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3796A -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3796A
KR20050033796A KR1020040049339A KR20040049339A KR20050033796A KR 20050033796 A KR20050033796 A KR 20050033796A KR 1020040049339 A KR1020040049339 A KR 1020040049339A KR 20040049339 A KR20040049339 A KR 20040049339A KR 20050033796 A KR20050033796 A KR 20050033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assembly
cartridge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ocess cart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9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1216B1 (ko
Inventor
스즈끼다쯔야`
호시노부하루
무라야마가즈나리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3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3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2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4Details of parts of process cartridge, e.g. for charging, transfer, cleaning,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48Arrangements for testing or measuring developer properties or quality, e.g. charge, size, flowability
    • G03G15/0849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 G03G15/0855Detection or control means for the developer concentration the concentration being measured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6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rocess cartridge to the apparatus, electrical connectors, power supp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78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 G03G21/1882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G03G21/1885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details of the communication with memory, e.g.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position of the memory; memory housings; electr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 Photoreceptors In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 부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프레임과, 드럼의 축방향에 대해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단부와 인접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선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발광부에 대향되어 검출광을 수용하는 광 입구부를 포함하며 현상제 수납 용기 내의 현상제 수납 공간을 횡단하도록 검출광을 안내하기에 효과적인 제1 광 가이드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인접하고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수광부에 대향되는 광 출구부를 포함하며 현상제 수납 공간을 통해 통과된 검출광을 수광부로 유도하기에 적합한 제2 광 가이드와,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인접하고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광 입구부를 통과하는 수평면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광 출구부를 통과하는 수평면 사이에 제공된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포함하며 주 조립체와 통신가능한 메모리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방법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예를 들면, 기록 용지, OHP 시트 등) 상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를 의미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로서는, 전자사진 복사기, 전자사진 프린터(예를 들면, 레이저 프린터, LED 프린터 등), 팩스밀리기, 워드프로세서, 앞선 장치들 중 두 개의 이상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복합 기능 장치(복합 기능 프린터 등) 등이 존재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이후 단순히 "카트리지"로 칭함)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그 안에 적어도 현상 수단(현상 부재) 및 전자사진 감광 드럼이 일체식으로 위치되는 카트리지를 의미한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후 "화상 형성 장치" 칭함)의 전자사진 감광 드럼(이후 단순히 "감광 드럼"으로 칭함) 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현상 장치 및 현상제의 조합을 채용하는 것은 일반적인 통례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조작자 혼자 힘으로도 보수 유지될 수 있다. 즉, 카트리지 시스템의 채용은 작동 효율성에 있어 화상 형성 장치를 현저하게 개량시킬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함에 있어 더 용이하게 하는 기술로서, 조작자에게 카트리지의 현상제 저장부 내의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을 알려줄 수 있는 다양한 현상제 잔류량 검출 수단이 고안되어 왔다. 몇몇 이들 현상제 잔류량 검출 수단은 소정 기간 동안 빔 형태의 광이 카트리지의 현상제 저장부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 허락되는 기간을 측정함으로써, 현상제 저장부 내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을 검출한다.
전술된 것과 같은 투과형의 현상제 잔류량 검출 수단(이후 단순히 "잔류량 검출 수단"으로 칭함)은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측상에 배치되는 발광부와 수광부, 현상제 저장부에 제공되는 광 투과부 및 발광부로부터 발광되는 빔 형태의 광을 발광부로부터 광 투과부로, 이어서 수광부로 안내하기 위한 광 가이드를 포함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현상제 잔류량 검출 수단의 경우에 있어서, 검출광이 현상제 저장부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기간은 그 안에 잔류하는 현상제 양에 의존한다. 즉,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이 많으면 더 짧은 시간이,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이 적으면 더 긴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측 상의 측정 수단을 사용하여 검출광이 현상제 저장부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기간을 측정함으로써, 현상제 저장부 내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일본 공개평 10-186822).
조작자가 카트리지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하는 다른 형태의 기술로서, 저장 요소(저장 부재)를 갖춘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다양한 방법이 고안되어 왔다. 이러한 저장 요소와 장치 주 조립체 사이에서 화상의 질, 카트리지 그 자체(제조), 서비스 수명(예를 들면, 현상제 잔류량), 장치 주 조립체의 작동 상태 등에 대한 정보가 교환되고, 이는 화상 형성 장치 또는 카트리지를 보수 유지하는 것을 더 용이하게 만든다(미국 특허 제5,937,239).
최근 몇 년간,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소형인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였다. 화상 형성 장치의 크기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더 작은 카트리지를 생산할 필요가 있다.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카트리지 크기 감소에 대한 이러한 요구는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카트리지 크기 감소 문제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에서 만큼이나, 조작자가 카트리지를 사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전술된 현상제 잔류량 검출 수단 및 저장 요소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및 이러한 카트리지를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도 중요하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고, 저장 부재가 이를 통해 빔 형태의 검출광이 제1 광 가이드로 들어가는 제1 광 가이드의 지점과 이를 통해 빔 형태의 검출광이 제2 광 가이드로부터 나오는 제2 광 가이드의 지점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검출광을 수용하는 수광부 및 주 조립체 측 상의 전기 접점이 동일한 기판 상에 집약하여 배치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하고,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검출광을 수용하는 수광부 및 주 조립체 측 상의 전기 접점이 동일한 기판 상에 집약하여 배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기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부재;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저장하기 위한 현상제 저장부를 가지는 프레임;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대한 프레임의 일단부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발광부에 직접적으로 대향하여 위치 설정되는 광 입구부를 가지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있을 때 이를 통해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검출광이 상기 현상제 저장부로 안내되어 검출광이 현상제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이동하는 제1 광 가이드;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대해 제1 광 가이드가 위치되는 프레임의 단부와 동일한 프레임의 단부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한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고, 상기 수광부에 직접적으로 대향하여 위치 설정되는 광 출구부를 가지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있을 때 이를 통해 현상제 저장부의 내부 공간을 통해 이동된 검출광이 수광부를 향해 안내되는 제2 광 가이드;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에 대해 제1 및 제2 광 가이드가 위치되는 프레임의 단부와 동일한 프레임의 단부 그리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삽입되는 방향에 대한 프레임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고,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와 통신 가능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있을 때 상기 광 입구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수평면과 상기 광 출구부의 중심과 일치하는 수평면 사이에 위치 설정되도록 위치하는 저장 부재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 특징 및 장점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연계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을 고려하여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후, 몇몇의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부연하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의 다음 설명에서 논의되는 구성 부품의 재료와 형상 및 그 사이의 위치 관계는 특별히 주목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선 실시예 중 하나의 설명에서 논의된 주어진 부품과 유사한 부품이 다음 실시예에서 설명을 위해 논의되는 경우, 특별히 주목되지 않는다면 그 재료와 형상에 있어 앞선 실시예에서의 것과 유사하다.
도1 내지 도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가 설명될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인 설명]
먼저, 도2를 참조하여, 컬러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2는 전자사진 프로세스 중 하나를 채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인 컬러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러 레이저 프린터(100)(이후 단순히 "프린터"로 칭함)는 옐로우 컬러(Y)의 현상제를 포함하는 옐로우 카트리지(7Y), 마젠타 컬러(M)의 현상제를 포함하는 마젠타 카트리지(7M), 시안 컬러(C)의 현상제를 포함하는 시안 카트리지(7C) 및 블랙 컬러(K)의 현상제를 포함하는 블랙 카트리지(7K)가 일대일로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복수의 카트리지 격실을 포함하는 카트리지 격실 섹션(100A)을 가진다. 컬러 레이저 프린터(100)는 또한 카트리지 격실 섹션(100A) 내의 카트리지(7)에 의해 현상되는 현상제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5) 상에서 층으로 전사된 이후에 컬러에 있어 다양한 복수의 현상제 화상을 유지하고, 이로부터 컬러 화상이 기록 매체 공급 섹션으로부터 분배된 기록 매체(P) 상에 전사되는 중간 전사 부재(5)를 가진다.
전자사진 감광 드럼(1)[이후 단순히 "감광 드럼"으로 칭해질 수 있음(1Y, 1M, 1C, 1K)]은 도2의 화살표에 의해 표시되는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동된다.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부재로서의 대전 롤러(2)(2Y, 2M, 2C, 2K) 및 대전 롤러(2)에 의해 대전되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서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이를 화상 형성 데이터로 변조시키면서 빔 형태의 레이저 광을 조사하기 위한 스캐너 유닛(3)(3Y, 3M, 3C, 3K)은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주위에 위치된다. 감광 드럼(1)의 회전 방향에 대해서, 대전 롤러(2)는 스캐너 유닛(3)의 상류측 상에 위치한다.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 수단을 보유하는 제2 프레임(4)(4Y, 4M, 4C, 4K), 1차 전사 스테이션(T1)에서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의 현상제 화상을 중간 전사 부재(5) 상에 전사하기 위한 1차 전사 롤러(12)(12Y, 12M, 12C, 12K) 및 현상제 화상의 전사 이후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블레이드(60)를 보유하는 제1 프레임(6)도 또한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주위에 위치된다. 전사 롤러(12)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A) 측면 상에 위치한다.
중간 전사 부재(5) 상으로 전사된 이후, 현상제 화상은 2차 전사 스테이션(T2)에서 2차 전사 롤러(13)에 의해 기록 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이어서, 전사 매체(P)는 기록 매체(P) 상의 현상제 화상이 기록 매체(P)에 정착되는 정작 장치(8)를 통해 이송된다. 이어서, 기록 매체(P)는 한 쌍의 배출 롤러(25)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의 상부면의 일부분을 구성하는 배출 트레이(26) 상으로 배출된다.
카트리지(7)는 전술된 감광 드럼(1), 대전 부재(2), 제2 프레임 및 제1 프레임(6)을 포함한다. 프린터(100)는 중간 전사 분재(5)가 부착되는 힌지식 커버(11)(도6 참조)를 가진다. 커버(11)가 개방된 상태에서, 그 감광 드럼 측에서 프린터(100)에 장착되거나 이로부터 제거된다.
이어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프린터(100) 및 카트리지(7)가 그 다양한 부분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3은 그 구조를 도시한 카트리지(7)의 단면도이다. 여기서, 옐로우 현상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7)가 설명될 것이며, 현상제의 컬러에 있어 다양한 모든 카트리지(7)가 그 구조에 있어 동일하기 때문에, 옐로우 현상제와 컬러에 있어 다른 현상제는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먼저, 옐로우 현상제를 포함하는 카트리지(7)의 다양한 부분이 설명될 것이다.
[감광 드럼]
감광 드럼(1)(1Y)은 기판, 예를 들면 알루미늄 실린더 및 기판의 주연면 상에서 도포되는 유기 광도전성 물질(OPC) 층을 포함한다. 감광 드럼(1)은 제1 프레임(6)에 의해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 부재에 의해 그 길이방향 단부 부분으로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대전 부재]
대전 롤러(2)(2Y)는 접촉식 대전 시스템 중 하나에 기초한 대전 부재이다.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여 위치되는 동안 대전 바이어스가 가해지는 전기 도전성 롤러이다. 대전 바이어스의 인가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은 균일하게 대전된다. 대전 롤러(2)는 또한 제1 프레임(6)에 의해 지지된다.
[제2 프레임]
도3을 참조하면, 제2 프레임(4)(4Y)은 전술된 잠상을 가시 화상으로 현상하기 위한 옐로우 컬러의 현상제가 저장되는 현상제 저장부(41)를 가진다. 이는 잠상 현상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40), 현상제 이송 부재(42), 현상제 공급 롤러(43) 및 현상 블레이드(44)를 보유한다. 즉, 제2 프레임(4)은 현상 롤러(40)를 지지하고, 잠상 현상용으로 사용되는 현상제(t)가 저장되는 현상제 저장부(41)를 가진다. 제2 프레임(4)은 제1 프레임(6)에 연결되어 서로에 대해 피봇이 가능하다.
현상제 저장부(41) 내의 현상제는 현상제 이송 부재(42)를 반시계 방향[도3에서 화살표(X)로 표시]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현상제 공급 롤러(43)로 이송된다. 현상제 공급 롤러(43)는 현상제 롤러(40)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부재이다. 현상 롤러(40)(도3 참조)가 시계 방향[도3에서 화살표(Y)의 의해 표시]으로 회전함에 따라, 현상제는 공급 롤러(43)에 의해 현상 롤러(40)의 주연면 상에 도포되고, 현상 블레이드(44)는 현상 롤러(40)의 주연면 상에 가압되어 유지된다. 공급 롤러(43)는 금속 코어 및 금속 코어의 주연면 주위에 형성되는 스폰지 층을 포함하는 탄성 롤러이다.
현상 바이어스가 현상 롤러(40)에 인가됨에 따라, 정전 잠상의 패턴을 반영하는 가시 화상이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서 현상제로서 형성된다. 즉, 현상 롤러(40)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시킨다.
이어서,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A)의 다양한 부분이 설명될 것이다.
[노광 수단]
노광 수단으로서의 스캐너 유닛(3)은 화상 형성 신호가 주어지는 레이저 다이오드(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신호가 레이저 다이오드에 주어짐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는 화상 형성 신호를 반영한 빔 형태의 화상 형성 광을 스캐너 모터(도시 생략)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되고 있는 다각 거울(9) 상으로 방사한다. 그 결과, 빔 형태의 화상 형성 광은 결상 렌즈(도시 생략)를 향해 거울(9)에 의해 반사되고 결상 렌즈를 통해 투과함으로써, 소정의 일정한 주연 속도로 회전되고 있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결상된다. 그 결과,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의 수많은 지점이 선택적으로 노광됨으로써,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중간 전사 부재]
중간 전사 부재(5)는 일대일로, 현상 롤러(40)에 의해 감광 드럼(1)의 주연 면 상에서 현상제로서 형성되는 복수의 화상이 컬러 화상 형성 프로세스 동안 층으로 전사되는 부재이다. 중간 전사 부재(5)는 감광 드럼(1)의 것과 동일한 주연 속도로 시계 방향(도2 참조)으로 원형으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1) 상에서 현상제로 형성된 화상(이후 현상제 화상으로 칭함)은 중간 전사 부재(5)가 전사 롤러(12)와 감광 드럼(1) 사이에 물려 유지되고 전압이 인가되는 상태에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대해 가압 유지되는 1차 전사 롤러(12)(12Y, 12M, 12C, 12K)에 의해 1차 전사 스테이션(T1)에서 중간 전사 부재(5) 상에서 층으로 전사된다. 1차 전사 스테이션(T1)은 중간 전사 부재(5)가 두 개의 표면 사이에서 물려 유지되는 상태에서 1차 전사 롤러(12)의 주연면이 감광 드럼(1)의 주연면 대해 가압 유지되는 경우이다.
현상제 화상의 다중층 전사 이후에, 중간 전사 부재(5)는 이를 통해 기록 매체(P)가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 2차 전사 롤러(13)와 중간 전사 부재(5) 사이에 물려서 유지되면서 이송되는 2차 전사 스테이션(T2)을 통해 이동되어서, 중간 전사 부재(5) 상의 현상제 화상은 모두 동시에 기록 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중간 전사 부재(5)는 수지로 형성된 시임리스 무단 벨트이다. 이는 구동 롤러(14), 카운터 롤러(15) 및 인장 롤러(16) 주위에서 신장됨으로써, 3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중간 전사 부재(5)는 구동 롤러(14)에서 장치 주 조립체(A)에 부착된다. 구동력이 화상 형성 작동과 정합하여 모터(도시 생략)로부터 구동 롤러(14)의 길이 방향 단부 중 하나로 전달됨에 따라, 구동 롤러(1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시트 이송부]
시트 이송부는 기록 매체(P)를 감광 드럼(1)으로 이송하는 부분이다. 이는 다중 기록 매체(P)를 저장하는 카세트(17), 공급 롤러(18), 분리 패드(19) 및 한 쌍의 레지스트 롤러(21)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작동 중, 롤러(18)는 화상 형성 작동과 동기하여 회전식을 구동되어, 카세트(17) 내의 기록 매체(P)를 일대일로 장치 주 조립체(A)로 공급한다. 각각의 기록 매체(P)는 시트 이송 롤러(도시 생략)에 의해 한 쌍의 레지스트 롤러(21)로 이송된다. 한 쌍의 레지스트 롤러(21)는 전사 프로세스 동안 현상제 화상을 기록 매체(P)와 정렬시키기 위해 소정의 시퀀스에 이어지는 기록 매체(P)를 대기 상태로 유지하는 비회전 작동 및 기록 매체(P)를 중간 전사 부재(5)를 향해 해제시키는 회전 작동을 수행한다.
[전사 스테이션]
전사 스테이션은 기록 매체(P)가 전사 롤러(13)와 중간 전사 부재(5) 사이에 물려서 유지되는 상태에서, 현상제 화상을 기록 매체(P) 상으로 전사시키는 상부 위치, 즉 중간 전사 부재(5)에 대해 가압 유지되는 위치에서 현상제 화상을 전사시키는 타이밍에서, 캠(도시 생략)에 의해 대략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2차 전사 롤러(13)를 포함한다. 전사 롤러(13)가 중간 전사 부재(5)에 대해 가압 유지되는 동안에도, 바이어스는 전사 롤러(13)로 연속적으로 인가된다. 그 결과, 중간 전사 부재(5) 상의 현상제 화상은 기록 매체(P) 상으로 전사된다.
중간 전사 부재(5) 및 전사 롤러(13)는 개별적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기록 매체(P)는 중간 전사 롤러(5)와 전사 롤러(13) 사이에서 물려 유지되면서 소정 속도로 도2에서의 좌측 방향으로 이송된다. 이어서, 기록 매체(P)는 정착 스테이션을 향해 이송 벨트(22)에 의해 계속 이송된다.
[정착 스테이션]
정착 장치(8)는 중간 전사 부재(5)로부터 기록 매체(P) 상으로 전사된 현상제 화상을 정착시킨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정착 장치(8)는 기록 매체(P)를 가열하기 위한 세라믹 가열기를 포함하는 필름 가이드 유닛(23) 및 기록 매체(P)를 필름 가이드 유닛(23)에 대해 가압 유지시키기 위한 가압 롤러(24)를 포함한다. 즉, 기록 매체(P)가 필름 가이드 유닛(23) 및 가압 롤러(24)에 의해 이송되는 동안 열 및 압력이 현상제 화상을 담지하는 기록 매체(P)에 가해진다. 그 결과, 기록 매체(P) 상의 현상제 화상은 기록 매체(P) 상에 정착된다.
[화상 형성 작동]
이어서,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화상 형성 작동이 설명될 것이다.
먼저, 롤러(18)(도2 참조)는 정지 상태로부터 카세트(17) 내의 기록 매체(P) 중 하나와 별도로 회전되어, 한 쌍의 레지스트 롤러(21)로 이송시킨다.
반면에, 감광 드럼(1) 및 중간 전사 부재(5)는 도2에서 화살표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소정의 주연 속도(이후 프로세스 속도로 칭함)로 회전된다.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이 대전 롤러(2)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이후에, 전술된 빔 형태의 감광 드럼(1)에 노광된다. 그 결과, 잠상이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모든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작동에 있어 동일하기 때문에, 옐로우 컬러의 화상을 형성하는 작동만이 여기서 설명될 것이다.
[옐로우 화상의 형성]
의도된 컬러 화상 중 옐로우 성분을 반영한 정전 화상은 의도된 화상의 옐로우 성분에 대응하는 스캐너 유닛(3Y)으로부터 방사된 빔 형태의 레이저 광을 조사시킴으로써, 감광 드럼(1Y)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다. 잠상의 형성과 동기하여, 제2 프레임(4Y) 내에 유지되는 현상 수단은 잠상 패턴에 따라 옐로우 현상제를 감광 드럼(1)의 주연면으로 부착시키도록 작동이 이루어지고, 현상 수단은 잠상을 현상시키도록 작동된다. 감광 드럼(1Y)의 주연면 상에 형성된 현상제 화상은 현상 스테이션의 하류측 상에 위치되는 전사 스테이션(T1)에서 중간 전사 부재(5)에 옐로우 현상제의 극성과 반대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중간 전사 부재(5)의 외향으로 대면하는 표면에 전사된다.
이어서, 전술된 순서에 따라 의도된 컬러 화상 중 마젠타, 시안 및 블랙 성분을 반영한 잠상이 형성되어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 화상으로 현상된다. 이어서,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 화상은 순차적으로 중간 전사 부재(5) 상으로 전사된다. 그 결과, 전체 컬러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5) 상에서 4 개의 현상제 화상, 즉 옐로우, 마젠타, 시안 및 블랙 현상제 화상으로 형성된다.
중간 전사 부재(5) 상에 형성된 전체 컬러 화상의 선단 에지가 2차 전사 스테이션(T2)에 도달하기 전에, 전술된 한 쌍의 레지스트 롤러(21)에 의해 대기 상태로 유지되는 기록 매체(P)는 기록 매체(P)의 선단부가 전체 컬러 화상의 선단 에지와 같은 시점에서 2차 전사 스테이션(T2)에 도달하도록 해제된다.
카운터 롤러(15) 아래, 즉 전술된 바닥 위치에서 대기 상태로 유지되는 전사 롤러(13)는 컬러에 있어 다른 전술된 4 개의 현상제 화상이 형성되는 동안, 캠(도시 생략)에 의해 전술된 상부 위치로 상향 이동됨으로써, 전사 스테이션(T2)에서 기록 매체(P)를 중간 전사 부재(5) 상으로 가압한다. 이어서, 현상제와 반대되는 극성의 바이어스가 전사 롤러(13)에 인가된다. 그 결과, 단일의 전체 컬러 화상을 이루는 4 개의 현상제 화상은 기록 매체(P) 상으로 모두 동시에 전사된다.
전사 스테이션(T2)을 통해 이송된 이후에, 기록 매체(9)는 현상제 화상이 정착되는 정착 장치(8)로 이송된다. 이후, 기록 매체(P)는 한 쌍의 배출 롤러(25)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A)의 상부에서 배출 트레이(26) 상으로 배출되어, 단일 사본의 인쇄를 완성한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구조]
이어서, 도3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카트리지(7)의 구조가 설명될 것이다. 도3은 현상제(t)를 포함하는 카트리지(7)의 필수부의 단면도이고, 도4는 카트리지(7)의 사시도이다. 도4에 있어서, 제2 및 제1 프레임(4, 6)은 서로 분리된다. 도5는 감광 드럼(1)의 반대측으로부터 관찰한, 카트리지(7)의 사시도이다. 더 구체적으로, 도5는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에 대한 그 전방 측 상에서의 프레임(4, 6)의 길이 방향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7)의 하우징은 서로 분리될 수 있는 제1 프레임(6) 및 제2 프레임(4)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6)은 전자사진 감광 드럼(1), 즉 드럼 형태의 전자사진 감광 부재, 대전 롤러(2) 및 세척 블레이드(60)를 유지시키는 반면에, 제2 프레임(4)은 감광 드럼(1) 상의 정전 잠상을 현상시키기 위한 현상 롤러(40)를 유지시킨다.
제1 프레임(6)에 있어서, 감광 드럼(1)과 제1 프레임(6) 사이에 위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31)(카트리지 위치 설정 부재)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다.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주위에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기 위한 대전 롤러(2) 및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 블레이드(60)가 감광 드럼(1)의 주연면과 접촉하여 위치된다.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가 세척 블레이드(60)에 의해 세척됨에 따라, 현상제 이송 기구(62)에 의해 드럼 유닛 프레임(61)의 후방부에 위치되는 폐현상제 챔버(63)로 이송된다. 제2 프레임(4)의 다른 길이 방향 단부에 위치되는 헬리컬 기어(46)로 모터(도시 생략)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즉, 헬리컬 기어(46)는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 내에 있는 동안, 현상 롤러(40), 현상제 공급 롤러(43) 및 현상제 이송 부재(42)를 회전시키는 힘을 장치 주 조립체(A)로부터 수용하는 기어이다. 또한, 감광 드럼(1)은 장치 주 조립체(A)로부터 전달된 힘에 의해, 화상 형성 작동과 동기하여 회전식을 구동된다(반시계 방향). 감광 드럼(1)의 축의 길이 방향 단부 부분은 전술된 한 쌍의 베어링(31)으로 끼워 맞춤되고, 카트리지(7)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 설정하기 위해, 카트리지(7)는 측면 판과 감광 드럼(1)의 축의 길이 방향 단부 사이에 위치 설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31)으로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측면 판(106)에 대해 일대일로 위치 설정된다.
제2 프레임(4)은 감광 드럼(1)과 접촉하여 (화살표(Y)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 롤러(40)를 보유한다. 이는 또한 현상제를 내장한 현상제 저장부(41)를 갖는다. 더욱이, 이는 현상 수단 용기(45)를 갖는다. 현상 롤러(40)는 현상 롤러 베어링(47, 48)이 현상 롤러(40)와 현상 수단 용기(45) 사이에 위치되어 현상 수단 용기(4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현상 롤러(40)의 주연면의 인접부에, 현상 롤러(40)에 대해 가압되면서 (화살표(Z)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되는 현상제 공급 롤러(43) 및 현상 블레이드(44)가 위치된다. 더욱이, 현상제 저장부(41) 내에, 교반시키면서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 롤러(43)로 이송하기 위한 현상제 이송 기구(42)가 구비된다.
다음에, 도4를 참조하면, 제2 프레임(4)은 현상 롤러 베어링(47)의 구멍(49)과 현상 롤러 베어링(48)의 구멍(49)에 일대일로 끼워진 한 쌍의 핀(49a)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는 그러한 방식으로 제1 프레임(6)에 부착된다.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에 있지 않을 때, 제2 프레임(4)은 한 쌍의 핀(49a)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한 쌍의 압축 스프링(64)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되어 현상 롤러(40)는 한 쌍의 압축 스프링(64)에 의해 발생된 모멘트에 의해 감광 드럼(1)을 향해 압축되어 유지된다.
현상 중에, 현상제 저장부(41)의 현상제는 현상제 교반 부재(42)에 의해 현상제 공급 롤러(43)로 이송되고, 이는 (화살표(Y)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또한 회전되는 현상제 롤러(40)에 대해 마찰하면서 (화살표(Z)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현상제는 현상 롤러(40)의 주연면에 공급되어 현상 롤러(40)의 주연면 상에 생긴다. 다음에, 현상 롤러(40)의 주연면 상에 생긴 현상제는 현상 롤러(40)의 회전에 의해 현상 블레이드(44)로 이송되고, 이는 현상제 롤러(40)의 주연면의 현상제의 몸체를 현상제를 대전시키면서 소정의 두께로 현상제의 얇은 층으로 형성시킨다. 다음에, 현상제의 얇은 층은 현상제 롤러(40)의 회전에 의해 현상 스테이션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은 현상 롤러(40)의 주연면과 접촉하고, 현상 바이어스(DC 볼트)는 현상 전력 공급 접점(92)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도시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 현상 롤러(40)에 공급되어, 현상제의 얇은 층의 현상제 입자는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정전 잠상의 패턴으로 감광 드럼(1)의 주연면에 부착되어 잠상을 가시 화상으로 현상시킨다.
현상에 기여하지 않은 현상제, 즉, 현상 롤러(40)의 주연면 상에 잔류하는 현상제는 현상제 롤러(40)의 회전에 의해 현상 수단 용기(45)로 회전되고, 여기서 현상제는 현상 롤러(40)를 마찰하면서 회전되는 현상제 공급 롤러(43)에 의해 현상 롤러(40)의 주연면으로부터 박리된다(그것이 회수된다). 회수된 현상제는 현상제 교반 기구(42)에 의해 교반되어 현상 수단 용기(45)의 현상제와 혼합된다.
카트리지(7)는 주 조립체 측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의 고전압을 대전 롤러(2)에 공급하기 위한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점(91), 주 조립체 측에 (도시되지 않은) 전원으로부터의 고전압을 현상 롤러(40)와 현상제 공급 롤러(43)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 바이어스 전기 접점(92) 및 고전압을 현상 블레이드(44)에 공급하기 위한 블레이드 바이어스 전기 접점(93)을 구비한다. 이러한 전기 접점(91, 92, 93)은 길이방향 단부벽, 즉, 감광 드럼(1)의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수직인 벽 중 하나에 부착된다. 특히,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점(91)은 대전 롤러(2)를 지지하는 제1 프레임(6)의 (상술된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방향 단부벽 중 하나에 부착된다.
바이어스를 현상 롤러와 현상제 공급 롤러에 공급하기 위한 전기 접점(91) 및 블레이드 바이어스 전기 접점(92)은 현상 블레이드(44), 현상제 공급 롤러(43) 및 현상 롤러(40)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4)의 (상술된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방향 단부벽 중 하나에 부착된다. 다시 말해서, 전기 접점(91, 92, 93)은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각각 제2 및 제1 프레임(4)의 길이방향 단부벽(4a, 6a)에 부착되고, 카트리지(7)의 길이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동일한 단부에 있는 단부벽(4a, 6a)으로부터 노출된다.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 안으로 삽입될 때, 이러한 전기 접점(91, 92, 93)은 장치 주 조립체(A)의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점(111)(111Y, 111M, 111C, 111K),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점(112)(112Y, 112M, 112C, 112K) 및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점(113)(113Y, 113M, 113C, 113K)과 접촉하여 전력을 카트리지(7)의 대응 부품에 공급할 수 있다. 전기 접점(91, 92, 93)은 카트리지(7)의 대응 부품에 전기 접속되고, 장치 주 조립체(A)의 전기 접점(91, 92, 93)도 마찬가지이다.
특히, 제1 프레임(6)은 감광 드럼(1)을 대전시키기 위해 대전 롤러(2)를 보유한다. 감광 드럼(1)의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1 프레임(6)의 길이방향 단부 중 하나에 위치된 제1 프레임(6)의 단부벽(6a)은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에 있을 때 전압이 장치 주 조립체(A)로부터 대전 롤러(2)에 공급되는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점(91)을 구비한다.
제2 프레임(4)은 현상제를 현상 롤러(40)의 주연면에 공급하기 위한 현상제 공급 롤러(43), 현상 롤러(40)의 주연부에 부착되어 유지되는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기 위한 현상 블레이드(44) 및 잠상 현상 부재로서의 현상 롤러(40)를 보유한다.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2 프레임의 길이방향 단부 중 하나에 위치된 제2 프레임(4)의 길이방향 단부벽(4a)은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에 있을 때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로부터의 전압을 현상 블레이드(44)에 공급하기 위한 블레이드 바이어스 전기 접점(92)을 구비한다. 제2 프레임(4)의 단부벽(4a)은 또한 현상 전압 및 현상제 공급 롤러(43)에 대한 전압이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 있을 때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로부터 현상 롤러(40) 및 현상제 공급 롤러(43)에 공급되는 현상제 바이어스 전기 접점(92)(현상제 공급 바이어스 전기 접점)을 구비한다.
상술된 구조의 장치의 채용으로, 카트리지(7)의 모든 전기 접점은 카트리지(7)의 길이방향 단부 중 하나에 위치되고, 장치 주 조립체(A)의 동일 단부에 장치 주 조립체(A)의 모든 전기 접점을 위치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장치 주 조립체(A)의 전기 접속부가 장치 주 조립체(A)의 전기 회로 보드의 일 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의 카트리지 지지 구조]
다음, 도6 내지 도10을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00)의 카트리지 지지 구조가 설명된다. 도6은 힌지식 커버(11)가 개방된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7은 동일한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8은 그의 구조를 도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카트리지 지지부(판)의 사시도이고, 도9는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의 카트리지 격실 중 하나로 삽입될 때 카트리지(7)를 위치시키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카트리지 위치설정부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0은 힌지식 커버(11)를 폐쇄시킴으로써 장치 주 조립체(A)의 카트리지(7)의 정확한 위치설정 후 장치 주 조립체(A)의 카트리지(7)를 도시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9 및 도10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상부 카트리지 격실의 카트리지를 도시하고,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다른 카트리지 격실, 즉, 도9 및 도10에 도시된 카트리지 격실과 구조면에서 동일한 도9 및 도10에 도시된 것과 상이한 색상에 대한 카트리지(7)용 카트리지 격실은 도시되지 않는다.
힌지식 커버(11)의 회전축은 화상 형성 장치(100)의 바닥부에 위치된다. 힌지식 커버(11)에, 상술된 중간 전사 부재(5)가 부착된다. 따라서, 힌지식 커버(11)를 개방하는 것은 작업자가 카트리지(7Y, 7M, 7C, 7K)를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카트리지(7Y, 7M, 7C, 7K)를 보유하는 것은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이고, 그의 회전축(101a 내지 101b), 즉, 카트리지 보유 부재 지지 부재의 축은 장치 주 조립체(A)의 상부에 위치된다.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는 (도시되지 않은) 연동 장치에 의해 힌지식 커버(11)에 연결된다. 따라서, 힌지식 커버(11)를 개방하는 것은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가 피봇(101a 내지 101b)을 중심으로 회전(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45도)하게 하고, 따라서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의 카트리지(7)가 피봇(101a 내지 101b)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40도)을 궤도식으로 이동하게 한다. 다시 말해, 힌지식 커버(11)를 개방하는 것은 카트리지(7)를 장치 주 조립체(A) 안으로 삽입하거나 또는 그들을 그로부터 제거하기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비용 감소를 위해,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의 좌측 및 우측부(101a 및 101b)가 분리식으로 형성되고, 그 후 결합된다. 그러나,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는 단일 피스 부재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좌측 및 우측부가 분리식으로 형성될 때, 두 개의 부분은 연결 부재에 의해 함께 견고하게 보유된다. 따라서, 두 개의 피스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는 단일 피스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와 구조면에서 사실상 동일하다.
도8을 참조하면,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의 부분(101b)은 상술된 고전압을 카트리지(7)에 공급하기 위한 전기 접점으로서 4개의 카트리지 격실 각각에 대한 한 세트, 현상 블레이드 바이어스 전기 접점(113), 현상 바이어스-현상제 공급 바이어스 전기 접점(112), 4 세트의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점(111)을 구비한다. 따라서, 카트리지(7)가 도면의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로 삽입될 때, 상술된 대전 바이어스 전기 접점(91), 현상 바이어스-현상제 공급 바이어스 전기 접점(92) 및 카트리지(7)의 블레이드 바이어스 전기 접점(93)은 각각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의 부분(101b)의 전기 접점(111, 112, 113)과 접촉한다. 또한,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100)에 삽입되는 방향은 감광 드럼(1)의 길이방향(축방향)에 수직인 방향이다.
다음, 카트리지(7) 및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는 힌지식 커버(11)의 폐쇄가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에 대해 카트리지(7)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구조와 관련해서 설명된다.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가 화상 형성 시 유지되는 위치로부터 대략 45도 외향으로 회전된 후, 카트리지(7)는 장치 주 조립체(A)로 무리없이 삽입될 수 있다.
도9를 참조하면, 카트리지(7)가 제1 위치로 삽입될 때, 이는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의 카트리지(7)에 대한 최저 위치이고, 카트리지(7)의 카트리지 규제부(81)는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의 일부인 장치 주 조립체(A)의 카트리지 규제부(101a 내지 101f)와 접촉한다.
다음에, 힌지식 커버(11)는 폐쇄된다. 힌지식 커버(11)가 폐쇄될 때,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는 힌지식 커버(11)와 카트리지 보유 부재(101)에 연결된 연동 장치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로 이동되고,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7)가 제2 위치로 이동되게 하고, 여기서 카트리지(7)는 화상 형성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7)가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감광 드럼(1)의 축방향으로 제1 프레임(6)의 길이방향 단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되고 감광 드럼(1)의 길이방향 단부 둘레에 끼워진 드럼 샤프트 베어링(31)(제1 및 제2 카트리지 위치설정부)은 위치설정부(106a)(제1 및 제2 위치설정부)에 끼워진다.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하나의 측면 판(106) 및 각각의 베어링(31)에 대한 하나가 각각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후방 및 상향으로 대면한 대응 측면의 측면 판(106)의 두 개의 표면(106a1, 106a2)에 대해 가압된다.
또한,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의 제2 위치로 이동될 때, 카트리지(7)의 카트리지 규제부(81)는 장치 주 조립체(A)의 카트리지 규제부(101a 내지 101f)와 접촉한다.
다시 말해서, 카트리지(7)는 제1 프레임(6)의 길이방향 단부 중 하나에 위치되고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 삽입될 때 장치 주 조립체(A)에 대해 카트리지(7)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제1 카트리지 위치설정부(106a)와 접촉하는 제1 카트리지 위치설정부(31)를 구비한다. 카트리지(7)는 또한 제1 프레임(6)의 다른 길이방향 단부에 위치되고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 삽입될 때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 대해 카트리지(7)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제2 카트리지 위치설정부(106a)와 접촉하는 제2 카트리지 위치설정부(31)를 구비한다. 더욱이, 카트리지(7)는 제1 프레임(6)의 일부이고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카트리지 규제부(101a 내지 101f)와 접촉하여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수용할 때 카트리지(7)의 제1 및 제2 카트리지 위치설정부(31)를 중심으로 카트리지(9)의 회전을 규제하는 카트리지 규제부(81)를 구비한다.
다음에, 화상 형성 장치(100)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의 카트리지(7)에 의한 수용이 설명된다.
카트리지(7)는 감광 드럼(1)의 지지 샤프트의 길이방향 단부 중 하나에 연결된 구동력 수용부(30)(커플러)를 구비한다. 구동력 수용부(30)는 장치 주 조립체(A)의 (도시되지 않은) 구동력 전달 수단과 결합되고, 구동력은 감광 드럼(1)에 전달되어 시계 방향으로 감광 드럼(1)을 회전시킨다(도10). 감광 드럼(1)이 구동력을 수용할 때, 제1 프레임(6)은 제1 및 제2 카트리지 위치설정부로서 한 쌍의 베어링(31)의 축선과 일치하는 선을 중심으로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제1 프레임(6)을 회전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모멘트에 놓인다. 결과적으로, 제1 프레임(6)은 화살표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3 카트리지 위치설정부로서의 카트리지 규제부(81)가 장치 주 조립체(A)의 카트리지 규제부(101a 내지 101f)와 접촉하게 한다. 이러한 모멘트에 의해 야기된 카트리지 규제부(81)와 카트리지 규제부(101a 내지 101f) 사이의 접촉은 감광 드럼(1)이 장치 주 조립체(A)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식으로 구동될 때 발생되는 모멘트에 의해 카트리지(7)가 피봇되는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자세를 고정시킨다. 결과적으로, 카트리지(7), 특히, 카트리지(7)의 감광 드럼(1)은 장치 주 조립체(A)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교반 부재의 구조 및 광 투과에 의한 현상제 잔류량의 검출]
다음, 도11 및 도12를 참조하면, 광 투과에 의한 현상제 잔류량의 검출이 설명된다. 도11은 검출광의 빔이 수광부에 도달되는 투과형 현상제 잔류량 검출 수단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카트리지(7)의 단면도이고, 도12는 검출광의 빔이 수광부에 도달하지 않는 투과형 현상제 잔류량 검출 수단의 단면도이다.
도11을 참조하면, 현상제 저장부(41) 내에, 현상제 교반 부재(41)가 위치된다. 화살표(X)에 의해 지시된 방향으로 현상제 교반 부재(42)의 회전은 현상제를 현상제 공급 롤러(43)로 이송시킨다. 교반 부재(42)는 샤프트(42a) 및 현상제를 교반하면서 이송하기 위한 가요성 시트(42b)를 포함한다.
교반 부재(42)를 구동하기 위한 힘은 현상제 저장부(41)의 측벽 중 하나의 구멍을 통해 삽입되는 (도시되지 않은) 구동 기어에 의해 그에 전달된다.
현상제 저장부(41)는 각각이 투명 윈도우와 광 가이드의 일체식 조합인 제1 및 제2 광 가이드(51, 52)를 구비한다. 제1 광 가이드(51)는 검출광의 빔이 진입하는 측면에 있다. 제1 및 제2 광 가이드(51, 52)는 카트리지(7)의 길이 방향으로 각각 상술된 단부 벽(4a, 6a) 근처에 있다(도5). 제1 광 가이드(51)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 위치된 발광부(63)(LED)로부터 발광된 현상제 잔류량 검출광의 빔(L)을 현상제 저장부(41)로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현상제 저장부(41)를 관통한 후, 검출광(L)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 또한 위치된 수광부(54)(포토 트랜지스터)로 제2 광 가이드에 의해 안내된다. 현상제 교반 부재(42)의 상술된 가요성 시트(42b)가 회전될 때, 검출광(L)을 중단시킬 뿐 아니라 제1 광 가이드(51)의 내향면(51b) 및 제2 광 가이드(52)의 내향면(52b)을 세척한다.
본 실시예에서, 또한, 검출광(L)이 존재하는 제2 광 가이드(52)의 외향면(52a)은 검출광(L)이 현상제 저장부(41)로 안내되는 제1 광 가이드(51)의 외향면(51a)에 대해 (도11 및 도12의 좌향으로)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소정 거리 전방에 위치된다.
도11은 가요성 시트(42b)에 의해 제1 광 가이드(51)의 광 투과면(51b)의 세척 직후 카트리지(7)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11에 도시된 현상제 저장부(41)의 현상제 잔류량은 비교적 적다. 따라서, 검출광(L)은 제2 광 가이드(52)를 통해 투과되는 현상제 저장부(41)를 연속해서 이동하게 하고, 수광부(54)에 의해 검출된다. 이와 반면, 도12는 가요성 시트(42b)가 검출광 투과면(51b)을 세척하기 시작하기 직전에 카트리지(7)의 상태를 도시한다. 카트리지(7)가 도12에 도시된 상태에 있을 때, 검출광(L)은 현상제 저장부(41)의 현상제뿐만 아니라 현상제 교반 부재(42)에 의해 차단되어 제2 광 가이드(52)에 도달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시 말해서, 검출광(L)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 위치된 수광부(54)에 의해 검출되지 않는다.
카트리지(7)가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될 때, 검출광(L)이 교반 부재(42)의 회전당 현상제 저장부(41)를 통해 자유롭게 이동하게 하는 시간의 길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간 길이는 현상제 저장부(41)의 현상제 잔류량을 예측하기 위해 소정의 절차를 따라서 장치 주 조립체(A)의 제어부에 의해 처리된다. 이러한 절차의 채용으로, 현상제 저장부(41)의 현상제 잔류량은 현상제 저장부(41)의 현상제 잔류량이 현상제 저장부(41)의 유효 현상제 용량의 0% 내지 25%의 범위에 있을 때 합리적으로 정확하게 예측될 수 있다.
요약하면, 카트리지(7)의 제2 프레임(4)은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길이방향 단부 중 하나의 근처와 카트리지(7)가 장착되는 방향으로 전방 단부에 위치된 제1 및 제2 광 가이드(51, 52)를 구비한다. 제1 광 가이드(51)는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에 있을 때 제1 광 가이드(51)의 광 입구면(51a)이 장치 주 조립체(A)에 위치된 상술된 발광부(53)를 직접 대면하도록 위치되고, 제2 광 가이드(52)는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에 있을 때 제2 광 가이드(52)의 광 출구면(52a)이 상술된 수광부(54)를 직접 대면하도록 위치된다.
더욱이,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에 있을 때, 제1 프레임(6)은 제2 프레임(4)의 상부에 위치되고, 제1 광 가이드(51)는 현상제 저장부(41) 아래에 위치되고 발광부(53)로부터 발광된 검출광(L)을 현상제 저장부(41)로 안내하고, 검출광(L)이 제1 광 가이드(51)로 진입하고 검출광 가이드(51)를 통해 현상제 저장부(41)로 투과되는 반면, 제2 광 가이드(52)는 현상제 저장부(41) 상부에 위치되고 검출광(L)이 현상제 저장부(41)를 통해 이동한 후 검출광(L)을 수광부(54)로 안내하고, 검출광(L)이 빔 출구면(52a)으로부터 방출되고 수광부(54)에 도달한다. 또한, "길이방향 단부 중 하나에"는 "감광 드럼(1)의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2 프레임의 중심보다 길이방향 단부 중 하나의 더 근처에"를 의미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7)를 구성하는 것은 감광 드럼(1)의 축선에 수직 방향으로 감광 드럼(1)과 중첩하게 발광부(53)를 위치설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감광 드럼(1)이 검출광(L)에 노광되는 것이 방지되어 화상이 형성되는 화상 특성의 수준을 향상시킨다.
제2 프레임(4)에 의해 보유되는 감광 드럼(1)의 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볼 때, 제2 광 가이드(52)는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제1 광 가이드(51)의 전방에 위치되고, 광은 광 입구면(51a)의 전방에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저장 수단의 구조]
다음, 도1 및 도13을 참조하면, 카트리지(7)의 저장 수단이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와의 통신 및 구조에 관련하여 설명된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저장 수단을 구비한 카트리지(7)의 배면도이다.
저장 수단(55)(이는 이하 메모리 유닛으로 언급됨)은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다. 메모리 유닛(55)은 메모리(55b), 카트리지 측의 전기 접점으로서 제1 및 제2 전기 접점(55d1, 55d2), 한 쌍의 도전성 영역(55c1, 55c2) 및 선행된 부분들이 위치되는 유전체 기판(55a)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접점(55d1, 55d2)은 각각 좌측 및 우측으로부터 메모리(55b)를 개재하는 방식으로 위치된 각각의 도전성 영역(55c1, 55c2) 내에 있다.
카트리지(7)는 감광 드럼(1)의 축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제1 프레임(6)의 일단부와 카트리지 장착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 전기 접점(55d)을 구비하고, 이는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의 전기 접점(56a)과 접촉하여 카트리지(7)가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 장착될 때 메모리(55b)에 저장된 데이터를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에 전송한다.
카트리지 측의 전기 접점으로 제1 전기 접점(55d1)을 갖는 제1 도전성 영역(55c1)과 카트리지 측의 전기 접점으로 제2 전기 접점(55d2)을 갖는 제2 도전성 영역(55c2)은 동일한 기판(55a)에 있다.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 상술된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내향 측면으로부터 나열하면, 제1 도전성 영역(55c1), 메모리(55b), 제2 도전성 영역(55c2)이 기판(55a)에 배치된다. 더욱이, 제2 프레임(4)에 의해 보유되는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광 입구부(면)(51a)의 외향 에지와 광 출구부(면)(52a)의 외향 에지를 연결하는 직선(S1)(도13)은 도면에 수직 방향으로부터 볼 때 기판(55a)의 적어도 일부를 중첩한다. 본 실시예에서, 직선(S1)은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메모리(55b)의 내향 측면에 있는 제1 도전성 영역(55c)을 횡단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7)를 구성하는 것은 그렇지 않으면 소용없는 공간인 제1 및 제2 광 가이드 사이의 공간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치수를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1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는 제1 도전성 영역(55c1)에 위치된 두 개의 제1 전기 접점(55d1)과 제2 도전성 영역(55c2)에 위치된 두 개의 제2 전기 접점(55d2)을 구비하고, 카트리지(7)를 전기 연결의 신뢰성면에서 개선시킨다. 화상 형성 장치 주 조립체(A)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기에 연결된 통신 수단으로 통신 유닛(56)을 구비한다.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에 삽입될 때, 각각 제1 및 제2 도전성 영역(55c1, 55c2) 내에서 메모리 유닛(55)의 전기 접점(55d1, 55d2)은 통신용 접점(56a)(주 조립체 측의 전기 접점)과 접촉하게 되고, 메모리 유닛(55)의 메모리(55b)와 (메모리(55b)의 데이터를 판독하거나 메모리(55b)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제어기 사이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메모리(55b)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카트리지(7)의 상태를 도시하는 하나 이상이 다양한 인자, 예를 들어, 카트리지(7)의 현상제(t) 및 전자사진 감광 드럼(1)의 형태, 로트 수, 카트리지 취급 내력, 양호한 화상 형성 작업의 수 등이다.
메모리(55b)에 저장된 다른 데이터는 카트리지 측의 전기 접점(55d1, 55d2)을 통해 장치 주 조립체(A)로부터 전송된 현상제 저장부(41)에 잔류하는 현상제의 양에 관한 데이터이다. 본 실시예에서, 현상제 잔류량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현상제 잔류량에 관한 최소의 데이터는 메모리(55b)에 저장된다. 메모리(55b)에 저장된 현상제 잔류량에 관한 데이터를 갖는 것은 그 사용 중에 카트리지(7)가 하나의 장치로부터 다른 것에 전달될 때에도 사용 수명면에서 카트리지(7)를 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메모리 유닛(55)은 일 피스의 양면 접착 테이프, 접착제, 열 크림핑, 초음파 용접, 스냅 끼움(spap fit) 등과 같은 수단 중 하나를 사용하여 제1 프레임(6)에 부착되고 카트리지(7)의 제1 프레임의 제1 및 제2 카트리지 위치설정부(31)(베어링)에 의해 장치 주 조립체(A)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제1 프레임(6)에 부착된 메모리 유닛(55)은 장치 주 조립체(A)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되어 장치 주 조립체(A)의 통신 유닛(56)에 대해 정확하게 위치된다.
통신 유닛(56)은 4 세트의 도전성 전기 접점(56a)을 구비한다. 각각의 세트는 대응하는 메모리 유닛(55)의 두 개의 도전성 영역(55c1, 55c2)과 접촉되어 위치되는 두 개의 전기 접점(56a)을 갖는다.
각각의 도전성 영역(55c1, 55c2)에 두 개의 전기 접점을 제공하는 것은, 다시 말해서, 도전성 영역(51c)에 두 개의 제1 전기 접점(55d1) 및 도전성 영역(55c2)에 두 개의 제2 전기 접점(55d2)을 제공하는 것은 상술된 바와 같이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실제로, 제1 및 제2 전기 접점(55d1, 55d2)은 카트리지(7)가 장치 주 조립체(A)에 삽입될 때 장치 주 조립체 측의 전기 접점(56a)이 도전성 영역(55c)(55c1 ,55c2)에 형성되는 단지 스크래치 표시부를 의미한다.
다음에, 도14 및 도15를 참조하면, 장치 주 조립체(A)에 장착된 카트리지(7)의 상태가 설명된다. 도14는 그 구조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내부에 카트리지(7) 및 컬러 화상 형성 장치(100)의 카트리지 보유부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15는 그 위에 발광부(53), 수광부 및 통신 유닛(56a)(주 조립체 측면의 전기 접점)이 장착되는 장치 주 조립체(A)의 유전체 기판(17)의 사시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장치 주 조립체(A)에 삽입되는 4개의 카트리지(7)를 보유할 수 있어 카트리지(7)의 감광 드럼(1)은 중간 전사 부재측에 위치되고 또한 4개의 카트리지(7)가 수직으로 적층된다. 특히, 화상 형성 장치(100)는 그들이 저장되는 현상제의 색상이 상이한 카트리지(7Y, 7M, 7C 및 7K)가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다층(4개) 수직으로 적층된 카트리지 격실(7t)을 구비한다. 제1 광 가이드(51)의 광 입구부(51a) 및 제2 광 가이드(52)의 광 출구부(면)(52a)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 삽입 방향으로 카트리지(7)의 전방 단부에 위치된다. 광 입구면(51a) 및 광 출구면(52a)은 현상제 저장부(41)의 높이와 동등한 거리만큼 수직으로 이격되고 서로 평행하다. 따라서, 광 입구면(51a)과 광 출구면(52a) 사이의 공간은 소용없는 공간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카트리지(7)의 경우에, 프린터(100)의 주 조립체와 통신하는 메모리 유닛(55)이 이 공간에 배치된다.
도16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카트리지(7)가 프린터(100)의 주 조립체 내에 있을 때, 메모리 유닛(55)은 광 입구부(면)(51a)의 중심과 일치하는 수평면(A1)과 광 출구부(면)(52a)의 중심과 일치하는 수평면(A2) 사이에 위치설정되도록, 메모리 유닛(55)은 카트리지(7)에 부착된다. 나아가, 도8을 참조하면, 광 입구부(면)(51a) 및 광 출구부(면)(52a)의 중심과 일치하고 감광 드럼(1)의 회전축(R)에 수직한 수직면(A3)은 메모리 유닛(55)의 일부를 횡단한다.
다시 말해, 도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볼 때 광 입구부(51a), 메모리 유닛(55) 및 광 출구부(52a)가 수직으로 정렬된 것처럼 보이도록, 메모리 유닛(55)이 위치된다. 따라서, 제1 광 가이드(51), 제2 광 가이드(52) 및 메모리(55)는 카트리지(7) 내에 집약하여 위치될 수 있어서 감광 드럼(1)의 축방향에 평행한 방향에 대하여 카트리지(7)의 치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카트리지(7)가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프린터(100)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프린터 측상의 메모리 유닛(55), 제1 광 가이드(51) 및 제2 광 가이드(52)는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고,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7)가 프린터(100) 내에 위치될 때 통신 유닛(56)이 LED(53)의 중심과 일치하는 수평면(A1)과 포토-트랜지스터(54)의 중심과 일치하는 수평면(A2) 사이에 위치되도록, 통신 유닛(56)은 프린터(100)의 주 조립체에 부착된다.
따라서, LED(53), 포토-트랜지스터(54) 및 통신 유닛(56)은 동일한 기판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부품들을 제어하는 수단은 동일한 기판 상에 또한 위치될 수 있어서 다중 기판사이에 제어 유닛과 이러한 부품들을 분산시킬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장치 주 조립체(A)의 크기뿐만 아니라 장치 주 조립체(A)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볼 때 카트리지(7)의 메모리 유닛(55), 광 입구부(51a) 및 광 출구부(52a)가 수직으로 정렬되도록 메모리 유닛(55)이 부착되는 카트리지(7)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카트리지가 수직으로 적재되는 컬러 프린터(100)용 카트리지로서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1 광 가이드(51), 제2 광 가이드(52) 및 메모리 유닛(55)과 직접 대면하도록 장치 주 조립체(A)에 부착되는, 현상제 잔류량을 검출하는 LED(53), 포토-트랜지스터(54) 및 주 조립체 측상에서 전기 접점으로서의 통신 유닛(56)이 단일 영역에 집약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LED(53), 포토-트랜지스터(54) 및 통신 유닛(56)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사각 기판(57) 상에 집약하여 위치될 수 있어서 전기 배선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고 부품들을 집약하여 위치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다중 카트리지(7)를 채용하는 프린터(100)의 크기를 감소시키는데 기여하게 된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메모리 유닛(55)은 상기 설명된 막힌 공간 내에 위치된다. 더 상세하게는, 도1 및 도13을 참조하면, 광 입구면(51a) 및 광 출구면(52a)은 카트리지 삽입 방향에 대하여 카트리지(7)의 전방 단부에 위치되고,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길이방향에 대해 동일한 위치에 위치된다. 나아가, 메모리 유닛(55)의 일부가 광 입구부(면)(51a)와 광 출구부(면)(52a)의 외향 에지를 연결하는 직선(S1)에 의해 횡단되도록, 메모리 유닛(55)은 카트리지(7)에 부착된다. 더 상세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카트리지(7)는 직선(S1)이 메모리 유닛(55)의 도전성 영역(55c)을 횡단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 특히 길이 방향에 대하여 제1 프레임(6)의 치수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치수보다 작게 될 수 있고, 현상제 잔류량 검출 광이 감광 드럼(1)의 주연면 상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광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광 입구부(51a)와 광 출구부(52a)가 길이 방향에 대하여 서로 이격되어 위치된다. 따라서, 카트리지(7)의 전체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도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볼 때 수직으로 정렬되고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광 입구부(51a), 광 출구부(52a) 및 메모리 유닛(55)이 카트리지(7)에 부착된다. 따라서, 현상제 잔류량을 검출하는 통신 유닛(56), 발광부(LED)(53) 및 수광부(포토-트랜지스터)(54)는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구성된 카트리지(7)를 채용하면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주 조립체에 부착될 수 있어서, 이들은 서로 근접하여 위치된다.
따라서, 발광부(53)(53Y, 53M, 53C 및 53K), 수광부(54)(54Y, 54M, 54C 및 54K) 및 통신 유닛(56)(56Y, 56M, 56C 및 56K)은 동일한 기판(57)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부품들을 제어하는 수단이 동일한 기판(57) 상에 또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다중 기판사이에 제어 수단 및 상기 설명된 부품들을 분산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장치 주 조립체(A)의 부품수 및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나아가, 다중 카트리지(7)를 채용하고 다중 카트리지(7)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적재되는 컬러 화상 형성 장치(100)의 통신 유닛(56), 발광부(53) 및 수광부(54)는 수직 방향(도 15 참조)으로 연장되는 센서용 동일한 사각 기판(57)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메모리 유닛(55), 광 입구부(51a) 및 광 출구부(52a)는 서로 근접하여 위치되고 도면(도13)에 수직한 방향으로 볼 때 수직으로 정렬되게 보이도록 카트리지(7)에 부착된다.
따라서, 다중 기판사이에 제어 수단 및 상기 설명된 부품들을 분산시킬 필요가 없어서 실질적으로 배선을 감소시키고 이들을 집약시켜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00)의 부품수와 크기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의 카트리지(7)는 상기 설명된 직선(S1)이 메모리 유닛(55)의 도전성 영역(55c)을 횡단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이 직선이 메모리 유닛(55)을 횡단하는 한, 이 직선(S1)은 메모리 유닛(55)의 임의의 부분을 횡단할 수 있다. 직선(S1)이 본 실시예에서 횡단하는 부분과 상이한 메모리 유닛(55)의 부분을 직선(S1)이 횡단할지라도,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설명된 것과 동일하다.
나아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감광 드럼(1)의 축선에 평행한]길이 방향에 대하여 카트리지(7)의 전기 접점(91, 92 및 93)은 제1, 제2 광 가이드(51, 52) 및 메모리 유닛(55)이 위치되는 단부와 동일한 카트리지(7)의 단부에 위치된다. 따라서, 장치 주 조립체(A)와 카트리지(7)를 전기 접속하는 장치 주 조립체(A)와 카트리지(7)의 부품들은 집약하여 위치될 수 있어서, 전원(도시 안됨)과 장치 주 조립체(A)의 전기 기판 사이의 배선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문에 개시된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되지만, 이는 설명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은 개선 목적 또는 다음의 청구범위 내에 있을 때 이러한 변경예 및 수정예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보다 실질적으로 더 작은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 가능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2는 전자사진 프로세스 중 하나를 채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인,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컬러 레이저 프린터의 개략 단면도.
도3은 그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4는 그 전체적인 구조를 도시한 부분적으로 분해된 상태인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5는 빔 형태의 검출광이 수광부에 도달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태를 도시한, 투과형 현상제 잔류량 검출 수단이 구비된,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일부분의 단면도.
도6은 빔 형태의 검출광이 수광부에 도달하지 않은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태를 도시한, 투과형 현상제 잔류량 검출 수단이 구비된, 제1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일부분의 단면도.
도7은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사시도.
도8은 광 가이드 및 저장 유닛의 위치 설정을 도시한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일부분의 사시도.
도9는 화상 형성 장치 내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상태를 도시한, 화상 형상 장치 내의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인접물의 개략 단면도.
도10은 발광부, 수광부 및 통신 수단을 가지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 부품의 사시도.
도11은 투과형 현상제 잔류량 검출 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12는 투과형 현상제 잔류량 검출 수단의 구조를 도시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또 하나의 단면도.
도13은 광 가이드와 저장 수단의 위치 설정 및 구조를 도시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배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보유하고 있는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 일부분의 단면도.
도15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발광부, 수광부 및 통신 수단의 사시도.
도16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17은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서의 광 가이드와 메모리 유닛의 배치를 도시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일부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감광 드럼
2: 대전 롤러
3: 스캐너 유닛
4: 제2 프레임
6: 제1 프레임
7: 카트리지
40: 현상 롤러
51: 제1 광 가이드
52: 제2 광 가이드
55: 메모리 유닛
56: 통신 유닛
91, 92, 93: 전기 접점
100: 컬러 레이저 프린터

Claims (22)

  1.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검출광을 수용하기 위한 수광부 및 주 조립체 전기 접점을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프레임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단부와 인접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상기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발광부에 대향되어 검출광을 수용하는 광 입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수납 용기 내의 현상제 수납 공간을 횡단하도록 검출광을 안내하기에 효과적인 제1 광 가이드와,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일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수광부에 대향되는 광 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수납 공간을 통해 통과된 검출광을 상기 수광부로 유도하기에 효과적인 제2 광 가이드와,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일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광 입구부를 통과하는 수평면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광 출구부를 통과하는 수평면 사이에 제공된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포함하며, 장치의 주 조립체와 통신가능한 메모리 부재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은 상기 광 입구부를 통과하는 수평면과 상기 광 출구부를 통과하는 수평면 하방 사이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현상 부재와 상기 현상제 수납부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 부재는 상기 제1 프레임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1 광 가이드와 상기 제2 광 가이드는 상기 제2 프레임 상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설정하도록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동축으로 상기 제1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되어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주 조립체 위치설정부와 결합가능한 카트리지 위치설정부를 갖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주 조립체의 규제부와 결합가능하여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을 제한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광 입구부의 최외측부와 상기 광 출구부의 최외측부를 연결하는 직선을 횡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갖는 상기 메모리 부재의 도전 성 영역이 상기 직선을 횡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부재는 축방향으로 상기 도전성 영역의 외측에 상기 도전성 영역과 전기 접속되어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저장부와 전기 접속되어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전기 접점과 접촉하는 제2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구비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9.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고,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검출광을 수용하는 수광부와,
    주 조립체 전기 접점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탈거가능하게 장착하는 장착부와,
    상기 기록 재료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해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부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프레임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단부와 인접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발광부에 대향되어 검출광을 수용하는 광 입구부를 포함하며, 현상제 수납 용기 내의 현상제 수납 공간을 횡단하도록 검출광을 안내하기에 효과적인 제1 광 가이드와,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일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수광부에 대향되는 광 출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현상제 수납 공간을 통해 통과된 검출광을 상기 수광부로 유도하기에 적합한 제2 광 가이드와,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상기 일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광 입구부를 통과하는 수평면과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광 출구부를 통과하는 수평면 사이에 제공된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포함하며, 장치의 주 조립체와 통신가능한 메모리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주 조립체 기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 상기 수광부 및 상기 주 조립체 전기 접점은 상기 주 조립체 기부 상에 일체로 제공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 조립체 기부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메모리 부재에 제공된 제2 카트리지 접점과 접촉하는 제2 주 조립체 전기 접점을 갖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착가능한 컬러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고, 복수의 발광부와, 복수의 수광부 및 복수의 주 조립체 전기 접점을 일체로 갖는 주 조립체 기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13.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이며,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현상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데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메모리 부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인접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메모리 부재에 저장된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송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주 조립체 전기 접점과 접촉가능한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상기 일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발광부에 대향되는, 제1 광 가이드의 광 입구부와,
    상기 일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수광부에 대향되는, 제2 광 가이드의 광 출구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1 주 조립체 위치설정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일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 카트리지 위치설정부와,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위치설정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일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카트리지 위치설정부와,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할 때, 상기 제1 카트리지 위치설정부와 상기 제2 카트리지 위치설정부 주위에 다르게 생성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주 조립체의 규제부와 접촉하는 카트리지 규제부를 포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4. 제13항에 있어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고, 상기 제1 프레임은 상대적으로 상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은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광 가이드는 상기 발광부로부터 발광된 광을 상기 광 입구부를 통해 상기 현상제 수납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현상제 수납부의 하방에 위치되고, 상기 제2 광 가이드는 상기 현상제 수납부의 내측을 통과한 광을 상기 광 출구부를 통해 상기 수광부로 안내하도록 상기 현상제 수납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부재,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서 기능을 하는 제1 전기 접점을 갖는 제1 도전성 영역 및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으로서 기능을 하는 제2 전기 접점을 갖는 제2 도전성 영역은 공통의 기부 부재 상에 제공되고, 상기 제1 도전성 영역, 상기 메모리 부재 및 상기 제2 도전성 영역은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순서대로 상기 축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2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는 상기 광 출구부의 외측 단부와 상기 광 입구부의 외측 단부를 연결시키는 직선은 적어도 상기 기부 부재를 횡단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접점은 상기 제1 도전성 영역의 2개의 위치 각각에 제공되고, 상기 제2 전기 접점은 상기 제2 도전성 영역의 2개의 위치 각각에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제2 프레임의 단부로부터 볼 때, 상기 제2 광 가이드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 상기 제1 광 가이드를 넘어 돌출되고, 상기 광 출구부는 상기 광 입구부보다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장착 방향에 대해 선단부측에 더 근접하여 배치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전기 대전시키는 대전 부재가 제공되고,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에 대해 일단부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측면에는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대전 부재로 공급되는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대전 전기 접점이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현상 부재인 현상 롤러와, 상기 현상 롤러의 주연면 상에 적층된 현상제의 양을 규제하는 현상 블레이드와, 상기 현상 롤러의 주연면 상에 현상제를 공급하는 현상제 공급 롤러가 제공되고,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에 대해 일단부에 제공된 상기 제2 프레임의 측면에는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블레이드로 공급되는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블레이드 전기 접점과,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상기 현상 롤러 및 상기 현상제 공급 롤러로 공급되는 전압을 수용하기 위한 현상 전기 접점이 제공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카트리지 전기 접점을 통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 전송되고, 상기 현상제 수납부에 수납된 현상제의 양과 관련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
  21.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탈거가능하게 장착가능하고, 기록 재료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이며,
    발광부와,
    수광부와,
    주 조립체 전기 접점과,
    상기 발광부와, 상기 수광부 및 상기 주 조립체 전기 접점을 갖는 기부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장착부와,
    상기 기록 재료를 반송하는 반송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전자사진 감광 드럼과,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부재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하는 구동력 수용부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을 지지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현상 부재를 지지하며, 상기 현상 부재에 의해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데 사용되는 현상제를 수납하는 현상제 수납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제2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에 제공된 메모리 부재와,
    상기 전자사진 감광 드럼의 축방향에 대해 상기 카트리지 프레임의 일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되는 장착 방향에 대해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메모리 부재에 저장된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전송하기 위해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제공된 주 조립체 전기 접점과 접촉가능한 카트리지 전기 접점과,
    상기 일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발광부에 대향되는, 제1 광 가이드의 광 입구부와,
    상기 일단부에 인접하고 상기 선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상기 수광부에 대향되는, 제2 광 가이드의 광 출구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1 주 조립체 위치설정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일단부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된 제1 카트리지 위치설정부와,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장착될 때,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에 대해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위치설정하기 위하여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제2 주 조립체 위치설정부와 결합하도록 상기 일단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카트리지 위치설정부와,
    상기 구동력 수용부가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로부터의 구동력을 수용할 때, 상기 제1 카트리지 위치설정부와 상기 제2 카트리지 위치설정부 주위에 다르게 생성되는 상기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내에 제공된 주 조립체의 규제부와 접촉하는 카트리지 규제부를 포함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이한 컬러 현상제를 내장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장착하는 복수의 카트리지 장착부가 제공되고, 상기 카트리지 장착부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배열되는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20040049339A 2003-10-08 2004-06-29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KR1007312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49466 2003-10-08
JPJP-P-2003-00349466 2003-10-08
JP2003398939 2003-11-28
JPJP-P-2003-00398939 2003-11-28
JP2004161219A JP4378221B2 (ja) 2003-10-08 2004-05-31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JP-P-2004-00161219 2004-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3796A true KR20050033796A (ko) 2005-04-13
KR100731216B1 KR100731216B1 (ko) 2007-06-22

Family

ID=34317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9339A KR100731216B1 (ko) 2003-10-08 2004-06-29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162174B2 (ko)
EP (2) EP1881378A1 (ko)
JP (1) JP4378221B2 (ko)
KR (1) KR100731216B1 (ko)
CN (1) CN100367133C (ko)
DE (1) DE602004016931D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290B1 (ko) * 2008-02-22 2009-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US7881624B2 (en) 2008-02-22 2011-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890022B2 (en) 2008-02-22 2011-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member, developing cartridge and developing un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8155558B2 (en) 2008-02-22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printing method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8213838B2 (en) 2008-02-22 2012-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eveloper supplying method for a developing apparatus
US8422915B2 (en) 2008-02-22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48734B2 (en) * 2004-01-21 2008-11-1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with pagewidth printhead
JP3970279B2 (ja) * 2004-07-30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EP1834217B1 (en) * 2004-12-28 2011-08-17 Canon Kabushiki Kaisha Charging member,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4349352B2 (ja) * 2005-09-26 2009-10-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
JP4630166B2 (ja) * 2005-09-27 2011-02-09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装置、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280770B2 (ja) 2006-01-11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7219294A (ja) * 2006-02-17 2007-08-3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
JP4667444B2 (ja) 2006-12-13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80772B2 (ja) 2006-12-28 2009-06-1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095649B1 (ja) 2006-12-28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移動部材
JP5084257B2 (ja) * 2006-12-28 2012-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7856192B2 (en) * 2006-12-28 2010-12-2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985029B2 (ja) * 2007-03-29 2012-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5282375B2 (ja) * 2007-06-25 2013-09-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トナー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装置
JP4458378B2 (ja) *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458377B2 (ja) 2007-06-29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742717B2 (en) 2007-09-11 2010-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device, memory unit thereof,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863252B1 (ko) 2008-02-29 2008-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현상기와 그 메모리 유닛 및 화상형성장치
JP4968957B2 (ja) * 2008-03-31 2012-07-04 キヤノン株式会社 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枠体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5127565B2 (ja) * 2008-05-23 2013-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574720B2 (ja) 2008-05-27 2010-11-04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01266B2 (ja) * 2008-05-27 2011-06-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562206B2 (ja) * 2008-09-29 2010-10-1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110008063A1 (en) * 2009-07-08 2011-01-13 Kabushiki Kaisha Toshiba Toner cartridge
JP5517732B2 (ja) 2010-05-11 2014-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539038B2 (ja) 2010-06-02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106656B2 (ja) 2010-06-22 2012-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610893B2 (ja) * 2010-07-23 2014-10-2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収容装置
JP4846062B1 (ja) 2010-08-20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371912B2 (ja) * 2010-09-02 2013-12-18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剤収容装置、現像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JP5769126B2 (ja) * 2011-03-11 2015-08-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HUE047660T2 (hu) * 2011-08-19 2020-05-28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Festéktartály
JP2013122489A (ja) 2011-11-09 2013-06-20 Canon Inc カートリッジ及びユニット
CN107678261B (zh) 2011-11-09 2020-10-23 佳能株式会社 盒和成像装置
JP6004690B2 (ja) * 2012-03-21 2016-10-1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57651B2 (ja) 2012-10-01 2017-01-1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JP6723694B2 (ja) * 2015-07-01 2020-07-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JP6786840B2 (ja) * 2016-03-30 2020-11-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08333904A (zh) * 2017-01-17 2018-07-27 纳思达股份有限公司 处理盒、电子成像装置及检测方法
JP6821450B2 (ja) * 2017-01-25 2021-01-2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並びに画像形成装置
JP7062875B2 (ja) * 2017-03-07 2022-05-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カートリッジ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18180380A (ja) * 2017-04-17 2018-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感光体ユニット、及び、現像ユニット
JP2018205537A (ja) * 2017-06-05 2018-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7047277B2 (ja) * 2017-08-01 2022-04-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ドラム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7058992B2 (ja) 2017-12-13 2022-04-2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US10627780B2 (en) 2018-01-23 2020-04-21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0782643B2 (en) * 2018-11-05 2020-09-22 Lexmark International, Inc. Toner cartridge having positioning features
US11237519B2 (en) * 2019-12-27 2022-02-01 Canon Kabushiki Kaisha Cartridge unit
JP2022076821A (ja) 2020-11-10 2022-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44260A (en) * 1984-05-25 1985-10-01 Xerox Corporation Removable processing cartridge for electrostatographic reproducing apparatus
JP3278198B2 (ja) * 1991-06-28 2002-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前記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着脱可能な画像形成装置
JP2966266B2 (ja) * 1993-11-25 1999-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有無検知装置
JP3359245B2 (ja) * 1995-10-25 2002-12-24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186822A (ja) * 1996-12-27 1998-07-14 Canon Inc トナー残量検知装置および画像記録装置
JPH10228224A (ja) *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28223A (ja) * 1997-02-14 1998-08-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66507B2 (ja) * 1997-08-01 2004-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6157792A (en) * 1998-03-31 2000-12-05 Canon Kabushiki Kaisha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having plural image forming modes, and a process cartridge applied to such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JP2000112218A (ja) * 1998-10-01 2000-04-21 Canon Inc 現像剤収納容器及び現像装置
JP2000194248A (ja) * 1998-12-28 2000-07-14 Canon Inc プロセスカ―トリッジ及び帯電ユニット及び現像ユニット
JP3768706B2 (ja) * 1998-12-28 2006-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9645B2 (ja) * 1999-03-29 200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CN1173830C (zh) * 1999-10-12 2004-11-03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用于喷墨打印设备的墨盒
JP3478797B2 (ja) * 1999-12-28 2003-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250294B2 (ja) * 2000-02-16 2009-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3780171B2 (ja) * 2000-03-03 2006-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715879B2 (ja) * 2000-10-12 200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2244382A (ja) * 2000-12-13 2002-08-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気接点部材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566697B2 (ja) * 2001-02-09 2004-09-1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離隔機構
JP4672893B2 (ja) * 2001-03-30 2011-04-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162203A (ja) * 2001-09-13 2003-06-06 Canon Inc ユニット及び現像カートリッジ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107878A (ja) * 2001-09-28 2003-04-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形成装置
JP3774691B2 (ja) * 2001-10-01 2006-05-1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3140457A (ja) * 2001-11-07 2003-05-14 Canon Inc 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3890227B2 (ja) * 2001-12-21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手段移動機構、帯電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755B2 (ja) * 2001-12-28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809375B2 (ja) * 2001-12-28 2006-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595798B2 (ja) * 2002-01-31 2004-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970217B2 (ja) * 2003-08-29 2007-09-0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793B2 (ja) * 2003-08-29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装着機構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73795B2 (ja) * 2003-10-24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3290B1 (ko) * 2008-02-22 2009-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부, 현상제카트리지, 현상장치 및 이들을 포함하는화상형성장치
US7881624B2 (en) 2008-02-22 2011-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uni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890022B2 (en) 2008-02-22 2011-02-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member, developing cartridge and developing un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8073355B2 (en) 2008-02-22 2011-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ton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US8155558B2 (en) 2008-02-22 2012-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cartridge,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printing method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8213838B2 (en) 2008-02-22 2012-07-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developer supplying method for a developing apparatus
US8422915B2 (en) 2008-02-22 2013-04-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eloper cartridge,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16931D1 (de) 2008-11-20
US20070092286A1 (en) 2007-04-26
CN100367133C (zh) 2008-02-06
CN1605957A (zh) 2005-04-13
JP2005181968A (ja) 2005-07-07
KR100731216B1 (ko) 2007-06-22
JP4378221B2 (ja) 2009-12-02
US7346293B2 (en) 2008-03-18
EP1522905A1 (en) 2005-04-13
EP1522905B1 (en) 2008-10-08
US7162174B2 (en) 2007-01-09
US20050078978A1 (en) 2005-04-14
EP1881378A1 (en)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216B1 (ko)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US7349649B2 (en)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mechanism therefo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8301054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085516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7466939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to which a plurality of process cartridges are detachably mountable by using a moving guide and an opening and closing member
US7158736B2 (en) Process cartridge having first and second rotatably coupled frames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mounting such process cartridge
US715514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US6968142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7149457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EP1536297B1 (en) Process cartridge, mounting method of electrophotographic photosensitive drum and replacing method of the photosensitive drum
US7212768B2 (en) Process cartridge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3997247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1231595A (ja) 画像形成装置
JP4378393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24048166A (ja) 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5345940A (ja) 画像形成装置
JPH11327287A (ja) 画像形成装置
JPH1055102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