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2135A - 엘리베이터 케이블 인장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케이블 인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2135A
KR20050072135A KR1020057007887A KR20057007887A KR20050072135A KR 20050072135 A KR20050072135 A KR 20050072135A KR 1020057007887 A KR1020057007887 A KR 1020057007887A KR 20057007887 A KR20057007887 A KR 20057007887A KR 20050072135 A KR20050072135 A KR 200500721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rope
hoisting
car
elevator c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7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3336B1 (ko
Inventor
에스코 어란코
조르마 무스탈라흐티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431539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50072135(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Priority claimed from FI20021959A external-priority patent/FI20021959A/fi
Priority claimed from FI20030153A external-priority patent/FI119237B/fi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50072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3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33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7Roping for counterweightless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065Roping
    • B66B11/008Roping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23Mounting means therefor
    • B66B7/027Mounting means therefor for mounting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10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for equalising rope or cable t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9/00Mining-hoist operation
    • B66B19/007Mining-hoist operation method for modernisation of elev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87/00Elevator, industrial lift truck, or stationary lift for vehicle
    • Y10S187/90Temporary construction elevator for bui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Jib Cran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pes Or Cabl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나 그 균등물에 이전 엘리베이터 대신에 설치된다.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는 단일 로프나 수개의 평행 로프로 이루어지는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서스펜스된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트랙션 시브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시브는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킨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상하로 이동하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아래쪽로 내려가는 상기 로프부는 제 2 로프 인장력(T2)보다 큰 제 1 로프 인장력(T1) 하에 있고,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상기 로프부의 로프 인장부이고, 그리고 엘리베이터는 이전 엘리베이터를 개조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샤프트나 그에 동등한 곳에 장착된 이전 엘리베이터 대신에 만들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케이블 인장 장치{ELEVATOR CABLE TENSIONING DEVICE}
엘리베이터를 개량하기 위한 작업 목적중 하나는 빌딩 공간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유용성을 달성하는 것이다. 최근 수년동안에, 상기 개량 작업은 다른 작업들 중에서 기계실이 없는 여러 엘리베이터 해결책으로 이루어졌다. 기계실이 없는 바람직한 엘리베이터의 실시예는 유럽특허공개공보 EP 0 631 967(A1) 및 EP 0 631 968 의 명세서에 개시되었다. 이들 명세서에 개시된 엘리베이터는 분명하게 공간 사용의 면에서는 효율적이면서 이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를 확장할 필요가 없는 빌딩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기계실에 의해 필요한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들 명세서에 개시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기계는 적어도 한 방향으로는 콤팩트하나, 다른 방향으로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기계보다 치수가 더 크게된다.
이들 기본적으로 바람직한 엘리베이터의 해결책으로, 호이스팅 기기에 의해 필요한 공간은 엘리베이터 레이아웃 해결책중 선택의 자유를 제한한다. 호이스팅 로프의 통로에 필요한 장치는 공간을 필요로 한다. 엘리베이터 카의 트랙에서 엘리베이터 카 자체에 의해 필요한 공간과 평형추에 의하여 필요한 상기와 같은 공간은 엘리베이터의 우수한 작동과 성능에 손실없이 적어도 상당량의 비용면에서 감소되기 어렵다. 기계실이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특히 상기 기계실에 의한 해결책으로서, 대게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호이스팅 기기를 장착시키는 것은 어려운데 이는 상기 호이스팅 기기가 상당한 무게의 큰 몸체이기 때문이다. 특히 하중이 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 속도 및/또는 호이스팅 높이, 기기의 크기와 무게는 설치시 고려할 문제로서, 필요한 기계의 크기와 무게는 실제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념의 적용범위나 보다 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개념에 대한 채택범위에 매우 제한적이다. 엘리베이터 현대화를 위하여, 종종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이용가능한 공간은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의 개념 분야에 제한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여러 경우에 있어서, 특히 유압식 엘리베이터가 현대식으로 되거나 교체될 때, 특히 현대화되거나 교체될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해결책으로 평형추가 없는 경우에, 샤프트에서 불충분한 공간 때문에 기계실이 없는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대한 개념을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없다. 평형추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의 단점은 평형추의 비용과 샤프트에서 요구하는 공간이다. 요즘 거의 사용되지 않는 드럼 엘리베이터는 높은 파워/토오크를 갖춘 무겁고 복잡한 호이스팅 기기를 필요로 한다는 단점이 있다. 평형추가 없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해결책은 적합한 해결책은 공지되지 않은 새로운 것이다. 예전에, 기술적이거나 경제적으로 합당한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를 만들 수 없었다. 이러한 타입의 하나의 해결책은 WO 9806655의 명세서에 개시되었다. 최근의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의 해결책은 실행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한다. 평형추가 없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해결책으로, 호이스트 로프의 인장은 웨이트나 스프링을 사용하여 실행되나, 이것은 호이스팅 로프의 인장을 실행시키는 바람직한 접근법은 아니다.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의 해결책에 의한 다른 문제점은 예를 들면 큰 서스펜션 비를 필요로 하는 높은 호이스팅 높이나 큰 로프 길이 때문에 긴 로프가 사용되어질 때 상기 로프의 신장에 대한 보상이 문제이고, 그리고 로프의 신장 때문에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마찰이 엘리베이터의 작동에 불충분하다는 사실에 있다. 유압식 엘리베이터, 보다 상세하게는 리프팅력이 아래에 적용되는 유압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샤프트 효율 다시 말하면 엘리베이터 카에 의해 점유된 샤프트 단면적 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총 단면적의 비는 아주 높다. 상기 사항은 빌딩에 대한 엘리베이터 해결책으로서 유압식 엘리베이터를 선택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다른 한편으로,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리프팅 기구와 오일 소비와 관련해 많은 결점이 있다.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고, 엘리베이터 장치로부터 오일 누출은 환경 오염의 가능성이 있고, 주기적인 오일 교환은 많은 비용 발생을 요구하고, 양호한 수리상태에서도 엘리베이터 설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나 기계실로 소량의 오일이 새어나가고 더욱이 거기서부터 빌딩의 다른 부분이나 주위등으로 새어나감에 따라 불쾌한 냄새도 난다.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샤프트의 효율성 때문에, 다른 타입의 엘리베이터로 교체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현대화는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단점을 없애는 한편 보다 작은 엘리베이터 카를 사용하는 것은 엘리베이터의 소유주에게 반드시 흥미로운 해결책은 아니다. 또한,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멀리 떨어진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작은 기기 공간은 엘리베이터의 타입을 변경시키기 어렵게 만든다.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가 매우 많이 설치되고 사용된다. 이러한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당한 때에 만들어지는 것처럼 적당한 때에 고려되고 빌딩 사용상 문제도 고려된다. 이후, 사용자의 필요성과 빌딩의 사용 양자는 많은 경우에 변경되고, 오래된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는 카의 크기나 그 밖의 상황에 대해서는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들어, 더 오래되고 상대적으로 소형의 엘리베이터는 유모차나 휠체어의 운송에 반드시 적합한 것은 아니었다. 다른 한편으로, 사무실을 사용하거나 다른 사용을 위해 거주자가 바뀌는 보다 오래된 빌딩에 있어서, 제때 설치된 보다 작은 엘리베이터는 용량면에서 더이상 충분하지 않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와 평형추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단면적을 이미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그리고 상기 카를 크게할 합당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이러한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크게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다른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제 3의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제 4의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다른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다른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다른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다른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다른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으로 대체된 해결책을 나타낸 보다 빠른 엘리베이터 레이아웃의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의 목적중 적어도 하나를 달성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전보다 빌딩 및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의 보다 효율적으로 공간을 사용하기 위하여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를 보다 개량하는 것이다. 이것은 필요하다면 상당히 좁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엘리베이터가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야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호이스팅 로프가 트랙션 시브에서 양호한 그립/접촉을 하는 엘리베이터를 달성하는 것이 한 목적이다. 게다가 엘리베이터의 도구없이 즉 평형추없이 엘리베이터의 해결책을 달성하는 것이 다른 목적이다. 로프 신장에 대한 역효과를 제거하는 것이 또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엘리베이터 카의 크기를 감소시키지 않거나 적어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지 않는 로프 구동식 엘리베이터와 같은 유압식 엘리베이터를 교체하거나 개조하기 위한 방법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로프 구동식 엘리베이터가 명확하게 보다 큰 카를 갖춘 엘리베이터로 현대화되거나 이전보다 더 큰 카를 갖춘 엘리베이터로 교체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본적인 엘리베이터 레이아웃의 변경함이 없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청구범위 제 1 항의 특징부에 개시된 것에 의해서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제 15 항의 특징부에 개시된 것에 의하여 특징지워진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른 청구범위에 개시된 것에 의하여 특징지워진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출원의 상세한 설명부분에 기재되었다. 또한 본 출원의 내용은 하기 청구범위와 보다 다르게 한정되었다. 또한 본 발명이 함축된 어구 또는 부수적인 일이나 유리한 측면이나 달성될 장점으로부터 고려되어질 때 또한 본 발명의 내용은 여러개의 발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하기의 청구범위에 포함된 여러 특징은 별도의 본 발명의 개념에서 보면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전 엘리베이터 대신에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주요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장치나, 이전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시스템의 개조를 위해 설계된 장치, 호이스팅 작동에 필요한 전환 풀리, 로프 및 기기를 포함하는 장치와 이들을 설치하기 위한 부속품, 및 가능한한 엘리베이터 카와 가이드 레일은 적어도 호이스팅 기능에 대해 엘리베이터를 교체하거나 변경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내이면서 본 출원과 일치하게 된다.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여러 장점중 하나 이상의 장점이 달성될 수 있는데, 그 장점은 다음과 같다.
- 작은 트랙션 시브 때문에, 상당히 컴팩트한 크기의 엘리베이터 기기 및/또는 엘리베이터가 달성된다.
- 특히 이중 랩 로핑을 사용하여 달성된 양호한 트랙션 시브 그립과 경량의 구성요소는 엘리베이터 카의 무게가 상당히 감소되게 한다.
- 컴팩트한 기기 크기와 얇은 실질적으로 라운드의 로프는 엘리베이터 기기가 샤프트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해결책은 위쪽에 기기를 갖춘 엘리베이터와 아래에 기기를 갖춘 엘리베이터 양자의 경우에 있어서 상당히 폭넓은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된다.
- 엘리베이터 기기는 상기 카와 샤프트 벽 사이에 유리하게 배치될 수 있다.
- 엘리베이터 카의 총 무게 또는 적어도 무게의 일부분이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지탱된다.
- 본 발명에서 샤프트의 단면적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크기를 줄이지 않으면서 로프 구동식 엘리베이터로 현대화되거나 로프 구동식 엘리베이터로 동일 샤프트내에 재배치되거나, 또는 오래된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는 보다 큰 엘리베이터로 교체되거나 현대화될 수 있다.
- 경량, 얇은 로프는 조정하기가 쉽고, 상당히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다.
- 예를 들면, 1000kg 이하의 공칭 하중용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비록 더 얇고 더 두꺼운 로프가 또한 사용될지라도, 본 발명의 얇고 강한 스틸 와이어 로프의 직경은 대략 3-5mm이다.
- 대략 6mm 또는 8mm의 로프 직경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당히 대형이고 고속의 엘리베이터가 달성된다.
- 코팅되거나 또는 코팅되지 않은 로프가 사용될 수 있다.
- 소형의 트랙션 시브의 사용은 보다 작은 엘리베이터 구동 모터를 사용할 수 있게 하는데, 이것은 구동 모터의 구입/제조 비용의 감소를 의미한다.
- 본 발명은 무기어식 및 기어식 엘리베이터 모터 해결책으로 사용될 수 있다.
- 비록 본 발명이 기본적으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에 사용하기 위한 것일지라도, 본 발명은 또한 기계실이 있는 엘리베이터에도 사용될 수 있다.
- 본 발명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와 트랙션 시브 사이의 보다 양호한 그립과 보다 양호한 접촉은 이들 사이의 접촉각을 증가시킴으로써 달성된다.
- 향상된 그립 때문에, 상기 카의 크기와 무게는 감소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잠재적인 공간 절약은 평형추에 의해 필요한 공간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것처럼 상당히 증가된다.
- 보다 경량의 보다 소형의 엘리베이터 시스템, 에너지 절약 및 동시에 비용 절감의 결과가 달성된다.
- 평형추와 평형추 가이드 레일과 로핑에 의해 필요한 공간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사용될 수 있으므로 샤프트에서의 기기의 배치는 상대적으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 적어도 호이스팅 기기를 장착함으로써, 트랙션 시브와 로프 시브가 모든 부분을 다 갖춘 유닛에서 전환 풀리로 작동하고, 상기 유닛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일부분으로 설치되어, 설치시 상당한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해결책에 있어서, 샤프트내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한측에 모든 로프를 배치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륙색(rucksack) 타입의 해결책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뒤벽 사이의 공간중 엘리베이터 카 뒤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 본 발명은 시닉(scenic) 타입의 엘리베이터 해결책으로 또한 쉽게 실행될 수 있다.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해결책은 평형추를 포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가 여러 벽면에, 극단적인 경우로 엘리베이터 카의 모든 벽면에 도어를 갖추고 있는 엘리베이터 해결책을 실행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카 가이드 레일은 엘리베이터 카의 코너에 배치된다.
-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해결책은 수개의 상이한 기기의 해결책으로 실행될 수 있다.
- 카의 서스펜션은 거의 임의의 적합한 서스펜션 비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 본 발명에 따른 보상 시스템에 의한 로프 신장의 보상은 저렴하고 간단한 구조물로써 실행된다.
- 레버에 의한 로프 신장의 보상 장치는 저렴한 경량의 구조물이다.
- 본 발명의 로프 신장 보상 장치의 해결책을 사용하여, 트랙션 시브에 작용하는 힘(T1/T2) 사이의 일정 비가 달성될 수 있다.
- 트랙션 시브에 작용하는 힘(T1/T2) 사이의 일정 비가 하중에 독립적이다.
- 본 발명의 로프 신장 보상 시스템을 사용하여, 기기와 로프에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피할 수 있다.
- 본 발명의 로프 신장 보상 해결책을 사용함으로써, 힘(T1/T2) 사이의 관계는 소정의 값을 달성하도록 최적화될 수 있다.
- 로프 신장을 보상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책은 모든 경우에 있어서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에서 필요한 마찰/접촉을 보장할 수 있게 하는 안전한 해결책이다.
- 게다가, 본 발명의 로프 신장 보상 장치는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마찰을 보장하기 위하여 필요이상의 하중만큼 호이스팅 로프에 스트레스할 필요가 없게 한다.
- 로프 신장이 상이한 직경의 보상 시브로써 로프 신장을 보상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보상될 때, 사용된 풀리 직경에 따라 매우 큰 로프의 신장 조차도 보상되도록 상기 해결책을 사용할 수 있다.
- 사용된 보상 장치가 차동 기어인 본 발명에 따른 로프 신장 보상 해결책을 사용함으로써, 큰 로프 신장조차도, 특히 높은 호이스팅 높이의 경우에 있어서도 보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적용 분야는 사람 및/또는 화물의 운송용으로 설계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형적인 적용 분야는 엘리베이터 속도 범위가 대략 1.0m/s이거나 또는 그보다 작거나 그러나 더 클 수도 있는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0.6m/s의 이송 속도의 엘리베이터는 본 발명에 따르면 실행되기 쉽다.
승객 및 화물 엘리베이터의 두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을 통해 달성된 여러 장점은 이미 명백히 6-8명(500-630kg)용 엘리베이터에서 그리고 명백히 오직 2-4명용 엘리베이터에서 조차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리베이터, 예를 들면 유압식 엘리베이터나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가 현대화되거나 교체될 때, 현재의 엘리베이터가 부분적 또는 완전히 제거되어 새로운 엘리베이터가 형성되고, 이때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카에서 위쪽으로 올라가고 엘리베이터 카에서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로프부를 포함하는 연속의 호이스팅 로프부 세트에 현수된다. 설치될 새로운 엘리베이터는 바람직하게 평형추가 없이 완전하게 실행될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다. 오래된 호이스팅 작동부는 항상 바람직하게 물리적으로 제거된 서비스로부터 제거되는데, 이것은 예를 들면 유압식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유압식 실린더와 유압식 기기가 엘리베이터로부터 제거되거나,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오래된 호이스팅 로프, 호이스팅 기기와 평형추가 제거되는 것을 의미한다. 동일한 엘리베이터 카나 크게된 또는 새로운 엘리베이터 카가 새로운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에 서스펜스되고, 상기 호이스팅 로프는 오래된 호이스팅 작동부가 제거되는 경우에 설치될 수 있거나 별도의 설치 작동이 제거되는 경우에 설치될 수 있다. 아래쪽으로부터 상승된 유압식 엘리베이터 또는 대응하는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의 크기를 감소시킴이 없이 로프식 엘리베이터로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다. 소위 로프식 유압식 엘리베이터가 교체되거나 현대화될 때, 본 발명은 약간 보다 큰 엘리베이터 카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카의 한측에 위치된 유압식 실린더 대신에, 호이스팅 로프용 공간만이 필요하다.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가 현대화되거나 교체될 때, 이미 본 발명은 분명하게 보다 큰 엘리베이터 카가 사용되게 하기 때문에, 평형추와 평형추 가이드 레일에 필요한 샤프트 폭의 부분은 측벽이나 뒤벽쪽 중에서 보다 큰 엘리베이터 카를 수용하여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6명용 엘리베이터는 8명용 엘리베이터로 교체될 수 있거나, 또는 8명용 엘리베이터는 10명용 엘리베이터로 교체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최적의 적용 범위가 거주용 및 오피스 빌딩에 사용되는 종래의 엘리베이터, 즉 대략 1000kg이나 그 이하의 공칭 하중으로 설계된 엘리베이터일지라도, 본 발명은 또한 보다 큰 엘리베이터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개조나 "완전 교체"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또는 그에 동등한 것에, 예를 들면 배치를 고려해 엘리베이터 범위를 정하기 전에 빌딩면에 위치된 기본적인 개방 공간에 설치된 엘리베이터를 교체하거나 현대화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현대화는 첫째로 호이스팅 작동부를 현대화시키는 것이고 둘째로 카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현대화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이유나 여러 다른 이유중 하나 또는 양자로 이루어진다. 엘리베이터가 교체될 때, 일반적으로 카와 호이스팅 작동부는 교체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규모가 큰 현대화나 거의 오래된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완전 교체는 경제적인 요인때문에 여러 경우에 있어서 상호 선택적이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틸 와이어 로프와 같은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호이스팅 로프가 적용가능하다. 상기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인조 재료로 만들어진 로프와 하중 베어링부가 최근 엘리베이터에 사용되도록 제안된 소위 "아라미드(aramid) 로프"와 같은 인조 섬유로 만들어진 로프를 사용할 수 있다. 적용가능한 해결책이 또한 스틸 강화된 플랫 로프를 포함하기 때문에, 특히 이들 해결책은 작은 편향 반경을 허용한다. 예를 들어 라운드의 강한 와이어로부터 트위스트된 엘리베이터 호이스팅 로프가 특히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더욱 적용가능하다. 라운드 와이어로부터, 상기 로프는 상이한 또는 동일한 두께의 와이어를 사용하여 여러 방법으로 트위스트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보다 잘 적용가능한 로프에 있어서, 와이어 두께는 평균 0.4mm 이하이다. 강한 와이어로부터 만들어진 잘 적용가능한 로프는 평균 와이어 두께가 0.3mm 이하이거나 0.2mm 이하이다. 예를 들면, 얇은 와이어된 강한 4mm의 로프는 와이어로부터 상대적으로 경제적으로 트위스트되어 완성된 로프의 평균 와이어 두께는 0.15 ... 0.25 mm의 범위내에 있는 경우, 가장 얇은 와이어는 대략 0.1mm 만큼 작은 두께를 갖는다. 얇은 로프 와이어는 매우 강하게 용이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대략 2000N/㎟ 보다 큰 강도를 갖춘 로프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로프 와이어 강도 범위는 2300-2700N/㎟ 이다. 실제로, 대략 3000N/㎟ 또는 그 이상에 이르는 강도를 갖춘 로프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가 단일 로프나 다수의 평행 로프로 이루어지는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서스펜스되고, 상기 엘리베이터가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트랙션 시브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에서 상하로 이동하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위쪽으로 올라가는 로프부는 제 2 로프 인장력(T2)보다 더 큰 제 1 로프 인장력(T1) 하에 있고, 상기 인장력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아래쪽으로 나아가는 로프부의 로프 인장력이다. 게다가, 엘리베이터는 제 1 로프 인장력과 실질적으로 일정한 제 2 로프 인장력 사이의 비(T1/T2)를 유지하는 보상 시스템을 포함한다.
엘리베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카를 호이스트하는데 사용된 엘리베이터 로핑에 연결되고, 상기 로핑은 단일 로프나 복수의 평행 로프로 이루어지고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상하로 이동하는 로프부를 포함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 로핑은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실질적으로 일정한 로프력 사이의 비(T1/T2)를 유지하기 위한 보상 시스템으로 구비된다.
전환 풀리로 작용하는 로프 시브에 의하여 접촉각을 증가시킴으로써,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그립은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카는 보다 경량으로 만들어지고 그 크기는 감소될 수 있어, 엘리베이터의 잠재적인 공간 절약을 증가시킬 수 있다.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180°를 넘는 접촉각은 하나이상의 전환 풀리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마찰 필요성 때문에 로프 신장을 보상할 필요성이 생겨나게 되고, 엘리베어터의 작동과 안전성을 위해 충분한 그립은 호이스팅 로프와 트랙션 시브 사이에 있도록 보장한다. 다른 한편으로,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 해결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으로의 로프부가 충분히 타이트하게 유지되는게 엘리베이터의 작동과 안전에 대하여 필수적이다. 이것은 스프링이나 간단한 레버를 사용하여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구동기(4)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있고,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가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평형추가 없고 상기 구동기가 있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다.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로프(3) 통로에서, 로프의 한단부가 엘리베이터 카(1)에 고정된 레버(15)의 고정점(16)에 이동되지 않게 고정되고, 상기 고정점은 피벗부(17)으로부터 레버를 엘리베이터 카(1)에 연결한 거리(a)에 위치된다. 도 1에 있어서, 상기 레버(15)는 엘리베이터 카(1) 피벗부(17)에 피벗된다. 호이스팅 로프(3)는 고정점(16)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 위쪽의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에 배치된 구동 풀리(14) 위쪽에서 주행하고, 상기 로프(3)는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13) 쪽으로 아래쪽으로 더욱 내려가고, 상기 로프는 상기 전환 풀리(13)로부터 상기 카의 샤프트의 상부에 설치된 전환 풀리(12) 쪽으로 다시 위쪽으로 올라간다. 상기 로프는 구동 풀리(12)로부터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전환 풀리(11) 쪽으로 더욱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상기 로프가 상기 풀리 주위를 통과하면, 상기 로프는 샤프트 상부에 설치된 전환 풀리(10) 쪽으로 다시 올라가고, 상기 풀리 주위를 통과하면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전환 풀리(9) 쪽으로 다시 아래쪽으로 내려간다. 호이스팅 로프(3)가 전환 풀리(9) 주위를 감은 후에, 상기 호이스팅 로프(3)는 엘리베이터 샤프트 상부에 놓여진 구동기(4)의 트랙션 시브쪽으로 더 위쪽으로 가게되고, 상기 로프에 접선방향으로 접한 상태로 전환 풀리(7)를 통하여 사전에 통과된다. 이것은 전환 풀리(7)에 의하여 야기된 로프(3)의 치우침이 매우 작을 경우에 트랙션 시브(5)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에 이르는 상기 로프(3)가 전환 풀리(7)의 로프 홈을 통과하는 것을 의미한다. 트랙션 시브(5)를 지나가는 로프(3)만 구동 풀리(7)에 "접선방향으로" 도달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접선방향 접촉"은 아웃고잉 로프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해결책으로 사용되고 또한 로프 해결책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로프는 트랙션 시브(5)의 로프 홈을 따라서 호이스팅 기(4)의 트랙션 시브(5) 주위를 통과한다. 로프(3)는 트랙션 시브(5)로부터 전환 풀리(7)쪽으로 아래쪽으로 더 지나가고, 전환 풀리(7)의 로프 홈을 따라서 상기 풀리 주위를 통과하고 트랙션 시브(5)에 이르기까지 뒤로 되돌아가고, 상기 로프는 트랙션 시브의 로프 홈을 따라 위로 통과한다. 호이스팅 로프(3)는 가이드 레일(2)을 따라서 이동하고 엘리베이터 카(1) 옆을 통과하는 전환 풀리(7)와 "접선 접촉"하고, 트랙션 시브(5)로부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배치된 전환 풀리(8) 쪽으로 아래쪽으로 더욱 내려가고, 상기 풀리 위의 로프 홈을 따라서 상기 풀리 주위를 통과한다. 상기 로프는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있는 전환 풀리(8)로부터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18) 쪽으로 위로 지나가고, 상기 로프(3)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있는 전환 풀리(19) 쪽으로 더 나아가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20)에 이르도록 뒤로 더 나아가고, 상기 로프(3)는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있는 전환 풀리(21)에 이르도록 더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이들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22)쪽으로 더 이동하고, 상기 로프(3)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있는 전환 풀리(23)쪽으로 더 나아간다. 상기 로프(3)는 전환 풀리(23)로부터 엘리베이터 카(1)에 피벗가능하게 고정된 레버(15)쪽으로 더 나아가고, 지점(17) 즉 로프(3)의 일단부는 피벗부(17)로부터 거리(b)만큼 떨어진 상기 레버(15)의 지점(24)에 이동불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1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호이스팅 기 및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카의 일단부와 동일측에 모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해결책은 배낭타입의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고, 이러한 경우에 상기 언급한 구성요소는 엘리베이터 카 뒤쪽, 엘리베이터와 샤프트의 뒤벽 사이 공간에 배치된다. 또한 호이스팅 기와 전환 풀리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있는 다른 적당한 통로에 레이아웃된다. 트랙션 시브(5)와 전환 풀리(7) 사이의 로프는 이중 랩 로핑을 참조하여 배치되고, 여기서 상기 호이스팅 로프는 2번이상 트랙션 시브 주위를 둘러싼다. 이와 같이, 2스테이지 이상 접촉각이 증가한다. 예를 들면, 도 1의 실시예에 있어서, 트랙션 시브(5)와 호이스팅 로프(3) 사이의 접촉각은 180°+ 180°, 즉 360°이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이중 랩 로핑은 다른 방식, 예를 들면 전환 풀리(7)를 트랙션 시브(5)의 한측에 설치하거나 트랙션 시브를 다른 어떤 적당한 위치에 설치시킴으로써 배치되고, 이러한 경우에, 호이스팅 로프는 트랙션 시브 주위를 2번 통과하여, 180°+ 90°, 즉 270°의 접촉각이 얻어진다. 전환 풀리(7)가 호이스팅 로프(3)의 가이드로서 그리고 댐핑 풀리로서 작동하는 방식으로 트랙션 시브(5)와 전환 풀리(7)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해결책이다. 다른 유리한 해결책은 트랙션 시브를 갖춘 엘리베이터 구동기와 트랙션 시브에 대해 정확한 작동각에 있는 베어링을 갖춘 하나 이상의 전환 풀리, 양자를 구비한 완전한 유닛을 만드는 것이다. 작동각은 트랙션 시브와 전환 풀리 사이에 사용된 로핑에 의하여 결정되고, 트랙션 시브와 전환 풀리 사이에서 서로에 대한 상호 위치와 각도가 유닛이 설치된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유닛은 구동기처럼 동일한 통로에 단일 집합체로서 제 위치에 장착된다. 바람직한 경우로, 구동기(4)는 예를 들면, 카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고, 샤프트의 상부 부분에 있는 전환 풀리(7, 10, 12, 14)는 샤프트의 상부 부분에 있는 빔에 장착되고, 카 가이드 레일(2)에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9, 11, 13, 18, 20, 22)는 카의 상부와 하부 부분에 배치된 빔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또한 이들은 예를 들어 동일 빔에 모든 전환 풀리를 장착함으로써 다른 통로에 있는 카에 체결될 수 있다.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있는 전환 풀리(8, 19, 21, 23)는 샤프트 플로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있어서, 트랙션 시브는 전환 풀리(8)와 전환 풀리(9) 사이 부분에서 로프를 결합하는데, 이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해결책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해결책으로서, 엘리베이터 카(1)는 호이스팅 로프가 림으로부터 전환 풀리의 양측으로부터 상향으로 올라가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에 의하여 그리고 호이스팅 로프가 림으로부터 전환 풀리의 양측으로부터 하향으로 내려가는 적어도 하나의 전환 풀리에 의하여 호이스팅 로프(3)에 연결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트랙션 시브(5)는 상기 전환 풀리 사이의 호이스팅 로프(3)의 부분과 결합한다. 또한 트랙션 시브(5)와 전환 풀리(7) 사이의 로핑은 이중 랩 로핑이 아닌 다른 방식, 즉 예를 들면 전환 풀리(7)를 전혀 필요로 하지 않는 단일 랩 로핑, ESW 로핑(연장식 단일 랩), XW 로핑(X 랩) 또는 여러 다른 적당한 로핑 해결책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설치된 구동기(4)는 바람직하게 플랫 형상이고, 달리 표현하면, 상기 기기는 폭 및/또는 높이와 비교하면 작은 두께의 치수를 갖거나, 최소한 상기 기기는 엘리베이터 카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벽 사이에 충분히 수용되도록 얇다. 상기 기기는 상이하게, 예를 들면 상기 얇은 기기를 엘리베이터 카의 가상의 연장선과 샤프트 벽과의 사이에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설치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구동기가 공간에 맞춰지는 설계와 임의 타입의 구동기(4)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기어식이나 무기어식 기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기는 컴팩트 및/또는 플랫한 사이즈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스펜션 해결책으로서, 로프 속도는 가끔 엘리베이터의 속도보다 빨라서, 정교하지 않은 타입의 기기를 기본적인 장치 해결책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샤프트는 장점적으로 엘리베이터 제어에 필요한 장치 뿐만 아니라 모터 구동 트랙션 시브(5)에 동력을 공급하는데 필요한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두 장치는 공용 기기 패널(6)에 배치되거나 서로 분리되어 장착되거나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구동기(4)와 결합될 수 있다. 해결책으로서, 무기어식 기기가 영구 자석 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동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천장에, 가이드 레일에 또는 빔이나 프레임같은 임의의 다른 구조물에 고정될 수 있다. 아래쪽에 기기를 갖춘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바닥부에 기기를 장착할 수 있다는 또다른 가능성이 있다. 도 1은 바람직한 서스펜션 해결책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 위의 전환 풀리와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전환 풀리의 서스펜션 비는 양 경우에 있어서 7:1의 서스펜션 비와 같다. 실제로 상기 비를 살펴보면,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이송된 거리대 엘리베이터 카에 의하여 이송된 거리 비를 의미한다. 엘리베이터 카(1) 위의 서스펜션 장치는 전환 풀리(14, 13, 12, 11, 10, 9)에 의하여 작동되고 엘리베이터 카(1) 아래쪽의 서스펜션 장치는 전환 풀리(23, 22, 21, 20, 19, 18, 8)에 의하여 작동된다. 또한 다른 서스펜션 해결책이 본 발명의 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해결책으로써 기계실을 포함하여 작동되거나, 또는 상기 기기는 상기 엘리베이터와 함께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에 연결된 전환 풀리는 하나의 동일 빔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빔은 상기 카의 상부에, 상기 카의 한측에 또는 상기 카의 아래쪽에, 상기 카 프레임에 또는 상기 카 구조물의 적당한 여러 다른 곳에 설치된다. 전환 풀리는 카의 적당한 곳과 샤프트에 개별적으로 각각 한개가 설치된다.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부분에서 엘리베이터 카 위에 설치된 전환 풀리 및/또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서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에 설치된 전환 풀리는 예를 들면 빔과 같은 공통 앵커리지에 설치된다.
도 1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피벗되는 점(17)에서 레버(15) 기능은 호이스팅 로프(3)에서 발생하는 로프 연신율을 제거하는 것이다. 다른 한편으로, 엘리베이터의 작동과 안정성에 필수적으로 충분한 인장력이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 부분으로 간주되는 하부 로프 부분에 유지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레버 장치(15)에 의하여, 호이스팅 로프의 인장과 로프 신장에 대한 보상은 종래 기술의 스프링이나 웨이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레버 장치(15)에 의하여, 트랙션 시브(5)의 상이한 방향으로 작용하는 로프력(T1) 및 로프력(T2)과의 비(T1/T2)가 소정의 상수값, 예를 들면 2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로프 인장을 실시할 수 있다. 로프력과 관련해서, 또한 사람들은 로프 인장력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상수비는 T1/T2=b/a 이기 때문에 거리(a 및 b)를 변경시킴으로써 변경된다. 홀수의 서스펜션 비가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에 사용될 때, 레버(15)는 엘리베이터 카에 피벗되고, 서스펜션의 비가 사용될 때 조차도 상기 레버(15)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피벗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조물을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엘리베이터는 구동기(204)가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내에 배치되고,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이다. 도면에 도시된 상기 엘리베이터는 위쪽에 기기를 구비하나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면서, 엘리베이터 카(201)는 가이드 레일(2)을 따라서 이동한다. 도 2의 호이스팅 로프(203)의 통로는 도 1의 로프와 유사하나, 도 2에서는 레버(215)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벽부의 한 점(217)에서 이동블가능하게 피벗된다. 상기 레버(215)가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카가 아닌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벽부에 피벗되어, 이것은 상기 엘리베이터 카(1) 위의 로프 부분과 상기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로프 부분의 양 경우가 서스펜션 비의 경우이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 위에서 서스펜션은 호이스팅기(204)와 전환 풀리(209, 210, 211, 212, 213, 214)를 포함한다. 상기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서스펜션은 전환 풀리(208, 218, 219, 229, 221, 222, 223)를 포함한다. 상기 호이스팅 로프의 한단부는 피벗부(217)으로부터 거리(a)만큼 이격된 지점(216)에서 레버(215)에 고정되는 한편, 다른 단부는 피벗부(217)로부터 거리(b)만큼 이격된 지점(224)에서 레버(215)에 고정된다. 엘리베이터 카 위의 로프 부분과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로프 부분 양 경우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 비는 6:1이다.
큰 서스펜션 비때문에,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에서 사용된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 길이는 크다. 예를 들면, 10:1의 서스펜션 비로써 서스펜스된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동일한 서스펜션 10:1의 비는 엘리베이터 카 상하의 양 경우에 사용되고, 그리고 엘리베이터는 25미터의 호이스팅 높이를 갖추고 있고,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 길이는 대략 270미터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로프의 변경된 응력 및/또는 온도의 결과로서, 로프의 길이는 대략 50cm만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로프 신장에 대한 보상 요구가 또한 커지게 된다. 엘리베이터의 작동과 안정성을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로프가 충분한 인장력 아래에서 유지되는게 필수적이다. 이것은 항상 스프링이나 간단한 레버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엘리베이터는 바람직하게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이면서, 구동기(304)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배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위쪽에 기기를 구비하면서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면서, 엘리베이터 카(301)가 가이드 레일(302)을 따라서 이동한다. 도 3에 있어서, 도 1 및 도 2에 사용된 레베에 의한 해결책은 2개의 시브 형상 몸체, 바람직하게는 서로 지점(314)에 연결된 시브(313, 315)로 대체되는데, 여기서 인장 시브(313, 315)는 엘리베이터 카(301)에 고정되게 체결된다. 시브형상의 몸체에서,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호이스팅 로프부를 결합하는 시브(315)는 엘리베이터 카 상부의 호이스팅 로프부를 결합하는 시브(313)의 직경보다 더 큰 직경부를 갖추고 있다. 인장 시브(313, 315)의 직경 사이의 직경비는 호이스팅 로프에 작용하는 인장력의 크기와 이에 따른 호이스팅 로프의 신장의 보상력의 크기를 결정한다. 이러한 해결책으로, 인장 시브의 사용하면 상기 구조물이 매우 큰 로프 신장을 보상한다는 장점이 있다. 인장 시브의 직경방향의 크기를 변경시킴으로써, 보상될 로프 신장의 크기와 트랙션 시브에 작용하는 로프력(T1 과 T2) 사이의 비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상기 비율은 상기 설치에 의하여 일정하게 된다. 큰 서스펜션 비 때문에 또는 높은 호이스팅 높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에 사용된 로프의 길이는 크다. 엘리베이터의 작동과 안정성을 위하여,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호이스팅 로프부가 충분한 인장력 아래에서 유지되고 보상될 로프의 신장의 크기가 커야됨은 필수적이다. 종종 이것은 스프링이나 간단한 레버를 사용하여 실시되는 것은 아니다. 엘리베이터 카 상하의 홀수의 서스펜션 비로써, 상기 인장 시브는 엘리베이터 카와 이동불가능하게 연결되어 설치되고, 서스펜션 비로써 상기 인장 시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나 또는 엘리베이터 카에 고정되지 않게 설치되는 임의의 다른 대응하는 위치에 이동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해결책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시브를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으나, 사용된 시브 형상의 몸체의 갯수는 다양하고, 예를 들어, 직경이 상이한 호이스팅 로프의 고정점에 설치된 위치에서 오직 하나의 시브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시브사이의 직경비가 인장 시브의 직경만을 변경시킴으로써 변경되도록 2개 이상의 인장 시브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는 다음과 같이 움직인다. 호이스팅 로프의 일단은 인장 시브(313)에 체결되고, 상기 시브는 시브(315)에 이동불가능하게 부착된다. 이러한 세트의 시브(313, 315)는 지점(314)에서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다. 시브(313)에서, 상기 호이스팅 로프(303)는 위로 올라가고 엘리베이터 카에서, 바람직하게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부분에서 엘리베이터 카 위에 배치된 전환 풀리(312)와 마주치고, 전환 풀리(312)에 제공된 로프 홈을 따라서 상기 풀리 주위를 지나간다. 이들 로프는 마찰 증가재에 의하여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이나 어떤 다른 적당한 재료에 의하여 코팅되거나 코팅되지 않을 수 있다. 풀리(312)에서,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의 전환 풀리(311)쪽으로 더욱 아래쪽로 이동하고, 상기 풀리 주위를 통과하고, 상기 로프는 샤프트의 상부 부분에 설치된 전환 풀리(310)쪽으로 더욱 위로 올라간다. 상기 전환 풀리(310) 주위를 지남으로써, 상기 로프는 다시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전환 풀리(309) 쪽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상기 풀리 주위를 지나가고, 상기 호이스팅 로프는 호이스팅기(304) 근처에 바람직하게 설치된 전환 풀리(307)쪽으로 더욱 위쪽으로 올라간다. 전환 풀리(307)와 트랙션 시브(304) 사이에서, 도면은 X랩 로핑을 도시하고, 상기 로핑에서 호이스팅 로프는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로프부는 전환 풀리(307)로부터 트랙션 시브(305)쪽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가고 상기 로프부는 트랙션 시브(305)로부터 전환 풀리(307)쪽으로 복귀한다. 호이스팅기와 함께 풀리(313, 312, 311, 310, 309)는 엘리베이터 카 위의 서스펜션 장치를 형성하고, 여기서 서스펜션 비는 엘리베이터 카 아래의 서스펜션 장치에서와 같은데, 상기 서스펜션 비는 도 3에서 5:1이다. 로프는 전환 풀리(307)로부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의 위치 예를 들면 카 가이드 레일(302)에서 또는 샤프트 플로어에서 또는 어떤 다른 적합한 곳에 바람직하게 설치된 전환 풀리(308)쪽으로 더욱 이동한다. 호이스팅 로프(303)가 전환 풀리(308) 주위를 지남으로서, 상기 로프는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316)쪽으로 더욱 위쪽으로 올라가고, 상기 풀리 주위를 통과한 이후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있는 전환 풀리(317)쪽으로 더욱 아래쪽로 내려가서, 상기 풀리를 지나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318)쪽으로 복귀한다. 호이스팅 로프(303)가 전환 풀리(318) 주위를 통과하여, 상기 로프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의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319)쪽으로 더욱 아래쪽로 내려가고, 상기 풀리 주위를 통과한 이후 엘리베이터 카의 위치에 설치되고 인장 시브(313)에 이동불가능하게 설치된 인장 시브(315)쪽으로 더욱 위로 올라간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의 구조물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엘리베이터는 구동기(404)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배치된,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이다. 도면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평형추가 없고 상기 기계실이 있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고, 엘리베이터 카(401)가 가이드 레일(402)을 따라서 이동한다. 도 4에서 호이스팅 로프(403)의 통로는 도 3의 통로와 대응하고 도 4의 통로와의 차이점은 인장 시브(413, 415)가 엘리베이터 샤프트, 바람직하게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바닥부의 위치에 설치된다는 것이다. 인장 시브(413, 415)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위치에 설치되나 엘리베이터 카에는 연결되지 않는데, 이것은 엘리베이터 카(1) 위의 로프 위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로프 위치의 양 경우에서의 서스펜션의 비의 경우이다. 도 4에 있어서, 상기 서스펜션 비는 4:1이다. 엘리베이터 카(401) 아래쪽의 호이스팅 로프(403)의 단부는 보다 큰 직경으로 인장 시브(415)에 고정되는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카 위의 상기 호이스팅 로프의 단부는 보다 작은 직경으로 인장 시브(413)에 고정된다. 상기 인장 시브(413, 415)는 함께 이동불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들은 장착편(420)을 통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체결된다. 엘리베이터 카 위의 서스펜션은 호이스팅기와 전환 풀리(412, 411, 410, 409, 407)를 포함한다.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서스펜션은 전환 풀리(408, 416, 417, 418, 419)를 포함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 시스템으로 사용된 한 세트의 인장 시브(415, 413)는 또한 풀리가 바람직하게 샤프트 플로어에 체결된 바닥부에서의 전환 풀리(419)나, 풀리가 바람직하게 상기 샤프트의 천장부에 체결되는 상기 샤프트의 상부에 있는 전환 풀리(412)중의 하나의 위치에 유리하게 장착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필요한 전환 풀리의 갯수는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보다 하나 더 적다. 따라서, 장점적인 경우로서, 또한 설치될 엘리베이터는 보다 쉽고 신속하게 작동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구조물을 도시한 도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엘리베이터는 기계실이 없고, 상기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배치된 구동기(504)를 구비한 엘리베이터이다. 도면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평형추가 없고 위쪽에 기기를 구비한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이고, 엘리베이터 카(501)는 가이드 레일(502)을 따라서 이동한다. 높은 호이스팅 높이를 갖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의 신장은 로프의 신장을 보상할 필요성이 있고, 임의의 허용된 제한된 값내에서 신뢰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세트의 로프력 보상 시브(524)를 사용하여, 로프의 신장에 대한 보상이 매우 큰 이동으로 이루어진다. 이것은 종종 간단한 레버나 스프링에 의한 해결책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큰 신장조차도 보상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보상 시브 장치는 트랙션 시브에 작용하는 로프력(T1 및 T2) 사이의 상수비(T1/T2)를 생성한다. 도 5에 도시된 경우에 있어서, 상기 비율(T1/T2)은 2/1과 같다.
도 5의 호이스팅 로프 통로는 다음과 같다. 호이스팅 로프(503)의 한단부는 전환 풀리(525)에 고정되고, 전환 풀리는 전환 풀리(514)로부터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로프부에 매달리도록 설치된다. 전환 풀리(514 및 525)는 로프력 보상 시스템(524)을 함께 형성하고, 도 5의 경우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한 세트의 보상 시브이다. 호이스팅 로프는 이전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하면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부분 위치에 설치된 전환 풀리(512, 510, 507)와 엘리베이터 카에 위치해 설치된 전환풀리(513, 511, 509) 사이에서 전환 풀리(514)로부터 더 움직이고, 상기 풀리는 엘리베이터 카 위에서 서스펜션 장치를 형성한다. 호이스팅기(504)와 트랙션 시브(505) 사이에서, 도 1과 관련하여 이미 상세하게 설명된 DW 서스펜션이 사용된다. 또한 전환 풀리(507)와 트랙션 시브 사이의 로핑은 예를 들면 SW, XW 또는 ESW 서스펜션과 같은 다른 적합한 로핑 해결책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호이스팅 로프는 전환 풀리(507)를 통하여 트랙션 시브로부터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위치한 전환 풀리(508)쪽으로 더 나아간다. 호이스팅 로프가 전환 풀리(508) 주위를 통과하여, 상기 호이스팅 로프는 이전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식과 같이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위치해 설치된 전환 풀리(518, 520, 522)와 엘리베이터 카(501)에 설치된 전환 풀리(519, 521, 523) 사이에서 움직인다. 호이스팅 로프(503)는 전환 풀리(523)로부터 로프력 보상 시브 시스템(524)에 포함된 그리고 호이스팅 로프의 한단부에 고정된 전환 풀리(525)쪽으로 더 나아간다. 상기 로프는 로프 홈을 따라서 전환 풀리(525) 주위를 통과하여, 엘리베이터 샤프트나 다른 어떤 적합한 장소에서 로프의 다른 단부의 앵커리지(526)쪽으로 더 나아간다. 엘리베이터 카 상하 양자의 서스펜션 비는 6:1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로프력 보상 시브 시스템(524)은 전환 풀리(525)로써 로프 신장을 보상한다. 상기 전환 풀리(525)는 호이스팅 로프(503)의 신장을 보상할 거리(I)를 통하여 이동한다. 상기 보상 거리(I)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 신장의 절반과 같다. 게다가, 상기 장치는 트랙션 시브(505)를 교차한 일정한 인장력을 만들어내고, 상기 로프력 사이의 비(T1/T2)는 2/1이 된다. 또한 로프력 보상 시브 시스템(524)은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식과 다른 방식, 예를 들어 로프력 보상 시브를 갖춘 보다 많은 복합 서스펜션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또는 예를 들어 보상 시브 시스템의 전환 풀리 사이의 상이한 서스펜션 비를 사용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도 6은 보상 장치를 사용한 로프 신장을 보상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에 있어서, 로프의 통로와 엘리베이터 카 상하 부분의 서스펜션 비는 상기 설명된 것처럼 도 5에서와 동일하다. 상기 호이스팅 로프(603)는 도 5에 도시된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카에 장착된 전환 풀리(609, 611, 613)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부분의 전환 풀리(610, 612, 614) 및 트랙션 시브(605) 사이에서 움직이고, 상기 로프는 트랙션 시브(605)로부터 트랙션 시브(608)에 대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으로 더 나아가고, 상기 풀리 주위를 통과하여 상기 로프는 도 5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에 설치된 전환 풀리(618, 620, 622)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설치된 전환 풀리(619, 621, 623) 사이에서 더 움직인다. 엘리베이터 카 상하 부분에서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 비는 6:1이다. 도 6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보상 장치(624) 때문에 도 5에 도시된 상황과 상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이한 로핑 장치를 보상 장치의 한 세트의 보상 시브(624)에서 도시하고 있다. 한 세트의 보상 시브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603)의 한 단부(629)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되고, 그 지점으로부터 호이스팅 로프가 트랙션 시브(625) 쪽으로 가고, 상기 트랙션 시브를 통과하고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부분의 위치에 설치가능한 전환 풀리(614) 쪽으로 더 나아가고, 상기 로프는 그 지점으로부터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트랙션 시브(605)쪽으로 더 움직인다. 전환 풀리(625)는 다른 전환 풀리(626)와 연결되어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들 전환 풀리(626, 625)는 예를 들면 동일 샤프트에 위치되거나, 또는 바에 의해서나 다른 어떤 적합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호이스팅 로프(603) 부가 전환 풀리(623) 주위를 통과한 이후에, 상기 로프 부는 보상 장치(624)의 전환 풀리(626)쪽으로 가게되고, 상기 풀리는 상기 설명된 방식으로 전환 풀리(625)에 연결된다. 호이스팅 로프(603)가 전환 풀리(626) 주위를 통과하여, 상기 로프는 샤프트에서의 위치에 이동불가능하게 고정되고 보상 시스템(624)의 부품을 형성하는 전환 풀리(627)쪽으로 더 나아간다. 호이스팅 로프(603)가 전환 풀리(627) 주위를 통과하여, 상기 로프는 앵커리지(628)쪽으로 더 나아가고, 호이스팅 로프의 다른 단부가 이동불가능하게 체결된다. 상기 앵커리지(628)는 전환 풀리(625)에 있거나 또는 상기 풀리에 고정되게 연결된다. 보상 장치(624)에서의 이러한 로핑 장치를 사용하여, 로프력(T1 및 T2) 사이의 일정한 비(T1/T2 = 3/2)가 얻어진다. 이러한 로핑 장치를 사용하여, 트랙션 시브에 SW 로핑을 실시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전환 풀리(507)는 더이상 필요하지 않다. 도시된 보상 장치(624)의 로핑 장치가 트랙션 시브에 필요한 마찰력을 최소로하고 로프력(T1 및 T2)을 작게 하기 때문에 SW 로핑은 트랙션 시브에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전환 풀리(507)는 이전 도면과 연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바람직하게 호이스팅 로프와 접선방향으로 접촉하도록 사용된다. 보상 장치(624)에 있어서, 또한 로핑과 전환 풀리의 갯수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것과 다른 방식으로 변경된다. 보상 장치(624)에서의 로핑 서스펜션 비를 통하여, T1/T2 의 비가 소정의 상수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6에 있어서, 로프 신장의 보상은 전환 풀리(625)와 고정되어 설치된 전환 풀리(626)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보상 장치에서의 로프 신장 보상 거리가 더 작을수록 상기 보상 장치내에서의 서스펜션 비가 더 크게 된다.
도 7은 상기 로핑의 서스펜션 비가 1:1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레버(715)를 사용하여 로프 신장의 보상되고, 상기 레버(715)는 로프력 보상 장치와 같이 작동하고 엘리베이터 카(701)에 움직이지않게 피벗된다. 상기 로프력이 보상되고 로프력(T1 및 T2) 사이의 상수비가 도 1과 연관하여 설명된 방식으로 달성되고, 하중의 크기에 독립적인 T1/T2 = b/a 인 T1/T2 비를 산출한다.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실시예는 예를 들면 4사람의 공칭 하중에 대한, 즉 대략 700kg에 대한 엘리베이터에서 직경 8mm를 갖춘 통상적으로 사용된 종래의 로프가 사용되어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T1/T2 비는 1.5/1이고 직경이 320mm이고 종래의 언더컷 홈을 갖춘 트랙션 시브를 사용하고, 엘리베이터의 질량은 700kg이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를 상향으로 올리는 힘(T1)은 엘리베이터 카의 무게와 그 하중에 대해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힘의 1.5배이고, 엘리베이터 카에 아래쪽에 작용하는 힘(T2)은 엘리베이터 카의 무게와 하중에 대해 필요한 힘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상기 하중과 관련하여 필요치않는 고장력 로프를 유도하는 것과 같은 이상적인 경우는 아니다. 서스펜션 비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로프 인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는 기어식 기기를 구비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도 7에 따라 1:1의 로핑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를 도시하고, 여기서 2:1의 서스펜션 비가 엘리베이터 카(801) 상하의 호이스팅 로프의 로핑 부(803)에 사용되고 트랙션 시브(805)와 전환 풀리(807) 사이의 DW 로핑에 사용된다. 로프 신장에 대한 보상과 일정한 로프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프 신장 보상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되고, T1/T2 =2/1의 로프력 비를 만들어내는 경우 전환 풀리(825)에 의하여 이송된 보상 거리는 로프 신장에 대한 크기의 절반과 동일하다.
도 9는 로프 신장을 보상하기 위한 그리고 일정한 로프력 비를 유지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의 통로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도 6과 연관되고, 여기서 엘리베이터 카 상하의 엘리베이터 카의 서스펜션 비는 6:1이다. 도 9에서의 호이스팅 로프의 통로는 로프가 전환 풀리(914)로부터 전환 풀리(924)쪽으로 더 내려간다는 점과 또한 보상 시스템을 고려하면 도 6에 도시된 상황과 다르다. 게다가, 호이스팅 로프(903)의 한단부는 상기 로프가 전환 풀리(922)로 올라가기 전에 엘리베이터 샤프트 한 지점(923)에 이동불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로프 신장에 대한 보상은 전환 풀리(908)를 호이스팅 로프(903)의 제 2 단부에, 지점(906)에 고정시킴으로써 실행된다. 상기 호이스팅 로프의 신장은 전환 풀리(908)를 로프 신장의 절반만큼의 거리를 위쪽이나 아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보상되어, 로프 신장이 보상된다. 도 9에 도시된 시스템에 있어서, 로프 신장의 보상과 로프력의 상수비는 도 5에 도시된 상황과 동일한 원리로 실행되고, 여기서 로프력 비는 T1/T2 이고 보상 거리는 전환 풀리(908)가 로프 신장의 절반 크기 만큼 이동한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보상 시스템은 전환 풀리(908)와 관련하여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호이스팅 로프의 제 2 단부를 당해 전환 풀리로 고정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하부 부분에 있는 전환 풀리(908, 919, 921)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실행된다.
엘리베이터 카가 1:1, 1:2, 1:3 또는 1:4와 같은 작은 서스펜션 비로써 서스펜스될 때, 큰 직경의 전환 풀리와 큰 두께의 호이스팅 로프가 사용된다.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에서 필요하다면 보다 작은 전환 풀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호이스팅 로프의 인장력이 엘리베이터 카 위 부분보다 더 작아서 보다 작은 호이스팅 로프 치우침 반경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엘리베이터 카 아래 작은 공간을 갖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로프 부분에서 작은 직경의 전환 풀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로프력 보상 시스템을 사용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호이스팅 로프 부분에서의 일정한 인장력이 엘리베이터 카 위쪽의 로프 부분의 인장력보다 T1/T2 비만큼 작게 되기 때문에, 호이스팅 로프의 내용연수를 실질적으로 나쁘게하지 않고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로프 부분에서의 전환 풀리의 직경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전환 풀리의 직경(D)과 사용된 로프의 직경(d) 사이의 비는 D/d<40 이고, 바람직하게 상기 비(D/d)는 D/d = 25...30 인 한편, 호이스팅 로프부의 직경과 엘리베이터 카 위쪽의 전환 풀리의 비는 D/d=40 이다. 보다작은 직경의 전환 풀리의 사용은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공간이 매우 작은 사이즈 바람직하게는 200mm 줄어들게 한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기계실이 없고 위쪽에 기기를 갖춘 엘리베이터이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실질적으로 라운드 단면 형상의 얇은 호이스팅 로프를 갖추고 있다.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와 트랙션 시브 사이의 접촉각은 180°보다 크다. 엘리베이터는 구동기에 설치된 장착 베이스를 갖춘 유닛, 트랙션 시브와 상기 트랙션 시브와 관련하여 수정 각도로 이미 설치된 전환 풀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유닛은 엘리베이터 가이드 레일에 체결된다.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카 위쪽의 로핑 서스펜션 비와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로핑 서스펜션 비 양자가 9:1이 되도록 그리고 엘리베이터 로핑이 엘리베이터 카의 벽부중 하나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벽 사이의 공간에서 움직이도록 9:1의 서스펜션 비로 평형추 없이 실시된다. 엘리베이터 로프의 로프 신장을 보상하기 위한 해결책은 힘(T1, T2) 사이의 일정한 비 T1/T2 = 2:1 을 일으키는 한 세트의 보상 시브를 포함하는 것이다. 보상 시브 시스템이 사용됨과 동시에, 필요한 보상 거리는 로프 신장의 절반의 크기와 같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엘리베이터 카의 상하의 서스펜션 비가 10:1인,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이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종래 엘리베이터 호이스팅 로프는 바람직하게 직경이 8mm인 로프가 사용되고, 트랙션 시브는 적어도 로프 홈의 영역에서 주철로 만들어진다. 트랙션 시브는 언더컷 로프 홈을 갖추고 있고 전환 풀리는 트랙션 시브에서 180°이상으로 로프 접촉을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8mm의 로프가 사용될 때, 트랙션 시브 직경은 바람직하게 340mm이다. 사용된 전환 풀리는 종래 8mm의 호이스팅 로프가 사용될 때 320, 330, 340 mm 또는 그 이상의 직경을 갖춘 큰 로프 시브이다. 로프력은 상기 로프력 사이의 비(T1/T2)가 3/2가 되도록 일정하게 유지된다.
도 10a 및 도 10b는 다른 실시예의 상황을 도시하고, 여기서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추를 갖춘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로프식 엘리베이터로 대체되거나 현대화된다. 도 10a에 도시된 엘리베이터는 평형추(1003)를 갖춘 로프식 엘리베이터이고, 상기 엘리베이터에서 평형추(1003)와 평형추 가이드 레일(1004)은 도어 개구(1006)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샤프트(1007)중 엘리베이터 카(1001)와 샤프트 벽(1005) 사이의 공간에서 가이드 레일(1002)을 따라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카(1001) 뒤에 놓여진다. 도 10b는 평형추(1003)에 의해 필요한 공간과 그 가이드 레일(1004)가 엘리베이터 샤프트(1007)에서 어떻게 제거되고 이에 따라 자유로워진 공간이 필요하다면 엘리베이터 카(1001)에 대하여 어떻게 사용되는지 도시하고 있다. 이것은 동일한 샤프트에서 보다 큰 엘리베이터 카를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승객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있어서, 도 10b에 도시된 엘리베이터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추 없는 엘리베이터로 대체되거나 현대화될 때 예를 들어 대략 20-25cm나 그 이상의 부가 카의 깊이가 얻어질 수 있다.
도 10c 및 도 10d는 다른 실시예의 상황을 도시하고, 도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형추를 갖춘 로프식 엘리베이터는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로프식 엘리베이터로 대체되거나 현대화된다. 도 10a에 도시된 평형추를 갖춘 로프식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평형추(1003)와 그 가이드 레일(1004)은 도어 개구(1006)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카(1001)의 한측에 놓여진다. 도 10d는 본 발명에 따라 도 10c에 도시된 엘리베이터가 어떻게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로프식 엘리베이터로 대체되거나 현대화되는지를 도시한다. 평형추(1003)와 그 가이드 레일(1004)을 제거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샤프트(1007)에서 자유로워진 공간은 엘리베이터 카(1001)의 폭이 증가된 엘리베이터 카(1001)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승객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있어서, 도 10c에 도시된 엘리베이터가 도 10d에 도시된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로 대체되거나 현대화될 때 예를 들어 대략 10 - 20 cm나 그 이상의 부가의 카의 폭이 얻어질 수 있다.
도 10e 및 도 10f는 제 3 실시예의 상황을 도시하고, 도 10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이드 리프팅 유압 엘리베이터는 도 10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로 대체되거나 현대화된다. 도 10e에 도시된 유압식 엘리베이터는 유압 리프팅 장치에 속하는 유압 실린더(1009)와 호이스팅 로프 시스템에 포함된 전환 풀리(1008)를 포함하고 도어 개구(1006)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가능한 가이드 레일이 엘리베이터 카(1001)의 한측에 배치된다. 도 10e에 도시된 상황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1001)는 엘리베이터 카의 한측에서 가이드 레일(1002)을 따라서 호이스트되나, 상기 호이스트 기능은 또한 다른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대체되거나 현대화될 유압식 리프팅 기능은 리프팅력이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으로부터 적용되는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도 10f는 본 발명에 따라 어떻게 도 10e에 도시된 엘리베이터가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로프식 엘리베이터로 대체되거나 현대화되는지를 도시한다. 가능한 평형추와 유압식 리프팅 장치를 제거함으로써 엘리베이터 샤프트(1007)에서 자유로워진 공간은 엘리베이터 카(1001)의 폭이 증가되는 엘리베이터 카(1001)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승객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있어서, 도 10e에 도시된 엘리베이터가 도 10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로 대체되거나 현대화될 때 예를 들어 대략 5 - 15cm나 그 이상의 부가 카의 폭이 얻어질 수 있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기에 설명된 청구범위의 범주내에서 여러 변경이 있을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많은 호이스팅 로프가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상부 부분과 엘리베이터 카 사이 그리고 엘리베이터 카와 전환 풀리 사이를 통과하기 전에 다중 로프 통로를 사용함으로써 여러 부가적인 장점을 달성할 수 있을지라도 본 발명의 기본적인 장점에 관해서는 매우 결정적인 문제점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여러 경우에 로프가 아래쪽로부터 많은 횟수만큼 위쪽으로부터 엘리베이터 카쪽으로 이동하도록 실행되어, 위쪽으로 올라가는 전환 풀리와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전환 풀리는 동일하다. 또한 호이스팅 로프가 카 아래쪽을 통과할 필요가 없음이 명확하다.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따라, 코팅된 금속 풀리 대신에 트랙션 시브와 로프 풀리가 또한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어떤 다른 재료로 만들어진 비코팅된 금속 풀리나 비코팅된 풀리일 경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다.
더욱이 적어도 홈의 영역에서 비금속 재료로 코팅되고 전환 풀리로 작동하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어떤 다른 적합한 재료나 금속의 로프 풀리 및 트랙션 시브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예를 들면 고무, 폴리우레탄이나 어떤 다른 재료의 코팅부를 갖출 수 있음을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또한 엘리베이터 카 및 기기 유닛이 본 실시예에서 설명된 레이아웃과 다른 방식으로 엘리베이터 샤프트의 단면에 배치되는 것은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이러한 상이한 레이아웃은 예를 들면 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기가 샤프트 도어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카 뒤에 위치되고 로프가 카의 바닥부와 연관하여 대각선으로 카 아래쪽을 통과한다. 로프에서의 카의 서스펜션이 다른 타입의 서스펜션 레이아웃과 같이 엘리베이터의 질량 중심과 관련하여 대칭적으로 만들어질 때 카 아래쪽의 로프를 바닥부의 형태와 관련하여 경사진 방향이나 대각선으로 통과시키면 유리하다.
더욱이 모터의 전원공급에 필요한 장치와 엘리베이터 제어부에 필요한 장치가 상기 기기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별도의 장치 패널에 설치될 수 있거나, 또는 제어에 필요한 장치가 빌딩의 다른 부분 및/또는 엘리베이터의 샤프트의 상이한 부분에 배치될 수 있는 별도의 유닛으로 실행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엘리베이터가 상기 설명된 실시예로부터 상이하게 설치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더욱이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가 호이스팅 로프 예를 들면 하나이상의 스트랜드의 가요성 로프, 플랫 벨트, 코그식 벨트, 사다리꼴 벨트나 본 발명에 적합한 어떤 다른 타입의 벨트로써 임의의 타입의 가요성 호이스팅 장치를 거의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음을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를 갖춘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따른 대체나 변경이 드럼 엘리베이터, 스크류 구동식 엘리베이터나 거의 임의의 다른 기술에 기초한 호이스팅 작동을 갖춘 엘리베이터의 경우에 실행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또한 필러를 갖춘 로프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은 윤활되거나 윤활이 되지 않은 필러없이 로프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게다가, 로프가 많은 상이한 방식으로 트위스트되는 것이 당업자에게는 명확하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가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보다 접촉각(α)을 증가시킴으로써 트랙션 시브와 전환 풀리 사이에 상이한 로핑 장치를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 설명된 로핑 장치에서보다 다른 방식으로 전환 풀리, 트랙션 시브 및 호이스팅 로프를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가 평형추를 구비하고, 이 경우에 상기 평형추는 예를 들면 카의 무게보다 작은 무게이고 별도의 로핑 장치에 의하여 서스펜스되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확하다.
전환 풀리로써 사용된 로프 풀리의 베어링 저항 때문에, 그리고 로프와 로프 시브 사이의 저항과 보상 시스템에서 발생한 가능한 손실 때문에, 로프 인장력 사이의 비는 보상 시스템의 공칭 비가 어느정도 벗어나게 한다. 엘리베이터가 임의의 만들어진 튼튼함을 갖출 필요가 있을 경우 때문에 5%가 벗어난다는 임의의 상당한 단점을 포함하지 않는다.

Claims (20)

  1. 엘리베이터 카가 단일 로프나 수개의 평행 로프를 이루어지는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서스펜스되고, 상기 호이스팅 로프에 의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이동시키는 트랙션 시브를 갖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상하로 이동하는 호이스팅 로프의 로프부를 갖추고 있고, 상기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위쪽으로 올라가는 로프부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아래쪽으로 내려가는 상기 로프부의 로프 인장력, 즉 제 2 로프 인장력(T2)보다 더 큰 제 1 로프 인장력(T1) 하에 있고, 그리고,
    상기 엘리베이터는 엘리베이터 샤프트나 그 균등물에 장착된 이전 엘리베이터 대신에 설치되거나 또는 이전 엘리베이터를 개조함으로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엘리베이터는 유압식 리프팅 엘리베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전 엘리베이터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카는 이전 엘리베이터보다 더 큰 플로어 면적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는 평형추가 없는 엘리베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는 보정 기구를 갖추고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보정 기구는 레버, 한 세트의 인장 시브 또는 보정 시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는 보정 기구를 갖추고 있고 상기 보정 기구는 하나 이상의 전환 풀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랙션 시브와 호이스팅 로프 사이의 연속 접촉각은 적어도 1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된 호이스팅 로프는 고강도 호이스팅 로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이스팅 로프의 직경은 8㎜보다 작은, 바람직하게는 3㎜-5㎜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엘리베이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호이스팅 기는 바람직하게 하중에 대해 경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랙션 시브는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한 폴리우레탄, 고무 또는 임의의 다른 마찰재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로프 홈의 구역에서 트랙션 시브는 금속, 바람직하게는 주철로 만들어지고, 바람직하게 언더컷 로프 홈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카 아래쪽의 전환 풀리의 D/d비는 4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15. 엘리베이터 샤프트나 그 균등물에 장착된 이전 엘리베이터의 대신에 상기 이전 엘리베이터를 개조시켜 엘리베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전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기능은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를 포함하여 설치되고, 상기 한 세트의 호이스팅 로프는 하나의 로프나 복수의 평행 로프를 포함하면서 엘리베이터 기기는 호이스팅 로프를 구동시키고,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카가 형성되어 호이스팅 로프에 연결되도록 엘리베이터가 엘리베이터 카로부터 상하로 이동하는 로프부를 갖추고 있고, 그리고
    엘리베이터 로핑은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로프력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일정한 비(T1/T2)를 유지하기 위한 보상 시스템으로써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교체 호이스팅 작동부가 유압식 호이스팅 작동부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를 형성하는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교체 호이스팅 작동부가 평형추를 포함하는 트랙션 시브 작동식 호이스팅 작동부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를 형성하는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교체 호이스팅 작동부는 드럼, 스크류 또는 다른 상응하는 호이스팅 작동부를 사용하여 작동되는 호이스팅 작동부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를 형성하는 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이전 엘리베이터의 호이스팅 작동부에 포함된 장치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서 또는 그에 상응하는 것에서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를 형성하는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이전 엘리베이터 카보다 더 큰 사이즈의 교체 엘리베이터 카는 엘리베이터 샤프트에 또는 그에 상응하는 것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를 형성하는 방법.
KR1020057007887A 2002-11-04 2003-11-04 엘리베이터 케이블 인장 장치 KR1011433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21959A FI20021959A (fi) 2002-11-04 2002-11-04 Hissi
FI20021959 2002-11-04
FI20030153 2003-01-31
FI20030153A FI119237B (fi) 2003-01-31 2003-01-31 Hissi, menetelmä hissin muodostamiseksi ja tasauslaitteiston käyttö
FIPCT/FI03/00714 2003-10-01
PCT/FI2003/000714 WO2004067429A1 (en) 2003-01-31 2003-10-01 Elevator
PCT/FI2003/000817 WO2004041699A1 (en) 2002-11-04 2003-11-04 Elevator cable tensio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135A true KR20050072135A (ko) 2005-07-08
KR101143336B1 KR101143336B1 (ko) 2012-05-09

Family

ID=343153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829A KR101047348B1 (ko) 2002-11-04 2003-11-04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KR1020057007887A KR101143336B1 (ko) 2002-11-04 2003-11-04 엘리베이터 케이블 인장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7829A KR101047348B1 (ko) 2002-11-04 2003-11-04 평형추가 없는 트랙션 시브 엘리베이터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2) US7484596B2 (ko)
EP (2) EP1567441A1 (ko)
JP (2) JP4468892B2 (ko)
KR (2) KR101047348B1 (ko)
AT (1) ATE442334T1 (ko)
AU (2) AU2003276290B2 (ko)
BR (2) BR0315804B1 (ko)
CA (2) CA2502523C (ko)
DE (1) DE60329213D1 (ko)
DK (1) DK1558513T3 (ko)
EA (2) EA006911B1 (ko)
EG (1) EG23629A (ko)
ES (1) ES2329895T3 (ko)
HK (2) HK1081936A1 (ko)
MX (2) MXPA05004786A (ko)
NO (2) NO329960B1 (ko)
PT (1) PT1558513E (ko)
SI (1) SI1558513T1 (ko)
WO (2) WO20040416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8732B (fi) 2000-12-08 2008-02-29 Kone Corp Hissi
ES2302816T3 (es) 2001-06-21 2008-08-01 Kone Corporation Ascensor.
US9573792B2 (en) 2001-06-21 2017-02-21 Kone Corporation Elevator
FI119234B (fi) 2002-01-09 2008-09-15 Kone Corp Hissi
FI119236B (fi) * 2002-06-07 2008-09-15 Kone Corp Päällystetyllä nostoköydellä varustettu hissi
EA006911B1 (ru) * 2002-11-04 2006-04-28 Коне Корпорейшн Лифт с канатоведущим шкивом, не имеющий противовеса
FI119769B (fi) 2003-11-17 2009-03-13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FI116562B (fi) 2003-11-17 2005-12-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FI115211B (fi) 2003-11-17 2005-03-31 Kone Corp Hissi ja järjestelmä
FI116461B (fi) 2004-03-18 2005-11-30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n toimituskokonaisuus
FI119056B (fi) 2004-03-22 2008-07-15 Kone Corp Hissi, menetelmä hissin muodostamiseksi ja hissin tasauslaitteessa aikaansaadun lisävoiman käyttö
FI117335B (fi) * 2004-07-30 2006-09-15 Kone Corp Menetelmä hissin asentamiseksi ja hissi
FI118335B (fi) * 2004-07-30 2007-10-15 Kone Corp Hissi
US7222697B2 (en) * 2005-03-10 2007-05-29 Chih Chen Elevator
JP4207917B2 (ja) * 2005-04-01 2009-01-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多層構造基板の製造方法
FI119233B (fi) * 2005-11-14 2008-09-15 Kone Corp Menetelmä hissin köysistön vaihtamiseksi
FI20051340A (fi) * 2005-12-29 2007-06-30 Kone Corp Hissin vetopyörä ja hissi
FI119768B (fi) * 2006-01-16 2009-03-13 Kone Corp Hissi ja hissin jarru
JP4874672B2 (ja) * 2006-02-27 2012-02-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I120091B (fi) * 2006-11-10 2009-06-30 Kone Corp Vastapainoton vetopyörähissi
FI118644B (fi) * 2006-11-17 2008-01-31 Kone Corp Menetelmä ja laitteisto konehuoneettoman hissin asentamiseksi rakennuksen rakentamisvaiheessa
FI119322B (fi) * 2006-12-14 2008-10-15 Kone Corp Menetelmä hydraulihissin modernisoimiseksi
ITGE20070015A1 (it) * 2007-02-14 2008-08-15 Elevatori Normac S R L Apparato elettromeccanico per il sollevamento di persone e/o carichi divario genere.
US8162110B2 (en) * 2008-06-19 2012-04-24 Thyssenkrupp Elevator Capital Corporation Rope tension equalizer and load monitor
US8640829B2 (en) 2008-07-16 2014-02-04 William P. Block, JR. Hydraulic elevator system
CN102164840A (zh) * 2008-09-30 2011-08-24 通力股份公司 一种电梯
FI20090357A (fi) * 2009-09-28 2011-03-29 Kone Corp Menetelmä ja järjestely
US8602169B2 (en) 2009-10-13 2013-12-10 Greenpoint Technologies, Inc. Aircraft elevator system and method
CN102781806B (zh) * 2010-03-04 2016-04-06 通力股份公司 无配重的带驱动的电梯
CN102858672B (zh) * 2010-04-19 2015-02-11 因温特奥股份公司 升降机系统中悬吊件运行状态的监控
US8448323B2 (en) * 2010-10-15 2013-05-28 Kone Corporation Method for modernizing an elevator
US8925689B2 (en) * 2011-01-19 2015-01-06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a plurality of elevator cabs and counterweights that move independently in different sections of a hoistway
US8430210B2 (en) 2011-01-19 2013-04-30 Smart Lifts, Llc System having multiple cabs in an elevator shaft
FI20115641L (fi) 2011-06-22 2012-12-23 Kone Corp Hissin vetoelimen kiristysjärjestely
WO2014136171A1 (ja) * 2013-03-04 2014-09-12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EP2842902B1 (en) 2013-08-26 2016-02-03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EP2868613B1 (en) 2013-11-05 2019-05-15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CN110467086A (zh) * 2019-07-19 2019-11-19 佛山菱王科技有限公司 底托式8比1无机房电梯的8字型绕绳曳引结构
CN110510485B (zh) * 2019-08-05 2024-03-01 菱王电梯有限公司 底托式8比1无机房电梯的弓字型绕绳曳引结构
CN112218452B (zh) * 2020-10-13 2021-08-03 北京凯盛安达电梯服务有限公司 一种便于操作的电梯安装检修调试模拟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568A (en) * 1879-06-17 Improvement in dumb-waiters
US998629A (en) * 1906-08-16 1911-07-25 Otis Elevator Co Tension-beam for frictional driving apparatus.
US2685077A (en) * 1953-06-15 1954-07-27 Safety Devices Inc Signal device for elevator clamps
US3838752A (en) * 1972-07-06 1974-10-01 Westinghouse Electric Corp Elevator system
GB1442584A (en) * 1974-04-05 1976-07-14 Johns & Waygood Ltd Drive systems for lifts and hoists
JPS58117476U (ja) * 1982-02-05 1983-08-10 三菱電機株式会社 トラクシヨン式エレベ−タ装置
US4624097A (en) * 1984-03-23 1986-11-25 Greening Donald Co. Ltd. Rope
FR2623787B1 (fr) * 1987-11-27 1990-05-11 Otis Elevator Co Procede de montage d'un ascenseur ou monte-charge au sein d'un batiment, gabarits de montage utilises, ascenseur ou monte-charge obtenu
US5149922A (en) * 1989-09-08 1992-09-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Elevator load detector device using movable detector plates
US5065843A (en) * 1990-05-16 1991-11-19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installing elevator system components
DE9201374U1 (de) * 1992-02-05 1992-04-02 C. Haushahn GmbH & Co, 7000 Stuttgart Seilspannsystem für Aufzüge
FI94123C (fi) 1993-06-28 1995-07-25 Kone Oy Vetopyörähissi
FI93632C (fi) 1993-06-28 1995-05-10 Kone Oy Alakoneistoinen vetopyörähissi
US5899301A (en) * 1993-12-30 1999-05-04 Kone Oy Elevator machinery mounted on a guide rail and its installation
DE19632850C2 (de) * 1996-08-14 1998-09-10 Regina Koester Treibscheibenaufzug ohne Gegengewicht
JPH10159372A (ja) * 1996-12-04 1998-06-16 Shin Meiwa Ind Co Ltd 重列エレベータ式立体駐車設備
US5899300A (en) * 1996-12-20 1999-05-04 Otis Elevator Company Mounting for an elevator traction machine
FI109596B (fi) * 1997-01-23 2002-09-13 Kone Corp Hissin käyttökoneisto ja hissi
US5931265A (en) * 1997-03-27 1999-08-03 Otis Elevator Company Rope climbing elevator
US6401871B2 (en) * 1998-02-26 2002-06-11 Otis Elevator Company Tension member for an elevator
MY121775A (en) * 1998-04-28 2006-02-28 Toshiba Kk Traction type elevator apparatus
JP4442941B2 (ja) * 1998-09-09 2010-03-3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US6596098B1 (en) * 1999-01-28 2003-07-22 Nippon Steel Corporation Wire rod for high-fatigue-strength steel wire, steel wi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4135262B2 (ja) * 1999-07-15 2008-08-20 三菱電機株式会社 自走式エレベータ装置
FI111241B (fi) * 1999-09-23 2003-06-30 Kone Corp Menetelmä vetopyörähissin jarruttamiseksi, vetopyörähissi ja varavirtalähteen käyttö
SG83818A1 (en) * 1999-10-21 2001-10-16 Inventio Ag Rope deflection and suitable synthetic fiber rope and their use
DE10024973B4 (de) * 2000-05-19 2006-08-10 Jenoptik Ag Liftsystem für den vertikalen Transport von Nutzlasten in einem Luftfahrzeug
US6364067B1 (en) * 2000-09-20 2002-04-02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elevator components
JP4849712B2 (ja) * 2000-11-08 2012-01-1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
FI118732B (fi) * 2000-12-08 2008-02-29 Kone Corp Hissi
FI117433B (fi) * 2000-12-08 2006-10-13 Kone Corp Hissi ja hissin vetopyörä
FI117434B (fi) 2000-12-08 2006-10-13 Kone Corp Hissi ja hissin vetopyörä
JP2002173281A (ja) * 2000-12-11 2002-06-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
JP3660259B2 (ja) * 2001-03-19 2005-06-15 東京製綱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
US20030188930A1 (en) * 2002-04-04 2003-10-09 Richard Lauch Roping configuration for traction machineroomless elevator
US6722475B2 (en) * 2002-05-22 2004-04-20 Inventio Ag Elevator safety plank assembly
EA006911B1 (ru) * 2002-11-04 2006-04-28 Коне Корпорейшн Лифт с канатоведущим шкивом, не имеющий противовеса
US7635049B2 (en) * 2002-12-02 2009-12-22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n elevator during the construction of a building
MY137170A (en) * 2003-02-04 2009-01-30 Toshiba Elevator Kk Elev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84596B2 (en) 2009-02-03
DE60329213D1 (de) 2009-10-22
CA2502059C (en) 2012-07-03
WO2004041701A1 (en) 2004-05-21
MXPA05004786A (es) 2005-07-22
EG23629A (en) 2007-02-05
MXPA05004782A (es) 2005-07-22
US7802658B2 (en) 2010-09-28
KR101047348B1 (ko) 2011-07-07
BR0315803A (pt) 2005-09-20
JP2006505474A (ja) 2006-02-16
NO20051906D0 (no) 2005-04-19
US20050224301A1 (en) 2005-10-13
NO329960B1 (no) 2011-01-31
EA006912B1 (ru) 2006-04-28
JP4468892B2 (ja) 2010-05-26
HK1084931A1 (en) 2006-08-11
CA2502523A1 (en) 2004-05-21
BR0315803B1 (pt) 2011-11-01
EP1558513B1 (en) 2009-09-09
AU2003276290B2 (en) 2009-03-26
JP2006505475A (ja) 2006-02-16
WO2004041699A1 (en) 2004-05-21
NO20051912D0 (no) 2005-04-19
EP1558513A1 (en) 2005-08-03
KR20050065671A (ko) 2005-06-29
SI1558513T1 (sl) 2010-01-29
BR0315804A (pt) 2005-09-20
EA200500554A1 (ru) 2005-12-29
AU2003276290A1 (en) 2004-06-07
KR101143336B1 (ko) 2012-05-09
DK1558513T3 (da) 2009-11-02
ES2329895T3 (es) 2009-12-02
CA2502059A1 (en) 2004-05-21
PT1558513E (pt) 2009-11-18
CA2502523C (en) 2012-12-18
EP1567441A1 (en) 2005-08-31
HK1081936A1 (en) 2006-05-26
AU2003276289B2 (en) 2009-06-04
US20050217944A1 (en) 2005-10-06
NO20051912L (no) 2005-08-03
BR0315804B1 (pt) 2014-07-29
NO20051906L (no) 2005-08-03
EA006911B1 (ru) 2006-04-28
JP4607759B2 (ja) 2011-01-05
EA200500553A1 (ru) 2005-12-29
ATE442334T1 (de) 2009-09-15
AU2003276289A1 (en) 2004-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3336B1 (ko) 엘리베이터 케이블 인장 장치
KR101051638B1 (ko) 엘리베이터
ZA200503334B (en) Traction sheave elevator without contraweight
EP1727760B1 (en) Elevator
JP2014101230A (ja) エレベータ
EP1507731B1 (en) Method for making an elev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