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5021Y1 -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 - Google Patents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5021Y1
KR200315021Y1 KR20-2003-0006082U KR20030006082U KR200315021Y1 KR 200315021 Y1 KR200315021 Y1 KR 200315021Y1 KR 20030006082 U KR20030006082 U KR 20030006082U KR 200315021 Y1 KR200315021 Y1 KR 2003150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power box
box
signal
light e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60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문희
오수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배가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배가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배가텍
Priority to KR20-2003-00060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502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50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50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호기 신호등의 발광다이오드에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인가하는 전원박스를 제1전원박스와 제2전원박스의 2개로 설치하여, 상기 신호등에 인가되는 전원 중에서 어느 한 전원이 중지될 경우에도 또 다른 전원이 작동되면서 상기 신호등의 발광을 지속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전원박스의 신호기 내 설치 및 탈/착이 용이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SWITCHING MODE POWER SUPPLY FOR DEVICE OF A TRAFFIC SIGNAL}
본 고안은 신호기의 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호등에 사용되는 발광다이오드에 직류전원을 공급함과 더불어, 착/탈이 용이한 2개의 전원박스를 이용하여 무정전화를 구현하도록 된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기는 차량도로의 교차 지점에서 각 도로에서 진행하려는 차량에 순차적인 신호를 발해 상기 각 차량들의 원활한 교통을 도모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차량 도로를 횡단하려는 사람들에서 횡단신호를 발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차량 및 사람들에게 신호등의 불빛을 발하거나 끄는 것으로 해당 신호를 이루는 것이 보편적이다.
또, 상기 신호등은 각종 색을 갖는 반사경의 이면에서 백열등을 점등시켜 상기 반사경을 통해 각종 색상의 빛이 조사되도록 하는 것이 보편적이나, 상기 백열등은 발광을 이루는 필라멘트 등 발광체의 수명이 짧음은 물론 고장이 잦으므로,근래에 반영구적인 수명을 갖는 발광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로 상기 신호등의 발광체가 교체되고 있는 실정이다.
여기서, 상기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신호등은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발광다이오드가 다수개(통상 172개) 그 전면에 설치되는 다이오드기판과, 상기 다이오드기판에 직류전원을 인가하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에 교류전원을 인가하는 외부전원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신호등은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된 신호기의 하우징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용도에 따른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신호기의 작동은 통상 교차로에 설치된 다수의 신호기를 제어하는 제어박스에서 각 신호기로 외부전원이 인가되고, 이 인가된 외부전원이 상기 신호기의 하우징 내부에 설치된 변압기로 인가되며, 이 변압기로 인가된 교류전원이 상기 변압기의 작용에 의해 직류로 변압되고, 이 직류로 변압된 전원이 상기 다이오드기판으로 인가되며, 이 다이오드기판으로 인가된 전원이 상기 다이오드기판의 전면에 부착된 다수의 발광다이오드에 인가되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을 이루고, 이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에 따라 상기 신호기의 신호등 점등을 이룬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신호등에 단일개의 변압기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단일개의 변압기에 고장이나 이상 작동현상이 발생되면 상기 변압기의 변압작동에 따라 직류전원을 인가받는 발광다이오드의 발광작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상기 신호등의 작동이 중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구조에 따른 신호등은 상기와 같이, 단일개의 변압기에 이상이 발생되어 수리 또는 교체 작업을 하는 시간동안 상기 신호기에 전원을 차단해야하고, 그에 따라 교차로에 설치된 다수개의 신호기 모두의 전원을 차단한 상태에서 변압기 교체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구조에 따른 신호등 변압기의 교체작업은, 상기 신호등이 설치된 신호기의 하우징을 분해하여 상기 하우징의 이면을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개방된 하우징의 이면을 통해 상기 손상된 변압기를 상기 하우징과 다이오드기판에서 분리하여 제거하고, 상기 손상된 변압기를 제거한 공간에 새로운 변압기를 장착하여 상기 신호기를 재 작동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변압기의 교체작업이 까다롭게 이루어짐은 물론, 상기 변압기의 교체작업 시간동안 상기 신호등의 작동이 중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변압기와 다이오드기판 간의 연결이 상기 다이오드기판에 설치된 커넥터를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커넥터에 대한 변압기 단자의 납땜 등 연결작업이 까다롭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신호등의 발광다이오드에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2개의 전원박스에서 공급하도록 하여, 상기 어느 한 전원박스가 고장나더라도 다른 하나의 전원박스가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지속적으로 직류전원을 공급하도록 하여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지속적인 점등 및 신호등의 지속적인 점등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된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호등의 발광다이오드에 직류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박스가 상기 신호등이 설치된 하우징 및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다이오드기판에 대한 착/탈이 용이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전원박스의 조립 및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됨은 물론, 상기 전원박스의 조립 및 교체 시간이 저감되도록 된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2개의 전원박스로 인해 지속적인 점등을 이루는 신호등의 상기 2개 전원박스 중에서 어느 한 전원박스에 대한 고장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도록 한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호기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 도 1 A-A 선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도 1 B-B 선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요부 분리·결합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박스의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신호기 20 - 하우징
21 - 개구부 22 - 도어
30 - 신호등 31 - 반사경
32 - 발광다이오드 33 - 다이오드기판
34 - 오류등 35 - 인입대
40 - 장착대 41 - 교류입력대
42 - 단자 50 - 결합부
51 - 인입커넥터 52 - 장입커넥터
60 - 제1전원박스 70 - 제2전원박스
61, 71 - 입력필터 62, 72 - 정류부
63, 73 - 스위치회로부 64, 74 - 제어부
65, 75 - 변압부 66, 76 - 출력필터
67, 77 - 역전방지부 68, 78 - 차단부
80 - 연결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는, 신호등의 발광다이오드에 직류전원을 인가하는 전원이 제1전원박스와 제2전원박스의 2중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전원박스는 상기 신호등이 설치되는 하우징의 후면에서 다이오드기판에 이르도록 연결된 박스형상의 장착대에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장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전원박스와 다이오드기판과의 전원연결이 홈의 내부에 단자가 형성된 인입커넥터와, 이 인입커넥터의 단자에 접하도록 돌출단에 단자가 형성된 장입커넥터로 이루어진 결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은, 상기 다이오드기판에 인가되는 전원은 제1전원박스와 제2전원박스에서 정류된 전원이 병렬로 인가되며, 상기 제1전원박스와 제2전원박스 중에서 어느 한 전원박스에 이상이 발생된 경우, 상기 제1전원박스와 제2전원박스 중 어느 한 전원박스만 작동되면서 상기 다이오드기판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신호기(10)를 나타낸 것으로, 신호기(10)는 신호등(30)과, 상기 신호등(30)이 설치되어 그 전면이 표출되도록 전면에 개구부(21)가 형성된 하우징(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신호등(30)은 통상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전면형상을 이루고 형성됨에 따라, 상기 하우징(20)의 전면에 형성된 개구부(21)는 상기 신호등(30)의 전면형상과 동일한 원형 또는 직사각형형상을 이루고 개구된다.
또, 상기 하우징(20)의 후면에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로 관통된 도어(22)가 설치되며, 이 도어(22)는 상기 하우징(20)의 후면 전체가 개방되도록 상기 하우징(20)의 후면 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하우징(20)의 후면 중앙 일부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일단이 힌지를 매개로 체결되어 상기 힌지를 축으로 회동되면서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신호등(30)의 횡단면과 종단면을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반사경(31)과, 발광다이오드(32)와, 오류등(34)과, 다이오드기판(33)과, 인입대(35)와, 결합부(50)와, 장착대(40) 및 전원박스들(60, 70)로 구성된다.
상기 반사경(31)은, 상기 하우징(20)의 개구부(21)에 상기 신호등(30)의 전면 형상과 동일한 원형 또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룬 반사경(31)이 체결된다.
또, 상기 반사경(31)은 상기 신호등(30)의 내부 계기를 보호하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신호등(30)의 내부 발광원으로부터 발광되는 빛이 외부로 원활히 조사되도록 상기 발광원에서 발생되는 빛이 굴절, 직사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32)는 직류전원의 인가에 따라 빛을 발하도록 전류에 일방향의 저항을 형성하는 통상의 발광다이오드로 형성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교차로 신호등(30)을 설명하며, 이에 따라 상기 발광다이오드(32)는 원형의 전면형상을 이루는 신호등(30)의 전면에 172개 정도의 발광다이오드(32)가 고르게 분포되어 설치된다.
상기 오류등(34)은 후술하는 제1전원박스(60) 또는 제2전원박스(70) 중에서 어느 한 전원박스가 오동작 또는 고장난 경우, 상기 전원박스 제어기의 제어에 의해 발광되고, 상기 발광다이오드(32)가 발하는 색상과 보색대비(補色對比)를 이루는 색상의 빛을 발하는 발광다이오드로 구성된다.
또, 상기 오류등(34)은 상기 원형으로 배열된 발광다이오드(32)의 중앙부 또는 중앙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형으로 배열된 발광다이오드(32)의 중앙상부에 단일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상기 다이오드기판(33)은 상기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이 설치됨과 더불어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신호등(30)의 전면 형상과 동일한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인입대(35)는 상기 다이오드기판(33)의 후면 중앙부에 체결되며 상기 전원박스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다이오드기판(33)의 전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 각각에 인가하도록 상기 다이오드기판(33)의 각 배선에 연결되는 배선기기 또는 회로기판으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50)는 상기 전원박스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상기 인입대(35)로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장착대(40)는 상기 다이오드기판(33)에서 상기 하우징(20)의 후면에 형성된 도어(22)에 이르도록 그 내부가 중공된 직사각형 박스형상 또는 직사각형의 관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그 전면에 상기 결합부(50)가 관통되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그 후면이 개구되어 후술하는 전원박스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장착대(40)는 상기 2개의 전원박스(60, 70)가 삽입되도록 2개의 박스가 상호 접합된 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직사각형 박스가 상기 신호등(30)의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장착대(40)는 직사각형의 박스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 직사각형 박스의 각 모서리부 만으로 형성되어 직사각형 박스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상기 전원박스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전원박스의 외곽단의 폭보다 소정폭 큰 폭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장착대(40)는 장착대(40)의 내부로 삽입되는 전원박스에 외부 교류전원을 인가하도록 상기 하우징(20)의 일단에 체결된 교류입력대(41)와 도선을 매개로 연결된 단자(42)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박스에서 노출된 단자(42)와 접합되어상기 교류입력대(41)에서 인가되는 외부전원이 상기 전원박스로 인가되도록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박스(60, 70)와, 장착대(40)와, 인입대(35) 및 다이오드기판(33)이 상호 체결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50)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전원박스(60, 70)는 직사각형의 박스형상을 이루면서 그 내부에 다수의 회로가 장착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전원박스(60, 70)의 후면에는 상기 전원박스(60, 70)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회로가 작동되는 상태를 점검할 수 있는 표시등과 전원스위치 및 제어버튼 등이 설치되고, 상기 전원박스(60, 70)의 전면, 즉 상기 전원박스(60, 70)가 장착대(40)에 삽입되는 방향의 전면에는 장입커넥터(52)가 돌출되어 설치된다.
상기 장착대(40)는 상기 전원박스(60, 70)가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내부가 중공된 박스형상을 이루고 형성되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원박스가 횡방향으로 2개 배열되어 장착되도록 상기 신호등(30)에 대해 횡방향으로 2개의 직사각형 박스가 배열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장착대(40)의 전면에는 상기 전원박스(60, 70)에서 돌출된 장입커넥터(5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를 통해 상기 장입커넥터(52)가 상기 장착대(4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입대(35)에 체결된 인입커넥터(51)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다이오드기판(33)의 후면 중앙부에 인입대(35)가 설치되고, 이 인입대(35)의 후면에 횡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인입커넥터(51)가 외부로 돌출되어 설치되며, 상기 다이오드기판(33)의 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장착대(40)가 다이오드기판(33) 및 하우징(20)에 체결되고, 상기 장착대(40)의 후방 개구를 통해 상기 전원박스들(60, 70)이 삽입되어 체결된다.
또, 상기 전원박스들(60, 70)의 장착대(40)에 끼워져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전원박스의 전면에서 돌출된 장입커넥터(52)가 상기 장착대(40)의 전면 개구를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이 장착대(40)의 개구를 통해 돌출된 장입커넥터(52)가 상기 인입대(35)의 후면에 체결된 인입커넥터(51)와 결합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결합부(50)의 인입커넥터(51)와 장입커넥터(52)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인입커넥터(51)는 타원형의 통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인입대(35)의 후면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그 중앙부가 내부로 함몰되어 장입홈(53)이 형성되고, 이 장입홈(53)의 내주면에 다수개의 단자(42)가 체결되어 형성된다.
상기 장입커넥터(52)는 상기 인입커넥터(51)의 형상과 유사한 타원형의 통형상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인입커넥터(51)의 장입홈(53)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단부에서 외부로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단(5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 상기 돌출단(54)의 양단에는 상기 인입커넥터(51)의 각 단자와 접합되도록 다수개의 단자들이 배열되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전원박스의 장착대(40) 체결에 따라 상기 전원박스의 전면에 돌출된 장입커넥터(52)가 상기 인입대(35)의 후면에 체결된 인입커넥터(51)와 맞접하고, 상기 전원박스에 대한 가압력에 의해 상기 장입커넥터(52)의 전면에 돌출된 돌출단(54)이 상기 인입커넥터(51)의 장입홈(53)에 맞물려 압입되면서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인입커넥터(51)의 장입홈(53)에 돌출단(54)이 맞물림과 동시에 상기 장입홈(53)에 형성된 각 단자와 상기 돌출단(54)에 형성된 각 단자가 상호 맞접해 전류의 통전을 이루도록 된다.
또, 상기 장입홈(53)에 상기 돌출단(54)이 압입되어 끼워짐에 따라 상기 돌출단(54)이 장입홈(53)에 고정되고, 상기 돌출단(54)의 고정에 의해 상기 전원박스가 상기 인입대(35)가 체결된 다이오드기판(33)에 대해 고정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박스들(60, 70)의 회로를 나타낸 것으로, 본 고안은 제1전원박스(60)와, 제2전원박스(7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전원박스(60)는 입력필터(61)와, 정류부(62)와, 스위치회로부(63)와, 제어부(64)와, 변압부(65)와, 출력필터(66)와, 역전방지부(67) 및 차단부(68)로 구성된다.
또, 상기 제2전원박스(70)는 상기 제1전원박스(60)와 동일한 외형 및 내부 구성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1전원박스(60) 및 제2전원박스(70)의 입력필터(61, 71)는 상기 전원박스들(60, 70)에 인가되는 외부의 교류전원에서 규정된 이상의 전원 변동 및 출력 전압 변동을 줄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정류부(62, 72)는 상기 입력필터(61, 71)에서 출력된 교류를 반파정류(半波整流) 작용하여 직류로 변환하도록 된다.
상기 스위치회로부(63, 73)는 후술하는 제어부(64, 74)의 제어에 의해 해당 회로의 전원을 차단하거나,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부(64, 74)는 상기 스위치회로부(63, 73)에서 지속적으로 회로를 닫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회로상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회로를 개방하여 전원을 차단하고 상기 오류등(34)에 전원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변압부(65, 75)는 상기 정류부(62, 72)에서 직류로 변환된 전원을 상기 발광다이오드(32)에 입력되는 전압으로 변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출력필터(66, 76)는 상기 변압부(65, 75)에서 변압된 직류에서 전원 변동 및 출력 전압 변동을 줄여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역전방지부(67, 77)는 일방향 다이오드로 구성되어 상이한 전원박스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또 다른 전원박스로의 입력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차단부(68, 78)는 상기 제1전원박스(60) 및 제2전원박스(70)와 인입대(35)의 결합부(50)로 상기 전원박스들(60, 70)과 인입대(35) 내의 회로를 연결 및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인입대(35)의 내부에는 상기 제1전원박스(60)에서 출력되는 전원 및 제2전원박스(70)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상기 발광다이오드(32)에 인가되도록 병렬로 연결된 연결부(80)가 구성된다.
또, 상기 발광다이오드(32)로 인가되는 전원은 상기 오류등(34)에도 연결되어 상기 전원박스들(60, 70) 중에서 어느 한 전원박스에 오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오류된 전원박스 이외의 전원박스에서 제어부(64, 74)의 제어에 의해 상기 오류등(34)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과정을 설명한다.
본 고안은, 신호기(10) 하우징(20)의 전면 개구에 반사경(31)을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설치된 브래킷을 매개로 체결한다.
상기 반사경(31)의 내부에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이 상기 반사경(31)의 방향으로 향하도록 다이오드기판(33)을 상기 브래킷에 체결한다.
상기 다이오드기판(33)의 후면 중앙부에 상기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과 회로기판의 도선을 매개로 연결된 인입대(35)를 체결한다.
상기 인입대(35)의 후면에 2개의 인입커넥터(51)를 상기 회로기판의 도선과 연결함과 더불어 상기 신호기(10)의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체결한다.
상기 다이오드기판(33)의 후면에 장착대(40)를 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장착대(40)에 형성된 4곳의 모서리부를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면에 각각 체결한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 체결된 장착대(40)의 후면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제1전원박스(60) 및 제2전원박스(70)를 삽입한다.
이때, 상기 전원박스들(60, 70)은 상기 장착대(40)의 내부에 형성된 4곳의 모서리부에 의해 지지되면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장착대(40)의 내부로 삽입된다.
또, 상기 전원박스들(60, 70)이 상기 장착대(40)의 전면부에 이르면 상기 전원박스의 전면에 돌출되어 체결된 장입커넥터(52)의 돌출단(54)이 상기 인입커넥터(51)의 장입홈(53)에 맞닿아 접하게 되고, 상기 장입커넥터(52)의 돌출단(54)이 상기 인입커넥터(51)의 장입홈(53)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전원박스들(60, 70)에 작업자가 지속적으로 가압을 하게되면 상기 돌출단(54)이 상기 장입홈(53)의 내부로 끼워져 상기 전원박스(60, 70)가 상기 장착대(40)에 지지됨과 더불어 상기 인입대(35)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장입홈(53)의 내부에 설치된 각 단자들과 상기 돌출단(54)에 설치된 각 단자들이 상호 접해 통전을 이루도록 된다.
또, 상기 하우징(20)의 일측에서 상기 장착대(40)에 연결된 교류입력대(41)의 단자(42)와 상기 장착대(40)로 삽입되는 전원박스들(60, 70)의 단자가 상호 접해 상기 교류입력대(41)로 인가되는 전원이 상기 전원박스들(60, 70)로 인가되도록 된다.
상기 장착대(40)에 전원박스들(60, 70)이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대(40)의 후방에 위치된 하우징(20)의 도어(22) 또는 하우징(20)의 후면 전체에 걸쳐 형성된 도어(22)를 닫아 상기 신호기(10)의 조립을 완료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라 신호등(30)에 전원이 인가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신호기(10)에 외부전원을 인가하면, 이 신호기(10)로 인가된 교류전원은 상기 신호기(10)의 하우징(20) 일측에 체결된 교류입력대(41)로 인가되고, 이 교류입력대(41)로 인가된 교류전원은 상기 교류입력대(41)에 연결된 장착대(40)로 인가되며, 이 장착대(40)로 인가된 교류전원은 상기 장착대(40)의 단자(42)와 맞접한 제1전원박스(60) 및 제2전원박스(70)의 각 단자를 통해 상기 전원박스로 인가된다.
상기 전원박스들(60, 70)로 인가된 교류전원은 상기 제1전원박스(60) 및 제2전원박스(70)의 내부에 설치된 입력필터(61, 71)에서 전원변동 및 전압변동이 저감되어 정류부(62, 72)로 인가되고, 이 정류부(62, 72)로 인가된 교류전원이 반파정류(半波整流)작용되면서 직류로 변환되어 스위치회로부(63, 73)로 인가된다.
상기 스위치회로부(63, 73)로 인가된 직류전원이 상기 스위치회로부(63, 73)에 연결된 제어부(64, 74)의 제어에 의해 변압부(65, 75)로 인가되어 상기 신호기(10) 신호등(30)의 발광다이오드(32)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압되어 출력필터(66, 76)로 인가된다.
상기 출력필터(66, 76)로 인가된 직류전원이 상기 출력필터(66, 76)에서 전원변동 및 전압변동이 저감되어 역전방지부(67, 77)로 인가된다.
상기 역전방지부(67, 77)의 일방향 전류제어에 의해 상기 출력필터(66, 76)를 통한 직류전원이 차단부(68, 78)를 통해 연결부(80)로 인가된다.
상기 연결부(80)로 인가된 전원은 상기 연결부(80)의 병렬연결을 통해 상기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에 인가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에 빛을 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전원박스(60) 및 제2전원박스(70)는 최초 연결된 외부전원이 동일하게 연결되어 각각 안정, 정류, 변압제어를 이루면서 상기 연결부(80)로 인가되고, 상기 연결부(80)로 인가된 제1전원박스(60)의 직류전원 및 제2전원박스(70)의 직류전원이 상기 연결부(80)의 병렬연결을 통해 상기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으로 각각 인가된다.
또, 상기 제1전원박스(60) 및 제2전원박스(70) 중에서 어느 한 전원박스가장착대(40)에서 분리된 경우, 상기 제1전원박스(60) 및 제2전원박스(70)의 전방에 체결된 결합부(50)의 인입커넥터(51)와, 장입커넥터(52)가 상호 분리되면서 상기 전원박스의 차단부(68, 78) 회로가 단락되면서 해당되는 전원박스를 통한 전원의 인가가 차단된다.
이때, 상기 제1전원박스(60) 및 제2전원박스(70) 중 상기 장착대(40)에서 이탈된 전원박스 이외의 전원박스는 상기 외부 교류전원을 지속적으로 직류 변환하여 상기 연결부(80)의 직렬연결을 통해 상기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에 인가시키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의 발광을 지속시키게 된다.
또, 상기 제1전원박스(60) 및 제2전원박스(70)의 부품에 이상이 발생되어 상기 어느 한 전원박스에 오류가 발생되어 해당 전원박스의 작동이 정지된 경우, 상기 오류가 발생된 전원박스의 작동이 정지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32)에 대한 전원의 인가가 정지되고, 상기 오류 전원박스 이외의 또 다른 전원박스에서 지속적으로 정류, 변압 작용되면서 상기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에 대한 전원의 인가를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오류 전원박스 이외의 또 다른 전원박스에서 인가되는 전원은 상기 연결부(80)의 직렬연결을 통해 상기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에 인가됨은 물론, 상기 연결부(80)에서 연장되어 상기 오류전원박스에 연결된 도선을 통해 상기 오류 전원박스로 인가되지만, 상기 오류 전원박스에 설치된 역전방지부(67, 77)에서 상기 또 다른 전원박스에서 인가되는 전원의 오류 전원박스로의 인가를 방지하여 상기 오류 전원박스의 더 이상 오류를 방지하게 된다.
또, 상기 오류 전원박스를 감지한 또 다른 전원박스의 제어부(64, 74)에서 상기 오류등(34)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오류등(34)의 발광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제1전원박스(60) 및 제2전원박스(70)가 각각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화하여 상기 연결부(80)의 병렬연결을 통해 상기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에 직류전원을 인가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제1전원박스(60) 및 제2전원박스(70) 중 어느 한 전원박스 만이 상기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변환하여 상기 연결부(80)의 직렬연결을 통해 상기 발광다이오드(32) 및 오류등(34)에 직류전원을 인가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상기 전원박스들(60, 70) 중에서 어느 한 전원박스에 오류가 발생되면 상기 오류등(34)이 발광되어 상기 신호기(10)의 외부 작업자가 상기 신호기(10)의 전원박스 오류를 용이하게 감지하도록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신호기의 신호등에 인가되는 전원이 2중으로 설치되어 상기 신호등에 인가되는 전원 중에서 어느 한 전원이 중지될 경우에도 또 다른 전원이 작동되어 상기 신호등의 발광을 지속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효과는, 외부 교류전원을 발광다이오드에 적합한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전원박스의 착/탈이 용이하게 되어 상기 전원박스의 교체작업 및 수리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효과는, 전원의 변환을 이루는 전원박스와 발광다이오드가 설치된 다이오드기판의 연결이 인입커넥터와 장입커넥터의 삽입 퇴몰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전원박스의 탈/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신호등과 하우징으로 구성된 신호기의 신호등 내부에 설치됨과 더불어 전원의 인가에 의해 발광을 이루는 발광다이오드;
    상기 발광다이오드가 다수개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발광다이오드에 동일전원이 인가되도록 연결된 다이오드기판;
    상기 다이오드기판에 직류전원이 인가되도록 체결됨과 더불어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안정, 정류, 변압하여 상기 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입력필터와, 정류부와, 스위치회로부와, 제어부와, 변압부와, 출력필터와, 역전방지부와, 차단부와 연결부로 이루어진 제1전원박스;
    상기 다이오드기판에 직류전원을 인가하도록 체결됨과 더불어 입력되는 교류전원을 안정, 정류, 변압하여 상기 직류전원으로 변환하는 입력필터와, 정류부와, 스위치회로부와, 제어부와, 변압부와, 출력필터와, 역전방지부와, 차단부와 연결부로 이루어진 제2전원박스;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기판의 후면에서 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이르도록 내부가 중공된 관형상을 이룬 2개의 장착대가 상호 접해 체결되고, 이 장착대의 내부에 상기 제1전원박스 및 제2전원박스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다이오드기판과 연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오드기판의 후면에서 후방으로 통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체결됨과 더불어, 그 중앙부에 함몰된 장입홈에 다수개의 단자가 설치된 인입커넥터;
    상기 제1전원박스 및 제2전원박스의 전면에서 통형상을 이루고 돌출되어 체결됨과 더불어 상기 장입홈에 압입되어 상기 장입홈에 설치된 다수개의 단자와 상호 맞접해 통전을 이루도록 판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단의 외주에 다수개의 단자가 설치된 장입커넥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박스 또는 제2전원박스 중에서 어느 한 전원박스에서 오류가 발생된 경우, 또 다른 전원박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됨과 더불어 상기 다이오드기판의 일측단에 설치되는 오류등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
KR20-2003-0006082U 2003-02-28 2003-02-28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 KR2003150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82U KR200315021Y1 (ko) 2003-02-28 2003-02-28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6082U KR200315021Y1 (ko) 2003-02-28 2003-02-28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5021Y1 true KR200315021Y1 (ko) 2003-06-02

Family

ID=4933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6082U KR200315021Y1 (ko) 2003-02-28 2003-02-28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502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750B1 (ko) * 2009-04-20 2009-08-31 진우산전 주식회사 신호등의 전원 연결 구조
KR102217909B1 (ko) * 2020-07-03 2021-02-18 오수아 교통 신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4750B1 (ko) * 2009-04-20 2009-08-31 진우산전 주식회사 신호등의 전원 연결 구조
KR102217909B1 (ko) * 2020-07-03 2021-02-18 오수아 교통 신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14065B1 (en) Illumination lamp and illumination apparatus
US8643299B2 (en) LED lamp and driving circuit for the same
KR100460344B1 (ko) 형광 램프를 채택하는 발광 유니트의 유도식 동작을전자식 동작으로 변환하기 위한 키트
WO2014032358A1 (zh) 一种led 灯及驱动开关
CA3060082C (en) Led battery backup lamp
KR101801601B1 (ko) 무배선 led 조명등
KR200315021Y1 (ko) 신호기용 2중 전원장치
KR102326893B1 (ko) Led 조명기구용 잔광방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led 조명기구
CN107113946A (zh) 具有镇流器兼容性的固态照明驱动器电路
US8344642B2 (en) Lighting device having a rail device that can be fixed to a surface of an object
JPH07114819A (ja) 照灯装置
JP6572718B2 (ja) 照明器具
JP4543961B2 (ja) 引掛接続器
EP0942634A2 (en) HID head-lamp device for a vehicle
US9512967B2 (en) Straight type lamp
JP6354265B2 (ja) 照明灯及び照明装置、照明灯の接続方法
EP1860921A1 (en) Device for PWM regulating the electric power supplied to one or more leds
JP6011676B1 (ja) 照明灯、照明装置、及び点灯制御回路
US20050151426A1 (en) Evg units which may be wired in parallel due to lamp type
KR20190090619A (ko) 안정기 호환형 발광다이오드 램프
KR102168809B1 (ko) 매립형 led 모듈용 컨버터
RU2643345C2 (ru)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7216336B2 (ja) 照明装置
TWI725882B (zh) 用於燈串的電源供應器
CN111148309B (zh) 灯的驱动电路及对该灯的驱动电路进行操作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