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9193A - 차량용 정션박스 - Google Patents

차량용 정션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9193A
KR20220139193A KR1020210045546A KR20210045546A KR20220139193A KR 20220139193 A KR20220139193 A KR 20220139193A KR 1020210045546 A KR1020210045546 A KR 1020210045546A KR 20210045546 A KR20210045546 A KR 20210045546A KR 20220139193 A KR20220139193 A KR 20220139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connection pins
jun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8754B1 (ko
Inventor
정균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1004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754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7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9Electronic bo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69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connector relating features for connecting the connector pins with the PCB or for mounting the connector body with the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차량용 정션박스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정션박스는: 설정 위치마다 핀홀을 통공한 인쇄회로기판, 인쇄회로기판의 복수 개의 핀홀에 삽입되고 패터닝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핀, 및 복수 개의 접속핀을 일체화하여 접속핀을 대응되는 핀홀에 동시에 삽입하는 커넥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정션박스{JUNCTION-BOX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정션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션박스의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접속핀을 커넥터블록에 일체화하여 복수 개의 접속핀을 한꺼번에 인쇄회로기판에 조립할 수 있음에 따라, 정션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의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작업 숙련도와 관계없이 접속핀의 조립 불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에 관한 것이다.
정션박스는 자동차의 엔진룸과 차 실내에 각각 설치되어 자동차에 구비된 다수의 전기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회로 및 이를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보통 자동차에는 차량의 크기별 분류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대략 20∼40개의 휴즈와 십여 개의 릴레이가 있고, 이러한 휴즈 및 릴레이를 분산시키게 되면 구조가 복잡해지고 제어가 어려우므로, 이들을 한 곳에 집적시켜 전원을 모드별로 분배하기 위하여 정션박스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정션박스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을 구비하고 있는데, 인쇄회로기판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분배하기 위한 파워 보드 PCB와, 파워 보드 PCB에서의 전원 분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보드 PCB가 있다. 파워 보드 PCB와 컨트롤 보드 PCB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차량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서도 연결이 해제되지 않아야 한다.
관련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44031호(발명의 명칭: 정션블록, 등록일: 2020.08.06.)에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용 정션박스의 조립 공정에서, 터미널은 낱개로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됨에 따라,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에 대한 터미널의 조립 불량 및 품질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터미널이 낱개로 인쇄회로기판에 삽입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정션박스의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접속핀을 커넥터블록에 일체화하여 복수 개의 접속핀을 한꺼번에 인쇄회로기판에 조립할 수 있음에 따라, 정션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의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작업 숙련도와 관계없이 접속핀의 조립 불량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는: 설정 위치마다 핀홀을 통공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복수 개의 상기 핀홀에 삽입되고, 패터닝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핀; 및 복수 개의 상기 접속핀을 일체화하여, 상기 접속핀을 대응되는 핀홀에 동시에 삽입하는 커넥터블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는: 상기 커넥터블록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핀 각각을 일대일 접속하는 피메일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블록은 상기 피메일커넥터를 수용하는 내측면에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블록에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여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탄성리브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터블록은, 상기 접속핀 각각을 축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의 일측에 이중 사출 성형되고, 상기 접속핀의 축 방향으로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며, 외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하우징을 포함한다.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어퍼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수용하도록 양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는 종래 기술과 달리 정션박스의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되는 복수 개의 접속핀을 커넥터블록에 일체화하여 복수 개의 접속핀을 한꺼번에 인쇄회로기판에 조립할 수 있음에 따라, 정션박스의 인쇄회로기판 조립체의 조립성과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고, 작업 숙련도와 관계없이 접속핀의 조립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커넥터블록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커넥터하우징에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커넥터블록의 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의 커넥터하우징에 피메일커넥터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정션박스(10)는 인쇄회로기판(20), 접속핀(30), 커넥터블록(100), 피메일커넥터(40), 어퍼케이스(50) 및 로어케이스(60)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20)은 전원 및 신호의 전송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핀홀(22)이 통공되어 있다. 그리고, 설정된 핀홀(22)끼리는 회로 패터닝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인쇄회로기판(2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접속핀(30)은 인쇄회로기판(20)의 핀홀(22) 전체 또는 복수 개의 핀홀(22)에 삽입되고, 통전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인쇄회로기판(20)의 패터닝 처리된 핀홀(22)에 삽입된 접속핀(30)끼리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물론, 접속핀(30)은 다양한 형상으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커넥터블록(100)은 복수 개의 접속핀(30)을 일체화하여, 접속핀(30)을 대응되는 핀홀(22)에 동시에 삽입 가능한 역할을 한다.
이때, 커넥터블록(100)에 일체화된 접속핀(30)은 대응되는 핀홀(22)에 동시에 삽입시, 인쇄회로기판(20)에서의 패터닝으로 인해 서로 또는 일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아울러, 피메일커넥터(40)는 커넥터블록(100)에 수용되며, 접속핀(30) 각각에 일대일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터미널을 구비한다. 피메일커넥터(40)는 차량의 전장품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거나, 배터리에 연결된다.
그리고, 어퍼케이스(50)는 인쇄회로기판(20)을 내측에 고정되게 구비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20)의 조립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로어케이스(60)는 내측에 인쇄회로기판(20)의 조립체를 고정한 어퍼케이스(50)의 하부 개방측을 막도록 어퍼케이스(5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어퍼케이스(50)와 로어케이스(60)는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특히, 접속핀(30)이 인쇄회로기판(20)에 실장된 채, 커넥터블록(100)이 인쇄회로기판(20)의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어퍼케이스(50)와 로어케이스(60)가 결합된 상태로, 피메일커넥터(40)가 커넥터블록(100)에 접속 될 수 있거나 또는 접속 해지 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어퍼케이스(50)는 상하 방향으로 개방된 개구부(52)를 구비한다. 그리고, 커넥터블록(100)은 개구부(52)에 수용된다. 개구부(52)는 다양한 외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블록(100)은 고정블록(110) 및 커넥터하우징(120)을 포함한다.
고정블록(110)은 접속핀(30) 각각을 축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때, 접속핀(30)은 고정블록(110)의 홀에 억지 끼움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이중 사출 성형에 의해 고정블록(110)에 일체화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하우징(120)은 고정블록(110)의 일측에 이중 사출 성형된다. 또한, 커넥터하우징(120)은 접속핀(30)의 축 방향으로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며, 외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122)을 형성한다.
커넥터하우징(120)은 고정블록(110)에 이중 사출됨에 따라 고정블록(110)에 일체화된다.
피메일커넥터(40)는 커넥터하우징(120)에 삽입되면서, 고정블록(110)의 접속핀(30)은 피메일커넥터(40)의 터미널과 일대일 접속된다.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0)이 커넥터블록(100)에 일체화된 복수 개의 접속핀(30)을 동시에 실장한다. 그리고 나서, 인쇄회로기판(20)의 조립체가 어퍼케이스(50)의 내부에 조립 후, 로어케이스(60)가 어퍼케이스(50)가 조립된다. 이때, 커넥터블록(100)의 커넥터하우징(120)은 어퍼케이스(50)의 개구부(52)에 수용된다.
이 후, 작업자는 피메일커넥터(40)를 어퍼케이스(50)의 개구부(52)로 노출된 커넥터하우징(120)의 내부공간(122)에 삽입한다.
이때, 어퍼케이스(50)는 개구부(52)를 필요에 따라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블록(100)의 커넥터하우징(120)은 피메일커넥터(40)를 수용하는 내측면에 걸림턱(124)을 구비한다.
아울러, 피메일커넥터(40)는 커넥터하우징(120)의 내부공간(122)에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여 걸림턱(124)에 걸리는 탄성리브(44)를 구비한다.
즉, 피메일커넥터(40)가 커넥터하우징(120)의 내부공간(122)에 삽입시, 탄성리브(44)가 탄성 변형되며 걸림턱(124)을 따라 이동된다.
피메일커넥터(40)가 커넥터하우징(120)의 내부공간(122)에 완전히 삽입시, 탄성리브(44)는 탄성 복원되며 걸림턱(124)에 걸리게 된다. 그래서, 피메일커넥터(40)는 커넥터하우징(120)으로부터 자연적으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물론, 걸림턱(124)과 탄성리브(44)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정션박스 20: 인쇄회로기판
22: 핀홀 30: 접속핀
40: 피메일커넥터 44: 탄성리브
50: 어퍼케이스 52: 개구부
60: 로어케이스 100: 커넥터블록
110: 고정블록 120: 커넥터하우징
122: 내부공간 124: 걸림턱

Claims (5)

  1. 설정 위치마다 핀홀을 통공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복수 개의 상기 핀홀에 삽입되고, 패터닝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핀; 및
    복수 개의 상기 접속핀을 일체화하여, 상기 접속핀을 대응되는 핀홀에 동시에 삽입하는 커넥터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블록에 수용되며, 상기 접속핀 각각을 일대일 접속하는 피메일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블록은 상기 피메일커넥터를 수용하는 내측면에 걸림턱을 구비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블록에 수용되어 고정되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여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탄성리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블록은,
    상기 접속핀 각각을 축 방향에 대해 양측으로 노출되도록 고정하고,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 고정블록; 및
    상기 고정블록의 일측에 이중 사출 성형되고, 상기 접속핀의 축 방향으로 일측을 내부에 수용하며, 외측으로 개방되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커넥터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어퍼케이스에 조립되고,
    상기 어퍼케이스는 상기 커넥터하우징을 수용하도록 양측으로 개방된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정션박스.
KR1020210045546A 2021-04-07 2021-04-07 차량용 정션박스 KR1025187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46A KR102518754B1 (ko) 2021-04-07 2021-04-07 차량용 정션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546A KR102518754B1 (ko) 2021-04-07 2021-04-07 차량용 정션박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193A true KR20220139193A (ko) 2022-10-14
KR102518754B1 KR102518754B1 (ko) 2023-04-06

Family

ID=83599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546A KR102518754B1 (ko) 2021-04-07 2021-04-07 차량용 정션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875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160A (ja) * 1999-03-12 2000-09-22 Harness Syst Tech Res Ltd 分岐接続箱
JP2001268751A (ja) * 2000-03-23 2001-09-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2007234243A (ja) * 2006-02-27 2007-09-13 Yazaki Corp 基板用コネクタ及び該基板用コネクタを備えた電気接続箱
KR20160076674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박스
JP2017092281A (ja) * 2015-11-11 2017-05-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1160A (ja) * 1999-03-12 2000-09-22 Harness Syst Tech Res Ltd 分岐接続箱
JP2001268751A (ja) * 2000-03-23 2001-09-28 Sumitomo Wiring Syst Ltd ジャンクションボックスとコネクタとの接続構造
JP2007234243A (ja) * 2006-02-27 2007-09-13 Yazaki Corp 基板用コネクタ及び該基板用コネクタを備えた電気接続箱
KR20160076674A (ko) * 2014-12-23 2016-07-01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정션박스
JP2017092281A (ja) * 2015-11-11 2017-05-25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754B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6513B1 (ko) 차량용 정션박스 및 그 조립방법
CN101615770B (zh) 电气接线盒
US7121847B1 (en) Flame-retardant cap for a high current connection
US20080139018A1 (en) Metal terminal and electric distribution box provided with the same
US20080108230A1 (en) Method of forming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connector, and electric junction box having printed circuit board
US10446337B2 (en) Modularized structure of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KR20070096006A (ko) 스위치 가능 용융 전력 분배 블록
JP2018093671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20220139193A (ko) 차량용 정션박스
US7726981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with molded synthetic resin member with mold stripping holes used for engaging a cover
WO2015098482A1 (ja) 電気回路装置
JP2018093685A (ja) 電気接続箱、及び、ワイヤハーネス
CN110912050B (zh) 电气连接箱及电气连接箱的制造方法
KR200473133Y1 (ko) 차량용 정션 박스
KR100609449B1 (ko) 정션박스
JP2000208176A (ja) 盤用コンセント
US6147875A (en) Circuit body
KR20030019846A (ko) 방수 커넥터
KR100860907B1 (ko) 차량용 다기능 컨넥터의 중간연결부재
US20190386409A1 (en) Modularized structure of switch wire connection device
KR102338382B1 (ko) 전기 접속용 커넥터
CN111049080A (zh) 电接线盒
KR100605227B1 (ko) 플러그인몰드
KR102264938B1 (ko) 차량용 전기 접속장치
KR102374760B1 (ko) 차량용 정션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