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3377B1 -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3377B1
KR101883377B1 KR1020170169600A KR20170169600A KR101883377B1 KR 101883377 B1 KR101883377 B1 KR 101883377B1 KR 1020170169600 A KR1020170169600 A KR 1020170169600A KR 20170169600 A KR20170169600 A KR 20170169600A KR 101883377 B1 KR101883377 B1 KR 101883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circuit
housing
connector
retainer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주)연호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호엠에스 filed Critical (주)연호엠에스
Priority to KR1020170169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3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377B1/ko
Priority to DE202018107037.1U priority patent/DE202018107037U1/de
Priority to JP2018230510A priority patent/JP6745862B2/ja
Priority to TW107216835U priority patent/TWM576747U/zh
Priority to CN201822071277.XU priority patent/CN209401878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회로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로 돌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성 회로 수용부와,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의 단자부가 노출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하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를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unit)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윈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암·수 커넥터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수 커넥터의 터미널, 단자핀, 연성 회로 등은 암 커넥터의 터미널에 접속되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연성 회로(Flexible circuit)는 플렉시블 케이블이라도 불리우며, FFC(Flexible Flat Cable) 타입과 FPC(Flexible Printed Circuit) 타입으로 크게 구분될 수 있다. 즉,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이러한 연성 회로와 기기를 연결시켜 주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연성 회로는 수용부에 정확한 위치 및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종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수용부로 연성 회로를 삽입시켜 수용부 내에 배치된 터미널에 연성 회로를 접속시키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수용부와 연성 회로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 과정에서 연성 회로가 수용부로부터 인출되거나, 정위치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여 터미널과의 접속이 불완전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상기 틈새를 줄이기 위한 노력이 있어 왔지만, 그에 상응하여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구조가 복잡해져 제조 공정상 많은 시간과 노력이 투입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접속 기구로서 신호 전달, 전원 공급 등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전자기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기기 내에서 다른 전자 부품의 장착 공간을 제한하지 않도록 소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1-043918호 (2001.02.16.)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구조적으로 단순하고 조립이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연성 회로가 연성 회로 수용부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되면서도, 조립 과정 또는 조립 후 연성 회로 수용부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한 일 예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회로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로 돌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성 회로 수용부와,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의 단자부가 노출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하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를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내부면으로부터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연성 회로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성 회로의 상방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면에는 상기 연성 회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걸린 연성 회로의 인출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성 회로의 일면과 상기 걸림턱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연성 회로를 덮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내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내측벽에 형성되는 리테이너 걸림부에 걸림되는 걸림 후크를 구비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 걸림부는 제1걸림홈과 상기 제1걸림홈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1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연성 회로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연성 회로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1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응되는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일면에 록킹 돌기를 구비하는 탄성암이 형성되고, 상기 웨이퍼에는 상기 록킹 돌기가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록킹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암은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접속부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의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을 연장되는 제2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이 상기 웨이퍼의 상면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한 일 변형예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회로기판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로 돌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성 회로 수용부와,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의 단자부가 노출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하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를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내부면으로부터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연성 회로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성 회로의 측방 인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면에는 상기 연성 회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걸린 연성 회로의 인출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성 회로의 일면과 상기 걸림턱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하우징의 측단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우징이 웨이퍼에 결합 시, 하우징에 삽입된 연성 회로의 단자부가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어, 웨이퍼의 터미널이 상기 단자부와 접속됨으로써,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간의 전기적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의 일단부가 웨이퍼의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되고, 하우징의 록킹 돌기가 웨이퍼의 록킹 홈에 걸림으로써,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 간의 체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연성 회로가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 시, 연성 회로가 하우징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되고, 연성 회로의 걸림부가 하우징의 걸림턱에 의해 걸림되며, 리테이너가 하우징 내측으로 이동되며 삽입된 연성 회로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음으로써, 연성 회로가 하우징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예상치 못한 사태(예를 들어, 연성 회로를 잡아 댕기는 경우)에 의해 연성 회로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이 방지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연성 회로가 하우징에 수용되어 고정됨으로써 제2커넥터의 조립이 마쳐지고, 제2커넥터가 제1커넥터에 수용되고 체결됨으로써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조립이 마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의 조립 공정이 단계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조립자의 조립 실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커넥터 간의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 공정상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가 회로기판에 실장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
도 3은 제1커넥터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제2커넥터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연성 회로가 수용된 제2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커넥터의 개구부가 보이도록 배치해 보인 사시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도 8은 하우징과 연성 회로 간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개념도.
도 9는 하우징과 리테이너 간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개념도.
도 10의 (a) 내지 (c)는 도 7에 도시된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커넥터 공정을 통하여 연성 회로가 제2커넥터에 조립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2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의 변형예를 보인 사시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주요 구성들을 분리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연성회로(flexible circuit)는 FFC(Flexible Flat Cable) 및 FPC(Flexible Printed Circuit)를 포함하는 총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가 회로기판(1)에 실장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를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2를 참조하면,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한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암·수 커넥터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 제1커넥터(100)는 암 커넥터로, 제2커넥터(200)를 수 커넥터로 이해될 수 있다.
제1커넥터(100)는 회로기판(1)에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1)에는 전자소자(미도시)가 장착되어,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회로기판(1)에 발광소자가 장착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고, 연성 회로(2)를 수용하여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커넥터(200)는 회로기판(1)에 수직한 방향으로 제1커넥터(100)와 결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의 각 구성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제1커넥터(100)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보이고, 제1커넥터(100)와 회로기판(1) 간의 결합 방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제2커넥터(200)의 주요 구성을 분리하여 보이고, 제2커넥터(200)와 연성 회로(2) 간의 결합 방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는 제2커넥터(200)에 연성 회로(2)가 수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2커넥터(200)의 개구부(212)가 보이도록 배치해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
제1커넥터(100)는 회로기판(1) 상에 장착되고, 웨이퍼(110) 및 터미널(120)을 포함한다.
웨이퍼(110)는 제1커넥터(100)의 몸체를 이루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웨이퍼(110)는 사출 성형, 3D 프린팅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웨이퍼(110)에는 후술할 제2커넥터(200)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수용부(111)가 형성된다. 하우징 수용부(111)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움푹 들어간 리세스된 형태를 가진다.
웨이퍼(110)에는 회로기판(1)의 형성된 보스홀(1a)에 대응하여 제1커넥터(100)를 회로기판(1)의 정위치로 가이드하는 보스(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웨이퍼(110)가 회로기판(1)의 정위치에 안착되고, 후술할 터미널(120)이 회로기판(1)에 형성된 전기 접속부(1b)에 올바르게 접촉되어 회로기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웨이퍼(110)의 양측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후크(113)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후크(113)는 회로기판(1)에 납땜 또는 실장되어 웨이퍼(110)를 회로 기판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웨이퍼(110)에는 회로기판(1)과 연성회로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터미널(120)이 장착된다. 터미널(120)은 회로기판(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터미널(120)은 웨이퍼(110)의 전후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좌우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된다.
터미널(120)은 웨이퍼(110)에 장착되고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결합 시 연성 회로(2)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터미널(120)은 웨이퍼(110)에 장착되고, 웨이퍼(110)의 내부로 삽입된 후 단부가 하우징 수용부(111)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터미널(120)은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 및 회로 기판의 피치(pitch, P)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미널(120)은 0.5mm, 1.0mm, 1.25mm 및 1.5mm 피치 등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커넥터(200)는 하우징(210) 및 리테이너(22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제2커넥터(200)의 몸체를 이루며,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된다. 하우징(210)은 사출 성형, 3D 프린팅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은 회로기판(1)에 수직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커넥터(100)의 하우징 수용부(111)에 수용되고, 수용된 상태에서 제2커넥터(200)와의 결합을 위한 록킹 돌기(230')를 구비한 탄성암(230)을 구비한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210)에는 연성 회로(2)가 삽입되어 장착된다. 이를 위해 하우징(210)에는 연성 회로(2)를 수용하는 연성 회로 수용부(211)가 형성된다. 연성 회로 수용부(211)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움푹 들어간 리세스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210)에는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가 터미널(120)과 전기적 접속을 하기 위한,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수용된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 노출시키는 개구부(212)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개구부(212)는 하우징 수용부(111)와 연성 회로 수용부(211)를 연통시킨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터미널(120)이 개구부(212)를 통과하여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와 접촉됨에 의해, 회로기판(1)이 연성 회로(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개구부(212)가 하우징(210) 하단부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하우징(210)의 타면 상측에 탄성암(230)이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하우징(210)은 웨이퍼(110)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하우징(210)은 웨이퍼(110)에 지지되도록, 적어도 웨이퍼(110)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하우징(210)의 일단부가 웨이퍼(110)의 내부로 삽입되고, 하우징(210)의 하부면이 웨이퍼(110)의 일면에 안착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하우징(210)과 웨이퍼(110)의 결합관계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리테이너(22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리테이너(220)의 상부에는 하우징(210)의 상부 일측을 덮도록 걸림돌출부(223)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출부(223)가 하우징(210)의 일측면에 닿았는지, 여부에 따라, 조립자는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리테이너(220)가 얼마만큼 수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테이너(220)의 삽입에 문제(예를 들어, 불완전한 삽입, 마감 불량 등)가 발생하여 재조립이 필요한 경우, 조립자는 걸림돌출부(223)를 파지하고 들어 올림으로써 연성 회로 수용부(211)로부터 리테이너(220)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리테이너(220)는 연성 회로(2)와 마주하는 연성 회로 수용부(211)의 일측 사이에 개재되어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삽입된 연성 회로(2)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리테이너(220)가 연성 회로(2)를 고정하는 상세 구조에 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이하 하우징(210), 리테이너(220) 및 연성 회로(2)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하우징(210)과 연성 회로(2) 간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개념도이다. 도 9는 하우징(210)과 리테이너(220) 간의 결합 구조를 상세하게 보인 개념도이다.
먼저, 하우징(210)과 연성 회로(2)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
하우징(210)은 연성 회로 수용부(211)를 한정하는 내부면을 형성하고, 그 내부면에는 걸림턱(213)이 돌출 형성된다.
걸림턱(213)은 내부면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어,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수용되는 연성 회로(2)의 일면을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걸림턱(213)은 연성 회로(2)에 구비되는 걸림부(2a)의 적어도 일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걸림부(2a)는 연성 회로(2)의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걸림턱(213)이 걸림부(2a)의 상면을 덮을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걸림부(2a)가 걸림턱(213)에 걸림으로써 연성 회로(2)의 이동이 구속된다. 이에 따라, 걸림턱(213)은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211)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하우징(210)의 내부면에는 경사면(214)이 형성된다. 경사면(214)은 상방을 향해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걸림턱(213)까지 연장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연성 회로(2)는 경사면(214)을 따라 이동하며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연성 회로(2)의 걸림부(2a)가 걸림턱(213)에 걸림될 수 있도록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삽입 시, 연성 회로(2)가 하우징(210)의 경사면(214)을 따라 이동되고, 연성 회로(2)의 걸림부(2a)가 하우징(210)의 걸림턱(213)에 의해 걸림됨으로써, 연성 회로(2)가 하우징(210)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커넥터 조립 과정 중에 연성 회로가 하우징으로부터 인출이 제한될 수 있다
다음은 리테이너(220)와 하우징(210)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살펴본다.
리테이너(220)는,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211)로부터 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연성 회로(2)의 일면과 걸림턱(213)을 덮도록 배치되고,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수용되어 하우징(210)과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리테이너(220)는 플레이트부(221) 및 리테이너 체결부(222)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221)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연성 회로 수용부(211) 내에 배치된 연성 회로(2)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리테이너 체결부(222)는 플레이트부(221)의 좌우 양측에서 각각 돌출되고,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 체결부(222)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 체결부(222)가 외력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외력이 제거되는 경우 리테이너 체결부(222)는 외측으로 복원될 수 있다.
리테이너 체결부(222)는 연성 회로 수용부(211)의 좌우 내측벽에 형성되는 후술할 리테이너 걸림부(215)에 걸림되는 걸림 후크(22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걸림 후크(222')가 걸림되는 리테이너 걸림부(215)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 걸림부(215)는 제1걸림홈(215a) 및 제2걸림홈(215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걸림홈(215a)은 연성 회로 수용부(211)의 좌우 내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걸림홈(215a)은 상부를 한정하는 리테이너 제1걸림턱(ST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 제1걸림턱(ST1)에는 상기 내측벽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리테이너 제1경사면(S1)이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 제1경사면(S1)은, 걸림 후크(222')가 제1걸림홈(215a)에 끼워질 수 있도록 리테이너(22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리테이너 체결부(222)를 가압하여 내측으로 탄성 변형 시킬 수 있다.
제2걸림홈(215b)은 제1걸림홈(215a)의 하부로부터 이격 형성되고, 연성 회로 수용부(211)의 좌우 내측벽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고하면, 제2걸림홈(215b)은 제1걸림홈(215a)과 제2걸림홈(215b) 사이에 제2걸리홈의 상부를 한정하는 리테이너 제2걸림턱(ST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 제2걸림턱(ST2)에는 내측벽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리테이너 제2경사면(S2)이 연장 될 수 있다.
리테이너 제2경사면(S2)은, 일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예를 들어, 본 도면은 하방으로 가입된 경우이다)에 의해 걸림 후크(222')를 제1걸림홈(215a)로부터 이탈시키고, 리테이너 체결부(222)를 내측으로 가압하여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220)는 하방으로 이동 가능하고, 걸림 후크(222')는 제2걸림홈(215b)에 끼워져 질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 걸림부(215)에 따르면, 걸림 후크(222')가 상기 리테이너 걸림부(215)에 걸림됨에 의해 리테이너(220)는 하우징(210)에 고정될 수 있고, 리테이너(220)의 높이가 단계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하우징(210)에는 리테이너(220)의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슬롯(217)이 형성될 수 있다. 리테이너(220)에는 가이드 슬롯(217)에 삽입 가능하도록 가이드 리브(22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의 (a) 내지 (c)는 도 7에 도시된 B-B를 취한 단면도로서, 커넥터 공정을 통하여 연성 회로(2)가 제2커넥터(200)에 조립되는 과정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10의 (a)를 참조하면, 제1걸림홈(215a)에 걸림 후크(222')가 걸림된 상태에서, 연성 회로(2)는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테이너(220)와 하우징(210)에 형성되는 걸림턱(213) 사이에는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가 통과할 수 있는 이격 공간(S)이 형성된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연성 회로(2)의 걸림부(2a)가 경사면(214)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고, 연성회로가 상기 이격 공간(S)을 통과하여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리테이너(220)는 하우징(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연성 회로(2)의 걸림부(2a)가 걸림턱(213)에 의해 덮힌 상태에서, 제1걸림홈(215a)에 걸림된 걸림 후크(222')는 하방 외력에 의해 이동하여 제2걸림홈(215b)에 걸리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리테이너(220)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리테이너 제2걸림턱(ST2)에 걸림에 따라 하우징(21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격 공간(S)은 플레이트부(221)에 의해 채워지고, 리테이너(220)가 제2걸림홈(215b)에 걸려 하우징(210)에 고정됨으로써, 연성 회로(2)가 제2커넥터(200)에 조립되는 과정이 마쳐지게 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리테이너(220)가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이동되며 삽입된 연성 회로(2)의 일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음으로써 제2커넥터(200)의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전기 커넥터의 조립 과정이 간단하다. 그리고, 간단한 조립 과정을 거치면서도, 걸림턱(213)에 의해 연성 회로(2)의 인출이 방지되고, 리테이너(220)에 의해 연성 회로(2)의 인출이 방지됨에 따라, 연성 회로(2)와 제2커넥터(200)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에 도시된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앞선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웨이퍼(110)에는 하우징(210)과 결합할 수 있는 록킹 홈(114)이 구비된다. 록킹 홈(114)은 웨이퍼(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하우징(210)의 록킹 돌기(23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록킹 홈(114)은 제2커넥터(200)가 하우징 수용부(111)에 수용된 상태에서 후술할 탄성암(230)의 록킹 돌기(230')가 내측으로부터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록킹 홈(114)과 록킹 돌기(230')는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하우징(210)에는 록킹 홈(114)에 대응하는 위치에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암(230)이 형성된다. 탄성암(230)은 내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외팔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우징(210)의 록킹 홈(114)에 마주보는 탄성암(230)의 일면 상에는 록킹 돌기(230')가 돌출 될 수 있다. 하우징(210)을 하우징 수용부(111)에 삽입 시, 탄성암(230)이 웨이퍼(110)에 의해 내측으로 탄성 변형 되며 록킹 돌기(230')가 록킹 홈(114)에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탄성암(230)의 일단에는 누름 조작 가능한 누름부(230")가 구비된다. 누름부(230") 조작 시(도면을 참조하면, 누름부(230")를 내측으로 가압 시), 탄성암(230)은 하향 경사지고, 록킹 돌기(230')는 록킹 홈(114)으로부터 분리되어 제2커넥터(200)가 제1커넥터(100)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커넥터(200)를 제1커넥터(1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하우징(210)에는 탄성암(230)의 외측으로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리브(216)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리브(216)는 탄성암(230)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탄성암(230)의 좌우로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고, 걸림리브(216)가 돌출된 부분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한편, 도 11을 앞선 도면들과 함께 참조하면, 터미널(120)은 회로기판(1)과 연성회로 간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베이스부(121), 제1접속부(122) 및 제2접속부(123)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21)는 웨이퍼(11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하우징(210)의 터미널(120) 장착부에 설치된다. 베이스부(121)에는 웨이퍼(110)의 하부로 돌출되어 회로기판(1)의 상면과 접촉되는 하부접촉부(121')가 구비된다.
제1접속부(122)는 연결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삽입 시 연성 회로(2)의 단자부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접속부(122)는 적어도 일 지점에서 벤딩되어 단자부(2b)를 탄성 가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접속부(122)가 개구부(212)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제1접속부(122)의 일단부가 개구부(212)를 통과하여 단자부(2b)의 일측을 가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접속부(123)는 연결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접속부(122)터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접속부(123)는 개구부(212)의 반대되는 하우징(210)의 타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접속부(123)는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삽입된 하우징(210)의 일측면을 지지할 수도 있다.
본 도면에서는 터미널(120)은 하우징(21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 배치되는 제1접속부(122)와 제2접속부(123)를 포함하고, 제1접속부(122)와 제2접속부(123)에 의해 하우징(210)의 하단부를 감싸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한편, 상술한 결합 구조에 따르면, 연성 회로(2)를 간단한 조립 공정이 간단하면서도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견고한 결합을 형성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가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10)이 웨이퍼(110)에 결합 시, 하우징(210)에 삽입된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가 개구부(212)를 통해 노출되어, 웨이퍼(110)의 터미널(120)이 상기 단자부(2b)와 접속됨으로써,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전기적 접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210)의 일단부가 웨이퍼(110)의 하우징 수용부(111)에 수용되고, 하우징(210)의 록킹 돌기(230')가 웨이퍼(110)의 록킹 홈(114)에 걸림으로써,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체결이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211)에 수용되고 리테이너(22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연성 회로(2)와 제2커넥터(200) 간의 조립이 마쳐지고, 하우징(210)이 하우징 수용부(111)에 수용되고 록킹 홈(114)과 록킹 돌기(230')에 의해 웨이퍼에 체결됨으로써,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간의 조립이 마쳐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 구조에 따르면, 커넥터의 체결 과정이 단계적으로 형성되어 조립자의 조립 실수가 줄어들 수 있으며, 연성 회로(2)-제2커넥터(200) 및 제2커넥터(200), 제1커넥터(100)-제2커넥터(200) 간의 조립이 용이하여 제조 공정상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변형예이다. 구체적으로, 제2커넥터(400)는 회로기판(1)을 덮도록 배치되고, 수평 ?항에서 제1커넥터(30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회로기판(1)과 제2커넥터(400)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0)의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주요 구성들을 분리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에 도시된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0)는 제1커넥터(300) 및 제2커넥터(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커넥터(300)는 웨이퍼(310) 및 터미널(320) 등을 포함하며, 제2커넥터(400)는 하우징(410) 및 리테이너(4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도면을 참고하여, 제1커넥터(300) 및 제2커넥터(400)의 결합(또는 조립)을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하우징 수용부(311)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움푹 들어간 리세스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연성 회로 수용부(411)는 상기 수평 방향(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움푹 들어간 리세스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터미널(320)은 웨이퍼(310)의 측면에 장착되고, 내부로 삽입된 후 단부가 하우징 수용부(311)로 돌출되게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321)는 웨이퍼(310)의 높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하우징(410)의 터미널(320) 장착부에 설치된다. 베이스부(321)는 웨이퍼(310)의 측부로 돌출되고, 일단에는 회로기판(1)의 상면과 접촉되는 하부접촉부(321')가 구비된다.
제1접속부(322)는 베이스부(321)의 일측으로부터 회로기판(1)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연성 회로(2)가 연성 회로 수용부(411)에 삽입 시 연성 회로(2)의 단자부(2b)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접속부(323)는 베이스부(321)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고, 제1접속부(322)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앞선 실시예 대비 제2커넥터(400)가 제1커넥터(300)에 결합하는 방향이 수직에서 수평 방향으로 전환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르면, 연성 회로(2)는 하우징(410)의 연성 회로 수용부(411)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된 후, 리테이너(420)에 의해 고정되고, 하우징(410)은 하우징 수용부(311)에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어 웨이퍼(310)에 체결됨으로써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0)의 조립 공정이 마쳐지게 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회로기판(1)의 상부에 조립 공간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0)에 채택된 수평 결합 방식에 의해 제2커넥터(400)가 제1커넥터(300)에 장착될 수 있으므로, 작업 공간 확보에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커넥터(300)와 제2커넥터(4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제2커넥터(400)는 앞선 실시예인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10)의 제2커넥터(200)와 달리, 회로기판(1)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다시 말해, 제2커넥터(400)는 회로기판(1)의 적어도 일부 영역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제1커넥터(300)가 제2커넥터(400)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로기판(1)으로부터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20)의 상부까지의 간격을 줄어들게 된다. 이에 따라, 기기 내부의 공간적 활용성이 증대되고, 두께 등이 감소된 기기가 구현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 예로서, TV가 고려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기기는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회로기판(1) 및 상기 회로기판(1)에 장착되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1)에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장착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복수의 발광소자 각각은 회로기판(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가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고휘도를 갖는 전자소자이면 어떤 것이든지 적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를 통해 회로기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가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회로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로 돌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성 회로 수용부와,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의 단자부가 노출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하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를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연성 회로를 덮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내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내측벽에 형성되는 리테이너 걸림부에 걸림되는 걸림 후크를 구비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 걸림부는 제1걸림홈과 상기 제1걸림홈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1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연성 회로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연성 회로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내부면으로부터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연성 회로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성 회로의 상방 인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에는 상기 연성 회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걸린 연성 회로의 인출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성 회로의 일면과 상기 걸림턱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1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리테이너의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리테이너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응되는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방으로 연장되고 일면에 록킹 돌기를 구비하는 탄성암이 형성되고,
    상기 웨이퍼에는 상기 록킹 돌기가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록킹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고,
    상기 탄성암은 상기 일면과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개구부와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1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접속부와 동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개구부의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의 타면을 연장되는 제2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웨이퍼의 상면 중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5.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제1커넥터; 및
    상기 회로기판을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기 제1커넥터와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수평 방향으로 형성된 하우징 수용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수용부로 돌출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성 회로 수용부와,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의 단자부가 노출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촉되도록 하부에 개구부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수용된 연성 회로를 고정하는 리테이너를 포함하며,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연성 회로를 덮도록 배치되는 플레이트부; 및
    상기 플레이트부의 좌우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내외측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내측벽에 형성되는 리테이너 걸림부에 걸림되는 걸림 후크를 구비하는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 걸림부는 제1걸림홈과 상기 제1걸림홈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홈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1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연성 회로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걸림 후크가 상기 제2걸림홈에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연성 회로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내부면으로부터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연성 회로의 단부에 형성되는 걸림부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연성 회로의 측방 인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면에는 상기 연성 회로의 삽입을 가이드하는 경사면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걸림턱에 의해 걸린 연성 회로의 인출을 제한하도록 상기 연성 회로의 일변과 상기 걸림턱을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상기 개구부가 형성되는 상기 연성 회로 수용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하우징의 측단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20170169600A 2017-12-11 2017-12-11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83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600A KR101883377B1 (ko) 2017-12-11 2017-12-11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DE202018107037.1U DE202018107037U1 (de) 2017-12-11 2018-12-10 Elektrische Steckverbinderanordnung
JP2018230510A JP6745862B2 (ja) 2017-12-11 2018-12-10 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TW107216835U TWM576747U (zh) 2017-12-11 2018-12-11 電連接器組件
CN201822071277.XU CN209401878U (zh) 2017-12-11 2018-12-11 电连接器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600A KR101883377B1 (ko) 2017-12-11 2017-12-11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047A Division KR102030277B1 (ko) 2018-06-05 2018-06-05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377B1 true KR101883377B1 (ko) 2018-07-31

Family

ID=63078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600A KR101883377B1 (ko) 2017-12-11 2017-12-11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745862B2 (ko)
KR (1) KR101883377B1 (ko)
CN (1) CN209401878U (ko)
DE (1) DE202018107037U1 (ko)
TW (1) TWM576747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9932B (zh) * 2019-05-15 2020-07-21 凡甲科技股份有限公司 插接件和電連接器組件
KR102248014B1 (ko) * 2019-07-03 2021-05-04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커넥터 구조
JP7218269B2 (ja) * 2019-10-08 2023-02-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導電部材を保持する保持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JP7134934B2 (ja) * 2019-10-08 2022-09-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導電部材を保持する保持部材を有するコネクタ
JP7094641B2 (ja) 2019-10-16 2022-07-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TWI723700B (zh) * 2019-12-24 2021-04-0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導引插入連接器
TWI801791B (zh) * 2021-01-06 2023-05-11 啓碁科技股份有限公司 連接器連接結構及其連接器
CN112952423B (zh) * 2021-02-08 2023-08-18 安费诺电子装配(厦门)有限公司 一种板端连接器及连接器组件
DE102021105431A1 (de) * 2021-03-05 2022-10-20 Abb Ag Verfahren zur Montage und elektrischen Kontaktierung einer ersten Leiterplatte vertikal zu einer zweiten Leiterplatte
DE102021209119A1 (de) 2021-08-19 2023-02-2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Antriebseinrichtung, Druckerzeuger für eine Bremsanlag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918A (ja) 1999-05-27 2001-02-16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JP2006134728A (ja) * 2004-11-05 2006-05-25 Jst Mfg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KR20150109140A (ko) * 2014-03-19 2015-10-01 한성전자 주식회사 Ffc 커넥터
JP2016046005A (ja) * 2014-08-20 2016-04-0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29763B2 (ja) * 2001-01-12 2007-06-13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フラット配線材用コネクタ
US6475026B1 (en) * 2001-12-10 2002-11-0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Flat flexible cable connector
JP4044822B2 (ja) * 2002-10-21 2008-02-06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50395B2 (ja) * 2004-09-15 2011-08-17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Ffc用挿入ガイド
JP5826565B2 (ja) * 2011-08-31 2015-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17142901A (ja) * 2016-02-08 2017-08-1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40333B1 (ja) * 2016-06-22 2016-12-0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43918A (ja) 1999-05-27 2001-02-16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JP2006134728A (ja) * 2004-11-05 2006-05-25 Jst Mfg Co Ltd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KR20150109140A (ko) * 2014-03-19 2015-10-01 한성전자 주식회사 Ffc 커넥터
JP2016046005A (ja) * 2014-08-20 2016-04-0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576747U (zh) 2019-04-11
JP2019106368A (ja) 2019-06-27
CN209401878U (zh) 2019-09-17
DE202018107037U1 (de) 2019-03-26
JP6745862B2 (ja) 202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377B1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TWI255076B (en) USB connector
US6733325B2 (en) Connector assembly for a flat wire member
KR101886959B1 (ko) 커넥터
US7556528B1 (en)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KR20130122910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JP2001283958A (ja) 基板用コネクタの係止構造
US11404821B2 (en) First connector, second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20110013383A (ko) 전기 커넥터
KR20180039936A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US6520797B2 (en) Connector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2013251210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423117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20190069276A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US6739903B1 (en) Connector structure
KR10205992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KR20090006806U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626368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CN111180926A (zh) 电连接器、电连接器组件以及电气组件
KR101658003B1 (ko) 전기 커넥터
KR101626366B1 (ko)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JP2015026447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978925B1 (ko) 포크인 커넥터
KR101674450B1 (ko) 전기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1837401B1 (ko) 슬라이딩 방식의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