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781Y1 -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구조 - Google Patents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781Y1
KR910006781Y1 KR2019860013133U KR860013133U KR910006781Y1 KR 910006781 Y1 KR910006781 Y1 KR 910006781Y1 KR 2019860013133 U KR2019860013133 U KR 2019860013133U KR 860013133 U KR860013133 U KR 860013133U KR 910006781 Y1 KR910006781 Y1 KR 9100067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e
female
housing
housings
latch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600131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4414U (ko
Inventor
시게루 이소하따
Original Assignee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엘. 사이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이엘. 사이칙 filed Critical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700044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44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7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78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구조
제1도는 본 고안의 로크구조를 갖는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2a도 및 제2b도는 제1도의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을 화살표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암형 카넥터 하우징안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 및 제4b도는 제1도의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을 화살표 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5도 및 제6도는 종래의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형 커넥터 2 : 암형 커넥터
3 : 전선 10 : 암형 하우징
12 : 래치 아암 13 : 제1돌출부
20 : 수형 하우징 21 : 로크 해제 아암
23 : 조작 돌출부 24 : 제2돌출부
본 고안은 복수개의 전선과 전선 또는 전선과 헤더를 접속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호 결합되는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 하우징이 결합되었을때 이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로크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 하우징은 여러가지가 제안되어 있으며, 한 예를 들면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하우징(51)에 걸림 돌출부(51a)를 설치하고 암형 하우징(52)에는 걸림 돌출부(51a)와 걸어 맞춰지는 탄성변형 가능한 래치 아암(52a)을 형성한 것이 있지만, 걸림 돌출부(51a) 및 래치 아암(52a)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손상 또는 변형될 경우가 있었다.
이때문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형 하우징(53)의 외벽에 전방단부(54b)를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탄성변형 가능한 래치 아암(54)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래치아암(54)상에 외측으로 돌출하는 걸림 돌출부(54a)를 설치하는 한편, 암형 하우징(55)의 벽 내면에 상기 걸림 돌출부(54a)와 걸어 맞춰지는 걸림홈(55a)을 형성하는 커넥터 하우징을 본 출원인은 제안하였다(일본국 실용신안 공보 소 53-12458호).
이 제안에 의하면 암수형 하우징(53, 55)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걸어맞춤 부분이 하우징내에 위치하기 때문에 외력에 의한 손상이나 변형 가능성은 없게 되지만, 두 하우징의 결합전에 수형 하우징(53)의 래치 아암(54)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외력에 의한 손상이나 변형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래치 아암의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력을 얻도록 되어있기 때문에, 래치 아암의 영구 변형에 따른 탄성력의 저하에 의하여 결합력도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를 위해서는 걸림 돌출부와 래치 아암등을 하우징내에 배치하면 되지만, 암수형 하우징이 결합되어 걸림 돌출부와 걸림홈이 걸어 맞춰진 상태로부터 이 걸어맞춤을 풀어서 암수형 하우징의 결합을 해제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때문에 외부조작 가능한 걸어맞춤(로크)해제부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한쪽을 장치에 고정하고 다른쪽을 와이어 설비에 접속하여,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결합에 의하여 와이어 설비와 장치와 접속을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커넥터의 보호 관점등에서 암형 하우징을 장치에 고정하고 수형 하우징을 와이어 설비에 접속한 것이 많지만, 이 경우에는 와이어 설비를 장치에 한손으로도 부착 및 이탈 시킬수 있도록 로크 해제부는 수형 하우징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상기의 여건을 감안하여, 로크(걸어 맞춤)부가 외력에 의해 손상 또는 변형하는 일이 적고, 로크 해제부를 수형 하우징에 배치한 소형이고 결합 및 해제를 수행하기에 용이한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로크 구조는, 암수형 하우징의 결합 방향으로 연장하며 이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고, 상기 직각 방향의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갖는 래치 아암을 암형 하우징내에 형성하고, 상기 직각 방향의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하고, 암수형 하우징이 결합되었을때 제1돌출부와 걸어 맞춰지는 제2돌출부를 수형 하우징내에 형성하며, 이 수형 하우징 외벽에 상기 결합 방향으로 연장 하여 래치 아암과 대향하고 상기 직각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로크 해제 아암을 설치함과 동시에, 이 로크 해제 아암상에 상기 직각방향으로 그리고 수형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하는 조작 돌출부를 설치하고, 암수형 하우징이 결합되었을때 제1 및 제2돌출부가 걸어 맞춰져 있을때에, 조작 돌출부를 내측으로 누르면 로크해제 아암이 탄성 변형하여 래치아암에 맞닿음과 동시에 이 래치 아암을 하우징 내측으로 탄성변형시켜 제1 및 제2돌출부의 걸어 맞춤을 해제시키는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암형 하우징(10)은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5개)의 수형 커넥터(1)를 유지하고, 수형 하우징(20)은 동일한 수의 암형 커넥터(2)를 유지하며, 각각의 커넥터(1, 2)에는 그 단부에 전선(3)이 접속되어 있다.
암수형 하우징(10, 20)이 결합되었을때 두 하우징(10, 20)을 결합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로크 구조는 두 하우징(10, 20)의 중앙상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로크 구조를 화살표 Ⅱ-Ⅱ를 따라 도시한 제 2a 도 및 제 2b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암형 하우징(10)의 전방부는 수형 하우징(20)의 전방부를 수용하기 위한 외주벽(11)을 갖고, 이 외주벽(11)의 내부 개구내에 전방으로 돌출하며 도면에서 상하로 휘어질 수 있는 래치 아암(1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 래치 아암(12)의 선단 근방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제1돌출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제13도에는 외주벽(11)의 내부 개구내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 도면으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같이, 래치 아암(12)의 양 측면 및 밑면에 안내판(14a, 14b, 14c)이 배치되고, 암수형 하우징(10, 20)의 결합시에 이들 안내판(14a, 14b, 14c)이 수형 하우징(20)의 안내구멍(21)(제1도 참조)내에 안내 삽입되므로서, 래치 아암(12)을 비틀려지게 하는 일없이 암수형 하우징(10, 20)의 결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수형 하우징의 중앙부 상면에는 결합 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전방단부(22a)를 중심으로 도면에서 상하로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가요성 부재로 이루어진 로크 해제 아암(22)이 형성되고, 이 로크 해제 아암(22)의 후방단부 상부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조작 돌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로크해제 아암(22)의 전방단부(22a)의 내면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제2돌출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된 로크 구조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암수형 하우징(10, 20)의 결합은 암형 하우징(10)의 외주벽(11)으로 둘러싸인 개구내에 수형 하우징(20)의 전방단부를 삽입하므로서 수행되며, 이에 따라 래치 아암(12) 및 안내판(14a, 14b, 14c)은 수형 하우징의 안내구멍(21)속으로 삽입된다. 이것에 의해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래치아암(12)상의 제1돌출부(13)와 수형 하우징(20)의 전방단부 내면상의 제2돌출부(24)가 대향하지만, 제1돌출부(13)는 그 상면 전방부의 경사면(13a)이 제2돌출부(24)와 맞닿으므로서, 이 경사면(13a)을 따라 로크해제 아암(22)이 하방으로 밀려 내려가고, 제1돌출부(13)는 제2돌출부의 하측을 빠져 나가서,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로크해제 아암(22)의 탄성력에 의해 두 돌출부(13, 24)가 걸어 맞춰진다. 이 걸어맞춤에 의해 두 하우징(10, 20)은 끼워 맞춰진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이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조작 돌출부(23)를 하방으로 밀어내려 로크해제 아암(22)을 하방으로 휘게하고, 이것에 의해 래치 아암(12)도 하방으로 휘게한다.
래치 아암(12)이 하방으로 휘면, 래치 아암(12)상의 제1돌출부(13)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제2돌출부(2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므로서 두 하우징(10, 20)의 결합을 해제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성에 있어서, 래치 아암(12)을 암형 하우징부내에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6도에 도시한 종래의 로크 구조와 같이 수형 하우징의 외벽상에 래치 아암(54)을 설치하는 경우에 비해 로크부 전체 길이를 짧게할 수가 있다.
또한, 래치 아암(12)과 걸어맞춤용의 제1 및 제2돌출부(13, 24)는 모두 하우징내에 설치되어 있다. 외력에 의해 손상 또는 변형될 가능성이 적다. 또한, 로크 해제 아암(22)은 외부에 노출되지만, 이것은 로크 자체에 관여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 아암(22)이 약간 변형하여도 하우징의 로크에는 지장없다.
게다가, 로크시에 래치 아암(12)의 선단부측으로부터 밀려서 로크되기 때문에, 제 6 도의 종래의 로크 구조에 있어서와 같이 래치 아암(54)의 기저측으로 부터 밀려 로크되는 경우에 비해 로크 감촉이 좋다고 할 수 있다. 또, 커넥터의 극수에 맞추어 로크부의 크기를 자유로이 만들수 있는 장점도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암수형 하우징(10, 20)을 결합하였을때 두 하우징내의 커넥터(1, 2)의 끼워맞춤을 제 4a 도 및 제 4b 도(제1도의 화살표 Ⅲ-Ⅲ)에 따라 절취된 단면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암형 및 수형 하우징(10, 20)내의 각 하우징의 후방단부측(암형 하우징(10)은 도면중 좌측, 수형 하우징(20)은 도면중 우측)으로부터 수형 및 암형 커넥터(1, 2)가 각각 삽입되고, 상하 2단으로되어 각 커넥터(1, 2)가 수납 유지되어 있다. 이 경우, 암형 하우징(10)에 있어서는 중앙 격벽(16)의 상 및 하 랜스(lance)(17, 18)에 형성된 상 및 하 돌출부(17a, 18a)가 수형 커넥터(1)와 걸려서, 삽입된 수형 커넥터(1)를 소정 위치로 위치시켜준다. 여기서, 상 및 하 랜스(17, 18)의 형상이 다르지만, 이것은 상하 2단으로 삽입되는 커넥터(1)가 같은 방향을 향해 삽입될 수 있도록 커넥터의 상에 일치시킨 때문이며, 이와같이 하므로서 전체 커넥터의 삽입시의 방향을 동일하게 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삽입 작업을 행하기 쉽고, 또 삽입 작업의 자동화도 용이하게 행할수가 있다. 수형 하우징(20)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중앙 격벽(26)의 상 및 하 랜스(27, 28)에 형성된 상 및 하 돌출부(27a, 28a)가 암형 커넥터(2)와 걸려서 이 커넥터(2)를 소정위치에 유지한다. 이 경우의 상 및 하 랜스(27, 28)의 형상도 암형 커넥터(2)를 같은 방향으로 일치시켜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두 하우징(10, 20)을 결합시키면, 제4b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형 커넥터(1)의 전방단부가 암형 커넥터(2)의 전방단부 구멍내에 삽입 되어서 두 커넥터(1, 2)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두 하우징(10, 20)이 결합하면, 제 2b 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1 및 제2돌출부(13, 24)의 걸어맞춤에 의해 두 하우징(10, 20)은 결합 상태 그대로 유지되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의 커넥터 하우징(10, 20)에는 이중 로크 갈퀴(15a, 15b, 25a, 25b)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이중 로크 갈퀴가 제4b도와 같이 꺽여 구부러져 눌려 들어가서 두 하우징(10, 20)내에서 각 커넥터(1, 2)와 걸리도록 되어 있고, 이 걸림에 의해 각 커넥터(1, 2)가 외측으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 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있어서는 제1돌출부를 선단에 갖는 래치 아암을 암형 하우징내에 설치함과 동시에 제1돌출부와 걸어맞춰지는 제2돌출부를 수형 하우징 내벽상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두 돌출부 및 래치 아암은 하우징에 의해 보호되어 외력에 의해 손상이나 변형하는 일이 적다. 또, 두 돌출부의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위한 로크 해제 아암은 수형 하우징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암형 하우징이 장치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 수형 하우징을 한손으로 잡고 착탈할 수가 있어, 부착작업을 행하기가 쉽다. 게다가, 이 로크 해제 아암은 외측으로 노출되지만, 양 돌출부의 해제를 행하기 위한 것으로, 외력에 의해 다소의 변형이 생겨도 양 하우징의 로크에는 지장이 없다.
더우기, 상술한 바와같이 로크부 전체길이를 짧게할 수가 있고, 로크 감촉이 좋으며, 로크부 형상의 크기를 극수에 맞추어 결정할 수가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상호 결합 가능한 암수형 하우징과 상기 암수형 하우징을 결합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로크구조를 포함하는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구조에 있어서, 상기 암형 하우징내에서 그 축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암형 하우징의 결합면을 향해 연장하는 외팔보형의 탄성 변형 가능한 래치 아암과, 상기 래치 아암의 양 측면과 밑면을 평행하게 덮는 안내판을 구비하며, 상기 수형 하우징은 상기 래치 안내판을 수용하는 안내 구멍과, 상기 안내구멍 부분을 형성하는 수형 하우징의 결합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외팔보형의 탄성변형 가능한 로크해제 아암을 가지며, 제1 및 제2돌출부간의 결합이 암수형 하우징을 서로 로크하고 상기 해제 아암의 조작 돌출부를 누름으로써 해제되도록 상기 래치 아암의 결합면과 안내 구멍사이에 제1 및 제2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구조.
KR2019860013133U 1985-08-28 1986-08-28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구조 KR91000678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5131366U JPH0530306Y2 (ko) 1985-08-28 1985-08-28
JP131366 1985-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4414U KR870004414U (ko) 1987-07-31
KR910006781Y1 true KR910006781Y1 (ko) 1991-09-09

Family

ID=31029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60013133U KR910006781Y1 (ko) 1985-08-28 1986-08-28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530306Y2 (ko)
KR (1) KR91000678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086A (ko) * 2002-02-07 2003-08-14 김정택 자외선 램프와 열풍기를 이용한 살균 건조 신발장
KR100808951B1 (ko) * 2006-12-14 2008-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저삽입력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99175B2 (ja) * 2007-10-03 2012-08-15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ド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8391U (ko) * 1974-11-25 1976-05-29
JPS5613677A (en) * 1979-07-16 1981-02-10 Yazaki Corp Connector locking mechanism
JPS59170383U (ja) * 1983-04-28 1984-11-14 アンプ インコ−ポレ−テツド 電気コネクタのロツ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7086A (ko) * 2002-02-07 2003-08-14 김정택 자외선 램프와 열풍기를 이용한 살균 건조 신발장
KR100808951B1 (ko) * 2006-12-14 2008-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저삽입력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530306Y2 (ko) 1993-08-03
JPS6240783U (ko) 1987-03-11
KR870004414U (ko) 198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2613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ovable guide member
US712858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cking/unlocking means
EP0374492B1 (en) Electrical connector apparatus
US6824420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cable holding mechanism
JP3301329B2 (ja) コネクタ
JPH09147948A (ja) 電気端子及びそれを使用する電気コネクタ
US599326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etaining means
US6325680B1 (en) Femal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JPH06236784A (ja) 端子位置保証部材付き電気コネクター
US20050090148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559833Y2 (ja) モジューラ電気コネクタ用ホルダ
EP0657969B1 (en) Connector assembly
EP1091450B1 (en) Connector
US6059602A (en) Shroud for electrical connector
JP3495000B2 (ja) コネクタ
EP061085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etaining means
US6203359B1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ion connector
JP2002008764A (ja) コネクタ
JPS6253910B2 (ko)
JPH09283203A (ja) リテーナ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TWI469701B (zh) A connector and a combination of the connector
KR910006781Y1 (ko) 암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로크구조
JP4082477B2 (ja) 端子位置保証装置付電気コネクタ
US4726792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electrical contacts provided with retention means
JP3094009B2 (ja) コンタクト保持装置付き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