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21987B1 -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 Google Patents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21987B1
KR100721987B1 KR1020060034521A KR20060034521A KR100721987B1 KR 100721987 B1 KR100721987 B1 KR 100721987B1 KR 1020060034521 A KR1020060034521 A KR 1020060034521A KR 20060034521 A KR20060034521 A KR 20060034521A KR 100721987 B1 KR100721987 B1 KR 100721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optical terminal
terminal box
main door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환
Original Assignee
장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환 filed Critical 장근환
Priority to KR1020060034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1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1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1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50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 G02B6/54Underground or underwater installation; Installation through tubing, conduits or ducts using mechanical means, e.g. pulling or push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은,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전자기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그 내부에 상기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콘센트와, 상기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개폐시키는 메인도어;를 포함하는 광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는 힌지와 별도로 도장되어 상기 몸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유지보수용 착탈식 사이드도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에 의하면, 메인도어와 힌지를 별도로 도장하고 조립하여 몸체에 힌지결합함으로써 몸체로부터 착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몸체, 메인도어, 사이드도어

Description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Optical termination panel of improved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3a,3b는 본 발명의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몸체 110: 엔트리판넬
111: 엔트리판넬 고정부 120: 전원공급부
121: 콘센트 130: 케이블 고정구
140: 보강철 150: 접지바
160: 램프 170: 슬라이드공간
171: 이동수단 180: 슬라이드식 테이블
181: 슬라이드홈 182: 손잡이
200: 메인도어 210: 힌지
220: 문서보관함 300,400: 사이드도어
310: 통풍구
본 발명은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메인도어와 힌지를 별도로 도장하고 조립하여 몸체에 힌지결합함으로써 몸체로부터 착탈이 용이한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과 전자기기들로 구성되는 광통신 시스템은 전화국에서 광가입자까지 많은 양의 음성 및 비음성 데이터 신호를 전달해 주는 통신산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광통신 선로를 형성하고 있는 광케이블은 다양한 유형의 광접속자재를 이용하여 상호 연결되거나 또는 광가입자 전송장치로 분기될 수 있도록 하는데, 광단자함은 아파트의 각 동에 설치되어 광 가입자측의 광 전송 선로에서 광케이블 내의 광섬유가 광 가입자측의 전송 장치와 상호 연결될 수 있도록 광 가입자에 분배를 위한 가입자 종단 장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종래의 광단자함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종래의 광단자함은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전자기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그 내부에 상기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콘센트와, 상기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몸체 를 개폐시키는 메인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종래의 광단자함은 메인도어와 힌지를 용접식으로 결합하고 분체도장하기 때문에, 분체도장시에 힌지부분에 도료가 같이 도장되어 메인도어의 착탈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자기기의 유지보수시 통신회선이 몸체의 후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전자기기를 몸체의 외부로 인출하여 유지보수를 해야 하므로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차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단자함은 조명시설이 없는 지하실 또는 아파트 공동구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작업자가 직접 램프를 소지하여 작업을 하거나 광단자함에 램프를 달아 수동조작으로 점등해야 하므로 작업자가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단자함의 설치 또는 유지보수시에 노트북으로 회선체크를 하게 되는데, 광단자함은 설치규격이 정해져 있으므로 노트북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이로 인하여 작업자가 작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도어와 힌지를 별도로 도장하고 조립하여 메인도어를 몸체에 힌지결합함으로써 몸체로부터 착탈이 용이한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몸체의 양측면에 사이드도어가 구비되어 장비의 유지보수시 회선확인 이 용이하므로 해당가입자의 회선만 테스트 및 교체가 가능한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몸체의 내부상단에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 점멸되는 램프를 설치하여 작업이 용이한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몸체의 하단으로 삽입인출되는 슬라이드식 테이블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회선체크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은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전자기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그 내부에 상기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콘센트와, 상기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개폐시키는 메인도어;를 포함하는 광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는 힌지와 별도로 도장되어 상기 몸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유지보수용 착탈식 사이드도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는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슬라이드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공간의 양측벽 전면에는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슬라이드공간에 삽입인출되되, 전면에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수단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식 테이블;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의 내부상단에는 상기 메인도어 또는 사이드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 점멸되는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도어는 상기 몸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이며, 도 3a,3b는 본 발명의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a,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은 몸체(100), 메인도어(200), 사이드도어(300,400)가 포함된다.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전자기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는 것으로서, 그 형상은 다양하게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나, 직육면체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전면부 양측에는 전자기기 및 후술할 엔트리판넬(110)의 설치가 가능하도록 다수개의 나사구멍이 형성된 엔트리판넬 고정부(11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하단부에는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슬라이드공간(170)이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드공간(170)을 따라 삽입인출되는 슬라이드식 테이블(180)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슬라이드식 테이블(180)로 인하여 작업자가 회선체크 등의 유지보수시에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라이드식 테이블(180)의 전면에는 상기 슬라이드식 테이블(180)의 삽입인출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82)가 형성되며, 양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드식 테이블(18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홈(18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공간(170)의 양측벽 전면에는 상기 슬라이드홈(181)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171)이 구비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몸체(100)에는 엔트리판넬(110), 전원공급부(120), 케이블 고정구(130), 보강철(140), 접지바(150), 램프(160)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엔트리판넬(110)은 상기 몸체(100)의 전면부에 구비된 엔트리판넬 고정부(111)에 볼트결합되어 전자기기와 전자기기 사이 또는 빈공간을 메우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타원형상이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엔트리판넬(110)은 상기 다수개의 타원형상으로 인하여 상기 몸체(100)의 전면부로부터 후면부로 케이블이 통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120)는 상기 몸체(100)의 후면부 하단에 위치하여 전자기기 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콘센트(121)가 연결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블 고정구(130)는 전자기기의 설치후 복잡한 케이블을 정리하여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0)의 후면부에 돌출형성되어 케이블을 롤링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강철(140)은 상기 몸체(100)의 후면부 상하단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몸체(100)의 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에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는 설치시에 수평이 맞지 않거나 조립불량의 문제 또는 자체의 하중으로 인하여 설치 후 오랜시간이 경과되면 변형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보강철(140)이 상기 몸체(100)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몸체(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접지바(150)는 상기 몸체(100)의 내측 후면부에 상기 콘센트(121)의 상단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전자기기의 유지보수시 전자기기로 인한 감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상기 램프(160)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상단에 위치하여 작업자의 전자기기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후술할 메인도어(200) 또는 사이드도어(300)의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점멸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몸체(100)에는 후술할 사이드도어(300)의 통풍구(310)와 맞닿는 부분에는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팬(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도어(200)는 상기 몸체(100)의 개방된 전면부의 어느 일측에 힌지(210)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개폐시키는 것으로서, 전자기기의 도난 및 훼손을 방지하고, 외부에서 발생되는 충격으로부터 전자기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200)는 힌지(210)와 별도로 도장되어 조립후 상기 몸체(100)에 힌지결합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메인도어(200)와 힌지(210)를 별도로 도장함으로써, 상기 몸체(100)로부터 상기 메인도어(20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도어(200)는 상기 몸체(100)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힌지(210)는 도장시에 니켈도금을 하여 산화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메인도어(200)의 내측에는 전자기기의 회선체크 등의 유지보수 내용을 기록한 문서를 보관할 수 있도록 문서보관함(2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도어(300,400)는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에 부착되어 전자기기의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의 양측면에는 상기 사이드도어(300,400)가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상기 사이드도어(300,400)는 전자기기의 유지보수시에 상기 몸체(100)의 후면부에 위치한 통신회선을 용이하게 구분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유지보수시에 통신회선을 차단하고 전자기기를 상기 몸체(100)의 외부로 인출하여 유지보수를 해야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사이드도어(300)에는 상기 몸체(100) 내부의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하여 통풍구(3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사이드도어(300,400)는 상기 몸체(100)로부터 착탈가능한 원터치 형식인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메인도어(200) 및 사이드도어(300,400)는 외부인의 접근을 차단하기 위하여 이중 시건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시건장치는 키를 동일하게 적용하여 하나의 키로 상기 메인도어(200) 및 사이드도어(300,400)를 모두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 정이나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도어와 힌지를 별도로 도장하고 조립하여 몸체에 힌지결합함으로써 몸체로부터 착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양측면에 사이드도어가 구비되어 장비의 유지보수시 회선확인이 용이하므로 해당가입자의 회선만 테스트 및 교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내부상단에 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 점멸되는 램프를 설치하여 작업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몸체의 하단으로 삽입인출되는 슬라이드식 테이블을 형성하여 작업자가 회선체크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부에 전자기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되, 그 내부에 상기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자기기와 상기 전원공급부를 연결하는 콘센트와, 상기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는 팬을 포함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전면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몸체를 개폐시키는 메인도어;를 포함하는 광단자함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는 힌지와 별도로 도장되어 상기 몸체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양측면에는 상기 전자기기의 유지보수용 착탈식 사이드도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2. 청구항 제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하단부에는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슬라이드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공간의 양측벽 전면에는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3. 청구항 제2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슬라이드공간에 삽입인출되되, 전면에는 손잡이가 형성 되며,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수단을 안내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식 테이블;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4. 청구항 제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내부상단에는 상기 메인도어 또는 사이드도어의 개폐에 따라 자동 점멸되는 램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5. 청구항 제1에 있어서,
    상기 메인도어는 상기 몸체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KR1020060034521A 2006-04-17 2006-04-17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KR100721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521A KR100721987B1 (ko) 2006-04-17 2006-04-17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34521A KR100721987B1 (ko) 2006-04-17 2006-04-17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21987B1 true KR100721987B1 (ko) 2007-05-28

Family

ID=382782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4521A KR100721987B1 (ko) 2006-04-17 2006-04-17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2198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0155A (en) 1994-11-03 1996-12-03 Jeff Hildebrand Cabinet lighting system
JPH1010333A (ja) 1996-06-25 1998-01-16 Japan Riicom:Kk 光ファイバケーブル接続部収納用キャビネット
US5978540A (en) 1998-04-23 1999-11-02 Antec Corporation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optical fibers
EP1261088A1 (en) 2001-05-22 2002-11-27 GEWISS S.p.A. Cabinet f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and for dispensing water
KR20050080678A (ko) * 2004-02-10 2005-08-17 명성네트콤 (주) 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80155A (en) 1994-11-03 1996-12-03 Jeff Hildebrand Cabinet lighting system
JPH1010333A (ja) 1996-06-25 1998-01-16 Japan Riicom:Kk 光ファイバケーブル接続部収納用キャビネット
US5978540A (en) 1998-04-23 1999-11-02 Antec Corporation Apparatus for interconnecting optical fibers
EP1261088A1 (en) 2001-05-22 2002-11-27 GEWISS S.p.A. Cabinet f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and for dispensing water
KR20050080678A (ko) * 2004-02-10 2005-08-17 명성네트콤 (주) 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3732B2 (en) Wall mount chassis
US8791362B2 (en) Shutter door assembly for an electrical panel
US20070159791A1 (en) Low-profile articulated electronics enclosure with improved air coolant system
US6993238B2 (en) Routing of optical fiber that exits from the front of circuit boards in an electronic shelf
AU692872B2 (en) Mounting device for RJ connection elements of the communication and data technique (patch panel)
US20060269207A1 (en) Information technology communications cabinet for electrical substation communications
US20100329622A1 (en) Connector Unit and Base Station
US7154052B2 (en) Device plate for mounting a communications device to a raceway
KR100721987B1 (ko) 구조가 개선된 광단자함
KR101151537B1 (ko) 감시 카메라용 하우징과 이를 포함하는 브라켓
KR100721988B1 (ko) 슬림형 광단자함
KR20050015237A (ko)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KR100643184B1 (ko) 고압 케이블용 직선 접속함
CN209844364U (zh) 一种具备线束定位装置的配电柜
KR101945936B1 (ko) 공동주택용 전력케이블 트레이
KR19990008217U (ko) 광심선 분배함
KR20080048009A (ko) 복수의 데크구조를 갖는 통합속판 및 이를 이용한세대단자함내 케이블연결구조
KR200261552Y1 (ko) 광섬유 설치부를 갖는 통신 단자함
CN213338148U (zh) 一种易于安装的通信工程光纤安装箱
CN111372414B (zh) 一种铁路信号系统通用电源接口层模块
CN216905143U (zh) 一种实现pon模块和docsis模块安装通用的宽带接入箱
CN211670584U (zh) 一种城市档案中心用弱电系统的布线箱
CN208209323U (zh) 一种配电箱
KR200398644Y1 (ko) 고압 케이블용 직선 접속함
EP3200296B1 (en) Portable power distribution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