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332Y1 -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 - Google Patents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332Y1
KR200284332Y1 KR2019980011622U KR19980011622U KR200284332Y1 KR 200284332 Y1 KR200284332 Y1 KR 200284332Y1 KR 2019980011622 U KR2019980011622 U KR 2019980011622U KR 19980011622 U KR19980011622 U KR 19980011622U KR 200284332 Y1 KR200284332 Y1 KR 2002843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contact
switch
mode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1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1819U (ko
Inventor
정승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80011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332Y1/ko
Publication of KR200000018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18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3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332Y1/ko

Links

Landscapes

  • Relay Circuits (AREA)
  • Keying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등의 전기적 입력신호나 온도, 빛 등 각종 입력신호에 따라서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릴레이 가동코일(11)의 전단에다 세이브모드(save mode)접점(a)과 홀딩모드(holding mode)접점(b), 오프모드(off mode)접점(c), 런모드(run mode)접점(d), 주접점(A) 및 보조접점(B)을 갖는 다기능 로타리 스위치(12)의 공통단자(CP)를 연결하고, 상기 세이브모드접점(a)을 전원선(S)에 연결함과 더불어 홀딩모드접점(b)을 릴레이스위치부(13)에 있는 릴레이스위치(SR)와 리셋트 스위치(Srs)를 통해 상기 전원선(S)에 연결하며, 상기 런모드접점(d)을 공급전원 스위치(SW)를 통해 상기 전원선(S)에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릴레이의 가동코일(11)을 전원선(T)에다 연결한 구성으로 작업자의 작업시간 절약과 함께 연결선 등의 보조기구가 필요 없고, 감전등의 안전사고, 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순간적인 릴레이의 동작상태를 홀딩모드의 선택으로 홀딩시켜 기기, 회로의 트러블 체크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이 있는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 이다.

Description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
본 고안은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등의 전기적 입력신호나 온도, 빛 등 각종 입력신호에 따라서 전기회로를 개폐하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생산설비의 제어 또는 변전설비의 제어를 위한 입, 출력이나 상태를 온(ON), 오프(OFF) 하기 위해 광범위 하게 사용되는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릴레이는 전자코일에 전원이 인가 되어야만 자기력이 발생되어 장력스프링에 의해 장력을 받는 가동코어를 잡아 당기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가동코어를 잡아 당기면 릴레이의 접점이 동작하여 고정접촉자와 가동접촉자가 접촉하게 되는 바 이 상태를 릴레이가 온(ON) 되었다고 한다.
또한 릴레이의 전자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이 끊기면 장력스프링에 의해 장력을 받는 가동코어가 복원되면서 릴레이의 접점이 떨어지는데 이 상태를 릴레이가 오프(OFF) 되었다고 한다.
이와 같이 릴레이는 전자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릴레이가 온되고, 전자코일에 공급되는 전원이 끊기면 릴레이가 오프되는 단순한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릴레이를 설비의 PLC나 시퀀스에 설치한 경우 현장설비 조건의 충족여부에 따라 릴레이를 온, 오프할 필요가 있는바, 릴레이를 온, 오프하기 위해서는 도면을 미리 파악하고 미리 구비해둔 클립(clip)이 연결된 리드(lead)로 터미널 블록(terminal block)에서 릴레이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터미널 블록에서 릴레이 전원선을 해체하여야 한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의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비되며, 도면 기입의 잘못이나 작업자의 오판으로 타 설비가 가동되어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었다.
또한 릴레이에 인가되어야할 전원과 다른 전원이 릴레이에 잘못 인가되어 쇼트(short), 아크(arc)로 설비의 정전사고나 작업자의 화상재해가 우려되는 위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연결선에 전원이 공급 되었다 하더라도 또 다시 릴레이의 온, 오프 상태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릴레이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가동 식별자가 있는 릴레이의 좌,우에 다기능 로타리 스위치와 리셋트 스위치를 설치함과 더불어 이상 신호를 검지할 수 있는 홀딩회로를 갖추어 릴레이가 통상적으로 온, 오프 동작하거나 로타리 스위치의 선태에 의해 릴레이가 온, 오프동작하여 설비, 기계장치의 고장복구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체크(check), 수리중 오판에 의한 전기사고,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의 상세한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d는 각 동작모드별 본 고안 보조 릴레이의 동작상태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릴레이의 가동코일 12 : 다기능 로타리 스위치
13 : 릴레이스위치부 SW : 공급전원 스위치
SR: 릴레이 스위치 Srs: 리셋트 스위치
A : 주접점 B : 보조접점
a : 세이브모드 접점 b : 홀딩모드 접점
c : 오프모드 접점 d : 런모드 접점
S, T : 전원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는 릴레이 가동코일(11)의 전단에다 세이브모드(save mode)접점(a)과 홀딩모드(holding mode)접점(b), 오프모드(off mode)접점(c), 런모드(run mode)접점(d), 주접점(A) 및 보조접점(B)을 갖는 다기능 로타리 스위치(12)의 공통단자(CP)를 연결하고, 상기 세이브모드접점(a)을 전원선(S)에 연결함과 더불어 홀딩모드접점(b)을 릴레이스위치부(13)에 있는 릴레이스위치(SR)와 리셋트 스위치(Srs)를 통해 상기 전원선(S)에 연결하며, 상기 런모드접점(d)을 공급전원 스위치(SW)를 통해 상기 전원선(S)에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릴레이의 가동코일(11)을 전원선(T)에다 연결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의 상세한 구성도, 도 2a 내지 도 2b는 본 고안 보조 릴레이의 동작모드별 상태도로서, 릴레이를 정상의 통상적인 릴레이로서 동작시키고자 하면, 다기능 로타리 스위치(12)를 조작하여 도 2a에 도시한 런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런모드에서는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레이의 가동코일(11)에 연결된 주접점(A)이 공급전원 스위치(SW)를 통해 전원선(S)에 연결되고, 보조접점(B)은 어디에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릴레이는 공급전원 스위치(SW)의 온, 오프에 따라 통상적인 릴레이와 마찬가지로 동작하게 된다.
또한 릴레이를 필요에 따라 항상 동작하는 상태에 있는 세이브모드를 선택하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레이의 가동코일(11)에 연결된 주접점(A)이 세이브모드접점(a)에 연결되고, 보조접점(B)이 오프모드접점(c)에 연결되어 릴레이는 공급전원 스위치(SW)에 관계없이 항상 동작하는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릴레이를 제어설비에 맞게 인위적으로 오프할 경우에는 다기능 로타리 스위치(12)를 조작하여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오프모드 상태에서는 릴레이의 가동코일(11)에 연결된 주접점(A)이 오프모드접점(c)에 연결되고, 보조접점(B)이 어디에도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 있기 때문에 릴레이는 공급전원 스위치(SW)의 조작에 의해서도 동작하지 않는 오프상태에 있게된다.
또한 회로의 체크, 수리중 순간적으로 걸려오는 트러블(trouble)의 홀딩(holding)을 원할 경우 홀딩모드를 선택하면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릴레이의 가동코일(11)에 연결된 주접점(A)이 홀딩모드접점(b)에 연결되고, 보조접점(B)이 은 공급전원 스위치(SW)를 통해 전원선(S)에 연결되어 있어서 릴레이의 순간적인 동작이 홀딩되며, 이러한 홀딩상태의 해제는 리셋트 스위치(Srs)를 조작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본 고안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릴레이는 릴레이에 다기능 스위치를 설치함으로써 릴레이의 인위적인 온, 오프를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시간 절약과 함께 연결선 등의 보조기구가 필요 없고, 감전등의 안전사고, 설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기기, 회로의 트러블을 체크할 때 작업자가 감지하기 어려운 외부신호에 의한 순간적인 릴레이의 동작상태를 홀딩모드의 선택으로 홀딩시켜 기기, 회로의 트러블 체크를 용이하게 하는 장점도 있다.

Claims (1)

  1. 릴레이 가동코일(11)의 전단에다 세이브모드접점(a)과 홀딩모드접점(b), 오프모드접점(c), 런모드접점(d), 주접점(A) 및 보조접점(B)을 갖는 다기능 로타리 스위치(12)의 공통단자(CP)를 연결하고, 상기 세이브모드접점(a)을 전원선(S)에 연결함과 더불어 홀딩모드접점(b)을 릴레이스위치부(13)에 있는 릴레이스위치(SR)와 리셋트스위치(Srs)를 통해 상기 전원선(S)에 연결하며, 상기 런모드접점(d)을 공급전원 스위치(SW)를 통해 상기 전원선(S)에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릴레이의 가동코일(11)을 전원선(T)에다 연결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
KR2019980011622U 1998-06-30 1998-06-30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 KR2002843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622U KR200284332Y1 (ko) 1998-06-30 1998-06-30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1622U KR200284332Y1 (ko) 1998-06-30 1998-06-30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819U KR20000001819U (ko) 2000-01-25
KR200284332Y1 true KR200284332Y1 (ko) 2002-09-19

Family

ID=69515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1622U KR200284332Y1 (ko) 1998-06-30 1998-06-30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33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554B1 (ko) * 2007-08-10 2008-02-12 기술사사무소경민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의 절전형 벽면스위치 구조
KR100801235B1 (ko) * 2007-08-10 2008-02-11 주식회사 건창이엔씨 벽체내설형 공동주택의 실내 전기스위치
KR100794742B1 (ko) * 2007-08-10 2008-01-15 (주)태양이엔시 공동주택의 단시간 전용전등 스위치 제어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1819U (ko) 2000-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89175C2 (ru) Модуль управления и защиты прерывателя
GB2178255A (en) Solid state power controller with leakage current shunt circuit
US6327130B1 (en) Control device of a circuit breaker opening or closing electromagnet with local and remote control
KR200284332Y1 (ko) 다기능 스위치를 구비한 보조 릴레이
CN110967619B (zh) 检测电路、电路检测及控制方法
CA2878622C (en) Protection module for control and protective switching device
CA2150425C (en) Power supply protection circuit capable of preventing a failure in a mobile satellite communication apparatus resulting from erroneous connection
KR100924726B1 (ko) 테스트 회로를 이용한 누전차단기의 전원역접속회로
KR101541208B1 (ko) 로드 피더의 연결 단자들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 디바이스들을 갖는 제어 모듈 및 로드 피더
KR100382926B1 (ko) 전원공급 자동 전환장치 및 방법
US20230104950A1 (en) System for Distributing Electrical Energy
KR100685461B1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전동기 기동 제어장치
KR200367006Y1 (ko)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전동기 기동 제어장치
KR200369320Y1 (ko) 스위치를 이용한 보조전원 점검장치
KR200327738Y1 (ko) 과전류 차단 장치
KR200142399Y1 (ko) 버스의 밧데리 스위치 오프로 인한 과부하 방지 장치
KR19990019539U (ko) 휴즈 단락시 자동복원장치
KR20020052348A (ko) 자동차의 과전류 차단장치
KR20180077919A (ko) 모터 보호용 차단기의 부족전압 트립장치
KR100214960B1 (ko) 솔레노이드 코일 단선유무 체크회로
JP2022182968A5 (ko)
JPS602036A (ja) 遠隔制御装置の端末回路
CN116191646A (zh) 一种双电源可靠开关切换电路和系统
SU92478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WO2022086569A1 (en) Energy reducing maintenance switch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 energy reducing maintenance switch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