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401B1 - 슬라이딩 방식의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방식의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401B1
KR101837401B1 KR1020170132789A KR20170132789A KR101837401B1 KR 101837401 B1 KR101837401 B1 KR 101837401B1 KR 1020170132789 A KR1020170132789 A KR 1020170132789A KR 20170132789 A KR20170132789 A KR 20170132789A KR 101837401 B1 KR101837401 B1 KR 101837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astening
chassis
wafer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주)연호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호엠에스 filed Critical (주)연호엠에스
Priority to KR1020170132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4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401B1/ko
Priority to CN201821662845.7U priority patent/CN208970833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15Terminal blocks providing connections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부에 체결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웨이퍼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섀시(chassis)의 관통홀에 장착되고, 상기 섀시의 일면 상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단자핀과 접속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개시한다.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은,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섀시 위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방식의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SLIDING-TYPE CONNECTOR ASSE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unit)들 사이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암·수 커넥터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수 커넥터의 단자핀은 암 커넥터의 터미널에 삽입, 체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암·수 커넥터의 체결을 위하여, 암 커넥터의 하우징은 수 커넥터의 웨이퍼에 정확한 위치,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조 공정상 시간과 노력이 투입될 수밖에 없으며, 체결이 불완전한 경우에는 접속 불량으로 단선되거나 커넥터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는 접속 기구로서 신호 전달, 전원 공급 등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전자기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기기 내에서 다른 전자 부품의 장착 공간을 제한하지 않도록 소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6368호(2016.05.26. 등록. 이하, 선행문헌)는 소형화된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선행문헌은 섀시의 관통홀 내에서 섀시와 제2커넥터에 의해 한정되는 수용부로 제1커넥터의 돌출부가 수용되면서,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개시한다.
상기 구성에 따라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돌출부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고, 제1커넥터에 형성된 체결홀의 내부로 제2커넥터의 체결후크가 삽입되어 걸림 고정되어야 한다.
다만, 제2커넥터가 섀시에 장착되면서 수용부가 형성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조립(또는 결합) 과정에서 섀시와 제2커넥터 간에 유격이 발생하는 경우, 돌출부를 수용하기 위한 충분한 수용부를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간의 조립(결합)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체결후크가 걸릴 수 있는 돌기가 체결홀의 내부에 성형되어야 하므로, 커넥터 조립체의 제조 과정(성형 및 조립을 포함)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체결홀의 안쪽에 형성된 돌기에 걸림 고정되는 체결후크 및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체결홀의 구조를 고려하면, 체결후크의 체결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작은 크기의 도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1커넥터를 제2커넥터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선행문헌에 개시된 커넥터 조립체는 제1커넥터가 섀시에 장착된 제2커넥터의 상부에서 하부로 결합되는 것이 용이한 반면, 수평 방향으로의 결합은 섀시의 돌출부에 의해 일부 제한되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상기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시, 섀시의 상부에 일정 조립 공간이 반드시 확보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즉, 공간 활용 측면에서 수평 방향에서 조립되는 공정보다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26368호 (2016.05.26. 등록)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다음과 같은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기존 장치의 구조보다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커넥터간의 체결 또는 해제가 쉽고, 기존 장치의 조립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조립 품질이 확보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를 제안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기존 장치보다 효율적인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를 제안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비추는 백라이트 유닛에 최적화된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예로,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부에 체결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웨이퍼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섀시(chassis)의 관통홀에 장착되고, 상기 섀시의 일면 상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단자핀과 접속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은,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섀시 위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는 상기 웨이퍼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움푹 들어간 리세스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리세스된 영역을 한정하는 내측벽에 의해 상기 체결부로의 이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웨이퍼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응되는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체결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에는 체결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체결후크가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체결홀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암부; 및 내측을 향하여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암부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기 전에 상향 경사지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암부의 누름 조작시, 상기 제1암부는 상향 경사지게 탄성 변형되어 상기 체결홀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상면은 상기 웨이퍼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암부의 누름 조작되는 단부는 상기 웨이퍼의 전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섀시의 일면에 걸림되는 걸림후크; 및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섀시의 일면에 걸림 시, 상기 섀시의 타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단자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삽입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슬롯 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삽입슬롯 내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핀과 접속되며, 상기 삽입슬롯은 상기 섀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단자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터미널과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단자핀은, 상기 웨이퍼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실장부; 및 상기 실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웨이퍼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 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미널과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변형예로,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부에 체결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웨이퍼의 일측면에 세워진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섀시의 돌출부에 형성된 제1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섀시의 일면 상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단자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기 단자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삽입슬롯;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삽입슬롯 내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핀과 접속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접속은,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섀시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1관통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관통홀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단자핀이 상기 돌출부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속됨에 의해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웨이퍼는 일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 상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핀은 상기 연장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세워진 형태로 상기 연장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관통홀은, 상기 단자핀이 장착되는 연장부의 일 영역이 상기 섀시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에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슬롯에는 상기 터미널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삽입슬롯은 상기 돌출부의 상단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관통홀에 의해 일방향으로 노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체결부재에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후크가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체결홀로 형성되는 것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2관통홀은 같은 방향으로 개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예로, 본 발명은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의해 조광(照光)되어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를 개시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커넥터 조립체, 섀시 및 회로기판은 회로 어셈블리를 구성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1커넥터의 체결부가 제2커넥터에 형성된 체결부재의 수용부로 슬라이드 이동되고, 수용부에 수용된 체결부가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되면서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이 마쳐지게 된다.
섀시의 상부에 조립 공간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커넥터 조립체에 채택된 슬라이드 이동 결합 방식에 의해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 결합 구조가 선행문헌에 개시된 장치보다 조립 공간 활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아울러, 체결부재와 체결부의 체결 구조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의 결합을 위한 섀시와 제2커넥터에 의해 한정되는 별도의 수용부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시, 섀시와 제2커넥터 간에 발생되는 유격이 조립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커넥터 조립체의 안정적인 조립 품질 확보가 가능하다.
한편, 경사면에 의해 탄성 변형되는 제1암부 및 체결홀에 걸림되는 체결후크 구조를 통해, 제1커넥터는 제2커넥터에 쉽게 체결될 수 있다. 아울러 누름부를 누르면, 제1암부의 자유단이 들리면서 체결부재가 체결부로부터 쉽게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로부터 쉽게 해제될 수 있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가이드홀 및 가이드돌기 구조를 통하여, 제1 커넥터의 안정적인 슬라이드 이동이 확보되고, 제1 커넥터 및 제2커넥터 간의 견고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커넥터가 섀시의 일측면에 개구된 제2관통홀을 통과하여, 제2커넥터에 결합되는 구조는 커넥터의 조립체의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상기 구조는 백라이트 유닛, 예를 들어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에 적용될 수 있으며, 슬라이드 이동 결합 방식으로 구현된 구조를 통하여 두께, 베젤 등이 감소된 디스플레이 기기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가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 구성들을 분리하고 체결부가 보이는 방향으로 배치한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주요 구성들을 분리하고, 도 2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한 개념도.
도 4 는 도3의 라인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제2커넥터의 주요 구성들을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커넥터가 회로기판에 장착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커넥터의 주요 구성들을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
도 7 및 도 8을 본 발명의 제2커넥터가 섀시에 장착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 평면도.
도 9는 도 8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0은 제1커넥터가 제2커넥터에 장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도 10의 라인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도 11의 (a)는 체결부재가 경사면에 의해 상향으로 경사진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1의 (b)는 체결후크가 체결홀에 걸려 체결부재가 체결부와 체결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와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를 보인 개념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회로기판에 장착된 제1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섀시에 장착된 제2커넥터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라인 D-D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로서, 삽입슬롯이 제1관통홀 내에 위치한 것을 보인다.
도 16은 도12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후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10)가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요 구성들을 분리하고 체결부(111)가 보이는 방향으로 배치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배치한 개념도이다. 도 4 는 도3의 라인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제2커넥터의 주요 구성들을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1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10, 20), 섀시(2) 및 회로기판(1)은 회로 어셈블리(미도시)를 구성한다.
일 실시예로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디스플레이를 조명하는 장치로서, 각종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이 제안되고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기기의 일 예로서, TV가 고려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기판(1)에는 복수의 발광소자(3)가 장착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복수의 발광소자(3) 각각은 회로기판(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3)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가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고휘도를 갖는 전자소자이면 어떤 것이든지 적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미도시)는 커넥터 조립체(10)를 통하여 회로기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소자(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회로기판(1)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디스플레이를 비추는 백라이트 유닛에 최적화된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10)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한다. 커넥터 조립체(10)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암·수 커넥터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 제1커넥터(100)는 수 커넥터, 제2커넥터(200)는 암 커넥터로 이해될 수 있다. 제2커넥터(200)의 단자핀(120)은 제2커넥터(200)의 터미널(230)에 삽입 및 체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커넥터(100)는 회로기판(1)에 장착되어 적어도 일부가 회로기판(1)의 개구부(1a)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개구부(1a)는 회로기판(1)의 일단이 내측으로 절개되어 형성되거나, 회로기판(1)을 관통하는 홀(미도시)이 형성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회로기판(1)에는 전자소자(미도시)가 장착되어,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간의 전기적 연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서는 회로기판(1)에 발광소자(3)가 장착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100)는 웨이퍼(110) 및 단자핀(120)을 포함한다.
웨이퍼(110)는 제1커넥터(100)의 몸체를 이루며,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웨이퍼(110)는 제2커넥터(200)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제2커넥터(200)의 하우징(210)에 수용되고, 웨이퍼(110)가 상기 하우징(2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제2커넥터(200)와의 결합을 위한 체결부(111)를 구비한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웨이퍼(110)는 회로기판(1)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회로기판(1)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회로기판(1)에 지지된다. 본 도면에서는 웨이퍼(110)의 하부면(L)은 개구부(1a)를 형성한 회로기판(1)의 일면에 안착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단자핀(120)은 웨이퍼(110)에 장착되어, 회로기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커넥터(200)의 터미널(230)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커넥터 조립체(10)의 구성들 간의 결합 관계에 대해선 뒤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단자핀(120)은 인서트 사출을 통하여 웨이퍼(110)에 일체로 결합되거나, 웨이퍼(110)와는 별도로 제작된 후 조립 공정을 거쳐 웨이퍼(110)에 결합될 수 있다. 단자핀(120)은 복수 개로 구비되어, 일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단자핀(120)은, 웨이퍼(1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웨이퍼(110)의 일면에 장착되며, 상기 웨이퍼(110)의 일면의 일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단자핀(120)이 나란하게 배치된 것을 보인다.
제2커넥터(200)는 섀시(chassis, 2)의 관통홀(2c')에 장착되며, 하우징(210) 및 터미널(230)을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제2커넥터(200)의 외관을 이루며,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하우징(210)이 관통홀(2c')에 장착될 때, 하우징(210)의 적어도 일부는 관통홀(2c')을 통하여 섀시(2)의 일면 상으로 돌출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210)은,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단자핀(120)이 관통홀(2c')의 상부에 위치될 수 있도록, 관통홀(2c')으로부터 돌출되어 섀시(2)에 장착된다.
한편, 웨이퍼(110)의 하부면(L)과 결합되는 회로기판(1)의 타면은 섀시(2)의 일면과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회로기판(1)은 관통홀(2c')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10)에는 섀시(2)의 일면 상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용부(221)를 형성하는 체결부재(220)가 구비된다. 체결부재(220)는 웨이퍼(110)의 체결부(111)가 체결부재(220)의 수용부(221)에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부(111)를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대하여는 뒤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우징(210)의 일측에는 단자핀(120)을 수용하도록, 단자핀(120)의 삽입 방향에 따라 연장 형성되는 삽입슬롯(211)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슬롯(211)은 섀시(2)의 상부에 노출되어 단자핀(12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터미널(230)은 하우징(210)에 장착되고,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 결합 시 단자핀(120)과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터미널(230)은 하우징(210)의 내부로 삽입된 후, 단부가 하우징(210)의 외부로 노출되게 구성된다.
터미널(230)은 단자핀(120)에 대응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터미널(230)은 전선(240) 또는 별도의 회로기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전선(240) 또는 별도의 회로기판(1)은 상술한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미널(230, 도 11을 참조)은 삽입슬롯(211) 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삽입슬롯(211) 내에 삽입되는 단자핀(120)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제2커넥터(200)의 전선(240)은 섀시(2)에 의해 덮여 섀시(2)의 일면 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단자핀(120)이 하우징(210)에 삽입되어 터미널(230)과 접속되므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커넥터 조립체(10)의 각 구성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커넥터(100)가 회로기판(1)에 장착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주요 구성들을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커넥터(200)가 섀시(2)에 장착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라인 A-A를 따라 취한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커넥터(100)가 제2커넥터(200)에 장착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11의 (a) 및 도 11의 (b)는 도 10의 라인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도 11의 (a)는 체결부재(220)가 경사면(111a)에 의해 상향 경사진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11의 (b)는 체결후크(220b')가 체결홀(111b)에 걸려 체결부재(220)가 체결부(111)와 체결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먼저,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제1커넥터(100)가 회로기판(1)에 장착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웨이퍼(110)의 하부면(L)의 양측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제1후크(112a)와 제2후크(112b)가 각각 설치된다. 제1 후크(112a)와 제2후크(112b)는 개구부(1a)를 형성하는 회로기판(1)의 일면에 실장됨으로써 웨이퍼(110)를 회로기판(1)에 고정시킨다.
웨이퍼(110)의 하부면(L)에는 회로기판(1)의 개구부(1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돌출 연장부(113)가 형성된다. 돌출 연장부(113)는 웨이퍼(110)를 회로기판(1)에 실장 시킬 때, 웨이퍼(110)가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단자핀(120)은 얇은 금속판이 웨이퍼(110)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웨이퍼(110)에 설치될 수 있다. 웨이퍼(110)의 설치된 단자핀(120)은 돌출된 부분에 따라 실장부(121)와 접촉부(122)로 구분 지을 수 있다.
실장부(121)는 웨이퍼(110)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회로기판(1)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SMT(Surface Mounting Technology) 공정을 통해 회로기판(1)에 실장된다. 실장부(121)는 회로기판(1)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구성이며, 더 나아가 상기 제1후크(112a)와 제2후크(112b)와 함께 웨이퍼(110)를 회로기판(1)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접촉부(122)는 실장부(121)로부터 연장되어 웨이퍼(110)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터미널(230)에 접속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에서는 접촉부(122)가 삽입슬롯(211)에 삽입되어 적어도 접촉부(122)의 일부가 터미널(230)과 접속되도록 이루어진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제2커넥터(200)가 섀시(2)의 장착홀에 장착되는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섀시(2)는 금속 재질(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커넥터(200)의 장착 위한 관통홀(2c')을 구비한다. 관통홀(2c')은 섀시(2)의 베이스면(2a)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b)의 상부으로부터 연장되는 주면(2c)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관통홀(2c')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주면(2c)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돌출되는 턱(2d)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200)는 섀시(2)의 관통홀(2c')에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제2커넥터(200)의 하우징(210)이 관통홀(2c')에 장착되며, 이를 위해 하우징(210)은 걸림후크(212) 및 지지돌기(213)를 포함한다.
걸림후크(212)는 하우징(210)이 관통홀(2c')에 삽입된 상태에서, 섀시(2)의 일면에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걸림후크(212)는 외측으로 돌출된 단부가 섀시(2)의 주면(2c)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턱(2d)에 걸림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걸림후크(212)가 섀시(2)의 일면에 걸림되면, 하우징(210)은 걸림후크(212)의 걸림을 해제하지 않고는 섀시(2)로부터 분리될 수 없다.
지지돌기(213)는 하우징(210)이 걸림후크(212)에 의해 섀시(2)의 주면(2c)에 도출된 부분에 걸림 시 섀시(2)의 타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하우징(210)이 관통홀(2c')에 장착된 상태에서 하우징(210)이 섀시(2)의 상부로 이동 시 지지돌기(213)가 섀시(2)의 타면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므로, 하우징(210)이 섀시(2)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하우징(210)의 전방과 후방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지지돌기(213)의 형성 위치 또는 개수는 이에 구속되지 않는다.
한편, 하우징(210)에는 터미널(230)이 장착된다. 터미널(230)은 전선(240) 또는 별도의 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되고,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의 결합 시 제1커넥터(100)의 단자핀(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회로기판(1)과 전선(240) 또는 별도의 회로기판(미도시)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여 터미널(23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터미널(230)은 가압부(231) 및 연결부(232)를 포함한다.
가압부(231)는 접촉부(122)가 삽입슬롯(211)에 삽입 시 접촉부(122)의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연결부(232)는 가압부(231)로부터 연장되어 전선(240) 또는 별도의 회로기판(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전선(240)이 연결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도11의 (a) 및 도 11의 (b)를 참조하여 커넥터 조립체(10)의 조립 공정 및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1의 (a) 및 도11의 (b)를 참조하여 커넥터 조립체(10)의 조립 공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섀시(2)에 제2커넥터(200)를 체결한 후, 제1커넥터(100)가 장착된 회로기판(1)을 섀시(2) 위를 덮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회로기판(1)을 제2커넥터(200)의 수용부(221)를 향하여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웨이퍼(110)가 수용부(221)에 완전히 수용되면 체결부재(220)와 웨이퍼(110)의 체결부(111)가 서로 맞물리면서 조립이 마쳐지게 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여,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 구조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이하 살펴본다.
웨이퍼(110)에는 하우징(210)과 결합할 수 있는 체결부(111)가 구비된다. 체결부(111)는 웨이퍼(110)의 일측에 형성되어, 하우징(210)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체결부(111)가 웨이퍼(110)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움푹 들어간 리세스된 영역의 내측에 위치된 것을 보인다.
체결부(111)의 양측에는 내측벽(110a)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벽(110a)은 리세스된 영역을 한정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내측벽(110a)은 회로기판(1)의 좌우 이동을 제한하여 제1커넥터(100)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체결부(111)는 하우징(210)과 구조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경사면(111a) 및 체결홀(111b)을 포함할 수 있다.
경사면(111a)은 후술할 체결홀(111b)보다 하우징(21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웨이퍼(110)가 수용부(221)에 삽입 시 후술할 체결부재(220)의 일측을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체결홀(111b)은 경사면(111a)의 상단으로부터 연장된 면에 형성되고, 웨이퍼(1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220)와 체결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체결홀(111b)에 후술할 체결부재(220)의 체결후크(220b')가 걸리는 것을 보인다.
한편, 체결홀(111b)은 홀 대신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미도시)로 형성되어 웨이퍼(110)가 수용된 상태에서 체결부재(220)와 체결 가능하도록 하는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체결부(111)에 대응하여 하우징(210)에 체결부재(220)가 구비된다. 하우징(210)의 상부에는 체결부재(220)의 형상에 의해 수용부(221)가 형성된다.
체결부재(220)는 하우징(210)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섀시(2)의 일면 상에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웨이퍼(110)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220)는 웨이퍼(110)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여 제1커넥터(100)의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체결부재(220)의 하부와 하우징(210)의 상부 간에는 수용부(221)가 형성된다. 수용부(221)는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어, 하우징(210)을 향해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제1커넥터(100)에서 웨이퍼(110)의 일부를 수용한다.
체결부재(220)는, 웨이퍼(110)를 하우징(210)에 고정시키거나 하우징(210)으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해, 지지부(220a), 제1암부(220b) 및 제2암부(220c)를 포함한다. 체결부재(220)의 형상은 측단면이 'T'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111)의 너비(w1)와 같거나 다소 작은 너비(w2)를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220a)는 하우징(21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후술할 제1암부(220b)와 제2암부(220c)의 일측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지지부(220a)는 제1암부(220b)와 제2암부(220c)를 지지하고, 제1암부(220b)와 제2암부(220c)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 중심을 형성하도록 탄성 변형된다.
지지부(220a)의 일측에는 보강부(220d)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보강부(220d)가 지지부(220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210)의 일측까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지지부(220a)를 통해, 체결부재(220)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한 지지부(220a)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제1암부(220b)는 섀시(2)의 일면 상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체결부(111)와 체결되도록 일측에 체결후크(220b')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제1암부(220b)는 지지부(220a)에서 웨이퍼(110)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하우징(210)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수용부(221)를 형성하고, 하우징(210)의 상면을 향하도록 자유단에 체결후크(220b')를 구비한다.
제1암부(220b)는 상기 체결후크(220b')가 경사면(111a)에 의해 가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제1암부(220b)는 체결후크(220b')가 체결홀(111b)에 걸리면서 탄성 변형 전의 위치로 돌아간다. 여기서 탄성 변형 전의 위치란 제1암부(220b)가 경사면(111a)에 의해 가압되기 전의 제1암부(220b)의 위치를 의미한다.
제2암부(220c)는 제1암부(220b)에서 타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암부(220c)의 일단에는 누름 조작 가능한 누름부(220c')가 구비된다.
누름부(220c') 조작 시(누름부(220c')가 내측으로 가압 시), 제2암부(220c)는 제1암부(220b)와 제2암부(220c)가 만나는 지지부(220a)의 일축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지고, 제1암부(220b)는 상향 경사진다. 이에 따라, 제1암부의 체결후크(220b')가 들리면서 체결부재가 체결부로부터 쉽게 해제된다.
여기서, 내측 또는 하향은 누름부(220c')가 하우징(210)의 상면과 가까워지는 방향을 의미하고, 상향은 누름부(220c')가 하우징(210)의 상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한다.
누름부(220c')는 체결부재(220)가 체결부(111)에 체결된 상태에서, 웨이퍼(110)의 전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웨이퍼(110)의 간섭이 줄어들어 누름 조작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체결부재(220)와 체결부(111)의 구성에 따르면, 간단한 조작에 의해 걸림 고정된 체결후크(220b')의 체결 상태를 쉽게 해제시켜, 제1커넥터(100)를 제2커넥터(200)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웨이퍼(110)에는 체결부(111)의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롯(114)이 연장 형성된다. 하우징(210)에는 가이드 슬롯(114)에 삽입 가능하도록 가이드 리브(214)가 돌출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가이드 슬롯(114)이 체결부(11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웨이퍼(110)의 일측으로부터 제1커넥터(10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가이드 리브(214)는 가이드 슬롯(114)에 대응하여 체결부재(220)의 양측에 ‘ㄱ'형상으로 각각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체결부재(220)와 체결부(111)의 너비(w1, w2)간에 유격이 발생하여도 웨이퍼(110)와 하우징(210)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체결부(111)의 내측벽(110a)과 함께 하우징(210)에 대한 웨이퍼(110)의 삽입이 가이드 되어 결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제1커넥터(100) 및 제2커넥터(200)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체결부재(220)가 체결부(111)에 체결된 상태에서 체결부재(220)의 상면은 웨이퍼(110)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같은 구성을 통해 커넥터 조립체(10)의 두께가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인접한 구조물(미도시)과 체결부재(220)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결합 구조는 선행문헌에 개시된 장치(이하 종래 장치)보다 구조적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체결부재(220)와 체결부(111)의 체결 구조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므로, 상기 제1 및 제2커넥터(100, 200)의 결합을 위한 섀시(2)와 제2커넥터(200)에 의해 한정되는 별도의 수용부가 구비될 필요가 없다.
아울러, 커넥터 조립체(10)의 조립 과정에서, 섀시(2)와 제2커넥터(200) 간에 발생되는 유격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의 결합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조립 품질 확보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커넥터 조립체(10)에 채택된 슬라이드 이동 방식은, 회로기판(1)을 상기 섀시(2)의 일면 상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제1커넥터(100)가 섀시(2)에 장착된 제2커넥터(200)와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므로, 섀시(2)의 상부에 충분한 조립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 장치보다 작업 공간 확보가 유리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220)가 체결부(111)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탄성 변형되어 체결부(111)로부터 쉽게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간의 체결 또는 해제가 쉬우므로, 제조 공정상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 수 있다. 아울러, 조립 공정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자동화 장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커넥터 조립체(20)를 구성하는 제1커넥터(300)와 섀시(2)의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구체적으로, 제1커넥터(300)가 제2커넥터(4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제1커넥터(300)의 적어도 일부는 돌출부(2b)에 의해 형성되는 섀시(2)의 내측에 수용된다. 즉, 제1커넥터(300)는 섀시(2)의 양면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섀시(2)와 제1커넥터(300)간의 간격을 좁힐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예와 관련된 제1커넥터(300)와 제2커넥터(400)가 조립 전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3은 도 1 1에 도시된 회로기판(1)에 장착된 제1커넥터(3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도시된 섀시(2)에 장착된 제2커넥터(400)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라인 D-D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로서, 삽입슬롯(411)이 관통홀(2c')내에 위치한 것을 보인다. 도 16은 도12의 제1커넥터(300)와 제2커넥터(400)가 조립 후 라인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인 커넥터 조립체(10)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 커넥터 조립체(20)는 제1커넥터(300) 및 제2커넥터(4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커넥터(300)는 웨이퍼(310) 및 단자핀(320) 등을 포함하며, 제2커넥터(400)는 하우징(410), 체결부재(420) 및 터미널(4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도면을 참고하여, 제1커넥터(300) 및 제2커넥터(400)의 결합(또는 조립)을 위한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웨이퍼(310)는 일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회로기판(1)의 개구부(1a)를 통해 회로기판(1)의 타면 상으로 돌출되는 연장부(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자핀(320)은 연장부(315)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세워진 형태로 상기 연장부(315)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와 같이 웨이퍼(310)에는 체결부(311)의 일측에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가이드 슬롯(314)이 연장 형성된다. 하우징(410)에는 가이드 슬롯(314)에 삽입 가능하도록 가이드 리브(4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섀시(2)에는, 베이스면(2a)으로부터 돌출된 돌출부(2b) 및 돌출부(2b)의 상부로부터 연장되는 주면(2c)이 형성될 수 있다.
주면(2c)의 적어도 일부에는 제2커넥터(400)의 장착을 위한 제1관통홀(2c')이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2b)에는 제2관통홀(2c")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커넥터(300)의 적어도 일부 수용을 위한 제2관통홀(2c")은 제1관통홀(2c')로부터 베이스면(2a)을 향하여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의 하우징(410)은 제1관통홀(2c')에 장착되며, 삽입슬롯(411)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부(2b)에 의해 형성되는 섀시(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삽입슬롯(411)이 주면(2c)보다 아래에 배치되고, 돌출부(2b)에 둘러싸여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이 때 제2관통홀(2c")은 삽입슬롯(411)의 전방을 향하여 개구된 형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삽입슬롯(411)은 제2관통홀(2c")에 의해, 섀시(2)의 외부로 노출된다.
아울러, 제2관통홀(2c")의 너비(w4) 및 깊이(d2)는 연장부(315)의 너비(w3) 및 깊이(d1)보다 같거나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2b)에 장착된 단자핀(320)이, 섀시(2)의 내측으로 이동되어 삽입슬롯(411)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와 같이 제2커넥터(400)의 수용부(421)는 제1커넥터(300)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을 따라 체결부재(420)와 하우징(410)의 사이에 형성된다. 도12를 참조하면 수용부(421)는 체결부재(420)와 하우징(410)의 상면에 둘러싸여 체결부(311)가 수용되는 방향을 향하여 전면 및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수용부(421)는 제1커넥터(300)와 제2커넥터(400)의 결합을 위해, 수용부(421)의 전면이 삽입슬롯(411) 및 제2관통홀(2c")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즉, 체결부재(420)의 제1암부(420b')가 삽입슬롯(411) 및 제2관통홀(2c")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회로기판(1)이 섀시(2)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제1커넥터(300)가 제2관통홀(2c")을 통해 섀시(2)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체결부(311)는 체결부재(420)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421)에 수용되고, 단자핀(320)은 돌출부(2b)에 둘러싸인 삽입슬롯(411)에 삽입된다. 그리고 체결부(311)가 체결부재(420)에 의해 고정되고 단자핀(320)이 터미널(430)과 접속되면서, 제1커넥터(300)와 제2커넥터(400)의 결합이 마쳐지게 된다.
이에 따라 앞선 실시예인 커넥터 조립체(10)와 마찬가지로 섀시(2)의 상부에 조립 공간이 확보되지 않더라도, 커넥터 조립체(20)에 채택된 슬라이드 이동 방식에 의해 제1커넥터(300)가 제2커넥터(400)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존 장치의 조립 공정보다 작업 공간 확보에 유리하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1커넥터(300)와 제2커넥터(400)가 조립된 상태에서 커넥터 조립체(20)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커넥터 조립체(20)는 삽입슬롯(411)의 적어도 일부가 섀시(2)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1커넥터(300)의 일부가 상기 삽입슬롯(411)에 삽입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연장부(315)에 장착된 단자핀(320)이 돌출부(2b)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상기 삽입슬롯(411)에 삽입되어 터미널(430)과 접속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에서는 단자핀(320)의 적어도 일부가 주면(2c)보다 아래에 배치된 삽입슬롯(411)에 삽입되어 섀시(2)의 관통홀(2c')의 내부에 배치된 것을 보인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단자핀(320)이 하우징(410)에 형성된 삽입슬롯(411)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410)이 삽입슬롯(411)의 연장 길이만큼 주면(2c)으로부터 돌출되게 구성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하우징(410)의 두께가 앞선 실시예인 하우징(210)의 두께보다 얇도록 제작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410)의 두께가 얇도록 만들어져, 제1커넥터(300)가 제2커넥터(400)와 결합된 상태에서 베이스면(2a)로부터 커넥터 조립체(20)의 상부까지의 간격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두께, 베젤 등이 감소된 디스플레이 기기(미도시)를 구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가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부에 체결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웨이퍼에 장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섀시(chassis)의 관통홀에 장착되고, 상기 섀시의 일면 상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 시 상기 단자핀과 접속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결합은,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섀시 위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됨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섀시의 일면에 걸림되는 걸림후크; 및
    상기 걸림후크가 상기 섀시의 일면에 걸림 시, 상기 섀시의 타면을 덮도록 배치되는 지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웨이퍼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움푹 들어간 리세스된 영역 내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리세스된 영역을 한정하는 내측벽에 의해 상기 체결부로의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슬라이드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대응되는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체결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체결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체결후크가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체결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서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서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의 사이에서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제1암부; 및
    상기 제1암부에서 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내측을 향하여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암부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되기 전에 상향 경사지게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체결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암부의 누름 조작 시, 상기 제1암부는 상향 경사지게 탄성 변형되어 상기 체결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부재의 상면은 상기 웨이퍼의 상면보다 낮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부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암부의 누름 조작되는 단부는 상기 웨이퍼의 전단부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단자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삽입슬롯이 구비되고,
    상기 터미널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슬롯 내에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삽입슬롯 내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핀과 접속되며,
    상기 삽입슬롯은 상기 섀시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단자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터미널과 두께방향으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은,
    상기 웨이퍼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실장부; 및
    상기 실장부로부터 연장되어 웨이퍼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 시 적어도 일부가 상기 터미널과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5.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상부에 체결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웨이퍼의 일측면에 세워진 형태로 장착되어 상기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섀시의 돌출부에 형성된 제1관통홀에 삽입되고, 상기 섀시의 일면 상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단자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기 단자핀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삽입슬롯;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삽입슬롯 내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핀과 접속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의 접속은,
    상기 회로기판이 상기 섀시를 덮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1관통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관통홀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기 체결부가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단자핀이 상기 돌출부에 둘러싸이도록 배치된 상기 삽입슬롯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과 접속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는 일측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의 타면 상으로 돌출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핀은 상기 연장부의 연장 방향을 따라 세워진 형태로 상기 연장부에 장착되며,
    상기 제2관통홀은, 상기 단자핀이 장착되는 연장부의 일 영역이 상기 섀시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에 접속할 수 있도록, 상기 연장부의 크기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슬롯에는 상기 터미널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삽입슬롯은 상기 돌출부의 상단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제2관통홀에 의해 일방향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에는 후크 형상으로 이루어진 체결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체결부는 상기 체결부재의 내측에 형성되는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후크가 걸려 끼워질 수 있도록 체결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와 상기 제2관통홀은 같은 방향으로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0. 제1항 내지 제10항, 제12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상기 커넥터 조립체;
    상기 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의해 조광(照光)되어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170132789A 2017-10-12 2017-10-12 슬라이딩 방식의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1837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789A KR101837401B1 (ko) 2017-10-12 2017-10-12 슬라이딩 방식의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CN201821662845.7U CN208970833U (zh) 2017-10-12 2018-10-12 滑动式连接器组装体及具有其的显示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789A KR101837401B1 (ko) 2017-10-12 2017-10-12 슬라이딩 방식의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401B1 true KR101837401B1 (ko) 2018-03-13

Family

ID=6166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789A KR101837401B1 (ko) 2017-10-12 2017-10-12 슬라이딩 방식의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7401B1 (ko)
CN (1) CN208970833U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7159A (ja) * 2012-01-30 2013-08-15 Jst Mfg Co Ltd 基板用コネクタ
JP5590952B2 (ja) 2010-04-15 2014-09-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基板
KR101626366B1 (ko) * 2014-12-31 2016-06-01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KR101626368B1 (ko) * 2014-12-31 2016-06-01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90952B2 (ja) 2010-04-15 2014-09-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付き基板
JP2013157159A (ja) * 2012-01-30 2013-08-15 Jst Mfg Co Ltd 基板用コネクタ
KR101626366B1 (ko) * 2014-12-31 2016-06-01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하우징 및 이를 구비하는 커넥터
KR101626368B1 (ko) * 2014-12-31 2016-06-01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08970833U (zh) 2019-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377B1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0480196B1 (ko) 전선 접속기구
KR101886959B1 (ko) 커넥터
US6997749B1 (en) Shield connector
US8672718B2 (en) Board connecting terminal and holding structure of circuit board
KR101998077B1 (ko) 커넥터위치보증부재를 갖는 커넥터 장치
JP2016136539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890002592B1 (ko) 접편 매설지지형 잭
TWM604975U (zh) 第一連接器、第二連接器及電連接器組合
US20170280574A1 (en) Electronic apparatus
CN209930747U (zh) 电子装置
WO2019077840A1 (ja) 電気コネクタ
KR101423117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JPH1174023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の嵌合検知構造
KR101837401B1 (ko) 슬라이딩 방식의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EP2665130A1 (en)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same
KR101626368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JPH1126068A (ja) スライド嵌合型コネクタ
KR101658003B1 (ko) 전기 커넥터
KR102030277B1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JP2019129137A (ja) コネクタ、相手方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20100022841A (ko) 커넥터
TW201347312A (zh) 浮動連接器及使用於該浮動連接器的頂座及插座
JP2005203698A (ja) 電気機器の筐体構造
TW201340478A (zh) 支座,附帶扁形導體支座及該附帶扁形導體支座與電連接器之組合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