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951B1 - 저삽입력 커넥터 - Google Patents

저삽입력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951B1
KR100808951B1 KR1020060128089A KR20060128089A KR100808951B1 KR 100808951 B1 KR100808951 B1 KR 100808951B1 KR 1020060128089 A KR1020060128089 A KR 1020060128089A KR 20060128089 A KR20060128089 A KR 20060128089A KR 100808951 B1 KR100808951 B1 KR 100808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male terminal
lance
space
hous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8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89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9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단자와 암단자를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단자가 수용되는 제1 공간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암단자가 수용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한 홀더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공간의 수단자측 단부에 걸쳐서 결합되며, 상기 암단자는 상기 수단자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주위를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일부는 상기 수단자가 결합되기 전에 상기 수단자측을 향해 벌어져서 경사를 형성하고 있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암단자측으로 연장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단자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암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되면, 상기 누름부가 상기 탄성부를 눌러 상기 탄성부의 벌어짐을 해제하며 상기 탄성부와 상기 수단자가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단자, 커넥터, 삽입력, 홀더.

Description

저삽입력 커넥터{CONNECTOR WITH LOW INSERT FORCE}
도 1은 단자간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측면 단면도.
도 2는 단자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측면 단면도.
본 발명은 수단자와 암단자를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단자와 암단자의 결합시에 초기 발생하는 과다한 삽입력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단자와 단자를 결합시키는 커넥터는 일반적으로 수단자와 암단자를 각각 수용하고 있는 하우징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수단자는 암단자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암단자는 판스프링을 내부에 구비하여 상기 수단자가 이탈되지 않고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는 상기 수단자를 암단자에 결합시킬 때, 초기 삽입력이 많이 들어 많은 수의 커넥터를 결합시켜야 하는 작업시에 작업의 효율을 방해하고 힘이 많이 드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여러 단자를 하나의 하우징에 구비한 커넥터의 경우 삽입력이 과도하게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커넥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초기의 과도한 삽입력을 방지하여 단자간의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이 향상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수단자(10)와 암단자(20)를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수단자(10)가 수용되는 제1 공간(102)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암단자(20)가 수용되는 제2 공간(202)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200)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10)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34)을 구비한 홀더(30)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공간의 수단자측 단부에 걸쳐서 결합되며,
상기 암단자(20)는 상기 수단자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21)과 상기 수용 공간의 주위를 형성하는 측벽(22)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22)의 일부는 상기 수단자가 결합되기 전에 상기 수단자측을 향해 벌어져서 경사를 형성하고 있는 탄성부(23)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30)는 상기 암단자측으로 연장형성된 누름부(31)를 포함하며,
상기 수단자(10)가 상기 관통공(34)을 관통하여 상기 암단자(20)와 접속 가능하게 되면, 상기 누름부(31)가 상기 탄성부(23)를 눌러 상기 탄성부의 벌어짐을 해제하며 상기 탄성부(23)와 상기 수단자(10)가 접속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상기 제1 공간(102)에서 돌출되어 수단자(10)를 고정하는 수단자 랜스(10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제2 공간(202)에서 돌출되어 암단자(20)를 고정하는 암단자 랜스(201)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30)는 상기 제1 하우징측과 제2 하우징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 랜스 고정부(32)와 제2 랜스 고정부(33)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랜스 고정부(32)는 상기 수단자 랜스(101)와 상기 제1 공간(102)의 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수단자 랜스(101)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상기 제2 랜스 고정부(33)는 상기 암단자 랜스(201)와 상기 제2 공간(202)의 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암단자 랜스(201)의 움직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와는 별개로 본 발명은 암단자와 수단자를 접속시키는 커넥터와 결합되어 단자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홀더(30)에 관한 것으로,
수단자(10)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34)과,
암단자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암단자를 눌러서 수단자와 접속하도록 하는 누름부(31)와,
암단자측과 수단자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제1 랜스 고정부(32)와 제2 랜스 고정부(33)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단자간의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측면 단면도이며, 도 2는 단자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측면 단면도이다.
커넥터에 대한 본 실시예는 수단자(10)가 수용되는 제1 공간(102)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100)과, 암단자(20)가 수용되는 제2 공간(202)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200)과, 상기 수단자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34)을 구비한 홀더(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에서 상기 수단자(10)는 일반적으로 돌출된 단부를 가진 도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상기 암단자와 암수결합을 통해 통정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수단자의 하부에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수단자 랜스(101)가 결합될 수 있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상기 암단자(20)는 상기 수단자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21)과 상기 수용공간의 주위를 형성하는 측벽(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용공간과 상기 측벽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금속성 소재를 굴절시켜 내부에 수용공간(21)을 가지도록 하면 형성된다.
상기 암단자(20)는 단일의 평판을 굴절시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여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단일의 평판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다. 이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측벽(22)의 일부는 도 1에 도시되었듯이 상기 수단자가 결합되기 전에 상기 수단자측을 향해 벌어져서 경사를 형성하고 있는 탄성부(23)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탄성부(23)는 상기 측벽(22)의 일부를 절개하여 초기 변형을 주어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암단자(20)의 하부에도 상기 제2 하우징의 암단자 랜스(201)가 결합될 수 있는 걸림턱이 구비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성은 일반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상기 제1 하우징(100)은 내부에 양단이 개방된 제1 공간(102)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수단자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의 개방된 일단으로 수단자의 일부분이 돌출되어 있어서 제2 하우징의 암단자와 결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우징(100)은 상기 제1 공간(102)에서 돌출되어 수단자를 고정하는 수단자 랜스(101)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수단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하우징(200)은 내부에 양단이 개방된 제2 공간(202)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암단자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의 개방된 일단으로 수단자가 진입하여 암단자와 결합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하우징(200)은 상기 제2 공간(202)에서 돌출되어 암단자를 고정하는 암단자 랜스(201)를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암단자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홀더(30)는 수단자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34)과, 암단자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암단자를 눌러서 수단자와 접속하도록 하는 누름부(31)와, 암단자측과 수단자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제1 랜스 고정부(32)와 제2 랜스 고정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홀더(30)는 상기 수단자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34)을 구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1 공간(102)의 수단자측 단부에 걸쳐서 결합된다. 상기 홀더(30)는 상기 제1 하우징측과 제2 하우징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 랜스 고정부(32)와 제2 랜스 고정부(33)를 포함하며, 도 2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제1 랜스 고정부(32)는 상기 수단자 랜스(101)와 상기 제1 공간(102)의 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수단자 랜스(101)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상기 제2 랜스 고정부(33)는 상기 암단자 랜스(201)와 상기 제2 공간(202)의 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암단자 랜스(201)의 움직임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홀더(30)는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 누름부(31)는 암단자측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며 단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암단자의 일부가 상기 경사를 타고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수단자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암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되면, 도 2에 도시되었듯이 상기 누름부(31)가 상기 탄성부(23)를 눌러 상기 탄성부의 벌어짐을 해제하며 상기 탄성부(23)와 상기 수단자(10)가 접속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누름부(31)에 의해 상기 수단자는 초기에 삽입력을 받지 않고 암단자와 통전 가능하게 결합되지만 점층적으로 상기 탄성부의 접촉력을 받게 되어 삽입력을 받게 된다. 하지만, 상기의 삽입력은 커넥터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난 후의 일이므로 작업시에 과도한 삽입력은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작동을 살펴본다.
도 1과 같이 상기 제1 하우징(100)과 상기 제2 하우징(200)이 접근하면, 상기 수단자(10)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암단자의 수용공간(21)에 수용된다. 하지만 이때는 상기 암단자의 측벽(22)의 일부가 경사를 가지며 벌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수단자는 삽입력을 받지 않는다.
도 2와 같이 상기 홀더의 누름부(31)가 상기 제2 하우징의 암단자의 탄성부(23)와 접촉하게 되고, 상기 암단자의 측벽인 상기 탄성부(23)가 상기 누름부(31)에 의해 눌러져 상기 측벽의 벌어진 경사가 해제되어 상기 탄성부를 포함하는 상기 측벽이 상기 수단자를 압박하게 된다. 상기 수단자는 상기 측벽의 압박을 받게 되어 고정되고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홀더의 제1 랜스 고정부(32)와 제2 랜스 고정부(33)는 상기 하우징간의 접근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랜스의 하부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짐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수단자와 암단자의 결합시 초기의 과도한 삽입력을 방지하는 벌어진 경사를 가지는 암단자를 구비하여 수단자가 삽입력을 받지 않고 상기 암단자와 통전가능하게 결합하게 되고, 상기 벌어진 경사를 홀더의 경사부를 통해 해제하여 암단자와 수단자의 결합을 고정하고 이탈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과도한 초기 삽입력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랜스를 고정시키는 구성을 추가하여 홀더로 하여금 단자의 이탈을 방지하고 결합을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4)

  1. 수단자와 암단자를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수단자가 수용되는 제1 공간을 포함하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암단자가 수용되는 제2 공간을 포함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수단자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을 구비한 홀더가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공간의 수단자측 단부에 걸쳐서 결합되며,
    상기 암단자는 상기 수단자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주위를 형성하는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측벽의 일부는 상기 수단자가 결합되기 전에 상기 수단자측을 향해 벌어져서 경사를 형성하고 있는 탄성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암단자측으로 연장형성된 누름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단자가 상기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암단자와 접속 가능하게 되면, 상기 누름부가 상기 탄성부를 눌러 상기 탄성부의 벌어짐을 해제하며 상기 탄성부와 상기 수단자가 접속하도록 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공간에서 돌출되어 수단자를 고정하는 수단자 랜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2 공간에서 돌출되어 암단자를 고정하는 암단자 랜스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하우징측과 제2 하우징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 랜스 고정부와 제2 랜스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랜스 고정부는 상기 수단자 랜스와 상기 제1 공간의 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수단자 랜스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상기 제2 랜스 고정부는 상기 암단자 랜스와 상기 제2 공간의 측면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암단자 랜스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3. 암단자와 수단자를 접속시키는 커넥터와 결합되어 단자의 움직임을 방지하는 홀더에 있어서,
    수단자가 관통할 수 있는 관통공과,
    암단자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암단자를 눌러서 수단자와 접속하도록 하는 누름부와,
    암단자측과 수단자측으로 각각 연장 형성된 제1 랜스 고정부와 제2 랜스 고정부를 포함하는, 저삽입력 커넥터에 결합하는 홀더.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암단자측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들며 단부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암단자의 일부가 상기 경사를 타고 접촉할 수 있는, 저삽입력 커넥터.
KR1020060128089A 2006-12-14 2006-12-14 저삽입력 커넥터 KR100808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089A KR100808951B1 (ko) 2006-12-14 2006-12-14 저삽입력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089A KR100808951B1 (ko) 2006-12-14 2006-12-14 저삽입력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8951B1 true KR100808951B1 (ko) 2008-03-04

Family

ID=39397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089A KR100808951B1 (ko) 2006-12-14 2006-12-14 저삽입력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89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826A (ko) 2020-12-28 2022-07-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15390A (ko) * 1989-03-17 1990-10-26 야자끼 야스히꼬 전기 코넥터
KR910006781Y1 (ko) * 1985-08-28 1991-09-09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구조
KR20000011776A (ko) * 1998-07-16 2000-02-25 요시무라 마사오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
KR200327623Y1 (ko) 2003-06-16 2003-09-26 주식회사 기성 차량 진단용 커넥터
KR200366946Y1 (ko) 2003-09-18 2004-11-06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050063732A (ko) * 2003-12-22 2005-06-28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050120241A (ko) * 2004-06-18 2005-12-22 박성기 커넥터
KR200418109Y1 (ko) 2005-12-02 2006-06-08 윤 식 최 커넥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781Y1 (ko) * 1985-08-28 1991-09-09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구조
KR900015390A (ko) * 1989-03-17 1990-10-26 야자끼 야스히꼬 전기 코넥터
KR20000011776A (ko) * 1998-07-16 2000-02-25 요시무라 마사오 커넥터의 암단자 및 하우징
KR200327623Y1 (ko) 2003-06-16 2003-09-26 주식회사 기성 차량 진단용 커넥터
KR200366946Y1 (ko) 2003-09-18 2004-11-06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050063732A (ko) * 2003-12-22 2005-06-28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KR20050120241A (ko) * 2004-06-18 2005-12-22 박성기 커넥터
KR200418109Y1 (ko) 2005-12-02 2006-06-08 윤 식 최 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3826A (ko) 2020-12-28 2022-07-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7729B1 (en) Wire-to-board connector
US8298922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EP1313176B1 (en) Electric connector and socket connector
CN111293452B (zh) 软扁平电缆电连接器
US7556539B2 (en) Connector
CN100397722C (zh) 便携式终端插头连接器
KR20080075380A (ko) 탄성 레버 커넥터
US20170179626A1 (en) Connector
CN108432057B (zh) 用于端子的锁定结构和连接器
KR101391476B1 (ko) 커넥터 결합장치
US7547220B1 (en) Memory card connector
KR100808951B1 (ko) 저삽입력 커넥터
US7828608B2 (en) Connector having terminal holding portion that contacts a mating terminal
JP2008277108A (ja) コネクタカバー
JP4728076B2 (ja) 回路遮断器
JP2015232927A (ja) コネクタ
KR20100001179U (ko) 커넥터
KR100875434B1 (ko) 저삽입력 암단자 커넥터 및 그러한 암단자 커넥터를 포함하는 저삽입력 커넥터 조립체
KR20080024629A (ko) 랜스 파손 방지 커넥터
US20040224575A1 (en) Low insertion force electrical socket contact
CN219321781U (zh) 一种光电适配器
JP5414317B2 (ja) 低挿入力コネクタ
JP2006100235A (ja) コネクタ
JP2002246100A (ja) コネクタ及び端子金具
CN116598850A (zh) 电连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