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15237A -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15237A
KR20050015237A KR1020030053977A KR20030053977A KR20050015237A KR 20050015237 A KR20050015237 A KR 20050015237A KR 1020030053977 A KR1020030053977 A KR 1020030053977A KR 20030053977 A KR20030053977 A KR 20030053977A KR 20050015237 A KR20050015237 A KR 200500152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power
electronic devi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3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4012B1 (ko
Inventor
한재희
서인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3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4012B1/ko
Priority to US10/870,951 priority patent/US7333745B2/en
Publication of KR20050015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5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4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4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80Details relating to power supplies, circuits boards, electrical conn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Abstract

별도의 옵션물을 장착하거나 내부 부품을 교환하는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커버를 열었을 때 전자기기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될 수 있는 전자기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는, 전원제어유닛을 내장하며 그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와, 케이스의 개방구를 개폐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는 커버와, 전원제어유닛에 외부전원을 연결시키며 개방구의 개방시 전원제어유닛과 외부전원의 연결을 차단시키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전자기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커버를 열었을 때 외부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안전사고 및 전자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Electric device and electric power supplying device thereof}
본 발명은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지보수를 위해 케이스 상에 설치된 커버를 열때 전자기기 내부로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킬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를 구비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기기는 그 내부에 별도의 옵션물을 장착하거나 내부 부품을 교환하는 등의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케이스의 일측에 개방구를 형성시키고, 그 개방구를 개폐할 수 있는 커버를 구비한다.
도 1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전자기기의 일례로 프린터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전자기기(100)는, 전자기기(100)의 외곽을 형성시키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구(115)를 개폐하는 커버(120)와, 외부 상용전원과 연결되는 전원케이블(10)과, 상기 전원케이블(10)의 플러그(미도시)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케이스(110)에 설치되는 콘센트(미도시)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기기는, 상용전원을 차단시키는 별도의 작업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원케이블(10)과 콘센트를 통해 외부 상용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유지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외부 상용전원의 인가는 커버(120)가 열린상태에서도 계속해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상용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전자기기의 유지보수가 수행되는 경우, 내부회로에 충격을 주어 고장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전압을 사용하며 고열로 작동하는 부품이 내장된 프린터와 같은 전자기기의 경우, 작업자가 상술한 부품들에 의해 감전되거나 화상을 입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되기도 하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옵션물을 장착하거나 내부 부품을 교환하는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커버를 열었을 때 전자기기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전자기기는, 전원제어유닛을 내장하며, 그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커버; 및 상기 전원제어유닛에 외부전원을 연결시키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개방구의 개방시 상기 전원제어유닛과 상기 외부전원의 연결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별도의 옵션물을 장착하거나 내부 부품을 교환하는 등과 같은 전자기기의 유지보수를 위해 커버를 열었을 때 전자기기 내부로 공급되는 전원이 자동적으로 차단되기 때문에 안전사고 및 전자기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플러그와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전원연결부재; 및 상기 전원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구의 개폐를 위한 상기 커버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전원연결부재와 분리/연결되는 제 2 전원연결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며, 전원공급 플러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접속부; 상기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전원연결부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접속부; 및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결체는 케이블, FPC, 기판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그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전원케이블의 플러그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제 3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원연결부재의 상기 제 2 접속부는 상기 제 1 접속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재의 연결시 상기 제 3 연결부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제 1 전원연결부재와 전원케이블 및 제 2 전원연결부재의 결합방법은 플러그와 콘센트를 이용한 끼워맞춤결합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외에도 분리가능하고 안전하게 전원을 연결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의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 2 및 제 3 연결부는 상기 개방구를 개폐하기 위한 상기 커버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결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플러그는 상기 개방구의 개폐를 위한 상기 커버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결합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도록 상기 커버에 고정되며 그 양단에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가 각각 형성되는 몸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는 다르게,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플러그는 상기 개방구의 개폐를 위한 상기 커버의 이동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을 따라 상호 분리/결합되면, 상기 연결체는, 상기 커버를 관통하도록 상기 커버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를 상호 경사지게 연결하는 몸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 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는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측면에서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도록 형성되는 제 1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케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제 2 가이드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제 1 전원연결부재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방구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되며, 소정 전원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전원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전원제어유닛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자기기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는 상기 개방구를 통해 외부 옵션물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옵션물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 메모리 등과 같은 것이 설치되는 레이저빔 프린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기기용 콘센트는,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콘센트 몸체;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콘센트 몸체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외부 전원케이블에 마련된 제 1 플러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접속부; 및 상기 전자기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콘센트 몸체의 타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내부에 마련된 제 2 플러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 몸체는 상기 전자기기의 케이스를 개폐하는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접속부와 제 2 플러그는 상기 전자기기 케이스의 개폐를 위한 상기 커버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호 분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레이저빔 프린터를 전자기기의 일례로 들어 도시해 보인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200)는 케이스(210)와, 커버(220)와, 전원공급장치(24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의 내부에는 화상형성부(미도시)와, 급지장치(190)와, 전원제어유닛(230)과, 장착부(270)를 포함하는 구동부품들이 설치된다. 여기서, 전원제어유닛(230)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을 실제 사용전압과 전류로 변환시킨 후 분배하여 각 부품들에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장착부(270)는 전자기기의 기능을 확장시키기 위한 외부 옵션물(290)을 장착하기 위한 것이며, 전자기기(200)의 종류에 따라 그 설치가 생략되기도 한다. 본 실시예와 같은 프린터의 경우 상술한 옵션물(290)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보드, 메모리 카드 등이 사용된다. 한편, 화상형성부와, 급지장치(190)는 통상적인 레이저빔 프린터에 사용되는 화상형성부 및 급지장치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케이스(210)의 일측에는 개방구(215)가 관통형성된다. 상기 개방구(215)는 전자기기(200)에 내장된 부품들의 교환이나 옵션물(290)의 장착이 용이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부(270)와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기기(200)는 평상시에는 외부 이물질이 그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개방구(215)가 폐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전자기기(200)는 개방구(215)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케이스(210)에 설치되는 커버(22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220)는 전자기기(200)의 형태 및 내부구조에 따라 그 크기 및 설치위치를 다양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210)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지보수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케이스(210)의 일측면이 완전하게 개방되는 형태로 형성된 개방구(215)를 개폐할 수 있는 형태로 케이스(210)에 커버(220)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상술한 커버(220)의 착탈은 케이스(210)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213)과, 커버(220)에 형성되는 슬라이드 돌기(223)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원공급장치(240)는 전원제어유닛(230)에 외부 상용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전원연결부재(250)와, 제 2 전원연결부재(260)를 포함한다.
제 1 전원연결부재(250)는 콘센트 몸체(251)와, 제 1 접속부(253)와, 제 2 접속부(255)를 포함하는 콘센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커버(220)가 케이스(210)로부터 분리될 때 전원제어유닛(230)로의 전원공급이 중단되도록 커버(22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콘센트 몸체(251)는 소정 고정수단에 의해 커버(220)에 고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콘센트 몸체(251)에 일체로 형성되어 커버(220)의 고정공(225)에 후크결합되는 고정돌기(257)에 의해 콘센트 몸체(251)가 커버(220)에 고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콘센트 몸체(251)는 제 1 및 제 2 접속부(253)(255)가 소정 통전수단에 의해 커버(220)를 관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그 설치가 생략될 수도 있다. 한편, 제 1 접속부(253)는 커버(220)가 케이스(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자기기(200)의 외부에 노출되는 콘센트 몸체(251)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전원케이블(10)의 제 1 플러그(15)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제 2 접속부(255)는 커버(220)가 케이스(2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자기기(200)의 내부에 배치되는 콘센트 몸체(251)의 타측단에 형성되며, 후술될 제 2 전원연결부재(260)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2 전원연결부재(260)는 커버(220)가 케이스(210)에 장착될 때 제 2 접속부(255)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플러그(263)와, 제 2 플러그(263)를 전원제어유닛(23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케이블(265)을 포함한다. 제 2 플러그(263)는 고정돌기(267)와 같은 고정수단에 의해 케이스(210) 내부에 고정되며, 이러한 제 2 플러그(263)의 고정은 제 2 플러그(263)가 제 2 접속부(255)와의 착탈에 대응하여 유동되지 않게만 이루어지면 무방하다. 제 2 전원연결부재(260)가 전원제어유닛(23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케이블(265)의 설치가 생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 2 플러그(263)와 제 2 접속부(255)의 결합은 제 1 플러그(15)와 제 1 접속부(253)의 결합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제 1 플러그(15)와 제 2 플러그(263)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및 제 2 접속부(253)(255)는 상술한 플러그(15)(263)들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호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플러그(15)(263)가 상호 연결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커버(220)가 열린상태에서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제 1 및 제 2 플러그(15)(263)가 상호 연결됨에 따라 전원제어유닛(230)으로 외부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플러그(263)와 제 2 접속부(255)의 결합방향은 커버(220)가 케이스(210)에 장착되는 방향과 나란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즉, 커버(220)가 케이스(210)에 장착될 수 있도록 도시된 화살표(A) 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 2 플러그(263)와 제 2 접속부(255)가 상호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제 2 플러그(263)와 제 2 접속부(255)가 배치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에 따르면, 커버(220)의 분리시 별도의 작업을 하지 않아도 전원제어유닛(230)로의 외부 상용전원의 공급이 자동적으로 끊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제 2 접속부(255)와 제 2 플러그(263)의 결합을 이용하여 커버(220)가 닫힌 상태에서 록킹되게 할 수 있으므로, 커버(220)를 록킹시키기 위한 별도의 록킹장치를 전자기기(200)에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전자기기(200)의 구조가 보다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참고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플러그(15)와 제 1 접속부(253)의 결합방향은 제 2 플러그(263)와 제 2 접속부(255)의 결합방향과 마찬가지로 커버(220)의 장착방향과 나란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300)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의 제 1 전원연결부재(350)의 제 1 접속부(353)와 제 1 플러그(15)의 결합방향이 커버(220)의 장착방향(A)에 대해 수직한 방향(B)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제 1 접속부(353)와 제 2 접속부(355)는 상호 경사지게 배치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 몸체(351)의 일부가 구부러지게 형성되기도 한다. 이 외에 나머지 구성요소들에 대한 구성은 앞서 설명된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400)를 도시해 보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400)의 커버(420)는 힌지조립체(480)에 의해 케이스(4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커버(420)의 장착이 앞서 설명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 2 플러그(463)와 제 2 접속부(4555) 각각은 상호간의 결합이 도시된 화살표 방향(C)과 나란하게 이루어지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를 설명함에 있어 프린터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별도의 부품을 장착하거나 수리를 하기 위해 열리는 커버를 구비하고, 그 커버가 열렸을 때 외부전원의 인가가 자동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전원연결부재를 구비하기만 한다면 어떤 전자기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전원의 차단을 위한 별도의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전자기기(200,300,400)의 커버(220,420)가 열릴때 전원제어유닛(230)과 외부 상용전원의 연결이 자동적으로 차단된다. 이에 따라, 별도의 옵션물(290)을 장착하거나 내부 부품을 교환하는 등과 같은 유지보수작업이, 커버(220, 420)만 열린 상태에서 수행된다면, 전자기기(200,300,400)로 공급되는 외부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화상을 입거나 감전당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충격에 의한 전자기기(200,300,4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통상의 전자기기의 일례로서 레이저빔 프린터의 외관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빔 프린터의 외관 일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전원공급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빔 프린터의 외관 일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레이저빔 프린터의 외관 일부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200, 300, 400 : 전자기기 210, 410 : 케이스
215 : 개방구 230 : 전원제어유닛
240 : 전원공급장치 10 : 전원케이블
15 : 제 1 플러그 250 : 제 1 전원연결부재
251 : 콘센트 몸체 253 : 제 1 접속부
255 : 제 2 접속부 260 : 제 2 전원연결부재
261 : 제 2 플러그 265 : 케이블
270 : 장착부 290 : 옵션물

Claims (12)

  1. 전원제어유닛을 내장하며, 그 일측이 개방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커버; 및
    상기 전원제어유닛에 외부전원을 연결시키는 전원공급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개방구의 개방시 상기 전원제어유닛과 상기 외부전원의 연결을 차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커버에 설치되는 제 1 전원연결부재; 및
    상기 전원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개방구의 개폐를 위한 상기 커버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제 1 전원연결부재와 분리/연결되는 제 2 전원연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어 전원공급 플러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접속부;
    상기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전원연결부재와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접속부; 및
    상기 커버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접속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케이스의 개방구측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커버를 상기 케이스에 회동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제 1 전원연결부재와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방구에 인접한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고정되며, 소정 전원연결수단을 통해 상기 전원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제어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상기 개방구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2 전원연결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8.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전원제어유닛;
    상기 전자기기의 케이스를 개폐하는 커버에 설치되며, 외부 상용전원과 분리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전원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전원제어유닛과 연결되며, 상기 커버가 열렸을 때에는 상기 전원제어유닛과의 연결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제어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원연결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 2 전원연결부재는 상기 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제 1 전원연결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10.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고정되는 콘센트 몸체;
    상기 전자기기의 외부에 노출되는 상기 콘센트 몸체의 일측단에 형성되며, 외부 전원케이블에 마련된 제 1 플러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접속부; 및
    상기 전자기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콘센트 몸체의 타측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자기기의 내부에 마련된 제 2 플러그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2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콘센트.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몸체는 상기 전자기기의 케이스를 개폐하는 커버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접속부와 제 2 플러그는 상기 전자기기 케이스의 개폐를 위한 상기 커버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호 분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콘센트.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접속부와 상기 제 2 접속부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콘센트.
KR10-2003-0053977A 2003-08-05 2003-08-05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KR100524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977A KR100524012B1 (ko) 2003-08-05 2003-08-05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US10/870,951 US7333745B2 (en) 2003-08-05 2004-06-21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3977A KR100524012B1 (ko) 2003-08-05 2003-08-05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5237A true KR20050015237A (ko) 2005-02-21
KR100524012B1 KR100524012B1 (ko) 2005-10-26

Family

ID=34114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3977A KR100524012B1 (ko) 2003-08-05 2003-08-05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333745B2 (ko)
KR (1) KR1005240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6186B2 (en) 2006-11-27 2010-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5838B2 (en) * 2005-06-20 2007-07-17 Xerox Corporation Printing platform
JP4562597B2 (ja) * 2005-06-30 2010-10-13 株式会社東芝 画像形成装置
US9002313B2 (en) 2006-02-22 2015-04-07 Federal Signal Corporation Fully integrated light bar
JP2009036841A (ja) * 2007-07-31 2009-02-19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US8295729B2 (en) * 2009-03-11 2012-10-23 Kyocera Document Solutions Inc. Image forming device linkable to an optional unit
JP5459475B2 (ja) * 2009-08-25 2014-04-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5978835B2 (ja) * 2012-07-30 2016-08-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5883405B2 (ja) * 2013-02-20 2016-03-1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通電範囲の制御方法および携帯式電子機器
JP6515874B2 (ja) * 2016-06-09 2019-05-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883398B2 (ja) * 2016-09-16 2021-06-09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ニスカ株式会社 外装及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36914A (en) 1989-08-04 1991-04-17 Fook Kee Heng A connector assembly for mounting in a panel
US5918089A (en) * 1996-06-03 1999-06-29 Xerox Corporation Modular control assembly for xerographic printer
KR19980068431A (ko) 1997-02-19 1998-10-15 김광호 전기압력밥솥의 취사제어방법
KR19990024341A (ko) 1997-08-30 1999-04-06 양재신 자동차용 컴팩트 디스크 보관장치
JP2001251067A (ja) 2000-03-06 2001-09-14 Toshiba Tec Corp 電子機器
JP2002031924A (ja) 2000-07-14 2002-01-31 Canon Inc 電装部ロック機構
JP2002258565A (ja) * 2001-03-06 2002-09-1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56186B2 (en) 2006-11-27 2010-1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control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333745B2 (en) 2008-02-19
US20050031368A1 (en) 2005-02-10
KR100524012B1 (ko) 2005-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4012B1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JP4968344B2 (ja) コネクター保持装置
CN102195145B (zh) 具有操纵杆的柔性连接端子
JP2008172891A (ja) 電気接続箱
JP2006012842A (ja) リレー及びコネクタ組立体
CN110121817A (zh) 带短路桥的插接连接器
KR20130089013A (ko) 배전반 안전장치
JP2008172890A (ja) 電気接続箱
JP2000208176A (ja) 盤用コンセント
JP2015164168A (ja) 電子機器
JP4814022B2 (ja) 電気接続箱
KR101441051B1 (ko) 박스
CN113225945B (zh) 数字式速度控制器
JP6329327B2 (ja) コントローラ
JP4947787B2 (ja) 取付用アダプタ
KR20000009592A (ko) 버스바 커버장치
KR200322661Y1 (ko) 분전반의 차단기 스위치 제어장치
CN113853317B (zh) 车辆用电气设备的构造
KR200271228Y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의 케이블 이탈 방지구조
CN105828543A (zh) 具有壳体的功能模块
KR100721987B1 (ko)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EP0918373A2 (en) Multipolar connection system for an electric apparatus which produces electromagnetic noise
KR20220139193A (ko) 차량용 정션박스
KR100408602B1 (ko) 자동차 도어용 커넥터
US7306150B2 (en) Card rea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