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3649Y1 -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3649Y1
KR200453649Y1 KR2020080013400U KR20080013400U KR200453649Y1 KR 200453649 Y1 KR200453649 Y1 KR 200453649Y1 KR 2020080013400 U KR2020080013400 U KR 2020080013400U KR 20080013400 U KR20080013400 U KR 20080013400U KR 200453649 Y1 KR200453649 Y1 KR 2004536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ircuit board
connection terminal
substrate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34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982U (ko
Inventor
정성국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34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3649Y1/ko
Publication of KR2010000398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98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36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364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7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surface mounting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회로기(10)에 연결되는 기판연결구(20)와, 상기 기판연결구(20)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연결구(2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로기판(10)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커넥터(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기판연결구(20)는 상기 회로기판(10)의 회로패턴이 구비된 표면에 안착되어 솔더링되는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부(28)를 포함하여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 커넥터, 회로기판

Description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PCB mounting type connector assembly}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백라이트 램프의 일단부 지지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는 커넥터하우징과 터미널로 구성되며, 세탁기, 냉장고 또는 자동차 등의 전원회로 등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기 전자 기기에 상기 커넥터를 사용하면 복수의 부품을 개별로 조립하여 그 후 최종 제품에 끼워 넣을 수 있으므로, 기기 제조뿐 아니라, 유지보수작업을 대폭 간소화 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커넥터는 보통 상대커넥터와 결합됨으로써 두 커넥터에 각각 구비된 터미널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나, 경우에 따라서는 회로기판(PCB) 등에 실장되어 회로기판과 외부의 전장품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특히, LCD 등의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백라이트가 결합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가 사용되어 LCD패널에 외부 광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백라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장착프레임(도시되지 않음)에는 회로기판(1)이 설치된다. 상기 회로기판(1)에는 커넥터(3)가 실장되고, 상기 커넥터(3)에는 백라이트(L)가 결합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커넥터(3)는 도면의 화살표방향으로 상기 회로기판(1)에 결합되고, 상기 백라이트(L)는 상기 커넥터(3)의 결합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단부에 형성된 단자부가 커넥터(3) 내부에 설치된 터미널(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5)은 상기 커넥터(3)에 의해 회로기판(1)의 상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회로기판(1)을 통과한 그 선단이 솔더링공정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1)의 저면에 실장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회로기판(1)과 상기 백라이트(L)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회로기판(1)의 전류가 백라이트(L)로 전달되어 상기 백라이트(L)가 발광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작업자는 상기 터미널(5)이 구비된 커넥터(3)를 상기 회로기판(1)에 결합시키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작업자는 상기 커넥터(3)를 회로기판(1)에 평행한 방향(화살표 방향)으로 결합시키면서 상기 터미널(5)의 일부가 상기 회로기판(1)의 저면에 형성된 회로패턴에 접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를 위해서는 상기 커넥터(3)가 비교적 두께가 얇은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측면에서 회로기판(1)의 가장자리에 결합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커넥터(3) 및 회로기판(1)으로 구성되는 조립체는 평판디스플레이장치의 내부에 구비된 장착프레임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므로, 장착프레임에 의해 간섭되어 작업이 가능한 공간이 좁고 작업자가 커넥터(3)와 회로기판(1)의 결합부분을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워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3)가 상기 회로기판(1)에 직교한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렇게 되면 상기 터미널(5) 역시 회로기판(1)에 직교한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솔더링공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이상 터미널(5)과 회로기판(1) 저면의 회로패턴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솔더링공정은 상기 각각의 터미널(5)의 적어도 일부가 회로기판(1)을 관통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회로기판(1)의 저면을 솔더링하여야 하므로, 그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회로기판에 커넥터가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커넥터와 회로기판과의 사이에 기판연결구를 구비하여 커넥터와 회로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이 구비된 표면에 안착되어 솔더링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기판연결구와, 상기 기판연결구의 접촉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연결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로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성편과 상기 기판연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편이 각각 차례로 구비되는 접속터미널이 수납되는 커넥터와, 상기 접속터미널이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접속터미널의 상기 탄성편의 양측을 지지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터미널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탄성편과 접속편이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례로 구비된다.
상기 기판연결구는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에 안착되어 솔더링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속터미널의 접속편 사이에 삽입되어 접속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판연결구의 베이스부와 상기 회로기판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 정돌기와 고정공이 형성되어 결합된다.
삭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에 안착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탄성편이 쌍을 이루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접속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압입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터미널의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상기 수납공간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에는 상기 걸이공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이편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걸이턱은 상기 걸이편의 외면에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걸이턱이 상기 걸이공에 걸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커넥터에 단계적으로 결합된다.
본 고안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어셈블리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커넥터가 회로기판의 얇은 측면에 결합되지 않고, 회로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작업자가 회로기판과 커넥터의 결합부분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어 커넥터의 조립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커넥터가 회로기판을 관통하는 기판연결구에 의해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를 반드시 회로기판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할 필요가 없어 기판실장형 커넥터어셈블리가 적용되는 전자제품의 설계 자유도가 커지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커넥터를 구성하는 하우징에는 터미널이 삽입되는 수납공간이 각각 다수개 구비되므로, 상기 하나의 하우징에 다수개의 터미널을 각각 삽입한 상태에서 커넥터를 회로기판에 한번에 고정시킬 수 있어 기판실장형 커넥터를 조립하기 위한 공수 및 부품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기판연결구를 회로기판에 솔더링한 상태에서 각각의 커넥터를 이에 결합시키면 되므로, 커넥터와 회로기판의 결합공정이 간소해지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먼저 회로기판(1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회로기판(10)은 전자제품의 골격을 형성하는 장착프레임(도시되지 않음)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략 판상으로 형성된다. 도 2에는 상기 회로기판(10)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10)에는 통홀(11)이 형성된다. 상기 통홀(11)은 상기 회로기판(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연결구(20)가 통과하는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통홀(11)이 원형의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나, 상기 통홀(11)의 형상은 기판연결구(2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통홀(11)의 가장자리에는 랜드부(11')가 형성되어, 후술할 기판연결구(20)의 접촉부(28)와 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에는 회로패턴이 구비된다. 상기 회로패턴은 상기 통홀(11)의 가장자리에 해당하는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에 구비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기판연결구(20)의 접촉부(28)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회로기판(10)에는 기판연결구(20)가 결합된다. 상기 기판연결구(20)는 상기 회로패턴이 구비된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회로기판(10)과 연결됨과 동시에 아래에서 설명될 커넥터(C)의 접속터미널(40)과도 연 결되어 결과적으로 회로기판(10)과 커넥터(C)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기판연결구(20)는 전기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기판연결구(20)는 판상의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촉부(28)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21)는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에 안착되어, 상기 랜드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을 향하는 상기 베이스부(21)의 외면의 크기는 상기 랜드부(11')를 덮을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기판연결구(20)는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에 솔더링을 통해 고정된다. 즉 상기 기판연결구(20)는 상기 베이스부(21)의 상면을 덮도록 솔더링되어 상기 회로기판(10)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21)가 회로기판(10)의 표면에 잘 솔더링될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부(21)의 형상은 원판형상으로 됨이 바람직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접촉부(28)가 구비된 면의 반대측 면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부(21)의 저면에는 고정돌기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회로기판(10)의 통홀(11)에 삽입되어 상기 기판연결구(20)를 회로기판(10)에 가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접촉부(28)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형의 횡단면을 갖는 바형상으로 되어, 아래에서 설명될 접속터미널(40)의 접속편(43) 사이에 삽입된다. 즉, 상기 접촉부(28)는 접속터미널(40)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부분으로, 그 횡단면의 직경이 적어도 접속편(43)사이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회로기판(10)의 표면에는 커넥터(C)가 결합된다. 상기 커넥터(C)는 상기 회로기판(10)에 결합되어 회로기판(10)의 회로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대물과 결합되어 회로기판(10)과 상대물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매개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C)는 크게 커넥터하우징(30)과 이에 결합되는 접속터미널(40)로 구성되고,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골격은 하우징몸체(31)가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몸체(31)은 상기 회로기판(10)에 실질적으로 안착되고 접속터미널(40)을 수납하여 고정하는 것으로,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몸체(31)의 내부에는 수납공간(31')이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31')은 접속터미널(40)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공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틀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31')은 상기 커넥터(C)가 상기 회로기판(10)을 향해 결합되는 수직방향을 따라 양측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납공간(31')의 개구된 부분 중 상부를 통해서는 후술할 엑츄에이터(50)가 삽입되고, 하부를 통해서는 상기 접속터미널(40)이 삽입된다.
상기 하우징몸체(31)의 측면에는 걸이공(34)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공(34)은 상기 하우징몸체(31)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엑츄에이터(50)의 걸이턱(57)이 걸어진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걸이공(34)은 상기 하우징몸체(31)의 양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나, 상기 걸이공(34)은 상기 하우징몸체(31)의 내면에 요입되어 형성되거나, 또는 양측면 중 어느 일측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부호 34'는 걸림턱으로 엑츄에이터(50)의 걸이턱(57)이 실질적으로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하우징몸체(31)에는 삽입구(35)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구(35)는 램프(도시되지 않음)와의 결합을 위해 요입되게 형성되어, 램프와의 간섭을 회피하는 부분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몸체(31)에는 압입채널이 형성된다. 상기 압입채널은 상기 하우징몸체(31)의 일부가 요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로 아래에서 설명될 접속터미널(40)의 몸체부(41)가 삽입된다. 즉, 상기 압입채널은 상기 하우징몸체(31)의 하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접속터미널(40)의 몸체부(41)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이다.
도 2에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수납공간(31')이 하나만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는 다수개의 수납공간(31')이 커넥터하우징(3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는 접속터미널(40)이 삽입된다. 상기 접속터미널(40)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하우징몸체(31) 내에 삽입되어 상기 기판연결구(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회로기판(10)과 상대물 사이를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접속터미널(40)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하방으로부터 삽입된다.
상기 접속터미널(40)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관 및 골격을 판상의 몸체부(4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41)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압입채널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41)의 양단에는 상기 몸체부(41)로부터 직교하게 절곡되어 안착부(42)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42)는 상기 하우징몸체(31)의 수납공간(31')에 삽입되어 접속터미널(40)을 지지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41)와 함께 대략 'ㄷ'자 형상의 횡단면을 갖게 된다.
상기 안착부(42)에는 접속편(43)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편(43)은 상기 수납공간(31')의 바닥에 안착되는 상기 안착부(42)의 하단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어, 그 사이로 상기 기판연결구(20)의 접촉부(28)가 삽입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접속편(43)에는 상기 양측 안착부(42)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절곡부(43')가 형성되고, 그 사이로 상기 기판연결구(20)의 접촉부(28)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접속편(43) 사이의 폭은 그 선단으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어, 상기 접속편(43)의 절곡부(43')가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기판연결구(20)의 접촉부(28)의 양측을 밀어, 상기 기판연결구(20)과 접속터미널(40) 사이가 보다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접속터미널(40)에는 탄성편(46)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편(46)은 상기 몸체부(41)의 양측으로부터 쌍을 이루면서 절곡되어 외팔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편(46)은 상대물과의 접속을 위한 것으로, 상대물의 단자부를 탄성으로 고정하기 위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형성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탄성편(46)의 선단에는 상기 안착부(42) 방향으로 절곡된 접속부(47)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부(47)의 선단에는 걸림단(48)이 구비된다. 상기 접속부(47)는 실질적으로 상대물의 단자부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상기 걸림 단(48)은 어느 일측의 접속부(47) 선단으로부터 다른 접속부(47)의 선단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대물의 단자부가 상기 접속부(47) 사이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일종의 스토퍼이다.
이때, 상기 접속편(43)과 상기 탄성편(46)은 상기 접속터미널(40)이 커넥터하우징(30)에 결합되는 방향에 직교한 방향, 즉 상기 안착부(4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접속편(43)과 탄성편(46)은 서로 겹쳐지게 구비되지 않고, 안착부(42)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히 구비되므로, 상기 탄성편(46)이 상기 접속편(43)과 간섭되지 않기 위해 상기 접속편(43)의 높이보다 높게 구비될 필요가 없게 된다.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는 엑츄에이터(50)가 결합된다. 상기 엑츄에이터(5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결합되어 상기 접속터미널(40)을 차폐하고, 상기 접속터미널(40)의 탄성편(46)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엑츄에이터(5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51)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5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상기 접속터미널(40)을 감싸기 위한 지지공간(51')이 형성된다.
상기 엑츄에이터(50)의 지지공간(51')에는 지지턱(54)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턱(54)은 상기 지지공간(51')의 양측 내면으로부터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엑츄에이터(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접속터미널(40)의 탄성편(46)에 밀착되어 탄성편(46)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턱(54)은 상기 지지공간(51')의 내면 중 일부, 보다 정확하게는 아래에서 설명될 걸이편(56)으로부터 먼 위치에 일정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엑츄에이터(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완전히 결합된 경우에만 상기 접속터미널(40)의 탄성편(46)에 밀착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지지턱(54)의 일단에는 가이드면(5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면(54')은 상기 지지턱(54)의 일단으로부터 점점 돌출된 높이가 작아지도록 몸체(51)의 하단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접속터미널(4)의 탄성편(46)이 자연스럽게 서로 모아지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51)의 하단에는 안착레그(55)가 구비된다. 상기 안착레그(55)는 상기 몸체(51)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수납공간(31') 내면에 지지된다.
상기 몸체(51)의 양측에는 걸이편(56)이 구비된다. 상기 걸이편(56)은 상기 엑츄에이터(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결합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편(56)의 외면에는 걸이턱(57)이 돌출되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걸이공(34)에 걸어진다.
이때, 상기 걸이턱(57)은 상기 엑츄에이터(50)가 상기 커넥터(C)에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어 다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이턱(57)이 상기 걸이공(34)에 순차적으로 결합되어, 결과적으로 엑츄에이터(50)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단계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이턱(57)이 하나의 걸이편(56)에 두 개가 형성되어, 상기 엑츄에이터(50)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1차 및 2차조립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이편(56)에는 제1걸이턱과 제2걸이턱(57a,57b)이 구비되어, 상기 제1걸이턱(57a) 만이 상기 걸이공(34)에 삽입되고 제2걸이턱(57b)은 상기 하우징몸체(31)의 상면에 걸어지면 1차조립이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및 제2걸이턱(57a,57b)이 상기 걸이공(34)에 모두 삽입되면 2차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면부호 59는 작업자가 파지하게 되는 손잡이부에 해당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이 작업상태도로 도시되어 있다.
먼저 회로기판(10)과 기판연결구(20), 그리고 커넥터하우징(30) 사이의 결합을 설명하기로 한다. 작업자는 우선 기판연결구(20)를 회로기판(10)에 결합시킨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기판연결구(20)에 구비된 기판연결구(20)의 베이스부(21)가 상기 회로기판(1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상기 기판연결구(20)를 상기 회로기판(10)에 밀착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기판연결구(20)의 베이스부(21)에 구비된 고정돌기가 회로기판(10)의 통홀(11)을 향하도록 하면서 기판연결구(20)를 회로기판(10) 방향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통홀(11)에 삽입되어 기판연결구(20)가 회로기판(10)의 정확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기판연결구(20)의 베이스부(21)는 상기 통홀(11)의 가장자리에 밀착되어, 상기 회로기판(10)의 통홀(11) 주변에 구비된 랜드부(1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기판연결구(20)는 회로기판(10)에 솔더링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기판연결구(20)의 베이스부(21)를 덮도록 기판연결구(20)를 솔더링하여, 상기 기판연결구(20)가 상기 회로기판(1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기판연결구(20)와 회로기판(10) 사이의 전기적 연결도 보다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기판연결구(20)와 회로기판(10)으로 구성된 조립체에 커넥터(C)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커넥터(C)에는 접속터미널(40)이 실장된 상태이다. 즉, 상기 커넥터(C)에는 접속터미널(40)이 실장되어, 탄성편(46)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접속터미널(40)을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하방으로부터 밀어넣어, 상기 접속편(43)과 탄성편(46)은 상기 수납공간(31') 내부에 위치되고 상기 몸체부(41)는 상기 압입채널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이다.
이러한 커넥터(C)를 상기 기판연결구(20)와 회로기판(10)으로 구성된 조립체에 결합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회로기판(10)으로부터 돌출된 기판연결구(20)의 접촉부(28)의 선단이 상기 커넥터하우징(30)에 형성된 수납공간(31')의 개구된 하방을 향하도록 하면서 상기 커넥터(C)를 상기 회로기판(1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기판연결구(20)의 접촉부(28)는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하우징몸체(31)의 내부로 삽입되고, 작업자가 상기 커넥터(C)를 회로기판(10) 방향으로 더욱 밀어 넣으면, 상기 접속터미널(40)의 접속편(43) 사이로 상기 기판연결구(20)의 접촉부(28)가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접촉부(28)의 선단은 상기 접속편(43)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접속편(43) 사이의 간격을 넓히면서 삽입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접속터미널(40)의 접속편(43)은 상기 기판연결구(20)의 접촉부(28)의 양단을 탄성으로 지지하므로 접속터미널(40)과 기판연결구(20) 사이에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C)가 회로기판(10)을 관통하는 기판연결구(20)에 의해 회로기판(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커넥터(C)를 반드시 회로기판(10)의 가장자리 부분에 결합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C)가 회로기판(10)의 얇은 측면에 결합되지 않고, 회로기판(10)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므로 작업자는 회로기판(10)과 커넥터(C)의 결합부분을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면서 작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터(C)와 회로기판(10) 그리고 기판연결구(20)로 구성되는 조립체에 상대물 및 엑츄에이터(50)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대물은 램프이다. 작업자는 먼저 상기 엑츄에이터(50)를 상기 커넥터(C)에 조립한다.
즉, 상기 엑츄에이터(50)의 걸이편(56)이 상기 커넥터(C)를 향하도록 하면서 엑츄에이터(50)를 커넥터(C)에 밀어 넣으면, 상기 걸이편(56)은 상기 커넥터하우징(30)의 하우징몸체(31)의 내면을 따라 이동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상기 걸이 편(56)의 걸이턱(57)은 상기 하우징몸체(31)의 걸이공(34)에 걸어지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걸이편(56)의 돌출된 선단에 더 가까운 위치에 형성된 제1걸이턱(57a)이 상기 걸이공(34)에 먼저 걸어지게 되고, 제2걸이턱(57b)은 상기 하우징몸체(31)의 상면에 안착되어 엑츄에이터(50)가 상기 커넥터(C)에 1차조립된다. 이와 같은 모습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작업자는 램프를 상기 커넥터(C)에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상기 램프의 선단에 구비된 단자부가 상기 커넥터(C)에 실장된 접속터미널(40)의 탄성편(46) 사이에 밀어넣는다. 이때, 상기 탄성편(46)은 아직 엑츄에이터(50)에 의해 그 양단이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어느 정도 탄성변형이 가능하여, 작업자는 상기 탄성편(4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상기 램프의 단자부를 탄성편(46) 사이에 밀어 넣을 수 있다. 물론, 이러한 공정은 반드시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자동화 조립장치 등을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램프의 단자부를 상기 탄성편(46) 사이에 밀어 넣는 과정에서, 상기 램프의 단자부는 상기 접속터미널(40)의 걸림단(48)에 걸어져 더 이상 삽입되지 못하고 걸림단(48)에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마지막으로, 작업자는 상기 엑츄에이터(50)를 상기 커넥터(C)에 2차조립시킨다. 즉, 상기 엑츄에이터(50)를 상기 커넥터(C) 방향으로 더욱 밀어 넣으면, 상기 엑츄에이터(50)의 걸이편(56)에 구비된 제2걸이턱(57b)이 상기 하우징몸체(31)의 걸이공(34)에 삽입되어 상기 엑츄에이터(50)가 커넥터(C)에 2차조립된다. 이와 같 은 모습이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엑츄에이터(50)의 내부의 지지공간(51')에 형성된 지지턱(54)이 상기 접속터미널(40)의 탄성편(46) 양측에 밀착되어 상기 탄성편(46)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램프의 단자부는 상기 탄성편(46)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램프를 상기 커넥터(C)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작업자는 상기 엑츄에이터(50)를 커넥터(C)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당겨 1차조립된 상태로 복원시키고, 램프의 단자부를 상기 접속터미널(40)의 탄성편(46)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램프와 연결되는 접속터미널(40)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대커넥터(C)의 상대터미널을 비롯하여 다양한 상대물과 연결되는 터미널에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회로기판(10)과 커넥터(C), 그리고 상기 기판연결구(20)로 구성되는 조립체를 먼저 평판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내부에 구비되는 장착프레임에 고정시키고, 상기 램프를 상기 커넥터(C)에 연결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접속터미널(40)의 접속편(43)과 탄성편(46)은 서로 그 위치를 달 리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편(46)이 상기 접속편(43) 보다 상대물에 치우치도록 구비되나, 상기 접속편(43)이 상기 탄성편(46)보다 상대물에 치우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백라이트를 고정하기 위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어셈블리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기판실장형 커넥터어셈블리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작업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회로기판 11: 통홀
11': 랜드부 20: 기판연결구
21: 베이스부 28: 접촉부
30: 커넥터하우징 31: 하우징몸체
31': 수납공간 34: 걸이공
40: 접속터미널 41: 몸체부
42: 안착부 43: 접속편
46: 탄성편 47: 접속부
50: 엑츄에이터 51: 몸체
54: 지지턱 56: 걸이편
57: 걸이턱 C: 커넥터

Claims (9)

  1.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이 구비된 표면에 안착되어 솔더링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기판연결구와,
    상기 기판연결구의 접촉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기판연결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회로기판에 수직한 방향으로 결합되고, 내부에는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탄성편과 상기 기판연결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속편이 각각 차례로 구비되는 접속터미널이 수납되는 커넥터와,
    상기 접속터미널이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어 상기 접속터미널의 상기 탄성편의 양측을 지지하는 엑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터미널은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으로부터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안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에는 탄성편과 접속편이 상기 안착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차례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연결구는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에 안착되어 솔더링되는 판상의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직교한 방향으로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상기 접속터미널의 접속편 사이에 삽입되어 접속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연결구의 베이스부와 상기 회로기판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돌기와 고정공이 형성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로기판의 표면에 안착되고 내부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터하우징과,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수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대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탄성편이 쌍을 이루어 탄성변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접속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압입채널이 형성되어 상기 접속터 미널의 몸체부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상기 수납공간이 상기 커넥터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하우징에는 걸이공이 형성되고, 상기 엑츄에이터에는 상기 걸이공에 걸어지는 걸이턱이 돌출되어 형성되는 걸이편이 탄성변형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턱은 상기 걸이편의 외면에 상기 엑츄에이터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는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도록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엑츄에이터는 상기 걸이턱이 상기 걸이공에 걸어지는 정도에 따라 상기 커넥터에 단계적으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2020080013400U 2008-10-07 2008-10-07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2004536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400U KR200453649Y1 (ko) 2008-10-07 2008-10-07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3400U KR200453649Y1 (ko) 2008-10-07 2008-10-07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82U KR20100003982U (ko) 2010-04-15
KR200453649Y1 true KR200453649Y1 (ko) 2011-05-19

Family

ID=44450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3400U KR200453649Y1 (ko) 2008-10-07 2008-10-07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3649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791A (ko) * 2006-07-06 2008-01-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810657B1 (ko) 2006-09-25 2008-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20080045399A (ko) * 2006-11-20 2008-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인가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4791A (ko) * 2006-07-06 2008-01-1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100810657B1 (ko) 2006-09-25 2008-03-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KR20080045399A (ko) * 2006-11-20 2008-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원인가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82U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90952B2 (ja) コネクタ付き基板
JP2016136539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909148B2 (ja) 回路基板用l型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20238140A1 (en) Connector for mounting electrolytic capacitor onto board and electronic circuit apparatus
JP5947640B2 (ja) 端子金具と基板の接続構造
US8727798B2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for providing normal force in electrical connector
JP4187017B2 (ja) コネクタ
JP4623735B2 (ja) コネクタ
WO2016208448A1 (ja) 電気接続箱
JP6836755B2 (ja) コネクタ
KR200453649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57208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95275B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100995276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101001881B1 (ko) 회로기판과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조립구조
KR20100005596U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20100008288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101022049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KR20100000782U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KR20100008289A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어셈블리
JP2007305531A (ja) 配線基板用コネクタ
KR20100000781U (ko) 기판실장형 터미널
JP2019117693A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KR20100003981U (ko) 기판실장형 커넥터의 어셈블리
KR101014605B1 (ko) 기판실장형 터미널과 회로기판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