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2661Y1 - 분전반의 차단기 스위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분전반의 차단기 스위치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2661Y1
KR200322661Y1 KR20-2003-0013960U KR20030013960U KR200322661Y1 KR 200322661 Y1 KR200322661 Y1 KR 200322661Y1 KR 20030013960 U KR20030013960 U KR 20030013960U KR 200322661 Y1 KR200322661 Y1 KR 200322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circuit breaker
distribution panel
switch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39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타이십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타이십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타이십일
Priority to KR20-2003-00139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26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2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26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rea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전반의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분전반내에 탈, 부착가능하게 조립되는 통상의 차단기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에 설치되는 보조손잡이와, 상기 보조손잡이에는 브라켓이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판의 일단이 체결되며, 상기 회전판의 타단에는 작동아암이 체결되며, 상기 작동아암의 타단에는 차단기의 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작동판이 부착되게 구성함으로서 고정장치의 탈착시에 차단기의 스위치가 먼저 스위칭된 후 탈착되도록 함으로서 스파크등의 발생을 방지하여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분전반의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분전반의 차단기 스위치 제어장치{circuit breaker switch controller of distributing switch}
본 고안은 분전반의 차단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고정장치에 조립된 차단기의 스위치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분전반의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전반이라 함은 수용가에 공급되는 전원을 전등이나 소켓(부하)으로 분리, 공급시키기 위한 전원 분배기와, 상기 부하에 공급되는 전압상태를 감지하여 과부하 누전등과 같은 이상상태 발생시 이를 신속히 차단시킴으로서 전기로 인한 안전사고를 조기에 예방하게 되는 누전차단기, 또는 이상이 있는 부하측만을 선택적으로 규제할 수 있는 배선용 차단기등 각종의 제어기기를 한곳에 모아서 설치하는 함체를 말한다.
한편, 상술한 분전반에 설치되는 차단기는 근래들어 누전이나 기타 점검등의 편리성을 위하여 통상 별도의 고정장치에 고정된 후, 이 고정장치를 직접 분전반에 조립시킴으로서 차단기의 점검등을 위한 작업시 고정장치를 간편히 탈착시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상기 고정장치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히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래의 고정장치(50)는 차단기(26)를 고정시킬 수 있는 몸체(40)를 가지며, 상기 몸체(40)의 후방부에는 다수개의 커넥터(45)가 끼워져 분전반(200)의 배선(150)들과 전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차단기(26)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장치(50)는 상기 분전반(200)에 차례로 적층시켜 조립함으로서 차단기(26)를 간편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50)의 전면에는 손잡이(10)가 부착되어 고정장치(50)를 상기 분전반(200)에서 용이하게 탈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 고정장치(50)는 탈착시에 간혹 작업자들의 부주위로 상기 차단기(26)의 스위치(28)를 OFF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탈착시킴에 따라 스파크등이 발생하여 누전이나 혹은 화재발생등의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어왔다.
또한 대용량을 처리하는 분전반(200)의 경우에는 높은 전압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으로 상기 고정장치(50)가 분전반(200)에서 탈거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고정장치의 내부에 차단기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차단기 고정장치의 탈착시 상기 스위치가 먼저 스위칭 된 후, 탈착되도록 함으로서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분전반의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어장치에 별도의 고정핀을 연결시켜 분전반에 삽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고압으로 인한 진동으로 상기 고정장치가 분전반에서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전반의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분전반내에 탈, 부착가능하게 조립되는 통상의 차단기 고정장치에 있어서,상기 고정장치에 설치되는 보조손잡이와, 상기 보조손잡이에는 브라켓이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에는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판의 일단이 체결되며, 상기 회전판의 타단에는 작동아암이 체결되며, 상기 작동아암의 타단에는 차단기의 스위치를 스위칭하는 작동판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일반적인 분전반에 조립되는 차단기 고정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분전반에 조립되어 있는 누전차단기 고정장치를 정면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의 상세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인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손잡이 12: 보조손잡이
13: 가이드봉 14: 평판
15: 스프링 16: 브라켓
18: 회전판 22: 작동아암
24: 작동판 26: 차단기
28: 스위치 32: 고정핀
50: 차단기 고정장치 100: 차단기 스위치 제어장치
200: 분전반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이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우선 본 고안인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는 통상 차단기 고정장치(50)에 설치가 되며, 상기 고정장치(50)의 구성은 이미 언급했던 바와 같이 차단기(26)가 부착되는 몸체(40)와, 상기 몸체(40)의 후방부에 설치되며 분전반(200)의 배선(150)들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차단기(26)에 전원을 공급하는 다수개의 커넥터(30)들로 크게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정장치(50)에는 본 고안의 주요부인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100)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100)는 크게 보조손잡이(12)와, 상기 보조손잡이(12)에 연결되어 전, 후이동하는 브라켓(16)과, 상기 브라켓(16)에 체결되어 힌지(2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판(18)과, 상기 회전판(18)의 타단에 조립되는 작동아암(22)과, 상기 작동아암(22)의 타단에 체결되어 전술한 차단기(26)의 스위치(28)를 스위칭하는 작동판(24)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100)를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더 상세히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보조손잡이(12)는 전술한 고정장치(5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일측 손잡이(10)내에 설치되며, 이 보조손잡이(12)의 양 끝단에는 직사각의 평판(14)이 볼트 체결된다. 이때 상기 평판(14)에는 양측으로 각각의 가이드봉(13)이 끼워져 있으며, 이 가이드봉(13)의 외주면에는 상기 평판(14)에 텐션을 부여하여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스프링(15)이 끼워진다.
한편, 상기 평판(14)의 중앙부에는 "L"형상을 가지는 브라켓(16)의 일단이 볼트 체결되며, 상기 브라켓(16)의 타단에는 힌지(2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판(18)의 일단이 볼트 체결된다. 상기 회전판(18)의 타단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작동아암(22)의 일단이 볼트 체결되어 있으며, 이 작동아암(22)의 타단에는 "L"형상을 가지며 전술한 차단기(26)의 스위치(28)에 인접하여 있는 작동판(24)이 볼트 체결된다. 즉, 전술한 보조손잡이(12)를 당겨주게 되면 평판(14)은 가이드봉(13)을 타고 이동하여 상기 평판(14)에 체결되어 있는 브라켓(16)을 당겨주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브라켓(16)에 체결되어 있는 회전판(18)은 힌지(20)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18)이 회동함에 따라 작동아암(22)이 당겨지게 됨으로서 작동판(24)은 후진하며 ON상태에 있는 스위치(28)를 밀어 OFF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판(24)의 끝단에는 체결공(25)이 밴딩처리되어 형성되며, 이 체결공(25)에는 고정핀(32)이 끼워진다. 상기 고정핀(32)은 전술한 분전반(200)내에 삽입되는 차단기 고정장치(50)를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작동판(24)의 작동에 따라 고정장치(5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36)을 관통하여 상기 분전반(200)의 요입홈(160)에 삽입됨으로서 분전반(200)의 고압으로 인한 진동발생시 상기 차단기 고정장치(50)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핀(32)은 상기 작동판(24)의 작동에 따라 분전반(200)의 요입홈(160)에서 삽탈이 가능해짐에 따라 분전반(200)의 점검시에 상기 차단기 고정장치(50)의 구속을 해지하여 분전반(200)에서 간편히 탈착시킬 수 있다.
한편, 미설명부호 34는 T형판을 칭한 것으로서, 상기 T형판(34)은 고정핀(32)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분전반의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의 작동상태를 도 4a 내지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분전반(200)의 점검등을 위하여 차단기 고정장치(50)를 탈착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고정장치(50)에 설치되어 있는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100)를 이용하여 차단기(26)의 스위치(28)를 OFF시킨 상태에서 고정장치(50)를 탈착함으로서 스파크등으로 인한 누전이나 기타 화재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차단기 고정장치(50)의 탈착시에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우선 고정장치(50)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는 보조손잡이(12)를 잡고 당겨주게 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손잡이(12)에 체결되어 있는 평판(14)과 브라켓(16)이 차례로 당겨져 상기 브라켓(16)에 볼트 체결되어 있는 회전판(18)을 힌지(20)를 중심으로 회동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회전판(18)과 볼트 체결되어 있는 작동아암(22)은 상기 회전판(18)이 회동함에 따라 작동판(24)을 당겨주게 되며, 이 작동판(24)이 당겨짐으로서 전술한 차단기(26)의 스위치(28)는 자동으로 스위칭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분전반(200)에 설치되어 있는 차단기 고정장치(50)의 탈착시에 먼저 차단기(26)의 스위치(28)를 OFF시킨 상태에서 탈착시킴으로서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여 누전등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동판(24)이 당겨짐과 동시에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장치(50)의 구멍(36)을 관통하여 분전반(200)의 요입홈(160)에 삽입되어 있는 고정핀(32)이 상기 작동판(24)의 작동으로 당겨짐으로서 고정장치(50)의 구속을 해지하여 분전반(200)에서 간편히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고정장치의 내부에 차단기의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설치함으로서 차단기 고정장치의 탈착시 상기 스위치가 먼저 스위칭 된 후, 탈착되도록 함으로서 누전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에 별도의 고정핀을 연결시켜 분전반에 삽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고압으로 인한 진동으로 상기 고정장치가 분전반에서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분전반(200)내에 탈, 부착가능하게 조립되는 통상의 차단기 고정장치(50)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50)에 설치되는 보조손잡이(12)와,
    상기 보조손잡이(12)에는 브라켓(14)이 연결되며, 상기 브라켓(14)에는 힌지(20)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전판(18)의 일단이 체결되며,
    상기 회전판(18)의 타단에는 작동아암(22)이 체결되며,
    상기 작동아암(22)의 타단에는 차단기(26)의 스위치(28)를 스위칭하는 작동판(24)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차단기스위치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판(24)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판(24)의 작동에 따라 상기 분전반(200)에서 삽탈되는 고정핀(32)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분전반의 차단기스위치 자동제어장치.
KR20-2003-0013960U 2003-05-06 2003-05-06 분전반의 차단기 스위치 제어장치 KR2003226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960U KR200322661Y1 (ko) 2003-05-06 2003-05-06 분전반의 차단기 스위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3960U KR200322661Y1 (ko) 2003-05-06 2003-05-06 분전반의 차단기 스위치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2661Y1 true KR200322661Y1 (ko) 2003-08-14

Family

ID=4941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3960U KR200322661Y1 (ko) 2003-05-06 2003-05-06 분전반의 차단기 스위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26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14Y1 (ko) 2009-10-15 2011-04-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고정장치
KR200474477Y1 (ko) * 2010-05-06 2014-09-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기중 차단기의 크래들 및 그를 갖는 인출형 기중 차단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414Y1 (ko) 2009-10-15 2011-04-2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회로차단기의 고정장치
KR200474477Y1 (ko) * 2010-05-06 2014-09-1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출형 기중 차단기의 크래들 및 그를 갖는 인출형 기중 차단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509B2 (en) Lighting systems for power tools
EP0854315B1 (en) Headlamp for vehicle
KR200322661Y1 (ko) 분전반의 차단기 스위치 제어장치
KR20050015237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GB2351614A (en) Control device for electro-hydraulic mining supports containing modular actuating control elements
JP2009043421A (ja) 配線用遮断器
JPH11204015A (ja) 電源遮断コネクタ
JP2000208176A (ja) 盤用コンセント
KR100942224B1 (ko) 진공 차단기의 포지션별 동작 제어장치
JP4947787B2 (ja) 取付用アダプタ
KR101561918B1 (ko) 교체 가능한 차단기 모듈 및 차단기 모듈의 과전류 차단 방법
KR200284332Y1 (ko)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
JP2003063328A (ja) 車両用給電回路の安全装置
KR200211009Y1 (ko) 바이패스기능이 내장된 제어전원용 커넥터
KR200315021Y1 (ko)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
KR20180076191A (ko) 진공 차단기의 인터록 장치
KR100222246B1 (ko) 프로텍터의 방향 전환장치
KR200357513Y1 (ko) 전원공급용 케이블 릴
JP2006271013A (ja) 地上設置形変圧器装置のバイパスケーブル接続装置
KR100867437B1 (ko) 공동주택의 안전사고 방지형 전선 매설구조
JP3693253B2 (ja) 差し込みプラグ
JPH0567401A (ja) 道路トンネル用照明器具の取付装置
KR100861789B1 (ko)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
KR19980053566U (ko)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KR20170084839A (ko) 분전반의 차단기 스위치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