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338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338Y1
KR200428338Y1 KR2020060020471U KR20060020471U KR200428338Y1 KR 200428338 Y1 KR200428338 Y1 KR 200428338Y1 KR 2020060020471 U KR2020060020471 U KR 2020060020471U KR 20060020471 U KR20060020471 U KR 20060020471U KR 200428338 Y1 KR200428338 Y1 KR 2004283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housing
guide
terminal
gu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4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혁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04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3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3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3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관통부(22)가 형성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20)의 관통부(22)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터미널몸체(36)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선단접촉부(37)를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몸체(36)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38)이 형성되는 리셉터클터미널(35)과, 상기 하우징(20)의 관통부(22)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선단접촉부(37)의 선단위치를 안내하는 선단가이드돌기(26)와, 상기 하우징(20)의 관통부(22) 외부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몸체(36)의 가이드슬롯(38)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리셉터클터미널이 하우징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보다 확실하고 원활하게 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하우징, 터미널, 탭, 리셉터클, 안내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를 구성하는 선단가이드돌기와 그 주변 구성을 보인 부분확대단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하우징 22: 관통부
24: 선단걸이턱 25: 가이드경사
26: 선단가이드돌기 28: 랜스걸이돌기
28': 걸이면 29: 가이드경사
30: 가이드돌부 32: 등폭부
33: 확폭부 35: 리셉터클터미널
35': 탭터미널 36: 터미널몸체
37: 선단접촉부 38: 가이드슬롯
39: 등폭부 39': 확폭부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구성되고 상대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하우징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단적으로 상기 터미널의 종류에 따라 암커넥터와 숫커넥터로 구분된다. 암커넥터에는 리셉터클터미널이 설치되고 숫커넥터에는 탭터미널이 설치되어 이들 터미널들이 서로 결합됨에 의해 커넥터가 결합된다.
도 1 및 도 2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절연재질로 만들어지는 하우징(1)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관통부(3)가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3)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셉터클터미널(7)이 설치된다. 상기 관통부(3)의 입구에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그 네 모서리에 선단걸이턱(5)이 형성된다.
상기 선단걸이턱(5)은 아래에서 설명될 리셉터클터미널(7)이 관통부(3)의 선단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고, 상대 커넥터의 탭터미널(12)(도 2참조)이 관통부(3)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선단걸이턱(5)에는 가이드경사(5')가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의 관통부(3) 내부에는 리셉터클터미널(7)이 설치된다. 상기 리셉터클터미널(7)은 상대 커넥터의 탭터미널(12)이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리셉터클터미널(7)의 골격을 형성하는 터미널몸체(8)의 선단에는 선단접촉부(9)가 한쌍이 형성된다. 상기 선단접촉부(9)는 서로 마주보고 접하는 부분이 아치형의 곡면의 정점이고, 상기 선단접촉부(9)의 최선단은 소정의 간격이 형성된다. 상기 간격은 리셉터클터미널(7)이 선단접촉부(9) 사이로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미널몸체(8)의 일측에는 랜스(10)가 형성되고, 상기 랜스(10)는 상기 하우징(1)의 관통부(3) 내부의 랜스걸이돌기(도시되지 않음)에 걸어져 리셉터클터미널(7)이 관통부(3)의 후방을 통해 탈거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리셉터클터미널(7)은 상기 하우징(1)의 관통부(3)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즉, 관통부(3)의 전방으로 빠지는 것은 선단걸이턱(5)에 의해 방지되고, 후방으로 빠지는 것은 랜스(10)가 랜스걸이돌기에 걸어짐에 의해 방지된다.
하지만, 상기 리셉터클터미널(7)이 상기 하우징(1)내에서 관통부(3)의 연장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은 전혀 규제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리셉터클터미널(7)의 선단, 즉 상기 선단접촉부(9)가 상기 선단걸이턱(5)들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않으면, 도 2의 상단에 있는 탭터미널(12)이 리 셉터클터미널(7)의 일측 선단접촉부(9)에 걸려 터미널(7,12) 사이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리셉터클터미널이 하우징 내부의 정확한 위치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관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관통부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터미널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선단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는 리셉터클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관통부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선단접촉부의 선단위치를 안내하는 선단가이드돌기와, 상기 하우징의 관통부 외부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몸체의 가이드슬롯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관통부 입구에는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이 관통부의 전방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단걸이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선단걸이턱에 상기 선단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의 관통부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돌출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랜스걸이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랜스가 형성되어 리셉터클터미널이 관통부의 후단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 한다.
상기 가이드슬롯과 상기 가이드돌부는 각각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등폭부와 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확폭부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돌부는 상기 관통부의 내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리셉터클터미널이 하우징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이 보다 확실하고 원활하게 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단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요부 구성이 확대단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하우징(20)은 커넥터의 골격과 외관을 구성하는 것으로 절연재질로 만들어진다. 일반적으로 하우징(20)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20)의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서는 관통부(2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22)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셉터클터미널(35)이 설치된다.
상기 관통부(22)의 선단 입구에는 선단걸이턱(24)이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관통부(22)의 선단입구는 대략 4각형의 단면을 가지는데, 그 네 모서리에 상기 선단걸이턱(24)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선단걸이턱(24)의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 를 통해서는 아래에서 설명될 탭터미널(35')이 삽입되어 리셉터클터미널(35)과 결합된다. 상기 선단걸이턱(24)에는 탭터미널(35')을 관통부(22)의 내부로 안내하는 가이드경사(25)가 형성된다.
상기 선단걸이턱(24)에서 관통부(22)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게 선단가이드돌기(26)가 형성된다. 상기 선단가이드돌기(26)는 상기 관통부(22)의 내부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리셉터클터미널(35)의 한쌍의 선단접촉부(37) 선단에 걸쳐져 탭터미널(35')을 선단접촉부(37) 사이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20)의 관통부(22) 내부 중간쯤에는 랜스걸이돌기(28)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랜스걸이돌기(28)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셉터클터미널(35)의 랜스(40)가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랜스걸이돌기(28)는 리셉터클터미널(35)이 관통부(22)의 후단 방향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랜스걸이돌기(28)에는 리셉터클터미널(35)의 랜스(40)가 걸어지는 걸이면(28')이 일단에 형성되고, 반대쪽 단부, 즉 관통부(22)의 후단을 향하는 단부에는 가이드경사(29)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20)의 관통부(22)중 상기 랜스걸이돌기(28)가 돌출되는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가이드돌부(3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부(30)는 아래에서 설명될 리셉터클터미널(35)이 상기 관통부(22) 내에서 랜스(40)에 근접하고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돌부(30)는 상기 하우징(20)의 내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상 기 관통부(22)의 후단측에는 그 폭이 일정한 등폭부(32)가 일정 길이만큼 형성되고, 상기 관통부(22)의 선단측에는 그 폭이 선단을 향해 점차로 커지는 확폭부(33)가 일정 길이만큼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이드돌부(30)는 상기 하우징(20)의 관통부(22) 내면에 서로 마주보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관통부(22)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형성되지 않고 어느 일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리셉터클터미널(35)은 상대 커넥터의 탭터미널(35')과 결합하여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리셉터클터미널(35)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리셉터클터미널(35)의 내부로 상기 탭터미널(35')이 삽입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셉터클터미널(35)의 골격을 터미널몸체(36)가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몸체(36)는 대략 내부가 빈 사각기둥형상이다.
상기 터미널몸체(36)의 선단에는 선단접촉부(37)가 형성된다. 상기 선단접촉부(37)는 한쌍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는데, 선단측의 아치형 곡면의 정점이 서로 접촉되게 구성된다. 상기 선단접촉부(37)의 선단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되어 탭터미널(35')이 용이하게 선단접촉부(37)의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몸체(36)에는 상기 랜스걸이돌기(28)와 대응되는 위치에 랜스(40)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40)는 상기 터미널몸체(36)의 일부를 잘라 경사지게 절곡한 것이다. 상기 랜스(40)는 리셉터클터미널(35)을 관통부(22)의 내부로 삽입할 때, 탄성변형되어 상기 랜스걸이돌기(28)를 통과하여 선단이 걸이면(28')에 걸어진다.
상기 터미널몸체(36)에는 상기 가이드돌부(3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슬롯(3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슬롯(38)은 터미널몸체(36)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데, 일측이 상기 선단접촉부(37)가 연장된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슬롯(38)은 상기 가이드돌부(3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부분으로 가이드돌부(30)의 형상과 대응되게 등폭부(39)와 확폭부(39')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서 상기 하우징(20)의 관통부(22)에 리셉터클터미널(35)을 삽입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관통부(22)의 후단에서 상기 관통부(22)의 내부로 상기 선단접촉부(37)부터 삽입한다.
상기 선단접촉부(37)는 상기 관통부(22)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상기 가이드돌부(30)에 의해 서로 마주보는 것이 탄성변형되어 벌어질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부(30)를 상기 선단접촉부(37)가 통과하면 선단접촉부(37)는 원형으로 복원되어 서로 접촉되어 있게 되고, 상기 가이드돌부(30)는 상기 리셉터클터미널(35)의 가이드슬롯(38)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돌부(30)의 등폭부(32)는 상기 가이드슬롯(38)의 확폭부(39')를 통과해서 등폭부(39)로 삽입되므로 리셉터클터미널(35)은 가이드돌부(30)가 가이드슬롯(38)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 위치로 정확하게 안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셉터클터미널(35)이 상기 하우징(20)의 관통부(22)에 삽입되 는 과정에서 상기 랜스(40)는 상기 랜스걸이돌기(28)의 가이드경사(29)를 따라 안내되어 점차 탄성변형되다가 랜스걸이돌기(28)를 통과하면 원형으로 복원되면서 상기 걸이면(28')에 선단이 걸어져 리셉터클터미널(35)이 관통부(22)의 후단쪽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터미널(35)이 관통부(22)에 완전히 끼워지면, 상기 리셉터클터미널(35) 선단의 선단접촉부(37)는 상기 선단가이드돌기(26)에 의해 그 위치가 안내된다. 상기 선단가이드돌기(26)는 상기 선단접촉부(37)의 선단 내측에 위치되어 선단접촉부(37)의 중심이 상기 선단걸이턱(24)이 형성하는 틈새의 중앙에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리셉터클터미널(35)이 하우징(20)의 관통부(22)에 삽입되어 설치되면, 상기 선단걸이턱(24)과 랜스걸이돌기(28)가 리셉터클터미널(35)의 길이방향 전후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선단가이드돌기(26)와 가이드돌부(30)는 관통부(22)의 내부에서 리셉터클터미널(35)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일측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한다. 특히, 상기 선단가이드돌기(26)와 가이드돌부(30)는 상기 탭터미널(35')의 두께 방향으로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여 탭터미널(35')이 리셉터클터미널(35)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커넥터에서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터미널의 위치를 선단가이드돌기와 가이드돌부를 사용하여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와의 결합시 리셉터클터미널의 내부로 탭터미널이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어 커넥터의 동작신뢰성이 높아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내부를 전후로 관통하여 관통부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관통부 내부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터미널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선단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터미널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는 리셉터클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의 관통부 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선단접촉부의 선단위치를 안내하는 선단가이드돌기와,
    상기 하우징의 관통부 외부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몸체의 가이드슬롯에 삽입되는 가이드돌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관통부 입구에는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이 관통부의 전방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단걸이턱이 형성되는데, 상기 선단걸이턱에 상기 선단가이드돌기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관통부 내부에는 상기 가이드돌부가 돌출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랜스걸이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리셉터클터미널의 대응되는 위치에는 랜스가 형성되어 리셉터클터미널이 관통부의 후단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슬롯과 상기 가이드돌부는 각각 폭이 일정하게 형성되는 등폭부와 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확폭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부는 상기 관통부의 내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2020060020471U 2006-07-28 2006-07-28 커넥터 KR2004283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71U KR200428338Y1 (ko) 2006-07-28 2006-07-28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471U KR200428338Y1 (ko) 2006-07-28 2006-07-28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338Y1 true KR200428338Y1 (ko) 2006-10-12

Family

ID=41776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471U KR200428338Y1 (ko) 2006-07-28 2006-07-28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33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31Y1 (ko) 2007-06-25 2009-09-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110075562A (ko) * 2009-12-28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
KR101261818B1 (ko) 2011-12-30 2013-05-14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6031Y1 (ko) 2007-06-25 2009-09-2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KR20110075562A (ko) * 2009-12-28 2011-07-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
KR101640098B1 (ko) 2009-12-28 2016-07-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박스
KR101261818B1 (ko) 2011-12-30 2013-05-14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72855B2 (ja) 電気コネクタ
US6210240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terminal
TWI384691B (zh) Electrical connector
US742246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CN107017498B (zh) 连接器和连接器组件
JP3647951B2 (ja) 一対の嵌合コンタクト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EP2493025B1 (en) Connector
EP2493026A1 (en) Terminal fitting and waterproof connector provided therewith
US20170170591A1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JPH0734575U (ja) コネクタ
EP1548894A1 (en) A connector
US20010036768A1 (en) Connector
KR200428338Y1 (ko) 커넥터
CN112909608B (zh) 端子零件
US11355878B2 (en) Connector
JP2004362973A (ja) 端子金具
EP1418648B1 (en) A connector
US7048583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terminal position assurance mechanism
US7168982B2 (en) Connector
KR200437689Y1 (ko) 커넥터
JP5362931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4273681B2 (ja) 端子金具
US7530860B2 (en) Contact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EP1063732A1 (en) Press pin ground
EP1804344A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flexible mating por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