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66030A -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66030A
KR20050066030A KR1020030097218A KR20030097218A KR20050066030A KR 20050066030 A KR20050066030 A KR 20050066030A KR 1020030097218 A KR1020030097218 A KR 1020030097218A KR 20030097218 A KR20030097218 A KR 20030097218A KR 20050066030 A KR20050066030 A KR 200500660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heat dissipation
lower substrate
conductive v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7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6944B1 (ko
Inventor
박정규
박찬왕
윤준호
김창욱
박영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7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6944B1/ko
Priority to US10/859,144 priority patent/US20050139846A1/en
Priority to JP2004182485A priority patent/JP4044078B2/ja
Publication of KR20050066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6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6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69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4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 H01L33/642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e.g. lead-frames, wire-bonds or solder ba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0Bump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1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16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bump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bump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2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 H01L2224/4822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non-metallic, e.g. insulating substrate with or without metallisation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8Platinum [P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95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provided in the groups H01L2924/013 - H01L2924/0715
    • H01L2924/097Glass-ceramics, e.g. devitrified glass
    • H01L2924/09701Low temperature co-fired ceramic [LTC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1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483Containers
    • H01L33/486Containers adapted for surface moun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4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y packages
    • H01L33/64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 H01L33/647Heat extraction or cooling elements the elements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emiconductor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서, 발광다이오드실장영역에 형성되어 도전성 물질로 충전된 방열구와 그 주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를 갖는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방열구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배면전극과, 적어도 상기 방열구를 덮도록 상기 하부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방열구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배면전극에 각각 접속된 제1 및 제2 전극패턴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에 플립칩 본딩으로 접속된 발광 다이오드과, 상기 하부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둘러싸는 상부기판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 본딩뿐만 아니라, 플립칩 본딩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되고 그 제조공정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절연막을 이용하여 대면적의 방열구가 채용가능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써 열방출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제조방법{HIGH POWER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열효과를 높힐 뿐만 아니라, 와이어 본딩공정이 생략가능하여 패키지 구조를 간소화하는 동시에 패키지의 크기를 감소시킨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는 낮은 소비전력, 고휘도 등의 여러 장점 때문에 광원으로서 널리 사용되며, 특히 최근 발광 다이오드는 조명장치 및 대형 LCD(Liquid Crystal Display)용 백라이트(Backlight) 장치로 채용된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조명장치 등 각종 장치에 장착되기 용이한 패키지형태로 제공되는데, 발광다이오드 패키지는 발광다이오드의 보호와 장치와의 연결구조뿐만 아니라,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발생된 열을 방출시키기 위한 방열성능도 중요한 평가기준이 된다. 높은 방열성능은 일반 조명장치 및 대형 LCD용 백라이트와 같이 고출력 발광다이오드가 요구되는 분야에서 보다 중요하게 요구되는 패키지 조건이다. 도1a에는 종래의 고출력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의 단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1a를 참조하면,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는, 리드 프레임(2)이 구비된 하우징(1), 발광 다이오드 칩(3), 상기 칩(3)이 안착된 방열체(4), 상기 칩(3)을 밀봉하는 실리콘 봉지재(5), 상기 실리콘 봉지재(5)를 덮는 플라스틱 렌즈(7)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 다이오드(3)는 상기 리드프레임에 와이어(6)를 통해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다. 또한, 상기 발광 다이오드(3)는 솔더에 의해 상기 방열체(4) 상부에 안착될 수 있다.
도1a의 발광다이오드 패키지는 도1b과 같이, 소정의 조명장치 내의 인쇄회뢰기판(9)에 장착되며,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10)의 방열체(4)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3)에서 발생된 열을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솔더와 같은 열전도성 패드(8)를 통해 상기 기판(9)에 열을 전달시킴으로써 적절하게 열을 방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전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구조는 발광다이오드의 다이본딩 및 와이어본딩 등의 복잡한 공정에 의해 제조가 곤란하다. 특히, 와이어 본딩과 같은 조립/연결공정 중에 불량이 발생될 확률이 높으며, 와이어는 전체 패키지 크기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와 다른 종래의 고전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가 도2a 및 도2b에 예시되어 있다.
도2a 및 도2b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 패키지(20)는 리드프레임(13,14)을 구비한 하부세라믹 기판(11)과 원형 캐비티가 형성된 상부 세라믹 기판(1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세라믹 기판(11) 상에는 각 리드 프레임(13,14)에 연결되도록 발광 다이오드(15)가 탑재된다. 또한, 상기 상부세라믹기판(12)의 캐비티측벽에는 원통형 반사판(12a)이 구비되고, 투명수지로 충전되어 캡슐화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 패키지(20)는 도1a와 달리 상기 발광다이오드(15)의 일측전극은 한 리드프레임에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으나, 도2a의 구조에서는 플립칩 본딩형태로 실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체적인 구조가 간소화하므로 도1a 및 도1b에 도시된 구조에 비해 제조공정이 유리하고, 불량발생위험이 적다는 장점이 있으나, 방열량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2a의 패키지 경우에도, 하부 세라믹기판(11)에 복수개의 도전성 비아홀(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15)의 열방출을 도모하지만, 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리드프레임과 원하지 않는 접속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전성 비아홀의 크기와 수를 제한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열방출효과는 도1a의 패키지에 비해 상당히 떨어지며, 고전력 발광다이오드의 발열량을 감당하기 어렵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발광다이오드 패키지는 그 구조와 공정이 복잡하므로, 불량 발생하기 쉬우며, 이와 반대로, 구조를 간소화시킨 패키지에서는 중요한 기능인 열방출효과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시켜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된 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새로운 발광다이오드 패키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발광다이오드실장영역에 형성되어 도전성 물질로 충전된 방열구와 그 주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를 갖는 하부기판과, 상기 하부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방열구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배면전극과, 적어도 상기 방열구를 덮도록 상기 하부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절연막과, 상기 절연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방열구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배면전극에 각각 접속된 제1 및 제2 전극패턴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에 접속된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하부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둘러싸는 상부기판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제1 및 제2 전극패턴에 플립칩 본딩(flip chip bonding)으로 접속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전극패턴과 제1 및 제2 배면전극의 수직연결구조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은 상기 방열구의 양측에 배열된 제1 및 제2 도전성 비아홀이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비아홀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도전성비아홀은 각각 복수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제1 전극패턴과 상기 제1 배면전극은 상기 도전성 비아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 전극패턴과 상기 제2 배면전극은 상기 방열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 배면전극 중 하나는 상기 방열구까지 연장되어 열방출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채용되는 방열구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면적의 적어도 50%인 단면적을 가지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광다이오드 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
나아가, 상기 절연막의 두께는 상기 방열구를 통해 열이 용이하게 방출되도록 하기 위해서 약 100㎛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기판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둘러싸는 내부측면영역에 반사판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기판 상에 설치된 투명렌즈구조물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발광다이오드실장영역에 도전성 물질로 충전된 방열구와, 그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을 갖는 하부기판을 마련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기판의 상면에 적어도 상기 방열구를 덮는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열구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기판의 하면에 제1 및 제2 배면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방열구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배면전극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절연막 상에 제1 및 제2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에 플립칩 본딩으로 접속되도록 발광 다이오드를 실장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기판 상에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둘러싸는 상부기판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복잡한 구조와 조립공정 및 불량발생이 원인이 되는 와이어 본딩공정을 생략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은 플립칩 본딩방식으로 발광다이오드를 실장시키는 방식을 채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플립칩본딩용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동시에 열방출효과를 높히기 위한 새로운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플립칩 본딩으로 실장될 영역에 전극연결구조와 함께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물질로 충전된 방열구조를 형성하기 위해서, 큰 단면적을 갖는 방열구를 마련하고, 상기 방열구를 절연막으로 덮은 후에, 상기 절연막에 플립칩 본딩에 필요한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 패키지(30)는 발광다이오드(35)가 실장된 하부기판(31)과 상기 발광다이오드(35)가 형성된 영역을 둘러싼 상부기판(3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기판(31)은 거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방열구(36)와 2개의 수직연결구조를 형성하는 제1 및 제2 도전성 비아홀(33b,34b)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구(36)는 수십㎛의 도전성 비아홀(33b,34b)과 달리, 상기 발광다이오드(35)의 크기에 대비되는 크기를 갖는다. 이러한 방열구(36)는 충분한 크기로 하부기판(31)에 마련된 캐비티에 도전성 물질을 충진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열구(36)의 단면적은 적어도 실장될 발광다이오드(35) 면적의 50%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35) 면적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31) 상에는 절연막(37)이 배치된다. 상기 절연막(37)은 적어도 방열구(36)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절연막(37) 상에는 제1 및 제2 전극패턴(33a,34a)이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비아홀(33b,34b)에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절연막은 플립칩본딩을 위한 전극패턴과 방열구의 충전물질(주로 금속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절연막(37)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로부터 상기 방열구로 열전달이 크게 방해받지 않도록 100㎛이하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33a,34a)에 상기 발광다이오드(35)의 각 전극이 플립칩 본딩방식으로 접속되도록 실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비아홀(33b,34b)은 상기 하부기판(31) 하면에 형성된 제1 및 제2 배면전극(33c,34c)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배면전극(33c,34c)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패키지(30)의 전원공급단자의 역할을 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상부기판의 내부실장영역에는 투명한 수지로 충전되어 발광다이오드를 캡슐화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35)로부터 방출된 광이 보다 효율적으로 방출되도록 상기 상부기판(32) 상에 투명렌즈구조물(39)가 장착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패키지는 도3에 도시된 형태와 유사하지만, 발광다이오드 장착용 전극과 전원공급전극 사이의 수직연결구조를 달리한 실시형태이다.
도4을 참조하면, 상기 발광다이오드 패키지(40)는 발광다이오드(45)가 실장된 하부기판(41)과 상기 발광다이오드(45)가 형성된 영역을 둘러싼 상부기판(32)을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발광다이오드(45)로부터 방출된 광이 효과적으로 방출되도록 투명렌즈구조물(49)이 상기 상부기판(4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하부기판(41)은 거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방열구(46)와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43b)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구(46)는 하부기판(41)에 마련된 충분한 크기의 캐비티에 도전성 물질을 충진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열구(46)의 단면적은 적어도 실장될 발광다이오드(45) 면적의 50%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광다이오드(45) 면적보다 크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하부기판(41) 상에는 절연막(47)이 배치된다. 상기 절연막(47)은 적어도 방열구(46)를 덮을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절연막(47) 상에는 제1 및 제2 전극패턴(43a,44a)이 마련된다.
상기 제1 전극패턴(43a)은 도3의 실시형태와 같이 상기 도전성 비아홀(43b)에 연결되는 반면에, 상기 제2 전극패턴(44a)은 방열구(46)에 연결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도전성 비아홀(43b)은 상기 제1 전극패턴(43a)과 제1 배면전극(43c)을 연결하는 수단으로서 제공되며, 상기 방열구(46)는 상기 제2 전극패턴(44a)과 상기 제2 배면전극(44c)을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제공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채용된 방열구(46)는 열방출수단과 함께 수직연결수단의 역할도 담당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배면전극(44c)은 방열구(46)까지 연장되어 있으므로, 열방출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도3의 실시형태에서도 유사하게 채용될 수 있다.
도5a 내지 도5i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사시도이다.
도5a와 같이, 거의 중앙영역에 형성된 캐비티(c)와, 그 주위에 형성된 2개의 비아홀(h1,h2)을 갖는 하부기판(51)을 마련한다. 상기 하부기판은 HTCC 또는 LTCC공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다수의 그린시트, 예를 들어 본 실시형태와 같이 5개의 그린시트(51a-51e)를 적층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51)의 재질은 세라믹일 수도 있으나, PCB 또는 각종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티(c)는 바람직하게는 실장된 발광다이오드 면적의 50%의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한다.
이어, 도5b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51)에 마련된 캐비티(c)와 비아홀(h1,h2)에 각각 적절한 도전성 물질을 충전함으로써 방열구(56)와 도전성 비아홀(53b,54b)을 형성한다. 상기 방열구(56)에 충전되는 열전도성이 우수한 물질은 일반적으로 전기적 전도성을 갖는 물질이므로, 상기 도전성 비아홀(53b,54b)를 위한 충전공정과 동일한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공정은 금속페이스트를 이용한 인쇄공정으로, 특히 도5a의 적층공정에서 각 그린시트(51a-51e)에 대한 인쇄공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5c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51)의 상면에 절연막(57)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막(57)은 플립칩 본딩을 위한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동시에, 실장영역에 마련된 대형 방열구(56)와 절연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며, 따라서 적어도 상기 방열구(56) 영역을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연막은 약 100㎛ 두께이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적층공정, 분무공정 또는 인쇄공정과 같은 통상의 공정을 통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적층 후에 안정화를 위해 소결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이어, 도5d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51)의 상하면에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먼저, 상기 절연막(57) 상에 상기 2개의 도전성 비아홀(53b,54b)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전극패턴(53a,54a)을 형성하고, 이어 상기 하부기판(51)의 하면에 상기 2개의 도전성 비아홀(53b,54b)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배면전극(53c,54c)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배면전극(54c)은 상기 방열구(56)까지 연장된다. 이러한 전극형성공정은 인쇄공정, 도금공정, 진공증착 및 스퍼터링, 증착 후 사진식각공정 등과 같은 공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렇게 형성된 전극을 안정화를 시키기 위해 소결공정이 추가로 적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5e와 같이, 상기 하부기판(51) 상에 발광다이오드실장영역을 둘러싸는 캐비티가 형성된 상부기판(52)을 장착한다. 이러한 상부기판은 재질에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 세라믹,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반사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캐비티 내부측면에 반사막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상부기판 장착공정은 필요에 따라 발광다이오드를 실장한 후에 실시될 수도 있다.
이어,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53a,54a)에 플립칩 본딩으로 접속되도록 발광 다이오드를 실장하는 공정을 실시한다. 우선, 도5f와 같이, 고출력 발광다이오드의 본딩전극이 접속될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53a,54a)부분에 솔더범프(b1,b2)를 형성한다. 이어, 도5e와 같이, 고출력 발광다이오드(55)의 각 본딩전극(미도시)이 상기 솔더범프(b1,b2)에 연결되도록 고출력 발광다이오드(55)를 전극패턴(53a,54b) 상에 실장한다. 필요에 따라, 발광다이오드 표면에는 발광다이오드로부터 나오는 광이 다른 파장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형광물질을 추가적으로 도포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도5h와 같이 상기 상부기판(52)의 캐비티영역을 투명수지 또는 투명유체(58)로 충전시켜 발광다이오드(55)를 보호한다. 이어, 도5i와 같이, 상기 상부기판(52) 상에 투명렌즈구조물(59)을 추가 장착할 수 있으며, 이러한 투명수지 또는 투명유체(58)는 발광다이오드에서 나오는 광을 다른 파장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형광물질과 혼합될 수 있다.
상기한 공정은 수직연결구조로 제공되는 2개의 도전성 비아홀을 마련한 형태를 예시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 도전성 비아홀을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극패턴과 제1 배면전극을 연결하는 수직연결구조에 2개 이상의 도전성 비아홀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6은 2개이상의 도전성 비아홀을 형성하는 실시형태에 적용될 수 있는 하부기판(61)이 예시한다.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채용될 수 있는 하부기판(6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61)은 방열구(66)를 구비한다. 상기 하부기판 상면에서, 그 주위의 양측에는 각각 5개의 도전성 비아홀(63',64')이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면에 형성될 전극패턴과 하부에 형성될 배면전극 사이의 충분한 통전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잇점이 있다. 특히, 본 실시형태는 여러개의 전극을 사용하는 고출력 발광다이오드에 적합한 형태로서 대량 전류를 도통시킬 수 있다.
도4에 설명된 실시형태와 같이,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만 형성하고, 다른 전극에 대한 수직연결구조는 방열구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도5a 및 도5b의 공정에서 도전성 비아홀을 하나만 형성하고, 도5d의 공정에서 상기 방열구에 제2 전극패턴과 제2 배면전극를 연결시키는 것으로 변형함으로써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다른 방열구 구조를 갖는 하부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하부기판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방열구형태를 예시한다.
도7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채용될 수 있는 하부기판(7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부기판은 도4와 같이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과 방열구를 갖는 형태에 채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배면전극(73)은 도전성 비아홀(73')에 연결되며, 다른 하나의 배면전극(74)은 방열구(76)에 연결된다.
상기 하부기판(71)에 형성된 방열구(76)는 요철처리된 측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 채용되는 방열구(76)는 큰 단면적을 가지므로, 상기 하부기판(7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러한 원하지 않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 방열구의 적어도 한 측면을 수평방향으로 굴곡을 갖는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하부기판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 층에 캐비티 크기를 달리하여 금속페이스트를 충전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굴곡을 갖는 요철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 본딩방식 대신에 플립칩 본딩방식을 구현함으로써 전체적인 구조를 간소화되고 그 제조공정이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플립칩 본딩연결을 위한 전극이 마련된 절연막을 이용하여 대면적의 방열구를 마련함으로써 열방출 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1a 및 도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의 일예를 나타내는 절개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2a 및 도2b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의 단면도이다.
도5a 내지 도5i는 본 발명에 따른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의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공정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복수개의 도전성 비아홀을 갖는 하부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에 채용가능한 다른 방열구 구조를 갖는 하부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1: 하부 기판 32: 상부 기판
33a,34a: 제1 및 제2 전극패턴 33b, 34b: 제1 및 제2 도전성 비아홀
33c,34c: 제1 및 제2 배면전극 35: 발광 다이오드
36: 방열구 37: 절연막
38: 투명수지 39: 투명렌즈구조물

Claims (24)

  1. 발광다이오드실장영역에 형성되어 도전성 물질로 충전된 방열구와 그 주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를 갖는 하부기판;
    상기 하부기판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방열구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 배면전극;
    적어도 상기 방열구를 덮도록 상기 하부기판의 상면에 형성된 절연막;
    상기 절연막 상에 형성되어 상기 방열구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배면전극에 각각 접속된 제1 및 제2 전극패턴;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에 접속된 발광 다이오드; 및,
    상기 하부기판 상에 형성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둘러싸는 상부기판을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제1 및 제2 전극패턴에 플립칩 본딩(flip chip bonding)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은 상기 방열구의 양측에 배열된 제1 및 제2 도전성 비아홀이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비아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비아홀은 각각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패턴과 상기 제1 배면전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 전극패턴과 상기 제2 배면전극은 상기 방열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면전극 중 하나는 상기 방열구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의 단면적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면적의 적어도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의 단면적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발광다이오드 패키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의 두께는 약 1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은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둘러싸는 내부측면영역에 반사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 상에 설치된 투명렌즈구조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에 형성된 방열구는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13. 발광다이오드실장영역에 도전성 물질로 충전된 방열구와, 그 주위에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을 갖는 하부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하부기판의 상면에 적어도 상기 방열구를 덮는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열구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하부기판의 하면에 제1 및 제2 배면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방열구 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도전성 비아홀을 통해 상기 제1 및 제2 배면전극에 각각 연결되도록 상기 절연막 상에 제1 및 제2 전극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에 접속되도록 발광 다이오드를 실장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기판 상에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둘러싸는 상부기판을 장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는 제1 및 제2 전극패턴에 플립칩 본딩(flip chip bonding)으로 접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을 마련하는 단계는, 상기 방열구와 그 양측에 제1 및 제2 도전성 비아홀을 갖는 하부기판을 마련하는 단계이며,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과 상기 제1 및 제2 전극패턴은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비아홀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도전성 비아홀은 각각 복수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극패턴과 상기 제1 배면전극은 상기 도전성 비아홀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2 전극패턴과 상기 제2 배면전극은 상기 방열구를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배면전극 중 하나는 상기 방열구까지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의 단면적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면적의 적어도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구의 단면적은 상기 발광다이오드 면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의 두께는 약 10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22.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을 장착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기판 상에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둘러싸는 내부측면영역에 반사판이 마련된 상부기판을 장착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기판 상에 투명렌즈구조물을 장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기판을 마련하는 단계는
    적어도 하나의 내측벽이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을 따라 요철화된 방열구를 갖는 하부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제조방법.
KR1020030097218A 2003-12-26 2003-12-26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제조방법 KR100586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218A KR100586944B1 (ko) 2003-12-26 2003-12-26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제조방법
US10/859,144 US20050139846A1 (en) 2003-12-26 2004-06-03 High power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2004182485A JP4044078B2 (ja) 2003-12-26 2004-06-21 高出力発光ダイオードパッケージ及び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7218A KR100586944B1 (ko) 2003-12-26 2003-12-26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6030A true KR20050066030A (ko) 2005-06-30
KR100586944B1 KR100586944B1 (ko) 2006-06-07

Family

ID=34698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7218A KR100586944B1 (ko) 2003-12-26 2003-12-26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50139846A1 (ko)
JP (1) JP4044078B2 (ko)
KR (1) KR100586944B1 (ko)

Cited B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094B1 (ko) * 2005-07-04 2006-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면 실장형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46681B1 (ko) * 2005-09-29 2006-11-23 익스팬테크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701980B1 (ko) * 2006-04-08 2007-03-30 (주)비에이치세미콘 Led 패키지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led 패키지
KR100723144B1 (ko) * 2005-12-24 2007-05-30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KR100728133B1 (ko) * 2005-12-30 2007-06-1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소자
KR100729825B1 (ko) * 2005-12-27 2007-06-18 럭스피아(주) 발광 유니트
KR100775922B1 (ko) * 2006-05-10 2007-11-15 한솔엘씨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용 led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788931B1 (ko) * 2006-10-27 2007-12-27 (주) 아모센스 전자부품 패키지
KR100813196B1 (ko) * 2006-06-28 2008-03-1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WO2008041813A1 (en) * 2006-10-02 2008-04-10 Innochips Technology Co., Ltd. Ceramic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34925B1 (ko) * 2006-12-22 2008-06-03 (주) 아모센스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WO2008069605A1 (en) * 2006-12-08 2008-06-12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KR100882588B1 (ko) * 2007-08-16 2009-02-12 알티전자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KR100954657B1 (ko) * 2005-09-01 2010-04-27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저온 동시소성 세라믹 (ltcc) 테이프 조성물, 발광다이오드 (led) 모듈, 조명 장치 및 이들의 형성 방법
WO2012002629A1 (ko) * 2010-07-02 2012-01-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다이오드 모듈
WO2012044011A2 (en) * 2010-09-30 2012-04-05 Seoul Opto Device Co., Ltd. Wafer 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255671B1 (ko) * 2012-03-08 2013-04-17 장일호 Led 패키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3449B1 (ko) * 2012-07-18 2013-08-06 주식회사 트레이스 리플로우 솔더링 접합 공정을 이용한 led 플래시 모듈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led 플래시 모듈
KR20150017920A (ko) * 2013-08-08 2015-0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KR20180002577A (ko) * 2017-12-26 2018-0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US10032971B2 (en) 2011-09-20 2018-07-24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885511B1 (ko) * 2017-04-28 2018-08-06 엑센도 주식회사 광소자 어셈블리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04410B2 (ja) * 2004-04-26 2012-08-22 Towa株式会社 光素子の樹脂封止成形方法および樹脂封止成形装置
KR100655894B1 (ko) * 2004-05-06 2006-12-08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색온도 및 연색성이 우수한 파장변환 발광장치
KR100658700B1 (ko) 2004-05-13 2006-12-15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Rgb 발광소자와 형광체를 조합한 발광장치
KR100665298B1 (ko) * 2004-06-10 2007-01-0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장치
KR100665299B1 (ko) * 2004-06-10 2007-01-04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물질
US8308980B2 (en) * 2004-06-10 2012-11-13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DE102004045947A1 (de) * 2004-06-30 2006-01-19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Leuchtdiodenanordnung
US20060006791A1 (en) * 2004-07-06 2006-01-12 Chia Chee W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that does not require epoxy encapsulation of the light emitting diode
JP5128047B2 (ja) * 2004-10-07 2013-01-23 Towa株式会社 光デバイス及び光デバイスの生産方法
EP1816685A4 (en) * 2004-10-27 2010-01-13 Kyocera Corp LIGHT EMITTING ELEMENT PLATE, BEARING CAPACITOR FOR LIGHT EMITTING ELEMENTS, LIGHT EMITTING DEVICE AND LIGHTING DEVICE
JP2006186297A (ja) * 2004-12-03 2006-07-13 Toshiba Corp 半導体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67515B1 (ko) * 2004-12-06 2008-11-07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US20070145386A1 (en) * 2004-12-08 2007-06-28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24449B1 (ko) * 2004-12-08 2006-09-18 삼성전기주식회사 요철 구조를 포함하는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7777247B2 (en) * 2005-01-14 2010-08-17 Cree, Inc. Semiconductor light emitting device mounting substrates including a conductive lead extending therein
WO2006099741A1 (en) * 2005-03-24 2006-09-28 Tir Systems Ltd. Solid-state lighting device package
WO2006105638A1 (en) * 2005-04-05 2006-10-12 Tir Systems Ltd. Electronic device package with an integrated evaporator
US7985357B2 (en) * 2005-07-12 2011-07-26 Towa Corporation Method of resin-sealing and molding an optical device
JP4640248B2 (ja) * 2005-07-25 2011-03-02 豊田合成株式会社 光源装置
KR100757196B1 (ko) * 2005-08-01 2007-09-07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실리콘 렌즈를 구비하는 발광소자
EP1919002B1 (en) * 2005-08-23 2018-07-18 Kabushiki Kaisha Toshiba Light-emitting device, backlight us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KR101258397B1 (ko) * 2005-11-11 2013-04-30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구리 알칼리토 실리케이트 혼성 결정 형광체
CN100531308C (zh) * 2005-12-02 2009-08-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数码相机模组
US20070126020A1 (en) * 2005-12-03 2007-06-07 Cheng Lin High-power LED chip packaging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055772B1 (ko) * 2005-12-15 2011-08-1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장치
TWM295223U (en) * 2005-12-27 2006-08-01 Hi Lux Technology Company Ltd Improved structure of emergency light
JP5073946B2 (ja) * 2005-12-27 2012-11-14 新光電気工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1305884B1 (ko) * 2006-01-06 2013-09-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하는백라이트 유닛
KR100752009B1 (ko) * 2006-03-06 2007-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Led가 구비된 백라이트유닛
KR100875443B1 (ko) 2006-03-31 2008-12-2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장치
EP1848042A1 (en) * 2006-04-21 2007-10-24 LEXEDIS Lighting GmbH LED package with submount
JP2007311445A (ja) * 2006-05-17 2007-11-29 Stanley Electric Co Ltd 半導体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7989823B2 (en) * 2006-06-08 2011-08-02 Hong-Yuan Technology Co., Ltd. Light emitting system,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forming method thereof
JP2007335462A (ja) * 2006-06-12 2007-12-27 Stanley Electric Co Ltd 半導体複合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06794B2 (en) * 2006-07-05 2011-03-1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with frame and optically transmissive element
KR100809263B1 (ko) * 2006-07-10 2008-02-29 삼성전기주식회사 직하 방식 백라이트 장치
KR100851194B1 (ko) * 2006-08-24 2008-08-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그 제조방법, 백 라이트 장치
KR101258227B1 (ko) 2006-08-29 2013-04-25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소자
CN101536179B (zh) * 2006-10-31 2011-05-2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照明设备封装
US20090008662A1 (en) * 2007-07-05 2009-01-08 Ian Ashdown Lighting device package
KR100880638B1 (ko) 2007-07-06 2009-0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RU2467051C2 (ru) 2007-08-22 2012-11-20 Сеул Семикондактор Ко., Лтд. Люминофоры на основе нестехиометрических тетрагональных силикатов меди и щелочноземельного металла и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KR101055769B1 (ko) 2007-08-28 2011-08-1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비화학양론적 정방정계 알칼리 토류 실리케이트 형광체를채택한 발광 장치
KR20090005281U (ko) * 2007-11-28 2009-06-02 웬-쿵 숭 발광 다이오드 밀봉 구조
TW200923262A (en) * 2007-11-30 2009-06-01 Tysun Inc High heat dissipation optic module for light emitting diod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0986211B1 (ko) 2008-01-04 2010-10-07 주식회사 이츠웰 금속기판과 금속기판의 제조방법 및 그 기판을 이용한표면실장형 엘이디 패키지
DE102008011862A1 (de) * 2008-02-29 2009-09-03 Osram Opto Semiconductors Gmbh Miniaturgehäuse, Trägeranordnung mit mindestens einem Miniaturgehäuse,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rägeranordnung
US8378369B2 (en) * 2008-09-09 2013-02-19 Showa Denko K.K. Light emitting unit, light emitting module, and display device
JP2010102305A (ja) 2008-09-24 2010-05-06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KR100982994B1 (ko) * 2008-10-15 2010-09-17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Led 패키지 모듈
KR101018191B1 (ko) * 2008-11-27 2011-02-28 삼성엘이디 주식회사 세라믹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헤드램프 모듈
JP4780203B2 (ja) * 2009-02-10 2011-09-28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半導体発光装置
KR101064026B1 (ko) * 2009-02-17 2011-09-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디바이스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US9269875B2 (en) * 2009-05-20 2016-02-23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Light emitter
US8440500B2 (en) * 2009-05-20 2013-05-14 Interlight Optotech Corporation Light emitting device
KR101069801B1 (ko) 2009-06-08 2011-10-04 주식회사 세미라인 플립칩 타입 led 방열기판의 구조 및 그의 제조방법
DE102009030205A1 (de) * 2009-06-24 2010-12-30 Litec-Lp Gmbh Leuchtstoffe mit Eu(II)-dotierten silikatischen Luminophore
KR101055762B1 (ko) * 2009-09-01 2011-08-11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옥시오소실리케이트 발광체를 갖는 발광 물질을 채택한 발광 장치
JP5839992B2 (ja) * 2009-07-06 2016-01-06 株式会社東芝 Ledランプ及びヘッドライト
US9887338B2 (en) * 2009-07-28 2018-02-06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Light emitting diode device
KR101125296B1 (ko) * 2009-10-21 2012-03-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라이트 유닛
JP2013093341A (ja) * 2010-02-26 2013-05-16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デバイス
JP2012253048A (ja) * 2010-02-26 2012-12-20 Sanyo Electric Co Ltd 電子デバイス
US9722157B2 (en) * 2010-04-09 2017-08-01 Rohm Co., Ltd. LED module
KR101125457B1 (ko) 2010-04-23 2012-03-2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소자, 발광 소자 패키지 및 발광 소자 제조방법
US9240526B2 (en) * 2010-04-23 2016-01-19 Cree, Inc. Solid state light emitting diode packages with leadframes and ceramic material
JP5778999B2 (ja) 2010-08-06 2015-09-1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および画像表示ユニット
CN102376864B (zh) * 2010-08-10 2014-12-31 晶元光电股份有限公司 发光元件
KR101618029B1 (ko) * 2010-12-06 201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RU2449422C1 (ru) * 2010-12-28 2012-04-27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ядер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ИФИ" (НИЯУ МИФИ) Светодиодный источник излучения
KR101181224B1 (ko) * 2011-03-29 2012-09-10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JP5809440B2 (ja) * 2011-05-10 2015-11-10 ローム株式会社 Ledモジュール
CN102820384B (zh) * 2011-06-08 2015-10-07 展晶科技(深圳)有限公司 发光二极管封装结构的制造方法
KR20130011088A (ko) * 2011-07-20 2013-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CN102280569B (zh) * 2011-08-22 2013-10-30 佛山市国星光电股份有限公司 高导热基板及led器件及led组件
DE102011086359A1 (de) * 2011-11-15 2013-05-16 Tridonic Gmbh & Co. Kg LED-Modul
CN102709452A (zh) * 2012-05-21 2012-10-03 苏州晶品光电科技有限公司 荧光透明陶瓷led封接结构及其封接方法
JP6409928B2 (ja) * 2012-08-31 2018-10-24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832323B (zh) * 2012-09-04 2016-05-04 江苏尚明光电有限公司 一种大功率led的封装工艺
KR20160032236A (ko) * 2013-07-19 2016-03-23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광학 요소를 가지며 기판 캐리어를 갖지 않는 pc led
KR20150092423A (ko) * 2014-02-04 2015-08-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KR102432859B1 (ko) 2015-07-10 2022-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JP2017073411A (ja) * 2015-10-05 2017-04-13 ソニー株式会社 発光装置
CN105932146A (zh) * 2016-06-15 2016-09-07 青岛杰生电气有限公司 一种紫外发光器
TWI626771B (zh) * 2016-07-26 2018-06-11 宏齊科技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單元和薄型平面光源模組
KR20180070149A (ko) * 2016-12-16 2018-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발광장치
US11094865B2 (en) * 2017-01-26 2021-08-17 Suzhou Lekin Semiconductor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device package
TWI662724B (zh) * 2018-06-06 2019-06-11 海華科技股份有限公司 覆晶式發光模組
TWI713237B (zh) * 2018-08-01 2020-12-11 大陸商光寶光電(常州)有限公司 發光二極體封裝結構
CN113748297A (zh) * 2019-03-07 2021-12-03 亮锐控股有限公司 在连接电气部件时具有高灵活性的照明设备
CN110707203A (zh) * 2019-09-04 2020-01-17 厦门三安光电有限公司 发光器件及其制作方法和含该发光器件的发光器件模组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98232A (en) * 1998-01-16 1999-12-07 Implant Sciences Corporation Planar technology for producing light-emitting devices
US6949771B2 (en) * 2001-04-25 2005-09-27 Agilent Technologies, Inc. Light source
KR100419611B1 (ko) * 2001-05-24 2004-02-25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및 이를 이용한 발광장치와 그 제조방법
US6885107B2 (en) * 2002-08-29 2005-04-26 Micron Technology, Inc. Flip-chip image sensor packag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US7244965B2 (en) * 2002-09-04 2007-07-17 Cree Inc, Power surface mount light emitting die package
US20040188696A1 (en) * 2003-03-28 2004-09-30 Gelcore, Llc LED power package
US7095053B2 (en) * 2003-05-05 2006-08-22 Lamina Ceramics, Inc. Light emitting diodes packaged for high temperature operation

Cited B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094B1 (ko) * 2005-07-04 2006-11-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면 실장형 발광 소자 패키지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954657B1 (ko) * 2005-09-01 2010-04-27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저온 동시소성 세라믹 (ltcc) 테이프 조성물, 발광다이오드 (led) 모듈, 조명 장치 및 이들의 형성 방법
KR100646681B1 (ko) * 2005-09-29 2006-11-23 익스팬테크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723144B1 (ko) * 2005-12-24 2007-05-30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KR100729825B1 (ko) * 2005-12-27 2007-06-18 럭스피아(주) 발광 유니트
KR100728133B1 (ko) * 2005-12-30 2007-06-1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소자
KR100701980B1 (ko) * 2006-04-08 2007-03-30 (주)비에이치세미콘 Led 패키지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led 패키지
KR100775922B1 (ko) * 2006-05-10 2007-11-15 한솔엘씨디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용 led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813196B1 (ko) * 2006-06-28 2008-03-13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발광 칩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장치
WO2008041813A1 (en) * 2006-10-02 2008-04-10 Innochips Technology Co., Ltd. Ceramic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829910B1 (ko) * 2006-10-02 2008-05-19 주식회사 이노칩테크놀로지 세라믹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0788931B1 (ko) * 2006-10-27 2007-12-27 (주) 아모센스 전자부품 패키지
WO2008069605A1 (en) * 2006-12-08 2008-06-12 Seoul Semiconductor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KR100834925B1 (ko) * 2006-12-22 2008-06-03 (주) 아모센스 반도체 패키지의 제조방법
KR100882588B1 (ko) * 2007-08-16 2009-02-12 알티전자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패키지
WO2012002629A1 (ko) * 2010-07-02 2012-01-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발광다이오드 모듈
WO2012044011A2 (en) * 2010-09-30 2012-04-05 Seoul Opto Device Co., Ltd. Wafer 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144351B1 (ko) * 2010-09-30 2012-05-11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웨이퍼 레벨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WO2012044011A3 (en) * 2010-09-30 2012-06-07 Seoul Opto Device Co., Ltd. Wafer 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633503B2 (en) 2010-09-30 2014-01-21 Seoul Opto Device Co., Ltd. Wafer level light emitting diode packag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032971B2 (en) 2011-09-20 2018-07-24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10297732B2 (en) 2011-09-20 2019-05-21 Lg Innotek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KR101255671B1 (ko) * 2012-03-08 2013-04-17 장일호 Led 패키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1293449B1 (ko) * 2012-07-18 2013-08-06 주식회사 트레이스 리플로우 솔더링 접합 공정을 이용한 led 플래시 모듈 제작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작된 led 플래시 모듈
KR20150017920A (ko) * 2013-08-08 2015-02-23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KR101885511B1 (ko) * 2017-04-28 2018-08-06 엑센도 주식회사 광소자 어셈블리 장치
KR20180002577A (ko) * 2017-12-26 2018-01-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소자 패키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39846A1 (en) 2005-06-30
KR100586944B1 (ko) 2006-06-07
JP4044078B2 (ja) 2008-02-06
JP2005197633A (ja) 2005-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6944B1 (ko)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패키지 및 제조방법
US10677417B2 (en) Package for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for packaging the same
US984746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light emitting device including metal patterns and cut-out section
US7607801B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US7824049B2 (en) Illumination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orporating the same
US9166123B2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I538255B (zh) 功率式表面安裝之發光晶粒封裝
KR101847938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그 제조 방법
JP5750040B2 (ja) オプトエレクトロニクス半導体コンポーネント
KR100653645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발광소자 패키지 제조방법
JP2007116138A (ja) 発光装置
US20110175122A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and light unit having the same
JP2011205147A (ja) Led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US8749136B2 (en) Light emitting apparatus and light unit
JP2012074753A (ja) 発光ダイオードパッケージ
JP4948818B2 (ja) 発光装置および照明装置
WO2013121708A1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23219A (ja) Led発光装置およびled発光装置の製造方法
WO2004102685A1 (en) Light emitting device, package structure thereof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03282951A (ja) 発光装置
JP2010225755A (ja) 半導体発光装置および半導体発光装置の製造方法
JP2013183124A (ja) 半導体発光装置
JP2005243738A (ja)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および発光装置
JP2007173271A (ja) 発光素子収納用パッケージ
JP2018032748A (ja) 発光装置、照明装置及び発光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