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1874A - 조습장치 및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조습장치 및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1874A
KR20100051874A KR1020107007736A KR20107007736A KR20100051874A KR 20100051874 A KR20100051874 A KR 20100051874A KR 1020107007736 A KR1020107007736 A KR 1020107007736A KR 20107007736 A KR20107007736 A KR 20107007736A KR 20100051874 A KR20100051874 A KR 20100051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asing
port
heat exchanger
out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0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4556B1 (ko
Inventor
도모히로 야부
야스노부 오꾸무라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624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3257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62463A external-priority patent/JP4306780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51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1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4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4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0Further details for adsorption processes and devices
    • B01D2259/40083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 B01D2259/40088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 B01D2259/40092Regeneration of adsorbents in processes other than pressure or temperature swing adsorption by heating using hot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케이싱 내에는, 수분을 흡착하는 흡착부재와, 흡착부재의 흡착제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기 위한 열매체 회로를 유지하는 유지부재가 구비된다. 유지부재는 흡착부재 및 열매체 회로를 일체적으로 유지하면서 케이싱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조습장치 및 환기장치{HUMIDITY CONTROL DEVICE AND VENTILATION DEVICE}
본 발명은 흡착부재에 부착되고 유지되는 흡착제를 이용하여 실내를 조습하는 조습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조습장치의 보수점검성 향상대책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내를 조습하는 조습장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1(일본 특허공개 2007-10231호 공보)에는 흡착열교환기를 구비한 조습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조습장치는 편평한 케이싱을 구비하며, 케이싱 내부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케이싱의 한쪽 측면에는 실외흡입구 및 실내흡입구가 형성되며, 다른 쪽 측면에는 실외배기구 및 실내급기구가 형성된다. 이들 4개의 개구에는 각각 공기가 흐르는 덕트가 접속된다. 또 케이싱 내에는 압축기와 2개의 흡착열교환기가 접속된 냉매회로가 형성된다. 냉매회로는 열매체 유체로서의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 사이클을 실행하는 열매체 회로를 구성한다. 상기 2개의 흡착열교환기는, 열교환기(흡착부재) 표면에 수분을 흡착 및 탈착시키기 위한 흡착제가 각각 부착되고 유지되며, 상기 냉매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 또는 냉각되도록 구성된다. 이들 흡착열교환기는 케이싱 내에 구획된 2개의 조습실 내에 각각 수납된다.
특허문헌1의 조습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환기제습운전이 행해진다. 이 환기제습운전에서는 한쪽 흡착열교환기가 응축기(방열기)가 되며, 다른 쪽 흡착열교환기가 증발기가 된다. 실외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2개 조습실 중 한쪽을 흐르고 증발기 쪽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다. 그 결과, 이 공기 중 수분이 흡착열교환기의 흡착제에 흡착되어 공기가 제습된다. 이때, 흡착제에 의한 수분의 흡착열은, 흡착열교환기를 흐르는 냉매의 증발열로서 이용된다. 제습된 공기는 실내급기구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이로써 실내 제습이 이루어진다. 또 실내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다른 쪽 조습실의 흡착열교환기를 통과한다. 이 흡착열교환기에서는 냉매의 응축열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되고,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탈착)된다. 그 결과, 이 흡착열교환기에 부착 유지되어 있는 흡착제가 재생된다. 흡착열교환기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된 공기는 실외배기구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또 특허문헌2(일본 특허공개 평성 06-257817호 공보)에는 열교환 소자(element)를 구비한 환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환기장치는, 천장에 매입되는 케이싱을 구비하며, 케이싱 내부에는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케이싱에는, 상기 특허문헌1과 마찬가지로, 실외흡입구, 실내흡입구, 실외배기구, 및 실내급기구가 형성되며, 이들 4개의 개구에는 각각 덕트가 접속된다. 또 공기통로에는 열교환 소자가 배치된다. 이 열교환 소자는, 공기가 흐르는 2개의 유로가 서로 직교하는 직교류형 열교환기를 구성한다.
특허문헌2의 환기장치의 운전에서는, 실외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 소자의 제 1 유로를 흐른다. 또 실내흡입구로부터 흡입된 공기가 열교환 소자의 제 2 유로를 흐른다. 열교환 소자에서는, 제 1 유로를 흐르는 실외공기와 제 2 유로를 흐르는 실내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또 열교환 소자에서는, 실외공기와 실내공기 사이에서 수분 수수도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하여 열교환 소자의 제 1 유로에서 습도나 온도가 조절된 실외공기는 실내급기구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또 열교환 소자의 제 2 유로를 통과한 실내공기는 실외배기구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1에 개시된 조습장치의 케이싱 내에는 흡착열교환기나 압축기 등이 수납된다. 한편, 종래에는 이들 흡착열교환기나 압축기 등의 보수점검을 실시할 때, 흡착열교환기나 압축기를 케이싱 외부로 개별로 분리시켰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점검작업에서는, 이들 기기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냉매배관 등을 일단 분리하고, 대상이 될 기기를 케이싱 외부로 꺼낼 필요가 있었다. 그 결과, 보수점검업자들에 의한 각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이 번잡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흡착부재에 부착 유지된 흡착제에 의해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조습장치에 있어서, 보수점검성 향상을 도모하는 데 있다.
제 1 발명은, 수분 흡착이 가능한 흡착제가 부착되고 유지되는 흡착부재(14, 15, 80)와, 이 흡착부재(14, 15, 80)의 흡착제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열매체 유체가 흐르는 열매체 회로(11)가 수납되는 케이싱(20)을 구비하며, 공기를 상기 흡착부재(14, 15, 80)의 흡착제와 접촉시키고 이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조습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 조습장치는 상기 흡착부재(14, 15, 80) 및 상기 열매체 회로(11)를 일체적으로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20) 외부로 인출 가능한 유지부재(5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발명에서는, 케이싱(20) 내에 흡착부재(14, 15, 80)와 열매체 회로(11)가 수납된다. 케이싱(20) 내에 도입된 공기는 흡착부재(14, 15, 80)를 통과한다. 여기서 열매체 회로(11)의 열매체 유체에 의해 흡착부재(14, 15, 80)의 흡착제가 가열되는 경우, 흡착제에 흡착된 수분이 탈리되어 공기 중에 부여된다. 그 결과, 공기가 가습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습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실내 가습이 이루어진다. 또 열매체 회로(11)의 열매체 유체에 의해 흡착부재(14, 15, 80)의 흡착제가 냉각되는 경우,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됨과 더불어, 이때 발생하는 흡착열이 열매체 유체에 부여된다. 그 결과, 공기가 제습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습된 공기가 실내로 공급됨으로써, 실내 제습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흡착부재(14, 15, 80)와 열매체 회로(11)가 유지부재(50)에 의해 일체적으로 유지된다. 이로써, 보수점검업자 등이, 유지부재(50)를 케이싱(20)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흡착부재(14, 15, 80) 및 열매체 회로(11)를 케이싱(20) 외부로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열매체 회로(11)를 구성하기 위한 배관도 일체로 인출되므로, 종래 예와 같이, 이들 배관을 일단 분리하거나 다시 접속하는 작업도 필요 없게 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회로는, 압축기(12)가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열매체 유체로서의 냉매가 순환되어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는 냉매회로(11)로 구성되며, 상기 유지부재(50)에는 상기 압축기(12)를 포함한 냉매회로(11)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2 발명에서는 상기 열매체 회로가 냉매회로(11)로 구성된다. 즉, 냉매회로(11)에서는 압축기(12)에서 냉매가 압축되면서 냉동 사이클이 수행된다. 흡착부재(14, 15, 80)에 부착 유지된 흡착제는 고압의 냉매에 의해 가열되거나 저압의 냉매에 의해 냉각됨으로써, 수분의 흡착 및 탈착을 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유지부재(50)에는 흡착부재(14, 15, 80)에 더불어 상기 압축기(12)가 유지된다. 이로써, 보수점검업자 등이, 유지부재(50)를 케이싱(20)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흡착부재(14, 15, 80) 및 압축기(12)를 케이싱(20)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이때, 열매체 회로(11)를 구성하기 위한 냉매배관도 일체로 인출되므로, 종래 예와 같이, 이들 냉매배관을 일단 분리하거나 다시 접속하는 작업도 필요 없게 된다.
제 3 발명은, 제 2 발명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냉매회로(11)에 접속되는 열교환기의 표면에 흡착제가 부착되고 유지되는 흡착열교환기(14, 15)로 구성되며, 상기 유지부재(50)에는 상기 흡착열교환기(14, 15)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3 발명에서는 흡착부재(14, 15, 80)가 흡착열교환기(14, 15)로 구성된다. 흡착열교환기(14, 15)에서 냉매가 응축(방열)함으로써, 흡착열교환기(14, 15)의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된다. 또 흡착열교환기(14, 15)에서 냉매가 증발함으로써, 흡착열교환기(14, 15)의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냉각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유지부재(50)에는 상기 흡착열교환기(14, 15)와 상기 압축기(12)를 포함한 냉매회로(11)가 유지된다. 이로써, 보수점검업자 등이, 유지부재(50)를 케이싱(20)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흡착열교환기(14, 15) 및 압축기(12)를 케이싱(20) 외부로 꺼낼 수 있다. 이때, 냉매회로(11)를 구성하기 위한 냉매배관도 일체로 인출되므로, 종래 예와 같이, 이들 냉매배관을 일단 분리하거나 다시 접속하는 작업도 필요 없게 된다.
제 4 발명은, 제 3 발명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 내에는 상기 흡착열교환기(14, 15) 및 상기 압축기(12)가 수납됨과 더불어, 이 흡착열교환기(14, 15)의 흡착제와 접촉하는 공기가 유통하는 조습실(65, 66)이 형성되며, 상기 유지부재(50)는 상기 조습실(65, 66)에 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착열교환기(14, 15) 및 상기 압축기(12)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4 발명에서는 케이싱(20) 내 조습실(65, 66)에 흡착열교환기(14, 15)와 압축기(12)가 수납된다. 이로써, 압축기(12)의 수납공간을 별도 구성하는 경우에 비해, 케이싱(20)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유지부재(50)는 상기 조습실(65, 66)에 임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흡착열교환기(14, 15) 및 상기 압축기(12)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보수점검업자 등이, 유지부재(50)를 케이싱(20) 외부로 인출함으로써 흡착열교환기(14, 15) 및 압축기(12)를 케이싱(20) 외부로 쉽게 꺼낼 수 있다.
제 5 발명은, 제 1 내지 제 4 발명 중 어느 하나의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 상면에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착부재(14, 15, 80)로 공급하기 위한 실외흡입구(31)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착부재(14, 15, 80)로 공급하기 위한 실내흡입구(32)와, 상기 흡착부재(14, 15, 80)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실내급기구(34)와, 상기 흡착부재(14, 15, 80)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배기구(33)가 형성되며, 상기 유지부재(50)는 상기 케이싱(20) 앞면 쪽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5 발명에서는, 케이싱(20)에 실외흡입구(31), 실내흡입구(32), 실외배기구(33) 및 실내급기구(34)가 형성된다. 이로써, 실외흡입구(31)로부터 케이싱(20) 내로 도입한 공기를 흡착부재(14, 15, 80)에서 조습한 후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실내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로 도입한 공기를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하는 운전(이른바, 환기운전)이 가능해진다. 또 실내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로 도입한 공기를 흡착부재(14, 15, 80)에서 조습한 후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실외흡입구(31)로부터 케이싱(20) 내로 도입한 공기를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하는 운전(이른바, 순환운전)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외흡입구(31), 실내흡입구(32), 실외배기구(33) 및 실내급기구(34)가 모두 케이싱(20) 상면에 형성된다. 이로써, 이 조습장치를 바닥면에 설치한 경우에, 이들 4개의 개구(31, 32, 33, 34)에 접속되는 덕트를 천장 쪽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조습장치의 수평방향 둘레로 덕트가 설치되어 버리는 일이 없으므로, 조습장치의 설치공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유지부재(50)는 케이싱(20) 앞면 쪽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로써, 이 조습장치를 반침(closet) 등 수납공간에 배치했다 하더라도, 그 앞면(반침의 개방면) 쪽에서 유지부재(50)를 인출하여, 흡착부재(14, 15, 80)나 열매체 회로(11)를 케이싱(20)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제 6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은, 실외공간과 이어지는 실외흡입구(31) 및 실외배기구(33)와, 실내공간과 이어지는 실내흡입구(32) 및 실내급기구(34)가 이 케이싱(20)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열매체 회로(11)는, 상기 케이싱(20)에 수납되고 상기 흡착제가 부착되고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재로서의 흡착열교환기(14, 15)가 접속되며, 상기 열매체 유체에 의해 흡착열교환기(14, 15)의 흡착제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상기 실외흡입구(31) 및 상기 실내흡입구(32)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 어느 한쪽 공기를 상기 흡착열교환기(14, 15)의 흡착제와 접촉시키고 조습한 후 상기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하며, 다른 쪽 공기를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6 발명에서는, 실외흡입구(31) 및 실내흡입구(32)에 흡입된 공기 중 한쪽 공기가 흡착열교환기(14, 15)에 의해 조습되고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되며, 다른 쪽 공기가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그 결과, 실내의 제습이나 가습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제습운전에서는, 열매체 회로(11)를 흐르는 열매체 유체에 의해 흡착열교환기(14, 15)의 흡착제가 냉각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의 흡착열교환기(14, 15)를 공기가 통과하면, 공기 중 수분이 흡착열교환기(14, 15)의 흡착제에 흡착됨과 더불어, 이때 발생하는 흡착열이 열매체에 흡열된다. 그 결과 흡착열교환기(14, 15)에 의해 공기가 제습된다. 또 예를 들어 가습운전에서는, 열매체 회로(11)를 흐르는 열매체 유체에 의해 흡착열교환기(14, 15)의 흡착제가 가열되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의 흡착열교환기(14, 15)를 공기가 통과하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그 결과 흡착열교환기(14, 15)에 의해 공기가 가습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외흡입구(31), 실외배기구(33), 실내흡입구(32) 및 실내급기구(34)가 모두 케이싱(20) 상면에 형성된다. 이로써, 이들 각 흡입구(31, 32)나 각 급배기구(33, 34)에 접속되는 덕트를 천장 쪽으로 연장함으로써, 이 조습장치의 수평방향 설치공간을 필요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 7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회로(11)에는 복수의 흡착열교환기(14, 15)가 접속되며, 상기 케이싱(20) 내에는, 상기 흡착열교환기(14, 15)가 각각 수납되는 복수의 조습실(65, 66)이 상하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7 발명에서는 열매체 회로(11)에 복수의 흡착열교환기(14, 15)가 접속된다. 또 케이싱(20) 내에는 복수의 조습실(65, 66)이 형성되며, 각 조습실(65, 66)에 각각 복수의 흡착열교환기(14, 15)가 수납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이들 조습실(65, 66)이 상하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싱(20)이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길어지는 한편, 이 케이싱(20)의 수평방향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조습장치의 수평방향 설치공간이 더욱 작아진다.
제 8 발명은, 제 6 또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 내에는, 상기 흡착열교환기(14, 15)가 수납되는 조습실(65, 66)을 구획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또 상기 조습실(65, 66)과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하는 복수의 유통구(71∼78)가 개구됨과 더불어, 상기 각 유통구(71∼78)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댐퍼(D1∼D8)를 갖는 구획판(44, 45)이 설치되며, 이 구획판(44, 45)이 조습실(65, 66)의 측면 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8 발명에서는 조습실(65, 66)을 구획하기 위한 구획판(44, 45)이 설치된다. 구획판(44, 45)에는 복수의 유통구(71∼78)가 형성됨과 더불어, 각 유통구(71∼78)를 개폐하는 댐퍼(D1∼D8)가 배치된다. 각 댐퍼(D1∼D8)에 의해 각 유통구(71∼78)의 개폐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조습실(65, 66)이 개폐되고, 이로써 케이싱(20) 내 공기 흐름이 변경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구획판(44, 45)이 조습실(65, 66) 측면 쪽에 형성된다. 이로써, 조습실(65, 66)에서 공기 중 수분이 결로되어 적하되었다 하더라도, 이 수분이 구획판(44, 45)에 부착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폐쇄상태인 유통구(71∼78)와 댐퍼(D1∼D8)의 틈새로부터 물이 누출되어 버리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제 9 발명은,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에는, 이 케이싱(20) 본체부(21)의 앞쪽에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는 앞면 커버(22)가 장착되며, 상기 구획판(44, 45)은, 상기 조습실(65, 66의) 좌우방향 측면 쪽에 형성됨과 더불어, 전후방향으로 진퇴 자유롭게 구성되어 상기 케이싱 본체부(21) 앞쪽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9 발명에서는, 케이싱 본체부(21) 앞쪽에 앞면 커버(22)가 탈착 자유롭게 장착된다. 또 구획판(44, 45)은 조습실(65, 66)의 좌우방향 측면 쪽에 형성되며, 전후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된다.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22)를 분리한 상태에서 구획판(44, 45)을 앞쪽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앞면 커버(22)가 케이싱 본체부(21) 앞쪽으로부터 인출된다. 이와 같이 구획판(44, 45)을 케이싱(20)으로부터 인출시킴으로써, 구획판(44, 45) 댐퍼(D1∼D8) 등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10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팬(30)과, 상기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29)이, 상기 흡착열교환기(14, 15)가 수납되는 조습실(65, 66)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0 발명에서는 급기팬(30)과 배기팬(29)이 조습실(65, 66) 상측에 배치된다. 이로써, 급기팬(30)으로부터 실내급기구(34)까지의 거리나, 배기팬(29)으로부터 실외배기구(33)까지의 거리가 짧아진다. 따라서 급기팬(30)이나 배기팬(29)의 통풍 저항을 작게 할 수 있으며, 이들 팬(29, 30)의 동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 11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회로는, 압축기(12)가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열매체 유체로서의 냉매가 순환되어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는 냉매회로(11)로 구성되며, 상기 압축기(12)가, 상기 흡착열교환기(14, 15)가 수납되는 조습실(65, 66)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1 발명에서는, 비교적 무거운 압축기(12)가 조습실(65, 66) 하측에 배치된다. 이로써, 조습장치의 무게중심이 하측부근이 되므로, 조습장치를 안정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다.
제 12 발명은, 제 6 내지 제 11 발명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에는, 이 케이싱(20) 본체부(21)의 앞쪽에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는 앞면 커버(22)가 장착되며, 상기 열매체 회로는, 압축기(12)가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열매체 유체로서의 냉매가 순환되어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는 냉매회로(11)로 구성되고, 상기 흡착열교환기(14, 15)와, 상기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팬(30)과, 상기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29)과, 상기 압축기(12)와, 상기 실외흡입구(31) 및 상기 실내흡입구(32)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 한쪽 또는 양쪽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하는 필터(36, 37)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케이싱 본체부(21)의 앞쪽에서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2 발명에서는 케이싱 본체부(21)의 앞쪽에 앞면 커버(22)가 탈착 자유롭게 장착된다.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22)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흡착열교환기(14, 15), 급기팬(30), 배기팬(29), 압축기(12) 및 필터(36, 37)가 케이싱 본체부(21) 앞쪽에서 인출된다. 이로써 각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13 발명은, 제 6 발명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20)에는, 이 케이싱(20) 본체부(21)의 앞쪽에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는 앞면 커버(22)가 장착되며, 상기 케이싱(20) 상면에는, 이 케이싱(20)의 앞쪽 부근에 상기 실외흡입구(31) 및 상기 실내흡입구(32)가 배치되며, 케이싱(20)의 뒤쪽부근에 상기 실외배기구(33) 및 상기 실내급기구(34)가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31) 하측에는, 이 실외흡입구(31)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 본체부(21)의 앞쪽에서 분리 가능한 제 1 필터(36)가 배치되며, 상기 실내흡입구(32) 하측에는, 이 실내흡입구(32)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 본체부(21) 앞쪽에서 분리 가능한 제 2 필터(3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 13 발명에서는 공기를 도입하기 위한 실외흡입구(31) 및 실내흡입구(32)가 케이싱(20) 앞쪽 부근에 배치된다. 그리고 실외흡입구(31) 하측에 제 1 필터(36)가, 실내흡입구(32) 하측에 제 2 필터(37)가 각각 배치된다.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22)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제 1 필터(36)나 제 2 필터(37)가 케이싱(20) 앞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들은 이들 필터(36, 37)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보수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4 발명은, 실외공간과 이어지는 실외흡입구(31) 및 실외배기구(33)와, 실내공간과 이어지는 실내흡입구(32) 및 실내급기구(34)가 형성되는 케이싱(20)과, 이 케이싱(20) 내 공기통로에 배치되어 공기를 조화하는 공조수단(91, 92)을 구비하며, 상기 실외흡입구(31)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공조수단(91, 92)에서 공조한 후 상기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하고, 상기 실내흡입구(32)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이 환기장치는 상기 실외흡입구(31), 상기 실외배기구(33), 상기 실내흡입구(32) 및 상기 실내급기구(34)가 상기 케이싱(20)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20)에는, 이 케이싱(20) 본체부(21) 앞쪽에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는 앞면 커버(22)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20) 상면에는, 이 케이싱(20)의 앞쪽부근에 상기 실외흡입구(31) 및 상기 실내흡입구(32)가 배치되며, 케이싱(20)의 뒤쪽부근에 상기 실외배기구(33) 및 상기 실내급기구(34)가 배치되며, 상기 실외흡입구(31) 하측에는, 이 실외흡입구(31)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 본체부의 앞쪽에서 인출 가능한 제 1 필터(36)가 배치되고, 상기 실내흡입구(32) 하측에는, 이 실내흡입구(32)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 본체부(21)의 앞쪽에서 인출 가능한 제 2 필터(37)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공조수단"은, 공기의 온도조절과 습도조절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을 수행하여 공기를 조화한다.
제 14 발명의 환기장치에서는, 실외흡입구(31)로부터 흡입된 실외공기가 공조수단(91, 92)에서 공조된 후,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또 실내흡입구(32)로부터 흡입된 실내공기는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이 이 환기장치는 실내 환기를 수행함과 동시에 실내를 공조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실외흡입구(31) 및 실내흡입구(32)가 케이싱(20) 앞쪽부근에 배치된다. 그리고 실외흡입구(31) 하측에 제 1 필터(36)가, 실내흡입구(32) 하측에 제 2 필터(37)가 각각 배치된다.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22)를 분리한 상태에서는, 제 1 필터(36)나 제 2 필터(37)가 케이싱(20) 앞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사용자들은 이들 필터(36, 37)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보수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공기를 조습하기 위한 흡착부재(14, 15, 80)와, 이 흡착부재(14, 15, 80)의 흡착제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열매체 유체가 흐르는 열매체 회로(11)를 유지부재(50)에 일체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여, 이 유지부재(50)를 케이싱(50)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하면, 보수점검업자들에 의해, 유지부재(50)를 인출하는 것만으로 흡착부재(14, 15, 80) 및 열매체 회로(11)를 케이싱(20) 외부로 꺼낼 수 있으며, 흡착부재(14, 15, 80)나 열매체 회로(11) 에 접속되는 각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유지부재(50)를 인출할 때, 열매체 회로(11)를 구성하기 위한 배관의 분리작업이나 접속작업도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이 조습장치의 보수점검성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 제 2 발명에서는, 압축기(12)를 포함한 냉매회로(11)를 유지부재(50)에 유지시킴으로써, 냉매배관의 분리작업이나 접속작업의 필요 없이, 흡착부재(14, 15, 80)나 압축기(12) 등 구성부품을 케이싱(20)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 제 3 발명에서는, 흡착부재를 흡착열교환기(14, 15)로 구성하여 유지부재(50)에 유지시킴으로써, 냉매배관의 분리작업이나 접속작업의 필요 없이, 흡착열교환기(14, 15)나 압축기(12) 등 구성부품을 케이싱(20)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제 4 발명에 의하면, 흡착열교환기(14, 15)가 수납되는 조습실(65, 66) 내에 압축기(12)를 배치함으로써, 압축기(12) 수납공간의 삭감, 나아가 케이싱(20)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압축기(12) 및 흡착열교환기(14, 15)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워지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에 의해, 압축기(12) 및 흡착열교환기(14, 15)를 유지부재(50)에 유지시켜 일체적으로 인출할 수 있다.
또 제 5 발명에서는, 실외흡입구(31), 실외배기구(33), 실내흡입구(32) 및 실내급기구(34)를 케이싱(20) 상면에 형성하므로, 이 조습장치를 바닥면에 설치하여, 각 흡입구(31, 32)나 각 급배기구(33, 34)와 접속되는 덕트를 위쪽(천장측)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바닥면에 설치한 조습장치의 수평방향 둘레로 덕트가 설치되는 일이 없으므로, 조습장치의 수평방향 설치공간을 대폭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조습장치를 예를 들어 반침의 내부 등 제한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조습장치를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천장매입형 조습장치에 비해,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보수점검도 간단하게 된다.
그리고 제 5 발명에서는 유지부재(50)를 케이싱(20) 앞면 쪽에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므로, 조습장치를 반침 등 수납공간에 배치했다 하더라도, 반침 개방면으로부터 유지부재(50)를 인출하여, 흡착부재(14, 15, 80)나 열매체 회로(11)의 보수점검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6 발명에서는 실외흡입구(31), 실외배기구(33), 실내흡입구(32)및 실내급기구(34)를 케이싱(20) 상면에 형성하므로, 이 조습장치를 바닥면에 설치하여, 각 흡입구(31, 32)나 각 급배기구(33, 34)와 접속시킬 덕트를 위쪽(천장측)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이로써, 바닥면에 설치한 조습장치의 수평방향 둘레로 덕트가 설치되는 일이 없으므로, 조습장치의 수평방향 설치공간을 대폭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조습장치를 예를 들어 반침의 내부 등 제한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조습장치를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천장매입형 조습장치에 비해,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보수점검도 간단하게 된다.
특히 제 7 발명에서는 복수의 흡착열교환기(14, 15)가 수납되는 조습실(65, 66)을 상하로 배열하므로, 케이싱(20)이 수평방향으로 대형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조습장치의 수평방향 설치공간을 더욱 축소시킬 수 있다.
또 제 8 발명에서는 조습실(65, 66)을 구획함과 더불어 복수의 댐퍼(D1∼D8)를 갖는 구획판(44, 45)을 조습실(65, 66) 측면 쪽에 형성한다. 이로써, 조습실(65, 66)에서 결로된 수분이 댐퍼(D1∼D8)를 통해 조습실(65, 66) 외측으로 누출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가령 조습실(65, 66) 하측에 상기 구획판(44, 45)을 설치하면, 흡착열교환기(14, 15) 하측에서 결로수를 받기 위한 드레인팬과, 구획판(44, 45)의 댐퍼(D1∼D8)가 서로 간섭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구획판(44, 45)을 조습실(65, 66) 측면 쪽에 설치함으로써, 흡착열교환기(14, 15) 하측에 상기 드레인팬의 설치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제 9 발명에서는, 구획판(44, 45)을 조습실(65, 66)의 좌우방향 측면 쪽에 형성하며, 전후로 진퇴 가능하게 구성한다. 따라서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22)를 분리한 상태에서 구획판(44, 45)을 앞쪽으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으며, 복수 댐퍼(D1∼D8)의 보수점검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제 10 발명에서는 급기팬(30)이나 배기팬(29)이 실외흡입구(31)나 실내흡입구(32)로부터 비교적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이들 팬(29, 30)을 조습실(65, 66) 상측에 배치한다. 따라서 급기팬(30)이나 배기팬(29)의 통풍 저항, 나아가 팬 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1 발명에서는, 냉매회로(11)의 압축기(12)를 조습실(65, 66) 하측에 설치하므로, 조습장치(10)의 무게중심이 낮게 된다. 따라서 이 조습장치를 비교적 안정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2)가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압축기(12)의 출입이나 보수점검도 용이해진다.
제 12 발명에서는,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를 분리한 상태에서 흡착열교환기(14, 15), 급기팬(30), 배기팬(29), 압축기(12) 및 필터(36, 37)를 케이싱(20) 앞쪽에서 인출하여 보수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조습장치를 반침 등 내부에 수납하면, 장치의 후방이나 측방에 충분한 보수점검 공간을 확보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모든 구성기기를 앞쪽으로부터 분리하여, 용이하게 보수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제 13 발명이나 제 14 발명에서는, 실내흡입구(32) 및 실외흡입구(31)를 케이싱(20) 앞쪽에 배치하며, 이들 흡입구(31, 32) 하측에 제 1 필터(36) 및 제 2 필터(37)를 배치한다. 이로써,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22)를 분리한 상태에서 제 1 필터(36)나 제 2 필터(37)를 용이하게 앞쪽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들에 의한 필터의 청소나 교환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 및 환기장치를 반침(closet) 내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A)는 상면도를 나타내며, (B)는 (A)의 X-X선을, (C)는 (A)의 Y-Y선을, (D)는 (A)의 Z-Z선을 각각 따른 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흡착열교환기의 개략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 있어서 냉매회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제습환기운전 및 가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제습환기운전 및 가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제습순환운전 및 가습순환운전의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제습순환운전 및 가습순환운전의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 있어서 인출유닛을 인출시킨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A)는 상면도를 나타내며, (B)는 (A)의 Y-Y선을, (C)는 (A)의 Z-Z선을 각각 따른 도이다.
도 1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 있어서 인출유닛을 인출시킨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13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4는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에 있어서 인출유닛을 인출시킨 상태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5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A)는 상면도를 나타내며, (B)는 (A)의 X-X선을, (C)는 (A)의 Y-Y선을, (D)는 (A)의 Z-Z선을 각각 따른 도이다.
도 16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제습환기운전 및 가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제습환기운전 및 가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제습순환운전 및 가습순환운전의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제습순환운전 및 가습순환운전의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A)는 상면도를 나타내며, (B)는 (A)의 X-X선을, (C)는 (A)의 Y-Y선을, (D)는 (A)의 Z-Z선을 각각 따른 도이다.
도 22는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제습환기운전 및 가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제습환기운전 및 가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는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제습순환운전 및 가습순환운전의 제 1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제습순환운전 및 가습순환운전의 제 2 동작 중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의 개략 구성도로서, (A)는 상면도를 나타내며, (B)는 (A)의 X-X선을, (C)는 (A)의 Y-Y선을, (D)는 (A)의 Z-Z선을 각각 따른 도이다.
도 28은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환기장치의 공기 흐름을 설명하는 개략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10)는 실내 바닥 면에 설치되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스탠드형 조습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습장치(10)는 옷 등이 수납되는 반침(closet)의 수납공간(S)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습장치(10)는 종형의 직방체로 형성된 케이싱(10)을 구비한다. 여기서, 도 3의 사시도(그 밖의 사시도도 포함함)에서는, 편의상, 케이싱(20) 상부와 나머지 부위를 분해하여 도시한다. 케이싱(20)은, 앞면만 개방된 상자형의 케이싱 본체부(21)와, 이 케이싱 본체부(21)의 앞쪽 개방부에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는 앞면 커버(22)를 구비한다.
케이싱 본체부(21)에는 상단부에 천장판(23)이, 하단부에 바닥판(24)이 각각 형성된다. 또 케이싱 본체부(21)에는, 우측 단부에 우측면판(25)이, 좌측 단부에 좌측면판(26)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 본체부(21)에는 후단부에 배면판(27)이 형성된다.
상기 천장판(23)에는 4개의 덕트 접속구(31, 32, 33, 34)가 형성된다. 이들 덕트 접속구(31, 32, 33, 34)는 천장판(23)의 4개의 코너부에 대응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4개의 덕트 접속구(31, 32, 33, 34)는, 천장판(23)의 전방 오른쪽부근에 배치되는 실외흡입구(31)와, 천장판(23)의 전방 왼쪽부근에 배치되는 실내흡입구(32)와, 천장판(23)의 후방 오른쪽부근에 배치되는 실외배기구(33)와, 천장판(23)의 후방 왼쪽부근에 배치되는 실내급기구(34)로 구성된다. 즉, 케이싱 본체부(21) 상면에는 실외흡입구(31), 실내흡입구(32), 실외배기구(33), 및 실내급기구(34)가 집약되도록 형성된다.
각 덕트 접속구(31, 32, 33, 34)에는 각각 공기가 유통 가능한 덕트(5)가 접속된다(도 1 참조). 각 덕트(5)는 실내의 천장 쪽을 향해 상방으로 이어지며, 천장 위를 따라 소정의 공간까지 설치된다. 이들 덕트(5)를 개재하여, 실외흡입구(31) 및 실외배기구(33)는 실외공간과 이어지며, 실내흡입구(32) 및 실내급기구(34)는 실내공간과 이어진다. 그리고 실외흡입구(31)는 실외공기(OA)를 케이싱(20) 내로 흡입시키기 위한 개구를 구성하며, 실내흡입구(32)는 실내공기(RA)를 케이싱(20) 내로 흡입시키기 위한 개구를 구성한다. 또 실외배기구(33)는 케이싱(20) 내 공기를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구성하며, 실내급기구(34)는 케이싱(20) 내 공기를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개구를 구성한다.
상기 앞면 커버(22)는 케이싱 본체부(21)의 앞쪽 개방부를 피복하도록 이 케이싱 본체부(21)에 장착/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앞면 커버(22)에는 사용자들이 조습장치(10)의 운전을 전환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또 앞면 커버(22) 상부에는, 상세함은 후술하나, 필터(36, 37)를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구부(22a)와, 이 개구부(22a)의 개폐가 가능한 개폐 덮개(22b)가 배치된다. 개폐 덮개(22b)는 앞면 커버(22) 본체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부(21)에 앞면 커버(22)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케이싱(20) 내부에 직방체형 공간이 형성된다. 케이싱(20) 내부에는, 위쪽부근에 상부 구획판(41)이 설치된다. 상부 구획판(41)은 수평 자세로 케이싱(20)에 지지된다.
상부 구획판(41)과 천장판(23) 사이에는 편평한 직방체형 공간이 구획된다. 이 공간에는 종형 구획판(42)과 횡형 구획판(43)이 설치된다. 종형 구획판(42)은 긴 변이 전후방향으로 이어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횡형 구획판(43)은 긴 변이 좌우방향으로 이어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종형 구획판(42) 및 횡형 구획판(43)은 서로 직교하도록 수직자세로 케이싱(20)에 지지된다. 종형 구획판(42) 및 횡형 구획판(43)은 상부 구획판(41)과 천장판(23) 사이의 공간을 4개의 통로(51, 52, 53, 54)로 구획한다. 이들 4개의 통로는 외기 흡입통로(51)와 내기 흡입통로(52)와 외기 배출통로(53)와 내기 공급통로(54)로 구성된다.
외기 흡입통로(51)는 케이싱(20)의 전방 오른쪽부근에 형성되며, 내기 흡입통로(52)는 케이싱(20)의 전방 왼쪽부근에 형성된다. 또 외기 배출통로(53)는 케이싱(20)의 후방 오른쪽부근에 형성되며, 내기 공급통로(54)는 케이싱(20)의 후방 왼쪽부근에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상부 구획판(41)에는, 외기 흡입통로(51)에 임한 부위에 제 1 연통구(61)가, 내기 흡입통로(52)에 임한 부위에 제 2 연통구(62)가, 외기 배출통로(53)에 임한 부위에 제 3 연통구(63)가, 내기 공급통로(54)에 임한 부위에 제 4 연통구(64)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흡입구(31)는 외기 흡입통로(51)를 개재하여 제 1 연통구(61)와 연통되며, 상기 실내흡입구(32)는 내기 흡입통로(52)를 개재하여 제 2 연통구(62)와 연통된다. 또 상기 실외배기구(33)는 외기 배출통로(53)를 개재하여 제 3 연통구(63)와 연통되며, 상기 실내급기구(34)는 내기 공급통로(54)를 개재하여 제 4 연통구(64)와 연통된다.
외기 흡입통로(51)에는 외기필터(36)가 배치되며, 내기 흡입통로(52)에는 내기필터(37)가 배치된다. 즉, 외기필터(36)는 실외흡입구(31)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필터를 구성하며, 내기필터(37)는 실내흡입구(32)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를 구성한다. 이들 필터(36, 37)는 판상 또는 시트상으로 형성되며, 대응하는 각 흡입통로(51, 52)의 횡단면 전역에 걸쳐지듯이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또 이들 필터(36, 37)는 각 흡입통로(51, 52)에서 전후방향으로 진퇴 자유롭게 구성된다.
외기 배출통로(53)에는 배기팬(29)이 배치되며, 내기 공급통로(54)에는 급기팬(30)이 배치된다(도 2 참조). 이들 팬(29, 30)은 원심형의 다익 팬(이른바, 시로코팬)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3의 사시도(그 밖의 사시도도 포함함)에서는 이들 팬(29, 30)의 도시를 생략한다. 배기팬(29)은 제 3 연통구(63)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실외배기구(33)로 송풍한다. 급기팬(30)은 제 4 연통구(64)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실내급기구(34)로 송풍한다.
바닥판(24)과 상부 구획판(41) 사이에는 직방체형 공간이 구획된다. 이 공간에는 제 1 구획판(44)과 제 2 구획판(45)이 배치된다.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은 바닥판(24)으로부터 상부 구획판(41)에 걸쳐 형성되며, 케이싱(20)의 좌우 측면판(25, 26)과 평행이면서 수직인 자세로 케이싱(20)에 지지된다. 그리고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은 바닥판(24) 및 상부 구획판(41) 사이의 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상기 3개의 공간 중 오른쪽부근 공간은 제 3 구획판(46)에 의해 전후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3개의 공간 중 왼쪽부근 공간은 제 4 구획판(47)에 의해 전후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제 3 구획판(46)의 앞쪽 공간은 제 1 중간통로(55)를 구성하며, 제 4 구획판(47)의 앞쪽 공간이 제 2 중간통로(56)를 구성한다. 또 제 3 구획판(46)의 뒤쪽 공간은 제 3 중간통로(57)를 구성하며, 제 4 구획판(47)의 뒤쪽 공간이 제 4 중간통로(58)를 구성한다.
제 1 중간통로(55) 상단은 상기 제 1 연통구(61)와 연통되며, 제 2 중간통로(56) 상단은 상기 제 2 연통구(62)와 연통되고, 제 3 중간통로(57) 상단은 상기 제 3 연통구(63)와 연통되며, 제 4 중간통로(58) 상단은 상기 제 4 연통구(64)와 연통된다. 또 이들 중간통로(55, 56, 57, 58) 하단은 모두 바닥판(24)에 의해 막힌다.
상기 3개의 공간 중 중앙공간은 중앙 구획판(48)에 의해 상하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들 2개 공간 중 상측공간이 제 1 조습실(65)을 구성하며, 하측공간이 제 2 조습실(66)을 구성한다. 즉, 제 1 조습실(65)과 제 2 조습실(66)은 중앙 구획판(48)을 개재하여 서로 인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된다. 또 제 2 조습실(66) 하단부에는 제 1 구획판(44)과 제 2 구획판(45) 사이에 걸쳐지듯이 지지판(40)이 형성된다.
제 1 조습실(65)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수납되며, 제 2 조습실(66)에는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수납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는 상기 중앙 구획판(48)에 설치되며, 제 2 열교환기(15)는 상기 지지판(40)에 설치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 및 제 2 흡착열교환기(15)는, 상세함은 후술하나, 냉매회로(11)에 직렬로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흡착열교환기(14, 15)는 크로스핀식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이들 흡착열교환기(14, 15)는 동제 전열관(16)과 알루미늄제 핀(17)을 구비한다. 흡착열교환기(14, 15)에 배치된 복수의 핀(17)은 각각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나열된다. 또 전열관(16)은, 핀(17) 배열방향으로 사행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이 전열관(16)에서는, 각 핀(17)을 관통하는 직관부와, 서로 인접한 직관부들을 접속하는 U자형 관부가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각 흡착열교환기(14, 15)는, 열교환기 표면에 흡착제가 부착되고 유지된 흡착부재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각 흡착열교환기(14, 15)에서는 각 핀(17)의 표면에 흡착체가 부착되고 유지되며, 핀(17)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핀(17)의 흡착제와 접촉한다. 이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고분자 재료 등, 공기 중의 수분에 대해 소정의 흡착 및 탈착 성능을 갖는 것이 이용된다.
제 1 실시형태의 각 흡착열교환기(14, 15)는 조습실(65, 66)에서 비스듬히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각 흡착열교환기(14, 15)는 복수의 핀(17)이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과 평행이며 또 핀(17) 상단이 수직방향보다 앞쪽으로 경사지는 자세가 되도록 조습실(65, 66)에 유지된다. 이로써, 각 흡착열교환기(14, 15)의 각 핀(17)의 길이방향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각 흡착열교환기(14, 15)의 공기 통과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착제와 공기의 접촉효율이 증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제 2 조습실(66)에는 상기 냉매회로(11)에 접속되는 압축기(12)가 수납된다. 압축기(12)는 종형 압축기로 구성되며, 지지판(40)에 설치된다. 압축기(12)는, 예를 들어 스크롤계나 로터리계 압축기 등으로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기(12)가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 있어서 공기흐름 상류측에 설치된다. 여기서, 이 대신 압축기(12)를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하류측에 배치해도 된다.
상기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에는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하는 유통구가 4개씩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1 구획판(44) 상부에는 그 앞쪽부근에 제 1 유통구(71)가, 뒤쪽부근에 제 2 유통구(72)가 각각 형성되며, 제 2 구획판(45) 상부에는 그 앞쪽부근에 제 3 유통구(73)가, 뒤쪽부근에 제 4 유통구(74)가 각각 형성된다. 또 제 1 구획판(44) 하부에는 그 앞쪽부근에 제 5 유통구(75)가, 뒤쪽부근에 제 6 유통구(76)가 각각 형성되며, 제 2 구획판(45) 하부에는 그 앞쪽부근에 제 7 유통구(77)가, 뒤쪽부근에 제 8 유통구(78)가 각각 형성된다.
제 1 유통구(71)는 제 1 중간통로(55)와 제 1 조습실(65)을 연통시키며, 제 2 유통구(72)는 제 3 중간통로(57)와 제 1 조습실(65)을 연통시키고, 제 3 유통구(73)는 제 2 중간통로(56)와 제 1 조습실(65)을 연통시키며, 제 4 유통구(74)는 제 4 중간통로(58)와 제 1 조습실(65)을 연통시킨다. 또 제 5 유통구(75)는 제 1 중간통로(55)와 제 2 조습실(66)을 연통시키며, 제 6 유통구(76)는 제 3 중간통로(57)와 제 2 조습실(66)을 연통시키고, 제 7 유통구(77)는 제 2 중간통로(56)와 제 2 조습실(66)을 연통시키며, 제 8 유통구(78)는 제 4 중간통로(58)와 제 2 조습실(66)을 연통시킨다.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에는, 대응하는 유통구를 개폐 자유롭게 하는 댐퍼가 4개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구획판(44)에는, 제 1 유통구(71)를 개폐하는 제 1 댐퍼(D1)와, 제 2 유통구(72)를 개폐하는 제 2 댐퍼(D2)와, 제 5 유통구(75)를 개폐하는 제 5 댐퍼(D5)와, 제 6 유통구(76)를 개폐하는 제 6 댐퍼(D6)가 배치된다. 또 제 2 구획판(45)에는, 제 3 유통구(73)를 개폐하는 제 3 댐퍼(D3)와, 제 4 유통구(74)를 개폐하는 제 4 댐퍼(D4)와, 제 7 유통구(77)를 개폐하는 제 7 댐퍼(D7)와, 제 8 유통구(78)를 개폐하는 제 8 댐퍼(D8)가 배치된다.
각 댐퍼(D1∼D8)는, 예를 들어 2장의 셔터와, 수평축을 받침점으로 하여 각 셔터를 선회시키는 모터를 갖는다. 즉 각 댐퍼(D1∼D8)에서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2장의 셔터가 수직자세로 변위되면, 대응하는 유통구(71∼78)가 폐쇄상태가 되며, 모터의 회전에 의해 2장의 셔터가 수평자세로 변위되면, 대응하는 유통구(71∼78)가 개방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은 2개의 조습실(65, 66)의 좌우방향 양 측면 쪽에 형성된다. 또 제 1 구획판(44)과 제 2 구획판(45)은 2개의 조습실(65, 66)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며, 수직자세로 케이싱(20)에 지지된다.
<냉매회로의 구성>
조습장치(10)에 탑재되는 상기 냉매회로(11)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냉매회로(11)는, 제 1 흡착열교환기(14), 제 2 흡착열교환기(15), 압축기(12), 사방밸브(13) 및 전동팽창밸브(18)가 배치된 폐회로이다. 냉매회로(11)는 충전된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을 수행한다.
냉매회로(11)에서는, 압축기(12) 토출측이 사방밸브(13)의 제 1 포트에 접속되며, 압축기(12) 흡입측이 사방밸브(13)의 제 2 포트에 접속된다. 또 냉매회로(11)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14) 일단이 사방밸브(13)의 제 3 포트에 접속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 타단이 전동팽창밸브(18) 및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개재하여 사방밸브(13) 제 4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사방밸브(13)는,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하는 제 1 상태(도 5의 (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하는 제 2 상태(도 5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냉매회로(11)가 열매체 회로를 구성한다. 이 냉매회로(11)에서는, 2개의 흡착열교환기(14, 15) 중, 응축기(방열기)로서 동작하는 쪽에 고압 가스냉매가 가열용 열매체 유체로서 공급되며,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쪽에 저압의 기액 2상 냉매가 냉각용 열매체 유체로서 공급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전술한 냉매회로(11)의 각 구성기기, 및 이들 각 구성기기를 서로 접속하는 냉매배관이 제 1 조습실(65) 및 제 2 조습실(66)의 어느 한쪽에 배치된다.
<인출유닛의 구성>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상기 지지판(40)과 상기 제 1 구획판(44)과 제 2 구획판(45)과 중앙 구획판(48)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인출유닛(50)을 구성한다. 즉, 인출유닛(50)은 냉매회로(11)를 일체적으로 케이싱(20)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하는 유지부재를 구성한다. 인출유닛(50)에는 상기 압축기(12), 제 1 흡착열교환기(14), 제 2 흡착열교환기(15), 사방밸브(13), 전동팽창밸브(18) 및 이들을 접속하는 냉매배관이 유지된다. 또 인출유닛(50)은 케이싱(20) 내부가 전후방향으로 진퇴 자유롭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바닥판(24) 상면과 상부 구획판(41) 하면에는,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의 하단과 상단이 각각 끼워지는 레일 홈(도시 생략)이 전후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은, 이들 레일 홈을 따르도록 하여 앞뒤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구성된다.
-운전동작-
제 1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제습환기운전", "가습환기운전", "제습순환운전", "가습순환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한다. "제습환기운전" 이나 "가습환기운전"에서는, 도입한 실외공기(OA)의 습도를 조절한 후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내공기(RA)를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또 "제습순환운전"이나 "가습순환운전"에서는, 도입한 실내공기(RA)를 습도 조절한 후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외공기(OA)를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이하, 이들 각 운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습환기운전>
제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제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30)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31)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9)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실내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먼저 제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동작 중에는, 제 1 댐퍼(D1∼D8)의 상태가 전환됨으로써, 제 1 유통구(71), 제 4 유통구(74), 제 6 유통구(76) 및 제 7 유통구(77)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2 유통구(72), 제 3 유통구(73), 제 5 유통구(75) 및 제 8 유통구(78)가 폐쇄상태가 된다.
제 1 동작 중의 냉매회로(11)에서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13)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의 냉매회로(11)에서는 냉매가 순환되어 냉동사이클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매회로(50)에서는 압축기(12)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제 2 흡착열교환기(15), 전동팽창밸브(18),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순으로 통과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증발기가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외기필터(36)를 통과한다. 외기필터(36)에서는 제 1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포착된다. 외기필터(36)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1 연통구(61) 및 제 1 중간통로(55)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유통구(71)로부터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한다. 이 제 1 공기는 뒤쪽으로 흐르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4 유통구(74)로부터 제 4 중간통로(58)로 유출한다. 이 제 1 공기는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내기필터(37)를 통과한다. 내기필터(37)에서는 제 2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포착된다. 내기필터(37)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제 2 연통구(62) 및 제 2 중간통로(56)를 차례로 흐르고, 제 7 유통구(77)로부터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한다. 이 제 2 공기는 뒤쪽으로 흐르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된 제 2 공기는 제 6 유통구(76)로부터 제 3 중간통로(57)로 유출한다. 이 제 2 공기는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에, 제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동작 중에는, 제 1 댐퍼(D1∼D8)의 상태가 전환됨으로써, 제 2 유통구(72), 제 3 유통구(73), 제 5 유통구(75) 및 제 8 유통구(78)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유통구(71), 제 4 유통구(74), 제 6 유통구(76) 및 제 7 유통구(77)가 폐쇄상태가 된다.
제 2 동작 중의 냉매회로(11)에서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13)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의 냉매회로(11)에서는, 냉매가 순환되어 냉동사이클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매회로(50)에서는 압축기(12)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제 1 흡착열교환기(14), 전동팽창밸브(18),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순으로 통과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증발기가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외기필터(36)를 통과한다. 외기필터(36)에서는 제 1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포착된다. 외기필터(36)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1 연통구(61) 및 제 1 중간통로(55)를 차례로 흐르고, 제 5 유통구(75)로부터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한다. 이 제 1 공기는 뒤쪽으로 흐르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8 유통구(78)로부터 제 4 중간통로(58)로 유출한다. 이 제 1 공기는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내기필터(37)를 통과한다. 내기필터(37)에서는 제 2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포착된다. 내기필터(37)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제 2 연통구(62) 및 제 2 중간통로(56)를 차례로 흐르고, 제 3 유통구(73)로부터 제 1조습실(65)로 유입한다. 이 제 2 공기는 뒤쪽으로 흐르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된 제 2 공기는 제 2 유통구(72)로부터 제 3 중간통로(57)로 유출한다. 이 제 2 공기는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환기운전>
가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가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30)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31)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9)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실내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가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 중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통구(71), 제 4 유통구(74), 제 6 유통구(76) 및 제 7 유통구(77)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2 유통구(72), 제 3 유통구(73), 제 5 유통구(75) 및 제 8 유통구(78)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냉매회로(11)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증발기가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외기필터(36), 제 1 연통구(61), 제 1 중간통로(55) 및 제 1 유통구(71)를 차례로 흘러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1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 가습된 제 1 공기는 제 4 유통구(74), 제 4 중간통로(58),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내기필터(37), 제 2 연통구(62), 제 2 중간통로(56) 및 제 7 유통구(77)를 차례로 흘러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제 2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 제 2 공기는 제 6 유통구(76), 제 3 중간통로(57),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 중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유통구(72), 제 3 유통구(73), 제 5 유통구(75), 및 제 8 유통구(78)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유통구(71), 제 4 유통구(74), 제 6 유통구(76) 및 제 7 유통구(77)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냉매회로(11)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증발기가 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외기필터(36), 제 1 연통구(61), 제 1 중간통로(55) 및 제 5 유통구(75)를 차례로 흐르고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1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 가습된 제 1 공기는 제 8 유통구(78), 제 4 중간통로(58),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내기필터(37), 제 2 연통구(62), 제 2 중간통로(56), 및 제 3 유통구(73)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제 2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 제 2 공기는 제 2 유통구(72), 제 3 중간통로(57),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제습순환운전>
제습순환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제습순환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30)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실내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9)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31)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제습순환운전의 제 1 동작 중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유통구(73), 제 4 유통구(74), 제 5 유통구(75), 및 제 6 유통구(76)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유통구(71), 제 2 유통구(72), 제 7 유통구(77), 및 제 8 유통구(78)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냉매회로(11)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증발기가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내기필터(37), 제 2 연통구(62), 제 2 중간통로(56) 및 제 3 유통구(73)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4 유통구(74), 제 4 중간통로(58),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외기필터(36), 제 1 연통구(61), 제 1 중간통로(55), 및 제 5 유통구(75)를 차례로 흐르고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된 제 2 공기는 제 6 유통구(76), 제 3 중간통로(57),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제습순환운전의 제 2 동작 중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통구(71), 제 2 유통구(72), 제 7 유통구(77), 및 제 8 유통구(78)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3 유통구(73), 제 4 유통구(74), 제 5 유통구(75), 및 제 6 유통구(76)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냉매회로(11)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증발기가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내기필터(37), 제 2 연통구(62), 제 2 중간통로(56) 및 제 7 유통구(77)를 차례로 흐르고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8 유통구(78), 제 4 중간통로(58),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외기필터(36), 제 1 연통구(61), 제 1 중간통로(55), 및 제 1 유통구(71)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된 제 2 공기는 제 2 유통구(72), 제 3 중간통로(57),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순환운전>
가습순환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가습순환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30)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실내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9)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가습순환운전의 제 1 동작 중에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유통구(73), 제 4 유통구(74), 제 5 유통구(75), 및 제 6 유통구(76)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유통구(71), 제 2 유통구(72), 제 7 유통구(77), 및 제 8 유통구(78)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냉매회로(11)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증발기가 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내기필터(37), 제 2 연통구(62), 제 2 중간통로(56) 및 제 3 유통구(73)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제 1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 가습된 제 1 공기는 제 4 유통구(74), 제 4 중간통로(58),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외기필터(36), 제 1 연통구(61), 제 1 중간통로(55) 및 제 5 유통구(75)를 차례로 흐르고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제 2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 제 2 공기는 제 6 유통구(76), 제 3 중간통로(57),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제습순환운전의 제 2 동작 중에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통구(71), 제 2 유통구(72), 제 7 유통구(77) 및 제 8 유통구(78)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3 유통구(73), 제 4 유통구(74), 제 5 유통구(75) 및 제 6 유통구(76)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냉매회로(11)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증발기가 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내기필터(37), 제 2 연통구(62), 제 2 중간통로(56) 및 제 7 유통구(77)를 차례로 흐르고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1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 가습된 제 1 공기는 제 8 유통구(78), 제 4 중간통로(58),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외기필터(36), 제 1 연통구(61), 제 1 중간통로(55) 및 제 1 유통구(71)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제 2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 제 2 공기는 제 2 유통구(72), 제 3 중간통로(57),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조습장치의 보수점검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조습장치(10)는 반침의 내부공간(S)에 수납되며 바닥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조습장치(10)의 앞쪽밖에 점검용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 그래서 이 조습장치(10)에서는, 케이싱(20)의 앞면 커버(22)를 분리함으로써, 각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이 조습장치(10) 앞쪽에서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외기필터(36) 및 내기필터(37)를 교환하거나 청소할 때, 앞면 커버(22)의 개폐 덮개(22b)를 분리하여, 개구부(22a)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외기필터(36) 및 내기필터(37)는 개구부(22a)를 통해 케이싱(20)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들은 외기필터(36)나 내기필터(37)를 앞쪽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이들 필터(36, 37)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분리할 수 있다. 그 후, 청소 또는 교환한 필터(36, 37)를 개구부(22a)로부터 케이싱(20)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각 필터(36, 37)가 제자리로 되돌려진다. 여기서,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외기필터(36)와 내기필터(37)가 별개의 부품으로서 구성되나, 이들 필터(36, 37)를 일체적인 필터유닛으로서 외기흡입통로(51) 및 내기흡입통로(52)에 걸쳐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필터유닛을 일체적으로 인출시켜, 보수점검작업을 할 수 있다.
또 케이싱(20) 내 다른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을 할 경우에는,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22)를 분리시킨다. 그 결과, 상기 인출유닛(50)이 케이싱(20)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보수점검업자들은 인출유닛(50)을 앞쪽으로 슬라이드 시킨다(도 10 참조). 이로써, 제 1 구획판(44), 제 2 구획판(45), 지지판(40), 및 중앙 구획판(48)이 앞쪽으로 인출된다. 동시에, 인출유닛(50)에 유지된 냉매회로(11)의 구성기기 및 냉매배관도 앞쪽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인출유닛(50)을 케이싱(20) 외부로 꺼낸 상태에서 압축기(12), 흡착열교환기(14, 15), 전동팽창밸브(18), 냉매배관 등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이 이루어진다. 또 이 상태에서는, 제 1, 제 2 구획판(44, 45)에 배치되는 각 댐퍼(D1∼D8)도 외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각 댐퍼(D1∼D8)의 보수점검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공기를 조습하기 위한 흡착부재로서의 흡착열교환기(14, 15)나, 냉매회로(11)의 다른 구성기기, 그리고 냉매배관 등을 인출유닛(50)에 일체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하며, 이 인출유닛(50)을 케이싱(20)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한다. 이로써, 보수점검업자 등에 의해, 인출유닛(50)을 인출하는 것만으로 이들 각 구성기기를 케이싱(20) 외부로 꺼낼 수 있으며, 흡착열교환기(14, 15) 등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인출유닛(50)을 인출하는 경우에 냉매배관의 분리작업이나 접속작업도 필요 없게 된다. 따라서 이 조습장치의 보수점검성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 압축기(12)를 제 2 조습실(66) 내에 배치함으로써, 압축기(12) 수납공간의 삭감, 나아가 케이싱(20)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2)와 흡착열교환기(14, 15)의 거리가 비교적 가까워지므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압축기(12) 및 흡착열교환기(14, 15)를 유지부재(50)에 유지시켜 일체적으로 인출할 수 있으며, 또 압축기(12) 및 흡착열교환기(14, 15)를 접속하는 냉매배관 길이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실외흡입구(31), 실외배기구(33), 실내흡입구(32) 및 실내급기구(34)가 케이싱(20) 천장판(23)에 집약되어 형성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습장치(10)를 반침 수납공간(S)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각 덕트 접속구(31, 32, 33, 34)에 접속되는 덕트(5)를 위쪽(천장측)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즉, 제 1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그 수평방향 둘레로 덕트가 배치되는 일이 없으므로, 조습장치(10)의 수평방향 설치공간을 대폭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또 조습장치(10)를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천장매입형 조습장치에 비해,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보수점검도 간단하게 된다.
또 케이싱(20) 앞쪽에 앞면 커버(22)를 탈착 자유롭게 장착하므로, 조습장치(10)가 반침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앞면 커버(22)를 분리하여 각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1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구성이 다르다. 이하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주로 설명한다. 제 2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상하로 편평한 케이싱(20)을 구비하며, 예를 들어 천장 위 등에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0)에는 그 앞쪽(도 11의 (A)의 위쪽) 중앙부의 하부부근에 실외흡입구(31)가 형성되며, 그 앞쪽 중앙부의 상부부근에 실내흡입구(32)가 형성된다. 또 케이싱(20)에는 그 왼쪽 후방부근에 실외배기구(33)가 형성되며, 그 오른쪽 후방부근에 실내급기구(34)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20)의 오른쪽 측면에는 케이싱 본체부(21)에 대해 탈착 자유로운 측면 커버(28)가 장착된다.
케이싱(20) 내부는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에 의해 전후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들 공간 중 앞쪽 공간은 제 3 구획판(46)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하측 공간이 외기흡입통로(51)를 구성하고 상측 공간이 내기흡입통로(52)를 구성한다. 외기흡입통로(51)에는 외기필터(36)가 배치되며, 내기흡입통로(52)에는 내기필터(37)가 배치된다.
또 상기 3개 공간 중 뒤쪽 공간은, 제 4 구획판(47)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며, 하측 공간이 외기배출통로(53)를 구성하고 상측 공간이 내기공급통로(54)를 구성한다. 또한 외기배출통로(53)의 하류측 공간에는 배기팬(29)이 배치되며, 내기공급통로(54)의 하류측 공간에는 급기팬(30)이 배치된다.
상기 3개 공간 중 중앙 공간은, 중앙구획판(48) 및 기계실 구획판(49)에 의해 좌우로 3개 공간으로 구획되며,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로 제 1 조습실(65), 제 2 조습실(66) 및 기계실(68)이 형성된다. 또 케이싱(20) 내부의 바닥면 쪽에는, 제 1 조습실(65), 제 2 조습실(66) 및 기계실(68)에 걸쳐지듯이 지지판(40)이 형성된다. 지지판(40)은 케이싱(20) 바닥면을 따르도록 형성되며,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구성된다.
제 1 조습실(65)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설치되며, 제 2 조습실(66)에는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설치된다. 또 기계실(68)에는 압축기(12)가 설치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의 냉매회로(11)는 제 1 조습실(65), 제 2 조습실(66) 및 기계실(68)에 걸쳐지도록 구성된다.
제 1 구획판(44)에는, 그 하부 왼쪽부근에 제 1 유통구(71) 및 제 1 댐퍼(D1)가, 그 상부 왼쪽부근에 제 2 유통구(72) 및 제 2 댐퍼(D2)가, 그 하부 오른쪽부근에 제 5 유통구(75) 및 제 5 댐퍼(D5)가, 그 상부 오른쪽부근에 제 6 유통구(76) 및 제 6 댐퍼(D6)가 각각 배치된다. 또 제 2 구획판(45)에는, 그 하부 왼쪽부근에 제 3 유통구(73) 및 제 3 댐퍼(D3)가, 그 상부 왼쪽부근에 제 4 유통구(74) 및 제 4 댐퍼(D4)가, 그 하부 오른쪽부근에 제 7 유통구(77) 및 제 7 댐퍼(D7)가, 그 상부 오른쪽부근에 제 8 유통구(78) 및 제 8 댐퍼(D8)가 각각 배치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습환기운전", "가습환기운전", "제습순환운전" 및 "가습순환운전"이 가능하다. 즉 제 2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도 각 댐퍼(D1∼D8)의 개폐상태 전환, 및 사방밸브(13) 설정에 따라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각 운전이 수행된다.
또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지지판(40), 제 1 구획판(44), 제 2 구획판(45), 중앙구획판(48) 및 기계실 구획판(49)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인출유닛(50)을 구성한다. 그리고 인출유닛(50)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냉매회로(11)의 각 구성기기나 냉매배관을 일체적으로 유지한다. 또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인출유닛(50)을 오른쪽 측방으로 인출시킴으로써 각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먼저 측면 커버(28)를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분리하여, 인출유닛(50)을 케이싱(20)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인출유닛(50)을 측방으로 인출시킨다. 이로써, 인출유닛(50)에 유지된 냉매회로(11)의 구성기기 및 냉매배관이 측방으로 인출된다(도 12 참조).
이와 같이 인출유닛(50)을 케이싱(20) 외부로 꺼낸 상태에서 압축기(12), 흡착열교환기(14, 15), 전동팽창밸브(18), 냉매배관 등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이 수행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구획판(44, 45)에 배치된 각 댐퍼(D1∼D8)도 외부로 인출된다. 따라서 작업자들은 각 댐퍼(D1∼D8)의 보수점검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10)는 상기 제 1 실시형태나 제 2 실시형태와 구성이 다르다.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10)는 회전 자유로운 데시칸트 로터(80)를 이용하여 공기의 제습 및 가습을 실행한다. 또 이 예의 조습장치(10)는, 실외공기(OA)를 조습하여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실내공기(RA)를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형 조습장치를 구성한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습장치(10)는, 케이싱(20) 내에 제 1 공기통로(91)와 제 2 공기통로(92)가 구획된다. 제 1 공기통로(91) 유입측에는 실외흡입구(31)가 형성되며, 제 1 공기통로(91) 유출측에는 실내급기구(34)가 형성된다. 또 제 2 공기통로(92) 유입측에는 실내흡입구(32)가 형성되며, 제 2 공기통로(92) 유출측에는 실외배기구(33)가 형성된다.
상기 데시칸트 로터(80)는 원판형 베이스의 표면에 흡착제가 부착되고 유지되어 흡착부재를 구성한다. 데시칸트 로터(80)는 제 1 공기통로(91)와 제 2 공기통로(92)에 걸쳐지도록 배치되며, 그 지름방향 거의 절반 부위가 제 1 공기통로(91)에 임하고, 나머지 거의 절반 부위가 제 2 공기통로(92)에 임한다. 그리고 데시칸트 로터(80)에서는 제 1 공기통로(91)에 임한 부위가 제 1 영역(81)을 구성하며, 제 2 공기통로(92)에 임한 부위가 제 2 영역(82)을 구성한다. 또 데시칸트 로터(80)는 그 축심에 회전축(83)이 관통되어 고정된다. 회전축(83)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으로 구동된다. 이로써 데시칸트 로터(80)는 양 공기통로(91, 92)에 걸쳐지면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또 조습장치(10)는 열매체 회로로서의 냉매회로(11)를 구비한다. 냉매회로(11)에는 압축기(12), 제 1 열교환기(85) 및 제 2 열교환기(86)와, 도시하지 않은 전동팽창밸브 등이 접속된다. 그리고 냉매회로(11)에서는 열매체 유체로서의 냉매가 순환함으로써 증기압축식 냉동 사이클이 이루어진다. 또 냉매회로(11)에는 도시하지 않은 사방밸브도 접속된다. 냉매회로(11)에서는, 사방밸브의 설정을 전환함으로써, 제 1 열교환기(85)가 증발기가 되고 제 2 열교환기(86)가 응축기가 되는 동작과, 제 1 열교환기(85)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열교환기(86)가 증발기가 되는 동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열교환기(85)가 제 1 공기통로(91)에, 제 2 열교환기(86)가 제 2 공기통로(92)에 배치된다. 제 1 열교환기(85) 및 제 2 열교환기(86)는 데시칸트 로터(80) 상류측에 각각 배치된다. 또 이 예에서는 상기 압축기(12)가 제 1 공기통로(91)의 데시칸트 로터(80) 하류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이 압축기(12)를 제 1 공기통로(91)의 데시칸트 로터(80) 상류측에 배치해도 되며, 제 2 공기통로(92)의 데시칸트 로터(80) 상류측이나 하류측에 배치해도 된다. 또 제 1 공기통로(91)에는 상기 실내급기구(34) 근방에 급기팬(30)이 배치되며, 제 2 공기통로(92)에는 상기 실외배기구(33) 근방에 배기팬(29)이 배치된다.
제 3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상기 데시칸트 로터(80)와 상기 냉매회로(11)를 일체적으로 유지하는 인출유닛(50)을 구비한다. 이 인출유닛(50)에는 압축기(12), 제 1 열교환기(85), 제 2 열교환기(86), 전동팽창밸브, 사방밸브 및 데시칸트 로터(80) 등이 일체적으로 유지된다. 또 인출유닛(50)에는 냉매회로(11)의 냉매배관이나 상기 회전축(83) 그리고 상기 모터 등도 유지된다. 또한 인출유닛(50)에는 데시칸트 로터(80) 근방에, 제 1 공기통로(91) 및 제 2 공기통로(92)를 구획하기 위한 구획부(94)도 유지된다. 그리고 인출유닛(50)은 케이싱(20)의 한쪽 측면 쪽으로부터 케이싱(20) 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이 예에서는 인출유닛(50)이 각 공기통로(91, 9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구성되어, 케이싱(20)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조습장치(10)의 운전 시에, 급기팬(30)을 운전하면 실외공기(OA)가 실외흡입구(31)로부터 케이싱(20) 내 제 1 공기통로(91)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9)을 운전하면 실내공기(RA)가 실내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 제 2 공기통로(92)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조습장치(10)의 제습운전에서는, 사방밸브의 설정에 따라 제 1 열교환기(85)가 증발기가 되며 제 2 열교환기(86)가 응축기가 된다. 제 1 공기통로(91)를 흐르는 공기는 제 1 열교환기(85)에서 냉각된 후 데시칸트 로터(80)의 제 1 영역(81)을 통과한다. 그 결과 제 1 영역(81)의 흡착제에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즉 제습운전 시의 데시칸트 로터(80) 제 1 영역(81)에서는 공기가 제습된다. 데시칸트 로터(80)에서 제습된 공기는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제 2 공기통로(92)를 흐르는 공기는 제 2 열교환기(86)에서 가열된 후 데시칸트 로터(80)의 제 2 영역(82)을 통과한다. 그 결과, 제 2 영역(82)의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던 수분이 탈리된다. 즉 제습운전 시의 데시칸트 로터(80) 제 2 영역(82)에서는 흡착제의 재생이 수행된다. 데시칸트 로터(80)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된 공기는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조습장치(10)의 가습운전에서는, 사방밸브의 설정에 따라 제 1 열교환기(85)가 응축기가 되며 제 2 열교환기(86)가 증발기가 된다. 제 1 공기통로(91)를 흐르는 공기는 제 1 열교환기(85)에서 가열된 후 데시칸트 로터(80)의 제 1 영역(81)을 통과한다. 그 결과, 제 1 영역(81)의 흡착제에 흡착된 수분이 탈리된다. 즉 가습운전 시의 데시칸트 로터(80) 제 1 영역(81)에서는 공기가 가습된다. 데시칸트 로터(80)에서 가습된 공기는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제 2 공기통로(92)를 흐르는 공기는 제 2 열교환기(86)에서 냉각된 후 데시칸트 로터(80)의 제 2 영역(82)을 통과한다. 그 결과 제 2 영역(82)의 흡착제에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즉 가습운전 시의 데시칸트 로터(80) 제 2 영역(82)에서는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부여된다. 데시칸트 로터(80)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 공기는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또 제 3 실시형태 조습장치(10)의 점검 시에는, 인출유닛(50)을 각 공기통로(91, 9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켜, 인출유닛(50)을 케이싱(20) 외부로 인출한다. 이로써, 인출유닛(50)에 유지된 냉매회로(11)의 각 구성기기, 데시칸트 로터(80) 등이 측방으로 인출된다(도 14 참조). 이와 같이 인출유닛(50)을 케이싱(20) 외부로 꺼낸 상태에서, 냉매회로(11)의 각 구성기기나 데시칸트 로터(80)의 보수점검이 수행된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10)는 실내 바닥 면에 설치되어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스탠드형 조습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습장치(10)는 옷 등이 수납되는 반침(closet)의 수납공간(S)에 설치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1,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습장치(10)는 종형의 직방체로 형성된 케이싱(10)을 구비한다. 여기서, 도 16의 사시도(그 밖의 사시도도 포함함)에서는, 편의상, 케이싱(20) 상부와 나머지 부위를 분해시켜 도시한다. 케이싱(20)은, 앞면만이 개방된 상자형 케이싱 본체부(21)와, 이 케이싱 본체부(21)의 앞쪽 개방부에 탈착 자유롭게 장착된 앞면 커버(22)를 구비한다.
케이싱 본체부(21)에는 상단부에 천장판(23)이, 하단부에 바닥판(24)이 각각 형성된다. 또 케이싱 본체부(21)에는, 우측 단부에 우측면판(25)이, 좌측 단부에 좌측면판(26)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케이싱 본체부(21)에는 후단부에 배면판(27)이 형성된다.
상기 천장판(23)에는 4개의 덕트 접속구(31, 32, 33, 34)가 형성된다. 이들 덕트 접속구(31, 32, 33, 34)는 천장판(23)의 4개의 코너부에 대응하도록 서로 인접하여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4개의 덕트 접속구(31, 32, 33, 34)는, 천장판(23)의 전방 오른쪽부근에 배치되는 실외흡입구(31)와, 천장판(23)의 전방 왼쪽부근에 배치되는 실내흡입구(32)와, 천장판(23)의 후방 오른쪽부근에 배치되는 실외배기구(33)와, 천장판(23)의 후방 왼쪽부근에 배치되는 실내급기구(34)로 구성된다. 즉, 케이싱 본체부(21) 상면에는 실외흡입구(31), 실내흡입구(32), 실외배기구(33) 및 실내급기구(34)가 집약되도록 형성된다.
각 덕트 접속구(31, 32, 33, 34)에는 각각 공기가 유통 가능한 덕트(5)가 접속된다(도 1 참조). 각 덕트(5)는 실내 천장 쪽을 향해 상방으로 이어지며, 천장 위를 따라 소정의 공간까지 설치된다. 이들 덕트(5)를 개재하여, 실외흡입구(31) 및 실외배기구(33)는 실외공간과 이어지며, 실내흡입구(32) 및 실내급기구(34)는 실내공간과 이어진다. 그리고 실외흡입구(31)는 실외공기(OA)를 케이싱(20)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개구를 구성하며, 실내흡입구(32)는 실내공기(RA)를 케이싱(20) 내로 도입시키기 위한 개구를 구성한다. 또 실외배기구(33)는 케이싱(20) 내 공기를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개구를 구성하며, 실내급기구(34)는 케이싱(20) 내 공기를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개구를 구성한다.
상기 앞면 커버(22)는 케이싱 본체부(21)의 앞쪽 개방부를 피복하도록 이 케이싱 본체부(21)에 장착/분리 가능하게 구성된다. 앞면 커버(22)에는 사용자들이 조습장치(10)의 운전을 전환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또 앞면 커버(22) 상부에는, 상세함은 후술하나, 필터(36, 37)를 분리 가능하게 하기 위한 개구부(22a)와, 이 개구부(22a)의 개폐가 가능한 개폐 덮개(22b)가 배치된다. 개폐 덮개(22b)는 앞면 커버(22) 본체에 대해 탈착 자유롭게 구성된다.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 본체부(21)에 앞면 커버(22)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케이싱(20) 내부에 직방체 공간이 형성된다. 케이싱(20) 내부에는, 아래쪽부근에 하부 구획판(40)이 설치되며, 위쪽부근에 상부 구획판(41)이 설치된다. 하부 구획판(40) 및 상부 구획판(41)은 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수평 자세로 케이싱(20)에 지지된다.
하부 구획판(40)과 바닥판(24) 사이에는 편평한 직방체형의 기계실(50)이 구획된다. 기계실(50)에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나, 냉매회로(11)에 접속되는 압축기(12)나 사방밸브(13) 등이 수납된다. 압축기(12)는 종형 압축기로 구성되며, 바닥판(24)에 설치된다. 압축기(12)는, 예를 들어 스크롤계나 로터리계 압축기 등으로 구성된다.
상부 구획판(41)과 천장판(23) 사이에는 편평한 직방체형의 공간이 구획된다. 이 공간에는 종형 구획판(42)과 횡형 구획판(43)이 설치된다. 종형 구획판(42)은 긴 변이 전후방향으로 이어지는 판상으로 형성되며, 횡형 구획판(43)은 긴 변이 좌우방향으로 이어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종형 구획판(42) 및 횡형 구획판(43)은 서로 직교하듯이 수직 자세로 케이싱(20)에 지지된다. 종형 구획판(42) 및 횡형 구획판(43)은 상부 구획판(41)과 천장판(23) 사이 공간을 4개의 통로(51, 52, 53, 54)로 구획한다. 이들 4개의 통로는 외기 흡입통로(51)와 내기 흡입통로(52)와 외기 배출통로(53)와 내기 공급통로(54)로 구성된다.
외기 흡입통로(51)는 케이싱(20)의 전방 오른쪽부근에 형성되며, 내기 흡입통로(52)는 케이싱(20)의 전방 왼쪽부근에 형성된다. 또 외기 배출통로(53)는 케이싱(20)의 후방 오른쪽부근에 형성되며, 내기 공급통로(54)는 케이싱(20)의 후방 왼쪽부근에 형성된다. 한편, 전술한 상부 구획판(41)에는, 외기 흡입통로(51)에 임한 부위에 제 1 연통구(61)가, 내기 흡입통로(52)에 임한 부위에 제 2 연통구(62)가, 외기 배출통로(53)에 임한 부위에 제 3 연통구(63)가, 내기 공급통로(54)에 임한 부위에 제 4 연통구(64)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외흡입구(31)는 외기 흡입통로(51)를 개재하여 제 1 연통구(61)와 연통되며, 상기 실내흡입구(32)는 내기 흡입통로(52)를 개재하여 제 2 연통구(62)와 연통된다. 또 상기 실외배기구(33)는 외기 배출통로(53)를 개재하여 제 3 연통구(63)와 연통되며, 상기 실내급기구(34)는 내기 공급통로(54)를 개재하여 제 4 연통구(64)와 연통된다.
외기 흡입통로(51)에는 외기필터(36)가 배치되며, 내기 흡입통로(52)에는 내기필터(37)가 배치된다. 즉, 외기필터(36)는 실외흡입구(31) 하측에 배치되는 제 1 필터를 구성하며, 내기필터(37)는 실내흡입구(32) 하측에 배치되는 제 2 필터를 구성한다. 이들 필터(36, 37)는 판상 또는 시트상으로 형성되며, 대응하는 각 흡입통로(51, 52)의 횡단면 전체영역에 걸쳐지듯이 수평 자세로 유지된다. 또 이들 필터(36, 37)는 각 흡입통로(51, 52)에서 전후방향으로 진퇴 자유롭게 구성된다.
외기 배출통로(53)에는 배기팬(29)이 배치되며, 내기 공급통로(54)에는 급기팬(30)이 배치된다(도 15 참조). 이들 팬(29, 30)은 원심형의 다익 팬(이른바, 시로코팬)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 16의 사시도(그 밖의 사시도도 포함함)에서는 이들 팬(29, 30)의 도시를 생략한다. 배기팬(29)은 제 3 연통구(63)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실외배기구(33)로 송풍한다. 급기팬(30)은 제 4 연통구(64)로부터 도입한 공기를 실내급기구(34)로 송풍한다.
하부 구획판(40)과 상부 구획판(41) 사이에는 직방체형의 공간이 구획된다. 이 공간에는 제 1 구획판(44)과 제 2 구획판(45)이 배치된다.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은 하부 구획판(40)으로부터 상부 구획판(41)에 걸쳐 형성되며, 케이싱(20)의 좌우 측면판(25, 26)과 평행이면서 수직인 자세로 케이싱(20)에 지지된다. 그리고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은, 하부 구획판(40) 및 상부 구획판(41) 사이의 공간을 3개의 공간으로 구획한다.
상기 3개의 공간 중 오른쪽부근 공간은 제 3 구획판(46)에 의해 전후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3개의 공간 중 왼쪽부근 공간은 제 4 구획판(47)에 의해 전후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제 3 구획판(46)의 앞쪽 공간은 제 1 중간통로(55)를 구성하며, 제 4 구획판(47)의 앞쪽 공간이 제 2 중간통로(56)를 구성한다. 또 제 3 구획판(46)의 뒤쪽 공간은 제 3 중간통로(57)를 구성하며, 제 4 구획판(47)의 뒤쪽 공간이 제 4 중간통로(58)를 구성한다.
제 1 중간통로(55) 상단은 상기 제 1 연통구(61)와 연통되며, 제 2 중간통로(56) 상단은 상기 제 2 연통구(62)와 연통되고, 제 3 중간통로(57) 상단은 상기 제 3 연통구(63)와 연통되며, 제 4 중간통로(58) 상단은 상기 제 4 연통구(64)와 연통된다. 또 이들 중간통로(55, 56, 57, 58) 하단은 모두 바닥판(40)에 의해 막힌다.
상기 3개의 공간 중 중앙공간은 중앙 구획판(48)에 의해 상하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들 2개 공간 중 상측공간이 제 1 조습실(65)을 구성하며, 하측공간이 제 2 조습실(66)을 구성한다. 즉, 제 1 조습실(65)과 제 2 조습실(66)은 중앙 구획판(48)을 개재하여 서로 인접하도록 상하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된다.
제 1 조습실(65)에는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수납되며, 제 2 조습실(66)에는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수납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 및 제 2 흡착열교환기(15)는, 상세함은 후술하나, 냉매회로(11)에 직렬로 접속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흡착열교환기(14, 15)는 크로스핀식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이들 흡착열교환기(14, 15)는 동제 전열관(16)과 알루미늄제 핀(17)을 구비한다. 흡착열교환기(14, 15)에 설치된 복수의 핀(17)은 각각 장방형 판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간격으로 나열된다. 또 전열관(16)은, 핀(17) 배열방향으로 사행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이 전열관(16)에서는, 각 핀(17)을 관통하는 직관부와, 서로 인접한 직관부들을 접속하는 U자형 관부가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각 흡착열교환기(14, 15)는 각 핀(17) 표면에 흡착제가 부착되고 유지되며, 핀(17)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핀(17)에 부착되고 유지된 흡착제와 접촉한다. 이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친수성 관능기를 갖는 유기고분자 재료 등, 공기 중의 수분에 대해 소정의 흡착 및 탈착 성능을 갖는 것이 이용된다.
제 4 실시형태의 각 흡착열교환기(14, 15)는 조습실(65, 66)에서 비스듬히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각 흡착열교환기(14, 15)는 복수의 핀(17)이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과 평행이며 또 핀(17) 상단이 수직방향보다 앞쪽으로 경사진 자세가 되도록 조습실(65, 66)에 유지된다. 이로써, 각 흡착열교환기(14, 15)의 각 핀(17)의 길이방향 길이를 길게 할 수 있어, 각 흡착열교환기(14, 15)의 공기 통과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흡착제와 공기의 접촉효율이 증대된다.
상기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에는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하는 유통구가 4개씩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1 구획판(44) 상부에는 그 앞쪽부근에 제 1 유통구(71)가, 뒤쪽부근에 제 2 유통구(72)가 각각 형성되며, 제 2 구획판(45) 상부에는 그 앞쪽부근에 제 3 유통구(73)가, 뒤쪽부근에 제 4 유통구(74)가 각각 형성된다. 또 제 1 구획판(44) 하부에는 그 앞쪽부근에 제 5 유통구(75)가, 뒤쪽부근에 제 6 유통구(76)가 각각 형성되며, 제 2 구획판(45) 하부에는 그 앞쪽부근에 제 7 유통구(77)가, 뒤쪽부근에 제 8 유통구(78)가 각각 형성된다.
제 1 유통구(71)는 제 1 중간통로(55)와 제 1 조습실(65)을 연통시키며, 제 2 유통구(72)는 제 3 중간통로(57)와 제 1 조습실(65)을 연통시키고, 제 3 유통구(73)는 제 2 중간통로(56)와 제 1 조습실(65)을 연통시키며, 제 4 유통구(74)는 제 4 중간통로(58)와 제 1 조습실(65)을 연통시킨다. 또 제 5 유통구(75)는 제 1 중간통로(55)와 제 2 조습실(66)을 연통시키며, 제 6 유통구(76)는 제 3 중간통로(57)와 제 2 조습실(66)을 연통시키고, 제 7 유통구(77)는 제 2 중간통로(56)와 제 2 조습실(66)을 연통시키며, 제 8 유통구(78)는 제 4 중간통로(58)와 제 2 조습실(66)을 연통시킨다.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에는, 대응하는 유통구를 개폐 자유롭게 하는 댐퍼가 4개씩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 1 구획판(44)에는, 제 1 유통구(71)를 개폐하는 제 1 댐퍼(D1)와, 제 2 유통구(72)를 개폐하는 제 2 댐퍼(D2)와, 제 5 유통구(75)를 개폐하는 제 5 댐퍼(D5)와, 제 6 유통구(76)를 개폐하는 제 6 댐퍼(D6)가 배치된다. 또 제 2 구획판(45)에는, 제 3 유통구(73)를 개폐하는 제 3 댐퍼(D3)와, 제 4 유통구(74)를 개폐하는 제 4 댐퍼(D4)와, 제 7 유통구(77)를 개폐하는 제 7 댐퍼(D7)와, 제 8 유통구(78)를 개폐하는 제 8 댐퍼(D8)가 배치된다.
각 댐퍼(D1∼D8)는 예를 들어 2장의 셔터와, 수평축을 받침점으로 하여 각 셔터를 선회시키는 모터를 갖는다. 즉 각 댐퍼(D1∼D8)에서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2장의 셔터가 수직 자세로 변위되면, 대응하는 유통구(71∼78)가 폐쇄상태가 되며, 모터의 회전에 의해 2장의 셔터가 수평 자세로 변위되면, 대응하는 유통구(71∼78)가 개방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은 2개의 조습실(65, 66)의 좌우방향 양 측면 쪽에 형성된다. 또 제 1 구획판(44)과 제 2 구획판(45)은 2개의 조습실(65, 66)에 걸쳐지도록 형성되며, 수직 자세로 케이싱(20)에 지지된다. 또한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은 전후방향으로 진퇴 자유롭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부 구획판(41) 하면과 하부 구획판(40) 상면에는,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의 상단과 하단이 끼워지는 레일 홈(도시 생략)이 전후방향으로 이어져 형성된다.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은 이들 레일 홈을 따르듯이 앞뒤로 슬라이드 자유롭게 구성된다.
<냉매회로의 구성>
조습장치(10)에 탑재되는 상기 냉매회로(11)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냉매회로(11)는, 제 1 흡착열교환기(14), 제 2 흡착열교환기(15), 압축기(12), 사방밸브(13) 및 전동팽창밸브(18)가 배치된 폐회로이다. 냉매회로(11)는 충전된 냉매를 순환시킴으로써 증기압축식 냉동사이클을 수행한다.
냉매회로(11)에서는, 압축기(12) 토출측이 사방밸브(13)의 제 1 포트에 접속되며, 압축기(12) 흡입측이 사방밸브(13)의 제 2 포트에 접속된다. 또 냉매회로(11)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14) 일단이 사방밸브(13)의 제 3 포트에 접속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 타단이 전동팽창밸브(18) 및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개재하여 사방밸브(13) 제 4 포트에 접속된다.
상기 사방밸브(13)는,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하는 제 1 상태(도 5의 (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하는 제 2 상태(도 5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냉매회로(11)가 열매체 회로를 구성한다. 이 냉매회로(11)에서는, 2개의 흡착열교환기(14, 15) 중, 응축기(방열기)로서 동작하는 쪽에 고압 가스냉매가 가열용 열매체 유체로서 공급되며, 증발기로서 동작하는 쪽에 저압의 기액 2상 냉매가 냉각용 열매체 유체로서 공급된다.
-운전동작-
제 4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는, "제습환기운전", "가습환기운전", "제습순환운전", "가습순환운전"을 선택적으로 실행한다. "제습환기운전" 이나 "가습환기운전"에서는, 도입한 실외공기(OA)의 습도를 조절한 후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내공기(RA)를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한편, "제습순환운전"이나 "가습순환운전"에서는, 도입한 실내공기(RA)의 습도를 조절한 후 공급공기(SA)로서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도입한 실외공기(OA)를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한다. 이하, 이들 각 운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습환기운전>
제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제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30)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31)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9)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실내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먼저 제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동작 중에는, 제 1 댐퍼(D1∼D8)의 상태가 전환됨으로써, 제 1 유통구(71), 제 4 유통구(74), 제 6 유통구(76) 및 제 7 유통구(77)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2 유통구(72), 제 3 유통구(73), 제 5 유통구(75) 및 제 8 유통구(78)가 폐쇄상태가 된다.
제 1 동작 중의 냉매회로(11)에서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13)가 제 1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의 냉매회로(11)에서는 냉매가 순환되어 냉동사이클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매회로(50)에서는 압축기(12)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제 2 흡착열교환기(15), 전동팽창밸브(18),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순으로 통과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증발기가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외기필터(36)를 통과한다. 외기필터(36)에서는 제 1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포착된다. 외기필터(36)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1 연통구(61) 및 제 1 중간통로(55)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유통구(71)로부터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한다. 이 제 1 공기는 뒤쪽으로 흐르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4 유통구(74)로부터 제 4 중간통로(58)로 유출된다. 이 제 1 공기는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내기필터(37)를 통과한다. 내기필터(37)에서는 제 2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포착된다. 내기필터(37)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제 2 연통구(62) 및 제 2 중간통로(56)를 차례로 흐르고, 제 7 유통구(77)로부터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한다. 이 제 2 공기는 뒤쪽으로 흐르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된 제 2 공기는 제 6 유통구(76)로부터 제 3 중간통로(57)로 유출된다. 이 제 2 공기는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다음에, 제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동작 중에는, 제 1 댐퍼(D1∼D8)의 상태가 전환됨으로써, 제 2 유통구(72), 제 3 유통구(73), 제 5 유통구(75) 및 제 8 유통구(78)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유통구(71), 제 4 유통구(74), 제 6 유통구(76) 및 제 7 유통구(77)가 폐쇄상태가 된다.
제 2 동작 중의 냉매회로(11)에서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방밸브(13)가 제 2 상태로 설정된다. 이 상태의 냉매회로(11)에서는 냉매가 순환되어 냉동사이클이 이루어진다. 이때, 냉매회로(50)에서는 압축기(12)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제 1 흡착열교환기(14), 전동팽창밸브(18),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순으로 통과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증발기가 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외기필터(36)를 통과한다. 외기필터(36)에서는 제 1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포착된다. 외기필터(36)를 통과한 제 1 공기는 제 1 연통구(61) 및 제 1 중간통로(55)를 차례로 흐르고, 제 5 유통구(75)로부터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한다. 이 제 1 공기는 뒤쪽으로 흐르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8 유통구(78)로부터 제 4 중간통로(58)로 유출된다. 이 제 1 공기는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내기필터(37)를 통과한다. 내기필터(37)에서는 제 2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가 포착된다. 내기필터(37)를 통과한 제 2 공기는 제 2 연통구(62) 및 제 2 중간통로(56)를 차례로 흐르고, 제 3 유통구(73)로부터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한다. 이 제 2 공기는 뒤쪽으로 흐르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된 제 2 공기는 제 2 유통구(72)로부터 제 3 중간통로(57)로 유출된다. 이 제 2 공기는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환기운전>
가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가습환기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30)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31)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9)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실내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가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 중에는,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통구(71), 제 4 유통구(74), 제 6 유통구(76) 및 제 7 유통구(77)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2 유통구(72), 제 3 유통구(73), 제 5 유통구(75) 및 제 8 유통구(78)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냉매회로(11)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증발기가 된다.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외기필터(36), 제 1 연통구(61), 제 1 중간통로(55) 및 제 1 유통구(71)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1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 가습된 제 1 공기는 제 4 유통구(74), 제 4 중간통로(58),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내기필터(37), 제 2 연통구(62), 제 2 중간통로(56) 및 제 7 유통구(77)를 차례로 흐르고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제 2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 제 2 공기는 제 6 유통구(76), 제 3 중간통로(57),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 중에는,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유통구(72), 제 3 유통구(73), 제 5 유통구(75) 및 제 8 유통구(78)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유통구(71), 제 4 유통구(74), 제 6 유통구(76) 및 제 7 유통구(77)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냉매회로(11)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증발기가 된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외기필터(36), 제 1 연통구(61), 제 1 중간통로(55), 및 제 5 유통구(75)를 차례로 흐르고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1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 가습된 제 1 공기는 제 8 유통구(78), 제 4 중간통로(58),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내기필터(37), 제 2 연통구(62), 제 2 중간통로(56) 및 제 3 유통구(73)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제 2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 제 2 공기는 제 2 유통구(72), 제 3 중간통로(57),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제습순환운전>
제습순환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제습순환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30)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실내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9)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31)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제습순환운전의 제 1 동작 중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유통구(73), 제 4 유통구(74), 제 5 유통구(75) 및 제 6 유통구(76)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유통구(71), 제 2 유통구(72), 제 7 유통구(77) 및 제 8 유통구(78)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냉매회로(11)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증발기가 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내기필터(37), 제 2 연통구(62), 제 2 중간통로(56) 및 제 3 유통구(73)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4 유통구(74), 제 4 중간통로(58),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외기필터(36), 제 1 연통구(61), 제 1 중간통로(55) 및 제 5 유통구(75)를 차례로 흐르고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된 제 2 공기는 제 6 유통구(76), 제 3 중간통로(57),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제습순환운전의 제 2 동작 중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통구(71), 제 2 유통구(72), 제 7 유통구(77) 및 제 8 유통구(78)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3 유통구(73), 제 4 유통구(74), 제 5 유통구(75) 및 제 6 유통구(76)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냉매회로(11)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증발기가 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내기필터(37), 제 2 연통구(62), 제 2 중간통로(56) 및 제 7 유통구(77)를 차례로 흐르고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8 유통구(78), 제 4 중간통로(58),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외기필터(36), 제 1 연통구(61), 제 1 중간통로(55) 및 제 1 유통구(71)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된 제 2 공기는 제 2 유통구(72), 제 3 중간통로(57),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순환운전>
가습순환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소정의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교대로 반복된다.
가습순환운전 중의 조습장치(10)에서, 급기팬(30)을 운전하면, 실내공기가 실내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9)을 운전하면,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31)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가습순환운전의 제 1 동작 중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유통구(73), 제 4 유통구(74), 제 5 유통구(75) 및 제 6 유통구(76)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1 유통구(71), 제 2 유통구(72), 제 7 유통구(77) 및 제 8 유통구(78)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냉매회로(11)는,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증발기가 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내기필터(37), 제 2 연통구(62), 제 2 중간통로(56) 및 제 3 유통구(73)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며, 이 탈리된 수분이 제 1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 가습된 제 1 공기는 제 4 유통구(74), 제 4 중간통로(58),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외기필터(36), 제 1 연통구(61), 제 1 중간통로(55) 및 제 5 유통구(75)를 차례로 흐르고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제 2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 제 2 공기는 제 6 유통구(76), 제 3 중간통로(57),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순환운전의 제 2 동작 중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유통구(71), 제 2 유통구(72), 제 7 유통구(77) 및 제 8 유통구(78)가 개방상태가 되며, 제 3 유통구(73), 제 4 유통구(74), 제 5 유통구(75) 및 제 6 유통구(76)가 폐쇄상태가 된다. 또 냉매회로(11)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증발기가 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흡입구(32)로부터 내기 흡입통로(52)로 유입한 제 1 공기는 내기필터(37), 제 2 연통구(62), 제 2 중간통로(56) 및 제 7 유통구(77)를 차례로 흐르고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통과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된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제 1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 가습된 제 1 공기는 제 8 유통구(78), 제 4 중간통로(58), 제 4 연통구(64)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차례로 흐르며,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실외흡입구(31)로부터 외기 흡입통로(51)로 유입한 제 2 공기는 외기필터(36), 제 1 연통구(61), 제 1 중간통로(55) 및 제 1 유통구(71)를 차례로 흐르고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통과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는 제 2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그때 발생한 흡착열이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 제 2 공기는 제 2 유통구(72), 제 3 중간통로(57), 제 3 연통구(63)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차례로 흐르며,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로 유출되어 실외로 배출된다.
-조습장치의 보수점검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조습장치(10)는 반침 내부공간(S)에 수납되며 바닥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도 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조습장치(10)의 앞쪽밖에 보수점검용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 그래서 이 조습장치(10)에서는, 케이싱(20)의 앞면 커버(22)를 분리함으로써, 각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이 조습장치(10) 앞쪽에서 가능하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먼저 상기 외기필터(36) 및 내기필터(37)를 교환하거나 청소할 때, 앞면 커버(22)의 개폐 덮개(22b)를 분리하여 개구부(22a)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외기필터(36) 및 내기필터(37)는 개구부(22a)를 통해 케이싱(20)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들은 외기필터(36)나 내기필터(37)를 앞쪽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이들 필터(36, 37)를 용이하게 인출시켜 분리할 수 있다. 그 후, 청소 또는 교환한 필터(36, 37)를 개구부(22a)로부터 케이싱(20) 내부로 삽입함으로써, 각 필터(36, 37)가 제자리로 되돌려진다. 여기서,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외기필터(36)와 내기필터(37)가 다른 부품으로 구성되나, 이들 필터(36, 37)를 일체적인 필터유닛으로서 외기흡입통로(51) 및 내기흡입통로(52)에 걸쳐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필터유닛을 일체적으로 인출시켜 보수점검작업을 할 수 있다.
또 케이싱(20) 내 다른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을 할 경우에는,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22)를 분리시킨다. 그 결과, 각 구획판(40∼48), 압축기(12), 흡착열교환기(14, 15) 등이 케이싱(20)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압축기(12)나 흡착열교환기(14, 15)를 케이싱(20) 앞쪽으로부터 외부로 인출시켜 보수점검을 할 수 있다. 또 상기 복수 댐퍼(D1∼D8)의 보수점검을 할 경우에는, 도 19에 나타내는 제 1 구획판(44)이나 제 2 구획판(45)을 앞쪽으로 슬라이드시켜 케이싱(20) 앞쪽에서 인출한다. 이로써, 제 1 구획판(44)이나 제 2 구획판(45)의 각 댐퍼(D1∼D8)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구획판(44)이나 제 2 구획판(45)을 중앙 구획판(48)의 상측 및 하측 부위에서 분할 가능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제 1 구획판(44)의 상측 부위만 인출시켜 제 1 댐퍼(D1) 및 제 2 댐퍼(D2)의 보수점검을 하거나, 혹은 제 2 구획판(45)의 하측 부위만 인출시켜 제 7 댐퍼(D7)나 제 8 댐퍼(D8)의 보수점검을 하는 식으로, 임의의 댐퍼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앞면 커버(22)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케이싱(20) 상부의 종형 구획판(42) 및 횡형 구획판(43)을 앞쪽으로 인출시킴으로써, 급기팬(30)이나 배기팬(29)을 케이싱(20)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사용자들은,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 팬(30, 29)을 앞쪽으로 인출시켜 보수점검할 수도 있다.
-제 4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실외흡입구(31), 실외배기구(33) 실내흡입구(32) 및 실내급기구(34)를 케이싱(20) 천장판(23)에 집약시켜 형성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습장치(10)를 반침의 수납공간(S) 바닥면에 설치하여, 각 덕트 접속구(31, 32, 33, 34)에 접속되는 덕트(5)를 위쪽(천장측)으로 연장시킬 수 있다. 즉 제 4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그 수평방향 둘레로 덕트가 설치되는 일이 없으므로, 조습장치(10)의 수평방향 설치공간을 대폭으로 축소시킬 수 있다. 또 조습장치(10)를 바닥면에 설치함으로써, 예를 들어 천장매입형 조습장치에 비해, 사용자에 의한 장치의 보수점검도 간단하게 된다.
또 상기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조습실(65)과 제 2 조습실(66)을 상하로 배열하므로, 케이싱(20)이 수평방향으로 대형화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조습장치(10)의 수평방향 설치공간을 더욱 축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2개의 조습실(65, 66)을, 예를 들어 전후방향으로 배열하면, 뒤쪽 조습실의 흡착열교환기를 앞쪽에서 보수점검 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에 반해, 제 4 실시형태에서는 앞면 커버(22)를 분리한 상태에서 쌍방의 흡착열교환기(14, 15)가 앞쪽으로 노출되므로, 각 흡착열교환기(14, 15)의 보수점검도 용이해진다.
또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댐퍼(D1∼D8)를 갖는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을 조습실(65, 66)의 좌우방향 측면 쪽에 형성함으로써, 각 구획판(44, 45)을 앞쪽으로 인출시켜 각 댐퍼(D1∼D8)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제 1 구획판(44) 및 제 2 구획판(45)을 조습실(65, 66) 측면 쪽에 설치하면, 조습실(65, 66)에서 결로된 수분이 폐쇄상태인 각 유통구(71∼78) 틈새로부터 외부로 누출되어 버리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 급기팬(30)이나 배기팬(29)을, 조습실(65, 66) 상측에 배치하여 실외흡입구(31)나 실내흡입구(32) 근방에 위치시키므로, 급기팬(30)이나 배기팬(29)의 통풍저항, 나아가 팬 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압축기(12)를 조습실(65, 66) 하측에 설치하므로, 조습장치(10)의 무게중심이 낮아져, 조습장치(10)를 안정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압축기(12)가 비교적 높은 위치에 있는 경우에 비해, 압축기(12)의 보수점검도 용이해진다.
또 케이싱(20) 앞쪽에 앞면 커버(22)를 탈착 자유롭게 장착하므로, 조습장치(10)를 반침 내에 설치해도, 앞면 커버(22)를 분리시켜 각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실내흡입구(32)나 실외흡입구(31)를 케이싱(20) 앞쪽에 배치하여, 이들 흡입구(31, 32) 하측에 외기필터(36) 및 내기필터(37)를 배치한다. 이로써,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22)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외기필터(36)나 내기필터(37)를 용이하게 앞쪽으로 인출시킬 수 있어, 사용자들에 의한 필터의 청소나 교환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장치(10)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와 구성이 다르다. 이하,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와 다른 점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5 실시형태의 케이싱(20)에서는 천장판(23)의 앞쪽 우측부근에 실내급기구(34)가 배치되며, 천장판(23)의 앞쪽 좌측부근에 실내흡입구(32)가 배치되고, 천장판(23) 뒤쪽 우측부근에 실외배기구(33)가 배치되며, 천장판(23) 뒤쪽 좌측부근에 실외흡입구(31)가 배치된다.
또 천장판(23)과 상부 구획판(41) 사이에는, 앞쪽 우측부근에 내기 공급통로(54)가, 앞쪽 좌측부근에 내기 흡입통로(52)가, 뒤쪽 우측부근에 외기 배출통로(53)가, 뒤쪽 좌측부근에 외기 흡입통로(51)가 각각 형성된다.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외기 흡입통로(51)와 내기 흡입통로(52)에 걸쳐지도록 필터유닛(38)이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필터유닛(38)은 외기 흡입통로(51)에 위치하는 외기필터부(36)와 내기 흡입통로(52)에 위치하는 내기필터부(37)가 일체가 되도록 구성된다. 횡형 구획판(43)에는 필터유닛(38)이 관통하는 관통구(도시 생략)가 형성된다. 또 관통구 둘레에는, 외기 흡입통로(51)와 내기 흡입통로(52) 사이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부재가 배치된다. 그리고 필터유닛(38)은 앞면 커버(22)를 분리한 상태에서 케이싱(20) 앞쪽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제 5 실시형태의 각 조습실(65, 66)에서는, 대응하는 흡착열교환기(14, 15)가 세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흡착열교환기(14, 15)는, 복수의 핀(17)이 앞면 커버(22) 및 배면판(27)과 평행이며 또 핀(17)이 수직 자세가 되도록 조습실(65, 66)에 설치된다.
-운전동작-
제 5 실시형태의 조습장치(10)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제습환기운전", "가습환기운전", "제습순환운전", "가습순환운전"이 선택적으로 실행된다.
<제습환기운전>
제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증발기가 되며(도 5의 (A)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증발기가 된다(도 5의 (B) 참조).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 중에는, 실외흡입구(31)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로서의 제 1 공기가, 필터유닛(38)의 외기필터부(36)를 통과한 후 제 4 유통구(74)로부터 제 1 조습실(65)로 유입된다. 이 제 1 공기는 측방으로 흐르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횡단하며, 제습된다. 제습 후의 제 1 공기는 제 1 유통구(71)를 지나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또 실내흡입구(32)로부터 도입된 실내공기로서의 제 2 공기는, 필터유닛(38)의 내기필터부(37)를 통과한 후 제 7 유통구(77)로부터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한다. 이 제 2 공기는 측방으로 흐르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횡단하며, 흡착제의 재생에 이용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제 6 유통구(76)를 지나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 중에는, 실외흡입구(31)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로서의 제 1 공기가, 필터유닛(38)의 외기필터부(36)를 통과한 후 제 8 유통구(78)로부터 제 2 조습실(66)로 유입된다. 이 제 1 공기는 측방으로 흐르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를 횡단하며, 제습된다. 제습 후의 제 1 공기는 제 5 유통구(75)를 지나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또 실내흡입구(32)로부터 도입된 실내공기로서의 제 2 공기는, 필터유닛(38)의 내기필터부(37)를 통과한 후 제 3 유통구(73)로부터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한다. 이 제 2 공기는 측방으로 흐르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를 횡단하며, 흡착제의 재생에 이용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제 2 유통구(72)를 지나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환기운전>
가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증발기가 되며(도 5의 (B)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증발기가 된다(도 5의 (A) 참조).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환기운전의 제 1 동작 중에는, 실외흡입구(31)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로서의 제 1 공기가, 제 4 유통구(74)로부터 제 1 조습실(65)로 유입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 가습된다. 가습 후의 제 1 공기는 제 1 유통구(71)를 지나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또 실내흡입구(32)로부터 도입된 실내공기로서의 제 2 공기는, 제 7 유통구(77)로부터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제 6 유통구(76)를 지나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환기운전의 제 2 동작 중에는, 실외흡입구(31)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로서의 제 1 공기가, 제 8 유통구(78)로부터 제 2 조습실(66)로 유입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 가습된다. 가습 후의 제 1 공기는 제 5 유통구(75)를 지나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또 실내흡입구(32)로부터 도입된 실내공기로서의 제 2 공기는, 제 3 유통구(73)로부터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제 2 유통구(72)를 지나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제습순환운전>
제습순환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증발기가 되며(도 5의 (A)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증발기가 된다(도 5의 (B) 참조).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순환운전의 제 1 동작 중에는, 실내흡입구(32)로부터 도입된 실내공기로서의 제 1 공기가, 제 3 유통구(73)로부터 제 1 조습실(65)로 유입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 제습된다. 제습 후의 제 1 공기는 제 1 유통구(71)를 지나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또 실외흡입구(31)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로서의 제 2 공기는, 제 8 유통구(78)로부터 제 2 조습실(66)로 유입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제 6 유통구(76)를 지나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습순환운전의 제 2 동작 중에는, 실내흡입구(32)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로서의 제 1 공기가, 제 7 유통구(77)로부터 제 2 조습실(66)로 유입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 제습된다. 제습 후의 제 1 공기는 제 5 유통구(75)를 지나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또 실외흡입구(31)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로서의 제 2 공기는, 제 3 유통구(73)로부터 제 1 조습실(65)로 유입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제 3 유통구(73)를 지나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가습순환운전>
가습순환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응축기가 되고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증발기가 되며(도 5의 (B) 참조), 제 2 동작에서는 제 2 흡착열교환기(15)가 응축기가 되고 제 1 흡착열교환기(14)가 증발기가 된다(도 5의 (A) 참조).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순환운전의 제 1 동작 중에는, 실내흡입구(32)로부터 도입된 실내공기로서의 제 1 공기가, 제 3 유통구(73)로부터 제 1 조습실(65)로 유입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에서 가습된다. 가습 후의 제 1 공기는 제 1 유통구(71)를 지나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또 실외흡입구(31)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로서의 제 2 공기는, 제 8 유통구(78)로부터 제 2 조습실(66)로 유입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제 6 유통구(76)를 지나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습순환운전의 제 2 동작 중에는, 실내흡입구(32)로부터 도입된 실내공기로서의 제 1 공기가, 제 7 유통구(77)로부터 제 2 조습실(66)로 유입되며, 제 2 흡착열교환기(15)에서 가습된다. 가습 후의 제 1 공기는 제 5 유통구(75)를 지나 실내급기구(34)로부터 실내로 공급된다. 또 실외흡입구(31)로부터 도입된 실외공기로서의 제 2 공기는, 제 4 유통구(74)로부터 제 1 조습실(65)로 유입하며, 제 1 흡착열교환기(14)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제 2 유통구(72)를 지나 실외배기구(3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제 5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실외흡입구(31), 실내흡입구(32), 실외배기구(33) 및 실내급기구(34)를 케이싱(20) 천장판(23)에 형성하도록 하므로, 각 덕트 접속구(31, 32, 33, 34)에 접속되는 덕트(5)를 위쪽(천장측)으로 연장시켜, 조습장치(10)를 반침 등의 수납공간(S)에 수납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22)를 분리하여, 앞쪽에서 각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5 실시형태에서는, 실외흡입구(31)와 실내흡입구(32)를 전후방향으로 배열하고, 각 흡입구(31, 32) 하측에 필터유닛(38)을 배치한다. 따라서 필터유닛(38)을 앞쪽으로부터 인출하여, 외기필터부(36)나 내기필터부(37)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6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는 실내를 환기하는 환기장치(80)를 구성한다. 환기장치(80)는,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반침의 수납공간(S) 내 바닥면에 설치되는 스탠드형 환기장치이다.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기장치(80)는 상기 각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케이싱(20)을 구비하며, 케이싱 본체부(21)의 앞쪽에는 앞면 커버(22)가 탈착 자유롭게 장착된다. 또 환기장치(80)에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싱(20) 천장판(23)에 실외흡입구(31), 실내흡입구(32), 실외배기구(33) 및 실내급기구(34)가 형성된다. 또 케이싱(20) 내 상부에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실외흡입구(31) 하측에 외기 흡입통로(51) 및 제 1 연통구(61)가, 실내흡입구(32) 하측에 내기 흡입통로(52) 및 제 2 연통구(62)가, 실외배기구(33) 밑에 외기 배출통로(53) 및 제 3 연통구(63)가, 실내급기구(34) 하측에 내기 공급통로(54) 및 제 4 연통구(64)가 각각 형성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외기 흡입통로(51)에는 외기필터(36)가, 내기 흡입통로(52)에는 내기필터(37)가, 외기 배출통로(53)에는 배기팬(29)이, 내기 공급통로(54)에는 급기팬(30)이 각각 배치된다.
제 1 실시형태와는 달리, 상부 구획판(41)의 하측공간에는 그 상측부근에 제 1 열교환 요소(91)가 배치되며, 그 하측부근에 제 2 열교환 요소(92)가 배치된다. 각 열교환 요소(91, 92)는 실외공기(OA)와 실내공기(RA)를 열 교환시켜 공기를 조화하는 공조수단을 구성한다. 각 열교환 요소(91, 92)는 거의 사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대각선이 수직 및 수평이 되는 자세로 케이싱(20) 내에 지지된다. 각 열교환 요소(91, 92)는 전후방향으로 복수의 막이 적층되어 구성되며, 그 내부에는 비스듬히 직교되며 또 서로 구획되는 2개의 공기유통로가 형성된다. 이 2개의 공기유통로를 각각 공기가 유통함으로써, 이들 공기 사이에서 현열 및 잠열이 열교환 된다. 즉, 각 열교환 요소(91, 92)는 그 내부를 직교하는 2개 공기의 열과 수분을 주고받는, 이른바 전열교환기를 구성한다.
제 1 열교환 요소(91) 상측에는, 그 오른쪽부근에 제 1 상측통로(81)가 형성되며, 그 왼쪽부근에 제 2 상측통로(85)가 형성된다. 제 1 상측통로(81)는 제 1 연통구(61)와 연통되며, 제 2 상측통로(85)는 제 2 연통구(62)와 연통된다.
제 1 열교환 요소(91)와 제 2 열교환 요소(92) 사이에는 그 왼쪽부근에 제 1 중계통로(82)가 형성되며, 그 오른쪽부근에 제 2 중계통로(86)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상측통로(81)는 제 1 열교환 요소(91)의 한쪽 공기유통로를 개재하여 제 1 중계통로(82)와 연통된다. 상기 제 2 상측통로(85)는 제 1 열교환 요소(91)의 다른 쪽 공기유통로를 개재하여 제 2 중계통로(86)와 연통된다.
제 2 열교환 요소(92) 하측에는 그 오른쪽부근에 제 1 하측통로(83)가 형성되며, 그 왼쪽부근에 제 2 하측통로(87)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중계통로(82)는 제 2 열교환 요소(92)의 한쪽 공기유통로를 개재하여 제 1 하측통로(83)와 연통된다. 상기 제 2 중계통로(86)는 제 2 열교환 요소(92)의 다른 쪽 공기유통로를 개재하여 제 2 하측통로(87)와 연통된다.
또 각 열교환 요소(91, 92) 배면에는 배면측 구획판(49)이 형성되며, 배면측 구획판(49)과 배면판(27) 사이에 공간이 구획된다. 이 공간은 도시하지 않은 구획판에 의해 다시 좌우로 구획되며, 이 구획판 오른쪽에 제 1 배면측 통로(84)가 구획되고, 이 구획판 왼쪽에 제 2 배면측 통로(88)가 구획된다. 제 1 배면측 통로(84)는 그 하단측이 상기 제 1 하측통로(83)와 연통되며, 그 상단이 상기 제 3 연통구(63)와 연통된다. 제 2 배면측 통로(88)는 그 하단측이 상기 제 2 하측통로(87)와 연통되며, 그 상단이 상기 제 4 연통구(64)와 연통된다.
-운전동작-
다음으로, 제 6 실시형태의 환기장치(80) 운전동작에 대해 도 2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급기팬(30)을 운전하면, 실외공기(OA)가 실외흡입구(31)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1 공기로서 도입된다. 또 배기팬(29)을 운전하면, 실내공기(RA)가 실내흡입구(32)로부터 케이싱(20) 내로 제 2 공기로서 도입된다.
제 1 공기는, 외기 흡입통로(51), 제 1 연통구(61), 제 1 상측통로(81)를 차례로 통과하며, 제 1 열교환 요소(91)의 한쪽 공기유통로를 흐른다. 또 제 2 공기는, 내기 흡입통로(52), 제 2 연통구(62), 제 2 상측통로(85)를 차례로 통과하며, 제 1 열교환 요소(91)의 다른 쪽 공기유통로를 흐른다. 여기서, 예를 들어 여름에는, 공조기에 의해 냉방 또는 제습된, 실내로부터 도입된 제 2 공기보다, 실외로부터 도입된 제 1 공기 쪽이 온도나 습도가 높다. 따라서 제 1 열교환 요소(91)에서는 제 1 공기의 열이나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되어 제 1 공기가 냉각 및 제습된다.
제 1 열교환 요소(91)로부터 제 1 중계통로(82)로 유출된 제 1 공기는 제 2 열교환 요소(92)의 한쪽 공기유통로를 흐른다. 또 제 1 열교환 요소(91)로부터 제 2 중계통로(86)로 유출된 제 2 공기는 제 2 열교환 요소(92)의 다른 쪽 공기유통로를 흐른다. 예를 들어 여름에, 제 2 열교환 요소(92)에서는, 제 1 열교환 요소(91)와 마찬가지로 제 1 공기가 냉각 및 제습된다.
제 2 열교환 요소(92)로부터 제 1 하측통로(83)로 유출된 제 1 공기는, 제 1 배면측 통로(84), 제 3 연통구(63) 및 내기 공급통로(54)를 통과한 후, 실내급기구(34)로부터 덕트를 지나 실내로 공급된다. 제 2 열교환 요소(92)로부터 제 2 하측통로(87)로 유출된 제 2 공기는 제 2 배면측 통로(88), 제 4 연통구(64) 및 외기 배출통로(53)를 통과한 후, 실외배기구(33)로부터 덕트를 지나 실외로 배출된다.
-제 6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 제 6 실시형태의 환기장치(80)에서는, 상기 제 4 실시형태나 제 5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실외흡입구(31), 실내흡입구(32), 실외배기구(33) 및 실내급기구(34)를 케이싱(20) 천장판(23)에 형성하도록 하므로, 각 덕트 접속구(31, 32, 33, 34)에 접속되는 덕트(5)를 위쪽(천장측)으로 연장시켜, 조습장치(10)를 반침 등의 수납공간(S)에 수납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나 제 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22)를 분리하여, 앞쪽에서 각 구성기기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6 실시형태에서도, 실내흡입구(32) 및 실외흡입구(31)를 케이싱(20) 앞쪽에 배치하고, 이들 흡입구(31, 32) 하측에 외기필터(36) 및 내기필터(37)를 배치한다. 이로써 케이싱 본체부(21)로부터 앞면 커버(22)를 분리한 상태에서 외기필터(36)나 내기필터(37)를 용이하게 앞쪽으로 인출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들에 의한 필터 청소나 교환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상기 제 1 실시형태나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흡착열교환기(14, 15)의 흡착제를 가열 또는 냉각하는 열매체 유체로서, 냉동 사이클이 수행되는 냉매회로(11)의 냉매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열매체 유체로서, 예를 들어 소정의 가열원에 의해 가열시킨 온수나, 소정의 냉각장치를 이용하여 냉각시킨 냉수 등을 이용해도 되며, 다른 열매체 유체를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6 실시형태에서는, 실내로 공급할 공기를 공조하는 공조수단으로서, 열교환 요소(91, 92)를 이용한다. 그러나 이 공조수단으로서, 예를 들어 공기의 온도조절만을 하는 현열교환기나 히터 등을 이용하도록 해도 되며, 공기의 습도조절만을 하는 흡착부재나 가습기를 이용해도 되고, 이들을 조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6 실시형태에서, 열교환 요소(91, 92)를 수평방향으로 배열해도 되며, 1개의 열교환 요소(91)만을 이용하도록 해도 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를 조습하는 조습장치나, 실내를 환기하는 환기장치에 대해 유용하다.
10 : 조습장치 11 : 열매체 회로(냉매회로)
12 : 압축기
14 : 제 1 흡착열교환기(흡착부재, 흡착열교환기)
15 : 제 2 흡착열교환기(흡착부재, 흡착열교환기)
20 : 케이싱 21 : 케이싱 본체부
22 : 앞면 커버 29 : 배기팬
30 : 급기팬 31 : 실외흡입구
32 : 실내흡입구 33 : 실외배기구
34 : 실내급기구 36 : 외기필터(제 1 필터)
37 : 내기필터(제 2 필터) 44 : 제 1 구획판(구획판)
45 : 제 2 구획판(구획판) 50 : 인출유닛
65 : 제 1 조습실(조습실) 66 : 제 2 조습실(조습실)
71∼78 : 유통구 80 : 데시칸트(desicant) 로터
91 : 제 1 열교환 요소(element) 92 : 제 2 열교환 요소
D1∼D8 : 댐퍼

Claims (14)

  1. 수분 흡착이 가능한 흡착제가 부착되고 유지되는 흡착부재와, 이 흡착부재의 흡착제를 가열 또는 냉각하기 위한 열매체 유체가 흐르는 열매체 회로가 수납되는 케이싱을 구비하며, 공기를 상기 흡착부재의 흡착제와 접촉시키고 이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조습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 및 상기 열매체 회로를 일체적으로 유지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 외부로 인출 가능한 유지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회로는, 압축기가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열매체 유체로서의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는 냉매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유지부재에는, 상기 압축기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는, 상기 냉매회로에 접속되는 열교환기의 표면에 흡착제가 부착되고 유지되는 흡착열교환기로 구성되며,
    상기 유지부재에는, 상기 흡착열교환기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에는, 상기 흡착열교환기 및 상기 압축기가 수납됨과 더불어, 이 흡착열교환기의 흡착제와 접촉하는 공기가 유통하는 조습실이 형성되며,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조습실에 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흡착열교환기 및 상기 압축기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5. 청구항 1 내지 4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상면에는, 실외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착부재로 공급하기 위한 실외흡입구와,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흡착부재로 공급하기 위한 실내흡입구와, 상기 흡착부재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배기구와, 상기 흡착부재로부터 유출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한 실내급기구가 형성되며,
    상기 유지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앞면 쪽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실외공간과 이어지는 실외흡입구 및 실외배기구와, 실내공간과 이어지는 실내흡입구 및 실내급기구가 이 케이싱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열매체 회로는, 상기 케이싱에 수납되며 상기 흡착제가 부착되고 유지되는 상기 흡착부재로서의 흡착열교환기가 접속되며,
    상기 열매체 유체에 의해 흡착열교환기의 흡착제를 가열 또는 냉각하고, 상기 실외흡입구 및 상기 실내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 어느 한쪽 공기를 상기 흡착열교환기의 흡착제와 접촉시키고 조습한 후 상기 실내급기구로부터 실내로 공급하며, 다른 쪽 공기를 실외배기구로부터 실외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회로에는 복수의 흡착열교환기가 접속되며,
    상기 케이싱 내에는, 상기 흡착열교환기가 각각 수납되는 복수의 조습실이 상하방향으로 나열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내에는, 상기 흡착열교환기가 수납되는 조습실을 구획하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또 상기 조습실과 연통되며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하는 복수의 유통구가 개구됨과 더불어 상기 각 유통구를 각각 개폐하는 복수의 댐퍼를 갖는 구획판이 설치되며,
    상기 구획판은 조습실의 측면 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이 케이싱 본체부의 앞쪽에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는 앞면 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구획판은, 상기 조습실의 좌우방향 측면 쪽에 형성됨과 더불어 전후방향으로 진퇴 자유롭게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 본체부 앞쪽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실내급기구로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팬과, 상기 실외배기구로부터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이, 상기 흡착열교환기가 수납되는 조습실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열매체 회로는, 압축기가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열매체 유체로서의 냉매가 순환되어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는 냉매회로로 구성되며,
    상기 압축기가, 상기 흡착열교환기가 수납되는 조습실 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2. 청구항 6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이 케이싱 본체부의 앞쪽에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는 앞면 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열매체 회로는, 압축기가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열매체 유체로서의 냉매가 순환하여 냉동 사이클을 실행하는 냉매회로로 구성되고,
    상기 흡착열교환기와, 상기 실내급기구로부터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기팬과, 상기 실외배기구로부터 실외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팬과, 상기 압축기와, 상기 실외흡입구 및 상기 실내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 한쪽 또는 양쪽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하는 필터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케이싱 본체부의 앞쪽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이 케이싱 본체부의 앞쪽에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는 앞면 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케이싱 상면에는, 이 케이싱의 앞쪽 부근에 상기 실외흡입구 및 상기 실내흡입구가 배치되고, 케이싱의 뒤쪽 부근에 상기 실외배기구 및 상기 실내급기구가 배치되며,
    상기 실외흡입구 하측에는, 이 실외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 본체부의 앞쪽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 1 필터가 배치되며,
    상기 실내흡입구 하측에는, 이 실내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 본체부의 앞쪽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 2 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장치.
  14. 실외공간과 이어지는 실외흡입구 및 실외배기구와, 실내공간과 이어지는 실내흡입구 및 실내급기구가 형성되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 내 공기통로에 배치되어 공기를 조화하는 공조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실외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상기 공조수단에서 공조한 후 상기 실내급기구로부터 실내로 공급하고, 상기 실내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를 실외배기구로부터 실외로 배출하는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외흡입구, 상기 실외배기구, 상기 실내흡입구 및 상기 실내급기구가 상기 케이싱 상면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에는, 이 케이싱 본체부 앞쪽에 탈착 자유롭게 장착되는 앞면 커버가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 상면에는, 이 케이싱의 앞쪽 부근에 상기 실외흡입구 및 상기 실내흡입구가 배치되며, 케이싱의 뒤쪽 부근에 상기 실외배기구 및 상기 실내급기구가 배치되고,
    상기 실외흡입구 하측에는, 이 실외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 본체부의 앞쪽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 1 필터가 배치되고,
    상기 실내흡입구 하측에는, 이 실내흡입구로부터 흡입한 공기 중의 먼지를 포착함과 더불어, 상기 케이싱 본체부의 앞쪽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 2 필터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장치.
KR1020107007736A 2007-10-05 2008-09-03 조습장치 KR101174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262462 2007-10-05
JPJP-P-2007-262463 2007-10-05
JP2007262462A JP4325716B2 (ja) 2007-10-05 2007-10-05 調湿装置
JP2007262463A JP4306780B2 (ja) 2007-10-05 2007-10-05 調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1874A true KR20100051874A (ko) 2010-05-18
KR101174556B1 KR101174556B1 (ko) 2012-08-16

Family

ID=40525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07736A KR101174556B1 (ko) 2007-10-05 2008-09-03 조습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00224688A1 (ko)
EP (1) EP2206977B1 (ko)
KR (1) KR101174556B1 (ko)
CN (1) CN101815906B (ko)
AU (1) AU2008308347B2 (ko)
ES (1) ES2680600T3 (ko)
WO (1) WO2009044505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946B1 (ko) * 2011-05-02 2013-02-15 김계철 열교환기
KR101447022B1 (ko) * 2011-12-13 2014-10-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
KR102192487B1 (ko) * 2019-12-17 2020-12-17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환기 및 온도조절 통합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66630B2 (ja) * 2009-06-23 2014-08-06 株式会社長府製作所 床置型デシカント式換気扇
CN102472513B (zh) * 2009-07-08 2014-12-24 大金工业株式会社 换气系统
CN103080658B (zh) * 2010-09-07 2016-04-13 富士通株式会社 空气调节系统
EP2623877B1 (en) * 2010-09-28 2019-12-1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 and ventilation device
JP5353977B2 (ja) * 2011-08-31 2013-11-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CN102967012B (zh) * 2011-08-31 2015-09-23 大金工业株式会社 调湿装置
CN102967008B (zh) * 2011-08-31 2015-10-21 大金工业株式会社 调湿装置
JP6037926B2 (ja) * 2013-04-16 2016-12-07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US20160146479A1 (en) * 2013-06-28 2016-05-26 Daikin Industries, Ltd. Dehumidification device and dehumidification system
CN105003984B (zh) * 2014-04-25 2017-07-1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无水加湿设备和空调系统
EP3786535A3 (en) * 2014-06-05 2021-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grated air conditioner
US9777941B2 (en) * 2015-04-21 2017-10-03 Metal Logix Design And Fabrication Inc. Heat recovery ventilator and rotary damper assembly
CN106016514A (zh) * 2016-05-12 2016-10-12 上海交通大学 温湿度弱关联控制单元式空调系统及使用方法
PL3450872T3 (pl) * 2017-09-01 2023-06-12 Enervent Zehnder Oy Urządzenie do dostarczania powietrza
EP4001788A4 (en) * 2019-07-19 2022-07-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HEAT EXCHANGE TYPE VENTILATION DEVICE
CN116747683B (zh) * 2023-08-23 2023-11-07 中科赛凌(中山)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低温处理的湿度控制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40830A (en) * 1990-10-31 1992-08-25 Consolidated Technology Corporation Self-contained indoor air conditioning system
JP2531334B2 (ja) 1993-03-03 1996-09-04 木村工機株式会社 カセット形天井設置用換気ユニット
US5431215A (en) * 1993-12-30 1995-07-11 Honeywell Inc. Pressure switch for energy recovery ventilator
AU2001277164A1 (en) * 2000-08-04 2002-02-18 Crane Co A thermally regulated storage container
AU2003252364B2 (en) * 2002-08-05 2007-04-05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er
US20040157543A1 (en) * 2002-11-06 2004-08-12 Bertin Ira L. Automatic modular outlets for conditioned air, dampers, and modular return air grills
JP3624910B2 (ja) * 2003-05-27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2005009767A (ja) * 2003-06-19 2005-01-13 Daikin Ind Ltd 調湿装置
EP1739370A4 (en) * 2004-03-31 2009-07-29 Daikin Ind Ltd MOISTURE CONTROLLER
JP2006084152A (ja) * 2004-09-17 2006-03-30 Daiwa House Ind Co Ltd 調湿機能付き換気システム
EP1891379A2 (en) * 2005-06-13 2008-02-27 LG Electronics Inc. Dehumidifier
JP2007010231A (ja) 2005-06-30 2007-01-18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2007010229A (ja) * 2005-06-30 2007-01-18 Daikin Ind Ltd 換気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3946B1 (ko) * 2011-05-02 2013-02-15 김계철 열교환기
KR101447022B1 (ko) * 2011-12-13 2014-10-08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로절환장치를 이용한 물질 교환기
KR102192487B1 (ko) * 2019-12-17 2020-12-17 (주)스타즈스터링코리아 환기 및 온도조절 통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15906B (zh) 2015-06-10
AU2008308347A1 (en) 2009-04-09
WO2009044505A1 (ja) 2009-04-09
EP2206977A1 (en) 2010-07-14
ES2680600T3 (es) 2018-09-10
KR101174556B1 (ko) 2012-08-16
AU2008308347B2 (en) 2011-12-08
US20100224688A1 (en) 2010-09-09
CN101815906A (zh) 2010-08-25
EP2206977B1 (en) 2018-06-20
EP2206977A4 (en)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4556B1 (ko) 조습장치
KR101075778B1 (ko) 공기조화장치
KR101127377B1 (ko) 조습장치
AU2008320210B2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KR101980549B1 (ko) 공기조화 장치
KR101143099B1 (ko) 조습장치
WO2005095874A1 (ja) 調湿装置
JP4306780B2 (ja) 調湿装置
KR20070004072A (ko) 조습 장치
JP4325716B2 (ja) 調湿装置
US8827169B2 (en) Humidity control apparatus
JP2009109122A (ja) 調湿装置
KR102461052B1 (ko) 프리히팅 기능을 포함하는 다목적 전열교환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5810993B2 (ja) 調湿装置
JP4311110B2 (ja) 空気調和装置
JP2013064590A (ja) 調湿装置
JP2017129317A (ja) 調湿装置
JP2017129318A (ja) 調湿装置
JP5353977B2 (ja) 調湿装置
JP2004333017A (ja) 調湿装置
KR20220126118A (ko) 냉방 및 제습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목적 전열교환기 및 이의 제어방법
JP2004353989A (ja) 調湿装置
JP2017129319A (ja) 調湿装置
JP2005291506A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