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789B1 -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 - Google Patents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789B1
KR100861789B1 KR1020080039954A KR20080039954A KR100861789B1 KR 100861789 B1 KR100861789 B1 KR 100861789B1 KR 1020080039954 A KR1020080039954 A KR 1020080039954A KR 20080039954 A KR20080039954 A KR 20080039954A KR 100861789 B1 KR100861789 B1 KR 100861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amp
input
cas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20080039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17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6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upport for line-connecting terminals within the b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ocating Faul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에 관한 것으로, 외부 인입전선(Li)이 인입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인입전선(Li)과 통전되는 입력전선(Ci)이 삽입되는 입구(211)와 출력전선(Co)이 삽입되는 출구(212)를 갖춘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에 내설되고 입·출구(211,212)를 관통삽입하는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입·출력단자(221,222)를 구비한 차단회로(220)를 갖추되, 입·출구(211,212)의 후방에 위치한 케이스(210)의 일면이 개구되도록 배치되는 너트부와, 개구된 일면을 폐구하면서 너트부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승강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전면에 고정배치되는 스프링과, 입·출구(211,212)를 관통하는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을 가압하도록 스프링에 밀려 전방이동하고 전면이 원주를 따라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관이 형성된 가압대와, 경사관의 전면과 맞닿는 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걸림대가 상호 이격되게 돌출형성되며 경사관의 중심에 삽입되어 가압대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대와, 다수의 걸림대가 회전가능하게 관통해 고정되는 관통구멍을 갖추고 케이스(210)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드와, 다수의 걸림대가 둘러싼 회전축대의 중심 방향으로 삽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걸림대와 가이드를 밀착시키는 캡으로 이루어진 차단기(200)와, 상기 입력전선(Ci)에 병렬연결되는 제1램프(310)와, 제1램프(310)와 직렬연결되어 제1램프(31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320)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제1확인부(300)와, 상기 출력전선(Co) 에 병렬연결되는 제2램프(410)와, 제2램프(410)와 직렬연결되어 제2램프(41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420)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제2확인부(400)로 구성되어, 배선이 손쉬우면서도 접속 여부의 확인이 용이한 효과가 예상된다.

Description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Distributor for Overhea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은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된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배전기는, 원격지의 발전소 또는 변전소로부터 전력을 전달하도록 가공설치된 외부 인입전선이 인입되는 함체 형상의 하우징과, 인입전선과 통전되는 입력전선이 삽입되는 입구와 각 수용가로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전선이 삽입되는 출구를 갖춘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설되고 입·출구를 관통삽입하는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한 차단회로를 갖춘 다수의 차단기가 병렬연결되도록 하우징에 탑재되는 구조이다.
상기 입력전선과 출력전선은 교류전력을 전달하는 전선으로서, 각각 전기가 통하는 활성선 즉 상선과, 전원의 중성극에 접속된 중성선으로 구분되며, 각각 전 류가 통하는 도선부와 도선부를 절연재질의 피복으로 감싸 도선부를 보호하는 피복부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차단기는 절연체의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설되어 통전을 제어하는 차단회로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회로는, 입구와 출구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의 통전 또는 단전을 시키기 위한 메인스위치와, 과전류 또는 단락 사고 발생시 전자석 또는 바이메탈방식으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통하는 전류를 차단시키는 트립부재와, 전자석 방식인 경우 출력단자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기 위한 코일부재를 포함하는 공지의 회로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배전기는,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된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에 개별적으로 접속되도록 케이스의 외부에 형성된 입구와 출구에 입력전선과 출력전선을 각각 삽입하여 볼트로 고정하는 방식과, 케이스 외부로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돌출시키고 돌출된 각 단자에 입력전선과 출력전선을 개별적으로 걸어 접속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의 접속은 작업이 복잡하여 작업시간이 비교적 오래 소모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가 케이스의 내측에 형성되는 경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와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의 접속여부가 보이지 않아, 각 단자와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의 접속확인을 위해서는 출력전선에 부하를 연결해 부하의 작동을 통해서만 접속확인이 가능해 접속확인이 번거로운 문제도 있었다.
한편,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가 케이스의 외부에 노출되게 형성된 경우에는 노출된 단자를 통해 감전 등의 안전상의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단기에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을 손쉽게 접속할 수 있는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인입전선이 인입되는 하우징과, 상기 인입전선과 통전되는 입력전선이 삽입되는 입구와 출력전선이 삽입되는 출구를 갖춘 케이스와, 케이스에 내설되고 입·출구를 관통삽입하는 입력전선및 출력전선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입·출력단자를 구비한 차단회로를 갖추되, 입·출구의 후방에 위치한 케이스의 일면이 개구되도록 배치되는 너트부와, 개구된 일면을 폐구하면서 너트부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승강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전면에 고정배치되는 스프링과, 입·출구를 관통하는 입력전선 및 출력전선을 가압하도록 스프링에 밀려 전방이동하고 전면이 원주를 따라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관이 형성된 가압대와, 경사관의 전면과 맞닿는 돌기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걸림대가 상호 이격되게 돌출형성되며 경사관의 중심에 삽입되어 가압대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대와, 다수의 걸림대가 회전가능하게 관통해 고정되는 관통구멍을 갖추고 케이스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드와, 다수의 걸림대가 둘러싼 회전축대의 중심 방향으로 삽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걸림대와 가이드를 밀착시키는 캡으로 이루어진 차단기와, 상기 입력전선에 병렬연결되는 제1램프와, 제1램프와 직렬연결되어 제1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로 이루어져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1확인부와, 상기 출력전선에 병렬연결되는 제2램프와, 제2램프와 직렬연결되어 제2램프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로 이루어져 하우징에 설치되는 제2확인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배선이 손쉬우면서도 접속 여부의 확인이 용이한 효과가 예상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를 이루는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케이스에 설치된 너트부, 바닥판, 스프링, 가압대, 회전축대, 가이드 및 캡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로 인한 입력전선의 설치 과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는, 하우징(100), 케이스(210)와 차단회로(220)를 갖춘 차단기(200), 제1확인부(300) 및 제2확인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00)은 함체 형상으로 다수의 차단기가 내부에서 상호 병렬연결되어 설치되어 전주의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차단기(200)는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에 내설되어 통전을 제어하는 차단회로(22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케이스(210)는 절연재질의 함체로 형성되어, 하우징(100)에 볼트 등으로 고정되며, 입구(211), 출구(212), 너트부(213), 바닥판(214), 스프링(215), 가압대(216), 회전축대(217), 가이드(218) 및 캡(219)을 구비한다. 상기 입구(211) 및 출구(212)는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이 각각 관통삽입되는 한 쌍의 관 형상으로서 케이스(21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형성되며, 각 입구(211) 및 출구(212)는 각각 한 쌍의 활성선(Ci1,Co1)과 중성선(Ci2,Co2)으로 이루어진 입력전선(Ci)과 출력전선(Co)이 각각 삽입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너트부(213)는 입구(211) 및 출구(212)의 후방에 위치한 케이스(210)의 배면 일부가 원 형상으로 개구되고, 개구된 둘레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판(214)은 개구된 일면을 폐구하는 원형의 판 형상을 가진 밀대(214a)와, 밀대(214a)의 배면에 돌출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되고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너트부(213)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가능하게 케이스(210)에 설치된 다. 따라서, 상기 바닥판(214)은 손잡이부(214b)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스프링(215)은 바닥판(214)의 전면에 각각 고정배치되도록 케이스(210)에 내설되어, 바닥판(214)이 전방으로 이동되면 가압되어 압축된다.
상기 가압대(216)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각의 스프링(215)에 밀려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케이스(210)에 개별적으로 내설된다. 그리고, 상기 각 가압대(216)의 중심부에는 전면이 원주(圓周)를 따라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관(216a)이 형성되며, 경사관(216a)의 내측으로 회전축(216b)이 전방으로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압대(216)는 한 쌍의 가압돌기(216c)를 구비하여서, 회전축(216b)을 중심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전방으로 돌출형성되어 해당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의 활성선(Ci1,Co1)과 중성선(Ci1,Co2)을 각각 가압하도록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돌기(216c)는 가압대(216)가 스프링(215)에 밀려 전방으로 이동되면, 해당 가압돌기(216c)에 의해 입구(211) 또는 출구(212)에 삽입되어진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을 전방으로 가압하여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을 해당 입구(211) 또는 출구(212)에 고정시킨다.
상기 회전축대(217)는 일단의 회전홈(217c)이 형성되고 외면에 경사관(216a)의 전면과 맞닿는 돌기(217a)가 형성되며 타단은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걸림대(217b)가 상호 이격되게 돌출형성되어 케이스(210)의 전면(f)에 노출되고 일단은 케이스(210)에 내설되되 회전홈(217c)이 회전축(216b)에 끼워져서 가압대(216)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218)는 다수의 걸림대(217b)가 회전가능하게 관통해 고정되는 원 형상의 관통구멍(218a)이 전후방으로 개구되어 걸림대(217b)가 노출되는 케이스(210)의 전면(f)에 배치된다.
상기 캡(219)은 상호 이격된 다수의 걸림대(217b)의 중심에 삽탈가능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캡(219)이 상호 이격된 걸림대(217b) 사이에 삽입되면 걸림대(217b)가 벌어지면서 가이드(218)에 걸림대(217b)를 밀착시켜 회전축대(217)는 회전되지 않는다.
상기 차단회로(220)는 케이스(210)에 내설되며, 입구(211)와 출구(212)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입력전선(Ci)과 출력전선(Co)의 전기적인 연결을 제어하는 공지의 회로로서, 입력전선(Ci)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입력단자(221)가 입구(211)에 하방에 밀착되게 배치되고, 출력전선(Co)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출력단자(222)는 출구(212)의 상방에 밀착되게 배치되며,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이 입구(211) 또는 출구(212)에 각각 삽입되면 해당 단자(221,222)에 접속된다. 그리고, 조작을 통해 상기 입력전선(Ci)과 출력전선(Co)의 통전을 제어하는 메인스위치(223)가 케이스(210)의 전면(f)에 노출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확인부(300)는 인입전선(Li)에 연결된 입력전선(Ci)의 전력공급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입력전선(Ci)에 병렬연결되는 제1램프(310)와, 제1램프(310)와 직렬연결되어 제1램프(31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320)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에 설치된다. 상기 제1램프(310)는 범용 소형전구이다. 상기 제1스위치(320)는 조작을 통해 접점(미도시)을 탈부착시켜 회로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되어 전력공급을 제어하는 통상의 스위치로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제1확인부(300)는, 전력의 소모를 줄이기 위해, 제1스위치(320)의 접점이 탈착된 상태로 설치되어 제1램프(310)가 소등된 상태로 배치되며, 전력공급여부의 확인시에만 제1스위치(320)를 조작하여 통전되어 제1램프(310)가 점등되면, 전력이 입력전선(Ci)으로 정상적으로 공급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확인부(400)는, 출력전선(Co)에 병렬연결되는 제2램프(410)와, 제2램프(410)와 직렬연결되어 제2램프(41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420)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출력전선(Co)에 병렬연결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제1확인부(300)와 동일한 구성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전선(Ci)의 전력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제1스위치(320)를 조작하여 소등상태인 제1램프(310)가 점등되면 인입전선(Li)으로부터 입력전선(Ci)으로 전력 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차단회로(220)를 통해 출력전선(Co)의 전력공급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제2스위치(420)를 조작하여 소등상태인 제2램프(410)가 점등되면 정상적으로 전력이 공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상기 차단기(200)가 정상상태에서 부하로의 전력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작업자는 제1확인부(300)를 통해 입력전선(Ci)으로의 전력공급여부를 확인한 다. 이때, 상기 제1확인부(300)의 제1램프(310)가 점등되면, 입력전선(Ci)으로의 전력공급은 정상적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입력전선(Ci)으로의 전력공급이 정상임에도 불구하고 부하로의 전력이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제2램프(410)의 점등여부를 확인하여 문제가 발생된 개소를 찾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차단기(200)가 정상이고 입력전선(Ci)도 정상임에도 출력전선(Co)에 병렬연결된 제2램프(410)가 미점등 된다면 그 이유는 세 가지로 추측가능해지는데, 입력전선(Ci)이 입력단자(221)에 비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경우와 출력전선(Co)이 출력단자(222)에 비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경우 및 출력전선(Co)의 자재불량이다. 상기 첫 번째와 두 번째의 경우에는, 재접속을 하여 확인하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2램프(410)가 미점등 된다면 출력전선(Co)을 교체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의 작동은 아래와 같다.
도 4의 a는, 상기 입력전선(Ci)이 입구(211)에 배치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바닥판(214)은 너트부(213)의 후방에 배치되어 스프링(215)을 전방으로 가압하지 않는 상태이고, 캡(219)은 걸림대(217b) 사이에 삽입된 상태이며, 이때 돌기(217a)는 경사관(216a)의 전면 중 상대적으로 경사가 낮은 후방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215)에 의해 가압대(216)가 전방으로 탄발지지되어, 입구(211)는 가압돌기(216c)에 의해 일정부분이 폐쇄되므로 입력전선(Ci)의 삽입이 용이하지 않다.
한편, 도 4의 b는, 상기 입력전선(Ci)을 입구(211)에 배치하기 위한 것을 도시한 것으로서, 걸림대(217b)의 중앙에 배치된 캡(219)을 제거한 뒤 걸림대(217b)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축대(217)는 제자리에서 회전되지만, 돌기(217a)는 경사관(216a) 전면의 경사를 따라 전면 중 상대적으로 경사가 큰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가압대(216)를 후방으로 밀어 가압대(216)가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후방으로 밀리는 가압대(216)에 의해 스프링(215)이 압축되며, 가압대(216)의 전면에 형성된 가압돌기(216c) 또한 입구(211)의 후방으로 배치되어 입구(211)가 개구된다.
이후,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된 해당 입구(211)에 입력전선(Ci)을 삽입한다.
그리고, 도 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구(211)에 입력전선(Ci)이 삽입된 상태에서, 걸림대(217b)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돌기(217a)가 경사관(216a)의 전면 중 상대적으로 경사가 낮은 후방으로 경사를 따라 이동되면, 가압대(216)를 후방으로 미는 힘이 줄어들어 압축된 스프링(215)의 탄성력으로 가압대(216)가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가압돌기(216c)가 입력전선(Ci)을 고정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가압돌기(216c)에 의해 입력전선(Ci)이 입구(211)에 고정되어 각 단자(221,222)에 접속되므로, 정상상태에서는 입력전선(Ci)의 전력이 출력전선(Co)으로 전달되어 부하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는, 공구 없이도 입력전선(Ci) 및 출력전 선(Co)을 해당 단자(221,222)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입구(211) 및 출구(212)에 삽입되어 입력단자(221) 및 출력단자(222)에 접속되는 다양한 두께의 입력전선(Ci)을 걸림대(217b)의 회전을 통해 편리하게 접속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도 4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이 고정되면, 회전축대(217)가 회전되지 않도록 캡(219)을 걸림대(217b)의 중앙에 삽입한 후, 손잡이부(214b)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밀대(214a)를 전방으로 가압하면 스프링(215)의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증가하여 입력전선(Ci) 또는 출력전선(Co)을 고정하는 고정력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는, 상기 케이스(210) 배면에 바닥판(214)이 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프링(215)의 탄성력이 조정가능하므로, 입구(211) 및 출구(21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의 고정력을 높여 지속적으로 일정한 힘으로 접속을 유지시키게 되는 효과도 있다. 다시 말해, 접속된 상기 입력전선(Ci)에 외력이 발생하여도 쉽게 입구(211)로부터 입력전선(Ci)이 빠지지 않게 되어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한편, 도 4는 입구(211)측의 작동만 도시하였으나, 출구(212)측의 작동도 이와 동일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를 이루는 차단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케이스에 설치된 너트부, 바닥판, 스프링, 가압대, 회전축대, 가이드 및 캡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기로 인한 입력전선의 설치 과정을 순차 도시한 단면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00:하우징, 200:차단기,
210:케이스, 211:입구,
212:출구, 213:너트부,
214:바닥판, 214a:밀대,
214b:손잡이부, 215:스프링,
216:가압대, 216a:경사관,
216b:회전축, 216c:가압돌기,
217:회전축대, 217a:돌기,
217b:걸림대, 217c:회전홈,
218:가이드, 218a:관통구멍,
219:캡, 220:차단회로, 221:입력단자,
222:출력단자, 223:메인스위치,
300:제1확인부, 310:제1램프,
320:제1스위치, 400:제2확인부,
410:제2램프, 420:제2스위치, Ci:입력전선,
Ci1,Co1:활성선, Ci2,Co2:중성선,
Co:출력전선, f:케이스 전면.

Claims (1)

  1. 외부 인입전선(Li)이 인입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인입전선(Li)과 통전되는 입력전선(Ci)이 삽입되는 입구(211)와 출력전선(Co)이 삽입되는 출구(212)를 갖춘 케이스(210)와, 케이스(210)에 내설되고 입·출구(211,212)를 관통삽입하는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이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는 입·출력단자(221,222)를 구비한 차단회로(220)를 갖추되, 입·출구(211,212)의 후방에 위치한 케이스(210)의 일면이 개구되도록 배치되는 너트부(213)와, 개구된 일면을 폐구하면서 너트부(213)의 나사산과 맞물려 회전하면서 전후방으로 승강되는 바닥판(214)과, 바닥판(214)의 전면에 고정배치되는 스프링(215)과, 입·출구(211,212)를 관통하는 입력전선(Ci) 및 출력전선(Co)을 가압하도록 스프링(215)에 밀려 전방이동하고 전면이 원주를 따라 경사지게 돌출된 경사관(216a)이 형성된 가압대(216)와, 경사관(216a)의 전면과 맞닿는 돌기(217a)가 일단에 형성되고 타단은 둘레면을 따라 다수의 걸림대(217b)가 상호 이격되게 돌출형성되며 경사관(216a)의 중심에 삽입되어 가압대(216)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대(217)와, 다수의 걸림대(217b)가 회전가능하게 관통해 고정되는 관통구멍(218a)을 갖추고 케이스(210)에 돌출형성되는 가이드(218)와, 다수의 걸림대(217b)가 둘러싼 회전축대(217)의 중심 방향으로 삽탈가능하게 삽입되어 걸림대(217b)와 가이드(218)를 밀착시키는 캡(219)으로 이루어진 차단기(200)와,
    상기 입력전선(Ci)에 병렬연결되는 제1램프(310)와, 제1램프(310)와 직렬연 결되어 제1램프(31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1스위치(320)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제1확인부(300)와,
    상기 출력전선(Co)에 병렬연결되는 제2램프(410)와, 제2램프(410)와 직렬연결되어 제2램프(410)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2스위치(420)로 이루어져 하우징(100)에 설치되는 제2확인부(400)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
KR1020080039954A 2008-04-29 2008-04-29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 KR100861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954A KR100861789B1 (ko) 2008-04-29 2008-04-29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954A KR100861789B1 (ko) 2008-04-29 2008-04-29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1789B1 true KR100861789B1 (ko) 2008-10-08

Family

ID=4015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954A KR100861789B1 (ko) 2008-04-29 2008-04-29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178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86Y1 (ko) 2002-05-17 2002-08-13 이명기 가로등용 단자대
KR20040010018A (ko) * 2002-07-26 2004-01-31 대원전기 주식회사 쉐벨기능이 있는 가공전선 가선용 전선클립
KR200388334Y1 (ko) 2005-03-23 2005-06-30 (주)위지트 차단기가 구비된 전력량계
KR20060026729A (ko) * 2004-09-21 2006-03-24 강재석 전선 연결 접속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086Y1 (ko) 2002-05-17 2002-08-13 이명기 가로등용 단자대
KR20040010018A (ko) * 2002-07-26 2004-01-31 대원전기 주식회사 쉐벨기능이 있는 가공전선 가선용 전선클립
KR20060026729A (ko) * 2004-09-21 2006-03-24 강재석 전선 연결 접속기
KR200388334Y1 (ko) 2005-03-23 2005-06-30 (주)위지트 차단기가 구비된 전력량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0798B1 (en) Disconnect watthour meter socket adapter
US7713072B2 (en) Adapter device for a low voltage switching device
US20080070432A1 (en) Relay retrofit apparatus having an electrically-activated relay switch for retrofitting an electrical system
KR100722251B1 (ko) 지상변압기용 엘보 접속재 분리장치
KR100872144B1 (ko) 분배전반 보호용 전신주의 배전함
KR100861789B1 (ko)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
KR100875745B1 (ko) 가공전선 연결형 수배전함
KR100861097B1 (ko) 다세대 주택의 분배전 관리를 위한 배전반
GB2340672A (en) Mains electric wall switch and socket assembly
KR100867437B1 (ko) 공동주택의 안전사고 방지형 전선 매설구조
KR100875746B1 (ko)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의 수배전장치
KR100858977B1 (ko) 공동주택의 배전선 지지구조
KR100857209B1 (ko)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
KR100867435B1 (ko) 공동주택의 전기공급용 인입전선 안내대
KR100858486B1 (ko) 배전반 보호용 배전함체
KR100864314B1 (ko) 공동주택의 실내 분전구조
KR102459033B1 (ko) 가공배전라인의 안정적 지지가 가능한 가공배전선 고정 클램프 장치
KR100882790B1 (ko) 지상변압기의 저압케이블 분리용 집게형 접속장치
KR100877403B1 (ko) 가공전선의 접속구조를 개선한 분배전기
MX2011003830A (es) Conector cable coaxial.
CN101599399A (zh) 熔丝保持器
KR100847360B1 (ko) 공동주택의 벽면매설형 전선라인 고정 브래킷
KR101573066B1 (ko) 배전반 및 분전반의 부스바 접속장치
JP4845517B2 (ja) モールド開閉器用接続装置及び送電経路の復旧方法
KR102029021B1 (ko) 공동주택 전기의 전기 분전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