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8382B1 - 전기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8382B1
KR102338382B1 KR1020200000242A KR20200000242A KR102338382B1 KR 102338382 B1 KR102338382 B1 KR 102338382B1 KR 1020200000242 A KR1020200000242 A KR 1020200000242A KR 20200000242 A KR20200000242 A KR 20200000242A KR 102338382 B1 KR102338382 B1 KR 10233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housing
terminal
holder
moun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234A (ko
Inventor
윤준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20000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8382B1/ko
Publication of KR20210087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8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다수 개의 접속홀부를 구비하여 각각 터미널을 축 삽입 허용하고 다수 개인 접속홀부 모두가 노출되도록 상측 또는 하측에 장착홈을 형성하는 하우징, 장착홈에 조립되고 접속홀부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관통홀을 통공하여 접속홀부에 삽입되는 터미널을 수용한 상태에서 터미널이 삽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 및 장착홈에 장착된 채 리테이너를 지지함으로써 하우징에 대한 리테이너의 조립 불량을 방지함에 따라 접속홀부에 대한 터미널의 완전 삽입 상태를 확인 가능한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홀더를 하우징에 조립함으로써 홀더가 리테이너를 지지 고정하도록 하여 리테이너의 흔들림에 의해 터미널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리테이너의 상측을 누르는 홀더의 슬라이드 조립 불량을 통해 리테이너의 반삽입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커넥터에 터미널의 삽입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접속용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홀더를 하우징에 조립함으로써 홀더가 리테이너를 지지 고정하도록 하여 리테이너의 흔들림에 의해 터미널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리테이너의 상측을 누르는 홀더의 슬라이드 조립 불량을 통해 리테이너의 반삽입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커넥터에 터미널의 삽입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차량 내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부품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전장품에는 케이블이 설치되고, 케이블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해당 회로는 독립적으로 전장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도 하지만, 다르게는 여러 개의 회로가 연결되어 하나의 회로로 작동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회로를 하나의 회로로 연결하기 위하여 커넥터가 설치된다.
특히, 커넥터는 전자 기기에서 다수의 전기선을 서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어느 한 커넥터에는 전기선과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전기 단자가 배열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 커넥터에도 전기 단자가 배열되어, 커넥터의 하우징끼리 결합되면서 각 단자가 서로 통전되도록 접촉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어느 한 커넥터를 구성하는 전기 단자와 하우징의 결합은 전기 단자에 연결된 전기선이 당겨질 때 전기 단자가 하우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전기 단자에 형성된 홈에 하우징에서 돌출된 리테이너 지지부인 랜스가 끼워짐으로써 이탈을 방지하거나, 전기 단자와 하우징을 일측에 홈을 형성하여 외부에서 전기 단자와 하우징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걸림부재가 결합되어 전기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이 있다.
관련기술로는,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0993805호(발명의 명칭: 차량용 터미널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존의 터미널은 유통 과정 중에 리테이너의 조립 불량이 발생됨으로써, 리테이너의 축 방향으로 중간 부위에 단자가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테이너가 하우징에 로킹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은 단자로 인한 전기적 접촉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홀더를 하우징에 조립함으로써 홀더가 리테이너를 지지 고정하도록 하여 리테이너의 흔들림에 의해 터미널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리테이너의 상측을 누르는 홀더의 슬라이드 조립 불량을 통해 리테이너의 반삽입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커넥터에 터미널의 삽입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는: 다수 개의 접속홀부를 구비하여 각각 터미널을 축 삽입 허용하고, 다수 개인 상기 접속홀부 모두가 노출되도록 상측 또는 하측에 장착홈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장착홈에 조립되고, 상기 접속홀부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관통홀을 통공하여, 상기 접속홀부에 삽입되는 터미널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장착홈에 장착된 채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리테이너의 조립 불량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접속홀부에 대한 상기 터미널의 완전 삽입 상태를 확인 가능한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홈은 상기 하우징의 너비 방향으로 양측면과 상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조립을 허용하는 제 1개방부; 및 상기 제 1개방부에서 상기 터미널의 후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하도록 상기 홀더의 조립을 허용하는 제 2개방부를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하측면이 상기 리테이너에 접하여 누르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조립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후측을 지지하고, 상기 관통홀에 일대일 대응되는 삽입홀을 통공하는 서포트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홀더는 양측면에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홀더를 슬라이드 삽입 안내하며 상기 리테이너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홈의 양측에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홀더가 완전히 슬라이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하기 위해 내측면에 걸림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홀더는 양측에 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직진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홈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는 종래 기술과 달리 홀더를 하우징에 조립함으로써 홀더가 리테이너를 지지 고정하도록 하여 리테이너의 흔들림에 의해 터미널이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리테이너의 상측을 누르는 홀더의 슬라이드 조립 불량을 통해 리테이너의 반삽입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커넥터에 터미널의 삽입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홀더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리테이너와 홀더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리테이너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리테이너와 홀더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조립 순서를 보인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하우징에 슬라이드 완전 조립되지 않는 상태를 통해 터미널의 반삽입을 확인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배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홀더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리테이너와 홀더를 분리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리테이너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에 리테이너와 홀더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조립 순서를 보인 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를 전기 접속용 커넥터의 하우징에 슬라이드 완전 조립되지 않는 상태를 통해 터미널의 반삽입을 확인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접속용 커넥터(100)는 하우징(110), 리테이너(120) 및 홀더(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터미널(10)을 삽입할 수 있도록 접속홀부(112)를 복수 개 형성한다. 특히, 터미널(10)을 다른 단자(도시하지 않음)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접속홀부(112)는 하우징(110)의 축 방향으로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아울러, 하우징(110)은 절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물론, 하우징(11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하우징(110)은 복수 개인 접속홀부(112) 모두가 노출되도록 둘레면 중 상측 또는 하측에 장착홈(114)을 형성한다.
리테이너(120)는 장착홈(114)에 조립되어 접속홀부(112) 각각에 축 삽입된 터미널(10)의 바렐부(12)가 걸리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터미널(10)은 리테이너(120)에 걸림으로써 접속홀부(112)에 삽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임의적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를 위해, 리테이너(120)는 접속홀부(112)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관통홀(122)을 통공한다.
특히, 리테이너(120)는 장착홈(114)에 장착된 상태로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예로서, 하우징(110)은 양측면에 걸림구(117)를 형성하고, 리테이너(120)는 걸림구(117)에 대응되게 후크(124)를 형성한다.
그래서, 접속홀부(112)와 관통홀(122)이 일대일 대응되도록, 리테이너(120)가 장착홈(114)에 장착되며 터미널(10)의 바렐부(12)가 걸리도록 한 상태에서, 후크(124)는 걸림구(117)에 걸리게 된다.
또한, 홀더(130)는 장착홈(114)에 장착된 채 리테이너(120)를 지지함으로써, 하우징(110)에 대한 리테이너(120)의 조립 불량을 방지함에 따라, 접속홀부(112)에 대한 터미널(10)의 완전 삽입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100)가 터미널(10)을 삽입한 상태로 유통되거나 외부의 진동에 노출될 경우, 리테이너(120)가 하우징(110)에 대해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다. 이로써, 터미널(10)이 접속홀부(112)에 삽입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소정 움직인다. 그래서, 터미널(10)은 삽입 불량을 초래함으로써, 하우징(110)의 반대방향으로 삽입되는 다른 단자와의 전기적 접촉 불량이 발생된다.
아울러, 리테이너(120)의 설정 부위가 터미널(10)의 설정된 위치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을 경우, 리테이너(120)가 하우징(110)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돌출됨에 따라, 홀더(130)는 돌출된 리테이너(120)에 부딪힘으로써 하우징(110)에 완전히 슬라이드 삽입이 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작업자는 터미널(10)의 반삽입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다.(도 9 참조)
리테이너(120)가 하우징(110)에 조립된 상태로, 홀더(130)가 리테이너(120)를 지지한 채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완전히 조립됨으로써, 리테이너(120)는 견고하게 설정된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장착홈(114)은 제 1개방부(115)와 제 2개방부(116)로 나뉘어진다.
제 1개방부(115)는 터미널(10)의 축 방향에 수직한 하우징(110)의 너비 방향(W)으로 양측면과, 상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조립을 위해 리테이너(120)를 삽입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제 2개방부(116)는 제 1개방부(115)에서 터미널(10)의 후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리테이너(120)를 지지하도록 홀더(130)의 조립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 1개방부(115)는 리테이너(120)를 수용하고, 제 2개방부(116)는 홀더(130)를 수용한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홀더(130)를 슬라이드 삽입 안내하며 리테이너(120)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해 장착홈(114)의 양측에 측벽부(118)를 구비한다. 측벽부(118)는 하우징(110)의 후측 양쪽 가장자리에 구비되고, 리테이너(120)는 축 방향으로 양측 가장자리가 각각 측벽부(118)에 지지되어 장착홈(114)의 내측면에 해당되는 하우징(110)의 후측면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물론, 측벽부(118)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한편, 홀더(130)는 플레이트(132) 및 서포트블록(134)을 포함한다.
플레이트(132)는 하측면이 리테이너(120)에 접하여 누르는 역할을 한다. 이때, 플레이트(132)는 리테이너(120)를 제 1개방부(115)의 바닥면 방향으로 가압한 상태로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결속될 수도 있다.
물론, 플레이트(132)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서포트블록(134)은 플레이트(132)에서 연장되어, 장착홈(114)의 내측면 또는 하우징(110)에 조립됨으로써 리테이너(120)의 후측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서포트블록(134)은 관통홀(122)에 일대일 대응되는 삽입홀(136)을 통공한다.
즉, 서포트블록(134)이 제 2개방부(116)에 수용된 채 하우징(110)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상태로 리테이너(120)를 터미널(10)의 축 방향을 따라 하우징(110)의 후측 방향으로 지지한다. 그래서, 리테이너(120)는 흔들림이 방지된다.
이때, 서포트블록(134)은 제 2개방부(116)의 바닥면에 접하여 안정적으로 리테이너(120)를 지지한다. 물론, 서포트블록(13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홀더(130)의 서포트블록(134)은 양측면에 걸림돌기(142)를 돌출 형성하고, 측벽부(118)는 걸림돌기(142)가 걸리도록 내측면에 걸림홈(144)을 형성한다.
여기서, 홀더(130)가 마주하는 측벽부(118) 사이로 완전히 슬라이드 삽입되어 리테이너(120)를 지지한 상태에서, 걸림돌기(142)가 대응되는 걸림홈(144)에 수용된다.
물론, 걸림돌기(142)와 걸림홈(144)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또한, 홀더(130)는 마주하는 측벽부(118) 사이로 직진 슬라이드 이동 안내되어야 한다. 이는, 플레이트(132)가 리테이너(120)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홀더(130)의 조립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홀더(130)는 양측에 가이드돌기(152)를 돌출 형성하고, 측벽부(118)는 가이드돌기(152)의 직진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홈부(154)를 형성한다.
가이드돌기(152)가 대응되는 가이드홈부(154)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며, 걸림돌기(142)가 대응되는 걸림홈(144)에 걸릴 경우, 플레이트(132)는 리테이너(120)를 누르는 상태가 된다.
물론, 가이드돌기(152)와 가이드홈부(154)는 형상 및 개수에 한정하지 않는다.
아울러, 리테이너(120)가 하우징(110)의 제 1개방부(115)에 조립 후, 홀더(130)가 일차적으로 제 2개방부(116)에서 슬라이드 조립된 상태에서, 터미널(10)이 삽입홀(136)과 관통홀(122)을 통해 접속홀부(112)로 삽입된다. 이 후, 홀더(130)가 이차적으로 완전히 하우징(110)에 슬라이드 조립된다.(도 8 참조)
터미널(10)의 바렐부(12)가 접솔홀부(112)에 정위치시, 리테이너(120)는 제 1개방부(115)에 최대한 하향한 상태로 조립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홀더(130)는 이차적으로 제 2개방부(116)에서 완전히 슬라이드 이동되며 조립 완료된다.(도 7 참고)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터미널 100: 커넥터
110: 하우징 112: 접속홀부
114: 장착홈 115: 제 1개방부
116: 제 2개방부 117: 걸림구
118: 측벽부 120: 리테이너
122: 관통홀 124: 후크
130: 홀더 132: 플레이트
134: 서포트블록 142: 걸림돌기
144: 걸림홈 152: 가이드돌기
154: 가이드홈부

Claims (5)

  1. 다수 개의 접속홀부를 구비하여 각각 터미널을 축 삽입 허용하고, 다수 개인 상기 접속홀부 모두가 노출되도록 상측 또는 하측에 장착홈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장착홈에 조립되고, 상기 접속홀부에 일대일 대응되도록 관통홀을 통공하여, 상기 접속홀부에 삽입되는 터미널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장착홈에 장착된 채 상기 리테이너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리테이너의 조립 불량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접속홀부에 대한 상기 터미널의 완전 삽입 상태를 확인 가능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하측면이 상기 리테이너에 접하여 누르는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레이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조립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후측을 지지하고, 상기 관통홀에 일대일 대응되는 삽입홀을 통공하는 서포트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홈은 상기 하우징의 너비 방향으로 양측면과 상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상기 리테이너의 조립을 허용하는 제 1개방부; 및 상기 제 1개방부 측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제 1개방부의 바닥면 방향으로 가압하여 지지하도록 상기 서포트블록의 조립을 허용하는 제 2개방부를 포함하여,
    상기 서포트블록이 상기 제 2개방부에 수용된 채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상태로 상기 제 1개방부에 조립된 상기 리테이너를 상기 터미널의 축 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의 후측 방향으로 지지하며,
    상기 홀더는 양측면에 걸림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홀더를 슬라이드 삽입 안내하며 상기 리테이너의 양측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장착홈의 양측에 측벽부를 구비하며,
    상기 측벽부는, 상기 홀더가 완전히 슬라이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돌기를 수용하기 위해, 내측면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홀더는 양측에 가이드돌기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가이드돌기의 직진 슬라이드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가이드홈부를 형성하며,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장착홈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하우징은 양측면에 걸림구를 형성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걸림구에 대응되게 후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접속용 커넥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00242A 2020-01-02 2020-01-02 전기 접속용 커넥터 KR10233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42A KR102338382B1 (ko) 2020-01-02 2020-01-02 전기 접속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0242A KR102338382B1 (ko) 2020-01-02 2020-01-02 전기 접속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34A KR20210087234A (ko) 2021-07-12
KR102338382B1 true KR102338382B1 (ko) 2021-12-10

Family

ID=7685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0242A KR102338382B1 (ko) 2020-01-02 2020-01-02 전기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838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386A (ja) * 1996-08-05 1998-02-2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234A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62262B1 (en) A connector and a method of mounting it to an electric device
US20140226295A1 (en) Electronic circuit unit capable of external connection
US9379473B2 (en) Connector
JP2008117675A (ja) コネクタ付きプリント基板の形成方法およびプリント基板を備えた自動車用電気接続箱
JPWO2019077840A1 (ja) 電気コネクタ
KR20110013383A (ko) 전기 커넥터
KR101550994B1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7181769B2 (ja) コネクタ
JP7026522B2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08159311A (ja) 分岐コネクタ
CN112670758B (zh) 连接器
KR101562810B1 (ko) 평판 케이블 커넥터
KR102338382B1 (ko) 전기 접속용 커넥터
KR10205992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JP2012064536A (ja) コネクタ組立体
US20100055989A1 (en) Audio jack connector
KR200485927Y1 (ko) 차량용 smt 커넥터
CN111641069B (zh) 线缆连接器组件
US20230119493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JP7410562B2 (ja) 電気コネクタ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JP2009170323A (ja) コネクタ
KR102023204B1 (ko) 커넥터 조립체
US6761586B2 (en) Board connector and method of attaching board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