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022B1 -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 - Google Patents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022B1
KR101447022B1 KR1020110133681A KR20110133681A KR101447022B1 KR 101447022 B1 KR101447022 B1 KR 101447022B1 KR 1020110133681 A KR1020110133681 A KR 1020110133681A KR 20110133681 A KR20110133681 A KR 20110133681A KR 101447022 B1 KR101447022 B1 KR 101447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unit
unit spaces
communicating
spac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6910A (ko
Inventor
이대영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33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022B1/ko
Publication of KR20130066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내부에 열물질 전달매체가 구비되는 챔버;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제1 급기유로 및 제1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제1 유로; 상기 챔버와 연통되고, 제2 급기유로 및 제2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제2 유로; 상기 제1 및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챔버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유로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유로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교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MASS EXCHANGER USING A FLOW PATH CHANGER}
본 발명은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두 개의 분리된 유로 사이에서 열 또는 물질을 교환하기 위한 물질 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여러 분야에서 에너지의 효율적 활용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여러 형태의 에너지 재활용 기기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에너지 재활용 기기에 널리 사용되는 장치 중 하나가 열 또는 물질을 교환할 수 있는 물질 교환기이다. 물질 교환기는 두 개의 물질 사이에서 열 또는 물질을 교환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물질 교환기가 사용되는 장치 중 하나가 제습기이다. 제습기는 공기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여 습도를 낮추는 용도로 사용되는 기기로서, 그 작동원리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제습기 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 흡착식 제습기에 사용되는 제습로터이다.
이러한 제습로터를 사용한 공기 조화 장치가 하기 D1에 개시되어 있다. D1을 살펴보면, 상기 제습로터는 두 개의 유로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나의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물질 또는 열을 다른 유로를 통과하는 유체로 전달하는데, 구체적으로 원통형의 지지부 및 그 내부에 장착되는 열물질 전달매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제습로터는 상기 열물질 전달매체의 표면에 흡착제를 도포하여 수분을 흡수하고 이를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환기 에너지 회수를 위하여 열을 전달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전열로터도 동일한 구조를 갖고 있다.
한편, 대용량 기기에서는 이러한 제습로터 또는 전열로터의 직경이 커져야 한다. 이렇게 직경이 커지게 되면, 그만큼 무게도 증가하여 회전에 필요한 구동력도 커지게 된다. 아울러, 구동축 및 소재에 걸리는 하중 및 전단력 등도 함께 커지게 되므로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로터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보강구조가 필요하게 되지만 이는 전열 또는 제습 면적의 감소를 야기시켜 성능의 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아울러, 제작방법도 복잡해지므로 제품의 단가도 상승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D1 :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05-0020116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열물질 전달매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될 수 있는 물질 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내부에 열물질 전달매체가 구비되는 챔버; 상기 챔버와 연통되는 제1 급기유로 및 제1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제1 유로; 상기 챔버와 연통되고, 제2 급기유로 및 제2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제2 유로; 상기 제1 및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챔버에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 유로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및 제2 유로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교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종래에 유로가 고정되고 열물질 교환기로서 사용되던 제습로터 또는 전열로터가 회전하는 것과는 달리, 열물질 전달매체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및 제2 유로가 선택적으로 상기 챔버와 연통되도록 하여 열물질 전달매체에 서로 다른 유로를 흐르는 유체가 순차적으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통해서, 열물질 전달매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수단을 생략할 수 있고, 열물질 전달매체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 구조가 최소화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열물질 전달매체를 대형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유로개폐수단은 상기 제1 급기유로 및 제1 배기유로를 동시에 개폐하도록 구성되므로 물리적으로는 두 개의 유로개폐수단이 구비되는 것이지만 항상 서로 동일하게 움직이거나 작동하게 되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유로개폐수단을 하나의 유로개폐수단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는 제2 유로개폐수단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 유로개폐수단은 상기 제1 급기유로, 제1 배기유로, 제2 급기유로 및 제2 배기유로에 각각 설치되는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 개의 패널을 의미하며, 각각의 패널의 각도에 따라서 유로가 완전히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부가 격판에 의해 2 개의 단위 공간으로 구획되는 챔버;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 내에 배치되는 2 개의 열물질 전달매체;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과 연통되는 제1 급기유로 및 제1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제1 유로;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과 연통되는 제2 급기유로 및 제2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제2 유로;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유로 또는 제2 유로와 연통시키는 두 개의 제1 유로개폐수단 및 제2 유로개폐수단;을 포함하고, 하나의 단위 공간이 제1 유로와 연통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단위 공간은 제2 유로와 연통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교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제1 및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2개의 단위 공간을 구비하도록 하여 열물질 전달매체에 대해서 양방향으로 열 또는 물질의 전달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즉, 하나의 단위 공간은 제1 유로와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단위 공간을 제2 유로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제습기의 경우 제습 및 재생이 각각의 단위 공간에서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급기유로 및 제2 배기유로 또는 제1 배기유로 및 제2 급기유로는 상기 챔버의 일단에 연결된 덕트를 구획하는 구획판에 의해 구획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챔버의 양측에 각각 하나씩의 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덕트의 내부를 구획판에 의해 구획하여 제1 급기유로와 제2 배기유로를 형성하거나, 제1 배기유로 및 제2 급기유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보다 간단한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격판과 상기 구획판이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 격판 및 구획판에 의해 정의되는 공간에 상기 제1 및 제2 유로개폐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단위 공간에 있어서 제1 유로개폐수단이 닫힌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 유로개폐수단이 개방되도록 하여, 하나의 단위 공간 내에서 두 개의 유로로부터 이송된 유체가 서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내부가 복수 개의 격판에 의해 복수 개의 단위 공간으로 구획되는 챔버;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 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물질 전달매체;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과 연통되는 제1 급기유로 및 제1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제1 유로;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과 연통되는 제2 급기유로 및 제2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제2 유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공간 각각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유로 또는 제2 유로와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제1 유로개폐수단 및 제2 유로개폐수단;을 포함하고, 하나의 단위 공간이 제1 유로와 연통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단위 공간은 제2 유로와 연통되고, 어느 하나의 단위 공간에서 제1 및 제2 유로 사이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단위 공간에서는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교환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상기 측면에서는 복수 개의 단위 공간을 갖도록 하되, 하나의 단위 공간에서 유로전환이 이루어지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단위 공간에서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유로전환 과정에서 유량 변동폭을 최소화하도록 하고 있다. 즉, 모든 단위 공간에서 유로전환이 동시에 이루어지면, 유로전환이 이루어지는 동안 유량이 순간적으로 감소하게 되나, 상기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단위 공간은 여전히 유로가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이러한 유량 감소폭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여기서,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단위 공간의 수와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위 공간의 수를 동일하게 또는 작게 하면 유량 감소폭을 더욱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단위 공간에서 유로 전환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유로와 연통된 단위 공간의 수와 제2 유로와 연통된 단위 공간의 수를 동일하게 하거나,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고, 운전조건에 따라서 임의로 가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의하면, 열물질 전달매체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유로만이 변경되므로 열물질 전달매체를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게 대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의 신뢰성 및 수명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두 개의 단위 공간을 갖되 하나의 단위 공간은 제1 유로와 연통되고 다른 하나의 단위 공간을 제2 유로와 연통되도록 함으로써, 연속적인 운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단위 공간을 갖도록 하되, 하나의 단위 공간에서 유로전환이 이루어지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단위 공간에서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유로전환 과정에서 유량 변동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안정적인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 교환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로가 전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댐퍼의 개폐 순서 및 그에 따른 유량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물질 교환기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댐퍼의 개폐 순서 및 그에 따른 유량 변화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질 교환기의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물질 교환기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로가 전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습장치를 대상으로 한 것이다. 상기 제습장치(100)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갖는 직사각형의 제1 및 제2 덕트(110, 120)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덕트 사이에 챔버(1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덕트 및 챔버를 구별하여 기재하고는 있으나, 이들은 별개의 구조물을 서로 접합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일체로 된 하나의 구조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덕트(110)의 내부에는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구획판(112)이 구비되어 내부가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측에 배치되는 공간은 상기 챔버(13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제1 급기유로(114)를 형성하고, 하측에 배치되는 공간은 상기 챔버(130)로부터 공기가 배기되는 제2 배기유로(116)를 형성한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제2 덕트(120)의 내부에 구비되는 구획판(122)에 의해 제1 배기유로(124) 및 제2 급기유로(126)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급기유로(114)를 통해 상기 챔버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제1 배기유로(124)를 통해 상기 덕트의 외측으로 배기되고, 상기 제2 급기유로(126)를 통해 챔버의 내부로 공급된 공기는 상기 제2 배기유로(116)를 통해 상기 덕트의 외측으로 배기된다. 즉, 상기 제1 급기유로-챔버-제1 배기유로에 의해 제1 유로가 형성되고, 제2 급기유로-챔버-제2 배기유로에 의해 제2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유로와 제2 유로 내부의 유체는 서로 역방향으로 흐르도록 배치된다.
상기 챔버(130)의 내부는 격판(132)에 의해, 제1 단위 공간(133) 및 제2 단위 공간(134)으로 나뉘어진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의 내부에는 열물질 교환기가 설치된다. 상기 열물질 교환기(140)는 상기 챔버(130)의 내벽에 고정되는 프레임(142)과 상기 프레임(142)의 내부에 고정되는 열물질 전달매체(144)를 포함한다. 상기 열물질 전달매체(144)의 표면에는 제습제가 코팅되어 그 표면을 통과하는 유체에 포함된 수분을 흡수하거나 유체로 수분을 방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유로 및 제2 유로와 상기 격판 및 구획판에 의해 총 4개의 공간이 정의되고, 이들 각각의 공간에 댐퍼(P1-I, P1-O, P2-I, P2-O, R1-I, R1-O, R2-I, R2-O)가 설치된다. 여기서, P로 시작되는 참조부호를 갖는 댐퍼들은 상기 제1 유로에, R로 시작되는 참조부호를 갖는 댐퍼들은 상기 제2 유로에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댐퍼들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 개의 패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패널은 도시되지 않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댐퍼, 예를 들어 P1-I, P1-O는 항상 함께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또한, 하나의 단위 공간은 상기 제1 유로 또는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거나 양자 모두와 차단될 수는 있으나 양자 모두와 동시에 연통되지는 않는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서 상기 제1 유로를 통해서는 제습 대상인 공기가 유입되고, 제2 유로를 통해서는 상기 열물질 교환기를 재생하기 위한 고온의 재생공기가 유입된다. 도 1에서 상기 단위 공간(134)으로는 제습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단위 공간(133)으로는 재생공기가 유입된다. 이를 위해서 P1-I 및 P1-O가 개방되고, P2-I 및 P2-O는 폐쇄되며, R1-I 및 R1-O는 폐쇄되고, R2-I 및 R2-O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급기유로(114)를 통해 단위 공간(134)으로 유입된 제습공기는 상기 열물질 교환기(140)를 통과하면서 제습이 이루어진 후 상기 제1 배기유로(124)를 통해 배기된다.
한편, 상기 단위공간(133)은 상기 단위공간(134)과는 반대로 제2 유로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급기유로(126)를 통해 유입된 고온의 재생공기는 이전 단계에서 열물질 교환기의 표면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시켜 재생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2 배기유로(116)를 통해 배기된다.
그 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의 개폐상태가 전환된다. 즉, 상기 단위 공간(134)은 제2 유로와 연통되어 재생공기가 유입되고 이를 통해 이전 단계에서 흡수된 수분이 증발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단위 공간(133)은 제1 유로와 연통되어 제습공기가 유입되므로 수분이 흡수되면서 제습이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전환과정에서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133, 134) 내에서 제습 공기 및 재생 공기의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모든 댐퍼가 폐쇄된 상태가 소정 시간 동안 유지된다.
상술한 과정을 반복하면서, 두 개의 단위 공간을 통해서 제습 및 재생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연속적인 운전이 가능해지고, 상기 열물질 교환기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열물질 교환기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장치나 열물질 교환기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재 등이 불필요해지게 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유로와 제2 유로 사이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는 각각의 유로와의 연통되는 면적이 작아져 전환 과정 동안에는 유량이 일시적으로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즉, 도 3에서 점선으로 표시되는 공기의 유량이 유로 전환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0이 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연속적인 동작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 단위 공간의 수를 더욱 늘리는 예를 고려할 수 있다. 도 4는 단위 공간의 수를 더욱 늘린 본 발명에 따른 물질 교환기의 제2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유량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실시예는 상기 제1 실시예 2개를 나란히 늘어놓은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제2 실시예에는 상기 제1 유로 및 제2 유로와 상기 격판 및 구획판에 의해 총 8개의 공간이 정의되고, 이들 각각의 공간에 댐퍼(P1-I, P1-O, P2-I, P2-O, P3-I, P3-O, P4-I, P4-O, R1-I, R1-O, R2-I, R2-O, R3-I, R3-O, R4-I, R4-O)가 설치된다. 여기서, P로 시작되는 참조부호를 갖는 댐퍼들은 상기 제1 유로에, R로 시작되는 참조부호를 갖는 댐퍼들은 상기 제2 유로에 배치된다.
상기 각각의 댐퍼들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복수 개의 패널을 포함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패널은 도시되지 않은 액츄에이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댐퍼, 예를 들어 P1-I, P1-O는 항상 함께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또한, 하나의 단위 공간은 상기 제1 유로 또는 제2 유로 중 어느 하나와 연통되거나 양자 모두와 차단될 수는 있으나 양자 모두와 동시에 연통되지는 않는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2 실시예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유로를 통해서는 제습 대상인 공기가 유입되고, 제2 유로를 통해서는 상기 열물질 교환기를 재생하기 위한 고온의 재생공기가 유입된다. 도 4에서 상기 단위 공간(134)으로는 제습공기가 유입되고, 상기 단위 공간(133)으로는 재생공기가 유입된다. 이를 위해서 P1-I, P1-O, P3-I, P3-O가 개방되고, P2-I, P2-O, P4-I, P4-O는 폐쇄되며, R1-I, R1-O, R3-I, R3-O는 폐쇄되고, R2-I, R2-O, R4-I, R4-O는 개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급기유로(114)를 통해 두 개의 단위 공간(134)으로 유입된 제습공기는 상기 열물질 교환기(140)를 통과하면서 제습이 이루어진 후 상기 제1 배기유로(124)를 통해 배기된다.
한편, 상기 두 개의 단위공간(133)은 상기 단위공간(134)과는 반대로 제2 유로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급기유로(126)를 통해 유입된 고온의 재생공기는 이전 단계에서 열물질 교환기의 표면에 흡수된 수분을 증발시켜 재생과정을 수행한 후 상기 제2 배기유로(116)를 통해 배기된다.
그 후, 상기 댐퍼의 개폐상태가 전환된다. 그러나, 모든 댐퍼가 일시에 개폐상태가 변환되는 것이 아니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1-I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고, P3-I만 개방상태에서 폐쇄상태로 전환한다. 그리고, P3-I가 완전히 폐쇄된 후, P4-I가 개방되기 시작한다. 제2 유로측에서도, R2-I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R4-I는 폐쇄되고, R4-I가 완전히 폐쇄된 후 R3-I가 개방되기 시작한다. 물론, 이러한 댐퍼 전환 과정에서 대향하는 두 개의 댐퍼는 항상 함께 개방되거나 폐쇄된다.
소정 시간 경과 후, 이번에는 P1-I 및 R2-I가 폐쇄되고, 이들이 완전히 폐쇄된 후 P2-I 및 R1-I가 개방되기 시작한다. 이렇게, 상기 제2 실시예에서는 어느 경우에도 대향하는 한 쌍의 댐퍼는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되며, 이를 통해서 유량이 0이 되지 않도록 한다. 이로 인해서,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되는 유량의 변화폭이 상기 제1 실시예에 비해서 작아지므로 보다 안정적이고 연속적인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내부가 복수 개의 격판에 의해 복수 개의 단위 공간으로 구획되는 챔버;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 내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열물질 전달매체;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과 연통되는 제1 급기유로 및 제1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제1 유로;
    상기 각각의 단위 공간과 연통되는 제2 급기유로 및 제2 배기유로를 포함하는 제2 유로;
    상기 복수 개의 단위 공간 각각을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유로 또는 제2 유로와 연통시키는 복수 개의 제1 유로개폐수단 및 제2 유로개폐수단;을 포함하고,
    하나의 단위 공간이 제1 유로와 연통된 상태에서 다른 하나의 단위 공간은 제2 유로와 연통되고,
    어느 하나의 단위 공간에서 제1 및 제2 유로 사이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동안 적어도 하나의 단위 공간에서는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교환기.
  9. 제8항에 있어서,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는 단위 공간의 수와 유로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는 단위 공간의 수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교환기.
  10. 제8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단위 공간에서 유로 전환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교환기.
  11. 제8항에 있어서,
    제1 유로와 연통된 단위 공간의 수와 제2 유로와 연통된 단위 공간의 수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교환기.
  12. 제8항에 있어서,
    제1 유로와 연통된 단위 공간의 수와 제2 유로와 연통된 단위 공간의 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교환기.
  13. 제8항에 있어서,
    제1 유로와 연통된 단위 공간의 수와 제2 유로와 연통된 단위 공간의 수는 운전조건에 따라서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질 교환기.
KR1020110133681A 2011-12-13 2011-12-13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 KR101447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681A KR101447022B1 (ko) 2011-12-13 2011-12-13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681A KR101447022B1 (ko) 2011-12-13 2011-12-13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910A KR20130066910A (ko) 2013-06-21
KR101447022B1 true KR101447022B1 (ko) 2014-10-08

Family

ID=48862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681A KR101447022B1 (ko) 2011-12-13 2011-12-13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6154B1 (ko) * 2015-07-15 2017-06-1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기조화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9767A (ja) 2003-06-19 2005-01-13 Daikin Ind Ltd 調湿装置
KR20060133064A (ko) * 2004-03-31 2006-12-22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조습장치
KR20100051874A (ko) * 2007-10-05 2010-05-18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조습장치 및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09767A (ja) 2003-06-19 2005-01-13 Daikin Ind Ltd 調湿装置
KR20060133064A (ko) * 2004-03-31 2006-12-22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조습장치
KR20100051874A (ko) * 2007-10-05 2010-05-18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조습장치 및 환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910A (ko) 201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48259B1 (en) Adsorption heat exchanger
JP5885781B2 (ja) 除湿装置および除湿システム
AU2002318753B2 (en) Air conditioning device
JP4824519B2 (ja) 熱交換器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装置
US20150362202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JP2006125824A (ja) 換気装置
WO2019069579A1 (ja) 調湿装置
JP6376890B2 (ja) デシカントブロック装置およびデシカント空気調和機
KR102289482B1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1197822B1 (ko) 조습 시스템
JP2003097825A (ja) 空気調和装置
KR101207947B1 (ko) 제습 냉방 장치
KR101447022B1 (ko)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
AU2004264477B2 (en) Humidity control device
JPH07163830A (ja) 乾式除湿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空調設備
JP2010151404A (ja) 粉粒体材料の除湿乾燥装置、及び粉粒体材料の除湿乾燥方法
JP5241693B2 (ja) デシカントシステム
JP6443964B2 (ja) 調湿ユニット
JP2010167178A (ja) 洗濯乾燥機
JP6559055B2 (ja) デシカント調湿装置
JP5510568B2 (ja) 調湿ユニット及び調湿装置
JP2005140372A (ja) 空気調和装置
JP6754578B2 (ja) 除湿システム
KR20100060500A (ko) 제습 냉방 장치
JP2001246220A (ja) 除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