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95306A - 전자부품의 접속구조 및 접속 유닛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의 접속구조 및 접속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95306A
KR20130095306A KR1020137016149A KR20137016149A KR20130095306A KR 20130095306 A KR20130095306 A KR 20130095306A KR 1020137016149 A KR1020137016149 A KR 1020137016149A KR 20137016149 A KR20137016149 A KR 20137016149A KR 20130095306 A KR20130095306 A KR 20130095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air
terminals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6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지 모치즈키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95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3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002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making direct electrical contact, e.g. by pier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 H01R4/2433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one part of the base being movable to push the cable into the sl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resis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 H01R13/662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ingle component with capacitive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속구조는: 바닥벽, 및 바닥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가진 상자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전자부품과; 동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2개의 측벽의 평면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하우징에 삽입되고, 바닥벽의 배치면에 배치되어 하우징 내에서 고정되는 한 쌍의 단자;를 포함하고, 각 단자는: 단자의 제1단부에 형성되어 전자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품접속부와; 제1단부에 대향하는 제2단부에 형성되고 전선이 압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노치를 가진 압접단자부;를 포함하고, 노치가 형성된 표면은 하우징의 바닥벽의 배치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Description

전자부품의 접속구조 및 접속 유닛{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UNIT OF ELECTRONIC COMPONENT}
본 발명은 한 쌍의 단자에 의해 전자부품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구조 및 접속 유닛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쌍의 단자를 통해서 전자부품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자부품의 접속구조(또는 전자부품 접속구조), 및 이 접속구조가 조립된 접속 유닛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전자부품의 접속구조에 사용되는 한 쌍의 단자는 하우징에 수용되며, 이 경우 단자의 일단에는 압접단자부가 형성되고, 이 압접단자부는 판형상부재에 형성된 노치를 가지고 있어 이 노치에 전선이 압입되며, 여러 다른 전선들이 압접단자부들에 개별적으로 각각 접속된다. 한 쌍의 단자는 하우징 내에서 공간의 낭비를 줄여서 수용하기 위해 인접하여 나란히(병렬로) 배열된다. 이 경우, 전자부품을 접속하는 일단부들의 단부면을 정렬하도록 하여 하우징에 부착된다(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에 개시된 전자부품 접속구조는 전자장치에 이용되는 전자부품 접속구조로서, 여기서 접속구조는 하우징과, 하우징에 설치되어 가압에 의해 회로보호용 전자부품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압접 블레이트를 대향 배치한 단자를 포함하며, 압접 블레이드에 근접하여 배치된 전자부품의 리드부를 압접 블레이드로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7-149762A호
그러나, 특허문헌1에 기재된 전자부품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일 단자가 타 단자의 전선에 방해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한 쌍의 단자의 압접단자부가 오정렬되도록 형상이 서로 상이하다. 따라서, 2 종류의 단자를 이용해야 하며,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자부품 접속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르면, 접속구조로서, 바닥벽, 및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가진 상자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전자부품과; 동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을 따라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측벽의 평면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바닥벽의 배치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고정되는 한 쌍의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들의 각 단자는: 상기 단자의 제1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자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품접속부와; 상기 단자의 상기 제1단부에 대향하는 제2단부에 형성되고 전선이 압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노치를 가진 압접단자부;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가 형성된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의 배치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단자의 상기 제1단부가 상호 평행하게 정렬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의 제2단부도 상호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상기 한 쌍의 단자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르면, 상기 설명한 접속구조가 조립된 접속 유닛으로서, 상기 접속 유닛은: 상자형상으로서 일면이 개구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접속구조가 상기 유닛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 중 각 단자의 압접단자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어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벽들 중 하나의 외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접속구조가 상기 유닛 하우징에 수용될 경우, 상기 한 쌍의 단자 중 각 단자의 압접단자부는 상기 유닛 하우징이 개방되는 일면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개의 전선이 횡방향으로 굴곡되어 유지되는 전선유지부와; 상기 유닛 하우징을 상기 전선유지부와 결합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닛 하우징과 상기 전선유지부가 상기 결합부에 의해 결합될 경우, 상기 전선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2개 전선의 굴곡부가 상기 한 쌍의 단자의 각 압접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른 전자부품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한 쌍의 단자는 노치가 형성된 면이 하우징 바닥벽의 배치면에 평행하게 연장된 동일형상의 2개의 단자가 되므로, 압접단자가 병렬로(나란히) 배치되고 각 전선이 한 쌍의 단자에 압입되어도 일 압접단자부가 타 압접단자부에 접속된 전선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한 쌍의 단자를 동일 형상으로 통일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른 전자부품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한 쌍의 단자의 제1단부들을 상호 평행하게 정렬하고, 한 쌍의 단자의 제2단부들을 상호 평행하게 정렬하는 구조, 다시 말하면 한 쌍의 단자를 그 대향 양단부를 정렬하는 구조로 하여 한 쌍의 단자를 하우징 내에 배치한다. 따라서, 한 쌍의 단자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양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접속 유닛은 일면에 개구가 형성된 상자형상의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며, 이 개구를 통해 접속구조가 유닛 하우징에 수용된다. 또한, 개구부는 하우징의 상부면에 형성되고, 한 쌍의 단자 중 각 단자의 압접단자부가 하우징의 개구부를 통해 노출되어 하우징 외측으로 연장되고, 하우징의 측벽들 중 어느 한 측벽의 외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되고, 접속구조가 유닛 하우징에 수용될 경우 유닛 하우징이 개방되는 일면의 일측에 한 쌍의 단자 중 각 단자의 압접단자부가 배치된다. 따라서, 압접단자부가 노출된 상태에서 하우징과 유닛 하우징 내에 한 쌍의 단자를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양태에 따른 전자부품의 접속구조에 있어서는, 접속 유닛은 한 쌍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개의 전선이 횡방향으로 굴곡되어 유지되는 전선유지부와, 유닛 하우징을 전선유지부에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유닛 하우징과 전선유지부가 결합부에 의해 결합될 경우 한 쌍의 단자의 각 압접단자부에 전선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2 전선의 굴곡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선이 횡방향으로 굴곡되는 한편 전선이 각 압접단자부에 접속되므로, 수직방향(종방향)으로 접속 유닛의 공간을 절감(콤팩트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자부품 접속구조가 조립된 LED 조명 유닛의 구조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선유지부를 제거한 상태로 LED 조명 유닛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LED 조명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LED 조명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전자부품 접속구조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하우징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하우징의 부분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단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전선유지부의 상세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LED 조명 유닛의 회로구조를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자부품 접속구조가 조립된 LED 조명 유닛의 조립공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자부품 접속구조가 조립된 LED 조명 유닛의 조립공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자부품 접속구조가 조립된 LED 조명 유닛의 조립공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자부품 접속구조가 조립된 LED 조명 유닛의 조립공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자부품 접속구조가 조립된 LED 조명 유닛의 조립공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의 접속구조(또는 전자부품 접속구조) 및 전자부품의 접속 유닛(또는 전자부품 접속 유닛)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자부품 접속구조(1)가 조립된 LED 조명 유닛(100)의 구조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전선유지부를 제거한 상태로 LED 조명 유닛(100)을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LED 조명 유닛(100)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취한 LED 조명 유닛(100)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전자부품 접속구조(1)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하우징(1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하우징(10)의 부분을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한 단자(20)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한 전선유지부(120)의 상세 설명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한 LED 조명 유닛(100)의 회로구조를 예시한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있어서, 편의상 화살표 방향은 전방측, 후방측, 상부측, 및 하부(하향)측으로 규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접속구조(1)를 가진 LED 조명 유닛(100)은 서로 다른 전선을 한 쌍의 단자(20)에 전기적으로 각각 접속하여 LED 소자(L)의 광조사를 수행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부품 접속유닛으로서의 LED 조명 유닛(100)은 유닛 하우징(110), 전자부품 접속구조(1), 및 전선유지부(120)를 포함한다.
먼저, 유닛 하우징(110)을 설명한다. 유닛 하우징(110)은 전자부품 접속구조(1) 및 전선유지부(120)를 수용한다. 유닛 하우징(110)은 상자형상 케이싱으로서 개구(110a)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개구(110a)는 유닛 하우징(110) 내에 전자부품 접속구조(1) 및 전선유지부(120)를 수용하기 위한 삽입개구로서 작용한다. 유닛 하우징(110) 내부에 전자부품 접속구조(1)와 전선유지부(120)가 전방측으로부터 열거순으로 배치된다. 또한, 유닛 하우징(110)은 조명용 개구(111)와 결합용 개구(112)를 포함한다.
조명용 개구(111)는 유닛 하우징(110)의 상부면을 형성하는 벽에 형성된 개구로서 유닛 하우징(110) 내에 수용된 LED 소자(L)로부터 외측으로 방출되는 광을 방출한다. 조명용 개구(111)는 렌즈와 같은 광투과성 부재를 덮개로서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결합용 개구(112)는 개구(110a)의 부근에서 유닛 하우징(110)의 측벽에 형성된 개구이다. 결합부에 해당하는 결합용 개구(112)는 전선유지부(120)의 랜스부(lance portion)(122)(후술함)와 결합한다. 즉, 결합용 개구(112)는 랜스부(122)와 결합하여 전자부품 접속구조(1)와 전선유지부(120)를 유닛 하우징(110) 내에서 고정할 수 있다.
다음에, 전자부품 접속구조(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자부품 접속구조(1)는 하우징(10), 하우징(10) 내에 수용되는 한 쌍의 단자(20)를 포함한다. 전자부품 접속구조(1)는 하우징(10) 내에 고정된 한 쌍의 단자(20)에 의해 하우징(10) 내측에 수용된 전자부품들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전자부품 접속구조(1)는 LED 소자(L), 제너 다이오드(D), 저항(R)을 전자부품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하우징(10) 내에 LED 소자(L), 제너 다이오드(D), 및 저항(플레이트)(R)을 수용한다. 전자부품 접속구조(1)가 유닛 하우징(110) 내에 수용될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소자(L)는 조명용 개구(111)에 대응하는 부분에 배치되고, 개별 전선(W)에 접속될 압접단자부(23b)(후술함)가 유닛 하우징(110)의 개구(110a)로 향한다.
하우징(10)은 상자형상 케이싱으로서 절연물질로 구성되고 그 상부면에 개구(10a)을 가진다. 하우징(10)은 직각형 바닥벽(11)과 측벽을 포함하고, 측벽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벽(12)의 4개의 측변으로부터 세워진 전방벽(12), 후방벽(13), 및 한 쌍의 좌우벽(14)을 포함한다. 후방벽(13)은 전방벽(12)과 마주하고, 한 쌍의 좌우벽(14)은 서로 마주한다. 또한, 하우징(10)은 LED 소자 삽입개구(12a), 제너 다이오드 삽입개구(12b), 저항 플레이트 삽입개구(11a), 분할벽(15), 및 단자고정부(16)를 포함한다.
LED 소자 삽입개구(12a)는 LED 소자(L)를 하우징(10)에 삽입하기 위해 전방벽(12)에 형성된 개구이다.
제너 다이오드 삽입개구(12b)는 제너 다이오드(D)를 하우징(10)에 삽입하기 위해 전방벽(12)에 형성된 개구이다.
저항 플레이트 삽입개구(11a)는 저항 플레이트(R)를 하우징(10)에 삽입하기 위해 바닥벽(11)에 형성된 개구이다.
분할벽(15)은 상호 마주하는 좌우벽(14)들 사이 위치에 배치되어 이 좌우벽(14)과 평행하게 바닥벽(11)으로부터 세워지고 하우징(10) 내에서의 수용공간을 거의 서로 동일한 2개의 수용공간들로 분할하는 벽이다. 하우징(10) 내에서의 2개의 수용공간은 대응 단자(20)를 수용한다. 따라서, 단자(20)는 하우징(10) 내에 수용되는 한편, 상호 접촉하지 않고 절연상태를 유지한다.
분할벽(15)의 벽면, 그리고 분할벽(15)의 대응벽면과 마주하는 좌우벽(14)의 측면에는, 종방향(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직선형 홈(15a)이 형성되어 하우징(10) 내의 대응 단자(20)의 접속위치에 저항 플레이트(R)를 배치하기 위한 안내부재로서 기능한다.
또한, LED 소자 삽입개구(12a)와 제너 다이오드 삽입개구(12b)에 대응하는 분할벽(15)의 전방단부의 위치에는 노치부(15b)가 형성되어 LED 소자(L) 및 제너 다이오드(D)가 하우징(10) 내에 수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고정부(16)가 분할벽(15)의 벽면(15c)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하우징(10)의 바닥벽(11)과 협동하여 단자(20)를 클램프하고 결과적으로 각 단자(20)를 하우징(10) 내에서 고정한다.
다음에, 한 쌍의 단자(20)에 대하여 설명한다.
한 쌍의 단자(20)는 형상이 상호 동일한 2개의 단자를 포함한다. 압접단자부(23b)(후술함)가 평행하게(옆으로 나란히) 정렬된 단부(제2단부)(20d)와, 단부(20d)에 대향하는 단부(제1단부)(20c)가 평행하게(옆으로 나란히) 정렬하도록 한 쌍의 단자(20)가 하우징(10) 내에 배치된다. 또한, 압접단자부(23b)가 개구부(10a)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연장되고, 하우징(10)의 후방벽(13)의 외부면(13e)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한 쌍의 단자(20)가 하우징(10) 내에 수용된다.
한 쌍의 단자(20)의 각 단자(20)는 도전성 판형부재에 대해 프레스 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단자(20)는 직각형 상부기판부(20a)의 양쪽 종측변을 하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제1부품 접속부(21)와 제2부품 접속부(22), 그리고 상부기판부(20a)의 후방단부를 하향으로 굴곡하고 이어서 후방단부를 후방측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전선접속부(23)를 포함한다. 상부기판부(20a)는 양쪽 에지를 하향으로 굴곡하여 종측변 에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한 쌍의 굴곡 에지부(20b)를 포함한다.
제1부품 접속부(21)는 상부기판부(20a)의 양쪽 에지로부터 세워지도록 배치된 한 쌍의 베이스부(21a), 베이스부(21a)의 하부 에지로부터 전방측(횡방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돌출편(21b), 상부기판부(20a)와 한 쌍의 돌출편(21b) 사이에서 베이스부(21a)로부터 전방측으로(횡방향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제1접촉편(21c) 및 한 쌍의 제2접촉편(21d)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제1접촉편(21c)은 상부기판부(20a)로부터의 거리를 단축하기 위해 단부(21cc)로 향하여 연장된다. 한 쌍의 제1접촉편(21c)은 탄성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제2접촉편(21d)은 한 쌍의 제1접촉편(21c) 아래에 형성되어 단부(21dd) 쪽으로 연장되어 돌출편(21b)으로부터의 거리가 단축된다. 한 쌍의 제2접촉편 또한 탄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를 가진 각 제1접촉편(21c)은 LED 소자(L)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LED 소자 접속부(24), 및 제너 다이오드(D)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제너 다이오드 접속부(25)를 포함한다.
LED 소자 접속부(24)는 상부기판부(20a)의 한 쌍의 굴곡 에지부(20b) 및 한 쌍의 제1접촉편(21c)에 의해 LED 소자(L)를 클램프한다. 즉, LED 소자(L)는 한 쌍의 굴곡 에지부(20b)와 한 쌍의 제1접촉편(21c) 사이에 삽입되어 LED 소자(L)가 한 쌍의 제1접촉편(21c)의 탄성에 의해 클램프되고, 한 쌍의 단자(20) 및 LED 소자(L)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너 다이오드 접속부(25)는 한 쌍의 돌출편(21b)과 한 쌍의 접촉편(21d)에 의해 제너 다이오드(D)를 클램프한다. 즉, 제너 다이오드(D)는 한 쌍의 돌출편(21b)과 한 쌍의 제2접촉편(21d) 사이에 삽입되어 제너 다이오드(D)가 한 쌍의 제2접촉편(21d)의 탄성에 의해 클램프되고, 한 쌍의 단자(20)와 제너 다이오드(D)는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부품 접속부(22)는 한 쌍의 베이스부(21a), 및 상부기판부(20a)의 양쪽 에지부로부터 세워져 배치되는 한 쌍의 결합부(22a) 및 한 쌍의 제3접촉편(22d)을 포함한다.
한 쌍의 결합부(22a)는 주단면부(22b)와 후크 형상부(22c)를 포함한다.
주단면부(22b)는 종방향(수직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된 단부면을 가진다. 단자(20)가 하우징(10) 내에 수용될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단면부(22b)는 후방벽(13)의 내부면과 면접촉한다.
후크 형상부(22c)는 결합부(22a)의 하부에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된다. 단자(20)가 하우징(10) 내에 수용될 경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 형상부(22c)는 후방벽(13)의 내부면 측에 형성된 내부면측 단차(13a)와 결합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3접촉편(22d)은 한 쌍의 베이스부(21a)와 한 쌍의 결합부(22a) 사이에서 상부 기판부(20a)로부터 하향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탄성편이다. 한 쌍의 제3접촉편(22d)은 단부 쪽으로 연장하여 한 쌍의 베이스부(21a)로부터의 거리를 단축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진 제2부품 접속부(22)는 저항 플레이트(R)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저항 플레이트 접속부(26)를 포함한다.
저항 플레이트 접속부(26)는 한 쌍의 베이스부(21a)와 한 쌍의 제3접촉편(22d)에 의해 저항 플레이트(R)를 클램프한다. 즉, 저항 플레이트(R)는 한 쌍의 베이스부(21a)와 한 쌍의 제3접촉편(22d) 사이에 삽입되어 저항 플레이트(R)가 한 쌍의 제3접촉편(22d)의 탄성에 의해 클램프되고, 단자(20)와 저항 플레이트(R)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선접속부(23)는 벽면접촉부(23a)와 압접단자부(23b)를 포함한다. 벽면접촉부(23a)는 상부기판부(20a)를 하향으로 굴곡하여 형성된 부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20)가 하우징(10) 내에 수용될 때, 벽면접촉부(23a)는 후방벽(13)의 상단부면을 포함하는 외부면을 따라서 굴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접단자부(23b)는 하향 굴곡벽면 접촉부(23a)로부터 후방측으로 굴곡되어 형성된 판형상부이다. 압접단자부(23b)는 U자형으로 형성된 노치(23c)를 가진다. 전선(W)이 노치(23c)로 가압될 때, 전선(W)과 단자(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압접단자부(23b)의 노치(23c)가 형성된 표면(23d)이 한 쌍의 단자(20)가 배치된 하우징의 바닥벽(11)의 표면(배치면)(11b)과 평행하도록 한 쌍의 단자(20)가 형성된다. 이 경우, 노치(23c)가 형성된 표면(23d)이 바닥벽(11)의 표면(11b)과 평행하기 때문에, 각 전선(W)이 한 쌍의 단자(20)에 압입되어도 일 압접단자부(23b)는 타 압접단자부(23b)에 접속된 전선(W)에 대해 방해가 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면접촉부(23a)와 압접단자부(23b) 사이의 경계로서 작용하는 굴곡부는 후방벽(13)에 형성된 외부면측 단차(13b)와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단자(20)는 벽면접촉부(23a)와 한 쌍의 결합부(22a)에 의해 후방벽(13)을 클램프한다.
다음에, 전선유지부(1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유지부(120)는 각 전선(W)을 반대로 구부려 형성한 각 전선(W)의 굴곡부를 유지하며, 이 상태에서 전선유지부(120)가 유닛 하우징(110) 내에 수용되고, 결과적으로 각 전선(W)을 유닛 하우징(110) 내의 각 단자(2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전선유지부(120)는 한 쌍의 단자(20)의 각 단자(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개의 전선(W)을 유지한다. 또한, 전선유지부(120)는 굴곡유지부(121)와 랜스부(122)를 포함한다.
굴곡유지부(121)는 각 전선(W)을 반대로 구부려 형성한 각 전선(W)의 굴곡부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굴곡유지부(121)는 각 전선(W)의 굴곡부가 가압에 의해 각 압접단자부(23b)와 접촉하는 위치까지 유닛 하우징(110)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굴곡유지부(121)는 전방단부에 형성된 노치부(121a)를 포함하여 압접단자부(23b)가 전선(W)에 접속된다.
랜스부(122)는 결합부로서 유닛 하우징(110)에 형성된 결합개구(112)와 결합하여 유닛 하우징(110) 내에서 전선유지부(120)를 고정한다.
전선유지부(120)가 각 전선(W)을 구부려 유지하고, 이어서 유닛 하우징(110)에 수용될 경우, 즉 전선유지부(120)와 유닛 하우징(110)이 결합부(112, 122)에 의해 상호 결합될 경우, 전선유지부(120)에 의해 유지되는 전선(W)의 굴곡부는 한 쌍의 압접단자부(23b)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구성을 가진 LED 조명 유닛(10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LED 소자(L)와 제너 다이오드(D)에 병렬로 접속되어 LED 소자(L)가 과전압으로부터 보호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자부품 접속구조(1)가 조립되는 LED 조명 유닛(100)의 조립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전자부품 접속구조(1)가 조립된 LED 조명 유닛(100)의 조립공정을 예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하우징(10) 내에 한 쌍의 단자(20)를 수용시킨다. 이 때, 각 단자(20)는 하우징(10)의 개구(10a)로부터 삽입된다. 이 경우, 각 단자(20)는 하우징(10) 내에 고정되어 돌출편(21b)이 단자고정부(16)의 하단면(16b)과 바닥벽(11)의 상부면 사이에 위치한다. 노치(23c)가 형성되는 표면(23d)이 바닥벽(11)의 표면(11b)과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한 쌍의 단자(20)를 배치한다.
이후,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LED 소자(L) 및 제너 다이오드(D)를 한 쌍의 단자(20)에 접속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LED 소자(L)는 LED 소자 삽입개구(12a)로부터 하우징(10)으로 삽입되고 한 쌍의 굴곡 에지부(20b)와 한 쌍의 제1접촉편(21c)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한 쌍의 제1접촉편(21c)의 탄성을 이용하여 한 쌍의 굴곡 에지부(20b)와 한 쌍의 제1접촉편(21c) 사이에서의 간극을 확대하는 동안 LED 소자(L)가 삽입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접촉편(21c)에 의해 한 쌍의 굴곡 에지부(20b)를 향하여 편향력이 부가되어 LED 소자(L)가 한 쌍의 굴곡 에지부(20b)와 한 쌍의 제1접촉편(21c) 사이에 유지된다.
제너 다이오드(D)는 제너 다이오드 삽입개구(12b)로부터 삽입되어 한 쌍의 돌출편(21b)과 한 쌍의 제2접촉편(21d)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 한 쌍의 제2접촉편(21d)의 탄성을 이용하여 한 쌍의 돌출편(21b)과 한 쌍의 제2접촉편(21d) 사이에서의 간극을 확대하는 동안 제너 다이오드(D)가 삽입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2접촉편(21d)에 의해 한 쌍의 돌출편(21b)을 향하여 편향력이 부가되어 제너 다이오드(D)가 한 쌍의 돌출편(21b)과 한 쌍의 제2접촉편(21d) 사이에 유지된다.
다음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저항 플레이트(R)를 한 쌍의 단자(20)에 접속시킨다. 이 때, 저항 플레이트(R)는 한 쌍의 홈(15a)에 의해 안내되는 동안 저항 플레이트 삽입개구(11a)로부터 하우징(10)에 삽입되어 한 쌍의 베이스부(21a)와 한 쌍의 제3접촉편(22d)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제3접촉편(22d)의 탄성을 이용하여 베이스부(21a)와 한 쌍의 제3접촉편(22d) 사이에서의 간극을 확대하는 동안 저항 플레이트(R)가 삽입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제3접촉편(22d)에 의해 한 쌍의 베이스부(21a)를 향하여 편향력이 부가되어 저항 플레이트(R)가 한 쌍의 베이스부(21a)와 한 쌍의 제3접촉편(22d) 사이에 유지된다.
상기 조립작업에 의해 전자부품 접속구조(1)가 완성된다.
다음에,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유닛 하우징(10) 내에 전자부품 접속구조(1)를 수용시킨다. 따라서, LED 소자(L)가 유닛 하우징(10)의 조명을 위해 개구(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단자(20)의 압접 단자부(23b)가 유닛 하우징(110)의 개구(110a) 측을 향하여 배치된다.
다음에,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유닛 하우징(10) 내에 전선유지부(120)를 수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LED 조명 유닛(100)이 완성된다. 전선유지부(120)가 유닛 하우징(110)의 개구(110a)로부터 유닛 하우징(110) 내에서 소정의 위치까지 가압될 경우, 각 전선(W)이 각 압접단자부(23b)의 노치(23c)에 가압되어 각 전선(W)과 대응 단자(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랜스부(122)가 유닛 하우징(10)의 결합개구(112)와 결합하고 각 전선(W) 및 대응 단자(20)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각 전선(W)과 대응 단자(20)의 접속이 유지된 상태에서 전선유지부(120)가 유닛 하우징(110) 내에서 고정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한 쌍의 단자(20)가 동일한 형상의 2개의 단자(20)로 구성되고, 노치(23c)가 형성된 표면(23d)이 하우징(10)의 바닥벽(11)의 표면(11b)과 평행하게 연장하기 때문에, 압접단자부(23b)가 병렬로(나란히) 배치되고, 각 전선(W)이 한 쌍의 단자(20)에 압입되어도, 압접단자(20)들 중 일 압접단자는 압접단자(20)들 중 타 압접단자에 접속된 전선(W)에 방해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한 쌍의 단자(20)의 형상을 통일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압접단자부(23b) 가 형성된 한 쌍의 단자(20)의 단부(20d)가 상호 평행하게 정렬되고, 압접단자부(23b)가 형성된 단부(20d)에 대향하는 한 쌍의 단자(20)의 단부(20c)가 상호 평행하게 정렬되는 구조, 즉, 그 양단부가 정렬되어 한 쌍의 단자(20)가 정렬되도록 한 쌍의 단자(20)가 하우징(10) 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한 쌍의 단자(20)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유닛(100)에 있어서는, LED 조명 유닛(100)은 일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을 가진 유닛 하우징(110)을 포함하며, 이 개구를 통해 접속구조(1)가 유닛 하우징(10) 내에 수용된다. 또한, 하우징(10)의 상부면에는 개구부(10a)가 형성되고, 한 쌍의 단자(20)에 있어 그 각 단자(20)의 압접단자부(23b)는 하우징(10)의 개구부(10a)를 통해서 하우징(10) 외측으로 노출되어 연장되고, 하우징(10)의 후방벽(13)의 외부면(13e)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되며, 한 쌍의 단자(20)에서 그 각 단자(20)의 압접단자부(23b)는 접속부(1)가 유닛 하우징(110)에 수용될 때 유닛 하우징(110)이 개방된 일면의 일측에[개구(110a)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우징(10) 내에 한 쌍의 단자(20) 및 유닛 하우징(110)을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압접단자부(23b)를 용이하게 노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LED 조명 유닛(100)에 있어서는, LED 조명 유닛(100)이 추가로 전선유지부(120)와 결합부를 포함하며, 전선유지부(120)에서 한 쌍의 단자(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개의 전선(W)이 횡방향으로 굴곡되어 유지되고, 결합부는 결합용 개구(112) 및 랜스부(122)를 가지고, 랜스부(122)는 유닛 하우징(110)을 전선유지부(120)에 결합하는 작용을 한다. 유닛 하우징(110)과 전선유지부(120)가 결합용 개구(112)와 랜스부(122)에 의해 결합될 때, 전선유지부(120)에 의해 유지되는 2개 전선(W)의 굴곡부는 한 쌍의 단자(20)에서 그 각 압접단자부(2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선(W)이 각 압접단자부(23b)에 접속되는 한편 전선(W)이 횡방향으로 굴곡되기 때문에, 수직방향(종방향)으로 LED 조명 유닛(100)의 공간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전자부품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한 쌍의 단자(20)를 사용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전자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개 이상의 단자를 제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각 단자(20)가 판형상부재에 대해 프레스 가공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각 단자는 베이스부(21a), 베이스부(21a)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돌출편(21b) 또는 상부기판부(20a), 및 접촉편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접촉편은 돌출편(21b) 또는 상부기판부(20a)로부터의 간격이 베이스부(21a)로부터 단부로 향하여 감소하도록 베이스부(21a)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고 탄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부품 접속구조(1)에 있어서는, 전자부품으로서, LED 소자(L), 제너 다이오드(D), 및 저항 플레이트(R)가 한 쌍의 단자(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기타 다른 전자부품이 한 쌍의 단자(20)에 접속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은 2010. 12. 22. 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제2010-286244호)에 기초한 것으로서 그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은 여기 참조로 포함된다.

Claims (4)

  1. 접속구조로서,
    바닥벽, 및 상기 바닥벽으로부터 연장되는 측벽을 가진 상자형상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는 전자부품과;
    동일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측벽을 따라서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측벽의 평면을 따라서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에 삽입되고, 상기 바닥벽의 배치면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고정되는 한 쌍의 단자;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단자들의 각 단자는:
    상기 단자의 제1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전자부품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품접속부와;
    상기 단자의 상기 제1단부에 대향하는 제2단부에 형성되고 전선이 압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노치를 가진 압접단자부;
    를 포함하고,
    상기 노치가 형성된 표면은 상기 하우징의 바닥벽의 배치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자의 상기 제1단부가 상호 평행하게 정렬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의 제2단부도 상호 평행하게 정렬되도록 상기 한 쌍의 단자가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접속구조가 조립된 접속 유닛으로서, 상기 접속 유닛은: 상자형상으로서 일면이 개구된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로부터 상기 접속구조가 상기 유닛 하우징에 수용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단자 중 각 단자의 압접단자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하우징 외측에 노출되어 연장되고, 상기 하우징의 측벽들 중 하나의 외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접속구조가 상기 유닛 하우징에 수용될 경우, 상기 한 쌍의 단자 중 각 단자의 압접단자부는 상기 유닛 하우징이 개방되는 일면의 일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2개의 전선이 횡방향으로 굴곡되어 유지되는 전선유지부와;
    상기 유닛 하우징을 상기 전선유지부와 결합하는 결합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닛 하우징과 상기 전선유지부가 상기 결합부에 의해 결합될 경우, 상기 전선유지부에 의해 유지되는 2개 전선의 굴곡부가 상기 한 쌍의 단자의 각 압접단자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유닛.
KR1020137016149A 2010-12-22 2011-12-09 전자부품의 접속구조 및 접속 유닛 KR201300953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86244 2010-12-22
JP2010286244A JP2012134055A (ja) 2010-12-22 2010-12-22 電子部品の接続構造および電子部品の接続ユニット
PCT/JP2011/079128 WO2012086528A1 (en) 2010-12-22 2011-12-09 Co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unit of electronic compon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306A true KR20130095306A (ko) 2013-08-27

Family

ID=4547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6149A KR20130095306A (ko) 2010-12-22 2011-12-09 전자부품의 접속구조 및 접속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252469A1 (ko)
JP (1) JP2012134055A (ko)
KR (1) KR20130095306A (ko)
CN (1) CN103283089A (ko)
DE (1) DE112011104513T5 (ko)
WO (1) WO20120865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69304B2 (ja) * 2010-11-19 2015-02-1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接続構造
JP5718631B2 (ja) * 2010-12-22 2015-05-13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接続構造
CN103703314B (zh) 2011-08-02 2018-07-24 飞利浦灯具控股公司 模块化照明组件适配器零件
JP2013182878A (ja) * 2012-03-05 2013-09-12 Yazaki Corp 電子部品の接続構造
US9407043B2 (en) 2012-07-16 2016-08-02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Balanced pin and socket connectors
JP2014157679A (ja) * 2013-02-14 2014-08-28 Yazaki Corp 電子部品の接続構造
DE102013012251A1 (de) * 2013-07-24 2015-01-29 Erni Production Gmbh & Co. Kg Terminal zur Kontaktierung eines elektrischen Leiters
GB2547958B (en) 2016-03-04 2019-12-18 Commscope Technologies Llc Two-wire plug and receptacle
WO2018200528A1 (en) 2017-04-24 2018-11-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WO2018227057A1 (en) 2017-06-08 2018-12-13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US10698015B2 (en) * 2017-10-11 2020-06-30 Rey Dandy Provido Lachica Systems and methods to facilitate detecting an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a space by using a self-powered radio frequency device (SP-RF device)
WO2019147774A1 (en) 2018-01-26 2019-08-01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AU2019223204B2 (en) * 2018-02-26 2024-06-06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and contact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AU2020239985A1 (en) 2019-03-15 2021-08-26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nnectors and contacts for a single twisted pair of conductors
JP7568577B2 (ja) 2021-05-17 2024-10-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付き電線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6305A (en) * 1990-06-28 1991-06-25 Amp Incorporated Connector for reed switch or similar electrical component
USRE38519E1 (en) * 1998-08-24 2004-05-18 Panduit Corp. Low crosstalk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US6371793B1 (en) * 1998-08-24 2002-04-16 Panduit Corp. Low crosstalk modular communication connector
US6488539B1 (en) * 2001-09-20 2002-12-03 Illinois Tool Works Inc. Electrical connector
DE102004061681B4 (de) * 2004-12-22 2006-10-26 Adc Gmbh Kabelsteckverbinder für Leiterplatten
JP4754333B2 (ja) 2005-11-24 2011-08-24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子部品の接続構造
US20080137377A1 (en) * 2006-12-11 2008-06-12 Gelcore, Llc Led light eng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7695306B2 (en) * 2008-04-08 2010-04-13 Yazaki Corporation Electronic part-connecting structure
US8277093B2 (en) * 2009-03-09 2012-10-02 Yazaki Corporation Connector, LED unit, and method for producing connector
JP5507895B2 (ja) 2009-06-09 2014-05-28 株式会社キーエンス 透過型寸法測定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83089A (zh) 2013-09-04
US20130252469A1 (en) 2013-09-26
WO2012086528A1 (en) 2012-06-28
JP2012134055A (ja) 2012-07-12
DE112011104513T5 (de) 2013-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95306A (ko) 전자부품의 접속구조 및 접속 유닛
KR101389625B1 (ko) 전자 부품의 접속 구조
US8876336B2 (en) LED lamp unit
JP4575507B2 (ja) コネクタ
WO2012096288A1 (ja) コネクタ
JP2011222454A (ja) 電子部品
JP5938195B2 (ja) 車載用ledウエッジ電球
JP4623735B2 (ja) コネクタ
JP4601486B2 (ja) バスバー取付け構造
JP4613128B2 (ja) コネクタ
US6012930A (en) Connector for circuit board
JP4587922B2 (ja) 端子台および照明器具
CN102437439B (zh) 电缆用电连接器及电缆用电连接器的组装体
KR102059929B1 (ko)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커넥터
JP4611849B2 (ja) 端子台
JP2012109162A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
JP3637845B2 (ja) 配線器具
JP4198044B2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組付構造
KR101001881B1 (ko)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WO2014126031A1 (ja) 電子部品の接続構造
JP4644080B2 (ja) 端子台
KR200453649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JP2018152271A (ja) 接触端子、ベースコンタクト及びアウタコンタクト
JP2012124084A (ja) Led実装基板収容容器
JP2008117704A (ja) バックライト用コネクタ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