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257B1 - 커넥터 및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조명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356257B1 KR101356257B1 KR1020120074004A KR20120074004A KR101356257B1 KR 101356257 B1 KR101356257 B1 KR 101356257B1 KR 1020120074004 A KR1020120074004 A KR 1020120074004A KR 20120074004 A KR20120074004 A KR 20120074004A KR 101356257 B1 KR101356257 B1 KR 1013562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substrate
- attracting
- contact portion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directly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부품 점수를 늘리지 않고 콘택트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조명 장치.
하우징의 정면측에 콘택트의 접속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하우징의 정면측에 콘택트의 접속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Description
이 발명은 커넥터 및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18 ∼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403) 과 1 쌍의 콘택트 (405) (단, 도 18 에는 1 개의 콘택트 (405) 만이 도시되어 있다) 와 지지 부재 (도시 생략) 와 탄성 고무관 (408) 과 커버 (409) 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401) 가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65627호 (단락 0025, 0036, 0040, 0041, 0044, 0045, 0051, 도 1 ∼ 도 6, 도 9, 도 10 등) 참조).
커넥터 (401) 는 프린트 기판 (421) 과 전선 (422) 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 18 ∼ 도 23, 도 24, 도 25 는 각각 하기 특허문헌 1 의 도 1 ∼ 도 6, 도 9, 도 10 에 대응한다. 단, 도면 중의 부호는 변경되고, 일부의 부호는 삭제되어 있다.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 (405) 는, 제 1 고정부 (451) 와 제 2 고정부 (452) 와 1 쌍의 연결부 (453) (단, 도 24 에는 1 개의 연결부 (453) 만이 도시되어 있다) 와 접촉부 (454) 와 결선부 (455) 를 갖는다. 접촉부 (454) 는 프린트 기판 (421) 의 단자부 (414) (도 20 참조) 에 접촉한다. 결선부 (455) 에는 전선 (422) 이 결선된다.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고정부 (451) 는 끼워맞춤 이탈 방향 (D11)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촉부 (454) 는 제 1 고정부 (451) 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고, 제 1 고정부 (451) 의 후단쪽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결선부 (455) 는 제 1 고정부 (451) 에 연이어 있으며, 하우징 (403) 의 제 1 지지부 (431) 의 두께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선부 (455) 는 제 1 고정부 (451) 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409) 는, 커버 본체 (491) 와 1 쌍의 콘택트 지지부 (492) 와 1 쌍의 고무관 지지부 (493) 와 1 쌍의 걸어맞춤편 (494) 을 갖는다.
커버 본체 (491) 는 거의 판상이다. 1 쌍의 콘택트 지지부 (492) 는 각각 거의 L 자형이며, 각각 커버 본체 (491) 내면의 상단 근방에서부터 하단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지지부 (492) 는 콘택트 (405) 의 결선부 (455) 를 지지한다. 1 쌍의 걸어맞춤편 (494) 은 각각 거의 판상이며, 각각 커버 본체 (491) 의 양 측부에 연결되어 있다. 걸어맞춤편 (494) 에는 걸어맞춤 구멍 (441) 이 형성되어 있다.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409) 의 걸어맞춤 구멍 (441) 을 하우징 (403) 의 걸어맞춤 돌기 (472) 에 걸어맞추게 하여 커버 (409) 를 하우징 (403) 에 고정시키면, 콘택트 (405) 의 결선부 (455) 와 탄성 고무관 (408) 이 하우징 (403) 과 커버 (409) 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어떠한 원인에 의해 전선 (422) 을 잡아당기는 힘이 발생하였다고 하더라도 결선부 (455) 는 소성 변형되지 않는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콘택트 (405) 의 결선부 (455) 를 커버 (409) 로 지지하는 구조가 채용되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부품 점수가 많아진다.
이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과제는, 부품 점수를 늘리지 않고 콘택트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의 제 1 양태에 있어서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기판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가 절곡되어 있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유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가 거의 180 도 만곡되고, 상기 유지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정면, 배면 또는 측면측 중 어느 곳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부가 거의 90 도 만곡되고, 상기 유지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바닥면측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접촉부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대향부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벽부에 상기 대향부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접촉부와 상기 대향부에 의해 상기 기판과 상기 내벽부의 일부가 사이에 끼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의 제 2 양태에 있어서는, LED 가 실장된 상기 기판과, 이 기판이 탑재되는 섀시와, 이 섀시에 탑재되는 클레임 1 내지 3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조명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LED 가 실장된 상기 기판과, 이 기판이 탑재되는 섀시와, 이 섀시에 탑재되는 클레임 1 내지 3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기판과 상기 커넥터가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 상기 구멍을 막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부품 점수를 늘리지 않고 콘택트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조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상기 서술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그리고 이점은,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는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더 명백해질 것이다.
도 1 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조명 장치를 비스듬하게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섀시 및 프린트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비스듬하게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바닥면도이다.
도 8 은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도 5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 에 나타내는 조명 장치의 커넥터 주변 부분을 비스듬하게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커넥터 주변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13 은 도 11 에 나타내는 커넥터 주변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프린트 기판을 커넥터에 삽입하기 전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5 는 프린트 기판을 커넥터에 삽입한 후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6 은 프린트 기판을 커넥터에 삽입한 후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7 은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조명 장치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8 은 종래의 커넥터를 프린트 기판에 장착하고, 또한 그것들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 및 프린트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20 은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프린트 기판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2 는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3 은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4 는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25 는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 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의 조명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조명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조명 장치를 비스듬하게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섀시 및 프린트 기판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비스듬하게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바닥면도이다.
도 8 은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콘택트의 측면도이다.
도 10 은 도 5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 에 나타내는 조명 장치의 커넥터 주변 부분을 비스듬하게 하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커넥터 주변 부분의 측면도이다.
도 13 은 도 11 에 나타내는 커넥터 주변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4 는 프린트 기판을 커넥터에 삽입하기 전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5 는 프린트 기판을 커넥터에 삽입한 후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16 은 프린트 기판을 커넥터에 삽입한 후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7 은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조명 장치의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8 은 종래의 커넥터를 프린트 기판에 장착하고, 또한 그것들을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 는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 및 프린트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20 은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를 프린트 기판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 은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22 는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23 은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24 는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콘택트의 사시도이다.
도 25 는 도 18 에 나타내는 커넥터의 커버의 사시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 ∼ 도 16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 도 2,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명 장치 (20) 는, 커넥터 (1) 와 10 개의 LED (발광 다이오드) (21) 와 2 개의 프린트 기판 (기판) (22) 과 섀시 (23) 와 도광판 (24) 과 반사 시트 (25) 와 전원 장치 (26) 를 구비하고 있다. 조명 장치 (20) 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의 백라이트에 사용된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프린트 기판 (22) 은 각각 삽입부 (기판의 일부) (22a) 를 갖는다. 삽입부 (22a) 는 프린트 기판 (22) 의 일단부 (一端部) 에 위치하며, 프린트 기판 (22) 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삽입부 (22a) 는 커넥터 (1) 에 삽입된다. 삽입부 (22a) 의 일측부에는 절결 (22b) 이 형성되며, 삽입부 (22a) 의 타측부에는 걸어맞춤부 (22c)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삽입부 (22a) 에는 2 개의 패드 (22d) 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프린트 기판 (22) 에는 5 개의 LED (21) 가 등간격으로 실장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섀시 (23) 는 섀시 본체 (23a) 와 1 쌍의 절곡편 (23b, 23c) 을 갖는다. 섀시 본체 (23a) 는 평판상이다. 절곡편 (23b) 은 섀시 본체 (23a) 의 일측부에 연이어 있다. 절곡편 (23c) 은 섀시 본체 (23a) 의 타측부에 연이어 있다. 절곡편 (23b) 과 절곡편 (23c) 은 대향한다. 섀시 본체 (23a) 와 절곡편 (23b) 의 연결 부분에는 구멍 (23d) 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 (23d) 에는 프린트 기판 (22) 의 삽입부 (22a) 가 통과된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광판 (24) 은 섀시 (23) 의 섀시 본체 (23a) 상에 배치되며, LED (21) 로부터 출사된 광을 절곡편 (23c) 쪽으로 인도한다. 반사 시트 (25) 는 섀시 본체 (23a) 와 도광판 (24) 사이에 배치된다. 반사 시트 (25) 는 도광판 (24) 으로부터의 광을 반사시킨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 장치 (26) 는, 프린트 기판 (26a) 과, 프린트 기판 (26a) 에 실장된 복수의 전자 부품 (26b) 으로 구성되며, LED (21) 에 전력을 공급한다. 전원 장치 (26) 는 섀시 본체 (23a) 의 이면 (섀시 본체 (23a) 의 도광판 (24) 이 배치되는 면과 반대측의 면) 에 장착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는 콘택트 (3) 와 하우징 (5) 을 구비하고 있다.
도 8,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 (3) 는 콘택트 본체 (31) 와 접속부 (37) 와 연결부 (38) 를 갖는다. 콘택트 (3) 는 금속판에 타발 (打拔) 가공 및 굽힘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본체 (31) 는 1 쌍의 접촉부 (32) 와 보호부 (33) 와 1 쌍의 대향부 (34) 와 1 쌍의 본체 연결부 (35) 와 1 쌍의 프레싱부 (36) 를 갖는다.
각 접촉부 (32) 는 콘택트 삽입 방향 (D1) 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촉부 (32) 는 접점부 (32a) 와 유인부 (32b) 와 스프링부 (32c) 를 갖는다. 접점부 (32a) 는 프린트 기판 (22) 의 패드 (22d) 에 접촉한다. 유인부 (32b) 는 접점부 (32a) 의 전부 (前部)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서 전측의 부분) 에 연이어 있으며,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 대해 기울어져 있다. 스프링부 (32c) 는 접점부 (32a) 의 후부 (後部)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서 후측의 부분) 에 연이어 있다. 스프링부 (32c) 는 접점부 (32a) 를 프린트 기판 (22) 의 패드 (22d) 쪽으로 가압한다.
보호부 (33) 는 콘택트 삽입 방향 (D1) 으로 연장되어 있다. 보호부 (33) 의 횡단면은 거의 U 자형이다. 보호부 (33) 의 전단부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서 전측의 단부) 에는 1 쌍의 보호판 (33a) 이 연이어 있다. 보호판 (33a) 은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서 접촉부 (32) 의 유인부 (32b) 의 전방에 위치한다. 보호부 (33) 에는 구멍 (33b)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0, 도 13 참조).
각 대향부 (34) 는 콘택트 삽입 방향 (D1) 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대향부 (34) 의 횡단면 형상은 거의 L 자형이다. 접촉부 (32) 와 대향부 (34) 사이에 프린트 기판 (22) 의 삽입부 (22a) 가 삽입되었을 때, 대향부 (34) 는 접촉부 (32) 에 가압된 프린트 기판 (22) 의 삽입부 (22a) 를 지지한다.
각 본체 연결부 (35) 는 접촉부 (32) 와 보호부 (33) 와 대향부 (34) 를 연결한다.
각 프레싱부 (36) 는 거의 판상이며, 본체 연결부 (35) 의 후단부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서 후측의 단부) 에 연이어 있다 (도 7 참조).
접속부 (37) 는 도선 접속부 (37a) 와 피복 접속부 (37b) 를 갖는다. 도선 접속부 (37a) 는 압착에 의해 케이블 (7) 의 도선 (7a) 에 접속된다 (도 7, 도 13 참조). 피복 접속부 (37b) 는 압착에 의해 케이블 (7) 의 피복 (7b) 에 접속된다 (도 7, 도 13 참조).
연결부 (38) 는 콘택트 본체 (31) 와 접속부 (37) 를 연결한다. 연결부 (38) 는 U 자상으로 거의 180 도 절곡되어 있다.
도 5, 도 6,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5) 은 합성 수지로 형성되며, 하우징 본체 (51) 와 4 개의 유지부 (52) 와 플랜지부 (53) 와 2 개의 로크부 (54) 를 갖는다. 하우징 본체 (51) 와 유지부 (52) 와 플랜지부 (53) 와 로크부 (54) 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 (51) 의 전단부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서 전측의 단부) 에는 끼워넣음부 (51a) 가 형성되어 있다. 끼워넣음부 (51a) 는 섀시 (23) 의 구멍 (23d) 에 삽입된다 (도 13 참조). 하우징 본체 (51) 의 후부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서 후측의 부분) 에는 4 개의 수용(收容)부 (51b) 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참조). 수용부 (51b) 는 콘택트 본체 (31) 의 후부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서 후측의 부분) 를 수용한다 (도 13 참조). 하우징 본체 (51) 의 전부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서 전측의 부분) 에는 2 개의 수용(受容)부 (51c) 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참조). 각 수용부 (51c) 는 2 개의 수용부 (51b) 에 통하고 있다. 수용부 (51c) 는 콘택트 본체 (31) 의 전부 및 프린트 기판 (22) 의 삽입부 (22a) 를 받아들인다. 하우징 본체 (51) 의 2 개의 수용부 (51c) 사이에는 가이드부 (51d)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6 참조). 하우징 본체 (51) 의 수용부 (51c) 의 내벽부에는 랜스 (51e)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3 참조). 랜스 (51e) 는 콘택트 삽입 방향 (D1) 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 하우징 본체 (51) 의 수용부 (51c) 의 내벽부에는 삽입 구멍 (51g)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3 참조). 삽입 구멍 (51g) 은 콘택트 삽입 방향 (D1) 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 (51) 의 측면에는 홈 (51f)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6 참조). 홈 (51f) 은 콘택트 삽입 방향 (D1) 으로 연장되어 있다.
각 유지부 (52) 는 하우징 본체 (51) 의 정면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유지부 (52) 는 콘택트 (3) 의 접속부 (37) 를 유지한다. 유지부 (52) 는 1 쌍의 돌기부 (52a) 를 갖는다. 1 쌍의 돌기부 (52a) 의 간격은 케이블 (7) 의 외경보다 크고, 피복 접속부 (37b) 의 폭보다 작다 (도 7 참조).
플랜지부 (53) 는 하우징 본체 (51) 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각 로크부 (54) 는 하우징 본체 (51) 의 측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부 (54) 는 거의 판상이며, 조작부 (54a) 와 클로(claw)부 (54b) 와 힌지부 (54c) 를 갖는다 (도 14 참조). 로크부 (54) 는 하우징 본체 (51) 의 측면에 대향한다. 조작부 (54a) 는 로크부 (54) 의 후부측에 위치하고 있다. 클로부 (54b) 는 로크부 (54) 의 전부측에 위치하며, 하우징 본체 (51) 의 측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는 로크 클로 (54d) 를 갖는다 (도 14 참조). 힌지부 (54c) 는 거의 판상이며, 탄성 변형 가능하고, 조작부 (54a) 와 클로부 (54b) 를 시소 운동 가능하게 하우징 본체 (51) 에 지지한다.
콘택트 (3) 를 하우징 (5) 에 장착하려면, 미리 도선 접속부 (37a) 를 케이블 (7) 의 도선 (7a) 에 압착시킴과 함께 피복 접속부 (37b) 를 케이블 (7) 의 피복 (7b) 에 압착시켜, 케이블 (7) 을 접속부 (37) 에 접속시켜 두고,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 (3) 의 콘택트 본체 (31) 를 콘택트 삽입 방향 (D1) 을 따라 하우징 (5) 의 수용부 (51b) 에 삽입한다. 이 때, 콘택트 (3) 의 대향부 (34) 를 하우징 (5) 의 삽입 구멍 (51g) 에 삽입하고, 콘택트 (3) 의 프레싱부 (36) (도 13 참조) 를 손가락 또는 지그 (도시 생략) 로 가압한다.
하우징 (5) 에 장착된 콘택트 (3) 는, 하우징 (5) 의 랜스 (51e) 의 선단부가 콘택트 (3) 의 구멍 (33b) 에 끼워짐으로써 (도 13 참조), 하우징 (5) 에 로크된다.
콘택트 (3) 가 하우징 (5) 에 장착되었을 때, 콘택트 (3) 의 접속부 (37) 는 콘택트 삽입 방향 (D1) 으로부터 유지부 (52) 에 수용되어 유지된다. 그 결과, 케이블 (7) 이 잡아당겨져도 접속부 (37) 는 거의 움직이지 않아, 연결부 (38) 가 변형되지 않는다.
도 11,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는 섀시 (23) 의 섀시 본체 (23a) 의 이면측에 배치된다. 이 때, 커넥터 (1) 의 하우징 (5) 의 끼워넣음부 (51a) 는 섀시 (23) 의 구멍 (23d) 에 삽입되어 (도 13 참조), 하우징 (5) 의 플랜지부 (53) 는 섀시 (23) 의 구멍 (23d) 을 막는다.
LED (21) 가 실장된 프린트 기판 (22) 을 커넥터 (1) 에 접속시키려면,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 (22) 의 삽입부 (22a) 를 기판 삽입 방향 (D2) 을 따라 커넥터 (1) 의 수용부 (51c) (도 5 참조) 에 삽입하면 된다. 이 때, 프린트 기판 (22) 의 절결 (22b) 이 하우징 (5) 의 가이드부 (51d) 에 끼워짐으로써, 프린트 기판 (22) 이 기판 삽입 방향 (D2) 을 따라 수용부 (51c) 로 안내된다. 또, 프린트 기판 (22) 의 걸어맞춤부 (22c) 는 하우징 (5) 의 홈 (51f) (도 16 참조) 에 삽입되어, 홈 (51f) 안을 이동한다. 걸어맞춤부 (22c) 의 일부분은 홈 (51f) 으로부터 하우징 본체 (51) 밖으로 돌출된다. 걸어맞춤부 (22c) 가 홈 (51f) 안을 기판 삽입 방향 (D2) 을 따라 이동할 때, 걸어맞춤부 (22c) 는 로크부 (54) 의 클로부 (54b) 의 로크 클로 (54d) 를 밀어젖히며 나아가며, 걸어맞춤부 (22c) 가 클로부 (54b) 의 로크 클로 (54d) 를 통과하면, 클로부 (54b) 가 힌지부 (54c) 의 복원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 걸어맞춤부 (22c) 에 클로부 (54b) 의 로크 클로 (54d) 가 걸려, 프린트 기판 (22) 이 커넥터 (1) 에 로크된다 (도 15, 도 16 참조).
프린트 기판 (22) 의 삽입부 (22a) 를 커넥터 (1) 의 수용부 (51c) 에 삽입할 때, 콘택트 (3) 의 보호부 (33) 의 보호판 (33a) 에 의해 삽입부 (22a) 의 선단부가 콘택트 (3) 의 접촉부 (32) 의 유인부 (32b) 의 선단부에 부딪치지 않는다. 삽입부 (22a) 의 선단부가 보호판 (33a) 을 통과하면, 접촉부 (32) 의 유인부 (32b) 가 삽입부 (22a) 를 접점부 (32a) 로 유인한다.
프린트 기판 (22) 과 커넥터 (1) 를 분리하려면, 조작부 (54a) 의 후부를 손가락 (도시 생략) 으로 가압하여 걸어맞춤부 (22c) 와 클로부 (54b) 의 걸어맞춤을 해제하여, 프린트 기판 (22) 의 삽입부 (22a) 를 커넥터 (1) 의 수용부 (51c) 로부터 빼내면 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하우징 (5) 에 형성된 유지부 (52) 에 의해 콘택트 (3) 의 접속부 (37) 가 유지되기 때문에, 어떠한 원인에 의해 케이블 (7) 이 잡아당겨져도 접속부 (37) 가 이동하지 않아, 연결부 (38) 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 (38) 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커버가 불필요해져, 커넥터 (1) 의 부품 점수를 줄일 수 있어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콘택트 (3) 는 대향부 (34) 를 갖기 때문에, 접촉부 (32) 의 스프링부 (32c) 의 스프링력 (가압력) 을 프린트 기판 (22) 을 개재하여 대향부 (34) 가 받아낼 수 있어, 접촉부 (32) 의 프린트 기판 (22) 에 대한 접촉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 (22) 과 대향부 (34) 사이에, 삽입 구멍 (51g) 이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 (5) 의 내벽부의 일부 (51h) 가 위치하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 (22) 의 삽입 분리시에 프린트 기판 (22) 이 손상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콘택트 (3) 는 보호부 (33) 를 갖기 때문에, 프린트 기판 (22) 의 삽입부 (22a) 를 커넥터 (1) 의 수용부 (51c) 에 삽입할 때에, 프린트 기판 (22) 의 삽입부 (22a) 가 접촉부 (32) 의 유인부 (32b) 의 선단부에 부딪치지 않아, 접촉부 (32) 가 가압되어 변형 (예를 들어, 좌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1) 의 하우징 (5) 에 플랜지부 (53) 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플랜지부 (53) 에 의해 섀시 (23) 의 구멍 (23d) 을 막을 수 있어, 전원 장치 (26) 측으로부터 LED (21) 측으로 진애(塵埃)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멍 (23d) 을 막기 위한 전용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프린트 기판 (22) 의 삽입부 (22a) 를 섀시 (23) 의 구멍 (23d) 을 통해 커넥터 (1) 에 접속시켜, 섀시 (23) 의 섀시 본체 (23a) 의 이면측으로부터 콘택트 (3) 를 하우징 (5) 에 장착할 수 있도록 했기 때문에, 케이블 (7) 의 결선 작업을 섀시 (23) 의 전원 장치 (26) 측만에서 실시할 수 있어, 그 결선 작업이 간단해진다.
다음으로,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의 조명 장치를 도 17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의 조명 장치 (220) 에서는, 커넥터 (201) 의 콘택트 (203) 의 연결부 (238) 가 L 자상으로 거의 90 도 절곡되어 있다. 하우징 (205) 의 유지부 (252) 는 하우징 본체 (251) 의 바닥면측에 형성되며, 콘택트 삽입 방향 (D1) 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나타낸다.
또,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 대해 평행한 면인 하우징 본체 (51) 의 정면측에 유지부 (52) 를 형성하고, 콘택트 (3) 의 연결부 (38) 를 U 자상으로 180 도 절곡시키고,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 대해 직각인 면인 하우징 본체 (51) 의 바닥면측에 유지부 (252) 를 형성하고, 콘택트 (203) 의 연결부 (238) 를 L 자상으로 90 도 절곡시켰지만, 연결부의 절곡 각도는 180 도, 90 도에 한정되지 않는다. 콘택트 삽입 방향 (D1) 에 대해 유지부가 경사지도록 하우징 본체의 외면 (도시 생략) 에 유지부를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의 절곡 각도를 90 도 ∼ 180 도의 범위에서 임의의 각도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 (52) 를 하우징 본체 (51) 의 정면측에, 유지부 (252) 를 하우징 본체 (251) 의 바닥면측에 각각 형성하였지만, 유지부의 위치는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 본체의 외면, 즉 정면, 배면, 측면, 바닥면 중 어느 곳이어도 되어, 정면이나 바닥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 본체 (51) 와 유지부 (52, 252) 를 일체로 형성하였지만, 하우징 본체 (51, 251) 와 유지부 (52, 252) 를 따로따로 형성하고, 양자를 일체적으로 결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섀시 (23) 의 구멍 (23d) 을 통해 커넥터 (1, 201) 와 프린트 기판 (22) 을 접속시키도록 하였지만, 반드시 구멍 (23d) 을 통해 커넥터 (1, 201) 와 프린트 기판 (22) 을 접속시킬 필요는 없다. 구멍 (23d) 을 통해 커넥터 (1, 201) 와 프린트 기판 (22) 을 접속시키지 않는 경우, 커넥터 (1) 의 하우징 (5, 205) 의 하우징 본체 (51, 251) 에 플랜지부 (53) 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콘택트 (3, 203) 의 접촉부 (32) 는 본체 연결부 (35) 를 개재하여 연결부 (38, 238) 에 연결되어 있지만, 보호부 (33) 나 대향부 (34) 나 프레싱부 (36) 를 채용하지 않는 구성의 콘택트 (도시 생략) 인 경우에는, 접촉부 (32) 를 연결부 (38, 238) 에 직접 연결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프린트 기판 (22) 을 사용하였지만, 10 개의 LED (21) 를 실장하는 것이 가능한 1 개의 프린트 기판을 사용해도 된다.
이상은 이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이며, 이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분명할 것이다.
Claims (32)
-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유지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기판에 접촉하는 접촉부와, 케이블이 접속되는 접속부와, 상기 접촉부와 상기 접속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접촉부를 수용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케이블의 상기 접속부 측 단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가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와 상기 유지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180 도 만곡되고,
상기 유지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정면, 배면 또는 측면측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180 도 만곡되고,
상기 유지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정면, 배면 또는 측면측 중 어느 곳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90 도 만곡되고,
상기 유지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바닥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가 90 도 만곡되고,
상기 유지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바닥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접촉부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대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접촉부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대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접촉부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대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접촉부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대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접촉부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대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접촉부로부터의 가압력을 받는 대향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벽부에 상기 대향부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접촉부와 상기 대향부에 의해 상기 기판과 상기 내벽부의 일부가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벽부에 상기 대향부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접촉부와 상기 대향부에 의해 상기 기판과 상기 내벽부의 일부가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벽부에 상기 대향부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접촉부와 상기 대향부에 의해 상기 기판과 상기 내벽부의 일부가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벽부에 상기 대향부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접촉부와 상기 대향부에 의해 상기 기판과 상기 내벽부의 일부가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벽부에 상기 대향부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접촉부와 상기 대향부에 의해 상기 기판과 상기 내벽부의 일부가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벽부에 상기 대향부를 삽입하는 삽입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접촉부와 상기 대향부에 의해 상기 기판과 상기 내벽부의 일부가 사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기판에 압착되는 접점부와, 이 접점부에 연이어 있으며,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되는 상기 기판의 일부를 상기 접점부로 유인하는 유인부를 갖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기판의 일부가 상기 하우징 본체 내에 삽입될 때에 상기 유인부의 선단부에 접촉하지 않게 하는 보호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 LED 가 실장된 상기 기판과, 이 기판이 탑재되는 섀시와, 이 섀시에 탑재되는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 LED 가 실장된 상기 기판과, 이 기판이 탑재되는 섀시와, 이 섀시에 탑재되는 제 1 항 내지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섀시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상기 기판과 상기 커넥터가 접속되고, 상기 하우징 본체에 상기 구멍을 막는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1-222176 | 2011-10-06 | ||
JP2011222176A JP5828508B2 (ja) | 2011-10-06 | 2011-10-06 | コネクタ及び照明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7627A KR20130037627A (ko) | 2013-04-16 |
KR101356257B1 true KR101356257B1 (ko) | 2014-01-28 |
Family
ID=48022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74004A KR101356257B1 (ko) | 2011-10-06 | 2012-07-06 | 커넥터 및 조명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5828508B2 (ko) |
KR (1) | KR101356257B1 (ko) |
CN (1) | CN103036089B (ko) |
TW (1) | TWI50689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03034A (zh) * | 2013-12-04 | 2015-06-10 |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 一种视频播放进度的显示方法及装置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6539A (ja) * | 1997-10-09 | 1999-07-02 | Denso Corp | コネクタ |
KR20090050946A (ko) * | 2007-11-16 | 2009-05-20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커넥터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NL124377C (ko) * | 1960-06-22 | |||
US3555493A (en) * | 1968-03-25 | 1971-01-12 | Molex Products Co | Right angle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 |
US5004434A (en) * | 1990-03-12 | 1991-04-02 | Amp Incorporated | Printed circuit board edge connector |
JP3642417B2 (ja) * | 2001-06-25 | 2005-04-27 | 住友電装株式会社 | 端子金具 |
JP2008305734A (ja) * | 2007-06-11 | 2008-12-18 | Jst Mfg Co Ltd | 回路基板接続用のコネクタ |
JP4958185B2 (ja) * | 2009-01-19 | 2012-06-2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及び電子装置 |
TWM392365U (en) * | 2010-05-27 | 2010-11-11 | Coretronic Corp | Edge-light type backlight module and light source assembly |
JP2012230771A (ja) * | 2011-04-25 | 2012-11-22 | Jst Mfg Co Ltd | Led照明用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
-
2011
- 2011-10-06 JP JP2011222176A patent/JP582850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6-26 TW TW101122819A patent/TWI506899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7-06 KR KR1020120074004A patent/KR10135625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09-28 CN CN201210367788.0A patent/CN10303608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176539A (ja) * | 1997-10-09 | 1999-07-02 | Denso Corp | コネクタ |
KR20090050946A (ko) * | 2007-11-16 | 2009-05-20 |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7627A (ko) | 2013-04-16 |
CN103036089A (zh) | 2013-04-10 |
JP2013084388A (ja) | 2013-05-09 |
JP5828508B2 (ja) | 2015-12-09 |
TWI506899B (zh) | 2015-11-01 |
CN103036089B (zh) | 2015-10-21 |
TW201316631A (zh) | 2013-04-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21350B2 (en) |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
JP5660756B2 (ja)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
US8979572B2 (en) | Connection structure of electronic component | |
CN110366347B (zh) | 电子装置 | |
KR101399168B1 (ko) | 백라이트 어셈블리, 중계 커넥터, 백라이트 유닛 | |
EP1684386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20130252469A1 (en) |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unit of eletronic component | |
US9466921B2 (en) | Linear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 |
JP2009252519A (ja) | 基板実装用コネクタ | |
TW201519522A (zh) | 可撓性電路板連接器 | |
JP2020119692A (ja) |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 |
KR101419459B1 (ko) | 커넥터를 구비하는 모듈 및 모듈에 포함되는 커넥터 | |
JP4623735B2 (ja) | コネクタ | |
US7841879B2 (en) | Floating-type connector | |
KR101356257B1 (ko) | 커넥터 및 조명 장치 | |
JP5805313B2 (ja) | 保護されたダイレクトコンタクトを備えたダイレクトプラグエレメント | |
KR100926335B1 (ko) | 데이터 케이블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 |
JP2007157408A (ja) | コネクタ | |
KR20160126875A (ko) | 케이블 커넥터 | |
US8628339B2 (en) | Flexible printed circuit connector | |
JP5738482B2 (ja) | 特に車両制御機器用のダイレクトプラグエレメント | |
KR101339110B1 (ko) |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 |
KR20090124807A (ko) |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 |
JP2014099380A (ja) | カードコネクタ | |
KR20080004372U (ko) | 전기 코넥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19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