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1818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1818B1
KR101261818B1 KR1020110147800A KR20110147800A KR101261818B1 KR 101261818 B1 KR101261818 B1 KR 101261818B1 KR 1020110147800 A KR1020110147800 A KR 1020110147800A KR 20110147800 A KR20110147800 A KR 20110147800A KR 101261818 B1 KR101261818 B1 KR 101261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nnector
circuit board
housing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연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연호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연호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연호전자
Priority to KR1020110147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1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1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1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외관을 이루며 일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수용부를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1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웨이퍼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시 상기 제1터미널을 수용하도록 상기 삽입부에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슬롯, 및 상기 웨이퍼에 장착되며 상기 슬롯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삽입되는 상기 제1터미널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터미널을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unit)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단위들 사이를 연결하여 전기 회로를 구성하는 접속 기구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암·수 커넥터로 대응되게 구성된다. 수 커넥터는 암 커넥터에 삽입, 체결되어 신호를 전달하거나 전원을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
암·수 커넥터의 체결을 위하여 수 커넥터는 암 커넥터에 정확한 위치, 일정한 방향으로 삽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조 공정상 시간과 노력이 투입될 수밖에 없으며, 체결이 불완전한 경우에는 접촉 불량으로 단선되거나 커넥터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커넥터는 접속 기구로서 신호 전달, 전원 공급 등의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전자기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 내에서 다른 전자 부품의 장착 공간을 제한하지 않도록 소형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으로 단순한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디스플레이를 비추는 백라이트 유닛에 최적화된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커넥터 조립체는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외관을 이루며 일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수용부를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1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웨이퍼와,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시 상기 제1터미널을 수용하도록 상기 삽입부에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슬롯, 및 상기 웨이퍼에 장착되며 상기 슬롯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삽입되는 상기 제1터미널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터미널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커넥터는 제1회로기판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제2회로기판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1회로기판의 일단과 상기 제2회로기판의 일단이 동일 평면을 이루며 서로 마주하게 되면 상기 제1터미널은 상기 제2터미널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터미널은 상기 제2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실장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터미널은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도록 일지점에서 분기되어 상기 접촉부의 양측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압부, 및 상기 일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웨이퍼의 타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2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실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터미널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유닛, 및 상기 제1터미널의 타측면을 상기 지지유닛을 향하여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탄성가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1회로기판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에 실장되는 후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걸림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웨이퍼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기설정된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슬롯은 상기 제1터미널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단부가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커넥터의 삽입부에는 슬롯이 수용부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2터미널이 슬롯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슬롯에 삽입되는 제1터미널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체결이 용이하며, 구조가 단순한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제1회로기판과 제2회로기판을 동일 평면을 이루며 서로 마주하게 배치하는 것만으로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체결이 용이하며, 제조 공정상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 수 있다.
가압부는 접촉부의 양측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므로, 강한 탄성력을 유지하며 제1터미널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가 슬롯을 벗어나 분리되기 전까지는 가압부와의 접촉이 유지되므로, 신뢰성 있는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는 백라이트 유닛, 구체적으로, 발광소자가 장착되는 회로기판들의 길이 연장을 위한 접속 구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단순화, 소형화된 구조를 통하여 커넥터 조립체가 다른 전자 부품의 장착 공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가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를 상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조립체를 하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커넥터를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제2커넥터를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를 라인 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커넥터 조립체의 터미널 구조를 보인 개념도.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2커넥터의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커넥터 조립체(100)가 백라이트 유닛에 적용된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의 배면에서 디스플레이를 조명하는 장치로서, 각종 방식의 백라이트 유닛이 제안되고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주로 면광원이 아닌 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시키는 방식을 이용하며, 이는 직하형과 엣지형으로 나누어진다.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은 발광소자(40)가 LCD 패널 등의 디스플레이의 배면에 배치되어 직접 빛을 비추도록 구성된다. 반면에,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은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발광소자(40)를 배치하고, 도광판을 이용하여 빛을 반사시켜 디스플레이에 빛을 비추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회로기판(10)과 제2회로기판(20)은 각각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길이를 연장하기 위하여 직렬로 연결된다. 복수의 발광소자(40)는 제1 및 제2회로기판(10, 20)에 상기 일방향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발광소자(40)는,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가 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고휘도를 갖는 전자소자이면 어떤 것이든지 적용될 수 있다.
직렬로 연결된 제1 및 제2회로기판(10, 20)은 하나의 소유닛(예를 들어, LED BAR)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병렬로 디스플레이 전체를 덮도록 구성되어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을 이루거나, 디스플레이의 가장자리를 따라 배치되어 엣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할 수 있다.
제3회로기판(30)은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며, 커넥터(200)를 통해 제1회로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소자(4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형성된다. 제3회로기판(30)은 제1회로기판(10)의 일단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회로기판(10)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10)과 제2회로기판(20)의 연결을 위하여 커넥터 조립체(100)가 이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로기판(10)의 일단에는 제1커넥터(110)가 장착되고, 제2회로기판(20)의 일단에는 제2커넥터(120)가 장착되어 제1커넥터(110)와 제2커넥터(120)의 결합에 의해 제1회로기판(10)과 제2회로기판(20)이 직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회로기판(10)과 제2회로기판(20)의 전기적 연결이 용이하면서도 구조적으로 단순하며, 디스플레이를 비추는 백라이트 유닛에 최적화된 새로운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00)를 상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커넥터 조립체(100)를 하면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제1커넥터(110)는 하우징(111) 및 제1터미널(112)을 포함한다.
하우징(111)은 제1커넥터(110)의 외관을 이루며, 제1회로기판(10)의 일단에 장착된다. 하우징(111)은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11)은 백라이트 유닛의 반사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반사도가 높은 합성수지인 RX-323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1)의 양측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후크(113)가 설치된다. 후크(113)는 제1회로기판(10)에 실장(實裝)됨으로써 제1커넥터(110)를 제1회로기판(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하우징(111)의 일측에는 제2커넥터(120)의 삽입부(121a)를 수용하는 수용부(111a)가 형성된다. 수용부(111a)는 삽입부(121a)를 수용하도록 공간을 형성하며, 제1회로기판(10)의 일단에 대응되는 일측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제1터미널(112)은 하우징(111)에 장착되고, 수용부(111a)를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노출된다. 제1터미널(112)은 제2터미널(123)과 접촉되어 제1회로기판(10)과 제2회로기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이루어진다. 제1터미널(112)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커넥터(120)는 웨이퍼(121), 슬롯(122), 제2터미널(123)을 포함한다.
웨이퍼(121)는 제2커넥터(120)의 외관을 형성하고, 제2회로기판(20)의 일단에 장착된다. 웨이퍼(121)는 제1커넥터(110)의 하우징(111)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 예를 들어, 높은 반사도를 갖는 RX-323으로 형성될 수 있다.
웨이퍼(121)의 양측에는 금속으로 형성되는 후크(124)가 설치된다. 후크(124)는 제2회로기판(20)에 실장됨으로써 제2커넥터(120)를 제2회로기판(20)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웨이퍼(121)의 일측에는 수용부(111a)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삽입부(121a)가 구비된다. 삽입부(121a)는 다른 부분[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124)가 설치되는 부분]보다 내측으로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슬롯(122)은 삽입부(121a)의 일단에서 삽입부(121a)가 수용부(111a)에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슬롯(122)은 제1터미널(11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삽입부(121a)가 수용부(111a)에 삽입시 제1터미널(112)을 수용하도록 이루어진다.
슬롯(122)의 단부에는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부(122a)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22a)는 제1터미널(112)이 슬롯(122)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제1터미널(112)의 삽입을 가이드한다.
제2터미널(123)은 웨이퍼(121)에 장착되며, 슬롯(122)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삽입되는 제1터미널(112)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제2터미널(123)은 제1터미널(112)과 대응되도록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제2커넥터(120)의 삽입부(121a)에는 슬롯(122)이 수용부(111a)로의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2터미널(123)이 슬롯(122)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슬롯(122)에 삽입되는 제1터미널(112)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체결이 용이하며, 구조가 단순한 커넥터 조립체(100)가 제공될 수 있다.
앞선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1회로기판(10)과 제2회로기판(20)은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회로기판(10)과 제2회로기판(20)을 서로 마주보게 또는 맞닿게 배치하는 것만으로 제1터미널(112)과 제2터미널(123)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체결이 용이하며, 제조 공정상 투입되는 시간과 노력이 줄어들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제1커넥터(110)를 라인 Ⅳ-Ⅳ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제2커넥터(120)를 라인 Ⅴ-Ⅴ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커넥터 조립체(100)를 라인 Ⅵ-Ⅵ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 조립체(100)의 터미널 구조를 보인 개념도이다.
제1터미널(112)은, 도 4, 6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얇은 금속판이 제1커넥터(110)의 두께 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하우징(111)에 설치될 수 있다. 제1터미널(112)은 접촉부(112a) 및 제1실장부(112b)를 구비한다.
접촉부(112a)는 제2터미널(123)과 접촉되고, 삽입부(121a)의 삽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실장부(112b)는 접촉부(112a)로부터 연장되어 하우징(111)의 타측으로 노출되며, 제1회로기판(10)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실장부(112b)는 개구가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측에 노출되어 SMT(Surface Mounting Technology) 공정을 통해 제1회로기판(10)에 실장될 수 있다.
제1터미널(110)에는 하우징(111)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걸림부(112c)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걸림부(112c)는 제1터미널(110)이 제2터미널(120)과의 결합시 뒤로 밀리는 힘을 받게 되더라도 제1터미널(110)이 하우징(11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 6 및 7을 참조하면, 제2터미널(123)은 제1터미널(112)을 클램핑(clamping)함으로써 제1터미널(1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이루어진다. 제2터미널(123)은 가압부(123a) 및 제2실장부(123b)를 구비한다.
슬롯(122)의 내측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가압부(123a)는 상기 홈에 장착될 수 있다. 가압부(123a)는 일지점(123c)에서 분기되어 접촉부(112a)의 양측면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일지점(123c)은 슬롯(122)이 끝나는 지점과 대응되며, 가압부(123a)는 슬롯(122)의 내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게 형성되어 슬롯(122)에 삽입되는 접촉부(112a)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에서는 가압부(123a)가 슬롯(122)의 양측면에서 각각 돌출되게 형성되고, 접촉부(112a)의 양측면을 각각 탄성 가압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가압부(123a)는 접촉부(112a)의 양측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므로, 강한 탄성력을 유지하며 제1터미널(112)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12a)가 슬롯(122)을 벗어나 분리되기 전까지는 가압부(123a)와의 접촉이 유지되므로, 신뢰성 있는 커넥터 조립체(100)가 제공될 수 있다.
제2실장부(123b)는 상기 일지점(123c)으로부터 연장되어 웨이퍼(121)의 타측으로 노출되고, 제2회로기판(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실장부(123b)는 삽입부(121a)가 형성되는 부분의 반대측에 노출되어 SMT 공정을 통해 제2회로기판(20)에 실장될 수 있다.
제2터미널(123)이 복수 개로 구비되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 이들 사이에는 절연부(127)가 형성되어 이들 사이를 절연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00)는 제1 및 제2커넥터(110, 120) 간의 체결력을 강화하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삽입부(121a)의 적어도 일면에는 걸림후크(125)가 형성되며, 수용부(111a)의 내측면에는 걸림후크(125)가 걸림되는 걸림홈(114)이 형성된다.
또한, 웨이퍼(121)의 적어도 일면에는 하우징(111)에 걸림되는 걸림턱(126)이 형성된다. 걸림턱(126)은 상기 걸림을 통해 삽입부(121a)가 수용부(111a)에 기설정된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제2커넥터(120)의 다른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앞선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압부(123a')는 지지유닛(123a-1) 및 탄성가압유닛(123a-2)을 포함한다. 지지유닛(123a-1)은 접촉부(112a')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고, 탄성가압유닛(123a-2)은 접촉부(112a')의 타측면을 지지유닛(123a-1)을 향하여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접촉부(112a')가 탄성가압유닛(123a-2)의 가압에 의해 지지유닛(123a-1)과 면접촉을 하도록 이루어지므로, 앞선 실시예에 비하여 보다 넓은 접촉 면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1커넥터(110')와 제2커넥터(120') 간의 보다 신뢰성 있는 전기적 연결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구조들은 백라이트 유닛, 구체적으로, 발광소자(40)가 장착되는 제1 및 제2회로기판(10, 20)의 길이 연장을 위한 접속 구조에 적용될 수 있으며, 단순화, 소형화된 구조를 통하여 커넥터 조립체(100)가 다른 전자 부품의 장착 공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커넥터 조립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제1회로기판 20: 제2회로기판
30: 제3회로기판 40: 발광소자
100: 커넥터 조립체 200: 커넥터
110: 제1커넥터 111: 하우징
111a: 수용부 112:제1터미널
112a: 접촉부 112b: 제실장부
112c: 걸림부 113: 후크
114: 걸림홈 121: 웨이퍼
121a: 삽입부 122: 슬롯
122a: 경사부 123: 제2터미널
123a: 가압부 123b: 제2실장부
124: 후크 125: 걸림후크
126: 걸림턱 127: 절연부
123a-1: 지지유닛 123a-2: 탄성가압유닛

Claims (9)

  1.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외관을 이루며, 일측에 수용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고, 상기 수용부를 통하여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는 제1터미널을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에 삽입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웨이퍼;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삽입시 상기 제1터미널을 수용하도록 상기 삽입부에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슬롯; 및
    상기 웨이퍼에 장착되며, 상기 슬롯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삽입되는 상기 제1터미널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터미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제1회로기판의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제2회로기판의 일단에 장착되며,
    상기 제1회로기판의 일단과 상기 제2회로기판의 일단이 동일 평면을 이루며 서로 마주하게 되면 상기 제1터미널은 상기 제2터미널과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은,
    상기 제2터미널과 접촉되고, 상기 삽입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타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1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실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미널은,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도록 일지점에서 분기되어 상기 접촉부의 양측면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접촉부의 적어도 일측면을 가압하도록 이루어지는 가압부; 및
    상기 일지점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웨이퍼의 타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제2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실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제1터미널의 일측면을 지지하도록 이루어지는 지지유닛; 및
    상기 제1터미널의 타측면을 상기 지지유닛을 향하여 탄성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탄성가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1커넥터가 상기 제1회로기판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제1회로기판에 실장되는 후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적어도 일면에는 걸림후크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걸림후크가 걸림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퍼의 적어도 일면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기 수용부에 기설정된 깊이 이상으로 삽입되는 것을 제한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상기 제1터미널의 삽입을 가이드하도록 단부가 외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10147800A 2011-12-30 2011-12-30 커넥터 조립체 KR101261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800A KR101261818B1 (ko) 2011-12-30 2011-12-30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800A KR101261818B1 (ko) 2011-12-30 2011-12-30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1818B1 true KR101261818B1 (ko) 2013-05-14

Family

ID=48665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800A KR101261818B1 (ko) 2011-12-30 2011-12-30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18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976A1 (ko) * 2022-08-11 2024-0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854Y1 (ko) 2003-03-14 2003-06-18 주식회사 연호전자 개량된 커넥터
KR200409756Y1 (ko) 2005-12-15 2006-02-24 유니콘 일렉트로닉스 컴포넌트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KR200428338Y1 (ko) 2006-07-28 2006-10-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854Y1 (ko) 2003-03-14 2003-06-18 주식회사 연호전자 개량된 커넥터
KR200409756Y1 (ko) 2005-12-15 2006-02-24 유니콘 일렉트로닉스 컴포넌트 컴퍼니 리미티드 전기 커넥터
KR200428338Y1 (ko) 2006-07-28 2006-10-1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34976A1 (ko) * 2022-08-11 2024-0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커넥터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0664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1389625B1 (ko) 전자 부품의 접속 구조
US20130252469A1 (en)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unit of eletronic component
JP4785979B1 (ja)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中継コネクタ、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JP2014093123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
KR20180077069A (ko) 전기 커넥터
KR101423117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20160017624A (ko) 컨택트 및 그 컨택트를 사용하는 커넥터
KR101419459B1 (ko)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듈 및 모듈에 포함되는 커넥터
JP4623735B2 (ja) コネクタ
KR20190048538A (ko) 기판 접속용 커넥터
JP2012033456A (ja) コネクタ取付構造
KR101261818B1 (ko) 커넥터 조립체
JP4613128B2 (ja) コネクタ
JP2015518238A (ja) 照明モジュール
JP2015518238A5 (ko)
US10498060B2 (en) Substrate connection structure
US20180145440A1 (en) Plug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contacting module structure
KR101339110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KR101626368B1 (ko) 커넥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기기
KR20120129231A (ko) 커넥터
JP5870218B2 (ja) 電気コネクタ
CN210517010U (zh) 便利性安装线路集成器
US20230033854A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tained elements
JP2009182190A (ja) 電気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