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946Y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946Y1
KR200366946Y1 KR20-2004-0021807U KR20040021807U KR200366946Y1 KR 200366946 Y1 KR200366946 Y1 KR 200366946Y1 KR 20040021807 U KR20040021807 U KR 20040021807U KR 200366946 Y1 KR200366946 Y1 KR 200366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socket
male connector
locking means
femal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8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라사끼나오끼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JP2004272007A priority Critical patent/JP4705354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9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의 과제는 빠짐 방지 기구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빠짐 방지 효과를 향상시킨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베이스 하우징(3A)에 수용된 2개의 핀 콘택트(4)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3A)의 중심선(C)과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 하우징(3A)의 개구부(5)에 돌출하는 접촉 핀부(15)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3A)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프린트 배선판(43)에 납땜되는 리드부(17 내지 19)를 갖고, 상기 개구부(5)에 다른 암형 커넥터(2A)가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는 수형 커넥터(1A)이며 상기 암형 커넥터(2A)의 제1 계지 수단(28)을 결합시키는 제1 계지부(11)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3A)의 양 측벽(10)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암형 커넥터(2A)의 제2 계지 수단(60A)을 결합시키는 제2 계지부(50A)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CONNECTOR}
본 고안은 빠짐 방지 기구를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고전압에 대응한 커넥터에 있어서 수형 커넥터와 암형 커넥터가 정확하게 끼워 맞추어지면, 암형 커넥터에 접속된 전선이 뜻하지 않게 인장되는 경우가 있어도 암형 커넥터가 수형 커넥터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빠짐 방지 기구를 갖는 것이 있다[일본 특허 제3262726호 공보, 특히 단락 0019, 도9의 계지 홈(11) 및 계지 돌기 부재(28) 참조]. 여기서 빠짐 방지 기구는, 수형 커넥터의 계지 홈 및 암형 커넥터의 계지 돌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빠짐 방지 기구가 1개(1 세트)이면 빠짐 방지 효과가 약간 충분하지 않았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빠짐 방지 기구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빠짐 방지 효과를 향상시킨 것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제1 구성에 관한 수형 커넥터는 베이스 하우징에 수용된 2개의 핀 콘택트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개구부에 돌출되는 접촉 핀부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프린트 배선판에 납땜되는 리드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에 다른 암형 커넥터가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진다.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상기 양 접촉 핀부의 중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양 접촉 핀부의 선단부보다도 길게 돌출되는 격벽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 리드부는 서로 가로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 돌출되어, 그 납땜 부분의 피치가 상기 양 접촉 핀부의 피치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암형 커넥터의 제1 계지 수단을 결합시키는 제1 계지부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양 측벽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형 커넥터의 제2 계지 수단을 결합시키는 제2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에 따르면, 복수의 빠짐 방지 기구로서 제1 계지부 및 제2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빠짐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있다.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제2 계지부를 갖고, 그 제2 계지부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의 좌우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 대신에,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제2 계지부를 갖고, 그 제2 계지부에 상기 접촉 핀부와 평행하게 관통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구성 대신에,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제2 계지부를 갖고, 그 제2 계지부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의 좌우 방향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상기 천정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2 계지부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의 좌우 방향 전체에 걸쳐서 상기 천정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계지부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제2 계지부의 전방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계지부의 후방면 중 적어도 상부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과 둔각 또는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고, 둔각을 이루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제2 계지부는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 대신에,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상기 핀 콘택트가 상기 제2 계지부를 갖고, 그 제2 계지부가 상기 접촉 핀부와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어 선단부가 측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이 제2 계지부는 상기 접촉 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2 구성에 관한 암형 커넥터는, 상기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진다. 상기 접촉 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소켓 콘택트를 수용하는 소켓 하우징이 상기 격벽에 결합되는 절결부를 갖는 2갈래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계지부에 결합되는 제1 계지 수단을 갖고 있다. 또한, 상기 제2 계지부에 결합되는 제2 계지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제2 구성의 암형 커넥터에 따르면, 복수의 빠짐 방지 기구로서 제1 계지 수단 및 제2 계지 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빠짐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있다.
제2 구성의 암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소켓 콘택트가 상기 접촉 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연장 돌출되는 소켓부를 갖고 있다.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제2 계지 수단을 갖고 그 제2 계지 수단이 상기 소켓부와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는 지지축부와, 그 지지축부의 전방부의 좌우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좌우 방향으로 휨 가능한 한 쌍의 아암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면,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아암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갈고리가 상기 제2 계지부의 후방부에 결합됨으로써 빠짐 방지된다. 상기 아암부의 후방부가 서로 근접하도록 압박되면, 상기 아암부가 휘어 상기 아암부의 갈고리가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빠짐 방지가 해제된다.
이 구성 대신에, 제2 구성의 암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을 가져도 좋다. 상기 소켓 콘택트가 상기 접촉 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연장 돌출되는 소켓부를 갖고 있다.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제2 계지 수단을 갖고, 그 제2 계지 수단이 상기 소켓부와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어 상하 방향으로 휨 가능하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면,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갈고리가 상기 제2 계지부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결합함으로써 빠짐 방지된다.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압박되면, 상기 제2 계지 수단이 휘어 상기 선단부의 갈고리가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빠짐 방지가 해제된다.
상기 구성에 대신에, 제2 구성의 암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을 가져도 좋다. 상기 소켓 콘택트가, 상기 접촉 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연장되는 소켓부를 갖고 있다.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제2 계지 수단을 갖고, 그 제2 계지 수단이 상기 소켓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동부와, 상기 소켓 하우징의 천정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동부의 전후 방향의 중간을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축으로 지지하는 다리부를 갖고 있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면,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가동부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갈고리가 상기 제2 계지부를 타고 넘어 결함됨으로써 빠짐 방지되고, 상기 가동부의 후방 단부가 하방으로 압박되면 상기 가동부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단부의 갈고리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빠짐 방지가 해제된다. 이 경우, 상기 선단부의 갈고리가 상기 제2 계지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의 갈고리의 후방면 중 적어도 하부가 후방 회전으로 측정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천정판과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제2 계지 수단은 상기 소켓 하우징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구성 대신에, 제2 구성의 암형 커넥터에 있어서는 이하의 구성을 가져도 좋다. 상기 소켓 콘택트가 상기 접촉 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연장 돌출되는 소켓부와, 그 소켓부와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어 선단부가 갈고리에 의해 상기제2 계지부의 선단부에 결합되는 상기 제2 계지 수단을 갖는 동시에, 상기 소켓부의 연장 돌출 방향으로 유격을 갖고 상기 소켓 하우징에 수용된다.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면, 상기 제2 계지부의 선단부에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선단부가 결합됨으로써 빠짐 방지된다. 상기 수형 커넥터에 대해 상기 빠짐 방지된 방향으로 상기 소켓 하우징이 빠지면, 상기 유격의 범위에서 상기 소켓 콘택트에 대해 이동되고, 내측에 설치된 압박부가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선단부를 상기 제2 계지부의 선단부로부터 압박 분리함으로써 상기 빠짐 방지가 해제된다. 이 제2 계지 수단은 상기 소켓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3 구성에 관한 커넥터 세트는,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 중 상기 제2 계지부의 후방면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과 예각을 이루는 것과, 제2 구성의 암형 커넥터 중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가동부의 선단부의 갈고리가 상기 제2 계지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의 갈고리의 후방면 중 적어도 하부가 후방 회전으로 측정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천정판과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는 것을 조합한 커넥터 세트이다. 제3 구성의 커넥터 세트에 따르면,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 및 제2 구성의 암형 커넥터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있다.
이 구성에 대신에, 제3 구성의 커넥터 세트에 있어서는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 중 상기 제2 계지부의 후방면 중 적어도 상부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과 둔각 또는 직각을 이루는 것과, 제2 구성의 암형 커넥터 중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가동부의 선단부의 갈고리가 상기 제2 계지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의 갈고리의 후방면이 후방 회전으로 측정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천정판과 둔각을 이루는 것을 조합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제1 구성의 수형 커넥터 및 제2 구성의 암형 커넥터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한 이하의 적합한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 형태 및 도면은 단순한 도시 및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의 범위를 정하기 위해 이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첨부한 청구항(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첨부 도면에 있어서, 복수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품 번호는 동일 부분을 나타낸다.
도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인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인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3은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평면 단면도.
도4는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도3에 있어서의 IV-IV 단면도.
도5는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도3에 있어서의 V-V 단면도.
도6은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핀 콘택트의 사시도.
도7은 제2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평면 단면도.
도8은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에 제2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의 측면 단면도.
도9는 상기 상태의 평면 단면도.
도10은 상기 상태의 평면도.
도11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형태인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12는 본 고안의 제4 실시 형태인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13은 제3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에 제4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의 측면도.
도14는 상기 상태의 평면도.
도15는 본 고안의 제5 실시 형태인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16은 본 고안의 제6 실시 형태인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17은 제5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핀 콘택트와 제6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소켓 콘택트를 대향시킨 사시도.
도18은 제6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 계지 수단의 선단부 근방을 파단하여 하방으로부터 사시한 도면.
도19는 제5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20은 제6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측면 단면도.
도21a는 제5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에 제6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의 측면 단면도.
도21b는 도21a로부터 더욱 삽입이 진행된 상태의 측면 단면도.
도21c는 도21b로부터 더욱 삽입이 진행되어 끼워 맞춤이 완료된 상태의 측면 단면도.
도21d는 도21c의 끼워 맞춤의 빠짐 방지가 해제되는 상태의 측면 단면도.
도22는 본 고안의 제7 실시 형태인 수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23은 본 고안의 제8 실시 형태인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
도24는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제1 예에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제1 예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의 측면도.
도25a는 상기 상태에 있어서의 제2 계지부 및 제2 계지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25b는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제2 예에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제1 예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제2 계지부 및 제2 계지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25c는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제1 예에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제2 예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제2 계지부 및 제2 계지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25d는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제1 예에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제3 예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제2 계지부 및 제2 계지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25e는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제1 예에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제4 예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제2 계지부 및 제2 계지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25f는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제1 예에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제1 예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후, 제2 계지 수단의 가동부의 후방 단부가 하방으로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2 계지부 및 제2 계지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26a는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제1 예에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제5 예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서로 접촉하지 않는 제2 계지부 및 제2 계지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26b는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제1 예에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제5 예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서로 접촉하고 있는 제2 계지부 및 제2 계지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26c는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제1 예에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제5 예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후, 제2 계지 수단의 가동부의 후방 단부가 하방으로 압박된 상태에 있어서의 제2 계지부 및 제2 계지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27a는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제3 예에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제5 예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제2 계지부 및 제2 계지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27b는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의 제4 예에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의 제5 예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에 있어서의 제2 계지부 및 제2 계지 수단을 도시하는 측면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수형 커넥터
2A, 2C : 암형 커넥터
3A, 3D : 베이스 하우징
4, 4C : 핀 콘택트
5 : 개구부
6 : 후방 측벽
7, 13 : 격벽
9 : 격벽의 테이퍼면
10 : 베이스 하우징의 측벽
11 : 제1 계지부
12 : 안내 홈
14 :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
15, 15C : 접촉 핀부
15a, 64, 67 : 선단부
16, 16C : 부착부
17, 18, 19 : 리드부
18C : 다리 부분
19, 19C : 납땜 부분
20 : 보강 부재
21A, 21C, 21D : 소켓 하우징
22 : 소켓 콘택트
23 : 절결부
24 : 통형 부재
25 : 빈 공간부
26 : 후방 단부 개구
27, 37 : 삽통 구멍
28 : 제1 계지 수단
29 : 안내 돌기조
31 : 테이퍼면
32, 32C : 소켓부
33 : 압착부
34 : 랜스
35 : 단차부
36a : 천정판 전방부
36b : 천정판 후방부
43 : 프린트 배선판
45 : 전선
50A, 50B, 50D : 제2 계지부
51 : 제2 계지부의 후방부
54 : 상부 부착부
55 : 중간부
56 : 후방부 다리 부분
58, 69 : 후방면
58a : 후방면 상부
60A, 60B, 60C, 60D : 제2 계지 수단
61 : 지지축부
62 : 아암부
62a : 아암부의 갈고리
62b : 아암부의 후방부
64a, 67a : 갈고리
68 : 후방 단부
69 : 하부
우선, 본 고안의 제1 실시 형태인 수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수형 커넥터(1A)는 전방부가 개구부(5)인 상자형(편평한 사각 통 형상)의 절연성 베이스 하우징(3A)에 핀 콘택트(4)를 수용하고 있고, 개구부(5)에는 후술하는 제2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A)(도2)가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다. 도3의 평면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콘택트(4)는 2개이며 좌우 병렬로 베이스 하우징(3A)에 수용되어 있고, 베이스 하우징(3A)의 후방 측벽(6)으로부터 중심선(C)과 평행하게 개구부(5)로 연장 돌출되는 접촉 핀부(15)와 리드부(17 내지 19)를 갖고 있다. 리드부(17 내지 19)는 도8의 측면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측벽(6)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프린트 배선판(43)에 납땜된다. 프린트 배선판(43)은, 예를 들어 액정 화면의 광원이 되는 백 라이트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 및 인버터 회로의 프린트 배선을 갖고 있다.
베이스 하우징(3A)에는,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방 측벽(6)의 중앙부로부터 개구부(5)를 향해 돌출되는 격벽(7)이 설치되고, 격벽(7)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핀 콘택트(4, 4) 사이에 배치되어 그 접촉 핀부(15, 15)의 선단부(15a, 15a)보다도 길게 돌출되어 있다. 또한, 격벽(7)의 양 측면은 베이스 하우징(3A)의 중심선(C)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의 형상으로 되어 있고, 여기서는 중심선(C)과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는 짧은 베이스부 평행면(8, 8)과, 베이스부 평행면(8, 8)에 연속하여 끝이 뾰족한 쐐기형을 형성하는 테이퍼면(9, 9)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단,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베이스부 평행면(8, 8)과 테이퍼면(9, 9)과의 비율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선단부(7a)의 최근방만이 테이퍼면(9, 9)이고 잔부가 전부 베이스부 평행면(8, 8)이라도 좋고, 전체가 테이퍼면(9, 9)이고 베이스부 평행면(8, 8)은 없어도 좋다.
또한, 후방 측벽(6)에 인접하는 양 측벽(10, 10)의 내측면에는 후술하는 암형 커넥터(2A)의 제1 계지 수단(계지 돌기)(28, 28)(도7)을 결합시키는 제1 계지부(계지 홈)(11, 11)가 마련되어 있는 동시에, 개구부(5)에 인접하는 양 측벽(10, 10)의 내측면에는 안내 홈(12, 12)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후방 측벽(6)에는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격벽(13)이 설치되어 있다. 격벽(13)에는 중공 부분(내부가 빈 부분)(13a)이 있어도 좋다.
핀 콘택트(4, 4)는 구리나 구리 합금(황동 등)의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굽힘 가공하여 제조되고, 도6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 핀부(15)의 후방 단부에 폭이 넓은 부착부(16)가 연속 설치되어 있고, 그 부착부(16)의 후방부에 연속 설치되는 리드부(17 내지 19)가 서로 반대 방향의 가로 외측으로 굴곡한 후 후방으로 연장되는 중간 부분(17)과, 그 중간 부분(17)의 후방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다리 부분(18)과, 그 다리 부분(18)의 하단부로부터 전방으로 굴곡하여 연장되는 납땜 부분(19)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핀 콘택트(4, 4)는 그 부착부(16, 16)를 후방 측벽(6)에 관통 상태로 보유 지지 고정시켜, 접촉 핀부(15, 15)가 격벽(7)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하우징(3A)의 중심선(C)과 평행하게 개구부(5)를 향해 돌출되는 동시에, 납땜 부분(19, 19)이 상호 가로 외측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베이스 하우징(3A)에 수용되어 있다.
베이스 하우징(3A)에 수용되어 배치된 양 핀 콘택트(4, 4)의 접촉 핀부(15, 15)는, 그 선단부(15a, 15a)가 격벽(7)의 선단부(7a)보다도 후방 측벽(6)측으로 후퇴하여 위치하고 있고, 그 결과 양 접촉 핀부(15, 15) 사이의 피치를 작게 해도 양 선단부(15a, 15a) 사이의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어, 고전압에 의한 장해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양 핀 콘택트(4, 4)의 납땜 부분(19, 19) 사이의 피치가 양 접촉 핀부(15, 15) 사이의 피치보다도 커져 있으므로, 양 접촉 핀부(15, 15) 사이의 피치를 작게 해도 양 납땜 부분(19, 19) 사이의 공간 거리가 고전압에 의한 장해를 방지하는 데 충분한 길이로 확보되어 있다.
또한, 후방 측벽(6)에 설치한 격벽(13)의 존재에 의해, 양 납땜 부분(19, 19) 사이의 연면 거리도 충분한 길이로 확보되어 있다. 따라서, 양 접촉 핀부(15, 15) 사이의 피치를 좁게 하여 베이스 하우징(3A)을 작게 하고 수형 커넥터(1A) 전체를 소형화 해도, 양 핀 콘택트(4, 4) 사이의 공간 거리 및 연면 거리를 충분히길게 하는 것이 가능해, 고전압에 의한 장해를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땜 부분(19)의 바닥부는 납땜으로 인해 베이스 하우징(3A)의 바닥면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다. 또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하우징(3A)의 양 측벽(10, 10)의 전방 단부 하부에는 보강 금구(20, 20)가 매설되어 있다. 보강 금구(20)의 바닥부도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납땜으로 인해 베이스 하우징(3A)의 바닥면보다 약간 돌출되어 있다.
이 수형 커넥터(1A)에는 상기 제1 계지부(11, 11)(도3)에다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형 커넥터(2A)의 제2 계지 수단(60A)(도2)을 결합시키는 제2 계지부(50A)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하우징(3A)이 한 쌍의 제2 계지부(50A, 50A)를 갖고, 그 제2 계지부(50A, 50A)는 각기둥형으로 베이스 하우징(3A)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하우징(3A)의 천정판(14)의 전방부 좌우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2 실시 형태로,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A)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지는 암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2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암형 커넥터(2A)는 수형 커넥터(1A)의 개구부(5)(도1)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지는 통형 부재(24, 24)를 갖는 절연성 소켓 하우징(21A)과, 도7의 평면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전선(45, 45) 단부에 접속되고 소켓 하우징(21A)에 개별적으로 수용되는 2개의 소켓 콘택트(22, 22)로 이루어져 있다. 양 소켓 콘택트(22)는 전선(45)을 거쳐서, 예를 들어 액정 화면의 광원이 되는 백 라이트의 양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소켓 하우징(21A)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제2 계지 수단(60A)을 제외한 하부의 윤곽 형상이 편평한 직육면체를 이루고, 전반 부분에 수형 커넥터(1A)의 격벽(7)(도3)과 결합하는 절결부(23)를 설치하여 한 쌍의 통형 부재(24, 24)로 이루어지는 2갈래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통형 부재(24)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22)를 개별적으로 수용하여 보유 지지하는 빈 공간부(25)를 갖고, 그 빈 공간부(25)는 소켓 하우징(21A)의 후방 단부까지 연장되고, 전선(45)에 접속된 소켓 콘택트(22)가 후방 단부 개구(26)로부터 삽입되어 빈 공간부(25)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통형 부재(24)의 전방 단부에는 핀 콘택트(4)의 접촉 핀부(15)(도3)의 삽통 구멍(27)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양 통형 부재(24, 24)의 전방 단부 외측면에는 수형 커넥터(1A)의 베이스 하우징(3A)의 내측에 설치한 제1 계지부(11, 11)(도3)에 결합되는 제1 계지 수단(28, 28)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1A)의 후방 단부 양 측면에는 수형 커넥터(1A)의 베이스 하우징(3A)의 내측에 마련된 안내 홈(12, 12)(도1)에 결합되는 안내 돌기조(29, 29)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절결부(23)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은, 격벽(7)의 양 측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7의 소켓 콘택트(22)는 전방부에 접촉 핀부(15)(도3)에 끼워 맞추어지는 소켓부(32)를 갖고, 후방부에 전선의 압착부(33)를 갖고 있고, 중간 부위에 빠짐 방지용 랜스(34)가 설치되어 있다. 전선(45)에 접속된 소켓 콘택트(22)가 후방 단부 개구(26)로부터 빈 공간부(25)에 삽입되고, 도8의 측면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형 부재(24)의 상부벽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소켓 하우징(21A)의 내측에 설치된 단차부(35)에 대해, 갈고리형의 랜스(34)가 휘어 타고 넘어 원래의 높이로 되돌아가 결합하면, 소켓 콘택트(22)가 소켓 하우징(21A)으로부터 빠짐 방지되어 수용된다. 이와 같이 하여 조립된 암형 커넥터(2A)를 분해할 필요가 생겼을 때에는, 수형 커넥터(1A)와 끼워 맞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접촉 핀부(15)의 삽통 구멍(27)의 상방에 마련된 삽통 구멍(37)으로부터 핀형의 지그를 삽입하고 랜스(34)를 단차부(35)로부터 하방으로 압박 분리함으로써, 소켓 콘택트(22)의 빠짐 방지를 해제하여 소켓 하우징(21A)으로부터 인발한다.
이 암형 커넥터(2A)에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계지 수단(28, 28)에다가 상기 수형 커넥터(1A)의 제2 계지부(50A)(도1)에 결합되는 제2 계지 수단(60A)이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켓 하우징(21A)이 제2 계지 수단(60A)을 갖고 그 제2 계지 수단(60A)은 상기 소켓부(32)(도7)와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는 지지축부(61)와, 그 지지축부(61)의 전방부의 좌우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좌우 방향으로 휨 가능한 한 쌍의 아암부(62, 62)로 이루어지고, 소켓 하우징(21A)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부(61)의 베이스부(후방부)의 하부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상기 통형 부재(24, 24)의 상부벽인 천정판 전방부(36a)에 단차를 갖고 연속되는 천정판 후방부(36b)에 연속되어 있고, 그 부분에 있어서 지지축부(61), 나아가서는 제2 계지 수단(60A) 전체가 천정판 후방부(36b)에 편측 지지되어 있다.
이 제2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A)가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A)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의 측면 단면도를 도8에, 평면 단면도를 도9에, 평면도를 도10에 도시한다. 도2의 암형 커넥터(2A)의 통형 부재(24, 24)를 수형 커넥터(1A)의 베이스 하우징(3A)의 개구부(5)(도1)로부터 삽입하면, 절결부(23)의 테이퍼면(31, 31)(도7)이 격벽(7)의 테이퍼면(9, 9)(도3)에 결합되는 동시에, 양측의 안내 돌기조(29, 29)가 안내 홈(12, 12)(도1)에 결합되어 정확한 끼워 맞춤 위치로 유도되고, 수형 커넥터(1A)의 양 핀 콘택트(4, 4)의 접촉 핀부(15, 15)(도3)가 삽통 구멍(27, 27)(도7)을 거쳐서 각 통형 부재(24, 24) 내로 진입하고,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22)의 소켓부(32, 32)에 끼워 맞추어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암형 커넥터(2A)의 통형 부재(24, 24)의 선단부가 수형 커넥터(1A)의 후방 측벽(6)에 접촉하여 양 커넥터(1A, 2A)의 끼워 맞춤이 완료되면, 암형 커넥터(2A)의 제1 계지 수단(28, 28)이 수형 커넥터(1A)의 제1 계지부(11, 11)에 결합됨으로써 프린트 배선판(43)(도8)에 실장된 수형 커넥터(1A)에 대해 암형 커넥터(2A)가 빠짐 방지된다.
암형 커넥터(2A)의 통형 부재(24, 24)가 수형 커넥터(1A)의 개구부(5)(도1)로부터 삽입되면, 상술한 동작과 병행하여 암형 커넥터(2A)의 제2 계지 수단(60A)의 양 아암부(62, 62)(도2)가 내측, 즉 지지축부(61)(도2)측으로 휘면서 수형 커넥터(1A)의 양 제2 계지부(50A, 50A)(도1) 사이에 삽입되어 가고, 양 커넥터(1A, 2A)의 끼워 맞춤이 완료되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암부(62, 62)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갈고리(62a, 62a)가 제2 계지부(50A, 50A)를 타고 넘어, 휘어 있던 아암부(62, 62)가 처음과 같이 외측으로 넓어져 갈고리(62a, 62a)가 제2 계지부(50A, 50A)의 후방부(51, 51)에 결합되고, 이에 의해서도, 수형 커넥터(1A)에 대해 암형 커넥터(2A)가 빠짐 방지된다.
빠짐 방지가 종래와 같이 제1 계지부(11, 11)와 제1 계지 수단(28, 28)(도9)과의 결합뿐이라면, 수형 커넥터(1A)에 대해 암형 커넥터(2A)에 접속된 전선(45)이 빠짐 방지된 방향(도9 및 도10의 좌측 방향)으로 강하게 당겨진 경우에, 빠짐 방지 효과가 아직 충분하지는 않다. 그러나 제1 및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도10에 도시한 제2 계지부(50A, 50A)의 후방부(51, 51)와 제2 계지 수단(60A)의 갈고리(62a, 62a)와의 결합 상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그 상태에서는 수형 커넥터(1A)로부터 암형 커넥터(2A)를 떼어 낼 수 없다. 조작자에 의해 아암부의 후방부(62b, 62b)가 서로 근접하도록 내측, 즉 지지축부(61)측으로 압박되어 아암부(62, 62)가 휘어 아암부의 갈고리(62a, 62a)의 외측 단부가 제2 계지부(50A, 50A)보다도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결합이 해제되고, 수형 커넥터(1A)에 대해 암형 커넥터(2A)를 빼는 것이 가능해져 빠짐 방지가 해제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A) 또는 제2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A)에 따르면, 복수의 빠짐 방지 기구로서 제1 계지부(11, 11)(도9)와 제2 계지부(50A, 50A), 또는 제1 계지 수단(28, 28)(도9)과 제2 계지 수단(60A)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빠짐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있다. 특히, 제2 계지부(50A, 50A)의 후방부(51, 51)와 제2 계지 수단(60A)의 갈고리(62a, 62a)와의 결합에 의한 빠짐 방지에 대해서는, 조작자에 의해 아암부의 후방부(62b, 62b)가 서로 근접하도록 압박되지 않으면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2A)에 접속된 전선(45)이 뜻하지 않게 인장되는 경우라도, 암형 커넥터(2A)가 수형 커넥터(1A)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3 실시 형태인 수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11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수형 커넥터(1B)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A)(도1)와 비교하여 제2 계지부(50B)의 구성이 다를 뿐이므로,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수형 커넥터(1B)에는 상기 제1 계지부(11, 11)(도3)에다가, 후술하는 제4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B)의 제2 계지 수단(60B)(도12)을 결합시키는 제2 계지부(50B)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하우징(3B)이 제2 계지부(50B)를 갖고, 그 제2 계지부(50B)는 하방에 개방된 역ㄷ자 형상으로, 베이스 하우징(3B)의 천정판(14)의 전방부 상에 베이스 하우징(3B)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 핀부(15)(도3)와 평행하게 관통하는 관통 구멍(52)이 마련되어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4 실시 형태로, 상기 제3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B)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지는 암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12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암형 커넥터(2B)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A)(도2)와 비교하여 제2 계지 수단(60B)의 구성이 다를 뿐이므로,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암형 커넥터(2B)에는 상기 제1 계지 수단(28, 28)에다가, 상기 수형 커넥터(1B)의 제2 계지부(50B)(도11)에 결합되는 제2 계지 수단(60B)이 마련되어 있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켓 하우징(21B)이 제2 계지 수단(60B)를 갖고, 그 제2 계지 수단(60B)은 상기 소켓부(32)(도7)와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는 판형으로 상하 방향으로 휨 가능하며, 선단부(63)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갈고리(63a)가 설치되어 소켓 하우징(21B)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계지 수단(60B)의 베이스부(후방부)의 하부는, 도13의 측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로 상기 통형 부재(24, 24)(도12)의 상부벽인 천정판 전방부(36a)에 단차를 갖고 연속되는 천정판 후방부(36b)에 연속되어 있고, 그 부분에 있어서 제2 계지 수단(60B) 전체가 천정판 후방부(36b)에 편측 지지되어 있다.
이 제4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B)가 제3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B)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의 측면도를 도13에, 평면도를 도14에 도시한다. 도12의 암형 커넥터(2B)의 통형 부재(24, 24)를 수형 커넥터(1B)의 베이스 하우징(3B)의 개구부(5)(도11)로부터 삽입하면, 절결부(23)의 테이퍼면(31, 31)(도7)이 격벽(7)의 테이퍼면(9, 9)(도3)에 결합되는 동시에, 양측의 안내 돌기조(29, 29)가 안내 홈(12, 12)(도11)에 결합되어 정확한 끼워 맞춤 위치로 유도되고, 수형 커넥터(1B)의 양 핀 콘택트(4, 4)의 접촉 핀부(15, 15)(도3)가 삽통 구멍(27, 27)(도7)을 거쳐서 각 통형 부재(24, 24) 내로 진입하여,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22)의 소켓부(32, 32)에 끼워 맞추어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암형 커넥터(2B)의 통형 부재(24, 24)의 선단부가 수형 커넥터(1B)의 후방 측벽(6)에 접촉하여 양 커넥터(1B, 2B)의 끼워 맞춤이 완료되면, 암형 커넥터(2B)의 제1 계지 수단(28, 28)이 수형 커넥터(1B)의 제1 계지부(11, 11)에 결합됨으로써, 프린트 배선판(43)(도13)에 실장된 수형 커넥터(1B)에 대해 암형 커넥터(2B)가 빠짐 방지된다.
도12의 암형 커넥터(2B)의 통형 부재(24, 24)가 수형 커넥터(1B)의 개구부(5)(도11)로부터 삽입되면, 상술한 동작과 병행하여 암형 커넥터(2B)의 제2 계지 수단(60B)이 하방으로 휘면서 수형 커넥터(1B)의 제2 계지부(50B)의 관통 구멍(52)(도11)에 삽입되어 가고,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커넥터(1B, 2B)의 끼워 맞춤이 완료되면 선단부(6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설치된 갈고리(63a)가 관통 구멍(52)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나오고, 휘어 있던 제2 계지 수단(60B)이 처음과 같이 수평이 되어 갈고리(63d)가 제2 계지부(50B)의 후방 모서리에 결합되고, 이에 의해서도 수형 커넥터(1B)에 대해 암형 커넥터가 빠짐 방지된다.
빠짐 방지가 종래와 같이 제1 계지부(11, 11)와 제1 계지 수단(28, 28)(도9)과의 결합뿐이라면, 수형 커넥터(1B)에 대해 암형 커넥터(2B)에 접속된 전선(45)이 빠짐 방지된 방향(도9 및 도10의 좌측 방향)으로 강하게 당겨진 경우에, 빠짐 방지 효과가 아직 충분하지는 않다. 그러나, 제3 및 제4 실시 형태에서는 도13에 도시한 제2 계지부(50B)와 제2 계지 수단(60B)의 갈고리(63a)와의 결합 상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그 상태에서는 수형 커넥터(1B)로부터 암형 커넥터(2B)를 떼어 낼 수 없다. 조작자에 의해 제2 계지 수단(60B)의 선단부(63)가 하방으로 압박되고, 제2 계지 수단(60B)이 휘어 선단부(63)의 갈고리(63a)의 상단부가 제2 계지부(50B)의 관통 구멍(52)의 상부 모서리보다도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결합이 해제되고, 수형 커넥터(1B)에 대해 암형 커넥터(2B)를 빼는 것이 가능해 빠짐 방지가 해제된다.
제3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B) 또는 제4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B)에 따르면, 복수의 빠짐 방지 기구로서 제1 계지부(11, 11)(도9)와 제2 계지부(50B), 또는 제1 계지 수단(28, 28)(도9)과 제2 계지 수단(60B)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빠짐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있다. 특히, 제2 계지부(50B)와 제2 계지 수단(60B)의 갈고리(63a)와의 결합에 의한 빠짐 방지에 대해서는, 조작자에 의해 제2 계지 수단(60B)의 선단부(63)가 하방으로 압박되지 않으면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2B)에 접속된 전선(45)이 뜻하지 않게 인장되는 경우가 있어도, 암형 커넥터(2B)가 수형 커넥터(1B)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5 실시 형태인 수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15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수형 커넥터(1C)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A)(도1)와 비교하면 베이스 하우징(3C)이 제2 계지부를 갖고 있지 않아,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콘택트(4C)가 제2 계지부(50C)를 갖는다고 하는 구성이 다를 뿐이므로,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19의 측면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수형 커넥터(1C)에는 상기 제1 계지부(11, 11)(도3)에다가 후술하는 제6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C)의 제2 계지 수단(60C)(도17)을 결합시키는 제2 계지부(50C)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콘택트(4C)가 제2 계지부(50C)를 갖고 있다. 또 도19 및 도21a 내지 도21d에서는, 납땜 부분(19C) 이외의 핀 콘택트(4C)의 후방부를 파단 제거하고 있다.
도17의 핀 콘택트(4C)는 구리나 구리 합금(황동 등)의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굽힘 가공하여 제조되고, 접촉 핀부(15C)의 후방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폭이 넓은 부착부(16C)가 연속 설치되어 있고, 그 부착부(16C)의 후방부에 연속 설치되는 리드부(18C, 19C)가 서로 반대 방향의 가로 외측이고 또한 하방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다리 부분(18C)과, 그 다리 부분(18C)의 하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납땜 부분(19C)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2 계지부(50C)는 접촉 핀부(15C)의 상방에서 평행하게 연장 돌출되는 핀형으로, 선단부(53)가 측방으로 연장 돌출되어 있다. 그 제2 계지부(50C)의 후방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폭이 넓은 상부 부착부(54)가 연속 설치되어 있고, 그 상부 부착부(54)의 후방 단부로부터는 중간부(55)가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중간부(55)의 후방 단부로부터는 후방부 다리 부분(56)이 S자형으로 굴곡되어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납땜 부분(19C)의 후방 단부에 연속하고 있다. 즉, 제2 계지부(50C)는 상부 부착부(54), 중간부(55), 후방부 다리 부분(56), 납땜 부분(19C), 다리 부분(18C) 및 부착부(16C)를 거쳐서, 접촉 핀부(15C)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들 전체가 핀 콘택트(4C)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 콘택트(4C)는 그 부착부(16C) 및 상부 부착부(54)를 후방 측벽(6C)에 관통 상태로 보유 지지 고정시키고 있다. 고전압에 의한 장해를 방지하기 위한 양 접촉 핀부(15C, 15C)나 양 납땜 부분(19C, 19C)의 배치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A)(도3)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6 실시 형태로, 상기 제5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C)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지는 암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16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암형 커넥터(2C)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A)(도2)와 비교하면 소켓 하우징(21C)이 제2 계지부를 갖고 있지 않아,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22C)가 제2 계지부(60C)를 갖고 있다는 구성이 다를 뿐이므로,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17에서는 소켓 콘택트(22C)의 랜스(34)보다도 후방 부분을 파단 제거하고 있다.
도20의 측면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암형 커넥터(2C)에는 상기 제1 계지 수단(28, 28)(도16)에다가 상기 수형 커넥터(1C)의 제2 계지부(50C)(도17)를 결합하는 제2 계지 수단(60C)이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22C)가 제2 계지 수단(60C)을 갖고 있다.
제2 계지 수단(60C)은, 소켓부(32C)의 상방에서 랜스(34)의 베이스부(전방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판형으로, 선단부(64)가 측방으로 연장 돌출되고 그 연장 돌출된 후방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갈고리(64a)가 설치되어 있다. 제2 계지 수단(60C)은 랜스(34)나 소켓부(32C)와 함께, 소켓 콘택트(22C)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45)에 접속된 소켓 콘택트(22C)는 후방 단부 개구(26)로부터 빈 공간부(25)에 삽입되어 랜스(34)에 의해 소켓 하우징(21C)으로부터 빠짐 방지되지만, 소켓부(32C)의 연장 돌출 방향(도20의 좌우 방향)에 유격(L)을 갖고 소켓 하우징(21C)에 수용된다. 도20의 제2 계지 수단(60C)의 선단부(64) 근방을 파단하여 하방으로부터 사시한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1C)의 각 통형 부재(24)의 내측 좌우에는(도18에서는 우측만 나타냄), 제2 계지 수단(60C)의 선단부(64)에 접촉하는 경사면을 갖는 압박부(38)가 형성되어 있고, 그 경사면은 전방으로 감에 따라서 내려가 있다(하방으로부터 본 도18에서는 올라가는 것처럼 보임).
도16의 제6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C)가 제5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C)(도15)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 가는 상태의 측면 단면도를 단계에 따라 도21a 내지 도21c에 도시한다. 도16의 암형 커넥터(2C)의 통형 부재(24, 24)를 수형 커넥터(1C)의 베이스 하우징(3C)의 개구부(5)(도15)로부터 삽입하면, 절결부(23)의 테이퍼면(31, 31)(도7)이 격벽(7)의 테이퍼면(9, 9)(도3)에 결합되는 동시에, 양측의 안내 돌기조(29, 29)가 안내 홈(12, 12)(도15)에 결합되어 정확한 끼워 맞춤 위치로 유도되고, 수형 커넥터(1C)의 양 핀 콘택트(4C, 4C)의 접촉 핀부(15C, 15C)(도3의 15 참조)가 삽통 구멍(27, 27)(도7)을 거쳐서 각 통형 부재(24, 24) 내로 진입하고,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22C)의 소켓부(32C, 32C)(도9의 32 참조)에 끼워 맞추어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암형 커넥터(2C)의 통형 부재(24, 24)의 선단부가 수형 커넥터(1C)의 후방 측벽(6C)(도9의 6 참조)에 접촉하여 양 커넥터(1C, 2C)의 끼워 맞춤이 완료되면, 암형 커넥터(2C)의 제1 계지 수단(28, 28)이 수형 커넥터(1C)의 제1 계지부(11, 11)에 결합됨으로써, 프린트 배선판(43)(도21c)에 실장된 수형 커넥터(1C)에 대해 암형 커넥터(2C)가 빠짐 방지된다.
도16의 암형 커넥터(2C)의 통형 부재(24, 24)가 수형 커넥터(1C)의 개구부(5)(도15)로부터 삽입되면, 상술한 동작과 병행하여 우선 도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2C)의 상술한 지그의 삽통 구멍(37)으로부터 수형 커넥터(1C)의 제2 계지부(50C)가 소켓 하우징(21C) 내로 진입하고, 암형 커넥터(2C)의 제2 계지수단(60C)에 있어서의 선단부(64)의 갈고리(64a)의 상부가 수형 커넥터(1C)의 제2 계지부(50C)에 있어서의 선단부(53)의 하부에 접촉된다. 또한, 암형 커넥터(2C)가 삽입되면 도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2C)의 제2 계지 수단(60C)이 하방으로 휘어, 선단부(64)의 갈고리(64a)는 제2 계지부(50C)의 선단부(53)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암형 커넥터(2C)가 삽입되어 양 커넥터(1C, 2C)의 결합이 완료되면, 도2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계지 수단(60C)의 선단부(64)가 제2 계지부(50C)의 선단부(53)의 후방으로 나오고, 휘어 있던 제2 계지 수단(60C)이 처음과 같이 수평이 되어 갈고리(64a)가 제2 계지부(50C)의 선단부(53)의 후방 모서리에 결합하고, 이에 의해서도 수형 커넥터(1C)에 대해 암형 커넥터(2C)가 빠짐 방지된다.
빠짐 방지가 종래와 같이 제1 계지부(11, 11)와 제1 계지 수단(28, 28)(도9)과의 결합뿐이라면, 수형 커넥터(1C)에 대해 암형 커넥터(2C)에 접속된 전선(45)이 빠짐 방지된 방향(도9 및 도10의 좌측 방향)으로 강하게 당겨진 경우에, 빠짐 방지 효과가 아직 충분하지는 않다. 그러나, 제5 및 제6 실시 형태에서는 도21c에 도시한 제2 계지부(50C)의 선단부(53)와 제2 계지 수단(60C)의 선단부(64)의 갈고리(64a)와의 결합 상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2C)에 접속된 전선(45)을 빼내는 것만으로는 수형 커넥터(1C)로부터 암형 커넥터(2C)를 떼어 낼 수 없다. 수형 커넥터(1C)에 대해 빠짐 방지된 방향(도21c의 좌측 방향)으로 소켓 하우징(21C)이 조작자에 의해 직접 파지되어 빠지면, 도21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격(L)의 범위에서 소켓 하우징(21C)이 소켓 콘택트(22C)에 대하여 좌측 방향으로이동되어, 소켓 하우징(21C)의 내측에 설치된 상기 압박부(38)가 제2 계지 수단(60C)의 선단부(64)를 제2 계지부(50C)의 선단부(53)로부터 하측으로 압박 분리함으로써 결합이 해제되고, 수형 커넥터(1C)로부터 암형 커넥터(2C)를 떼어 내는 것이 가능해져 빠짐 방지가 해제된다.
제5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C) 또는 제6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C)에 따르면, 복수의 빠짐 방지 기구로서 제1 계지부(11, 11)(도9)와 제2 계지부(50C), 또는 제1 계지 수단(28, 28)(도9)과 제2 계지 수단(60C)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빠짐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있다. 특히, 제2 계지부(50C)의 선단부(53)와 제2 계지 수단(60C)의 선단부(64)의 갈고리(64a)와의 결합에 의한 빠짐 방지에 대해서는, 조작자에 의해 소켓 하우징(21C)이 직접 파지되어 빠지지 않으면 해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2C)에 접속된 전선(45)이 뜻하지 않게 인장되는 경우가 있어도, 암형 커넥터(2C)가 수형 커넥터(1C)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또, 제5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C)의 제2 계지부(50C)의 선단부(53)는 종래의 암형 커넥터도 갖는 지그의 삽통 구멍(37)으로부터 소켓 하우징(21C) 내에 삽입되기 때문에, 제5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C)는 제6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C)에 한정되지 않고, 종래의 암형 커넥터를 삽입하여 끼워 맞출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6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C)는 종래의 수형 커넥터에 삽입하여 끼워 맞출 수도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7 실시 형태인 수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22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수형 커넥터(1D)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A)(도1)와 비교하여 제2 계지부(50D)의 구성이 다를 뿐이므로,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수형 커넥터(1D)에는 상기 제1 계지부(11, 11)(도3)에다가, 후술하는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D)의 제2 계지 수단(60D)(도23)을 결합시키는 제2 계지부(50D)가 설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 하우징(3D)이 제2 계지부(50D)를 갖고, 그 제2 계지부(50D)는 베이스 하우징(3D)의 천정판(14)의 전방부[즉, 개구부(5)측]의 중앙부 상에 베이스 하우징(3D)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베이스 하우징(3D)의 천정판(14)의 좌우 방향의 일부에 걸쳐 천정판(14)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2 계지부(50D)는, 천정판(14)의 좌우 방향 전체에 걸쳐 천정판(14)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계지부(50D)의 전방면(57)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 제7 실시 형태의 제1 예에서는, 제2 계지부(50D)는 측면으로부터 보아 사다리꼴이며 전방 단부가 천정판(14)의 전방 단부에 일치하고 있지만(도25a), 도25b에 도시한 제2 예와 같이 측면으로부터 보아 삼각형이라도 좋고, 전방 단부가 천정판(14)의 전방 단부보다도 후방에 있어도 좋다. 또한, 측면으로부터 보아 오각형 등이라도 좋다.
도25a에 도시한 제7 실시 형태의 제1 예에서는, 제2 계지부(50D)의 후방면(58)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하우징(3D)의 천정판(14)과 이루는 각(α)이 예각이다. 「공간을 사이에 두고」라 함은, 즉「수형 커넥터(1D)에 있어서 후방 회전으로(도25a에서는 우측 회전으로) 측정되어」라고 하는 의미이며, 도25b의 제2 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예각이다. 즉, 제2 계지부(50D)가 수형 커넥터(1D)로부터의암형 커넥터(2D)의 인발에 대해, 「미늘(barb)」이 달린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 각(α)에 대해서는 이유는 후술하지만 도27a에 도시한 제3 예와 같이, 제2 계지부(50D)의 후방면(58) 중 적어도 상부(58a)가 공간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하우징(3D)의 천정판(14)과 둔각 또는 직각, 특히 둔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27b에 도시한 제4 예와 같이, 제2 계지부(50D)의 후방면(58) 전체가 공간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하우징(3D)의 천정판(14)과 둔각 또는 직각, 특히 둔각을 이루어도 좋다.
다음에 본 고안의 제8 실시 형태로, 상기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D)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지는 암형 커넥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23의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암형 커넥터(2D)는 상기 제2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A)(도2)와 비교하여 제2 계지 수단(60D)의 구성이 다를 뿐이므로,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 암형 커넥터(2D)에는 상기 제1 계지 수단(28, 28)에다가, 상기 수형 커넥터(1D)의 제2 계지부(50D)(도22)에 결합되는 제2 계지 수단(60D)이 마련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켓 하우징(21D)이 제2 계지 수단(60D)을 갖고 그 제2 계지 수단(60D)은 상기 소켓부(32)(도7)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판형의 가동부(65)와, 소켓 하우징(21D)의 상기 천정판 후방부(36b)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가동부(65)의 전후 방향의 중간을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축(P)으로 지지하는 다리부(66)를 갖고 있고, 소켓 하우징(21D)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계지 수단(60D)의 가동부(65)의 선단부(67)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갈고리(67a)가 설치되어있고, 가동부(65)의 후방 단부(68)가 하방으로 압박되면 시소와 같이 가동부(65)가 지지축(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갈고리(67a)를 포함한 선단부(67)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유는 후술하지만, 도25a에 도시한 제8 실시 형태의 제1 예와 같이 선단부(67)의 갈고리(67a)가 상기 제2 계지부(50D)에 결합된 상태에서, 즉 가동부(65)가 수평인 상태에서 선단부(67)의 갈고리(67a)의 후방면(69) 중 적어도 하부(69a)가 암형 커넥터(2D)에 있어서 후방 회전으로(도25a에서는 좌측 회전으로) 측정되어 소켓 하우징(21D)의 상기 천정판 전방부(36a)와 이루는 각(β)이 예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각(β)에 대해서는 도25c에 도시한 제2 예와 같이, 선단부(67)의 갈고리(67a)의 후방면(69) 전체가 후방 회전으로 측정되어 소켓 하우징(21D)의 천정판 전방부(36a)와 예각을 이루어도 좋다.
또한, 도25d에 도시한 제3 예와 같이, 선단부(67)의 갈고리(67a)의 후방면(69) 중 적어도 하부(69a)가 후방 회전으로 측정되어 소켓 하우징(21D)의 천정판 전방부(36a)와 직각을 이루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도25e에 도시한 제4 예와 같이 선단부(67)의 갈고리(67a)의 후방면(69) 전체가 후방 회전으로 측정되어 소켓 하우징(21D)의 천정판 전방부(36a)와 직각을 이루어도 좋다. 단,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도26a에 도시한 제5 예와 같이 선단부(67)의 갈고리(67a)의 후방면(69)이 후방 회전으로 측정되어 소켓 하우징(21D)의 천정판 전방부(36a)와 둔각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제2 계지 수단(60D)의 선단부(67)의 갈고리(67a)를 수형 커넥터(1D)로부터의 암형 커넥터(2D)의 인발에 대해, 「미늘」이 달린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도23에 도시한 제8 실시 형태의 제1 예의 암형 커넥터(2D)가 도22에 도시한 제7 실시 형태의 제1 예의 수형 커넥터(1D)에 삽입 및 끼워 맞추어진 상태의 측면도를 도24에 도시한다. 도23의 암형 커넥터(2D)의 통형 부재(24, 24)를 수형 커넥터(1D)의 베이스 하우징(3D)의 개구부(5)(도22)로부터 삽입하면, 절결부(23)의 테이퍼면(31, 31)(도7)이 격벽(7)의 테이퍼면(9, 9)(도3)에 결합되는 동시에, 양측의 안내 돌조(29, 29)가 안내 홈(12, 12)(도11)에 결합되어 정확한 끼워 맞춤 위치로 유도되고, 수형 커넥터(1D)의 양 핀 콘택트(4, 4)의 접촉 핀부(15, 15)(도3)가 삽통 구멍(27, 27)(도7)을 통해 각 통형 부재(24, 24) 내로 진입하여,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22)의 소켓부(32, 32)에 끼워 맞추어져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리고, 암형 커넥터(2D)의 통형 부재(24, 24)의 선단부가 수형 커넥터(1D)의 후방 측벽(6)에 접촉하여 양 커넥터(1D, 2D)의 끼워 맞춤이 완료되면, 암형 커넥터(2D)의 제1 계지 수단(28, 28)이 수형 커넥터(1D)의 제1 계지부(11, 11)에 결합됨으로써, 프린트 배선판(43)(도24)에 실장된 수형 커넥터(1D)에 대해 암형 커넥터(2D)가 빠짐 방지된다.
도23의 암형 커넥터(2D)의 통형 부재(24, 24)가 수형 커넥터(1D)의 개구부(5)(도22)로부터 삽입되면, 상술한 동작과 병행하여 암형 커넥터(2D)의 제2 계지 수단(60D)의 가동부(65)가, 그 선단부(67)가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지지축(P)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기울면서 휘고, 선단부(67)의 갈고리(67a)가 제2 계지부(50D)의 상면에 접하면서 진행하여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커넥터(1D, 2D)의 끼워 맞춤이 완료되면 선단부(67)의 갈고리(67a)가 제2 계지부(50D)를 타고 넘어 가동부(65)가 원래 상태로 되돌아가 수평이 되고, 갈고리(67a)가 제2 계지부(50D)의 후방면(58)에 결합하여 이에 의해서도 수형 커넥터(1D)에 대해 암형 커넥터(2D)가 빠짐 방지된다.
빠짐 방지가 종래와 같이 제1 계지부(11, 11)와 제1 계지 수단(28, 28)(도9)과의 결합뿐이면, 수형 커넥터(1D)에 대해 암형 커넥터(2D)에 접속된 전선(45)이 빠짐 방지된 방향(도24의 좌측 방향)으로 강하게 당겨진 경우에, 빠짐 방지의 효과가 조금 충분하지 않다. 그러나, 상술한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D) 또는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D)의 어떠한 예에 의해서도, 복수의 빠짐 방지 기구로서 제1 계지부(11, 11)(도9)와 제2 계지부(50D) 또는 제1 계지 수단(28, 28)(도9)과 제2 계지 수단(60D)이 마련되어 있으므로 빠짐 방지 효과가 향상되어 있고, 암형 커넥터(2D)에 접속된 전선(45)이 뜻하지 않게 인장되는 경우가 있어도 암형 커넥터(2D)가 수형 커넥터(1D)로부터 빠지는 일은 없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도10에 도시한 제1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A) 및 제2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A)에서는, 빠짐 방지할 때에도, 빠짐 방지를 해제할 때에도 암형 커넥터(2A)의 제2 계지 수단(60A)에 있어서의 아암부(62, 62)의 휨을 이용하고 있다. 도13에 도시한 제3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B) 및 제4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B)에서도 마찬가지로 빠짐 방지할 때에도, 빠짐 방지를 해제할 때에도 암형 커넥터(2B)의 제2 계지 수단(60B)의 휨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커넥터(1A와 2A, 1B와 2B)에서는 빠짐 방지를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면, 빠짐 방지의 해제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것이 통상이다.
이에 대해, 도24에 도시한 제7 실시 형태의 수형 커넥터(1D) 및 제8 실시 형태의 암형 커넥터(2D)에서는, 빠짐 방지할 때에는 암형 커넥터(2D)의 제2 계지 수단(60D)에 있어서의 가동부(65)의 지지축(P)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기울기)과 지지축(P)을 고정 단부로 하는 휨의 양방을 이용하지만, 빠짐 방지를 해제할 때에는 가동부(65)의 후방 단부(68)를 하방으로 압박함으로써 선단부(67)의 갈고리(67a)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즉, 빠짐 방지를 해제할 때에는 가동부(65)의 지지축(P)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만을 이용한다. 따라서, 빠짐 방지를 원활하게 할 수 있어도 빠짐 방지의 해제를 같은 정도로 원활하게 할 수 있다고는 단언할 수 없다. 이 점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서술한다.
도26a에 도시한 제7 실시 형태의 제1 예의 수형 커넥터(1D) 및 제8 실시 형태의 제5 예의 암형 커넥터(2D)의 조합으로 설명하면, 통상 양 커넥터(1D, 2D)의 끼워 맞춤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 계지부(50D)의 후방면(58)과 제2 계지 수단(60D)의 선단부(67)에 설치된 갈고리(67a)의 후방면(69)이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유격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빠짐 방지를 해제하여 수형 커넥터(1D)로부터 암형 커넥터(2D)를 인발하고자 할 때에는, 도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격이 없는 상태가 되는 경향이 있다. 빠짐 방지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가동부(65)의 후방 단부(68)를 하방으로 압박함으로써 가동부(65)를 지지축(P)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선단부(67)의 갈고리(67a)를 상방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지만, 도26b와 같이 제2 계지부(50D)와 제2 계지 수단(60D)의 선단부(67)의 갈고리(67a)와의 양방이「미늘」이 달린 형상이면, 유격이 없는 상태에서는 제2 계지부(50D)의 후방면(58)이 장해가 되어 제2 계지 수단(60D)의 선단부(67)의 갈고리(67a)를, 지지축(P)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곤란하거나 또는 불가능하다.
「미늘」이나 유격의 정도에 따라, 도2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67)의 갈고리(67a)를 어느 정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는 있지만, 갈고리(67a)의 하단부를 제2 계지부(50D)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없으면, 역시 빠짐 방지는 해제할 수 없어 수형 커넥터(1D)로부터 암형 커넥터(2D)를 인발할 수 없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상태[가동부(65)의 후방 단부(68)가 하방으로 압박되어 있지만, 갈고리(67a)의 하단부가 제2 계지부(50D)의 상단부보다도 하방에 있는 상태]에서 수형 커넥터(1D)로부터 암형 커넥터(2D)를 인발하기 위해서는, 선단부(67)의 갈고리(67a)의 후방면(69)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소켓 하우징(21D)의 천정판 전방부(36a)와 이루는 각(γ)이 예각일 필요가 있지만, 가동부(65)의 후방 단부(68)가 하방으로 압박되기 전의 수평인 상태에서 둔각이었던 각(β)(도26a 및 도26b)이 압박에 의한 가동부(65)의 근소한 회전에 의해 예각인 γ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7 실시 형태의 제1 예의 수형 커넥터(1D) 및 제8 실시 형태의 제5 예의 암형 커넥터(2D)를 조합하여 커넥터 세트로 하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다.
본 고안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커넥터 세트의 실시 형태로서는, 도25a에 도시한 제7 실시 형태의 제1 예의 수형 커넥터(1D) 및 제8 실시 형태의 제1 예의 암형 커넥터(2D)를 조합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커넥터 세트(1D, 2D)에서는, 제2계지부(50D)만이 「미늘」이 달린 형상으로, 제2 계지부(50D)의 후방면(58)과 제2 계지 수단(60D)의 선단부(67)에 설치된 갈고리(67a)의 후방면(69)이 접촉하는, 유격이 없는 상태라도 가동부(65)의 후방 단부(68)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 계지 수단(60D)의 선단부(67)의 갈고리(67a)를 지지축(P)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데 있어서 제2 계지부(50D)의 후방면(58)이 장해가 되지 않아, 갈고리(67a)의 하단부를 제2 계지부(50D)의 상단부보다도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빠짐 방지를 해제하여 수형 커넥터(1D)로부터 암형 커넥터(2D)를 인발할 수 있다.
가령, 도2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67a)의 하단부를 제2 계지부(50D)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없어도, 가동부(65)의 후방 단부(68)가 하방으로 압박된 상태에서 선단부(67)의 갈고리(67a)의 후방면(69) 중 적어도 하부(69a)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소켓 하우징(21D)의 천정판 전방부(36a)와 이루는 각(γ)이 예각이 되어 「미늘」이 달려 있지 않은 형상이므로, 그 상태에서 수형 커넥터(1D)에 대해 암형 커넥터(2D)를 빼면, 결합하였을 때와는 반대의 동작으로 갈고리(67)의 후방면 하부(69a)가 제2 계지부(50D)의 상부 후방 단부에 접하면서 갈고리(67a)가 상부 후방으로 이동하여, 갈고리(67a)의 하단부가 제2 계지부(50D)의 상면에 올라 결합이 해제된다. 즉, 빠짐 방지가 해제되어 수형 커넥터(1D)로부터 암형 커넥터(2D)를 인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람직한 커넥터 세트의 실시 형태의 다른 예로서, 도25b 내지 도25e에 도시한 수형 커넥터(1D) 및 암형 커넥터(2D)의 조합도 들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커넥터 세트의 다른 실시 형태로서, 도27a에도시한 제7 실시 형태의 제3 예의 수형 커넥터(1D) 및 제8 실시 형태의 제5 예의 암형 커넥터(2D)를 조합한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커넥터 세트(1D, 2D)에서는, 제2 계지 수단(60D)의 선단부(67)의 갈고리(67a)만이 「미늘」이 달린 형상으로, 제2 계지부(50D)의 후방면(58)과 제2 계지 수단(60D)의 선단부(67)에 설치된 갈고리(67a)의 후방면(69)이 접촉하는 유격이 없는 상태라도, 가동부(65)의 후방 단부(68)를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 계지 수단(60D)의 선단부(67)의 갈고리(67a)를 지지축(P)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데 있어서, 제2 계지부(50D)의 후방면(58)이 장해가 되지 않아 갈고리(67a)의 하단부를 제2 계지부(50D)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고, 빠짐 방지를 해제하여 수형 커넥터(1D)로부터 암형 커넥터(2D)를 인발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령 갈고리(67a)의 하단부를 제2 계지부(50D)의 상단부보다도 상방으로 이동시킬 수 없어도, 제2 계지부(50D)의 후방면(58) 중 적어도 상부(58a)가 공간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 하우징(21D)의 천정판 전방부(36a)와 이루는 각(α)이 둔각이고, 「미늘」이 달려 있지 않은 형상이기 때문에 그 상태로 수형 커넥터(1D)에 대해 암형 커넥터(2D)를 빼면, 결합하였을 때와는 반대의 동작으로 갈고리(67)의 후방면(69) 하단부가 제2 계지부(50D)의 후방면 상부(58a)에 접하면서 갈고리(67a)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갈고리(67a)의 하단부가 제2 계지부(50D)의 상면에 올라 결합이 해제된다. 즉, 빠짐 방지가 해제되어 수형 커넥터(1D)로부터 암형 커넥터(2D)를 인발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커넥터 세트의 실시 형태의 다른 예로서, 도27b에 도시한 수형 커넥터(1D) 및 암형 커넥터(2D)의 조합도 들 수있다.
이상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면서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건 명세서를 보고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을 용이하게 상정할 것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경 및 수정은 첨부한 청구항으로부터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 내의 것으로 해석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복수의 빠짐 방지 기구로서 제1 계지부 및 제2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빠짐 방지 효과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7)

  1. 베이스 하우징에 수용된 2개의 핀 콘택트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개구부에 돌출되는 접촉 핀부와, 상기 베이스 하우징으로부터 연장 돌출되어 프린트 배선판에 납땜되는 리드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에 다른 암형 커넥터가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는 수형 커넥터이며,
    상기 베이스 하우징 내에 상기 양 접촉 핀부의 중간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양 접촉 핀부의 선단부보다도 길게 돌출된 격벽이 설치되고,
    상기 양 리드부는 서로 가로 외측으로 굴곡되어 연장되고, 그 납땜 부분의 피치가 상기 양 접촉 핀부의 피치보다도 크게 형성되고,
    상기 암형 커넥터의 제1 계지 수단을 결합시키는 제1 계지부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양 측벽의 내측면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암형 커넥터의 제2 계지 수단을 결합시키는 제2 계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양 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끝이 뾰족한 쐐기형을 형성하는 테이퍼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양 측면의 전부가 끝이 뾰족한 쐐기형을 형성하는 테이퍼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의 양 측면이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중심선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베이스부 평행면과, 그 베이스부 평행면에 연속하여 끝이 뾰족한 쐐기형을 형성하는 테이퍼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제2 계지부를 갖고, 그 제2 계지부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의 좌우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제2 계지부를 갖고, 그 제2 계지부에 상기 접촉 핀부와 평행하게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하우징이 상기 제2 계지부를 갖고, 그 제2 계지부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의 좌우 방향 중 적어도 일부에 걸쳐 상기 천정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지부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의 좌우 방향 전체에 걸쳐 상기 천정판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지부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에 있어서의 상기 개구부측에 설치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지부의 전방면이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면인 수형 커넥터.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지부의 후방면 중 적어도 상부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과 둔각 또는 직각을 이루는 수형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지부의 후방면 중 적어도 상부가,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과 둔각을 이루는 수형 커넥터.
  13.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지부가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 콘택트가 상기 제2 계지부를 갖고, 그 제2 계지부가 상기 접촉 핀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선단부가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수형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지부가 상기 접촉 핀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있는 수형 커넥터.
  16. 제1항에 기재된 수형 커넥터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는 암형 커넥터이며,
    상기 접촉 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는 소켓 콘택트를 수용하는 소켓 하우징이, 상기 격벽에 결합하는 절결부를 갖는 2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제1 계지부에 결합하는 제1 계지 수단을 갖고,
    또한, 상기 제2 계지부에 결합하는 제2 계지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
  17. 제16항에 있어서, 제4항에 기재된 수형 커넥터의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는 암형 커넥터이며,
    상기 절결부의 서로 대향하는 양 측면이 상기 격벽의 상기 베이스부 평행면에 대응하는 개구부 평행면과, 그 개구부 평행면에 연속하고 상기 격벽의 상기 테이퍼면에 대응하여 내측을 향해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콘택트가 상기 접촉 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연장되는 소켓부를 갖고,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제2 계지 수단을 갖고, 그 제2 계지 수단이 상기소켓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지지축부와, 그 지지축부의 전방부 좌우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좌우 방향으로 휨 가능한 한 쌍의 아암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면,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아암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갈고리가 상기 제2 계지부의 후방부에 결합됨으로써 빠짐 방지되고,
    상기 아암부의 후방부가 서로 근접하도록 압박되면, 상기 아암부가 휘어 상기 아암부의 갈고리가 내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빠짐 방지가 해제되는 암형 커넥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콘택트가 상기 접촉 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연장되는 소켓부를 갖고,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제2 계지 수단을 갖고, 그 제2 계지 수단이 상기 소켓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휨 가능하며,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면,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선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갈고리가 상기 제2 계지부의 관통 구멍을 관통하여 결합됨으로써 빠짐 방지되고,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선단부가 하방으로 압박되면, 상기 제2 계지 수단이 휘어 상기 선단부의 갈고리가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빠짐 방지가 해제되는 암형 커넥터.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콘택트가 상기 접촉 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연장되는 소켓부를 갖고,
    상기 소켓 하우징이 상기 제2 계지 수단을 갖고, 그 제2 계지 수단이 상기 소켓부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가동부와, 상기 소켓 하우징의 천정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동부의 전후 방향의 중간을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지축으로 지지하는 다리부를 갖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면,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가동부의 선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된 갈고리가 상기 제2 계지부를 타고 넘어 결합함으로써 빠짐 방지되고,
    상기 가동부의 후방 단부가 하방으로 압박되면, 상기 가동부가 상기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선단부의 갈고리가 상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빠짐 방지가 해제되는 암형 커넥터.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부의 갈고리가 상기 제2 계지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의 갈고리의 후방면 중 적어도 하부가 후방 회전으로 측정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천정판과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는 암형 커넥터.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지 수단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일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콘택트가 상기 접촉 핀부에 끼워 맞추어지도록 연장되는 소켓부와, 그 소켓부와 평행하게 연장되어 선단부가 갈고리에 의해 상기 제2 계지부의 선단부에 결합하는 상기 제2 계지 수단을 갖는 동시에, 상기 소켓부의 연장 방향으로 유격을 갖고 상기 소켓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지면, 상기 제2 계지부의 선단부에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선단부가 결합됨으로써 빠짐 방지되고,
    상기 수형 커넥터에 대해 상기 빠짐 방지된 방향으로 상기 소켓 하우징이 당겨지면, 상기 유격의 범위에서 상기 소켓 콘택트에 대해 이동되고 내측에 설치된 압박부가 상기 제2 계지 수단의 선단부를 상기 제2 계지부의 선단부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상기 빠짐 방지가 해제되는 암형 커넥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 콘택트가 상기 소켓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된 단차부에 결합하는 갈고리형의 랜스를 가짐으로써 상기 소켓 하우징으로부터 빠짐 방지되고,
    상기 소켓 하우징에 상기 랜스를 상기 단차부로부터 떼어내어 상기 소켓 콘택트의 빠짐 방지를 해제하기 위한 지그의 삽통 구멍이 마련되고, 그 삽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2 계지부의 선단부가 상기 소켓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암형 커넥터.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계지 수단이 상기 소켓부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암형 커넥터.
  26. 제10항에 기재된 수형 커넥터이며, 상기 제2 계지부의 후방면이 공간을 사이에 두고 상기 베이스 하우징의 천정판과 예각을 이루는 수형 커넥터와, 제21항에 기재된 암형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
  27. 제11항에 기재된 수형 커넥터와,
    제20항에 기재된 암형 커넥터이며, 상기 선단부의 갈고리가 상기 제2 계지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선단부의 갈고리의 후방면이 후방 회전으로 측정되어 상기 소켓 하우징의 천정판과 둔각을 이루는 암형 커넥터를 구비한 커넥터 세트.
KR20-2004-0021807U 2003-09-18 2004-07-30 커넥터 KR200366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72007A JP4705354B2 (ja) 2003-09-18 2004-09-17 コネク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26717 2003-09-18
JP2003326717 2003-09-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946Y1 true KR200366946Y1 (ko) 2004-11-06

Family

ID=3467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807U KR200366946Y1 (ko) 2003-09-18 2004-07-30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366946Y1 (ko)
CN (1) CN100590935C (ko)
TW (1) TWI37458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51B1 (ko) 2006-12-14 2008-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저삽입력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0185B2 (ja) * 2007-11-16 2010-06-1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36768B2 (ja) * 2008-05-19 2013-11-06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端子カバー
JP5632189B2 (ja) * 2010-04-26 2014-11-2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0155369A (ja) * 2019-03-22 2020-09-2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8951B1 (ko) 2006-12-14 2008-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저삽입력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74589B (en) 2012-10-11
CN100590935C (zh) 2010-02-17
CN1599146A (zh) 2005-03-23
TW200531379A (en) 2005-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7884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one action automatic mechanism
TWI438976B (zh) 電連接器
US8974244B2 (en) Connector
JP4651521B2 (ja) コネクタ用シールドケース
JP3109493U (ja) 電気コネクタ
JPH0357018Y2 (ko)
JP5683284B2 (ja) 基板接続用端子
JP2010272292A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及び電線コネクタ
EP1251593B1 (en) Connector
JP2006032250A (ja) 基板実装型コネクタ
JPH1174023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の嵌合検知構造
KR200366946Y1 (ko) 커넥터
JPWO2013168333A1 (ja) 端子台および、こ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7402055B2 (en) Circuit board type connector
JP2007157657A (ja) コネクタ
JP4705354B2 (ja) コネクタ
JPS6211467B2 (ko)
JP4331990B2 (ja) コネク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US20070105449A1 (en) Contact holding structure of connector
JP2005116230A (ja) 基板用コネクタ
JP2009146592A (ja) 表面実装用コネクタ
JP3371248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及び小型基板接続構造
JP2588017B2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JP2003338342A (ja) プリント配線板用コネクタ
KR101898944B1 (ko) 와이어 투 와이어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