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4807A -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4807A
KR20090124807A KR1020080051218A KR20080051218A KR20090124807A KR 20090124807 A KR20090124807 A KR 20090124807A KR 1020080051218 A KR1020080051218 A KR 1020080051218A KR 20080051218 A KR20080051218 A KR 20080051218A KR 20090124807 A KR20090124807 A KR 20090124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circuit board
actuato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1881B1 (ko
Inventor
최병환
마재형
김영일
이재익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12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881B1/ko
Publication of KR2009012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로기판(10)과 이에 조립되는 커넥터(C), 그리고 상기 커넥터(C)에 조립되어 상기 커넥터(C)에 구비된 터미널(30)의 변형을 방지하는 엑츄에이터(4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10)과 커넥터(C)에는 대응되는 가이드리브(15)와 가이드채널(23)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C)는 상기 회로기판(10)의 입구(12)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10)에 슬라이딩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엑츄에이터(40)는 상기 터미널(30)이 상기 커넥터(C)의 내부에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C)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30)의 탄성편(36)을 지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엑츄에이터(40)가 커넥터(C)에 조립되어 터미널(30)을 감싸 보호함과 동시에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한 터미널(30)의 탄성편(36)을 지지하므로, 터미널(30)이 손상되거나 터미널(30)의 탄성편(36)이 변형되어 상대물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커넥터(C)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회로기판, 커넥터, 터미널

Description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PCB mounting type connector and assembling structure of PCB and PCB mounting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백라이트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커넥터 및 커넥터와 회로기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는 보통 상대커넥터와 결합됨으로써 두 커넥터에 각각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회로기판(PCB) 등에 실장되어 회로기판과 외부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특히,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백라이트가 결합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가 사용되어 LCD패널에 외부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백라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장착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는 회로기판(1)이 설치된다. 상기 회로기판(1)에는 커넥터(3)가 실장되고, 상기 커넥터(3)에는 백라이트(L)가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3)는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상기 회로기판(1)에 결합되고, 상기 백라이트(L)는 상기 커넥터(3)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단부에 형성된 단자부(L')가 커넥터(3)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5)은 상기 커넥터(3)에 의해 회로기판(1)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로기판(1)을 통과한 그 선단이 솔더링공정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1)의 저면에 실장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회로기판(1)과 상기 백라이트(L)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회로기판(1)의 전류가 백라이트(L)로 전달되어 상기 백라이트(L)가 발광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커넥터(3) 또는 상대커넥터의 내부에 구비된 터미널(5)에는 상기 백라이트(L)의 단자부(L')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5)은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되어 상기 단자부(L')가 탄성력을 극복하 면서 삽입된다.
하지만, 상기 터미널(5)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상기 단자부(L')의 반복된 삽입과 분리로 인해 상기 터미널(5)의 탄성력이 약해지는 경우에는 상기 단자부(L')가 상기 터미널(5)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5)을 상기 회로기판(1)의 회로패턴에 형성된 접점부에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터미널(5)의 일단을 솔더링공정을 통해 상기 회로패턴의 접점부에 결합해야하므로, 솔더링공정이라는 추가공정이 필요로 되고,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납찌꺼기 등에 의해 환경오염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대물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터미널의 유동 및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솔더링공정 없이도 터미널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일측이 개구되어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가이드리브가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가이드리브에 대응되는 가이드채널이 양측에 요입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슬라이딩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접점부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대물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이 구비되는 커넥터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의 탄성편을 지지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는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에 대응되는 가이드채널이 양측에 요입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슬라이딩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탄성변형가능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접점부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편이 구비되며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탄성편이 구비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가이드리브 사이에는 상기 입구를 향해 돌출되도록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편의 저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패턴과 연결되는 접점부가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의 접속편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점부에 밀착되어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엑츄에이터에는 상기 커넥터와의 결합방향으로 걸이편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걸이편의 외면에는 걸이턱이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의 상기 가이드채널 내면에 걸어진다.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상기 엑츄에이터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공간에는 지지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편에 형성된 걸이턱이 상기 커넥터의 가이드채널에 걸어지면 상기 터미널의 탄성편의 양측을 지지하여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엑츄에이터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채널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걸이공이 형성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의 걸이편에 형성된 상기 걸이턱이 상기 커넥터의 가이드채널에 걸어지기에 앞서 상기 걸이턱은 상기 걸이공에 삽입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와 상기 커넥터는 가조립된다.
상기 커넥터의 수납공간 내면과 상기 회로기판의 가이드리브 사이에는 각각 상기 엑츄에이터의 걸이턱이 삽입되는 경로를 따라 간섭회피홈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회로기판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커넥터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챔 퍼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의 가이드채널의 내측면 중에서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더 먼 위치에 형성된 내측면에는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안착단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걸림편이 안착된다.
상기 걸림공과 인접한 상기 커넥터의 상면에는 보강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엑츄에이터에는 누름편이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에 구비된 한 쌍의 안착부 사이에 삽입되어 터미널을 지지한다.
상기 엑츄에이터의 누름편 양측에는 누름단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의 안착부에는 고정슬릿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면 상기 누름단이 상기 고정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을 고정한다.
상기 엑츄에이터의 지지공간 내면에는 상기 지지턱이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리브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엑츄에이터가 커넥터에 조립되어 터미널을 감싸 보호함과 동시에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한 터미널의 탄성편을 지지하므로, 터미널이 손상되거나 터미널의 탄성편이 변형되어 상대물이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커넥터 의 동작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의 접속편이 회로기판의 접점부의 표면에 탄성력으로 밀착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별도의 솔더링공정이 필요 없어, 솔더링과정에서 발생되는 납찌꺼기 등에 의한 환경오염의 염려가 줄어드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터미널에 걸림편이 구비되어 하우징의 일측에 안착되고, 커넥터가 회로기판에 결합되면 상기 걸림편은 회로기판과 하우징 사이에 위치하여 양측에서 눌려지므로 별도의 고정 구조 없이도 터미널이 회로기판과 커넥터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고, 회로기판으로부터 커넥터를 분리하면 커넥터로부터 터미널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어 커넥터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대물이 터미널에 결합되기에 앞서, 엑츄에이터가 커넥터에 가조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순차적인 조립공정 단계 간에 부품의 보관 및 이송이 용이해지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가 조립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회로기판(10)은 그 외관 및 골격을 판상의 기판몸체(11)가 형성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기판몸체(11)에는 회로패턴이 구비된다.
상기 기판몸체(1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입구(12)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12)는 상기 기판몸체(11)의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입구(12)를 통해서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이 삽입된다.
상기 기판몸체(11)에는 연결편(13)이 구비된다. 상기 연결편(13)은 상기 입구(12)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그 저면에는 상기 회로패턴과 연결되는 접점부가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접속편(32)과 접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기판몸체(11)에는 가이드리브(15)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리브(15)는 상기 입구(12)를 중심으로 양측에 소정거리 이격되어 쌍을 이루어 구비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C)의 가이드채널(23)의 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리브(15)에는 간섭회피홈(15')이 요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홈(15')은 엑츄에이터(40)가 결합되는 과정에서 아래에서 설명될 엑츄에이터(40)의 걸이편(46)에 형성된 걸이턱(47)이 가이드리브(15)에 방해받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로기판(10)의 입구(12) 가장자리에는 챔퍼(16)가 형성된다. 상기 챔퍼(16)는 상기 입구(12)의 양측 가장자리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커넥터(C) 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회로기판(10)에는 커넥터(C)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C)는 하우징(20)과 이에 결합되는 터미널(30)로 구성되고, 상기 회로기판(10) 및 상대물과 결합되어 상대물과 회로기판(1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20)의 외관 및 골격은 하우징몸체(21)가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몸체(21)의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30)이 삽입되는 수납공간(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공간(21')의 양단에는 삽입공(22)과 가이드공(2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삽입공(22)은 상기 회로기판(10)의 연결편(13)이 삽입되는 부분이고, 상기 가이드공(22')은 상대물의 삽입방향으로 개구되어 상대물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20)의 양측에는 가이드채널(2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채널(23)은 상기 회로기판(10)의 가이드리브(15)에 대응되는 것으로, 상기 하우징(20)의 양측에 상기 커넥터(C)가 상기 회로기판(10)에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개구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채널(23) 내부로 상기 가이드리브(15)가 삽입되어 상기 커넥터(C)가 상기 회로기판(10)에 슬라이딩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채널(23)의 내면에는 안착단(23')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3')은 상기 가이드채널(23)의 내측면 중에서 터미널(3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더 먼 위치에 형성된 내측면에 상기 수납공간(21')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안착단(23')은 아래에서 설명될 터미널(30)의 걸림편(34)이 걸어져 터미널(30)이 하우징(20)에 가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하우징(20)의 수납공간(21') 내면에는 고정턱(24)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24)은 후술할 터미널(30)의 안착부(33)의 외면에 접하여 터미널(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20)의 수납공간(21') 내면에는 간섭회피홈(25)이 형성된다. 상기 간섭회피홈(25)은 상기 회로기판(10)의 간섭회피홈(15')과 마찬가지로, 아래에서 설명될 엑츄에이터(40)의 걸이턱(47)이 삽입되는 경로를 따라 요입되어 걸이턱(47)이 수납공간(21') 내면에 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20)에는 걸이공(26)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26)은 상기 하우징(20)의 측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엑츄에이터(40)가 상기 하우징(2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채널(23)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엑츄에이터(40)의 걸이편(46)에 형성된 걸이턱(47)이 상기 하우징(20)의 가이드채널(23)에 걸어지기에 앞서 먼저 상기 걸이공(26)에 삽입되어 엑츄에이터(40)와 상기 커넥터(C)가 가조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이공(26)에 인접한 상기 하우징(20)의 외면에는 보강리브(26')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리브(26')는 상기 걸이공(26)과 인접한 상기 커넥터(C)의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걸이공(26)에 의해 하우징(20)의 강도가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하우징(20)에는 터미널(30)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30)의 외관 및 골격은 판상의 몸체부(3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31)에는 접속편(32)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편(32)은 상기 몸체부(31)로부터 절곡되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장착부재의 연결편(13)에 형성된 접점부에 탄성으로 접하여 전 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1)의 양단에는 상기 몸체부(31)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안착부(33)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33)는 상기 하우징(20)의 수납공간(21')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1)와 협력하여 대략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형성한다.
상기 안착부(33)에는 걸림편(34)이 구비된다. 상기 걸림편(34)은 상기 양측 안착부(33)의 일부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20)의 수납공간(21') 내면에 형성된 안착단(23')에 걸어진다.
상기 안착부(33)의 일측에는 고정슬릿(35)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슬릿(35)은 상기 안착부(33)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엑츄에이터(40)의 누름단(45')이 삽입되어 터미널(30)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터미널(30)에는 탄성편(36)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편(36)은 상기 안착부(33) 양측으로부터 쌍을 이루면서 절곡되어 외팔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36)은 상대물과의 접속을 위한 것으로, 상대물의 단자부를 탄성으로 고정하기 위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탄성편(36)의 선단에는 상기 안착부(33) 방향으로 다시 절곡된 접속부(37)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37)의 선단에는 걸림단(38)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부(37)는 실질적으로 상대물의 단자부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걸림단(38)은 어느 일측의 접속부(37) 선단으로부터 다른 접속부(37)의 선단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대물의 단자부가 상기 접속부(37) 사이에 삽입 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일종의 스토퍼이다.
다음으로, 엑츄에이터(4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40)의 외관 및 골격은 작동몸체(41)가 형성하고, 상기 작동몸체(41)의 내부에는 상기 터미널(30)이 삽입되는 지지공간(41')이 형성된다. 상기 엑츄에이터(40)는 상기 커넥터(C)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30)의 탄성편(36)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몸체(41)의 지지공간(41') 내부에는 고정리브(42)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리브(42)는 상기 수납공간(21')의 내면에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30)의 탄성편(36) 일측을 고정하여 터미널(30)이 수납공간(21') 내부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작동몸체(41)의 지지공간(41')에는 지지턱(44)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턱(44)은 상기 고정리브(42)와 인접한 상기 지지공간(41')의 양측 내면으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엑츄에이터(40)가 상기 커넥터(C)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터미널(30)의 탄성편(36)에 밀착되어 탄성편(36)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우징몸체(21)에는 누름편(45)이 구비된다. 상기 누름편(45)은 상기 엑츄에이터(40)이 상기 회로기판(1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30)의 안착부(33) 사이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누름편(45)은 상기 양측 안착부(33)를 지지하여 터미널(3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누름편(45)의 양측에는 누름단(45')이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누름단(45')은 상기 엑츄에이터(40)가 상기 회로기판(10)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터 미널(30)의 고정슬릿(35)에 삽입되어 상기 누름편(45)과 함께 터미널(30)을 고정하고,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몸체(41)에는 걸이편(46)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편(46)은 상기 작동몸체(41)로부터 상기 회로기판(10)과의 결합방향으로 외팔보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외면에는 걸이턱(47)이 형성되어 상기 회로기판(10)의 가이드채널(23)의 내측면 가장자리에 걸어진다. 즉, 상기 걸이편(46)은 상기 회로기판(10)에 걸어져 회로기판(10)과 엑츄에이터(40)가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작동몸체(41)의 지지공간(41') 일측에는 개구부(49)가 형성된다. 상기 개구부(49)는 상대물의 단자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상대물의 단자부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a 내지 도 6f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립과정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터미널(30)이 하우징(20)에 조립되어 커넥터(C)가 구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작업자는 터미널(30)을 상기 하우징(20)의 수납공간(21') 내부로 밀어넣는다. 이때, 상기 터미널(30)은 탄성편(36)이 상기 하우징(20)의 수납공간(21')을 향한 상태로 삽입되어야 한다.
도 6a에는 터미널(30)이 상기 하우징(20)의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밀어올려지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반대로, 상기 하우징(20)을 뒤집어 놓은 상태 에서 상기 터미널(30)을 수납공간(21') 내부로 삽입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30)에 구비된 걸림편(34)은 상기 하우징(20)의 수납공간(21')에 형성된 걸림단(38)에 걸어지게 되고, 상기 터미널(30)은 더 이상 수납공간(21') 내부로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상기 하우징(20) 내부에 터미널(30)이 삽입되어 커넥터(C)를 구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b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C)에 엑츄에이터(40)를 조립한다. 즉,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30)을 하우징(20)에 결합시킨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상기 엑츄에이터(40)를 커넥터(C)에 조립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작업자는 상기 엑츄에이터(40)에 구비된 걸이편(46)이 상기 커넥터(C)를 향하도록 하면서 엑츄에이터(40)와 커넥터(C) 사이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엑츄에이터(40)가 상기 커넥터(C)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엑츄에이터(40)의 걸이편(46)에 구비된 걸이턱(47)은 상기 하우징(20)의 수납공간(21') 내부를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하우징(20)의 양측에 형성된 걸이공(26)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엑츄에이터(40)는 상기 커넥터(C)에 가조립되어 커넥터(C)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도 6c에서 보듯이, 상기 엑츄에이터(40)의 지지공간(41') 내면에 형성된 지지턱(44)은 아직 상기 터미널(30)의 탄성편(36)에 접하지 않은 상태이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C)와 엑츄에이터(40)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회로기판(10)에 조립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C)의 가이드채널(23) 과 상기 회로기판(10)의 가이드리브(15)가 서로 대응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C)를 상기 회로기판(10)의 입구(12)를 통해 회로기판(10) 내부로 슬라이딩시킨다. 이때, 상기 회로기판(10)의 연결편(13)은 상기 커넥터(C)의 하우징(20)에 형성된 삽입공(22)을 통과하게 된다. 도 6d에는 상기 커넥터(C)가 회로기판(10)에 완전히 삽입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터미널(30)의 걸림편(34)의 일면은 상기 하우징(20)의 안착단(23')에 접하고, 타면은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가이드채널(23)을 따라 삽입된 가이드리브(15)의 표면에 접하여 양측에서 눌려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터미널(30)은 하우징(20)과 회로기판(10) 사이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30)에 상대물을 삽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대물은 그 선단에 단자부(L')가 구비된 램프(L)이다. 작업자는 상기 램프(L)의 단자부(L')가 상기 터미널(30)의 탄성편(36)에 구비된 접속부(37) 사이로 삽입되도록 하면서 상기 램프(L)를 밀어넣는다.
보다 정확하게는, 작업자는 상기 탄성편(3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램프(L)의 단자부(L')가 상기 탄성편(36)에 구비된 접속부(37) 사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도 6c에서 보듯이, 상기 지지턱(44)은 아직 상기 터미널(30)의 탄성편(36) 양측을 지지하지 않은 상태이므로 상기 탄성편(36)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탄성변형될 수 있어, 상기 램프(L)의 단자부(L')가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6d 및 도 6e에 도시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상기 엑츄에이터(40)를 상기 커넥터(C) 방향으로 더욱 밀어넣는다. 이렇게 되면, 상기 엑츄에이터(40)에 구비된 걸이편(46)은 상기 커넥터(C)의 걸이공(26)으로부터 빠져나와, 수납공간(21')의 내면을 타고 미끌어져 상기 걸이턱(47)이 상기 하우징(20)의 가이드채널(23)의 내측면에 걸어진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엑츄에이터(40)는 상기 커넥터(C)에 완전이 결합되고, 도 6e에서 보듯이, 엑츄에이터(40)의 수납공간(21') 내면에 구비된 지지턱(44)이 상기 터미널(30)의 탄성편(36)에 밀착되어 상기 탄성편(36)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터미널(30)을 차폐하여 보호하는 엑츄에이터(40)가 회로기판(10)에 조립됨과 동시에 램프(L)와의 결합을 위한 터미널(30)의 탄성편(36)을 지지하므로, 터미널(30)의 변형이 방지되고 램프(L)는 상기 커넥터(C)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엑츄에이터(40)와 회로기판(10)의 조립순서는 바뀔 수도 있다. 즉 상기 커넥터(C)를 먼저 회로기판(10)에 조립한 후에, 상기 엑츄에이터(40)를 상기 커넥터(C)와 회로기판(10)으로 구성되는 조립체에 조립할 수도 있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램프(L)를 상기 터미널(3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는 상기 엑츄에이터(40)를 커넥터(C)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당겨 가조립된 상태로 복원시키고, 램프(L)의 단자부(L')를 상기 터미널(30)의 탄성편(36)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 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백라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에 의한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가 조립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f는 본 발명 실시예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회로기판 11: 기판몸체
12: 입구 13: 연결편
15: 가이드리브 15': 간섭회피홈
16: 챔퍼 20: 하우징
21: 하우징몸체 22: 삽입공
22': 가이드공 23: 가이드채널
24: 안착턱 25: 간섭회피홈
26: 걸이공 30: 터미널
31: 몸체부 32: 접속편
33: 안착부 34: 걸이편
36: 탄성편 37: 접속부
38: 걸림단 40: 엑츄에이터
41: 작동몸체 41': 지지공간
42: 고정리브 44: 지지턱
45: 누름편 45': 누름단
46: 걸이편 47: 걸이턱
39: 개구부 C: 커넥터

Claims (13)

  1. 일측이 개구되어 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입구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가이드리브가 구비되는 회로기판과,
    상기 가이드리브에 대응되는 가이드채널이 양측에 요입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슬라이딩결합되고, 내부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접점부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대물의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이 구비되는 커넥터와,
    상기 터미널이 상기 커넥터의 내부에 결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터미널의 탄성편을 지지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리브에 대응되는 가이드채널이 양측에 요입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슬라이딩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탄성변형가능하도록 절곡되어 상기 회로기판의 접점부에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편이 구비되며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탄성편이 구비되는 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 으로 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상기 가이드리브 사이에는 상기 입구를 향해 돌출되도록 연결편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편의 저면에는 상기 회로기판의 회로패턴과 연결되는 접점부가 구비되며, 상기 터미널의 접속편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점부에 밀착되어 접점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에는 상기 커넥터와의 결합방향으로 걸이편이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걸이편의 외면에는 걸이턱이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의 상기 가이드채널 내면에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상기 엑츄에이터의 내부에 형성된 지지공간에는 지지턱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걸이편에 형성된 걸이턱이 상기 커넥터의 가이드채널에 걸어지면 상기 터미널의 탄성편의 양측을 지지하여 변형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는 상기 엑츄에이터가 결합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채널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걸이공이 형성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의 걸이편에 형성된 상기 걸이턱이 상기 커넥터의 가이드채널에 걸어지기에 앞서 상기 걸이턱은 상기 걸이공에 삽입되어 상기 엑츄에이터와 상기 커넥터는 가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수납공간 내면과 상기 회로기판의 가이드리브 사이에는 각각 상기 엑츄에이터의 걸이턱이 삽입되는 경로를 따라 간섭회피홈이 요입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의 입구 가장자리에는 상기 커넥터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챔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가이드채널의 내측면 중에서 상기 터미널 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더 먼 위치에 형성된 내측면에는 상기 수납공간을 향해 돌출되는 안착단이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의 걸림편이 안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공과 인접한 상기 커넥터의 상면에는 보강리브가 돌출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에는 누름편이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터미널에 구비된 한 쌍의 안착부 사이에 삽입되어 터미널을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의 누름편 양측에는 누름단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의 안착부에는 고정슬릿이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면 상기 누름단이 상기 고정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터미널을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엑츄에이터의 지지공간 내면에는 상기 지지턱이 돌출된 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미널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리브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KR1020080051218A 2008-05-30 2008-05-30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KR101001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18A KR101001881B1 (ko) 2008-05-30 2008-05-30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1218A KR101001881B1 (ko) 2008-05-30 2008-05-30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4807A true KR20090124807A (ko) 2009-12-03
KR101001881B1 KR101001881B1 (ko) 2010-12-17

Family

ID=41686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1218A KR101001881B1 (ko) 2008-05-30 2008-05-30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10B1 (ko) * 2011-12-30 2013-12-10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10B1 (ko) * 2011-12-30 2013-12-10 주식회사 연호전자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하는 백라이트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881B1 (ko) 201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51242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US8876336B2 (en) LED lamp unit
JP2011227997A (ja) コネクタ
JP2010097724A (ja) 基板対基板コネクタ
KR20130095306A (ko) 전자부품의 접속구조 및 접속 유닛
JP2008034217A (ja) 接続装置
JP4623735B2 (ja) コネクタ
KR10205992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KR101001881B1 (ko)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KR100976508B1 (ko) 터미널고정구가 구비된 커넥터
KR20090012397U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101022049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WO2014119262A1 (ja) コネクタ組立体
KR101014605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과 회로기판의 결합구조
KR20100057208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01878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01880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101001879B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및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조립구조
KR200453649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101281073B1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커넥터
JP2019117693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100995276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101869479B1 (ko) 피씨비 조립용 터미널 블록
KR20100005596U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