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53566U -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53566U
KR19980053566U KR2019960066754U KR19960066754U KR19980053566U KR 19980053566 U KR19980053566 U KR 19980053566U KR 2019960066754 U KR2019960066754 U KR 2019960066754U KR 19960066754 U KR19960066754 U KR 19960066754U KR 19980053566 U KR19980053566 U KR 199800535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ehicle
terminal
cas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67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철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667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53566U/ko
Publication of KR199800535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3566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자동차의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가 자동차 충돌 사고시, 그 자체 전원을 미연에 차단시키지 못해 화재를 일으켜 그로 인한 차량 및 인명 피해가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배터리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내장설치되는 전극부와, 이 전극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 단자가 포함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의 양극판과 연결되는 상기 (+) 단자의 하단부에 상기 양극판과 연결되는 휴즈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충돌 사고시, 배터리로 인한 자동차 화재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는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여 모든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바, 이러한 배터리는 통상 (+),(-) 단자에 연결 케이블을 연결하여 자동차의 엔진룸에 설치되게 된다.
즉, 종래의 자동차 배터리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그 상단부에 (+),(-) 단자(10a)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단자(10a)에 연결되는 케이블(3)은 그 선단부에 상기 단자(10a)와 결합될 수 있는 클램프(30a)를 형성해 놓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1)와 케이블(3)은, 상기 클램프(30a)가 상기 단자(10a)에 삽입되어 결합된 다음, 고정용 나사(5)가 상기 클램프(30a)에 형성된 구멍부(32a)에 삽입되어 너트(7)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호 연결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배터리(1)는, (+) 측 케이블을 자동차의 구비되는 전기장치로 연결하고 그 (1)측 케이블은 자동차 차체측으로 연결하여 소정의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자동차 배터리에 있어서는, 자동차 충돌 사고시 화재의 위험이 많아 사용자에게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내포되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배터리 자체에 전원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배터리에 있어서는 전기장치와 연결된 상기 케이블이 배터리로부터 차단되지 않는 한, 배터리의 자체 전원을 전기장치로부터 근본적으로 차단시킬 수 없으몰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충돌 사고로 배터리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이 배터리의 전원이 용이하게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배터리가 일으키는 화재 사고로 인한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배터리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내장설치되는 전극부와, 이 전극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 단자가 포함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의 양극판과 연결되는 상기 (+) 단자의 하단부에 상기 양극판과 연결되는 휴즈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를 제안한다.
이 때, 상기 휴즈는 본 고안에 따른 상기 (+) 단자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케이스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하단부에는 상기 양극판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가 설치됨이 되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가 적용된 자동차 배터리의 일부분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배터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은 명확히 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가 설치된 자동차 배터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에서는 (+) 단자가 설치된 배터리 부위만을 도시하고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50)는 종래의 배터리와 마찬가지로 그 케이스(50a) 내부에 양극판(50b)이 포함된 전극부(50c)를 내장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케이스(50a)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극부(50c)에 연결되는 (+),(-) 단자를 각기 설치하여 구성되고 있다. 도면을 통해 상기 단자 중, (+) 단자(50d)가 상기 양극판(50b)에 연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상기 (+) 단자(50d)를 상기 양극판(50b)에 연결할 때, 그 구조를 종래와 달리하여 설치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 배터리(50)에 충격이 가해지면, 이 배터리(50) 자체에서 그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상기 (+) 단자(50d)에 전원 차단장치를 설치하여 이를 상기 양극판(50b)에 연결시키게 된다.
상기한 전원 차단장치를 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먼저 상기 (+) 단자(50d) 하단부에 내부 공간부를 갖는 절연체 케이스(50e)를 고정설치하고 있으며, 이 케이스(50e)의 내부로는 상기 (+) 단자(50d)의 하단면과 연결되는 휴즈(50f)를 배치하고 있다.
이 때, 상기 휴즈(50f)의 다른 일단은, 상기 케이스(50e)의 하단부에 고정설치되는 결합부(50g)에 연결되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 (+) 단자(50d)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원 차단장치를 보유하여 상기 케이스(50a) 상에 형성된 삽입구멍(500a)을 통해 상기 양극판(50b)에 연결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이의 연결을 상기 결합부(50g)의 외주상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 결합부(50g)를 상기 양극판(50b)에 볼트 결합으로써 이루게 된다.
이처럼 상기 (+) 단자(50d)가 상기 양극판(50b)에 연결되면, 상기 배터리(50)는 상기 전원 차단장치를 통해 그 차체 전원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자동차의 충돌과 같은 위기 상황에서 상기 배터리(50)에 충격이 가해져 이 배터리(50)에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배터리(50)에서는 상기 휴즈(50f)가 작동되면서 상기 배터리(50)의 자체 전원이 상기 (+) 단자(50d)를 통해 각 전기장치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 배터리(50)는 상기와 같은 전원 차단장치의 작용으로 인해 전원 쇼트로 인한 화재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 알아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는, 그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도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화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여 그로 인한 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2)

  1. 배터리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내장설치되는 전극부와, 이 전극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 단자가 포함된 자동차의 배터리에 있어서, 상기 전극부(50c)의 양극판(50b)과 연결되는 상기 (+) 단자(50d)의 하단부에 상기 양극판(50b)과 연결되는 휴즈(50f)가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즈(50f)는 상기 (+) 단자(50d)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케이스(50e)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50e)의 하단부에는 상기 양극판(50b)에 나사결합되는 결합부(50g)가 설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KR2019960066754U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KR199800535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754U KR19980053566U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6754U KR19980053566U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3566U true KR19980053566U (ko) 1998-10-07

Family

ID=54004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6754U KR19980053566U (ko) 1996-12-31 1996-12-31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53566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843B1 (ko) * 1999-03-18 2001-10-29 이계안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KR102314367B1 (ko) 2020-04-10 2021-10-19 이원용 차량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KR102613832B1 (ko) 2022-12-16 2023-12-13 이원용 자동차용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9843B1 (ko) * 1999-03-18 2001-10-29 이계안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KR102314367B1 (ko) 2020-04-10 2021-10-19 이원용 차량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KR102613832B1 (ko) 2022-12-16 2023-12-13 이원용 자동차용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700363A (ko) 차량용 밧데리 케이블 터미널
JPH11503690A (ja) バッテリークランプ
KR19980053566U (ko) 자동차의 배터리 전원 차단장치
JP2007035520A (ja) 車両用の電源装置
US4174873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vehicle
JPH1037938A (ja) ボルト脱落防止ホルダー
EP0825068A1 (de) Notabschaltvorrichtung für Bordstromnetze
JPH11299115A (ja) 車両用バッテリボックス
KR200368543Y1 (ko) 자동차용 정션박스의 커넥터 고정장치
KR200151600Y1 (ko) 자동차의 전원 차단 장치
KR0164337B1 (ko) 자동차의 자동 전원 차단장치
KR200145174Y1 (ko) 자동차의 전원 차단 장치
JPH0356998Y2 (ko)
KR910008830Y1 (ko) 전자개폐기의 안전커버
KR970007186Y1 (ko) 밧데리 b+ 단자 와이어링 콘넥터
JP2004227914A (ja) 電流遮断機構付きバッテリーターミナル
KR0135621Y1 (ko) 휴즈 결합장치
JPH0422531Y2 (ko)
KR200180572Y1 (ko) 차량용 배터리와 케이블 결합구조
KR0128452Y1 (ko) 차량용 배터리의 케이블 결합구조
JP3668914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KR0171726B1 (ko) 착탈이 용이한 차량용 축전지 단자 취부구조
JPS6314366Y2 (ko)
KR200279225Y1 (ko) 소형 무정전 변압기
JP2003297313A (ja) バッテリ直載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