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072A - 조습 장치 - Google Patents

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072A
KR20070004072A KR1020067022466A KR20067022466A KR20070004072A KR 20070004072 A KR20070004072 A KR 20070004072A KR 1020067022466 A KR1020067022466 A KR 1020067022466A KR 20067022466 A KR20067022466 A KR 20067022466A KR 20070004072 A KR20070004072 A KR 200700040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exchanger
main body
pass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29678B1 (ko
Inventor
도모히로 야부
요시노리 나리카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0232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83076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0223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8307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101703A external-priority patent/JP3742895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4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조습 장치(10)에는 냉매회로(60)가 형성된다. 냉매회로(60)는, 흡착제를 담지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를 구비하며, 냉매를 순환시켜 냉동주기를 행한다. 또 냉매회로(60)에서는, 냉매의 순환방향이 반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는, 본체유닛(90)의 본체케이싱(11) 내에 설치된다. 이 본체유닛(90)에서는, 상기 열교환기(61, 62) 중, 증발기가 된 쪽을 제 1 공기가 통과하고 응축기가 된 쪽을 제 2 공기가 통과하도록, 공기의 유통경로가 전환된다.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는, 본체유닛(90)과는 별도의 압축기유닛(91)에 설치된다.

Description

조습 장치{HUMIDITY CONTROLLER}
본 발명은 공기의 습도조절을 행하는 조습 장치로서, 특히 냉동주기를 행하여 흡착제의 재생이나 냉각을 행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일본특개평 8-189667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흡착제와 냉동주기를 이용하여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조습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 조습 장치는 2개의 흡착유닛을 구비한다. 각 흡착유닛은, 흡착제가 충전된 망사용기와, 이 망사용기를 관통하는 냉매관으로 구성된다. 각 흡착유닛의 냉매관은,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매회로에 접속된다. 또 상기 조습 장치에는, 각 흡착유닛으로 보내지는 공기를 전환하기 위한 댐퍼가 설치된다.
상기 조습 장치의 운전 중에는, 냉매회로의 압축기가 운전되어, 2개의 흡착유닛 중, 한쪽이 증발기가 되고 다른 쪽이 응축기가 되는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또 냉매회로에서는, 십자전환밸브를 조작함으로써 냉매의 순환방향이 전환되며, 각 흡착유닛은 교대로 증발기로서 기능하거나 응축기로서 기능하거나 한다.
상기 조습 장치의 가습운전에서는, 실외에서 실내를 향해 흐르는 급기를 응축기가 된 흡착유닛으로 도입하여,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으로 급기를 가습한다. 이 때, 실내에서 실외를 향해 흐르는 배기를 증발기가 된 흡착유닛으로 유도 하여, 배기 중의 수분을 흡착제로 회수한다. 한편, 조습 장치의 제습운전에서는, 실외에서 실내를 향해 흐르는 급기를 증발기가 된 흡착유닛으로 유도하여, 흡입공기 중의 수분을 흡착제에 흡착시킨다. 이 때, 실내에서 실외를 향해 흐르는 배기를 응축기가 된 흡착유닛으로 유도하여,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을 배기와 함께 실외로 배출한다.
여기서 상기 흡착유닛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갖는 것으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일본특개평 7-265649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열교환 부재도 알려져 있다. 이 열교환 부재에서는, 동관 주위에 판상의 핀이 설치되어, 이 동관이나 핀의 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된다. 그리고 이 열교환 부재는, 동관 내를 흐르는 유체에 의해 흡착제의 가열이나 냉각을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조습 장치로는, 특허문헌 3(일본특개평 9-329371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은 것도 있다. 이 조습 장치는, 케이싱 내에 실외공간과 실내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며, 이 공기통로에 흡착소자를 구비한다. 그리고 실외공기(OA)를 상기 흡착소자에 유통시킴으로써, 예를 들어 실외공기(OA)의 수분을 흡착하여, 제습공기(조습공기(SA))로서 실내공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또 예를 들어, 흡착소자에 흡착된 수분을 탈리시키고, 이 수분을 실외공기(OA)에 부여하여, 가습공기(조습공기(SA))로서 실내공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런데, 상기 종래의 조습 장치에서는, 흡착제를 재생하기 위해 번번이 냉매회로에서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시킬 필요가 있으며, 그 때마다 소음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때문에 조습 장치에서 발생한 소음이 실내로 침입하여 실내의 쾌적성을 해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실내에 설치하는 조습 장치의 본체케이싱으로부터 소리의 발생원을 분리시킴으로써, 조용하고 쾌적한 조습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를 구비한 압축기유닛(91)을 본체케이싱(11) 밖에 배치한다.
구체적으로 제 1 발명은, 제습된 제 1 공기와 가습된 제 2 공기 중, 한쪽을 실내에 공급하며 다른 쪽을 실외로 배출하는 조습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흡착제를 담지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가 접속되어 냉동주기를 행함과 더불어 냉매순환방향이 반전 가능한 냉매회로(60)와, 내부의 공기통로에 상기 열교환기(61, 62)가 설치되는 본체케이싱(11), 및 이 열교환기(61, 62) 중, 증발기로 된 쪽을 제 1 공기가 통과하고 응축기로 된 쪽을 제 2 공기가 통과하도록, 이 본체케이싱(11) 내에서의 공기 유통경로를 상기 냉매회로(60)에서의 냉매순환방향에 따라 전환하는 전환기구가 배치된 본체유닛(90)과, 이 본체케이싱(11) 밖에 배치되며, 상기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가 배치된 압축기유닛(91)을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 1 발명에서는, 냉매회로(60)에서 반전기구(64)의 전환에 의해, 2가지의 냉동주기 동작이 교대로 반복 실행된다. 제 1 냉동주기 동작 중에는, 응축기가 된 제 1 열교환기(61)로 제 2 공기가 보내지며, 증발기가 된 제 2 열교환기(62)로 제 1 공기가 보내진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흡착제가 재생되고, 흡착제에서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또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고, 이 때에 발생하는 흡착열을 냉매가 흡열한다. 한편, 제 2 냉동주기 동작 중에는, 전환기구에 의해 제 1 냉동주기 동작 중과 다른 유통경로로 전환되어, 상기 증발기로 된 제 1 열교환기(61)로 제 1 공기가 보내지며, 응축기로 된 제 2 열교환기(62)로 제 2 공기가 보내진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제에 흡착되며, 이 때에 발생하는 흡착열을 냉매가 흡열한다. 또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흡착제가 재생되고, 흡착제에서 탈리된 수분이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조습 장치(10)는, 제습된 제 1 공기 또는 가습된 제 2 공기를 실내에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할 때, 압축기(63)에서 소리가 발생하나, 이 발명에서는,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를 구비하는 압축기유닛(91)을 본체케이싱(11) 밖에 배치하므로, 소리가 발생하는 압축기유닛(91)을 실내에서 소리에 신경 쓰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하거나, 본체케이싱(11)을 옥내에 배치하고 압축기유닛(91)을 실외에 배치하거나 함으로써, 압축기유닛(91)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조용하고 쾌적한 조습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압축기유닛(91)을 별도 배치함으로써 그만큼 옥내에 배치하는 본체케이싱(1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제 2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60)의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기구(64)가 상기 압축기유닛(91) 내에 설치한 것이다. 또 제 3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60)의 팽창기구(65)가 상기 압축기유닛(91) 내에 설치한 것이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소리의 발생원을 본체케이싱(11)으로부터 멀어지게 할 수 있다. 또 이로써 냉매전환 음도 작게 할 수 있다.
제 4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유닛(91)이 옥외에 배치되는 것이다. 한편 제 5 발명은, 상기 압축기유닛(91)이 옥내의 기계실에 배치한 것이다.
이들 발명에서는, 소리가 발생하기 쉬운 압축기유닛(91)을 옥외나 옥내의 기계실에 배치한다. 그리고 소리의 발생원이 적은 본체케이싱(11)을 옥내에 배치함으로써 조용하고 쾌적한 조습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 6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유닛(91)은 밀폐용기형의 압축기케이싱(92)으로 덮이는 것이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압축기의 소음을 압축기케이싱(92)으로 막을 수 있으므로, 특히 소리가 발생하는 압축기유닛(91)을 옥내에서 소리가 신경 쓰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할 때에 소음대책으로서 효과적이다.
제 7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은 편평한 상자형으로 형성되며, 본체케이싱(11) 내에 공기를 도입하는 급기팬(25)과 배기팬(26)은, 팬 케이싱의 측방에서 흡입하여 전방(前方)으로 토출하는 다익 팬(multiblade fan)으로 구성되며, 그 임펠러의 축심이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상기 제 7 발명에서는, 압축기(63)가 본체케이싱(11)의 바깥쪽에 배치되므로, 압축기(63) 높이에 본체케이싱(11)의 두께가 제한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임펠러의 지름에 대해, 임펠러 축심방향에서의 팬의 전체적 크기가 작은 박형의 팬을 그 임펠러 축심이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하면, 본체케이싱(11)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제 8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는,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치한 것이다.
상기 제 8 발명에서는,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과,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의 두께방향을 거의 일치시키도록,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를 배치하므로, 본체케이싱(11)의 두께를 더욱 얇게 할 수 있다.
제 9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에는 실내로 연통되는 덕트(72, 74)를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24) 및 흡입구(22)와, 실외로 연통되는 덕트(71, 73)를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23) 및 흡입구(21)가 각각 개구된 것이다.
상기 제 9 발명에서는, 실내 및 실외와 본체케이싱(11)을 연통시키는 덕트(71, 72, 73, 74)를 이용함으로써 최적의 위치에 조습 장치가 배치된다.
제 10 발명은, 조습 장치를 천장 위쪽에 설치하는 것이다. 또 제 11 발명은, 조습 장치를 옥내 바닥 위에 설치한 것이다.
이들 발명에 의하면, 천장 위나 옥내 바닥에 배치한 경우라도, 본 발명의 작용효과가 현저히 발휘되는 조습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 12 발명은, 상기 본체케이싱(11)에는 이 본체케이싱(11) 내와 실내를 직접 연통시키는 토출구(24) 및 흡입구(22)와, 실외로 연통되는 덕트(71, 73)를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23) 및 흡입구(21)가 각각 개구된 것이다.
상기 제 12 발명에서는, 실내로 연통되는 덕트(72, 74)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천장 등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제 13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 내에 설치된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케이싱(11)은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내부공간은, 이 본체케이싱(11) 측판의 하나인 팬측 측판(13)을 따른 제 1 공간(17)과 나머지 제 2 공간(18)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 공간(17)에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이, 상기 제 2 공간(18)에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와 전환기구를 각각 배치한 것이다.
상기 제 13 발명에서는, 압축기(63)를 구비한 압축기유닛(91)을 별도 배치하여, 본체케이싱(11) 내의 압축기(63) 설치 면적이 필요 없어지므로, 옥내에 배치하는 본체케이싱(1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서는, 본체케이싱(11) 내의 구획된 공간 중, 한쪽의 팬측 측판(13)을 따른 제 1 공간(17)에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을 배치하며, 다른 쪽의 제 2 공간(18)에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와 전환기구를 배치한다. 이로써, 각 팬(25, 26)을 본체케이싱(11)의 대각선상에 배치하는 등의 경우에 비해, 비약적으로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천장과 같은 좁은 영역에도 설치하기 쉬운 조습 장치가 얻어진다.
제 14 발명은 상기 제 1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의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측판(14, 15) 중, 한쪽에는, 실내로 연통되는 급기구(24)와 실내공기 흡입구(22)가, 다른 쪽에는 실외로 연통되는 배기구(23)와 실외공기 흡입구(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열교환기(62)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42)이 상기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인접하여 형성되며 또,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실(41)과 상기 제 2 열교환실(42)의 양쪽에 면하는 한 쌍의 측판(32, 33) 중, 한쪽을 따르고 또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제 1 공기유입로(43) 및 제 1 공기유출로(44)와, 이 한 쌍의 측판(32, 33) 다른 쪽을 따라 이어지면서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제 2 공기유입로(45) 및 제 2 공기유출로(46)가 형성되고, 상기 각 유출로(44, 46)는, 팬측 연통구(75, 76)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되는 것이다.
상기 제 14 발명에 있어서, 본체케이싱(11) 내에 도입된 공기는 제 1 또는 제 2 공기유입로(43, 45)로 유입되고, 제 1 또는 제 2 열교환기(61, 62)를 지나 제습 또는 가습된다. 그 후, 제 1 공기유출로(44)의 공기는 팬측 연통구(76)를, 제 2 공기유출로(46)의 공기는 팬측 연통구(75)를 각각 통과하며, 이들 각 유출로(44, 46)의 공기는, 그 한쪽이 급기팬(25)으로부터 배출되고, 다른 한쪽이 배기팬(26)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발명에서는, 본체케이싱(11)의 1개 측판에 형성된 급기구(24)와 실내공기 흡입구(22)에 실내로 연통되는 덕트(72, 74)를 접속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측판에 형성된 배기구(23)와 실외공기 흡입구(21)에 실외로 연통되는 덕트(71, 73)를 접속할 수 있다. 이로써 각 덕트(71, 72, ...)를 실내 또는 실외를 향해 일직선으로 배치할 수 있으므로, 덕트(71, 72, ...)의 배관이 용이함과 더불어, 설치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15 발명은, 상기 제 13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의 팬측 측판(13)에는 실내로 연통되는 급기구(24)와 실외로 연통되는 배기구(23)가, 상기 팬측 측판(13)과 대향하는 측판(12)에는 실내공기 흡입구(22)와 실외공기 흡입구(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열교환기(62)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42)이, 상기 팬측 측판(13)의 긴 쪽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인접하여 형성되며, 또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실(41)과 상기 제 2 열교환실(42) 양쪽에 면하는 한 쌍의 측판(32, 33) 중, 한쪽과 상기 팬측 측판(13)과 대향하는 측판(12) 사이에, 이 측판(12)을 따라 이어지고 또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제 1 공기유입로(43) 및 제 2 공기유입로(45)와, 이 한 쌍의 측판(32, 33) 중, 다른 한쪽과 상기 팬측 측판(13) 사이에, 이 팬측 측판(13)을 따라 이어지며 또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제 1 공기유출로(44) 및 제 2 공기유출로(46)가 형성되고, 상기 각 유출로(44, 46)는, 팬측 연통구(75, 76)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되는 것이다.
상기 제 15 발명에 있어서, 실내공기 흡입구(22) 및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본체케이싱(11) 내에 도입된 공기는, 제 1 또는 제 2 공기유입로(44, 46)로 유입되고, 제 1 또는 제 2 열교환기(61, 62)를 지나 제습 또는 가습된다. 그 후 제 1 공기유출로(44)의 공기는 팬측 연통구(76)를, 제 2 공기유출로(46)의 공기는 팬측 연통구(75)를 각각 통과하며, 이들 각 유출로(44, 46)의 공기는 그 한쪽이 급기팬(25)으로부터 배출되고, 다른 한쪽이 배기팬(26)으로부터 배출된다.
이 발명에서는, 팬측 측판(13)의 긴 쪽 방향으로 나열된 제 1 열교환실(41) 및 제 2 열교환실(42)의 연속된 측면 중, 한쪽을 따라 제 1 공기유입로(43) 및 제 2 공기유입로(45)가 형성되며, 다른 쪽을 따라 제 1 공기유출로(44) 및 제 2 공기유출로(46)가 형성된다. 이로써 조습 장치의 본체케이싱(11)은,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형상이 된다. 그리고 이 조습 장치의 긴 쪽 방향(즉,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덕트(71, 72, ...)를 배치할 수 있어, 팬측 측판(13) 긴 쪽 방향의 조습 장치 설치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16 발명은 상기 제 13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25)과 배기팬(26)은, 팬 케이싱의 측방에서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하는 다익 팬으로 구성되며, 그 임펠러의 축심이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 16 발명에 의하면, 임펠러의 지름에 대해, 임펠러 축심방향에서 팬의 전체적인 치수가 작은 박형 팬일 경우에, 조습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제 17 발명은, 상기 제 16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25)은 그 팬 케이싱 측방의 흡입구(27)가 상기 팬측 연통구(75, 76)의 어느 한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기팬(26)은, 그 팬 케이싱 측방의 흡입구(28)가 상기 팬측 연통구(75, 76)의 다른 한쪽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 17 발명에서는, 팬 케이싱 측방의 흡입구(27, 28)가 팬측 연통구(75, 76)를 향한다. 이로써 제 1 또는 제 2 공기유출로(44, 46)의 열교환기(61, 62)에 의해 제습 또는 가습된 공기가 각 팬(25, 26)에 의해 각 팬측 연통구(75, 76)로부터 원활하게 흡입된다. 따라서 공기의 저항이 작아지므로 조습 장치의 효율이 향상된다.
제 18 발명은, 상기 제 1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에 접속되는 냉매회로(60)의 배관이 본체케이싱(11)의 천장판을 따라 배치된 것이다.
상기 제 18 발명에서는, 냉매회로(60)의 배관을 본체케이싱(11)의 천장판을 따라 설치한다. 이로써 냉매회로(60)를 위쪽에서 설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냉매회로(60)의 보수관리를 위쪽에서 실시할 수 있다.
제 19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에서 실외공기의 유입 면을 따라 배치 형성된 실외측 필터(124)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 19 발명에서, 실외측 필터(124)를 통과한 실외공기(OA)는, 상기 열교환기(61, 62)의 유입 면으로부터 이 열교환기(61, 62)의 유통공간을 유통한다. 이때, 실외공기(OA) 중의 먼지는 실외측 필터(124)에 의해 포집된다. 그리고 예를 들어, 열교환기(61, 62)에 실외공기(OA) 중의 수분이 흡착됨으로써, 실외공기(OA)가 제습된다. 또 예를 들어, 열교환기(61, 62)에 흡착된 수분이 탈리되고, 이 수분이 실외공기(OA)에 부여됨으로써 실외공기(OA)가 가습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열교환기(61, 62)를 유통하는 피처리공기의 통기저항을 저감함과 더불어 피처리공기와 열교환기(61, 62)의 접촉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열교환기(61, 62)의 유입 면은 비교적 대면적으로 설계된다. 이에 반해 제 19 발명에서는, 실외측 필터(124)를 열교환기(61, 62)의 유입 면을 따라 배치 형성된다. 이로써 실외측 필터(124)의 실외공기(OA) 유입면적을 넓게 취할 수 있어, 실외측 필터(124) 설치에 기인하는 압력손실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실외측 필터(124)의 포집면이 넓어짐으로써, 실외공기(OA) 중의 먼지가, 실외측 필터(124)에 분산되어 포집이 쉬워진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에서 먼지가 국소적으로 포집되고, 그 결과 실외측 필터(124)가 막혀 통기압력 손실이 상승해버리는 것도 억제할 수 있다.
제 20 발명은 상기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 내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된 제 1 통로(41)와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된 제 2 통로(42)가 형성되며, 상기 실외측 필터(124)는, 제 1 통로(41)에 배치된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통로(42)에 배치된 제 2 필터부(124b)를 구비한 것이다.
이 제 20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에서의 실외공기(OA) 유입 면을 따라 제 1 필터부(124a)를 배치 형성한다. 이로써 제 1 필터부(124a) 설치에 기인하는 통기압력 손실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서는, 상기 제 2 열교환기(62)에서의 실외공기(OA) 유입 면을 따라 제 2 필터부(124b)를 배치 형성한다. 이로써 제 2 필터부(124b) 설치에 기인하는 통기압력 손실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1 발명은 상기 제 20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필터(124)에서는,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필터부(124b)가 일체로 되며, 상기 실외측 필터(124)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의 실외공기 유입 면과 제 2 열교환기(62)에서의 실외공기 유입 면에 걸쳐지도록 배치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필터부(124b)가 일체로 형성되며,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 면과 제 2 열교환기(62) 유입 면의 쌍방을 따라 배치 형성된다.
제 22 발명은 상기 제 2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 내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와 제 2 열교환기(62)가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며,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 면과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 면이 거의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 제 22 발명에서는,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필터부(124b)를 근접 배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의 유입 면을 따라 동일평면 상에 배치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를 1매의 평판 내지 시트형태로 하여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제 23 발명은 상기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에는, 실외측 필터(124)를 꺼낼 수 있는 취출(取出)구(161)가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 23 발명에서는, 본체케이싱(11)의 취출구(161)를 통해, 실외측 필터(124)를 본체케이싱(11)의 외부로 꺼내, 실외측 필터(124)의 보수점검을 실시할 수 있다.
제 24 발명은, 상기 제 20 발명에 있어서, 실외공기를 제 1 필터부(124a), 제 1 열교환기(61)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제 2 열교환기(62), 제 2 필터부(124b)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1 동작과, 실외공기를 제 2 필터부(124b), 제 2 열교환기(62)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제 1 열교환기(61), 제 1 필터부(124a)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2 동작을 전환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24 발명에서는, 제 1 동작 시의 실외공기(OA)가 제 1 필터부(124a), 제 1 열교환기(61) 순으로 흐르므로, 제 1 필터부(124a)에는 제 1 동작 시에 유통되는 실외공기(OA) 중의 먼지가 포집된다. 한편, 제 2 동작 시의 실내공기(RA)는, 상기 제 1 동작 시의 실외공기(OA)와 역방향, 즉, 제 1 열교환기(61), 제 1 필터부(124a) 순으로 흐른다. 이로써 제 1 필터부(124a)에 포집된 먼지를 실내공기(RA)에 의해 날려보내 실외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어, 제 1 필터부(124a)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서, 제 2 동작 시의 실외공기(OA)는, 제 2 필터부(124b), 제 2 열교환기(62) 순으로 흐르므로, 제 2 필터부(124b)에는 제 2 동작 시에 유통하는 실외공기(OA) 중의 먼지가 포집된다. 한편, 제 1 동작 시의 실내공기(RA)는, 상기 제 2 동작 시의 실외공기(OA)와 역방향, 즉 제 2 열교환기(62), 제 2 필터부(124b) 순으로 흐른다. 이로써 제 2 필터부(124b)에 포집된 먼지를 실내공기(RA)에 의해 날려보내 실외공간으로 배출할 수 있어, 제 2 필터부(124b)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제 25 발명은, 상기 제 20 발명에 있어서, 실내공기를 제 1 통로(41) 또는 제 2 통로(42)로 유입시키는 통로에 배치된 실내측 필터(123b)를 구비하며, 실외공기를 제 1 필터부(124a), 제 1 열교환기(61)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실내측 필터(123b), 제 2 열교환기(62), 제 2 필터부(124b)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1 동작과, 실외공기를 제 2 필터부(124b), 제 2 열교환기(62)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실내측 필터(123b), 제 1 열교환기(61), 제 1 필터부(124a)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2 동작을 전환하여 실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 25 발명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 및 제 2 열교환기(62)에서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부착되는 것을 실내측 필터(123b)에 의해 억제할 수 있다. 또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실외측 필터(124)에 부착된 실외공기(OA) 중의 먼지를 실내공기(RA) 날려보내 제거할 수 있다.
제 26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 내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된 제 1 통로(41)와,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되는 제 2 통로(42)와, 실내공기를 제 1 통로(41) 또는 제 2 통로(42)로 유입시키는 실내공기 공급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공기 공급통로에 배치된 실내측 필터(123b)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 26 발명에서는, 실내공간과 제 1, 제 2 통로(41, 42)를 연통시키는 실내공기 공급통로가 본체케이싱(11) 내에 형성되며, 이 실내공기 공급통로에 실내측 필터(123b)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 1 동작 시에 제 2 열교환기(62)로 유입되는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제 2 열교환기(62)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반대로 제 2 동작 시에 제 1 열교환기(6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제 1 열교환기(61)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 27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19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 내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되는 제 1 통로(41)와,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되는 제 2 통로(42)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싱(11) 내의 제 1 통로(41) 및 제 2 통로(42)보다 실내공간 쪽의 공기통로와 접속되어 실내공간에 면하는 흡인구(163)와, 상기 흡인구(163)의 개구부 근방에 배치된 실내측 필터(123b)를 구비한 것이다.
상기 제 27 발명에서는, 실내공간과 제 1, 제 2 통로(41, 42)를 연통시키는 실내공기 공급통로가 본체케이싱(11) 내에 형성되며, 이 실내공기 공급통로에 실내측 필터(123b)가 설치된다. 따라서 제 1 동작 시에 제 2 열교환기(62)로 유입되는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제 2 열교환기(62)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반대로, 제 2 동작 시에 제 1 열교환기(61)로 유입되는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제 1 열교환기(61)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서 상기 실내측 필터(123b)는, 실내공간에 면해 배치되는 흡인구(163)의 개구부 근방에 배치된다. 따라서 실내공간에서 상기 실내측 필터(123b)의 교환이나 보수점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냉매의 순환방향을 전환할 때 음을 발생시키는 압축기(63)를, 본체케이싱(11)과 별도 배치한 압축기유닛(91) 쪽에 배치하므로, 조용하며 소형인 조습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제 13 발명에서는, 압축기(63)를 본체케이싱(11)과 별도 배치한 압축기유닛(91) 쪽에 배치함과 더불어, 본체케이싱(11) 내의 팬측 측판(13)을 따른 제 1 공간(17)에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을 배치하고, 다른 쪽의 제 2 공간(18)에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와 전환기구를 배치한다. 이로써 본체케이싱(1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천장과 같은 좁은 영역에도 설치하기 쉬운 조습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19 발명에 의하면, 실외측 필터(124)를 열교환기(61, 62)의 실외공기(OA) 유입 면에 배치 형성한다. 이로써, 실외측 필터(124)에서의 실외공기(OA) 유입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실외측 필터(124)의 설치에 기인하는 압력손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실외공기(OA)의 먼지를 분산하여 포집할 수 있으므로, 실외측 필터(124)가 막혔을 때의 압력손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기(61, 62)에서의 먼지 부착을 방지하면서, 통기압력손실의 저감을 도모하여, 예를 들어 흡인 팬의 동력부담을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0 발명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를 보호하는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열교환기(62)를 보호하는 제 2 필터부(124b)의 쌍방을, 각 열교환기(61, 62)의 실외공기(OA) 유입 면을 따라 배치 형성한다. 따라서 각 필터부(124a, 124b)의 설치에 기인하는 압력손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1 발명에 의하면,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필터부(124b)를 일체로 구성한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를 소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실외측 필터(124)를 본체케이싱(11)의 외부로 꺼내 보수점검을 실시할 때, 취출작업을 1회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 작업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 22 발명에 의하면,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필터부(124b)를 근접 배치하여, 1장의 평판 내지 시트형태로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를 한층 소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또 실외측 필터(124)의 설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23 발명에 의하면, 취출구(161)를 통해 실외측 필터(124)를 본체케이싱(11)의 외부로 쉽게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의 보수 점검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24 발명에 의하면, 제 1 동작 시 및 제 2 동작 시에, 실외측 필터(124)에 포집된 먼지를 실내공기(RA)로 날려보내, 이들 먼지를 실내공기(RA)와 함께 실외공간으로 배출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번갈아 전환 운전함으로써, 실외측 필터(124)에 부착된 먼지를 자동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실외측 필터(124)에서 먼지에 의한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실외측 필터(124)에서의 압력손실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실외측 필터(124)의 교환이나 보수점검 빈도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 25 발명에 의하면,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번갈아 전환하여 운전함으로써, 실외측 필터(124)에 부착된 먼지를 실내공기(RA)에 의해 제거할 수 있어, 실외측 필터(124)에서의 먼지 막힘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실내공기(RA) 중의 먼지는 실내측 필터(123b)에 의해 포집된다. 따라서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에 부착되어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6 발명에 의하면, 실외측 필터(124)와 더불어, 실내측 필터(123b)를 설치함으로써,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열교환기(61, 62)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27 발명에 의하면, 실내측 필터(123b)를 실내공간에 면한 흡인구(163)에 배치하도록 한다. 이로써, 실내측 필터(123b)를 실내공간부터 쉽게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실내측 필터(123b)의 교환이나 보수점검의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유닛의 개략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본체유닛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냉매회로의 배관 계통도이며, (A)는 제 1 냉동주기 동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B)는 제 2 냉동주기 동작 중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유닛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5는 제습운전 제 1 동작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본체유닛의 개략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본체유닛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이다.
도 6은 제습운전 제 2 동작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본체유닛의 개략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본체유닛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이다.
도 7은 가습운전 제 1 동작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본체유닛의 개략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본체유닛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이다.
도 8은 가습운전의 제 2 동작에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본체유닛의 개략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본체유닛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이다.
도 9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습 장치의 개략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조습 장치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유닛의 개략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본체유닛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체유닛의 개략구성도이며, (A)는 (B)의 X-X 단면도이고, (B)는 본체유닛의 평면도이며, (C)는 (B)의 Y-Y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 5 실시형태에 있어서 조습 장치의 개략구성도이며, (A)는 본체유닛의 평면도이며, (B)는 본체유닛의 내부를 왼쪽에서 본 도면이고, (C)는 조습 장치의 내부를 오른쪽에서 본 도면이며, (D)는 본체유닛의 내부를 배면 쪽에서 본 도면이고, (E)는 본체유닛의 내부를 정면 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13은 제 1 동작 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조습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본체유닛의 평면도이고, (B)는 본체유닛의 내부를 왼쪽에서 본 도면이며, (C)는 본체유닛의 내부를 오른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14는 제 2 동작 시의 공기 흐름을 나타낸 조습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며, (A)는 본체유닛의 평면도이고, (B)는 본체유닛의 내부를 왼쪽에서 본 도면이며, (C)는 본체유닛의 내부를 오른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15는 제 5 실시형태의 본체유닛에서 필터의 취출작업을 나타낸 본체유닛의 평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 조습 장치 11 : 본체케이싱
12 : 제 1 측판 13 : 제 2 측판(팬측 측판)
17 : 제 1 공간 18 : 제 2 공간
21 : 실외공기 흡입구 22 : 실내공기 흡입구
23 : 배기 토출구(배기구) 24 : 급기 토출구(급기구)
25 : 급기팬 26 : 배기팬
27 : 흡입구 41 : 제 1 열교환실(제 1 통로)
42 : 제 2 열교환실(제 2 통로) 43 : 제 1 공기유입로
44 : 제 1 공기유출로 45 : 제 2 공기유입로
46 : 제 2 공기유출로 60 : 냉매회로
61 : 제 1 열교환기 62 : 제 2 열교환기
63 : 압축기 64 : 십자전환밸브(반전기구)
65 : 전동팽창밸브(팽창기구) 71 : 실외공기 흡입덕트
72 : 실내공기 흡입덕트 73 : 배기토출덕트
74 : 급기토출덕트 90 : 본체유닛
91 : 압축기유닛
123b : 제 2 프리필터(실내측 필터)
124 : 실외측 필터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이하의 실시형태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이나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10)는, 실내공기의 제습과 가습을 행하는 것이며, 예를 들어 옥내의 천장 위에 배치되는 본체유닛(90)과, 옥외에 배치되는 압축기유닛(91)을 구비한다. 그리고 도 2에서는 (B)가 평면도이며, (C)가 Y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A)가 X방향에서 본 단면도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좌", "우"는 모두 도 2에서의 상태를 의미한다. 도 1은 도 2 (B)에서의 본체유닛(90)을 오른쪽 위에서 본 사시도이다.
상기 조습 장치(10)는 냉매회로(60)를 갖는다. 이 냉매회로(60)는, 제 1 열 교환기, 제 2 열교환기(62), 압축기(63), 반전기구로서의 십자전환밸브(64), 및 팽창기구로서의 전동팽창밸브(65)가 설치된 폐쇄회로로서, 냉매가 충전된다. 냉매회로(60)에서는, 충전된 냉매를 반전 가능하게 순환시킴으로써 증기압축식 냉동주기가 이루어진다. 여기서 냉매회로(6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유닛(90)은, 내부의 공기통로에 상기 열교환기(61, 62)가 설치되는 본체케이싱(11)을 구비한다. 이 본체케이싱(11)은 평면적으로 보아 정방형이며 편평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이 본체케이싱(11)의 왼쪽 벽부가 제 1 측판(12)에 의해, 오른쪽 벽부가 팬측 측판으로서의 제 2 측판(13)에 의해, 정면측 벽부가 제 3 측판(14)에 의해, 배면측 벽부가 제 4 측판(15)에 의해 구성된다. 도 1에서는 제 2 측판(13), 제 4 측판(15) 및 천장판을 생략한다.
상기 본체케이싱(11) 왼쪽의 제 1 측판(12)에는, 그 배면측 제 4 측판(15) 쪽의 아래쪽에 실외공기 흡입구(21)가 형성되며, 그 정면측 제 3 측판(14) 쪽의 아래쪽에 실내공기 흡입구(22)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케이싱(11) 오른쪽의 제 2 측판(13)에는, 그 제 4 측판(15) 쪽으로 배기토출구(23)가 형성되며, 그 제 3 측판(14) 쪽의 아래쪽에 급기토출구(24)가 형성된다.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싱(11)에서 제 1 측판(12)의 실외공기 흡입구(21)에 실외공기 흡입덕트(71)가 접속되며, 실내공기 흡입구(22)에 실내공기 흡입덕트(72)가 접속된다. 한편, 본체케이싱(11)에서 제 2 측판(13)의 배기토출구(23)에 배기토출덕트(73)가 접속되며, 급기토출구(24)에 급기토출덕트(74)가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여, 실내 및 실외와 본체케이싱(11) 내부 가 연통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내부에는, 좌우방향의 중심부보다 제 2 측판(13) 쪽으로 제 1 구획판(31)이 세워진다. 본체케이싱(11)의 내부공간(16)은, 이 제 1 구획판(31)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다. 그리고 제 1 구획판(31)의 오른쪽이 제 1 공간(17)이 되며, 제 1 구획판(31)의 왼쪽이 제 2 공간(18)이 된다.
상기 본체케이싱(11)의 제 1 공간(17) 내부에는, 약간 제 3 측판(14) 쪽으로 제 7 구획판(37)이 세워진다. 이 제 7 구획판(37)에 의해 제 1 공간(17)이 2분할된다. 이 분할된 제 1 공간(17) 중, 제 3 측판(14) 쪽에는 급기팬(25)이 수납되며, 제 4 측판(15) 쪽에는 배기팬(26)이 수납된다. 이 급기팬(25)과 배기팬(26)은, 팬 케이싱의 측방에서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하는 다익 팬(multiblade fan)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배기팬(26)은 배기토출구(23)에 접속된다. 상기 급기팬(25)은 급기토출구(24)에 접속된다. 상기 급기팬(25)과 배기팬(26)은, 각각의 임펠러 축심이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도 1의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본체케이싱(11)의 제 2 공간(18)에는, 제 2 구획판(32)과 제 3 구획판(33)과 제 6 구획판(36)이 설치된다. 제 2 구획판(32)은 제 3 측판(14) 쪽에 세워지며, 제 3 구획판(33)은 제 4 측판 쪽에 세워진다. 그리고 제 2 공간(18)은 제 2 구획판(32) 및 제 3 구획판(33)에 의해, 정면 쪽에서 배면 쪽을 향해 3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제 6 구획판(36)은, 제 2 구획판(32)과 제 3 구획판(33) 사이에 개재하는 공간에 설치된다. 이 제 6 구획판(36)은, 제 2 공간(18)의 좌우 폭 방향 중앙에 세워진다.
제 2 구획판(32)과 제 3 구획판(33) 사이에 개재하는 공간은, 제 6 구획판(36)에 의해 좌우로 구획된다. 이 중, 오른쪽 공간은 제 1 열교환실(41)을 구성하며, 그 내부에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된다. 한편, 왼쪽 공간은 제 2 열교환실(42)을 구성하며, 그 내부에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구획판(31)의 긴 쪽 방향 중앙부 위쪽에는, 제 1 열교환실(41)과 제 1 공간(17)을 연통시키는 배관용 개구(31a)가 형성된다. 또 제 6 구획판(36)의 긴 쪽 방향 중앙부 위쪽에도 배관용 개구(36a)가 형성된다
각 열교환기(61, 62)는 전체적으로 두꺼운 평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61)는,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제 1 열교환실(41)을 수평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설치된다. 또 제 2 열교환기(62)는,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제 2 열교환실(42)을 수평방향으로 횡단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공간(18) 중, 제 3 구획판(33)과 본체케이싱(11)의 제 4 측판(15) 사이에 개재하는 공간에는, 제 5 구획판(35)이 설치된다. 제 5 구획판(35)은, 이 공간의 높이방향 중앙부를 횡단하도록 설치되어, 이 공간을 상하로 구획한다(도 2의 (A) 참조). 그리고 제 5 구획판(35)의 하측 공간이 제 1 공기유입로(43)를 구성하며, 그 상측 공간이 제 1 공기유출로(44)를 구성한다. 또 제 1 공기유입로(43)는 실외공기 흡입구(21)로 연통되며, 제 1 공기유출로(44)는 제 1 구획판(31) 의 제 2 팬측 연통구(76) 및 배기팬(26)을 개재하고 배기토출구(23)로 연통된다.
한편, 상기 제 2 공간(18) 중, 제 2 구획판(32)과 본체케이싱(11)의 제 3 측판(14) 사이에 개재하는 공간에는, 제 4 구획판(34)이 설치된다. 제 4 구획판(34)은, 이 공간의 높이방향 중앙부를 횡단하도록 설치되어, 이 공간을 상하로 구획한다(도 2의 (C) 참조). 그리고 제 4 구획판(34)의 하측 공간이 제 2 공기유입로(45)를 구성하며, 그 상측 공간이 제 2 공기유출로(46)를 구성한다. 또 제 2 공기유입로(45)는 실내공기 흡입구(22)로 연통되며, 제 2 공기유출로(46)는 제 1 구획판(31)의 제 1 팬측 연통구(75) 및 급기팬(25)을 개재하고 급기토출구(24)로 연통된다.
상기 제 3 구획판(33)에는 4개의 개구(51, 52, 53, 54)가 형성된다(도 2의 (A) 참조). 제 3 구획판(33)의 우하부에 형성된 제 1 개구(51)는, 제 1 열교환실(41)의 제 1 열교환기(61) 하측을 제 1 공기유입로(43)와 연통시킨다. 제 3 구획판(33)의 좌하부에 형성된 제 2 개구(52)는, 제 2 열교환실(42)의 제 2 열교환기(62) 하측을 제 1 공기유입로(43)와 연통시킨다. 제 3 구획판(33)의 우상부에 형성된 제 3 개구(53)는, 제 1 열교환실(41)의 제 1 열교환기(61) 상측을 제 1 공기유출로(44)와 연통시킨다. 제 3 구획판(33)의 좌상부에 형성된 제 4 개구(54)는, 제 2 열교환실(42)의 제 2 열교환기(62) 상측을 제 1 공기유출로(44)와 연통시킨다.
제 2 구획판(32)에는 4개의 개구(55, 56, 57, 58)가 형성된다(도 2의 (C) 참조). 제 2 구획판(32)의 우하부에 형성된 제 5 개구(55)는, 제 1 열교환실(41)의 제 1 열교환기(61) 하측을 제 2 공기유입로(45)와 연통시킨다. 제 2 구획판(32)의 좌하부에 형성된 제 6 개구(56)는, 제 2 열교환실(42)의 제 2 열교환기(62) 하측을 제 2 공기유입로(45)와 연통시킨다. 제 2 구획판(32)의 우상부에 형성된 제 7 개구(57)는, 제 1 열교환실(41)의 제 1 열교환기(61) 상측을 제 2 공기유출로(46)와 연통시킨다. 제 2 구획판(32)의 좌상부에 형성된 제 8 개구(58)는, 제 2 열교환실(42)의 제 2 열교환기(62) 상측을 제 2 공기유출로(46)와 연통시킨다.
상기 제 3 구획판(33)의 각 개구(51, 52, 53, 54), 및 제 2 구획판(32)의 각 개구(55, 56, 57, 58)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각각에 개폐 자유로운 전환기구로서의 댐퍼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들 각 개구(51, ..., 55, ...)는, 댐퍼를 개폐함으로써 개구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된다. 이로써, 본체케이싱(11) 내에서의 공기 유통경로를 상기 냉매회로(60)에서의 냉매순환방향에 따라 전환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축기 케이싱(92)은 거의 직방체 형상의 밀폐용기로 형성되며, 구리제 외벽부(93)와, 발포우레탄제 방음벽부(94)를 구비한다. 이 압축기 케이싱(92) 내에는,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와 십자전환밸브(64)가 배치된다(도 4에서, 십자전환밸브(64)는 도시 생략). 이 방음벽부(94)에 의해, 압축기(63) 및 십자전환밸브(64)의 소음이 압축기 케이싱(92) 밖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냉매회로(60)에 대해,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냉매회로(60)의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는 모두, 전열관과 다수의 핀을 구비한, 이른바 크로스핀형의 핀튜브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또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의 외표면에는, 그 거의 전면에 걸쳐, 예를 들어 제올라이트 등의 흡착제가 담지된다.
상기 냉매회로(60)의 전동팽창밸브(65)는, 본체케이싱(11) 내 제 1 공간(17)의 제 4 측판(15) 쪽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압축기 케이싱(92) 내의 압축기(63)는, 그 토출측이 십자전환밸브(64)의 제 1 포트에 접속되며, 그 흡입측이 십자전환밸브(64)의 제 2 포트에 접속된다. 제 1 열교환기(61)의 한끝은, 배관용 개구(31a)를 지나 본체케이싱(11)의 제 2 측판(13)에 형성된 관통공(도시 생략)을 통해 본체케이싱(11) 밖으로 연장되고, 압축기 케이싱(92)의 관통공(도시 생략)을 통해 십자전환밸브(64)의 제 3 포트에 접속된다. 제 1 열교환기(61)의 다른 끝은, 배관용 개구(31a)를 통해 전동팽창밸브(65)에 접속되며, 다시 배관용 개구(31a)를 지나고, 또 제 6 구획판(36)의 배관용 개구(36a)를 통해 제 2 열교환기(62)의 한끝에 접속된다. 제 2 열교환기(62)의 다른 끝은, 배관용 개구(31a, 36a)를 통하고, 본체케이싱(11) 제 2 측판(13)의 관통공을 지나 본체케이싱(11) 밖으로 연장되며, 압축기 케이싱(92)의 관통공을 통해 십자전환밸브(64)의 제 4 포트에 접속된다. 이 압축기(63)는, 이른바 전(全)밀폐형으로 구성된다. 도시하지 않으나, 이 압축기(63)의 전동기에는 인버터를 통해 전력이 공급된다.
상기 압축기 케이싱(92) 내의 십자전환밸브(64)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되는 제 1 상태(도 3의 (A)에 나타낸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되며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되는 제 2 상 태(도 3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 자유롭게 구성된다. 그리고 냉매회로(60)는, 이 십자전환밸브(64)를 전환함으로써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켜,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서 기능하고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과, 제 1 열교환기(61)가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제 2 열교환기(62)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제 2 냉동주기 동작을 전환하여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조습 장치의 조습동작-
상기 조습 장치(10)의 조습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조습 장치(10)에서는,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이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상기 조습 장치(10)에서 제습운전 중이나 가습운전 중에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이 비교적 짧은 시간간격(예를 들어, 3분 간격)으로 번갈아 반복된다.
<제습운전>
제습운전 시에, 조습 장치(10)에서는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이 운전된다. 그리고 조습 장치(10)는, 실외공기(OA)를 제 1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내공기(RA)를 제 2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외로 배출한다.
우선, 제습운전 시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 흡착제의 재생이 실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서 제 1 공기인 실외공기(OA)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시에, 냉매회로(60)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도 3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63)를 운전하면, 냉매회로(60)에서 냉매가 순환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 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 방열하여 응축되며, 그 후에 전동팽창밸브(65)로 보내져 감압된다. 감압된 냉매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 흡열하여 증발하며, 그 후에 압축기(63)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다.
또 제 1 동작 시에는, 제 2 개구(52)와 제 3 개구(53)와 제 5 개구(55) 및 제 8 개구(58)가 개구상태로 되며, 제 1 개구(51)와 제 4 개구(54)와 제 6 개구(56) 및 제 7 개구(57)가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기(61)에 제 2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 제 1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 흡입구(22)로부터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2 공기유입로(45)로부터 제 5 개구(55)를 통해 제 1 열교환실(41)로 보내진다. 제 1 열교환실(41)에서는, 제 2 공기가 제 1 열교환기(61)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제 1 열교환기(61)를 통과하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 2 공기는, 제 1 열교환실(41)로부터 제 3 개구(53)를 통해 제 1 공기유출로(44)로 유출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배기팬(26)으로 흡입되어, 배기토출구(23)에서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1 공기유입로(43) 로부터 제 2 개구(52)를 통해 제 2 열교환실(42)로 보내진다. 제 2 열교환실(42)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2 열교환기(62)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그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매가 흡열한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2 열교환실(42)로부터 제 8 개구(58)를 통해 제 2 공기유출로(46)로 유출된다. 그 후, 제 1 공기는 급기팬(25)으로 흡입되어, 급기토출구(24)로부터 공급공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제습운전 시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 흡착제의 재생이 실행되며, 제 1 열교환기(61)에서 제 1 공기인 실외공기(OA)의 제습이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시에 냉매회로(60)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도 3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63)를 운전하면, 냉매회로(60)에서 냉매가 순환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증발기로 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응축기로 되는 제 2 냉동주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 방열하여 응축되며, 그 후에 전동팽창밸브(65)로 보내져 감압된다. 감압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 흡열하여 증발하며, 그 후에 압축기(63)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다.
또 제 2 동작 시에는, 제 1 개구(51), 제 4 개구(54), 제 6 개구(56) 및 제 7 개구(57)가 개구상태로 되며, 제 2 개구(52), 제 3 개구(53), 제 5 개구(55) 및 제 8 개구(58)가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기(61)에 제 1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 제 2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 흡입구(22)로부터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2 공기유입로(45)로부터 제 6 개구(56)를 통해 제 2 열교환실(42)로 보내진다. 제 2 열교환실(42)에서는, 제 2 공기가 제 2 열교환기(62)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제 2 열교환기(62)를 통과하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 2 공기는, 제 2 열교환실(42)로부터 제 4 개구(54)를 통해 제 1 공기유출로(44)로 유출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배기팬(26)으로 흡입되어, 배기토출구(23)로부터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1 공기유입로(43)로부터 제 1 개구(51)를 통해 제 1 열교환실(41)로 보내진다. 제 1 열교환실(41)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1 열교환기(61)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그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매가 흡열한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1 열교환실(41)로부터 제 7 개구(57)를 통해 제 2 공기유출로(46)로 유출된다. 그 후, 제 1 공기는 급기팬(25)으로 흡입되어, 급기토출구(24)로부터 공급공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가습운전>
가습운전 시에 조습 장치에서는,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이 운전된다. 그리고 조습 장치는, 실내공기(RA)를 제 1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외공기(OA)를 제 2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내에 공급한다.
우선, 가습운전 시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3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 제 2 공기인 실외공기(OA)의 가습이 행해지며, 제 2 열교환기(62)에서 제 1 공기인 실내공기(RA)로부터의 수분 회수가 이루어진다.
제 1 동작 시에 냉매회로(60)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도 3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63)를 운전하면, 냉매회로(60)에서 냉매가 순환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이 실행된다.
또 제 1 동작 시에는, 제 1 개구(51), 제 4 개구(54), 제 6 개구(56) 및 제 7 개구(57)가 개구상태로 되며, 제 2 개구(52), 제 3 개구(53), 제 5 개구(55) 및 제 8 개구(58)가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기(61)에는 제 2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는 제 1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 흡입구(22)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2 공기유입로(45)로부터 제 6 개구(56)를 통해 제 2 열교환실(42)로 보내진다. 제 2 열교환실(42)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2 열교환기(62)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그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때에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매가 흡열한다. 그 후, 수분이 탈취된 제 1 공기는, 제 4 개구(54), 제 1 공기유출로(44), 배기팬(26)을 차례로 통과하여, 배출공기(EA)로서 배기토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1 공기유입로(43)로부터 제 1 개구(51)를 통해 제 1 열교환실(41)로 보내진다. 제 1 열교환실(41)에서는, 제 2 공기가 제 1 열교환기(61)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제 1 열교환기(61)를 통과하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그 후, 가습된 제 2 공기는 제 7 개구(57), 제 2 공기유출로(46), 급기팬(25)을 차례로 통과하여, 공급공기(SA)로서 급기토출구(24)로부터 실내에 공급된다.
다음으로 가습운전 시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 제 2 공기인 실외공기(OA)의 가습이 실행되며, 제 1 열교환기(61)에서 제 1 공기인 실내공기(RA)로부터의 수분 회수가 이루어진다.
제 2 동작 시에 냉매회로(60)에서는, 십자전환밸브(53)가 도 3의 (B)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63)를 운전하면, 냉매회로(60)에서 냉매가 순환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증발기로 되고 제 2 열교환기(62)가 응축기로 되는 제 2 냉동주기 동작이 실행된다.
또 제 2 동작 시에는, 제 2 개구(52), 제 3 개구(53), 제 5 개구(55) 및 제 8 개구(58)가 개구상태로 되며, 제 1 개구(51), 제 4 개구(54), 제 6 개구(56) 및 제 7 개구(57)가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기(61)에는 제 1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는 제 2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 흡입구(22)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2 공기유입로(45)로부터 제 5 개구(55)를 통해 제 1 열교환실(41)로 보내진다. 제 1 열교환실(41)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1 열교환기(61)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그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때에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매가 흡열한다. 그 후, 수분이 탈취된 제 1 공기는, 제 3 개구(53), 제 1 공기유출로(44), 배기팬(26)을 차례로 통과하여, 배출공기(EA)로서 배기토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1 공기유입로(43)로부터 제 2 개구(52)를 통해 제 2 열교환실(42)로 보내진다. 제 2 열교환실(42)에서는, 제 2 공기가 제 2 열교환기(62)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제 2 열교환기(62)를 통과하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그 후, 가습된 제 2 공기는, 제 8 개구(58), 제 2 공기유출로(46), 급기팬(25)을 차례로 통과하여, 공급공기(SA)로서 급기토출구(24)로부터 실내에 공급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압축기(63)를 본체케이싱(11)과 별도 설치된 압축기유닛(91) 쪽에 배치함과 더불어, 본체케이싱(11) 내의 제 2 측판(13)을 따른 제 1 공간(17)에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을 배치하고 다른 쪽의 제 2 공간(18)에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와 전환기구를 배치하므로, 본체케이싱(11)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어, 천장 위와 같은 좁은 영역에도 설치하기 쉬운 조습 장치(10)가 얻어진다.
또한, 옥내에는 본체유닛(90)만을 배치하므로, 옥내의 배치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소리가 발생하기 쉬운 압축기유닛(91)을 실외에 배치하므로, 조용하고 쾌적한 조습 장치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 급기팬(25)과 배기팬(26)을 각각의 임펠러 축심이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도 1의 위쪽)으로 향하도록 배치하므로, 본체케이싱(11)의 두께가 억제되어, 조습 장치(10) 전체적인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팬(26)의 흡입구(28)가 제 1 공기유출로(44)로 연통되는 제 1 구획판(31)의 제 2 팬측 연통구(76) 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또 급기팬(25)의 흡입구(27)가 제 2 공기유출로(46)로 연통되는 제 1 구획판(31)의 제 1 팬측 연통구(75) 쪽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제 1 공기유출로(44)의 공기를 배기팬(26)의 흡입구(28)로부터 순조롭게 흡입할 수 있음과 더불어, 제 2 공기유출로(46)의 공기를 급기팬(25)의 흡입구(27)로부터 순조롭게 흡입할 수 있다.
또 냉매회로(60)의 배관을 본체케이싱(11)의 천장판을 따라 배치하므로, 냉 매회로(60)를 위쪽에서 설치할 수 있음과 더불어, 냉매회로(60)의 보수관리 작업을 위쪽에서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실외공기 흡입구(21), 실내공기 흡입구(22), 배기토출구(23), 급기토출구(24)의 배치위치가 다른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이하,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1∼도 8과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또 조습 장치(10)의 조습동작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본체케이싱(11) 배면 쪽의 제 4 측판(15)에는, 제 1 측판(12) 쪽 하측에 실외공기 흡입구(21)가 형성되고, 제 2 측판(13) 쪽 하측에 배기토출구(23)가 형성된다. 한편 본체케이싱(11) 정면 쪽의 제 3 측판(14)에는, 그 제 2 측판(13) 쪽 하측에 급기토출구(24)가 형성되고, 제 1 측판(12) 쪽 하측에 실내공기 흡입구(22)가 형성된다.
도 9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본체케이싱(11) 제 4 측판(15)의 실외공기 흡입구(21)에 실외공기 흡입덕트(71)가 접속되고, 배기토출구(23)에 배기토출덕트(73)가 접속되는 한편, 본체케이싱(11) 제 3 측판(14)의 실내공기 흡입구(22)에 실내공기 흡입덕트(72)가 접속되고, 급기토출구(24)에 급기토출덕트(74)가 접속된다.
이로써, 실외측 덕트(71, 73)가 본체케이싱(11)의 제 4 측판(15)에 나열되고, 실내측 덕트(72, 74)가 본체케이싱(11)의 제 3 측판(14)에 나열되므로, 각 덕 트(71, 72, ...)를 실내 또는 실외를 향해 일직선으로 배치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제 2 공간(18) 쪽 기기의 배치가 다른 점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2 공간(18)에 상기 제 1 열교환기(61)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열교환기(62)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42)이 상기 제 2 측판(13)의 긴 쪽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인접 형성된다. 즉 제 2 공간(18)의 왼쪽에 제 1 열교환실(41)이 배치되고, 오른쪽에 제 2 열교환실(42)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공간(18)에 있어서, 상기 2개 열교환실(41, 42)의 연속된 측면의 한쪽과 상기 제 1 측판(12)과의 사이에는, 제 1 측판(12)을 따라 이어지면서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과 중첩 배치된, 제 1 공기유입로(43) 및 제 2 공기유입로(45)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제 2 구획판(32)에는, 4개의 개구(51, 52, 55, 56)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제 2 공간(18)에 있어서, 상기 2개 열교환실(41, 42)의 연속된 측면의 다른 한쪽과 상기 제 2 측판(13)과의 사이에는, 제 2 측판(13)을 따라 이어지면서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과 중첩 배치된, 제 1 공기유출로(44) 및 제 2 공기유출로(46)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제 3 구획판(33)에는, 4개의 개구(53, 54, 57, 58)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공기유출로(44)는 제 2 팬측 연통구(76)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되며, 상기 제 2 공기유출로(46)는 제 1 팬측 연통구(75)를 통해 제 1 공간 (17)과 연통된다.
-조습 장치의 조습동작-
본 실시형태의 조습동작을 제습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 밖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십자전환밸브(64)와 댐퍼를 전환하면 되므로 생략한다.
제 1 동작 시에 냉매회로(60)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도 3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63)를 운전하면 냉매회로(60)에서 냉매가 순환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 되고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 방열하여 응축되며, 그 후에 전동팽창밸브(65)로 보내져 감압된다. 감압된 냉매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 흡열하여 증발하며, 그 후에 압축기(63)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다.
또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동작 시에는, 제 2 개구(52)와 제 3 개구(53)와 제 5 개구(55) 및 제 8 개구(58)가 개구상태로 되며, 제 1 개구(51)와 제 4 개구(54)와 제 6 개구(56) 및 제 7 개구(57)가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61)에 제 2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 제 1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 흡입구(22)로부터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2 공기유입로(45)로부터 제 5 개구(55)를 통해 제 1 열교환실(41)로 보내진다. 제 1 열교환 실(41)에서는, 제 2 공기가 제 1 열교환기(61)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제 1 열교환기(61)를 통과하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 2 공기는, 제 1 열교환실(41)로부터 제 3 개구(53)를 통해 제 1 공기유출로(44)로 유출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제 2 팬측 연통구(76)를 통해 배기팬(26)으로 흡입되어, 배기토출구(23)에서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1 공기유입로(43)로부터 제 2 개구(52)를 통해 제 2 열교환실(42)로 보내진다. 제 2 열교환실(42)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2 열교환기(62)를 위에서 밑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그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매가 흡열한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2 열교환실(42)로부터 제 8 개구(58)를 통해 제 2 공기유출로(46)로 유출된다. 그 후, 제 1 공기는 제 1 팬측 연통구(75)를 통해 급기팬(25)으로 흡입되어, 급기토출구(24)로부터 공급공기(SA)로서 실내에 공급된다.
-제 3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10)에 의하면, 제 2 측판(13)의 긴 쪽 방향으로 나열된 제 1 열교환실(41) 및 제 2 열교환실(42)의 연속된 측면의 한쪽을 따라 제 1 공기유입로(43) 및 제 2 공기유입로(45)가 형성되고, 다른 쪽을 따라 제 1 공기유출로(44) 및 제 2 공기유출로(46)가 형성되므로, 조습 장치(본체케이싱(11)) 는, 제 2 측판(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형상이 된다.
또 조습 장치(10)의 긴 쪽 방향으로 상기 덕트(71, 72, ...)를 배치할 수 있어, 제 2 측판(13) 긴 쪽 방향의 조습 장치(10) 설치면적을 작게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예를 들어 상기 제 2 측판(13)과 직교하는 제 4 측판(15)을 벽 쪽에 설치하기가 가능해진다.
[제 4 실시형태]
도 11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의 배치가 다른 점 등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르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는,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세워져 배치된다.
또,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열교환기(62)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42)이 상기 제 2 측판(13)의 긴 쪽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인접 형성된다. 즉 제 2 공간(18)의 오른쪽에 제 1 열교환실(41)이 배치되고, 왼쪽에 제 2 열교환실(42)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2개 열교환실(41, 42)의 연속된 측면의 한쪽과 상기 제 1 측판(12)과의 사이에는, 제 1 측판(12)을 따라 이어지면서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과 중첩 배치된, 제 1 공기유입로(43) 및 제 2 공기유입로(45)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제 2 구획판(32)에는, 4개의 개구(51, 52, 55, 56)가 형성된다.
또 상기 2개 열교환실(41, 42)의 연속된 측면의 다른 한쪽과 상기 제 2 측판(13)과의 사이에는, 제 2 측판(13)을 따라 이어지면서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 과 중첩 배치된, 제 1 공기유출로(44) 및 제 2 공기유출로(46)가 형성된다. 이와 함께 제 3 구획판(33)에는, 4개의 개구(53, 54, 57, 58)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공기유출로(44)는, 제 2 팬측 연통구(76)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되며, 상기 제 2 공기유출로(46)는, 제 1 팬측 연통구(75)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된다.
-조습 장치의 조습동작-
본 실시형태의 조습동작을 제습운전의 제 1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그 밖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십자전환밸브(64)와 댐퍼를 전환하면 되므로 생략한다.
제 1 동작 시에 냉매회로(60)에서는, 십자전환밸브(64)가 도 3의 (A)에 나타낸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압축기(63)를 운전하면, 냉매회로(60)에서 냉매가 순환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 되며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 되는 제 1 냉동주기 동작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 방열하여 응축되며, 그 후에 전동팽창밸브(65)로 보내져 감압된다. 감압된 냉매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 흡열하여 증발하며, 그 후에 압축기(63)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그리고 압축된 냉매는, 다시 압축기(63)로부터 토출된다.
또 제 1 동작 시에는, 제 2 개구(52)와 제 3 개구(53)와 제 5 개구(55) 및 제 8 개구(58)가 개구상태로 되며, 제 1 개구(51)와 제 4 개구(54)와 제 6 개구(56) 및 제 7 개구(57)가 폐쇄상태로 된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기(61)에 제 2 공기로서의 실내공기(RA)가 공급되며, 제 2 열교환기(62)에 제 1 공기로서의 실외공기(OA)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실내공기 흡입구(22)로부터 유입된 제 2 공기는, 제 2 공기유입로(45)로부터 제 5 개구(55)를 통해 제 1 열교환실(41)로 보내진다. 제 1 열교환실(41)에서는, 제 2 공기가 제 1 열교환기(61)를 제 2 구획판(32) 쪽에서 제 3 구획판(33) 쪽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은, 제 1 열교환기(61)를 통과하는 제 2 공기에 부여된다. 제 1 열교환기(61)에서 수분이 부여된 제 2 공기는, 제 1 열교환실(41)로부터 제 3 개구(53)를 통해 제 1 공기유출로(44)로 유출된다. 그 후, 제 2 공기는 제 2 팬측 연통구(76)를 통해 배기팬(26)으로 흡입되어, 배기토출구(23)에서 배출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실외공기 흡입구(21)로부터 유입된 제 1 공기는, 제 1 공기유입로(43)로부터 제 2 개구(52)를 통해 제 2 열교환실(42)로 보내진다. 제 2 열교환실(42)에서는, 제 1 공기가 제 2 열교환기(62)를 제 2 구획판(32) 쪽에서 제 3 구획판(33) 쪽을 향해 통과해간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그 표면에 담지된 흡착제에 제 1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냉매가 흡열한다. 제 2 열교환기(62)에서 제습된 제 1 공기는, 제 2 열교환실(42)로부터 제 8 개구(58)를 통해 제 2 공기유출로(46)로 유출된다. 그 후, 제 1 공기는 제 1 팬측 연통구(75)를 통해 급기팬(25)으로 흡입되어, 급기토출구(24)로부터 공급공기(SA)로 서 실내에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10)에 의하면, 도 11의 안쪽 방향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
다음으로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10)는, 본체유닛(90)과 압축기유닛(91)을 구비한다. 압축기유닛(91)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또 이 조습 장치(10)는, 냉매회로(60)를 구비한다. 이 냉매회로(60)는 제 1 열교환기(61)나 제 2 열교환기(62)가 접속된 것이며,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구성된다. 또 제 1 열교환기(61) 및 제 2 열교환기(62)의 구성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는 압축기유닛(91)의 구성과, 냉매회로(60)의 구성과, 제 1 열교환기(61) 및 제 2 열교환기(62)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 조습 장치(10)의 본체유닛(90)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에 있어서, (A)는 본체유닛(90)의 평면도, (B)는 본체유닛(90)의 내부를 왼쪽에서 본 도면, (C)는 본체유닛(90)의 내부를 오른쪽에서 본 도면, (D)는 조습 장치의 내부를 배면 쪽에서 본 도면, (E)는 본체유닛(90)의 내부를 정면 쪽에서 본 도면이다.
상기 본체유닛(90)은, 편평한 사각상자형의 본체케이싱(11)을 구비하며, 본체케이싱(11) 내부에는, 실내공간과 실외공간을 연통시키는 공기통로가 형성된다. 본체케이싱(11)에는, 가장 안쪽에 제 1 측판(111)이 형성되며, 가장 앞쪽에 제 2 측판(112)이 형성된다.
제 1 측판(111)의 왼쪽 하부에는, 실외공간으로부터의 실외공기(OA)를 도입하는 제 1 흡입구(115)가 형성되며, 제 2 측판(112)의 오른쪽 상부에는, 실내공간으로부터의 실내공기(RA)를 도입하는 제 2 흡입구(116)가 형성된다. 한편, 제 2 측판(112)의 왼쪽 상부에는, 배출공기(OA)를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배기구(118)가 형성되며, 제 2 측판(112)의 오른쪽 하부에는, 조습공기(SA)를 실내공간으로 공급하는 급기구(117)가 형성된다.
본체케이싱(11) 내부는, 배면 쪽에서 정면 쪽을 향해 차례로, 제 1 구획판(113), 제 2 구획판(114), 토출측 구획판(119)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대략 4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이 4개의 공간 중, 제 2 측판(112)에 가장 가깝게 형성된 공간은, 좌우로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이 2개 공간 중, 왼쪽 공간이 배기측 통로(132)를 구성하고, 오른쪽 공간이 급기측 통로(131)를 구성한다.
상기 배기측 통로(132)는 상하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이 2개의 공간 중, 위쪽 공간은 배기구(118)를 통해 실외공간과 연통된다. 또 이 공간에는 배기팬(26)이 설치된다. 한편, 배기측 통로(132)에서의 하측 공간에는 상기 배기팬(26)의 흡입구가 면한다. 또 한편, 급기측 통로(131)는 상하로 구획되지 않고, 급기구(117)를 통해 실내공간과 연통된다. 이 급기측 통로(131)에는 급기팬(25)이 설치된다.
제 1 구획판(113)과 제 2 구획판(114) 사이의 공간은, 중앙구획판(120)에 의해 제 1 통로인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통로인 제 2 열교환실(42)로 구획된다.
제 1 열교환실(41)은 중앙구획판(120) 왼쪽에 형성되며,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된다. 제 1 열교환기(61)는 도 1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실(41) 상하방향에서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실(41)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한다. 또 제 1 열교환기(61)는 편평한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며, 제 1 열교환실(41)의 상면 및 하면 면적이 다른 면의 면적보다 커진 형상을 한다. 또한 제 1 열교환기(61)에는 상하방향으로 공기가 유통하는 유통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61) 하면에는 실외공기(OA)가 유입되는 유입 면이 형성된다.
또 제 1 열교환기(61) 하면에는 실외공기 유입 면을 따라 제 1 필터(124a)가 배치 형성된다. 제 1 필터(124a)는 제 1 필터부를 구성하며, 제 1 열교환기(61)의 하면 전역을 덮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 1 필터(124a)는, 제 1 열교환기(61)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한다.
제 2 열교환실(42)은 중앙구획판(120)의 오른쪽에 형성되며, 전술한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된다. 제 2 열교환기(62)는 제 1 열교환기(61)와 마찬가지로, 제 2 열교환실(42) 상하방향에서의 중앙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열교환실(42)을 상부 공간과 하부 공간으로 구획한다. 또 제 2 열교환기(62)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와 마찬가지로 상하방향으로 공기가 유통하는 유통공간이 형성되며, 그 하면에는 실외공기(OA)가 유통하는 유입 면이 형성된다.
또한 제 2 열교환기(62) 하면에는, 실외공기의 유입 면을 따라 제 2 필터(124b)가 배치 형성된다. 제 2 필터(124b)는 제 2 필터부를 구성하며, 제 2 열교 환기(62)의 하면 전역을 덮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 2 필터(124b)는, 제 2 열교환기(62)로 유입되는 실외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필터(124a) 및 제 2 필터(124b)는, 일체로 실외측 필터(124)를 구성한다. 그리고 실외측 필터(124)는,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 면과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 면 쌍방에 걸쳐 배치된다.
제 1 측판(111)과 제 1 구획판(113) 사이의 공간은, 상하로 구획된다. 그리고 이 공간은, 위쪽 공간이 실내공기 공급통로로서의 뒤쪽 상부통로(143)를 구성하고, 아래쪽 공간이 뒤쪽 하부통로(144)를 구성한다. 뒤쪽 상부통로(143)는, 제 2 흡입구(116)를 통해 실내공간과 연통된다. 또 뒤쪽 상부통로(143)에는, 실내측 필터(123b)가 배치된다. 이 실내측 필터(123b)는, 제 2 흡입구(116)로부터 흡인된 실내공기 중의 먼지를 포집한다. 한편 뒤쪽 하부통로(144)는 제 1 흡입구(115)를 통해 실외공간과 연통된다.
제 2 구획판(114)과 상기 토출측 구획판(119) 사이의 공간은 상하로 구획된다. 그리고 이 공간은, 위쪽 공간이 앞쪽 상부통로(145)를 구성하고 아래쪽 공간이 앞쪽 하부통로(146)를 구성한다. 앞쪽 상부통로(145)는, 상기 급기측 통로(131)와 연통된다. 한편 앞쪽 하부통로(146)는, 상기 배기측 통로(132)의 아래쪽 공간과 연통된다.
또 제 1 구획판(113)에는, 제 1 후상(後上)개구(151), 제 2 후상개구(152), 제 1 후하(後下)개구(153), 및 제 2 후하개구(154)가 형성된다. 제 1 후상개구(151)는, 제 1 구획판(113)의 왼쪽 상부에 형성되며, 제 2 후상개구(152)는, 제 1 구획판(113)의 오른쪽 상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후하개구(153)는, 제 1 구획판(113)의 왼쪽 하부에 형성되며, 제 2 후하개구(154)는, 제 1 구획판(113)의 오른쪽 하부에 형성된다.
제 1에서 제 4까지의 개구(151, 152, ...)에는 각각 개폐댐퍼가 형성된다. 각 개구(151, 152, ...)의 개폐댐퍼는, 각각 독립하여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후상개구(151)가 개방상태로 되면, 뒤쪽 상부통로(143)와 제 1 열교환실(41)의 상부공간이 연통된다. 또 제 2 후상개구(152)가 개방상태로 되면, 뒤쪽 상부통로(143)와 제 2 열교환실(42)의 상부공간이 연통된다. 또한 제 1 후하개구(153)가 개방상태로 되면, 뒤쪽 하부통로(144)와 제 1 열교환실(41)의 하부공간이 연통된다. 또 제 2 후하개구(154)가 개방상태로 되면, 뒤쪽 하부통로(144)와 제 2 열교환실(42)의 하부공간이 연통된다.
한편, 제 2 구획판(114)에는, 제 1 전상(前上)개구(155), 제 2 전상개구(156), 제 1 전하(前下)개구(157), 및 제 2 전하개구(158)가 형성된다. 제 1 전상개구(155)는, 제 2 구획판(114)의 왼쪽 상부에 형성되며, 제 2 전상개구(156)는, 제 2 구획판(114)의 오른쪽 상부에 형성된다. 또 제 1 전하개구(157)는, 제 2 구획판(114)의 왼쪽 하부에 형성되며, 제 2 전하개구(158)는, 제 2 구획판(114)의 오른쪽 하부에 형성된다.
제 5에서 제 8까지의 개구(155, 156, ...)에는 각각 개폐댐퍼가 형성된다. 각 개구(151, 152, ...)의 개폐댐퍼는, 각각 독립하여 개방상태와 폐쇄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 1 전상개구(155)가 개방상태로 되면, 앞쪽 상부통 로(145)와 제 1 열교환실(41)의 상부공간이 연통된다. 또 제 2 전상개구(156)가 개방상태로 되면, 앞쪽 상부통로(145)와 제 2 열교환실(42)의 상부공간이 연통된다. 또한 제 1 전하개구(157)가 개방상태로 되면, 앞쪽 하부통로(146)와 제 1 열교환실(41)의 하부공간이 연통된다. 또 제 2 전하개구(158)가 개방상태로 되면, 앞쪽 하부통로(146)와 제 2 열교환실(42)의 하부공간이 연통된다.
그리고, 본체케이싱(11)의 우측판(110a)에는, 상기 실내측 필터(123b)를 꺼내기가 가능한 제 1 취출구(161a)와, 상기 실외측 필터(124)를 꺼내기가 가능한 제 2 취출구(161b)가 형성된다.
-운전동작-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 조습 장치(10)의 운전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이 조습 장치(10)는, 냉매회로(60) 내의 냉매 순환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교대로 전환시키면서 제습운전, 또는 가습운전을 연속적으로 실행한다.
<제습운전>
제습운전 시의 제 1 동작에서는, 냉매회로(60)가 제 2 상태(도 3 (B)의 상태)로 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한편, 제 2 열교환기(62)가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또, 제 2 동작에서는, 냉매회로(60)가 제 1 상태(도 3 (A)의 상태)로 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한편,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이 기동하면, 실외공기(OA)가 제 1 흡입구(115)로부터 본체케이싱(11) 내로 도입되어, 뒤쪽 하부통로 (144)로 유입되는 한편, 실내공기(RA)가 제 2 흡입구(116)로부터 본체케이싱(11) 내로 도입되어, 뒤쪽 상부통로(143)로 유입된다. 여기서 뒤쪽 상부통로(143)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실내측 필터(123b)를 통과한다. 이 때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포집된다.
이하, 제습운전 시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제 2 후상개구(152)와 제 1 후하개구(153)와 제 1 전상개구(155) 및 제 2 전하개구(158)의 개폐댐퍼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후상개구(151)와 제 2 후하개구(154)와 제 2 전상개구(156) 및 제 1 전하개구(157)의 개폐댐퍼가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뒤쪽 하부통로(144)를 유통하는 실외공기(OA)는, 제 1 후하개구(153)로부터 제 1 열교환실(41)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공기는 제 1 필터(124a)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유통한다. 이 때, 공기 중의 먼지가 제 1 필터(124a)의 하면에 포집된다. 그 후, 이 공기는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공간을 통과하여, 제 1 열교환실(41)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제 1 열교환기(61)의 흡착제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또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제 1 열교환기(61) 내의 냉매에 흡열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필터(124a)에서 먼지가 제거되는 동시에 제 1 열교환기(61)에서 감습된 공기는, 제 1 전상개구(155)로부터 앞쪽 상부통로(145)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급기측 통로(131)를 유통한 후, 급기구(117)에서 조습공기(SA)로서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한편, 뒤쪽 상부통로(143)를 유통하는 실내공기(RA)는, 제 2 후상개구(152)로부터 제 2 열교환실(42)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아래 방향으로 흘러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공간을 유통한다.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그리고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됨과 더불어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2 열교환기(62)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필터(124b)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해 유통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제 2 동작에 의해, 제 2 필터(124b)의 하면에 포집된 먼지가, 제 2 필터(124b)를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에 의해 날려, 제 2 필터(124b) 하면의 먼지가 제거된다. 그리고 이 먼지는, 제 2 필터(124b)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제 2 열교환실(42)의 외부로 압송된다.
이상과 같이, 제 2 열교환기(62)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되는 동시에, 제 2 필터(124b)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제 2 전하개구(158)로부터 앞쪽 하부통로(146)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배기측 통로(132)의 아래쪽 공간에서 배기팬(26)의 흡인구로 흡인되어, 배기구(118)에서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제습운전 시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습운전의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후상개구(151)와 제 2 후하개구(154)와 제 2 전상개구(156) 및 제 1 전하개구(157)의 개폐댐퍼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2 후상개구(152)와 제 1 후하개구(153)와 제 1 전상개구(155) 및 제 2 전하개구(158)의 개폐댐퍼가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뒤쪽 하부통로(144)를 유통하는 실외공기(OA)는, 제 2 후하개구(154)로부터 제 2 열교환실(42)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공기는 제 2 필터(124b)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유통한다. 이 때, 공기 중의 먼지가 제 2 필터(124b)의 하면에 포집된다. 그 후, 이 공기는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공간을 통과하여, 제 2 열교환실(42)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여기서,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제 2 열교환기(62)의 흡착제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또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제 2 열교환기(62) 내의 냉매에 흡열된다.
이상과 같이, 제 2 필터(124)에서 먼지가 제거되는 동시에 제 2 열교환기(62)에서 감습된 공기는, 제 2 전상개구(156)로부터 앞쪽 상부통로(145)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급기측 통로(131)를 유통한 후, 급기구(117)에서 조습공기(SA)로서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한편, 뒤쪽 상부통로(143)를 유통하는 실내공기(RA)는, 제 1 후상개구(151)로부터 제 1 열교환실(41)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아래방향으로 흘러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공간을 유통한다.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됨과 더불어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1 열교환기(61)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필터(124a)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해 유통한다. 여기서, 전술한 제 1 동작에 의해, 제 1 필터(124a)의 하면에 포집된 먼지가, 제 1 필터(124a)를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에 의해 날려, 제 1 필터 (124a) 하면의 먼지가 제거된다. 그리고 이 먼지는, 제 1 필터(124a)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제 1 열교환실(41)의 외부로 압송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열교환기(61)의 흡착제 재생에 이용되는 동시에, 제 1 필터(124a)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제 1 전하개구(157)로부터 앞쪽 하부통로(146)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배기측 통로(132)의 아래쪽 공간에서 배기팬(26)의 흡인구로 흡인되어, 배기구(118)에서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으로 배출된다.
<가습운전>
가습운전시의 제 1 동작에서는, 냉매회로(60)가 제 1 상태(도 3 (A)의 상태)로 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한편, 제 2 열교환기(62)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또 제 2 동작에서는, 냉매회로(60)가 제 2 상태(도 3 (B)의 상태)로 되어, 제 1 열교환기(61)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한편, 제 2 열교환기(62)가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또,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이 기동하면, 실외공기(OA)가 제 1 흡입구(115)로부터 본체케이싱(11) 내로 도입되어, 뒤쪽 하부통로(144)로 유입되는 한편, 실내공기(RA)가 제 2 흡입구(116)로부터 본체케이싱(11) 내로 도입되어, 뒤쪽 상부통로(143)로 유입된다. 여기서 뒤쪽 상부통로(143)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실내측 필터(123b)를 통과한다. 이 때 실내공기(RA) 중의 먼지가 포집된다.
이하, 가습운전 시의 제 1 동작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운전의 제 1 동작에서는, 제 2 후상개구(152)와 제 1 후하개구(153)와 제 1 전상개구(155) 및 제 2 전하개구(158)의 개폐댐퍼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1 후상개구 (151)와 제 2 후하개구(154)와 제 2 전상개구(156) 및 제 1 전하개구(157)의 개폐댐퍼가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뒤쪽 하부통로(144)를 유통하는 실외공기(OA)는, 제 1 후하개구(153)로부터 제 1 열교환실(41)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공기는 제 1 필터(124a)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유통한다. 이 때, 공기 중의 먼지가 제 1 필터(124a)의 하면에 포집된다. 그 후, 이 공기는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공간을 통과하여, 제 1 열교환실(41)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는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필터(124a)에서 먼지가 제거되는 동시에 제 1 열교환기(61)에서 가습된 공기는, 제 1 전상개구(155)로부터 앞쪽 상부통로(145)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급기측 통로(131)를 유통한 후, 급기구(117)에서 조습공기(SA)로서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한편, 뒤쪽 상부통로(143)를 유통하는 실내공기(RA)는, 제 2 후상개구(152)로부터 제 2 열교환실(42)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아래방향으로 흘러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공간을 유통한다. 여기서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제 2 열교환기(62)의 흡착제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또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제 2 열교환기(62) 내의 냉매에 흡열된다.
제 2 열교환기(62)를 통과한 공기는 제 2 필터(124b)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해 유통한다. 여기서, 후술하는 제 2 동작에 의해, 제 2 필터(124b)의 하면에 포 집된 먼지가, 제 2 필터(124b)를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에 의해 날려, 제 2 필터(124b) 하면의 먼지가 제거된다. 그리고 이 먼지는, 제 2 필터(124b)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제 2 열교환실(42)의 외부로 압송된다.
이상과 같이, 제 2 열교환기(62)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함과 동시에, 제 2 필터(124b)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제 2 전하개구(158)로부터 앞쪽 하부통로(146)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배기측 통로(132)의 아래쪽 공간에서 배기팬(26)의 흡인구로 흡인되어, 배기구(118)에서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으로 배출된다.
다음으로, 가습운전 시의 제 2 동작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습운전의 제 2 동작에서는, 제 1 후상개구(151)와 제 2 후하개구(154)와 제 2 전상개구(156) 및 제 1 전하개구(157)의 개폐댐퍼가 개방상태로 되며, 제 2 후상개구(152)와 제 1 후하개구(153)와 제 1 전상개구(155) 및 제 2 전하개구(158)의 개폐댐퍼가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뒤쪽 하부통로(144)를 유통하는 실외공기(OA)는, 제 2 후하개구(154)로부터 제 2 열교환실(42)의 하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이 공기는 제 2 필터(124b)의 하면에서 상면을 향해 유통한다. 이 때, 공기 중의 먼지가 제 2 필터(124b)의 하면에 포집된다. 그 후, 이 공기는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공간을 통과하여, 제 2 열교환실(42)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다.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제 2 열교환기(62)에서는, 흡착제가 냉매에 의해 가열되어,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고, 이 탈리된 수분이 공기에 부여된다.
이상과 같이, 제 2 필터(124)에서 먼지가 제거되는 동시에 제 2 열교환기(62)에서 가습된 공기는, 제 2 전상개구(156)로부터 앞쪽 상부통로(145)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급기측 통로(131)를 유통한 후, 급기구(117)에서 조습공기(SA)로서 실내공간으로 공급된다.
한편, 뒤쪽 상부통로(143)를 유통하는 실내공기(RA)는, 제 1 후상개구(151)로부터 제 1 열교환실(41)의 상부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아래방향으로 흘러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공간을 유통한다. 여기서,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제 1 열교환기(61)의 흡착제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흡착된다. 또 이 때 발생하는 흡착열은, 제 1 열교환기(61) 내의 냉매에 흡열된다.
제 1 열교환기(61)를 통과한 공기는 제 1 필터(124a)의 상면에서 하면을 향해 유통한다. 여기서, 전술한 제 1 동작에 의해, 제 1 필터(124a)의 하면에 포집된 먼지가, 제 1 필터(124a)를 아래쪽으로 흐르는 공기에 의해 날려, 제 1 필터(124a) 하면의 먼지가 제거된다. 그리고 이 먼지는, 제 1 필터(124a)를 통과한 공기에 의해 제 1 열교환실(41)의 외부로 압송된다.
이상과 같이, 제 1 열교환기(61)의 흡착제에 수분을 부여하는 동시에, 제 1 필터(124a)의 먼지를 포함한 공기는, 제 1 전하개구(157)로부터 앞쪽 하부통로(146)로 유입된다. 그리고 이 공기는 배기측 통로(132)의 아래쪽 공간에서 배기팬(26)의 흡인구로 흡인되어, 배기구(118)에서 배출공기(EA)로서 실외공간으로 배출된다.
-제 5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10)에서는, 실외측 필터(124)를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의 유입 면에 배치 형성함으로써, 실외측 필터(124)의 설치에 기인하는 압력손실의 상승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실내공기(RA)에 의해 실외측 필터(124)에 부착한 먼지를 자동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실외측 필터(124)의 보수관리나 교환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케이싱(11)의 우측판(110a)에 제 1, 제 2 취출구(161a, 161b)를 형성한다. 이로써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측 필터(123b)를 제 1 취출구(161a)에서 본체케이싱(11) 외부로 꺼내 보수작업을 행할 수 있는 한편, 실외측 필터(124)를 제 2 취출구(161b)에서 본체케이싱(11) 외부로 꺼내 보수작업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각 필터(123b, 124)의 보수작업이나 교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여기서, 도 10에 나타낸 상기 제 3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10)에 있어서, 본체케이싱(11)의 저면판(도시 생략)에서, 급기팬(25) 아래쪽에 급기토출구(24)를 형성하고, 또 제 2 공기유입로(45) 아래쪽에 실내공기 흡입구(22)를 형성하는, 이른바 카세트형으로 해도 된다.
이 때, 본체케이싱(11) 제 4 측판(15)의 실외공기 흡입구(21)에 실외공기 흡입덕트(71)를 접속하고, 배기토출구(23)에 배기토출덕트(73)를 접속하면 된다. 이로써, 실내로 연통되는 덕트(72, 74)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천장 위의 공간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10)에 대해서는, 본체케이싱(11)을 천장 위가 아닌 바닥 위에 설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압축기유닛(91)을 옥외에 설치했으나, 옥내에서 소리가 신경 쓰이지 않는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예를 들어 사람이 통상 사용하는 거실과는 별도로 구성되어 설비기기를 설치한 기계실이나, 천장 위의 거실에서 떨어진 장소 등이다. 이와 같은 경우도, 압축기(63)의 소음을 압축기케이싱(92)으로 막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반전기구로서 십자전환밸브(64)를 사용했으나, 4개의 전자(電磁)밸브를 브리지형으로 접속한 것으로써 냉매의 순환방향을 반전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제 2 열교환기(61, 62)가 크로스핀식의 핀 튜브 열교환기로 구성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의 열교환기, 예를 들어 주름핀(corrugated fin)식의 열교환기 등이라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동주기를 실행하여 흡착제의 재생이나 냉각을 행하는 조습 장치에 유용하다.

Claims (27)

  1. 제습된 제 1 공기와 가습된 제 2 공기 중, 한쪽을 실내에 공급하며 다른 쪽을 실외로 배출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흡착제를 담지하는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가 접속되어 냉동주기를 행함과 더불어 냉매순환방향이 반전 가능한 냉매회로(60)와,
    내부의 공기통로에 상기 열교환기(61, 62)가 설치되는 본체케이싱(11), 및 이 열교환기(61, 62) 중, 증발기가 된 쪽을 제 1 공기가 통과하고 응축기가 된 쪽을 제 2 공기가 통과하도록, 이 본체케이싱(11) 내에서의 공기 유통경로를 상기 냉매회로(60)에서의 냉매순환방향을 따라 전환하는 전환기구가 배치된 본체유닛(90)과,
    상기 본체케이싱(11) 밖에 배치되며, 상기 냉매회로(60)의 압축기(63)가 배치된 압축기유닛(9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60)의 냉매순환방향을 반전시키기 위한 반전기구(64)가 상기 압축기유닛(91)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매회로(60)의 팽창기구(65)가 상기 압축기유닛(91) 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유닛(91)은 옥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유닛(91)은 옥내의 기계실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유닛(91)은, 밀폐용기형의 압축기케이싱(92)으로 덮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은 편평한 상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싱(11) 내로 공기를 도입하는 급기팬(25)과 배기팬(26)은, 팬 케이싱의 측방에서 흡입하여 전방(前方)으로 토출하는 다익 팬(multiblade fan)으로 구성되며, 그 임펠러의 축심이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는,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에는, 실내로 연통되는 덕트(72, 74)를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24) 및 흡입구(22)와, 실외로 연통되는 덕트(71, 73)를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23) 및 흡입구(21)가 각각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천장 위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옥내 바닥 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에는, 이 본체케이싱(11) 내와 실내를 직접 연통시키는 토출구(24) 및 흡입구(22)와, 실외로 연통되는 덕트(71, 73)를 접속하기 위한 토출구(23) 및 흡입구(21)가 각각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 내에 설치된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케이싱(11)은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내부공간은, 이 본체케이싱(11) 측판의 하나인 팬측 측판(13)을 따른 제 1 공간(17)과 나머지 제 2 공간(18)으로 구획되며,
    상기 제 1 공간(17)에 급기팬(25) 및 배기팬(26)이, 상기 제 2 공간(18)에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와 전환기구가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의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측판(14, 15) 중, 한쪽에는, 실내로 연통되는 급기구(24)와 실내공기 흡입구(22)가, 다른 쪽에는 실외로 연통되는 배기구(23)와 실외공기 흡입구(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열교환기(62)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42)이 상기 팬측 측판(1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인접하여 형성되며,
    또,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실(41)과 상기 제 2 열교환실(42)의 양쪽에 면하는 한 쌍의 측판(32, 33) 중, 한쪽을 따르고 또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제 1 공기유입로(43) 및 제 1 공기유출로(44)와, 이 한 쌍의 측판(32, 33) 다른 쪽을 따라 이어지면서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제 2 공기유입로(45) 및 제 2 공기유출로(46)가 형성되고,
    상기 각 유출로(44, 46)는, 팬측 연통구(75, 76)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의 팬측 측판(13)에는, 실내로 연통되는 급기구(24)와 실외로 연통되는 배기구(23)가, 상기 팬측 측판(13)과 대향하는 측판(12)에는, 실내공기 흡입구(22)와 실외공기 흡입구(21)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기(61)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41)과, 제 2 열교환기(62)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42)이 상기 팬측 측판(13)의 긴 쪽 방향으로 나열되도록 인접하여 형성되며,
    또, 상기 제 2 공간(18)에는, 상기 제 1 열교환실(41)과 상기 제 2 열교환실(42) 양쪽에 면하는 한 쌍의 측판(32, 33) 중, 한쪽과 상기 팬측 측판(13)과 대향하는 측판(12) 사이에 이 측판(12)을 따라 이어지고 또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제 1 공기유입로(43) 및 제 2 공기유입로(45)와, 이 한 쌍의 측판(32, 33) 중, 다른 한쪽과 상기 팬측 측판(13) 사이에 이 팬측 측판(13)을 따라 이어지며 또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제 1 공기유출로(44) 및 제 2 공기유출로(46)가 형성되고,
    상기 각 유출로(44, 46)는, 팬측 연통구(75, 76)를 통해 제 1 공간(17)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25)과 배기팬(26)은, 팬 케이싱의 측방에서 흡입하여 전방으로 토출하는 다익 팬으로 구성되며, 그 임펠러의 축심이 상기 본체케이싱(11)의 두께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급기팬(25)은 그 팬 케이싱 측방의 흡입구(27)가 상기 팬측 연통구(75, 76)의 어느 한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배기팬(26)은, 그 팬 케이싱 측방의 흡입구(28)가 상기 팬측 연통구(75, 76)의 다른 한쪽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8.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에 접속되는 냉매회로(60)의 배관이 본체케이싱(11)의 천장판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열교환기(61, 62)에서 실외공기의 유입 면을 따라 배치 형성된 실외측 필터(12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 내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되는 제 1 통로(41)와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되는 제 2 통로(42)가 형성되며,
    상기 실외측 필터(124)는, 제 1 통로(41)에 배치된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통로(42)에 배치된 제 2 필터부(124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21.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실외측 필터(124)에서는, 제 1 필터부(124a)와 제 2 필터부(124b)가 일체로 되며,
    상기 실외측 필터(124)는, 제 1 열교환기(61)에서의 실외공기 유입 면과 제 2 열교환기(62)에서의 실외공기 유입 면에 걸쳐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 내에서는, 제 1 열교환기(61)와 제 2 열교환기(62)가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며, 제 1 열교환기(61)의 유입 면과 제 2 열교환기(62)의 유입 면이 거의 동일평면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23.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에는, 실외측 필터(124)를 꺼낼 수 있는 취출(取出)구(16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24. 청구항 20에 있어서,
    실외공기를 제 1 필터부(124a), 제 1 열교환기(61)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제 2 열교환기(62), 제 2 필터부(124b)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1 동작과,
    실외공기를 제 2 필터부(124b), 제 2 열교환기(62)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제 1 열교환기(61), 제 1 필터부(124a)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2 동작을 전환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25. 청구항 20에 있어서,
    실내공기를 제 1 통로(41) 또는 제 2 통로(42)로 유입시키는 통로에 배치된 실내측 필터(123b)를 구비하며,
    실외공기를 제 1 필터부(124a), 제 1 열교환기(61)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실내측 필터(123b), 제 2 열교환기(62), 제 2 필터부(124b)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1 동작과,
    실외공기를 제 2 필터부(124b), 제 2 열교환기(62) 순으로 유통시켜 실내공간에 공급하는 동시에, 실내공기를 실내측 필터(123b), 제 1 열교환기(61), 제 1 필터부(124a) 순으로 유통시켜 실외공간으로 배출하는 제 2 동작을 전환하여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26. 청구항 1 또는 19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 내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되는 제 1 통로(41)와,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되는 제 2 통로(42)와, 실내공기를 제 1 통로(41) 또는 제 2 통로(42)로 유입시키는 실내공기 공급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실내공기 공급통로에 배치된 실내측 필터(123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27. 청구항 1 또는 19에 있어서,
    상기 본체케이싱(11) 내에는, 제 1 열교환기(61)가 배치되는 제 1 통로(41)와, 제 2 열교환기(62)가 배치되는 제 2 통로(42)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케이싱(11) 내의 제 1 통로(41) 및 제 2 통로(42)보다 실내공간 쪽의 공기통로와 접속되어 실내공간에 면하는 흡인구(163)와,
    상기 흡인구(163)의 개구부 근방에 배치된 실내측 필터(123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KR1020067022466A 2004-03-31 2005-03-30 조습 장치 KR100829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2324 2004-03-31
JP2004102324A JP2005283076A (ja) 2004-03-31 2004-03-31 調湿装置
JPJP-P-2004-00102238 2004-03-31
JP2004102238A JP2005283071A (ja) 2004-03-31 2004-03-31 調湿装置
JPJP-P-2004-00101703 2004-03-31
JP2004101703A JP3742895B2 (ja) 2004-03-31 2004-03-31 調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072A true KR20070004072A (ko) 2007-01-05
KR100829678B1 KR100829678B1 (ko) 2008-05-16

Family

ID=35063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466A KR100829678B1 (ko) 2004-03-31 2005-03-30 조습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214810A1 (ko)
EP (1) EP1739370A4 (ko)
KR (1) KR100829678B1 (ko)
AU (1) AU2005227459B2 (ko)
WO (1) WO20050958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8789A (zh) * 2011-01-24 2012-07-25 照阳科技股份有限公司 可携式3d触控电子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11490B2 (ja) * 2007-06-12 2009-08-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KR101174556B1 (ko) * 2007-10-05 2012-08-16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조습장치
JP4321650B2 (ja) * 2007-12-07 2009-08-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5452565B2 (ja) * 2011-10-27 2014-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装置
EP2899473B1 (en) * 2012-09-04 2017-10-04 Daikin Industries, Ltd. Humidity control device
CN106016514A (zh) * 2016-05-12 2016-10-12 上海交通大学 温湿度弱关联控制单元式空调系统及使用方法
US11435109B2 (en) * 2017-03-24 2022-09-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Ventilator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63577A (en) * 1932-06-21 Apparatus ant
US1349876A (en) * 1917-01-02 1920-08-17 Doble Detroit Steam Motors Co Apparatus for burning fuel
US1983606A (en) * 1931-02-12 1934-12-11 Gen Motors Corp Fan
US1952406A (en) * 1932-01-20 1934-03-27 Dow Chemical Co Abstracting moisture from an aeriform body
US2008407A (en) * 1932-04-28 1935-07-16 Westinghouse Electric & Mfg Co Inverted-refrigeration plant
US2112221A (en) * 1933-06-03 1938-03-22 Campbell Metal Window Corp Ventilating and air treating unit
US2257478A (en) * 1938-10-22 1941-09-30 Honeywell Regulator Co Air conditioning system
US2282015A (en) * 1939-11-13 1942-05-05 Chrysler Corp Air conditioning unit
US2481348A (en) * 1946-08-21 1949-09-06 Trane Co Air-conditioning apparatus with defrosting means
US2763132A (en) * 1953-08-31 1956-09-18 Lawrence S Jue Dehumidifying apparatus
US2759334A (en) * 1954-02-15 1956-08-21 Drying Systems Inc Air-to-air heat pump apparatus
US2942439A (en) * 1957-10-31 1960-06-28 Westinghouse Electric Corp Self-contained air conditioning unit employing mixed flow fan
US3028734A (en) * 1961-03-06 1962-04-10 Weinstein Norman Apparatus for continuously conditioning air
IS601B6 (is) * 1963-10-23 1966-12-19 Fordsmand Marc Tæki til upphitunar og kælingar rúms.
US4430864A (en) * 1981-12-31 1984-02-14 Midwest Research Institute Hybrid vapor compression and desiccant air conditioning system
US4793143A (en) * 1986-03-10 1988-12-27 Rhodes Barry V Enthalpic heat pump desiccant air conditioning system
JPH06323566A (ja) * 1993-05-14 1994-11-25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US5816065A (en) * 1996-01-12 1998-10-06 Ebara Corporation Desiccant assisted air conditioning system
JPH10311581A (ja) * 1997-05-14 1998-11-24 Matsushita Seiko Co Ltd 脱臭機能付き全熱交換装置
IL141579A0 (en) * 2001-02-21 2002-03-10 Drykor Ltd Dehumidifier/air-conditioning system
US6539728B2 (en) * 2000-12-04 2003-04-01 Amos Korin Hybrid heat pump
KR100432694B1 (ko) * 2001-12-24 2004-05-2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 실외기의 소음 저감 구조
JP2003202128A (ja) * 2002-01-07 2003-07-18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2003314856A (ja) * 2002-04-22 2003-11-06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2004060966A (ja) * 2002-07-26 2004-02-26 Daikin Ind Ltd 調湿装置
KR100504489B1 (ko) * 2002-12-26 2005-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KR100463550B1 (ko) * 2003-01-14 2004-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난방시스템
KR100504503B1 (ko) * 2003-01-14 2005-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시스템
JP3596549B2 (ja) * 2003-03-10 2004-12-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3596547B2 (ja) * 2003-03-10 2004-12-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3624910B2 (ja) * 2003-05-27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08789A (zh) * 2011-01-24 2012-07-25 照阳科技股份有限公司 可携式3d触控电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27459B2 (en) 2009-05-21
EP1739370A4 (en) 2009-07-29
KR100829678B1 (ko) 2008-05-16
WO2005095873A1 (ja) 2005-10-13
EP1739370A1 (en) 2007-01-03
US20070214810A1 (en) 2007-09-20
AU2005227459A1 (en) 2005-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770B1 (ko) 조습장치
KR101174556B1 (ko) 조습장치
KR101075778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829678B1 (ko) 조습 장치
CN1930427B (zh) 调湿装置
KR20090130263A (ko) 조습장치
WO2014038471A1 (ja) 調湿装置
KR100659013B1 (ko) 조습 장치
JP4325716B2 (ja) 調湿装置
JP2006078108A (ja) 調湿装置
JP5810993B2 (ja) 調湿装置
JP5724914B2 (ja) 調湿装置
JP3815485B2 (ja) 調湿装置
JP2006023079A (ja) 調湿装置
JP2005283076A (ja) 調湿装置
JP2014119180A (ja) 調湿装置
JP2006078171A (ja) 調湿装置
JP3742895B2 (ja) 調湿装置
JP3815486B2 (ja) 調湿装置
JP2017129317A (ja) 調湿装置
JP2005283044A (ja) 調湿装置
JP2005283045A (ja) 調湿装置
JP6048014B2 (ja) 調湿装置
JP5353977B2 (ja) 調湿装置
JP2004353989A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