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9541A - 조습 장치 - Google Patents

조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9541A
KR20050109541A KR1020057016751A KR20057016751A KR20050109541A KR 20050109541 A KR20050109541 A KR 20050109541A KR 1020057016751 A KR1020057016751 A KR 1020057016751A KR 20057016751 A KR20057016751 A KR 20057016751A KR 20050109541 A KR20050109541 A KR 20050109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dsorbent
heat exchanger
moisture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0404B1 (ko
Inventor
슈지 아케가미
도모히로 야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109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9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0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04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1Drying gases or vapours by adsorp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11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 F24F3/1429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absorbing or adsorbing water, e.g. using an hygroscopic desiccant alternatively operating a heat exchanger in an absorbing/adsorbing mode and a heat exchanger in a regeneration mo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3/147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with both heat and humidity transfer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24F2003/14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entral Air Conditioning (AREA)

Abstract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를 구비하며, 냉매가 순환하여 증기 압축식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매 회로(1)가 구성된다. 흡착제가 제 1 열교환기(3)의 표면 및 제 2 열교환기(5)의 표면에 각각 담지된다. 냉매가 증발하는 열교환기(3, 5)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고, 냉매가 응축되는 열교환기(5, 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며, 상기 흡착제로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한다. 또 냉매가 증발하는 열교환기(3, 5)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고, 냉매가 응축되는 열교환기(5, 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며, 상기 흡착제로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한다.

Description

조습 장치{HUMIDITY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조습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증기 압축식 냉동주기 냉매 회로를 구비한 조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흡착제를 이용하여 공기의 습도 조정을 행하는 조습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일본특개평 8-189667호 공보).
조습 장치(調濕裝置)는, 실외공기 또는 실내공기가 유통되는 공기통로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공기통로의 내부에는, 냉매를 순환시켜 증기 압축식 냉동주기를 행하는 냉매 회로의 배관 일부가 설치된다. 공기통로 내의 배관은, 증발기 또는 응축기로서 기능한다. 또한 공기통로에는, 흡착제가 봉입된 망사형 부재로 된 망사용기가 배관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망사용기의 흡착제는, 배관이 증발기로서 기능할 때에 배관을 흐르는 냉매에 의해 냉각된다. 이러한 냉각으로써 망사형 부재를 통해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의 수분 흡착을 실행한다. 또 흡착제에 흡착된 수분은, 배관이 응축기로서 기능할 때, 배관을 흐르는 냉매에 의해 가열됨으로써 탈리된다. 이로써 흡착제가 재생된다.
-해결과제-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조습 장치에서는, 공기를 냉각 및 가열하는 수단인 배관과, 수분의 흡착수단인 망사용기를 개별로 형성하여 배치한다. 따라서 종래의 조습 장치는, 망사용기와 배관이 별도 부재인 점에서, 부품점수가 많아져, 장치 전체의 구조가 복잡해짐과 더불어 대형화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흡착제를 배관 등에 접촉시키는 것만으로는, 접촉 열저항이 커진다. 그 결과, 소정의 냉각효과 및 가열효과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망사용기 등의 흡착수단을 별개로 구성하는 일없이 흡착제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열교환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면판을 생략한 케이싱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선에서의 케이싱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B-B선에서의 케이싱 단면도이다.
도 6은 폐쇄상태의 댐퍼 측면도이다.
도 7은 개방상태의 댐퍼 측면도이다.
도 8은 폐쇄상태 댐퍼의 변형예 측면도이다.
도 9는 개방상태 댐퍼의 변형예 측면도이다.
도 10은 폐쇄상태 댐퍼의 변형예 측면도이다.
도 11은 개방상태 댐퍼의 변형예 측면도이다.
도 12는 제습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며, 상면판을 생략한 케이싱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습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며, 상면판을 생략한 케이싱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가습의 제 1 동작을 나타내며, 상면판을 생략한 케이싱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가습의 제 2 동작을 나타내며, 상면판을 생략한 케이싱의 평면도이다.
도 16은 제 1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와 종래 조습 장치와의 제습 운전시 공기상태를 도시한 공기선도이다.
도 17은 제 1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와 종래 조습 장치와의 제습운전 시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제 2 실시형태의 급기모드 제습운전 시 제 1 동작의 케이싱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9는 제 2 실시형태의 급기모드 제습운전 시 제 2 동작의 케이싱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0은 제 2 실시형태의 급기모드 가습운전 시 제 1 동작의 케이싱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1은 제 2 실시형태의 급기모드 가습운전 시 제 2 동작의 케이싱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2는 제 2 실시형태의 배기모드 제습운전 시 제 1 동작의 케이싱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3은 제 2 실시형태의 배기모드 제습운전 시 제 2 동작의 케이싱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4는 제 2 실시형태의 배기모드 가습운전 시 제 1 동작의 케이싱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25는 제 2 실시형태의 배기모드 가습운전 시 제 2 동작의 케이싱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발명의 개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발명은, 흡착제를 구비하며, 흡착제가 수분의 흡착과 탈리를 행하여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조습 장치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를 구비하며, 냉매가 순환하여 증기 압축식 냉동주기를 행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에서 냉매의 응축과 증발을 교대로 행하는 냉매 회로(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흡착제가 적어도 제 1 열교환기(3) 표면에 담지된다.
제 1 발명에서는, 흡착제가 제 1 열교환기(3) 표면에 담지되므로,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냉매 증발에 의해 흡착제가 냉각된다. 그 결과 흡착열이 흡수된다.
또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냉매 응축에 의해 흡착제가 가열된다. 그 결과 흡착제가 재생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제 2 열교환기(5)에서 냉매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제 1 열교환기(3)에서 냉매를 증발시켜 제 1 열교환기(3)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는 흡습(吸濕) 수단이 구성된다. 또한 제 1 열교환기(3)에서 냉매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제 2 열교환기(5)에서 냉매를 증발시키고 제 1 열교환기(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는 방습(放濕) 수단이 구성된다.
제 2 발명에서는, 흡습 수단에 의해 제 1 열교환기(3)에서 냉매가 증발되어 흡착제가 냉각된다. 그 결과 흡착열이 냉매에 흡수된다. 또 방습수단에 의해 제 1 열교환기(3)에서 냉매가 응축되어 흡착제가 가열된다. 그 결과 흡착제가 재생된다.
또한 제 3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가 제 1 열교환기(3)의 표면 및 제 2 열교환기(5)의 표면에 각각 담지된다. 그리고 냉매가 증발하는 열교환기(3, 5)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는 동시에, 냉매가 응축되는 열교환기(5, 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며, 상기 흡착제로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는 제습수단(80)이 구성된다.
제 3 발명에서는, 제습수단(80)이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시키므로, 한쪽의 열교환기(3, 5)에서 공기가 제습되고, 다른 한쪽의 열교환기(5, 3)에서 흡착제가 재생된다. 그 결과 제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 제 4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가 제 1 열교환기(3)의 표면 및 제 2 열교환기(5)의 표면에 각각 담지된다. 또한 냉매가 증발하는 열교환기(3, 5)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는 동시에, 냉매가 응축되는 열교환기(5, 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며, 상기 흡착제로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는 가습수단(81)이 구성된다.
제 4 발명에서는, 가습수단(81)이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므로, 한쪽 열교환기(3, 5)에서 공기가 제습되고, 다른 한쪽의 열교환기(5, 3)에서 공기가 가습되어 흡착제가 재생된다. 그 결과 가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5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가 제 1 열교환기(3)의 표면 및 제 2 열교환기(5)의 표면에 각각 담지된다. 그리고 냉매가 증발하는 열교환기(3, 5)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며, 냉매가 응축되는 열교환기(5, 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상기 흡착제로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는 제습수단(80)이 구성된다. 더불어 냉매가 증발하는 열교환기(3, 5)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며, 냉매가 응축되는 열교환기(5, 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상기 흡착제로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는 가습수단(81)이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으로 절환되도록 상기 제습수단(80)과 가습수단(81)이 절환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5 발명에서는, 제습수단(80)이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므로, 한쪽의 열교환기(3, 5)에서 공기가 제습되고, 다른 한쪽의 열교환기(5, 3)에서 흡착제가 재생된다. 그 결과 제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 가습수단(81)으로 절환되면,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므로, 한쪽의 열교환기(3, 5)에서 공기가 제습되고, 다른 한쪽의 열교환기(5, 3)에서 공기가 가습되어 흡착제가 재생된다. 그 결과 가습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또, 제 6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제 1 열교환기(3)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69)과, 제 1 열교환실(69)에 인접 형성되며, 제 2 열교환기(5)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73)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2 개 열교환실(69, 73)의 각 일면이 연속되는 두께방향의 한 끝단면을 따라 형성되며 또 양 열교환실(69, 73)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공기의 제 1 유입로(63) 및 제 1 유출로(65)가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2 개 열교환실(69, 73)의 각 일면이 연속되는 끝단면에서 상기 한 끝단면과 대향하는 다른 끝단면을 따라 형성되며 또 양 열교환실(69, 73)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공기의 제 2 유입로(57) 및 제 2 유출로(59)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 열교환실(69) 및 제 2 열교환실(73)과 상기 각 유입로(57, 63) 및 각 유출로(59, 65)를 연통하는 개구(31a, ..., 33a, ...)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5, ..., 47, ...)이 구성된다.
제 6 발명에서는, 개폐수단(35, ..., 47, ...)의 개폐제어에 의해 제 1 열교환실(69)과 제 2 열교환실(73)의 공기유통을 절환한다. 그 결과 흡습과 방습이 제 1 열교환실(69)과 제 2 열교환실(73)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또 제 7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단(80)이,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외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외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내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내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전(全) 환기모드의 제습운전을 행한다. 또한 상기 가습수단(81)이,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내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내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외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외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전 환기모드의 가습운전을 행한다.
제 7 발명에서는, 환기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실내의 제습 또는 가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 8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단(80)이,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내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내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외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외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순환모드의 제습운전을 행한다. 또 상기 가습수단(81)이,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외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외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내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내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순환모드의 가습운전을 행한다.
제 8 발명에서는, 환기를 행하는 일없이,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실내의 제습 또는 가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제 9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단(80)이,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외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외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외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외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급기모드의 제습운전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가습수단(81)이,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외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외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외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외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모드의 가습운전을 행한다.
제 9 발명에서는, 실외공기를 도입하는 것만으로 실내의 제습 또는 가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제 10 발명은 제 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단(80)이,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내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내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내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내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모드의 제습운전을 행한다. 그리고 상기 가습수단(81)이,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내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내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내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내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배기모드의 가습운전을 행한다.
제 10 발명에서는,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것만으로, 실내의 제습 또는 가습이 이루어지게 된다.
-발명의 효과-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열교환기(3) 표면에 흡착제를 담지시키고, 가열냉각 수단과 흡탈착 수단을 일체로 하도록 하기 때문에, 흡착제의 용기를 생략하고 흡습 및 방습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적어도 제 1 열교환기(3) 표면에 흡착제를 담지하도록 하므로, 냉매로 흡착제를 직접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흡착제의 흡탈착 성능을 최대한 발휘시킬 수 있으므로, 흡탈착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발명에 의하면, 흡습 수단과 방습수단을 구성시키도록 하므로,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흡습 및 방습을 확실하게 실행시킬 수 있다.
또 제 3 또는 제 4 발명에 의하면,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의 표면에 흡착제를 담지하도록 하므로, 흡착제의 용기를 생략하고 제습운전 또는 가습운전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습운전 또는 가습운전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제 5 발명에 의하면,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을 절환하여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더불어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습운전 또는 가습운전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제 6 발명에 의하면, 제 1 열교환실(69) 및 제 2 열교환실(73)을 인접시키고, 제 1 열교환실(69) 및 제 2 열교환실(73)의 두께방향으로 유입로(57, 63)와 유출로(59, 65)를 중첩시켜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장치 전체를 소형화 할 수 있다.
또한 제 7 발명에 의하면, 실내의 환기를 행하면서 실내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할 수 있다.
또 제 8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실내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외공기를 도입하지 않으므로, 실내온도의 변동을 억제하여 조습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 9 발명에 의하면, 실외공기를 도입하는 것만으로 실내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0 발명에 의하면, 실내공기를 배출하는 것만으로 실내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는, 실내공기의 제습과 가습을 행하는 것이며, 중공 직방체의 상자형 케이싱(17)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7)에는, 냉매 회로(1) 등이 수납된다.
상기 냉매 회로(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7)와, 유로 절환 수단인 십자 절환밸브(9)와, 제 1 열교환기인 제 1 열교환기(3)와, 팽창기구인 팽창밸브(11)와, 제 2 열교환기인 제 2 열교환기(5) 순으로 접속되어 폐쇄회로로 형성된다.
또 상기 냉매 회로(1)는 냉매가 충전되고, 냉매가 순환하여 증기 압축식 냉동주기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열교환기(3)의 한끝은 십자 절환밸브(9)에 접속된다. 제 1 열교환기(3)의 다른 한끝은, 팽창밸브(11)를 개재하고 제 2 열교환기(5)의 한 끝에 접속된다. 제 2 열교환기(5)의 다른 한끝은 십자 절환밸브(9)에 접속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는 각각 크로스핀 식의 핀-튜브(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는, 장방형 판상에 형성된 알루미늄제의 다수 핀(13)과, 핀(13)을 관통하는 구리제 전열관(15)을 구비한다.
상기 각 핀(13) 및 전열관(15)의 외표면은, 흡착제가 침지(Dipping) 성형에 의해 담지된다.
흡착제로는,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활성탄, 친수성 또는 흡수성을 갖는 유기 고분자 폴리머계 재료, 카르복실산기, 또는 술폰산기를 갖는 이온교환수지계 재료, 감온성 고분자 등의 기능성 고분자 재료 등을 들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는, 크로스핀 식의 핀-튜브형 열교환기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식의 열교환기, 예를 들어 파형핀(Corrugated fin)식 열교환기 등이라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각 핀(13) 및 전열관(15)의 외표면에 흡착제를 침지성형으로 담지시키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착제로서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 어떠한 방법으로 그 외표면에 흡착제를 담지시켜도 된다.
상기 십자 절환밸브(9)는, 제 1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하는 동시에 제 2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하는 상태(도 1의 (A)에 도시한 상태)와, 제 1 포트와 제 4 포트가 연통하는 동시에 제 2 포트와 제 3 포트가 연통하는 상태(도 1의 (B)에 도시한 상태)로 절환 자유롭게 구성된다. 그리고 십자 절환밸브(9)를 절환시킴으로써, 제 1 열교환기(3)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제 2 열교환기(5)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제 1 동작과, 제 2 열교환기(5)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제 1 열교환기(3)가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제 2 동작으로의 절환이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케이싱(17)의 내부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케이싱(17)은 도 3에서, 하단을 케이싱(17)의 정면으로 하고, 상단을 케이싱(17)의 배면으로 하며, 좌단을 케이싱(17)의 좌측면으로 하고, 우단을 케이싱(17)의 우측면으로 한다. 또 상기 케이싱(17)은, 도 4 및 도 5에서 상단이 케이싱(17) 상면이며, 하단이 케이싱(17) 하면이다.
우선 상기 케이싱(17)은, 평면적으로 보아 정방형이며, 편평한 상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7)의 좌측면 판(17a)에는, 실외공기(OA)를 도입하는 제 1 흡입구(19)와, 귀환공기인 실내공기(RA)를 도입하는 제 2 흡입구(2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싱(17)의 우측면 판(17b)에는, 배출공기(EA)를 실외로 배출하는 제 1 분출구(23)와, 조습공기(SA)를 실내로 공급하는 제 2 분출구(25)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싱(17) 내부에는, 구획부재인 분리판(27)이 배치되며, 분리판(27)에 의해 상기 케이싱(17) 내부에는 공기실(29a)과 기기실(29b)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판(27)은 케이싱(17)의 두께방향인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도 4 및 도 5에서 상단인 케이싱(17) 상면판(17e)에서 하단인 케이싱(17) 하면판(17f)에 걸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분리판(27)은 도 3에서, 하단인 케이싱(17) 정면판(17c)에서 상단인 케이싱(17) 배면판(17d)에 걸쳐 배치된다. 또 상기 분리판(27)은 도 3에서, 케이싱(17) 중앙부보다 약간 오른쪽으로 배치된다.
상기 기기실(29b)에는, 냉매 회로(1)에서의 열교환기(3, 5)를 제외한 압축기(7) 등이 배치됨과 더불어, 제 1 팬(79)과 제 2 팬(77)이 수납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팬(79)은, 제 1 분출구(23)에 접속되며, 제 2 팬(77)은 제 2 분출구(25)에 접속된다.
상기 케이싱(17)의 공기실(29a)에는, 구획부재인 제 1 단면판(33)과, 구획부재인 제 2 단면판(31)과, 구획부재인 중앙 구획판(67)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단면판(33)과 제 2 단면판(31)과 구획판(67)은, 케이싱(17)의 두께방향인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7)의 상면판(17e)에서 하면판(17f)에 걸쳐 배치된다.
상기 제 1 단면판(33)과 제 2 단면판(3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7)의 좌측면판(17a)에서 분리판(27)에 걸쳐 배치된다. 또 상기 제 1 단면판(33)은 도 3에서, 케이싱(17) 중앙부보다 약간 위쪽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단면판(31)은 도 3에서, 케이싱(17) 중앙부보다 약간 아래쪽으로 배치된다.
상기 구획판(6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단면판(33)과 제 2 단면판(31)에 걸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17) 내부에는, 제 1 단면판(33)과 제 2 단면판(31)과 구획판(67)과 분리판(27)에 의해 제 1 열교환실(69)이 구획 형성된다. 또 상기 케이싱(17) 내부에는, 제 1 단면판(33)과 제 2 단면판(31)과 구획판(67)과 케이싱(17) 좌측면판(17a)에 의해 제 2 열교환실(73)이 구획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열교환실(69)은 도 3에서 오른쪽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열교환실(73)은 도 3에서 왼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 1 열교환실(69)과 제 2 열교환실(73)은 인접하여 병행 형성된다.
또 상기 제 1 열교환실(69)에는 제 1 열교환기(3)가 배치되며, 상기 제 2 열교환실(73)에는 제 2 열교환기(5)가 배치된다.
상기 제 1 단면판(33)과 케이싱(17) 배면판(17d) 사이에는, 구획부재인 수평판(61)이 배치되어 제 1 유입로(63)와 제 1 유출로(65)가 형성된다. 또 상기 제 2 단면판(31)과 케이싱(17) 정면판(17c) 사이에는, 구획부재인 수평판(55)이 배치되어 제 2 유입로(57)와 제 2 유출로(59)가 형성된다.
상기 수평판(61, 55)은 케이싱(17)의 내부공간을 케이싱(17) 두께방향인 수직방향으로 상하 구획한다. 그리고 도 4에서, 제 1 유입로(63)가 상면 쪽에, 제 1 유출로(65)가 하면 쪽에 형성되며, 도 5에서 제 2 유입로(57)가 상면 쪽에, 제 2 유출로(59)가 하면 쪽에 형성된다.
즉 상기 제 1 유입로(63)와 제 1 유출로(65)는, 제 1 열교환실(69) 및 제 2 열교환실(73)의 각 일면이 연속되는 두께방향의 한 단면을 따라 형성되며, 또 상기 제 1 열교환실(69) 및 제 2 열교환실(73)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다.
또 상기 제 2 유입로(57)와 제 2 유출로(59)는, 제 1 열교환실(69) 및 제 2 열교환실(73)의 각 일면이 연속되는 단면에서 상기 한 단면과 대향하는 대향면을 따라 형성되며, 또 제 1 열교환실(69) 및 제 2 열교환실(73)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유입로(63) 및 제 1 유출로(65)와, 제 2 유입로(57) 및 제 2 유출로(59)는, 도 3에서 대칭으로 배치되는, 즉 제 1 열교환실(69) 및 제 2 열교환실(73)을 횡단하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하여 면대칭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유입로(63)는 제 1 흡입구(19)로 연통되며, 상기 제 1 유출로(65)는 제 1 팬(79)과 연통하여 제 1 분출구(23)로 연통된다. 또 상기 제 2 유입로(57)는 제 2 흡입구(21)로 연통되며, 상기 제 2 유출로(59)는 제 2 팬(77)과 연통하여 제 2 분출구(25)로 연통된다.
상기 제 1 단면판(33)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개구(33a 내지 33d)가 형성되며, 각 개구(33a 내지 33d)에는 제 1 댐퍼(47), 제 2 댐퍼(49), 제 3 댐퍼(51) 및 제 4 댐퍼(53)가 배치된다. 상기 4 개의 개구(33a 내지 33d)는, 행렬방향으로 근접하여 위치하는, 즉 상하좌우로 2 개씩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제 1 개구(33a)와 제 3 개구(33c)가 제 1 열교환실(69)로 개구되며, 제 2 개구(33b)와 제 4 개구(33d)가 제 2 열교환실(73)로 개구된다.
상기 제 1 개구(33a)는 제 1 유입로(63)와 제 1 열교환실(69)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 3 개구(33c)는 제 1 유출로(65)와 제 1 열교환실(69)을 연통시킨다. 또 상기 제 2 개구(33b)는 제 1 유입로(63)와 제 2 열교환실(73)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 4 개구(33d)는 제 1 유출로(65)와 제 2 열교환실(73)을 연통시킨다.
상기 제 2 단면판(31)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 개의 개구(31a 내지 31d)가 형성되며, 각 개구(31a 내지 31d)에는 제 5 댐퍼(35), 제 6 댐퍼(37), 제 7 댐퍼(39) 및 제 8 댐퍼(41)가 배치된다. 상기 4 개의 개구(31a 내지 31d)는 행렬방향으로 근접하여 위치하는, 즉 상하좌우로 2 개씩 격자형으로 배치되어, 제 5 개구(31a)와 제 7 개구(31c)가 제 1 열교환실(69)로 개구되며, 제 6 개구(31b)와 제 8 개구(31d)가 제 2 열교환실(73)로 개구된다.
상기 제 5 개구(31a)는 제 2 유입로(57)와 제 1 열교환실(69)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 7 개구(31c)는 제 2 유출로(59)와 제 1 열교환실(69)을 연통시킨다. 또 상기 제 6 개구(31b)는 제 2 유입로(57)와 제 2 열교환실(73)을 연통시키며, 상기 제 8 개구(31d)는 제 2 유출로(59)와 제 2 열교환실(73)을 연통시킨다.
상기 제 1 내지 제 8 댐퍼(47 내지 53, 35 내지 41)는, 개구(33a 내지 33d, 31a 내지 31d)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구성한다. 여기서 제 5 내지 제 8 댐퍼(35 내지 4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 5 내지 제 8 댐퍼(35 내지 4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의 날개부(43)와, 날개부(43) 중앙부에 형성된 축부(45)를 구비한다. 상기 축부(45)는 날개부(43)를 제 1 단면판(33) 또는 제 2 단면판(31)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 5 내지 제 8 댐퍼(35 내지 4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43)가 수평상태로 됨으로써 개구(31a 내지 31d)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제 1 내지 제 4 댐퍼(47 내지 53)도 동일구조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각 댐퍼(47 내지 53, 35 내지 41)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각 댐퍼(47 내지 53, 35 내지 41)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구조 또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구조라도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제 5 내지 제 8 댐퍼(35 내지 41)는, 2 매의 날개부(4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5 내지 제 8 댐퍼(35 내지 41)는 2 매의 날개부(43)가 상방과 하방으로 별개로 회전동작하여 개구(31a 내지 31d)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구성된다.
또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제 5 내지 제 8 댐퍼(35 내지 41)는, 2 매의 날개부(4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5 내지 제 8 댐퍼(35 내지 41)는 2 매의 날개부(43)를 위쪽으로 접어 개구(31a 내지 31d)를 개방상태로 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조습 장치는, 제습수단(80)과 가습수단(81)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수단(80)과 가습수단(81)은 절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이 절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습수단(80)은 냉매가 증발하는 제 1 열교환기(3) 또는 제 2 열교환기(5)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고, 냉매가 응축되는 제 2 열교환기(5) 또는 제 1 열교환기(3)를 흐르는 공기로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며, 상기 흡착제로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댐퍼(47 내지 53, 35 내지 41)에 의한 공기유통을 절환한다.
한편, 상기 가습수단(81)은 냉매가 증발하는 제 1 열교환기(3) 또는 제 2 열교환기(5)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고, 냉매가 응축되는 제 2 열교환기(5) 또는 제 1 열교환기(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며, 상기 흡착제로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댐퍼(47 내지 53, 35 내지 41)에 의한 공기유통을 절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습수단(80)은 전 환기모드에서,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외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외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내공기로 방출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내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제습운전을 행한다.
상기 가습수단(81)은 전 환기모드에서,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내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내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외공기로 방출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외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행한다.
또 상기 제습수단(80)은 순환모드에서,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내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내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외공기로 방출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외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제습운전을 행한다.
상기 가습수단(81)은 순환모드에서,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외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외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내공기로 방출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내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행한다.
<운전동작>
다음으로 상술한 조습 장치의 운전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조습 장치는, 제 1 공기와 제 2 공기를 도입하여,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을 절환시켜 행한다. 또 상기 조습 장치는,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교대로 반복함으로써,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또 상기 조습 장치는 전 환기모드의 제습운전 및 가습운전과, 순환모드의 제습운전 및 가습운전을 행한다.
-전 환기모드의 제습운전-
상기 제습수단(80)에 의한 전 환기모드의 제습운전은, 실외공기(OA)를 제 1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내공기(RA)를 제 2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운전이다.
《제 1 동작》
제 1 팬(79) 및 제 2 팬(77)을 구동시키는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재생(탈리)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로 실외공기(OA)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제 1 열교환기(3)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내공기(RA)에 부여된다.
도 1의 (A)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동작 시에는, 제 2 댐퍼(49)와 제 3 댐퍼(51)와 제 8 댐퍼(41)와 제 5 댐퍼(35)가 개방되고, 제 1 댐퍼(47)와 제 4 댐퍼(53)와 제 6 댐퍼(37)와 제 7 댐퍼(39)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3)에 실내공기(RA)를 공급하고, 제 2 열교환기(5)에 실외공기(OA)를 공급한다.
또 십자 절환밸브(9)는, 도 1의 (A)에 도시한 상태로 절환된다. 그 결과 냉매 회로(1)의 제 1 열교환기(3)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제 2 열교환기(5)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즉, 압축기(7)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가열용 열 매체로서 제 1 열교환기(3)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기(3)에서, 냉매에 의해 핀(13) 및 전열관(15)의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가열된다. 가열로써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어 흡착제가 재생된다.
한편, 상기 제 1 열교환기(3)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11)로 감압된다. 감압 후의 냉매는 냉각용 열 매체로서 제 2 열교환기(5)로 흐른다. 이 제 2 열교환기(5)에서, 핀(13) 및 전열관(15)의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수분을 흡착할 때 흡착열이 발생한다. 제 2 열교환기(5)의 냉매는 흡착열을 흡열하여 증발한다.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7)로 돌아오며, 냉매는 이러한 순환을 되풀이한다.
또 제 1 팬(79) 및 제 2 팬(77)의 구동에 의해,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유입로(57)를 흘러 제 5 개구(31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흐른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내공기(RA)는,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내공기(R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1 열교환기(69)에서 제 3 개구(33c)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거쳐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유입로(63)를 흘러 제 2 개구(33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외공기(OA)는, 수분이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외공기(OA)는 조습공기(SA)로 되어, 제 2 열교환실(73)로부터 제 8 개구(31d)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거쳐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제 1 동작을 행한 후 제 2 동작을 실행한다.
《제 2 동작》
제 1 팬(79) 및 제 2 팬(77)을 구동시키는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로 실외공기(OA)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제 2 열교환기(5)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내공기(RA)에 부여된다.
도 1의 (B)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동작 시에는, 제 1 댐퍼(47)와 제 4 댐퍼(53)와 제 7 댐퍼(39)와 제 6 댐퍼(37)가 개방되고, 제 3 댐퍼(51)와 제 2 댐퍼(49)와 제 5 댐퍼(35)와 제 8 댐퍼(41)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3)에 실외공기(OA)를 공급하고, 제 2 열교환기(5)에 실내공기(RA)를 공급한다.
또 상기 십자 절환밸브(9)는, 도 1의 (B)에 도시한 상태로 절환된다. 그 결과 냉매 회로(1)에서는, 제 2 열교환기(5)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제 1 열교환기(3)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즉, 압축기(7)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가열용 열 매체로서 제 2 열교환기(5)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기(5)에서, 냉매에 의해 핀(13) 및 전열관(15)의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가열된다. 가열로써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어 흡착제가 재생된다.
한편, 상기 제 2 열교환기(5)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11)로 감압된다. 감압 후의 냉매는 냉각용 열 매체로서 제 1 열교환기(3)로 흐른다. 제 1 열교환기(3)에서, 핀(13) 및 전열관(15)의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수분을 흡착할 때 흡착열이 발생한다. 제 1 열교환기(3)의 냉매는 흡착열을 흡열하여 증발한다.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7)로 돌아오며, 냉매는 순환을 되풀이한다.
또 제 1 팬(79) 및 제 2 팬(77)의 구동에 의해,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유입로(57)를 흘러 제 6 개구(31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흐른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내공기(RA)는,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내공기(R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4 개구(33d)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거쳐 제 1 분출구(23)로부터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유입로(63)를 흘러 제 1 개구(33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외공기(OA)는, 수분이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외공기(OA)는 조습공기(SA)로 되어, 제 1 열교환실(69)로부터 제 7 개구(31c)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거쳐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제 2 동작을 행한 후, 다시 제 1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되풀이하여 실내의 제습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전 환기모드의 가습운전-
상기 가습수단(81)에 의한 전 환기모드 가습운전은, 실내공기(RA)를 제 1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외로 배출하고, 실외공기(OA)를 제 2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운전이다.
《제 1 동작》
제 1 팬(79) 및 제 2 팬(77)을 구동시키는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로 실내공기(RA)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제 1 열교환기(3)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외공기(OA)에 부여된다.
도 1의 (A)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동작 시에는, 제 1 댐퍼(47)와 제 4 댐퍼(53)와 제 7 댐퍼(39)와 제 6 댐퍼(37)가 개방되고, 제 3 댐퍼(51)와 제 2 댐퍼(49)와 제 5 댐퍼(35)와 제 8 댐퍼(41)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3)에 실외공기(OA)를 공급하고, 제 2 열교환기(5)에 실내공기(RA)를 공급한다.
또 십자 절환밸브(9)는, 도 1의 (A)에 도시한 상태로 절환된다. 그 결과 냉매 회로(1)의 제 1 열교환기(3)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제 2 열교환기(5)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즉, 압축기(7)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가열용 열 매체로서 제 1 열교환기(3)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기(3)에서, 냉매에 의해 핀(13) 및 전열관(15)의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가열된다. 가열로써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어 흡착제가 재생된다.
한편, 상기 제 1 열교환기(3)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11)로 감압된다. 감압 후의 냉매는 냉각용 열 매체로서 제 2 열교환기(5)로 흐른다. 제 2 열교환기(5)에서, 핀(13) 및 전열관(15)의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수분을 흡착할 때 흡착열이 발생한다. 제 2 열교환기(5)의 냉매는 흡착열을 흡열하여 증발한다.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7)로 돌아오며, 냉매는 순환을 되풀이한다.
또 제 1 팬(79) 및 제 2 팬(77)의 구동에 의해,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유입로(57)를 흘러 제 6 개구(31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흐른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내공기(RA)는, 수분이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내공기(R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2 열교환실(73)로부터 제 4 개구(33d)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거쳐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유입로(63)를 흘러 제 1 개구(33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외공기(OA)는 조습공기(SA)로 되어, 제 1 열교환실(69)로부터 제 7 개구(31c)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거쳐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제 1 동작을 행한 후 제 2 동작을 실행한다.
《제 2 동작》
제 1 팬(79) 및 제 2 팬(77)을 구동시키는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로 실내공기(RA)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제 2 열교환기(5)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외공기(OA)에 부여된다.
도 1의 (B)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동작 시에는, 제 2 댐퍼(49)와 제 3 댐퍼(51)와 제 8 댐퍼(41)와 제 5 댐퍼(35)가 개방되고, 제 4 댐퍼(53)와 제 1 댐퍼(47)와 제 6 댐퍼(37)와 제 7 댐퍼(39)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3)에 실내공기(RA)를 공급하고, 제 2 열교환기(5)에 실외공기(OA)를 공급한다.
또 상기 십자 절환밸브(9)는, 도 1의 (B)에 도시한 상태로 절환된다. 그 결과 냉매 회로(1)에서는, 제 2 열교환기(5)가 응축기로서 기능하며, 제 1 열교환기(3)가 증발기로서 기능한다.
즉, 압축기(7)로부터 토출된 고온고압의 냉매는, 가열용 열 매체로서 제 2 열교환기(5)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기(5)에서, 냉매에 의해 핀(13) 및 전열관(15)의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가열된다. 이러한 가열로써 흡착제로부터 수분이 탈리되어 흡착제가 재생된다.
한편, 상기 제 2 열교환기(5)에서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11)로 감압된다. 감압 후의 냉매는 냉각용 열 매체로서 제 1 열교환기(3)로 흐른다. 제 1 열교환기(3)에서, 핀(13) 및 전열관(15)의 외표면에 담지된 흡착제가 수분을 흡착할 때 흡착열이 발생한다. 제 1 열교환기(3)의 냉매는 흡착열을 흡열하여 증발한다. 증발된 냉매는 압축기(7)로 돌아오며, 냉매는 순환을 되풀이한다.
또 제 1 팬(79) 및 제 2 팬(77)의 구동에 의해,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유입로(57)를 흘러 제 5 개구(31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흐른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내공기(RA)는, 수분이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내공기(R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1 열교환실(69)로부터 제 3 개구(33c)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거쳐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유입로(63)를 흘러 제 2 개구(33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외공기(OA)는 조습공기(SA)로 되어, 제 2 열교환실(73)로부터 제 8 개구(31d)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거쳐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제 2 동작을 행한 후, 다시 제 1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되풀이하여 실내의 가습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순환모드의 제습운전-
상기 제습수단(80)에 의한 순환모드 제습운전은, 실내공기(RA)를 제 1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외공기(OA)를 제 2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운전이다. 여기서 상기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은 전 환기모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동작》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재생(탈리)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로 실내공기(RA)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제 1 열교환기(3)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외공기(OA)에 부여된다.
제 1 동작 시에는, 제 1 댐퍼(47)와 제 3 댐퍼(51)와 제 6 댐퍼(37)와 제 8 댐퍼(41)가 개방되고, 제 2 댐퍼(49)와 제 4 댐퍼(53)와 제 5 댐퍼(35)와 제 7 댐퍼(39)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3)에 실외공기(OA)를 공급하고, 제 2 열교환기(5)에 실내공기(RA)를 공급한다.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유입로(63)를 흘러 제 1 개구(33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흐른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외공기(OA)는,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외공기(O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1 열교환실(69)로부터 제 3 개구(33c)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거쳐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유입로(57)를 흘러 제 6 개구(31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흐른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내공기(RA)는, 수분이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내공기(RA)는 조습공기(SA)로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8 개구(31d)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거쳐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제 1 동작을 행한 후 제 2 동작을 실행한다.
《제 2 동작》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로 실내공기(RA)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제 2 열교환기(5)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외공기(OA)에 부여된다.
제 2 동작 시에는, 제 2 댐퍼(49)와 제 4 댐퍼(53)와 제 5 댐퍼(35)와 제 7 댐퍼(39)가 개방되고, 제 1 댐퍼(47)와 제 3 댐퍼(51)와 제 6 댐퍼(37)와 제 8 댐퍼(41)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3)에 실내공기(RA)를 공급하고, 제 2 열교환기(5)에 실외공기(OA)를 공급한다.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유입로(63)를 흘러 제 2 개구(33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흐른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외공기(OA)는,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외공기(O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4 개구(33d)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거쳐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한편,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유입로(57)를 흘러 제 5 개구(31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흐른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내공기(RA)는, 수분이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내공기(RA)는 조습공기(SA)로 되어, 제 1 열교환실(69)에서 제 7 개구(31c)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거쳐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제 2 동작을 행한 후, 다시 제 1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되풀이하여 실내의 제습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순환모드의 가습운전-
상기 가습수단(81)에 의한 순환모드 가습운전은, 실외공기(OA)를 제 1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외로 배출하고, 실내공기(RA)를 제 2 공기로서 도입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운전이다. 여기서 상기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은 전 환기모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동작》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로 실외공기(OA)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제 1 열교환기(3)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내공기(RA)에 부여된다.
제 1 동작 시에는, 제 2 댐퍼(49)와 제 4 댐퍼(53)와 제 5 댐퍼(35)와 제 7 댐퍼(39)가 개방되고, 제 1 댐퍼(47)와 제 3 댐퍼(51)와 제 6 댐퍼(37)와 제 8 댐퍼(41)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3)에 실내공기(RA)를 공급하고, 제 2 열교환기(5)에 실외공기(OA)를 공급한다.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유입로(57)를 흘러 제 5 개구(31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흐른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내공기(RA)는,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내공기(RA)는 제 1 열교환실(69)에서 제 7 개구(31c)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거쳐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유입로(63)를 흘러 제 2 개구(33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외공기(OA)는, 수분이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외공기(O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4 개구(33d)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거쳐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동작을 행한 후 제 2 동작을 실행한다.
《제 2 동작》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로 실외공기(OA) 중의 수분이 흡착되고, 제 2 열교환기(5)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실내공기(RA)에 부여된다.
제 2 동작 시에는, 제 1 댐퍼(47)와 제 3 댐퍼(51)와 제 6 댐퍼(37)와 제 8 댐퍼(41)가 개방되고, 제 2 댐퍼(49)와 제 4 댐퍼(53)와 제 5 댐퍼(35)와 제 7 댐퍼(39)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2 열교환기(5)에 실내공기(RA)를 공급하고, 제 1 열교환기(3)에 실외공기(OA)를 공급한다.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유입로(57)를 흘러 제 6 개구(31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흐른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내공기(RA)는,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내공기(RA)는 조습공기(SA)로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8 개구(31d)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거쳐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유입로(63)를 흘러 제 1 개구(33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외공기(OA)는, 수분이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외공기(O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1 열교환실(69)에서 제 3 개구(33c)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거쳐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동작을 행한 후, 다시 제 1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되풀이하여 실내의 가습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성능 비교>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를 이용하여 제습운전을 행한 경우와 종래의 조습 장치를 이용하여 제습운전을 행한 경우를 도시한 공기선도이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와 종래의 조습 장치는 모두, 1 시간당 150㎥ 정도의 공기 제습이 가능한 장치이다.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를 이용하여 제습운전을 행한 경우와 종래의 조습 장치를 이용하여 제습운전을 행한 경우의 데이터를 나타낸다. 데이터는 실외공기(OA)의 입구온도 등이다. 여기서 도 17에 기재된 "a", "b" 등은 도 16에 기재된 "a", "b" 등에 대응한다.
도 16 및 도 1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제습량은, 종래 조습 장치의 제습량보다 많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조습 장치의 제습량은, 종래 조습 장치의 제습량의 2 배 이상이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의 전열관(15) 외표면 및 핀(13) 외표면에 흡착제를 담지하도록 하여, 가열냉각 수단과 흡탈착 수단을 일체로 하도록 하므로, 흡착제 용기를 생략하고 제습운전 및 가습운전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부품점수를 적게 할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의 전열관(15) 외표면 및 핀(13) 외표면에 흡착제를 담지하도록 하므로, 냉매에 흡착제를 직접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흡착제의 흡탈착 성능을 최대한 발휘시킬 수 있으므로, 흡탈착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장치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의 외표면에 흡착제를 담지하도록 하므로,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을 연속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열교환실(69)과 제 2 열교환실(73)을 인접시키고, 이 제 1 열교환실(69)과 제 2 열교환실(73)의 두께방향으로 유입로(57, 63)와 유출로(59, 65)를 중첩시켜 배치하도록 하므로, 장치 전체를 소형화 할 수 있다.
그리고, 8 개의 댐퍼(35, ..., 47, ...)를 배치시켜 공기의 유통방향을 절환시키도록 하므로, 공기유통의 절환을 간소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제 1 유입로(63) 및 제 1 유출로(65)를 대칭으로, 제 2 유입로(57) 및 제 2 유출로(59)를 대칭으로 배치하도록 하므로, 유통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제습 등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개구(31a 내지 31d, 33a 내지 33d)는, 행렬방향으로 근접 위치하며, 댐퍼(35, ..., 47, ...)로 개폐하도록 하므로, 공기의 유통계통을 간소하게 구성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증기 압축식 냉동주기의 냉매 회로(1)를 이용하므로, 흡착제의 흡착 및 재생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전 환기모드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하므로, 실내 환기를 행하면서 실내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할 수 있다.
또 순환모드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하므로, 실내공기를 순환시켜 실내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실외공기를 도입하지 않으므로, 실내온도의 변동을 억제하여 조습을 행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 내지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조습 장치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전 환기모드와 순환모드에 추가로, 제습수단(80) 및 가습수단(81)이 급기모드의 제습운전 및 가습운전과 배기모드의 제습운전 및 가습운전을 절환하여 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흡입구(19) 및 제 2 흡입구(21)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댐퍼 등의 개폐수단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흡입구(19) 및 제 2 흡입구(21)는, 개폐수단으로 개방 또는 폐쇄되어 실외공기(OA) 또는 실내공기(RA)의 도입 및 도입 저지 중 한 가지를 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습수단(80)은 급기모드에서, 실외공기(OA)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외공기(OA)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외공기(OA)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외공기(OA)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외공기(OA)로 방출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외공기(OA)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제습운전을 행한다.
상기 가습수단(81)은 급기모드에서, 실외공기(OA)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외공기(OA)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외공기(OA)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외공기(OA)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외공기(OA)로 방출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외공기(OA)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행한다.
또 상기 제습수단(80)은 배기모드에서, 실내공기(RA)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내공기(RA)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내공기(RA)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내공기(RA)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내공기(RA)로 방출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내공기(RA)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제습운전을 행한다.
상기 가습수단(81)은 배기모드에서, 실내공기(RA)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내공기(RA)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내공기(RA)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내공기(RA)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내공기(RA)로 방출하여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내공기(RA)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가습운전을 행한다.
여기서 상기 냉매 회로(1)의 구성 및 냉매순환은,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또 상기 도 18 내지 도 25의 각 (B)는 제 1 실시예의 도 3에 상당하며, 도 18 내지 도 25의 각 (A)는 제 1 실시예의 도 4에 상당하고, 도 18 내지 도 25의 각 (C)는 제 1 실시예의 도 5에 상당한다. 그리고 도 18 내지 도 25의 (A) 및 (C)에 있어서 제 1 댐퍼(47) 내지 제 8 댐퍼(41)의 사선은 폐쇄상태를 나타내며, 흰 여백은 개방상태를 나타낸다.
-급기모드의 제습운전-
상기 제습수단(80)에 의한 급기모드의 제습운전은,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흡입구(19)를 개구하고 제 2 흡입구(21)를 폐쇄하여, 실외공기(OA)를 제 1 공기 및 제 2 공기로서 도입하고, 일부를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나머지를 실외로 배출하는 운전이다.
《제 1 동작》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재생(탈리)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로 일부 실외공기(OA) 중의 수분이 흡착되며, 제 1 열교환기(3)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나머지 실외공기(OA)에 부여된다.
제 1 동작 시에는, 제 1 댐퍼(47)와 제 2 댐퍼(49)와 제 3 댐퍼(51)와 제 8 댐퍼(41)가 개방된다. 한편 제 4 댐퍼(53)와 제 5 댐퍼(35)와 제 6 댐퍼(37)와 제 7 댐퍼(39)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2 열교환기(5)로 실외공기(OA)의 일부를 공급하고, 제 1 열교환기(3)로 나머지 실외공기(OA)를 공급한다.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유입로(63)를 흘러 일부가 제 2 개구(33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외공기(OA)는, 수분이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외공기(OA)는 조습공기(SA)가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8 개구(31d)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지나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나머지 실외공기(OA)는, 제 1 개구(33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외공기(OA)는,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외공기(O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1 열교환실(69)에서 제 3 개구(33c)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지나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동작을 행한 후, 제 2 동작을 행한다.
《제 2 동작》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로 일부 실외공기(OA) 중의 수분이 흡착되며, 제 2 열교환기(5)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나머지 실외공기(OA)에 부여된다.
제 2 동작 시에는, 제 1 댐퍼(47)와 제 2 댐퍼(49)와 제 4 댐퍼(53)와 제 7 댐퍼(39)가 개방된다. 한편 제 3 댐퍼(51)와 제 5 댐퍼(35)와 제 6 댐퍼(37)와 제 8 댐퍼(41)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3)로 실외공기(OA)의 일부를 공급하고, 제 2 열교환기(5)로 나머지 실외공기(OA)를 공급한다.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유입로(63)를 흘러 일부가 제 1 개구(33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외공기(OA)는, 수분이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외공기(OA)는 조습공기(SA)가 되어, 제 1 열교환실(69)에서 제 7 개구(31c)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지나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나머지 실외공기(OA)는, 제 2 개구(33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외공기(OA)는,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외공기(O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4 개구(33d)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지나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동작을 행한 후, 다시 제 1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되풀이하여 실내의 제습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급기모드의 가습운전-
상기 가습수단(81)에 의한 급기모드의 가습운전은,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운전과 마찬가지로 제 1 흡입구(19)를 개구하고 제 2 흡입구(21)를 폐쇄하여, 실외공기(OA)를 제 1 공기 및 제 2 공기로서 도입하고, 일부를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나머지를 실외로 배출하는 운전이다.
《제 1 동작》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재생(탈리)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로 일부 실외공기(OA) 중의 수분이 흡착되며, 제 2 열교환기(5)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나머지 실외공기(OA)에 부여된다.
제 1 동작 시에는, 제 1 댐퍼(47)와 제 2 댐퍼(49)와 제 4 댐퍼(53)와 제 7 댐퍼(39)가 개방된다. 한편 제 3 댐퍼(51)와 제 5 댐퍼(35)와 제 6 댐퍼(37)와 제 8 댐퍼(41)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3)로 실외공기(OA)의 일부를 공급하고, 제 2 열교환기(5)로 나머지 실외공기(OA)를 공급한다.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유입로(63)를 흘러 일부가 제 1 개구(33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외공기(OA)는,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외공기(OA)는 조습공기(SA)가 되어, 제 1 열교환실(69)에서 제 7 개구(31c)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지나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나머지 실외공기(OA)는, 제 2 개구(33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외공기(OA)는, 수분이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외공기(O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4 개구(33d)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지나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동작을 행한 후, 제 2 동작을 행한다.
《제 2 동작》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로 일부 실외공기(OA) 중의 수분이 흡착되며, 제 2 열교환기(5)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나머지 실외공기(OA)에 부여된다.
제 2 동작 시에는, 제 1 댐퍼(47)와 제 2 댐퍼(49)와 제 3 댐퍼(51)와 제 8 댐퍼(41)가 개방된다. 한편 제 4 댐퍼(53)와 제 5 댐퍼(35)와 제 6 댐퍼(37)와 제 7 댐퍼(39)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2 열교환기(5)로 실외공기(OA)의 일부를 공급하고, 제 1 열교환기(3)로 나머지 실외공기(OA)를 공급한다.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실외공기(OA)는, 제 1 유입로(63)를 흘러 일부가 제 2 개구(33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외공기(OA)는,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외공기(OA)는 조습공기(SA)가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8 개구(31d)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지나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 1 흡입구(19)에서 유입된 나머지 실외공기(OA)는, 제 1 개구(33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외공기(OA)는, 수분이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외공기(O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1 열교환실(69)에서 제 3 개구(33c)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지나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동작을 행한 후, 다시 제 1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되풀이하여 실내의 가습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배기모드의 제습운전-
상기 제습수단(80)에 의한 배기모드의 제습운전은,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흡입구(21)를 개구하고 제 1 흡입구(19)를 폐쇄하여, 실내공기(RA)를 제 1 공기 및 제 2 공기로서 도입하고, 일부를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나머지를 실외로 배출하는 운전이다.
《제 1 동작》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재생(탈리) 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로 일부 실내공기(RA) 중의 수분이 흡착되며, 제 1 열교환기(3)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나머지 실내공기(RA)에 부여된다.
제 1 동작 시에는, 제 3 댐퍼(51)와 제 5 댐퍼(35)와 제 6 댐퍼(37)와 제 8 댐퍼(41)가 개방된다. 한편 제 1 댐퍼(47)와 제 2 댐퍼(49)와 제 4 댐퍼(53)와 제 7 댐퍼(39)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2 열교환기(5)로 실내공기(RA)의 일부를 공급하고, 제 1 열교환기(3)로 나머지 실내공기(RA)를 공급한다.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유입로(57)를 흘러 일부가 제 6 개구(31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내공기(RA)는, 수분이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내공기(RA)는 조습공기(SA)가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8 개구(31d)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지나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나머지 실내공기(RA)는, 제 5 개구(31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내공기(RA)는,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내공기(R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1 열교환실(69)에서 제 3 개구(33c)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지나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동작을 행한 후, 제 2 동작을 행한다.
《제 2 동작》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로 일부 실내공기(RA) 중의 수분이 흡착되며, 제 2 열교환기(5)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나머지 실내공기(RA)에 부여된다.
제 2 동작 시에는, 제 1 흡입구(19)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4 댐퍼(53)와 제 5 댐퍼(35)와 제 6 댐퍼(37)와 제 7 댐퍼(39)가 개방된다. 한편 제 1 댐퍼(47)와 제 2 댐퍼(49)와 제 3 댐퍼(51)와 제 8 댐퍼(41)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3)로 실내공기(RA)의 일부를 공급하고, 제 2 열교환기(5)로 나머지 실내공기(RA)를 공급한다.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유입로(57)를 흘러 일부가 제 5 개구(31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내공기(RA)는, 수분이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내공기(RA)는 조습공기(SA)가 되어, 제 1 열교환실(69)에서 제 7 개구(31c)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지나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나머지 실내공기(RA)는, 제 6 개구(31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내공기(RA)는,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내공기(R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4 개구(33d)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지나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동작을 행한 후, 다시 제 1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되풀이하여 실내의 제습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배기모드의 가습운전-
상기 가습수단(81)에 의한 배기모드의 가습운전은, 도 24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습운전과 마찬가지로, 제 2 흡입구(21)를 개구하고 제 1 흡입구(19)를 폐쇄하여, 실내공기(RA)를 제 1 공기 및 제 2 공기로서 도입하고, 일부를 실내로 공급하는 동시에, 나머지를 실외로 배출하는 운전이다.
《제 1 동작》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재생(탈리)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1 동작에서는 제 2 열교환기(5)로 일부 실내공기(RA) 중의 수분이 흡착되며, 제 1 열교환기(3)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나머지 실내공기(RA)에 부여된다.
제 1 동작 시에는, 제 4 댐퍼(53)와 제 5 댐퍼(35)와 제 6 댐퍼(37)와 제 7 댐퍼(39)가 개방된다. 한편 제 1 댐퍼(47)와 제 2 댐퍼(49)와 제 3 댐퍼(51)와 제 8 댐퍼(41)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1 열교환기(3)로 실내공기(RA)의 일부를 공급하고, 제 2 열교환기(5)로 나머지 실내공기(RA)를 공급한다.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유입로(57)를 흘러 일부가 제 5 개구(31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내공기(RA)는,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내공기(RA)는 조습공기(SA)가 되어, 제 1 열교환실(69)에서 제 7 개구(31c)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지나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나머지 실내공기(RA)는, 제 6 개구(31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내공기(RA)는, 수분이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내공기(R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4 개구(33d)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지나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제 1 동작을 행한 후, 제 2 동작을 행한다.
《제 2 동작》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에서의 흡착동작과, 제 2 열교환기(5)에서의 재생동작이 이루어진다. 즉 제 2 동작에서는 제 1 열교환기(3)로 일부 실내공기(RA) 중의 수분이 흡착되며, 제 2 열교환기(5)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나머지 실내공기(RA)에 부여된다.
제 2 동작 시에는, 제 3 댐퍼(51)와 제 5 댐퍼(35)와 제 6 댐퍼(37)와 제 8 댐퍼(41)가 개방된다. 한편 제 1 댐퍼(47)와 제 2 댐퍼(49)와 제 4 댐퍼(53)와 제 7 댐퍼(39)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2 열교환기(5)로 실내공기(RA)의 일부를 공급하고, 제 1 열교환기(3)로 나머지 실내공기(RA)를 공급한다.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실내공기(RA)는, 제 2 유입로(57)를 흘러 일부가 제 6 개구(31b)로부터 제 2 열교환실(73)로 흘러간다. 제 2 열교환실(73)에서 실내공기(RA)는, 제 2 열교환기(5)의 흡착제로부터 탈리된 수분이 방출되어 가습된다. 가습된 실내공기(RA)는 조습공기(SA)가 되어, 제 2 열교환실(73)에서 제 8 개구(31d)를 거쳐 제 2 유출로(59)를 흐르고, 제 2 팬(77)을 지나 제 2 분출구(25)에서 실내로 공급된다.
한편, 상기 제 2 흡입구(21)에서 유입된 나머지 실내공기(RA)는, 제 5 개구(31a)로부터 제 1 열교환실(69)로 흘러간다. 제 1 열교환실(69)에서 실내공기(RA)는, 수분이 제 1 열교환기(3)의 흡착제로 흡착되어 제습된다. 제습된 실내공기(RA)는, 배출공기(EA)로 되어 제 1 열교환실(69)에서 제 3 개구(33c)를 거쳐 제 1 유출로(65)를 흐르고, 제 1 팬(79)을 지나 제 1 분출구(23)에서 실외로 배출된다.
제 2 동작을 행한 후, 다시 제 1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제 1 동작과 제 2 동작을 되풀이하여 실내의 가습을 연속적으로 행한다.
따라서 본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급기모드에서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하므로, 실외공기(OA)를 도입하는 것만으로 실내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할 수 있다.
또 배기모드에서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하므로, 실내공기(RA)를 배출하는 것만으로 실내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의 핀(13) 외표면 및 전열관(15) 외표면에 흡착제가 담지되나, 본 발명은 핀(13) 외표면 및 전열관(15) 외표면의 적어도 한쪽에 흡착제가 담지되는 것이라도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 쌍방에 흡착제를 담지하도록 했으나, 한쪽의 열교환기, 예를 들어 제 1 열교환기(3)에만 흡착제를 담지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수분의 흡착과 방출(흡착제의 재생)이 간헐적으로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흡습 수단과 방습수단이 구성된다.
이 경우 흡습 수단은, 제 2 열교환기(5)에서 냉매를 응축시키는 동시에, 제 1 열교환기(3)에서 냉매를 증발시켜 제 1 열교환기(3)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댐퍼(47 내지 53, 35 내지 41)에 의한 공기유통을 절환한다.
또 상기 방습수단은, 제 1 열교환기(3)에서 냉매를 응축시키는 동시에, 제 2 열교환기(5)에서 냉매를 증발시켜 제 1 열교환기(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댐퍼(47 내지 53, 35 내지 41)에 의한 공기유통을 절환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도 3을 평면으로 하여 설치하도록 하였지만, 설치방향은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실시형태는, 제 1 팬(79)을 제 1 분출구(23)에 접속시켰지만, 제 1 팬(79)을 제 1 흡입구(19)로 연속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제 2 팬(77)을 제 2 분출구(25)에 접속시켰지만, 제 2 팬(77)을 제 2 흡입구(21)로 연속되도록 배치해도 된다. 요컨대 제 1 팬(79) 및 제 2 팬(77)은 흡입구 쪽에 배치해도 되고, 분출구 쪽에 배치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전 환기모드와 순환모드를 절환하고, 제 2 실시형태는 전 환기모드와 순환모드와 급기모드와 배기모드를 절환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습수단(80) 및 가습수단(81)은 전 환기모드와 순환모드와 급기모드와 배기모드 중, 적어도 어느 1 모드를 행하는 것이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습수단(80) 및 가습수단(81)의 어느 한 쪽을 구비하는 것이라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조습 장치는, 실내 등의 제습 또는 가습을 행하는 경우에 유용하며, 특히 흡착제와 열교환 수단을 일체화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Claims (10)

  1. 흡착제를 구비하며, 상기 흡착제가 수분의 흡착과 탈리를 행하여 공기의 습도를 조절하는 조습 장치에 있어서,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를 구비하며, 냉매가 순환하여 증기 압축식 냉동주기를 행하고, 상기 제 1 열교환기(3) 및 제 2 열교환기(5)에서 냉매의 응축과 증발을 교대로 행하는 냉매 회로(1)가 구성되며,
    상기 흡착제가 적어도 제 1 열교환기(3) 표면에 담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열교환기(5)에서 냉매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제 1 열교환기(3)에서 냉매를 증발시키고 상기 제 1 열교환기(3)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는 흡습 수단과,
    제 1 열교환기(3)에서 냉매를 응축시킴과 동시에, 제 2 열교환기(5)에서 냉매를 증발시키고 상기 제 1 열교환기(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는 방습(放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가 제 1 열교환기(3)의 표면 및 제 2 열교환기(5)의 표면에 각각 담지되는 한편,
    냉매가 증발하는 열교환기(3, 5)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는 동시에, 냉매가 응축되는 열교환기(5, 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상기 흡착제로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는 제습수단(8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가 제 1 열교환기(3)의 표면 및 제 2 열교환기(5)의 표면에 각각 담지되는 한편,
    냉매가 증발하는 열교환기(3, 5)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는 동시에, 냉매가 응축되는 열교환기(5, 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며, 상기 흡착제로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는 가습수단(81)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제가 제 1 열교환기(3)의 표면 및 제 2 열교환기(5)의 표면에 각각 담지되는 한편,
    냉매가 증발하는 열교환기(3, 5)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고, 냉매가 응축되는 열교환기(5, 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며, 상기 흡착제로 제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는 제습수단(80)과,
    냉매가 증발하는 열교환기(3, 5)를 흐르는 공기의 수분을 흡착제로 흡착하고, 냉매가 응축되는 열교환기(5, 3)를 흐르는 공기에 수분을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며, 상기 흡착제로 가습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냉매 회로(1)의 냉매순환 및 공기유통을 절환하는 가습수단(81)을 구비하고,
    제습운전과 가습운전으로 절환되도록 상기 제습수단(80)과 가습수단(81)이 절환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열교환기(3)가 수납된 제 1 열교환실(69)과,
    상기 제 1 열교환실(69)에 인접 형성되며, 제 2 열교환기(5)가 수납된 제 2 열교환실(73)과,
    상기 2 개 열교환실(69, 73)의 각 일면이 연속되는 두께방향의 한 끝단면을 따라 형성되며 또 양 열교환실(69, 73)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공기의 제 1 유입로(63) 및 제 1 유출로(65)와,
    상기 2 개 열교환실(69, 73)의 각 일면이 연속되는 끝단면에서 상기 한 끝단면과 대향하는 다른 끝단면을 따라 형성되며 또 양 열교환실(69, 73)의 두께방향으로 중첩 배치된, 공기의 제 2 유입로(57) 및 제 2 유출로(59)와,
    상기 제 1 열교환실(69) 및 제 2 열교환실(73)과 상기 각 유입로(57, 63) 및 각 유출로(59, 65)를 연통하는 개구(31a, ..., 33a, ...)를 개폐하는 개폐수단(35, ..., 47,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단(80)은,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외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외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내공기에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내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전(全) 환기모드의 제습운전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습수단(81)은,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내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내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외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외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전 환기모드의 가습운전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단(80)은,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내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내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외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외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순환모드의 제습운전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습수단(81)은,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외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외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내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내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순환모드의 가습운전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단(80)은,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외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외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외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외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급기모드의 제습운전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습수단(81)은,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외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외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외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외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외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급기모드의 가습운전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수단(80)은,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내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내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한편,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내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내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배기모드의 제습운전을 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습수단(81)은,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증발기인 열교환기(3, 5)의 흡착제로 실내공기의 수분을 흡착하고, 실내공기를 제습공기로 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한편, 실내공기를 도입하여 응축기인 열교환기(5, 3)의 흡착제로부터 수분을 실내공기로 방출시켜 흡착제를 재생하고, 실내공기를 가습공기로 하여 실내로 공급하는 배기모드의 가습운전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습 장치.
KR1020057016751A 2003-03-10 2004-03-09 조습 장치 KR1007004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63186 2003-03-10
JP2003063186 2003-03-10
JPJP-P-2003-00344034 2003-10-02
JP2003344034A JP3596549B2 (ja) 2003-03-10 2003-10-02 調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9541A true KR20050109541A (ko) 2005-11-21
KR100700404B1 KR100700404B1 (ko) 2007-03-28

Family

ID=32992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751A KR100700404B1 (ko) 2003-03-10 2004-03-09 조습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196195A1 (ko)
EP (1) EP1621822A4 (ko)
JP (1) JP3596549B2 (ko)
KR (1) KR100700404B1 (ko)
AU (1) AU2004219772B2 (ko)
WO (1) WO2004081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4910B2 (ja) * 2003-05-27 2005-03-0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AU2005227460B2 (en) * 2004-03-31 2008-10-30 Daikin Industries, Ltd. Humidity control system
EP1739370A4 (en) * 2004-03-31 2009-07-29 Daikin Ind Ltd MOISTURE CONTROLLER
JP3852014B1 (ja) * 2005-05-24 2006-1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4052318B2 (ja) * 2005-05-24 2008-0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4052319B2 (ja) 2005-05-24 2008-02-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4525465B2 (ja) * 2005-05-24 2010-08-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2006329579A (ja) * 2005-05-30 2006-12-07 Daikin Ind Ltd 調湿装置
JP3995007B2 (ja) 2005-05-30 2007-10-2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4067009B2 (ja) * 2005-05-30 2008-03-2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3992051B2 (ja) * 2005-05-30 2007-10-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3852015B1 (ja) 2005-05-30 2006-11-2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3864982B2 (ja) * 2005-05-30 2007-01-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調システム
JP3891207B2 (ja) 2005-06-17 2007-03-1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3918852B2 (ja) * 2005-06-28 2007-05-23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吸着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752429B2 (ja) * 2005-09-30 2011-08-1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空気調和システム
JP4120688B2 (ja) * 2006-10-30 2008-07-16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吸着熱交換器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266657B2 (ja) * 2007-03-30 2013-08-21 三菱樹脂株式会社 車両用除加湿装置
JP5103993B2 (ja) * 2007-04-06 2012-12-19 三菱樹脂株式会社 車両用除加湿装置
JP4311490B2 (ja) * 2007-06-12 2009-08-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JP5396705B2 (ja) 2007-10-31 2014-01-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調湿装置
CN101625143B (zh) * 2008-07-07 2011-11-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多功能换气扇
JP5452565B2 (ja) * 2011-10-27 2014-03-26 三菱電機株式会社 除湿装置
WO2014080637A1 (ja) * 2012-11-22 2014-05-3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用冷凍装置
KR102194676B1 (ko) * 2013-12-10 2020-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습기
KR101679574B1 (ko) * 2015-02-09 2016-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CN107062443A (zh) * 2016-12-28 2017-08-18 冯新华 双级除湿型调温除湿机
CN209310152U (zh) * 2018-12-05 2019-08-27 广东美的环境电器制造有限公司 加湿滤网结构和净化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38322A (ja) * 1985-04-17 1986-10-23 Toyo Tekko Kk 除湿装置
AU581825B1 (en) * 1987-08-28 1989-03-02 Union Industry Co., Ltd Adsorption refrigeration system
US4982575A (en) * 1988-02-05 1991-01-08 Besik Ferdinand K Apparatus and a method for ultra high energy efficient dehumidification and cooling of air
US5535817A (en) * 1989-07-28 1996-07-16 Uop Sorption cooling process and apparatus
JPH0391660A (ja) * 1989-09-04 1991-04-17 Nishiyodo Kuuchiyouki Kk 吸着式蓄熱装置及び該装置を利用した吸着式蓄熱システム
US5388637A (en) * 1992-10-02 1995-02-14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Activated carbon absorbent with integral heat transfer device
ATE160509T1 (de) * 1992-12-23 1997-12-15 Vupiesse Italia Sas Gürtel mit einer stütze zur einstellung von elektroden
JPH07755A (ja) * 1993-06-17 1995-01-06 Sanden Corp 除湿空調機
DE4405669A1 (de) * 1994-02-23 1995-08-24 Zeolith Tech Adsorptionsmittelbeschichtung auf Metal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JPH07265649A (ja) * 1994-03-31 1995-10-17 Kobe Steel Ltd 乾式除湿装置
DE4419596C1 (de) * 1994-06-03 1995-06-01 Gerstel Gmbh Thermodesorptionseinrichtung für einen Gaschromatographen
GB9412310D0 (en) * 1994-06-20 1994-08-10 Boc Group Plc Recovery of substances from exhaust streams
GB9419202D0 (en) * 1994-09-23 1994-11-09 Univ Warwick Thermal compressive device
JPH08189667A (ja) * 1995-01-06 1996-07-23 Hitachi Ltd 除加湿装置
JPH09210367A (ja) * 1996-02-02 1997-08-12 Sharp Corp 調湿装置付き調理装置及びその調湿方法
US5837039A (en) * 1996-04-17 1998-11-17 Stanhope Products Company Adsorbent packet for air conditioning accumulators
US6152990A (en) * 1999-02-04 2000-11-28 Engelhard Corporation Device for removing and retaining volatile compounds and method of employing the same
US6264905B1 (en) * 1999-10-12 2001-07-24 Hera,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ammonia slip” in SCR and/or SNCR NOX removal applications
JP2001201106A (ja) * 2000-01-18 2001-07-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
US6468334B2 (en) * 2001-01-02 2002-10-22 Multisorb Technologies, Inc. Elongated absorbent unit with external fluid communication channels
JP3692977B2 (ja) * 2001-07-19 2005-09-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96549B2 (ja) 2004-12-02
AU2004219772A1 (en) 2004-09-23
JP2004294048A (ja) 2004-10-21
EP1621822A4 (en) 2008-04-23
WO2004081460A1 (ja) 2004-09-23
US20060196195A1 (en) 2006-09-07
KR100700404B1 (ko) 2007-03-28
AU2004219772B2 (en) 2007-06-07
EP1621822A1 (en)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0404B1 (ko) 조습 장치
KR100742074B1 (ko) 조습장치
KR100708289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790258B1 (ko) 공기조화장치
KR100855446B1 (ko) 열교환기
JP3891207B2 (ja) 調湿装置
KR100708290B1 (ko) 조습장치
KR100645292B1 (ko) 조습장치
JP2006078108A (ja) 調湿装置
KR100708628B1 (ko) 조습장치
JP3807409B2 (ja) 調湿装置
JP4225181B2 (ja) 調湿装置
WO2006103968A1 (ja) 調湿装置
JP2006346659A (ja) 調湿装置
JP2006078171A (ja) 調湿装置
JP4273818B2 (ja) 調湿装置
JP2006349326A (ja) 調湿装置
JP4529530B2 (ja) 調湿装置
JP4569150B2 (ja) 調湿装置
JP4273829B2 (ja) 調湿装置
JP2005291596A (ja) 調湿装置
JP2006078100A (ja) 調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