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3383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3383A
KR20110013383A KR1020107025032A KR20107025032A KR20110013383A KR 20110013383 A KR20110013383 A KR 20110013383A KR 1020107025032 A KR1020107025032 A KR 1020107025032A KR 20107025032 A KR20107025032 A KR 20107025032A KR 20110013383 A KR20110013383 A KR 20110013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 holder
housing
holder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25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기오 암보
요시카즈 타나카
테츠 히로세
히토시 카시와기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13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3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4Securing in base or case composed of a plurality of insulating parts having at least one resilient insulating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Abstract

소형의 접속단자라도, 큰 걸림력에 의해 고정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접속단자(11)를 장착한 최상층의 단자홀더(21)를 하우징(31) 안에 저부측으로부터 최상위까지 밀어넣으면, 하우징(31)의 걸이편(33)이 단자홀더(21)의 절결부(27)에 들어가고, 단자홀더(21)의 각 접속단자(11)의 피걸이부(17)를 공통으로 고정하여, 접속단자(11)의 강력한 뒤로 빠짐 방지가 가능해진다. 이어서, 접속단자(11)를 장착한 단자홀더(21)를, 순차적으로 하우징(31)의 위쪽으로 밀어넣어 적층해 가, 상층의 단자홀더(21)의 걸이편(28)이 하층의 단자홀더(21)의 절결부(27)에 들어가, 피걸이부(17)를 공통으로 고정한다. 하우징(31) 안에 모든 단자홀더(21)가 삽입 부착된 후에, 하우징(31)에 저부 커버(41)를 장착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소형의 접속단자를 수용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connector)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 등의 전기회로의 접속에 사용되는 접속단자는, 더욱 소형화되고 있고, 특히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신호용 전선, 접속단자, 전기 커넥터에 대하여 요구되고 있다. 또한, 신호계의 전기배선은 복수의 회로기판이 조립되어 있는 전기접속상자에 집약하도록 와이어 하니스(wire harness)가 설계되므로, 소형화를 만족하기 위해 전기접속상자에는, 다수의 접속단자가 좁은 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에 수납한 접속단자의 후방(後方) 빠짐을 방지하려면, 전기 커넥터 안에 설치된 가요성(可撓性)의 걸림 랜스(lance)에 의존하고 있다.
특허문헌1 : 일본특허공개 2004-39535호 공보
그러나, 접속단자가 소형화되면, 사출성형에 의해 하우징(housing) 안에 걸림 랜스를 성형하는 것이 곤란해져, 형성해도 그 걸림력은 약한 것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 4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의 후부(後部)에 리어홀더(rear holder)(1)를 장착하도록 하여, 이 리어홀더(1)에 걸림 랜스(2)를 부설하는 것이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도, 더 예를 들면 병렬(竝列)한 경우의 피치간 1.6mm정도의 소형의 접속단자에 대한 걸림 랜스의 성형은 곤란하고, 걸림력은 충분하지 않다. 즉, 접속단자가 극도로 소형화되면, 사출성형에 의해 하우징 안에 걸림 랜스를 성형하는 것이 곤란해져, 성형해도 그 크기가 작아지기 때문에 그 걸림력은 약하다.
또한, 복수개의 단자홀더를 예를 들면 적층하여 전기 커넥터를 조립하는 경우에, 단자홀더를 잘못된 순서로 적층해 버릴 우려가 충분히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과제를 해소하여, 소형의 접속단자라도 큰 걸림력에 의해 접속단자를 고정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의 접속단자라도, 큰 걸림력에 의해 접속단자를 고정할 수 있는 동시에, 조립 실수가 발생하기 어려운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는, 접속단자를 개개로 수용한 복수의 단자수용부를 갖는 복수의 단자홀더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홀더의 저부(低部)에, 하층의 상기 단자홀더에 수용한 상기 접속단자의 일부의 후연(後緣)을 걸어두는 걸이편을 아래쪽으로 향하여 설치하여, 이들의 단자홀더를 하우징에 의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단자홀더에 설치한 걸림 랜스에 의해 접속단자를 걸고, 또한 상층의 단자홀더의 걸이편에 의해 하층의 단자홀더에 수납한 접속단자를 걸어둠으로써, 접속단자의 치수가 보다 소형화된 경우에서도, 큰 단자 걸림력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상술한 효과에 더해, 단자홀더에 결합단부를 설치함으로써, 조립 실수가 적어진다.
도 1은 접속단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접속단자의 일부를 절결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단자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배면도이다.
도 7은 측면도이다.
도 8은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5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은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배면도이다.
도 14는 측면도이다.
도 15는 저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저부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정면도이다.
도 19는 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E-E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접속단자를 수납한 단자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22는 단자홀더를 장착한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2의 단자홀더의 위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4는 단자홀더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5는 단자홀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26은 접속단자를 단자홀더에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7은 복수의 단자홀더를 적층하여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8은 단자홀더를 장착한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29는 실시예 3의 단자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단자홀더의 평면도이다.
도 31은 단자홀더의 정면도이다.
도 32는 도 30의 E-E선을 따른 단자홀더의 종단면도이다.
도 33은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단자홀더에 접속단자를 장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6은 단자홀더끼리의 적층의 설명도이다.
도 37은 단자홀더끼리를 적층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8은 단자홀더끼리를 적층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9는 단자홀더의 연결체를 하우징에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0은 하우징에 저부 커버를 장착하는 과정의 사시도이다.
도 41은 하우징에 저부 커버를 장착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2는 단면도이다.
도 43은 종래예의 사시도이다.
실시예 1
도 1은 사용하는 접속단자의 평면도, 도 2는 일부를 절결한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도전(導電)금속판을 펀칭 굴곡하여 이루어지는 자형(雌型)의 접속단자(11)의 전방부에는, 각통(角筒)형상의 접속부(12)가 설치되고, 중간부(13)를 거친 후부에 압착부(14)에 의해 전선(15)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접속부(12)의 천정부에는 전방(前方) 멈춤을 겸한 스태빌라이저(stabilizer)(16)가 설치되고, 천정부의 후연은 후술하는 걸이편이 걸리는 피(被)걸이부(17)로 되고, 저부에는 후술하는 걸림 랜스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도 4는 접속단자를 장착하기 위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자홀더(21)의 평면도, 도 5는 정면도, 도 6은 배면도, 도 7은 측면도, 도 8은 저면도, 도 9는 도 5의 B-B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은 도 5의 C-C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단자홀더(21)는 접속단자(11)를 장착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예를 들면 7개의 단자홀더(21)가 적층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자홀더(21)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각각 접속단자(11)를 개개로 수용하는 예를 들면 12개의 단자수용부(22)가 병렬로 설치되고, 단자수용부(22)의 전방부에는 접속단자(11)의 접속부(12)를 거의 수납하는 각(角)틀 형상의 틀체부(23)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홀더(21)의 후방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단자수용부(22)끼리를 구획하여, 접속단자(11)끼리의 접촉을 방지하는 칸막이벽(24)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틀체부(23)의 전방부에는 상대측 접속단자를 전방으로부터 개개로 받아들이기 위한 개구부(開口部)(25)가 형성되고, 단자수용부(22)의 저부에는, 접속단자(11)의 저부의 구멍부(18)에 삽입하여 접속단자(11)를 걸기 위한 가요성을 갖는 걸림 랜스(26)가 설치되어 있다. 걸림 랜스(26)의 상측에는, 후방에 경사면을 갖고 전방에 수직벽을 갖는 갈고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벽(24)에는 틀체부(23)와의 경계부에 절결부(27)가 설치되고, 단자홀더(21)의 저부 하면(下面)에, 단자수용부(22)와 직교하는 횡 길이방향으로 스트립(strip)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걸이편(28)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걸이편(28)은, 하층에 위치하는 단자홀더(21)의 절결부(27) 안으로 들어가, 복수의 접속단자(11)의 피걸이부(17)를 공통으로 걸어두도록 되어 있다. 또한, 걸이편(28)의 후방에는, 각 단자수용부(22) 안으로 들어가는 보강용의 리브(rib)(29)가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하우징(31)의 평면도, 도 12는 정면도, 도 13은 배면도, 도 14는 측면도, 도 15는 저면도, 도 16은 도 12의 D-D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하우징(31)은 상면, 정면, 측면이 벽부로 되고, 배면, 저면은 개방되어 있다. 하우징(31)의 정면에는 다수의 개구부(3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32)의 횡방향의 수는 1개의 단자홀더(21)에 형성한 개구부(25)의 수와 일치하고 있고, 상하방향의 수는 적층된 단자홀더(21)의 적층수와 일치하고 있다.
하우징(31)의 천정부의 내측에는, 각 단자홀더(21)에 설치된 걸이편(28)과 같은 형상의 걸이편(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1)의 배면의 개방부의 상하방향의 양측에는 단자홀더(21)의 후부를 거는 변부(邊部)(34)가 설치되고, 하부 양측면에 외측으로 향하여 개방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후술하는 저부 커버에 대한 피걸림부(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31)의 상부에는 가요(可撓)레버(lever)(36)가 설치되고, 이 가요레버(36)에는 상대측의 하우징과 잠그기 위한 잠금부(37)가 설치되고, 또한 압압부(押壓部)(38)에 의해 잠금부(37)를 작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7은 저부 커버(41)의 평면도, 도 18은 정면도, 도 19는 측면도, 도 20은 도 18의 E-E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이 저부 커버(41)는 하우징(31)에 복수개의 모든 단자홀더(21)를 장착한 후에, 하우징(31)의 저부를 덮어 폐지(閉止)하는 부재이며, 저부 커버(41)의 측벽에는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걸림부(42)에 의해, 하우징(31)의 피걸림부(35)에 걸릴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최하층의 단자홀더(21)의 걸이편(28)이 들어가는 구멍부(43)가 형성되어 있다.
단자홀더(21)에 접속단자(11)를 장착하려면,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11)를 단자홀더(21)의 단자수용부(22)에 후방으로부터 삽입한다. 접속단자(11)의 접속부(12)를 틀체부(23) 안에 삽입하면, 접속단자(11)의 저부가 걸림 랜스(26)를 눌러 내리면서 타넘어 나아가고, 그 후에 걸림 랜스(26)는 복원하여 구멍부(18) 안으로 들어가, 접속단자(11)는 단자홀더(21)에 멈추게 된다. 이 때, 스태빌라이저(16)의 선단(先端)은 단자홀더(21)의 개구부(25)의 주위의 가장자리부에 의해 걸려, 접속단자(11)는 단자홀더(21)에 대한 전방으로의 이행이 방지되고, 또한 걸림 랜스(26)에 의해 후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개구부(25)는 접속부(12)의 중심축선과 일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단자홀더(21)의 각 단자수용부(22)에 접속단자(11)를 각각 장착하고, 우선 최상층의 단자홀더(21)를 하우징(31) 안에 저부측으로부터 최상위까지 밀어넣으면, 단자홀더(21)의 전방부는 하우징(31)의 전벽에, 후부는 하우징(31)의 변부(34)에 걸려 전후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하우징(31)의 걸이편(33)이 단자홀더(21)의 절결부(27)에 들어가고, 각 접속단자(11)의 피걸이부(17)를 공통으로 걸어, 걸림 랜스(26)의 걸림과 함께, 접속단자(11)의 강력한 뒤로 빠짐 방지가 가능해진다. 또한, 걸이편(33)은, 단자홀더(21)의 절결부(27)에 대해서도 작용하고, 단자홀더(21)의 후방으로의 어긋남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접속단자(11)를 장착한 단자홀더(21)를, 순차적으로 하우징(31)의 위쪽에 밀어넣어 적층해 간다. 이 과정에서, 단자홀더(21)는 하우징(31)에 대하여 전후의 이동이 방지되는 동시에, 상층의 단자홀더(21)의 걸이편(28)이 하층의 단자홀더(21)의 절결부(27)에 들어가, 하우징(31) 안에 모든 단자홀더(21)가 삽입 부착되어 지지된다. 이에 의해, 걸이편(28)에 의해 순차적으로 하층의 접속단자(11) 및 단자홀더(21)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그 후에, 하우징(31)에 그 전방으로부터 저부 커버(41)를 슬라이딩하여 장착하고, 걸림부(42)가 하우징(31)의 피걸림부(35)에 걸림으로써 하우징(31)의 저부를 폐지하여, 저부 커버(41)가 하우징(3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잠근다. 이에 의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커넥터를 완성한다. 또한, 저부 커버(41)는 하우징(31)에 대하여 별체가 아니라도, 하우징(31)과 일체로 하여 힌지에 의해 연결하도록 해도 좋다.
특히, 이 전기 커넥터에서는, 단자홀더(21)는 하우징(31)에 의해 전후 및 상하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단자홀더(21)를 적층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선(15)의 인장력이 작용해도 적층상태, 단자 걸림상태는 충분히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하우징(31)의 각 개구부(32)의 내측에는, 단자홀더(21)의 개구부(25)가 위치하여, 하우징(31)의 외부로부터 상대측의 접속단자의 삽입단에 의한 접속단자(11)의 접속부(12)로의 밀어넣음이 가능해진다.
이 전기 커넥터에서는, 상대측 전기 커넥터와 하우징끼리가 결합하여, 접속단자끼리의 접합에 의해 전기 접속기로서의 기능이 발휘된다. 이 결합에 있어서는, 하우징(31)의 잠금부(37)에 의해 상대측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과 잠겨진다. 상대측 전기 커넥터와의 결합을 해제하는데는, 하우징(31)의 압압부(38)를 밀어넣고, 잠금부(37)를 상대측의 하우징의 잠금부로부터 빼내면 좋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걸이편(28, 33)을 스트립형상으로 하여, 복수의 접속단자(11)에 대하여 공통으로 사용했지만, 각 단자수용부(22)마다 형성해도 좋다. 또한, 최하층의 단자홀더(21)에는 걸이편(28)을 설치하지 않아도 완료된다.
실시예 2
도 23은 실시예 2의 단자홀더(51)를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24는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25는 종단면도이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단자홀더(51)는 상하방향으로 예를 들면 4개가 적층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자홀더(51)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각각 접속단자(11)를 개개로 수용하는 예를 들면 5개의 단자수용부(52)가 병렬로 설치되고, 단자수용부(52)의 전방부에는 접속단자(11)의 접속부(12)를 거의 수용하는 각틀 형상의 틀체부(53)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홀더(51)의 후방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단자수용부(52)끼리를 구획하여, 접속단자(11)끼리의 접촉을 방지하는 칸막이벽(54), 상대측 접속단자를 받아들이는 개구부(55), 접속단자(11)의 구멍부(18)에 삽입하는 걸림 랜스(5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실시예 1의 단자홀더(21)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칸막이벽(54) 사이를 가리도록, 후술하는 연결용 돌기부와 연결하기 위해 피연결부(5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벽(54)에는 틀체부(53)와의 경계부에 절결부(58)가 설치되고, 단자홀더(51)의 저부 하면에, 단자수용부(52)와 직교하는 횡 길이방향으로 스트립형상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걸이편(59)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걸이편(59)은 하층에 위치하는 단자홀더(51)의 절결부(58) 안으로 들어가, 복수의 접속단자(11)의 피걸이부(17)를 공통으로 걸어두는 것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또한, 걸이편(59)의 후방에는, 각 단자수용부(52) 안으로 들어가, 접속단자(11)와 같은 수의 보강용의 리브(60)가 설치되고, 각 리브(60)마다 연결용 돌기부(61)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홀더(51)에 접속단자(11)를 장착하려면,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단자(11)를 단자홀더(51)의 단자수용부(52)에 후방으로부터 삽입한다. 접속단자(11)의 접속부(12)를 틀체부(53) 안에 삽입함으로써, 접속단자(11)가 단자홀더(51)에 고정되는 것은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하여,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홀더(51)의 각 단자수용부(52)에 접속단자(11)를 각각 장착한 후에,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홀더(51)의 연결용 돌기부(61)를 하층의 단자홀더(51)의 피연결부(57)에 연결함으로써, 복수의 단자홀더(51)를 상하방향으로 연결한다.
이와 같이 연결한 복수의 단자홀더(51)의 연결체를,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71)의 저부로부터 하우징(71) 안으로 밀어넣으면, 단자홀더(51)의 전방부는 하우징(71)의 전벽에, 후부는 하우징(71)의 변부(76)에 걸려 전후의 이동이 방지되어 소정의 위치에 수용된다. 그 후에, 하우징(71)에 그 전방으로부터 저부 커버(91)를 슬라이딩하여 장착하고, 저부 커버(91)가 하우징(71)으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잠가져, 전기 커넥터를 완성한다.
또한, 실시예 2의 하우징(71), 저부 커버(91)는 상세한 도시를 생략했지만, 실시예 1의 하우징(31), 저부 커버(41)는 수납하는 단자홀더의 크기 등이 다르기 때문에, 형상은 다르지만 기능은 대부분 같다. 또한, 하우징(71)의 천정부의 내측에는, 단자홀더(51)에 설치된 걸이편(59), 리브(60), 연결용 돌기부(61)와 같은 형상의 걸이편(79), 리브(80), 연결용 돌기부(81)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예 3
도 29는 실시예 3의 단자홀더(101)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30은 평면도, 도 31은 정면도이며, 도 32는 도 30의 E-E선을 따른 종단면도이고, 본 실시예 3에서는 예를 들면 7개의 단자홀더(101)가 상하로 적층하여 사용된다. 1개의 단자홀더(101)에는, 예를 들면 12개의 접속단자(11)가 장착가능하며, 그 상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각각 접속단자(11)를 수용하는 단자수용부(102)가 병렬로 설치되고, 단자수용부(102)의 전방부에는, 접속단자(11)의 접속부(12)를 지지하기 위한 틀체부(10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홀더(101)의 후부의 상면은 개방면으로 되고, 그 양측에는 측판(104)이 설치되며, 측판(104)간의 개방면 위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12개의 접속단자(11)를 각각 구획하기 위한 11개의 칸막이벽(10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홀더(101)의 저면에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1개의 걸이편(106)이 횡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걸이편(106)에 대하여 단자수용부(102)마다 보강용의 리브(10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자홀더(101)의 상부의 틀체부(103)와 칸막이벽(105) 사이에, 상층의 단자홀더(101)의 걸이편(106)을 받아들이는 절결부(108)가 설치되어 있다.
단자홀더(101)의 양측에는, 상하방향을 향하는 예를 들면 6개씩의 결합단부(109)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결합단부(109)는 각각 중앙부분(109a)이 단자홀더(101)의 측판(104)에 일체적으로 접속되고, 상단부(109b), 하단부(109c)는 설편(舌片)형상으로 되고, 각각 절취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각 단자수용구멍(102)의 저부에 걸림 랜스(11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은, 실시예 1, 2와 동일하다.
도 33은 하우징과 저부 커버의 사시도, 도 34는 하우징(111)을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하우징(111)은 상벽(112), 전벽(113), 양측벽(114)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11)의 전벽(113)에는, 단자홀더(101)의 각 단자수용구멍(102)에 연통하고, 상대측 접속단자가 삽통되는 상하 7단 좌우 12열의 개구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1)의 상벽(112)의 상부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상대측 커넥터의 하우징과 잠그기 위한 잠금레버(116)가 설치되고, 잠금레버(116)에는 잠금돌기(117)가 형성되며, 잠금레버(116)는 압압부(118)에 의해 조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우징(111)의 하부 양측에는 오목부(119)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119)의 일부에는 오목하게 이루어지는 피걸림부(12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1)의 상벽(112)의 내측에는, 단자홀더(101)의 저면의 걸이편(106)에 상당하는 걸이편(121), 및 리브(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양측벽(114)의 내측에는, 단자홀더(101)의 결합단부(109)를 끼워맞추는 복수개의 끼워맞춤홈(123)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저부 커버(131)에는, 하우징(111)의 오목부(119)에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132)가 설치되고, 이 슬라이딩부(132)에는 피걸림부(120)에 갈고리부(133)를 통하여 탄발적으로 거는 걸림 레버(13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1)의 저부의 모퉁이부에는, 저부 커버(131)를 고정하기 위한 오목부(124)가 형성되고, 저부 커버(131)에는 이들의 오목부(124)에 끼워맞추는 돌기(13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저부 커버(131)의 상면에는, 최하층의 단자홀더(101)의 걸이편(106)이 들어가는 홈부(136)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에 있어서는, 각각의 단자홀더(101)의 후방으로부터, 도 35에 나타내는 접속단자(11)를 칸막이벽(105)을 안내(案內)로서 선단의 접속부(12)가 틀체부(103)에 충분히 들어갈 때까지 삽입한다. 이 단자홀더(101)의 접속단자(11)의 장착은 실시예 1, 2와 동일하다.
이 상태에서, 도 3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홀더(101)의 개방면을 위쪽으로부터 폐색(閉塞)하도록, 다른 단자홀더(101)를 순차적으로 위쪽으로부터 겹친다. 이 적층에 있어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소정의 단자홀더(101)끼리가 아니면 상하로 적층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즉, 결합단부(109)는 편측(片側)의 측판(104)에 6개씩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양측으로 12개 있고, 결합단부(109)의 상단부(109b), 하단부(109c)의 한쪽 또는 양쪽을 절취함으로써, 편측의 상부 또는 하부만으로도 64개 정도의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즉, 도 3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에 위치하는 단자홀더(101)간에 결합단부(109)끼리가 끼워지도록, 이들의 상단부(109b), 하단부(109c)가 절취되어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면 위쪽의 단자홀더(101)의 남겨둔 하단부(109c)가, 아래쪽의 대응하는 단자홀더(101)의 절취된 상단부(109b)의 부분에 끼워넣음으로써, 택일적으로 간극없이 적층할 수 있다. 또한, 도 37에서, 단자홀더(101)로부터 인출된 전선(15)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이 결합단부(109)에 의해, 끼워맞춘 상하의 단자홀더(101)에서는, 결합단부(109)의 절취부가 합치하는 적정한 단자홀더(101)끼리가 아니면 적층할 수 없으므로, 적층순의 잘못에 의한 조립 실수가 해소된다.
이 단자홀더(101)의 적층에 있어서, 단자홀더(101)끼리가 가벼운 힘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해 두면, 적층 후에 적층이 흐트러지지 않게 된다. 또한, 실시예 2와 같이 연결을 위한 연결용 돌기부, 피연결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의 단자홀더(101)의 걸이편(106)은 아래쪽의 단자홀더(101)의 절결부(108)에 끼워넣어져, 실시예 1, 2와 마찬가지로 단자홀더(101)끼리의 상하의 적층에 의해, 접속단자(11)의 단자홀더(101)에 대한 앞으로 빠짐, 뒤로 빠짐이 방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속단자(11)를 조립한 단자홀더(101)의 적층체인 연결체를, 도 3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11) 안에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한다. 단자홀더(101)에 설치된 각 결합단부(109)가, 하우징(111)의 내벽에 형성한 끼워맞춤홈(123)에 끼워맞추므로, 단자홀더(101)의 하우징(111)에 대한 전후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최상층의 단자홀더(101)에 대해서는, 하우징(111)의 상벽(112)의 걸이편(121)이 절결부(108)에 삽입된다.
그 후에, 도 4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부 커버(131)를 하우징(111)에 끼워맞추고, 오목부(119), 걸림 레버(134), 오목부(124), 돌기(135)를 사용하여, 도 4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한다. 도 42는 이 경우의 전기 커넥터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이 하우징(111)과 저부 커버(131)의 관계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적층체인 연결체를 하우징(111)에 삽입하도록 했지만, 실시예 1과 같이 하우징(111)에 대하여, 접속단자(11)를 장착한 단자홀더(101)를 1개씩 장입(裝入)함으로써 조립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소형의 접속단자(11)는 단자홀더(101), 하우징(111)과 저부 커버(131)에 의해, 전후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강고하게 방지되는 것은 실시예 1, 2와 동일하다.
또한, 결합단부(109)의 수는 실시예보다 적게 해도 충분히 적용가능하고, 단자홀더(101)의 양측이 아닌 편측에만 설치해도 좋다. 또한, 결합단부(109)의 일부를 다른 목적, 예를 들면 커넥터의 종별을 식별하기 위해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자형의 접속단자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웅형(雄型)의 접속단자라도 동일하게 구성할 수 있다.
11 : 접속단자
12 : 접속부
15 : 전선
21, 51, 101 : 단자홀더
22, 52, 102 : 단자수용부
24, 54, 105 : 칸막이벽
26, 56, 110 : 걸림 랜스
27, 58, 108 : 절결부
28, 33, 59, 79, 106, 121 : 걸이편
31, 71, 111 : 하우징
41, 91, 131 : 저부 커버
57 : 피연결부
61 : 연결용 돌기부
109 : 결합단부

Claims (10)

  1. 접속단자를 개개로 수용한 복수의 단자수용부를 갖는 복수의 단자홀더를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자홀더의 저부(低部)에, 하층의 상기 단자홀더에 수용한 상기 접속단자의 일부의 후연(後緣)을 걸어두는 걸이편을 아래쪽으로 향하여 설치하여, 이들의 단자홀더를 하우징(housing)에 의해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편은 하층의 단자홀더의 일부에 걸어, 상기 단자홀더끼리의 전후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편은 하층의 상기 단자홀더에 수납한 복수의 접속단자를 공통으로 걸어두도록, 상기 단자홀더의 상기 단자수용부와 직교하는 횡 길이방향으로 설치한 스트립(strip)형상의 돌기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상층의 상기 단자홀더에 수납한 접속단자에 대한 걸이는, 상기 하우징의 천정부의 내측에 설치하고, 상기 단자홀더에 설치된 상기 걸이편과 같은 형상의 걸이편에 의해 걸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에 형성한 구멍부에, 상기 단자홀더에 형성한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걸림 랜스(lance)를 걸리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더의 저부에, 하층의 상기 단자홀더의 상부에 결합하는 연결용 돌기부를 형성하여, 복수개의 단자홀더를 상하로 적층한 연결체를 하우징에 의해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더의 상기 단자수용부는 칸막이벽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칸막이벽에 상기 걸이편이 위쪽으로부터 들어가기 위한 절결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더의 적어도 한쪽의 측판에 상하방향을 향하는 복수개의 결합단부를 형성하고, 이들의 결합단부의 상단 및 하단을 상기 단자홀더의 적층위치에 대응하여 절취하여, 상하의 상기 단자홀더끼리를 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단부의 남겨둔 상단 및 하단은, 대응하는 상기 단자홀더의 결합단부의 절취된 하단 및 상단에 끼워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홀더는 상기 하우징의 저부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안에 삽입하고, 상기 하우징의 저부를 저부 커버에 의해 폐지(閉止)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07025032A 2008-06-02 2009-06-01 전기 커넥터 KR201100133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44066 2008-06-02
JP2008144066 2008-06-02
JP2009019634 2009-01-30
JPJP-P-2009-019634 2009-01-30
JPJP-P-2009-123370 2009-05-21
JP2009123370 2009-05-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383A true KR20110013383A (ko) 2011-02-09

Family

ID=41398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25032A KR20110013383A (ko) 2008-06-02 2009-06-01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WO2009148027A1 (ko)
KR (1) KR20110013383A (ko)
CN (1) CN102047503B (ko)
WO (1) WO20091480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15621B2 (ja) * 2009-10-27 2014-06-1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積層式コネクタ
JP5446842B2 (ja) * 2009-12-24 2014-03-1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積層式コネクタ
JP5637015B2 (ja) * 2011-03-04 2014-12-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47350B2 (ja) * 2015-05-08 2019-01-09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線用コネクタ
TWI628872B (zh) * 2017-09-26 2018-07-01 凡甲科技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
JP6669997B2 (ja) * 2018-01-22 2020-03-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7222325B2 (ja) * 2019-07-09 2023-02-1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428083B2 (ja) 2020-06-08 2024-02-06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7447731B2 (ja) * 2020-08-07 2024-03-12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7444005B2 (ja) * 2020-09-16 2024-03-0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4035434A (ja) * 2022-09-02 2024-03-14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積層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0465Y2 (ja) * 1990-06-04 1996-09-11 住友電装株式会社 組合せ合体構造の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2767733B2 (ja) * 1993-02-15 1998-06-18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868405B2 (ja) * 1994-02-16 1999-03-10 矢崎総業株式会社 雌型端子
JP2000012147A (ja) * 1998-06-24 2000-01-14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
JP3433797B2 (ja) * 2000-01-19 2003-08-04 住友電装株式会社 ハウジングおよび、多段式コネクタの組付け方法
JP2005158296A (ja) * 2003-11-20 2005-06-16 Jst Mfg Co Ltd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付きケーブ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9148027A1 (ja) 2011-10-27
CN102047503B (zh) 2013-06-26
WO2009148027A1 (ja) 2009-12-10
CN102047503A (zh)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13383A (ko) 전기 커넥터
JP2555733Y2 (ja) コネクタ
JP2553115Y2 (ja) コネクタ
KR101883377B1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US893647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JP4980342B2 (ja) ターミナル位置保証機構を備えた電気コネクタ
US8974244B2 (en) Connector
JP3652610B2 (ja) コネクタ
CN109616829B (zh) 连接器
US7090543B2 (en) Wire harness connector
EP0963009B1 (en) A construction for preventing an error assembling of a connector housing and a cover and a connector comprising the same
US7537479B2 (en) Connector
US20100210144A1 (en) Electrical connector
US704858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JP2002305828A (ja) 電気接続箱とコネクタハウジングとの固定構造
US20210159624A1 (en) Compact combination connector
JP2022185272A (ja) コネクタ
JP5107004B2 (ja) 合体コネクタ
KR200183163Y1 (ko) 이중 록킹 전기접속용 커넥터 결합체
JP4134236B1 (ja) 電気コネクタ
KR20190069276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JP5626104B2 (ja) 電気接続箱
JP7476825B2 (ja) コネクタ
KR102338382B1 (ko) 전기 접속용 커넥터
JP2010177205A (ja) 車両用ワイヤハーネス及び車両の配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