연통구(76)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되며, 상기 제 2 유출로(46)는 제 1 팬측 연통구(75)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된다.
-조습장치의 조습동작-
본 실시형태의 조습동작을 제습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 밖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십자전환밸브(64)와 댐퍼를 전환하면 되므로, 생략한다.
제 1 동작 시에, 냉매회로(60)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도 3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63)를 운전하면, 냉매회로(60)에서 냉매가 순환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 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 방열하여 응축되며, 그 후에 전동팽창밸브(65)로 보내져 감압된다. 감압된 냉매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 흡열하여 증발하며, 그 후에 압축기(63)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다.
또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동작 시에는, 제 2 개구(52), 제 3 개구(53), 제 5 개구(55) 및 제 8 개구(58)가 개구상태로 되며, 제 1 개구(51), 제 4 개구(54), 제 6 개구(56) 및 제 7 개구(57)가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61)에 제 2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 제 1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 흡입구(22)로부터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2 유입로(45)로부터 제 5 개구(55)를 통해 제 1 열교환실(41)로 보내진다. 제 1 열교환실(41)에서는, 제 2 공기가 제 1 열교환기(61)를 밑에서 위를 향해 통과해간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이 흡착 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제 1 열교환기(61)를 통과하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 2 공기는, 제 1 열교환실(41)로부터 제 3 개구(53)를 통해 제 1 유출로(44)로 유출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제 2 팬측 연통구(76)를 통해 배기팬(26)으로 흡입되어, 배기토출구(23)로부터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1 유입로(43)로부터 제 2 개구(52)를 통해 제 2 열교환실(42)로 보내진다. 제 2 열교환실(42)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2 열교환기(62)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그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매가 흡열한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2 열교환실(42)로부터 제 8 개구(58)를 통해 제 2 유출로(46)로 유출된다. 그 후, 제 1 공기는 제 1 팬측 연통구(75)를 통해 급기팬(25)으로 흡입되어, 급기토출구(24)로부터 공급공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제 4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10)에 의하면 팬측 측판(13)의 길이방향으로 나열된 제 1 열교환실(41) 및 제 2 열교환실(42)의 연속된 측면의 한쪽을 따라 제 1 유입로(43) 및 제 2 유입로(45)가 형성되며, 다른 쪽을 따라 제 1 유출로(44) 및 제 2 유출로(46)가 형성되므로, 조습장치(케이싱(11))는,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형상이 된다.
또 조습장치(1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덕트(71, 72,...)를 배치할 수 있으 며, 팬측 측판(13) 길이방향의 조습장치(10)의 설치면적을 작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예를 들어 상기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제 4 측판(15)을 벽 쪽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실시형태]
도 12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의 설치방법이 다른 점 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는, 상기 케이싱(11)의 두께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종형으로 배치된다.
또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열교환기(62)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42)이 상기 팬측 측판(13)의 길이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인접하여 형성된다. 즉, 제 2 공간(18)의 오른쪽에 제 1 열교환실(41)이 배치되며, 왼쪽에 제 2 열교환실(42)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2개 열교환실(41, 42)의 연속된 측면의 한쪽과 상기 제 1 측판(12) 사이에는, 제 1 측판(12)을 따라 이어지며 또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된 공기의 제 1 유입로(43) 및 제 2 유입로(45)가 형성된다. 이에 더불어 제 2 구획판(32)에는 4개의 개구(51, 52, 55, 56)가 형성된다.
또 상기 2개 열교환실(41, 42)의 연속된 측면의 다른 쪽과 상기 팬측 측판(13) 사이에는, 팬측 측판(13)을 따라 이어지며 또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되어 배치된 공기의 제 1 유출로(44) 및 제 2 유출로(46)가 형성된다. 이에 더불어 제 3 구획판(32)에는 4개의 개구(53, 54, 57, 58)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유출로(44)는 제 2 팬측 연통구(76)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되며, 상기 제 2 유출로(46)는 제 1 팬측 연통구(75)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된다.
-조습장치의 조습동작-
본 실시형태의 조습동작을 제습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 밖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십자전환밸브(64)와 댐퍼를 전환하면 되므로, 생략한다.
제 1 동작 시에, 냉매회로(60)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도 3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63)를 운전하면, 냉매회로(60)에서 냉매가 순환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 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이 행해진다.
구체적으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 방열하여 응축되며, 그 후에 전동팽창밸브(65)로 보내져 감압된다. 감압된 냉매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 흡열하여 증발하며, 그 후에 압축기(63)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다.
또 제 1 동작 시에는, 제 2 개구(52), 제 3 개구(53), 제 5 개구(55) 및 제 8 개구(58)가 개구상태로 되며, 제 1 개구(51), 제 4 개구(54), 제 6 개구(56) 및 제 7 개구(57)가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기(61)에 제 2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 제 1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 흡입구(22)로부터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2 유입로(45)로부터 제 5 개구(55)를 통해 제 1 열교환실(41)로 보내진다. 제 1 열교환실(41)에서는, 제 2 공기가 제 2 구획판(32) 쪽부터 제 3 구획판(33) 쪽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제 1 열교환기(61)를 통과하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 2 공기는, 제 1 열교환실(41)로부터 제 3 개구(53)를 통해 제 1 유출로(44)로 유출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제 2 팬측 연통구(76)를 통해 배기팬(26)으로 흡입되어, 배기토출구(23)로부터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1 유입로(43)로부터 제 2 개구(52)를 통해 제 2 열교환실(42)로 보내진다. 제 2 열교환실(42)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2 열교환기(62)를 제 2 구획판(32) 쪽부터 제 3 구획판(33) 쪽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그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매가 흡열한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2 열교환실(42)로부터 제 8 개구(58)를 통해 제 2 유출로(46)로 유출된다. 그 후, 제 1 공기는 제 1 팬측 연통구(75)를 통해 급기팬(25)으로 흡입되어, 급기토출구(24)로부터 공급공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10)에 의하면, 도 12에 있어서 안쪽 방향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설명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 "앞쪽", "안쪽"은,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조습장치를 정면 쪽에서 본 경우의 방향성을 의미한다. 또 조습장치(10)의 정면은, 도 13의 (A)의 아래쪽 측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약간 편평한 사각형의 상자형 케이싱(11)을 구비한다. 케이싱(11)의 내부에는,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또 케이싱(11)의 내부에는, 냉매회로(60)가 수납된다. 이 냉매회로(60)는 제 1 열교환기(61)나 제 2 열교환기(62)가 접속된 것이며,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또한 제 1 열교환기(61) 및 제 2 열교환기(62)의 구성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는 냉매회로(60)의 구성이나, 제 1 열교환기(61) 및 제 2 열교환기(62)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케이싱(11)에는, 가장 안쪽에 후면(後面)패널(110a)이 형성되며, 가장 앞쪽에 전면(前面)패널(110b)이 형성된다. 또 케이싱(11)에는, 왼쪽에 제 1 측판(111)이 형성되며, 오른쪽에 제 2 측판(112)이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11)에는, 위쪽에 천장판(110c)이 형성되며, 아래쪽에 바닥판(110d)이 형성된다.
후면패널(110a)의 왼쪽에는, 실외공간으로부터의 실외공기(OA)를 도입하는 제 1 흡입구(115)가 형성되며, 후면패널(110a)의 오른쪽에는, 실내공간으로부터의 실내공기(RA)를 도입하는 제 2 흡입구(116)가 형성된다. 한편, 전면패널(110b)의 왼쪽에는, 조습공기(SA)를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급기구(117)가 형성되며, 전면패널(110b)의 오른쪽에는, 배출공기(OA)를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배기구(118)가 형성된다.
케이싱(11)의 내부는, 전후방향에서 대략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 3개의 공간 중, 케이싱(11)의 전면패널(110b) 쪽에 형성된 공간은, 좌우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이 2개의 공간 중, 왼쪽 공간이 급기측 통로(131)를 구성하며, 오른쪽 공간이 배기측 통로(132)를 구성한다.
급기측 통로(131)는, 급기구(117)를 개재하고 실내공간과 연통된다. 이 급기측 통로(131)에는, 급기팬(25)이 설치된다. 한편, 배기측 통로(132)는, 배기구(118)를 개재하고 실외공간과 연통된다. 이 배기측 통로(132)에는, 배기팬(26)이 설치된다. 또 배기측 통로(132)의 왼쪽에는, 전술한 압축기(63)가 배치된다.
케이싱(11)의 후면패널(110a) 쪽에 형성된 공간은, 흡입측 구획판(119)으로 좌우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 2개의 공간 중, 왼쪽 공간이 제 1 흡입통로(133)를 구성하며, 오른쪽 공간이 실내공기 공급통로로서의 제 2 흡입통로(134)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흡입통로(133)는, 제 1 흡입구(115)를 개재하고 실외공간으로 연통되는 한편, 상기 제 2 흡입통로(134)는, 제 2 흡입구(116)를 개재하고 실내공간으로 연통된다.
또 케이싱(11)의 후면패널(110a) 쪽에 형성된 공간에는, 상기 흡입측 구획판(119)을 관통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흡입통로(133)와 상기 제 2 흡입통로(134)에 걸쳐지도록 배치된 흡입측 필터(123)가 배치된다. 이 흡입측 필터(123)는, 제 1 흡입통로(133)에 위치하는 제 1 프리필터(123a)와, 제 2 흡입통로(134)에 위치하는 제 2 프리필터(123b)가 일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프리필터(123a)가, 제 1 흡입구(115)로부터 흡인된 실외공기(OA)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한편, 상기 제 2 프리필터(123b)가 제 2 흡입구(116)로부터 흡인된 실내공기(RA) 중의 먼지를 포집한다. 제 2 프리필터(123b)는 실내측 필터를 구성한다.
케이싱(11) 전후방향의 중앙에 형성된 공간은, 왼쪽에 위치하는 제 1 구획판(113) 및 오른쪽에 위치하는 제 2 구획판(114)에 의해 좌우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또 제 1 구획판(113)과 제 2 구획판(114) 사이의 공간은, 중앙구획판(120)에 의해, 제 1 통로인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통로인 제 2 열교환실(42)로 구획된다.
제 1 열교환실(41)은 중앙구획판(120)의 뒤쪽에 형성되며, 전술한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된다. 제 1 열교환기(61)는 도 13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실(41)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실(41)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한다. 또 제 1 열교환기(61)는 편평한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제 1 열교환실(41)의 상면 및 하면의 면적이 다른 면의 면적보다 커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 1 열교환기(61)에는, 상하방향으로 피처리공기가 유통함으로써, 이 피처리공기의 조습을 행하는 유통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1 열교환기(61)의 상면에는, 실외공기(OA)가 유입하는 유입 면이 형성된다. 제 1 열교환기(61)의 상면에는, 실외공기(OA)의 유입 면을 따라 제 1 필터(124a)가 배치 형성된다. 제 1 필터(124a)는 제 1 필터부를 구성하며, 제 1 열교환기(61) 상면의 전체영역을 피복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필터(124a)는, 제 1 열교환기(61)로 유입되는 실외공기(OA) 중의 먼지를 포집한다.
제 2 열교환실(42)은 중앙구획판(120)의 앞쪽에 형성되며, 전술한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된다. 제 2 열교환기(62)는 제 1 열교환기(61)와 마찬가지로, 제 2 열교환실(42)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열교환실(42)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한다. 또 제 2 열교환기(62)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와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으로 피처리공기가 유통함으로써, 이 피처리공기의 조습을 행하는 유통공간이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열교환기(62)의 상면에는, 실외공기(OA)가 유통하는 유입 면이 형성된다.
제 2 열교환기(61)의 상면에는, 실외공기(OA)의 유입 면을 따라 제 2 필터(124a)가 배치 형성된다. 제 2 필터(124b)는 제 2 열교환기(62) 상면의 전체영역을 피복하도록 배치되며, 제 2 필터부를 구성한다. 그리고 제 2 필터(124b)는, 제 2 열교환기(62)로 유입되는 실외공기(OA) 중의 먼지를 포집한다.
제 1 측판(111)과 제 1 구획판(113) 사이의 공간은 상하로 구획된다. 그리고 이 공간은, 상측 공간이 좌측 상부통로(143)를 구성하며, 하측 공간이 좌측 하부통로(144)를 구성한다. 좌측 상부통로(143)는, 상기 제 1 흡입통로(133)와 연통되는 한편, 상기 급기측 통로(131)와는 구획된다. 좌측 하부통로(144)는, 상기 급기측 통로(131)와 연통되는 한편, 상기 제 1 흡입통로(133)와 구획된다.
제 2 측판(112)과 제 2 구획판(114) 사이의 공간은 상하로 구획된다. 그리고 이 공간은, 상측 공간이 우측 상부통로(145)를 구성하며, 하측 공간이 우측 하 부통로(146)를 구성한다. 우측 상부통로(145)는, 상기 배기측 통로(132)와 연통되는 한편, 상기 제 2 흡입통로(134)와 구획된다. 우측 하부통로(146)는, 상기 제 2 흡입통로(134)와 연통되는 한편, 상기 배기측 통로(132)와 구획된다.
또 제 1 구획판(113)에는, 제 1 좌상개구(151), 제 2 좌상개구(152), 제 1 좌하개구(153), 및 제 2 좌하개구(154)가 형성된다. 제 1 좌상개구(151)는 제 1 구획판(113)의 안쪽 상부에 형성되며, 제 2 좌상개구(152)는 제 1 구획판(113)의 앞쪽 상부에 형성된다. 또 제 1 좌하개구(153)는 제 1 구획판(113)의 안쪽 하부에 형성되며, 제 2 좌하개구(154)는 제 1 구획판(113)의 앞쪽 하부에 형성된다.
제 1에서 제 4까지의 개구(151, 152, ...)에는 각각 개폐댐퍼가 설치된다. 각 개구(151, 152, ...)의 개폐댐퍼는, 각각 독립적으로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그리고 제 1 좌상개구(151)가 개방상태로 되면, 좌측 상부통로(143)와 제 1 열교환실(41)의 상부공간이 연통된다. 또 제 2 좌상개구(152)가 개방상태로 되면, 좌측 상부통로(143)와 제 2 열교환실(42)의 상부공간이 연통된다. 또한 제 1 좌하개구(153)가 개방상태로 되면, 좌측 하부통로(144)와 제 1 열교환실(41)의 하부공간이 연통된다. 또 제 2 좌하개구(154)가 개방상태로 되면, 좌측 하부통로(144)와 제 2 열교환실(42)의 하부공간이 연통된다.
한편, 제 2 구획판(114)에는, 제 1 우상개구(155), 제 2 우상개구(156), 제 1 우하개구(157), 및 제 2 우하개구(158)가 형성된다. 제 1 우상개구(155)는 제 2 구획판(114)의 안쪽 상부에 형성되며, 제 2 우상개구(156)는 제 2 구획판(114)의 앞쪽 상부에 형성된다. 또 제 1 우하개구(157)는 제 2 구획판(114)의 안쪽 하부에 형성되며, 제 2 우하개구(158)는 제 2 구획판(114)의 앞쪽 하부에 형성된다.
제 5에서 제 8까지의 개구(155, 156, ...)에는 각각 개폐댐퍼가 설치된다. 각 개구(155, 156, ...)의 개폐댐퍼는, 각각 독립적으로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 가능하다. 그리고 제 1 우상개구(155)가 개방상태로 되면, 우측 상부통로(145)와 제 1 열교환실(41)의 상부공간이 연통된다. 또 제 2 우상개구(156)가 개방상태로 되면, 우측 상부통로(145)와 제 2 열교환실(42)의 상부공간이 연통된다. 또한 제 1 우하개구(157)가 개방상태로 되면, 우측 하부통로(146)와 제 1 열교환실(41)의 하부공간이 연통된다. 또 제 2 우하개구(158)가 개방상태로 되면, 우측 하부통로(146)와 제 2 열교환실(42)의 하부공간이 연통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조습장치(10)는, 전술한 냉매회로(60) 내의 냉매 순환방향을 전환함과 동시에, 상기 제 1에서 제 8 개구(151, 152, ...)까지 개폐댐퍼의 개폐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번갈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 조습장치(10)는, 실외공기(OA)를 제 1 필터(124a), 제 1 열교환기(61)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RA)를 제 2 열교환기(62), 제 2 필터(124b)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1 동작과, 실외공기(OA)를 제 2 필터(124b), 제 2 열교환기(62)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RA)를 제 1 열교환기(61), 제 1 필터부(124a)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2 동작을 전환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운전동작-
상기 조습장치(10)의 운전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조습장치(10)는, 냉매회로(60)의 냉매 순환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번갈아 전환하면서 제습운전, 또는 가습운전을 계속적으로 실행한다.
<제습운전>
제습운전 시의 제 1 동작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제 2 상태(도 3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설정된다. 냉매회로(60)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한편, 제 2 동작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제 1 상태(도 3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설정된다. 냉매회로(60)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이 기동되면, 실외공기(OA)가 제 1 흡입구(115)로부터 케이싱(11) 내로 도입되어, 제 1 흡입통로(133)로 유입되는 한편, 실내공기(RA)가 제 2 흡입구(116)로부터 케이싱(11) 내로 도입되어, 제 2 흡입통로(134)로 유입된다.
제 1 흡입통로(133)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프리필터(123a)를 통과한다. 여기서 실외공기(OA) 중의 비교적 큰 먼지가 포집된다. 그 후, 실외공기(OA)는 좌측 상부통로(143)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흡입통로(132)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프리필터(123b)를 통과한다. 여기서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포집된다. 그 후, 실내공기(RA)는 우측 하부통로(146)로 유입된다.
이후, 제습운전 시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 한다. 여기서 도 15의 (A)는 제 1, 제 2 열교환실(41, 42)의 내부를 왼쪽에서 본 단면도이며, (B)는 (A)의 B-B 단면도, (C)는 (A)의 C-C 단면도이다.
제습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제 1 좌상개구(151), 제 1 좌하개구(153), 제 2 우상개구(156), 및 제 2 우하개구(158)의 개폐댐퍼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2 좌상개구(152), 제 2 좌하개구(154), 제 1 우상개구(155), 및 제 1 우하개구(157)의 개폐댐퍼가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좌측 상부통로(143)를 유통하는 실외공기(OA)는, 제 1 좌상개구(151)로부터 제 1 열교환실(41)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공기는 제 1 필터(124a)의 상면부터 하면을 향해 유통한다. 이 때, 공기 중의 먼지가 제 1 필터(124a)의 상면에 포집된다. 그 후, 이 공기는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공간을 통과하여, 제 1 열교환실(41)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제 1 열교환기(61)의 흡착제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또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제 1 열교환기(61) 내의 냉매에 흡열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필터(124a)에서 먼지가 제거되는 동시에 제 1 열교환기(61)에서 감습된 공기는, 제 1 좌하개구(153)로부터 좌측 하부통로(144)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급기측 통로(131)를 유통한 후, 급기구(117)로부터 조습공기(SA)로서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한편, 우측 하부통로(146)를 유통하는 실내공기(RA)는, 제 2 우하개구(158)로부터 제 2 열교환실(42)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윗방향으로 흘러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공간을 유통한다.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제 2 열 교환기(62)에서는,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또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되는 동시에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2 열교환기(62)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필터(124b)의 하면부터 상면을 향해 유통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제 2 동작에 의해, 제 2 필터(124b)의 상면에 포집된 먼지가, 제 2 필터(124b)를 위쪽으로 흐르는 공기에 의해 날려, 제 2 필터(124b) 상면의 먼지가 제거된다. 그리고 이 먼지는, 제 2 필터(124b)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제 2 열교환실(42)의 외부로 압송된다.
이상과 같이, 제 2 열교환기(62)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되는 동시에, 제 2 필터(124b)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제 2 우상개구(156)로부터 우측 상부통로(145)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배기측 통로(132)를 유통한 후, 배기구(118)로부터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습운전 시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여기서 도 17의 (A)는 제 1, 제 2 열교환실(41, 42)의 내부를 왼쪽에서 본 단면도이며, (B)는 (A)의 B-B 단면도, (C)는 (A)의 C-C 단면도이다.
제습운전의 제 2 동작에서는, 제 2 좌상개구(152), 제 2 좌하개구(154), 제 1 우상개구(155), 및 제 1 우하개구(157)의 개폐댐퍼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좌상개구(151), 제 1 좌하개구(153), 제 2 우상개구(156), 및 제 2 우하개구(158)의 개폐댐퍼가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좌측 상부통로(143)를 유통하는 실외공기(OA)는, 제 2 좌상개구(152) 로부터 제 2 열교환실(42)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공기는 제 2 필터(124b)의 상면부터 하면을 향해 유통한다. 이 때, 공기 중의 먼지가 제 2 필터(124b)의 상면에 포집된다. 그 후, 이 공기는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공간을 통과하여, 제 2 열교환실(42)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제 2 열교환기(62)의 흡착제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또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제 2 열교환기(62) 내의 냉매에 흡열된다.
이상과 같이, 제 2 필터(124)에서 먼지가 제거되는 동시에 제 2 열교환기(62)에서 감습된 공기는, 제 2 좌하개구(154)부터 좌측 하부통로(144)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급기측 통로(131)를 유통한 후, 급기구(117)로부터 조습공기(SA)로서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한편, 우측 하부통로(146)를 유통하는 실내공기(RA)는, 제 1 우하개구(157)로부터 제 1 열교환실(41)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윗방향으로 흘러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공간을 유통한다.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또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되는 동시에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1 열교환기(61)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필터(124a)의 하면부터 상면을 향해 유통한다. 여기서, 전술한 제 1 동작에 의해, 제 1 필터(124a)의 상면에 포집된 먼지가, 제 1 필터(124a)를 위쪽으로 흐르는 공기에 의해 날려, 제 1 필터(124a) 상면의 먼지가 제거된다. 그리고 이 먼지는, 제 1 필터(124a)를 통과한 공 기에 의해 제 1 열교환실(41)의 외부로 압송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열교환기(61)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되는 동시에, 제 1 필터(124a)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제 1 우상개구(155)로부터 우측 상부통로(145)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배기측 통로(132)를 유통한 후, 배기구(118)로부터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으로 배출된다.
<가습운전>
가습운전 시의 제 1 동작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제 1 상태(도 3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설정된다. 냉매회로(60)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한편, 제 2 동작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제 2 상태(도 3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설정된다. 냉매회로(60)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이 기동되면, 실외공기(OA)가 제 1 흡입구(115)로부터 케이싱(11) 내로 도입되어, 제 1 흡입통로(133)로 유입되는 한편, 실내공기(RA)가 제 2 흡입구(116)로부터 케이싱(11) 내로 도입되어, 제 2 흡입통로(134)로 유입된다.
제 1 흡입통로(133)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프리필터(123a)를 통과한다. 여기서 실외공기(OA) 중의 비교적 큰 먼지가 포집된다. 그 후, 실외공기(OA)는 좌측 상부통로(143)로 유입된다. 한편, 제 2 흡입통로(134)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프리필터(123b)를 통과한다. 여기서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포집된다. 그 후, 실내공기(RA)는 우측 하부통로(146)로 유입된다.
이후, 가습운전 시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제 1 좌상개구(151), 제 1 좌하개구(153), 제 2 우상개구(156), 및 제 2 우하개구(158)의 개폐댐퍼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2 좌상개구(152), 제 2 좌하개구(154), 제 1 우상개구(155), 및 제 1 우하개구(157)의 개폐댐퍼가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좌측 상부통로(143)를 유통하는 실외공기(OA)는, 제 1 좌상개구(151)로부터 제 1 열교환실(41)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공기는 제 1 필터(124a)의 상면부터 하면을 향해 유통한다. 이 때, 공기 중의 먼지가 제 1 필터(124a)의 상면에 포집된다. 그 후, 이 공기는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공간을 통과하여, 제 1 열교환실(41)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어,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필터(124a)에서 먼지가 제거되는 동시에 제 1 열교환기(61)에서 가습된 공기는, 제 1 좌하개구(153)로부터 좌측 하부통로(144)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급기측 통로(131)를 유통한 후, 급기구(117)로부터 조습공기(SA)로서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한편, 우측 하부통로(146)를 유통하는 실내공기(RA)는, 제 2 우하개구(158)로부터 제 2 열교환실(42)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윗방향으로 흘러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공간을 유통한다. 여기서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제 2 열교환기(62)의 흡착제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또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제 2 열교환기(62) 내의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열교환기(62)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필터(124b)의 하면부터 상면을 향해 유통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제 2 동작에 의해, 제 2 필터(124b)의 상면에 포집된 먼지가, 제 2 필터(124b)를 위쪽으로 흐르는 공기에 의해 날려, 제 2 필터(124b) 상면의 먼지가 제거된다. 그리고 이 먼지는, 제 2 필터(124b)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제 2 열교환실(42)의 외부로 압송된다.
이상과 같이 제 2 열교환기(62)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 2 필터(124b)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제 2 우상개구(156)로부터 우측 상부통로(145)로 유입한다. 그리고 이 공기는 배기측 통로(132)를 유통한 후, 배기구(118)로부터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가습운전 시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운전의 제 2 동작에서는, 제 2 좌상개구(152), 제 2 좌하개구(154), 제 1 우상개구(155), 및 제 1 우하개구(157)의 개폐댐퍼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좌상개구(151), 제 1 좌하개구(153), 제 2 우상개구(156), 및 제 2 우하개구(158)의 개폐댐퍼가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좌측 상부통로(143)를 유통하는 실외공기(OA)는, 제 2 좌상개구(152)로부터 제 2 열교환실(42)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공기는 제 2 필터(124b)의 상면부터 하면을 향해 유통한다. 이 때, 공기 중의 먼지가 제 2 필터(124b)의 상면에 포집된다. 그 후, 이 공기는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공간을 통과하여, 제 2 열교환실(42)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고,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어,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이상과 같이 제 2 필터(124b)에서 먼지가 제거되는 동시에 제 2 열교환기(62)에서 가습된 공기는, 제 2 좌하개구(154)로부터 좌측 하부통로(144)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급기측 통로(131)를 유통한 후, 급기구(117)로부터 조습공기(SA)로서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한편, 우측 하부통로(146)를 유통하는 실내공기(RA)는, 제 1 우하개구(157)로부터 제 1 열교환실(41)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윗방향으로 흘러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공간을 유통한다. 여기서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제 1 열교환기(61)의 흡착제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또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제 1 열교환기(61) 내의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열교환기(61)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필터(124a)의 하면부터 상면을 향해 유통한다. 여기서, 전술한 제 1 동작에 의해, 제 1 필터(124a)의 상면에 포집된 먼지가, 제 1 필터(124a)를 위쪽으로 흐르는 공기에 의해 날려, 제 1 필터(124a) 상면의 먼지가 제거된다. 그리고 이 먼지는, 제 1 필터(124a)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제 1 열교환실(41)의 외부로 압송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열교환기(61)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 1 필터(124a)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제 1 우상개구(155)로부터 우측 상부통로(145)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배기측 통로(132)를 유통한 후, 배기구(118) 로부터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으로 배출된다.
-제 6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 의하면,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의 실외공기(OA) 유입 면을 따라 실외측 필터(124a, 124b)를 배치 형성하도록 한다. 여기서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의 유입 면은, 다른 면에 비해 대면적이 된다. 이로써, 실외측 필터(124a, 124b)의 필터 면을 크게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a, 124b)를 유통하는 실외공기(OA)의 선속도를 느리게 할 수 있어, 실외측 필터(124a, 124b)의 설치에 기인하는 압력손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실외공기(OA) 중의 먼지가 실외측 필터(124a, 124b)에 국부적으로 포집되기 어려워지므로, 실외측 필터(124a, 124b)에서의 먼지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어, 압력손실 상승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제 1 동작 시에 제 1 필터(124a)에 포집된 실외공기(OA) 중의 먼지를 제 2 동작 시의 실내공기(RA)에 의해 날려,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역으로, 제 2 동작 시에 제 2 필터(124b)에 포집된 실외공기(OA) 중의 먼지를 제 1 동작 시의 실내공기(RA)에 의해 날려,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전환하면서, 실외측 필터(124a, 124b)에 포집된 먼지를 교대로 제거함으로써, 실외측 필터(124a, 124b)에서의 먼지의 막힘을 자동적으로 해소할 수 있어, 실외측 필터(124a, 124b)의 교환이나 보수점검의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상기 실외측 필터(124a, 124b)에 더 불어, 제 1 프리필터(123a)를 설치함으로써, 실외공기(OA) 중의 비교적 큰 먼지가 케이싱(11)의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에서의 먼지 부착을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제 2 프리필터(123b)를 설치함으로써,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한다. 따라서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에서의 먼지 부착 때문에 흡탈착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10)의 제 1 변형예에 대해,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1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10)는,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와 거의 마찬가지의 구성에서, 프리필터(123), 및 이 프리필터(123)가 배치되는 제 1, 제 2 흡입통로(133, 134)를 구비하지 않는 것이다. 또 제 1 열교환실(41)에 배치되는 제 1 필터(124a)와, 제 2 열교환실(42)에 배치되는 제 2 필터(124b)는 일체로 되어 실외측 필터(124)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변형예의 조습장치(10)는, 제 1 흡입구(115)와 죄측 상부통로(143)가 직접 연통되는 한편, 제 2 흡입구(116)와 우측 하부통로(146)가 직접 연통된다. 또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의 상면에는, 제 1 필터(124a)와 제 2 필터(124b)가 일체화되어 구성된 실외측 필터(124)가 배치 형성된다. 그리고 실외측 필터(124)는,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의 실외공기(OA) 유입 면의 쌍방을 따르면서 걸쳐져 배치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11)의 후면패널(110a)에는, 상기 실외측 필터(124)를 꺼낼 수 있는 취출구(取出口)(161)가 형성된다.
이 제 1 변형예의 조습장치(10)에서도, 실외측 필터(124)를 각 열교환기(61, 62)의 유입 면을 따라 배치 형성함으로써, 각 유입 면에 유입하는 공기의 선속도를 저감시킬 수 있어, 실외측 필터(124)의 압력손실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실외공기의 흐름에 대해 필터 면을 크게 취함으로써, 실외공기 중의 먼지를 필터면 상에서 분산시켜 포집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의 막힘을 억제할 수 있어, 실외측 필터(124)의 압력손실 저감을 한층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제 1 변형예에서는 제 1, 제 2 필터(124a, 124b)를 일체적으로 구성함으로써, 실외측 필터(124)를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11)에 취출구(161)를 형성함으로써,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외측 필터(124)를 쉽게 케이싱(11)의 외부로 꺼내거나, 케이싱(11)의 내부에 장착하거나 할 수 있다. 이 때, 실외측 필터(124)는 일체로 구성되어있으므로, 실외측 필터(124)의 교환이나 보수점검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제 6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본 실시형태 조습장치(10)의 제 2 변형예에 대해,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2 변형예에 관한 조습장치(10)는,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와 거의 마찬가지인 구성에서, 실내공기(RA) 중의 먼지를 포집하는 제 2 프리필터(123b)가, 케이싱(11)으로부터 실내공간으로 이어져 형성된 흡입관(163)의 개구부 근방에 배치된 것이다. 또 상기 흡입관(163)은 흡입구를 구성하는 것이며, 제 2 흡입구(116)를 개재하고 우측 하부통로(146)와 연통된다. 따라서 이 흡입관(163)은, 실 내공기(RA)를 케이싱(11) 내에 도입하는 실내공기 공급통로로서 기능한다. 이로써, 이 흡입관(163)에 제 2 프리필터(123b)를 배치함으로써, 실내공기(RA) 중의 먼지를 제 2 프리필터(123b)에서 포집할 수 있어,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제 1, 제 2 흡착열교환기(3)의 하면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제 2 변형예에서도, 실외공기(OA) 중의 먼지는 제 1, 제 2 필터(124a, 124b)에 의해 포집된 후,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의 전환에 의해 이들 먼지가 실외공간으로 배출된다. 이로써, 제 1, 제 2 필터(124a, 124b)의 보수점검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이 제 2 변형예에서는, 먼지의 제거를 자동적으로 행할 수 없는 제 2 프리필터(123b)를 실내공간에 면한 흡입관(163)의 개구부 근방에 배치한다. 이로써 실내공간 쪽에서 상기 제 2 프리필터(123b)의 보수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조습장치(10)가, 예를 들어 천장매입형 조습장치(10)일 경우라도, 제 2 프리필터(123b)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도 10에 나타낸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와 같이, 케이싱(11)의 제 1 유입로(43)와 제 1 유출로(44)를 상하 역전시키며, 또 제 2유입로(45)와 제 2 유출로(46)를 상하 역전시키고, 또한 이에 수반하여 상기 제 3 구획판(33)의 4개 개구(51, 52, 53, 54) 및 제 2 구획판(32)의 4개 개구(55, 56, 57, 58)도 상하 역전시키며, 그리고, 저면(底面)판(81)에서 급기팬(25)의 아래쪽에 급기토출구(24)를 형성하며, 또 제 1 유입로(43)의 아래쪽에 실내공기 흡입구(22)를 형성하는, 이른 바 카세트형으로 해도 된다.
이 때, 케이싱(11)의 제 4 측판(15)의 실외공기 흡입구(21)에 실외공기 흡입관(71)을 접속하고, 배기토출구(23)에 배기토출관(73)을 접속하면 된다. 이로써, 실내로 연통되는 덕트(72, 74)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천장 위의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천장 위가 아닌 바닥 위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가 크로스핀식의 핀 튜브 열교환기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의 열교환기, 예를 들어 파형 핀식(corrugated fin)의 열교환기 등이라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주기를 행하여 흡착제의 재생이나 냉각을 행하는 조습장치에 대해 유용하다.

Claims (24)

  1. 제습된 제 1 공기와 가습된 제 2 공기 중, 한쪽을 실내에 공급하며 다른 쪽을 실외로 배출하는 조습장치로서,
    흡착제를 담지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가 접속되어 냉동주기를 행함과 더불어 냉매순환방향이 반전 가능한 냉매회로(60)와,
    내부의 공기통로에 상기 열교환기(61, 62)가 설치되는 케이싱(11)과,
    상기 열교환기(61, 62) 중, 증발기로 된 쪽을 제 1 공기가 통과하며 응축기로 된 쪽을 제 2 공기가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싱(11) 내에서의 공기 유통경로를 상기 냉매회로(60)에서의 냉매순환방향에 따라 전환하는 전환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와 팽창기구(65)와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기구(64)는, 상기 열교환기(61, 62)와 함께 상기 케이싱(11) 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63)는, 상기 케이싱(11) 내부의 공기통로로부터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63)는, 상기 케이싱(11) 내부의 공기통로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에는, 실내로 연통되는 덕트(72, 74)를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24) 및 흡입구(22)와, 실외로 연통되는 덕트(71, 73)를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23) 및 흡입구(21)가 각각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에는, 이 케이싱(11) 내와 실내를 직접 연통시키는 토출구(24) 및 흡입구(22)와, 실외로 연통되는 덕트(71, 73)를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23) 및 흡입구(21)가 각각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 설치된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을 구비하며,
    상기 케이싱(11)은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11)의 내부공간은, 이 케이싱(11) 측판의 하나인 팬측 측판(13)을 따른 제 1 공간(17)과 나머지 제 2 공간(18)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 공간(17)에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이, 상기 제 2 공간(18)에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와 전환기구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는, 케이싱(11)의 제 1 공간(17)에서 급기팬(25)과 배기팬(26)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는, 상기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는, 상기 케이싱(11)의 두께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25)과 배기팬(26)은, 팬 케이싱의 측방으로부터 흡입하고 전방(前方)으로 토출하는 다익 팬(multiblade fan)으로 구성되며, 그 임펠러의 축심이 상기 케이싱(11)의 두께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측판(14, 15) 중, 한쪽에는, 실내로 연통되는 급기구(24)와 실내공기 흡입구(22)가, 다른 쪽에는, 실외로 연통되는 배기구(23)와 실외공기 흡입구(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열교환기(62)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42)이 상기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인접하여 형성됨과 더불어, 이 2개 열교환실(41, 42)의 연속된 측면의 한쪽을 따라 이어지고 또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공기의 제 1 유입로(43) 및 제 1 유출로(44)와, 상기 2개 열교환실 (41, 42)의 연속된 측면의 다른 쪽을 따라 이어지며 또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공기의 제 2 유입로(45) 및 제 2 유출로(46)가 형성되고,
    상기 각 유출로(44, 46)는, 팬측 연통구(75, 76)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의 팬측 측판(13)에는, 실내로 연통되는 급기구(24)와 실외로 연통되는 배기구(23)가, 상기 팬측 측판(13)과 대향하는 측판(12)에는, 실내공기 흡입구(22)와 실외공기 흡입구(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실(61)이 수납된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열교환기(62)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42)이 상기 팬측 측판(13)의 길이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인접하여 형성됨과 더불어, 이 2개 열교환실(41, 42)의 연속된 측면의 한쪽과 상기 팬측 측판(13)에 대향하는 측판(12) 사이에, 이 측판 (12)을 따라 이어지고 또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공기의 제 1 유입로(43) 및 제 2 유입로(45)와, 상기 2개 열교환실 (41, 42)의 연속된 측면의 다른 쪽과 상기 팬측 측판(13) 사이에 이 팬측 측판(13)을 따라 이어지며 또 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공기의 제 1 유출로(44) 및 제 2 유출로(46)가 형성되고,
    상기 각 유출로(44, 46)는, 팬측 연통구(75, 76)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25)은, 그 팬 케이싱 측방의 팬 흡입구(27)가 상기 팬측 연통구(75, 76) 중, 어느 한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기팬(26)은, 그 팬 케이싱 측방의 팬 흡입구(28)가 상기 팬측 연통구(75, 76) 중, 다른 한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4.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60)의 팽창기구(65)와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기구(64)가 케이싱(11)의 제 1 공간(17)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에 접속되는 냉매회로(60)의 배관이 케이싱(11)의 천장판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의 실외공기 유입 면을 따라 배치 형성된 실외측 필터(1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되는 제 1 통로(41)와,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되는 제 2 통로(42)가 형성되며,
    상기 실외측 필터(124)는, 제 1 통로(41)에 배치된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통로(42)에 배치된 제 2 필터부(12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필터(124)에서는,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필터부(124b)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실외측 필터(124)는, 제 1 열교환기(61)의 실외공기 유입 면과 제 2 열교환기(62)의 실외공기 유입 면에 걸쳐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와 제 2 열교환기(62)가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며,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 면과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 면이 거의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20.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에는, 실외측 필터(124)를 꺼낼 수 있는 취출(取出)구(16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21. 청구항 17에 있어서,
    실외공기를 제 1 필터부(124a), 제 1 열교환기(61)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제 2 열교환기(62), 제 2 필터부(124b)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1 동작과,
    실외공기를 제 2 필터부(124b), 제 2 열교환기(62)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제 1 열교환기(61), 제 1 필터부(124a)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2 동작을 전환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22. 청구항 17에 있어서,
    실내공기를 제 1 통로(41) 또는 제 2 통로(42)로 유입시키는 통로에 배치된 실내측 필터(123b)를 구비하며,
    실외공기를 제 1 필터부(124a), 제 1 열교환기(61)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실내측 필터(123b), 제 2 열교환기(62), 제 2 필터부(124b)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1 동작과,
    실외공기를 제 2 필터부(124b), 제 2 열교환기(62)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실내측 필터(123b), 제 1 열교환기(61), 제 1 필터부(124a)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2 동작을 전환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2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되는 제 1 통로(41)와,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되는 제 2 통로(42)와, 실내공기를 제 1 통로(41) 또는 제 2 통로(42)로 유입시키는 실내공기 공급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공기 공급통로에 배치된 실내측 필터(123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2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1) 내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된 제 1 통로(41)와,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된 제 2 통로(42)가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11) 내의 제 1 통로(41) 및 제 2 통로(42)보다 실내공간 쪽의 공기통로와 접속되고 실내공간에 면한 흡입구(163)와,
    상기 흡입구(163)의 개구부 근방에 배치된 실내측 필터(123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KR1020067022465A 2004-03-31 2005-03-30 조습장치 KR1007407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2384 2004-03-31
JPJP-P-2004-00102403 2004-03-31
JP2004102403A JP3815486B2 (ja) 2004-03-31 2004-03-31 調湿装置
JP2004101703A JP3742895B2 (ja) 2004-03-31 2004-03-31 調湿装置
JP2004102384A JP3815485B2 (ja) 2004-03-31 2004-03-31 調湿装置
JPJP-P-2004-00101703 2004-03-31
PCT/JP2005/006102 WO2005095874A1 (ja) 2004-03-31 2005-03-30 調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064A KR20060133064A (ko) 2006-12-22
KR100740770B1 true KR100740770B1 (ko) 2007-07-19

Family

ID=35063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465A KR100740770B1 (ko) 2004-03-31 2005-03-30 조습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047014B2 (ko)
EP (1) EP1739371A4 (ko)
KR (1) KR100740770B1 (ko)
AU (1) AU2005227460B2 (ko)
WO (1) WO20050958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1490B2 (ja) * 2007-06-12 2009-08-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CN101625143B (zh) * 2008-07-07 2011-11-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多功能换气扇
SE534485C2 (sv) * 2009-01-26 2011-09-06 Cellomatic Ab En ventilationsansordning
US9758014B2 (en) * 2009-02-27 2017-09-12 Thermo King Corporation Low profile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s
US20100218529A1 (en) * 2009-02-27 2010-09-02 Thermo King Corporation Low profile air conditioning unit for vehicles
US8689580B2 (en) * 2011-03-30 2014-04-08 Ness Lakdawala Air conditioning/dehumidifying unit
JP5817338B2 (ja) * 2011-08-26 2015-11-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KR101447022B1 (ko) * 2011-12-13 2014-10-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
JP6089357B2 (ja) * 2012-06-29 2017-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両用ヒートポンプ装置
EP2881274B1 (en) * 2012-08-05 2019-06-19 Yokohama Heat use Technology Dehumidifying device for vehicle
US9255645B2 (en) 2013-04-03 2016-02-09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Reconfigurable valve
US11592214B2 (en) 2017-04-20 2023-02-28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Row split coil systems for HVAC systems
KR20190017506A (ko) 2017-08-11 2019-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102068115B1 (ko) * 2018-10-31 2020-01-20 주식회사 에이치시티엠 입자 측정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649A (ja) * 1994-03-31 1995-10-17 Kobe Steel Ltd 乾式除湿装置
JPH08189667A (ja) * 1995-01-06 1996-07-23 Hitachi Ltd 除加湿装置
JPH09329371A (ja) * 1996-06-07 1997-12-22 Ebara Corp 空調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6874A (en) * 1947-09-22 1950-10-24 U S Thermo Control Company Apparatus for heating or cooling the atmosphee within an enclosure
JPS4896748U (ko) * 1972-02-18 1973-11-16
US4424686A (en) * 1981-03-09 1984-01-10 The Laitram Corporation Floor mounted air conditioner
JPS61197933A (ja) 1985-02-26 1986-09-02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
US4793143A (en) * 1986-03-10 1988-12-27 Rhodes Barry V Enthalpic heat pump desiccant air conditioning system
US5042271A (en) * 1990-01-22 1991-08-27 Kent-Moore Corporation Refrigerant handling system with compressor oil separation
JPH06323566A (ja) 1993-05-14 1994-11-25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H07275642A (ja) 1994-04-06 1995-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除湿装置
KR100220727B1 (ko) * 1997-02-11 1999-09-15 윤종용 일체형 공기조화기
JPH10311581A (ja) 1997-05-14 1998-11-24 Matsushita Seiko Co Ltd 脱臭機能付き全熱交換装置
EP1388714A4 (en) * 2001-05-16 2008-04-09 Ebara Corp DEHUMIDIFIER
JP3559255B2 (ja) 2001-06-08 2004-08-25 株式会社ア−スクリ−ン東北 間接型熱交換装置を備えたデシカント空調装置
JP2003202128A (ja) * 2002-01-07 2003-07-18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2003314856A (ja) * 2002-04-22 2003-11-06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2004060966A (ja) * 2002-07-26 2004-02-26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WO2004013541A1 (ja) * 2002-08-05 2006-09-2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JP3596549B2 (ja) * 2003-03-10 2004-12-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3596547B2 (ja) * 2003-03-10 2004-12-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3624910B2 (ja) * 2003-05-27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3668786B2 (ja) * 2003-12-04 2005-07-0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649A (ja) * 1994-03-31 1995-10-17 Kobe Steel Ltd 乾式除湿装置
JPH08189667A (ja) * 1995-01-06 1996-07-23 Hitachi Ltd 除加湿装置
JPH09329371A (ja) * 1996-06-07 1997-12-22 Ebara Corp 空調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3064A (ko) 2006-12-22
EP1739371A4 (en) 2009-07-29
US8047014B2 (en) 2011-11-01
WO2005095874A1 (ja) 2005-10-13
AU2005227460B2 (en) 2008-10-30
AU2005227460A1 (en) 2005-10-13
US20070209385A1 (en) 2007-09-13
EP1739371A1 (en) 2007-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770B1 (ko) 조습장치
KR101075778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855446B1 (ko) 열교환기
KR100829678B1 (ko) 조습 장치
KR100659013B1 (ko) 조습 장치
JP4325716B2 (ja) 調湿装置
JP2006078108A (ja) 調湿装置
JP2005283071A (ja) 調湿装置
JP4165328B2 (ja) 調湿装置
JP2006023079A (ja) 調湿装置
JP3815485B2 (ja) 調湿装置
JP2014119180A (ja) 調湿装置
JP2006078171A (ja) 調湿装置
JP3742895B2 (ja) 調湿装置
JP2005283076A (ja) 調湿装置
JP3815486B2 (ja) 調湿装置
JP2017129317A (ja) 調湿装置
JP6048014B2 (ja) 調湿装置
JP2014119182A (ja) 調湿装置
JP5353977B2 (ja) 調湿装置
JP2005283045A (ja) 調湿装置
JP2005283044A (ja) 調湿装置
JP2017129319A (ja) 調湿装置
JP2004353989A (ja) 調湿装置
JP2005283047A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