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086Y1 - 가로등용 단자대 - Google Patents

가로등용 단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086Y1
KR200285086Y1 KR2020020015161U KR20020015161U KR200285086Y1 KR 200285086 Y1 KR200285086 Y1 KR 200285086Y1 KR 2020020015161 U KR2020020015161 U KR 2020020015161U KR 20020015161 U KR20020015161 U KR 20020015161U KR 200285086 Y1 KR200285086 Y1 KR 200285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hole
bolt
trip
hole
earth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1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하용
이명기
Original Assignee
이명기
이하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기, 이하용 filed Critical 이명기
Priority to KR20200200151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0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086Y1/ko

Links

Landscapes

  • Connection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로등용 전주의 전력선 연결부와 누전차단기를 방수함과 아울러 가로등의 절연저항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가로등용 단자대를 개시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선의 접속과 절연 및 절연저항 측정이 용이하고, 전선과 누전차단기가 수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가로등용 전주의 내부에 입력측 전선, 부하측 전선, 다른 전주로 연결되는 연결전선이 상호 접속되고, 누전차단기와 전력반송모뎀이 설치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일측에 전선삽입공과 볼트제어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제어공의 측부에 트립제어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결합볼트의 단부가 몸체에 삽입 관통되고 일측에 접점이 형성된 터미널과, 트립제어공에 체결되며 단부에 접점이 형성되어 터미널의 접점과 접속 또는 차단되는 트립볼트를 구비하되, 볼트제어공과 트립제어공의 입구를 폐쇄하는 커버와, 전선이 삽입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전선삽입공의 입구에 체결되는 캡과, 상기 볼트제어공, 트립제어공, 전선삽입공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를 방수하는 패킹재를 형성하고, 케이스 내부에 누전차단기와 전력반송모뎀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각 전선의 접속부위와 누전차단기 및 전력반송모뎀이 방수되므로, 수분에 의한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나 기기의 오작동 또는 고장이 예방되며, 전선이 터미널에 접속되므로 접속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트립볼트를 용이하게 탈부착함으로써 절연저항의 측정이 용이하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가로등용 단자대{Terminal Support for Street Lamp}
가로등용 단자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로등용 전주의 전력선 연결부와 누전차단기를 방수함과 아울러 가로등의 절연저항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는 가로등용 단자대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가로등용 전주의 하측 내부에는 입력측 전선과 부하측 전선 및 다른 전주로 연결되는 연결전선이 결속되어 있고, 부하측 전선에는 누전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가로등용 전주를 첨부한 도면 도 1로 도시하였다.
이에 의하면 가로등용 전주(100)의 하측 내부에 가로등측으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입력측 전선(101)과 상기 가로등용 전주(100)의 하측에서 상측 가로등으로 연결된 부하측 전선(102) 및 다른 가로등에 전원을 인가시키기 위한 연결전선(103)의 단부 피복을 벗긴 후, 이들 전선(101,102,103)의 단부를 서로 꼬아 결합되도록 하여 결선시키고, 상기 결선부위에 절연테이프(104)를 감아 절연처리되었다.
또한, 부하측 전선(102)이나 입력측 전선(101) 중 어느 한 전선(101,102)에 누전차단기(105)를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이러한 연결에 의하여 전원이 입력측 전선(101)을 통하여 출력측 전선(102)으로 인가되어 가로등을 점등시킴은 물론, 연결전선(103)을 통하여 다른 가로등을 점등시키게 되는 것이며, 인가되는 전류나 전선(101,102,103)에 이상이 있을 경우, 누전차단기(105)가 작동되어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그러나, 이러한 연결방식은 절연상태가 불량하고, 점검이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즉, 상기 결선부위를 절연테이프(104)로 감아 절연하였으므로, 시간 경과에 따른 절연테이프(104)의 경년변화, 침수, 결로현상, 빗물침투 등에 의하여 결선부위에서상기 절연테이프(104)가 벗겨져 절연이 파괴되고, 이에 따라 전기적 접속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관리를 위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 상기 절연테이프(104)를 벗겨낸 상태에서 측정한 후, 다시 절연테이프(104)를 감아야 하는 등 관리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누전차단기(105)가 가로등용 전주(100) 내에서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침수, 결로현상, 빗물침투 등의 현상이 발생되면 상기 누전차단기(105)에 수분이 스며들어 기기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를 감안하여 전선의 접속과 절연 및 절연저항 측정이 용이하고, 전선과 누전차단기가 수분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가 용이하고 각종 기기를 보호하는 가로등용 단자대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가로등용 전주의 전력선 연결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대의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단자대의 트립수단을 도시한 설명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대가 전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단자대 11 : 케이스 12 : 전선삽입공
13 : 볼트제어공 14 : 트립제어공 15 : 체결공
16 : 트립볼트 17,22 : 접점 18 : 터미널
19 : 몸체 20 : 결합볼트 21 : 단부
23 : 캡 24 : 통공 25,26 : 커버
27 : 패킹재 28 : 제어커버 29 : 누전차단기
30 : 스위치 31 : 전력반송모뎀 32 : 입력측 전선
33 : 부하측 전선 34 : 연결전선 35 : 가로등용 전주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가로등용 전주의 내부에 입력측 전선, 부하측 전선, 다른 전주로 연결되는 연결전선이 상호 접속되고, 누전차단기와 전력반송모뎀이 설치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일측에 전선삽입공과 볼트제어공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제어공의 측부에 트립제어공이 형성된 케이스와, 결합볼트의 단부가 몸체에 삽입 관통되고 일측에 접점이 형성된 터미널과, 트립제어공에 체결되며 단부에 접점이 형성되어 터미널의 접점과 접속 또는 차단되는 트립볼트를 구비하되, 볼트제어공과 트립제어공의 입구를 폐쇄하는 커버와, 전선이 삽입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전선삽입공의 입구에 체결되는 캡과, 상기 볼트제어공, 트립제어공, 전선삽입공에 설치되어 케이스 내부를 방수하는 패킹재를 형성하고, 케이스 내부에 누전차단기와 전력반송모뎀을 설치하여 되는 가로등용 단자대를 제안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가로등용 전주 내에 설치되는 각종 전선의 결선이 용이하게 되고, 절연저항의 측정이 용이하며, 상기 전선의 결선부위는 물론, 가로등용 전주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기기가 방수되어 수분에 의한 작동불량이나 고장 등의 우려가 없고, 누전에 의한 안전사고가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단자대의 설명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단자대의 트립수단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본 고안은 케이스(11)의 일측에 전선삽입공(12)을 형성하고, 상측에 볼트제어공(13)과 트립제어공(14)을 형성하며, 결합볼트(20)의 단부(21)가 몸체(19)에 삽입 관통되고 일측에 접점(21)이 형성된 터미널(18)을 상기 케이스(11) 내부에 설치하되, 전선삽입공(12)에 인접하여 결합볼트(20)가 볼트제어공(13)의 직하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아울러 단부에 접점(17)이 형성되어 터미널(18)의 접점(22)과 접속 또는 차단되는 트립볼트(16)를 트립제어공(14)에 체결시키고, 볼트제어공(13)과 트립제어공(14)의 입구를 각각 커버(25,26)로 폐쇄시키며, 전선삽입공(12)의 입구에는 중앙에 전선(32,34)이 삽입 관통되는 통공(24)이 형성된 캡(23)을 체결시킨다.
이때, 상기 볼트제어공(13), 트립제어공(14), 전선삽입공(12)과 커버(25,26) 또는캡(23) 사이에 패킹재(27)를 설치하여 케이스(11)의 내부가 방수되도록 형성한다.
또한, 케이스(11) 내부에 누전차단기(29)를 설치하고, 상기 누전차단기(29)의 스위치(30)가 위치되는 부분의 케이스(11)를 개방시킨 후, 개방된 부분에 연질의 제어커버(28)를 설치하되, 제어커버(28)를 케이스(11)에 완전 밀착시켜 방수가 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 전력반송모뎀(31)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가로등용 전주(35)의 하측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먼저 입력측 전선(32)과 부하측 전선(33) 및 연결전선(34)의 단부 피복을 벗긴 후, 상기 각 전선(32,33,34)의 단부를 캡(23)의 통공(24)에 각각 삽입시키며, 이어서 상기 전선(32,33,34)의 단부를 터미널(18)의 몸체(19) 내부에 각각 삽입시킨 다음, 볼트제어공(13)을 개방시키고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결합볼트(20)를 조임으로써 전선(32,33,34)이 각 터미널(18)에 각각 고정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전선삽입공(12)의 내부에 패킹재(27)와 스프링(36)을 설치하고, 캡(23)을 전선삽입공(12)의 입구에 체결하여 상기 전선삽입공(12)을 폐쇄하는데, 이는 패킹재(27)가 스프링(36)에 탄력 지지됨으로써 완전 방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어서 볼트제어공(13)의 입구에 패킹재(27)를 설치하고 커버(25)를 결합시켜 상기 볼트제어공(13)이 방수되도록 폐쇄하며, 아울러 트립제어공(14)의 입구에서 커버(26)를 분리시키고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트립볼트(16)를 조이면 상기 트립볼트(16)가 하강하게 되며, 이에 따라 트립볼트(16)의 단부에 형성된접점(17)이 터미널(18)의 접점(22)과 접속되어 입력측 전선(32)을 흐르는 전원이 부하측 전선(33)과 연결전선(34) 및 누전차단기(29), 전력반송모뎀(31)에 인가된다.
이어서 트립제어공(14)의 입구에 패킹재(27)를 설치하고 커버(26)를 체결하여 방수가 되도록 하며, 이어서 케이스(11)의 체결공(15)에 볼트나 나사못 등을 삽입 관통시킨 다음, 상기 볼트나 나사못 등을 전주(35)에 체결시키면 가로등용 단자대(10)가 전주(35)에 고정 설치된다.
이러한 단자대(10)는 케이스(11)의 각 개방부를 폐쇄하였기 때문에 가로등 전주(35)의 내부에 빗물이 침투되거나 침수, 결로 등의 현상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케이스(11)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지 못하기 때문에 누전차단기(29)나 전력반송모뎀(31)의 오작동이나 고장이 유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감전사고도 예방되며, 각 전선(32,33,34)이 터미널(18)로 연결되기 때문에 접속이 양호하게 된다.
아울러, 전선(32,33,34)에 이상이 발생되거나 전원에 이상이 발생되면 누전차단기(29)가 작동되어 전원을 차단함과 아울러 전력반송모뎀(31)이 이상신호를 제어기로 보내고, 이상현상에 대한 보수가 완료되면 누전차단기(29)의 스위치(30)를 조작하여 다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는데, 상기 누전차단기(29)의 스위치(30)가 위치되는 곳에 연질재로 된 제어커버(2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비록 상기 누전차단기(29)가 케이스(11) 내부에 은폐되었다 하더라도 상기 스위치(30)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점검을 위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할 경우, 트립제어공(14)의 입구에서 커버(26)를 분리시킨 후,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이용하여 트립볼트(16)를 풀어 제거하고, 이어서 상기 트립제어공(14)으로 측정기구를 넣어 터미널(18)의 접점(22)에 닿도록 하여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절연저항의 측정이 완료되면 트립볼트(16)의 접점(17)이 터미널(18)의 접점(22)과 점속되도록 상기 트립볼트(16)를 트립제어공(14)에 삽입 체결시며, 이어서 트립제어공(14)의 개방부에 패킹재(27)를 설치하고 커버(26)를 체결시킨다.
한편, 본 고안은 케이스(11)의 내부에 가로등 고장상태를 감지하는 각종 센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선삽입공과 볼트제어공 및 트립제어공이 형성된 케이스의 내부에 접점이 형성된 터미널과 트립볼트를 설치하고, 볼트제어공과 트립제어공 및 전선삽입공의 입구를 폐쇄하여 방수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 내부에 누전차단기와 전력반송모뎀을 설치하여 된 것으로, 각 전선의 접속부위와 누전차단기 및 전력반송모뎀이 방수되므로, 수분에 의한 감전 등과 같은 안전사고나 기기의 오작동 또는 고장이 예방되며, 전선이 터미널에 접속되므로 접속불량이 발생되지 않게 되고, 트립볼트를 용이하게 탈부착함으로써 절연저항의 측정이 용이하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가로등용 전주(35)의 내부에 입력측 전선(32), 부하측 전선(33), 다른 전주(35)로 연결되는 연결전선(34)이 상호 접속되고, 누전차단기(29)와 전력반송모뎀(31)이 설치된 공지의 것에 있어서,
    일측에 전선삽입공(12)과 볼트제어공(13)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제어공(13)의 측부에 트립제어공(14)이 형성된 케이스(11)와, 결합볼트(20)의 단부(21)가 몸체(19)에 삽입 관통되고 일측에 접점(21)이 형성된 터미널(18)과, 트립제어공(14)에 체결되며 단부에 접점(17)이 형성되어 터미널(18)의 접점(22)과 접속 또는 차단되는 트립볼트(16)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단자대.
  2. 제 1 항에 있어서,
    볼트제어공(13)의 입구를 폐쇄하는 커버(25)와, 트립제어공(14)의 입구를 폐쇄하는 커버(26)와, 전선(32,34)이 삽입 관통되는 통공(24)이 형성되고 전선삽입공(12)의 입구에 체결되는 캡(23)과, 상기 볼트제어공(13), 트립제어공(14), 전선삽입공(12)에 설치되어 케이스(11) 내부를 방수하는 패킹재(27)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단자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케이스(11) 내부에 누전차단기(29)를 설치하고, 상기 누전차단기(29)의 스위치(30)가 위치되는 부분의 케이스(11)에 연질의 제어커버(28)를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단자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케이스(11)의 내부에 전력반송모뎀(31)을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단자대.
  5. 제 2 항에 있어서,
    전선삽입공(12)의 내부에 패킹재(17)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36)을 설치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 전주용 단자대.
KR2020020015161U 2002-05-17 2002-05-17 가로등용 단자대 KR200285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161U KR200285086Y1 (ko) 2002-05-17 2002-05-17 가로등용 단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161U KR200285086Y1 (ko) 2002-05-17 2002-05-17 가로등용 단자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086Y1 true KR200285086Y1 (ko) 2002-08-13

Family

ID=73084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161U KR200285086Y1 (ko) 2002-05-17 2002-05-17 가로등용 단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08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097B1 (ko) 2008-04-28 2008-09-30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다세대 주택의 분배전 관리를 위한 배전반
KR100861789B1 (ko) 2008-04-29 2008-10-08 이종훈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
KR100875746B1 (ko) 2008-04-29 2008-12-26 조영석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의 수배전장치
KR100875745B1 (ko) 2008-04-29 2008-12-26 조영석 가공전선 연결형 수배전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097B1 (ko) 2008-04-28 2008-09-30 (주)신화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다세대 주택의 분배전 관리를 위한 배전반
KR100861789B1 (ko) 2008-04-29 2008-10-08 이종훈 전주고정식 가공전선 연결용 배전기
KR100875746B1 (ko) 2008-04-29 2008-12-26 조영석 전기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의 수배전장치
KR100875745B1 (ko) 2008-04-29 2008-12-26 조영석 가공전선 연결형 수배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96862B1 (en) Transmission line connectors and assemblies thereof
CN103181030B (zh) 电气穿墙端子
US9111707B2 (en) Installation switching device with a current sensing unit
US6406328B1 (en) Remote LCD adapter and method for electronic circuit breakers
KR200285086Y1 (ko) 가로등용 단자대
KR101395091B1 (ko) 케이블 접속 단자대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주용 접속 단자함
KR20090004184U (ko) 가로등 단자함
KR100852365B1 (ko) 단자보호커버
KR101119409B1 (ko) 배선용 방수차단기
KR100379867B1 (ko) 변압기용 퓨즈내장 엘보접속재
KR100763001B1 (ko) 엘보우 접속재를 이용한 수배전반
KR100207006B1 (ko) 몰드 변압기의 보호장치
JP2006271134A (ja) バイパス接続装置
KR200280239Y1 (ko) 누전차단기용 단자
KR200414929Y1 (ko) 방수형 접지 단자함
KR20040003931A (ko) 단로기가 내장된 옥외용 케이블접속함 및 이를 이용한전력케이블의 고장 검출방법
CN216355025U (zh) 一种可远程参数控制的浸水防触电用电保护器
KR102314159B1 (ko) 스마트 다분기 접속함
KR200324461Y1 (ko) 배전선로의 분기슬리브
KR200376461Y1 (ko) 배선용 차단기의 보조핸들구조
KR20090000591U (ko) 일체형 피뢰기
JP2005020852A (ja) 通信ケーブル接続装置の保守装置及び保守方法
KR200218871Y1 (ko) 누전차단기
KR200301522Y1 (ko) 노상 전기시설물 전원차단장치
JP3824808B2 (ja) 防水型ジョイント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