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0946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0946A
KR20090050946A KR1020080109436A KR20080109436A KR20090050946A KR 20090050946 A KR20090050946 A KR 20090050946A KR 1020080109436 A KR1020080109436 A KR 1020080109436A KR 20080109436 A KR20080109436 A KR 20080109436A KR 20090050946 A KR20090050946 A KR 20090050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tact
main body
connector
relay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9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0998B1 (ko
Inventor
다카아키 구도
마사오 히구치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50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09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0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0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제1, 제2접속 대상물의 접속 작업을 간단하게 실행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섀시(chassis)에 배치되는 제1, 제2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중계 커넥터의 하우징(housing)에, 제1플러그 커넥터와 연결하는 제1수용부와, 제2플러그 커넥터와 연결하는 제2수용부를 형성한다. 제1수용부에 연결된 제1플러그 커넥터와 제2수용부에 연결된 제2플러그 커넥터를 도통시키는 콘택트(contact)를 하우징에 설치한다. 하우징을, 제1, 제2수용부를 갖는 하우징 본체와, 이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섀시에 형성된 구멍과 걸리는 훅(hook)으로 구성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제1플렉시블 기판에 실장된 제1리셉터클(receptacle)(제1접속 대상물)과 제2플렉시블 기판에 실장된 제2리셉터클(제2접속 대상물)을 접속하는 플러그(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일본국 특개2003-100394호 공보 참조).
플러그는 플러그 본체와 점퍼 리드(jumper lead)를 구비한다.
플러그 본체는 제1홈부 영역과 제2홈부 영역과 1쌍의 연결 측부(側部)를 갖추고 있다. 제1홈부 영역은 제1리셉터클에 연결되는 영역이며, 이 영역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홈부 영역은 제2리셉터클에 연결되는 영역이며, 이 영역에는 복수의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1쌍의 연결 측부는 가요성(可撓性)을 가지고, 제1홈부 영역과 제2홈부 영역을 연결한다.
점퍼 리드는 거의 띠 형상의 금속 박판이며, 그 양단부(兩端部)에는 각부(脚部)가 형성되어 있다. 점퍼 리드의 일단부(一端部)의 각부는 제1홈부 영역의 홈부에 삽입되며, 그 각부의 선단부는 홈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인정을 받는다. 점퍼 리드의 타단부(他端部)의 각부는 제2홈부 영역의 홈부에 삽입되며, 그 각부의 선단부도 홈부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인정을 받는다.
플러그는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제1, 제2리셉터클에 덮이도록 해서 제1, 제2리셉터클에 끼워 맞추어진다. 플러그와 제1, 제2리셉터클이 끼워 맞추어졌을 때, 플러그의 점퍼 리드 일단부의 각부의 선단부는, 제1리셉터클의 홈부에 삽입되어, 제1리셉터클의 단자에 접촉되고, 플러그의 점퍼 리드의 타단부의 각부의 선단부는, 제2리셉터클의 홈부에 삽입되어, 제2리셉터클의 단자에 접촉된다. 그 결과, 제1리셉터클과 제2리셉터클이 접속된다.
상기의 플러그로 제1리셉터클과 제2리셉터클을 접속할 때, 제1, 제2플렉시블 기판을 섀시(chassis), 대바구니체 등의 배치 대상물 위에 배치하고, 제1, 제2플렉시블 기판에 실장된 제1, 제2리셉터클에 플러그를 끼워 맞추어지게 한다.
이것에 대하여, 플렉시블 기판의 리셉터클이 실장된 영역의 뒤쪽 영역을 전자부품의 실장 영역으로서 이용하고 싶을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플렉시블 기판의 리셉터클이 실장된 면의 반대 면 전체에 LED를 배치할 경우이다.
이 경우, 플러그는 배치 대상물과 제1, 제2플렉시블 기판과의 사이에 배치되게 된다.
그러나, 플러그는 배치 대상물에 고정되지 않으므로, 플러그와 제1, 제2리셉터클 플렉시블을 끼워 맞출 때, 배치 대상물 위에서 플러그가 움직이는 일이 있어,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제2접속 대상물의 접속 작업을 간단히 실행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배치 대상물에 배치되는 제1접속 대상물이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배치 대상물에 배치되는 제2접속 대상물이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갖는 하우징과, 이 하우징에 유지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연결된 제1접속 대상물과 상기 제2연결부에 연결된 제2접속 대상물을 도통시키는 콘택트(contacr)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제2연결부를 갖추고 있는 하우징 본체와, 이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배치 대상물에 설치된 피걸림부와 걸리는 걸림부를 갖춘 커넥터를 제공한다.
이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은, 제1, 제2연결부를 갖춘 하우징 본체와, 이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배치 대상물에 설치된 피걸림부와 걸리는 걸림부를 가지므로, 하우징을 배치 대상물에 고정할 수 있고, 제1, 제2접속 대상물과 제1, 제2연결부와의 연결 접속 작업 시에 커넥터가 움직이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걸림부는 구멍이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멍과 걸리는 탄성을 갖는 훅(hook)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멍에 상기 훅과 함께 삽입되어, 상기 훅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돌기부(突起部)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우징 본체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와, 이것과 분리 독립한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로 구성되며, 상기 제1,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는, 각각 상기 걸림부를 갖추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를 연결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제1, 제2접속 대상물 간의 상대적인 변위를 흡수하는 신축부를 구비한다.
제1, 제2접속 대상물의 접속 작업을 간단히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제2접속 대상물 간의 상대적인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명한다.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계 커넥터(커넥터)(1)는 하우징(3)과 콘택트(5)를 구비한다.
하우징(3)은 하우징 본체(31)와 훅(걸림부)(33)과 돌기부(35)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31)는 제1수용부(제1연결부)(311)와 제2수용부(제2연결부)(312)와 고정부(313)를 구비한다.
제1수용부(311)는 대략 대바구니체 형상이다. 제1수용부(311)가 후술하는 제1플러그 커넥터(80)를 수용함으로써, 제1플러그 커넥터(80)가 제1수용부(311)에 연결된다.
제2수용부(312)는 거의 대바구니체 형상이며, 제2수용부(312)가 후술하는 제 2플러그 커넥터(80')를 수용함으로써 제2플러그 커넥터(80')와 연결되는 부분이다.
고정부(313)는 대략 직방체(直方體)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제1수용부(311)와 제2수용부(312)를 연결한다.
하우징 본체(31)에는 복수의 콘택트 수용 홈(315)이 하우징(3)의 길이 방향 L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 수용 홈(315)은 가로 홈부(315a)와 세로 홈부(315b) 및 세로 홈부(315c)를 구비한다. 가로 홈부(315a)는 제1, 제2수용부(311, 312) 및 고정부(313)의 저면(底面)에 배치되어, 하우징(3)의 폭 방향 W에 연장되어 있다. 세로 홈부(315c)는 제1수용부(311)의 내주면(311a)에 배치되어, 하우징(3)의 높이 방향 H에 연장되어 있다. 세로 홈부(315b)는 제2수용부(312)의 내주면(312a)에 배치되어, 하우징(3)의 높이 방향 H에 연장되어 있다.
고정부(313)에는 복수의 압입(壓入) 구멍(317, 318)이 고정부(313)의 길이 방향 L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입 구멍(317, 318)은 하우징(3)의 높이 방향 H에 연장되어 있다. 압입 구멍(317, 318)은 콘택트 수용 홈(315)의 가로 홈부(315a)에 통하고 있다.
훅(33)은 제1수용부(311)의 양단부의 하면(下面) 및 제2수용부(312)의 양단부의 하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훅(33)은 암부(arm portion)(33a)와 클로부(33b)를 구비한다. 암부(33a)는 박판 형상이며, 탄성을 갖는다. 클로부(33b)는 암부(33a)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다. 클로부(33b)의 단면 형상은 대략 삼각형이다.
돌기부(35)는 제1수용부(311)의 양단부의 하면 및 제2수용부(312)의 양단부 의 하면에 각각 훅(33)에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돌기부(35)와 훅(33)과의 사이에는 간극(間隙)이 있다. 돌기부(35)는 판 형상이며, 훅(33)이 과도하게 탄성 변형하지 않도록 훅(33)의 탄성 변형을 제한한다.
콘택트(5)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접촉부(51)와 제2접촉부(52)와 연결부(53)와 제1압입부(壓入部)(54) 및 제2압입부(55)를 구비한다.
제1접촉부(51)는 판 형상이며, 콘택트 수용 홈(315)의 세로 홈(315c)에 배치된다. 제1접촉부(51)의 접촉 면(51a)은 세로 홈부(315c)로부터 돌출되어, 후술하는 제1플러그 커넥터(80)에 접촉된다.
제2접촉부(52)는 판 형상이며, 콘택트 수용 홈(315)의 세로 홈부(315b)에 배치된다. 제2접촉부(52)의 접촉 면(52a)은 세로 홈(315b)으로부터 돌출되어, 후술하는 제2플러그 커넥터(80')에 접촉된다.
연결부(53)는 판 형상이며, 제1접촉부(51)와 제2접촉부(52)를 연결하고, 콘택트 수용 홈(315)의 가로 홈부(315a)에 배치된다.
제1, 제2압입부(54, 55)는 각각 판 형상이며, 연결부(53)에 연결되어, 압입 구멍(317, 318)에 압입된다. 제1, 제2압입부(54, 55)가 압입 구멍(317, 318)에 압입됨으로써 콘택트(5)는 하우징(3)에 유지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1)를 섀시(7)에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1)를 섀시(7)에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Vl-Vl 선에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술하는 프린트 기판(9, 9')의 배치 대상물인 섀 시(7)에는, 중계 커넥터(1)의 하부(下部)를 수용하는 오목부(7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71)의 저면의 네 구석에는 4개의 구멍(피걸림부)(72)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72)에는 훅(33) 및 돌기부(35)가 삽입된다. 구멍(72)은 구형(矩形)이며, 구멍(72)의 폭(긴 지름)은 훅(33) 및 돌기부(35)의 폭보다도 넓고, 하우징(3)의 폭 방향 W에서 구멍(72)의 내주면과 훅(33)과의 사이, 구멍(72)의 내주면과 돌기부(35)와의 사이에, 각각 간극이 생긴다. 따라서, 이 간극만큼 중계 커넥터(1)는 폭 방향 W에로 섀시(7) 위를 이동할 수 있다.
중계 커넥터(1)를 섀시(7)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33) 및 돌기부(35)가 구멍(72)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중계 커넥터(1)의 위치를 결정하고, 그 후, 중계 커넥터(1)를 내려서 훅(33) 및 돌기부(35)를 구멍(72)에 삽입한다.
그 결과, 도 5,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33)의 클로부(33b)는 구멍(72)의 주변부에 걸려져서, 중계 커넥터(1)가 섀시(7)에 고정된다.
중계 커넥터(1)가 섀시(7)에 고정되어 있을 때, 하우징(3)의 길이 방향 L에서 훅(33)의 암부(33a)는 구멍(72)의 내주면에 접촉하지만, 돌기부(35)와 구멍(7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생긴다. 따라서, 이 간극만큼 중계 커넥터(1)는 길이 방향 L에도 섀시(7) 위를 이동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1)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80, 80')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80, 80')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80, 80')를 프린트 기판(9, 9')에 실장한 상태 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플러그 커넥터(제1접속 대상물)(80)는 하우징(82)과 콘택트(84)를 구비한다.
하우징(82)은 하우징 본체(821)와 1쌍의 각부(脚部)(822, 823)를 갖추고 있다. 하우징 본체(821)는 직방체 형상이다. 각부(822, 823)는 하우징 본체(821)의 저부(底部)에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82)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콘택트 수용 공간(824)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84)는 접촉부(841)와 스프링부(842)와 압입부(843) 및 단자부(844)를 구비한다. 접촉부(841)는 콘택트(5)의 제1접촉부(51)에 접촉한다. 스프링부(842)는 접촉부(841)에 연결되어 있으며, 스프링부(842)는 접촉부(841)를 제1접촉부(51)에 꽉 누른다. 압입부(843)는 스프링부(842)에 연결되어, 하우징(82)에 압입된다. 압입부(843)의 하우징(82)에의 압입에 의해, 콘택트(84)는 하우징(82)에 고정된다. 단자부(844)는 압입부(843)에 연결되어 있다.
콘택트(84)는 하우징(82)의 콘택트 수용 공간(824)에 수용된다. 접촉부(841) 및 단자부(844)는 수용 공간(824)으로부터 돌출된다.
하우징(82)의 각부(823)의 양단부에는 고정편(86)이 압입되어 있다.
제1플러그 커넥터(80)의 단자부(844) 및 고정편(86)을 프린트 기판(9)의 패드(pad)(도시하지 않음)에 납땜을 함으로써, 제1플러그 커넥터(80)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린트 기판(9)에 실장된다.
제2플러그 커넥터(80')는 제1플러그 커넥터(80)와 마찬가지의 구성이므로, 제1플러그 커넥터(80)와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프린트 기판(9)에 실장된 제1플러그 커넥터(80)와 제2프린트 기판(9')에 실장된 제2플러그 커넥터(80')를 중계 커넥터(1)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중계 커넥터(1)를 섀시(7)에 고정해 둔다.
이어서,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를 각각 중계 커넥터(1)의 제1, 제2수용부(311, 312)의 위쪽에 배치한다(도 10 참조).
그 후,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를 중계 커넥터(1)의 제1, 제2수용부(311, 312)에 삽입한다(도 11 참조).
이 때, 중계 커넥터(1)는 섀시(7)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계 커넥터(1)에의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커넥터(1)는 섀시(7) 위를 조금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의 중계 커넥터(1)에 대한 위치 변위가 흡수된다.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가 중계 커넥터(1)의 제1, 제2수용부(311, 312)에 삽입되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5)가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의 콘택트(84, 84)에 접촉하여, 중계 커넥터(1) 및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를 통해서 제1프린트 기판(9)과 제2프린트 기판(9')이 전기적으로 접 속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중계 커넥터(1)가 섀시(7)에 고정되므로, 중계 커넥터(1)에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를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의 중계 커넥터(1)에 대한 위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중계 커넥터(1)를 섀시(7)에 고정하면, 섀시(7)가 중계 커넥터(1)의 보강판의 역할을 하므로, 중계 커넥터(1)의 강도가 높아진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중계 커넥터(커넥터)(201)를 도 13∼도 15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중계 커넥터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의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제1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제1실시형태와의 주(主)된 상위(相違)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13∼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계 커넥터(201)는 하우징(203)과 콘택트(205)를 구비한다.
하우징(203)은 하우징 본체(231)와 훅(걸림부)(33)과 돌기부(35)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231)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A)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B)로 구성되어 있다.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A)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B)는 분리 독립된 관계를 갖는다.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A)는 제1수용부(제1연결부)(2311)와 제1고정부(2313)를 갖는다.
제1수용부(2311)는 대략 대바구니체 형상이다. 제1수용부(2311)가 제1플러그 커넥터(80)를 수용함으로써 제1플러그 커넥터(80)가 제1수용부(2311)에 연결된다.
제1고정부(2313)는 대략 직방체 형상이며, 제1수용부(2311)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A)에는 복수의 콘택트 수용 홈(2315)이 하우징(203)의 길이 방향 L을 따라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수용 홈(2315)은 가로 홈부(2315a)와 세로 홈부(2315b) 및 세로 홈부(2315c)를 구비한다(도 15 참조). 가로 홈부(2315a)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A)의 저면에 배치되어, 하우징(3)의 폭 방향 W에 연장되어 있다. 세로 홈부(2315b)는 제1수용부(2311)의 내주면(2311a)에 배치되어, 하우징(203)의 높이 방향 H에 연장되어 있다. 세로 홈부(2315c)는 제1고정부(2313)의 후술하는 제2고정부(2314)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어, 하우징(203)의 높이 방향 H에 연장되어 있다.
제1고정부(2313)에는 복수의 압입 구멍(2317)이 하우징(203)의 길이 방향 L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입 구멍(2317)은 하우징(203)의 높이 방향 H에 연장되어 있다. 압입 구멍(2317)은 콘택트 수용 홈(2315)의 가로 홈부(2315a)에 통하고 있다.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B)는 제2수용부(제2연결부)(2312)와 제2고정부(2314)를 갖는다.
제2수용부(2312)는 대략 대바구니체 형상이다. 제2수용부(2312)가 제2플러그 커넥터(80')를 수용함으로써 제2플러그 커넥터(80')가 제2수용부(2312)에 연결된다.
제2고정부(2314)는 대략 직방체 형상이며, 제2수용부(2312)의 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B)에는 복수의 콘택트 수용 홈(2316)이 하우징(203)의 길이 방향 L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 수용 홈(2316)은 가로 홈부(2316a)와 세로 홈부(2316b) 및 세로 홈부(2316c)를 구비한다(도 1 5참조). 가로 홈부(2316a)는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B)의 저면에 배치되어, 하우징(203)의 폭 방향 W에 연장되어 있다. 세로 홈부(2316b)는 제2수용부(2312)의 내주면(2312a)에 배치되어, 하우징(203)의 높이 방향 H에 연장되어 있다. 세로 홈부(2316c)는 제2고정부(2314)의 제1고정부(2313)에 대향하는 면에 배치되어, 하우징(203)의 높이 방향 H에 연장되어 있다.
제2고정부(2314)에는 복수의 압입 구멍(2318)이 하우징(203)의 길이 방향 L에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압입 구멍(2318)은 하우징(203)의 높이 방향 H에 연장되어 있다. 압입 구멍(2318)은 콘택트 수용 홈(2316)의 가로 홈부(2316a)에 통하고 있다.
콘택트(205)는 제1접촉부(251)와 제2접촉부(252)와 연결부(253)와 제1압입 부(254) 및 제2압입부(255)를 구비하고 있다.
제1접촉부(251)는 판 형상이며, 콘택트 수용 홈(2315)의 세로 홈부(2315b)에 배치된다. 제1접촉부(251)의 접촉 면(251a)은 세로 홈부(2315b)로부터 돌출되어, 제1플러그 커넥터(80)에 접촉한다.
제2접촉부(252)는 판 형상이며, 콘택트 수용 홈(2316)의 세로 홈부(2316b)에 배치된다. 제2접촉부(252)의 접촉 면(252a)은 세로 홈부(2316b)로부터 돌출되어, 제2플러그 커넥터(80')에 접촉한다.
연결부(253)는 판 형상이며, 제1접촉부(251)와 제2접촉부(252)를 연결한다. 연결부(253)는 거의 U자 형상으로 만곡(彎曲)되는 신축부(253a)를 갖추고 있다. 신축부(253a)는 제1,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A, 231B)를 연결하는 것과 더불어,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 사이의 상대적인 변위를 흡수한다. 신축부(253a)를 제외하고, 연결부(253)는 콘택트 수용 홈(2315, 2316)의 가로 홈부(2315a, 2316a)에 배치된다. 신축부(253a)는 콘택트 수용 홈(2315, 2316)의 세로 홈부(2315c, 2316c)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 제2압입부(254, 255)는 각각 연결부(253)에 연결되어, 압입 구멍(2317, 2318)에 압입된다. 제1, 제2압입부(254, 255)가 압입 구멍(2317, 2318)에 압입됨으로써 콘택트(205)는 제1,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A, 231B)에 유지된다.
도 16은 도 13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201)를 섀시(7)에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3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201)를 섀시(7)에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중계 커넥터(201)를 섀시(7)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계 커넥터(201)의 훅(33) 및 돌기부(35)가 섀시(7)의 구멍(72)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섀시(7)에 대하여 중계 커넥터(201)를 위치 결정하고, 그 후, 중계 커넥터(201)의 훅(33) 및 돌기부(35)를 섀시(7)의 구멍(72)에 삽입한다.
그 결과,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계 커넥터(201)의 훅(33)의 클로부(33b)가 섀시(7)의 구멍(72)의 주변부에 걸려, 중계 커넥터(201)가 섀시(7)에 고정된다.
중계 커넥터(201)가 섀시(7)에 고정되었을 때, 훅(33)의 암부(33a)는 구멍(72)의 내주면에 접촉하지만, 돌기부(35)와 구멍(72)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생긴다. 따라서, 이 간극만큼 중계 커넥터(201)는 섀시(7) 위를 이동할 수 있다.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A)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B)는 콘택트(205)의 신축부(253a)에서 연결되어 있으므로 따로따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201)에 플러그 커넥터(80, 80')를 접속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7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201)에 플러그 커넥터(80, 80')를 접속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프린트 기판(9)에 실장된 제1플러그 커넥터(80)와 제2프린트 기판(9')에 실장된 제2플러그 커넥터(80')를 중계 커넥터(201)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미리 중계 커넥터(201)를 섀시(7)에 고정해 둔다(도 17 참조).
이어서,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를 각각 중계 커넥터(201)의 제1, 제2수용부(2311, 2312)의 위쪽에 배치한다(도 16 참조).
그 후,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를 각각 중계 커넥터(201)의 제1, 제2수용부(2311, 2312)에 삽입한다.
중계 커넥터(201)는 섀시(7)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중계 커넥터(201)에의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의 접속 작업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A, 231B)는 각각 독립해서 섀시(7) 위를 조금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1플러그 커넥터(80)의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A)에 대한 변위 및 제2플러그 커넥터(80')의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B)에 대한 변위가 각각 흡수된다.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가 중계 커넥터(201)의 제1, 제2수용부(2311, 2312)에 삽입되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택트(205)가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의 콘택트(84, 84)에 접촉하여, 중계 커넥터(201) 및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를 통해서 제1프린트 기판(9)과 제2프린트 기판(9')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나타내는 동시에,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A)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231B)가 콘택트(205)의 신축부(253a)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의 중계 커넥터(201)에 대한 것보다 큰 변위를 흡수할 수 있다. 특히, 하우징(203)의 폭 방향 W에 있어서의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의 중계 커넥터(201)에 대한 것보다 큰 변위를 흡수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중계 커넥터(3101)를 도면에 근거해서 설 명한다.
도 20∼도 28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중계 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2실시형태와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첨부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 제1, 2실시형태와의 주된 상위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제1, 제2실시형태의 중계 커넥터(1, 201)는 제1, 제2플러그 커넥터(80, 80')를 통해서 제1, 제2프린트 기판(9, 9')에 접속되어 있지만, 이 실시형태의 중계 커넥터(3101)는 제1프린트 기판(1110)과 제2프린트 기판(1120)에 직접 접속된다.
도 20∼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3101)는 하우징(3103)과 콘택트(3130, 3150)를 구비한다.
하우징(3103)은 하우징 본체(3104)와 훅(걸림부)(33)과 돌기(35)를 갖추고 있다.
하우징 본체(3104)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로 구성되어 있다.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는 기반부(基盤部)(3111)와 복수의 삽입부 (3112)(제1연결부)와 위치 결정용 볼록부(3113) 및 측벽부(3114)를 구비하고 있다.
기반부(3111)는 대략 판 형상이며, 제1프린트 기판(제1접속 대상물)(1110)(도 27 참조)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 면(3111a)을 구비한다.
삽입부(3112)는 대략 원주 형상이며, 기반부(3111)의 지지 면(3111a)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3112)의 선단부는 거의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3112)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의 길이 방향 Ll에 따라 2열에 등 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한쪽 열의 삽입부(3112)와 다른 쪽 열의 삽입부(3112)는 길이 방향 Ll에 반(半) 피치(pitch) 어긋나 있다.
위치 결정용 볼록부(3113)는 기반부(3111)의 지지 면(3111a)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3114)는 기반부(3111)의 지지 면(3111a)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며, 기반부(3121)와 복수의 삽입부(3122)(제2연결부)와 위치 결정용 볼록부(3123) 및 측벽부(3124)를 갖추고 있다.
기반부(3121)는 대략 판 형상이며, 제2프린트 기판(제2접속 대상물)(1120)(도 27 참조)의 단자부를 지지하는 지지 면(3121a)을 구비한다.
삽입부(3122)는 대략 원주 형상이며, 기반부(3121)의 지지 면(3121a)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3122)의 선단부는 거의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3122)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의 길이 방향 L2에 따라 2열에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한쪽 열의 삽입부(3122)와 다른 쪽 열의 삽입부(3122)는 길이 방향 L2에 반 피치 어긋나 있다.
위치 결정용 볼록부(3123)는 기반부(3121)의 지지 면(3121a)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측벽부(3124)는 기반부(3121)의 지지 면(3121a)의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3130)는 금속판을 타발(打拔)해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3130)는 제1접촉부(3131)와 제2접촉부(3132)와 제1스프링부(3133)와 제2스프링부(3134)와 연 결부(3135)와 압입부(3136, 3137) 및 압입부(3138, 3139)를 갖추고 있다(도 22 참조).
제1접촉부(3131)는 대략 삼각형 형상이다. 제1접촉부(3131)는 제1프린트 기판(1110)의 스루홀(through-hole)(1111)(도 26 참조)에 접촉한다.
제2접촉부(3132)는 대략 삼각형 형상이다. 제2접촉부(3132)는 제2프린트 기판(1120)의 스루홀(1121)(도 26 참조)에 접촉한다.
제1스프링부(3133)의 일단(一端)은 제1접촉부(3131)에 연결되고, 제1스프링부(3133)의 타단(他端)은 연결부(3135)에 연결되어 있다. 제1스프링부(3133)는 제1접촉부(3131)를 스루홀(1111)에 꽉 누른다.
제2스프링부(3134)의 일단은 제2접촉부(3132)에 연결되고, 제2스프링부(3134)의 타단은 연결부(3135)에 연결되어 있다. 제2스프링부(3134)는 제2접촉부(3132)를 스루홀(1121)에 꽉 누른다.
연결부(3135)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로부터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까지 연장되고, 그 중간 위치보다도 약간 제2스프링부(3134) 측의 위치에 만곡 부분(신축부)(3135a)을 구비한다. 연결부(3135)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와의 사이에 걸쳐져서,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를 연결한다.
압입부(3136, 3137)는 제1스프링부(3131, 3131)를 끼우도록 연결부(3135)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압입부(3136, 3137)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에 압입되어 있다.
압입부(3138, 3139)는 제2스프링부(3134, 3134)를 끼우도록 연결부(3135)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압입부(3138, 3139)는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에 압입되어 있다.
콘택트(3150)는 금속판을 타발해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3150)는 콘택트(3130)와 동일한 형상으로, 동등한 크기이며, 부품의 공통화가 도모되어 있다. 단, 콘택트(3130, 3150)를 제1,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 3120)에 압입할 때, 콘택트(3130)의 표면과 콘택트(3150)의 이면(裏面)을 동일한 방향을 향하게 할 필요가 있다. 콘택트(3150)는 제1접촉부(3151)와 제2접촉부(3152)와 제1스프링부(3153)와 제2스프링부(3154)와 연결부(3155)와 압입부(3156, 3157) 및 압입부(3158, 3159)를 갖추고 있다(도 21 참조).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접촉부(3151)는 대략 삼각형 형상이다. 제1접촉부(3151)는 제1프린트 기판(1110)의 스루홀(1111)(도 26 참조)에 접촉한다.
제2접촉부(3152)는 대략 삼각형 형상이다. 제2접촉부(3152)는 제2프린트 기판(1120)의 스루홀(1121)(도 26 참조)에 접촉한다.
제1스프링부(3153)의 일단은 제1접촉부(3151)에 연결되고, 제1스프링부(3153)의 타단은 연결부(3155)에 연결되어 있다. 제1스프링부(3153)는 제1접촉부(3151)를 스루홀(1111)에 꽉 누른다.
제2스프링부(3154)의 일단은 제2접촉부(3152)에 연결되고, 제2스프링부(3154)의 타단은 연결부(3155)에 연결되어 있다. 제2스프링부(3154)는 제2접촉부(3152)를 스루홀(1121)에 꽉 누른다.
연결부(3155)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로부터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까지 연장되고, 그 중간 위치보다도 약간 제1스프링부(3153) 측의 위치에 만곡 부분(신축부)(3155a)을 갖추고 있다. 연결부(3155)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와의 사이에 걸쳐져서,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를 연결한다.
압입부(3156, 3157)는 제1스프링부(3151, 3151)를 끼우도록 연결부(3135)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압입부(3156, 3157)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에 압입되어 있다.
압입부(3158, 3159)는 제2스프링부(3154, 3154)를 끼우도록 연결부(3155)의 타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압입부(3158, 3159)는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에 압입되어 있다.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 공간(3115, 3116)을 구비하고 있다.
수용 공간(3115)은 삽입부(3112)와 기반부(3111)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3115)은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의 길이 방향 Ll에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수용 공간(3115) 중 기반부(3111) 측의 공간에는, 제1스프링부(3133, 3153)가 변형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수용 공간(3115) 중 제1삽입부(3112) 측의 공간(수용부(3115a))에는 제1접촉부(3131, 3151)가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제1접촉부(3131, 3151)의 일부는 수용부(3115a)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용 공간(3116)은 측벽부(3114)와 기반부(3111)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 간(3116)은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의 길이 방향 Ll에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수용 공간(3125, 3126)을 구비하고 있다.
수용 공간(3125)은 삽입부(3122)와 기반부(3121)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3125)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의 길이 방향 L2에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수용 공간(3125) 중 기반부(3121) 측의 공간에는, 제2스프링부(3134, 3154)가 변형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수용 공간(3125) 중 제2삽입부(3122) 측의 공간(수용부(3125a))에는 제2접촉부(3132, 3152)가 변위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제2접촉부(3132, 3152)의 일부는 수용부(3125a)의 밖으로 돌출되어 있다.
수용 공간(3126)은 측벽부(3124)와 기반부(3121)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3126)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의 길이 방향 L2에 등간격으로 나열되어 있다.
수용 공간(3116, 3126)에는 만곡 부분(3135a, 3155a)이 변형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수용 공간(3116, 3126)의 길이 방향(Ll, L2)의 크기는 만곡 부분(3135a, 3155a)의 길이 방향(Ll, L2)의 크기보다도 크다. 이 결과, 만곡 부분(3135a, 3155a)은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의 길이 방향 Ll, L2 방향의 변위를 흡수할 수 있다.
도 26,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프린트 기판(1110)의 스루홀(1111)에는 전기 도전로(導電路)(111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1프린트 기판(1110)에는 위치 결정 구멍(1113)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구멍(1113)은 위치 결정용 볼록부(3113)를 수용한다.
제2프린트 기판(1120)의 스루홀(1121)에는 전기 도전로(1122)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2프린트 기판(1120)에는 위치 결정 구멍(1123)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구멍(1123)은 위치 결정용 볼록부(3123)를 수용한다.
커넥터(301)를 이용해서 제1프린트 기판(1110)과 제2프린트 기판(1120)을 접속하기 위해서는, 미리 중계 커넥터(3101)를 섀시(7)에 고정한다.
중계 커넥터(3101)를 섀시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23,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33) 및 돌기부(35)가 구멍(72)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중계 커넥터(3101)를 위치 결정하고, 그 후, 중계 커넥터(3101)를 내려서 훅(33) 및 돌기부(35)를 구멍(72)에 삽입한다.
그 결과,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훅(33)의 클로부(33b)는 구멍(72)의 주변부에 걸려져서, 중계 커넥터(3101)가 섀시(7)에 고정된다.
이어서, 도 26,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프린트 기판(1120)의 위치 결정 구멍(1123)을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의 위치 결정용 볼록부(3123)에 맞추어, 양쪽의 위치 결정 구멍(1123)에 양쪽의 위치 결정용 볼록부(3123)가 각각 통과하도록 제2프린트 기판(1120)을 내린다. 위치 결정 구멍(1123)과 위치 결정용 볼록부(3123)로써 제2프린트 기판(1120)은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에 위치가 결정되므로, 삽입부(3122) 모두가 모든 스루홀(1121)에 삽입되고, 수용부(3125a)로부터 돌출되는 제2접촉부(3132, 3152)가 스루홀(1121)에 접촉되어, 콘 택트(3130, 3150)가 제2프린트 기판(1120)에 도통된다.
제1프린트 기판(1110)도 마찬가지로 해서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에 장착되며,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넥터(3101)에 의해 제1프린트 기판(1110)과 제2프린트 기판(112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위치 결정 구멍(1123)에 위치 결정용 볼록부(3123)를 통과시키기 위해서, 제2프린트 기판(1120)을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20)의 지지 면(3121a)에 둘 경우, 제2프린트 기판(1120)이 지지 면(3121a)에 대하여 조금 기우러져 있으면, 제2접촉부(3132, 3152)는 상대적으로 비스듬히 스루홀(1121)에 삽입되어, 제2접촉부(3132, 3152) 및 제2스프링부(3134, 3154)를 변형시키려고 하는 힘이 생기지만, 그 힘의 대부분은 삽입부(3122)에서 받아낼 수 있어, 제2접촉부(3132, 3152) 및 제2스프링부(3134, 3154)가 변형되는 일은 없다. 이 것은, 위치 결정 구멍(1113)에 위치 결정용 볼록부(3113)를 통과시키기 위해서, 제1프린트 기판(1110)을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3110)의 지지 면에 둘 경우에도 적합된다.
이렇게, 제1접촉부(3131, 3151)는 삽입부(3112)에, 제2접촉부(3132, 3152)는 삽입부(3122)에 보호되어 있으므로, 콘택트(3130, 3150)의 재질로서 강도(强度)가 높은 것을 이용할 필요는 없으며, 유연성이 풍부한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제2접촉부(3131, 3151, 3132, 3152)를 용이하게 스루홀(1111, 1121)에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제2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과 더불어, 콘택트(3130, 3150)의 스루홀(1111, 1121)에의 삽입 이 용이해서, 콘택트(3130, 315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용 볼록부(3113, 3123)를 구비하므로, 제1, 제2프린트 기판(1110, 1120)을 커넥터(3101)에 장착한 후, 제1, 제2프린트 기판(1110, 1120)에 인장력 등의 외력(外力)이 가해져도, 그 외력을 위치 결정용 볼록부(3113, 3123)에 의해 받아낼 수 있어, 삽입부(3112, 3122)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훅(33)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돌기부(35)를 설치하였지만, 돌기부(35)를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걸림부로서 훅(33)을 채용하고, 피걸림부로서 구멍(72)을 채용하였지만, 걸림부는 훅(33)에 한정되지 않고, 피걸림부도 구멍(72)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제2프린트 기판(9, 9', 1110, 1120)을 섀시(7)에 배치하였지만, 제1, 제2프린트 기판(9, 9',1110, 1120)의 배치 대상물은 섀시(7)에 한정되지 않고, 배치 대상물이, 예를 들면, 대바구니체 등의 경우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중계 커넥터(1, 201, 3101)로써 제1, 제2프린트 기판(9, 9',1110, 1120)을 중계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FFC(Flexible Flat Cable),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접속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설명이며,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일탈(逸脫)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확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의 중계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를 섀시에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를 섀시에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Vl-Vl 선에 따르는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에 접속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9는 도7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를 프린트 기판에 실장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2는 도 1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중계 커넥터의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의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의 단면도.
도 16은 도 13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를 섀시에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은 도 13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를 섀시에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도 17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9는 도 17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에 플러그 커넥터를 접속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중계 커넥터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22는 도 20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의 단면도.
도 23은 도 20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를 섀시에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4는 도 20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를 섀시에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5는 도 20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를 섀시에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6은 도 20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에 프린트 기판을 고정하기 전의 상태 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7은 도 20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에 한쪽 프린트 기판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8은 도 20에 나타내는 중계 커넥터에 양쪽 프린트 기판을 접속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Claims (6)

  1. 배치 대상물에 배치되는 제1접속 대상물이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배치 대상물에 배치되는 제2접속 대상물이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갖는 하우징(housing)과,
    상기 하우징에 유지되어, 상기 제1연결부에 연결된 제1접속 대상물과 상기 제2연결부에 연결된 제2접속 대상물을 도통시키는 콘택트(contact)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제2연결부를 갖춘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배치 대상물에 설치된 피걸림부와 걸리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부는 구멍이며,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멍과 걸리는 탄성을 갖는 훅(hook)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구멍에 상기 훅과 함께 삽입되어, 상기 훅의 탄성 변형을 제한하는 돌기부(突起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와, 이것과 분리 독립된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는, 각각 상기 걸림부를 갖추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를 연결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제1, 제2접속 대상물 간의 상대적인 변위(變位)를 흡수하는 신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와, 이것과 분리 독립된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는, 각각 상기 걸림부를 갖추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를 연결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제1, 제2접속 대상물 간의 상대적인 변위를 흡수하는 신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본체는, 제1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와, 이것과 분리 독립된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는, 각각 상기 걸림부를 갖추고,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제1, 제2하우징 본체 구성 부재를 연결하는 것과 더불어, 상기 제1, 제2접속 대상물 간의 상대적인 변위를 흡수하는 신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80109436A 2007-11-16 2008-11-05 커넥터 KR1011009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8460A JP4480185B2 (ja) 2007-11-16 2007-11-16 コネクタ
JPJP-P-2007-298460 2007-11-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0946A true KR20090050946A (ko) 2009-05-20
KR101100998B1 KR101100998B1 (ko) 2011-12-29

Family

ID=40642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9436A KR101100998B1 (ko) 2007-11-16 2008-11-05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98819B2 (ko)
JP (1) JP4480185B2 (ko)
KR (1) KR101100998B1 (ko)
CN (1) CN101436739B (ko)
TW (1) TWI36345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57B1 (ko) * 2011-10-06 2014-01-28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및 조명 장치
KR20210066255A (ko) * 2019-11-28 2021-06-0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차폐형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33795B1 (en) 2009-05-21 2014-02-26 Asahi Kasei E-materials Corporation Multi-layered porous film
WO2011052068A1 (ja) * 2009-10-30 2011-05-05 Necディスプレイ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基板の接続構造
US8092233B1 (en) * 2010-07-26 2012-01-10 Super Link Electronics Co., Ltd. Stacked multilayer connector
US8388366B2 (en) * 2011-05-26 2013-03-05 All Best Electronics Co., Ltd. Pull-out structure for connector
DE112013003215T5 (de) * 2012-06-27 2015-04-02 Yazaki Corporation Flexibler Mehrdraht-Steckverbinder
CN104122937A (zh) * 2013-04-23 2014-10-29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接口固定装置
JP6274852B2 (ja) * 2013-12-17 2018-02-07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載用機器の取付構造
US9474154B2 (en) * 2014-07-18 2016-10-18 Starkey Laboratories, Inc. Reflow solderable flexible circuit board — to — flexible circuit board connector reinforcement
CN110637395B (zh) * 2017-07-18 2021-11-02 阿维科斯公司 板对板接触桥系统
JP6990142B2 (ja) * 2018-04-11 2022-0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要素
DE102018210233B4 (de) 2018-06-22 2020-01-09 Würth Elektronik eiSos Gmbh & Co. KG Direktstecker und Direktsteckverbindung
JP7142533B2 (ja) * 2018-10-19 2022-09-27 コクヨ株式会社 コンセントの取り付け構造および天板付き家具
US11095059B2 (en) * 2019-04-25 2021-08-17 Molex, Llc Connector
JP7194433B2 (ja) * 2019-08-29 2022-12-22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構造
JP1663235S (ko) 2020-02-13 2020-07-06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8854A (en) * 1983-03-02 1986-05-13 Switchcraft, Inc. Panel mountable module housing
JPH0476279U (ko) * 1990-11-16 1992-07-03
US5409386A (en) * 1993-08-18 1995-04-25 Molex Incorporated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therefor
JP2002015794A (ja) * 2000-06-29 2002-01-18 Toshiba Corp コネクタ装置及び印刷配線基板の接続装置
JP2002373744A (ja) * 2001-06-13 2002-12-26 Ricoh Co Ltd 中継コネクタ
JP4674301B2 (ja) 2001-09-25 2011-04-20 大宏電機株式会社 シールド付きコネクタ
JP2004006071A (ja) * 2002-03-28 2004-01-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04192882A (ja) * 2002-12-10 2004-07-08 Sumitomo Wiring Syst Ltd アースジョイントコネクタ
JP3940387B2 (ja) * 2003-07-29 2007-07-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KR200366946Y1 (ko) * 2003-09-18 2004-11-06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JP3867729B1 (ja) * 2005-07-21 2007-01-10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
TWM300882U (en) * 2006-05-26 2006-11-11 Advanced Connectek Inc Electric connector assembly
JP4858050B2 (ja) * 2006-09-29 2012-01-18 オムロン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257B1 (ko) * 2011-10-06 2014-01-28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및 조명 장치
KR20210066255A (ko) * 2019-11-28 2021-06-07 (주)우주일렉트로닉스 차폐형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9123626A (ja) 2009-06-04
CN101436739A (zh) 2009-05-20
US20090130867A1 (en) 2009-05-21
JP4480185B2 (ja) 2010-06-16
TW200933998A (en) 2009-08-01
TWI363457B (en) 2012-05-01
US7798819B2 (en) 2010-09-21
CN101436739B (zh) 2011-04-27
KR101100998B1 (ko) 2011-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0998B1 (ko) 커넥터
CN212462084U (zh) 电连接器
JP4287825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US6939172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ing arrangement
US8435075B2 (en) Metal shell configuration for an electrical connector
US8864524B2 (en) Connector
US9917386B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60063431A1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with anti-mismatching means
CN102570086A (zh) 具有接地夹的电连接器
US8425263B2 (en) Electrical connector
JP4938746B2 (ja) 電気コネクタ
US6068514A (en) Surface mount electrical connector
KR20070026829A (ko) 범용 직렬 버스 전기 커넥터
US8246360B1 (en) Electrical connector
CN109950727B (zh) 一种插座连接器及其组件
US7785150B1 (en) Battery connector
US10566711B2 (en) Flexing poke home contact
JP6192567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639082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roviding floating movement between connectors
US20040253848A1 (en) Low profile board-to-board connector assembly
US6464514B1 (en) Card edge connector with grounding pad
KR20070016978A (ko) 기판용 전기 커넥터
US7604483B2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and its connecting structure
JP5673786B1 (ja) 電気コネクタ
JP3127884U (ja) 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