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3117B1 -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3117B1
KR101423117B1 KR1020120097916A KR20120097916A KR101423117B1 KR 101423117 B1 KR101423117 B1 KR 101423117B1 KR 1020120097916 A KR1020120097916 A KR 1020120097916A KR 20120097916 A KR20120097916 A KR 20120097916A KR 101423117 B1 KR101423117 B1 KR 101423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housing
connector
protrusion
terminal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7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039A (ko
Inventor
최연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호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호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호전자
Priority to KR1020120097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3117B1/ko
Publication of KR20140031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3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3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제1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회로기판과의 사이에서 수용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웨이퍼에 장착되어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 내에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제2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회로기판과 함께 상기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시 상기 단자핀을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기 하우징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슬롯,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2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슬롯 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삽입되는 상기 단자핀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CONNECTOR ASSEMBLY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unit)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 조립체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암·수 커넥터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수 커넥터의 단자핀은 암 커넥터의 터미널에 삽입, 체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암·수 커넥터의 체결을 위하여, 암 커넥터의 하우징은 수 커넥터의 웨이퍼에 정확한 위치,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조 공정상 시간과 노력이 투입될 수밖에 없으며, 체결이 불완전한 경우에는 접촉 불량으로 단선되거나 커넥터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는 접속 기구로서 신호 전달, 전원 공급 등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전자기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기기 내에서 다른 전자 부품의 장착 공간을 제한하지 않도록 소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으로 단순한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를 비추는 백라이트 유닛에 최적화된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제1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회로기판과의 사이에서 수용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웨이퍼에 장착되어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수용부 내에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제2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회로기판과 함께 상기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시 상기 단자핀을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기 하우징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슬롯,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제2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슬롯 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삽입되는 상기 단자핀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지는 터미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회로기판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회로기판이 제1회로기판을 수직하게 덮도록 배치된 후 수직을 유지하며 슬라이드 이동됨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제1회로기판, 상기 제2회로기판,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돌출부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단자핀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고 상기 단자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슬롯은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열팽창에 의하여 상기 단자핀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 개구를 형성한다.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에는 좌우측에 구비되는 상기 슬롯 사이의 리세스부의 전단부에서 돌출되어 후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걸림홀에 걸림 가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탄성암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암에는 상기 탄성암의 후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탄성암이 상기 리세스부에 수용되도록 탄성암을 가압하는 누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은, 금속 재질의 일부가 절개 및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핀의 상하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가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커넥터 조립체와, 상기 제1 또는 제2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의해 조광(照光)되어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를 제안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와 제1회로기판 사이에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에 하우징과 제2회로기판이 함께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커넥터 조립체가 차지하는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제2회로기판을, 제1회로기판을 수직하게 덮도록 배치한 후 수직을 유지하며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면, 하우징이 수용부에 수용되어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체결이 용이하며 제조 공정상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 수 있다.
상기 구조는 백라이트 유닛, 예를 들어, 발광소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단순화된 구조를 통하여 두께, 베젤 등이 감소된 디스플레이 기기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가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자핀과 터미널 간의 결합 관계를 보인 개념도.
도 6은 도 1의 웨이퍼의 내측을 보인 개념도.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의 일반적인 결합 상태를 제2커넥터의 후방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7b는 도 7a의 결합 상태에서 열팽창에 의하여 제2커넥터가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의 결합 상태를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10)가 디스플레이 기기에 적용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10)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0)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기기에는 백라이트 유닛이 구비된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디스플레이를 조명하는 장치로서, 각종 구조의 백라이트 유닛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제1회로기판(1)에는 발광소자(3)가 장착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발광소자(3)는 제1회로기판(1)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3)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가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고휘도를 갖는 전자소자이면 어떤 것이든지 적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제2회로기판(2)은 커넥터 조립체(10)를 통하여 제1회로기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소자(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제1회로기판(1)과 제2회로기판(2)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디스플레이를 비추는 백라이트 유닛에 최적화된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1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커넥터 조립체(10)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한다. 커넥터 조립체(10)는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암·수 커넥터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 제1커넥터(100)는 수커넥터, 제2커넥터(200)는 암 커넥터로 이해될 수 있다. 제1커넥터(100)의 단자핀(120)은 제2커넥터(200)의 터미널(230)에 삽입, 체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커넥터(100)는 제1회로기판(1)에 장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로기판(1)에는 발광소자(3)가 장착되어,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커넥터(100)는 웨이퍼(110) 및 단자핀(120)을 포함한다.
웨이퍼(110)는 수 커넥터(200)의 몸체를 이루며,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웨이퍼(110)는 바디부(111) 및 돌출부(112)를 포함한다. 바디부(111)는 제1회로기판(1)에 실장되며, 단면이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부(112)는 바디부(111)의 일측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제1회로기판(1)과의 사이에서 수용부(130)를 형성한다. 돌출부(112)는 제1회로기판(1)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라, 웨이퍼(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ㄱ'자 형상이 될 수 있다.
단자핀(120)은 웨이퍼(110)에 장착되어 제1회로기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수용부(130) 내에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수용부(130)에 삽입되는 제2커넥터(200)의 터미널(230)과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단자핀(120)은, 예를 들어, 수용부(130)의 좌·우측에서 각각 돌출되는 두 개의 핀들(121, 1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2커넥터(200)는 제2회로기판(2)에 장착된다. 제2회로기판(2)은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며, 커넥터 조립체(10)를 통해 제1회로기판(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소자(3)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제2커넥터(200)는 하우징(210), 슬롯(220) 및 터미널(230)을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제2커넥터(200)의 외관을 이루며,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된다. 하우징(210)은 적어도 일부가 제2회로기판(2)과 함께 수용부(130)에 수용 가능하도록 수용부(13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제1회로기판(1), 제2회로기판(2), 하우징(210) 및 돌출부(112)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된다.
슬롯(220)은 하우징(210)의 전단부에서 하우징(210)이 수용부(130)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슬롯(220)은 단자핀(120)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하우징(210)이 수용부(130)에 삽입시 단자핀(120)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에서는, 하우징(210)의 중앙 부분에 전단부에서 후단부로 연장되게 리세스되는 리세스부(212)가 형성되고, 리세스부(212)를 기준으로 양측에 핀들(121, 122)을 수용하는 슬롯들(221, 222)이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터미널(230)은 하우징(210)에 장착되어 제2회로기판(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슬롯(220) 내에서 돌출되게 설치되어 삽입되는 단자핀(120)과 접촉되도록 이루어진다. 터미널(230)은 단자핀(120)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231, 23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돌출부(112)와 제1회로기판(1) 사이에 수용부(130)가 형성되고, 수용부(130)에 하우징(210)과 제2회로기판(2)이 함께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므로, 커넥터 조립체(10)가 차지하는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로기판(2)을, 제1회로기판(1)을 수직하게 덮도록 배치한 후[즉, 제2회로기판(2)을 제1회로기판(1) 상에 수직하게 적층시킨 후] 수직을 유지하며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면, 하우징(210)이 수용부(130)에 수용되어 제1커넥터(1)와 제2커넥터(2)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체결이 용이하며 제조 공정상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넥터 조립체(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커넥터 조립체(10)는 제1 및 제2커넥터(100, 200) 간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12)는 바디부(111)의 상면 및 양측면으로부터 연장되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112)는 하우징(210)이 수용부(130)에 수용되었을 때 하우징(210)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수용부(130)에 수용된 하우징(210)은 돌출부(112)에 의하여 상측 및 좌·우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며, 제1회로기판(1)에 의해 지지되어 하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보다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2)의 상면에는 하우징(210)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홀(112a)이 형성된다. 걸림홀(112a)은 바디부(111)로 연장되어 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210)에는 리세스부(212)의 전단부에서 돌출되어 후단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암(240)이 구비된다. 탄성암(240)은 리세스부(212)에 대하여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다. 탄성암(2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전면으로부터 연속된 형태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탄성암(240)에는 걸림돌기(24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우징(210)이 수용부(130)에 삽입되면 걸림돌기(241)가 걸림홀(112a)에 걸려 고정되도록 이루어진다. 탄성암(130)의 탄성 변형을 이용한 하우징(210)과 웨이퍼(110)와의 결합 구조[예를 들어, 걸림돌기(241)가 걸림홀(112a)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를 통하여 제2커넥터(200)는 제1커넥터(100)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탄성암(240)의 후단부에는 탄성암(240)을 가압하는 누름부(242)가 형성되어 누름 조작시 탄성암(240)이 리세스부(212)에 수용되도록 탄성암(240)을 가압한다. 누름부(242)는 하우징(210)이 수용부(130)에 수용되었을 때 돌출부(112) 바깥으로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단자핀(120)과 터미널(230) 간의 결합 관계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를 앞선 도 4와 함께 참조하면, 단자핀(120)은 웨이퍼(110)에 설치되는 얇은 금속판이 될 수 있다. 단자핀(120)은 접촉부(120a) 및 실장부(120b)를 구비한다.
접촉부(120a)는 슬롯(22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슬롯(220)에 삽입되어 터미널(230)과 접촉되도록 형성된다. 실장부(120b)는 접촉부(120a)로부터 연장되어 제1회로기판(1)에 실장된다. 실장부(120b)는 바디부(111)에서 돌출부(112)의 반대측으로 돌출되어 SMT(Surface Mounting Technology) 공정을 통해 제1회로기판(1)에 실장될 수 있다.
터미널(230)은 얇은 금속판이 절개 및 벤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터미널(230)은 단자핀(120)을 클램핑(clamping)함으로써 단자핀(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터미널(230)은 제1가압부(230a), 제2가압부(230b) 및 실장부(230c)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가압부(230a, 230b)는 슬롯(220)에 삽입되는 단자핀(120)의 상하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가압부(230a, 230b)는 단자핀(120)이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되어 각 단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단자핀(120)은 터미널(230)에 삽입될 때보다 인출될 때 보다 큰 저항을 받게 되어 임의적인 분리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실장부(230c)는 하우징(210)의 후단부로 돌출되어 SMT 공정을 통해 제2회로기판(20)에 실장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웨이퍼(110)의 내측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바디부(111)에는 단자핀(120)이 삽입되는 관통홀(141)이 형성된다. 단자핀(120)은 관통홀(141)에 삽입되어 수용부(130) 내에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때, 돌출부(112)의 내측면에는 관통홀(141)과 연통되고 단자핀(1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142)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관통홀(141)에 삽입되는 단자핀(120)의 적어도 일부가 지지홈(142)에 의해 지지되어 단자핀(120)이 휘어짐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단자핀(120)이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단자핀(120)의 일측이 돌출부(112)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지지홈(142)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7a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0)의 일반적인 결합 상태를 제2커넥터(200)의 후방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결합 상태에서 열팽창에 의하여 제2커넥터(200)가 측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의 결합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10)는 디스플레이 기기의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될 수 있다. 이때, 백라이트 유닛 부분에는 발열이 발생하여 내부 구성품들이 열팽창을 하게 된다. 따라서, 백라이트 유닛의 내부 구성품은 열팽창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앞선 도 1 및 2를 참조하면, 슬롯(220)은 하우징(210)의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210)의 측면 개구(211)를 형성한다. 본 도면에서는, 리세스부(212)를 기준으로 좌·우측에 슬롯들(221, 222)이 구비되고, 슬롯들(221, 222)이 하우징(210)의 좌·우측면에 각각 개구(211)를 형성하는 것을 보이고 있다. 도 7a 및 7b를 참조하면, 개구(211)가 형성됨으로써, 열팽창에 의하여 단자핀(120)이 측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하우징(21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터미널(230)과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제1회로기판에 장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측 상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회로기판과의 사이에서 수용부를 형성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및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고, 일단은 상기 바디부의 일측에서 상기 수용부로 돌출되어 상기 돌출부에 의하여 덮이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회로기판에 실장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벤딩된 형태로 형성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제2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회로기판과 함께 상기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용부에 삽입시 상기 수용부를 향하여 돌출된 상기 단자핀의 일부를 수용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상기 하우징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슬롯; 및
    일부는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핀 일단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회로기판에 실장되도록, 적어도 일부가 벤딩된 형태로 형성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회로기판의 연장 방향을 따라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회로기판이 제1회로기판을 수직하게 덮도록 배치된 후 수직을 유지하며 슬라이드 이동됨에 의하여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제1회로기판, 상기 제2회로기판,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돌출부는 순차적으로 적층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하우징의 상면 및 측면을 덮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단자핀이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고 상기 단자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며, 열팽창에 의하여 상기 단자핀이 측방향으로 이동되어도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 개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상면에는 상기 하우징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걸림홀이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에는 좌우측에 구비되는 상기 슬롯 사이의 리세스부의 전단부에서 돌출되어 후단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걸림홀에 걸림 가능하도록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는 탄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에는 상기 탄성부의 후단부에서 돌출되게 형성되어 누름 조작시 상기 탄성부가 상기 리세스부에 수용되도록 탄성부를 가압하는 누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금속 재질의 일부가 절개 및 벤딩되어 형성되고, 상기 슬롯에 삽입되는 상기 단자핀의 상하면을 각각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상기 커넥터 조립체;
    상기 제1 또는 제2회로기판에 장착되고, 제어 신호에 따라 빛을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발광소자; 및
    상기 발광소자로부터 출력되는 빛에 의해 조광(照光)되어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20120097916A 2012-09-04 2012-09-04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101423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16A KR101423117B1 (ko) 2012-09-04 2012-09-04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7916A KR101423117B1 (ko) 2012-09-04 2012-09-04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039A KR20140031039A (ko) 2014-03-12
KR101423117B1 true KR101423117B1 (ko) 2014-07-25

Family

ID=5064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7916A KR101423117B1 (ko) 2012-09-04 2012-09-04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31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614B1 (ko) 2016-05-27 2016-10-25 (주)연호엠에스 터미널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6424B1 (ko) * 2014-05-27 2015-05-04 주식회사 켐트로닉스 전기접속용 커넥터
CN105048171A (zh) * 2015-08-06 2015-11-11 连展科技电子(昆山)有限公司 微型插头电连接器
US10591114B1 (en) * 2019-09-19 2020-03-17 Elemental LED, Inc. Connectors for linear lighting
US10826202B1 (en) 2020-06-24 2020-11-03 Elemental LED, Inc. Connectors for linear lighting
KR102558681B1 (ko) * 2023-01-16 2023-07-26 부천공업(주) 4접점 하우징용 웨이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756Y1 (ko) 2005-12-15 2006-02-24 유니콘 일렉트로닉스 컴포넌트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KR20110050998A (ko) * 2009-11-09 2011-05-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9756Y1 (ko) 2005-12-15 2006-02-24 유니콘 일렉트로닉스 컴포넌트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KR20110050998A (ko) * 2009-11-09 2011-05-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8614B1 (ko) 2016-05-27 2016-10-25 (주)연호엠에스 터미널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039A (ko) 201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3117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US9590327B2 (en) Reinforcing metal fitting and a connector having the reinforcing metal fitting
KR101883377B1 (ko)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US9373922B2 (en) LED illumination device with edge connector
US8834185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compact configuration
TW201519522A (zh) 可撓性電路板連接器
CN106575831B (zh) 连接器以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及插口
KR20120127510A (ko) 커넥터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KR20100018549A (ko) 전기 커넥터 모듈
KR101397768B1 (ko) 전기 부품
KR101419459B1 (ko)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듈 및 모듈에 포함되는 커넥터
JP2015518238A (ja) 照明モジュール
JP2015518238A5 (ko)
US7445466B1 (en)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JP4613128B2 (ja) コネクタ
US7467976B2 (en) Stacked card connector
KR101626368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US20040018768A1 (en) Socket connector with resiliently engaged actuator mechanism
KR101606775B1 (ko) 전기 커넥터
KR101261818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160101322A (ko) 무접촉단자형 fpcb 커넥터
US20180145451A1 (en)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locking structure
KR10133911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837401B1 (ko) 슬라이딩 방식의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